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9227B1 - 마감패널 조립체 - Google Patents

마감패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9227B1
KR100929227B1 KR1020090013023A KR20090013023A KR100929227B1 KR 100929227 B1 KR100929227 B1 KR 100929227B1 KR 1020090013023 A KR1020090013023 A KR 1020090013023A KR 20090013023 A KR20090013023 A KR 20090013023A KR 100929227 B1 KR100929227 B1 KR 100929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inishing panel
finishing
piec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3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 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 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 창
Priority to KR1020090013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92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9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9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Hooking means on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감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벽체를 깔끔하게 마감하고 마감패널의 탈착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마감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프레임;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상향으로 절곡된 지지걸림편을 포함하는 지지브라켓;상기 지지브라켓의 지지걸림편에 걸려 지지되는 제1걸림공이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단부에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프레임에 고정된 고정연장편이 형성되되,상기 고정연장편으로부터 돌출되어 상향으로 절곡된 패널걸림편을 더 포함하는 제1마감패널;제1마감패널의 상방에 위치한 프레임에 고정되며, 하단부에는 다단절곡되어 지지홈이 형성된 고정브라켓;제1마감패널과 고정브라켓 사이에 배치되며, 하단부에는 제1마감패널의 패널걸림편에 걸려 지지되는 제2걸림공이 형성되며, 상단부는 고정브라켓의 지지홈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지지홈에 걸리는 상부절곡편을 포함하는 제2마감패널;제2마감패널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단부와 하단부는 각각 외측으로 연장된 상부연장편 및 하부연장편을 포함하되, 상부연장편은 프레임에 고정되고 하부연장편은 고정브라켓의 지지홈 내에서 제2마감패널의 상부절곡편 후방에 배치되는 제3마감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 마감패널 조립체를 제공한다.
마감패널,조립체,고정브라켓,걸림편,연장편,절곡편,지지브라켓,걸림공

Description

마감패널 조립체{assembly of open panel}
본 발명은 마감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에 대한 마감패널의 마감이 깔끔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더불어 마감패널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여 마감패널에 의해 차폐된 부품에 대한 수리 및 교환이 용이하도록 한 마감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벽체 또는 천정에 있어 외부의 시선에 노출되는 부위의 경우, 그 노출된 부위를 미려하게 마감할 수 있도록 벽체 또는 천정의 표면에 마감 공사를 실시하게 된다.
이와 같은 마감 공사에 있어서는 종래로부터 다양한 방식의 마감이 알려져 시공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천연석재, 인조석, 금속판재, 합성수지판재, 나무판 등과 같이 일정 크기의 사각 패널 형태로 이루어진 마감 패널을 건축물의 벽체 또는 천정에 연속적으로 부착하여 시공하는 방식이 건축물의 마감 방식으로 널리 시공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건축용 마감 패널의 부착 시공에 있어서, 기존에는 콘크리트와 같은 벽체 표면에 시멘트 몰탈 등을 도포한 후, 마감패널을 압착하여 부착 시키는 습식 시공방법이 주로 행해지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벽체 또는 천정의 콘크리트에 먼저 금속의 각 파이프 등으로 고정프레임을 설치한 후, 그 위에 마감 패널을 스크류에 의해 고정시키는 건식시공방식에 대한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건식시공방식을 이용해 시공된 마감패널의 조립체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건축물의 벽체에 시공된 마감패널 조립체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종래의 마감패널 조립체는 벽체의 콘크리트에 고정된 고정프레임(1)과, 이 고정프레임(1)에 고정된 복수의 마감 패널(3)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프레임(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가로바(1a)와 세로바(1b)가 결합되고, 마감패널이 나사체결되도록 제공된다.
그리고, 마감패널(3)은 벽체 콘크리트(C)를 마감하며, 평면의 패널몸체(3a)와, 스크류(S)가 체결될 수 있도록 패널몸체(3a)의 네 측면으로부터 외향 절곡된 절곡편(3b)을 포함한다.
