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5156B1 - 터빈발전기 윤활유의 유증기 정화 장치 - Google Patents

터빈발전기 윤활유의 유증기 정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5156B1
KR102455156B1 KR1020220059660A KR20220059660A KR102455156B1 KR 102455156 B1 KR102455156 B1 KR 102455156B1 KR 1020220059660 A KR1020220059660 A KR 1020220059660A KR 20220059660 A KR20220059660 A KR 20220059660A KR 102455156 B1 KR102455156 B1 KR 102455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dust collector
pipe
oil vapor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9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희
유재원
노태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영필텍
한국중부발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영필텍, 한국중부발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영필텍
Priority to KR1020220059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51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5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5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11/00Accessories, e.g. safety or control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regulators, valves in inlet or overflow duc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5/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devices driven thereby
    • F01D15/10Adaptations for driving, or combinations with, electric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18Lubrica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liquids, e.g. br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04C2009/005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with external rotors, e.g. impeller, ventilator, fan, blower, pump

Abstract

본 발명은 터빈발전기의 윤활유의 유증기 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터빈발전기의 윤활유 탱크(10)에 연결되어서, 윤활유 탱크(10)의 윤활유에서 발생하는 유증기가 유입되는 공급 배관(P1)과, 공급 배관(P1)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증기의 온도를 낮추는 열교환기(110)와, 열교환기(110)를 통과한 유증기에서 제1 크기의 입자를 집진하여 수거드럼(150)으로 보내는 제1 집진기(120)와, 제1 집진기(120)를 통과한 유증기에서 제2 크기의 입자를 집진하여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고, 집진한 제2 크기의 입자를 수거드럼(150)으로 보내는 제2 집진기(130)와, 제2 집진기(130)의 출력단의 배관에 설치되어서 제2 집진기(130)로부터 배출되는 정화된 공기를 강제로 외부로 배출하고, 공급 배관(P1)으로 유증기가 강제로 인입되도록 흡입력을 작용하기 위한 블로어(140)와, 제1 집진기(120)로부터 배출되는 제1 크기입자와 제2 집진기(130)로부터 배출되는 제2 크기의 입자를 임시 저장하는 수거드럼(15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에 의하면 유증기를 대량으로 신속하고도 효율적으로 필터링하여서 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터빈발전기 윤활유의 유증기 정화 장치{Oil vapor purification apparatus for turbine generator lubricating oil}
본 발명은 터빈발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빈발전기의 윤활유에서 발생하는 유증기를 신속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정화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터빈발전기 윤활유의 유증기 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빈발전기는 증기발생기 이차측에서 생성된 열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바꾸고 다시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설비이다.
이러한 터빈발전기에는 필수적으로 윤활장치가 필요한데, 이 터빈발전기 윤활장치는 터빈 및 발전기 축이 회전할 때 베어링 및 기타 부위에 적당한 압력과 온도로 윤활유를 공급하여, 감마(減磨), 냉각, 밀봉(수소), 응력 분산, 방청, 청정 작용을 하는 장치이다.
터빈 및 발전기의 축은 고속 회전체이므로 적절한 윤활장치가 없으면 베어링과 축의 금속 마찰에 의하여 큰 손상을 초래한다. 따라서 충분한 보호장치가 필요하며, 터빈 정지시에도 축냉각을 위하여 윤활유를 계속 순환시킨다.
이러한 터빈발전기의 윤활장치에서 윤활유에서 발생하는 유증기를 제거하는 종래의 방법으로는 헤파필터를 이용하여 필터링하는 방식과 전기 집진 방식을 이용하는 방식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유증기 제거 방식은 유증기 벤트라인(공급라인)에서 공급되는 유증기를 바로 집진하는 방식이어서 집진 효율이 떨어지고 또한 배출되는 정화공기에서의 유증기 잔량이 남게 되는 기술적 한계가 있었다.
