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0348B1 - 폴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계장치 - Google Patents

폴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0348B1
KR102450348B1 KR1020200086753A KR20200086753A KR102450348B1 KR 102450348 B1 KR102450348 B1 KR 102450348B1 KR 1020200086753 A KR1020200086753 A KR 1020200086753A KR 20200086753 A KR20200086753 A KR 20200086753A KR 102450348 B1 KR102450348 B1 KR 102450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case
coupled
rod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6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8541A (ko
Inventor
김현우
Original Assignee
김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우 filed Critical 김현우
Priority to KR1020200086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348B1/ko
Publication of KR20220008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8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025/045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hich telescoping action effected by a le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작업자들이 위치한 공간을 향해 돌출된 부분을 회전시켜 신속하게 연장 또는 축소되는 폴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계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폴대장치는 일부분은 텔레스코픽 형태로 연장 또는 수축하도록 형성되는 폴대유닛 및 상기 폴대유닛의 일부분과 기어 연결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을 통해 상기 폴대유닛은 연장 또는 수축된다.

Description

폴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계장치{TEMPORARY POLE APPARATUS AND SCAFFOLD COMPRISING THE SAME}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비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대장치를 포함하는 비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해양플랜트 또는 선박의 비계장치는 선박의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 선박 내부의 양측 벽들 사이와 지붕과 바닥 사이를 연결하는 폴대들을 교차로 설치한 후 폴대들의 사이에 발판을 결합시켜 설치된다.
그러나 기존의 폴대들은 길이조절을 하는 경우 수동으로 폴대의 일부를 회전시켜 길이조절을 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어 작업능률이 저하되고 폴대의 양단이 밀착된 양측 벽면들이 변형된 상태에서 신속하게 폴대의 길이를 연장시키지 못하는 경우 폴대의 낙하로 인한 낙상위험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16699호는 현수 비계용 가설 폴대장치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34329호는 현수 비계용 폴대 지지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폴대의 설치 상태를 신속하게 제어 가능한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16699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34329호
작업자들이 위치한 공간을 향해 돌출된 부분을 회전시켜 신속하게 연장 또는 축소되는 폴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폴대장치는 일부분은 텔레스코픽 형태로 연장 또는 수축하도록 형성되는 폴대유닛 및 상기 폴대유닛의 일부분과 기어 연결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을 통해 상기 폴대유닛은 연장 또는 수축된다.
또한, 상기 폴대장치는 상기 폴대유닛의 일부분 끝단에 결합되는 압착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대유닛은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폴대 및 일단은 리드스크류 형태로 상기 폴대의 내부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폴대의 타측 외부로 연장되는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로드를 둘러싸며 내측면은 상기 로드와 기어 결합되고, 상기 폴대의 연장방향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폴대에 연결되는 제1 기어 및 일단은 상기 제1 기어와 기어 연결되고 타단은 일단의 회동축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다각형 기둥 형태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제2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어는 상기 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폴대와 연결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비계장치는 텔레스코픽 형태로 연장 또는 수축되도록 형성되는 제1 폴대장치 및 상기 제1 폴대장치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폴대장치와 교차 결합되는 제2 폴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폴대장치는 슬라이딩 이동되며 폴대의 내부에서 돌출 또는 삽입되는 로드를 구비하는 폴대유닛 및 상기 로드와 기어 연결되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폴대장치는 텔레스코픽 형태로 연장 또는 수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폴대장치는 외측에 돌출된 돌출부를 전동 임팩트 드라이버나 공구를 통해 회전시키면 즉각적으로 연장 또는 수축하도록 형성되므로 벽들 사이나 지붕 및 바닥 사이에 배치되는 폴대장치의 분리를 즉각적으로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폴대장치는 기어의 회전으로 연장되는 로드의 외측 부분이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면서 로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재가 결합되어 폴대장치의 안정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에 따른 폴대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 는 도 1의 폴대장치를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4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계장치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폴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계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해양플랜트 또는 선박의 비계장치는 선박의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 선박 내부의 양측 벽들 사이와 지붕과 바닥 사이를 연결하는 폴대들을 교차로 설치한 후 폴대들의 사이에 발판을 결합시켜 설치된다.
