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0752B1 - 금속 시트 또는 스트립 형태의 3층 복합재, 이러한 복합재를 포함하는 부품,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금속 시트 또는 스트립 형태의 3층 복합재, 이러한 복합재를 포함하는 부품,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0752B1
KR102450752B1 KR1020187035029A KR20187035029A KR102450752B1 KR 102450752 B1 KR102450752 B1 KR 102450752B1 KR 1020187035029 A KR1020187035029 A KR 1020187035029A KR 20187035029 A KR20187035029 A KR 20187035029A KR 102450752 B1 KR102450752 B1 KR 102450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steel
mass
core layer
steel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5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2506A (ko
Inventor
크리스토프 에츨스토퍼
알로이 라이트너
라인하르트 하클
Original Assignee
뵈스트알파인 스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뵈스트알파인 스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뵈스트알파인 스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022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2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 B32B15/01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all layers being formed of iron alloys or st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e.g. denser near its faces
    • B32B5/145Variation across the thickness of the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시트 또는 스트립 형태의 3층 복합재(1, 100, 200)에 관한 것으로, 복합재(1, 100, 200)에 중간층을 형성하고 제1 강 재료(3, 103, 203)를 포함하는 제1 코어층(2), 제1 강 재료(3, 103, 203)와 다른 제2 강 재료(6, 106, 206)를 포함하는 제2 도금층(4) 및, 제1 강 재료(3, 103, 203)와 다른 제3 강 재료(7, 107, 207)를 포함하는 제3 도금층(5)을 갖고, 이 경우 제2 및 제3 도금층(5)은 코어층(2)의 마주 놓인 측면(21, 22)에 압연 도금되어 제공되고, 복합재(1, 100, 200)에 2개의 외부 층을 형성하고, 복합재(1, 100, 200)의 두께(d)가 일정할 때 코어층(2)의 제1 강 재료(3, 103, 201)의 코어층 두께(k)는 복합재(1, 100, 200)의 폭(8)에 걸쳐 변한다. 뛰어난 기계적 특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코어층(2)의 제1 강 재료(3, 103, 203)는 연속적으로 복합재(1, 100, 200)의 전체 폭(6)에 걸쳐 연장되어 형상 경화될 수 있으며, 도금층들(4, 5)의 제2 및/또는 제3 강 재료(6, 7, 106, 107, 206, 207)는 도금층 두께(p)에서 코어층 두께(k)의 변화를 반대로 따르며, 제2 및 제3 강 재료(6, 7, 106, 107, 206, 207)는 제1 강 재료(3, 103, 203)보다 낮은 탄소 함량을 갖는다.

Description

금속 시트 또는 스트립 형태의 3층 복합재, 이러한 복합재를 포함하는 부품, 및 이의 용도
본 발명은, 복합재에 중간층을 형성하고 제1 강 재료를 포함하는 제1 코어층, 제1 강 재료와 다른 제2 강 재료를 포함하는 제2 도금층 및, 제1 강 재료와 다른 제3 강 재료를 포함하는 제3 도금층을 갖고, 상기 제2 및 제3 도금층은 코어층의 마주 놓인 측면에 압연 도금되어 제공되고, 복합재에 2개의 외부 층을 형성하고, 상기 복합재의 두께가 일정할 때 코어층의 제1 강 재료의 코어층 두께는 복합재의 폭에 걸쳐 변하는, 금속 시트 또는 스트립 형태의 3층 복합재에 관한 것이다.
