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0241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단말의 동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단말의 동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0241B1
KR102450241B1 KR1020177007612A KR20177007612A KR102450241B1 KR 102450241 B1 KR102450241 B1 KR 102450241B1 KR 1020177007612 A KR1020177007612 A KR 1020177007612A KR 20177007612 A KR20177007612 A KR 20177007612A KR 102450241 B1 KR102450241 B1 KR 102450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sss
power
transmitted
signal
psb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7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8415A (ko
Inventor
채혁진
임수환
서한별
김학성
서인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7033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0675B1/ko
Publication of KR20170048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8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04J11/0073Acquisition of primary synchronisation channel, e.g. detection of cell-ID within cell-ID gro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2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04J11/0076Acquisition of secondary synchronisation channel, e.g. detection of cell-ID gro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62Symbol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89Link with other circuits, i.e. special connections between synchronisation arrangements and other circuits for achieving synchronisation
    • H04L27/2691Link with other circuits, i.e. special connections between synchronisation arrangements and other circuits for achieving synchronisation involving interference determination or cancel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0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broadcas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4Signalisation aspects of the TPC commands, e.g. frame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73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transmission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2011/0096Network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2211/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orthogonal multiplex systems
    • H04J2211/003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orthogonal multiplex systems within particular systems or standards
    • H04J2211/005Long term evolution [L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D2D 단말 장치에 있어서, 송진 장치와 수신 장치;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PSSS(Primary 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 및 SSSS(Secondary 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를 생성 및 전송하며, 상기 PSSS 및 상기 SSSS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서 PSBCH가 전송되고, 노멀 CP인 경우, 상기 PSSS 및 PSBCH ON power는, 상기 PSSS 및 SSSS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서 과도 구간(transient period)이 제외된 구간의 평균 전력이며, 상기 PSSS 및 PSBCH ON power를 위한 구간의 시작의 과도 구간은, 상기 PSSS가 전송되는 OFDM 심볼과 중첩되지 않는, 단말 장치이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단말의 동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이하의 설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치 대 장치 통신에서 동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이 음성이나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전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은 가용한 시스템 자원(대역폭, 전송 파워 등)을 공유하여 다중 사용자와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접속(multiple access) 시스템이다. 다중 접속 시스템의 예들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MC-FDMA(multi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등이 있다.
장치 대 장치(Device-to-Device; D2D) 통신이란 단말(User Equipment; UE)들 간에 직접적인 링크를 설정하여, 기지국(evolved NodeB; eNB)을 거치지 않고 단말 간에 음성, 데이터 등을 직접 주고 받는 통신 방식을 말한다. D2D 통신은 단말-대-단말(UE-to-UE) 통신, 피어-대-피어(Peer-to-Peer) 통신 등의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D2D 통신 방식은 M2M(Machine-to-Machine) 통신,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등에 응용될 수 있다.
D2D 통신은 급속도로 증가하는 데이터 트래픽에 따른 기지국의 부담을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서 고려되고 있다. 예를 들어, D2D 통신에 의하면 기존의 무선 통신 시스템과 달리 기지국을 거치지 않고 장치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과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D2D 통신을 도입함으로써, 기지국의 절차 감소, D2D에 참여하는 장치들의 소비 전력 감소, 데이터 전송 속도 증가, 네트워크의 수용 능력 증가, 부하 분산, 셀 커버리지 확대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WAN과 D2D 신호 전송간에 간섭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매스크 및 동기 신호 전송 방법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D2D 단말 장치에 있어서, 송진 장치와 수신 장치;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PSSS(Primary 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 및 SSSS(Secondary 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를 생성 및 전송하며, 상기 PSSS 및 상기 SSSS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서 PSBCH가 전송되고, 노멀 CP인 경우, 상기 PSSS 및 PSBCH ON power는, 상기 PSSS 및 SSSS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서 과도 구간(transient period)이 제외된 구간의 평균 전력이며, 상기 PSSS 및 PSBCH ON power를 위한 구간의 시작의 과도 구간은, 상기 PSSS가 전송되는 OFDM 심볼과 중첩되지 않는, 단말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D2D 단말이 동기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PSSS(Primary 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 및 SSSS(Secondary 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PSSS 및 상기 SSSS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PSSS 및 상기 SSSS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서 PSBCH가 전송되고, 노멀 CP인 경우, 상기 PSSS 및 PSBCH ON power는, 상기 PSSS 및 SSSS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서 과도 구간(transient period)이 제외된 구간의 평균 전력이며, 상기 PSSS 및 PSBCH ON power를 위한 구간의 시작의 과도 구간은, 상기 PSSS가 전송되는 OFDM 심볼과 중첩되지 않는, 동기 신호 전송 방법이다.
상기 PSSS 및 PSBCH ON power를 위한 구간의 시작의 과도 구간은 상기 PSSS가 전송되는 OFDM 심볼의 앞 심볼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PSSS 및 PSBCH ON power를 위한 구간의 시작의 과도 구간은 상기 PSSS가 전송되는 OFDM 심볼의 앞 심볼의 시작 부분에서 시작될 수 있다.
상기 PSSS 및 PSBCH ON power를 위한 구간의 시작의 과도 구간의 길이는 20us일 수 있다.
상기 PSSS 및 PSBCH ON power를 위한 구간의 끝의 과도 구간은 상기 SSSS가 전송되는 OFDM 심볼과 중첩될 수 있다.
상기 PSSS 및 PSBCH ON power를 위한 구간의 끝의 과도 구간의 길이는 40us일 수 있다.
상기 SSSS의 ON power를 위한 구간의 끝의 과도 구간은 상기 SSSS가 전송되는 두 번째 OFDM 심볼의 다음 번 OFDM 심볼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과도 구간의 길이는 20us일 수 있다.
상기 PSSS 및 상기 SSSS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서 PSBCH가 전송되고, 확장 CP인 경우, 상기 PSSS 및 PSBCH ON power는, 상기 PSSS 및 SSSS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서 과도 구간(transient period)이 제외된 구간의 평균 전력이며, 상기 PSSS 및 PSBCH ON power를 위한 구간의 시작의 과도 구간은, 상기 PSSS가 전송되는 OFDM 심볼과 중첩될 수 있다.
상기 PSSS 및 PSBCH ON power를 위한 구간의 시작의 과도 구간은 상기 PSSS가 전송되는 OFDM 심볼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PSSS 및 SSSS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서 PSBCH가 전송되지 않고, 노멀 CP인 경우, 상기 PSSS ON power를 위한 구간의 시작의 과도 구간은, 상기 PSSS가 전송되는 OFDM 심볼과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PSSS 및 SSSS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서 PSBCH가 전송되지 않고, 확장 CP인 경우, 상기 PSSS ON power를 위한 구간의 시작의 과도 구간은, 상기 PSSS가 전송되는 OFDM 심볼과 중첩될 수 있다.
상기 PSSS 및 SSSS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서 PSBCH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 상기 SSSS의 ON power를 위한 구간의 시작의 과도 구간은, CP 길이에 무관하게 상기 SSSS가 전송되는 OFDM 심볼과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WAN 신호 전송에 미치는 간섭의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동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을 나타내고 명세서의 기재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하향링크 슬롯에서의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을 위한 자원 선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동기 신호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의 구조이다.
도 10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매스크의 다양한 예시이다.
도 19은 송수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지국과 단말 간의 데이터 송신 및 수신의 관계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기지국은 단말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terminal node)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기지국의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BS: Base Station)'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중계기는 Relay Node(RN), Relay Station(RS)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Terminal)'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기지국이라 함은 스케줄링 수행 노드, 클러스터 헤더(cluster header) 등을 장치를 지칭하는 의미로써도 사용될 수 있다. 만약 기지국이나 릴레이도 단말이 전송하는 신호를 전송한다면, 일종의 단말로 간주할 수 있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셀의 명칭은 기지국(base station, eNB), 섹터(sector), 리모트라디오헤드(remote radio head, RRH), 릴레이(relay)등의 송수신 포인트에 적용되며, 또한 특정 송수신 포인트에서 구성 반송파(component carrier)를 구분하기 위한 포괄적인 용어로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 802 시스템, 3GPP 시스템, 3GPP LTE 및 LTE-A(LTE-Advanced)시스템 및 3GPP2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는 E-UTRA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이다. WiMAX는 IEEE 802.16e 규격(WirelessMAN-OFDMA Reference System) 및 발전된 IEEE 802.16m 규격(WirelessMAN-OFDMA Advanced system)에 의하여 설명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하여 이하에서는 3GPP LTE 및 3GPP LTE-A 시스템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LTE/LTE-A 자원 구조/채널
도 1을 참조하여 무선 프레임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셀룰라 OFDM 무선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 상/하향링크 데이터 패킷 전송은 서브프레임 (subframe) 단위로 이루어지며, 한 서브프레임은 다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일정 시간 구간으로 정의된다. 3GPP LTE 표준에서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에 적용 가능한 타입 1 무선 프레임(radio frame) 구조와 TDD(Time Division Duplex)에 적용 가능한 타입 2의 무선 프레임 구조를 지원한다.
도 1(a)는 타입 1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향링크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시간 영역(time domain)에서 2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전송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이라 하고, 예를 들어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슬롯의 길이는 0.5ms 일 수 있다. 하나의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다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을 포함한다. 3GPP LTE/LTE-A 시스템에서는 하향링크에서 OFDMA 를 사용하므로, OFDM 심볼이 하나의 심볼 구간을 나타낸다. OFDM 심볼은 또한 SC-FDMA 심볼 또는 심볼 구간으로 칭하여질 수도 있다.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은 자원 할당 단위이고, 하나의 블록에서 복수개의 연속적인 부반송파(subcarrier)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CP(Cyclic Prefix)의 구성(configuration)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CP에는 확장된 CP(extended CP)와 일반 CP(normal CP)가 있다. 예를 들어, OFDM 심볼이 일반 CP에 의해 구성된 경우,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7개일 수 있다. OFDM 심볼이 확장된 CP에 의해 구성된 경우, 한 OFDM 심볼의 길이가 늘어나므로, 한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일반 CP인 경우보다 적다. 확장된 CP의 경우에, 예를 들어,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6개일 수 있다. 단말이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등의 경우와 같이 채널상태가 불안정한 경우, 심볼간 간섭을 더욱 줄이기 위해 확장된 CP가 사용될 수 있다.
일반 CP가 사용되는 경우 하나의 슬롯은 7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므로,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14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이때, 각 서브프레임의 처음 2개 또는 3개의 OFDM 심볼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에 할당되고, 나머지 OFDM 심볼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에 할당될 수 있다.
도 1(b)는 타입 2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타입 2 무선 프레임은 2개의 해프 프레임 (half frame)으로 구성되며, 각 해프 프레임은 5개의 서브프레임과 DwPTS (Downlink Pilot Time Slot), 보호구간(Guard Period; GP), UpPTS (Uplink Pilot Time Slot)로 구성되며, 이 중 1개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으로 구성된다. DwPTS는 단말에서의 초기 셀 탐색, 동기화 또는 채널 추정에 사용된다. UpPTS는 기지국에서의 채널 추정과 단말의 상향 전송 동기를 맞추는 데 사용된다. 보호구간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사이에 하향링크 신호의 다중경로 지연으로 인해 상향링크에서 생기는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구간이다. 한편, 무선 프레임의 타입에 관계 없이 1개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으로 구성된다.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고,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수 또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 슬롯에 포함되는 심볼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2는 하향링크 슬롯에서의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7 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하나의 자원블록(RB)은 주파수 영역에서 12 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일반 CP(Cyclic Prefix)의 경우에는 하나의 슬롯이 7 OFDM 심볼을 포함하지만, 확장된 CP(extended-CP)의 경우에는 하나의 슬롯이 6 OFDM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자원 그리드 상의 각각의 요소는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라 한다. 하나의 자원블록은 12×7 자원 요소를 포함한다. 하향링크 슬롯에 포함되는 자원블록들의 개수(NDL)는 하향링크 전송 대역폭에 따른다. 상향링크 슬롯의 구조는 하향링크 슬롯의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도 3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서 첫 번째 슬롯의 앞 부분의 최대 3 개의 OFDM 심볼은 제어 채널이 할당되는 제어 영역에 해당한다. 나머지 OFDM 심볼들은 물리하향링크공유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이 할당되는 데이터 영역에 해당한다. 3GPP LTE/LTE-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들에는, 예를 들어, 물리제어포맷지시자채널(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CFICH), 물리하향링크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물리HARQ지시자채널(Physical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Indicator Channel; PHICH) 등이 있다. PCFICH는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OFDM 심볼에서 전송되고 서브프레임 내의 제어 채널 전송에 사용되는 OFDM 심볼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PHICH는 상향링크 전송의 응답으로서 HARQ ACK/NACK 신호를 포함한다. PDCCH를 통하여 전송되는 제어 정보를 하향링크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라 한다. DCI는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스케듈링 정보를 포함하거나 임의의 단말 그룹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제어 명령을 포함한다. PDCCH는 하향링크공유채널(DL-SCH)의 자원 할당 및 전송 포맷, 상향링크공유채널(UL-SCH)의 자원 할당 정보, 페이징채널(PCH)의 페이징 정보, DL-SCH 상의 시스템 정보, PDSCH 상으로 전송되는 임의접속응답(Random Access Response)과 같은 상위계층 제어 메시지의 자원 할당, 임의의 단말 그룹 내의 개별 단말에 대한 전송 전력 제어 명령의 세트, 전송 전력 제어 정보, VoIP(Voice over IP)의 활성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PDCCH가 제어 영역 내에서 전송될 수 있다. 단말은 복수의 PDCCH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PDCCH는 하나 이상의 연속하는 제어채널요소(Control Channel Element; CCE)의 조합(aggregation)으로 전송된다. CCE는 무선 채널의 상태에 기초한 코딩 레이트로 PDCCH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논리 할당 단위이다. CCE는 복수개의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한다. PDCCH를 위해 필요한 CCE의 개수는 DCI의 크기와 코딩 레이트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PDCCH 전송에는 CCE 개수 1, 2, 4, 8(각각 PDCCH 포맷 0, 1, 2, 3에 대응)개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으며, DCI의 크기가 큰 경우 및/또는 채널 상태가 좋지 않아 낮은 코딩 레이트가 필요한 경우 상대적으로 많은 개수의 CCE가 하나의 PDCCH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전송되는 DCI의 크기, 셀 대역폭, 하향링크 안테나 포트의 개수, PHICH 자원 양 등을 고려하여 PDCCH 포맷을 결정하고, 제어 정보에 순환잉여검사(Cyclic Redundancy Check; CRC)를 부가한다. CRC는 PDCCH의 소유자 또는 용도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RNTI)라 하는 식별자로 마스킹된다. PDCCH가 특정 단말에 대한 것이면, 단말의 cell-RNTI(C-RNTI) 식별자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또는, PDCCH가 페이징 메시지에 대한 것이면, 페이징 지시자 식별자(Paging Indicator Identifier; P-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PDCCH가 시스템 정보(보다 구체적으로, 시스템 정보 블록(SIB))에 대한 것이면, 시스템 정보 식별자 및 시스템 정보 RNTI(SI-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단말의 임의 접속 프리앰블의 전송에 대한 응답인 임의접속응답을 나타내기 위해, 임의접속-RNTI(RA-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도 4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주파수 영역에서 제어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제어 영역에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물리상향링크제어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이 할당된다. 데이터 영역에는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물리상향링크공유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이 할당된다. 단일 반송파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하나의 단말은 PUCCH와 PUSCH를 동시에 전송하지 않는다. 하나의 단말에 대한 PUCCH는 서브프레임에서 자원블록 쌍(RB pair)에 할당된다. 자원블록 쌍에 속하는 자원블록들은 2 슬롯에 대하여 상이한 부반송파를 차지한다. 이를 PUCCH에 할당되는 자원블록 쌍이 슬롯 경계에서 주파수-호핑(frequency-hopped)된다고 한다.
