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3661A - 벽체 구조 - Google Patents

벽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3661A
KR20090053661A KR1020080016106A KR20080016106A KR20090053661A KR 20090053661 A KR20090053661 A KR 20090053661A KR 1020080016106 A KR1020080016106 A KR 1020080016106A KR 20080016106 A KR20080016106 A KR 20080016106A KR 20090053661 A KR20090053661 A KR 20090053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bent
piece
wall structur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6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7172B1 (ko
Inventor
조용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 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 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 창
Publication of KR20090053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3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7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7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Hooking means on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벽체 구조를 구성하는 고정프레임과 마감패널 간에 결합 및 분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벽체 외관의 미려함을 향상시키도록 한 벽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벽체 콘크리트에 고정되며, 복수의 가로바와 복수의 세로바가 일체로 형성된 고정 프레임;상기 고정프레임의 가로바와 세로바에 배치되어 벽체 콘크리트를 마감하며, 평면의 플레이트와 이 플레이트로부터 플레이트의 후방을 향해 절곡된 절곡편을 포함하는 마감패널;상기 고정프레임과 마감패널 중, 어느 하나에는 피(被)걸림수단이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피걸림수단에 걸려 결합되는 걸림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구조를 제공한다.
벽체,고정프레임,마감패널,피걸림수단,걸림수단,간격마감부재

Description

벽체 구조{structure of wall assembly}
본 발명은 벽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프레임에 대한 마감패널의 결합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함과 더불어, 외관을 미려하게 한 벽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벽체에 있어 외부의 시선에 노출되는 부위의 경우, 그 외관을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도록 벽 구조체의 표면에 마감 공사를 실시하게 된다.
이와 같은 벽체 마감 공사에 있어서는 종래로부터 다양한 방식의 마감이 알려져 시공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천연석재, 인조석, 금속판재, 합성수지판재, 나무판 등과 같이 일정 크기의 사각 패널 형태로 이루어진 마감 패널을 건축물의 벽체에 연속적으로 부착하여 시공하는 방식이 건축물의 벽체 마감 방식으로 널리 시공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건축용 마감 패널의 부착 시공에 있어서, 기존에는 콘크리트와 같은 벽체 표면에 시멘트 몰탈 등을 도포한 후, 마감패널을 압착하여 부착시키는 습식 시공방법이 주로 행해지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벽체 콘크리트에 먼저 금속의 각 파이프 등으로 고정프레임을 설치한 후, 그 위에 마감 패널을 스크류에 의해 고정시키는 건식시공방식에 대한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벽체 구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종래의 벽체구조는 벽체의 콘크리트에 고정된 고정프레임(1)과, 이 고정프레임(1)에 고정된 복수의 마감 패널(3)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프레임(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가로바(1a)와 세로바(1b)가 결합되고, 마감패널이 나사체결되도록 제공된다.
그리고, 마감패널(3)은 벽체 콘크리트(C)를 마감하며, 평면의 패널몸체(3a)와, 스크류(S)가 체결될 수 있도록 패널몸체(3a)의 네 측면으로부터 외향 절곡된 절곡편(3b)을 포함한다.
이때, 절곡편(3b)에는 스크류(S)가 체결되기 위한 복수의 체결공(3c)이 형성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 벽체구조의 결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로바(1a)와 세로바(1b)에 걸쳐 마감패널(3)의 절곡편(3b)을 배치시킨 후, 스크류(S)를 이용하여 절곡편(3b)에 형성된 체결공(3c)을 통해 고정프레임(1)에 체결시킨다.
이에 따라, 고정프레임(1)에 대한 마감 패널(3)의 결합이 완료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벽체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첫째, 벽체의 외관이 미려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즉, 마감 패널(3)의 절곡편(3b)에 노출된 스크류(S), 정확하게는 스크류(S)의 머리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벽체의 외관이 깔끔하게 보이지 않았던 것이다.
게다가, 마감 패널(3) 사이로 보이는 가로바(1a) 및 세로바(1b)와 마감 패널(3)의 재질 및 색상이 일치하지 않아 벽체 외관의 미려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물론, 가로바(1a) 및 세로바(1b)와 마감패널(3)의 재질 및 색상을 동일하게 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벽체를 마감하는 마감패널(3)의 재질 및 도료의 품질을 고려할 때, 마감패널(3)의 품질 등급은 다소 높게 고려된다.
