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1184B1 - 주차 브레이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주차 브레이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1184B1
KR102311184B1 KR1020150067938A KR20150067938A KR102311184B1 KR 102311184 B1 KR102311184 B1 KR 102311184B1 KR 1020150067938 A KR1020150067938 A KR 1020150067938A KR 20150067938 A KR20150067938 A KR 20150067938A KR 102311184 B1 KR102311184 B1 KR 102311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onnection
stopper
connection part
screw
bolt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7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2808A (ko
Inventor
신충식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132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2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0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mechanically
    • B60T11/046Using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1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an ultimate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B60T7/10Disposition of hand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1/0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018Screw mechanisms with both screw and nut being driven, i.e. screw and nut are both rot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18Electric or magnetic
    • F16D2121/24Electric or magnetic using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20Mechanical mechanisms converting rotation to linear movement or vice versa
    • F16D2125/34Mechanical mechanisms converting rotation to linear movement or vice versa acting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of rotation
    • F16D2125/40Screw-and-n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44Mechanical mechanisms transmitting rotation
    • F16D2125/46Rotating members in mutual engagement
    • F16D2125/52Rotating members in mutual engagement with non-parallel stationary axes, e.g. worm or bevel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58Mechanical mechanisms transmitting linear movement
    • F16D2125/60Cables or chains, e.g. Bowden c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58Mechanical mechanisms transmitting linear movement
    • F16D2125/60Cables or chains, e.g. Bowden cables
    • F16D2125/62Fixing arrangements therefor, e.g. cable end attach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모터부와, 모터부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부와,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너트스크류와, 너트스크류의 내부를 관통하고, 너트스크류와 결합되어 너트스크류의 회전에 연동하여 너트스크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볼트스크류와, 볼트스크류와 일측에서 연결되는 케이블과, 케이블의 타측과 연결되는 후크부와, 케이블과 후크부가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후크부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되어 후크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가 구비되는 부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차 브레이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PARKING BRAK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주차 브레이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볼트스크류와 너트스크류가 과도하게 잠기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주차 브레이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차된 차량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차 브레이크 장치를 사용한다.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EPB, Electronic Parking Brake)의 경우 모터부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차륜에 제동력을 전달한다. 즉,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버튼, 스위치 또는 레버를 조작하여 모터부가 구동되면, 모터부의 회전에 따라 볼트스크류 및 너트스크류가 이동되고, 볼트스크류와 너트스크류에 연결된 케이블이 잡아당겨져 제동력이 발생된다.
일반적으로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작동 횟수의 증가와 라이닝(Lining) 마모 등으로 인하여 케이블의 길이가 변화되어, 주차 브레이크 작동시 케이블의 이동거리가 증가된다. 이에 따라 볼트스크류와 너트스크류가 과도하게 잠기고, 볼트스크류와 너트스크류가 풀리지 않게 되어 주차 브레이크 장치에서 발생된 제동력이 해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볼트스크류와 너트스크류가 잠긴 상태에서 웜기어와 헬리컬기어에 충격을 가하게 되어 기어 파손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039056호(2009.04.22. 공개, 발명의 명칭: 차량용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볼트스크류와 너트스크류가 과도하게 잠기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주차 브레이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볼트스크류와 너트스크류간의 풀림이 불가능하게 되는 상황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주차 브레이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너트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웜기어에 충격이 가해져 웜기어가 파손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주차 브레이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후크부가 가이드파이프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고, 케이블연결부가 너트스크류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며, 볼트스크류가 볼트스크류 수용부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주차 브레이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너트스크류; 상기 너트스크류의 내부를 관통하고, 상기 너트스크류와 결합되어 상기 너트스크류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너트스크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볼트스크류; 상기 볼트스크류와 일측에서 연결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의 타측과 연결되는 후크부; 및 상기 케이블과 상기 후크부가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후크부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후크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가 구비되는 부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볼트스크류와 상기 케이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볼트스크류와 상기 케이블을 연결하는 케이블연결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블연결부가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블이 상기 볼트스크류와 동일 축상에서 이동되도록 상기 케이블연결부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파이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파이프는 중공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면에 가이드홈이 구비되는 파이프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연결부의 외측면에는 외측으로 핀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핀은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고, 상기 케이블연결부의 이동 시 상기 핀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파이프에는 상기 케이블연결부와 상기 가이드파이프간의 충돌을 차단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파이프는 상기 너트스크류와 인접하는 내부에 스톱퍼가 설치되고, 상기 스톱퍼는 상기 케이블연결부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연결부의 이동을 제한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블연결부가 상기 스톱퍼에 접촉되면 상기 모터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ECU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톱퍼에는 상기 케이블연결부가 상기 스톱퍼에 접촉되는지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ECU는 상기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접촉신호를 토대로 상기 모터부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본 발명에서, 상기 후크부가 상기 스톱퍼에 접촉되면 상기 모터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ECU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톱퍼에는 상기 후크부가 상기 스톱퍼에 접촉되는지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ECU는 상기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접촉신호를 토대로 상기 모터부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볼트스크류를 감싸고, 내면에 스톱퍼가 설치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톱퍼는 상기 볼트스크류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볼트스크류의 이동을 