KR200496451Y1 - 배관 정비용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배관 정비용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451Y1
KR200496451Y1 KR2020200004265U KR20200004265U KR200496451Y1 KR 200496451 Y1 KR200496451 Y1 KR 200496451Y1 KR 2020200004265 U KR2020200004265 U KR 2020200004265U KR 20200004265 U KR20200004265 U KR 20200004265U KR 200496451 Y1 KR200496451 Y1 KR 2004964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upport
base
movabl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42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1235U (ko
Inventor
이원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Priority to KR20202000042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451Y1/ko
Publication of KR202200012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2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4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4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1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for supporting or gui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between relatively movable points, e.g. movable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관의 형상이나 중량에 상관 없이 안전하고 클린하게 배관을 거치하여 정밀검사를 실행 후, 용이하게 재결합할 수 있는 배관 정비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부에 간격을 갖도록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되 배관 양측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배관 길이에 따라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 상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길이조절부 및 한 쌍의 상기 길이조절부 사이에 한 쌍이 서로 마주보게 간격을 갖도록 배관 하면을 지지하되 배관 외경에 따라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폭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관 정비용 지지장치{Pipe supporter}
본 고안은 배관의 형상이나 중량에 상관 없이 안전하고 클린하게 배관을 거치하여 정밀검사를 실행 후, 용이하게 재결합할 수 있는 배관 정비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을 정비 작업시에는 해당 배관을 연결된 다른 배관에서 분리 후, 바닥에 설치된 고임목에 안착하여 작업자에 의해 검사가 이루어진 이후에 다시 결합하는 과정이 반복적으로 실행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해당 배관의 중량이나 그 형상(예를 들어, 'T'자 형상)에 의해 고임목에 안착한 상태에서는 정밀한 검사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은 물론, 해당 고임목에 안착시키는 과정에서 작업자에게 상해를 가하거나 바닥면에 존재하는 다른 이물질의 고착으로 인하여 또 다른 피해를 동반하는 불편함이 존재하게 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종래에는 크레인이 구비된 특장차량을 통해 배관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점검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검사방법은 그 검사시간이 너무 오래 소요되는 것은 물론, 작업자로 하여금 안전성의 확보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국내등록특허 제10-2102365호(공고일:2020.04.20.) 국내등록특허 제10-2121689호(공고일:2020.06.10.) 국내등록특허 제10-1240612호(공고일:2013.03.06.)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배관의 형상에 관계 없이 안전하게 거치함과 동시에 다른 배관에서 분리된 해당 배관을 정밀하게 검사 후, 재결합용할 수 있는 배관지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배관 정비용 지지장치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부에 간격을 갖도록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되 배관 양측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배관 길이에 따라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 상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길이조절부 및 한 쌍의 상기 길이조절부 사이에 한 쌍이 서로 마주보게 간격을 갖도록 배관 하면을 지지하되 배관 외경에 따라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폭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길이조절부는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되 하부는 상기 베이스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이동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베이스와 왕복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대와, 일측이 상기 지지대 상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되 타측은 배관과 결합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상기 지지대 상부에 구비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부재는 '-'자 또는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모터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상기 지지대와 결합하는 회전대 및 상기 중공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관통하는 결합수단에 의해 배관과 결합하는 이동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1이동스크류는 상기 베이스 상부에 한 쌍으로 설치되는 상기 폭 조절부 사이를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간격은 상기 베이스에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상기 회전대 간의 거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폭 조절부는 선단에서 후단까지의 길이 중앙부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각도의 나사산이 형성된 제2이동스크류와, 상기 제2이동스크류가 회전가능하게 관통하되 하부가 상기 베이스에 고정 설치되며, 상부에는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제1이동스크류가 관통하는 테이퍼부가 형성된 이동하우징 및 하부가 상기 제2이동스크류와 서로 회전가능하게 치(齒) 결합하도록 상기 가이드공에 이동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되 상부에는 배관 외면을 지지하는 지지롤러가 구비된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서로 다른 각도의 나사산을 갖는 상기 제2이동스크류에 한 쌍이 설치되어 상기 제2이동스크류의 회전방향에 따라 간격이 좁아지거나 벌어질게 상기 가이드공에 안내되어 이동하며, 간격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상기 지지롤러 외면 간의 거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각각이 베이스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길이조절부의 간격 및 폭 조절부 간의 간격을 통해 배관의 형상에 관계 없이 이물질이 고착되지 않도록 안전하게 거치함과 동시에 회전부재의 회전을 통해 해당 배관의 정밀검사가 이루어진 이후에 다른 배관과의 재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 정비용 지지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 정비용 지지장치애 대한 베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 정비용 지지장치에 대한 회전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 정비용 지지장치에 대한 길이조절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 정비용 지지장치에 대한 폭 조절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 정비용 지지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5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 정비용 지지장치의 다른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배관 정비용 지지장치(이하, 간략하게 '지지장치'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지지장치(1)는 크게 베이스(100), 길이조절부(200) 및 폭 조절부(300)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베이스(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길이조절부(200) 및 폭 조절부(300)가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정비하고자 하는 배관(P)이 안착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구성으로 설치플레이트(110) 및 지지플레이트(120)를 포함한다.