즉, 마감패널(3)의 품질 등급과 동일한 등급으로 가로바(1a) 및 세로바(1b)를 제작할 경우, 제작 비용이 증가되어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둘째, 복수의 스크류(S)를 이용해 마감패널(3)을 고정프레임(1)에 고정시킴으로써, 공수가 증가 되어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게다가, 마감패널(3)의 보수 및 교체를 위해 고정프레임(1)으로부터 마감패널(3)을 해체하는 과정 역시 번거로움이 발생하였으며, 스크류(S) 체결부위의 협소함으로 인해 작업자의 작업성이 저하되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벽체의 외관을 미려함게 함과 더불어, 고정프레임에 대한 마감패널의 착탈이 용이한 벽체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벽체 콘크리트에 고정되며, 복수의 가로바와 복수의 세로바가 일체로 형성된 고정 프레임;상기 고정프레임의 가로바와 세로바에 배치되어 벽체 콘크리트를 마감하며, 평면의 플레이트와 이 플레이트로부터 플레이트의 후방을 향해 절곡된 절곡편을 포함하는 마감패널;상기 고정프레임과 마감패널 중, 어느 하나에는 피(被)걸림수단이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피걸림수단에 걸려 결합되는 걸림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구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피걸림수단은 고정프레임의 가로바에 복수로 설치되고, 상기 걸림수단은 마감패널에 설치되되,상기 피걸림수단은 가로바의 상면에 나사 체결된 고정부와, 이 고정부로부터 가로바의 정면을 따라 하향 절곡된 후, 이 절곡된 단부로부터 상향으로 재절곡되어 걸림홈을 형성하는 절곡부를 포함하며,상기 걸림수단은 마감패널의 상부에 형성된 절곡편으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상기 걸림홈에 삽입된 걸림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걸림수단의 각 절곡부에는 마감패널의 측면에 형성된 절곡편에 접촉될 만큼 외측으로 연장된 유동방지부가 더 형성되어 마감패널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걸림수단은 고정프레임의 세로바 또는 가로바에 복수로 설치되고, 상기 걸림수단은 마감패널에 설치되되,상기 피걸림수단은 가로바 또는 세로바 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공을 포함하고,상기 걸림수단은 마감패널 중 상기 걸림공에 대응되는 부위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공에 삽입될 수 있도록 마감패널로부터 하방으로 다단 절곡된 걸림후크인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은 복수의 가로바와 이 가로바에 설치된 세로바로 구성되되, 상기 세로바는 가로바에 설치된 설치면과, 상기 설치면으로부터 외향 절곡되어 벽체 콘크리트에 대하여 수평한 수평면을 포함하며,상기 걸림수단은 마감패널의 후방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공을 포함하고,상기 피걸림수단은 상기 걸림공에 삽입될 수 있도록 수평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다단 절곡된 걸림후크인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마감패널은 복수의 가로바에 상,하 방향으로 연속되게 결합되고,상기 마감패널의 하부에 형성된 절곡편에는 이 절곡편으로부터 하향 절곡된 삽입편이 더 형성되며,상기 삽입편은 하방에 위치된 마감패널의 후방에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세로바에는 마감패널 사이를 통해 세로바가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세로바를 차폐하는 간격마감부재가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간격마감부재의 재질 및 색상은 마감패널의 재질 및 색상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간격마감부재는 세로바에 나사체결되되, 이 나사의 위치는 마감패널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편에 대응되고,상기 마감패널의 걸림편에는 상기 나사의 돌출된 부위를 수용하는 절개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벽체 구조에 의하면 고정프레임에 대한 마감 패널의 결합이 스크류 체결에 의한 결합방식이 아닌 걸림수단과 피걸림수단에 의한 결합방식으로써, 벽체의 외부로 별도의 체결수단이 노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벽체 외관의 깔끔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감 패널 사이에 노출된 세로바의 일부에만 마감 패널과 동일한 품질의 간격마감부재가 설치됨으로써, 합리적인 비용으로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프레임에 대한 마감 패널의 결합방식이 걸림 방식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공수가 줄게 되어 작업이 간편해진다.
이에 따라,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벽체 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 구조는 고정프레임(100)과, 피(被)걸림수단(200)과, 마감패널(300)과, 걸림수단(400)과, 간격마감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프레임(100)은 벽체 콘크리트에 고정되며, 복수의 가로바(110)와 복수의 세로바(120)가 상호 사각 형태의 틀을 구성한다.
