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9120A - 전동 부스터 - Google Patents

전동 부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9120A
KR20210009120A KR1020190085699A KR20190085699A KR20210009120A KR 20210009120 A KR20210009120 A KR 20210009120A KR 1020190085699 A KR1020190085699 A KR 1020190085699A KR 20190085699 A KR20190085699 A KR 20190085699A KR 20210009120 A KR20210009120 A KR 20210009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unit
hook
coupling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5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하민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5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9120A/ko
Priority to US16/921,041 priority patent/US11273817B2/en
Priority to CN202021311892.4U priority patent/CN213228601U/zh
Publication of KR20210009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1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6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nd mechanical transmission of the braking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5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a hydraulic system, e.g. a master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01/00Particular use of vehicle brake systems; Special systems using also the brakes; Special software modules within the brake system controller
    • B60T2201/02Active or adaptive cruise control system; Distance control
    • B60T2201/024Collision mitig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 부스터에 관한 것으로, 구동부와,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부와, 기어부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너트부와, 회전너트부에 나사 결합되고 회전너트부의 회전에 의해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한 이동볼트부와, 이동볼트부를 관통하고 페달력을 전달하는 페달가압부와, 이동볼트부와 페달가압부에 의해 이동되어 실린더부의 유압을 증폭시키는 로드부와, 로드부에 형성되어 이동볼트부와 페달가압부의 충격을 완화하는 디스크부와, 구동부에 장착되고 기어부와 회전너트부와, 이동볼트부와, 페달가압부가 내장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져 볼트결합과 후크결합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되는 하우징부를 포함하여,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 부스터{ELECTRIC BOOSTER}
본 발명은 전동 부스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성을 개선하여 조립 시간을 단축하고, 수분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전동 부스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 부스터는 모터를 구동하여 마스터실린더를 가압하고, 마스터실린더에서 제동압을 생성한다. 이러한 전동 부스터는 모터와,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너트와, 회전너트에 의해 직선 왕복 이동되는 이동볼트와, 이동볼트에 의해 이동되면서 제동압을 생성하는 피스톤을 포함한다. 이때, 운전자에 의한 페달력 일부는 이동볼트를 관통하여 피스톤을 가압하고, 피스톤에는 페달력과 모터력을 균일하게 제공하기 위한 디스크가 구비된다.
한편, 모터와, 회전너트와, 이동볼트와, 피스톤은 하우징에 내장되는데, 하우징은 상하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볼트 결합된다.
그러나, 종래 전동 부스터는 하우징이 볼트 결합되기 위해 추가 공간을 필요로 하여 시스템 레이아웃에 불리하고, 복수개의 볼트를 개별적으로 조여주기 위해 조립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45597호(2012.05.09. 공개, 발명의 명칭 : 전동부스터 방식 제동장치)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조립성을 개선하여 조립 시간을 단축하고, 수분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전동 부스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부스터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부; 상기 기어부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너트부; 상기 회전너트부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회전너트부의 회전에 의해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한 이동볼트부; 상기 이동볼트부를 관통하고, 페달력을 전달하는 페달가압부; 상기 이동볼트부와 상기 페달가압부에 의해 이동되어 실린더부의 유압을 증폭시키는 로드부; 상기 로드부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볼트부와 상기 페달가압부의 충격을 완화하는 디스크부; 및 상기 구동부에 장착되고, 상기 기어부와, 상기 회전너트부와, 상기 이동볼트부와, 상기 페달가압부가 내장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져 볼트결합과 후크결합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되는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구동부와 결합되고, 상기 기어부와, 상기 회전너트부와, 상기 이동볼트부와, 상기 페달가압부가 내장되도록 일측이 개구된 제1하우징부; 상기 제1하우징부의 개구된 영역을 커버하는 제2하우징부; 상기 제1하우징부와 상기 제2하우징부 사이에 배치되는 실링부; 상기 제1하우징부와 상기 제2하우징부를 볼트 결합시키는 볼트결합부; 및 상기 제1하우징부와 상기 제2하우징부를 후크 결합시키는 후크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트결합부는 상기 이동볼트부를 커버하는 상기 제1하우징부와 상기 제2하우징부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하우징부는 일측이 개구된 제1하우징몸체부; 상기 