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6786B1 -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 - Google Patents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6786B1
KR102456786B1 KR1020210084471A KR20210084471A KR102456786B1 KR 102456786 B1 KR102456786 B1 KR 102456786B1 KR 1020210084471 A KR1020210084471 A KR 1020210084471A KR 20210084471 A KR20210084471 A KR 20210084471A KR 102456786 B1 KR102456786 B1 KR 102456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air duct
coupling part
coupling
assembly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4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라코
Priority to KR1020210084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67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6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6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5/00Vehicle bodies characterised by streamlining
    • B62D35/005Front spo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7/00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 B62D37/02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by aerodynam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 B60R2019/486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with air passages, e.g. for coo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2Elements for improving aerodynam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가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 예에 따른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는, 차량의 프론트 범퍼 유닛에서 프론트 범퍼 커버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공기 유입부와 연결되며, 프론트 범퍼 커버의 내부 양측에 각각 결합된 에어 덕트의 조립 구조로서, 에어 덕트의 각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범퍼 결합부와, 범퍼 결합부에 대응하여 프론트 범퍼 커버의 내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범퍼 결합부와 결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덕트 결합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인트 유닛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조인트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범퍼 결합부와 적어도 하나의 덕트 결합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 및 결합 홈과, 다른 하나에 일체로 형성되어 가이드 홈을 따라 설정된 적어도 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며 결합 홈에 결합하도록 되어 있는 결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AIR DUCT ASSEMBLY STRUCTURE FOR BUMPER}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량용 프론트 범퍼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공력 향상을 위한 프론트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서의 범퍼 유닛은 차량이 다른 차량이나 고정체와의 충돌 시, 그 충격을 흡수하여 승객의 안전을 도모하며, 동시에 차체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차체 전후 방에 설치되는 완충 유닛이다.
이러한 범퍼 유닛은 차량의 전후방에 차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범퍼 빔이 스테이를 통하여 차체측 사이드 멤버에 장착되고, 범퍼 빔의 전방에는 충격력을 흡수하는 에너지 업소버가 배치되며, 범퍼 커버가 범퍼 빔과 에너지 업소버를 감싸면서 설치된다.
한편, 차량의 연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고속으로 주행하는 차량에 작용하는 공기 저항을 줄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공기저항은 차량의 상/하부 형상, 휠/타이어, 프론트 엔드 모듈의 쿨링 모듈에 의하여 발생하고 있다.
차량의 상/하부 형상 및 프론트 엔드 모듈의 쿨링 모듈에 의하여 발생하는 공기 저항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프론트 범퍼 유닛에서 프론트 범퍼 커버의 양측에 구성되는 에어 덕트를 예로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에어 덕트는 프론트 범퍼 유닛에서 프론트 범퍼 커버의 내부 양측에 각각 조립되는데, 프론트 범퍼 커버의 양측에 형성된 공기 유입구와 연결되게 장착된다. 에어 덕트는 공기 유입구를 통해 프론트 범퍼 커버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기를 차체 후방으로 유도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에어 덕트는 공기 유입구를 통해 프론트 범퍼 커버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기를 포그 램프 또는 쿨링 모듈과 같은 발열체로 유도할 수도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 덕트는 리벳, 볼트와 너트 등과 같은 하드웨어로서의 체결부재를 통해 프론트 범퍼 커버의 내부 양측에 체결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체결부재로 에어 덕트와 프론트 범퍼 커버를 체결하는데 따른 부품 수의 증가로 인한 차량의 중량 및 원가의 증가를 야기하고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에어 덕트를 프론트 범퍼 커버에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에어 덕트를 프론트 범퍼 커버에 장착하기 위한 체결부재들의 부품 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한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는, 차량의 프론트 범퍼 유닛에서 프론트 범퍼 커버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공기 유입부와 연결되며, 상기 프론트 범퍼 커버의 내부 양측에 각각 결합된 에어 덕트의 조립 구조로서, 에어 덕트의 각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범퍼 결합부와, 상기 범퍼 결합부에 대응하여 상기 프론트 범퍼 커버의 내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범퍼 결합부와 결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덕트 결합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인트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인트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범퍼 결합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덕트 