3층 복합재에 그 폭에 걸쳐 다양한 기계적 및/또는 기술적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선행 기술(DE10258824B2, EP2613896B1)에, 적어도 코어층의 강 재료의 코어층 두께가 복합재의 폭에 걸쳐 변하도록, 복합재의 코어 층의 폭에 걸쳐 교대로 상이한 강 재료를 제공하는 것이 공개되어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강 스트립들이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강 스트립들은 2개의 도금층 사이에 제공되어 상호의 압연 도금 방법에 의해 결합된다. 도금층은 코어의 강 스트립과 다른 강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압연 도금에 의한 결합에도 불구하고, 코어 층에서 인접하는 강 재료들 사이에 예상외로 약한 연결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 단점으로 밝혀졌다. 그러므로 복합재의 기계적 강도가 만족스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이러한 복합재는 차량 구조, 특히 차체에 적합하지 않거나 또는 제한적으로만 적합하다. 강 재료에 적합한 합금 선택 및/또는 압연 도금 시 좁은 프로세스 윈도우에 의해, 이러한 단점을 저지할 수 있지만, 이로 인해 복합재의 제조 비용이 높아지거나 상기 복합재의 보편적 사용 가능성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고강도의 강 재료로 이루어진 코어 층과 저강도의 강 재료로 이루어진 외부 도금층들 사이에 상이한 강도의 복수의 강 재료로 이루어진 각각의 중간층을 갖는 5층 복합재가 선행 기술(DE102014114365A1)에 공개되어 있다. 이러한 5층 복합재는 비교적 복잡하게 압연 도금될 수 있고 따라서 비용이 많이 든다. 또한, 상기 복합재는 형상 경화에 추가로 사용하는 경우 좁은 프로세스 윈도우를 필요로 하며, 이는 복합재의 취급에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3층 복합재가 높은 기계적 강도로 인해 차량 구조에 확실하게 적합하도록, 전술한 방식의 변하는 코어층 두께를 갖는 압연 도금에 의해 제조된 3층 복합재를 개선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코어층의 제1 강 재료가 연속적으로 복합재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되어 형상 경화될 수 있고, 이 경우 도금층들의 제2 및/또는 제3 강 재료는 도금층 두께에서 코어층 두께의 변화를 반대로 따르고, 제1 강 재료보다 낮은 탄소 함량을 가짐으로써 해결된다.
코어 층의 제1 강 재료가 연속적으로 복합재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되어 상기 강 재료가 형상 경화될 수 있는 경우에, 코어 코드의 방식으로 복합재의 적어도 최소한의 기계적 강도를 보장할 수 있는 영역이 코어층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재는 예를 들어 차량 구조의 부품에 의해 요구되는 기계적 강도를 확실하게 충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형상 경화성 코어 코드는 그 자체가 약화된 고정 결합을 - 예를 들어 이것은 선행 기술에서 나란히 제공된 강 재료들의 접합면에서 발생하고 - 배제하기 때문에, 이에 대해 도금층들의 제2 및/또는 제3 강 재료가 도금층 두께에서 코어층 두께의 변화를 반대로 따르고 제1 강 재료보다 낮은 탄소 함량을 갖는 경우에, 복합재는 안전하게 압연 도금될 수 있다. 또한, 탄소 함량에 의해 복합재의 연성 거동이 조절될 수 있고, 이는 복합재의 다양한 이용 가능성에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복합재의 일정한 두께는 제2 및/또는 제3 강 재료의 반대로 따르는 두께 보상에 의해 보장될 수 있으며, 이는 복합재의 추가적인 성형 공정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특히, 이것은 복합재의 폭에 걸쳐 실질적으로 동일한 탄성 계수로 인해 복합재의 형상 경화 또는 프레스 경화 시 재현 가능하게 제조될 수 있는 부품을 보장할 수 있다.
도금층들의 제2 및 제3 강 재료가 그 도금층 두께에서 코어층 두께의 변화를 반대로 따르는 경우에, 복합재는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코어층은 대칭으로 구성되고, 이로써 복합재는 형상 경화 또는 프레스 경화에 있어 간단한 취급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코어층 및 2개의 도금층의 강 재료의 탄소 함량은 0.8 질량% 보다 작다.
