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9663A - 내외장재 고정용 프레임 조립체 - Google Patents

내외장재 고정용 프레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9663A
KR20130139663A KR1020120063324A KR20120063324A KR20130139663A KR 20130139663 A KR20130139663 A KR 20130139663A KR 1020120063324 A KR1020120063324 A KR 1020120063324A KR 20120063324 A KR20120063324 A KR 20120063324A KR 20130139663 A KR20130139663 A KR 20130139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interior
fixing
exterior materials
fram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3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영
Original Assignee
김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영 filed Critical 김근영
Priority to KR1020120063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9663A/ko
Publication of KR20130139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96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로 볼트 등의 체결수단이 노출되지 않아 깔끔한 외장 마무리가 가능한 내외장재 고정용 프레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길이방향으로 일측면에 슬릿이 형성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건축물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내외장재를 지지함과 동시에 고정시키는 브라켓과, 상기 프레임에 브라켓을 고정하기 위한 볼트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은 상기 슬릿이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수직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슬릿이 후방을 향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면에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고정되는 복수의 수평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내외장재 고정용 프레임 조립체{frame assembly for fixing of interior and exterior panel}
본 발명은 내외장재 고정용 프레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로 볼트 등의 체결수단이 노출되지 않아 깔끔한 외장 마무리가 가능한 건축물의 내외장재 고정용 프레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건물이나 대형 건물 등의 각종 건축물의 외벽 또는 내벽에는 건축물의 장식미와 외벽면 콘크리트층의 보호 등을 목적으로 내외벽에 여러 가지 장식재를 시공하게 되는데, 이 경우, 건물 내외벽에 부착하기 위해 각종 볼트나 너트, 리벳, 브라켓 등이 사용된다. 그리고, 이러한 볼트, 너트, 리벳, 브라켓 등은 건물과 패널 사이의 확실한 체결을 위해 패널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것이 통례이다. 이 경우, 강력한 체결력은 얻을 수 있는데 반해, 볼트, 너트, 리벳 등이 패널의 외부로 노출되어 건물 전체의 외관을 해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체결부재들은 금속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쉽게 녹슬고, 더 나아가 녹물이 흘러내림으로써 패널을 미관상 훼손하는 단점이 있었다.
다른 예로, 소정 규격으로 절단한 주로 천연석재 또는 인조석재의 상, 하면에 고정핀을 끼움 결합하고 고정핀은 건축물의 외면에 설치되는 고정부재에 고정시켜 내외장재를 시공하였던 것으로, 위와 같은 기존의 내외장재의 시공은 내외장재의 소재가 주로 천연석재를 이용함으로써 외관 장식미 등은 매우 우수한 것이었으나 상, 하면에 고정핀을 끼움 결합하여 시공함으로써 내외장재의 소재가 되는 천연석재를 반드시 소정 두께(대략 20∼25㎜) 이상으로 절단한 것을 이용하여 시공하여야 하였으며, 또한 석재의 상, 하면에 고정핀이 삽입되는 구멍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중량의 천연석재를 운반, 시공하는 데에 상당히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내외장재를 시공함에 있어 고정부재를 용접하여 고정하므로 고정부재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없으므로 고정부재의 위치를 정확히 고정하여야 하나, 고정부재를 고정하는 벽체의 환경이 다르므로 이를 일치시키는데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물에 패널 등과 같은 각종 내외장재를 보다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어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내외장재 고정용 프레임 조립체를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건축물에 내외장재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내외장재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브라켓의 위치를 상하로 이동하여 조절할 수 있어 내외장재의 크기에 상관없이 시공을 용이하게 하며, 시공 시 내외장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정확한 시공이 이뤄지도록 하는 내외장재 고정용 프레임 조립체를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외장재 고정용 프레임 조립체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길이방향으로 일측면에 슬릿이 형성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건축물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내외장재를 지지함과 동시에 고정시키는 브라켓과, 상기 프레임에 브라켓을 고정하기 위한 볼트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은 상기 슬릿이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수직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슬릿이 후방을 향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면에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고정되는 복수의 수평프레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직프레임은 슬릿이 형성된 전면의 폭(W1)이 후면의 폭(W2)보다 좁고, 양측면은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며,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슬릿이 형성된 전면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요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평 프레임의 전면과 상하면을 지지하도록 ‘ㄷ’자 형을 취하며 양측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의 슬릿에 볼트로 체결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에 수평프레임을 고정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평프레임은 