그러나 기존의 폴대들은 길이조절을 하는 경우 수동으로 폴대의 일부를 회전시켜 길이조절을 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어 작업능률이 저하되고 폴대의 양단이 밀착된 양측 벽면들이 변형된 상태에서 신속하게 폴대의 길이를 연장시키지 못하는 경우 폴대의 낙하로 인한 낙상위험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폴대장치(100)는 외측에 돌출된 돌출부를 전동 임팩트 드라이버나 공구를 통해 회전시키면 즉각적으로 연장 또는 수축하도록 형성되므로 벽들 사이나 지붕 및 바닥 사이에 배치되는 폴대장치(100)의 분리를 즉각적으로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폴대장치(100)는 기어의 회전으로 연장되는 로드의 외측 부분이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면서 로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재가 결합되어 폴대장치(100)의 안정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폴대장치(100)는 폴대유닛(200), 고정부재(300), 케이스(400), 구동유닛(500), 가이드부재(600) 및 압착유닛(700)들을 포함한다.
폴대유닛(200)은 폴대(210) 및 로드(220)를 포함한다.
폴대유닛(200)의 일단은 제1 또는 제2 방향(1, 2)으로 연장된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벽 또는 압착유닛(700)과 결합되고, 타단은 제1 또는 제2 방향(1, 2)으로 연장되는 리드스크류 형태로 형성되어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일단 내부에 일부분이 삽입된다.
폴대(210)의 일단은 제1 또는 제2 방향(1, 2)으로 연장되고 내부공간이 제1 및 제2 방향(1, 2)으로 개방된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타단은 일단에서 제1 방향(1)을 향해 원통 형태를 유지하면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로드(220)의 일단은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된 리드스크류 형태로 형성되어 폴대(210)의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제1 방향(1)을 향해 리드스크류 형태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로드(220)의 타단 외측에는 제1 또는 제2 방향(1, 2)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형태의 타단 외측면 일부분이 타단의 안쪽을 향해 함몰되어 슬라이딩홈(222)이 형성된다.
고정부재(300)는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되고 폴대(210)의 타단 외측면을 둘러싸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내측면이 폴대(210)의 외측면과 밀착된 상태로 폴대(210)와 결합된다.
고정부재(300)의 제1 방향(1)쪽 끝단 내측면의 일부분은 폴대(210)의 타단 끝단 제1 방향(1)쪽 외부공간에서 고정부재(300)의 안쪽 공간을 향해 환 형태로 돌출되어 로드(220)의 외측면과 밀착되고, 로드(22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 및 지지한다.
케이스(400)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제2 방향(2)쪽 배면 일부분은 고정부재(300)의 제1 방향(1)쪽 전면에 결합되며, 고정부재(300)와 결합된 배면의 안쪽 원형 일부분은 제1 방향(1)을 향해 함몰되어 케이스(400)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연결시키는 제1 관통홀(410)이 형성된다.
케이스(400)의 전면에는 제1 관통홀(410)과 동일한 수평선상에서 원형의 전면 일부분이 제2 방향(2)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되어 케이스(400)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연결하는 제2 관통홀(420)이 형성된다.
상부홈(430)은 케이스(400)의 원형 상부면 일부분이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되어 케이스(400)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후술될 구동유닛(500)의 돌출부(540)가 상부홈(430)을 지나 케이스(400)의 상부로 돌출된다.
구동유닛(500)은 회동부재(510), 제1 기어(520), 제2 기어(530) 및 돌출부(54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회동부재(510)는 로드(220)를 둘러싸는 환 형태의 베어링으로 형성되고,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케이스(400)의 제2 방향(2)쪽 내측면에 결합된다.
삭제
한편, 회동부재(510)는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케이스(400)에 결합되고, 제자리에서 회동되는 슬라이딩 구조를 포함한 다양한 구조의 회동판 형태로 케이스(4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기어(520)는 제2 방향(2)쪽 원형의 배면 중앙 일부분이 제1 방향(1)을 향해 함몰되어 중공이 형성되고 테두리에 기어가 형성된 베벨기어 형태로 형성되며, 제2 방향(2)쪽 배면은 회동부재(510)의 제1 방향(1)쪽 전면과 결합된다.
제1 기어(520)의 중공 안쪽에 해당하는 내측면에는 로드(220)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제1 기어(520)가 회전되면 후술 될 가이드부재(600)에 의해 회동이 제한되는 로드(220)는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이동된다.
