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4544B1 - Igf를 다량으로 함유하는 녹용 가수분해물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Igf를 다량으로 함유하는 녹용 가수분해물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4544B1
KR102454544B1 KR1020200161106A KR20200161106A KR102454544B1 KR 102454544 B1 KR102454544 B1 KR 102454544B1 KR 1020200161106 A KR1020200161106 A KR 1020200161106A KR 20200161106 A KR20200161106 A KR 20200161106A KR 102454544 B1 KR102454544 B1 KR 102454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antler
hydrolyzate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1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3226A (ko
Inventor
김정옥
남원희
김세진
유병우
전영희
임현희
김민주
권현숙
Original Assignee
한국한의약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한의약진흥원 filed Critical 한국한의약진흥원
Priority to KR1020200161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4544B1/ko
Publication of KR20220073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3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4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2Bones; Osteocytes; Osteoblasts; Tendons; Tenocytes; Teeth; Odontoblasts; Cartilage; Chondrocytes; Synovial membra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61P19/1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for osteopo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8Hydrolysis, degree of hydroly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Rheu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Vir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Cell B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자들은 천연 생약재인 녹용을 이용하여 부작용 없이 효과적으로 류마티스 관절염 또는 골다공증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녹용 추출물에 효소처리를 통해서 성장촉진활성이 높은 녹용 가수분해물 즉,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insulin-like growth factor; IGF)의 함량이 높은 녹용 가수분해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때 효소 중 특히 alcalase를 처리함으로써 조골세포의 증식과 ALP활성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는 천연생약재 유래의 가수 분해물로서 부작용이 없기에 류마티스 관절염 또는 골다공증을 효과적으로 예방, 개선 및 치료하기 위한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IGF를 다량으로 함유하는 녹용 가수분해물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Method for producing a Cervus Parvum Cornu Hydrolyzate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IGF and its use}
본 발명은 녹용(Cervus Parvum Cornu) 추출물을 이용한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인 IGF를 다량으로 함유하는 녹용 가수분해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녹용 가수분해물의 골질환 예방, 개선 및 치료 용도에 관한 것이다.
녹용(Cervus Parvum Cornu)은 매화록(Cervus nippon Temminck) 또는 마록(Cervus elaphus L) 및 동속 근연동물의 털이 밀생되고 골질화 되지 않은 어린 뿔로 동양의학의 중요 약재로 중국 및 일본 등의 동양권 국가에서 오래 전부터 활용되고 있는 양록산업의 주 생산물이다.
녹용 성분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헥소오스(hexose), 펜토오스(pentose), 우론산(uronic acid), 시알산(sialic acid), 유리아미노산, 무기질, 특수지방산의 일종인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s), 당지질 중 강글리오시드(gangliosides)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또한 녹혈에는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insulin-like growth factor; IGF), 유즙분비호르몬(prolactin; PRL), 황체형성호르몬(lutenizing hormone; LH), 난포자극 호르몬(follicle stimulating hormone; FSH),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녹용의 부위별 유효성분의 분포를 살펴보면, 화학성분의 지표인 콜라겐, 회분, 칼슘을 비롯한 무기질 성분은 녹용의 하대부위로 내려갈수록 그 함량이 증가되고, 단백질, 지방, 글리코사미노글리칸(glycosaminoglycans), 시알산(sialic acid), 우론산(uronic acid) 등의 활성성분 함량은 감소한다.
녹용의 효능은 강장작용, 신경쇠약 치료작용, 항노화, 항혈전, 혈압강하, 항피로, 항스트레스, 성기능개선, 근육강화, 항산화, 항염증효과, 콜레스테롤 저하, 면역활성 증가, 조혈작용, 항암효과 등 다양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한편,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인 IGF(Insulin-Like Growth Factors)는 proinsulin과 49% DNA sequence homology를 가지고 있는 단일 사슬 폴리펩타이드로 IGF-I과 IGF-II 두종류가 있고, IGF-I과 IGF-II는 62%의 아미노산 배열 순서의 동성을 갖고 있으며, 유사한 생물학적 활성을 가진다. 특히, IGF-I은 연골과 골의 성장을 촉진시키며, 조골세포에 의하여 생성되고, 조골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키며 골조직의 단백합성을 촉진시킨다는 보고들이 있어 IGF-I은 조골세포의 증식뿐 아니라 분화를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류마티스 관절염(RA)은 유전자 요인, 환경적 요인, 면역학적인 요인 등이 서로 연관되어 다양한 임상 양상을 일으키는 자가면역질환이다. 특히 한 가지가 아닌 여러 유전자가 관여하는 복잡한 유전자 질환이라 할 수 있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관절을 침범하는 만성 전신성 염증성 질환으로 병리학적으로 활막(synovium)의 비후 및 염증세포 침윤과 이로 인한 관절의 파괴를 특징으로 한다. 초기에는 면역반응에 의해 T 세포가 활성화되고 이로 인해 염증반응이 시작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질환이 진행되어 말기로 갈수록 T 세포의 영향력은 감소하고 활막세포(synoviocyte)의 비정상적 증식 및 활성화로 인해 나타나는 연골파괴 분해효소 및 골 파괴인자의 활성화로 인해 관절 파괴가 지속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활막에 존재하는 세포는 림프구를 비롯하여, 대식세포, 단핵구, 섬유모세포, 중성구, NK세포, 비만세포 등 매우 다양하다. 류마티스 관절염의 발생은 이런 다양한 세포와 염증 유발 사이토카인(TNF-α, IL-1, IL-6, IL-17 등)의 상호 작용에 의해 복잡하게 일어나고 이것이 류마티스 관절염의 다양한 증상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류마티스 관절염의 증상은 손가락, 발가락, 손목 등 말초 관절의 활막에 염증 및 면역세포의 침윤, 신생혈관의 생성 등 활막염(synovitis)이 발생하고, 관절 연골의 파괴 및 뼈 손상이 진행되어 관절의 기능 손상과 변형이 나타난다. 관절 증상 외에도 장기 침범(폐, 신장, 심장), 골다공증, 혈관염 등을 동반하기도 하며 전형적으로 여러 관절에 통증, 강직, 종창 등의 증상이 수 주에 걸쳐 서서히 나타난다. 약 2/3의 환자에서는 피로감, 식욕 부진, 전신 쇠약감, 모호한 근골격계 증상이 선행하며 이어 활막염이 발생한다.