상향링크 전력제어
LTE/LTE-A 시스템에서는 상향링크 제어정보, 데이터 등의 원활한 복조를 위해 상향링크 전력제어가 적용되며, 이는 PUCCH 전력 제어, PUSCH 전력제어, 상향링크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전력제어로 구분될 수 있다.
PUCCH 전력 제어는 PUCCH 상으로 전송되는 제어 정보의 복조가 충분히 낮은 에러율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경로 감쇄(Pathloss), 단말의 최대 전송 전력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구체적으로 셀 c의 서브프레임 i 에서 PUCCH 전력제어는 다음 수학식 1로 이루어질 수 있다.
Figure 112017027321670-pct00001
여기서,
Figure 112017027321670-pct00002
는 단말에서의 최대 전송 전력을 의미하며, PUCCH 전력 제어 명령의 상한선이 된다.
Figure 112017027321670-pct00003
는 기지국이 수신하기를 원하는 PUCCH 전송 전력값이다. 이 값은 단말 특정의 파라미터로써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전달되며, 명목상(nominal) 전력값
Figure 112017027321670-pct00004
Figure 112017027321670-pct00005
의 합으로 결정된다.
Figure 112017027321670-pct00006
은 셀 c 에서의 경로감쇄(pahthloss)값으로써 단말이 추정한 값이다. 이 값은 하향링크 셀 특정 참조신호(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CRS)의 수신 전력을 측정함으로써 단말이 추정 가능하다.
Figure 112017027321670-pct00007
는 PUCCH 포맷에 종속적인 값으로써,
Figure 112017027321670-pct00008
는 채널 품질 정보를 나타내는 비트의 수를,
Figure 112017027321670-pct00009
은 HARQ 비트의 수를,
Figure 112017027321670-pct00010
은 서브프레임 i 가 스케줄링 요청을 위해 설정된 것인 경우 1, 그렇지 않은 경우 0의 값을 갖는다.
Figure 112017027321670-pct00011
는 PUCCH 포맷에 종속적이다. 구체적으로 i) PUCCH 포맷 1, 1a, 1b의 경우 0, ii) PUCCH 포맷 1b에서 하나 이상의 서빙 셀을 사용하는 경우
Figure 112017027321670-pct00012
, iii) PUCCH 포맷 2, 2a, 2b에서 일반 순환전치가 사용되는 경우
Figure 112017027321670-pct00013
일 수 있다.
Figure 112017027321670-pct00014
는 MCS를 고려하여 상위 계층으로부터 시그널링 되는 값이다. 이는 PUCCH 포맷에 따라 서브프레임 당 비트수 및 상이한 에러율이 요구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대잡음간섭비(Signal to Noise Interference Ratio, SINR)가 필요함을 반영하기 위한 값이다.
Figure 112017027321670-pct00015
는 두 개의 안테나 포트를 이용하여 PUCCH를 전송하는 경우 상위 계층으로부터 시그널링 되는 전력 오프셋으로써, PUCCH 포맷에 종속적인 값이다.
Figure 112017027321670-pct00016
는 현재의 PUCCH 전력 제어 조절 상태 누적(accumulation)값으로써, PDCCH 상으로 전송되는 DCI 포맷에 포함된 전송전력제어(transmit power control) 명령 필드값에 대응되는 전력값
Figure 112017027321670-pct00017
및 직전 서브프레임의 PUCCH 전력 제어 조절 상태 값인
Figure 112017027321670-pct00018
에 의해 결정된다.
계속해서, PUCCH 전송이 수반되지 않는 경우의 PUSCH 전력 제어는 다음 수학식 2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7027321670-pct00019
Figure 112017027321670-pct00020
는 단말에서의 최대 전송 전력을,
Figure 112017027321670-pct00021
은 RB의 수로 표현되는 PUSCH 전송 대역폭을 나타낸다.
Figure 112017027321670-pct00022
는 기지국이 수신하기를 원하는 PUSCH 전송 전력 값을 의미한다. 이 값은 명목상(nominal) 전력값
Figure 112017027321670-pct00023
Figure 112017027321670-pct00024
의 합으로 결정된다. 반 지속적 스케줄링의 경우 j=0, 동적 스케줄링의 경우 j=1, 랜덤 액세스 응답의 경우 j=2로 결정된다.
Figure 112017027321670-pct00025
는 하향링크 경로감쇄이다. 여기서
Figure 112017027321670-pct00026
는 단말이 추정한 값이며,
Figure 112017027321670-pct00027
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전달되는 경로감쇄 보상값이다. j가 0 또는 1인 경우
Figure 112017027321670-pct00028
이며, j가 1인 경우
Figure 112017027321670-pct00029
=1이다.
Figure 112017027321670-pct00030
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으로 전달되는 값과 RE 당 비트수(Bit Per Resource Element, BPRE), CQI, PMI 등의 비트수 등을 이용하여 계산되는 값이다.
Figure 112017027321670-pct00031
는 누적(accumulation)값으로써, PDCCH 상으로 전송되는 DCI 포맷에 포함된 전송전력제어(transmit power control, TPC) 명령 필드값에 대응되는 전력값
Figure 112017027321670-pct00032
, FDD, TDD 등 설정에 따른 값인
Figure 112017027321670-pct00033
및 직전 서브프레임까지의 누적값인
Figure 112017027321670-pct00034
에 의해 결정된다.
만약 PUSCH 전송에 PUCCH 전송이 수반되는 경우, PUSCH 전력 제어는 다음 수학식 3과 같다.
Figure 112017027321670-pct00035
Figure 112017027321670-pct00036
Figure 112017027321670-pct00037
에 선형적인 값(linear value)이며,
Figure 112017027321670-pct00038
는 앞서 수학식 3에 의해 결정된 PUCCH 전력 제어에 선형적인 값(linear value)이다. 나머지 파라미터들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다.
D2D 단말의 동기 획득
이하에서는 상술한 설명 및 기존 LTE/LTE-A 시스템에 기초하여, D2D 통신에서 단말간 동기 획득에 대해 설명한다. OFDM 시스템에서는 시간/주파수 동기가 맞지 않을 경우 셀 간 간섭(Inter-Cell Interference)로 인해 OFDM 신호에서 서로 다른 단말 간에 멀티플렉싱이 불가능질 수 있다. 동기를 맞추기 위해 D2D 단말들이 직접 동기 신호를 송수신하여 모든 단말이 개별적으로 동기를 맞추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D2D와 같은 분산 노드 시스템에서는 특정 노드가 대표 동기 신호를 전송해주고 나머지 UE들이 이에 동기를 맞출 수 있다. 다시 말해, D2D 신호 송수신을 위해 일부 노드들이 (이때 노드는 eNB, UE, SRN(synchronization reference node 또는 synchronization source로 불릴 수도 있다) 일 수도 있다.) D2D 동기 신호(D2DSS, D2D Synchronization Signal)를 전송하고, 나머지 단말들이 이에 동기를 맞추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D2D 동기신호에는 PD2DSS(Primary D2DSS), SD2DSS(Secondary D2DSS)가 있을 수 있다. PD2DSS는 소정 길이의 자도프 추 시퀀스(Zadoff-chu sequence) 또는 PSS와 유사/변형/반복된 구조 등일 수 있다. SD2DSS는 M-시퀀스 또는 SSS와 유사/변형/반복된 구조 등일 수 있다. 만약 단말들이 eNB로부터 동기를 맞출 경우, SRN은 eNB가 되며, D2DSS는 PSS/SSS가 된다. PD2DSCH(Physical D2D synchronization channel)는 D2D 신호 송수신 전에 단말이 가장 먼저 알아야 하는 기본이 되는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D2DSS에 관련된 정보, 듀플렉스 모드(Duplex Mode, DM), TDD UL/DL 구성, 리소스 풀 관련 정보, D2DSS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등)가 전송되는 (방송) 채널일 수 있다. 즉 PD2DSCH는 시스템 관련 정보, 동기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채널로써, 이하에서는 PSBCH(Physical Sidelink Broadcast Channel)라 칭하기로 한다. PSBCH는 D2DSS와 동일한 서브프레임 상에서 또는 후행하는 서브프레임 상에서 전송될 수 있다.
SRN은 D2DSS, PSBCH(Physical D2D synchronization channel)를 전송하는 노드일 수 있다. D2DSS는 특정 시퀀스 형태일 수 있고, PSBCH는 특정 정보를 나타내는 시퀀스거나 사전에 정해진 채널 코딩을 거친 후의 코드 워드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SRN은 eNB 또는 특정 D2D 단말이 될 수 있다. 부분 네트워크 커버리지(partial network coverage) 또는 커버리지 바깥(out of network coverage)의 경우에는 단말이 SRN이 될 수 있으며, 인터 셀 디스커버리(intercell discovery)의 경우에도 인접셀 단말들이 타이밍을 알게 하기 위해서 단말들이 SRN으로부터 수신한 타이밍에 일정 오프셋을 더한 시점에서 단말이 D2DSS를 릴레이해 줄 수 있다. 즉, D2DSS는 다중 홉을 통해 릴레이될 수 있다. 만약, D2DSS를 릴레이한 단말들이 복수이거나, 주변에 복수의 클러스터가 있는 경우, D2DSS를 수신하는 단말은 여러 개의 D2DSS를 관찰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홉을 갖는 D2DSS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커버리 신호의 전송과 PUCCH 전송
D2D 통신에서 단말간 발견을 위한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은 다음 두가지 타입으로 분류될 수 있다. 타입 1은 디스커버리 신호 송신 자원 할당이 단말-특정(UE-specific)하지 않은 경우의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이며, 타입 2는 디스커버리 신호 송신 자원 할당이 단말-특정인 경우의 신호 전송이다. 타입 1의 경우, 디스커버리 신호가 전송되는 자원 영역만 네트워크가 구성(configure)하고 단말이 그 자원 영역에서 자원을 결정(임의, 랜덤 또는 에너지 센싱 기반 등)하여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D2D 커뮤니케이션 또한 스케줄링 방식에 따라 두가지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송신 자원이 eNB에의해 스케줄링 되는 mode 1, 송신 자원이 UE에 의해 결정되는 mode 2로 구분될 수 있다. mode 1의 경우에는 eNB가 전송 자원을 구체적으로 DCI를 통하여 지시하는 방식이고, mode 2는 eNB는 대략적인 전송 영역만 설정하고 (혹은 전송 자원 영역이 사전에 설정되어 있고), UE가 특정 자원을 선택하여 전송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여기서, 디스커버리 신호가 전송되는 자원 영역은 PUCCH 자원 영역과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보다 상세히, PUCCH 자원은 기존 레거시 단말들이 ACK/NACK 또는 CSI를 전송하는 자원이므로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 자원 영역에서 제외될 수 있다. 그리고 PUCCH 전송에는 전력 제어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시 인밴드 방사(inband emission) 등에 의해, PUCCH 전송이 심각한 간섭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과 PUCCH 전송 양자를 모두 보호할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해 살펴본다. 이하의 설명은 디스커버리 신호와 PUCCH 전송과의 관계를 위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적용 범위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커버리 신호 외의 다른 종류의 D2D 신호와 WAN 신호의 송신과의 관계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오픈 루프 전력 제어(open loop power control, OLPC)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 시 전송 전력 제어를 통해 PUCCH 전송을 보호해 줄 수 있다. 여기서 전송 전력 제어는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의 특성 상 오픈 루프 전력 제어가 적절할 것(D2D 신호 타입에 따라 closed loop power control이 적용될 수도 있음)이다. 즉, 단말이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할 때 전송 전력은 다음 수학식 4에 의할 수 있다.