제2 기어(530)의 일단은 베벨기어 형태로 형성되어 테두리쪽에 형성된 투스(Tooth)들이 제1 기어(520)의 테두리에 형성된 투스(Tooth)들과 맞물리고, 타단은 일단의 회동축이 위치하는 원형의 상부면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케이스(400)의 상부 내측면과 상하부 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돌출부(540)의 일단은 육각기둥의 형태로 형성되어 저면은 제2 기어(530)의 타단 상부 중앙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육각기둥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부홈(430)을 지나 케이스(400)의 상부로 돌출된다.
돌출부(540)는 전동 임팩 드라이버(20)와 연결되어 정회전되면, 제1 및 제2 기어(520, 530)들을 정회전시키고, 로드(220)는 제1 방향(1)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된다.
반대로, 돌출부(540)는 전동 임팩 드라이버(20)와 연결되어 역회전되면, 제1 및 제2 기어(520, 530)들을 역회전시키고, 로드(220)는 제2 방향(2)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되며, 돌출부(540)의 형태는 다각형 기둥들로 대체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600)는 가이드돌기(610)를 포함한다.
가이드부재(600)의 일단은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제2 관통홀(420)의 안쪽에 삽입되어 외측면은 케이스(400)의 내측면과 결합되며, 타단은 일단에서 원통 형태를 유지하면서 케이스(400)의 제1 방향(1)쪽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며, 내측에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되는 일자형의 돌기가 형성된다.
가이드돌기(610)의 일단은 제1 또는 제2 방향(1, 2)으로 연장되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가이드부재(600)의 내부 일측 또는 타측에 해당하는 내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직육면체 형태를 유지하면서 가이드부재(600)의 내측면을 따라 제1 방향(1)으로 연장된다.
가이드부재(600)가 케이스(400)와 결합된 상태에서, 가이드돌기(610)는 로드(220)의 슬라이딩홈(222)에 삽입되어 로드(220)의 회동을 제한하고, 제1 기어(520)의 회동으로 로드(220)가 제1 또는 제2 방향(1, 2)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로드(220)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한다.
가이드돌기(610)는 폴대장치(100)의 설치장소 또는 설치 방향에 따라 가이드부재(600)의 내측 상부, 하부, 일측 및 타측을 포함하는 가이드부재(600)의 내측면의 다양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610)는 케이스(400)의 제1 방향(1)쪽에서 고정부재(300)와 함께 로드(22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면서 로드(220)의 외측면과 밀착되므로, 로드(220)의 안정적인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면서 로드(220)의 변형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폴대장치(100)는 케이스(400)를 제1 방향(1)을 향해 연장시켜 폴대(210)의 제1 방향(1)쪽에 돌출되는 로드(220)의 중앙부까지 커버할 수 있고, 이 경우, 로드(220)의 변형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커넥터(440)는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공간은 육각기둥 또는 다각형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내측면은 돌출부(540)의 외측면과 밀착된다.
따라서, 커넥터(440)의 하부 내측면들이 돌출부(540)의 외측면들과 밀착되어 돌출부(540)와 결합된 상태에서 커넥터(44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전동 임팩 드라이버(20)를 구동시키면 돌출부(540)가 회전되면서 돌출부(540)의 회전 방향에 따라 로드(220)가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된다.
압착유닛(700)들 각각은 직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폴대유닛(200)의 일단 또는 타단 끝단에 결합되고, 서로 마주하며 이격 배치되는 벽들과 밀착되거나 바닥 및 천장 각각에 밀착된다.
압착유닛(700)은 가압판(710) 및 압착판(720)을 포함한다.
가압판(710)은 넓은 표면이 제1 및 제2 방향(1, 2)을 향하는 직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전면 또는 배면 중앙 부분이 폴대(210)의 일단 끝단 또는 로드(220)의 타단 끝단에 결합된다.
압착판(720)은 넓은 표면이 제1 및 제2 방향(1, 2)을 향하는 직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전면 또는 배면이 폴대(210)에 결합된 가압판(710)의 배면 또는 로드(220)에 결합된 가압판(710)의 전면에 결합된다.
