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2365B1 - 배관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배관지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02365B1 KR102102365B1 KR1020200002108A KR20200002108A KR102102365B1 KR 102102365 B1 KR102102365 B1 KR 102102365B1 KR 1020200002108 A KR1020200002108 A KR 1020200002108A KR 20200002108 A KR20200002108 A KR 20200002108A KR 102102365 B1 KR102102365 B1 KR 1021023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cylinder
- cap
- vibration
- support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2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each support having one transverse base for supporting the pip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건물 천장에서 각 구역으로 이동되는 복수의 배관을 고정시켜 천장에서 복수의 배관을 정렬하기 위해 볼트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되는 본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관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천장을 지나는 복수의 배관을 천장에 고정시킴으로 천장에서 각 구역별 배관이 정렬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배관 고정시 배관의 크기와 배관의 정렬 높낮이에 따라 조절가능하도록하며, 지진 등과 같은 진동발생시 배관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배관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 시공법은 일반 형강류를 작업 현장에서 산소절단 또는 커터절단 등으로 절단하여 용접한 뒤 이를 배관지지대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기존의 형강류를 현장에 반입하여 녹막이 도장을 실시하는 것으로 해서 완성단계인 보온공사까지의 공정을 거쳐야만 함으로 작업자가 현장에서 배관지지대의 조립시 작업시간의 증대와 조립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배관지지대는 천장부에 인서트를 삽입하고 배관지지대를 고정시킴으로 인서트플레이트가 받는 진동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함으로 진동흡수 효과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무재질의 패킹부재를 사용하고 있으나, 배관에 전달되는 일부 충격만 해소할 뿐 나머지 충격이 그대로 전달되어 배관이 파손 및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배관내로 물이 흐르거나, 전선들이 수용된 배관등의 종류가 다양하여 전선중 전기가 흐르는 전선이 수용된 경우 고열로 인한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건물 천장을 지나는 복수의 배관을 천장에 고정시킴으로 천장에서 각 구역별 배관이 정렬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을 제공한다.
또한, 배관 고정시 배관의 크기와 천장의 형태에 따른 배관의 정렬 높낮이에 따라 배관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을 제공한다.
또한, 지진 등과 같은 진동 발생시 배관지지장치로 전달된 진동이 배관에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을 제공한다.
또한, 배관 내의 화재발생시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구성과, 배관의 손상 발생이나 배관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구성을 제공하며, 화재와 손상감지정보를 사용자스마트폰 측으로 전송하여 실시간 상태를 감시하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건물 천장에서 각 구역으로 이동되는 복수의 배관을 고정시켜 천장에서 복수의 배관을 정렬하기 위해 볼트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되는 본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부는, 천장에 고정되어 배관을 지지하기 위해 "∪"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프레임; 지지프레임을 천장에 고정시키기 위해 지지프레임 양측 상부로 형성되는 고정판; 배관을 거치하기 위해 지지프레임 내측으로 형성되는 거치프레임을 포함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관지지장치는, 배관의 크기와 배관의 이동 위치에 대한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낮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높낮이조절부는, 실린더 축이 승하강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 내측으로 형성되는 조절플레이트; 배관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동을 위해 지지프레임 내부 일측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높낮이실린더; 높낮이실린더에 의해 승하강되며 배관의 하부와 접촉되도록 높낮이실린더의 축 일측으로 형성되는 실린더패드를 포함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관지지장치는, 배관의 이동 위치에 따라 배관을 상측 또는 하측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조절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위치조절부는, 제1실린더캡과 제1모터캡이 관통되도록 지지프레임 내부 상측으로 형성되는 상부플레이트; 제2실린더캡과 제2모터캡이 관통되도록 지지프레임 내부 하측으로 형성되는 하부플레이트;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에 제1실린더캡 및 제1모터캡과 제2실린더캡 및 제2모터캡이 관통될 수 있도록 복수개 형성되는 캡홀을 포함하되, 상기 위치조절부는, 실린더를 이용해 배관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실린더수단; 및 모터를 이용해 배관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모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수단은, 배관을 하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지지프레임 내부 상측으로 형성되는 거치프레임의 하측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제1조절실린더; 상기 제1조절실린더의 작동시 일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제1실린더축; 제1실린더축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압착부재; 제1실린더축에 의해 상부플레이트에 형성된 캡홀을 밀착 관통하여 배관측으로 이동되도록 제1압착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실린더캡; 배관을 상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지지프레임 내부 하측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제2조절실린더; 상기 제2조절실린더의 작동시 일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제2실린더축; 제2실린더축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압착부재; 제2실린더축에 의해 하부플레이트에 형성된 캡홀을 밀착 관통하여 배관측으로 이동되도록 제2압착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실린더캡을 포함하며, 상기 모터수단은, 배관을 하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지지프레임 내부 상측으로 형성되는 거치프레임의 하측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제1구동모터; 상기 제1구동모터의 작동시 공회전되도록 제1구동모터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스크류; 제1스크류에 형성된 나사산의 홈에 삽입되어 제1스크류의 회전방향에 이동되도록 제1모터캡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축부재; 제1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이동되는 