이때, 절곡편(3b)에는 스크류(S)가 체결되기 위한 복수의 체결공(3c)이 형성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마감패널에 대한 시공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로바(1a)와 세로바(1b)에 걸쳐 마감패널(3)의 절곡편(3b)을 배치시킨 후, 스크류(S)를 이용하여 절곡편(3b)에 형성된 체결공(3c)을 통해 고정프레임(1)에 체 결시킨다.
이에 따라, 고정프레임(1)에 대한 마감 패널(3)의 결합이 완료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마감패널 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첫째, 벽체의 외관이 미려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즉, 마감 패널(3)의 절곡편(3b)에 노출된 스크류(S), 정확하게는 스크류(S)의 머리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벽체의 외관이 깔끔하게 보이지 않았던 것이다.
게다가, 마감 패널(3) 사이로 보이는 가로바(1a) 및 세로바(1b)와 마감 패널(3)의 재질 및 색상이 일치하지 않아 벽체 외관의 미려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둘째, 복수의 스크류(S)를 이용해 마감패널(3)을 고정프레임(1)에 고정시킴으로써, 공수가 증가 되어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게다가, 마감패널(3)의 보수 및 교체를 위해 고정프레임(1)으로부터 마감패널(3)을 해체하는 과정 역시 번거로움이 발생하였으며, 스크류(S) 체결부위의 협소함으로 인해 작업자의 작업성이 저하되었던 것이다.
셋째, 벽체 콘크리트에 설치된 부품에 대해 수리 및 교환이 요구될 경우, 작업자는 프레임으로부터 마감패널을 해체해야 하는데, 이 해체과정이 매우 번거로웠다.
즉, 스크류의 고정을 풀어 해제하고, 마감패널을 탈거한 후, 부품에 대한 조치를 취하고 다시 마감패널을 조립해야하는 일련의 과정들이 매우 번거로웠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마감패널에 대한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깔끔한 마무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되, 항시 일정 패널에 대한 탈착이 가능하도록 한 마감패널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프레임;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상향으로 절곡된 지지걸림편을 포함하는 지지브라켓;상기 지지브라켓의 지지걸림편에 걸려 지지되는 제1걸림공이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단부에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프레임에 고정된 고정연장편이 형성되되,상기 고정연장편으로부터 돌출되어 상향으로 절곡된 패널걸림편을 더 포함하는 제1마감패널;제1마감패널의 상방에 위치한 프레임에 고정되며, 하단부에는 다단절곡되어 지지홈이 형성된 고정브라켓;제1마감패널과 고정브라켓 사이에 배치되며, 하단부에는 제1마감패널의 패널걸림편에 걸려 지지되는 제2걸림공이 형성되며, 상단부는 고정브라켓의 지지홈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지지홈에 걸리는 상부절곡편을 포함하는 제2마감패널;제2마감패널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단부와 하단부는 각각 외측으로 연장된 상부연장편 및 하부연장편을 포함하되, 상부연장편은 프레임에 고정되고 하부연장편은 고정브라켓의 지지홈 내에서 제2마감패널의 상부절곡편 후방에 배치되는 제3마감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 마감패널 조립체를 제공한다.
이때, 제1,2,3마감패널 사이의 상,하 간격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복수의 가로바와 세로바를 포함하고,세로바에는 제1,2,3마감패널과 동일한 색상 및 동일한 재질의 마감띠가 더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걸림편과 패널걸림편은 랜싱 가공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감패널 조립체에 대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크류 체결에 대한 작업이 최소화됨으로써,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체결된 스크류에 대한 노출이 최소화됨으로써, 마감패널에 의해 마감된 부위가 깔끔하게 마감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제2마감패널의 탈착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마감패널로 인해 차폐된 부위에 배치된 부품에 대해 수리 및 교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마감패널의 탈착 구성이 걸림편과 이에 대응되는 걸림공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탈착 작업이 매우 간편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감패널 조립체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마감패널 조립체는 벽체에 설치된 것을 그 예로 한다.
