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4013B1 - 브레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4013B1
KR102454013B1 KR1020170143830A KR20170143830A KR102454013B1 KR 102454013 B1 KR102454013 B1 KR 102454013B1 KR 1020170143830 A KR1020170143830 A KR 1020170143830A KR 20170143830 A KR20170143830 A KR 20170143830A KR 102454013 B1 KR102454013 B1 KR 102454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torque plate
boot
boot body
brak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3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8681A (ko
Inventor
정민규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3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4013B1/ko
Priority to CN201821744217.3U priority patent/CN208997231U/zh
Priority to US16/174,719 priority patent/US10823239B2/en
Publication of KR20190048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4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1/0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 F16D51/16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 F16D51/18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with two brake-shoes
    • F16D51/26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with two brake-shoes both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from their pivots
    • F16D51/3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with two brake-shoes both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from their pivots fluid actu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05Components of axially engaging brak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6D65/0087Brake housing guide members, e.g. caliper pins; Accessories therefor, e.g. dust boo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1/0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 F16D51/16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 F16D51/18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with two brake-shoes
    • F16D51/2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with two brake-shoes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from their pivots
    • F16D51/24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with two brake-shoes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from their pivots fluid actu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1/0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 F16D2051/001Parts or details of drum brakes
    • F16D2051/003Brake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1/0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 F16D2051/001Parts or details of drum brakes
    • F16D2051/005Protective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02Fluid-pressure mechanisms
    • F16D2125/06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02Fluid-pressure mechanisms
    • F16D2125/08Seals, e.g. piston se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Sealing Devices (AREA)

Abstract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브레이크 장치는 토크플레이트부와, 슈라이너에 결합되고, 토크플레이트부 내측에서 이동 가능한 피스톤부 및 피스톤부를 둘러싸며, 토크플레이트부와 피스톤부 사이에 설치되는 부트본체와 부트본체의 일단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링 형상의 형상유지부가 구비되는 더스트부트를 포함하고, 형상유지부가 삽입되는 부트본체의 일단부에는, 피스톤부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부에 걸쳐지도록 피스톤부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브레이크 장치 {BRAKE APPARATUS}
본 발명은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밀 성능이 향상되는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드럼 브레이크(DRUM BRAKE)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휠(WHEEL)과 함께 회전하는 백플레이트에 설치되어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슈라이너, 동력을 전달받아 한 쌍의 슈라이너를 반경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작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구동부는 슈라이너와 결합되는 피스톤을 포함하고, 피스톤의 이동에 따라슈라이너 간 간격이 증가되며 제동을 가하고, 제동 완료 시 슈라이너 간 간격이 감소하여 정위치로 복귀된다.
종래 더스트부트는 피스톤과 하우징의 외측을 둘러싸며 하우징의 내측으로 이물질이 유입하는 것을 차단하였으나,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더스트부트의 강성을 확보하는데 미흡하였다.