제1축부재 외주로 형성되는 제1모터캡; 배관을 상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지지프레임 내부 하측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제2구동모터; 상기 제2구동모터의 작동시 공회전되도록 제2구동모터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스크류; 제2스크류에 형성된 나사산의 홈에 삽입되어 제2스크류의 회전방향에 이동되도록 제2모터캡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축부재; 제2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이동되는 제2축부재 외주로 형성되는 제2모터캡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조절부는, 제1압착부재와 제2압착부재의 이동시 제1실린더캡과 제2실린더캡 간의 밀착시 발생되는 압착력을 센싱하기 위해 제1압착부재와 제1실린더캡 내부 사이, 제2압착부재와 제2실린더캡 내부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압착센서; 배관과 접촉되도록 제1실린더캡과 제2실린더캡과 제1모터캡과 제2모터캡 일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접촉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관지지장치는, 지지프레임 내부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천장에 발생되는 진동이 배관 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진동방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진동방지부는, 지지프레임 내부로 형성되는 수평진동방지패널; 복수의 수평진동방지수단이 수용될 수 있도록 수평진동방지패널 상에 복수개 형성되는 수평삽입홈; 수평진동방지패널 상에 복수개 형성되는 수직진동방지바; 수직진동방지수단이 삽입 수용될 수 있도록 수직진동방지바와 지지프레임에 형성되는 핀이송홈을 포함하며, 상기 진동방지부는, 수평방향으로 발생되는 진동을 감쇄시켜주기 위해 수직진동방지바 상에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수직진동방지수단; 및 수직방향으로 발생되는 진동을 감쇄시켜주기 위해 수평진동방지패널 상에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수평진동방지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수직진동방지수단은, 진동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흔들리는 배관을 지지하도록 핀이송홈에 삽입 형성되는 수직탄성바; 수직탄성바의 높낮이 조절시 핀이송홈에 수직탄성바를 고정시키기 위해 수직탄성바 일측으로 형성되는 수직고정링; 배관과 접촉되도록 수직탄성바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수직부재; 수직부재에 접촉되는 배관의 진동을 감쇄시켜주기 위해 수직탄성바 외주로 형성되는 수직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진동방지수단은, 수평삽입홈에 삽입 형성되는 진동방지플레이트; 배관의 하측과 접촉되도록 진동방지플레이트 상측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배관접촉부재; 탄성스프링을 고정하기 위해 진동방지플레이트 상면과 배관접촉부재 하면에 형성되는 스프링부재; 배관접촉부재 측으로 안착되는 배관의 무게와 진동발생시 진동을 감쇄시켜주기 위해 진동방지플레이트 측의 스프링부재와 배관접촉부재 측의 스프링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관지지장치는, 배관 내에 수용되는 전선에서 발생되는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기 위한 소화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소화부는, 소화액이 내부로 이동되도록 지지프레임 내측 상부로 형성되는 소화노즐바; 소화노즐바로 이동되는 소화액을 배관측으로 분사하기 위해 소화노즐바 하측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소화노즐; 소화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소화액을 저장하도록 지지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소화탱크; 소화탱크 내의 소화액을 소화노즐바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소화탱크 일측과 소화노즐바 일측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소화튜브; 배관 측의 열을 실시간 감시하기 위해 소화노즐바 일측으로 형성되는 열감지센서를 포함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관지지장치는, 영상을 통한 구역별 배관의 상태정보와 열감지를 통한 열감지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거나, 스마트폰으로부터 설정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송수신부는, 배관을 실시간 영상촬영하기 위해 지지프레임 내측으로 형성되는 카메라수단; 영상을 통한 구역별 배관의 상태정보와 열감지센서로부터 센싱되는 열감지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거나, 스마트폰으로부터 설정정보를 제공받기 위해 지지프레임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정보송수신수단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건물 천장을 지나는 복수의 배관을 각 구역별 배관이 정렬되도록 하여 배관의 배관의 위치와 배관의 종류를 쉽게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배관 고정시 배관의 크기와 천장의 형태에 따른 배관의 높낮이를 정렬함으로 이동되는 배관의 고정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지진 등과 같은 건물의 진동 발생시 진동이 배관 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배관을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배관 내의 화재발생시 초기 진압함으로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배관의 상태를 실시간 감시하여 감시정보를 사용자스마트폰 측으로 전송하여 배관의 상태를 실시간 감시하여 배관의 손상이나 배관 내의 상태에 따라 미리 점검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보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배관지지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높낮이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위치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대한 위치조절부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진동방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소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송수신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높낮이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위치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대한 위치조절부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진동방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소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송수신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배관지지장치(10)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대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 본체부(100)는 건물 천장에서 각 구역으로 이동되는 복수의 배관을 고정시켜 천장에서 복수의 배간을 정렬하기 위해 볼트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부(100)는 지지프레임(110), 고정판(120), 거치프레임(13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10)은, "∪"의 형태로 형성되며, 사각의 각관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10)은 배관의 무게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판(120)은 지지프레임(110)을 천장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고정판(120)은 