제1하우징몸체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가 삽입되는 제1하우징삽입부; 및 상기 제1하우징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볼트결합부와의 결합을 유도하는 제1하우징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하우징부는 상기 제1하우징몸체부의 개구된 부분을 커버하고, 상기 실링부를 가압하는 제2하우징몸체부; 및 상기 제2하우징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볼트결합부와의 결합을 유도하는 제2하우징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크결합부는 상기 기어부를 커버하는 상기 제1하우징부와 상기 제2하우징부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크결합부는 상기 제2하우징부에서 상기 제1하우징부 방향으로 연장되고 탄성을 갖는 제1후크연장부; 상기 제1후크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부의 중앙부로 돌출되는 제1후크돌기부; 및 상기 제1하우징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후크돌기부가 삽입되어 걸림 고정되는 제1후크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후크돌기부에는 제1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후크걸림부에는 상기 제1경사면과 대응되는 제1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크결합부는 상기 제1하우징부와 상기 제2하우징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탄성을 갖는 제2후크막대부; 상기 제1후크막대부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부와 상기 제2하우징부의 중앙부로 각각 돌출되는 제2후크돌기부; 및 상기 제1하우징부와 상기 제2하우징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후크돌기부가 삽입되어 걸림 고정되는 제2후크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후크돌기부에는 제2경사면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후크걸림부에는 상기 제2경사면과 대응되는 제2걸림턱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부스터는 하우징부의 지지력 요구 부위에 따라 볼트결합 및 후크결합이 적용됨으로써, 조립성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부스터는 제1하우징부와 제2하우징부 사이에 실링부가 배치되어 수분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부스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하우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하우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후크결합부의 조립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후크결합부의 조립 완료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후크결합부의 조립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후크결합부의 조립 완료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부스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부스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부스터(1)는 구동부(10)와, 기어부(20)와, 회전너트부(30)와, 이동볼트부(40)와, 페달가압부(50)와, 로드부(60)와, 디스크부(70)와, 하우징부(80)를 포함한다.
구동부(10)는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된다. 일 예로, 구동부(10)는 차량 제동을 위한 컨트롤러의 제어로 구동되고,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가 될 수 있다. 한편, 차량의 자율 주행시 컨트롤러의 제어로 구동부(10)만 작동되거나, 기본 주행시 페달가압부(50)의 조작 유무에 따라 구동부(10)가 작동될 수 있다.
기어부(20)는 구동부(10)에 의해 회전되어 동력을 전달한다. 일 예로, 기어부(20)는 구동부(10)에 장착되어 회전되는 제1기어부(21)와, 제1기어부(21)와 맞물려 회전되는 제2기어부(22)와, 제2기어부(22)와 맞물려 회전되는 제3기어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너트부(30)는 기어부(20)에 의해 회전된다. 일 예로, 회전너트부(30)는 제3기어부(23)와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너트부(30)는 좌우 유동이 제한되고, 구동부(10)의 구동상태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동볼트부(40)는 회전너트부(30)에 나사 결합되고, 회전너트부(30)의 회전에 의해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다. 일 예로, 이동볼트부(4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회전너트부(30)를 관통하여 회전너트부(3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페달가압부(50)는 이동볼트부(40)를 관통하고, 페달력을 전달한다. 일 예로, 운전자가 페달(100)을 조작하면, 페달가압부(50)가 로드부(60)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로드부(60)는 이동볼트부(40)와 페달가압부(50)에 의해 이동되어 실린더부(110)의 유압을 증폭시킨다. 일 예로, 실린더부(110)에는 제동유체가 저장되고, 이동볼트부(40)와 페달가압부(50)가 로드부(60)를 밀어내면, 로드부(60)가 실린더부(110)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되면서 실린더부(110)에 저장된 제동유체의 유압을 조절할 수 있다. 실린더부(110)에서 증폭된 유압은 휠실린더에 도달하여 휠에 제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디스크부(70)는 로드부(60)에 형성되어 이동볼트부(40)와 페달가압부(50)의 충격을 완화한다. 일 예로, 디스크부(70)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부(80)는 구동부(10)에 장착되고, 기어부(20)와, 회전너트부(30)와, 이동볼트부(40)와, 페달가압부(50)가 내장된다. 하우징부(8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볼트결합과 후크결합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되어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추력이 발생하여 축방향으로 높은 지지력을 필요로 하는 부위에는 볼트결합을 적용되고, 축방향으로 낮은 지지력을 필요로 하는 부위에는 후크결합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80)는 제1하우징부(81)와, 제2하우징부(82)와, 실링부(83)와, 볼트결합부(84)와, 후크결합부(85)를 포함한다.