또한, 더스트부트의 손상 시 피스톤과 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는 수분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0977호(2012.02.21등록, 발명의 명칭: 전기 기계식으로 작동되는 주차 브레이크)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더스트부트 내에 삽입되는 형상유지부로 더스트부트가 토크플레이트부와 피스톤부 사이에서 압착 조립되어 수밀 성능이 향상되는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는: 토크플레이트부; 슈라이너에 결합되고, 상기 토크플레이트부 내측에서 이동 가능한 피스톤부; 및 상기 피스톤부를 둘러싸며, 상기 토크플레이트부와 상기 피스톤부 사이에 설치되는 부트본체와; 상기 부트본체의 일단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링 형상의 형상유지부;가 구비되는 더스트부트;를 포함하고, 상기 형상유지부가 삽입되는 상기 부트본체의 일단부에는, 상기 피스톤부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부에 걸쳐지도록 상기 피스톤부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피스톤부의 외주면을 따라 접촉되도록 상기 부트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부트본체에는 상기 형상유지부가 설치되는 상기 부트본체의 일단부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토크플레이트부 측으로 밀림방지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밀림방지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부트본체의 외주면에서 서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부트본체에는, 상기 부트본체의 내측 단부에서 상기 슈라이너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피스톤부를 가압하는 가압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형상유지부는 스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는, 형상유지부로 인하여 부트본체가 토크플레이트부와 피스톤부 사이에서 압착 조립되어 형상이 유지되도록 하여 토크플레이트부 내로 이물질이 유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형상유지부가 스틸 재질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부트본체가 형상을 유지하며 더스트부트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걸림부로 인하여 피스톤부와 압착 조립되어 토크플레이트부 내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걸림부가 부트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도록 하여 피스톤부의 외주면과 전구간에서 접촉되어 토크플레이트부 내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밀림방지부로 인하여 토크플레이트부 내에서 피스톤부의 왕복 이동 시 더스트부트가 피스톤부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밀림방지부가 토크플레이트부에 밀착되며 접촉되어 토크플레이트부 내로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밀림방지부가 복수 개가 구비되고, 부트본체의 외주면에서 서로 이격 배치됨으로 인하여 단수 개로 형성되는 것에 비하여 토크플레이트부와의 마찰을 증가시키고, 더스트부트의 이탈을 방지하여 수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압돌기부로 인하여 토크플레이트부 외측에서 피스톤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를 도시한 단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부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부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B부분을 도시한 확대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유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를 도시한 단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부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부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B부분을 도시한 확대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유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1)는 토크플레이트부(20), 피스톤부(40), 더스트부트(5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크플레이트부(20)는 백플레이트(10)에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에 구동모터 등 동력원이 설치되고, 동력을 피스톤부(40)에 전달하여 피스톤부(40)가 좌우 방향(도 1 기준)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크플레이트부(20)는 동력전달기어부(21)의 회전력을 피스톤부(40)에 전달하여 피스톤부(40)의 좌우 방향(도 4 기준)으로 직선 운동으로 전환시키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동력원이 직접 피스톤부(40)와 연결되어 피스톤부(40)를 좌우 방향(도 4 기준)으로 이동시키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토크플레이트부(20)는 피스톤부(40)의 외측에 설치되며, 토크플레이트부(20) 내측에서 피스톤부(40)가 왕복 운동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슈라이너(30)는 리턴스프링(31)으로 연결되고, 리턴스프링(31)은 슈라이너(30)가 좌우 방향으로 확장 시 길이가 연장되고, 축소 시 길이가 감소되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부(40)는 슈라이너(30)에 결합되고 토크플레이트부(20) 내측에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피스톤부(40)는 토크플레이트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 측에 서로 마주보며 복수 개가 구비되고, 각 피스톤부(40)에는 복수 개의 슈라이너(30)가 각각 결합되어 피스톤부(40)가 토크플레이트부(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왕복 운동 시 복수 개의 슈라이너(30)는 피스톤부(40)와 함께 이동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부(40)는 피스톤헤드부(41), 피스톤본체부(42), 연결부(4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헤드부(41)는 슈라이너(30)에 결합되는 것이고, 피스톤본체부(42)는 토크플레이트부(20) 내측에서 왕복 운동하는 것이며, 연결부(43)는 피스톤헤드부(41)와 피스톤본체부(42) 사이에 배치되며 피스톤헤드부(41)와 피스톤본체부(42)를 연결하는 것이다.