Figure 112017027321670-pct00039
상기 수학식에서,
Figure 112017027321670-pct00040
는 최소 전송 전력 값,
Figure 112017027321670-pct00041
는 경로 감쇄,
Figure 112017027321670-pct00042
는 전력 부스팅 파라미터(전력 오프셋, 전력 백오프 파라미터),
Figure 112017027321670-pct00043
는 경로 감쇄 계수(0=<
Figure 112017027321670-pct00044
=<1, PUCCH 의 경우 1)이다. 여기서,
Figure 112017027321670-pct00045
,
Figure 112017027321670-pct00046
Figure 112017027321670-pct00047
는 사전에 단말에게 시그널링 된 것 또는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다. 즉,
Figure 112017027321670-pct00048
,
Figure 112017027321670-pct00049
는 상위계층시그널링(예를 들어, RRC signaling), 브로드캐스트 또는 물리계층 시그널링(시스템정보블록, PDCCH 또는 EPDCCH 등)을 통해 단말에게 시그널링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전력 제어와 관련된 파라미터들 역시 위 예와 같은 방법으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백오프 파라미터
Figure 112017027321670-pct00050
Figure 112017027321670-pct00051
가 만약 다른 셀룰러 채널의 값을 재사용할 경우 D2D 신호가 더 낮은(또는 더 높은) 전력으로 전송하도록 도입되는 오프셋이다. D2D 최대 전송 전력,
Figure 112017027321670-pct00052
는 기존
Figure 112017027321670-pct00053
외의 별도의 값이 설정될 수 있다.
위 파라미터 중 시그널링되지 않는 일부는, 특정 값으로 사전에 설정되어 있거나, 셀룰러 사용을 위해 시그널링된 것이 그대로 재사용되거나 또는 셀룰러 사용을 위해 시그널링된 것을 재사용하다가 D2D를 위한 별도의 시그널링이 있는 경우 그 시그널링된 값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
Figure 112017027321670-pct00054
,
Figure 112017027321670-pct00055
는 기존 PUSCH 또는 PUCCH의 값이 사용되어 별도로 시그널링 되지 않고,
Figure 112017027321670-pct00056
가 D2D를 위해 시그널링 될 수 있다.
한편,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 전력의 조절은 계단식 전송 전력 조절에 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세기 (RSRP, RSRQ)가 사전에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사전에 설정된 전송 전력 XdBm으로 송신하고, 임계 이상인 경우에는 YdBm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Y는 X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계단식 전송 전력설정방식은 두 단계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M개의 전송 전력 값을 설정하는 것으로 일반화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세기에 대한 임계값과, 해당 임계 범위내에서 전송 전력은 사전에 설정된 값이거나,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게 물리계층 혹은 상위계층 신호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기지국으로부터 신호 세기에 따른 송신 자원의 결정
기지국의 신호 세기(RSRP 또는 RSRQ일 수 있다. 이외에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 신호 강도에 관련된 값일 수도 있다)에 따라 디스커버리 신호의 전송하는 영역이 별도로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커버리 전송을 위한 리소스 풀이 하나 이상 설정되어(configured) 있고, 하나 이상의 리소스 풀 각각에는 RSRP(또는 RSRQ 등 수신 신호 강도에 관련된 값) 레인지(range)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특정 D2D 단말은 RSRP가 포함되는 레인지의 리소스 풀을 선택하고, 리소스 풀에서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을 위한 자원(리소스 풀에서 랜덤하게 선택된 것일 수 있음)을 사용하여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타입 1 디스커버리가 설정된 단말은, 하나 이상의 리소스 풀에서 리소스 풀을 선택하고, 그 선택된 리소스 풀의 자원을 사용하여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리소스 풀은 RSRP 측정 결과에 따라 선택되는 것이다. 도 5 및 도 6에는 이러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두 개의 리소스 풀이 디스커버리 신호를 위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두 개의 리소스 풀 각각에는 RSRP 레인지가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리소스 풀 1은 RSRP 레인지 -110 ~ -80을 위한 것이고, 리소스 풀 2는 RSRP 레인지 -80 ~ -60을 위한 것일 수 있다. 기지국으로부터 거리가 유사하여 RSRP가 유사한 단말들(예를 들어, UE group #1에 속한 단말들)은 동일한 리소스 풀의 자원을 사용하여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리소스 풀이 TDM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되었는데, 도 6과 같이 FDM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TDM+FDM 으로 다수 개의 리소스 풀이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같은 반복 팩터(또는 동일한 유닛 크기)를 갖는 단말을 유사한 자원영역에 전송하게 하여 호핑 패턴(hopping pattern)의 설계를 단순화할 수 있게 해 준다. 또한, 상기 구성은 인밴드 방사를 고려하여, 근처에 있는 단말 또는 전송 전력이 유사한 단말이 같은 자원에서 (동시에) 전송하게 하여 인밴드 방사에 의한 성능 감쇄를 완화하게 해 준다. 일 예로써, 두 단말이 멀리 떨어져 있는데 수신 단말이 특정 단말 근처에 있으면 멀리 떨어진 단말의 신호는 근처 단말의 인밴드 방사에 의해 수신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이 때, 가까이에 있는 단말들이 같은 자원에서 동시에 전송하도록 설정해 줌으로써 이러한 현상을 완화할 수 있을 것이다.
RSRP에 따라 리소스 풀을 구분하는 것을 확장하여, RSRP와 관계없이 전송 전력의 크기에 따라 전송 자원 영역을 구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그룹의 단말들이 높은 전송전력으로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면, 그 특정 그룹의 단말들은 시간 자원영역을 낮은 송신 전력 단말과 달리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지국의 신호 세기(또는 전송 전력)에 따른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 자원영역(리소스 풀)은 사전에 설정되어 있거나, 네트워크에 의해(SIB, PDCCH/EPDCCH 등) 물리 계층 시그널링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RRC signaling)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다수 개의 리소스 풀 구성과 각 리소스 풀의 전송 전력을 물리계층 시그널링 또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으로 단말에게 전달해 줄 수 있다. 단말은 타겟 디스커버리 레인지(커뮤니케이션 신호의 경우 타겟 커뮤니케이션 레인지)에 따라 리소스 풀을 선택하고, 선택된 리소스 풀에 설정되어 있는 전송 전력으로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RSRP 또는 전송전력에 따른 리소스 풀의 선택은 후술하는 각 실시예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소스 풀 A에서는 전송 전력 P_A dBm으로 송신하고 반복 횟수를 N_A번으로 전송하고, 리소스 풀 B에서는 전송 전력 P_B dBm으로 송신하고, 반복횟수를 N_B번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각 리소스 풀 별 반복횟수는 물리계층 또는 상위계층 신호로 네트웍에 의해 시그널링 될 수 있다. 각 자원 영역에 따른 반복횟수/유닛 크기는 사전에 설정 되어 있거나, 물리계층 또는 상위계층 신호로 네트웍이 단말에게 시그널링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서로 다른 반복횟수/유닛 크기를 가지는 단말들의 원활한 멀티플렉싱 동작과 수신 단말의 불필요한 블라인드 복호 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 단말이 out-of-coverage에 있다고 판단될 경우 이러한 단말은 사전에 정해진 자원영역에서 사전에 정해진 반복횟수 및 사전에 정해진 전송 전력으로 D2D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리소스 풀 별로 전송 전력 및/또는 반복횟수를 달리하는 것은 타겟 레인지의 단계마다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단계 (short/medium/long)의 디스커버리 레인지가 설정되어 있을 경우 자원 영역을 3종류로 나누어 각 영역에서의 전송 전력 및/또는 반복횟수를 달리 설정하여 레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각 단말은 애플리케이션 혹은 서비스의 타겟 레인지에 따라 자원을 선택하고, 해당 자원에서 설정된 전송 전력/반복횟수로 D2D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D2D 커뮤니케이션의 경우에는 타겟 레인지에 따라 각 리소스 풀내에서 반복횟수가 사전에 정해지거나 상위계층 신호에 의해 구성(configure)될 수 있으며, 타겟 레인지에 따라 D2D 신호 송신 단말은 반복횟수와 전송 전력을 설정하여 D2D 커뮤니케이션 패킷을 송신할 수 있다. 서로 다른 반복횟수를 가진 단말들간에 멀티플렉싱을 단순화 하기 위하여 반복횟수에 따라 전송 리소스 풀이 구분될 수 있다. 디스커버리에서와 마찬가지로 각 D2D 리소스 풀별 전송 전력과 반복횟수가 사전에 정해지거나 상위계층 신호에 의해 시그널링 될 수 있다. 이때 반복횟수는 해당 리소스 풀에서 최대 혹은 최소 혹은 평균 반복횟수 일 수 있다. D2D 커뮤니케이션과 마찬가지로 SA 풀 또한 타겟 레인지에 따라 전송 전력 그리고/또는 반복횟수가 사전에 정해져 있거나, 물리계층 혹은 상위계층 신호로 단말에게 시그널링 될 수 있다.
기지국으로부터 신호 세기에 따른 반복 횟수의 결정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 세기(RSRP 등)에 따라 디스커버리 신호의 반복 횟수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반복 횟수란 디스커버리 자원의 한 주기 내 반복횟수 또는, 어떤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의 최대 전송 가능한 횟수를 의미하는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RSRP가 일정 임계값 이상일 경우 디스커버리 신호의 반복횟수를 M회로 설정하고 RSRP가 임계값 이하일 경우 디스커버리 신호의 반복 횟수를 N회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RSRP가 클수록(즉, 기지국으로부터 가까울수록) 디스커버리 신호의 송신 전력을 낮게 설정할 것이므로, M을 N보다 크게 설정하여 송신 전력에 의한 커버리지 손실 분을 반복 전송으로 보상해 줄 수 있다. 보다 일반화하여 기술하면, 다음 표 1과 같이 RSRP에 따라 디스커버리 신호의 반복 횟수가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RSRP (R) Repetition number of 디스커버리 신호
R<P1 M1
P1<R<P2 M2
... ...
PT-1<R<PT MT
이러한 기지국의 신호 세기(또는 전송 전력)에 따른 반복 횟수는 사전에 설정되어 있거나, 네트워크에 의해(SIB, PDCCH/EPDCCH 등) 물리 계층 시그널링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RRC signaling)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커버리지 밖 단말의 경우 네트워크 오퍼레이터가 사전에 설정한 값으로 동작할 수 있다. 표 1과 같은 설정이 단말에게 시그널링 될 경우 각 경계의 임계값과 각 영역의 반복횟수가 물리계층 또는 상위계층 시그널에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PUCCH 전송을 보호하기 위해 오픈 루프 전력 제어 수행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셀 가장자리 단말과 셀 중심부 단말의 디스커버리 성능이 차이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기지국으로부터 신호 세기에 따른 디스커버리 유닛의 설정
상기 언급한 기지국의 신호의 세기에 따른 반복횟수의 설정 동작은 하나의 디스커버리 신호 유닛을 더 크게(또는 작게) 설정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으로부터 신호 세기에 따라 디스커버리 유닛의 크기를 설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기지국의 신호 세기가 P이상인 경우에는 (2RB x 2SF)을 하나의 디스커버리 신호 유닛으로 설정하고, P미만인 경우에는 (2RB x 1SF)을 하나의 디스커버리 신호 유닛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하나의 디스커버리 신호 유닛의 크기는 시간영역에서 SF수 및 주파수 영역에서 RB의 개수로 정의될 수 있다. RSRP에 따른 디스커버리 신호 유닛 크기는 사전에 설정되어 있거나, 네트워크에 의해(SIB, PDCCH/EPDCCH 등) 물리 계층 시그널링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RRC signaling)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커버리지 밖 단말의 경우 네트워크 오퍼레이터가 사전에 설정한 값으로 동작할 수 있다.