전방으로 노출된 일측면에 길이방향과 수직하도록 장공 형태의 연결구가 복수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구는 후방으로 테두리를 따라 돌출된 돌기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브라켓은 ‘ㄴ’자로 절곡된 형태를 취하며, 각 면에 체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연결구에 볼트로 체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볼트는 머리부와 나사산이 형성된 몸통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머리부는 양측면이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양측면의 길이는 상기 양측면 사이 폭보다 길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외장재 고정용 프레임 조립체에 따르면, 건축물에 각종 패널 등의 내외장재를 보다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어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고, 건축물에 내외장재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내외장재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브라켓의 위치를 상하로 이동하여 조절할 수 있어 내외장재의 크기에 상관없이 시공을 용이하게 하며, 시공 시 내외장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정확한 시공이 이뤄지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외장재 고정용 프레임 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외장재 고정용 프레임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수직프레임의 단면도,
도 4는 수평프레임의 단면도,
도 5는 볼트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외장재 고정용 프레임 조립체의 시공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외장재 고정용 프레임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외장재 고정용 프레임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외장재 고정용 프레임 조립체의 시공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외장재 고정용 프레임 조립체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중공(111,121)이 형성되고, 상기 길이방향으로 일측면에 슬릿(112,122)이 형성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건축물(1)에 설치되는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에 설치되어 내외장재(2)를 지지함과 동시에 고정시키는 브라켓(200)과, 상기 프레임(100)에 브라켓(200)을 고정하기 위한 볼트(300)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슬릿(112)이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수직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수직프레임(110)과, 상기 슬릿(122)이 후방을 향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전면에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고정되는 복수의 수평프레임(120)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00)은 금속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슬릿(112,122)이 상호 마주하도록 교차하여 배치되는 수직프레임(110)과 수평프레임(1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프레임(110)은 건축물(1) 등에 앵커볼트 등과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되고, 고정된 수직프레임(110)의 전면에 수평프레임(120)이 고정된다. 상기 수직프레임(110)과 수평프레임(120)은 중공의 사각형 파이프의 형태를 취하며,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따라 일정한 폭으로 슬릿(112,122)이 형성된다. 상기 슬릿(112,122)은 상기 수직프레임(110)과 수평프레임(120)이 볼트(300)를 통해 연결되기 위해 필요하다.
브라켓(200)은 상기 프레임(100)에 설치되어 내외장재(2)를 지지함과 동시에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ㄴ’, ‘ㄷ’자 형을 비롯하여 다양한 모양의 브라켓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평 프레임(120)의 전면과 상하면을 지지하도록 ‘ㄷ’자 형을 취하며 양측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슬릿(112)에 볼트(300)로 체결되어 상기 수직프레임(110)에 수평프레임(120)을 고정하는 연결부재(40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수평프레임(120)은 수직프레임(110)에 별도의 연결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곧 바로 볼트 등으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볼트(300)는 수평프레임(120)과 브라켓(200)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됨과 동시에 수평프레임(120)을 수직프레임(110)에 고정하도록 상기 연결부재(400)를 상기 수직프레임(11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부재(400)는 절곡된 양측단부(401,402)에 상기 볼트(300)가 끼워지도록 장공 형태의 고정구(410)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구(410)와 수직프레임(110)의 슬릿(112)을 볼트(300) 및 너트(500)로 연결하여 상기 수평프레임(120)을 수직프레임(110)에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400)는 상기 수직프레임(110)을 건출물(1)의 외벽 등에 고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결부재(400)는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전면과 양측면을 지지하며, 양측단부는 상기 건축물(1)에 고정된다.
도 5는 볼트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볼트(300)는 머리부(310)와 나사산이 형성된 몸통부(320)로 이루어지며, 상기 머리부(310)는 양측면이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양측면의 길이(L1)는 상기 양측면 사이 폭(W3)보다 길게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머리부(310)의 폭(W3)은 상기 수직프레임(110)에 형성된 슬릿(112)의 폭(W4)과 같거나 작고, 그 길이(L1)는 상기 슬릿(112)의 폭(W4)보다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400)의 고정구(410)와 슬릿(112)에 볼트(300)의 머리부(310)를 끼우고, 회전시켜 슬릿(112)으로 머리부(310)가 빠지지 않도록 한 다음 연결부재(400) 방향에서 너트(500)를 체결하여 수직프레임(110)에 연결부재(400)를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수직프레임(110)의 슬릿(112)에 연결부재(400)가 고정됨에 따라 연결부재(4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상기 수평부재(120)의 간격조절이 가능해질 수 있다.