피스톤헤드부(41), 피스톤본체부(42), 연결부(43)는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43)에서 피스톤헤드부(41)와 연결되는 일면의 외경이 피스톤헤드부(41)의 외경보다 작고, 연결부(43)에서 피스톤본체부(42)와 연결되는 타면의 외경이 피스톤본체부(42)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뒤에 설명할 부트본체(51)의 내측 단부는 연결부(43)와 접촉되고, 부트본체(51)의 내측 단부가 피스톤헤드부(41)와 피스톤본체부(42) 사이에 배치되어 토크플레이트부(20) 내측으로 수분,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부트(50)는 토크플레이트부(20)와 피스톤부(40) 사이에 설치되어 토크플레이트부(20) 내측으로 수분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부트본체(51), 형상유지부(55)를 포함한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트본체(51)는 피스톤부(40)를 둘러싸는 것으로, 토크플레이트부(20)와 피스톤부(40) 사이에 설치되어 토크플레이트부(20) 내로 수분 등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트본체(51)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토크플레이트부(20) 내에서 피스톤부(40)가 좌우(도 4 기준)으로 왕복 운동 시 부트본체(51)의 형상이 유동적으로 변형되고, 부트본체(51)가 피스톤부(40) 와 토크플레이트부(20) 사이에 압착 조립되어 토크플레이트부(20) 내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52)는, 피스톤부(4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부(45)에 걸쳐지도록 피스톤부(40) 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걸림부(52)로 인하여 부트본체(51)가 피스톤부(40)를 조이는 조임력이 감소되거나 피스톤부(40)가 손상 시에도 부트본체(51)의 일단부에서 피스톤부(40)의 걸림턱부(45)에 걸쳐지며 접촉되어 토크플레이트부(20) 내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걸림부(52)는 형상유지부(55)가 삽입되는 부트본체(51)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피스톤부(40)와 형상유지부(55) 사이에서 피스톤부(40) 측으로 하측(도 4 기준)으로 형성된다.
걸림부(52)는 피스톤부(40)와 형상유지부(55) 사이에서 피스톤부(40)의 외주면에 면 접촉되고 피스톤부(40)가 좌우 방향(도 4 기준)으로 왕복 이동 시에도 피스톤부(40)와 면 접촉된 상태로 이동하므로, 토크플레이트부(20)의 내측으로 수분 등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52)는 피스톤부(40)의 외주면을 따라 접촉되도록 부트본체(51)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피스톤부(40)의 외주면과 전 구간에 걸쳐 접촉되어 토크플레이트부(20) 내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52)는 피스톤부(40) 구체적으로 피스톤본체부(42)의 좌측 단부(도 4 기준)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부(45)와 접촉되고, 걸림턱부(45)로 인해 토크플레이트부(20) 내측으로 유입되는 수분 등 이물질을 1차적으로 차단하고, 걸림부(52)로 인하여 2차적으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방지부(53)는 형상유지부(55)가 설치되는 부트본체(51)의 일단부의 외주면을 따라 토크플레이트부(20) 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4의 C부분을 확대한 도면을 참조하면, 형상유지부(55)의 상측에 배치되는 부트본체(51)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토크플레이트부(20) 측(도 4의 C부분 확대한 도면 기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토크플레이트부(20) 내측에서 피스톤부(40)가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 시 밀림방지부(53)가 토크플레이트부(20)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토크플레이트부(20) 내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방지부(53)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부트본체(51)의 외주면에서 서로 이격 배치된다. 이로 인하여 토크플레이트부(20) 내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로를 차단하고, 더스트부트(50)가 토크플레이트부(20)와 피스톤부(40) 사이에서 압착되어 배치되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돌기부(54)는 부트본체(51)의 내측 단부에서 슈라이너(3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도 4 기준 우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가압돌기부(54)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며, 토크플레이트부(20) 내측에서 피스톤부(40)의 왕복 이동 시 피스톤부(40)와 밀착되며, 구체적으로 피스톤본체부(42)의 좌측 일면(도 4 기준)과 접촉된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가압돌기부(54)가 형성되는 부트본체(51)의 내측 단부는 피스톤헤드부(41)와 피스톤본체부(42) 사이에 배치되며, 연결부(43)와 접촉된다.