문헌1: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41074호(공개일: 2002.06.01) 문헌2: 등록특허공보 제10-2295638호(공고일: 2021.08.2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터빈발전기 윤활유의 유증기 정화 장치의 목적은,
첫째, 정화 대상인 유증기를 바로 필터링하는 방식이 아나라 열교환기에 의해서 온도를 낮추고, 이와 같이 온도를 낮춰서 입자들을 응축시켜서 입자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크게 함으로써 후공정인 필터링 공정에서의 필터링이 더욱더 원활하고 효율적이면서도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고,
둘째, 유증기의 입자를 상대적으로 큰 입자는 먼저 필터링하고, 큰 입자를 필터링한 후에 다시 남아 있는 작은 입자를 필터링하는 2 단의 필터링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필터링을 더욱더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완벽한 필터링(정화)이 되도록 하며,
셋째, 수거드럼에 임시 저장된 미스트와 흄을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며,
넷째, 냉매의 온도에 따라서 자동으로 열교환기 냉각 온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1 집진기와 제2 집진기에서의 신속하면서도 효율적인 필터링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며,
다섯째, 안정되게 구동될 수 있는 냉매의 기준 수위값을 기초로 열교환기와 칠러 사이를 순환하는 냉매의 적정 양을 확인할 수 있어서 시스템의 안정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터빈발전기 윤활유의 유증기 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터빈발전기 윤활유의 유증기 정화 장치는, 터빈발전기의 윤활유 탱크에 연결되어서, 윤활유 탱크의 윤활유에서 발생하는 유증기가 유입되는 공급 배관과, 상기 공급 배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증기의 온도를 낮추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의 출력단에 배관에 의해서 연결되고, 열교환기를 통과한 유증기에서 제1 크기의 입자에 해당하는 미스트를 집진하고, 집진한 제1 크기의 입자들을 수거드럼으로 보내는 제1 집진기와, 상기 제1 집진기의 출력단에 배관에 의해서 연결되고, 상기 제1 집진기를 통과한 유증기에서 제2 크기의 입자를 집진하여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고, 집진한 제2 크기의 입자를 수거드럼으로 보내는 제2 집진기와, 상기 제2 집진기의 출력단에 배관에 의해서 상기 제2 집진기로부터 배출되는 정화된 공기를 강제로 외부로 배출하고, 공급 배관으로 유증기가 강제로 인입되도록 흡입력을 작용하기 위한 블로어와, 상기 제1 집진기로부터 배출되는 제1 크기의 입자와 제2 집진기로부터 배출되는 제2 크기의 입자를 임시 저장하는 수거드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터빈발전기 윤활유의 유증기 정화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정화 대상인 유증기를 바로 필터링하는 방식이 아나라 열교환기에 의해서 온도를 낮추고, 이와 같이 온도를 낮춰서 입자들을 응축시켜서 입자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크게 함으로써 후공정인 필터링 공정에서의 필터링이 더욱더 원활하고 효율적이면서도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유증기의 입자를 상대적으로 큰 입자는 먼저 필터링하고, 큰 입자를 필터링한 후에 다시 남아 있는 작은 입자를 필터링하는 2 단의 필터링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필터링을 더욱더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완벽한 필터링(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수거드럼에 임시 저장된 미스트와 흄을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냉매의 온도에 따라서 자동으로 열교환기 냉각 온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1 집진기와 제2 집진기에서의 신속하면서도 효율적인 필터링 동작이 수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안정되게 구동될 수 있는 냉매의 기준 수위값을 기초로 열교환기와 칠러 사이를 순환하는 냉매의 적정 양을 확인할 수 있어서 시스템의 안정화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빈발전기 윤활유의 유증기 정화 장치의 전체 구성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빈발전기 윤활유의 유증기 정화 장치의 주요부 블록 구성도이다.