이때, 고정프레임(100)은 가로바(110)와 세로바(120)가 각각 구비된 후, 상호 결합을 통해 형성될 수도 있지만, 고정프레임(100)의 견고성을 위해 용접 등에 의한 방법으로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고정프레임(100)의 재질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제조비용의 절감을 위해, 완벽한 도장(塗裝)은 이루어지지 않아도 무방하다.
즉, 고정프레임(100)은 마감패널(300) 및 간격마감부재(500)에 의해 차폐되기 때문에, 굳이 미려함을 위해 완벽한 도장을 할 필요는 없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100)에는 마감패널(300)이 걸려 결합되기 위한 피걸림수단(200)이 설치된다.
상기 피걸림수단(200)은 가로바(110)의 상면에 스크류(S)로 체결된 복수의 고정부(210)와, 각각의 고정부(210) 단부로부터 가로바(110)의 정면을 따라 하방으로 절곡된 후, 이 절곡된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재절곡된 절곡부(2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절곡부(220)가 형성됨으로 인해, 고정부(210)와 절곡부(220) 사이에는 걸림홈(220a)이 형성된다.
이때, 걸림홈(220a)의 폭은 후술하는 마감패널(300)의 걸림편과, 마감패널(300)의 삽입편이 함께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절곡부(220)의 외측 단부에는 이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유동방지부(230)가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동방지부(230)는 마감패널(300)이 피걸림수단(200)에 결합되었을 때, 마감패널(300)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유동방지부(230)의 연장 길이는 후술하는 마감패널(300)의 절곡편에 접촉될 정도로 연장된다.
다음으로, 마감패널(300)은 벽체 콘크리트를 차폐하여 벽체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고정프레임(100)의 가로바(110)와 세로바(120)에 대응되어 배치된다.
이때, 마감패널(300)의 재질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되, 벽체의 외관을 미려하게 마감하는 만큼, 고정프레임(100)의 재질에 비해 등급이 높은 재질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감패널(300)은 열처리 공정을 통한 도장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벽체의 미려함을 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마감패널(300)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사각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그 예로 한다.
상기 마감패널(300)은 평면으로 이루어진 사각 형태의 플레이트(310)와, 이 플레이트(310)의 단부로부터 플레이트(310)의 후방을 향해 각각 절곡된 절곡편(320)을 포함한다.
그리고, 마감패널(300)의 하부에 형성된 절곡편(320)에는 삽입편(330)이 더 형성된다.
상기 삽입편(330)은 고정프레임(100) 중, 가로바(110)의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며, 하방에 설치된 피걸림수단(200)의 걸림홈(220a)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편(330)은 마감패널(300)의 하부에 형성된 절곡편(320)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삽입편(330)은, 고정프레임(100) 중, 상부에 배치된 마감패널(300)과 이 마감패널(300)의 하부에 배치된 마감패널(300) 사이의 간격을 통해 노출된 가로바(110)의 표면을 차폐하는 것이다.
그리고, 마감패널(300)에는 고정프레임(100)에 설치된 피걸림수단(200)에 걸려 결합되기 위한 걸림수단(400)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수단(400)은 마감패널(300)을 피걸림수단(200)에 걸어 결합시키며, 마감패널(300)의 상부에 형성된 절곡편(320)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재절곡된 걸림편(410)을 포함한다.
즉, 마감패널(300)의 걸림편(410)이 피걸림수단(200)의 걸림홈(220a)에 상기한 마감패널(300)의 삽입편(330)과 함께 삽입되는 것이다.
이때, 마감패널(300)에 형성된 걸림편(410)과 삽입편(330)이 하나의 피걸림수단(200)에 삽입되는 것은 아니며, 마감패널(300)이 고정프레임(100)에 상,하로 복수 배치되었을 때, 상부에 배치된 어느 마감패널(300)의 삽입편(330)과 이 마감패널(300)의 하부에 배치된 다른 마감패널(300)의 걸림편(410)이 하나의 걸림홈(220a)에 삽입되는 것이다.
한편, 마감패널(300)의 걸림편(410)과 삽입편(330)에는 그들의 양단부에 각각 절개홈(411,331))이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편(410)에 형성된 절개홈(411)과 삽입편(330)에 형성된 절개홈(331)은 간격마감부재(500)가 고정프레임(100)의 세로바(120)에 스크류(S)로 체결되었을때, 상기 세로바(120)로부터 돌출된 스크류(S)의 머리를 수용하기 위함이 다.