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제로는 항염증 스테로이드제(예컨대 프레드니솔론)나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예컨대 인도메타신, 아스피린), 면역 억제제 [예컨대 사이클로스포린 A, 타크롤리무스(FK506), 메토트렉세이트, 시클로포스파미드, 아자티오프린], 질환 수식성 항류마티즘제(예컨대 금 염 제제)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항염증제는 염증을 조절하고, 증상을 일부 완화시킬 수 있지만, 진행자체를 저지하는 것은 어려우며,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도 관절부위 연골 손실이나 질병의 진행을 막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 시 위십이지장 궤양 등의 소화기 부작용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스테로이드 호르몬제도 염증을 조절해 주는 약제이나 얼굴이 둥그렇게 되고, 체중이 늘며, 당뇨병, 고혈압 등이 발병될 수 있는 부작용이 있다.
따라서 현재까지 개발된 류마티스 관절염의 약물치료는 대부분 통증을 감소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되고 있을 뿐 근본적인 치료효과를 주는 약물이나 수술법은 현재까지 없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우수한 새로운 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제 개발이 필요하다.
또 한편, 골다공증은 골강도의 감소가 골절의 위험을 높이는 질환이다. 골다공증은 노인 골절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흔히 부러지는 뼈에는 척추 뼈, 팔뚝 뼈, 엉덩이 뼈 등이 있다. 실제 골절이 일어나기 전에는 보통 아무런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뼈는 사소한 스트레스나 자발적으로 부러질 수 있는 정도로 약해진다. 골절 이후에 만성적인 통증이 오거나, 일상적인 활동 수행 능력이 저하 될 수 있다.
골다공증은 골 부피가 정상 수치보다 낮거나, 골소실이 많이 일어나서 생길 수 있다. 폐경 이후에 에스트로겐 수치가 낮아져서 골소실이 증가한다. 골다공증은 또한 알코올 중독, 거식증, 갑상선 기능 항진증, 신장 질환, 그리고 난소의 외과적 절제와 같은 질환이나 치료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항암제, 화학 요법, 양성자 펌프 억제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포도당 내성 억제제 등의 일부 약물은 골소실을 증가시킨다. 운동 부족과 흡연 또한 위험 요인이다. 젊은 성인의 골밀도보다 표준 편차의 2.5배 낮을 때 골다공증으로 정의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고관절에서의 이중 에너지 X선 흡광 광도계로 측정된다.
골다공증을 예방하는 방법에는 소아기에 적절한 식이를 하는 것과 골다공증을 유발하는 약물을 피하는 것이 있다. 골다공증 환자들은 골절을 예방하기 위해 적절한 식이, 운동, 그리고 넘어지는 것을 피해야 한다. 금연, 금주와 같은 생활 습관 변화 또한 도움이 될 수 있다. 디소디움에티드로네이트 약물은 골다공증에 의한 골절 경험이 있는 환자들에게 효과가 있다. 골다공증은 있지만, 이로 인한 골절 경험이 없는 환자에게는 디소디움에티드로네이트 약물의 효능이 떨어진다.
골다공증은 나이가 들수록 흔해진다. 50대의 백인들에서는 약 15%가, 70대의 백인들에서는 80% 이상이 골다공증의 영향을 받는다. 골다공증은 남성보다 여성에서 더 흔하게 발견된다. 선진국에서는 진단 방법에 따라서 2%에서 8%의 남성이, 9%에서 38%의 여성이 영향을 받고 있다. 개발도상국에서의 유병률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2010년에 EU의 여성 약 2200만 명과 남성 약 550만 명이 골다공증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에서는 2010년에 여성 800만 명, 남성 100에서 200만 명이 골다공증을 앓았다. 백인과 동양인이 다른 인종에 비해 더 많은 리스크를 가진다.