제1 강 재료가 더욱 고강도의 형상 경화성 또는 고강도의 형상 경화성 강 합금인 경우에, 특히 기계적으로 안정한 코어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 제1 강 재료로서 망간-붕소-강, 특히 20MnB8, 22MnB5 또는 32MnB5 강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강 재료로서,
0.08 내지 0.6 질량% 탄소(C),
0.8 내지 3.0 질량% 망간(Mn),
0.01 내지 0.07 질량% 알루미늄(Al),
0.01 내지 0.5 질량% 규소(Si),
0.02 내지 0.6 질량% 크롬(Cr),
0.01 내지 0.08 질량% 티타늄(Ti),
< 0.02 질량% 질소(N),
0.002 내지 0.02 질량% 붕소(B),
< 0.01 질량% 인(P),
< 0.01 질량% 황(S),
< 1 질량% 몰리브덴(Mo), 및 나머지로서 철 및 용융에 의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강 합금이 적합하다. 제1 강 재료로서,
0.08 내지 0.30 질량% 탄소(C),
1.00 내지 3.00 질량% 망간(Mn),
0.03 내지 0.06 질량% 알루미늄(Al),
0.01 내지 0.20 질량% 규소(Si),
0.02 내지 0.3 질량% 크롬(Cr),
0.03 내지 0.04 질량% 티타늄(Ti),
< 0.007 질량% 질소(N),
0.002 내지 0.006 질량% 붕소(B),
< 0.01 질량% 인(P),
< 0.01 질량% 황(S),
< 1 질량% 몰리브덴(Mo), 및 나머지로서 철 및 용융에 의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강 합금도 고려될 수 있다.
제1 강 재료가 0.8 중량% 이상의 Mn 함량을 포함하는 경우에, 특히 기계적으로 안정한 코어 층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및/또는 제3 강 재료가 미세합금 강, 예를 들어 HC460LA, HC500LA 또는 HC340LA 강인 경우에, 복합재의 연성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IF-강, 예를 들어 HC220Y 강이 고려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및 제3 강 재료는, 예를 들어 성형 시 복합재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동일한 강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및 제3 강 재료는 HC220Y 강 또는 HC460LA 강일 수도 있다.
제1 강 재료가 20MnB8 강이고 제2 및 제3 강 재료가 HC220Y 강인 경우에, 바람직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제1 강 재료가 32MnB5 강이고 제2 및 제3 강 재료가 HC460LA 강인 경우에, 바람직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강 조합으로 기계적 파라미터와 관련해서 복합재의 층들이 서로에 대해 추가로 매칭될 수 있고, 이로써 예를 들어 복합재의 성형- 및/또는 파괴 거동을 개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복합재의 두께는 0.5 내지 3 mm, 예를 들어 1 내지 2 mm이다.
바람직하게 코어층 두께는 복합재 두께의 30 내지 90%, 예를 들어 50 내지 85%이고, 이로써 복합재의 가능한 한 높은 강도와 동시에 연성이 최적화될 수 있다.
도금층 두께에서 변화하는 코어층 두께를 반대로 따르는 강 재료를 갖는 도금층과 코어층 사이의 경계 윤곽이 변화하는 코어층 두께의 이러한 윤곽 영역에서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경우에, 층들의 상이한 두께 사이의 비교적 균일한 이행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재는 성형 공정, 예를 들어 프레스 경화 디프드로잉을 위한 플레이트에 특히 적합할 수 있다. 이는, 특히 연속적인 코어층에 기초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형상 경화된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차량 구조를 위한 부품은 최상의 기계적 특성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형상 경화된 복합재는 차량 구조, 예를 들어 차체에 특히 적합할 수 있다.
도면에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대상이 여러 변형 실시예에 기초해서 도시된다.
도 1은 넓은 측면을 따라 커팅된 복합재를 제1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3D 도면.
도 2는 다른 복합재를 제2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추가 복합재를 제3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측면도.
도 1에 따라 3층의 강 재료로 형성된 복합재(1)가 도시된다. 따라서 제1 강 재료(3)로 이루어진 코어층(2)이 중간층으로서 도시되고, 상기 코어층은 양측면에 각각 제1 도금층(3)과 제2 도금층(4)을 갖고, 상기 도금층들은 복합재(1)에 2개의 외부 층을 형성한다. 이러한 2개의 도금층(4, 5)은 각각 강 재료(6, 7)로 이루어지고, 상기 2개의 강 재료(6, 7)는 제1 강 재료(3)보다 낮은 탄소 함량을 갖는다.