만약, 절개홈(411)이 형성되지 않으면, 마감패널(300)은 걸림편(410) 및 삽입편(330)과 스크류(S)의 머리가 간섭되어 스크류(S)의 머리 두께만큼, 고정프레임(100)으로부터 튀어나온 상태가 되어 벽체의 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마감패널(300)과 고정프레임(100) 간에 불안정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간격마감부재(500)는 좌,우로 배치된 마감패널(300) 사이로 노출된 세로바(120)의 표면을 차폐하여 벽체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간격마감부재(500)는 스크류(S)에 의해 각각의 세로바(120)에 나사 체결된다.
또한, 상기 간격마감부재(500)는 마감패널(300)의 재질 및 색상과 동일하게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벽체 전체 외관에 통일된 느낌을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간격마감부재(500)는 세로바(120)의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인 만큼, 제조비용의 절감을 위해 두껍게 형성될 필요는 없다.
설령, 두껍게 형성된다면, 세로바(120)에 대한 스크류(S) 체결이 어려워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 4 및 도 5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벽체 구조의 결합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고정프레임(100)의 각 세로바(120)에 간격마감부재(500)를 스크류(S)로 체결시킨다.
이때, 세로바(120)에 체결된 스크류(S)의 위치는 마감패널(300)의 절개홈(411)과 삽입편(330)의 절개홈(331)의 대응된 위치에 위치된다.
다음으로, 고정프레임(100)의 가로바(110) 각각에 피걸림수단(200)을 고정시킨다.
이때, 스크류(S)를 이용하여 피걸림수단(200)의 고정부(210)를 가로바(110)의 상면에 안착시킨 후, 스크류(S) 체결시킨다.
이때, 마감패널(300)의 걸림편(410)에 대응되는 피걸림수단(200)의 개수는 두개 정도임이 바람직하다.
즉, 피걸림수단(200)은 걸림편(410)의 양단부에 대응되도록 가로바(110)에 두개 정도 설치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어느 하나의 마감패널(300)(이하 '제1패널'이라 함)에 형성된 걸림편(410)을 피걸림수단(200)의 걸림홈(220a)에 걸어 결합시킨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걸림수단(200)의 유동방지부(230)가 상기 제1패널(300)의 양측 절곡편(320) 내측을 지지하여 제1패널(300)의 유동을 방지하며, 간격마감부재(500)를 체결한 스크류(S)의 머리는 제1패널(300)의 절개홈(411,331))에 각각 수용된다.
그리고, 제1패널(300)의 삽입편(330)은 상기 제1패널(300)의 하방에 설치된 피걸림수단(200)의 걸림홈(220a)에 삽입된다.
다음으로, 다른 하나의 마감패널(300)(이하 '제2패널'이라 함)에 형성된 걸림편(410)을 상기 제1패널(300)의 삽입편(330)이 삽입된 걸림홈(220a)에 걸어 결합 시킨다.
이때, 제2패널(300)의 걸림편(410)은 상기 제1패널(300)의 삽입편(330)이 삽입된 걸림홈(220a)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편(330)과 밀착되면서 제1패널(300)과 제2패널(300)의 상호 결합관계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벽체 구조의 결합이 완료된다.
지금까지, 피걸림수단은 고정부와 절곡부를 포함하고 걸림수단은 마감패널에 형성된 걸림편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하, 첨부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벽체 구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부호를 병기하도록 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벽체 구조는 고정프레임(100)과, 피걸림수단(600)과, 마감패널(300)과, 걸림수단(700)과, 간격마감부재(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프레임(100)은 벽체 콘크리트에 고정되며, 복수의 가로바(110)와 복수의 세로바(120)가 상호 사각 형태의 틀을 구성한다.
이때, 고정프레임(100)의 세로바(120)에는 피걸림수단(600)이 형성되며, 상기 피걸림수단(600)은 세로바(120)에 복수로 형성된 걸림공(610)을 포함한다.
상기 걸림공(610)은 후술하는 마감패널(300)의 걸림후크에 대응되며, 세로 바(12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킨다.
다음으로, 마감패널(300)은 벽체 콘크리트를 차폐하여 벽체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고정프레임(100)의 가로바(110)와 세로바(120)에 대응되어 배치된다.
상기 마감패널(300)은 평면으로 이루어진 사각 형태의 플레이트(310)와, 이 플레이트(310)의 단부로부터 플레이트의 후방을 향해 각각 절곡된 절곡편(320)을 포함한다.