제1하우징부(81)는 구동부(10)와 결합되고, 기어부(20)와, 회전너트부(30)와, 이동볼트부(40)와, 페달가압부(50)가 내장되도록 일측이 개구된 형상을 한다. 제2하우징부(82)는 제1하우징부(81)의 개구된 영역을 커버한다.
실링부(83)는 제1하우징부(81)와 제2하우징부(82) 사이에 배치된다. 일 예로, 실링부(83)는 고무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실링부(83)는 제1하우징부(81)와 제2하우징부(82)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고, 다른 하나에 압박되어 수분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볼트결합부(84)는 제1하우징부(81)와 제2하우징부(82)를 볼트 결합시킨다. 일 예로, 볼트결합부(84)는 조립용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고, 제1하우징부(81)와 제2하우징부(82)를 관통한 조립용 볼트는 조립용 너트와 나사 결합되어 제1하우징부(81)와 제2하우징부(82)를 결합할 수 있다.
후크결합부(85)는 제1하우징부(81)와 제2하우징부(82)를 후크 결합시킨다. 일 예로, 후크결합부(85)는 제1하우징부(81) 또는 제2하우징부(82)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다른 하나와 후크 결합될 수 있다. 그 외, 후크결합부(85)는 제1하우징부(81)와 제2하우징부(82)에 동시에 후크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볼트결합부(84)는 토크가 발생하여 축방향으로 높은 지지력을 필요로 하는 이동볼트부(40)를 커버하는 제1하우징부(81)와 제2하우징부(82)를 결합한다.
그리고, 후크결합부(85)는 구동부(10)의 축방향으로 높은 지지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기어부(20)를 커버하는 제1하우징부(81)와 제2하우징부(82)를 결합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하우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하우징부(81)는 제1하우징몸체부(811)와, 제1하우징삽입부(812)와, 제1하우징결합부(813)를 포함한다.
제1하우징몸체부(811)는 일측이 개구된 형상을 한다. 일 예로, 제1하우징몸체부(811)는 구동부(10)와 볼트 결합될 수 있고, 구동부(10)의 일부가 제1하우징몸체부(811)를 관통하여 제1하우징몸체부(81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페달가압부(50)와 동축상에 배치되는 실린더부(110)는 제1하우징몸체부(811)와 볼트 결합될 수 있고, 실린더부(110)의 일부가 제1하우징몸체부(811)를 관통하여 제1하우징몸체부(81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부(10)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부(20)와, 기어부(20)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너트부(30)와, 회전너트부(30)의 회전에 의해 페달가압부(50)와 동축상에서 직선 왕복 이동되는 이동볼트부(40)가 제1하우징몸체부(811)에 내장될 수 있다.
제1하우징삽입부(812)는 제1하우징몸체부(811)의 단부에 형성되고, 실링부(83)가 삽입된다. 일 예로, 제1하우징삽입부(812)의 단부에는 실링부(83)가 삽입 가능하도록 오목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하우징결합부(813)는 제1하우징몸체부(81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볼트결합부(84)와의 결합을 유도한다. 일 예로, 제1하우징결합부(813)는 이동볼트부(40)를 감싸는 제1하우징몸체부(811)의 외측으로 복수개가 돌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하우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하우징부(82)는 제2하우징몸체부(821)와, 제2하우징결합부(822)를 포함한다.