마감패널 조립체는 프레임(100)과, 지지브라켓(200)과, 제1마감패널(300)과, 고정브라켓(400)과, 제2마감패널(500)과, 제3마감패널(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100)은 마감패널이 설치될 수 있도록 제공되며, 벽체 콘크리트에 용 접되거나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프레임(100)은 마감패널이 설치되기 위한 틀을 구성하며, 복수의 가로바(110)와 복수의 세로바(120)가 서로 격자 형태로 설치된다.
다음으로, 지지브라켓(200)은 제1마감패널(300)의 설치를 위해 제공되며, 프레임(100) 중 맨 하단에 위치된 가로바(110)에 고정된다.
이때, 지지브라켓(200)은 스크류에 의해 가로바에 고정된 고정면(210)과, 이 고정면(210)으로부터 돌출된 후 상향으로 절곡된 지지걸림편(220)을 포함한다.
이때, 지지걸림편(220)은 고정면(210)으로부터 랜싱가공(lancing)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1마감패널(300)은 벽체의 하부를 마감하며, 지지브라켓(200)에 설치된다.
이때, 제1마감패널(300)은 사각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마감패널(300)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노출된 사각 형태의 제1전면(前面)(310)과, 이 제1전면(310)의 각 변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절곡된 네 개의 제1측면(側面)(32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측면(320) 중 상단부의 측면에는 상방을 향해 연장된 고정연장편(321)이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320) 중 하단부의 측면에는 상방을 향해 연장된 걸림연장편(32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연장편(321)은 제1전면(310)의 외측을 향해 절곡되어 외부로 노출되며, 가로바(110)에 스크류 등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상기 고정연장편(321)에는 이 고정연장편(321)으로부터 돌출된 후 상향으로 절곡된 복수의 패널걸림편(321a)이 형성된다.
상기 패널걸림편(321a)은 지지브라켓(200)의 지지걸림편(220)과 동일하게 랜싱가공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걸림연장편(322)은 제1전면(310)의 내측을 향해 절곡되므로, 외부로는 노출되지 않는다.
이때, 걸림연장편(322)에는 지지브라켓(200)의 지지걸림편(220)에 걸려 지지되기 위한 제1걸림공(322a)이 형성된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걸림공(322a)은 걸림연장편(322)과 제1마감패널(300)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1측면(320)에 걸쳐 형성된다.
다음으로, 고정브라켓(400)은 제2마감패널(500)의 상단부 및 제3마감패널(600)의 하단부가 모두 지지되도록 제공되며, 가로바(110) 상에 스크류 등에 의해 고정된다.
고정브라켓(4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바(110)에 고정되며 복수의 체결공(411a)이 형성된 체결면(411)과, 이 체결면(411)의 하단부로부터 상향으로 다단 절곡되어 형성된 지지홈(412)을 포함한다.
이때, 고정브라켓(400)은 가로바(11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2마감패널(500)은 제1마감패널(300)의 상방과 고정브라켓(400)의 하방에 배치되어 벽체 콘크리트를 마감한다.
이때, 제2마감패널(500)의 하단부는 제1마감패널(300)의 패널걸림편(321a)에 걸려 지지되고, 제2마감패널(500)의 상단부는 고정브라켓(400)의 지지홈(412)에 걸려 지지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마감패널(500)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노출된 사각 형태의 제2전면(前面)(510)과, 이 제2전면(510)의 각 변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절곡된 네 개의 제2측면(側面)(520)을 포함한다.
이때, 제2측면(520) 중, 제2전면(510)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제2측면(520)에는 전면의 내측을 향해 각각 절곡된 절곡편이 형성된다.