리소스 풀에서 반복횟수(또는 유닛 크기)는 해당 리소스 풀의 주파수(및/또는 시간) 자원 크기 또는 시스템 대역폭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 대역폭이 일정 RB 이상인 경우에는 반복횟수(또는 유닛 크기)를 A로 설정하고, 일정 RB 이하인 경우에는 반복횟수(또는 유닛 크기)를 B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방식은 주파수 자원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주파수(및/또는 시간) 다이버시티를 충분히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애초에 반복횟수를 줄여서 더 많은 단말의 D2D 신호가 멀티플렉싱되게 하거나, 반복에 의한 간섭을 줄이기 위함이다. 반면, 리소스 풀 크기 또는 시스템 대역폭이 일정 이상인 경우에는 자원이 충분하여 충돌(collision)이 덜 발생할 것으로 예상이 되므로, 더 넓은 D2D 레인지를 확보 하기 위하여 더 많은 반복을 허용할 수 있다. 일반화하면, 리소스 풀 크기 (또는 시스템 대역폭)에 따른 반복횟수(유닛 크기)는 임의의 단계로 사전에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D2D 리소스 풀의 주파수 크기(또는 시스템 대역폭 크기)가 N단계로 나뉘어지고, 각 단계별 반복횟수(또는 유닛 크기)가 사전에 정해질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D2D 신호의 유닛 크기(PRB 크기) 또는 정보 비트 크기에 따라서 반복횟수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닛 크기가 A PRB 페어인 경우에는 반복횟수가 a이고, 유닛 크기가 B PRB 페어인 경우에는 반복횟수가 b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정보 비트 크기가 일정 이상인 경우에는 반복횟수가 c로 결정되고 이하인 경우에는 d로 설정될 수 있다. 이 방식은 D2D 신호의 유닛 크기가 작게 설정되었을 때 일정 코딩 레이트를 확보해주거나, 에너지 이득을 얻기 위하여 반복횟수를 늘려서 이를 보상해 주기 위함이다. 만약, 유닛 크기가 일정 이상으로 설정 되었을때는 충분히 코딩 이득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반복을 없게 설정하거나 줄여서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 D2D 신호의 유닛 크기가 고정된 경우에 정보 비트 크기가 너무 크게 되면 코딩 레이트를 충분히 확보할 수 없어서 충분한 D2D 커버리지를 확보할 수 없게 된다. 이 경우 에너지 이득을 얻거나, 유효 코딩 레이트를 낮추어 주기 위해 반복횟수를 늘릴 수 있다. 이러한 자원 크기(또는 시스템 대역폭), 또는 D2D 신호 유닛 크기나 정보 비트 크기에 따른 반복횟수(또는 유닛 크기)의 설정은 SA(Scheduling Assignment), 타입 1 디스커버리, 타입 2 디스커버리 각각 별도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일부는 네트워크에 의해 시그널링 받을 값을 사용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타입 1 디스커버리와 타입 2 디스커버리가 항상 네트워크 내에서만 동작한다고 가정하면, 이 두 D2D 신호에 대한 리소스 풀별 반복횟수(또는 유닛 크기)는 사전에 정해져 있지 않고 항상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된 값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SA의 경우에는 커버리지 밖(out of coverage)에서 D2D 커뮤니케이션 패킷을 전송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된 반복횟수(또는 유닛 크기)가 필요할 수 있으며, 이때 시스템 대역폭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반복횟수(또는 유닛 크기)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미리 설정된 반복횟수(또는 유닛 크기)는 리소스 풀의 크기(또는 시스템 대역폭)에 따라 사전에 정해져 있고, 네트워크가 반복 횟수(또는 유닛 크기)를 상위계층 신호로 지시하는 경우에는 지시된 반복횟수(또는 유닛 크기)로 설정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는 부분(partial) 네트워크 커버리지에서 PSBCH 또는 상위계층(또는 PSBCH이외의 다른 물리계층) D2D 신호 등으로 다른 단말에 의해 반복횟수를 지시 받는 경우 해당 반복횟수(또는 유닛 크기)를 사용하도록 규칙이 정해질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PUCCH 전송을 보호하기 위해 오픈 루프 전력 제어 수행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셀 가장자리 단말과 셀 중심부 단말의 디스커버리 성능이 차이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주파수 자원 영역의 제한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에 있어서, PUCCH 전송에 간섭을 줄이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써, 주파수 자원 영역을 제한할 수 있다. 기지국에 가까이 있는 단말이 PUCCH 자원 근처의 자원을 사용하여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그 신호의 인밴드 방사(특히 EVM requirement에 따라 결정되는 EVM-shoulder)으로 인하여 PUCCH 영역에 심각한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원으로 표시한 영역이 PUCCH 영역에 중첩될 경우 (useful 신호 옆의 영역이 PUCCH 자원에 중첩) PUCCH로 심각한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D2D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에 PUCCH 자원 근처의 자원이 사용될 수 없도록, 디스커버리 신호를 위한 자원 영역을 주파수 축 상에서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주파수 자원 영역의 전송 제한 (또는 사용 가능한 주파수 영역)은 기지국의 신호 세기(RSRP 또는 RSRQ)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필요한 기지국 신호 세기의 임계값 및 제한되는 전송영역(또는 사용 가능한 주파수 영역)은 사전에 상위 레이어 신호(예를 들어, RRC) 또는 물리계층 신호 (예를 들어, ((E)PDCCH 또는 SIB)로 단말에게 지시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써, 도 6을 참조하면, RSRP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단말(UE group #1)들은 리소스 풀 2를 사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제한될 수 있다. 이는, 앞서 RSRP 별로 리소스 풀이 각각 설정되는 실시예에서, 특히, 리소스 풀과 RSRP와의 매핑 관계에 대해 정의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리소스 풀을 RSRP 별로 설정하되, RSRP가 클수록 PUCCH 영역에서 멀어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도 6에서, 단말 그룹 #1과 단말 그룹 #2의 자원 사용영역이 주파수 상에서 분리되도록 설정되는 것이다. 사전에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신호 세기(RSRP 또는 RSRQ)에 따른 사용 가능한 주파수 영역은 사전에 설정되어 있거나, 상위 레이어 신호 (예를 들어, RRC) 또는 물리계층 신호 (예를 들어, ((E)PDCCH 또는 SIB)로 단말에게 지시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기지국의 신호 세기에 따른 주파수 자원영역의 구분 방법은 단말의 전송 전력에 따른 주파수 자원의 구분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송 전력이 a dBm이상(혹은 최대 송신 전력이 XdBm)인 단말은 도 6의 단말 그룹 1의 자원 영역에서 D2D 신호를 송신하고, a dBm이하(혹은 최대 송신 전력이 YdBm)인 단말은 단말 그룹 2의 자원 영역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위해서 각 자원 영역별 송신 전력 또는 송신 전력의 범위 또는 송신 전력의 범위를 나타내기 위한 송신 전력의 대표값이 사전에 정해져 있거나 물리계층 또는 상위계층 신호로 단말에게 시그널링 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주파수 영역의 분리는 명시적으로 자원영역이 변경되는 것이 아니라 전송 확률의 변화에 의해서도 구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신호 세기가 일정 임계 이상인 단말은 PUCCH영역 근처에서는 디스커버리 신호의 전송 확률을 평균 또는 사전에 설정된 값보다 일정 오프셋 (>0)을 감소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PUCCH 자원의 보호를 위해서 주파수 영역별 전송확률을 다르게 설정하여 기지국 근처에 있는 단말은 PUCCH 자원 근처의 RB에서는 거의 신호 전송을 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주파수 영역에서 RB 별 전송 확률은 기지국의 수신 신호 세기의 함수일 수 있으며, 기지국의 신호 수신 세기가 클수록 PUCCH 자원 근처 RB의 전송 확률을 낮아지고, 기지국의 신호 수신 세기가 작을수록 PUCCH 자원 근처 RB의 전송 확률을 커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주파수 영역에서 RB별 전송 확률 조절은 평균 전송 확률 대비 오프셋을 적용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오프셋 값은 기지국의 신호세기가 클수록 PUCCH 자원 근처의 RB에서는 커지고, 기지국의 신호세기가 작을수록 PUCCH 자원 근처의 RB에서는 오프셋 값이 작아지도록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예로써, 전송 확률에 대한 특정 오프셋을 사전에 단말에게 설정 (미리 설정하거나, RRC와 같은 상위계층 신호로 시그널링)하고 이 오프셋 적용 여부를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신호 세기에 따라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주파수 위치에 따라 전송 전력을 다르게 설정
상술한 주파수 자원 영역의 제한을 완화한 예시로써, RSRP가 임계값 이상이더라도 PUCCH 자원 근처의 자원을 사용하도록 허용하되, 디스커버리 전송 전력을 제한할 수도 있다. 즉, 도 6에서 단말 그룹 #1의 단말들도 리소스 풀 2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되, 리소스 풀 2에서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전송 젼력을 제한하는 것이다. 이 때, 전송 전력을 제한하는 것은 최대 전송 전력을 제한할 수도 있지만, 최소 전송전력(
Figure 112017027321670-pct00057
)을 주파수 자원별로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단말 그룹 #2의 단말들은 PUCCH 자원 영역 근처에서는 일정 임계 이하의 전력으로만 전송하도록 설정되거나 PUCCH영역 근처에서는
Figure 112017027321670-pct00058
가 다른 영역보다 더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주파수 영역별 최대 전송전력은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신호 세기에 따른 함수로 정의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신호 세기가 클수록 PUCCH영역 근처에서의 최대 전송 전력은 작게 설정되고,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신호세기가 작을수록 PUCCH영역 근처에서의 최대 전송 전력은 크게 설정될 수 있다.
PUCCH 전력 제어
상술한 설명들은,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과 PUCCH 전송의 관계에서, 특히 디스커버리 신호에 대한 제약(예를 들어, 리소스 풀의 선택, 주파수 영역의 결정, 전송 전력 제어 등)에 대한 방법들이다. 이와 달리, PUCCH 전력 제어의 측면에서 간섭 완화라는 목적을 달성할 수도 있다. 즉, 디스커버리 신호가 전송될 것으로 예상되는 영역에서는 PUCCH 전력 제어를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과 관계 없는 서브프레임에서의 전력 제어와 달리 설정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디스커버리 신호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서 PUCCH 전송에 사용되는 전송 전력은, 디스커버리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서브프레임에서 PUCCH 전송에 사용되는 전송 전력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PUCCH 전력 제어는 다음 수학식 5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위는 dBm이다.
Figure 112017027321670-pct00059
Figure 112017027321670-pct00060
값은 상위 레이어로 지시 되는 값이다. 본 발명에서는 디스커버리 신호가 전송되는 SF에서는 다른 전송 전력을 사용하도록 별도의
Figure 112017027321670-pct00061
를 상위 레이어 신호(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로 지시될 수 있다. 여기서
Figure 112017027321670-pct00062
Figure 112017027321670-pct00063
Figure 112017027321670-pct00064
로 분리 될 수 있는데 디스커버리 신호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서 PUCCH를 전송하는 단말들에게만 전력을 부스팅하도록
Figure 112017027321670-pct00065
만 별도의 상위 레이어 신호(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로 지시될 수 있다. 또는 다른 구현방식으로 기존
Figure 112017027321670-pct00066
에 소정의 오프셋을 적용되고 이 오프셋이 상위 레이어 신호로 지시될 수 있다. 상기 수학식에서, 기타 각 변수들에 대한 설명은 앞서 기술된 상향링크 전력 제어 부분에 기술되어 있는 것으로 대체한다.
이와 같이 PUCCH 전송 전력을 부스팅함으로써, 디스커버리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의 특수성을 반영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디스커버리 신호가 RRC 유휴 모드 단말이 전송할 수 있다면,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은 TA(timing advance)를 알 수 없어서 기존 상향링크신호의 전송 타이밍과 다른 타이밍에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이는 기지국에서 기존 상향링크신호와의 직교성을 잃게 만드는 요인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스커버리 신호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서는 ICI로 인해 높은 간섭이 관찰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PUCCH 전송 전력을 부스팅시킴으로써, 안정적 PUCCH 전송을 구현할 수 있다.
SRS 전력 제어
같은 맥락에서 SRS의 전력 또한 디스커버리 신호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서는 기존 동작보다 부스팅될 수 있다. 디스커버리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서 SRS가 전송될 경우 다른 서브프레임보다 높은 간섭을 겪을수 있으므로, 해당 서브프레임에서는 높은 전력으로 SRS를 송신하도록 네트워크가 지시할 수 있다. 기존 SRS 전력 제어는 다음 수학식 6과 같다.단위는 dBm이다.
Figure 112017027321670-pct00067
Figure 112017027321670-pct00068
는 상위 레이어에 의해 지시되는 값이다. 디스커버리 신호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서 SRS를 전송할 경우 디스커버리 신호가 전송되지 않은 서브프레임에서와 다른 값이 네트워크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이 값은 상위 레이어 신호(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에 의해 단말에게 지시될 수 있다. 여기서
Figure 112017027321670-pct00069
Figure 112017027321670-pct00070
으로 분리되어 지시되는데, 디스커버리 신호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서 SRS를 전송하는 단말에게만 SRS 전력 부스팅을 적용하기 위하여,
Figure 112017027321670-pct00071
만 별도의 상위 레이어 신호로 단말에게 시그널링 될 수 있다. 또한 디스커버리 신호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서 SRS를 전송할 경우
Figure 112017027321670-pct00072
도 별도의 상위 레이어 신호(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로 지시될 수 있다.