코어층(2)의 제1 강 재료(3)의 코어층 두께(k)는, 도 1의 상이한 코어층 두께(k1, k2)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재(1)의 폭(8)에 걸쳐 변화한다.
본 발명에 따라 코어층(2)의 제1 강 재료(3)는 연속적으로 복합재(1)의 전체 폭(8)에 걸쳐 연장되고, 또한 예를 들어 0.8 중량% 이상의 Mn 함량을 갖는 강 합금이 사용됨으로써 형상 경화성일 수 있다. 형상 경화성 또는 프레스 경화성 제1 강 재료(3)로서 하기 합금 조성(모든 표시는 질량%):
Figure 112018120822200-pct00001
을 갖고 나머지로서 철과 용융에 의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제1 강 재료가 적합하고, 특히 합금 원소 붕소, 망간 그리고 선택적으로 크롬 및 몰리브덴은 이러한 강에서 변환 지연제로서 사용된다. 다른 망간-붕소-강, 예를 들면, 22MnB5 또는 32MnB5 타입이 고려될 수도 있다. 따라서 코어층(2)은 특히 압연 도금 시 결합을 위해 준비되고, 도금 또는 도금층(6, 7)과 각각 안정한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복합재(1)의 중앙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금층들(4, 5)의 제3 강 재료(7)는 도금층 두께(p)에서 코어층 두께(k)의 변화를 반대로 따른다. 이 경우, 도금층 두께(p1) 또는 코어층 두께(k1)와 도금층 두께(p2) 또는 코어층 두께(k2) 사이의 이행부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윤곽 영역(90)은 2개의 층 사이에서 경계 윤곽(9)을 비스듬하게 연장시킨다.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이러한 윤곽 영역(90)은 비교적 균일한 이행부를 형성하고, 3층 복합재(1)에 바람직한 기계적 특성을 유도한다.
제3 강 재료(7)의 탄소 함량은 또한 제1 강 재료(3)의 탄소 함량보다 낮고, 바람직하게는 제2 및 제3 강 재료(6, 7)는 동일한 합금이고, HC340LA 타입의 강 재료로 이루어진다. 또한, HC220Y 강이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및 제3 강 재료(6, 7)와 조합된 코어층(2)의 제1 강 재료(3)는, 복합재(1)가 차량 구조의 부품에 의해 요구되는 기계적 특성값을 충족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도 2에 따라 다른 3층 복합재(100)가 도시되고, 상기 복합재의 코어층(2)과 도금층들(4, 5)은 도 1에 따라 도시된 복합재(1)와 다르게 변화한다. 여기에서 코어층(2)의 제1 강 재료(103)의 코어층 두께(k)는 복합재(100)의 폭(8)에 걸쳐 여러 번 변화하여 부분적으로 오목한 비드형의 영역들(110)을 형성한다. 도금층들(4, 5)의 제2 및/또는 제3 강 재료(106, 107)는 도금층 두께(p)에서 코어층 두께(k)의 변화를 반대로 따른다. 여기에서도 경계 윤곽(9)은 변하는 코어층 두께(k)의 윤곽 영역(90)에서 비스듬하게 연장된다.
도 3에 따라 추가 3층 복합재(300)가 도시되고, 상기 복합재의 코어층(2)은 다른 실시예들과 달리 대칭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도 코어층(2)의 제1 복합재(203)의 코어층 두께(k)가 변화하고, 제2 또는 제3 도금층(4, 5)의 제2 및 제3 강 재료(206, 207)는 상기 변화를 반대로 따른다. 여기에서도 경계 윤곽(9)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화하는 코어층 두께(k)의 윤곽 영역(90)에서 비스듬하게 연장된다.