도 3은 수직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수직프레임(110)은 슬릿(112)이 형성된 전면의 폭(W1)이 후면의 폭(W2)보다 좁고, 양측면은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수직프레임(110)의 전면과 후면의 폭(W1,W2)이 상이하게 형성되기 위해서, 일측면에 슬릿(112)이 형성된 직사각형의 파이프 형태인 수직프레임(110)을 구비하고, 상기 슬릿(112)이 형성된 면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힘을 가하여 슬릿(W4)의 폭이 좁아지도록 그 형태를 변형시키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수직프레임(110)의 전면과 후면의 폭(W1,W2)이 상이하게 형성되면, 수직프레임(110)의 단면은 사다리꼴 모양을 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슬릿(112)의 양측 단부는 서로 가까워지려고 하는 탄성력이 형성되고, 그 결과 상기 슬릿(112)에 볼트(300)를 끼울 경우 볼트(300)와 수직프레임(110)의 고정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며, 상기 수직프레임(110)은 상기 슬릿(112)이 형성된 전면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요입된다. 즉,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전면은 상기 슬릿(112)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구분되는데 양측이 각각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내측으로 경사져 오목하게 요입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수직프레임(110)의 전면에 오목하게 형성될 경우 내측으로 인입되려는 탄성력이 생긴다. 따라서, 상기 탄성력에 의해 슬릿(112)에 볼트(300)를 체결할 경우 상기 볼트(300)와 너트(500)의 체결력이 향상되고, 결과적으로 볼트(300)와 너트(500) 사이에 끼워지는 연결부재(400)와 수직프레임(110)의 고정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평프레임(120)은 전방으로 노출된 일측면에 길이방향과 수직하도록 장공 형태의 연결구(123)가 복수 형성된다.
상기 수평프레임(120)에 형성된 연결구(123)에는 상기 브라켓(200)이 고정된다. 즉, 상기 연결구(123)가 장공의 형태를 취할 경우 그 길이만큼 상기 브라켓(200)의 위치가 조절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상기 수평프레임(12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수평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수평프레임(120)에형성된 연결구(123)는 후방으로 테두리를 따라 돌출된 돌기부(124)를 형성한다.
상기 돌기부(124)는 상기 수평프레임(120)의 전면에서 후방으로 연결구(123)를 타공하는 과정에서 그 테두리가 절곡되면서 형성된 것 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돌기부(124)가 형성될 경우 상기 연결구(123)에 볼트(300)가 끼워져 브라켓(200) 등과 체결될 때, 상기 볼트(300)의 머리부(310)가 상기 돌기부(124)를 가압하면서 상기 머리부(310)의 형태가 변형되고, 볼트(300)와 너트(500) 사이에 끼워진 수평프레임(120)과 브라켓(200)의 고정력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124)는 상기 볼트(300)의 머리부(310)에 형성된 단턱부(311)가 끼워지는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볼트(300)의 머리부(310)와 몸통부(320)사이에는 상기 머리부(310)보다 작은 크기의 단턱부(311)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돌기부(124)의 높이는 상기 단턱부(311)의 두께와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사이 단턱부(311)가 상기 돌기부(124)에 끼워질 경우 상기 볼트(300)가 공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브라켓(200)은 ‘ㄴ’자로 절곡된 형태를 취하며, 각 면에 장공 형태의 체결구가(211)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211)는 상기 수평프레임(120)의 연결구(123)에 볼트(300)로 체결된다. 상기 연결구(123) 체결구(211)는 장공의 형태를 취하기 때문에 상기 연결부재(400)의 고정구(410)와 수직프레임(110)의 슬릿(112)이 연결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볼트(300)의 머리부(310)를 체결구(211)와 연결구(123)에 끼우고 90°가량 회전한 다음 몸통부(320)에 너트(500)를 체결하여 수평프레임(120)에 브라켓(200)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 내외장재 고정용 프레임 조립체에 따르면, 건축물(1)에 각종 패널 등의 내외장재(2)를 보다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어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고, 건축물(1)에 내외장재(2)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내외장재(2)를 지지하는 프레임(100)과 브라켓(200)의 위치를 상하로 이동하여 조절할 수 있어 내외장재(2)의 크기에 상관없이 시공을 용이하게 하며, 시공 시 내외장재(2)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정확한 시공이 이뤄지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건축물
2 : 내외장재
100 : 프레임
110 : 수직 프레임
111,121 : 중공
112,122 : 슬릿
120 : 수평 프레임
123 : 연결구
124 : 돌기부
200 : 브라켓
211 : 체결구
300 : 볼트
310 : 머리부
320 : 몸통부
400 : 연결부재

Claims (8)

  1.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길이방향으로 일측면에 슬릿이 형성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건축물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내외장재를 지지함과 동시에 고정시키는 브라켓과, 상기 프레임에 브라켓을 고정하기 위한 볼트를 포함하는 내외장재 고정용 프레임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슬릿이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수직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수직프레임;
    상기 슬릿이 후방을 향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면에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고정되는 복수의 수평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재 고정용 프레임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은 슬릿이 형성된 전면의 폭(W1)이 후면의 폭(W2)보다 좁고, 양측면은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재 고정용 프레임 조립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슬릿이 형성된 전면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요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재 고정용 프레임 조립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프레임의 전면과 상하면을 지지하도록 ‘ㄷ’자 형을 취하며 양측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의 슬릿에 볼트로 체결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에 수평프레임을 고정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재 고정용 프레임 조립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은 전방으로 노출된 일측면에 길이방향과 수직하도록 장공 형태의 연결구가 복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재 고정용 프레임 조립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후방으로 테두리를 따라 돌출된 돌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내외장재 고정용 프레임 조립체.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ㄴ’자로 절곡된 형태를 취하며, 각 면에 장공 형태의 체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연결구에 볼트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재 고정용 프레임 조립체.