결합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 및 결합 홈과, 다른 하나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설정된 적어도 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며 상기 결합 홈에 결합하도록 되어 있는 결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인트 유닛은 제1 조인트 유닛과 제2 조인트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인트 유닛은, 상기 에어 덕트의 각각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제1 범퍼 결합부와, 상기 제1 범퍼 결합부에 대응하여 상기 프론트 범퍼 커버의 내부 양측 상부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범퍼 결합부와 결합 가능한 제1 덕트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인트 유닛은, 상기 에어 덕트의 각각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제2 범퍼 결합부와, 상기 제2 범퍼 결합부에 대응하여 상기 프론트 범퍼 커버의 내부 양측의 하부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2 범퍼 결합부와 결합 가능한 제2 덕트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인트 유닛은 상기 가이드 홈, 상기 결합 홈, 그리고 상기 결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인트 유닛에서, 상기 제1 범퍼 결합부에는 상기 결합 돌기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인트 유닛에서, 상기 제1 덕트 결합부에는 상기 가이드 홈 및 결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제1 범퍼 결합부에 일체로 사출 성형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제1 범퍼 결합부에서 일체로 연장된 섕크부와, 상기 섕크부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으로 상기 섕크부에 일체로 연결된 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에 있어서, 상기 섕크부는 원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는 사각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제1 덕트 결합부에서 상기 프론트 범퍼 커버의 내부면에 수직한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 홈에는 상기 제1 방향에서 하측 방향으로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스토퍼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섕크부의 단면보다 크고, 상기 헤드부의 단면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에 있어서, 상기 결합 홈은 상기 제1 덕트 결합부에서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 홈에 연결되고, 원단 단면을 지닌 상기 섕크부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 돌기에 의하여 상기 섕크부가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범퍼 결합부는 상기 섕크부가 연결된 슬라이딩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덕트 결합부는 상기 가이드 홈 및 상기 결합 홈이 형성된 지지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지 리브는 상기 슬라이딩 리브와 면 접촉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지 리브에는 상기 슬라이딩 리브와 상기 헤드부 사이로 진입 가능한 경사 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지 리브는 상기 가이드 홈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딩 리브와 상기 헤드부 사이에 억지 끼움으로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인트 유닛은 상기 제2 범퍼 결합부에 형성된 제1 체결 홀과, 상기 제1 체결 홀과 연결되도록 상기 제2 덕트 결합부에 형성된 제2 체결 홀과, 서로 연결된 상기 제1 체결 홀과 상기 제2 체결 홀에 체결되는 리벳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부에는 상기 에어 덕트와 연결된 덕트 몰딩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에 있어서, 상기 덕트 몰딩부재는 상기 프론트 범퍼 커버에 스크류를 통해 체결되며, 상기 에어 덕트의 각각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일체로 형성된 체결부와 스크류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에어 덕트를 프론트 범퍼 커버에 장착하기 위한 하드웨어로서의 체결부재들의 부품 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프론트 범퍼 유닛의 중량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유사한 참조 부호들이 동일하거나 또는 기능적으로 유사한 요소를 지칭하는 첨부한 도면들과 연계한 이하의 설명을 참조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에 적용되는 제1 조인트 유닛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에 적용되는 제1 조인트 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에 적용되는 제1 조인트 유닛의 결합 돌기 부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에 적용되는 제1 조인트 유닛의 가이드 홈 및 결합 홈 부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에 적용되는 제2 조인트 유닛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에 적용되는 제2 조인트 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위에서 참조된 도면들은 반드시 축적에 맞추어 도시된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예시하는 다양한 선호되는 특징들의 다소 간략한 표현을 제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특정 치수, 방향, 위치, 및 형상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특정 설계 특징들이 특정 의도된 응용과 사용 환경에 의해 일부 결정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목적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분명하게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또한 복수 형태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명시된 특징들, 정수, 단계들, 작동, 엘리먼트들 및/또는 컴포넌트들의 존재를 나타내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정수, 단계들, 작동, 컴포넌트들, 및/또는 이들의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또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연관되어 나열된 하나 이상의 항목들 중 임의의 하나 또는 모든 조합들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결합된"이라는 용어는 컴포넌트들이 용접 등에 의하여 상호 간에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매개 컴포넌트들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두 개의 컴포넌트들 간의 물리적 관계를 표시한다.
