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5641B1 - 건축물 벽체용 타일 - Google Patents

건축물 벽체용 타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5641B1
KR102455641B1 KR1020200055541A KR20200055541A KR102455641B1 KR 102455641 B1 KR102455641 B1 KR 102455641B1 KR 1020200055541 A KR1020200055541 A KR 1020200055541A KR 20200055541 A KR20200055541 A KR 20200055541A KR 102455641 B1 KR102455641 B1 KR 102455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finishing material
wall
fix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7348A (ko
Inventor
이강산
Original Assignee
이강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산 filed Critical 이강산
Priority to KR1020200055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5641B1/ko
Publication of KR20210137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7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5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5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 E04F13/0873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the visible surface imitating natural stone, brick work, tiled surface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에 시공되는 건축물 벽체용 타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벽체 방향으로 외력(충격이나 눌림)이 가해질 때 완충하여 마감층의 파손이나 손상을 최소화하는 한편, 마감층의 파손시 새 제품으로 교체가 용이하면서, 작업자의 숙련도와 무관하게 간편하게 건축물의 벽체에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제공하여 소비자의 경제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건축물 벽체용 타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물 벽체용 타일{CONSTRUCTION TILES}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에 시공되는 건축물 벽체용 타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벽체 방향으로 외력(충격이나 눌림)이 가해질 때 완충하여 마감재의 파손이나 손상을 최소화하는 한편, 마감재의 파손시 새 제품으로 교체가 용이하면서, 작업자의 숙련도와 무관하게 간편하게 건축물의 벽체에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제공하여 소비자의 경제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건축물 벽체용 타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욕실, 화장실, 발코니 등의 벽면 및 바닥면에 방수 또는 청결을 위해 타일을 시공한다. 나아가, 최근에는 실내의 미적 효과를 위한 인테리어와 외벽의 미적 효과를 위해서도 다양한 색상 및 형상의 타일 시공을 많이 하고 있다.
타일 시공방법은 건물의 벽체에 시멘트를 바르고, 그 접착력을 이용하여 타일의 후면을 건물의 벽체에 부착하여 시공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시공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시공품질이 타일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
시공이 간편하고, 타일 작업자의 숙련도와 무관하게 시공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타일들 공개특허 제10-2009-0122720호, 공개특허 제10-2014-0130993호, 등록특허 제10-0996878호, 등록특허 제10-0755242호 등에서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 문헌들에서 제안된 조립식 타일들은 구조가 복잡하여 시공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설령, 구조가 단순한 타일의 경우에도 시공이 복잡하여 타일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시공품질이 좌우되는 등 여전히 문제를 내포하고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조립식 타일들은 충격에 취약한 타일을 벽체로부터 완충하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타일을 시공하는 중 또는 타일을 벽체에 시공한 상태에서 타일에 외력(충격이나 눌림)이 가해지면, 비교적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진 타일이 외력에 그대로 노출되어 쉽게 파손이나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KR 10-2009-0122720 A, 2009. 12. 01. KR 10-2014-0130993 A, 2014. 11. 12. KR 10-0996878 B1, 2010. 11. 22. KR 10-0755242 B1, 2017. 08. 29. KR 10-2009-0005896 A, 2009. 01. 14. KR 10-0997164 B1, 2010. 11. 23.
따라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목적들이 있다.
