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9233B1 - 차량용 앰프, 차량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앰프, 차량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9233B1
KR102459233B1 KR1020170151943A KR20170151943A KR102459233B1 KR 102459233 B1 KR102459233 B1 KR 102459233B1 KR 1020170151943 A KR1020170151943 A KR 1020170151943A KR 20170151943 A KR20170151943 A KR 20170151943A KR 102459233 B1 KR102459233 B1 KR 102459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mplifier
risk group
error information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1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5338A (ko
Inventor
이승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1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9233B1/ko
Publication of KR20190055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5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60R16/0232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for measuring vehicle parameters and indicating critical, abnormal or dangerous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1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3Acoustic transducers and sound field adaptation i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개시된 발명은 차량용 앰프,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앰프는, 앰프 내 각 부품간 통신 상태 및 파워 집적회로의 구동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디지털 신호 처리기; 차량 스피커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선으로 연결되어, 배선의 연결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파워 집적회로(Power IC); 및 디지털 신호 처리기와 파워 집적회로로부터 전달되는 에러 정보를 고장 특성별 위험군으로 분류하고, 분류된 고장 특성별 위험군에 따라 에러 정보를 표시 또는 송출하거나, 앰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앰프, 차량 및 그 제어방법{AMP FOR VEHICLE,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차량용 앰프,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단순히 주행뿐만 아니라 운전자를 비롯한 탑승자의 편의성을 위해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차량에서 제공되는 사운드 서비스는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
한편, 차량 주행 중 간헐적으로 차량 사운드 무음이 발생하는 경우, 고객은 A/S 센터로 차량을 입고하게 된다. 이때, 차량 사운드 무음 현상을 확인하기 위해서 다시 액세서리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ACC OFF -> ACC ON)하는 경우, 이전에 발생하였던 차량 사운드 무음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사례가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차량 사운드 무음 현상에 대한 원인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수리 자체가 불가하여 단순히 부품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개시된 실시예는 외장앰프 내부 부품 문제 발생 시, 자체 진단 실시를 통해 고장 유형에 따라 앰프를 제어하거나 또는 에러 정보를 송출하는 차량용 앰프, 차량 및 차량이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앰프는, 앰프 내 각 부품간 통신 상태 및 파워 집적회로의 구동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디지털 신호 처리기; 차량 스피커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선의 연결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파워 집적회로(Power IC); 및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와 상기 파워 집적회로로부터 전달되는 에러 정보를 고장 특성별 위험군으로 분류하고, 분류된 상기 고장 특성별 위험군에 따라 에러 정보를 표시 또는 송출하거나, 상기 앰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장 특성별 위험군은, 배선 쇼트, 온도 과열, DC 오프셋을 비롯한 화재 유발 고장을 포함하는 제1 위험군, 상기 파워 집적 회로의 불량 및 장기 통신 불량 고장을 포함하는 제2 위험군, 단기 통신 불량 및 단기 부품 오동작을 포함하는 제3 위험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은, 상기 에러 정보가 상기 제1 위험군으로 분류된 경우, 텔레매틱스 단말의 화면 상에 상기 에러 정보를 표시하고, 품질 관리 서버로 상기 에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앰프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은, 상기 메모리에 고장 부품 로그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앰프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은, 상기 에러 정보가 상기 제2 위험군 및 상기 제3 위험군으로 분류되고, 자체 리셋 수행횟수가 기준 횟수를 초과한 경우, 텔레매틱스 단말의 화면 상에 상기 에러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메모리에 고장 부품 로그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은, 자체 리셋 수행횟수를 초기화하고, 상기 고장 부품 로그정보를 저장할 때, 에러 항목 발생 횟수를 증가시키고, 해당 고장 부품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은, 상기 에러 정보가 상기 제2 위험군 및 상기 제3 위험군으로 분류되고, 자체 리셋 횟수가 기준 횟수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 자체 리셋을 수행하도록 명령을 출력하고 자체 리셋 수행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은, 상기 자체 리셋을 수행 이전에 상기 앰프의 무음 상태가 