이때, 설명의 편의상, 제2전면(510)의 상단에 형성된 절곡편은 상부절곡편(521)이라 하며, 제2전면(510)의 하단에 형성된 절곡편은 하부절곡편(522)이라 한다.
이때, 상부절곡편(521)은 고정브라켓(400)의 지지홈(412)에 걸려 지지된다.
또한, 하부절곡편(522)에는 제1마감패널(300)의 패널걸림편(321a)에 걸려 지지되기 위한 제2걸림공(522a)이 형성된다.
이때, 제2걸림공(522a)의 형태는 제1마감패널(300)의 제1걸림공(322a)의 형태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제3마감패널(600)은 마감패널 중, 맨 상방에 배치되어 벽체 콘크리트를 마감한다.
이때, 제3마감패널(600)의 하단부는 제2마감패널(500)의 상부절곡편(521)과 함께 고정브라켓(400)의 지지홈(412)에 배치되며, 제3마감패널(600)의 상단부는 가 로바(110) 상에 스크류 등에 의해 고정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3마감패널(600)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노출된 사각 형태의 제3전면(前面)(610)과, 이 제3전면(610)의 각 변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절곡된 네 개의 제3측면(側面)(620)을 포함한다.
이때, 제3측면(620) 중, 전면(61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각각 전면의 외측을 향해 연장된 상부연장편(621)과 하부연장편(622)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부연장편(621)은 가로바(110) 상에 스크류 등에 의해 고정되며, 하부연장편(622)은 고정브라켓(400)의 지지홈(412)에 배치되되, 제2마감패널(500)의 상부절곡편(521) 후방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고정브라켓(400)의 지지홈(412) 너비는 제2마감패널(500)의 상부절곡편(521) 두께와 제3마감패널(600)의 하부연장편(622) 두께에 대응된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프레임(100) 중, 세로바(120)에는 마감패널과 동일한 색상 및 동일한 재질의 마감띠(121)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좌,우방향으로 이웃하는 마감패널 사이를 통해 노출된 세로바(120)와 마감패널이 서로 동질감을 갖도록 하여 마감패널 조립체에 대한 외관이 깔끔하게 보이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마감패널 조립체에 대한 조립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프레임(100) 중, 맨 하단의 가로바(110)에는 스크류를 이용해 지지브라 켓(200)을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제1마감패널(300)의 하단부는 지지브라켓(200)에 걸어 고정시키고, 제1마감패널(300)의 상단부는 프레임(100)의 가로바(110)에 스크류를 이용해 고정시킨다.
이때, 제1마감패널(300)에 형성된 제1걸림공(322a)은 지지브라켓(200)의 지지걸림편(220)에 걸리게 되고, 제1마감패널(300)의 고정연장편(321)은 스크류에 의해 가로바(110)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고정브라켓(400)을 제1마감패널(300)의 상방에 설치된 프레임(100)의 가로바(110)에 고정시킨다.
이때, 고정브라켓(400)의 체결면(411)은 스크류에 의해 가로바(110)에 고정되며, 고정브라켓(400)의 지지홈(412)은 하방을 향해 배치된다.
다음으로, 제2마감패널(500)을 고정브라켓(400)과 제1마감패널(300) 사이에 걸어 고정시킨다.
이때, 제2마감패널(500)의 제2걸림공(522a)은 제1마감패널(300)의 고정연장편(321)에 형성된 패널걸림편(321a)에 걸리게 되고, 제2마감패널(500)의 상부절곡편(521)은 고정브라켓(400)의 지지홈(412)에 걸리게 된다.
즉, 이와 같은 결합은 자유롭게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결합 형태인 것이다.
다음으로, 제3마감패널(600)을 제2마감패널(500)의 상방으로 고정시킨다.