지지프레임(110) 양측 상부 끝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고정판(120)은 지지프레임(110) 상에 용접을 통해 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판(120)은 천장에 볼트수단을 이용하여 지지프레임(110)이 천장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치프레임(130)은 지지프레임(110) 내부의 중앙 또는 하측 또는 상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거치프레임(130)은 배관의 직경에 따라 중앙, 하측, 상측 중 어느 한 위치를 선택하여 용접을 통한 접합을 하거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높낮이조절부(2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높낮이조절부(200)는 배관의 크기인 직경에 따라 또는 배관의 이동 위치의 높낮이에 따라 배관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면에서 (A)는 각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상기 높낮이조절부(200)는, 조절플레이트(210), 높낮이실린더(220), 실린더패드(230)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플레이트(210)는 실린더 축이 관통하여 승하강되며, 실린더패드(230)의 하강시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조절플레이트(210)는 지지프레임(110) 내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플레이트(210)는 용접을 통한 접합 또는 볼트수단을 이용한 결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낮이조절실린더는 배관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복수의 배관 위치에 따라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높낮이조절실린더는 지지프레임(110) 내부 일측 더욱상세하게는 지지프레임(110) 내부 바닥면에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낮이조절실린더는 직경이 동일한 배관인 경우 하나의 높낮이조절실린더로 복수의 배관 높이를 조절하도록 하거나, 직경이 다른 경우 각각의 배관 위치에 높낮이조절실린더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린더패드(230)는 배관과 접촉되는 것으로, 높낮이조절실린더의 실린더축 일측 끝단에 형성되며, 높낮이조절실린더에 의해 승하강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패드(230)는 배관과 접촉시 배관에 손상을 주지않도록 하기 위해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거나, 우레탄계, 실리콘계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여 일정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면에서 (B)는 승하강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배관의 직경에 따라 동일한 선상에 위치시키기 위해서 직경이 작은 배관 측 높낮이조절실린더가 작동되어 배관을 상승시킴으로, 직경이 큰 배관과 동일한 선상에 위치되도록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위치조절부(3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위치조절부(300)는 배관의 이동 위치에 따라 배관을 상측방향 또는 하측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배관을 이동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조절부(300)는, 상부플레이트(310), 하부플레이트(311), 캡홀(312), 실린더수단(320), 모터수단(330), 압착센서(340), 접촉부재(35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310)는, 원형의 제1실린더캡(324)과 제1모터캡(334)이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플레이트(310)는 지지프레임(110) 내부 상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310)는 지지프레임(110) 내부에서 용접수단을 이용하여 접합되거나, 볼트수단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플레이트(311)는, 원형의 제2실린더캡(328)과 제2모터캡(338)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플레이트(311)는 지지프레임(110) 내부 하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하부플레이트(311)는 지지프레임(110) 내부에서 용접수단을 이용하여 접합되거나, 볼트수단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홀(312)은 제1실린더캡(324)과 제2실린더캡(328)과 제1모터캡(334)과 제2모터캡(338)이 관통되어 승하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캡홀(312)은 상부플레이트(310)와 하부플레이트(311) 상에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홀(312)은 제1실린더캡(324)과 제2실린더캡(328)과 제1모터캡(334)과 제2모터캡(338)의 갯수에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린더수단(320)은 실린더를 이용하여 배관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제1조절실린더(321)와 제2조절실린더(325)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실린더수단(320)은 제1조절실린더(321), 제1실린더축(322), 제1압착부재(323), 제1실린더캡(324), 제2조절실린더(325), 제2실린더축(326), 제2압착부재(327), 제2실린더캡(328)을 포함한다.
상기 제1조절실린더(321)는 배관을 하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상기 제1조절실린더(321)는 지지프레임(110) 내부 상측으로 형성되는 거치프레임(130)의 하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조절실린더(321)는 배관의 갯수에 따라 각각의 배관과 대응되는 위치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실린더축(322)은 제1조절실린더(321)의 일측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제1조절실린더(321)의 작동시 제1실린더축(322)이 전진되거나, 초기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실린더축(322)은 제1실린더캡(324) 내부로 삽입되어 작동시 배관측으로 밀어주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압착부재(323)는 제1실린더축(322)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1실린더캡(324) 내부에서 배관측으로 밀어주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압착부재(323)는 압착센서(340)를 밀어줌으로 설정된 압력으로 제1조절실린더(321)가 작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1조절실린더(321)의 작동으로 제1실린더축(322)이 배관측으로 전진되며, 이때 제1실린더축(322) 일측 끝단에 형성된 제1압착부재(323)가 압착센서(340)를 밀어주며, 배관 측으로 밀어주는 압력을 압력센서가 감지하여 설정되는 압력에 도달할 경우 제1조절실린더(321)의 작동을 정지시켜 배관과 완전한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압력센서 측으로 설정된 압력값을 센싱하여 배관의 손상을 주지 않는 압력으로 제1조절실린더(321)가 작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실린더캡(324)은 제1실린더축(322)에 의해 상부플레이트(310) 상에 형성된 캡홀(312)을 관통하여 배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실린더캡(324)은 캡홀(312)에서 슬라이드 관통시 밀착되어 슬라이드 됨으로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실린더캡(324)은 제1압착부재(323)와 밀착되어 슬라이드 이동시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형성되며, 제1압착부재(323)가 밀착되어 제1실린더캡(324) 내에서 슬라이드이동시 제1실린더캡(324)과 제1압착부재(323)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는 