기준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기준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자체 리셋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파워 집적회로는, 상기 배선 연결 상태 감지를 통해 차량 배터리 배선 쇼트, 앰프 온도 과열, DC 오프셋, 차량 저전압, 스피커 쇼트 및 기타 부품 불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러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파워 집적회로 각각은 저항 체크 방식을 통해 상기 배선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앰프 내 각 부품간 통신 상태 및 파워 집적회로의 구동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디지털 신호 처리기, 차량 스피커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선의 연결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파워 집적회로(Power IC), 및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와 상기 파워 집적회로로부터 전달되는 에러 정보를 고장 특성별 위험군으로 분류하고, 분류된 상기 고장 특성별 위험군에 따라 에러 정보를 표시 또는 송출하거나, 상기 앰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앰프; 및 상기 차량용 앰프로부터 전달되는 에러 정보를 표시 및 품질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텔레매틱스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은, 상기 차량용 앰프로부터 전달되는 음을 출력하는 차량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은, 차량에 위치하는 앰프가 부팅함에 따라 앰프 상태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상기 모니터링 수행 결과 에러가 존재하는 경우, 앰프 뮤트(mute) 또는 셧다운(shutdown)시키고, 상기 모니터링을 통해 감지된 에러 정보를 고장 특성별 위험군으로 분류하고, 분류된 상기 고장 특성별 위험군에 따라 에러 정보를 표시 또는 송출하거나, 상기 앰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앰프 상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것은, 차량 내 디지털 신호 처리기가 앰프 내 각 부품간 통신 상태 및 파워 집적회로의 구동 상태를 감지하고, 복수의 파워 집적회로(Power IC)가 차량 스피커와 연결된 배선의 연결 상태를 감지하여 에러를 감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장 특성별 위험군은, 배선 쇼트, 온도 과열, DC 오프셋을 비롯한 화재 유발 고장을 포함하는 제1 위험군, 상기 파워 집적 회로의 불량 및 장기 통신 불량 고장을 포함하는 제2 위험군, 단기 통신 불량 및 단기 부품 오동작을 포함하는 제3 위험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앰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에러 정보가 상기 제1 위험군으로 분류된 경우, 텔레매틱스 단말의 화면 상에 상기 에러 정보를 표시하고, 품질 관리 서버로 상기 에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에러 정보가 상기 제1 위험군으로 분류된 경우, 고장 부품 로그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앰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에러 정보가 상기 제2 위험군 및 상기 제3 위험군으로 분류되고, 자체 리셋 수행횟수가 기준 횟수를 초과한 경우, 텔레매틱스 단말의 화면 상에 상기 에러 정보를 표시하고, 메모리에 고장 부품 로그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에러 정보가 상기 제2 위험군 및 상기 제3 위험군으로 분류되고, 자체 리셋 수행횟수가 기준 횟수를 초과한 경우, 자체 리셋 수행횟수를 초기화하고, 상기 고장 부품 로그정보를 저장할 때, 에러 항목 발생 횟수를 증가시키고, 해당 고장 부품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앰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에러 정보가 상기 제2 위험군 및 상기 제3 위험군으로 분류되고, 자체 리셋 횟수가 기준 횟수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 자체 리셋을 수행하도록 명령을 출력하고 자체 리셋 수행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자체 리셋을 수행 이전에 상기 앰프의 무음 상태가 기준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기준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자체 리셋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외장앰프 내부 부품 문제 발생 시, 자체 진단 실시를 통해 고장 유형에 따라 앰프를 제어하거나 또는 에러 정보를 송출하기 때문에, 간헐적으로 발생하는 차량 사운드 문제에 대한 자체 진단 및 자체 해결을 통해 운전자의 주행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발명은 외장앰프의 고장 심각도에 따라 텔레매틱스 단말 상에 에러 정보를 표시하거나, 또는 부품 관리 서버로 에러 정보를 송출하기 때문에, 부품 고장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차량 내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차량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차량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차량용 앰프를 포함하는 차량의 구성을 나타내는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차량용 앰프의 에러 정보에 따라 차량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차량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차량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차량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의 외관은 차량(1)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 운전자에게 차량(1)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윈드 스크린(windscreen)(11), 운전자에게 차량(1)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2), 차량(1)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13) 및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 앞바퀴(21)와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는 뒷바퀴(22)를 포함하여 차량(1)을 이동시키기 위한 바퀴(21, 22)를 포함할 수 있다.