다음은 본 발명인 터빈발전기 윤활유의 유증기 정화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빈발전기 윤활유의 유증기 정화 장치는, 터빈발전기(미도시)의 윤활유 탱크(10)에 연결되어서, 윤활유 탱크(10)의 윤활유에서 발생하는 유증기[유증기(유증기에는 오일 미스트(mist)와 흄(hume), 미량의 수분과 미량의 입자상 그리고 공기가 포함된다]가 유입되는 공급 배관(P1)과, 메인 밸브(V1)의 후단에 설치되고, 공급 배관(P1)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증기의 온도를 낮추는 열교환기(110)와, 상기 열교환기(110)의 출력단에 배관(도면번호 미병기)에 의해서 연결되고, 열교환기(110)를 통과한 유증기에서 제1 크기의 입자(주로 미스트가 해당됨)를 집진하고, 집진한 제1 크기의 상대적으로 큰 입자들을 수거드럼(150)으로 보내는 제1 집진기(120)와, 상기 제1 집진기(120)의 출력단에 배관(도면번호 미병기)에 의해서 연결되고, 상기 제1 집진기(120)를 통과한 유증기에서 제2 크기의 입자(주로 흄이 해당됨)를 집진하여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고, 집진한 제2 크기의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를 수거드럼(150)으로 보내는 제2 집진기(130)와, 상기 제2 집진기(130)의 출력단에 배관(도면번호 미병기)에 의해서 상기 제2 집진기(130)로부터 배출되는 정화된 공기를 강제로 외부로 배출하고, 공급 배관(P1)으로 유증기가 강제로 인입되도록 공급 배관(P1)에 흡입력을 작용하기 위한 블로어(140)와, 상기 제1 집진기(120)로부터 배출되는 제1 크기의 큰 입자와 제2 집진기(130)로부터 배출되는 제2 크기의 작은 입자를 임시 저장하는 수거드럼(1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정화 대상인 유증기를 바로 필터링하는 방식이 아나라 열교환기(110)에 의해서 온도를 낮추고, 이와 같이 온도를 낮춰서 입자들을 응축시켜서 입자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크게 함으로써 후공정인 필터링 공정에서의 필터링이 더욱더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되도록 한다.
특히 제1 집진기는 응축된 유증기를 필터링하므로 필터링을 대량으로 신속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입자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입자는 먼저 필터링하고, 큰 입자를 필터링한 후에 다시 남아 있는 작은 입자를 필터링함으로써 필터링을 더욱더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완벽한 필터링(정화)이 되도록 한다.
상기 제1 집진기(120)는 무동력 사이클론 집진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집진기(130)는 전기 집진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집진기(120)에서 필터링되는 제1 크기는 제2 집진기(130)에서 필터링되는 제2 크기의 입자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집진기(120)에서 필터링하는 입자의 제1 크기는 0.01 ~ 10 um이다. 더욱 바람작하게는 제1 집진기(120)에서 필터링하는 입자의 제1 크기는 0.1 ~ 10.0 um이다.
상기 제2 집진기(130)에서 필터링하는 입자의 제2 크기는 0.01 이상이고 1.0 um 미만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빈발전기 윤활유의 유증기 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거드럼(150)의 배출구에 설치되어서 수거드럼(150)에 임시 저장된 미스트와 흄이 배출되는 드레인 배관(P2)과, 상기 수거드럼(150)에 임시 저장된 미스트와 흄의 수위 레벨을 감지하고, 감지된 현재 수위 레벨값을 제어기(MC)로 출력하는 레벨 센서(152)와, 상기 드레인 배관(P2)에 설치되고, 상기 수거드럼(150)에 임시 저장된 미스트와 흄을 드레인 배관(P2)을 통해서 강제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펌프(160)와, 상기 레벨 센서(152)로부터 수신한 현재 수위값과 기 저장되어 있는 수거드럼(150)의 기준 수위값을 비교하고, 현재 수위값이 기준 수위값보다 큰 경우에는 드레인 펌프(160)를 구동하기 위한 펌프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MC)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기(MC)로부터 