제2하우징몸체부(821)는 제1하우징몸체부(811)의 개구된 부분을 커버하고, 제1하우징몸체부(811)의 단부와 면접촉되면서 제1하우징삽입부(812)에 삽입된 실링부(83)를 가압한다.
제2하우징결합부(822)는 제2하우징몸체부(82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볼트결합부(84)와의 결합을 유도한다. 일 예로, 제2하우징결합부(822)는 제1하우징결합부(813)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후크결합부의 조립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후크결합부의 조립 완료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결합부(85)는 제1후크연장부(91)와, 제1후크돌기부(92)와, 제1후크걸림부(93)를 포함한다.
제1후크연장부(91)는 제2하우징부(82)에서 제1하우징부(81) 방향으로 연장되고 탄성을 갖는다. 일 예로, 막대 형상을 하는 제1후크연장부(91)는 기어부(20)를 감싸는 제2하우징몸체부(821)에서 북수개가 연장되어 제1하우징몸체부(81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후크돌기부(92)는 제1후크연장부(91)의 단부에 형성되고, 제1하우징부(81)의 중앙부로 돌출된다. 일 예로, 제1후크돌기부(92)는 단면이 삼각형 형상을 하고, 꼭지점이 제1하우징부(81)의 중앙부를 향할 수 있다.
제1후크걸림부(93)는 제1하우징부(81)에 형성되고, 제1후크돌기부(92)가 삽입되어 걸림 고정된다. 일 예로, 제1후크걸림부(93)는 제1하우징몸체부(811)의 외측에 함몰된 홈 형상을 하고, 제2하우징몸체부(821)가 실링부(83)를 가압할 때 제1후크돌기부(92)가 제1후크걸림부(93)에 삽입되어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후크돌기부(92)에는 제1경사면(921)이 형성되고, 제1후크걸림부(93)에는 제1경사면(921)과 대응되는 제1걸림턱(931)이 형성된다. 일 예로, 제1후크돌기부(92)의 단면이 둔각 삼각형 형상을 하면, 제1후크돌기부(92)가 제1후크걸림부(93)에 걸림 고정된 후 후크 풀림이 억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후크결합부의 조립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후크결합부의 조립 완료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결합부(85)는 제2후크막대부(96)와, 제2후크돌기부(97)와, 제2후크걸림부(98)를 포함한다.
제2후크막대부(96)는 제1하우징부(81)와 제2하우징부(82)의 외측에 배치되고 탄성을 갖는다. 일 예로, 막대 형상을 하는 제2후크막대부(96)는 기어부(20)를 감싸는 제1하우징몸체부(811)와 제2하우징몸체부(821)의 외측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제2후크돌기부(97)는 제2후크막대부(96)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제1하우징부(81)와 제2하우징부(82)의 중앙부로 각각 돌출된다. 일 예로, 제1후크돌기부(97)의 단부는 단면이 삼각형 형상을 하고, 꼭지점이 제1하우징부(81)와 제2하우징부(82)의 중앙부를 각각 향할 수 있다.
제2후크걸림부(98)는 제1하우징부(81)와 제2하우징부(82)에 각각 형성되고, 제2후크돌기부(97)가 삽입되어 걸림 고정된다. 일 예로, 제2후크걸림부(98)는 제1하우징몸체부(811)의 외측과, 제2하우징몸체부(821)의 상측에 함몰된 홈 형상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제2후크막대부(96)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2후크돌기부(97)가 제2하우징몸체부(821)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2후크걸림부(98)에 걸림 고정된 후, 제2하우징몸체부(821)가 실링부(83)를 가압하면, 제2후크막대부(96)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제2후크돌기부(97)가 제1하우징몸체부(811)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2후크걸림부(98)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2후크돌기부(97)의 단부에는 제2경사면(971)이 형성되고, 제2후크걸림부(98)에는 제2경사면(971)과 대응되는 제2걸림턱(981)이 형성된다. 일 예로, 제2후크돌기부(97)의 단면이 둔각 삼각형 형상을 하면, 제2후크돌기부(97)가 제2후크걸림부(98)에 걸림 고정된 후 후크 풀림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부스터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에 따른 후크결합부(85)인 경우, 제2하우징부(82)를 제1하우징부(81)의 단부에 안착시키면 제1후크연장부(91)가 제1하우징부(81)의 외측에 배치된다(도 5 참조). 이때, 제2하우징부(82)는 실링부(83)와 접촉되고, 제2하우징부(82)를 제1하우징부(81)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실링부(83)가 변형되면서 제1후크돌기부(92)가 제1후크걸림부(93)에 걸림 고정된다(도 6 참조).