현재까지 골다공증을 치료하기 위하여 호르몬, 알렌드로네이트(alendronate), 칼시토닌(calcitonin), 라록시펜(raloxifene), Na-F, 칼시트리올(calcitriol) 또는 비스포스포네이트(bisphosphonate) 제제 등을 투여하게 되나, 골다공증의 치료는 장기적인 치료기간을 요구하는 질환이기 때문에 종래의 약물을 장기 복용하게 됨으로써 요로결석, 자궁내막암, 유방암 등과 같은 부작용이 초래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특히, 현재 골다공증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는 에스트로겐이나 칼시토닌을 포함한 호르몬 요법의 경우 유방암, 심근경색, 정맥 혈전증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한다고 알려져 있다(JAMA 2002, 288, 872-881; J. Obstet. Bynaecol. Can. 2002, 24, 711-715). 또한, 비스포스포네이트는 파골세포를 억제하는 골흡수 억제제로서 새로운 대체 치료제로 주목받고 있으나, 흡수율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고, 올바르지 않은 경구 투여시에는 상기도(upper airway)에 병소가 관찰 된다고 보고된 바 있다(Clin. Proc. 2002, 77, 1031-1043).
이에 따라, 독성 및 부작용이 적은 치료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어, 최근에는 다른 부작용 없이 골손실을 최소화하면서 골형성을 촉진할 수 있는 한약재 및 식품 등의 천연물 유래 활성성분을 이용한 대체요법 연구와 다양한 추출물 제조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골다공증 예방 및 개선에 대하여 우수한 효과를 가지며, 기존의 합성 약학적 조성물보다 부작용이 적은 천연 약학적 조성물 또는 그 원료에 대한 개발은 아직까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 생약재인 녹용을 이용하여 부작용 없이 효과적으로 류마티스 관절염 또는 골다공증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녹용 추출물에 효소처리를 통한 성장촉진활성이 높은 녹용 가수분해물 즉,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insulin-like growth factor; IGF)의 함량이 높은 녹용 가수분해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효소 중 특히 alcalase를 처리함으로써 조골세포의 증식과 ALP활성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Ha H, Yoon SH. 1996. Analytical studies of constituents of antler. J Korean Soc Food Nutr 25: 279-282.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녹용 추출물을 이용한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IGF)를 다량으로 함유하는 녹용 가수분해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IGF를 다량으로 함유하는 녹용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IGF를 다량으로 함유하는 녹용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녹용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골질환은 류마티스 관절염 또는 골다공증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녹용 가수분해물은, 녹용 추출물을 녹용의 중량 10배수에 해당하는 증류수를 첨가하여 90 내지 110℃에서 2시간 내지 4시간 동안 추출하는 1단계; 상기 1단계의 녹용 추출물을 회전감압 농축하고, 진공 건조하여 녹용건조엑스을 만드는 2단계; 상기 2단계의 녹용건조엑스 중량의 10 내지 30배수에 해당하는 증류수을 넣고, 80 내지 100℃에서 10 내지 30분간 처리하여 내인성 효소 불활성화 시키는 3단계; 가수분해효소를 0.5%로 처리한 후 50 내지 70℃, 100 rpm의 조건에서 5시간 동안 가수분해 시키는 4단계; 80 내지 100℃에서 10 내지 30분간 효소 불활성화 시키는 5단계; 및 원심분리 및 -40℃에서 동결건조 시키는 6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3단계의 가수분해 효소는 Alcalase, Flavourzyme, Palatase, Protamex, Viscozyme 및 Palatase+Protamex(혼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녹용 가수분해물은, 조골세포 증식 촉진 효과; 및 염기성 인산분해효소(ALP; alkaline phosphatase) 활성 촉진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녹용 가수분해물 20 내지 30 중량부; 미결정셀룰로오스 50 내지 55 중량부; 구아검 5 내지 10 중량부; 크로스카르멜로오스나트륨 8 내지 12 중량부; 비타민 C 1 내지 5 중량부;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3 내지 0.7 중량부; 스테비아 0.05 내지 0.15 중량부; 수크랄로오스 0.05 내지 0.15 중량부; 멘톨향 착향제 0.3 내지 0.7 중량부; 및 사과향 착향제 0.3 내지 0.7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녹용 가수분해물 25 중량부; 미결정셀룰로오스 52.3 중량부; 구아검 8 중량부; 크로스카르멜로오스나트륨 10 중량부; 비타민 C 3 중량부;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5 중량부; 스테비아 0.1 중량부; 수크랄로오스 0.1 중량부; 멘톨향 착향제 0.5 중량부; 및 사과향 착향제 0.