펌프 구동제어신호를 수신한 드레인 펌프(160)는 구동하여서 상기 수거드럼(150)에 임시 저장된 미스트와 흄을 강제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수거드럼(150)에 임시 저장된 미스트와 흄을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빈발전기 윤활유의 유증기 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펌프(160)의 출력단의 드레인 배관(P2)에 설치되어서 드레인 배관(P2)으로 배출되는 유증기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162)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빈발전기 윤활유의 유증기 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110)와 냉매 순환관(L1)에 의해서 냉매가 순환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열교환기(110)에 의해서 열교환된 냉매가 유입되어서 열교환에 의해서 온도를 낮추어서 열교환기(110)로 다시 내보내는 칠러(170)와, 상기 냉매 순환관(L1)에 설치되고, 구동에 의해서 냉매를 강제로 순환시키는 냉매 순환펌프(172)와, 상기 열교환기(110)의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TS)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기(MC)는, 상기 온도센서(TS)로부터 현재 냉매온도값을 수신하고, 수신한 현재 냉매온도값과 기 저장되어 있는 기준 냉매온도값을 비교한 후에, 현재 냉매온도값이 기준 냉매온도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냉매 순환펌프(172)를 구동하기 위한 펌프 구동제어신호를 냉매 순환펌프(172)로 출력하고, 상기 냉매 순환펌프(172)는 제어기(MC)로부터 펌프 구동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구동하여서 칠러(170)와 열교환기(110) 사이의 냉매를 강제로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냉매의 온도에 따라서 자동으로 열교환기 냉각 온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1 집진기와 제2 집진기에서의 신속하면서도 효율적인 필터링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냉매 순환펌프(172)는 상기 칠러(170)에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빈발전기 윤활유의 유증기 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110)에는 냉매 순환관(L1)을 흐르는 냉매와 공급 배관(P1)을 통과하는 유증기 간의 열교환이 수행되고, 상기 열교환기(110) 내부를 통과하는 냉매 순환관과 연통되도록 열교환기(110)의 상부에 설치되고, 냉매 순환관(L1)의 압력에 따라서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도록 냉매가 부분적으로 채워져 있는 냉매 버퍼 탱크(112)와, 상기 냉매 버퍼 탱크(112)의 냉매의 수위를 감지하여 현재 냉매 수위값을 제어기(MC)로 출력하는 차압레벨 트랜스미터(LT)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기(MC)에는 냉매 버퍼 탱크(112)의 냉매 하한 레벨값과 냉매 상한 레벨값인 기준 냉매 수위값이 설정되어서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어기(MC)는 차압레벨 트랜스미터(LT)로부터 현재 냉매 수위값을 수신하고, 수신한 현재 냉매 수위값과 기 저장된 기준 냉매 수위값을 비교하며, 현재 냉매 수위값이 기준 냉매 수위값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냉매 순환펌프(172)의 동작을 정지하기 위한 냉매 순환펌프 구동정지신호를 냉매 순환펌프(172)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안정되게 구동될 수 있는 냉매의 기준 수위값을 기초로 열교환기와 칠러 사이를 순환하는 냉매의 적정양을 확인할 수 있어서 시스템의 안정화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제어기(MC)는 압축기의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압축기 구동정지신호를 압축기(180)로 출력하며, 블로어(140)의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블로어 