윈드 스크린(11)은 본체(10)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차량(1)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 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이드 미러(12)는 본체(10)의 좌측에 마련되는 좌측 사이드 미러 및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사이드 미러를 포함하며, 차량(1)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 측면 및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도어(13)는 본체(10)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운전자가 차량(1)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1)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킬 수 있다.
차량(1)은 상술한 구성 이외에도 바퀴(21, 22)를 회전시키는 동력 장치(16), 차량(1)의 이동 방향을 변경하는 조향 장치(미도시), 바퀴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제동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장치(16)는 본체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앞바퀴(21) 또는 뒷바퀴(22)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동력 장치(16)는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회전력을 생성하는 엔진(engine) 또는 축전기(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motor)를 포함할 수 있다.
조향 장치는 운전자로부터 주행 방향을 입력받는 조향 핸들(도 2의 42), 조향 핸들(42)의 회전 운동을 왕복 운동으로 전환하는 조향 기어(미도시), 조향 기어(미도시)의 왕복 운동을 앞바퀴(21)에 전달하는 조향 링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향 장치는 바퀴의 회전축의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차량(1)의 주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제동 장치는 운전자로부터 제동 조작을 입력받는 제동 페달(미도시), 바퀴(21, 22)와 결합된 브레이크 드럼(미도시), 마찰력을 이용하여 브레이크 드럼(미도시)의 회전을 제동시키는 브레이크 슈(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동 장치는 바퀴(21, 22)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써 차량(1)의 주행을 제동할 수 있다.
도 2는 차량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차량(1)의 내부는 운전자가 차량(1)을 조작하기 위한 각종 기기가 설치되는 대시 보드(dashboard)(14), 차량(1)의 운전자가 착석하기 위한 운전석(15), 차량(1)의 동작 정보 등을 표시하는 클러스터 표시부(51, 52), 운전자의 조작 명령에 따라 경로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길 안내 기능뿐만 아니라 오디오 및 비디오 기능까지 제공하는 내비게이션(navigation)(70)을 포함할 수 있다.
대시 보드(14)는 윈드 스크린(11)의 하부로부터 운전자를 향하여 돌출되게 마련되며,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한 상태로 대시 보드(14)에 설치된 각종 기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운전석(15)은 대시 보드(14)의 후방에 마련되어 운전자가 안정적인 자세로 차량(1)의 전방과 대시 보드(14)의 각종 기기를 주시하며 차량(1)을 운행할 수 있도록 한다.
클러스터 표시부(51, 52)는 대시 보드(14)의 운전석(15) 측에 마련되며, 차량(1)의 운행 속도를 표시하는 주행 속도 게이지(51), 동력 장치(미도시)의 회전 속도를 표시하는 rpm 게이지(52)를 포함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70)은 차량(1)이 주행하는 도로의 정보 또는 운전자가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운전자의 조작 명령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41)를 포함할 수 있다. 최근에는 오디오 장치, 비디오 장치 및 내비게이션 장치가 일체화된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가 차량에 설치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내비게이션(70)은 센터페시아(center fascia)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센터페시아는 대시 보드(14) 중에서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있는 컨트롤 패널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대시 보드(14)와 시프트레버가 수직으로 만나는 영역이며, 이곳에는 내비게이션(70)을 비롯하여 에어콘, 히터의 컨트롤러, 송풍구, 시거잭과 재떨이, 컵홀더 등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센터페시아는 센터콘솔과 함께 운전석과 조수석을 구분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70)을 비롯한 각종 구동 조작을 위한 별도의 조그 다이얼(60)을 구비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조그 다이얼(60)은 회전시키거나 압력을 가하여 구동 조작을 수행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터치 인식 기능을 구비한 터치 패드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별도의 터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도구를 이용하여 구동 조작을 위한 필기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의 구성 중 개시된 발명과 관련하여 차량용 앰프와 관련된 일부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이외 구성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차량용 앰프를 포함하는 차량의 구성을 나타내는 제어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차량용 앰프의 에러 정보에 따라 차량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인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100)은 텔레매틱스 단말(110), 차량 스피커(130) 및 차량용 앰프(150)를 포함할 수 있다.