"차량", "차량의", "자동차" 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다른 유사 용어는 일반적으로, 승용 차량,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SUV), 버스, 트럭, 다양한 상용 차량을 포함하는 자동차(passenger automobiles)를 포함하고,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수소 동력 차량 및 다른 대체 연료 차량(예를 들어, 석유가 아닌 다른 리소스로부터 유도된 연료)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100)는 차량의 전방에 차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차량의 전방 충격력을 흡수하는 프론트 범퍼 유닛(1)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론트 범퍼 유닛(1)은 차체의 양측 프론트 사이드 멤버(도시하지 않음)에 범퍼 스테이(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장착되는 프론트 범퍼 빔(도시하지 않음)과, 그 프론트 범퍼 빔과의 사이에 에너지 업소버(도시하지 않음)를 두고 장착되는 플라스틱 소재의 프론트 범퍼 커버(3)를 포함하고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프론트 범퍼 커버(3)는 상하 방향을 따라 서로 결합된 어퍼 커버(4)와 로워 커버(5)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프론트 범퍼 유닛(1)의 각 구성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그 구성의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100)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프론트 범퍼 유닛(1)에서, 차량의 공력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프론트 범퍼 커버(3)에 장착되는 플라스틱 소재의 에어 덕트(10)에 적용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에어 덕트(10)는 프론트 범퍼 커버(3)의 내부 양측에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장착되는데, 그 프론트 범퍼 커버(3)의 전면 양측에 형성된 공기 유입부(7)와 연결되게 장착된다. 이러한 에어 덕트(10)는 프론트 범퍼 커버(3)의 내부면과의 사이에 공기 유입부(7)와 연결된 덕트 통로(11)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에어 덕트(10)는 차량의 주행 중 프론트 범퍼 커버(3)의 전면에 부딪히면서 공기 유입부(7)로 유입되는 외기를 프론트 범퍼 커버(3)의 내부(내측)에서 덕트 통로(11)를 통해 차체 후방으로 유도하며, 공기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더 나아가, 상기한 에어 덕트(10)는 프론트 범퍼 커버(3)의 내부 양측으로 유입되는 외기를 포그 램프 또는 쿨링 모듈 등과 같은 발열체로 유도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차체 전후 방향'은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고, '차폭 방향'은 차체의 좌우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상하 방향'은 차체의 높이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의 '상단부', '상부', '상단' 또는 '상부 면'은 도면에서 상대적으로 상측에 있는 구성요소의 단부, 부, 단, 또는 면을 나타내고, 구성요소의 '하단부', '하부', '하단' 또는 '하부 면'은 도면에서 상대적으로 하측에 있는 구성요소의 단부, 부, 단, 또는 면을 나타낸다.
더 나아가,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의 단(예를 들어, 일측 단 또는 다른 일측(타측) 단 등)은 임의의 한 방향으로 구성요소의 끝을 나타내며, 구성요소의 단부(예를 들어, 일측 단부 또는 다른 일측(타측) 단부 등)는 그 끝을 포함하는 구성요소의 일정 부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100)는 에어 덕트(10)를 프론트 범퍼 커버(3)에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에어 덕트(10)를 프론트 범퍼 커버(3)에 장착하기 위한 체결부재들의 부품 수를 줄일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100)는 기본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조인트 유닛(30, 50)을 포함한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인트 유닛(30, 50)은 제1 조인트 유닛(30)과 제2 조인트 유닛(5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구성 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에 적용되는 제1 조인트 유닛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에 적용되는 제1 조인트 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상기 제1 조인트 유닛(30)은 제1 범퍼 결합부(31), 제1 덕트 결합부(33), 결합 돌기(35), 가이드 홈(37), 그리고 결합 홈(39)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범퍼 결합부(31)는 에어 덕트(10)를 프론트 범퍼 커버(3)의 내부 양측 상부에 결합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서, 에어 덕트(10)의 상부 일측(프론트 범퍼 커버(3)의 양 단부 측)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범퍼 결합부(31)는 에어 덕트(10)의 본체에서 리브 형태로 연장된다. 상기 제1 범퍼 결합부(31)는 슬라이딩 면(32a)이 형성된 슬라이딩 리브(3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슬라이딩 리브(32)는 제1 범퍼 결합부(31)의 상부 및 하부에서 설정된 형상으로 절곡된 절곡 부위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제1 덕트 결합부(33)는 제1 범퍼 결합부(31)를 프론트 범퍼 커버(3)의 내부 양측 상부와 결합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서, 제1 범퍼 결합부(31)에 대응하여 프론트 범퍼 커버(3)의 내부 양측 상부에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덕트 결합부(33)는 프론트 범퍼 커버(3)의 내부 양측 상부에 제1 범퍼 결합부(31)와 결합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1 덕트 결합부(33)는 프론트 범퍼 커버(3)의 내부 양측 상부에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리브 형태로 연장된다. 