이때, 제3마감패널(600)의 하부연장편(622)은 고정브라켓(400)의 지지 홈(412)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하부연장편(622)은 제2마감패널(500)의 상부절곡편(521) 후방에 배치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400)의 지지홈(412) 너비가 상기 하부연장편(622)과 상부절곡편(521)의 두께와 유사하기 때문에, 제2마감패널(500)의 상단부와 제3마감패널(600)의 하단부는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마감패널(600)의 상부연장편(621)은 스크류에 의해 가로바(110)에 고정된다.
이로써, 마감패널 조립체에 대한 시공이 완료된다.
한편, 설명의 편의상 벽체의 상,하 방향으로 제1,2,3마감패널(300,500,600)이 설치된 것만 설명하였으나, 벽체의 면적에 따라 복수의 제1,2,3마감패널(300,500,600)이 상,하,좌,우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각 마감패널(300,500,600)의 비율은 상황에 따라 작업자가 그 비율을 달리하여 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마감패널 조립체의 시공이 완료된 상태를 살펴보면, 각 마감패널의 상,하 사이에는 이격된 틈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틈의 간격은 모두 일정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외관상 깔끔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틈을 통해 노출된 부위는 벽체 콘크리트 또는 프레임(100)이 아니라, 각 마감패널(300,500,600)의 연장편(321,621,622)인 것은 도 7을 통해 이해 가능하다.
그리고, 마감패널의 좌,우 사이에도 일정 간격의 틈이 발생하는데, 이 틈을 통해 노출된 부위는 프레임(100)의 세로바(120)이다.
상기 세로바(12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마감패널과 동일한 색상 및 동일한 재질의 마감띠(121)가 설치됨으로써, 마감패널과의 이질감은 발생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의 마감패널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감패널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감패널 조립체의 제1마감패널을 나타낸 사시도 및 배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감패널 조립체의 고정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감패널 조립체의 제2마감패널을 나타낸 사시도 및 배면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감패널 조립체의 제3마감패널을 나타낸 사시도 및 배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감패널 조립체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프레임 110 : 가로바
120 : 세로바 200 : 지지브라켓
210 : 고정면 220 : 지지걸림편
300 : 제1마감패널 310 : 제1전면
320 : 제1측면 321 : 고정연장편
321a : 패널걸림편 322 : 걸림연장편
322a : 제1걸림공 400 : 고정브라켓
411 : 체결면 411a : 체결공
412 : 지지홈 500 : 제2마감패널
510 : 제2전면 520 : 제2측면
521 : 상부절곡편 522 : 하부절곡편
522a : 제2걸림공 600 : 제3마감패널
610 : 제3전면 620 : 제3측면
621 : 상부연장편 622 : 하부연장편

Claims (4)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상향으로 절곡된 지지걸림편을 포함하는 지지브라켓;
    상기 지지브라켓의 지지걸림편에 걸려 지지되는 제1걸림공이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단부에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프레임에 고정된 고정연장편이 형성되되,상기 고정연장편으로부터 돌출되어 상향으로 절곡된 패널걸림편을 더 포함하는 제1마감패널;
    제1마감패널의 상방에 위치한 프레임에 고정되며, 하단부에는 다단절곡되어 지지홈이 형성된 고정브라켓;
    제1마감패널과 고정브라켓 사이에 배치되며, 하단부에는 제1마감패널의 패널걸림편에 걸려 지지되는 제2걸림공이 형성되며, 상단부는 고정브라켓의 지지홈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지지홈에 걸리는 상부절곡편을 포함하는 제2마감패널;
    제2마감패널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단부와 하단부는 각각 외측으로 연장된 상부연장편 및 하부연장편을 포함하되, 상부연장편은 프레임에 고정되고 하부연장편은 고정브라켓의 지지홈 내에서 제2마감패널의 상부절곡편 후방에 배치되는 제3마감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 마감패널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제1,2,3마감패널 사이의 상,하 간격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패널 조립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복수의 가로바와 세로바를 포함하고,
    세로바에는 제1,2,3마감패널과 동일한 색상 및 동일한 재질의 마감띠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패널 조립체.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걸림편과 패널걸림편은 랜싱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패널 조립체.