텔레매틱스 단말(110)은 차량용 앰프(150)로부터 전달되는 에러 정보를 표시 및 품질 관리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차량 스피커(130)는 차량용 앰프(150)로부터 전달되는 음을 출력할 수 있다.
차량용 앰프(150)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CU)(151),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152), 복수의 파워 집적회로(Power IC)(153), 메모리(154), 통신모듈(155) 및 디지털 음성 출력 단자(156)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152)는 앰프(150) 내 각 부품간 통신 상태 및 파워 집적회로의 구동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만약,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51)의 동작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기(152)는 고장 부품 로그정보를 비롯하여 차량용 앰프와 관련된 정보를 메모리(154)에 직접 저장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디지털 신호 처리기(152)는 디지털 신호 형태의 음성을 아날로그 신호 형태로 변환하는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파워 집적회로(Power IC)(153)는 차량 스피커(13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선의 연결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이때, 파워 집적회로는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파워 집적회로(153)는 배선 연결 상태 감지를 통해 차량 배터리 배선 쇼트, 앰프 온도 과열, DC 오프셋, 차량 저전압, 스피커 쇼트 및 기타 부품 불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러를 감지할 수 있다.
복수의 파워 집적회로(153) 각각은 저항 체크 방식을 통해 배선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51)은 디지털 신호 처리기(152)와 파워 집적회로(153)로부터 전달되는 에러 정보를 고장 특성별 위험군으로 분류하고, 분류된 상기 고장 특성별 위험군에 따라 에러 정보를 표시 또는 송출하거나, 상기 앰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술한 고장 특성별 위험군은, 배선 쇼트, 온도 과열, DC 오프셋을 비롯한 화재 유발 고장을 포함하는 제1 위험군, 상기 파워 집적 회로의 불량 및 장기 통신 불량 고장을 포함하는 제2 위험군, 단기 통신 불량 및 단기 부품 오동작을 포함하는 제3 위험군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 위험군에 포함된 고장유형은 상술한 항목에 한정되지 않으며, 운용자에 의해서 추가 포함되거나, 변경되는 것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한, 제1 위험군의 위험도가 가장 높고 다음 순서로 제2 위험군, 제3 위험군 순일 수 있다.
상술한 단기 통신 불량은 간헐적인 통신 불량을 의미하는 것이고, 장기 통신 불량은 지속적인 통신 불량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간헐적인 통신 불량과 지속적인 통신 불량은 운용자에 의해서 임의로 설정된 기준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불량의 발생 횟수 또는 통신 불량의 지속 시간 등의 기준에 따라 단기 통신 불량과 장기 통신 불량을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단기 부품 오동작 역시 간헐적인 부품 오동작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단기 부품 오동작으로 판단하기 위한 기준은 운용자에 의해서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51)은 에러 정보가 제1 위험군으로 분류된 경우, 텔레매틱스 단말(110)의 화면 상에 에러 정보를 표시하고, 품질 관리 서버(400)로 에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51)으로부터 전송된 에러 정보는 텔레매틱스 단말(110)을 통해 품질 관리 서버(140)로 전송되거나, 또는 텔레매틱스 단말(110)을 경유하지 않고 직접 품질 관리 서버(140)로 전송될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51)은 에러 정보가 제1 위험군으로 분류된 경우, 메모리(154)에 고장 부품 로그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51)은 에러 정보가 제2 위험군 및 제3 위험군으로 분류되고, 자체 리셋 수행횟수가 기준 횟수를 초과한 경우, 텔레매틱스 단말(110)의 화면 상에 에러 정보를 표시하고, 메모리(154)에 고장 부품 로그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51)은 에러 정보가 제2 위험군 및 제3 위험군으로 분류되고, 자체 리셋 수행횟수가 기준 횟수를 초과한 경우, 자체 리셋 수행횟수를 초기화하고, 상기 고장 부품 로그정보를 저장할 때, 에러 항목 발생 횟수를 증가시키고, 해당 고장 부품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51)은 에러 정보가 제2 위험군 및 제3 위험군으로 분류되고, 자체 리셋 횟수가 기준 횟수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 자체 리셋을 수행하도록 명령을 출력하고 자체 리셋 수행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51)은 자체 리셋을 수행 이전에 앰프의 무음 상태가 기준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기준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자체 리셋을 수행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은 앰프의 자체 리셋 전에 앰프의 무음 상태가 기준시간을 초과한 경우 자체 리셋을 수행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차량용 앰프의 자쳇 리셋으로 인한 불필요한 리셋을 미연에 해소시키는 동시에 운전자의 불편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메모리(154)는 고장 부품 로그정보, 자체 리셋 수행횟수를 비롯하여 차량용 앰프(150)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통신모듈(155)은 차량용 앰프(150)가 텔레매틱스 단말(110)과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예를 들어, 에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통신모듈(155)은 캔(Controller Area Network; CAN) 통신 모듈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지털 음성 출력 단자(156)는 디지털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단자로서, SPDIF(Sony Philips digital interface) 단자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SPDIF는 Sony Philips digital interface의 약어로, 디지털 단자 규격의 일 예이다. 