제한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볼트스크류가 상기 스톱퍼에 접촉되면 상기 모터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ECU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톱퍼에는 상기 볼트스크류가 상기 스톱퍼에 접촉되는지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ECU는 상기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접촉신호를 토대로 상기 모터부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너트스크류; 상기 너트스크류의 내부를 관통하고, 상기 너트스크류와 결합되어 상기 너트스크류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너트스크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볼트스크류; 상기 볼트스크류와 일측이 결합되는 케이블연결부; 상기 케이블연결부의 타측과 결합되는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연결부가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블연결부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파이프는 상기 너트스크류와 인접하는 내부에 스톱퍼가 설치되고, 상기 스톱퍼는 상기 케이블연결부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연결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블연결부가 상기 스톱퍼에 접촉되면 상기 모터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ECU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톱퍼에는 상기 케이블연결부가 상기 스톱퍼에 접촉되는지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ECU는 상기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접촉신호를 토대로 상기 모터부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너트스크류; 상기 너트스크류의 내부를 관통하고, 상기 너트스크류와 결합되어 상기 너트스크류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너트스크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볼트스크류; 상기 볼트스크류와 일측이 결합되는 케이블연결부; 상기 케이블연결부의 타측과 결합되는 케이블; 및 상기 볼트스크류를 감싸고, 내면에 스톱퍼가 설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스톱퍼는 상기 볼트스크류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볼트스크류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볼트스크류가 상기 스톱퍼에 접촉되면 상기 모터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ECU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톱퍼에는 상기 볼트스크류가 상기 스톱퍼에 접촉되는지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ECU는 상기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접촉신호를 토대로 상기 모터부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제어방법은: 모터부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모터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모터부와 연결되는 구동부가 작동하는 단계;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너트스크류가 회전하는 단계; 상기 너트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너트스크류와 결합되는 볼트스크류가 이동하는 단계; 상기 볼트스크류의 이동에 의해 상기 볼트스크류와 연결되는 케이블이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케이블의 이동에 의해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는 후크부가 이동되어 상기 스톱퍼와 접하는 단계; 및 ECU는 상기 후크부와 상기 스톱퍼의 접촉이 감지되면 상기 모터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제어방법은: 모터부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모터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모터부와 연결되는 구동부가 작동하는 단계;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너트스크류가 회전하는 단계; 상기 너트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너트스크류와 결합되는 볼트스크류가 이동하는 단계; 상기 볼트스크류의 이동에 의해 상기 볼트스크류와 연결되는 케이블이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케이블의 이동에 의해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는 후크부가 스톱퍼를 향해 이동하는 단계; 센서를 통해 상기 후크부가 상기 스톱퍼와 접촉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ECU는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후크부와 상기 스톱퍼간의 접촉신호를 전송받으면 상기 모터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블의 길이 증가 등으로 인해 볼트스크류와 너트스크류가 과도하게 잠기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볼트스크류와 너트스크류가 필요 이상으로 잠기게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볼트스크류와 너트스크류간의 풀림이 불가능하게 되는 상황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볼트스크류와 너트스크류가 필요 이상으로 잠기게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너트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웜기어에 충격이 가해져 웜기어가 파손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부가 불필요하게 구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의 소모를 억제할 수 있고, 각 부품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볼트스크류와 너트스크류간의 잠김이 과도하게 이루어지기 전에 센서를 통해 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톱퍼에 의해 후크부가 가이드파이프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케이블연결부가 너트스크류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볼트스크류가 볼트스크류 수용부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가이드파이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B"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C"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가이드파이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D"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가이드파이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B"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 순서도이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모터부(10), 구동부(20), 볼트스크류(30), 너트스크류(40), 케이블(50), 가이드파이프(70), 후크부(80), 부트부(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우징(1)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우징(1)은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모터부(10), 구동부(20), 볼트스크류(30), 너트스크류(40), 케이블(50), 가이드파이프(70), 부트부(90) 등의 부품이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파손되거나, 외부에서 유입되는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지 않도록 한다. 케이블(50)은 하우징(1)을 관통하여 후크부(80)에 연결된다.
모터부(10)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 전자 제어 장치, 5)에 의하여 제어된다. 모터부(10)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기에너지를 회전에너지로 변환한다. 모터부(10)에서 변환된 회전에너지는 회전 속도가 제어된 상태에서 구동부(20)에 전달되어 구동부(20)를 회전시킨다.
구동부(20)는 모터부(10)에 의하여 전달된 동력에 의하여 작동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구동부(20)는 웜기어(21)와 헬리컬기어(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웜기어(21)는 모터부(10)에 직접 축연결되어 모터부(10)의 작동에 의하여 회전한다. 헬리컬기어(22)는 웜기어(21)와 치합되어 회전하는 것으로, 웜기어(21)의 회전방향을 직교방향으로 전환시킨다. 헬리컬기어(22)는 볼트스크류(30)와 연결되어, 볼트스크류(30)를 축회동시킨다. 하우징(1)에는 너트스크류(40)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베어링이 설치될 수 있다.
구동부(20)는 웜기어(21)와 헬리컬기어(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모터부(1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킬 수 있고, 구동부(20)의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너트스크류(40)는 구동부(20)의 헬리컬기어(22)와 연결되고, 헬리컬기어(22)의 회전에 의하여 같이 회전한다. 볼트스크류(30)는 너트스크류(40)의 내부를 관통하여 너트스크류(40)의 내부 상에서 이동되도록 배치된다.
볼트스크류(30)는 외주면에 다수 개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너트스크류(40)의 내면에 대응되게 형성된 나사산에 의하여 볼트스크류(30)와 너트스크류(40)는 서로 나사 결합된다. 볼트스크류(30)는 너트스크류(40)와의 나사 결합이 체결되거나 풀리면서 좌우방향으로(도 2 기준) 왕복 이동한다. 볼트스크류(30)는 구동부(20)의 헬리컬기어(22)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너트스크류(40)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가이드파이프(70) 내에서 길이방향(도 2 기준 좌우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볼트스크류(30)의 일단(도 2 기준 좌측단)에는 케이블연결부(35)가 형성된다. 케이블연결부(35)는 케이블(50)과 연결된다. 케이블(50)은 볼트스크류(30)가 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케이블연결부(35)에 의해 우측으로 당겨지게 된다.
케이블(50)은 일단(도 2 기준 우측단)이 케이블연결부(35)와 연결되고, 타단(도 2 기준 좌측단)이 후크부(80)의 후크가이드(83)와 연결된다. 케이블(50)은 케이블연결부(35)의 작동에 의하여 부트부(90)와 가이드파이프(70) 사이를 이동한다.
가이드파이프(70)는 케이블(50)이 관통될 수 있도록 일면(도 2 기준 좌측면)이 개방되고, 내부 공간에 볼트스크류(30)가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이드파이프(70)의 개방된 일면(도 2 기준 좌측면)에는 케이블(5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 길이의 가이드안내부(75)가 형성된다. 가이드파이프(70)는 케이블(50)이 볼트스크류(30)와 동일 축상에서 이동되도록 케이블연결부(35)의 이동경로를 안내한다.