Claims (22)

  1. 금속 시트 또는 스트립 형태의 3층 복합재로서, 복합재(1, 100, 200)에 중간층을 형성하고 제1 강 재료(3, 103, 203)를 포함하는 제1 코어층(2), 상기 제1 강 재료(3, 103, 203)와 다른 제2 강 재료(6, 106, 206)를 포함하는 제2 도금층(4) 및, 상기 제1 강 재료(3, 103, 203)와 다른 제3 강 재료(7, 107, 207)를 포함하는 제3 도금층(5)을 갖고, 상기 제2 및 제3 도금층(5)은 상기 코어층(2)의 마주 놓인 측면(21, 22)에 압연 도금되어 제공되고 상기 복합재(1, 100, 200)에 2개의 외부 층을 형성하며, 상기 복합재(1, 100, 200)의 두께(d)가 일정할 때 상기 코어층(2)의 상기 제1 강 재료(3, 103, 203)의 코어층 두께(k)가 상기 복합재(1, 100, 200)의 폭(8)에 걸쳐 변하는 상기 복합재에 있어서, 상기 코어층(2)의 상기 제1 강 재료(3, 103, 203)는 상기 복합재(1, 100, 200)의 전체 폭(8)에 걸쳐 연속적으로 연장되고 형상 경화될 수 있으며, 상기 도금층들(4, 5)의 상기 제2 및/또는 제3 강 재료(6, 7, 106, 107, 206, 207)는 도금층 두께(p)에서 코어층 두께(k)의 변화를 반대로 따르며, 상기 제2 및 제3 강 재료(6, 7, 106, 107, 206, 207)는 상기 제1 강 재료(3, 103, 203)보다 낮은 탄소 함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층들(4, 5)의 상기 제2 및 제3 강 재료(6, 7, 106, 107, 206, 207)는 그 도금층 두께(p)에서 코어층 두께(k)의 변화를 반대로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층(2)은 대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층(2) 및 2개의 도금층(4, 5)의 강 재료(3, 6, 7, 103, 106, 107, 203, 206, 207)의 탄소 함량은 0.8 질량%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
  5. 삭제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강 재료(3, 103, 203)는 망간-붕소-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강 재료(3, 103, 203)는
    0.08 내지 0.6 질량%의 탄소(C),
    0.8 내지 3.0 질량%의 망간(Mn),
    0.01 내지 0.07 질량%의 알루미늄(Al),
    0.01 내지 0.5 질량%의 규소(Si),
    0.02 내지 0.6 질량%의 크롬(Cr),
    0.01 내지 0.08 질량%의 티타늄(Ti),
    < 0.02 질량%의 질소(N),
    0.002 내지 0.02 질량%의 붕소(B),
    < 0.01 질량%의 인(P),
    < 0.01 질량%의 황(S),
    < 1 질량%의 몰리브덴(Mo), 및
    나머지로서 철 및 용융에 의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강 재료(3, 103, 203)는,
    0.08 내지 0.30 질량%의 탄소(C),
    1.00 내지 3.00 질량%의 망간(Mn),
    0.03 내지 0.06 질량%의 알루미늄(Al),
    0.01 내지 0.20 질량%의 규소(Si),
    0.02 내지 0.3 질량%의 크롬(Cr),
    0.03 내지 0.04 질량%의 티타늄(Ti),
    < 0.007 질량%의 질소(N),
    0.002 내지 0.006 질량%의 붕소(B),
    < 0.01 질량%의 인(P),
    < 0.01 질량%의 황(S),
    < 1 질량% 몰리브덴(Mo), 및
    나머지로서 철 및 용융에 의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강 재료(3, 103, 203)는 0.8 중량% 이상의 Mn 함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또는 제3 강 재료(6, 7, 106, 107, 206, 207)는 미세합금 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강 재료(6, 7, 106, 107, 206, 207)는 동일한 강 타입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강 재료는 20MnB8 강이고 제2 및 제3 강 재료는 HC220Y 강이거나, 또는 제1 강 재료는 32MnB5 강이고 제2 및 제3 강 재료는 HC460LA 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재(1, 100, 200)의 두께(d)는 0.5 내지 3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층 두께(k)는 상기 복합재(1, 100, 200)의 두께(d)의 30 내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
  1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어층(2)과 도금층(5) 사이의 경계 윤곽(9)은 변화하는 코어층 두께(k)의 이러한 윤곽 영역(90)에서 비스듬하게 연장되고, 상기 도금층의 강 재료(7, 107, 106, 206, 207)는, 도금층 두께(p)에서, 변화하는 코어층 두께(k)를 반대로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
  1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합재(1, 100, 200)를 포함하는 형상 경화된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차량 구조용 부품.