상술한 PUCCH, SRS 전력 제어 기법은 디스커버리 신호가 전송되는 것을 가정하고 전송 전력을 추가로 인가하는 것인데, 만약 디스커버리 신호가 거의 전송되지 않는 경우에는 불필요한 동작이거나, 오히려 PUCCH, SRS의 전력 부스팅에 의하여 디스커버리 신호 수신 품질이 심각하게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PUCCH 및/또는 SRS 전력 부스팅 동작은 디스커버리 신호가 일정 임계값 이상으로 관찰되는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UCCH나 SRS를 전송하는 단말은 전송 전에 일정 윈도우 동안 디스커버리 신호를 관찰(예를 들면 디스커버리 신호가 전송되는 영역에서 (또는 PUSCH영역에서) 에너지 센싱을 수행)하고, 일정 임계 이상의 신호 또는 수신전력이 관찰되는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수행되도록 사전에 정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D2D 신호(예를 들어, 디스커버리 신호)와 PUCCH 신호 상호간에 간섭을 줄이기 위한 방법들은 하나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신호 세기에 따라 디스커버리 리소스 풀을 선택하되, 디스커버리 신호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서 PUCCH 전송시 전송 전력은 디스커버리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서브프레임에서의 전송 전력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기지국의 신호 세기에 따른 전력 제어와 자원 구분 방식(RSRP 별 리소스 풀 설정, 주파수 자원 영역의 제한 등)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언급한 방식은 CP 길이의 설정 유무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만약 셀룰러 신호와 디스커버리 신호가 같은 CP를 설정한 경우에는 인밴드 방사에 의한 영향을 고려하지만, 서로 다른 CP를 설정한 경우에는 인밴드 방사뿐만 아니라 직교성이 유지 되지 않음에 따른 ICI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WAN(wide-area network, 예를 들어, 셀룰러) 신호와 디스커버리 신호의 CP 길이가 같은 경우에는 상술한 주파수 사용 영역의 제한만 사용되지만 다른 경우에는 상술한 주파수 사용 영역의 제한과 PUCCH 전력 제어, SRS 전력 제어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안된 방식은 디스커버리 신호의 전송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D2D 커뮤니케이션 신호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스케줄링 할당, 혹은 D2D 동기 신호가 전송될 때에 제안된 방법 중 일부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동기 신호의 전송 전력에 관련된 실시예는 후술한다.) 여기서 스케줄링 할당이란 D2D 커뮤니케이션 패킷송신 전에 D2D 커뮤니케이션 패킷의 전송 자원 위치, ID등을 포함한 제어신호를 지칭한다. 또한 전력 제어부분은 D2D전송 신호가 달라질 경우 같은 전력 제어 파라미터가 사용되거나, 신호마다 다른 별도의 파라미터가 (예를 들어 P0, alpha, power 오프셋 등등) 설정/시그널링될 수 있다.
상기 제안한 방식은 D2D 신호에 따라 다른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2D 커뮤니케이션 신호 중 기지국의 제어 하에 동작하는 모드의 전송에는 폐루프(losed-loop) 전력 제어를 사용하겠지만, D2D 커뮤니케이션 신호중 기지국의 개별적 제어가 없는 상황에서 동작하는 모드의 경우에는 상기 제안한 방식 중 일부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D2D 동기 신호의 전송 전력에 관련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D2D 링크는 사이드링크(sidelink)와 동일한 의미이며, 따라서 D2D 동기신호는 사이드링크 동기신호로 불릴 수 있다. 같은 맥락에서 프라이머리 D2D 동기 신호는 PSSS(Primary 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 세컨더리 D2D 동기 신호는 SSSS(Secondary 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로 불릴 수 있다.
이하의 설명은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기 신호에 관련된 서브프레임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8(a)에는 PSSS, SSSS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서 PSBCH가 전송되는 경우(즉, 동기 신호와 PSBCH가 멀티플렉싱된 경우), 도 8(b)에는 PSSS, SSSS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서 PSBCH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즉, 동기 신호와 PSBCH가 멀티플렉싱되지 않은 경우), 각 심볼과 신호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8(a)는 커뮤니케이션의 경우 사용되는 서브프레임 구조이고, 도 8(b)는 디스커버리에서 사용되는 서브프레임 구조일 수 있다. 도 9 (a), (b)에는 각각 노멀 CP, 확장 CP에서 동기 신호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의 상세 구조가 예시되어 있다. 특히, 도 9에는 동기 신호와 PSBCH가 멀티플렉싱된 경우만 예시되어 있으며, 도시된 PSBCH 전송 RE 이외의 부분은 동기 신호와 PSBCH가 멀티플렉싱되지 않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동기 신호에 관련된 전송 전력 설정 및 전력 매스크
도 10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력 매스크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단말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전력 매스크를 만족시키면서 D2D 동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아래 설명되는 방식의 전체 또는 일부는 PSDCH(Physical sidelink discovery channel), PSCCH(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의 전송 전력 마스크 설정에도 사용될 수 있다. 기존 PUSCH/PUCCH/SRS전송에서 전송 전력 마스크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i) PUSCH/PUCCH/SRS에 인접한 심볼 또는 서브프레임에 다른 신호가 인접한 경우 40us의 과도 구간을 설정, ii) PUSCH/PUCCH/SRS에 인접한 심볼 또는 서브프레임에 아무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에는 20us의 과도 구간을 설정, iii) 전송되는 심볼의 중요도가 높을수록 과도 구간은 중요도가 높은 심볼 밖으로 배치될 수 있다. 중요도는 SRS>PUCCH/PUSCH 순서이다. 예를 들어, SRS가 PUSCH와 같은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될 때, 과도 구간은 SRS 심볼 밖에 배치하고, SRS앞쪽에 40us, SRS 뒤쪽에는, 뒤쪽에 심볼이 전송되는 경우에는 40us, 아무 심볼이 전송되지 않는 경우에는 20us의 과도 구간을 배치한다. iv) 중요도가 동등한 신호가 인접하고 각 신호의 전송 전력이 상이한 경우에는 각 심볼에 20us씩 과도 구간을 설정한다.
도 10(a)에는 D2DSS가 전송되는 심볼에 과도 구간(transient period)를 포함되지 않도록 설정된 전력 매스크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동기 신호가 전송되는 동안에는 전력 과도가 발생하지 않도록 설정하여, 시퀀스 검출시 ICI (inter-carrier interference)가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과도 구간의 크기/길이는 상용 LTE 단말의 최대 과도 구간인 20us일 수 있는데, 이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일례로 비면허대역에서 D2DSS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더 짧은 과도구간(예를 들어, 10us/5us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이는 비면허대역의 스펙트럼 매스크 제약 조건이 면허대역보다 느슨하기 때문에 필터링에 사용되는 시간구간이 줄어들어서 과도구간을 짧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과도 구간의 크기는 동기 신호가 전송되는 심볼의 인접 심볼에서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기 신호가 전송되는 심볼의 옆 심볼에 RS(예를 들어, DMRS)가 전송되는 경우에만 과도 구간의 길이가 20us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만약 특정 RS에 과도 구간을 배치할 경우 해당 심볼은 ICI를 겪게 되어 성능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0(b)에는 D2D 동기 신호가 전송되는 두 심볼 중 앞선 심볼이 전력 과도 구간을 포함하도록 전력 마스크를 설정한 예이다. 이 예시는 D2D 동기 신호의 앞쪽 심볼에 더 큰 중요도로 보호해야 할 심볼(예를 들어, WAN PUSCH, PUCCH, SRS, DMRS 등)이 전송되는 경우 유용할 수 있다.
도 10(c)에는 도 10(b)의 경우와 달리 D2D 동기 신호가 전송되는 두 심볼 중 두 번째 심볼이 과도 구간을 포함하는 경우의 예시이다. 그리고 도 10(d)는 D2D 동기 신호가 전송되는 두 심볼이 모두 과도 구간을 포함하는 경우의 예시이다.
도 10에서 D2DSS는 PSSS 또는 SSSS 중 하나일 수 있으며, 도 10에 도시된 각 예시의 전력 매스크는 PSSS, SSSS에 공통적으로 또는 조합된 형태로써 적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10의 각 예 중 어느 하나의 전력 매스크 방식이 PSSS, SSSS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고, 또는 PSSS에 적용되는 매스크와 SSSS에 적용되는 매스크가 상이할 수도 있다. 도 11에는 PSSS에는 도 10(b)의 매스크가, SSSS에는 도 10(c)의 매스크가 적용된 경우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계속해서, 도 12에는 PSSS와 SSSS가 연속되어 전송되며, 전송 전력 크기가 상이한 경우의 전력 매스크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는 SSSS의 PAPR등의 문제로 인하여 전력 백오프를 수행한 경우를 위한 것일 수 있다. PSSS와 SSSS를 연속하여 전송하는 경우, PSSS나 SSSS 둘 중 하나에만 전력 과도 구간이 포함되거나 또는 PSSS나 SSSS 양자 모두 과도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PSSS나 SSSS 둘 중 하나에만 전력 과도 구간이 포함되게 함으로써 하나의 D2DSS만 왜곡(distortion)을 겪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SSS 부분에만 전력 과도 구간을 둘 수 있다. (도 12에서 과도 구간 b만 설정) 이 경우에는 PSSS는 ICI 없이 온전히 검출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SSSS는 전력 과도로 인한 ICI를 겪게 될 수 있다. SSSS에서는 이미 전력 백오프를 설정하여 PSSS보다 SNR에서 불리함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두 심볼 사이의 과도 구간은 PSSS에만 두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도 12에서 a만 과도 구간으로 설정) 과도 구간을 PSSS 심볼 영역 내에 두는 방법은 PSSS와 SSSS의 송신 전력 차이가 일정 임계치 이상 (SSSS의 전력 백오프크기가 일정 임계 이상)인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여기서 D2DSS 사이의 과도 구간의 크기 (a 그리고/또는 b)는 D2DSS 심볼 앞과 뒤의 과도 구간의 길이와 같을 수도 있고, 더 작은 값이 설정될 수도 있다. 이는 D2DSS 심볼 사이의 전송 전력 차이는 그리 크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과도 구간의 크기를 짧게 설정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상술한 D2DSS의 전력 마스크를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D2DSS와 멀티플렉싱되는 채널의 전송 전력이 같은 경우 및/또는 전력 제어 파라미터가 같은 경우 및/또는 D2DSS와 멀티플렉싱되는 채널의 주파수 리소스도 같을 경우, D2DSS와 멀티플렉싱되는 채널의 경계에서는 별도의 전력 마스크가 없이 하나의 마스크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2DSS(PSSS)와 PSBCH가 같은 전력 또는 같은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특정 SF에서 전송하도록 설정된 경우, 및/또는 D2DSS와 PSBCH가 사용하는 주파수 리소스도 같은 경우, D2DSS와 PSBCH 사이에 별도의 마스크를 둘 필요가 없으며, D2DSS와 PSBCH는 하나의 마스크를 적용하여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멀티플렉싱되는 채널의 유무에 따라 전력 마스크가 상이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PSBCH와 D2DSS가 동시에 전송되는 경우에는 SSSS와 DMRS가 바로 옆심볼에서 전송되는데, SSSS는 앞서 설명했듯이 PAPR이 높아서 전력 백오프가 적용될 수 있다. 이때 과도 구간을 설정해야 하는데, SSSS의 첫 번째 심볼 구간에 (40us) 과도 구간을 배치할 수도 있고, DMRS와 SSSS 심볼에 각각 과도 구간 (20us)를 설정할 수도 있다. 또는 과도 구간 (40us)을 DMRS에 배치시킬 수도 있다. SSSS 뒤쪽에는 항상 갭으로 아무 심볼이 전송되지 않기 때문에 20us의 과도 구간이 설정될 수 있다.
확장 CP의 경우에는 첫 심볼에 PSSS가 전송되므로, 동기 신호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의 앞 서브프레임에 어떤 신호가 전송되느냐에 따라 과도 구간 설정 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 앞 서브프레임에는 PUSCH/PUCCH, SRS, D2D 신호가 전송되거나 또는 아무 신호도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D2D 신호는 다시 DL 타이밍으로 전송되는 D2D 신호와 UL 타이밍으로 전송되는 D2D 신호로 세분화 될 수 있다. 확장 CP의 경우에도 PSSS의 검출을 보장하게 하기 위하여, 도 10(a)와 같이 PSSS 전송 심볼의 앞쪽에 과도 구간을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eNB는 D2DSS 앞 서브프레임에는 셀 특정 SRS 등을 구성하여 마지막 심볼이 nulling되게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D2DSS 서브프레임 전송 바로 앞 심볼은 항상 비워져 있기 때문에 과도 구간은 항상 20us가 설정될 수 있다. 그렇지 않는 경우에는 TA의 크기에 따라 과도 구간의 크기가 설정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방법은 후술한다.
과도 구간을 도 10(b)와 같이 PSSS 심볼 안쪽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 만약 이전 서브프레임에 D2D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에는 과도 구간(20us)을 PSSS 심볼 앞에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앞 서브프레임에 PUSCH/PUCCH나 SRS가 전송될 경우 기존 셀룰러 신호 전송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TA의 크기에 따라 과도 구간의 위치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D2DSS는 DL 타이밍으로 전송하고, PUSCH/PUCCH나 SRS는 UL 타이밍으로 전송하기 때문에 TA의 크기에 따라 앞 서브프레임에 신호가 전송됨에도 갭이 발생되어 PSSS 바로 앞에 일부 구간 동안 아무 신호가 전송되지 않을 수 있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TA가 X us이상 (or 초과, 예를 들어, X는 20us 또는 40us일 수 있음)인 경우에는 과도 구간(20us)을 PSSS 심볼 앞으로 배치하고, TA가 X us미만 (or 이하)인 경우에는 PSSS 심볼 안에 과도 구간(또는 40us 또는 40us에서 TA를 뺀 길이만큼 또는 20us 또는 20us에서 TA를 뺀 길이만큼으로 설정될 수 있음)을 배치할 수 있다. 도 13(a)와 13(b)는 TA크기에 따라 과도 구간 설정이 달라지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또 다른 예로써, TA 크기에 따라 전력 마스크를 3가지로 구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TA가 X1 us미만인 경우에는 도 13(a)와 같이 과도 구간을 PSSS안으로 배치하는 전력 마스크를 사용하되, 과도 구간을 40us 또는 40us에서 TA 길이를 뺀크기로 설정하고, TA가 X1이상 X2미만인 경우에는 도 13(a)와 같이 과도 구간을 PSSS안으로 배치하는 전력 마스크를 사용하되, 과도 구간을 20us로 설정하고, TA가 X2이상인 경우에는 도 13(b)와 같이 과도 구간을 PSSS 심볼 밖으로 배치하는 전력 마스크를 사용하면서 과도 구간은 20us를 설정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SRS가 D2DSS 앞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경우에는 과도 구간을 항상 PSSS 내부로 설정하고, PUSCH/PUCCH/D2D가 전송되는 경우에는 과도 구간을 항상 PSSS 밖으로 배치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PUSCH/PUCCH/D2D의 경우에는 코드워드 전송이어서 일부 심볼에 과도 구간이 발생하더라도 성능저하가 크지 않을 수 있지만, SRS의 경우에는 시퀀스 검출성능을 보장하기 위해 과도 구간이 SRS 전송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이때 PUSCH/PUCCH의 경우에는 TA의 크기에 따라 과도 구간의 크기가 20us 또는 40us중에서 하나로 결정될 수 있고, D2D의 경우에는 항상 마지막 심볼이 펑처링되기 때문에 20us의 과도 구간이 설정될 수 있다.