가압돌기부(54)가 연결부(43)와 접촉되고, 피스톤본체부(42)를 접촉 가압함으로 인하여 피스톤헤드부(41) 측에서 피스톤본체부(42)를 통해 토크플레이트부(20) 내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유지부(55)는 부트본체(51)의 일단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형상유지부(55)는 피스톤부(40)의 외측에 배치되고,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부트본체(51) 내에 삽입되어 부트본체(51)의 형상을 유지시키고, 부트본체(51)가 토크플레이트부(20)와 피스톤부(40) 사이에 압착 조립되어 토크플레이트부(20) 내측으로 수분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유지부(55)는 스틸(STEEL) 재질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강성을 유지하면서 형태가 변하지 않도록 다양한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유지부(55)는 내부에 피스톤부(40)가 통과되도록 통과홀부가 형성되고,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된다.
형상유지부(55)가 부트본체(51) 내에 삽입되어 형상이 유지됨으로써 더스트부트(50)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고, 가압력을 유지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형상유지부(55)가 더스트부트(50) 내측에 삽입되고 형상유지부(55)와 피스톤부(40) 사이에 배치되는 걸림부(52)를 가압함으로 인하여 걸림부(52)가 피스톤부(40)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하고 토크플레이트부(20) 내측으로 수분 등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1)의 작동원리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듀오서보(DUO SERVO) 타입의 주차 브레이크(DRUM IN HAT, DIH)에 액추에이터(ACTUATOR)가 장착되고 액추에이터에 의해 피스톤부(40)가 왕복 이동되어 슈라이너(30)의 간격을 확장 또는 축소시킴으로 인해 제동을 가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토크플레이트부(20)는 백플레이트(10)에 결합되며, 내부에 액추에이터가 설치되고 액추에이터는 모터를 구동시켜 동력전달기어부(21)를 회전시켜 피스톤부(40)에 동력을 전달한다.
피스톤부(40)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토크플레이트부(20) 내에서 서로 마주보며 배치된다. 토크플레이트부(20) 내에서 동력전달기어부(21)의 회전이 피스톤부(40)의 구동기어부(47)로 전달된다.
복수 개의 피스톤부(40) 증 좌측(도 3 기준)에 배치되는 피스톤부(40)의 구동기어부(47)가 회전력을 전달받고, 우측(도 3 기준)에 배치되는 피스톤부(40)에 설치되고 구동기어부(47)와 연결되는 너트부재와의 상호 작용으로 인하여 피스톤부(40)가 좌우 방향 (도 3 기준)으로 왕복 이동된다.
피스톤부(40)가 왕복 이동됨에 따라 복수 개의 각 피스톤부(40)와 결합되는 복수 개의 슈라이너(30)가 확장 또는 수축되며 슈라이너(30) 간 간격이 증가 또는 감소된다.
각 슈라이너(30)는 리턴스프링(31)으로 연결되고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리턴스프링(31)으로 인하여 슈라이너(30)가 정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부트(50)가 토크플레이트부(20)와 피스톤부(40) 사이에 배치됨으로 인하여 토크플레이트부(20) 내로 수분 등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스트부트(50)는 부트본체(51), 형상유지부(55)를 포함하며 형상유지부(55)가 부트본체(51) 내에 설치됨으로 인하여 더스트부트(50)의 형상을 유지시켜주고, 더스트부트(50)가 토크플레이트부(20)와 피스톤부(40) 사이에 압착 조립되도록 하여 토크플레이트부(20) 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형상유지부(55)가 삽입되는 부트본체(51)의 일단부에서 피스톤부(40) 측으로 걸림부(52)가 형성되고 이로 인하여 형상유지부(55)와 토크플레이트부(20) 사이에서 피스톤부(40)와 접촉하며 압착 조립되도록 하여 토크플레이트부(20) 내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걸림부(52)가 부트본체(51)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도록 하여 피스톤부(40)의 외주면과 전구간에서 접촉되어 토크플레이트부(20) 