정식 명칭은 IEC958- TYPE이고, EIAJ에 규정되어 있다. 일반적인 기기에서 디지털 단자는 모두 SPDIF에 대응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아날로그 연결 방식은 음성을 제외한 영상만 구현되므로 추가로 디지털 음성 출력 단자(156)를 이용해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야 한다. 즉,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때, 정해진 단자 규격이 바로 SDPIF이다. 차량(100)의 텔레매틱스 단말(110) 이 디지털 음성 출력 단자(156)를 통해서 앰프(150)로 오디오 음원 소스를 전달하고, 전달된 오디오 소스는 SDPIF 를 통해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디지털 음성 출력 단자(156)는 오디오 소스를 디지털 신호 처리기(152)에 전달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152)는 전달받은 오디오 소스를 차량 스피커(130)를 통해 재생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디지털 신호 처리기(152)와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51) 간에는 I2C(Inter-Integrated Circuit) 버스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기(152)와 파워 집적회로(153) 간,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51)과 통신모듈(155) 간에는 시분할 다중화(TDM) 버스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며, 디지털 음성 출력 단자(156)와 디지털 신호 처리기(152) 간에는 I2C(Inter-Integrated Circuit) 버스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차량(100)은 통신부, 입력부, 저장부, 디스플레이 및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모듈,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통신 모듈, NFC 통신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등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양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캔(Controller Area Network; CAN) 통신 모듈, 지역 통신(Local Area Network; LAN) 모듈, 광역 통신(Wide Area Network; WAN) 모듈 또는 부가가치 통신(Value Added Network; VAN) 모듈 등 다양한 유선 통신 모듈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다양한 케이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 교통 메시지 채널(Radio Data System-Traffic Message Channel, RDS-TMC),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교통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및 수신기(Receiver)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한 아날로그 형태의 무선 신호를 디지털 제어 신호로 복조하기 위한 교통정보 신호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는 차량(100) 내부의 전자 장치들 사이의 통신을 위한 내부 통신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차량(100)의 내부 통신 프로토콜로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LIN(Local Interconnection Network), 플렉스레이(FlexRay), 이더넷(Ethernet)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입력부는 사용자의 입력을 위해 각종 버튼이나 스위치, 페달(pedal),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track-ball), 각종 레버(lever), 핸들(handle)이나 스틱(stick) 등과 같은 하드웨어적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는 사용자 입력을 위해 터치 패드(touch pad) 등과 같은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즉 소프트웨어인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드는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저장부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저장부(130)는 제어부와 관련하여 전술한 프로세서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된 메모리일 수 있고, 프로세서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디지털 광원 처리(Digital Light Processing: DLP)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enal),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전기 발광(Electro Luminescence: EL) 패널,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EPD) 패널, 전기변색 디스플레이(Electrochromic Display: E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패널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어부는 차량(100)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5는 차량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차량(100)은 차량(100)에 위치하는 앰프(150)가 부팅함에 따라 앰프 상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211, 213).
구체적으로, 차량(100)은 차량(100) 내 디지털 신호 처리기(152)가 앰프(150) 내 각 부품간 통신 상태 및 파워 집적회로(153)의 구동 상태를 감지하고, 복수의 파워 집적회로(Power IC)(153)가 차량 스피커(130)와 연결된 배선의 연결 상태를 감지하여 에러를 감지할 수 있다.