  8. 제 1항 내지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는 머리부와 나사산이 형성된 몸통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머리부는양측면이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양측면의 길이는 상기 양측면 사이 폭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재 고정용 프레임 조립체.
KR1020120063324A 2012-06-13 2012-06-13 내외장재 고정용 프레임 조립체 KR201301396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324A KR20130139663A (ko) 2012-06-13 2012-06-13 내외장재 고정용 프레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324A KR20130139663A (ko) 2012-06-13 2012-06-13 내외장재 고정용 프레임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663A true KR20130139663A (ko) 2013-12-23

Family

ID=49984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3324A KR20130139663A (ko) 2012-06-13 2012-06-13 내외장재 고정용 프레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966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840U (ko) * 2015-11-18 2017-05-26 티에이치산업주식회사 변압기 코어 고정용 프레임장치
KR101864175B1 (ko) * 2018-01-30 2018-06-04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신축조절이 용이한 공동주택용 실내 마감재
WO2019078376A1 (ko) * 2017-10-17 2019-04-25 백종균 하우스 시공방법
KR102054616B1 (ko) * 2019-04-19 2019-12-11 서광석 복합단열패널 시공방법
KR20200142351A (ko) * 2019-06-12 2020-12-22 신성한 마감패널 고정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외벽마감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840U (ko) * 2015-11-18 2017-05-26 티에이치산업주식회사 변압기 코어 고정용 프레임장치
WO2019078376A1 (ko) * 2017-10-17 2019-04-25 백종균 하우스 시공방법
KR101864175B1 (ko) * 2018-01-30 2018-06-04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신축조절이 용이한 공동주택용 실내 마감재
KR102054616B1 (ko) * 2019-04-19 2019-12-11 서광석 복합단열패널 시공방법
KR20200142351A (ko) * 2019-06-12 2020-12-22 신성한 마감패널 고정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외벽마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1481B1 (ko) 내진설계용 석재패널 고정장치
US9169652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ed building panel
KR20130139663A (ko) 내외장재 고정용 프레임 조립체
CN203834865U (zh) 墙面施工用角形件单元
AU2013273747B2 (en) Plastic panel and structures using the same
KR20130045711A (ko) 실내장식용 커튼월 시공장치
US10113345B2 (en) Cover of inspection chamber
KR101164727B1 (ko) 건물의 벽면 구조
KR101310889B1 (ko) 건축용 외장패널의 연결구조
KR101365959B1 (ko) 인테리어 타일형 실내 벽체 마감재
KR200463291Y1 (ko) 크린룸 천정
JP3187045U (ja) 陳列棚
US20180274251A1 (en) Safety and debris drop netting system and related methodology
KR101794530B1 (ko) 건물외벽의 패널 시공구조 및 패널 시공방법
KR101753700B1 (ko)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
KR20140006220U (ko) 석재고정 브라켓 구조 및 석재 복합 패널
KR20170000820A (ko)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
KR20160042374A (ko) 외장패널 고정용 조립식 프레임
KR100929227B1 (ko) 마감패널 조립체
CN210622093U (zh) 一种装配式金属墙体系统
CN106337521A (zh) 一种装饰条与立柱、横梁一体化的玻璃幕墙
KR20060030184A (ko) 외측면에 패널고정철물을 구비한 건축물의 벽체 마감 패널
KR101040234B1 (ko) 데크 어셈블리
JP6001736B1 (ja) 目隠しパネルの固定構造及び目隠しパネルの固定方法
CN203905229U (zh) 一种无需大量胶缝的铝板墙板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624

Effective date: 2014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