D2DSS 앞에 신호가 전송된다면, 항상 PSSS 내부에 20us의 과도 구간이 존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만, 기존 SRS 전력 마스크는 SRS 심볼 밖에 과도 구간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SRS는 이 방법에서 제외될 수 있다. SRS가 전송되는 경우에는 위 설명된 방법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D2D 동기 신호 전송과 이에 적용되는 매스크에 대해 설명한다. 앞서 설명된 내용 및 이하에서 설명된 매스크는 도 14에 예시된 바와 같이 WAN 송신을 D2D 송신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송진 장치와 수신 장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D2D 단말 장치(의 프로세서)가 PSSS, SSSS를 생성 및 전송할 때, 또는 PSSS, SSSS를 생성 및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PSSS 및 SSSS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서 PSBCH가 전송되고(즉, 동기 신호와 PSBCH가 멀티플렉싱되는 경우), 노멀 CP인 경우(도 15(a)), PSSS 및 PSBCH ON power는, PSSS 및 SSSS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서 과도 구간(transient period)이 제외된 구간의 평균 전력이며, PSSS 및 PSBCH ON power를 위한 구간의 시작의 과도 구간은, PSSS가 전송되는 OFDM 심볼과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 PSSS 및 PSBCH ON power를 위한 구간의 시작의 과도 구간은 PSSS가 전송되는 OFDM 심볼의 앞 심볼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PSSS 및 PSBCH ON power를 위한 구간의 시작의 과도 구간은 PSSS가 전송되는 OFDM 심볼의 앞 심볼의 시작 부분에서 시작될 수 있다. PSSS 및 PSBCH ON power를 위한 구간의 시작의 과도 구간의 길이는 20us로 설정될 수 있다. PSSS 및 PSBCH ON power를 위한 구간의 끝의 과도 구간은 SSSS가 전송되는 OFDM 심볼과 중첩될 수 있다. 이 과도구간은 SSSS가 PSSS/PSBCH와 상이한 전송 전력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SSSS앞에는 PSBCH의 DMRS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DMRS를 보호하기 위해서 과도구간을 SSSS심볼안으로 배치하는 것이다. 특히 D2D synchronization signal의 수신 quality를 측정할때, PSBCH의 DMRS수신 전력을 측정하기 때문에, PSBCH의 DMRS는 온전히 보호되어야 한다. PSSS 및 PSBCH ON power를 위한 구간의 끝의 과도 구간의 길이는 40us로 설정될 수 있다. SSSS의 ON power를 위한 구간의 끝의 과도 구간은 SSSS가 전송되는 두 번째 OFDM 심볼의 다음 번 OFDM 심볼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다음 번 OFDM 심볼은 도시된 바와 같은 가드 구간(guard period)를 생성하기 위해 펑처링된 것일 수 있다. 과도 구간의 길이는 20us일 수 있다.
도 15(b)는 확장 CP의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PSSS 및 SSSS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서 PSBCH가 전송되고, 확장 CP인 경우, PSSS 및 PSBCH ON power는, PSSS 및 SSSS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서 과도 구간(transient period)이 제외된 구간의 평균 전력이며, PSSS 및 PSBCH ON power를 위한 구간의 시작의 과도 구간은, PSSS가 전송되는 OFDM 심볼과 중첩될 수 있다. PSSS 및 PSBCH ON power를 위한 구간의 시작의 과도 구간은 PSSS가 전송되는 OFDM 심볼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앞선 서브프레임에서 셀룰러 신호가 전송될 경우 과도구간이 PSSS 밖에 배치될 경우 간섭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셀룰러 신호의 보호를 위해서 과도구간을 PSSS첫번째 심볼에 배치하는 것이다. 이외, PSSS 및 PSBCH ON power를 위한 구간의 끝의 과도 구간, SSSS에 관련된 과도 구간에 대한 설명은 도 15(a)에 대한 설명과 같다.
도 16을 참조하면, PSSS 및 SSSS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서 PSBCH가 전송되지 않고(즉, 동기 신호와 PSBCH가 멀티플렉싱되지 않는 경우), 노멀 CP인 경우, PSSS ON power를 위한 구간의 시작의 과도 구간은, PSSS가 전송되는 OFDM 심볼과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PSSS 및 SSSS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서 PSBCH가 전송되지 않고, 확장 CP인 경우, PSSS ON power를 위한 구간의 시작의 과도 구간은, PSSS가 전송되는 OFDM 심볼과 중첩될 수 있다. PSSS 및 SSSS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서 PSBCH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 SSSS의 ON power를 위한 구간의 시작의 과도 구간은, CP 길이에 무관하게 SSSS가 전송되는 OFDM 심볼과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PSBCH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에는 SSSS주변에는 아무런 신호가 전송되지 않기 때문에 과도구간을 모두 SSSS심볼 밖으로 배치하는 것이며, 도 17에 그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PSDCH/PSCCH/PSSCH 타임 매스크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PSBCH와 PSSS의 전송 전력의 관계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시스템 및 동기 관련 정보가 전송되는 채널인 PSBCH와 PSSS가 동일한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경우, 즉 PSBCH와 PSSS가 시간 도메인에서 멀티플렉싱되는 경우(달리 말해, 한 서브프레임에서 PSBCH와 D2DSS가 함께 전송되는 경우), PSSS의 전송 전력과 PSBCH의 전송 전력과 동일할 수 있다. 이후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이는 한 서브프레임내에서 여러 종류의 신호가 전송될때, 전력 차이를 없게 하여, 전력 과도 구간을 없게 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전력을 같게 설정함으로써, 한 서브프레임 내의 신호사이에는 별도의 전력 과도 구간을 배치하지 않아서, 과도구간발생으로 인한 신호 왜곡을 없앨 수 있다. 즉, PSSS의 전송 전력은, 하나의 OFDM 심볼 상에서 상기 PSSS가 매핑되는 RE의 개수(62)와 하나의 OFDM 심볼 상에서 상기 시스템 및 동기 관련 정보가 매핑되는 RE의 개수(72) 차이를 고려하여 결정된 것일 수 있다. PSSS와 PSBCH는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체 대역폭의 한가운데 6RB 상에서 전송되는 것일 수 있다. 물론, 상기 서브프레임에서는 참조 신호 및 SSSS도 함께 전송될 수 있다. 나아가, PSBCH 참조 신호의 전송 전력과 PBSCH 데이터 심볼의 전송 전력도 동일할 수 있다.
한편 PSSS와 SSSS는 PAPR로 인하여 서로 다른 전송 전력으로 전송될 수 있는데, 이때 전송 전력이 다르다는 것의 의미는 주파수 영역에서 PSD(Power spectrum density)가 다르다는 것의 의미일 수도 있고, 시간 영역에서 전송 전력이 다르게 설정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SSSS의 전력 백오프 값은 PSD를 기준으로 백오프 값이 적용될 수도 있고, 심볼별 전송전력을 기준으로 백오프 값이 적용될 수도 있다. 앞서 언급한 D2DSS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서 D2DSS와 PSBCH의 전송 전력을 같게 설정한다는 것은 시간영역에서 같은 전송전력으로 전송한다는 의미일 수도 있고, 주파수 영역의 PSD가 같도록 설정된다는 의미일 수도 있다. D2DSS는 가운데 6RB에서 가장자리 일부 subcarrier (RE)가 guard RE로서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D2DSS와 PSBCH의 PSD가 같다고 하더라도 시간영역에서 송신 전력은 차이날 수 있다. PSBCH의 전송 전력은 PSSS와 같게 설정되고 SSSS는 시퀀스의 PAPR에 따라서 백오프를 적용할 수 (또는 SSSS에는 항상 소정 값의 백오프를 적용) 있는데, 이때 PSSS와 PSBCH의 전송전력이 같다는 의미는 PSD가 같다는 의미일 수도 있고, 심볼에 인가되는 전력이 같다는 의미일 수도 있다. PSD가 같은 경우에는 D2DSS와 PSBCH의 사용하는 RE개수가 다르므로, 실질적으로 PSSS와 PSBCH의 송신 전력이 차이가 나서 과도 구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D2DSS 심볼이 연접한 심볼과 상이한 전송 전력을 설정하게 되는 경우 과도 구간의 배치 방법은 상술한 방법중 하나를 따를 수 있다.
한편 D2DSS 심볼과 DMRS 심볼이 연접하는 경우에는 PSBCH의 DMRS는 PSBCH와 같은 송신전력으로 전송되는 것이 아니라, 연접한 D2DSS와 같은 전송 전력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이때 송신전력이 같다는 의미는 PSD가 같다는 것일 수도 있고, 시간 도메인에서 송신 전력이 같다는 의미일 수도 있다. DMRS의 송신 전력을 D2DSS와 같게 설정하는 이유는 두 연접한 RS사이에 전력 과도 구간을 없애서 ICI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만약 DMRS와 PSBCH사이에 상이한 송신전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DMRS와 PSBCH의 전력 과도 구간은 PSBCH심볼 구간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리하면, 같은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D2DSS와 PSBCH는 같은 전송전력으로 전송할 수 있고, 이때 SSSS는 예외적으로 전력 백오프가 적용될 수 있다. D2DSS와 PSBCH가 같은 전송전력으로 전송하는 것의 의미는 주파수 영역에서 PSD가 같게 설정되는 것일 수도 있고, 시간 영역에서 심볼에 인가되는 전력이 같은 것일 수도 있다. PSBCH의 DMRS는 PSBCH와 같은 전송 전력으로 전송될 수도 있고, 연접한 D2DSS와 같은 전송 전력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한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두 DMRS 심볼은 PSSS와 같은 전송전력으로 전송될 수도 있고, 첫 번째 DMRS 심볼은 PSSS와 같은 전송 전력으로, 두 번째 DMRS 심볼은 SSSS와 같은 전송 전력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여기서 전송전력이 같다는 의미는 PSD가 같은 것일 수도 있고, 시간 영역에서 심볼에 인가되는 전송전력이 같다는 의미일 수도 있다. 한 서브프레임내에서 전력과도 구간을 발생시키지 않기 위해서는 시간 영역에서 서로 다른 신호간에 전송 전력이 같다는 것이 바람직하겠고, 이때, PSSS/SSSS와 PSBCH는 사용하는 RE개수가 차이 나기 때문에 (PSBCH는 72개 RE사용, PSSS/SSSS는 62개 RE사용), PSSS/SSSS를 전송할 때 sqrt(72/62)를 곱하여 시간 영역에서 전송 전력을 같게 만드는 것이다.