이때, 마감패널(300)의 하부에 형성된 절곡편(320)에는 삽입편(330)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편(330)은 고정프레임(100) 중, 가로바(110)의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며, 하방에 설치된 마감패널(300)의 재절곡편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삽입편(330)은 마감패널(300)의 하부에 형성된 절곡편(320)으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마감패널(330)의 상부 및 양측에 형성된 절곡편(320)에는 이 절곡편(320)의 단부로부터 각각 재절곡된 재절곡편(34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마감패널(300)의 상부에 형성된 재절곡편(340)의 양측에는 절개홈(411)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간격마감부재(800)를 체결시키는 스크류(S)의 머리를 수용한다.
그리고, 마감패널(300)의 양측에 형성된 재절곡편(340)에는 상기 고정프레 임(100)에 설치된 피걸림수단(600)의 걸림공(610)에 걸려 결합되기 위한 걸림수단(700)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수단(700)은 마감패널(300)을 피걸림수단(600)인 걸림공(610)에 걸려 마감패널(300)을 결합시킨다.
이때, 재절곡편(340)에는 상기 걸림공(610)에 걸려 지지되기 위한 걸림후크(710)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후크(710)는 상기 재절곡편(340)으로부터 외향 돌출된 후, 이 돌출된 부위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후크(710)는 마감패널(300)의 양측에 형성된 재절곡편(34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간격마감부재(800)는 좌,우로 배열된 마감패널(300) 사이로 노출된 세로바(120)의 표면을 차폐하여 벽체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간격마감부재(800)는 스크류(S)에 의해 각각의 세로바(120)에 스크류(S) 체결된다.
이때, 간격마감부재(800) 중, 세로바(120)에 형성된 걸림공(610)에 대응된 부위에는 상기 걸림공(610)에 연통되는 통공(810)이 형성된다. 이 통공은 상기 걸림공의 형태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 7을 더 참조하여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벽체 구조의 결합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고정프레임(100)의 세로바(120)에 간격마감부재(800)를 스크류(S) 체 결시킨다.
이때, 간격마감부재(800)는 통공(810)이 세로바(120)의 걸림공(610)과 연통되도록 배치되며, 체결된 스크류(S)의 위치는 마감패널(300)의 절개홈(411)에 수용되도록 위치된다.
다음으로, 어느 하나의 마감패널(300)(이하 '제1패널'이라 함)의 걸림후크(710)를 간격마감부재(800)의 통공(810)과 걸림공(610)을 통해 걸어 상기 제1패널(300)을 고정프레임(100)에 결합시킨다.
이때, 걸림후크(710)의 형성으로 인해, 제1패널(300)의 후방과 고정프레임(100)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다른 하나의 패널(300)(이하 '제2패널'이라 함)을 고정프레임(100) 중 제1패널(300)의 상방에 결합시킨다.
이때, 제2패널(300)의 걸림후크(710)는 간격마감부재(800)의 통공(810) 및 세로바(120)의 걸림공(610)을 통해 걸리게 되며, 제2패널(300)의 삽입편(33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패널(300)의 재절곡편(340) 후방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마감패널(300)과 고정프레임(100) 상호간에 밀착되어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일련의 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벽체 구조의 결합이 완료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걸림공의 위치는 고정프레임의 가로바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마감패널의 걸림후크 역시 상기 걸림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 성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벽체 구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부호를 병기하도록 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벽체 구조는 고정프레임(100)과, 피걸림수단과, 마감패널(300)과, 걸림수단과, 간격마감부재(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프레임(100)은 벽체 콘크리트에 고정되며, 복수의 가로바(110)와 복수의 세로바(13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세로바(130)는 가로바를 상,하로 가로지르며 설치된 설치면(131)과, 이 설치면(131)으로부터 외향 절곡되어 벽체 콘크리트에 대하여 수평한 수평면(133)을 포함한다.
이때, 고정프레임(100)의 세로바(130)에는 피걸림수단이 형성되며, 상기 피걸림수단은 마감패널(300)이 고정프레임(100)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때, 피걸림수단은 세로바(130)에 복수로 형성된 걸림후크(910)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후크(910)는 상기 세로바(130)의 수평면(133)으로부터 외향 돌출된 후, 이 돌출된 부위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다음으로, 마감패널(300)은 벽체 콘크리트를 차폐하여 벽체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고정프레임(100)의 세로바(130)에 대응되어 배치된다.