예컨대 설치플레이트(110)는 금속 등의 재질로 성형되되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상부에 후술하는 길이조절부(200)와 폭 조절부(300)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내부에 다수의 지지플레이트(120)가 출입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를 위해, 설치플레이트(110) 상면에는 길이조절부(200)가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다수의 이동홈(113)이 형성되며, 외면에는 지지플레이트(120)가 출입 가능하게 수납홈(111)이 형성된다.
아울러, 설치플레이트(110) 상면에는 후술하는 한 쌍의 제1이동스크류(210)가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제1회전베어링(115)이 고정 형성되며, 하부에는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한 바퀴(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지지플레이트(120)는 설치플레이트(110)와 함께 배관(P)의 하중에 따라 바닥면에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금속 재질로 성형되되 전체적으로 판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수납홈(111)에 수납됨과 동시에 인출이 가능하도록 다수 구비된다.
지지플레이트(120)는 수납홈(111)에서 인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설치플레이트(110)와 면접하는 턱부(121)가 돌출 형성되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설치플레이트(110) 외측으로 인출된 상기 지지플레이트(120) 끝단에는 고정핀(미도시) 등을 통해 바닥면과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길이조절부(200)는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된 도면을 중심으로 배관(P)의 길이에 따라 한 쌍이 간격(D1)을 갖도록 상술한 베이스(100)에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해당 배관(P)이 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이동스크류(210), 지지대(220) 및 회전부재(230)를 포함하되, 상기 길이조절부(200)는 제1회전베어링(115)을 중심으로 설치플레이트(110) 양측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어 배관(P) 양측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며, 필요에 따라 한 쌍의 상기 길이조절부(200) 중 어느 하나는 고정한 상태에서 다른 하나는 상기 설치플레이트(110)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해당 배관(P)의 길이에 대응되게 간격(D1) 조절이 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제1이동스크류(210)는 지지대(220)와 나사 결합할 수 있게 관통하되 일단은 제1회전베어링(115)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타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해당 손잡이를 통해 정방향(예를 들어, 시계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지지대(220)가 설치플레이트(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지지대(220)는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되 금속 등의 재질로 성형된 판의 형상을 가지며, 한 쌍의 상기 지지대(220)가 마주보는 면을 의미하는 일측에는 회전부재(23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측에는 상기 회전부재(23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240)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각각의 지지대(220) 하부는 이동홈(113)에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플레이트(110)에 설치되며, 그 이동을 통해 간격(D1)을 조절하여 배관(P)이 용이하게 한 쌍의 회전부재(230)를 통해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회전부재(230)는 배관(P) 양측과 결합하여 정비가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도록 배관(P)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해당 배관(P)의 지름 크기에 대응하여 결합수단(250)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회전대(231) 및 이동편(235)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수단(250)은 볼트(BOLT)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배관(P)에 형성된 체결공(Pa)에 관통 삽입되거나 상기 체결공(Pa)과 나사 결합할 수 있는 구성이다.
회전대(231)는 금속의 재질로 성형되되 전체적으로 판의 형상을 가지며, 그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구간에 걸쳐 이동편(235)이 왕복으로 이동할 수 있는 중공부(233)가 형성된다.
회전대(231)는 서로 마주보는 각각의 지지대(220) 일측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회전축이 삽입 설치되며, 해당 회전축은 구동모터(240)의 구동축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회전대(231)가 회전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상기 회전대(231)를 통해 간격(D1)의 거리가 결정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회전대(231)는 도시한 바와 같이,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배관(P)의 지지력을 극대화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자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도 가능함에 유의한다.