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녹용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골질환은 류마티스 관절염 또는 골다공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녹용 가수분해물은, 녹용 추출물을 녹용의 중량 10배수에 해당하는 증류수를 첨가하여 90 내지 110℃에서 2시간 내지 4시간 동안 추출하는 1단계; 상기 1단계의 녹용 추출물을 회전감압 농축하고, 진공 건조하여 녹용건조엑스을 만드는 2단계; 상기 2단계의 녹용건조엑스 중량의 10 내지 30배수에 해당하는 증류수을 넣고, 80 내지 100℃에서 10 내지 30분간 처리하여 내인성 효소 불활성화 시키는 3단계; 가수분해효소를 0.5%로 처리한 후 50 내지 70℃, 100 rpm의 조건에서 5시간 동안 가수분해 시키는 4단계; 80 내지 100℃에서 10 내지 30분간 효소 불활성화 시키는 5단계; 및 원심분리 및 -40℃에서 동결건조 시키는 6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이며, 상기 3단계의 가수분해 효소는 Alcalase, Flavourzyme, Palatase, Protamex, Viscozyme 및 Palatase+Protamex(혼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녹용 가수분해물은, 조골세포 증식 촉진 효과; 및 염기성 인산분해효소(ALP; alkaline phosphatase) 활성 촉진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녹용 가수분해물 20 내지 30 중량부; 미결정셀룰로오스 50 내지 55 중량부; 구아검 5 내지 10 중량부; 크로스카르멜로오스나트륨 8 내지 12 중량부; 비타민 C 1 내지 5 중량부;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3 내지 0.7 중량부; 스테비아 0.05 내지 0.15 중량부; 수크랄로오스 0.05 내지 0.15 중량부; 멘톨향 착향제 0.3 내지 0.7 중량부; 및 사과향 착향제 0.3 내지 0.7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녹용 가수분해물 25 중량부; 미결정셀룰로오스 52.3 중량부; 구아검 8 중량부; 크로스카르멜로오스나트륨 10 중량부; 비타민 C 3 중량부;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5 중량부; 스테비아 0.1 중량부; 수크랄로오스 0.1 중량부; 멘톨향 착향제 0.5 중량부; 및 사과향 착향제 0.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녹용 추출물의 효소처리를 통해서 성장촉진활성이 높은 녹용 가수분해물 즉,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insulin-like growth factor; IGF)의 함량이 높은 녹용 가수분해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에 따라 녹용의 가수분해를 통해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 즉 IGF-1의 함량이 높은 녹용 가수분해물을 제조하고, 녹용 가수분해물이 성장촉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 따른 효소처리시 효소 중 alcalase, protamex, palatase+protamex(혼합) 순으로 IGF-1 함량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 따른 녹용 가수분해물을 이용하여 조골세포 증식능을 측정한 결과 MC3T3-E1세포는 녹용 가수분해물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세포의 증식이 촉진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IGF-1 함량이 높은 alcalase, protamex, palatase+protamex(혼합)를 처리한 녹용 가수분해물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 따른 녹용 가수분해물을 이용하여 조골세포를 배양한 후 녹용 가수분해물의 ALP 활성 측정을 위하여 시료를 처리하여 세포내의 ALP 활성을 확인한 결과는 alcalase를 처리한 추출물에서 ALP효소 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palatase+protamex(혼합)를 함께 처리한 시료에서 활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녹용 가수분해물에 alcalase, palatase+protamex(혼합)를 처리함으로써 조골세포의 증식과 ALP활성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효과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IGF를 다량으로 함유하는 녹용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녹용 추출물을 이용하여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IGF-1) 고함량의 녹용 가수분해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녹용 추출물에 5가지 효소를 각각 이용하여 가수분해 후 녹용 가수분해물의 단백질 패턴을 SDS-PAGE로 비교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녹용 가수분해물을 이용하여 조골세포 증식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녹용 가수분해물을 이용하여 염기성 인산분해효소(ALP)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녹용 가수분해물을 포함한 구강붕해정 개발시 구성성분들의 구성비, 이들의 제제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구현 예는 본 발명에 대한 예시로 제시되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주지 저명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로부터 해석되는 균등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w/w) %, 고체/액체는(w/v) %, 그리고 액체/액체는(v/v) %이다.