압착판(720)은 가압판(710)보다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고 탄성력이 높은 고분자 소재로 제작되고, 바닥, 천장 또는 벽에 밀착되어 폴대장치(100)의 결합력을 개선시키며 바닥, 천장 또는 벽의 손상을 방지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비계장치(800)는 폴대장치(100)와 동일한 구조의 제1 및 제2 폴대장치(110, 120)들과 발판(810)들을 포함한다.
제1 폴대장치(110)들 각각은 일측 및 타측에 서로 이격 배치된 상태에서 제1 방향(1)쪽의 압착유닛(700) 및 제2 방향(2)쪽의 압착유닛(700) 각각이 서로 마주하는 벽들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된다.
제2 폴대장치(120)들 각각은 제1 폴대장치(110)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고, 폴대(210) 부분이 하부를 향하고 로드(220) 부분이 상부를 향하는 수직 폴대 형태로 설치된다.
제2 폴대장치(120)들 각각에 결합된 압착유닛(700)들 각각은 바닥 및 천장에 각각 밀착되고, 작업자는 돌출부(540)를 회전시켜 편리하게 제2 폴대장치(120)를 바닥 및 천장 사이에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다.
제2 폴대장치(120)들 각각의 폴대(210)는 제1 폴대장치(110)의 폴대(210)의 제1 및 제2 방향(1, 2)쪽 측면에 이격 배치된 상태로 클램프를 통해 제1 폴대장치(110)에 각각 결합되어 측벽들 사이에 설치되는 제1 폴대장치(110)를 지지한다.
발판(810)들 각각은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되는 사각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 및 타측에 이격 배치되는 제2 폴대장치(120)들의 상부에 형성된 압착유닛(700)들 각각의 상부에 결합된다.
발판(810)들은 각각의 전면 및 배면이 밀착된 상태로 제1 방향(1) 또는 제2 방향(2)을 향해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서로 연결되며, 제1 폴대장치(110)들 각각의 돌출부(540)에 연결된 커넥터(440)들은 발판(810)을 관통하여 발판(810)의 상부공간에 노출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발판(810)들의 상부에서 작업하는 과정에서 제1 및 제2 방향(1, 2)쪽 벽들 사이를 연결하는 제1 폴대장치(110)들의 결합력이 낮아지는 경우 커넥터(440)를 전동 임팩 드라이버(20)를 통해 정회전시키고 제1 방향(1)쪽 벽과 압착유닛(700)의 결합력을 신속하게 개선시켜 발판(810)의 붕괴를 방지시킨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폴대장치 110: 제1 폴대장치
120: 제2 폴대장치 200: 폴대유닛
300: 고정부재 400: 케이스
500: 구동유닛 600: 가이드부재
700: 압착유닛 800: 비계장치

Claims (6)

  1. 일부분은 텔레스코픽 형태로 연장 또는 수축하도록 형성되는 폴대유닛;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배면 및 전면에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연결시키는 제1 및 제2 관통홀들이 형성되며 상기 폴대유닛에 결합되는 케이스;
    상기 제2 관통홀에 삽입되고 외측면은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폴대유닛의 일부분과 기어 연결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을 통해 상기 폴대유닛은 연장 또는 수축되며,
    상기 폴대유닛은,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공간이 상기 제1 관통홀에 연통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폴대; 및
    일단은 리드스크류 형태로 상기 폴대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구동유닛과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폴대의 타측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 및 제2 관통홀을 지나 상기 케이스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로드;를 포함하며,
    전후방으로 연장되는 상기 로드의 타단 외측면 일부분이 함몰되어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로드를 둘러싸는 베어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로드의 연장방향을 축으로 회동되게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회동부재;
    상기 로드를 둘러싸며 내측면은 상기 로드와 기어 결합되고, 배면은 상기 회동부재의 전면에 결합되는 제1 기어;
    일단은 상기 제1 기어의 상부에 기어 연결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의 상부 내측면과 회동되게 결합되는 제2 기어; 및
    일단은 육각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 기어의 타단 상부 중앙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상부로 연장되어 상하부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어는 상하부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폴대와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로드를 둘러싸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대유닛의 일부분 끝단에 결합되는 압착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대장치.