가이드파이프(70)는 너트스크류(40)와 인접하는 내부에 케이블연결부스톱퍼(91a)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케이블연결부스톱퍼(91a)는 케이블연결부(35)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되므로 케이블연결부(35)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케이블연결부(35)는 케이블연결부스톱퍼(91a)가 설치된 지점까지는 구동력이 제공된 경우 자유로이 이동될 수 있으나, 케이블연결부스톱퍼(91a)와 접하게 되면 케이블연결부스톱퍼(91a)에 의해 더 이상의 이동은 차단된다. 따라서 케이블연결부(35)가 너트스크류(40)와 충돌하기 전에 케이블연결부(35)의 이동을 제한하므로, 케이블연결부(35)와 너트스크류(40)가 충돌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파이프(70)는 파이프몸체부(77), 가이드홈(71)을 구비한다. 파이프몸체부(77)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가이드파이프(70)의 몸체를 형성한다. 가이드홈(71)은 파이프몸체부(77)의 내주면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홈으로 형성된다. 케이블연결부(35) 양측에는 핀(72)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돌출된 핀(72)은 가이드홈(71) 상에서 이동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케이블연결부(35)는 핀(72)이 가이드홈(71) 상에서 이동됨에 따라 가이드파이프(70) 내부에서 회전되지 않고 볼트스크류(3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왕복 이동만 이루어지게 된다. 즉, 핀(72)의 이동경로를 가이드홈(71)이 안내함에 따라, 핀(72)이 설치된 케이블연결부(35)는 가이드홈(71)에 의해 회전이 제한된 채 왕복 이동만 가능하게 된다.
가이드파이프(70)의 일측(도 2 기준 좌측)에는 왕복 이동하는 케이블연결부(35)와 가이드파이프(70)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부재(73)가 설치된다. 탄성부재(73)는 스프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왕복 이동하는 케이블연결부(35)가 가이드파이프(70)와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고, 케이블연결부(35)의 이동시 가이드파이프(70)에 전해지는 충격을 완충한다.
후크부(80)는 고리(81), 고리연결부(82), 후크가이드(8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리연결부(82)는 일단(도 2 기준 우측단)에 후크가이드(83)가 설치되고, 타단(도 2 기준 좌측단)이 고리(81)의 중심과 연결된다. 고리연결부(82)는 탄성변형 전의 부트부(9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고리(81)에는 주차 브레이크(미도시)의 작동레버(85)가 연결된다. 케이블(50)이 우측으로 당겨지면, 고리연결부(82)가 고리(81)를 우측으로 당겨 작동레버(85)가 작동되어 차량의 차륜에 제동력이 전달된다. 후크가이드(83)는 부트부(90)의 내경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케이블(50)이 우측으로 당겨지면 부트부(90)의 내부 공간을 따라서 우측으로 이동한다.
부트부(90)는 케이블(50)이 관통하는 내부 공간을 가지고, 외측면에 다수 개의 주름이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이물질 또는 수분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부트부(90)의 내부 공간에서 케이블(50)과 후크부(80)는 길이방향으로 이동된다.
부트부(90)는 탄성 변형 가능한 고무 재질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후크가이드(83)가 부트부(90)의 내부를 지나갈 때 고리연결부(82)가 부트부(90)와 접촉되면서 부트부(90)가 탄성변형되고, 고리연결부(82)가 지나간 후에는 부트부(90)는 다시 원형태로 복원된다. 부트부(90)에는 내측방향으로 후크부스톱퍼(91)가 형성된다. 후크부(80)의 후크가이드(83)가 후크부스톱퍼(91)에 접촉되면, 부트부(90)의 내부를 이동하는 후크부(80)는 후크부스톱퍼(91)에 의하여 정지된다.
도 2에서, 기호 α는 후크가이드(83)의 작동거리, β는 케이블연결부(35)의 작동거리, γ는 볼트스크류(30)의 작동거리를 의미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후크가이드(83)가 이동하여 후크부스톱퍼(91)에 접촉할 때까지의 거리 α와, 케이블연결부(35)가 이동하여 너트스크류(40)의 근처에 형성되는 케이블연결부스톱퍼(91a)에 접촉할 때까지의 거리 β와, 볼트스크류(30)가 이동하여 하우징(1)의 단부에 형성되는 볼트스크류 수용부(2)의 근처에 형성되는 볼트스크류스톱퍼(91b)에 접촉할 때까지의 거리 γ는 모두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후크가이드(83)가 후크부스톱퍼(91)에 접촉할 때, 케이블연결부(35)는 케이블연결부스톱퍼(91a)에 접촉되고, 볼트스크류(30)는 볼트스크류스톱퍼(91b)에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후크가이드(83), 케이블연결부(35), 볼트스크류(30)가 각각 스톱퍼(91, 91a, 91b)에 접촉되면, ECU(5)는 이러한 접촉 상황을 인지하여 모터부(10)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구동부(20), 너트스크류(40), 볼트스크류(30) 등 각 구성요소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볼트스크류스톱퍼(91b)는 하우징(1)의 내면, 구체적으로, 볼트스크류 수용부(2)의 내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볼트스크류스톱퍼(91b)는 볼트스크류(30)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되므로 볼트스크류(3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즉, 볼트스크류(30)는 볼트스크류스톱퍼(91b)가 설치된 지점까지는 구동력이 제공된 경우 자유로이 이동될 수 있으나, 볼트스크류스톱퍼(91b)와 접하게 되면 볼트스크류스톱퍼(91b)에 의해 더 이상의 이동은 차단된다. 따라서 볼트스크류(30)가 볼트스크류 수용부(2)의 내벽 전체적으로 충돌하기 전에 볼트스크류(30)의 이동을 제한하므로, 볼트스크류(30)와 볼트스크류 수용부(2) 등이 파손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설계상의 이유나 조립 공차 등에 의해 α, β, γ는 동일하지 않게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후크가이드(83), 케이블연결부(35), 볼트스크류(30) 중 어느 하나가 각각 스톱퍼(91, 91a, 91b)에 접촉하게 되면, ECU(5)는 이러한 접촉 상황을 인지하여 모터부(10)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구동부(20), 너트스크류(40), 볼트스크류(30) 등 각 구성요소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한편 후크가이드(83)의 작동거리(α), 케이블연결부(35)의 작동거리(β), 볼트스크류(30)의 작동거리(γ) 중 후크가이드(83)의 작동거리(α)를 가장 짧게 설정함으로써 후크가이드(83)가 후크부스톱퍼(91)에 접촉되면 모터부(10)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구동부(20), 너트스크류(40), 볼트스크류(30) 등 각 구성요소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때 케이블연결부(35)가 너트스크류(40)에 접촉하거나 볼트스크류(30)가 볼트스크류 수용부(2)에 접촉하기 전에 후크가이드(83)가 후크부스톱퍼(91)에 접촉하므로, 케이블연결부(35) 또는 볼트스크류(3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부트부(90)에는 돌출 형성된 후크부스톱퍼(91) 대신에 스프링이 설치되어, 스프링이 후크가이드(83)의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구동부(20)의 작동에 의하여 너트스크류(40)와 볼트스크류(30)가 작동을 하게 되면, 케이블연결부(35)에 연결된 케이블(50)이 당겨지고(도 2 기준 우측방향으로), 후크부(80)도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후크가이드(83)는 부트부(90) 내부를 일정 거리 이동하다가, 후크부스톱퍼(91)와 접촉하게 되면 부트부(90) 내부에서의 이동이 차단된다.