본 발명은 녹용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과 골다공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된 녹용 가수분해물은 이후 여과하거나 농축 또는 건조과정을 수행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으며, 여과, 농축 및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여과는 여과지를 이용하거나 감압여과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농축은 회전감압 농축기, 건조는 동결건조법 등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녹용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과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 이외에도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제학적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과립제, 산제, 정제, 피복정, 캡슐제, 좌제, 액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주사 가능한 액제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당, 옥수수 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 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 검 등을 포함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해당분야의 적절한 방법으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 3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은 하나 이상의 치료제와 조합하여 치료 유효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제약 조합물).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화학요법제와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상승작용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다른 요법과 함께 투여하는 경우, 공동-투여된 화합물의 투여량은 물론 사용된 공동-약물의 유형, 사용된 구체적인 약물, 치료할 병태 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포유동물에게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또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포유동물"은 치료, 관찰 또는 실험의 대상인 포유동물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말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치료상 유효량"은 연구자, 수의사, 의사 또는 기타 임상에 의해 생각되는 조직계, 동물 또는 인간에서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유효 성분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양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치료되는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의 완화를 유도하는 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에 대한 치료상 유효 투여량 및 투여횟수는 원하는 효과에 따라 변화될 것임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그러므로 투여될 최적의 투여량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으며,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 및 다른 성분의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료방법에 있어서, 성인의 경우,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1일 1회 내지 수회 투여시, 0.001㎎/kg~1000㎎/kg의 용량으로 투여할 수 있으나, 특별히 그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녹용 가수분해물은 한방에서 처방되고 있는 천연 생약재로 구성된 것으로 체내 부작용 및 독성을 유발시키지 않아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녹용 가수분해물은 류마티스 관절염 또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로도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녹용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과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류마티스 관절염 또는 골다공증의 예방 및 개선에 효과가 있는 식품, 예컨대, 식품의 주원료, 부원료, 식품 첨가제, 기능성 식품 또는 음료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
본원에서 상기 “식품”이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식품, 식품 첨가제, 기능성 식품 및 음료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기능성 식품 등이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서 식품에는 특수영양식품(예, 조제유류, 영,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예, 라면류, 국수류 등), 빵류,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예, 스넥류), 캔디류, 쵸코렛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예, 과실 음료, 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등), 천연조미료(예, 라면 스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 음료 또는 식품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식품”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건강기능식품일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능성 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기술한 것 이외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을 함유하는 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으며, 상기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을 함유하는 식품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분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01중량% 내지 90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중량% 내지 40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음료의 경우, 100ml를 기준으로 0.001g 내지 2g, 바람직하게는 0.01g 내지 0.1g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으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요소와 기술적 특징을 다음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IGF-1 고함량 녹용 가수분해물 제조
녹용 추출물은 녹용의 중량 10배수에 해당하는 증류수를 첨가하여 105℃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여 이를 회전감압농축 후 진공건조하여 녹용건조엑스를 제조하였다. 상기 녹용건조엑스 중량 20배수에 해당하는 증류수를 넣고, 내인성 효소 불활성화를 위해 90℃에서 20분간 처리하는 단계를 진행하였다. 그 후 효소 6종(Alcalase, Flavourzyme, Palatase, Protamex, Viscozyme, Palatase+Protamex)을 0.5%로 처리한 후 가수분해를 위해 60℃, 100 rpm의 조건으로 5시간 동안 처리하는 단계를 거쳤으며, 효소 불활성화를 위해 90℃에서 20분간 방치하였다. 그 후 원심분리를 통해 상등액을 취한 후 동량으로 맞춰, -40℃에서 수분함량이 5% 이하가 되도록 동결건조하여 IGF-1 고함량의 녹용 가수분해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녹용 추출물의 가수분해 후 단백질 패턴 비교(SDS-PAGE)
각 효소별(Alcalase, Flavourzyme, Palatase, Protamex, Viscozyme, Palatase+ Protamex)로 처리된 녹용 가수분해물의 단백질 가수분해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SDS-PAGE를 이용하여 가수분해물의 단백질 패턴을 측정하였다. SDS-PAGE는 4-12% gel을 사용하였으며, 각 가수분해물은 3,000xg, 10분간 원심분리 후 얻은 상등액 20μL를 gel에 loading 하여 80V에서 약 2시간 전기영동한 후, 쿠마시 브릴리언트 블루(Coomassie Brilliant Blue)를 사용하여 염색하고 10% acetic acid가 함유된 40% 메탄올을 이용하여 탈색시켰다. 단백질 패턴의 분석은 ChemiDoc-It2 Imager를 이용하여 gel을 스캐닝한 후 이미지로 영상화시켰다.