다음, 차량(100)은 모니터링 수행 결과 에러가 존재하는 경우, 앰프 뮤트(mute) 또는 셧다운(shutdown)시킬 수 있다(215, 217).
다음, 차량(100)은 모니터링을 통해 감지된 에러 정보를 고장 특성별 위험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219).
상기 고장 특성별 위험군은, 배선 쇼트, 온도 과열, DC 오프셋을 비롯한 화재 유발 고장을 포함하는 제1 위험군, 상기 파워 집적 회로의 불량 및 장기 통신 불량 고장을 포함하는 제2 위험군, 단기 통신 불량 및 단기 부품 오동작을 포함하는 제3 위험군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 차량(100)은 분류된 고장 특성별 위험군에 따라 에러 정보를 표시 또는 송출하거나, 앰프(1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에러 정보가 제1 위험군으로 분류된 경우, 차량(100)은 이후 개시하는 도 6의 ⓐ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에러 정보가 제2 위험군 및 제3 위험군으로 분류되고(221), 자체 리셋 수행횟수가 기준 횟수를 초과한 경우(223), 차량(100)은 자체 리셋 수행횟수를 초기화하고(225), 메모리(154)에 고장 부품 로그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227).
차량(100)은 고장 부품 로그정보를 저장할 때, 에러 항목 발생 횟수를 증가시키고, 해당 고장 부품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다음, 차량(100)은 텔레매틱스 단말(110)의 화면 상에 에러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에러 정보가 제2 위험군 및 제3 위험군으로 분류되고, 자체 리셋 횟수가 기준 횟수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 차량(100)은 자체 리셋을 수행하도록 명령을 출력하고 자체 리셋 수행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231, 233). 이때, 자체 리셋 수행 명령과 자체 리셋 수행횟수 증가 동작의 순서는 서로 변경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차량(100)은 자체 리셋을 수행 이전에 앰프(150)의 무음 상태가 기준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기준시간을 초과하면 자체 리셋을 수행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은 앰프의 자체 리셋 전에 앰프의 무음 상태가 기준시간을 초과한 경우 자체 리셋을 수행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차량용 앰프의 자쳇 리셋으로 인한 불필요한 리셋을 미연에 해소시키는 동시에 운전자의 불편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단계 215의 확인 결과 에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차량(100)은 차량 스피커(130)를 통해 음을 출력하고(235), 자체 리셋 수행횟수를 초기화할 수 있다(137).
도 6은 차량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5의 ⓐ 절차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의 단계 221의 확인 결과 에러 정보가 제1 위험군으로 분류된 경우, 차량(100)은 고장 부품 로그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311).
차량(100)은 고장 부품 로그정보를 저장할 때, 에러 항목 발생 횟수를 증가시키고, 해당 고장 부품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다음, 차량(100)은 텔레매틱스 단말(110)의 화면 상에 에러 정보를 표시하고(313), 품질 관리 서버(400)로 에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315).
도시하지 않았지만, 품질 관리 서버(400)는 에러가 발생한 차량(100)이 차량 서비스 센터로 입고되도록 운전자의 이동통신 단말로 연락을 취하거나, 텔레매틱스 단말(110) 화면 상에 차량 서비스 센터 방문 안내를 표시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100 : 차량
110 : 텔레매틱스 단말
130 : 차량 스피커
150 : 차량용 앰프
151 :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
152 : 디지털 신호 처리기
153 : 파워 직접회로
154 : 메모리
155 : 통신모듈
156 : 디지털 음성 출력 단자
400 : 품질 관리 서버

Claims (21)

  1. 앰프 내 각 부품간 통신 상태 및 파워 집적회로의 구동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디지털 신호 처리기;
    차량 스피커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선의 연결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파워 집적회로(Power IC); 및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와 상기 파워 집적회로로부터 전달되는 에러 정보를 고장 특성별 위험군으로 분류하고, 분류된 상기 고장 특성별 위험군에 따라 에러 정보를 표시 또는 송출하거나, 상기 앰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
    을 포함하는 차량용 앰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특성별 위험군은,
    배선 쇼트, 온도 과열, DC 오프셋을 비롯한 화재 유발 고장을 포함하는 제1 위험군, 상기 파워 집적 회로의 불량 및 장기 통신 불량 고장을 포함하는 제2 위험군, 단기 통신 불량 및 단기 부품 오동작을 포함하는 제3 위험군을 포함하는 차량용 앰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은,
    상기 에러 정보가 상기 제1 위험군으로 분류된 경우, 텔레매틱스 단말의 화면 상에 상기 에러 정보를 표시하고, 품질 관리 서버로 상기 에러 정보를 전송하는 차량용 앰프.