상기 제1 덕트 결합부(33)는 슬라이딩 리브(32)의 슬라이딩 면(32a)과 면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 리브(34)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 리브(34)는 제1 덕트 결합부(33)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슬라이딩 리브(32)의 슬라이딩 면(32a)에 차체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하며 면 접촉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35)는 제1 범퍼 결합부(31)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 돌기(35)는 제1 범퍼 결합부(31)의 슬라이딩 리브(32)의 슬라이딩 면(32a)에 일체로 연결된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결합 돌기(35)는 제1 범퍼 결합부(31)에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에서, 상기 결합 돌기(3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된 섕크부(41)와 헤드부(4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섕크부(41)는 슬라이딩 리브(32)의 슬라이딩 면(32a)에서 차폭 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장된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섕크부(41)는 설정된 외경을 지닌 원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43)는 섕크부(41)에 일체로 연결된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헤드부(43)는 섕크부(41)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지닌 사각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37)과 결합 홈(39)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덕트 결합부(33)에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홈(37)과 결합 홈(39)은 제1 덕트 결합부(33)의 지지 리브(34)에 형성되며, 서로 연결된다.
상기 가이드 홈(37)은 결합 돌기(35)의 섕크부(41)가 끼워지는 부분으로, 헤드부(43)가 지지 리브(34)의 리브 면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결합 돌기(35)를 설정된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홈(37)은 제1 덕트 결합부(33)의 지지 리브(34)에서 프론트 범퍼 커버(3)의 내부면에 수직한 제1 방향(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차체 전후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홈(37)은 섕크부(41)의 단면보다 크고, 헤드부(43)의 단면보다 작은 폭(W)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헤드부(43)가 지지 리브(34)의 리브 면에 면 접촉되어 제1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더 나아가, 상기 가이드 홈(37)에는 제1 방향에서 하측 방향으로 수직한 제2 방향(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을 따라 스토퍼 돌기(3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 돌기(38)는 가이드 홈(37)의 홈 내주 면에 완만하게 돌출 형성되는데,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는 결합 돌기(35)의 섕크부(41)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결합 홈(39)은 결합 돌기(35)의 섕크부(41)가 가이드 홈(37)에서 제2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하며 결합될 수 있는 부분으로, 제1 덕트 결합부(33)의 지지 리브(34)에서 제2 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37)에 연결된다.
상기 결합 홈(39)은 섕크부(41)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으로 가이드 홈(37)에 연결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 홈(39)은 가이드 홈(37)에서 제2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하는 섕크부(41)가 스토퍼 돌기(38)에 의하여 슬라이딩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제1 덕트 결합부(33)의 지지 리브(34)는 결합 돌기(35)의 섕크부(41)가 끼워지는 가이드 홈(37)에 의하여 제1 범퍼 결합부(31)의 슬라이딩 리브(32)와 헤드부(43) 사이에 제1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억지 끼움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 리브(34)가 슬라이딩 리브(32)와 헤드부(43) 사이에 용이하게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지지 리브(34)에는 슬라이딩 리브(32)와 헤드부(43) 사이로 진입 가능한 경사 면(45)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경사 면(45)은 슬라이딩 리브(32)와 헤드부(43) 사이로 진입하는 지지 리브(34)의 진입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에 적용되는 제2 조인트 유닛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에 적용되는 제2 조인트 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과 함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상기 제2 조인트 유닛(50)은 제2 범퍼 결합부(51), 제2 덕트 결합부(53), 제1 체결 홀(55), 제2 체결 홀(57), 그리고 리벳(59)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2 범퍼 결합부(51)는 에어 덕트(10)를 프론트 범퍼 커버(3)의 내부 양측 하부에 결합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서, 에어 덕트(10)의 하부 일측(프론트 범퍼 커버(3)의 양 단부 측)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2 범퍼 결합부(51)는 에어 덕트(10)의 본체에서 리브 형태로 연장된다.