제2실시예에 따른 후크결합부(85)인 경우, 제2하우징부(82)를 제1하우징부(81)의 단부에 안착시킨 후, 제2후크막대부(96)의 상단에 배치되는 제2후크돌기부(97)를 제2하우징부(82)에 걸림 고정시킨다(도 7 참조).
제1하우징부(81)와 제2하우징부(82)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면, 제2하우징부(82)는 실링부(83)와 접촉되고, 제2하우징부(82)를 제1하우징부(81)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실링부(83)가 변형되면서 제2후크막대부(96)의 하단에 배치되는 제2후크돌기부(97)를 제1하우징부(81)에 걸림 고정시킨다(도 8 참조).
한편, 후크결합부(85)에 의해 제1하우징부(81)와 제2하우징부(82)가 후크 결합되면, 볼트결합부(84)를 통해 제1하우징부(81)와 제2하우징부(82)를 볼트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부스터(1)는 하우징부(80)의 지지력 요구 부위에 따라 볼트결합 및 후크결합이 적용됨으로써, 조립성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부스터(1)는 제1하우징부(81)와 제2하우징부(82) 사이에 실링부(83)가 배치되어 수분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구동부 20 : 기어부
30 : 회전너트부 40 : 이동볼트부
50 : 페달가압부 60 : 로드부
70 : 디스크부 80 : 하우징부
81 : 제1하우징부 82 : 제2하우징부
83 : 실링부 84 : 볼트결합부
85 : 후크결합부 811 : 제1하우징몸체부
812 : 제1하우징삽입부 813 : 제1하우징결합부
821 : 제2하우징몸체부 822 : 제2하우징결합부
91 : 제1후크연장부 92 : 제1후크돌기부
93 : 제1후크걸림부 96 : 제2후크막대부
97 : 제2후크돌기부 98 : 제2후크걸림부

Claims (10)

  1.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부;
    상기 기어부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너트부;
    상기 회전너트부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회전너트부의 회전에 의해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한 이동볼트부;
    상기 이동볼트부를 관통하고, 페달력을 전달하는 페달가압부;
    상기 이동볼트부와 상기 페달가압부에 의해 이동되어 실린더부의 유압을 증폭시키는 로드부;
    상기 로드부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볼트부와 상기 페달가압부의 충격을 완화하는 디스크부; 및
    상기 구동부에 장착되고, 상기 기어부와, 상기 회전너트부와, 상기 이동볼트부와, 상기 페달가압부가 내장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져 볼트결합과 후크결합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되는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부스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구동부와 결합되고, 상기 기어부와, 상기 회전너트부와, 상기 이동볼트부와, 상기 페달가압부가 내장되도록 일측이 개구된 제1하우징부;
    상기 제1하우징부의 개구된 영역을 커버하는 제2하우징부;
    상기 제1하우징부와 상기 제2하우징부 사이에 배치되는 실링부;
    상기 제1하우징부와 상기 제2하우징부를 볼트 결합시키는 볼트결합부; 및
    상기 제1하우징부와 상기 제2하우징부를 후크 결합시키는 후크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부스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결합부는
    상기 이동볼트부를 커버하는 상기 제1하우징부와 상기 제2하우징부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부스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부는
    일측이 개구된 제1하우징몸체부;
    상기 제1하우징몸체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가 삽입되는 제1하우징삽입부; 및
    상기 제1하우징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볼트결합부와의 결합을 유도하는 제1하우징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부스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부는
    상기 제1하우징몸체부의 개구된 부분을 커버하고, 상기 실링부를 가압하는 제2하우징몸체부; 및
    상기 제2하우징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볼트결합부와의 결합을 유도하는 제2하우징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부스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결합부는
    상기 기어부를 커버하는 상기 제1하우징부와 상기 제2하우징부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부스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결합부는
    상기 제2하우징부에서 상기 제1하우징부 방향으로 연장되고 탄성을 갖는 제1후크연장부;
    상기 제1후크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부의 중앙부로 돌출되는 제1후크돌기부; 및
    상기 제1하우징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후크돌기부가 삽입되어 걸림 고정되는 제1후크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부스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후크돌기부에는 제1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후크걸림부에는 상기 제1경사면과 대응되는 제1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부스터.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결합부는
    상기 제1하우징부와 상기 제2하우징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탄성을 갖는 제2후크막대부;
    상기 제1후크막대부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부와 상기 제2하우징부의 중앙부로 각각 돌출되는 제2후크돌기부; 및
    상기 제1하우징부와 상기 제2하우징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후크돌기부가 삽입되어 걸림 고정되는 제2후크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부스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후크돌기부에는 제2경사면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후크걸림부에는 상기 제2경사면과 대응되는 제2걸림턱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부스터.