제1압착부재(323) 일측으로 형성되는 공기홀에 의해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조절실린더(325)는 배관을 상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상기 제2조절실린더(325)는 지지프레임(110) 내부 하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조절실린더(325)는 배관의 갯수에 따라 각각의 배관과 대응되는 위치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실린더축(326)은 제2조절실린더(325)의 일측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제2조절실린더(325)의 작동시 제2실린더축(326)이 전진되거나, 초기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실린더축(326)은 제2실린더캡(328) 내부로 삽입되어 작동시 배관측으로 밀어주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압착부재(327)는 제2실린더축(326)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2실린더캡(328) 내부에서 배관측으로 밀어주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압착부재(327)는 압착센서(340)를 밀어줌으로 설정된 압력으로 제2조절실린더(325)가 작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2조절실린더(325)의 작동으로 제2실린더축(326)이 배관측으로 전진되며, 이때 제2실린더축(326) 일측 끝단에 형성된 제2압착부재(327)가 압착센서(340)를 밀어주며, 배관 측으로 밀어주는 압력을 압력센서가 감지하여 설정되는 압력에 도달할 경우 제2조절실린더(325)의 작동을 정지시켜 배관과 완전한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압력센서 측으로 설정된 압력값을 센싱하여 배관의 손상을 주지 않는 압력으로 제2조절실린더(325)가 작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실린더캡(328)은 제2실린더축(326)에 의해 상부플레이트(310) 상에 형성된 캡홀(312)을 관통하여 배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실린더캡(328)은 캡홀(312)에서 슬라이드 관통시 밀착되어 슬라이드 됨으로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실린더캡(328)은 제2압착부재(327)와 밀착되어 슬라이드 이동시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형성되며, 제2압착부재(327)가 밀착되어 제2실린더캡(328) 내에서 슬라이드이동시 제2실린더캡(328)과 제2압착부재(327)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는 제2압착부재(327) 일측으로 형성되는 공기홀에 의해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모터수단(330)은 모터를 이용하여 배관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제1구동모터(331)와 제2구동모터(335)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모터수단(330)은 제1구동모터(331), 제1스크류(332), 제1축부재(333), 제1모터캡(334), 제2구동모터(335), 제2스크류(336), 제2축부재(337), 제2모터캡(338)을 포함한다.
상기 제1구동모터(331)는 배관을 하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상기 제1구동모터(331)는 지지프레임(110) 내부 상측으로 형성되는 거치프레임(130)의 하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구동모터(331)는 배관의 갯수에 따라 각각의 배관과 대응되는 위치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스크류(332)는 제1구동모터(331)의 작동시 제자리에서 공회전되도록 제1구동모터(331)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스크류(332)는 제1구동모터(331)의 모터축과 연결 형성되며, 제1스크류(332)와 모터축은 연결 하우징으로 결합 형성된다.
상기 제1축부재(333)는 제1모터캡(334) 내부 둘레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축부재(333)는 제1스크류(332)의 나사산 홈에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즉, 제1축부재(333)는 제1스크류(332)의 회전시 나사산을 따라 이동됨으로, 제1축부재(333)가 형성된 제1모터캡(334)이 승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모터캡(334)은 제1스크류(332)를 따라 승하강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모터캡(334)은 상부플레이트(310)에 형성된 캡홀(31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모터캡(334)과 캡홀(312)은 밀착되어 승하강시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마찰열을 감소시키기 위해 윤활제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윤활제는 제1모터캡(334) 내부에 충진되거나, 캡홀(312)과 제1모터캡(334) 사이에 일부 충진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구동모터(335)는 배관을 하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상기 제2구동모터(335)는 지지프레임(110) 내부 하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스크류(336)는 제2구동모터(335)의 작동시 제자리에서 공회전되도록 제2구동모터(335)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스크류(336)는 제2구동모터(335)의 모터축과 연결 형성되며, 제2스크류(336)와 모터축은 연결 하우징으로 결합 형성된다.
상기 제2축부재(337)는 제2모터캡(338) 내부 둘레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축부재(337)는 제2스크류(336)의 나사산 홈에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즉, 제2축부재(337)는 제2스크류(336)의 회전시 나사산을 따라 이동됨으로, 제2축부재(337)가 형성된 제2모터캡(338)이 승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모터캡(338)은 제2스크류(336)를 따라 승하강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모터캡(338)은 상부플레이트(310)에 형성된 캡홀(31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모터캡(338)과 캡홀(312)은 밀착되어 승하강시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마찰열을 감소시키기 위해 윤활제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윤활제는 제2모터캡(338) 내부에 충진되거나, 캡홀(312)과 제2모터캡(338) 사이에 일부 충진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압착센서(340)는, 제1압착부재(323)와 제2압착부재(327)의 이동시 제1실린더캡(324)과 제2실린더캡(328) 간의 밀착시 발생되는 압력을 센싱하기 위한 것으로, 압착센서(340)에는 최대 압력값이 설정되어 설정된 압력에 따라 센싱되어 제1조절실린더(321)와 제2조절실린더(325)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압착센서(340)는 제1압착부재(323)와 제1실린더캡(324) 사이에 형성되며, 제2압착부재(327)와 제2실린더캡(328)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촉부재(350)는 배관과 접촉되는 부재로써, 제1실린더캡(324)과 제2실린더캡(328)과 제1모터캡(334)과 제2모터캡(338)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촉부재(350)는 배관과 접촉시 배관에 손상을 주지않도록 우레탄계 또는 실리콘계와 같은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진동방지부(4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진동방지부(400)는 지지프레임(110) 내부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천장에 발생되는 진동이 배관 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방지부(400)는 수평진동방지패널(410), 수평삽입홈(411), 수직진동방지바(412), 핀이송홈(413), 수직진동방지수단(420), 수평진동방지수단(430)을 포함한다.