상기 방법에 따른 각 효소별로 5시간 반응시킨 녹용 가수분해물의 특성을 확인하고자 SDS-PAGE를 실시한 녹용 가수분해물의 SDS-PAGE 패턴을 도2에 나타내었다. 효소별 가수분해물을 비효소군과 비교한 결과, palatase와 viscozyme을 제외하고 15 kDa 이상의 단백질이 거의 분해되어 가수분해가 활발하게 일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가수분해효소 처리에 따른 수율 및 성분분석
녹용가수분해물의 단백질 함량은 BCA(Bicinchoninic acid) assay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IGF-1 함량은 ELISA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실험에 따른 결과, 하기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alcalase(2), protamex(5), palatase+protamex(혼합)(7)순으로 IGF-1 함량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 분  녹용 추출물
(효소처리X)
(1)
녹용 추출물
+ Alcalase
(2)
녹용 추출물
+ Flavourzyme
(3)
녹용 추출물
+ Palatase
(4)
녹용 추출물
+ Protamex
(5)
녹용 추출물
+ Viscozyme
(6)
녹용 추출물
+ Palatase
+ Protamex
(7)
Yield
(%)
71.24 93.25 90.81 76.54 94.62 75.56 94.58
Protein
(mg/mg)
0.17 0.10 0.13 0.15 0.10 0.16 0.10
IGF-1
(ng/mg)
0.32 2.11 1.13 0.73 1.69 0.50 1.34
<실시예 4> 녹용 가수분해물의 조골세포 증식 및 염기성 인산분해효소(ALP; alkaline phosphatase) 활성 측정
IGF는 proinsulin과 49% DNA sequence homology를 가지고 있는 단일 사슬 폴리펩타이드로 IGF-I과 IGF-II 두종류가 있으며, IGF-I과 IGF-II는 62%의 아미노산 배열 순서의 동성을 갖고 있으며, 유사한 생물학적 활성을 가진다. IGF-I은 연골과 골의 성장을 촉진시키며, 조골세포에 의하여 생성되고, 조골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키며 골조직의 단백합성을 촉진시킨다는 보고들이 있어 IGF-I은 조골세포의 증식뿐 아니라 분화를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MC3T3-E1 세포는 마우스 두개골(mouse calvaria) 유래의 조골세포(osteoblastic cell)로 골의 형성과정에서 세포의 증식, 분화, 석회화 등 골아세포와 유사한 대사적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조골세포 전구체로부터 전조골세포와 조골세포, 골내막세포 또는 골세포로 분화되는 과정에 속하는 세포이다. 이에 골 형성과 관련된 연구에서 유용하게 사용되는 조골세포를 이용하여 녹용 가수분해물의 IGF-1의 함량의 차이에 따른 조골세포의 증식과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4-1> 녹용 가수분해물의 조골세포 증식능 측정
녹용 가수분해물에 의한 MC3T3-E1세포의 증식률은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bromide] assay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96well plate에 1x104 cells/well의 농도로 각 well에 200μL씩 세포를 분주하고 10% FBS가 함유된 ?誓?-MEM 배양액을 넣은 후 배양기에 배양하였다. 세포가 각 well에 80%정도 자랐을 때, 실험군에 각 농도별로 준비된 녹용 가수분해물을 첨가하여 배양하였고 대조군은 배지만 넣고 다른 조건은 동일하게 배양하였다. 배양 1일 후 MTT(5mg/mL)시약을 20μL씩 각 well에 첨가하여 4시간동안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4시간 뒤 반응액을 제거하고 100μL의 DMSO를 첨가하여 15분간 실온에서 세포내에 형성된 formazan결정을 용해한 후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540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실험군의 흡광도를 대조군의 흡광도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MC3T3-E1 세포에 녹용 가수분해물을 처리하여 세포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결과는 도3과 같다. MC3T3-E1세포는 녹용 가수분해물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세포의 증식이 촉진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IGF-1 함량이 높은 alcalase(2), protamex(5), palatase+protamex(혼합)(7)를 처리한 녹용추출물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4-2> 녹용 가수분해물의 염기성 인산분해효소(ALP)의 활성 측정
마우스 두개골 조골세포(Mouse calvaria osteoblast cell)인 MC3T3-E1(CRL-2593) cell은 ATCC(ATCC, Manassas, VA, USA)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Cho 등의 방법(Cho SH. The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of the effects of estrogen on the osteoblast-like cell(Ros-17/2.8-5) differentiation. J. Korean Soc. Menopause 1: 28-34(1995)을 참고하여 α-MEM 배지에 10% FBS와 1% antibiotics(Gibco BRL, Grand Island, NY, USA)를 첨가하여 37℃의 5% CO2 배양기에서 2-3일 마다 계대배양하고, 분화유도를 위해 10mM β-glycerol phosphate(Sigma Co., St. Louis, MO, USA)와 50μg/mL ascobic acid(Sigma Co., St. Louis, MO, USA)를 첨가하여 분화유도배지로 사용하였으며, 3일마다 배지를 교환하였다.
조골세포는 세포막에 염기성 인산분해효소(ALP)를 가지고 있고, 이 효소는 세포의 외막과 석회화 조직에서 높은 농도로 발견되어 석회화 과정 동안 무기인산은 운반, 세포 분열이나 분화의 조절자 역할을 하며 조골세포 활성의 표지인자로 널리 알려져 있다. 따라서 녹용 가수분해물의 조골세포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조골세포 활성의 지표효소로 널리 알려진 ALP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조골세포의 ALP(alkaline phosphatase) 활성 측정을 위하여 배양된 MC3T3-E1 세포를 1×104 cells/well로 조정하여 96-well plate에 분주하고 24시간 배양한 후 분화유도배지로 교환하여 24시간 배양한 다음 시료처리를 하였다. 시료추출물을 각 농도별로 처리하여 세포를 배양한 후 3일 뒤 PBS로 세척한 다음 0.1% Triton X-100을 20μL씩 첨가하여 37℃에서 30분간 lysis하였다. Lysis된 cell의 상층액 5μL는 단백질 정량에 사용하였고, 나머지 상층액에 20μL의 0.1N glycine과 10μL의 100mM ρ-nitrophenylphosphate(ρ-NPP)를 첨가한 후 다시 37℃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200μL의 0.1N NaOH로 반응을 중지하고,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ALP 활성은 ρ-NPP로부터 생성된 ρ-nitrophenol(ρ-NP)를 측정하여 ρ-NP에 대한 표준그래프를 작성한 후 활성도를 대조군과의 상대비교를 통해 도출하였다.