상기 마감패널(300)은 평면으로 이루어진 사각 형태의 플레이트(310)와, 이 플레이트(310)의 단부로부터 플레이트의 후방을 향해 각각 절곡된 절곡편(320)을 포함한다.
이때, 마감패널(300)의 하부에 형성된 절곡편(320)에는 삽입편(330)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편(330)은 고정프레임(100) 중, 벽체 콘크리트의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며, 하방에 설치된 마감패널(300)의 재절곡편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삽입편(330)은 마감패널(300)의 하부에 형성된 절곡편(320)으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마감패널(330)의 상부 및 양측에 형성된 절곡편(320)에는 이 절곡편(320)의 단부로부터 각각 재절곡된 재절곡편(34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마감패널(300)의 상부에 형성된 재절곡편(340)의 양측에는 절개홈(411)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간격마감부재(800)를 체결시키는 스크류(S)의 머리를 수용한다.
그리고, 마감패널(300)의 양측에 형성된 재절곡편(340)에는 상기 고정프레임(100)에 설치된 피걸림수단, 즉, 걸림후크(910)에 걸려 결합되기 위한 걸림수단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수단은 세로바(120)에 설치된 걸림후크(910)에 대응된 걸림공(950)으로 구성된다.
이때, 걸림공(950)은 마감패널(300)의 양측에 형성된 재절곡편(340)을 관통시킨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걸림공(950)은 마감패널(300)의 양측에 형성된 재절곡편(34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걸림후크(910) 역시 세로바(120) 중 상기 걸림공(950)에 대응된 위치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간격마감부재(800)는 좌,우로 배열된 마감패널(300) 사이로 노출된 세로바(120)의 표면을 차폐하여 벽체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간격마감부재(800)는 스크류(S)에 의해 각각의 세로바(120)에 스크류(S) 체결된다.
이때, 간격마감부재(800) 중, 세로바(120)에 설치된 걸림후크(910)에 대응된 부위에는 상기 걸림후크(910)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공(810)이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 9를 더 참조하여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벽체 구조의 결합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가로바(110)를 벽체 콘크리트에 고정시키고, 세로바(130)를 상기 가로바(110)에 고정시킨다.
이후, 고정프레임(100)의 세로바(120)에 간격마감부재(800)를 스크류(S) 체결시킨다.
이때, 걸림후크(910)는 간격마감부재(800)의 통공(810)을 통해 노출되며, 체결된 스크류(S)의 위치는 마감패널(300)의 절개홈(411)에 수용되도록 위치된다.
다음으로, 어느 하나의 마감패널(300)(이하 '제1패널'이라 함)의 걸림 공(950)을 세로바(120)의 걸림후크(910)에 걸어 상기 제1패널(300)을 고정프레임(100)에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다른 하나의 패널(300)(이하 '제2패널'이라 함)을 고정프레임(100) 중 제1패널(300)의 상방에 결합시킨다.
이때, 제2패널(300)의 걸림공(950) 역시 세로바(120)의 걸림후크(910)에 걸리게 되며, 제2패널(300)의 하부에 위치한 삽입편(33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패널(300)의 재절곡편(340)과 간격마감부재 사이에 끼움된다.
이에 따라, 마감패널(300)과 고정프레임(100) 상호간에 밀착되어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일련의 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벽체 구조의 결합이 완료된다.