이동편(235)은 배관(P)에 형성된 체결공(Pa)의 형성 위치에 따라 중공부(233)를 통해 이동가능하게 지지대(220)에 다수 구비되되 결합수단(250)이 관통하여 상기 체결공(Pa)과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한 쌍의 길이조절부(200)에 해당 배관(P)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이동편(235)은 금속 등의 재질로 성형될 수 있게 전체적으로 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외면에는 결합수단(250)이 관통하는 관통공(237)이 천공 형성되며, 양측은 회전대(231) 내면에 형성된 안내홈에 삽입되어 중공부(233) 내에서 이동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폭 조절부(3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길이조절부(200)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배관(P)이 안정적으로 안착할 수 있게 지지함과 동시에 해당 배관(P)의 외경에 따라 간격(D2)이 조절되게 이동할 수 있는 구성으로 제2이동스크류(310), 이동하우징(320), 이동플레이트(3300) 및 지지롤러(340)를 포함하며, 상기 폭 조절부(300)는 상기 제2이동스크류(31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이 간격(D2)을 형성하도록 서로 대칭되게 설치플레이트(110) 상면에 설치되어 있다.
예컨대 제2이동스크류(3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플레이트(110)에 소정 높이를갖도록 서로 이웃하게 고정 형성된 한 쌍의 제2회전베어링(117) 중 어느 하나에는 관통하며, 다른 하나는 끝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제2이동스크류(310)는 관통 삽입되는 제2회전베어링(117)을 기준으로 양측이 서로 다른 방향을 갖도록 나사산이 형성되되 서로 다른 방향을 갖는 나사산 외면에는 각각의 이동플레이트(330)가 치(齒) 결합할 수 있게 관통하여 하나의 상기 제2이동스크류(310)회전방향에 따라 간격(D2)이 좁아지거나 벌어지게 한 쌍의 상기 이동플레이트(330)가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동하우징(320)은 설치플레이트(110) 상면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되 각각의 상부에는 제2이동스크류(310)와 나사 결합하는 이동플레이트(330)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이동하우징(320) 상부에는 제2이동스크류(310)의 회전은 물론, 그 회전에 의한 이동플레이트(330)의 이동에 간섭을 주지 않게 가이드공(323)이 형성된다.
이때,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각각의 이동하우징(32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상술한 제1회전베어링(115)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한 쌍의 제1이동스크류(210)의 회전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테이퍼부(321)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동플레이트(330)는 상부에 배관(P) 하부 외면을 지지하는 지지롤러(34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하부는 제2이동스크류(310)의 나사산과 서로 치(齒) 결합할 수 있게 가이드공(323)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제2이동스크류(3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이드공(323)에 안내되어 왕복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지지롤러(340)는 고무나 실리콘 등과 같은 탄력재질을 갖는 재질의 것을 사용하여 배관(P)의 품질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충격 등을 흡수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각각의 이동플레이트(330) 하부는 서로 다른 방향의 각도를 갖는 나사산과 서로 치(齒) 결합하도록 제2이동스크류(31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제2이동스크류(310)의 회전을 통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여, 한 쌍의 이동플레이트(330)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의 이동을 통해 서로 마주보는 지지롤러(340) 외면 간의 간격(D2)이 결정되어 배관(P) 외경에 따라 대응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의 폭 조절부(300)는 'T'자형 배관(P)을 기준으로 상세한 설명이 이루어졌기에 설치플레이트(110) 상면에 복수의 구성으로 해당 배관(P) 하부 외면을 지지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배관(P)이 '-'자 형상인 경우, 필요에 따라 상기 설치플레이트(110) 상면에 하나의 구성으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지지장치(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각각이 베이스(10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길이조절부(200)의 간격(D1) 및 폭 조절부(300) 간의 간격(D2)을 통해 배관의 형상에 관계 없이 이물질이 고착되지 않도록 안전하게 거치함과 동시에 회전부재(230)의 회전을 통해 해당 배관(P)의 정밀검사가 이루어진 이후에 다른 배관(P)과의 재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본 고안에 따른 배관 정비용 지지장치
100: 베이스
110: 설치플레이트 111: 수납홈
113: 이동홈 115: 제1회전베어링
117: 제2회전베어링 120: 지지플레이트
121: 턱부
200: 길이조절부
210: 제1이동스크류 220: 지지대
230: 회전부재 231: 회전대
233: 중공부 235: 이동편
237: 관통공 240: 구동모터
250: 결합수단
300: 폭 조절부
310: 제2이동스크류 320: 이동하우징
321: 테이퍼부 323: 가이드공
330: 이동플레이트 340: 지지롤러
D1: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회전대 간의 거리
D2: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지지롤러 외면 간의 거리
P: 배관

Claims (3)

  1. 바닥면에 지지되는 베이스(100);
    상기 베이스(100) 상부에 간격(D1)을 갖도록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되 배관(P) 양측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배관(P) 길이에 따라 간격(D1) 조절이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100) 상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길이조절부(200); 및