후크가이드(83)가 후크부스톱퍼(91)를 가압하게 되면 모터부(10)의 부하가 증가된다. 이때 부하가 증가됨에 따라 모터부(10)에서의 전류 사용량이 설정값에 도달하게 되면 ECU(5)를 이를 감지하게 되고, ECU(5)는 모터부(1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즉, 후크부스톱퍼(91)를 가압하는 후크가이드(83)는 더 이상 이동하지 않게 된다. 이때 후크가이드(83)가 후크부스톱퍼(91)에 가하는 힘이 설정값(예를 들어 120kgf)에 이르게 되면, 모터부(10)에서의 전류 사용량이 증가된다. 만약 ECU(5)가 모터부(10)에서의 전류 사용량을 감지하였을 때 해당 전류 사용량이 설정된 사용값에 도달하게 되면 ECU(5)는 모터부(1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로써 구동부(20)의 웜기어(21)와 헬리컬기어(22)의 작동, 나아가 너트스크류(40)와 볼트스크류(30)의 작동도 정지되면서 후크가이드(83)가 더 이상 우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터부(10)의 구동이 더 이상 불필요한 시점에 맞춰 모터부(10)의 구동이 정지되면, 볼트스크류(30)와 너트스크류(40)가 과도하게, 즉 필요 이상으로 서로 잠기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볼트스크류(30)와 너트스크류(40)가 과도하게 잠김에 따라 이후 잠김의 해제가 불가능하게 되는 상황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볼트스크류(30)와 너트스크류(40)간의 잠김 해제 작동을 보다 수월하게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후크가이드(83)가 후크부스톱퍼(91)에 의하여 정지되어 볼트스크류(30)와 너트스크류(40)가 과도하게 잠기기 전에 볼트스크류(30)와 너트스크류(40)의 작동이 정지됨에 따른 것이다.
또한 모터부(10)가 필요한 상황에서만 작동되게 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전력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웜기어(21)와 헬리컬기어(22) 또한 과도하게 작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웜기어(21)와 헬리컬기어(22)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한편 케이블연결부(35)가 케이블연결부스톱퍼(91a)에 접촉되는 시점 이후의 작동, 또는 볼트스크류(30)가 볼트스크류스톱퍼(91b)에 접촉되는 시점 이후의 작동은 후크가이드(83)가 후크부스톱퍼(91)와 접촉되는 시점 이후의 작동과 동일하다. 따라서 케이블연결부(35)가 케이블연결부스톱퍼(91a)에 접촉되는 시점 이후의 작동과 볼트스크류(30)가 볼트스크류스톱퍼(91b)에 접촉되는 시점 이후의 작동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버튼, 스위치, 또는 레버 등을 조작하여 주차 브레이크 장치를 작동시키면, ECU(5)가 모터부(10)를 구동시킨다(S101).
모터부(10)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에 의하여 구동부(20)가 작동된다(S102). 모터부(10)의 회전력은 구동부(20)의 웜기어(21)에 전달된다. 웜기어(21)는 헬리컬기어(22)를 회전시키고, 헬리컬기어(22)는 너트스크류(40)를 회전시킨다(S103). 너트스크류(40)가 회전되면서 너트스크류(40)와 나사결합된 볼트스크류(30)는 우측으로 이동된다(S104).
볼트스크류(30)의 우측 이동에 의해 케이블(50) 역시 우측으로 이동된다. 볼트스크류(30)가 너트스크류(40) 내부 상에서 우측으로 직선 운동하므로, 볼트스크류(30)와 연결된 케이블연결부(35)를 매개로 하여 케이블(50)이 우측으로 당겨진다(S105). 이때, 케이블(50)에 의하여 후크부(80)의 후크가이드(83)가 부트부(90) 내부를 따라서 우측으로 이동한다.