상기 수평진동방지패널(410)은 지지프레임(110) 내부 중앙 또는 내부 중앙 하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평진동방지패널(410)은 지지프레임(110)에 용접수단을 이용하여 접합되거나 볼트수단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삽입홈(411)은 수평진동방지수단(430)이 삽입 수용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평삽입홈(411)은 수평진동방지패널(410) 상면에 복수의 홈이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진동방지바(412)는 수평진동방지패널(410) 상에 복수개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진동방지바(412)는 수직진동방지수단(420)이 삽입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핀이송홈(413)은 지지프레임(110)과 수직진동방지바(412) 상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핀 이송홈은 수직진동방지수단(420)이 삽입 수용되어 위치 조절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진동방지수단(420)은 수평방향으로 발생되는 진동을 감쇄시켜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수직진동방지수단(420)은 수직진동방지바(412) 상에 삽입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진동방지수단(420)은 수직탄성바(421), 수직고정링(422), 수직부재(423), 수직스프링(424)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탄성바(421)는 배관을 양측면에서 흔들림을 방지해주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탄성바(421)는 배관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형성되는 수직진동방지바(412)와 지지프레임(110) 상에 형성된 핀이송홈(413)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수직탄성바(421)는 수직고정링(422)을 기준으로 배관의 흔들림 발생시 수직고정링(422)측으로 일부 밀려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고정링(422)은 수직탄성바(421)가 핀이송홈(413) 상에서 높낮이 조절이 완료되는 경우 수직탄성바(421)를 현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수직고정링(422)은 수직탄성바(421)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수직탄성바(421)가 핀이송홈(413)에 삽입되고, 수직탄성바(421)가 삽입되는 방향의 타측에서 수직고정링(422)이 수직탄성바(421)에 삽입되어 지지프레임(110) 또는 수직진동방지바(412) 상에 밀착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수직부재(423)는 배관과 접촉되도록 수직탄성바(421)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부재(423)는 우레탄계 또는 실리콘계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어 배관과의 접촉시 배관의 손상을 방지해주도록 형성된다.
상기 수직스프링(424)은 수직탄성바(421) 외주로 형성되는 것으로, 수직부재(423)가 배관과의 접촉시 배관이 진동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흔들림이 발생되는 경우 수직탄성바(421)가 일측방향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일정 텐션을 주기 위해 수직부재(423)와 지지프레임(110) 사이, 수직부재(423)와 수직진동방지바(412) 사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스프링(424)은 배관의 크기와 배관의 두께에 따라 선정하여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 수평진동방지수단(430)은 수직방향으로 발생되는 진동을 감쇄시켜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수평진동방지수단(430)은 수평진동방지패널(410) 상에 삽입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진동방지수단(430)은 진동방지플레이트(431), 배관접촉부재(432)(350), 스프링부재(433), 탄성스프링(434)을 포함한다.
상기 진동방지플레이트(431)는 수평진동방지패널(410)에 형성되는 복수의 수평삽입홈(411)에 삽입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진동방지패널은 수평삽입홈(411)에 삽입 수용시 수평진동방지패널(410)과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됨으로, 수평진동방지패널(410) 상에 진동방지플레이트(431)가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배관접촉부재(432)(350)는 진동방지플레이트(431)와 일정간격을 두고 상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배관접촉부재(432)(350)는 배관의 하측면이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배관접촉부재(432)(350)는 배관과 접촉시 배관 하측면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 원호형태로 형성되며, 우레탄계 또는 실리콘계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부재(433)는 배관접촉부재(432)(350)와 진동방지플레이트(431) 상에 탄성스프링(434)을 위치시키기 위한 것으로, 스프링부재(433)는 배관접촉부재(432)(350) 하면과 진동방지플레이트(431) 상면에 서로 대응되도록 위치하여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부재(433)는 탄성스프링(434)이 삽입 수용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어 탄성스프링(434)의 결합시 탄성스프링(434)이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상기 탄성스프링(434)은 배관접촉부재(432)(350) 측으로 안착되는 배관의 무게와 진동발생시 진동을 감쇄시켜주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진동방지플레이트(431) 측의 스프링부재(433)와 배관접촉부재(432)(350) 측의 스프링부재(433)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스프링(434)은 배관의 크기에 따라 탄성계수를 계산하여 배관 크기에 맞는 탄성스프링(434)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배관접촉부재(432)(350)에서 1차 진동을 감쇄시켜주며, 2차 탄성스프링(434)을 통해 진동을 완벽하게 감쇄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소화부(5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소화부(500)는 배관 내에 전선이 수용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여 화재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화부(500)는 소화노즐바(510), 소화노즐(520), 소화탱크(530), 소화튜브(540), 열감지센서(550)를 포함한다.