조골세포를 배양한 후 녹용 가수분해물의 ALP 활성 측정을 위하여 시료를 처리하여 세포내의 ALP 활성을 확인한 결과는 효소 alcalase를 처리한 추출물에서 ALP효소 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palatase+protamex(혼합)를 함께 처리한 시료에서 활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녹용 추출물에 alcalase, palatase+protamex(혼합)를 처리함으로써 조골세포의 증식과 ALP활성에 현저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녹용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 구강붕해정의 개발
일반적으로 정제는 위에서 붕해, 분산 및 용해되어 위장관 점막을 통해 흡수된다. 이와 달리 구강붕해정은 경구 투여 시 구강 내에서 붕해되어 침과 함께 삼켜진 후에 구강 및 위장관 점막을 통해 흡수된다. 이러한 제형은 보통 물 없이 입안에서 10~40초 이내에 붕해되기 때문에 복용이 편리하며, 위장관계를 거치지 않기 때문에 소화기관 장애가 적고, 정량성이 높은 장점이 있으며, 특히 소아, 노인, 약물을 삼키기 힘든 환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저분자의 단백질 패턴을 보이며, 수율이 높고, IGF-1 함량이 높은 녹용 가수분해물의 관능적 특성을 개선하고 구강붕해정으로의 개발을 위해 첨가제를 비율별로 혼합하여 정제로 제조한 다음 경도, 붕해도를 측정하고, 5점 척도에 의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붕해도 및 관능적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 Type5의 조성으로 녹용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 구강붕해정으로 개발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므로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세포 실험을 통해 본 발명자들은 IGF를 다량으로 함유하는 녹용 가수분해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확립하였고, 이를 통해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녹용 가수분해물이 조골세포 증식 촉진 및 염기성 인산분해효소(ALP; alkaline phosphatase) 활성 촉진 효과를 확인하여 이를 류마티스 관절염 또는 골다공증의 예방, 개선 및 치료를 위한 의약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 가능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녹용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서,
    상기 골질환은 류마티스 관절염 또는 골다공증이고,
    상기 녹용 가수분해물은, 녹용 추출물을 녹용의 중량 10배수에 해당하는 증류수를 첨가하여 90 내지 110℃에서 2시간 내지 4시간 동안 추출하는 1단계; 상기 1단계의 녹용 추출물을 회전감압 농축하고, 진공 건조하여 녹용건조엑스을 만드는 2단계; 상기 2단계의 녹용건조엑스 중량의 10 내지 30배수에 해당하는 증류수을 넣고, 80 내지 100℃에서 10 내지 30분간 처리하여 내인성 효소 불활성화 시키는 3단계; 가수분해효소를 0.5%로 처리한 후 50 내지 70℃, 100 rpm의 조건에서 5시간 동안 가수분해 시키는 4단계; 80 내지 100℃에서 10 내지 30분간 효소 불활성화 시키는 5단계; 및 원심분리 및 -40℃에서 동결건조 시키는 6단계를 통해 제조되고,
    상기 3단계의 가수분해 효소는, Alcalase, Flavourzyme, Palatase, Protamex, Viscozyme 및 Palatase+Protamex(혼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처리하는 것이고,
    상기 조성물은, 녹용 가수분해물 25 중량부; 미결정셀룰로오스 52.3 중량부; 구아검 8 중량부; 크로스카르멜로오스나트륨 10 중량부; 비타민 C 3 중량부;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5 중량부; 스테비아 0.1 중량부; 수크랄로오스 0.1 중량부; 멘톨향 착향제 0.5 중량부; 및 사과향 착향제 0.5 중량부인 것인,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녹용 가수분해물은, 조골세포 증식 촉진 효과; 및 염기성 인산분해효소(ALP; alkaline phosphatase) 활성 촉진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삭제
  7. 녹용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골질환은 류마티스 관절염 또는 골다공증이고,
    상기 녹용 가수분해물은, 녹용 추출물을 녹용의 중량 10배수에 해당하는 증류수를 첨가하여 90 내지 110℃에서 2시간 내지 4시간 동안 추출하는 1단계; 상기 1단계의 녹용 추출물을 회전감압 농축하고, 진공 건조하여 녹용건조엑스을 만드는 2단계; 상기 2단계의 녹용건조엑스 중량의 10 내지 30배수에 해당하는 증류수을 넣고, 80 내지 100℃에서 10 내지 30분간 처리하여 내인성 효소 불활성화 시키는 3단계; 가수분해효소를 0.5%로 처리한 후 50 내지 70℃, 100 rpm의 조건에서 5시간 동안 가수분해 시키는 4단계; 80 내지 100℃에서 10 내지 30분간 효소 불활성화 시키는 5단계; 및 원심분리 및 -40℃에서 동결건조 시키는 6단계를 통해 제조되고,
    상기 3단계의 가수분해 효소는, Alcalase, Flavourzyme, Palatase, Protamex, Viscozyme 및 Palatase+Protamex(혼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처리하는 것이고,
    상기 조성물은, 녹용 가수분해물 25 중량부; 미결정셀룰로오스 52.3 중량부; 구아검 8 중량부; 크로스카르멜로오스나트륨 10 중량부; 비타민 C 3 중량부;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5 중량부; 스테비아 0.1 중량부; 수크랄로오스 0.1 중량부; 멘톨향 착향제 0.5 중량부; 및 사과향 착향제 0.5 중량부인 것인,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녹용 가수분해물은, 조골세포 증식 촉진 효과; 및 염기성 인산분해효소(ALP; alkaline phosphatase) 활성 촉진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200161106A 2020-11-26 2020-11-26 Igf를 다량으로 함유하는 녹용 가수분해물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2454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1106A KR102454544B1 (ko) 2020-11-26 2020-11-26 Igf를 다량으로 함유하는 녹용 가수분해물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1106A KR102454544B1 (ko) 2020-11-26 2020-11-26 Igf를 다량으로 함유하는 녹용 가수분해물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3226A KR20220073226A (ko) 2022-06-03