KR1020190085699A 2019-07-16 2019-07-16 전동 부스터 KR2021000912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699A KR20210009120A (ko) 2019-07-16 2019-07-16 전동 부스터
US16/921,041 US11273817B2 (en) 2019-07-16 2020-07-06 Electric booster
CN202021311892.4U CN213228601U (zh) 2019-07-16 2020-07-07 电子助力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699A KR20210009120A (ko) 2019-07-16 2019-07-16 전동 부스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120A true KR20210009120A (ko) 2021-01-26

Family

ID=74310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699A KR20210009120A (ko) 2019-07-16 2019-07-16 전동 부스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73817B2 (ko)
KR (1) KR20210009120A (ko)
CN (1) CN213228601U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5597A (ko) 2010-10-29 2012-05-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동부스터 방식 제동장치
FR3040957B1 (fr) * 2015-09-14 2017-10-06 Bosch Gmbh Robert Systeme d'assistance de freinage
JP6678039B2 (ja) * 2016-02-10 2020-04-08 Ntn株式会社 電動ブレーキ装置
US11338784B2 (en) * 2017-02-23 2022-05-24 Hitachi Astemo, Ltd. Electric boos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73817B2 (en) 2022-03-15
CN213228601U (zh) 2021-05-18
US20210016757A1 (en) 2021-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9455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JP4887010B2 (ja) 駐車ブレーキの油圧作動用の装置と、そのような装置を操作するための方法
KR20180112041A (ko) 볼 스크류 드라이브를 갖는 유압식 자동차 제동 시스템용의 제동 디바이스
KR102311184B1 (ko) 주차 브레이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899332B2 (en) Electric caliper brake
CN102242785A (zh) 电动盘式制动器
KR102257873B1 (ko) 통합형 브레이크 장치의 펌프
KR20210072124A (ko) 소프트 스톱을 제공하는 스핀들/너트 어셈블리를 갖는 브레이크 시스템
CN102883930B (zh) 具有设置在储能弹簧内部的电动机的弹簧储能式制动汽缸
CN111845681A (zh) 具有螺纹传动装置的机电式制动压力产生器
US10550901B2 (en) Electric parking brake device
KR101904713B1 (ko) 차량용 제동장치
KR20210009120A (ko) 전동 부스터
KR101975174B1 (ko) 전동부스터 방식 제동장치의 하중 지지 구조
KR102454013B1 (ko) 브레이크 장치
KR20200125480A (ko) 스크루 드라이브 어셈블리를 포함한 전기 기계식 제동압 발생기 및 전기 기계식 제동압 발생기를 포함하는 차량
KR20230133246A (ko)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JP2011149536A (ja) ロック防止機構を備えた送りねじ装置
US11603912B2 (en) Electronic parking brake device
KR102322481B1 (ko)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20200125195A (ko) 전동 부스터
US10894536B2 (en) Service brake actuation using a linear actuator
CN113692370A (zh) 用于液压制动系统的机电的制动压力产生器
JP4521615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KR102616541B1 (ko) 차량용 제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