도 1은 종래의 벽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벽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벽체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벽체 구조의 단면을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벽체 구조의 요부를 나타낸 요부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벽체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벽체 구조의 단면을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벽체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벽체 구조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고정프레임 110 : 가로바
120,130 : 세로바 200,600 : 피걸림수단
131 : 설치면 133 : 수평면
210 : 고정부 220 : 절곡부
220a : 걸림홈 230 : 유동방지부
300 : 마감패널 310 : 플레이트
320 : 절곡편 330 : 삽입편
340 : 재절곡편 400,700 : 걸림수단
410 : 걸림편 411,331 : 절개홈
500,800 : 간격마감부재 610,950 : 걸림공
710,910 : 걸림후크 810 : 통공

Claims (9)

  1. 벽체 콘크리트에 고정된 복수의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에 배치되어 벽체 콘크리트를 마감하며, 평면의 플레이트와 이 플레이트로부터 플레이트의 후방을 향해 절곡된 절곡편을 포함하는 마감패널;
    상기 고정프레임과 마감패널 중, 어느 하나에는 피(被)걸림수단이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피걸림수단에 걸려 결합되는 걸림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은 복수의 가로바와, 이 가로바를 연결하는 복수의 세로바를 포함하며,
    상기 피걸림수단은 고정프레임의 가로바에 복수로 설치되고, 상기 걸림수단은 마감패널에 설치되되,
    상기 피걸림수단은 가로바의 상면에 나사 체결된 고정부와, 이 고정부로부터 가로바의 정면을 따라 하향 절곡된 후, 이 절곡된 단부로부터 상향으로 재절곡되어 걸림홈을 형성하는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수단은 마감패널의 상부에 형성된 절곡편으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상기 걸림홈에 삽입된 걸림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피걸림수단의 각 절곡부에는 마감패널의 측면에 형성된 절곡편에 접촉될 만큼 외측으로 연장된 유동방지부가 더 형성되어 마감패널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구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피걸림수단은 고정프레임의 세로바 또는 가로바에 복수로 설치되고, 상기 걸림수단은 마감패널에 설치되되,
    상기 피걸림수단은 가로바 또는 세로바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공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수단은 마감패널 중 상기 걸림공에 대응되는 부위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공에 삽입될 수 있도록 마감패널로부터 하방으로 다단 절곡된 걸림후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은 복수의 가로바와 이 가로바에 설치된 세로바로 구성되되, 상기 세로바는 가로바에 설치된 설치면과, 상기 설치면으로부터 외향 절곡되어 벽체 콘크리트에 대하여 수평한 수평면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수단은 마감패널의 후방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공을 포함하고,
    상기 피걸림수단은 상기 걸림공에 삽입될 수 있도록 수평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다단 절곡된 걸림후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구조.
  6. 제 1항, 제 2항, 제 4항,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패널은 복수의 고정프레임에 연속되게 결합되고,
    상기 마감패널의 하부에 형성된 절곡편에는 이 절곡편으로부터 하향 절곡된 삽입편이 더 형성되며,
    상기 삽입편은 하방에 위치된 마감패널의 후방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구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바에는 마감패널 사이를 통해 세로바가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세로바를 차폐하는 간격마감부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구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마감부재의 재질 및 색상은 마감패널의 재질 및 색상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구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마감부재는 세로바에 나사체결되되, 이 나사의 위치는 마감패널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편에 대응되고,
    상기 마감패널의 걸림편에는 상기 나사의 돌출된 부위를 수용하는 절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구조.
KR1020080016106A 2007-11-22 2008-02-22 벽체 구조 KR1009871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19564 2007-11-22
KR1020070119564 2007-1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661A true KR20090053661A (ko) 2009-05-27
KR100987172B1 KR100987172B1 (ko) 2010-10-12

Family

ID=40861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6106A KR100987172B1 (ko) 2007-11-22 2008-02-22 벽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7172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227B1 (ko) * 2009-02-17 2009-12-01 주식회사 유 창 마감패널 조립체