후크가이드(83)는 우측으로 이동되다가 부트부(90)의 후크부스톱퍼(91)와 접촉되면 더 이상 이동되지 않게 된다(S106). 즉, 후크부스톱퍼(91)가 후크가이드(83)의 이동 경로상에 배치됨에 따라 후크가이드(83)는 후크부스톱퍼(91)에 의해 이동이 제한된다. 상술한 후크가이드(83)와 후크부스톱퍼(91)간의 접촉 외에 케이블연결부(35)와 케이블연결부스톱퍼(91a)간의 접촉이나 볼트스크류(30)와 볼트스크류스톱퍼(91b)간의 접촉 시에도 케이블연결부(35) 또는 볼트스크류(30)는 스톱퍼(91a, 91b)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후크가이드(83)가 후크부스톱퍼(91)를 설정값 이상의 힘으로 가압하거나, 케이블연결부(35)가 케이블연결부스톱퍼(91a)를 설정값 이상의 힘으로 가압하거나, 볼트스크류(30)가 볼트스크류스톱퍼(91b)를 설정값 이상의 힘으로 가압함에 따라 모터부(10)에 설정된 이상의 전류가 사용되는 것이 ECU(5)에서 감지되면, ECU(5)는 모터부(1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S107).
이와 같이 모터부(10)의 구동이 더 이상 불필요한 시점에 맞춰 모터부(10)의 구동이 정지되면, 볼트스크류(30)와 너트스크류(40)가 과도하게 잠기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볼트스크류(30)와 너트스크류(40)간의 잠김 해제가 불가능하게 되는 상황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이로써 볼트스크류(30)와 너트스크류(40)의 잠김 해제가 불가능하여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력이 해제되지 않은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후크부스톱퍼(91)에 의해 후크가이드(83)가 가이드파이프(70)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케이블연결부스톱퍼(91a)에 의해 케이블연결부(35)가 너트스크류(40)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볼트스크류스톱퍼(91b)에 의해 볼트스크류(30)가 볼트스크류 수용부(2)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음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를 살펴본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C"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가이드파이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D"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 순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일 실시예에 비해 후크부(80), 케이블연결부(35), 볼트스크류(30)가 스톱퍼(91, 91a, 91b)에 접촉되는지를 감지하는 센서(92, 92a, 92b)가 추가로 설치된 것이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8을 통해 설명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도 1과 도 8 내지 도 13을 통해 설명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센서(92, 92a, 92b)에 관한 내용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부분과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센서(92, 92a, 92b)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하우징(1), 모터부(10), 구동부(20), 볼트스크류(30), 너트스크류(40), 케이블(50), 가이드파이프(70), 후크부(80), 부트부(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8, 도 9를 참조하면, 부트부(90)에는 내측방향으로 후크부스톱퍼(91)가 형성된다. 후크부(80)의 후크가이드(83)가 후크부스톱퍼(91)에 접촉되면, 부트부(90)의 내부를 이동하는 후크부(80)는 후크부스톱퍼(91)에 의하여 정지된다.
후크부스톱퍼(91)에는 후크가이드(83)와 접촉하는 면에 센서(92)가 설치된다. 센서(92)는 후크가이드(83)가 후크부스톱퍼(91)를 가압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후크가이드(83)가 후크부스톱퍼(91)에 접촉되면 더 이상 후크가이드(83)는 이동이 불가능하므로, 모터부(10), 구동부(20), 볼트스크류(30), 너트스크류(40), 케이블(50) 등의 작동 또는 이동도 불필요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센서(92)에 의해 후크가이드(83)가 후크부스톱퍼(91)와 접촉됨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고, 이렇게 감지된 접촉신호를 즉시 ECU(5)로 전송함으로써 ECU(5)에서 모터부(10)의 구동을 즉각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센서(92)를 통해 불필요한 모터부(10) 등의 구동을 시간 로스(loss) 없이 실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센서(92)는 후크가이드(83)가 후크부스톱퍼(91)를 가압하는 힘이 설정값(예를 들어 120kgf) 이상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센서(92)는 후크가이드(83)가 후크부스톱퍼(91)에 접촉되는 즉시가 아닌, 후크가이드(83)가 후크부스톱퍼(91)를 가압하는 힘이 설정값 이상인 경우에 한해 감지된 접촉신호를 ECU(5)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설정값은 후크가이드(83)의 가압력이 볼트스크류(30)와 너트스크류(40)간의 과도한 잠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선에서 설정된다.
센서(92)는 후크부스톱퍼(91)에 가압되는 힘을 감지하거나, 후크부스톱퍼(91)에서 가압되는 힘을 전류 신호로 변환하여 그 전류값을 토대로 접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된 전류값은 8 내지 12A일 수 있다. 따라서 센서(92)에 8 내지 12A가 인가되면 후크부스톱퍼(91)에 120kgf 이상이 힘이 걸리는 것으로 인식하고 해당 신호를 ECU(5)로 전달한다. ECU(5)는 센서(92)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기반으로 모터부(10)의 구동을 즉각적으로 정지시킨다.
도 8, 도 9를 참조하면, 가이드파이프(70)에는 너트스크류(40)와 인접하는 내부에 케이블연결부스톱퍼(91a)가 설치될 수 있다. 케이블연결부(35)가 케이블연결부스톱퍼(91a)에 접촉되면, 가이드파이프(70)의 내부를 이동하는 케이블연결부(35)는 케이블연결부스톱퍼(91a)에 의하여 정지된다.
케이블연결부스톱퍼(91a)에는 케이블연결부(35)와 접촉하는 면에 센서(92a)가 설치될 수 있다. 센서(92a)는 케이블연결부(35)가 케이블연결부스톱퍼(91a)를 가압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케이블연결부(35)가 케이블연결부스톱퍼(91a)에 접촉되면 더 이상 케이블연결부(35)는 이동이 불가능하므로, 모터부(10), 구동부(20), 볼트스크류(30), 너트스크류(40), 케이블(50) 등의 작동 또는 이동도 불필요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센서(92a)에 의해 케이블연결부(35)가 케이블연결부스톱퍼(91a)와 접촉됨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고, 이렇게 감지된 접촉신호를 즉시 ECU(5)로 전송함으로써 ECU(5)에서 모터부(10)의 구동을 즉각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센서(92a)를 통해 불필요한 모터부(10) 등의 구동을 시간 로스(loss) 없이 실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센서(92a)는 케이블연결부(35)가 케이블연결부스톱퍼(91a)를 가압하는 힘이 설정값(예를 들어 120kgf) 이상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센서(92a)는 케이블연결부(35)가 케이블연결부스톱퍼(91a)에 접촉되는 즉시가 아닌, 케이블연결부(35)가 후크부스톱퍼(91)를 가압하는 힘이 설정값 이상인 경우에 한해 감지된 접촉신호를 ECU(5)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설정값은 케이블연결부(35)의 가압력이 볼트스크류(30)와 너트스크류(40)간의 과도한 잠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선에서 설정된다.