D2DSS 전송 전력의 설정
D2DSS는 고정 전송 전력으로 송신될 수 있다. 이때 디스커버리와 커뮤니케이션은 D2DSS의 전송 전력이 별도로 설정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전송 전력이 특정 값으로 고정되거나 네트워크에 의해 물리계층 또는 상위계층 신호로 시그널링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2D UE는 D2DSS를 단말의 최대 전송 전력으로 전송하도록 네트워크에 의해 물리계층 또는 상위계층 신호로 시그널링 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OLPC가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커뮤니케이션의 D2DSS와 디스커버리의 D2DSS는 OLPC 파라미터가 별도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커뮤니케이션 모드 1과 모드 2의 D2DSS (그리고/또는 타입 1과 타입 2 디스커버리의 D2DSS) 각기 별도의 OLPC 파라미터가 설정될 수 있다. 이는 모드 1은 DCI에 의해 TPC를 제어를 받을 수도 있고, 모드 1과 모드 2의 타이밍이 서로 상이하여 WAN으로의 간섭이 상이하여 D2D 데이터 패킷의 OLPC 파라미터가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각 D2D 신호에 여러 개의 리소스 풀이 할당될 경우 리소스 풀 별로 D2DSS의 OLPC 파라미터 또는 전송 전력이 별도로 설정될 수 있다.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하여 D2DSS의 OLPC 파라미터 (alpha, P0)는 모드 1과 모드 2의 D2D 패킷 전송에 설정된 파라미터와 전체가 같거나, 일부 파라미터는 D2D 패킷 전송에 설정된 (모드 1 or 모드 2 커뮤니케이션을 위하여 설정된) 파라미터에 소정의 오프셋을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오프셋은 사전에 설정되거나 (예를 들어 out coverage), 네트워크에 의해 물리계층 또는 상위계층 신호로 시그널링 (in network coverage)될 수 있다. 모드 1의 경우에 DCI를 통해 TPC 명령이 수신될 경우 D2DSS 또한 TPC 명령을 적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 오프셋은 PSSS와 SSSS에 상이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SSS의 PAPR이 PSSS에 비해 현저히 높은 경우에는 전력 백오프를 시켜서 PAPR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PSSS와 SSSS의 전송 전력이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이는 D2D 패킷에 설정된 OLPC에서 소정의 오프셋을 인가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특정 오퍼레이터가 설치한 셀룰러 네트워크에서는 디스커버리와 커뮤니케이션을 모두 지원할 수도 있고 둘 중 하나만 지원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커버리와 커뮤니케이션에서는 특정 모드 또는 타입만 지원할 수도 있다. 만약 네트워크가 특정 D2D통신만 지원하는 경우에는 D2DSS의 OLPC 파라미터는 네트워크가 지원하는 D2D 신호의 OLPC 파라미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가 타입 1 디스커버리를 지원할 경우 D2DSS의 OLPC 파라미터는 타입 1 디스커버리에 설정된 OLPC 파라미터를 사용하거나, 소정의 오프셋을 설정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때 OLPC 파라미터 오프셋은 alpha, P0 모두에게 별도의 오프셋이 설정될 수도 있고, 둘 중 하나에만 소정의 오프셋이 설정될 수도 있다. 이때 특정 D2D 신호에는 다수개의 리소스 풀이 구성될 수 있고, 각 리소스 풀 별로 OLPC 파라미터가 별도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특정 D2D 신호 풀의 OLPC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D2DSS를 전송하도록 사전에 정해져 있거나, 네트워크가 물리계층 또는 상위계층 신호로 어떤 풀의 OLPC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D2DSS를 전송할 것인지를 UE에게 시그널링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입 1 디스커버리의 OLPC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D2DSS를 전송하는 UE는 첫번째 타입 1 디스커버리 리소스 풀의 OLPC 파라미터를 사용하도록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네트워크는 어떤 D2D 신호 (커뮤니케이션 모드 1 or 2 or 디스커버리 타입 1 or 2)의 OLPC 파라미터를 따를 것인지만 시그널링 하면 되며, 시그널링을 줄이기 위해 어떤 D2D 신호의 OLPC 파라미터를 따를 것인지도 사전에 정해져 있을 수 있다. 즉 이 경우에는 어떠한 시그널링 없이 UE는 항상 특정 D2D 신호의 특정 풀에 대한 OLPC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D2DSS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특정 오퍼레이터가 설치한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디스커버리와 커뮤니케이션을 모두 지원한다고 할지라도, 특정 UE관점에서는 디스커버리나 커뮤니케이션중 하나의 신호만 전송하고 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 UE는 자신이 전송하는 D2D 신호의 OLPC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D2DSS 송신 전력을 설정하는 것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 타입 1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UE는 타입 1 디스커버리의 OLPC 파라미터를 사용 또는 소정의 오프셋을 적용하여 D2DSS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풀이 여러 개 있을 경우에는 어떤 D2D 신호에서 어떤 풀의 파라미터를 사용할 것인지를 사전에 정해져 있거나, 네트워크의 물리계층 또는 상위계층 신호로 시그널링 될 수 있다.
한편 특정 UE는 디스커버리와 커뮤니케이션신호를 모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UE가 전송하는 D2D 신호에 가까운 D2DSS는 전송하는 D2D 신호의 OLPC 파라미터를 사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 디스커버리의 주기는 커뮤니케이션에 비해 매우 길 수 있다. 따라서 일상적으로 D2DSS 전송은 커뮤니케이션에 설정된 OLPC 파라미터를 따르다가, 디스커버리 전송 리소스 풀 시작 이전의 T (T는 0일 수도 있음, 이 경우는 리소스 풀 내에 전송하는 D2DSS만 해당 리소스 풀의 OLPC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전송함)개의 D2DSS는 디스커버리의 OLPC 파라미터를 따르게 전송하고, 디스커버리 전송리소스 풀이 끝나고 나면 다시 커뮤니케이션의 OLPC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D2DSS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T는 사전에 설정된 값이거나, 네트워크에 의해 물리계층 또는 상위계층 신호로 시그널링 된 값일 수 있다.
만약 특정 UE가 커뮤니케이션 모드 1/2를 모두 전송하고, 또는 디스커버리일지라도 타입 1/2를 모두 전송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자신이 전송하는 D2D 신호 근처의 D2DSS전송은 해당 신호의 OLPC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여러 개의 D2D 신호 풀이 존재한다면, 실제 D2D 신호를 전송하는 풀의 OLPC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특정 UE가 여러 D2D 신호를 전송하게 될 경우에는 항상 eNB가 지시한 특정 D2D 신호 또는특정 D2D 신호의 특정 리소스 풀에 할당된 (OLPC) 전송 전력 파라미터를 따르도록 규칙이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드 1과 타입 1 디스커버리를 전송하는 UE는 항상 모드 1의 OLPC 파라미터 또는 TPC command를 따라 D2DSS의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이는 eNB의 지시에 의한 전송 전력 설정을 가장 우선시 하기 위함이다.
한편, PSBCH가, D2DSS는 PSBCH에 설정된 전송 전력 또는 OLPC 파라미터에서 소정의 오프셋을 적용한 값을 사용하여 전송 전력을 설정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반대로 D2DSS의 전송 전력 또는 OLPC 파라미터를 네트워크가 설정한 다음, PSBCH 전송 전력을 설정할 때 소정의 오프셋을 적용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방식은 D2DSS와 PSBCH 전송 전력설정을 위한 네트워크의 상위계층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경감하기 위한 방법이다. 하지만 D2DSS와 PSBCH의 전송 전력에 유연성(flexibility)을 갖게 하기 위하여 별도의 전송 전력이 설정되거나, 별도의 OLPC 파라미터가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D2DSS가 PSBCH와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멀티플렉싱되는 경우 PSBCH에 설정된 송신 전력 또는 PSBCH를 위해 설정된 OLPC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것은 한 UE가 SF내에서 전력을 크게 바꾸지 않도록 설정하여 전력 앰프의 과도 구간을 없애거나 최소화하여 ICI발생을 줄이기 위함이다.
또는, D2DSS가 다른 D2D 또는 WAN 채널 (그리고/또는 시그널)과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멀티플렉싱되는 경우, 멀티플렉싱되는 D2D 채널 또는 WAN 채널의 송신 전력 또는 멀티플렉싱되는 채널의 OLPC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 방법은 D2DSS가 다른 D2D 채널과 멀티플렉싱될 때 심볼 단위에서 송신 전력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D2DSS가 SA와 같은 SF에서 전송될 경우에는 D2DSS는 SA의 전송 전력 또는 SA의 OLPC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는, D2DSS가 다른 D2D 또는 WAN 채널 (그리고/또는 시그널)과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멀티플렉싱되는 경우 멀티플렉싱되는 채널에 관계없이 D2DSS를 위해 설정된 전송 전력 또는 OLPC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는 D2DSS의 전송 전력과 한 SF내에서 멀티플렉싱되는 채널에 관계없이 전송 전력을 설정하기 위함이다.
한편 특정 SF내에서 D2DSS가 다른 채널 (D2D또는 WAN)과 다른 WAN 시그널 (예를 들어 SRS)이 멀티플렉싱되는 경우 WAN시그널은 예외로 별도의 마스크 (사전에 WAN시그널을 위해 정의된)를 설정하고, D2DSS의 송신 전력 설정은 상기 방법 중 하나를 따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장치 구성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송포인트 장치 및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송포인트 장치(10)는, 수신장치(11), 전송장치(12), 프로세서(13), 메모리(14) 및 복수개의 안테나(1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안테나(15)는 MIMO 송수신을 지원하는 전송포인트 장치를 의미한다. 수신장치(11)은 단말로부터의 상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송장치(12)은 단말로의 하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3)는 전송포인트 장치(1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포인트 장치(10)의 프로세서(13)는, 앞서 설명된 각 실시예들에서 필요한 사항들을 처리할 수 있다.
전송포인트 장치(10)의 프로세서(13)는 그 외에도 전송포인트 장치(10)가 수신한 정보, 외부로 전송할 정보 등을 연산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메모리(14)는 연산 처리된 정보 등을 소정시간 동안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미도시) 등의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20)는, 수신장치(21), 전송장치(22), 프로세서(23), 메모리(24) 및 복수개의 안테나(2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안테나(25)는 MIMO 송수신을 지원하는 단말 장치를 의미한다. 수신장치(21)은 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송장치(22)은 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3)는 단말 장치(2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20)의 프로세서(23)는 앞서 설명된 각 실시예들에서 필요한 사항들을 처리할 수 있다.
단말 장치(20)의 프로세서(23)는 그 외에도 단말 장치(20)가 수신한 정보, 외부로 전송할 정보 등을 연산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메모리(24)는 연산 처리된 정보 등을 소정시간 동안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미도시) 등의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전송포인트 장치 및 단말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은,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사항들이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2 이상의 실시예가 동시에 적용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내용은 명확성을 위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19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전송포인트 장치(10)에 대한 설명은 하향링크 전송 주체 또는 상향링크 수신 주체로서의 중계기 장치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단말 장치(20)에 대한 설명은 하향링크 수신 주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주체로서의 중계기 장치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다양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4)

  1.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UE(User equipment)에 있어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커플링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서브프레임상에 PSSS(Primary 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 SSSS(Secondary 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 및 PSBCH (Physical sidelink broadcast channel)를 전송하며,
    상기 서브프레임은 과도 구간(transient period) 및 PSSS/PSBCH ON power를 위한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프레임이 노멀(Normal) CP(Cyclic Prefix)로 구성된 것에 기반하여, 상기 PSSS/PSBCH ON power를 위한 구간 이전의 상기 과도 구간은, PSSS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과 중첩되지 않고,
    상기 서브프레임이 확장(Extended) CP로 구성된 것에 기반하여, 상기 PSSS/PSBCH ON power를 위한 구간 이전의 상기 과도 구간은 상기 PSSS OFDM 심볼과 중첩되는, UE.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도 구간의 길이는 20us인, UE.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SSS/PSBCH ON power는, 상기 PSSS 및 상기 SSSS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과도 구간이 제외된 구간의 평균 전력인, UE.