  17. 제16항에 따른 부품을 구비한 차량 구조.
  1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강 재료(3, 103, 203)는 20MnB8, 22MnB5 또는 32MnB5 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
  1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또는 제3 강 재료(6, 7, 106, 107, 206, 207)는 HC460LA, HC500LA 또는 HC340LA 강, 또는 IF-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
  2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또는 제3 강 재료(6, 7, 106, 107, 206, 207)는 HC220Y 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
  2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재(1, 100, 200)의 두께(d)는 1 내지 2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
  2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층 두께(k)는 상기 복합재(1, 100, 200)의 두께(d)의 50 내지 8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
KR1020187035029A 2016-05-04 2017-05-04 금속 시트 또는 스트립 형태의 3층 복합재, 이러한 복합재를 포함하는 부품, 및 이의 용도 KR1024507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68453.5A EP3241675B1 (de) 2016-05-04 2016-05-04 Dreilagiger verbundwerkstoff in form eines blechs oder bands
EP16168453.5 2016-05-04
PCT/EP2017/060727 WO2017191294A1 (de) 2016-05-04 2017-05-04 Dreilagiger verbundwerkstoff in form eines blechs oder bands, bauteil mit solch einem verbundwerkstoff sowie deren verwend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506A KR20190022506A (ko) 2019-03-06
KR102450752B1 true KR102450752B1 (ko) 2022-10-04

Family

ID=55968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5029A KR102450752B1 (ko) 2016-05-04 2017-05-04 금속 시트 또는 스트립 형태의 3층 복합재, 이러한 복합재를 포함하는 부품,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36139B2 (ko)
EP (2) EP3241675B1 (ko)
JP (1) JP7108544B2 (ko)
KR (1) KR102450752B1 (ko)
CN (1) CN109311275B (ko)
WO (1) WO20171912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204324A1 (de) * 2019-03-28 2020-10-01 Thyssenkrupp Steel Europ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warmgewalzten Stahlwerkstoffverbunds mit unterschiedlichen Eigenschaften
DE102020203363A1 (de) 2020-03-17 2021-09-23 Sms Group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rofilbändern oder Profilblechen
CN111559134B (zh) * 2020-04-20 2022-04-12 哈尔滨工业大学(威海) 一种复合板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50417A1 (de) * 2014-10-02 2016-04-07 Thyssenkrupp Steel Europe Ag Mehrschichtiges stahlflachprodukt und daraus hergestelltes bauteil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72037U (ja) * 1981-11-11 1983-05-16 日新製鋼株式会社 表示面板
JPH1058591A (ja) * 1996-08-15 1998-03-03 Daido Steel Co Ltd アルミクラッド金属板とその製造方法
US20030087118A1 (en) * 2001-11-08 2003-05-08 Kingston William R. Diffusion bonded metal laminate
DE10258824B3 (de) 2002-12-06 2004-05-06 Hjb Rolling Mill Technology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Bandes mit einem in dessen Querschnitt verlaufenden Stufenprofil
DE102007022453B4 (de) * 2007-05-10 2020-02-06 Thyssenkrupp Steel Europe Ag Mehrschichtiges Verbundteil und aus diesem hergestelltes Bauteil
DE102008022709A1 (de) * 2008-05-07 2009-11-19 Thyssenkrupp Steel Ag Verwendung eines metallischen Verbundwerkstoffs in einer Fahrzeugstruktur
DE102010045011A1 (de) 2010-09-10 2012-03-15 Wickeder Westfalenstahl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mindestens eines plattierten Bandes oder Bleches
JP2014501841A (ja) * 2010-10-11 2014-01-23 タタ、スティール、アイモイデン、ベスローテン、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鋼ストリップ複合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5803801B2 (ja) * 2012-04-27 2015-11-04 新日鐵住金株式会社 積層鋼板
DE102013017798A1 (de) * 2013-10-25 2015-04-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Verbundstahlblech
EP2886332B1 (de) * 2013-12-20 2018-11-21 ThyssenKrupp Steel Europe AG Stahlflachproduk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auteils für eine fahrzeugkarosserie und einer karosserie für ein kraftfahrzeug.