센서(92a)는 케이블연결부스톱퍼(91a)에 가압되는 힘을 감지하거나, 케이블연결부스톱퍼(91a)에서 가압되는 힘을 전류 신호로 변환하여 그 전류값을 토대로 접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된 전류값은 8 내지 12A일 수 있다. 따라서 센서(92a)에 8 내지 12A가 인가되면 케이블연결부스톱퍼(91a)에 120kgf 이상이 힘이 걸리는 것으로 인식하고 해당 신호를 ECU(5)로 전달한다. ECU(5)는 센서(92a)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기반으로 모터부(10)의 구동을 즉각적으로 정지시킨다.
도 8, 도 9를 참조하면, 볼트스크류스톱퍼(91b)는 하우징(1)의 내면, 구체적으로, 볼트스크류 수용부(2)의 내면에 설치될 수 있다. 볼트스크류(30)가 볼트스크류스톱퍼(91b)에 접촉되면, 볼트스크류 수용부(2)의 내부를 이동하는 볼트스크류(30)는 볼트스크류스톱퍼(91b)에 의하여 정지된다.
볼트스크류스톱퍼(91b)에는 볼트스크류(30)와 접촉하는 면에 센서(92b)가 설치될 수 있다. 센서(92b)는 볼트스크류(30)가 볼트스크류스톱퍼(91b)를 가압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볼트스크류(30)가 볼트스크류스톱퍼(91b)에 접촉되면 더 이상 볼트스크류(30)는 이동이 불가능하므로, 모터부(10), 구동부(20), 볼트스크류(30), 너트스크류(40), 케이블(50) 등의 작동 또는 이동도 불필요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센서(92b)에 의해 볼트스크류(30)가 볼트스크류스톱퍼(91b)와 접촉됨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고, 이렇게 감지된 접촉신호를 즉시 ECU(5)로 전송함으로써 ECU(5)에서 모터부(10)의 구동을 즉각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센서(92b)를 통해 불필요한 모터부(10) 등의 구동을 시간 로스(loss) 없이 실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센서(92b)는 볼트스크류(30)가 볼트스크류스톱퍼(91b)를 가압하는 힘이 설정값(예를 들어 120kgf) 이상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센서(92b)는 볼트스크류(30)가 볼트스크류스톱퍼(91b)에 접촉되는 즉시가 아닌, 볼트스크류(30)가 후크부스톱퍼(91)를 가압하는 힘이 설정값 이상인 경우에 한해 감지된 접촉신호를 ECU(5)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설정값은 볼트스크류(30)의 가압력이 볼트스크류(30)와 너트스크류(40)간의 과도한 잠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선에서 설정된다.
센서(92b)는 볼트스크류스톱퍼(91b)에 가압되는 힘을 감지하거나, 볼트스크류스톱퍼(91b)에서 가압되는 힘을 전류 신호로 변환하여 그 전류값을 토대로 접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된 전류값은 8 내지 12B일 수 있다. 따라서 센서(92b)에 8 내지 12B가 인가되면 볼트스크류스톱퍼(91b)에 120kgf 이상이 힘이 걸리는 것으로 인식하고 해당 신호를 ECU(5)로 전달한다. ECU(5)는 센서(92b)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기반으로 모터부(10)의 구동을 즉각적으로 정지시킨다.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버튼, 스위치, 또는 레버 등을 조작하여 주차 브레이크 장치를 작동시키면, ECU(5)가 모터부(10)를 구동시킨다(S201).
모터부(10)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에 의하여 구동부(20)가 작동된다(S202). 모터부(10)의 회전력은 구동부(20)의 웜기어(21)에 전달된다. 웜기어(21)는 헬리컬기어(22)를 회전시키고, 헬리컬기어(22)는 너트스크류(40)를 회전시킨다(S203). 너트스크류(40)가 회전되면서 너트스크류(40)와 나사결합된 볼트스크류(30)는 우측으로 이동된다(S204).
볼트스크류(30)의 우측 이동에 의해 케이블(50) 역시 우측으로 이동된다. 볼트스크류(30)가 너트스크류(40) 내부 상에서 우측으로 직선 운동하므로, 볼트스크류(30)와 연결된 케이블연결부(35)를 매개로 하여 케이블(50)이 우측으로 당겨진다(S205). 이때, 케이블(50)에 의하여 후크부(80)의 후크가이드(83)가 부트부(90) 내부를 따라서 우측으로 이동한다.
후크가이드(83)는 우측으로 이동되다가 부트부(90)의 후크부스톱퍼(91)와 접촉되면 더 이상 이동되지 않게 된다(S206). 즉, 후크부스톱퍼(91)가 후크가이드(83)의 이동 경로상에 배치됨에 따라 후크가이드(83)는 후크부스톱퍼(91)에 의해 이동이 제한된다. 상술한 후크가이드(83)와 후크부스톱퍼(91)간의 접촉 외에 케이블연결부(35)와 케이블연결부스톱퍼(91a)간의 접촉이나 볼트스크류(30)와 볼트스크류스톱퍼(91b)간의 접촉 시에도 케이블연결부(35) 또는 볼트스크류(30)는 스톱퍼(91a, 91b)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후크가이드(83)가 후크부스톱퍼(91)와 접촉되거나 설정값 이상의 힘으로 가압하는 경우 센서(92)에 의해 후크가이드(83)와 후크부스톱퍼(91)간의 접촉 등이 실시간으로 감지된다(S207). 또는 센서(92a)가 설치된 경우 센서(92a)는 케이블연결부(35)가 케이블연결부스톱퍼(91a)와 접촉되거나 설정값 이상의 힘으로 가압하는 경우 센서(92a)에 의해 케이블연결부(35)와 케이블연결부스톱퍼(91a)간의 접촉 등이 실시간으로 감지된다. 또한 센서(92b)가 설치된 경우 센서(92b)는 볼트스크류(30)가 볼트스크류스톱퍼(91b)와 접촉되거나 설정값 이상의 힘으로 가압하는 경우 센서(92b)에 의해 볼트스크류(30)와 볼트스크류스톱퍼(91b)간의 접촉 등이 실시간으로 감지된다.