    한 쌍의 상기 길이조절부(200) 사이에 한 쌍이 서로 마주보게 간격(D2)을 갖도록 배관(P) 하면을 지지하되 배관(P) 외경에 따라 간격(D2) 조절이 가능하게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폭 조절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조절부(200)는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되 하부는 상기 베이스(10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이동스크류(2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베이스(100)와 왕복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간격(D1)이 좁아지거나 벌어지도록 구비되는 지지대(220);
    일측이 상기 지지대(220) 상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되 타측은 배관(P)과 결합하는 회전부재(230); 및
    상기 지지대(220) 상부에 구비되는 구동모터(240);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부재(230)는 '-'자 또는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중공부(233)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모터(24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상기 지지대(220)와 결합하는 회전대(231) 및 상기 중공부(233)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관통하는 결합수단(250)에 의해 배관(P)과 결합하는 이동편(235)을 포함하며,
    상기 제1이동스크류(210)는 상기 베이스(100) 상부에 한 쌍으로 설치되는 상기 폭 조절부(300) 사이를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간격(D1)은 상기 베이스(100)에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상기 회전대(231) 간의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정비용 지지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폭 조절부(300)는
    선단에서 후단까지의 길이 중앙부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각도의 나사산이 형성된 제2이동스크류(310);
    상기 제2이동스크류(310)가 회전가능하게 관통하되 하부가 상기 베이스(100)에 고정 설치되며, 상부에는 가이드공(323)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제1이동스크류(210)가 관통하는 테이퍼부(321)가 형성된 이동하우징(320); 및
    하부가 상기 제2이동스크류(310)와 서로 회전가능하게 치(齒) 결합하도록 상기 가이드공(323)에 이동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되 상부에는 배관(P) 외면을 지지하는 지지롤러(340)가 구비된 이동플레이트(330);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플레이트(330)는 서로 다른 각도의 나사산을 갖는 상기 제2이동스크류(310)에 한 쌍이 설치되어 상기 제2이동스크류(310)의 회전방향에 따라 간격(D2)이 좁아지거나 벌어질게 상기 가이드공(323)에 안내되어 이동하며,
    간격(D2)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상기 지지롤러(340) 외면 간의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정비용 지지장치.
KR2020200004265U 2020-11-24 2020-11-24 배관 정비용 지지장치 KR2004964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265U KR200496451Y1 (ko) 2020-11-24 2020-11-24 배관 정비용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265U KR200496451Y1 (ko) 2020-11-24 2020-11-24 배관 정비용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235U KR20220001235U (ko) 2022-05-31
KR200496451Y1 true KR200496451Y1 (ko) 2023-02-06

Family

ID=81766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265U KR200496451Y1 (ko) 2020-11-24 2020-11-24 배관 정비용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451Y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612B1 (ko) 2010-10-28 2013-03-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배관 지지 장치
KR102121689B1 (ko) 2019-03-14 2020-06-10 최락현 배관지지장치
KR102102365B1 (ko) 2020-01-07 2020-04-20 김명식 배관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235U (ko) 202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6451Y1 (ko) 배관 정비용 지지장치
CN111998751A (zh) 一种轴承的两种尺寸的检测装置
CN201815802U (zh) 一种支撑装置
JP3083058B2 (ja) ロータ回転受台装置
JP4963206B2 (ja) 位置調整台装置
KR100428531B1 (ko) 로터의 지지장치
CN111172893A (zh) 转体桥驱动系统
CN107097221B (zh) 一种机器人末端直线导轨
KR20100030854A (ko) 레일용 슬라이더 장치
US3813912A (en) Three roll type shape steel rolling mill
CN219135470U (zh) 一种水平移动搬运平台
US6891112B2 (en) Lift system for a platform, and weighing system equipped with the lift system
CN102561742B (zh) 一种导向机构及使用该导向机构的升降舞台
CN110877207A (zh) 大跨度重型龙门数控机床
CN217951441U (zh) 一种施工管道导向结构
CN219648864U (zh) 不锈钢阀杆传动齿滚齿工装
CN221054148U (zh) 一种直线轴承防尘抗变形保持架
CN110617750A (zh) 一种转轴圆跳动检测装置
CN219093719U (zh) 一种细长杆件镗孔装置
CN111992967B (zh) 一种可调节结构轴承座
CN116972792B (zh) 一种轴承内外环厚度检测设备
CN210879012U (zh) 一种具有升降结构的可定向移动的螺帽加工设备
US4243131A (en) Conveying apparatus
KR102206642B1 (ko) 인너레이스 볼트랙 연삭장치
CN219483588U (zh) 一种滚筒清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