구동정지신호를 블로어(140)로 출력하며, 드레인 펌프(160)의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드레인 펌프 구동정지신호를 드레인 펌프(160)로 출력함으로써 시스템 전체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빈발전기 윤활유의 유증기 정화 장치에 있어서, 제어기(MC)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구동하고, 구동에 의해서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기(180)와, 상기 열교환기(110)의 전단에서 공급 배관(P1)에 설치되고, 상기 압축기(180)로부터 에어가 공급되는 경우 스위칭 온되고, 압축기(180)로부터 에어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스위칭 온프되어서 압축기(180)의 동작 여부에 따라서 윤활유 탱크(10)의 유증기의 공급을 단속하는 메인 밸브(V1)와, 상기 메인 밸브(V1)의 전단에서 공급 배관(P1)에서 분기되는 바이패스 배출관(R1)과, 상기 바이패스 배출관(R1)에 설치되고, 상기 압축기(180)로부터 에어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스위칭 온되고, 압축기(180)로부터 에어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스위칭 온프되어서 압축기의 동작 여부에 따라서 상기 메인 밸브(V1)와 교호적으로 스위칭 동작하는 바이패스 밸브(V2)와, 압축기(180)와 메인 밸브(V1) 사이를 연결하는 에어 공급관(A1)과, 상기 에어 공급관(A1)에서 분기되어서 상기 바이패스 밸브(V2)에 연결되는 에어 분기관(A2)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압축기(180)가 구동되어서 에어가 공급되면 상기 메인 밸브(V1)는 스위칭 온되어서 유증기(미스트 및 흄)가 공급되고, 동시에 바이패스 밸브(V2)는 스위칭 오프되며, 터빈발전기의 구동이 정지되거나 또는 장비에 이상이 있는 등의 비상시에 시스템을 정지시켜야 되는 경우에는, 제어기(MC)는 압축기(180)로 구동정지신호를 출력하고, 압축기(180)의 구동이 정지되어서 에어의 공급이 중지되면 상기 메인 밸브(V1)는 스위칭 오프되고 동시에 바이패스 밸브(V2)는 스위칭 온되어서 윤활유 탱크(10)에서 공급된 유증기는 전부 그대로 바이패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시스템(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빈발전기 윤활유의 유증기 정화 장치)의 이상 시에 윤활유 탱크에서 공급되는 유증기가 자동으로 바로 바이패스되도록 함으로써 열교환기를 비롯한 시스템으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그 결과 시스템의 안정성 담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빈발전기 윤활유의 유증기 정화 장치에 있어서, 공급 배관(P1)에 분기되고, 공급 배관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에어가 공급되는 압력조절관(Q1)과, 상기 압력조절관(Q1)에 설치되어서 공급 배관(P1)으로 공급되는 에어의 공급을 단속하는 압력조절 밸브(V3)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력조절 밸브(V3)의 구성에 의하면 윤활유 탱크(10)의 유증기가 공급되는 공급 배관(P1)과 블로어(140) 간의 압력 차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윤활유 탱크
P1 : 공급 배관 P2 : 드레인 배관
Q1 : 셕선 공급관 L1 : 냉매 순환관
R1 : 바이패스 배출관 Q1 : 압력조절관
A1 : 에어 공급관 A2 : 에어 분기관
V1 : 메인 밸브 V2 : 바이패스 밸브
V3 : 압력조절 밸브
110 : 열교환기 112 : 냉매 버퍼 탱크
120 : 제1 집진기 130 : 제2 집진기
140 : 블로어 150 : 수거드럼
160 : 드레인 펌프 162 : 체크밸브
MC : 제어기 170 : 칠러
172 : 냉매 순환펌프 TS : 온도센서
LT : 차압레벨 트랜스미터 172 : 냉매 순환펌프
180 : 압축기

Claims (5)

  1. 터빈발전기의 윤활유 탱크(10)에 연결되어서, 윤활유 탱크(10)의 윤활유에서 발생하는 유증기가 유입되는 공급 배관(P1)과,
    상기 공급 배관(P1)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증기의 온도를 낮추는 열교환기(110)와,
    상기 열교환기(110)의 출력단에 배관에 의해서 연결되고, 열교환기(110)를 통과한 유증기에서 제1 크기의 입자를 집진하고, 집진한 제1 크기의 입자들을 수거드럼(150)으로 보내는 제1 집진기(120)와,