  3. 삭제
  4. 삭제
  5. 텔레스코픽 형태로 연장 또는 수축되도록 형성되는 제1 폴대장치; 및
    상기 제1 폴대장치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폴대장치와 교차 결합되는 제2 폴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폴대장치는,
    일부분은 텔레스코픽 형태로 연장 또는 수축하도록 형성되는 폴대유닛;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배면 및 전면에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연결시키는 제1 및 제2 관통홀들이 형성되며 상기 폴대유닛에 결합되는 케이스;
    상기 제2 관통홀에 삽입되고 외측면은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폴대유닛의 일부분과 기어 연결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을 통해 상기 폴대유닛은 연장 또는 수축되며,
    상기 폴대유닛은,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공간이 상기 제1 관통홀에 연통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폴대; 및
    일단은 리드스크류 형태로 상기 폴대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구동유닛과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폴대의 타측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 및 제2 관통홀을 지나 상기 케이스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로드;를 포함하며,
    전후방으로 연장되는 상기 로드의 타단 외측면 일부분이 함몰되어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로드를 둘러싸는 베어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로드의 연장방향을 축으로 회동되게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회동부재;
    상기 로드를 둘러싸며 내측면은 상기 로드와 기어 결합되고, 배면은 상기 회동부재의 전면에 결합되는 제1 기어;
    일단은 상기 제1 기어의 상부에 기어 연결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의 상부 내측면과 회동되게 결합되는 제2 기어; 및
    일단은 육각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 기어의 타단 상부 중앙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상부로 연장되어 상하부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어는 상기 상하부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폴대와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로드를 둘러싸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폴대장치는,
    텔레스코픽 형태로 연장 또는 수축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장치.
KR1020200086753A 2020-07-14 2020-07-14 폴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계장치 KR102450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753A KR102450348B1 (ko) 2020-07-14 2020-07-14 폴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753A KR102450348B1 (ko) 2020-07-14 2020-07-14 폴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8541A KR20220008541A (ko) 2022-01-21
KR102450348B1 true KR102450348B1 (ko) 2022-10-04

Family

ID=80050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753A KR102450348B1 (ko) 2020-07-14 2020-07-14 폴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034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0368A (ja) * 1998-10-07 2000-04-18 Shinkoo Corporation:Kk 梁支持用サポーター
KR200298104Y1 (ko) * 2002-09-13 2002-12-12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토목공사에서 박스형태로 설계되는 콘크리트 구체 성형용이동식 거푸집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6699B1 (ko) 2016-04-28 2018-01-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현수 비계용 가설 폴대장치
KR101834329B1 (ko) 2016-04-28 2018-03-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현수 비계용 폴대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0368A (ja) * 1998-10-07 2000-04-18 Shinkoo Corporation:Kk 梁支持用サポーター
KR200298104Y1 (ko) * 2002-09-13 2002-12-12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토목공사에서 박스형태로 설계되는 콘크리트 구체 성형용이동식 거푸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8541A (ko) 2022-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7662B1 (en) Tool cabinet
KR102450348B1 (ko) 폴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계장치
KR20110136209A (ko) 커팅장치
JP5947228B2 (ja) 防護管挿入機
CN116061222A (zh) 一种工业机器人机械臂连接装置
CN205869726U (zh) 一种数控龙门激光切割装置
CN114856219A (zh) 一种预制墙板安装装置
CN113882639A (zh) 一种多功能施工平台
US20200147836A1 (en) Tile Cutting Hand Tool
ITBO990698A1 (it) Macchina segatrice a disco per la lavorazione di pezzi in legno .
WO2019201774A1 (de) Befestigungsvorrichtung und roboterarm mit einer solchen befestigungsvorrichtung
JP3220125U (ja) 杭抜器
CN212469551U (zh) 一种钢结构用折弯装置
CN210508650U (zh) 一种围栏增强器
CN211007559U (zh) 一种用于建筑施工的多功能升降平台
CN112431396A (zh) 施工辅助装置
CN215407484U (zh) 一种建筑施工钢筋定位结构
CN208215553U (zh) 一种木材加工机械用辅助切割平台
CN220611811U (zh) 一种铝单板折弯设备
CN110509217A (zh) 一种螺钉平稳旋拧器
CN217129003U (zh) 一种装配式建筑用墙板安装装置
CN214034665U (zh) 施工辅助装置
CN215094720U (zh) 室内精装修顶板成孔装置
CN214008733U (zh) 一种改进的三脚架结构
CN217175698U (zh) 一种用于建筑工程的组合式支撑模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