첫째, 본 발명은 타일을 건축물의 벽체에 시공하는 중이나, 혹은 타일을 건축물의 벽체에 시공한 후에 외력이 발생하더라도 타일을 완충하여 타일이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건축물 벽체용 타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마감재의 파손이나 손상시 새 제품으로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사용자가 보다 간편하게 마감재를 교체하도록 제공함으로써 마감재의 디자인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건축물 벽체용 타일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작업자의 숙련도와 무관하게 건축물의 벽체에 간편하게 시공하고, 타일의 하자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건축물 벽체용 타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점토층으로 이루어진 마감재; 상기 마감재의 후면부에 이격 설치되고, 상기 마감재를 벽체에 고정하는 지지판; 상기 마감재와 상기 지지판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마감재의 후면부에 형성된 삽입홈의 내부에 삽입되는 압축 스프링과, 일단부가 상기 압축 스프링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판의 전면부에 설치된 너트에 나사 결합되는 지지볼트를 포함하는 연결부재; 상기 마감재와 상기 지지판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마감재와 상기 지지판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마감재와 상기 지지판의 간격 변화에 대응하도록 길이가 신축되는 주름판으로 이루어진 밀폐부재; 및 상기 지지판의 전면부에 상하 중앙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되, 각각은 일단부가 상기 지지판의 전면부에 매립된 너트에 나사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마감재의 후면부에 지지되는 볼트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감재와 상기 지지판 간의 간격을 부위별로 서로 다르게 조정하여 상기 지지판을 기준으로 상기 마감재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바를 포함하는 건축물 벽체용 타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마감재와 상기 지지판 사이에 설치된 방향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향포는 상기 지지판의 전면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되고, 내부에는 기체 상태의 방향제가 충진되어 있으며, 미세 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마감재가 상기 지지판 방향으로 가압되면,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방향제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마감재와 지지판 사이에 상기 마감재의 후면부에 형성된 삽입홈의 내부에 삽입되는 압축 스프링과, 일단부가 상기 압축 스프링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판의 전면부에 설치된 너트에 나사 결합되는 지지볼트를 포함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벽체에 시공하는 중이나, 혹은 벽체에 시공한 후에 외력이 발생하더라도 마감재를 완충하여 마감재가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마감재가 연결부재를 매개로 지지판으로부터 분해 및 조립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마감재의 파손이나 손상시 새 제품으로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마감재가 지지판으로부터 분해 및 조립 가능하고, 또한 마감재와 지지판 사이에 마감재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 조절바를 설치함으로써 지지판을 기준으로 마감재의 각도를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더 디자인성을 개선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마감재와 지지판 사이에 기체 상태의 방향제가 충진된 방향포가 설치됨으로써 마감재를 누르는 조작만으로 방향포에 충진된 기체 상태의 방향제를 외부로 배출하여 주방이나 화장실의 냄새나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벽체용 타일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축물 벽체용 타일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바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각도 조절바에 의해 각도가 조절된 마감재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방향포의 내부에 방향제가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고정 브라켓을 매개로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벽체용 타일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축물 벽체용 타일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들로서, (a)는 마감재의 상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지지판의 상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벽체용 타일(10)은 마감재(11)와, 마감재(11)의 후면부에 설치되고 벽체에 고정되는 지지판(12)을 포함한다.
마감재(11)는 표면이 평탄하고 매끄러우며 표면 장식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점토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전면부는 장식성을 위해 평탄하고 매끄럽게 표면 처리된다. 즉, 이때, 점토층의 표면은 일반적인 타일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판(12)은 마감재(11)와 마찬가지로 점토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외에도, 금속재질이나 합성수지재질 등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직접 건축물의 벽체에 부착 고정되거나, 혹은 별도의 고정 브라켓을 통해 벽체에 고정될 수 있다.
마감재(11)와 지지판(12) 사이에는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13)가 설치된다.
도 1과 같이, 연결부재(13)는 마감재(11)의 후면부에 형성된 삽입홈(11a)의 내부에 삽입되는 압축 스프링(13a)과, 일단부가 압축 스프링(13a)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지지판(12)의 전면부에 설치된 너트(n)에 나사 결합되는 지지볼트(13b)를 포함한다. 이때, 지지볼트(13b)는 타단부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너트(n)에 관통 결합된다.
마감재(11)와 지지판(12)은 연결부재(13)의 지지볼트(13b)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고, 이들 간격은 지지볼트(13b)와 너트(n)의 결합을 통해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볼트(13b)의 일단부가 압축 스프링(13a)에 연결됨에 따라 벽체 방향으로 마감재(11)에 외력이 발생하면, 마감재(11)는 압축 스프링(13a)에 의해 흡수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마감재(11)와 지지판(12)은 연결부재(13)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됨에 따라 시공시나 혹은 시공 후에도 이들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마감재(11)와 지지판(12)의 둘레에는 밀폐부재(14)가 설치될 수 있다.
밀폐부재(14)는 마감재(11)의 후면부 둘레와 지지판(12)의 전면부 둘레를 따라 설치되고 연결부재(13)에 의해 마감재(11)와 지지판(12)의 간격 변화에 대응하도록 길이가 신축되는 주름판으로 이루어지고, 마감재(11)와 지지판(12)으로부터 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단부가 나사를 통해 마감재(11)와 지지판(12)에 체결 고정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바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마감재(11)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각도 조절바(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도 조절바(15)는 지지판(12)의 전면부 상부와 하부 중앙에 각각 하나씩 총 2개가 설치되거나, 혹은 상하부 중앙 및 좌우측부 중앙에 각각 하나씩 총 4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각도 조절바(15)는 일단부가 지지판(12)의 전면부에 매립된 너트(n1)에 나사 결합되고 타단부가 마감재(11)의 후면부에 지지되는 볼트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각도 조절바에 의해 각도가 조절된 마감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와 같이, 각도 조절바(15)를 통해 마감재(11)와 지지판(12) 간의 간격을 부위별로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지지판(12)을 기준으로 마감재(11)를 다양한 각도로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다양한 디자인성과 장식성을 향상시킬 수 잇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방향포의 내부에 방향제가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과 같이, 마감재(11)와 지지판(12) 사이에는 방향포(16)가 설치되어 있다.