KR1020090013023A 2009-02-17 2009-02-17 마감패널 조립체 KR100929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023A KR100929227B1 (ko) 2009-02-17 2009-02-17 마감패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023A KR100929227B1 (ko) 2009-02-17 2009-02-17 마감패널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9227B1 true KR100929227B1 (ko) 2009-12-01

Family

ID=41683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3023A KR100929227B1 (ko) 2009-02-17 2009-02-17 마감패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92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4404B1 (ko) 2011-06-21 2011-11-22 이성우 방수 처리용 건축 내외장 판넬 및 그 시공 방법
KR101811586B1 (ko) 2017-10-12 2017-12-22 최용근 시공이 간편하고 진동을 흡수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건축용 조립식 금속 패널
KR102003274B1 (ko) * 2018-11-22 2019-07-24 채오석 건축물 금속패널의 조립식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4153A (ja) * 1987-10-02 1989-04-12 Ig Tech Res Inc パネル取付構造
KR0133036Y1 (ko) * 1996-03-21 1999-03-20 김광호 공기조화기의 통풍구
KR200293486Y1 (ko) 2002-08-08 2002-10-30 우정특수기업 주식회사 건물벽면용 장식패널의 이음장치
KR20090053661A (ko) * 2007-11-22 2009-05-27 주식회사 유 창 벽체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4153A (ja) * 1987-10-02 1989-04-12 Ig Tech Res Inc パネル取付構造
KR0133036Y1 (ko) * 1996-03-21 1999-03-20 김광호 공기조화기의 통풍구
KR200293486Y1 (ko) 2002-08-08 2002-10-30 우정특수기업 주식회사 건물벽면용 장식패널의 이음장치
KR20090053661A (ko) * 2007-11-22 2009-05-27 주식회사 유 창 벽체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4404B1 (ko) 2011-06-21 2011-11-22 이성우 방수 처리용 건축 내외장 판넬 및 그 시공 방법
KR101811586B1 (ko) 2017-10-12 2017-12-22 최용근 시공이 간편하고 진동을 흡수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건축용 조립식 금속 패널
KR102003274B1 (ko) * 2018-11-22 2019-07-24 채오석 건축물 금속패널의 조립식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7172B1 (ko) 벽체 구조
US9850656B2 (en) Construction panel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KR101334320B1 (ko) 건축물의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
CA2979613C (en) Ventilated facade
US20170258249A1 (en) Art wall for customized installation of shelves
KR100929227B1 (ko) 마감패널 조립체
KR100928436B1 (ko) 조립식 경량패널 및 조립식 경량패널 설치방법
KR101035274B1 (ko) 조립식 경량 패널의 구조
KR20130139663A (ko) 내외장재 고정용 프레임 조립체
KR101314873B1 (ko) 건축물의 천장 마감부재
KR101057561B1 (ko) 건축물 벽체용 장식부재
KR20090008735U (ko) 벽체 구조
KR20090009275U (ko) 벽체 구조
KR20110008339U (ko) 벽체 구조
KR101219093B1 (ko) 마감용 벽체 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200451204Y1 (ko) 원형기둥의 결합구조
KR102113530B1 (ko) 목재판 벽면 시공용 고정클립
KR101303473B1 (ko) 건물의 외벽면 마감 유니트
KR20100067797A (ko) 조립식 경량패널 및 조립식 경량패널 설치방법
KR200447649Y1 (ko) 조립성이 향상된 벽체구조물의 마감패널 어셈블리
KR102283881B1 (ko) 버드 스크린이 구비된 건축용 외장패널
KR200478485Y1 (ko) 개폐식 벽체 마감패널 조립체
KR102274452B1 (ko) 조립식 건축 외장패널
KR200475250Y1 (ko) 장식띠를 갖는 샌드위치판넬
KR200327601Y1 (ko) 천장의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