KR102454544B1 true KR102454544B1 (ko) 2022-10-17

Family

ID=81982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1106A KR102454544B1 (ko) 2020-11-26 2020-11-26 Igf를 다량으로 함유하는 녹용 가수분해물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454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23447B2 (ja) * 2003-05-28 2010-03-03 エーザイ・アール・アンド・ディー・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骨粗鬆症予防治療剤
CN102925522A (zh) * 2012-10-31 2013-02-13 王�华 一种采用酶解法制取鹿茸多肽干粉的方法
KR101822752B1 (ko) * 2016-08-03 2018-01-2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녹용의 고생리활성성분을 함유한 녹용효소가수분해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녹용효소가수분해추출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378B1 (ko) * 2018-05-29 2020-05-2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접골공진단을 포함하는 골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23447B2 (ja) * 2003-05-28 2010-03-03 エーザイ・アール・アンド・ディー・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骨粗鬆症予防治療剤
CN102925522A (zh) * 2012-10-31 2013-02-13 王�华 一种采用酶解法制取鹿茸多肽干粉的方法
KR101822752B1 (ko) * 2016-08-03 2018-01-2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녹용의 고생리활성성분을 함유한 녹용효소가수분해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녹용효소가수분해추출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3226A (ko) 2022-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3778B1 (ko) 체지방 감소 기능을 갖는 조성물 및 그를 함유하는 식음료
US20100316741A1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crude drug complex for stimulating bone growth
KR100996985B1 (ko) 글루카곤양 펩티드-1 분비 촉진제, 글루카곤양 펩티드-1분비 촉진용 음식품, 식후 혈당값 상승 억제제 및 식후혈당값 상승 억제용 음식품
JP2020533012A (ja) 益智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骨関節炎の予防、改善または治療用組成物
WO2014017570A1 (ja) 変形性関節症予防又は治療用組成物
JP4496127B2 (ja) 生薬材抽出物混合物および骨粗鬆症の予防または治療剤
KR102454544B1 (ko) Igf를 다량으로 함유하는 녹용 가수분해물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US8333998B2 (en) Herbal mixture extract of rehmanniae radix preparata and acanthopanacis cortex and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KR100945960B1 (ko) 아라자임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CN112153976B (zh) 用于预防或治疗骨质疏松症的组合物
KR100597563B1 (ko) 골성장촉진활성을 갖는 엘루테로사이드 e 를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KR100597564B1 (ko) 골성장 촉진활성을 갖는 엘루테로사이드 e를 함유하는약학조성물
US11679134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od composition and food additive for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muscle loss, weakness and atrophy, containing, as active ingredient, Enterococcus faecalis, culture liquid thereof or dead cells thereof
KR20180026263A (ko)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10012915A (ko) 효소처리 로얄젤리 분말을 포함하는 염증성 골관절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10044382A (ko) 목장 원유 유래 엑소좀을 포함하는 골밀도 강화 또는 골다공증 치료용 조성물
WO2015190682A1 (ko) 쿠마린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102490355B1 (ko) 타우로케노디옥시콜산 함량이 증대된 담즙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3277273A (ja) ミネラル吸収促進剤
US20230364069A1 (en) Method for treating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through co-administration of curcumin derivative and tgf-b receptor inhibitor
KR20110062429A (ko) 젤라틴 유래 효소분해물을 함유하는 골 성장 촉진용 조성물
WO2022191184A1 (ja) グレリン受容体感受性増強剤、グレリン受容体感受性増強用組成物及びグレリン受容体の活性化方法
KR101835997B1 (ko) 알릴 설파이드류 화합물을 포함하는 위장관 운동 억제용 조성물
KR101761822B1 (ko) 진지버 오피시날 추출물 및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추출물을 함유하는 관절염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106331A (ko) 마이얄 반응 생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