후크가이드(83)가 후크부스톱퍼(91)와 접촉되거나 후크부스톱퍼(91)를 설정값 이상의 힘으로 가압하는 경우, 케이블연결부(35)가 케이블연결부스톱퍼(91a)와 접촉되거나 케이블연결부스톱퍼(91a)를 설정값 이상의 힘으로 가압하는 경우, 볼트스크류(30)가 볼트스크류스톱퍼(91b)와 접촉되거나 볼트스크류스톱퍼(91b)를 설정값 이상의 힘으로 가압하는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경우에 ECU(5)는 센서(92, 92a, 92b)를 통해 전송된 신호를 토대로 모터부(1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S208).
이와 같이 모터부(10)의 구동이 더 이상 불필요한 시점에 맞춰 모터부(10)의 구동이 정지되면, 볼트스크류(30)와 너트스크류(40)가 과도하게 잠기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볼트스크류(30)와 너트스크류(40)간의 잠김 해제가 불가능하게 되는 상황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이로써 볼트스크류(30)와 너트스크류(40)의 잠김 해제가 불가능하여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력이 해제되지 않은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하우징 2: 볼트스크류 수용부
5: ECU 10: 모터부
20: 구동부 30: 볼트스크류
35: 케이블연결부 40: 너트스크류
50: 케이블 70: 가이드파이프
80: 후크부 81: 고리
82: 고리연결부 83: 후크가이드
85: 작동레버 90: 부트부
92, 92a, 92b: 센서
α: 후크가이드의 작동거리 β: 케이블연결부의 작동거리
γ: 볼트스크류의 작동거리

Claims (21)

  1. 모터부;
    상기 모터부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너트스크류;
    상기 너트스크류의 내부를 관통하고, 상기 너트스크류와 결합되어 상기 너트스크류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너트스크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볼트스크류;
    상기 볼트스크류와 일측에서 연결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의 타측과 연결되는 후크부;
    상기 케이블과 상기 후크부가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후크부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후크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후크부스톱퍼가 구비되는 부트부;
    상기 볼트스크류와 상기 케이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볼트스크류와 상기 케이블을 연결하는 케이블연결부; 및
    상기 케이블연결부가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블이 상기 볼트스크류와 동일 축상에서 이동되도록 상기 케이블연결부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파이프는 상기 너트스크류와 인접하는 내부에 케이블연결부스톱퍼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연결부스톱퍼는 상기 케이블연결부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연결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브레이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파이프는 중공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면에 가이드홈이 구비되는 파이프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연결부의 외측면에는 외측으로 핀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핀은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고, 상기 케이블연결부의 이동 시 상기 핀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브레이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파이프에는 상기 케이블연결부와 상기 가이드파이프간의 충돌을 차단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브레이크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연결부가 상기 케이블연결부스톱퍼에 접촉되면 상기 모터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ECU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브레이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연결부스톱퍼에는 상기 케이블연결부가 상기 케이블연결부스톱퍼에 접촉되는지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ECU는 상기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접촉신호를 토대로 상기 모터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브레이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가 상기 후크부스톱퍼에 접촉되면 상기 모터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ECU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브레이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스톱퍼에는 상기 후크부가 상기 후크부스톱퍼에 접촉되는지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ECU는 상기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접촉신호를 토대로 상기 모터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브레이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스크류를 감싸고, 내면에 볼트스크류스톱퍼가 설치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볼트스크류스톱퍼는 상기 볼트스크류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볼트스크류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브레이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스크류가 상기 볼트스크류스톱퍼에 접촉되면 상기 모터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ECU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브레이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스크류스톱퍼에는 상기 볼트스크류가 상기 볼트스크류스톱퍼에 접촉되는지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ECU는 상기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접촉신호를 토대로 상기 모터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브레이크 장치.
  14. 모터부;
    상기 모터부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너트스크류;
    상기 너트스크류의 내부를 관통하고, 상기 너트스크류와 결합되어 상기 너트스크류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너트스크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볼트스크류;
    상기 볼트스크류와 일측이 결합되는 케이블연결부;
    상기 케이블연결부의 타측과 결합되는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연결부가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블연결부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파이프는 상기 너트스크류와 인접하는 내부에 케이블연결부스톱퍼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연결부스톱퍼는 상기 케이블연결부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연결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브레이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연결부가 상기 케이블연결부스톱퍼에 접촉되면 상기 모터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ECU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브레이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연결부스톱퍼에는 상기 케이블연결부가 상기 케이블연결부스톱퍼에 접촉되는지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ECU는 상기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접촉신호를 토대로 상기 모터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브레이크 장치.
  17. 모터부;
    상기 모터부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너트스크류;
    상기 너트스크류의 내부를 관통하고, 상기 너트스크류와 결합되어 상기 너트스크류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너트스크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볼트스크류;
    상기 볼트스크류와 일측이 결합되는 케이블연결부;
    상기 케이블연결부의 타측과 결합되는 케이블; 및
    상기 볼트스크류를 감싸고, 내면에 볼트스크류스톱퍼가 설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볼트스크류스톱퍼는 상기 볼트스크류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볼트스크류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케이블연결부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파이프는 내부에 케이블연결부스톱퍼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연결부스톱퍼는 상기 케이블연결부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연결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브레이크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스크류가 상기 볼트스크류스톱퍼에 접촉되면 상기 모터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ECU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브레이크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스크류스톱퍼에는 상기 볼트스크류가 상기 볼트스크류스톱퍼에 접촉되는지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ECU는 상기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접촉신호를 토대로 상기 모터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브레이크 장치.