  4. 제3항에 있어서,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은,
    상기 메모리에 고장 부품 로그정보를 저장하는 차량용 앰프.
  5. 제2항에 있어서,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은,
    상기 에러 정보가 상기 제2 위험군 및 상기 제3 위험군으로 분류되고, 자체 리셋 수행횟수가 기준 횟수를 초과한 경우, 텔레매틱스 단말의 화면 상에 상기 에러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메모리에 고장 부품 로그정보를 저장하는 차량용 앰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은,
    자체 리셋 수행횟수를 초기화하고, 상기 고장 부품 로그정보를 저장할 때, 에러 항목 발생 횟수를 증가시키고, 해당 고장 부품 정보를 저장하는 차량용 앰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은,
    상기 에러 정보가 상기 제2 위험군 및 상기 제3 위험군으로 분류되고, 자체 리셋 횟수가 기준 횟수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
    자체 리셋을 수행하도록 명령을 출력하고 자체 리셋 수행횟수를 증가시키는 차량용 앰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은,
    상기 자체 리셋을 수행 이전에 상기 앰프의 무음 상태가 기준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기준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자체 리셋을 수행하는 차량용 앰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파워 집적회로는,
    상기 배선 연결 상태 감지를 통해 차량 배터리 배선 쇼트, 앰프 온도 과열, DC 오프셋, 차량 저전압, 스피커 쇼트 및 기타 부품 불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러를 감지하는 차량용 앰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파워 집적회로 각각은 저항 체크 방식을 통해 상기 배선 상태를 감지하는 차량용 앰프.
  11. 앰프 내 각 부품간 통신 상태 및 파워 집적회로의 구동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디지털 신호 처리기,
    차량 스피커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선의 연결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파워 집적회로(Power IC), 및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와 상기 파워 집적회로로부터 전달되는 에러 정보를 고장 특성별 위험군으로 분류하고, 분류된 상기 고장 특성별 위험군에 따라 에러 정보를 표시 또는 송출하거나, 상기 앰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앰프; 및
    상기 차량용 앰프로부터 전달되는 에러 정보를 표시 및 품질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텔레매틱스 단말;
    를 포함하는 차량.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앰프로부터 전달되는 음을 출력하는 차량 스피커;
    를 더 포함하는 차량.
  13. 차량에 위치하는 앰프가 부팅함에 따라 앰프 상태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상기 모니터링 수행 결과 에러가 존재하는 경우, 앰프 뮤트(mute) 또는 셧다운(shutdown)시키고,
    상기 모니터링을 통해 감지된 에러 정보를 고장 특성별 위험군으로 분류하고,
    분류된 상기 고장 특성별 위험군에 따라 에러 정보를 표시 또는 송출하거나, 상기 앰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앰프 상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것은,
    차량 내 디지털 신호 처리기가 앰프 내 각 부품간 통신 상태 및 파워 집적회로의 구동 상태를 감지하고,
    복수의 파워 집적회로(Power IC)가 차량 스피커와 연결된 배선의 연결 상태를 감지하여 에러를 감지하는 것인 차량의 제어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특성별 위험군은,
    배선 쇼트, 온도 과열, DC 오프셋을 비롯한 화재 유발 고장을 포함하는 제1 위험군, 파워 집적 회로의 불량 및 장기 통신 불량 고장을 포함하는 제2 위험군, 단기 통신 불량 및 단기 부품 오동작을 포함하는 제3 위험군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앰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에러 정보가 상기 제1 위험군으로 분류된 경우, 텔레매틱스 단말의 화면 상에 상기 에러 정보를 표시하고, 품질 관리 서버로 상기 에러 정보를 전송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정보가 상기 제1 위험군으로 분류된 경우, 고장 부품 로그정보를 저장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앰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에러 정보가 상기 제2 위험군 및 상기 제3 위험군으로 분류되고, 자체 리셋 수행횟수가 기준 횟수를 초과한 경우, 텔레매틱스 단말의 화면 상에 상기 에러 정보를 표시하고, 메모리에 고장 부품 로그정보를 저장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정보가 상기 제2 위험군 및 상기 제3 위험군으로 분류되고, 자체 리셋 수행횟수가 기준 횟수를 초과한 경우,
    자체 리셋 수행횟수를 초기화하고, 상기 고장 부품 로그정보를 저장할 때, 에러 항목 발생 횟수를 증가시키고, 해당 고장 부품 정보를 저장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앰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에러 정보가 상기 제2 위험군 및 상기 제3 위험군으로 분류되고, 자체 리셋 횟수가 기준 횟수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