상기 소화노즐바(510)는 소화탱크(530)로부터 소화액이 내부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소화노즐바(510)는 지지프레임(110) 내부 상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화노즐바(510)는 소화액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원형의 관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화노즐(520)은 소화노즐바(510)로 투입되는 소화액이 배관측으로 분사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소화노즐(520)은 소화노즐바(510) 하측 방향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측으로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화노즐(520)은 배관의 갯수의 따라 단일 또는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화탱크(530)는 소화노즐(520)을 통해 분사되는 소화액을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소화탱크(530)는 지지프레임(1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화튜브(540)는 소화탱크(530) 내의 소화액을 소화노즐바(510)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연결 수단으로, 상기 소화튜브(540) 일측은 소화탱크(530) 일측에 연결 형성되며, 소화튜브(540)의 타측은 소화노즐바(510) 일측과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소화액은 분말 또는 가스로 이루어진다.
상기 열감지센서(550)는 배관 측의 열을 센싱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열감지센서(550)는 소화노즐바(510) 일측으로 단일 또는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감지센서(550)에서 센싱을 통한 감지정보는 스마트폰 측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송수신부(6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송수신부(600)는 영상을 통한 구역별 배관의 상태정보와 열감지를 통한 열감지정보를 스마트폰 측으로 전송하거나, 스마트폰에서 설정된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수신부(600)는 카메라수단(610), 정보송수신수단(620)을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수단(610)은 배관 상태를 실시간 영상으로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카메라수단(610)은 지지프레임(110) 내부 일측으로 단일 또는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메라수단(610)을 통해 제공되는 영상정보는 예를 들어, "C01_08:15:50"로 데이터화되어 스마트폰 측으로 전송되는 것으로, C01은 카메라수단(610)의 고유번호이며, 08:15:50은 시간을 나타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송수신수단(620)은 영상을 통한 구역별 배관의 상태정보와 열감지센서(550)를 통해 센싱되는 열감지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거나, 스마트폰측으로부터 설정된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정보송수신수단(620)은 지지프레임(110)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마트폰측으로 전송되는 정보는 예를 들어 "A1-3-6"으로 데이터화되어 전송되는 것으로, A1은 구역, 3은 배관지지장치(10)의 라인번호, 6은 배관지지장치(10)의 고유번호로써, A1구역에 3번라인 6번째 배관지지장치(10)인 것이다.
영상정보는 "C01_08:15:50 / A1-3-6" 으로 데이터화되어 전송되는 것으로, C01카메라가 08:15:50에 A1구역의 3번째 라인의 6번째 배관지지장치(10)를 촬영한 영상정보임을 알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배관지지장치
P : 배관 S : 스마트폰
100 : 본체부 110 : 지지프레임
120 : 고정판 130 : 거치프레임
200 : 높낮이조절부 210 : 조절플레이트
220 : 높낮이실린더 230 : 실린더패드
300 : 위치조절부 310 : 상부플레이트
311 : 하부플레이트 312 : 캡홀
320 : 실린더수단 321 : 제1조절실린더
322 : 제1실린더축 323 : 제1압착부재
324 : 제1실린더캡 325 : 제2조절실린더
326 : 제2실린더축 327 : 제2압착부재
328 : 제2실린더캡 330 : 모터수단
331 : 제1구동모터 332 : 제1스크류
333 : 제1축부재 334 : 제1모터캡
335 : 제2구동모터 336 : 제2스크류
337 : 제2축부재 338 : 제2모터캡
340 : 압착센서 350 : 접촉부재
400 : 진동방지부 410 : 수평진동방지패널
411 : 수평삽입홈 412 : 수직진동방지바
413 : 핀이송홈 420 : 수직진동방지수단
421 : 수직탄성바 422 : 수직고정링
423 : 수직부재 424 : 수직스프링
430 : 수평진동방지수단 431 : 진동방지플레이트
432 : 배관접촉부재 433 : 스프링부재
434 : 탄성스프링
500 : 소화부 510 : 소화노즐바
520 : 소화노즐 530 : 소화탱크
540 : 소화튜브 550 : 열감지센서
600 : 송수신부 610 : 카메라수단
620 : 정보송수신수단
P : 배관 S : 스마트폰
100 : 본체부 110 : 지지프레임
120 : 고정판 130 : 거치프레임
200 : 높낮이조절부 210 : 조절플레이트
220 : 높낮이실린더 230 : 실린더패드
300 : 위치조절부 310 : 상부플레이트
311 : 하부플레이트 312 : 캡홀
320 : 실린더수단 321 : 제1조절실린더
322 : 제1실린더축 323 : 제1압착부재
324 : 제1실린더캡 325 : 제2조절실린더
326 : 제2실린더축 327 : 제2압착부재
328 : 제2실린더캡 330 : 모터수단
331 : 제1구동모터 332 : 제1스크류
333 : 제1축부재 334 : 제1모터캡
335 : 제2구동모터 336 : 제2스크류
337 : 제2축부재 338 : 제2모터캡
340 : 압착센서 350 : 접촉부재
400 : 진동방지부 410 : 수평진동방지패널
411 : 수평삽입홈 412 : 수직진동방지바
413 : 핀이송홈 420 : 수직진동방지수단
421 : 수직탄성바 422 : 수직고정링
423 : 수직부재 424 : 수직스프링
430 : 수평진동방지수단 431 : 진동방지플레이트
432 : 배관접촉부재 433 : 스프링부재
434 : 탄성스프링
500 : 소화부 510 : 소화노즐바
520 : 소화노즐 530 : 소화탱크
540 : 소화튜브 550 : 열감지센서
600 : 송수신부 610 : 카메라수단
620 : 정보송수신수단
Claims (2)
- 배관지지장치에 있어서,
건물 천장에서 각 구역으로 이동되는 복수의 배관을 고정시켜 천장에서 복수의 배관을 정렬하기 위해 볼트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천장에 고정되어 배관을 지지하기 위해 "∪"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프레임;
지지프레임을 천장에 고정시키기 위해 지지프레임 양측 상부로 형성되는 고정판;