  20. 모터부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모터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모터부와 연결되는 구동부가 작동하는 단계;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너트스크류가 회전하는 단계;
    상기 너트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너트스크류와 결합되는 볼트스크류가 이동하는 단계;
    상기 볼트스크류의 이동에 의해 상기 볼트스크류와 연결되는 케이블이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케이블의 이동에 의해 상기 볼트스크류와 상기 케이블을 연결하는 케이블연결부가 이동되어 케이블연결부스톱퍼와 접하는 단계; 및
    ECU는 상기 케이블연결부와 상기 케이블연결부스톱퍼의 접촉이 감지되면 상기 모터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제어방법.
  21. 모터부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모터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모터부와 연결되는 구동부가 작동하는 단계;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너트스크류가 회전하는 단계;
    상기 너트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너트스크류와 결합되는 볼트스크류가 이동하는 단계;
    상기 볼트스크류의 이동에 의해 상기 볼트스크류와 연결되는 케이블이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케이블의 이동에 의해 상기 볼트스크류와 상기 케이블을 연결하는 케이블연결부가 케이블연결부스톱퍼를 향해 이동하는 단계;
    센서를 통해 상기 케이블연결부가 상기 케이블연결부스톱퍼와 접촉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ECU는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케이블연결부와 상기 케이블연결부스톱퍼간의 접촉신호를 전송받으면 상기 모터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50067938A 2014-05-16 2015-05-15 주차 브레이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3111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795 2014-05-16
KR20140058795 2014-05-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2808A KR20150132808A (ko) 2015-11-26
KR102311184B1 true KR102311184B1 (ko) 2021-10-14

Family

ID=54538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7938A KR102311184B1 (ko) 2014-05-16 2015-05-15 주차 브레이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580055B2 (ko)
KR (1) KR102311184B1 (ko)
CN (1) CN1050832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99107B (zh) * 2014-05-28 2018-01-05 现代摩比斯株式会社 停车制动装置
US9557235B2 (en) * 2014-12-23 2017-01-31 Aztech Engineering Inc. Machines and methods for evaluating prevailing torque threaded fasteners
US9592813B2 (en) 2015-06-25 2017-03-14 Akebono Brake Industry Co., Ltd Actuator assembly for a parking brake system
US11002326B2 (en) * 2016-08-31 2021-05-11 Mando Corporation Electronic parking brake
JP6565854B2 (ja) * 2016-09-30 2019-08-28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ケーブルガイドおよび車両用ブレーキ
KR102611407B1 (ko) * 2016-11-01 2023-12-07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US20200023825A1 (en) * 2017-02-28 2020-01-23 ZF Active Safety US Inc. Vehicle brake system using electric parking brake in failed boost conditions
JP6972866B2 (ja) 2017-09-29 2021-11-24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車両用ブレーキ
JP6916890B2 (ja) * 2017-10-20 2021-08-11 日立Astemo株式会社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KR102620658B1 (ko) * 2019-02-15 2024-01-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주차 브레이크 장치
DE102019205911A1 (de) * 2019-04-25 2020-10-29 Robert Bosch Gmbh Elektromechanischer Bremsdruckerzeuger mit einer Gewindetriebanordnung und Fahrzeug umfassend einen elektromechanischen Bremsdruckerzeuger
WO2022016553A1 (zh) * 2020-07-24 2022-01-27 华为技术有限公司 线控转向系统和转向控制方法
CN112406832B (zh) * 2020-11-02 2021-12-17 精诚工科汽车系统有限公司 制动系统和车辆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987B1 (ko) * 2013-05-20 2013-09-12 주식회사 인팩 차량용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26525B1 (fr) * 1994-11-03 1997-01-17 Rockwell Body & Chassis Syst Frein electrique de stationnement de vehicule automobile
DE10043739A1 (de) * 2000-09-05 2002-03-21 Fico Cables Sa Handbremse
DE10102685B4 (de) * 2001-01-22 2004-04-08 Fico Cables, S.A., Rubi Betätigungsmechanismus mit Kraftsensor für eine Bremse
CN101962008A (zh) * 2004-06-30 2011-02-02 Hi-Lex株式会社 电动式拉索驱动装置以及电动式制动装置
KR101055975B1 (ko) * 2005-06-22 2011-08-11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20090039056A (ko) 2007-10-17 2009-04-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US8051956B2 (en) * 2008-06-03 2011-11-08 Automotive Research & Testing Center Driving device for a parking brake system
KR101037028B1 (ko) * 2008-09-30 2011-05-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접촉식 하중센서가 구비된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유닛
KR20110125135A (ko) * 2010-05-12 2011-11-18 주식회사 만도 전자제어식 주차 브레이크
CN202827541U (zh) * 2012-08-30 2013-03-27 浙江力邦合信汽车制动系统有限公司 驻车制动执行机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987B1 (ko) * 2013-05-20 2013-09-12 주식회사 인팩 차량용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083245B (zh) 2018-03-09
CN105083245A (zh) 2015-11-25
US9580055B2 (en) 2017-02-28
KR20150132808A (ko) 2015-11-26
US20150330465A1 (en) 2015-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1184B1 (ko) 주차 브레이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311205B1 (ko) 주차 브레이크 장치
US9453544B2 (en) Electronic parking brake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607938B2 (en) Electric parking brake
US11479996B2 (en) Lock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US20210404526A1 (en) Electronic parking brake apparatus
US11815143B2 (en) Electromechanical brake
KR20130008348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장치
KR20110062633A (ko) 차량용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
KR20130123788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장치
KR102297129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102196148B1 (ko)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101567211B1 (ko) 자동차의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101562911B1 (ko)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20130123787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장치
KR101959611B1 (ko) 주차 브레이크
KR101612274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장치
KR101655205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액추에이터
KR102322481B1 (ko)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101315022B1 (ko) 차량용 마스터 실린더
KR20150061187A (ko) 차량용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KR101302617B1 (ko) 차량용 마스터 실린더
KR101183286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20210009120A (ko) 전동 부스터
KR20130008352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