    자체 리셋을 수행하도록 명령을 출력하고 자체 리셋 수행횟수를 증가시키는 차량의 제어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자체 리셋을 수행 이전에 상기 앰프의 무음 상태가 기준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기준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자체 리셋을 수행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KR1020170151943A 2017-11-15 2017-11-15 차량용 앰프,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459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943A KR102459233B1 (ko) 2017-11-15 2017-11-15 차량용 앰프, 차량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943A KR102459233B1 (ko) 2017-11-15 2017-11-15 차량용 앰프, 차량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338A KR20190055338A (ko) 2019-05-23
KR102459233B1 true KR102459233B1 (ko) 2022-10-26

Family

ID=66680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1943A KR102459233B1 (ko) 2017-11-15 2017-11-15 차량용 앰프,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92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2698A (ja) 1998-06-30 2000-01-21 Yazaki Corp 車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車両機器状態制御方法
JP2009143425A (ja) 2007-12-14 2009-07-02 Fujitsu Ltd 車載装置
KR101053722B1 (ko) 2004-10-28 2011-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텔레매틱스 장치를 이용한 자동차 자가진단 시스템 및 그방법
WO2015040836A1 (ja) 2013-09-20 2015-03-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音響装置、音響システム、移動体装置、および音響システムの故障診断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5584A (en) * 1996-11-08 1998-09-29 Ford Motor Company Automatic detection of shorted loudspeakers in automotive audio system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2698A (ja) 1998-06-30 2000-01-21 Yazaki Corp 車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車両機器状態制御方法
KR101053722B1 (ko) 2004-10-28 2011-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텔레매틱스 장치를 이용한 자동차 자가진단 시스템 및 그방법
JP2009143425A (ja) 2007-12-14 2009-07-02 Fujitsu Ltd 車載装置
WO2015040836A1 (ja) 2013-09-20 2015-03-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音響装置、音響システム、移動体装置、および音響システムの故障診断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338A (ko) 2019-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8447B2 (en) Controlling vehicle systems with mobile devices
KR102416123B1 (ko)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차량
KR102327195B1 (ko) 차량의 원격 제어방법과 이를 위한 차량 및 이동통신 단말
US9092308B2 (en) Output control apparatus for onboard image display
KR102515395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N104281406B (zh) 用于管理信息娱乐功能的方法和系统
CN105526945B (zh) 影音导航装置、车辆、及影音导航装置的控制方法
CN105556424A (zh) 运行机动车多个显示装置的方法和系统及有该系统的机动车
CN110659007A (zh) 一种应用于汽车的多屏互动方法
WO2016084360A1 (ja) 車両用表示制御装置
KR102621295B1 (ko) 차량용 배터리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001306A (ko) 차량 전자 모듈의 통신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2287263B1 (ko) 차량 내 원격 제어 서비스 제공방법과 이를 위한 차량
KR20190098411A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2459233B1 (ko) 차량용 앰프,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N107145315B (zh) 用于操作多显示器组件的系统和方法
KR102291308B1 (ko) 차량 내 멀티 원격 제어 설정 방법과 이를 위한 차량 및 이동통신 단말기
KR102382998B1 (ko) 차량 진단 장치, 차량 진단 시스템 및 차량 진단 방법
KR20200033435A (ko) 차량용 제어 장치,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20180075815A (ko) 차량 내 멀티 원격 제어 설정 방법과 이를 위한 차량
KR102485285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190102640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1817539B1 (ko) 내비게이션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31900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66433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