배관을 거치하기 위해 지지프레임 내측으로 형성되는 거치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배관지지장치는,
배관의 크기와 배관의 이동 위치에 대한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낮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높낮이조절부는,
실린더 축이 승하강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 내측으로 형성되는 조절플레이트;
배관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동을 위해 지지프레임 내부 일측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높낮이실린더;
높낮이실린더에 의해 승하강되며 배관의 하부와 접촉되도록 높낮이실린더의 축 일측으로 형성되는 실린더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배관지지장치는,
배관의 이동 위치에 따라 배관을 상측 또는 하측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조절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위치조절부는,
제1실린더캡과 제1모터캡이 관통되도록 지지프레임 내부 상측으로 형성되는 상부플레이트;
제2실린더캡과 제2모터캡이 관통되도록 지지프레임 내부 하측으로 형성되는 하부플레이트;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에 제1실린더캡 및 제1모터캡과 제2실린더캡 및 제2모터캡이 관통될 수 있도록 복수개 형성되는 캡홀을 포함하되,
상기 위치조절부는,
실린더를 이용해 배관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실린더수단; 및
모터를 이용해 배관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모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수단은,
배관을 하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지지프레임 내부 상측으로 형성되는 거치프레임의 하측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제1조절실린더;
상기 제1조절실린더의 작동시 일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제1실린더축;
제1실린더축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압착부재;
제1실린더축에 의해 상부플레이트에 형성된 캡홀을 밀착 관통하여 배관측으로 이동되도록 제1압착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실린더캡;
배관을 상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지지프레임 내부 하측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제2조절실린더;
상기 제2조절실린더의 작동시 일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제2실린더축;
제2실린더축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압착부재;
제2실린더축에 의해 하부플레이트에 형성된 캡홀을 밀착 관통하여 배관측으로 이동되도록 제2압착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실린더캡을 포함하며,
상기 모터수단은,
배관을 하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지지프레임 내부 상측으로 형성되는 거치프레임의 하측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제1구동모터;
상기 제1구동모터의 작동시 공회전되도록 제1구동모터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스크류;
제1스크류에 형성된 나사산의 홈에 삽입되어 제1스크류의 회전방향에 이동되도록 제1모터캡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축부재;
제1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이동되는 제1축부재 외주로 형성되는 제1모터캡;
배관을 상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지지프레임 내부 하측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제2구동모터;
상기 제2구동모터의 작동시 공회전되도록 제2구동모터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스크류;
제2스크류에 형성된 나사산의 홈에 삽입되어 제2스크류의 회전방향에 이동되도록 제2모터캡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축부재;
제2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이동되는 제2축부재 외주로 형성되는 제2모터캡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조절부는,
제1압착부재와 제2압착부재의 이동시 제1실린더캡과 제2실린더캡 간의 밀착시 발생되는 압착력을 센싱하기 위해 제1압착부재와 제1실린더캡 내부 사이, 제2압착부재와 제2실린더캡 내부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압착센서;
배관과 접촉되도록 제1실린더캡과 제2실린더캡과 제1모터캡과 제2모터캡 일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접촉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관지지장치는,
지지프레임 내부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천장에 발생되는 진동이 배관 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진동방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진동방지부는,
지지프레임 내부로 형성되는 수평진동방지패널;
복수의 수평진동방지수단이 수용될 수 있도록 수평진동방지패널 상에 복수개 형성되는 수평삽입홈;
수평진동방지패널 상에 복수개 형성되는 수직진동방지바;
수직진동방지수단이 삽입 수용될 수 있도록 수직진동방지바와 지지프레임에 형성되는 핀이송홈을 포함하며,
상기 진동방지부는,
수평방향으로 발생되는 진동을 감쇄시켜주기 위해 수직진동방지바 상에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수직진동방지수단; 및
수직방향으로 발생되는 진동을 감쇄시켜주기 위해 수평진동방지패널 상에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수평진동방지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수직진동방지수단은,
진동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흔들리는 배관을 지지하도록 핀이송홈에 삽입 형성되는 수직탄성바;
수직탄성바의 높낮이 조절시 핀이송홈에 수직탄성바를 고정시키기 위해 수직탄성바 일측으로 형성되는 수직고정링;
배관과 접촉되도록 수직탄성바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수직부재;
수직부재에 접촉되는 배관의 진동을 감쇄시켜주기 위해 수직탄성바 외주로 형성되는 수직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진동방지수단은,
수평삽입홈에 삽입 형성되는 진동방지플레이트;