상기 제2 덕트 결합부(53)는 제2 범퍼 결합부(51)를 프론트 범퍼 커버(3)의 내부 양측 하부와 결합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서, 제2 범퍼 결합부(51)에 대응하여 프론트 범퍼 커버(3)의 내부 양측의 하부에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2 덕트 결합부(53)는 프론트 범퍼 커버(3)의 내부 양측 하부에 제2 범퍼 결합부(51)와 결합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2 덕트 결합부(53)는 프론트 범퍼 커버(3)의 내부 양측 하부에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리브 형태로 연장된다.
상기 제1 체결 홀(55)은 제2 범퍼 결합부(51)에 형성되며, 제2 체결 홀(57)은 대응하는 제1 체결 홀(55)과 연결되도록 제2 덕트 결합부(53)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리벳(59)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체결부재로서, 서로 연결된 제1 체결 홀(55)과 제2 체결 홀(57)에 체결되어 제2 범퍼 결합부(51)와 제2 덕트 결합부(53)를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범퍼 커버(3)의 공기 유입부(7)에는 에어 덕트(10)와 연결된 덕트 몰딩부재(20)가 장착된다. 상기 덕트 몰딩부재(20)는 에어 덕트(10)의 덕트 통로(11)와 연결되는 통로를 형성하며, 공기 유입부(7)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덕트 몰딩부재(20)는 프론트 범퍼 커버(3)에서의 공기 유입부(7) 가장자리 측에 스크류(S)를 통해 체결되며, 에어 덕트(10)의 상부 타측 및 하부 타측에 각각 일체로 형성된 체결부(71)와 스크류(S)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100)의 조립 과정 및 작용을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우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덕트 몰딩부재(20)는 프론트 범퍼 커버(3)의 내부에서 공기 유입부(7)에 끼워지며, 스크류(S)를 통해 그 공기 유입부(7)의 가장자리 측에 체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에어 덕트(10)를 제1 범퍼 결합부(31) 및 제2 범퍼 결합부(51)를 통해 프론트 범퍼 커버(3)의 제1 덕트 결합부(33) 및 제2 덕트 결합부(53)에 결합한다.
상기한 에어 덕트(10)의 결합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 덕트 결합부(33)의 지지 리브(34)는 제1 범퍼 결합부(31)의 슬라이딩 리브(32)와 결합 돌기(35)의 헤드부(43) 사이로 제1 방향(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끼워진다. 이때, 상기 지지 리브(34)는 경사 면(45)을 통하여 슬라이딩 리브(32)와 헤드부(43) 사이로 용이하게 진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 돌기(35)의 섕크부(41)가 지지 리브(34)의 가이드 홈(37)에 끼워지면서, 지지 리브(34)는 슬라이딩 리브(32)와 헤드부(43) 사이에 제1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억지 끼움으로 결합된다.
더 나아가, 상기 가이드 홈(37)의 폭(W)이 섕크부(41)의 단면보다 크고 헤드부(43)의 단면보다 작기 때문에, 지지 리브(34)는 슬라이딩 리브(32)와 헤드부(43)에 면 접촉된 상태로 제1 방향을 따라 그 슬라이딩 리브(32)와 헤드부(43) 사이에 슬라이딩 결합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에어 덕트(10)를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슬라이딩 리브(32)가 슬라이딩 면(32a)을 통해 지지 리브(34)에 면 접촉되고, 헤드부(43)가 지지 리브(34)의 리브 면에 면 접촉된 상태로, 제2 방향(하측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된다. 이에 상기 결합 돌기(35)의 섕크부(41)는 가이드 홈(37)의 스토퍼 돌기(38)에 밀착되면서 제2 방향을 따라 결합 홈(39)에 슬라이딩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 덕트(10)의 제1 범퍼 결합부(31)와 프론트 범퍼 커버(3)의 제1 덕트 결합부(33)는 결합 돌기(35)에 의하여 서로 강하게 면 접촉된 상태로 결합된다.