내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방지부(53)로 인하여 토크플레이트부(20) 내에서 피스톤부(40)가 좌우 방향(도 4 기준)으로 왕복 이동 시 더스트부트(5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밀림방지부(53)가 토크플레이트부(20)에 밀착되며 접촉되어 토크플레이트부(20) 내로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밀림방지부(53)가 복수 개가 구비되고, 부트본체(51)의 외주면에서 서로 이격 배치됨으로 인하여 단수 개로 형성되는 것에 비하여 토크플레이트부(20)와의 마찰을 증가시키고, 더스트부트(50)의 이탈을 방지하여 수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부트본체(51)의 내측 단부에서 슈라이너(3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압돌기부(54)로 인하여, 토크플레이트부(20) 외측에서 피스톤부(40)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유지부(55)가 스틸 재질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더스트부트(50)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고, 토크플레이트부(20)와 피스톤부(40) 사이에서 부트본체(51)가 위치 고정되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스틸 재질로 형성되어 형상유지부(55)와 토크플레이트부(20) 사이, 형상유지부(55)와 피스톤부(40) 사이에서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부트본체(51)를 각각 토크플레이트부(20), 피스톤부(40) 측으로 가압하여 더스트부트(50)의 밀착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더스트부트(50)의 밀착도가 향상됨으로 인하여 더스트부트(50)가 토크플레이트부(20)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토크플레이트부(20) 내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브레이크 장치 10: 백플레이트
20: 토크플레이트부 21: 동력전달기어부
30: 슈라이너 31: 리턴스프링
40: 피스톤부 41: 피스톤헤드부
42: 피스톤본체부 43: 연결부
45: 걸림턱부 47: 구동기어부
50: 더스트부트 51: 부트본체
52: 걸림부 53: 밀림방지부
54: 가압돌기부 55: 형상유지부

Claims (6)

  1. 토크플레이트부;
    슈라이너에 결합되는 피스톤헤드부와, 상기 토크플레이트부 내측에서 왕복 운동하고,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부가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피스톤본체부와, 상기 피스톤헤드부와 상기 피스톤본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피스톤부; 및
    상기 피스톤부를 둘러싸고 상기 토크플레이트부와 상기 피스톤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걸림턱부에 걸쳐지도록 상기 피스톤부 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가 일단부에 형성되고, 내측 단부는 상기 피스톤헤드부와 상기 피스톤본체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부와 접촉되는 부트본체와, 상기 부트본체의 일단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링 형상의 형상유지부를 구비하는 더스트부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피스톤부의 외주면을 따라 접촉되도록 상기 부트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트본체에는 상기 형상유지부가 설치되는 상기 부트본체의 일단부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토크플레이트부 측으로 밀림방지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밀림방지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부트본체의 외주면에서 서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트본체에는, 상기 부트본체의 내측 단부에서 상기 슈라이너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피스톤부를 가압하는 가압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유지부는 스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장치.