  6.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UE의 신호전송 방법에 있어서,
    서브프레임상에 PSSS(Primary 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 SSSS(Secondary 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 및 PSBCH (Physical sidelink broadcast channel)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프레임은 과도 구간(transient period) 및 PSSS/PSBCH ON power를 위한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프레임이 노멀(Normal) CP(Cyclic Prefix)로 구성된 것에 기반하여, 상기 PSSS/PSBCH ON power를 위한 구간 이전의 상기 과도 구간은 PSSS OFDM 심볼과 중첩되지 않고,
    상기 서브프레임이 확장(Extended) CP로 구성된 것에 기반하여, 상기 PSSS/PSBCH ON power를 위한 구간 이전의 상기 과도 구간은 상기 PSSS OFDM 심볼과 중첩되는, 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과도 구간의 길이는 20us인,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PSSS/PSBCH ON power는, 상기 PSSS 및 상기 SSSS가 전송되는 상기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과도 구간이 제외된 구간의 평균 전력인,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77007612A 2014-09-02 2015-09-0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단말의 동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450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33226A KR102560675B1 (ko) 2014-09-02 2015-09-0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단말의 동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44977P 2014-09-02 2014-09-02
US62/044,977 2014-09-02
US201462054974P 2014-09-24 2014-09-24
US62/054,974 2014-09-24
US201462085347P 2014-11-28 2014-11-28
US62/085,347 2014-11-28
US201562109045P 2015-01-28 2015-01-28
US62/109,045 2015-01-28
US201562110614P 2015-02-02 2015-02-02
US62/110,614 2015-02-02
PCT/KR2015/009254 WO2016036141A1 (ko) 2014-09-02 2015-09-0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단말의 동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3226A Division KR102560675B1 (ko) 2014-09-02 2015-09-0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단말의 동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415A KR20170048415A (ko) 2017-05-08
KR102450241B1 true KR102450241B1 (ko) 2022-10-04

Family

ID=5544010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3226A KR102560675B1 (ko) 2014-09-02 2015-09-0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단말의 동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0177007612A KR102450241B1 (ko) 2014-09-02 2015-09-0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단말의 동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3226A KR102560675B1 (ko) 2014-09-02 2015-09-0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단말의 동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6) US10735239B2 (ko)
EP (4) EP3544211A1 (ko)
KR (2) KR102560675B1 (ko)
CN (2) CN106605435B (ko)
RU (1) RU2649874C1 (ko)
WO (2) WO20160361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3821B1 (ko) * 2011-06-21 2019-01-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채널 송수신 방법
US10225810B2 (en) 2014-08-06 2019-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synchronization signal i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system
WO2016036141A1 (ko) 2014-09-02 2016-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단말의 동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EP3198956B1 (en) 2014-09-25 2022-04-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nchronization procedure and resourc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in d2d system
EP3200555B1 (en) * 2014-09-26 2020-08-12 Sharp Kabushiki Kaisha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EP3254506B1 (en) * 2015-02-06 2022-09-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supporting the transmission of signals in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device to device scheme
US20180199298A1 (en) * 2015-07-29 2018-07-12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s devices and methods
CN113891482A (zh) * 2015-08-18 2022-01-04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d2d通信中调度信息发送和接收的方法与设备
US10187191B2 (en) * 2016-01-27 2019-01-22 Qualcomm Incorporated SRS transmission in management in carrier aggregation
WO2017160131A1 (ko) * 2016-03-17 2017-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v2x 신호 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CN107295626B (zh) * 2016-04-01 2022-02-08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v2x同步信号和psbch的发送方法和设备
CN110545575B (zh) * 2016-04-23 2022-06-21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窄带移动通信的方法和装置
WO2017222207A1 (ko) * 2016-06-22 2017-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송 파워를 결정하는 방법 및 무선 기기
CN107959922B (zh) * 2016-10-17 2020-09-25 深圳市中兴微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检测D2D中主sidelink同步信号的方法及装置
WO2018097597A2 (en) * 2016-11-22 2018-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f terminal
US10368365B2 (en) 2017-02-02 2019-07-30 Qualcomm Incorporated Time mask techniques for shortened transmission time intervals
US10862640B2 (en) * 2017-03-24 2020-12-08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transient period configurations for shortened transmission time intervals
WO2018190623A1 (ko) * 2017-04-10 2018-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90137873A (ko) 2017-04-10 2019-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9031907A1 (ko) * 2017-08-10 2019-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11206628B2 (en) 2017-09-28 2021-1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quipment for selecting synchronization reference source for multi-carrier sidelink communication
KR20200058528A (ko) * 2017-09-28 2020-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이 복수의 구성 반송파 상에서 동기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N109586879B (zh) * 2017-09-28 2023-06-20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多载波旁路通信同步源选择的方法及设备
WO2019093791A1 (ko) * 2017-11-08 2019-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거리 측정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US11343804B2 (en) * 2018-02-14 2022-05-24 Qualcomm Incorporated Phase-tracking reference signal mapping
US11018822B2 (en) 2018-02-21 2021-05-2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ound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WO2019190265A1 (ko) * 2018-03-30 2019-10-03 주식회사 케이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90114871A (ko) 2018-03-30 2019-10-10 주식회사 케이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CN110662298B (zh) * 2018-06-29 2021-03-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上行信号的传输方法及终端
CN110768771B (zh) * 2018-07-27 2021-07-2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同步信号传输方法及终端
WO2020019297A1 (zh) * 2018-07-27 2020-01-3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车联网设备之间的信息传输方法、装置及系统
JP7258057B2 (ja) * 2018-08-08 2023-04-14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ユーザ機器および通信方法
US11856537B2 (en) 2018-08-10 2023-12-26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ethod, apparatus, vehicle-mounted device and termina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eference signal
CN113115258B (zh) * 2018-10-01 2022-11-2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用户设备及其传输同步信号块的方法
CN112789918A (zh) * 2018-10-08 2021-05-1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通信方法和通信设备
CN112956251B (zh) * 2018-11-02 2023-11-28 Lg电子株式会社 在终端之间的无线通信中发送和接收同步信号的方法及其设备
WO2020091555A1 (ko) * 2018-11-02 2020-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WO2020087538A1 (zh) * 2018-11-02 2020-05-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同步信号发送方法及装置
KR102486809B1 (ko) 2018-11-15 2023-01-10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동기화 신호 블록의 구성 정보의 방송, 수신 방법 및 장치
CN111385863B (zh) * 2018-12-28 2021-10-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功率控制方法和装置
KR20200086566A (ko) * 2019-01-09 2020-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전력을 할당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0145268A1 (en) * 2019-01-10 2020-07-16 Sharp Kabushiki Kaisha Synchronization for v2x communication
CN111435856B (zh) * 2019-01-11 2021-06-01 成都华为技术有限公司 信号测量方法和通信装置
CN111565447B (zh) * 2019-02-14 2022-09-09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同步广播信息的发送方法、接收方法及设备
WO2020167033A1 (ko) * 2019-02-14 2020-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Nr v2x의 사이드링크 동기 신호 블록의 전송
WO2020204504A1 (ko) * 2019-03-29 2020-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동기 신호 블록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EP3734885A1 (en) * 2019-05-02 2020-11-0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User equipment and network node involved in communication
US11304148B2 (en) * 2019-09-27 2022-04-12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Methods for setting transmit power in wireless devices
CN113242116B (zh) * 2020-01-23 2022-11-18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直通链路的解调导频参考信号的发送、接收方法及终端
US11737106B2 (en) 2020-02-24 2023-08-22 Qualcomm Incorporated Distortion probing reference signals
KR102660884B1 (ko) * 2021-04-02 2024-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송 전력 제어
WO2023117158A1 (en) * 2021-12-22 2023-06-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echnique for downlink transmission power-aware scheduling

Family Cites Families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47832B2 (ja) 2001-05-02 2010-09-22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無線lanシステムおよびその通信方法
KR101349830B1 (ko) 2008-03-05 2014-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간섭 측정 방법
US8428016B2 (en) 2008-07-11 2013-04-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in a dominant interference scenario
US9084283B2 (en) 2008-11-19 2015-07-14 Qualcomm Incorporated Peer-to-peer communication using a wide area network air interface
US8982750B2 (en) * 2009-01-16 2015-03-1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overload indicator over the air
US9055105B2 (en) 2009-05-29 2015-06-09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engaging in a service or activity using an ad-hoc mesh network
US8665809B2 (en) 2009-06-15 2014-03-0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ending power control information
CN101998607B (zh) * 2009-08-31 2013-07-31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上行时隙引入下行传输辅同步信号的方法、系统及装置
WO2011046349A2 (ko) * 2009-10-12 2011-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안테나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참조 신호 전송 전력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EP2497214A4 (en) 2009-11-08 2015-04-2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BASE STATION FOR REGULATING DOWNLINK TRANSMISSION POWER, AND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RECEIVING PDSCH
KR101731836B1 (ko) 2009-12-30 201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 보고 방법 및 시스템
EP2550760B1 (en) * 2010-03-24 2020-02-1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inter-cell interference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WO2011125300A1 (ja) * 2010-04-05 2011-10-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BR112012025327A2 (pt) 2010-04-05 2016-06-28 Ntt Docomo Inc aparelho estação base, aparelho estação móvel e método de transmissão de sinal de referência
US8526347B2 (en) * 2010-06-10 2013-09-03 Qualcomm Incorporated Peer-to-peer communication with symmetric waveform for downlink and uplink
US8730861B2 (en) * 2010-06-21 2014-05-20 Qualcomm Incorporated Rate matching for data and control channe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EP2583398B1 (en) 2010-06-21 2014-08-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signaling of parameters in a wireless network
EP3361823A1 (en) * 2011-01-11 2018-08-15 Ntt Docomo, Inc. User equipment and measurement method
JP5383725B2 (ja) * 2011-02-10 2014-01-08 シャープ株式会社 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送信方法、受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US9215647B2 (en) 2011-04-01 2015-12-15 Intel Corporation Random access techniques for fixed devices in mobile broadband networks
US8582527B2 (en) 2011-07-01 2013-11-12 Ofinno Technologies, Llc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in multicarrier systems
US8369280B2 (en) * 2011-07-01 2013-02-05 Ofinno Techologies, LLC Control channels in multicarrier OFDM transmission
US9332516B2 (en) * 2011-08-11 2016-05-03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signaling in a heterogeneous network
WO2013028018A2 (ko) * 2011-08-23 2013-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동기 신호 송수신 방법 이를 위한 장치
US9386535B2 (en) 2011-10-26 2016-07-0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power information of downlink subframe and apparatus therefor
US8937918B2 (en) 2011-10-29 2015-01-20 Ofinno Technologies, Llc Efficient special subframe allocation
US9272851B2 (en) * 2011-11-07 2016-03-01 Mediatek Inc. Minimization of drive tests for uplink link coverage
EP2595425A1 (en) 2011-11-18 2013-05-22 Panasonic Corporation Active bandwidth indicator for power-saving UEs
WO2013081293A1 (en) * 2011-12-02 2013-06-0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indicating control channel in wireless access system, and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for the same
US8446844B1 (en) * 2011-12-04 2013-05-21 Ofinno Technologies, Llc Handover in multicarrier wireless networks
BR112014015388A8 (pt) 2011-12-29 2017-07-04 Ericsson Telefon Ab L M equipamento de usuário e nó de rede de rádio, e métodos dos mesmos
KR20130083655A (ko) 2012-01-13 2013-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신호 전송 타이밍 랜덤화 방법 및 장치
US9955442B2 (en) 2012-03-20 2018-04-24 Qualcomm Incorporated Synchronization channel design for new carrier type
US9078109B2 (en) * 2012-04-09 2015-07-07 Intel Corporation Frame structure design for new carrier type (NCT)
WO2013169050A1 (ko) * 2012-05-11 2013-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새로운 타입의 반송파 상에서의 데이터 복조 방법
US9100941B2 (en) * 2012-05-24 2015-08-04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Using unique preambles for D2D communications in LTE
US9451570B2 (en) * 2012-08-29 2016-09-20 Alcatel Lucent Device discovery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US9769811B2 (en) * 2012-09-17 2017-09-1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ceiv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11496948B2 (en) 2012-10-19 2022-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ad-hoc/network assisted device discovery protocol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s
EP2926584A4 (en) 2012-10-29 2016-09-28 Ericsson Telefon Ab L M RADIO RESOURCE MANAGEMENT IN TIME SHARING OF FREQUENCY SPECTRUM BETWEEN OPERATORS
EP2915355B1 (en) 2012-11-02 2019-07-3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lexible spectrum support in cellular wireless communications
KR20150105332A (ko) * 2012-12-21 2015-09-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통신 방법 및 장치
WO2014116020A1 (ko) 2013-01-24 2014-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디스커버리 신호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2763475B1 (en) * 2013-02-01 2019-03-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mmon time refere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GB2513870A (en) 2013-05-07 2014-11-12 Nec Corp Communication system
US9750044B2 (en) 2013-05-10 2017-08-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network synchronization
EP3050232B1 (en) * 2013-09-27 2020-04-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overy signals for lte advanced
US9143364B2 (en) 2013-10-10 2015-09-22 Broadcom Corporation IQ imbalance estimation using broadcast signals
PT3462648T (pt) * 2013-11-27 2020-06-29 Ericsson Telefon Ab L M Nó de rede, dispositivo sem fios, métodos associados, para envio e deteção, respetivamente, de um sinal de sincronização e uma informação associada
EP3075089B1 (en) * 2013-11-27 2021-09-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ending and detecting synchronization signals and an associated information message
US9456405B2 (en) 2014-01-30 2016-09-27 Intel Corporation User equipment and methods for operation in coverage enhancement mode with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eamble
NO2710652T3 (ko) 2014-03-18 2018-03-17
KR101556754B1 (ko) * 2014-03-18 2015-10-02 (주)코젤 화이머씨엑토미 쉴드
CN110769496B (zh) 2014-03-19 2022-07-08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Wtru及由wtru执行的方法
WO2016010390A1 (ko) * 2014-07-18 2016-01-21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통신을 위한 동기화 방법 및 장치
WO2016036141A1 (ko) 2014-09-02 2016-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단말의 동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US20170015048A1 (en) * 2015-07-15 2017-01-19 Telsonic Holding Ag Vibration welding system, vibration welding method and method of upgrading
US10893520B2 (en) * 2015-08-26 2021-01-12 Qualcomm Incorporated Downlink and synchronization techniques for narrowband wireless communications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4-143595
3GPP R4-145732*
3GPP R4-151171
3GPP TR36.877 v1.0.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36141A1 (ko) 2016-03-10
EP3190731A1 (en) 2017-07-12
US20200351139A1 (en) 2020-11-05
EP3190731B1 (en) 2019-05-08
EP3190732A1 (en) 2017-07-12
EP3190732B1 (en) 2019-05-15
US20220303165A1 (en) 2022-09-22
US11233687B2 (en) 2022-01-25
US20190379569A1 (en) 2019-12-12
WO2016036142A1 (ko) 2016-03-10
US10454743B2 (en) 2019-10-22
US11381443B2 (en) 2022-07-05
EP3573260A1 (en) 2019-11-27
EP3573260B1 (en) 2022-03-09
CN106797265B (zh) 2018-12-28
US20200052951A1 (en) 2020-02-13
RU2649874C1 (ru) 2018-04-05
KR102560675B1 (ko) 2023-07-28
CN106797265A (zh) 2017-05-31
US20170272299A1 (en) 2017-09-21
KR20220136481A (ko) 2022-10-07
EP3190731A4 (en) 2018-05-02
US20180219716A1 (en) 2018-08-02
CN106605435B (zh) 2021-02-26
EP3544211A1 (en) 2019-09-25
US11018919B2 (en) 2021-05-25
US11671303B2 (en) 2023-06-06
KR20170048415A (ko) 2017-05-08
US10735239B2 (en) 2020-08-04
CN106605435A (zh) 2017-04-26
EP3190732A4 (en) 2018-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024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단말의 동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37813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단말의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426409B1 (ko) 무선 통신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44626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단말의 인접 셀 신호 수신 방법 및 장치
US11076368B2 (en) Method for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700789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to-device user equipment to transmit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20517205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サイドリンク信号を送信する方法及び装置
US20170187503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ceiving device-to-device terminal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6532372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ディスカバリ信号マッピング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