이러는 과정에, 상기 에어 덕트(10)의 제2 범퍼 결합부(51)의 제1 체결 홀(55)과 프론트 범퍼 커버(3)의 제2 덕트 결합부(53)의 제2 체결 홀(57)이 서로 연결된다.
이 상태에서, 리벳(59)이 서로 연결된 제1 체결 홀(55)과 제2 체결 홀(57)에 체결되면, 에어 덕트(10)의 제2 범퍼 결합부(51)와 프론트 범퍼 커버(3)의 제2 덕트 결합부(53)는 리벳(59)에 의하여 서로 결합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덕트 몰딩부재(20)는 스크류(S)를 통해 에어 덕트(10)의 체결부(71)에 체결된다. 이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에어 덕트(10)와 프론트 범퍼 커버(3)의 조립이 완료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100)는, 결합 돌기(35), 가이드 홈(37), 그리고 결합 홈(39)에 의하여 에어 덕트(10)와 프론트 범퍼 커버(3)를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에어 덕트(10)를 프론트 범퍼 커버(3)에 장착하기 위한 체결부재들의 부품 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프론트 범퍼 유닛(1)의 중량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 프론트 범퍼 유닛 3: 프론트 범퍼 커버
4: 어퍼 커버 5: 로워 커버
7: 공기 유입부 10: 에어 덕트
11: 덕트 통로 20: 덕트 몰딩부재
30: 제1 조인트 유닛 31: 제1 범퍼 결합부
32: 슬라이딩 리브 32a: 슬라이딩 면
33: 제1 덕트 결합부 34: 지지 리브
35: 결합 돌기 37: 가이드 홈
38: 스토퍼 돌기 39: 결합 홈
41: 섕크부 43: 헤드부
45: 경사 면 50: 제2 조인트 유닛
51: 제2 범퍼 결합부 53: 제2 덕트 결합부
55: 제1 체결 홀 57: 제2 체결 홀
59: 리벳 71: 체결부
S: 스크류 W: 폭
100: 에어 덕트 조립 구조

Claims (14)

  1. 차량의 프론트 범퍼 유닛에서 프론트 범퍼 커버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공기 유입부와 연결되며, 상기 프론트 범퍼 커버의 내부 양측에 각각 결합된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로서,
    에어 덕트의 각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범퍼 결합부와, 상기 범퍼 결합부에 대응하여 상기 프론트 범퍼 커버의 내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범퍼 결합부와 결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덕트 결합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인트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인트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범퍼 결합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덕트 결합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 및 결합 홈과, 다른 하나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설정된 적어도 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며 상기 결합 홈에 결합하도록 되어 있는 결합 돌기를 포함하는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인트 유닛은 제1 조인트 유닛과 제2 조인트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조인트 유닛은, 상기 에어 덕트의 각각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제1 범퍼 결합부와, 상기 제1 범퍼 결합부에 대응하여 상기 프론트 범퍼 커버의 내부 양측 상부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범퍼 결합부와 결합 가능한 제1 덕트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조인트 유닛은, 상기 에어 덕트의 각각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제2 범퍼 결합부와, 상기 제2 범퍼 결합부에 대응하여 상기 프론트 범퍼 커버의 내부 양측의 하부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2 범퍼 결합부와 결합 가능한 제2 덕트 결합부를 포함하는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인트 유닛은,
    상기 가이드 홈, 상기 결합 홈, 그리고 상기 결합 돌기를 포함하는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인트 유닛에서,
    상기 제1 범퍼 결합부에는 상기 결합 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덕트 결합부에는 상기 가이드 홈 및 결합 홈이 형성되는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제1 범퍼 결합부에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제1 범퍼 결합부에서 일체로 연장된 섕크부와,
    상기 섕크부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으로 상기 섕크부에 일체로 연결된 헤드부
    를 포함하는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섕크부는 원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는 사각 단면으로 형성되는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제1 덕트 결합부에서 상기 프론트 범퍼 커버의 내부면에 수직한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에서 하측 방향으로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스토퍼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섕크부의 단면보다 크고, 상기 헤드부의 단면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는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홈은,
    상기 제1 덕트 결합부에서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 홈에 연결되고,
    원단 단면을 지닌 상기 섕크부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 돌기에 의하여 상기 섕크부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