KR1020170143830A 2017-10-31 2017-10-31 브레이크 장치 KR102454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830A KR102454013B1 (ko) 2017-10-31 2017-10-31 브레이크 장치
CN201821744217.3U CN208997231U (zh) 2017-10-31 2018-10-26 制动装置
US16/174,719 US10823239B2 (en) 2017-10-31 2018-10-30 Brak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830A KR102454013B1 (ko) 2017-10-31 2017-10-31 브레이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681A KR20190048681A (ko) 2019-05-09
KR102454013B1 true KR102454013B1 (ko) 2022-10-14

Family

ID=66243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830A KR102454013B1 (ko) 2017-10-31 2017-10-31 브레이크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823239B2 (ko)
KR (1) KR102454013B1 (ko)
CN (1) CN208997231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77252B2 (ja) * 2018-09-28 2022-11-22 コンティネンタル・テーベス・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ウント・コンパニー・オッフェネ・ハンデルスゲゼルシヤフト 自動車用ブレーキシリンダのための改良された可撓性ダストブーツ
FR3097019B1 (fr) * 2019-06-07 2022-06-10 Foundation Brakes France Frein electromecanique compac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40554A (en) 1968-08-29 1970-11-17 Bendix Corp Heat shield for brake adjuster
JP2003166571A (ja) 2001-11-29 2003-06-13 Saitama Kiki Kk ドラムブレーキ用ホイルシリンダ
US20040226783A1 (en) * 2003-05-16 2004-11-18 Delphi Technologies Inc. Piston boot/guide for a caliper brak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625828C3 (de) * 1967-09-29 1980-04-10 Alfred Teves Gmbh, 6000 Frankfurt Schwimmsattelteilbelagscheibenbremse
US3490343A (en) * 1967-10-12 1970-01-20 Dayton Steel Foundry Co Hydraulic disk brakes
JPS58142450U (ja) * 1982-03-19 1983-09-2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ブ−ツ
US4537289A (en) * 1982-06-18 1985-08-27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Dust boot for a disc-brake actuating cylinder-and-piston unit
JPS60189631U (ja) * 1984-05-25 1985-12-1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ピンスライド型デイスクブレ−キにおけるピンブ−ツ
KR19990032383U (ko) * 1997-12-31 1999-07-26 배길훈 휠 실린더의 피스톤 부트 조립홈
JP4068013B2 (ja) * 2003-06-06 2008-03-26 曙ブレーキ工業株式会社 電動式ブレーキ装置
DE102004049434A1 (de) 2004-01-21 2005-10-06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Elektromechanisch betätigbare Feststellbremse
US20110278110A1 (en) * 2010-05-11 2011-11-17 Robert Bosch Gmbh Sealed Floating Shim for A Brake Caliper
FR2973462A1 (fr) * 2011-04-04 2012-10-05 Bosch Gmbh Robert Capuchon de piston de frein a disque et frein a disque ainsi equip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40554A (en) 1968-08-29 1970-11-17 Bendix Corp Heat shield for brake adjuster
JP2003166571A (ja) 2001-11-29 2003-06-13 Saitama Kiki Kk ドラムブレーキ用ホイルシリンダ
US20040226783A1 (en) * 2003-05-16 2004-11-18 Delphi Technologies Inc. Piston boot/guide for a caliper brak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23239B2 (en) 2020-11-03
US20190128346A1 (en) 2019-05-02
KR20190048681A (ko) 2019-05-09
CN208997231U (zh) 201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8057B2 (en) Parking brake
JP6458748B2 (ja) 電動ブレーキ
KR102454013B1 (ko) 브레이크 장치
KR20130060135A (ko) 디스크 브레이크
US8561762B2 (en) Brake piston with steel core and phenolic outer layer
CA2866371C (en) Caliper brake apparatus
JP6803931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US11511723B2 (en) Electric booster for vehicle
KR101405190B1 (ko) 디스크 타입 주차 브레이크 실링부재
KR20190002134A (ko) 브레이크 장치
KR101898889B1 (ko) 전동 주차 브레이크
KR101526257B1 (ko) 디스크 브레이크
JP6916890B2 (ja)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KR102488518B1 (ko) 전자식 캘리퍼 브레이크
JP2019070405A (ja)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KR200408183Y1 (ko)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
JP5625708B2 (ja) 回転規制機構
KR100759881B1 (ko) 디스크 브레이크
US20220145950A1 (en) Drum brake for vehicle
KR20090043131A (ko) 가이드 로드 체결장치를 구비한 디스크 브레이크
KR20210009120A (ko) 전동 부스터
KR101845744B1 (ko) 차량용 제동장치
KR101040938B1 (ko) 디스크 브레이크의 주차브레이크 장치
KR101197471B1 (ko)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의 제동제어를 위한 웨지 기준위치인식 방법
KR20160010963A (ko) 차량용 브레이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