CN104120341A (zh) * 2014-08-12 2014-10-29 江苏润孚机械轧辊制造有限公司 一种轧制极薄材料的Cr5型锻钢工作辊及其制备方法
DE102014111628A1 (de) * 2014-08-14 2016-02-18 Wickeder Westfalenstahl Gmbh Verbundwerkstoff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erbundwerkstoffs
CN105002435B (zh) * 2015-09-09 2017-06-20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高强韧性耐腐蚀钢板及其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50417A1 (de) * 2014-10-02 2016-04-07 Thyssenkrupp Steel Europe Ag Mehrschichtiges stahlflachprodukt und daraus hergestelltes baute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36139B2 (en) 2020-11-17
EP3241675B1 (de) 2019-08-07
KR20190022506A (ko) 2019-03-06
US20190152192A1 (en) 2019-05-23
JP2019520233A (ja) 2019-07-18
CN109311275B (zh) 2022-05-13
EP3241675A1 (de) 2017-11-08
CN109311275A (zh) 2019-02-05
JP7108544B2 (ja) 2022-07-28
WO2017191294A1 (de) 2017-11-09
EP3452285A1 (de) 2019-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78183B2 (ja) 多層平鋼製品および多層平鋼製品から製造された構成要素
JP6505712B2 (ja) 鋼板製品、この鋼板製品から製造される鋼部品、および自動車ボディ
DE102007039998B4 (de) Panzerung für ein Fahrzeug
US9975310B2 (en) Metal sheet or strip for a motor vehicle component
KR102450752B1 (ko) 금속 시트 또는 스트립 형태의 3층 복합재, 이러한 복합재를 포함하는 부품, 및 이의 용도
US10919113B2 (en) Laser lap-welded joint,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automobile framework component
RU2009126142A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материал из двух стальных листов
US10814368B2 (en) Door beam
EP3329022A1 (de) Karosserie- oder fahrwerkbauteil eines kraftfahrzeuges mit verbesserter crashperformance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WO2016074666A1 (de) Karosserie- oder fahrwerkbauteil eines kraftfahrzeugs mit korrosionsschutz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6898988B2 (ja) オーステナイト鋼の冷間変形方法
JP2020519765A (ja) 熱間成形材料、構成部品、および使用
JPWO2020059804A1 (ja) テーラードブランク、テーラードブランクの製造方法、プレス成形品、及び、プレス成形品の製造方法
JP2016117945A (ja) 圧延h形鋼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圧延h形鋼のフランジ溶接継手
JP2014034695A (ja) 冷間加工性に優れた厚肉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6056454A (ja) 冷間加工性に優れた厚肉高強度鋼板の製造方法
JP6857618B2 (ja) オーステナイト鋼で作られたコンポーネント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JP2019073784A (ja) 自動車用構造部材
EP3625048A1 (de) Warmumformmaterial, bauteil und verwendung
JP7238412B2 (ja) 鋼板部材重ね合わせ構造、車体構造
US20180117879A1 (en) Multilayer automotive component
KR20200064109A (ko) 열간 성형 복합 재료, 그 열간 성형 복합 재료의 제조, 부품 및 그 부품의 용도
JP6176428B1 (ja) 重ねレーザ溶接継手、該溶接継手の製造方法および自動車用骨格部品
JPH11343536A (ja) トラックフレーム・アクスルケース用高強度熱延鋼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