    상기 제1 집진기(120)의 출력단에 배관에 의해서 연결되고, 상기 제1 집진기(120)를 통과한 유증기에서 제2 크기의 입자를 집진하여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고, 집진한 제2 크기의 입자를 수거드럼(150)으로 보내는 제2 집진기(130)와,
    상기 제2 집진기(130)의 출력단에 배관에 의해서 상기 제2 집진기(130)로부터 배출되는 정화된 공기를 강제로 외부로 배출하고, 공급 배관(P1)으로 유증기가 강제로 인입되도록 흡입력을 작용하기 위한 블로어(140)와,
    상기 제1 집진기(120)로부터 배출되는 제1 크기의 입자와 제2 집진기(130)로부터 배출되는 제2 크기의 입자를 임시 저장하는 수거드럼(150)과,
    상기 수거드럼(150)의 배출구에 설치되어서 수거드럼(150)에 임시 저장된 미스트와 흄이 배출되는 드레인 배관(P2)과,
    상기 수거드럼(150)에 임시 저장된 미스트와 흄의 수위 레벨을 감지하고, 감지된 현재 수위 레벨값을 제어기(MC)로 출력하는 레벨 센서(152)와,
    상기 드레인 배관(P2)에 설치되고, 상기 수거드럼(150)에 임시 저장된 미스트와 흄을 드레인 배관(P2)을 통해서 강제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펌프(160)와,
    상기 레벨 센서(152)로부터 수신한 현재 수위값과 기 저장되어 있는 수거드럼(150)의 기준 수위값을 비교하고, 현재 수위값이 기준 수위값보다 큰 경우에는 드레인 펌프(160)를 구동하기 위한 펌프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MC)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기(MC)로부터 펌프 구동제어신호를 수신한 드레인 펌프(160)는 구동하여서 상기 수거드럼(150)에 임시 저장된 미스트와 흄을 강제로 배출하며,
    상기 열교환기(110)와 냉매 순환관(L1)에 의해서 냉매가 순환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열교환기(110)에 의해서 열교환된 냉매가 유입되어서 열교환에 의해서 온도를 낮추어서 열교환기(110)로 다시 내보내는 칠러(170)와,
    상기 냉매 순환관(L1)에 설치되고, 구동에 의해서 냉매를 강제로 순환시키는 냉매 순환펌프(172)와,
    상기 열교환기(110)의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TS)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제어기(MC)는, 상기 온도센서(TS)로부터 현재 냉매온도값을 수신하고, 수신한 현재 냉매온도값과 기 저장되어 있는 기준 냉매온도값을 비교한 후에, 현재 냉매온도값이 기준 냉매온도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냉매 순환펌프(172)를 구동하기 위한 펌프 구동제어신호를 냉매 순환펌프(172)로 출력하고,
    상기 냉매 순환펌프(172)는 제어기(MC)로부터 펌프 구동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구동하여서 칠러(170)와 열교환기(110) 사이의 냉매를 강제로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발전기 윤활유의 유증기 정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110) 내부를 통과하는 냉매 순환관과 연통되도록 열교환기(110)의 상부에 설치되고, 냉매 순환관(L1)의 압력에 따라서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도록 냉매가 부분적으로 채워져 있는 냉매 버퍼 탱크(112)와,
    상기 냉매 버퍼 탱크(112)의 냉매의 수위를 감지하여 현재 냉매 수위값을 제어기(MC)로 출력하는 차압레벨 트랜스미터(LT)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제어기(MC)에는 냉매 버퍼 탱크(112)의 냉매 하한 레벨값과 냉매 상한 레벨값인 기준 냉매 수위값이 설정되어서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어기(MC)는 차압레벨 트랜스미터(LT)로부터 현재 냉매 수위값을 수신하고, 수신한 현재 냉매 수위값과 기 저장된 기준 냉매 수위값을 비교하며, 현재 냉매 수위값이 기준 냉매 수위값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냉매 순환펌프(172)의 동작을 정지하기 위한 냉매 순환펌프 구동정지신호를 냉매 순환펌프(172)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발전기 윤활유의 유증기 정화 장치.