방향포(16)는 지지판(12)의 전면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되고, 내부에는 기체 상태의 방향제가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방향포(16)에는 미세 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일측부를 가압하면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방향제가 외부로 배출되어 방향한다.
마감재(11)와 지지판(12) 사이에는 도 1과 같이, 탄성력을 갖는 연결부재(13)가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가 마감재(11)를 지지판(12) 방향으로 누르면, 마감재(11)와 지지판(12) 사이에 설치된 방향포(16)가 가압되면서 내부에 충진된 방향제가 외부로 배출되어 주방이나 화장실 등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냄새나 악취 등을 제거한다.
이러한 방향포(16)는 마감재(11)와 지지판(12) 사이에 설치되고, 지지판(12)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방향제가 모두 사용된 후에는 마감재(11)를 지지판(12)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방향제가 충진된 새 제품의 방향포를 다시 부착시켜 설치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고정 브라켓을 매개로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지지판(12)의 후면부를 벽체(1)에 간편하게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17)을 포함한다. 고정 브라켓(17)은 지지판(12)의 후면부에 고정되는 제1 브라켓(171)과, 벽체(1)의 전면부에 고정되는 제2 브라켓(172)을 포함한다.
제1 브라켓(171)은 지지판(12)의 후면부에 밀착 고정되는 제1 고정판(171a)과, 제1 고정판(171a)의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상하부 걸림부(171b, 171c)를 포함한다. 이때, 상하부 걸림부(171b, 171c)는 'ㄱ' 또는 'L'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브라켓(172)은 벽체(1)의 전면부에 밀착 고정되는 제2 고정판(172a)과, 제2 고정판(172a)의 상하부에 각각 형성되고 제1 브라켓(171)의 상하부 걸림부(171b, 171c)에 각각 상하로 걸림되는 상하부 걸림부(172b, 172c)를 포함한다. 이때, 상하부 걸림부(172b, 172c) 또한 'ㄱ' 또는 'L'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벽체
10 : 타일
11 : 마감재
11a : 삽입홈
12 : 지지판
13 : 연결부재
13a : 압축 스프링
13b : 지지볼트
14 : 밀폐부재
15 : 각도 조절바
16 : 방향포
17 : 고정 브라켓
171 : 제1 브라켓
172 : 제2 브라켓
171a : 제1 고정판
172a : 제2 고정판
171b, 172b : 상부 걸림부
171c, 172c : 하부 걸림부
n, n1 : 너트

Claims (2)

  1. 점토층으로 이루어진 마감재;
    상기 마감재의 후면부에 이격 설치되고, 상기 마감재를 벽체에 고정하는 지지판;
    상기 마감재와 상기 지지판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마감재의 후면부에 형성된 삽입홈의 내부에 삽입되는 압축 스프링과, 일단부가 상기 압축 스프링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판의 전면부에 설치된 너트에 나사 결합되는 지지볼트를 포함하는 연결부재;
    상기 마감재와 상기 지지판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마감재와 상기 지지판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마감재와 상기 지지판의 간격 변화에 대응하도록 길이가 신축되는 주름판으로 이루어진 밀폐부재;
    상기 지지판의 전면부 상하 중앙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되, 각각은 일단부가 상기 지지판의 전면부에 매립된 너트에 나사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마감재의 후면부에 지지되는 볼트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감재와 상기 지지판 간의 간격을 부위별로 서로 다르게 조정하여 상기 지지판을 기준으로 상기 마감재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바;
    상기 마감재와 상기 지지판 사이에 설치된 방향포; 및
    상기 지지판의 후면부를 벽체에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 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지지판의 후면부에 고정되는 제1 브라켓과, 상기 벽체의 전면부에 고정되는 제2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라켓은 상기 지지판의 후면부에 밀착 고정되는 제1 고정판과, 상기 제1 고정판의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상하부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벽체의 전면부에 밀착 고정되는 제2 고정판과, 상기 제2 고정판의 상하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브라켓의 상하부 걸림부에 각각 상하로 걸림되는 상하부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의 상하부 걸림부는 서로 걸림되도록 각각 'ㄱ' 또는 'L'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향포는 상기 지지판의 전면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되고, 내부에는 기체 상태의 방향제가 충진되어 있으며, 미세 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마감재가 상기 지지판 방향으로 가압되면,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방향제가 외부로 배출되는,
    건축물 벽체용 타일.