  11.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범퍼 결합부는 상기 섕크부가 연결된 슬라이딩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덕트 결합부는 상기 가이드 홈 및 상기 결합 홈이 형성된 지지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리브는 상기 슬라이딩 리브와 면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리브에는 상기 슬라이딩 리브와 상기 헤드부 사이로 진입 가능한 경사 면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 리브는 상기 가이드 홈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딩 리브와 상기 헤드부 사이에 억지 끼움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
  1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인트 유닛은,
    상기 제2 범퍼 결합부에 형성된 제1 체결 홀과,
    상기 제1 체결 홀과 연결되도록 상기 제2 덕트 결합부에 형성된 제2 체결 홀과,
    서로 연결된 상기 제1 체결 홀과 상기 제2 체결 홀에 체결되는 리벳
    을 포함하는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부에는 상기 에어 덕트와 연결된 덕트 몰딩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덕트 몰딩부재는 상기 프론트 범퍼 커버에 스크류를 통해 체결되며, 상기 에어 덕트의 각각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일체로 형성된 체결부와 스크류를 통해 체결되는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
KR1020210084471A 2021-06-29 2021-06-29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 KR102456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471A KR102456786B1 (ko) 2021-06-29 2021-06-29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471A KR102456786B1 (ko) 2021-06-29 2021-06-29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6786B1 true KR102456786B1 (ko) 2022-10-21

Family

ID=83805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471A KR102456786B1 (ko) 2021-06-29 2021-06-29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678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0365A (ko) * 2004-06-18 2005-1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헤드램프 탈착장치
KR20090081112A (ko) * 2008-01-23 2009-07-28 주식회사 프라코 자동차 범퍼와 서포트 브래킷 간의 가 조립을 위한 장착구조
JP2009220659A (ja) * 2008-03-14 2009-10-01 Honda Motor Co Ltd 車両のフロント構造
KR102128051B1 (ko) * 2013-07-23 2020-06-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유체 저항 저감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0365A (ko) * 2004-06-18 2005-1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헤드램프 탈착장치
KR20090081112A (ko) * 2008-01-23 2009-07-28 주식회사 프라코 자동차 범퍼와 서포트 브래킷 간의 가 조립을 위한 장착구조
JP2009220659A (ja) * 2008-03-14 2009-10-01 Honda Motor Co Ltd 車両のフロント構造
KR102128051B1 (ko) * 2013-07-23 2020-06-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유체 저항 저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4514B2 (en) Impact energy absorber member for a vehicle
CN101289082B (zh) 汽车的前部结构
US9540047B2 (en) Vehicle body reinforcing structure for coping with front collision
US6056337A (en) Impact energy absorption structure for motor vehicle
WO1980001672A1 (en) Device for enhancing safety of pneumatic characteristic of vehicle
CN111806570A (zh) 车身的前部结构
JP2012144125A (ja) 車両用導風ガイド構造
KR102456786B1 (ko) 범퍼용 에어 덕트 조립 구조
CN103057604B (zh) 带有前底架保护器的机动车辆
KR102331674B1 (ko)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에 fmh를 장착하는 구조
CN112046388B (zh) 一种大灯支架及大灯安装定位结构
US20230406416A1 (en) Rear Vehicle Body Structure
US20240140533A1 (en) Side Sill Reinforcement Structure of Vehicle
KR101399334B1 (ko) 차량용 범퍼빔 유닛
CN112339869B (zh) 一种中通道连接结构及汽车
CN209921436U (zh) 用于前端模块的连接支架、车身结构
CN220594852U (zh) 前下护板以及车辆
KR102474428B1 (ko)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
CN220314908U (zh) 护板组件以及车辆
KR102504703B1 (ko) 차량용 범퍼 빔
CN221213877U (zh) 防撞梁总成及车辆
US20250050950A1 (en) Structure of the vehicle body
US20250018890A1 (en) Systems for increasing airflow past a vehicle energy absorber
KR100571662B1 (ko) 자동차용 범퍼장치
CN215155033U (zh) 一种汽车a柱结构和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0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0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