배관의 하측과 접촉되도록 진동방지플레이트 상측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배관접촉부재;
탄성스프링을 고정하기 위해 진동방지플레이트 상면과 배관접촉부재 하면에 형성되는 스프링부재;
배관접촉부재 측으로 안착되는 배관의 무게와 진동발생시 진동을 감쇄시켜주기 위해 진동방지플레이트 측의 스프링부재와 배관접촉부재 측의 스프링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배관지지장치는,
배관 내에 수용되는 전선에서 발생되는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기 위한 소화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소화부는,
소화액이 내부로 이동되도록 지지프레임 내측 상부로 형성되는 소화노즐바;
소화노즐바로 이동되는 소화액을 배관측으로 분사하기 위해 소화노즐바 하측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소화노즐;
소화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소화액을 저장하도록 지지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소화탱크;
소화탱크 내의 소화액을 소화노즐바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소화탱크 일측과 소화노즐바 일측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소화튜브;
배관 측의 열을 실시간 감시하기 위해 소화노즐바 일측으로 형성되는 열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배관지지장치는,
영상을 통한 구역별 배관의 상태정보와 열감지를 통한 열감지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거나, 스마트폰으로부터 설정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송수신부는,
배관을 실시간 영상촬영하기 위해 지지프레임 내측으로 형성되는 카메라수단;
영상을 통한 구역별 배관의 상태정보와 열감지센서로부터 센싱되는 열감지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거나, 스마트폰으로부터 설정정보를 제공받기 위해 지지프레임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정보송수신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지지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2108A KR102102365B1 (ko) | 2020-01-07 | 2020-01-07 | 배관지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2108A KR102102365B1 (ko) | 2020-01-07 | 2020-01-07 | 배관지지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02365B1 true KR102102365B1 (ko) | 2020-04-20 |
Family
ID=70467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02108A KR102102365B1 (ko) | 2020-01-07 | 2020-01-07 | 배관지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02365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212366A (zh) * | 2020-10-26 | 2021-01-12 | 嵊州市卡梦帝电器有限公司 | 一种用于分体式集成灶的排烟管加固结构及其加固方法 |
KR102297291B1 (ko) | 2020-12-16 | 2021-09-03 | 주식회사 차후에스엔피 | 배수관로 연결구 |
KR20220001235U (ko) | 2020-11-24 | 2022-05-31 |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 배관 정비용 지지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80782A (ko) * | 2001-06-15 | 2001-08-25 | 이문수 | 무용접 경량 조립식 배관 지지가대 장치 |
KR200399494Y1 (ko) | 2005-07-21 | 2005-10-25 | 조진석 | 개선된 장착구조를 갖는 배관 고정구 |
-
2020
- 2020-01-07 KR KR1020200002108A patent/KR10210236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80782A (ko) * | 2001-06-15 | 2001-08-25 | 이문수 | 무용접 경량 조립식 배관 지지가대 장치 |
KR200399494Y1 (ko) | 2005-07-21 | 2005-10-25 | 조진석 | 개선된 장착구조를 갖는 배관 고정구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212366A (zh) * | 2020-10-26 | 2021-01-12 | 嵊州市卡梦帝电器有限公司 | 一种用于分体式集成灶的排烟管加固结构及其加固方法 |
KR20220001235U (ko) | 2020-11-24 | 2022-05-31 |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 배관 정비용 지지장치 |
KR102297291B1 (ko) | 2020-12-16 | 2021-09-03 | 주식회사 차후에스엔피 | 배수관로 연결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02365B1 (ko) | 배관지지장치 | |
KR101971504B1 (ko) | 면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면진 테이블 | |
WO1994008658A1 (en) | Safety apparatus | |
CN110095357B (zh) | 用于自封式脱落接头拉伸动载荷试验的加载装置和方法 | |
KR101870068B1 (ko) | 건축 구조물의 천정에 설치되는 체인형 기구의 내진장치 | |
KR102535713B1 (ko) | 가공 송전케이블 간 간격 유지장치 및 그 설치방법 | |
CN112013212B (zh) | 一种监火机器人及监火温度判断方法 | |
KR102535712B1 (ko) | 송전선로와 철탑 연결장치 및 그 설치방법 | |
CN214816382U (zh) | 一种堵帽自动筛选送料组装机构 | |
CN105570545A (zh) | 工业管道动力吸振器 | |
KR102215643B1 (ko) | 내진성을 갖는 소방용 배관 이음장치 | |
CN215635712U (zh) | 一种液体输送装置的固定结构 | |
CN215677389U (zh) | 一种测高压气体冲击作用下炮孔压力分布情况的装置 | |
CN205681536U (zh) | 一种摄像机 | |
KR20240007500A (ko) | 철탑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 | |
CN211599746U (zh) | 一种消防立管承重支架 | |
CN209495148U (zh) | 一种油气集输管线安全监测装置 | |
KR102689350B1 (ko) | 건축물의 상수도 배관 장치 | |
CN116392745B (zh) | 一种自动化灭火装置 | |
CN210069237U (zh) | 一种角度可调的管道抗震支撑架 | |
KR102485313B1 (ko) | 내진 현수 장치 | |
KR102590345B1 (ko) | 장비 연결배관서포트 | |
CN219912111U (zh) | 一种柔性输气管道防护装置 | |
CN211715929U (zh) | 一种抗震支吊架 | |
CN207436627U (zh) | 混凝土搅拌站智能监控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