  3. 터빈발전기의 윤활유 탱크(10)에 연결되어서, 윤활유 탱크(10)의 윤활유에서 발생하는 유증기가 유입되는 공급 배관(P1)과,
    상기 공급 배관(P1)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증기의 온도를 낮추는 열교환기(110)와,
    상기 열교환기(110)의 출력단에 배관에 의해서 연결되고, 열교환기(110)를 통과한 유증기에서 제1 크기의 입자를 집진하고, 집진한 제1 크기의 입자들을 수거드럼(150)으로 보내는 제1 집진기(120)와,
    상기 제1 집진기(120)의 출력단에 배관에 의해서 연결되고, 상기 제1 집진기(120)를 통과한 유증기에서 제2 크기의 입자를 집진하여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고, 집진한 제2 크기의 입자를 수거드럼(150)으로 보내는 제2 집진기(130)와,
    상기 제2 집진기(130)의 출력단에 배관에 의해서 상기 제2 집진기(130)로부터 배출되는 정화된 공기를 강제로 외부로 배출하고, 공급 배관(P1)으로 유증기가 강제로 인입되도록 흡입력을 작용하기 위한 블로어(140)와,
    상기 제1 집진기(120)로부터 배출되는 제1 크기의 입자와 제2 집진기(130)로부터 배출되는 제2 크기의 입자를 임시 저장하는 수거드럼(150)과,
    상기 수거드럼(150)의 배출구에 설치되어서 수거드럼(150)에 임시 저장된 미스트와 흄이 배출되는 드레인 배관(P2)과,
    상기 수거드럼(150)에 임시 저장된 미스트와 흄의 수위 레벨을 감지하고, 감지된 현재 수위 레벨값을 제어기(MC)로 출력하는 레벨 센서(152)와,
    상기 드레인 배관(P2)에 설치되고, 상기 수거드럼(150)에 임시 저장된 미스트와 흄을 드레인 배관(P2)을 통해서 강제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펌프(160)와,
    상기 레벨 센서(152)로부터 수신한 현재 수위값과 기 저장되어 있는 수거드럼(150)의 기준 수위값을 비교하고, 현재 수위값이 기준 수위값보다 큰 경우에는 드레인 펌프(160)를 구동하기 위한 펌프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MC)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기(MC)로부터 펌프 구동제어신호를 수신한 드레인 펌프(160)는 구동하여서 상기 수거드럼(150)에 임시 저장된 미스트와 흄을 강제로 배출하며,
    상기 제어기(MC)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구동하고, 구동에 의해서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기(180)와,
    상기 열교환기(110)의 전단에서 공급 배관(P1)에 설치되고, 상기 압축기(180)로부터 에어가 공급되는 경우 스위칭 온되고, 압축기(180)로부터 에어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스위칭 온프되어서 압축기(180)의 동작 여부에 따라서 윤활유 탱크(10)의 유증기의 공급을 단속하는 메인 밸브(V1)와,
    상기 메인 밸브(V1)의 전단에서 공급 배관(P1)에서 분기되는 바이패스 배출관(R1)과,
    상기 바이패스 배출관(R1)에 설치되고, 상기 압축기(180)로부터 에어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스위칭 온되고, 압축기(180)로부터 에어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스위칭 온프되어서 압축기의 동작 여부에 따라서 상기 메인 밸브(V1)와 교호적으로 스위칭 동작하는 바이패스 밸브(V2)와,
    압축기(180)와 메인 밸브(V1) 사이를 연결하는 에어 공급관(A1)과,
    상기 에어 공급관(A1)에서 분기되어서 상기 바이패스 밸브(V2)에 연결되는 에어 분기관(A2)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압축기(180)가 구동되어서 에어가 공급되면 상기 메인 밸브(V1)는 스위칭 온되어서 유증기가 공급되고, 동시에 바이패스 밸브(V2)는 스위칭 오프되며,
    터빈발전기의 구동이 정지되거나 또는 장비에 이상이 있는 등의 비상시에 시스템을 정지시켜야 되는 경우에는, 제어기(MC)는 압축기(180)로 구동정지신호를 출력하고,
    압축기(180)의 구동이 정지되어서 에어의 공급이 중지되면 상기 메인 밸브(V1)는 스위칭 오프되고 동시에 바이패스 밸브(V2)는 스위칭 온되어서 윤활유 탱크(10)에서 공급된 유증기는 전부 그대로 바이패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발전기 윤활유의 유증기 정화 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220059660A 2022-05-16 2022-05-16 터빈발전기 윤활유의 유증기 정화 장치 KR102455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660A KR102455156B1 (ko) 2022-05-16 2022-05-16 터빈발전기 윤활유의 유증기 정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660A KR102455156B1 (ko) 2022-05-16 2022-05-16 터빈발전기 윤활유의 유증기 정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5156B1 true KR102455156B1 (ko) 2022-10-14

Family