KR200447649Y1 (ko) * 2009-08-28 2010-02-11 이용호 조립성이 향상된 벽체구조물의 마감패널 어셈블리
KR101218193B1 (ko) * 2010-05-12 2013-01-03 최원희 가구 겸용 데코벽 어셈블리
KR101328435B1 (ko) * 2011-08-19 2013-11-14 이영우 벽체용 패널의 조립구조
KR101410499B1 (ko) * 2013-07-31 2014-06-23 주식회사 조은데코 벽체 마감장치
WO2014098463A1 (ko) * 2012-12-18 2014-06-26 Jung Kyun 벽 마감재
KR20160060466A (ko) * 2014-11-20 2016-05-30 주식회사 에코스틸 천장판 및 천장판 제조방법
CN113818652A (zh) * 2021-09-14 2021-12-21 浙江亚厦装饰股份有限公司 一种软硬包墙板结构
CN114341445A (zh) * 2019-08-02 2022-04-12 黄炳烈 外装板设置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009B1 (ko) 2014-08-26 2015-02-10 주식회사 오크라메탈 결속형 판상 벽면 마감재
KR101762419B1 (ko) * 2016-12-12 2017-08-04 김성진 Cnc t-bar를 이용한 3차원 건축내외장재패널의 설치방법
KR20190014412A (ko) 2017-08-02 2019-02-12 주식회사 조은데코 마감패널 고정브라켓
KR101920027B1 (ko) * 2018-03-12 2018-12-07 주식회사 해원엔에스씨 건축용 마감패널 조립체
KR102123459B1 (ko) * 2019-09-27 2020-06-16 김명조 건축 외장용 기능성 판넬
KR102133561B1 (ko) 2019-09-30 2020-07-13 주식회사 조은데코 마감패널 고정브라켓
IT202000003985A1 (it) * 2020-02-26 2021-08-26 Tor Mec Ambrosi S R L Struttura di supporto per pannellature di chiusura applicabili a pareti di costruzioni modulari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2371A (ja) * 2001-01-31 2002-08-16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ータ放送受信システム
KR20020085255A (ko) * 2001-05-07 2002-11-16 (주)동훈디지엠 내수성과 흡수성을 동시에 갖는 잉크젯 미디어 필름용코팅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잉크젯 미디어 필름
KR200264132Y1 (ko) * 2001-11-05 2002-02-19 도준호 건축용 장식판넬의 고정부재
KR20030048691A (ko) * 2001-12-12 2003-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작은 값의 적은 변화를 가지는 고주파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KR200285255Y1 (ko) 2002-05-08 2002-08-13 형제산업 주식회사 건축판넬용 브라켓
KR200348691Y1 (ko) 2004-02-04 2004-05-03 주식회사 삼우이엠씨 건물용 외장 패널
KR20050108748A (ko) * 2004-05-13 2005-11-17 (주) 웹스 건축용 마감재 조립체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227B1 (ko) * 2009-02-17 2009-12-01 주식회사 유 창 마감패널 조립체
KR200447649Y1 (ko) * 2009-08-28 2010-02-11 이용호 조립성이 향상된 벽체구조물의 마감패널 어셈블리
KR101218193B1 (ko) * 2010-05-12 2013-01-03 최원희 가구 겸용 데코벽 어셈블리
KR101328435B1 (ko) * 2011-08-19 2013-11-14 이영우 벽체용 패널의 조립구조
WO2014098463A1 (ko) * 2012-12-18 2014-06-26 Jung Kyun 벽 마감재
KR101410499B1 (ko) * 2013-07-31 2014-06-23 주식회사 조은데코 벽체 마감장치
KR20160060466A (ko) * 2014-11-20 2016-05-30 주식회사 에코스틸 천장판 및 천장판 제조방법
CN114341445A (zh) * 2019-08-02 2022-04-12 黄炳烈 外装板设置结构
CN114341445B (zh) * 2019-08-02 2024-01-09 黄炳烈 外装板设置结构
CN113818652A (zh) * 2021-09-14 2021-12-21 浙江亚厦装饰股份有限公司 一种软硬包墙板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7172B1 (ko) 2010-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7172B1 (ko) 벽체 구조
US20170258249A1 (en) Art wall for customized installation of shelves
JP6833097B2 (ja) 仕上げパネル固定装置
KR101314873B1 (ko) 건축물의 천장 마감부재
KR100929227B1 (ko) 마감패널 조립체
KR100989469B1 (ko) 도어용 문 및 도어용 문 조립방법
KR100928436B1 (ko) 조립식 경량패널 및 조립식 경량패널 설치방법
KR102083848B1 (ko) 표면 마감부가 개선된 분할패널을 갖는 조립식 파티션
KR20090008735U (ko) 벽체 구조
KR20090009275U (ko) 벽체 구조
KR20110008339U (ko) 벽체 구조
KR101354524B1 (ko) 금속 벽체패널의 고정구조
KR200394382Y1 (ko) 다양한 형상의 천장판넬 조립구조
KR200465325Y1 (ko) 방화문 프레임
KR20130002959U (ko) 건축용 천장판 설치구조
KR101127503B1 (ko) 커튼 월 창틀의 조립구조
CN207686208U (zh) 墙面隔板安装结构
KR101122579B1 (ko) 도어의 장식판 설치구조
KR101804929B1 (ko) 리모델링에 사용되는 인테리어용 몰딩재
KR101581958B1 (ko) 창호
KR101201616B1 (ko) 창호용 구조보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창호
KR100932432B1 (ko) 방범창을 장착할 수 있는 돌출형 창호프레임
KR200447649Y1 (ko) 조립성이 향상된 벽체구조물의 마감패널 어셈블리
KR200345761Y1 (ko) 마감패널 부착용 고정바의 체결구
JP2014125743A (ja) デッキ、及び、デッキ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