  2. 삭제
KR1020200055541A 2020-05-10 2020-05-10 건축물 벽체용 타일 KR102455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541A KR102455641B1 (ko) 2020-05-10 2020-05-10 건축물 벽체용 타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541A KR102455641B1 (ko) 2020-05-10 2020-05-10 건축물 벽체용 타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7348A KR20210137348A (ko) 2021-11-17
KR102455641B1 true KR102455641B1 (ko) 2022-10-14

Family

ID=78703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541A KR102455641B1 (ko) 2020-05-10 2020-05-10 건축물 벽체용 타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56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05195B (zh) * 2023-11-22 2024-04-19 杭州嘉图建筑节能科技有限公司 建筑外立面装饰板结构及施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0323A (ja) * 1998-10-05 2000-04-18 Michihiro Yoshida パネル状壁材の取付板への取付け方法、及び、この方法の実施に用いるアジャスタ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7256U (ko) * 1995-01-13 1996-08-17 이장환 조립식 구조물의 벽판넬 지지대
KR19980062453U (ko) * 1997-03-26 1998-11-16 강상화 살균기능과 방향기능을 가지는 양변기용 좌대
KR100755242B1 (ko) 2006-11-30 2007-09-05 심정택 조립식 황토타일
KR20090005896A (ko) 2007-07-10 2009-01-14 손호윤 장식용 타일 및 그 조립체
KR20090122720A (ko) 2008-05-26 2009-12-01 권은순 타일 조립체
KR100997164B1 (ko) 2008-08-28 2010-11-29 김병호 교체가능한 타일시공구조
KR100996878B1 (ko) 2009-09-07 2010-12-01 심정택 조립식 타일 결합체
KR20140130993A (ko) 2013-05-03 2014-11-12 주식회사 메인디자인 조립식 타일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타일 시공방법
KR101625842B1 (ko) * 2014-08-20 2016-05-31 (주)디엔비건축사사무소 마감용 내화단열재가 삽입된 건물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0323A (ja) * 1998-10-05 2000-04-18 Michihiro Yoshida パネル状壁材の取付板への取付け方法、及び、この方法の実施に用いるアジャス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7348A (ko) 202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8615B2 (en) Mounting device for a sanitary body
JP2020511607A (ja) 仕上げパネル固定装置
KR102455641B1 (ko) 건축물 벽체용 타일
JP4711971B2 (ja) 複合構成部材および複合構成部材を製造する方法
CA2722983A1 (en) Shower drain system and receiving element for a shower drain system
KR100892955B1 (ko) 건축물의 낙하물 방지장치용 고정 브라켓
CN101516243B (zh) 用于分配器的凹进单元
KR200394338Y1 (ko) 건축용 석판재 고정장치
EP2182140A1 (de) Bausatz für eine Sanitärzelle und Sanitärzelle hergestellt aus einem solchen Bausatz
EP2166162B1 (de) Spülvorrichtung für ein Wasserklosett
DE29621470U1 (de) Spülkasten für ein Wasserklosett, ein Urinal o.dgl.
KR100929227B1 (ko) 마감패널 조립체
KR19990050351A (ko) 조립식 프리 사이즈 방수판(욕실 바닥 파넬)
KR100221866B1 (ko) 주방용 가구 시스템
KR100759955B1 (ko) 건축물의 코너에 사용되는 선반 및 이의 설치방법
EP2690229B1 (de) Montageeinrichtung für eine sanitäre Apparatur
DE10001517C1 (de) Vorbauwand, insbesondere für Sanitärräume
KR20200144766A (ko) 몰딩용 인코너 마감기구
KR20090009275U (ko) 벽체 구조
KR200490022Y1 (ko) 욕실용 선반
KR20090008735U (ko) 벽체 구조
KR200486177Y1 (ko) 세면기용 하부장
AU2009200739B2 (en) Partition Wall Support Leg
EP1130179B1 (en) Adjustable mounting apparatus for sanitary fittings
DE10207067A1 (de) Bausatz zur Erzeugung insbesondere einer Vorwand-Eckinstallation für ein WC oder dg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