ID=83600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9660A KR102455156B1 (ko) 2022-05-16 2022-05-16 터빈발전기 윤활유의 유증기 정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5156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1074A (ko) 2000-11-27 2002-06-01 이구택 발전설비의 유증기 회수장치
JP2006283675A (ja) * 2005-03-31 2006-10-19 Ebara Corp 発電装置及び潤滑油回収方法
KR20140000568U (ko) * 2012-07-16 2014-01-27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수분침입을 방지하는 수단이 구비된 집진장치
KR20140096446A (ko) * 2013-01-25 2014-08-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유증기 회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70123161A (ko) * 2016-04-28 2017-11-07 한화파워시스템 주식회사 유증기 처리 장치
KR20190078789A (ko) * 2017-12-27 2019-07-05 주식회사 엠에스 오토텍 금형 냉각장치
KR20190081149A (ko) * 2017-12-29 2019-07-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윤활유 분리장치 및 상기 윤활유 분리장치를 갖춘 증발가스 재액화 시스템
KR102253379B1 (ko) * 2019-12-31 2021-05-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95638B1 (ko) 2019-11-15 2021-08-27 한국중부발전(주) 터빈발전기의 윤활유 배관 세정시스템
KR102338134B1 (ko) * 2021-05-21 2021-12-10 윤현수 절삭유 정제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1074A (ko) 2000-11-27 2002-06-01 이구택 발전설비의 유증기 회수장치
JP2006283675A (ja) * 2005-03-31 2006-10-19 Ebara Corp 発電装置及び潤滑油回収方法
KR20140000568U (ko) * 2012-07-16 2014-01-27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수분침입을 방지하는 수단이 구비된 집진장치
KR20140096446A (ko) * 2013-01-25 2014-08-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유증기 회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70123161A (ko) * 2016-04-28 2017-11-07 한화파워시스템 주식회사 유증기 처리 장치
KR20190078789A (ko) * 2017-12-27 2019-07-05 주식회사 엠에스 오토텍 금형 냉각장치
KR20190081149A (ko) * 2017-12-29 2019-07-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윤활유 분리장치 및 상기 윤활유 분리장치를 갖춘 증발가스 재액화 시스템
KR102295638B1 (ko) 2019-11-15 2021-08-27 한국중부발전(주) 터빈발전기의 윤활유 배관 세정시스템
KR102253379B1 (ko) * 2019-12-31 2021-05-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338134B1 (ko) * 2021-05-21 2021-12-10 윤현수 절삭유 정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9365A (ko) 열 회수 시스템
JP5454778B2 (ja) ボイラ給水システム
JP2006021121A (ja) 遠心分離機
JP2009167999A (ja) 水潤滑圧縮機の凍結防止方法
KR102455156B1 (ko) 터빈발전기 윤활유의 유증기 정화 장치
JP2002508046A (ja) コンプレッサシステム
JPH01277696A (ja) オイルフリー・スクリュー圧縮機装置
JP2002028602A (ja) 冷却水系統の洗浄装置および洗浄方法
JP2003343211A (ja) 復水器システム
CN107702336B (zh) 热回收系统
JP2005054779A (ja) ガスタービン発電設備及びその運転方法
EP3960277A1 (en) Air preparation device for an air-cooling machine
US20080115479A1 (en) Pressurized coal gasifier and coal gasification combined cycle power plant
CN113153689A (zh) 轨道车辆用风源装置及其工作状态监控方法
KR20220089775A (ko) 공기송풍기의 베어링 윤활장치용 윤활 배관 배치구조 및 이를 구비한 윤활 유량 제어장치
CN213942357U (zh) 一种高效真空离心分离净油机
JP2013036641A (ja) 給水システム
JP5126861B2 (ja) エネルギー節減システム,エネルギー節減装置およびエネルギー節減型エアーコンプレッサー
JPH08505458A (ja) 循環潤滑の方法と装置
CN214660702U (zh) 轨道车辆用风源装置
CN210363853U (zh) 一种风源系统总成
CN103307890B (zh) 从烟气中回收砷的系统
RU2408413C2 (ru) Способ двухступенчатой очистки охлаждающего воздуха от абразивных частиц с адаптивной системой удаления влаг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114198162B (zh) 一种蒸汽轮机轴承箱供油装置
CN117320387B (zh) 液冷式双冷通道机柜及监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