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0016B1 - 폴리스타이렌 폐기물 재생 공정 - Google Patents

폴리스타이렌 폐기물 재생 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0016B1
KR102450016B1 KR1020217032966A KR20217032966A KR102450016B1 KR 102450016 B1 KR102450016 B1 KR 102450016B1 KR 1020217032966 A KR1020217032966 A KR 1020217032966A KR 20217032966 A KR20217032966 A KR 20217032966A KR 102450016 B1 KR102450016 B1 KR 102450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styrene
delete delete
composition
regenerated polystyrene
hydrocar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2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8029A (ko
Inventor
롤랑 꼬떼
Original Assignee
폴리스타이버트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562922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45001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폴리스타이버트 인크. filed Critical 폴리스타이버트 인크.
Priority to KR1020227033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8841B1/ko
Publication of KR20210128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8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11/0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 C08J11/04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 C08J11/06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without chemical reactions
    • C08J11/08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without chemical reactions using selective solvents for polyme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12/00Hom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1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1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112/06Hydrocarbons
    • C08F112/08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2/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12/06Hydrocarbons
    • C08F12/08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2017/0089Recycling systems, wherein the flow of products between producers, sellers and consumers includes at least a recycling step, e.g. the products being fed back to the sellers or to the producers for recycl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93Dissolving the materials in gases or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84Grinding tools, roller mills or disc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5/00Use of polymers of vinyl-aromatic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5/04Polymers of styrene
    • B29K2025/06PS, i.e. polystyr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4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ellular or porou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12Melt flow index or melt flow ratio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11/0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J23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J23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20Recycled plas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41Feedstock
    • Y02P20/143Feedstock the feedstock being recycled material, e.g. plast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약 25 g/10 분 미만의 용융 흐름 지수를 가지는 재생된 폴리스타이렌 중합체가 제공된다. 폴리스타이렌 폐기물 재생 공정이 제공된다. 상기 공정은 폴리스타이렌/p-사이멘 혼합물을 획득하기 위한 조건하에 상기 폴리스타이렌 폐기물을 p-사이멘에 용해시키는 단계, 침전된 폴리스타이렌을 획득하기 위한 조건하에 상기 폴리스타이렌/p-사이멘 혼합물을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에 첨가하는 단계 및 2회-세척된 폴리스타이렌을 획득하기 위한 조건하에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의 추가 부분을 사용하여 침전된 폴리스타이렌을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2회-세척된 폴리스타이렌은 선택적으로 건조되어 폴리스타이렌 펠렛으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스타이렌 폐기물 재생 공정으로부터 획득된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폴리스타이렌 폐기물 재생 공정 {PROCESSES FOR RECYCLING POLYSTYRENE WASTE}
본 개시는 폴리스타이렌 폐기물 재생 공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폴리스타이렌 폐기물을 p-사이멘과 같은 용매에 용해시킨 다음, 비용매를 사용하여 폴리스타이렌을 침전 및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스타이렌 폐기물 재생 공정에 관한 것이다.
폴리스타이렌 폐기물, 예를 들어, 전자 제품 또는 가구, 식판, 상업용 제품 및 단열재로부터의 패키징은 예를 들어, 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비자 사용-후(post-consumer) 또는 산업적 사용-후(post-industrial) 여부와 관계 없이, 대부분의 폴리스타이렌 폐기물은 매립지에 매립된다. 예를 들어, 매년 퀘백에서 40,000 톤 초과의 폴리스타이렌 폐기물이 매립된다. 게다가, 매년 퀘백에서는 60,000 톤 초과의 새로운 폴리스타이렌이 구매되고 소비되고 있다.
공지된 재생 공정 폴리스타이렌은 새로운 폴리스타이렌과 동일한 성질을 가지는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을 생산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폴리스타이렌의 공지된 방법은 새로운 폴리스타이렌이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용도에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을 사용하기 위한 기술 규격을 충족시키는 용융 흐름 지수 (melting flow index, MFI)를 가지는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을 제조하지 않는다. 이러한 기계적 성질의 손실을 보완하기 위해,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새로운 폴리스타이렌과 혼합되며, 이는 덜 엄격한 적용에 있어서도 거의 20%를 초과할 수 없는 비율로 혼합된다.
대부분의 산업용 폴리스타이렌 물질은 오직 폴리스타이렌으로만 구성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들은 일부 물리적, 생물학적 및/또는 화학적 성질을 변경하기기 위해 중합체에 첨가되는 화학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의 예로는 다음이 있다: 착색제, 충전제, 난연제, 윤활제 및 가소제.
이에 따라, 언급된 문제 중 하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하거나, 공지된 폴리스타이렌 폐기물 재생 공정의 대안이 될 수 있는 재생된 폴리스타이렌 및 폴리스타이렌 폐기물 재생 공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개시의 하나의 양태에 따라, ASTM D1238-13에 따라 측정된 용융 흐름 지수가 약 25 g/10 분 미만인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 ASTM D1238-13 표준에 따라 측정된 용융 흐름 지수가 약 25 g/10 분 미만이며, 첨가제 함량이 약 1 중량% 미만인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 ASTM D1238-13 표준에 따라 측정된 용융 흐름 지수가 약 25 g/10 분 미만이며, ASTM D5630-13 표준에 따라 측정된 회분 함량이 약 1 중량% 미만인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 ASTM D1238-13 표준에 따라 측정된 용융 흐름 지수가 약 25 g/10 분 미만이며, ASTM D5630-13 표준에 따라 측정된 회분 함량이 약 0.5 중량% 미만인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 용융 흐름 지수가 약 25 g/10 분 미만인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 ASTM D1238-13 표준에 따라 측정된 용융 흐름 지수가 약 25 g/10 분 미만인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 다음을 포함하는, 폴리스타이렌 폐기물 재생 공정이 제공된다:
폴리스타이렌/p-사이멘 혼합물을 획득하기 위한 조건하에, 폴리스타이렌 폐기물을 p-사이멘에 용해시키는 단계;
침전된 폴리스타이렌 및 탄화수소 폐액의 제1 부분을 획득하기 위한 조건하에, 폴리스타이렌/p-사이멘 혼합물을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의 제1 부분에 첨가하는 단계;
탄화수소 폐액의 제1 부분으로부터 침전된 폴리스타이렌을 분리하는 단계;
선택적으로 상기 용해, 첨가 및 분리를 반복하는 단계;
세척된 폴리스타이렌 및 탄화수소 폐액의 제2 부분을 획득하기 위한 조건하에,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의 제2 부분을 사용하여 침전된 폴리스타이렌을 세척하는 단계;
탄화수소 폐액의 제2 부분으로부터 세척된 폴리스타이렌을 분리하는 단계;
2회-세척된 폴리스타이렌 및 탄화수소 폐액의 제3 부분을 획득하기 위한 조건하에,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의 제3 부분을 사용하여 세척된 폴리스타이렌을 세척하는 단계;
탄화수소 폐액의 제3 부분으로부터 2회-세척된 폴리스타이렌을 분리하는 단계; 및
건조된 폴리스타이렌을 획득하기 위한 조건하에, 선택적으로 2회-세척된 폴리스타이렌을 건조하는 단계.
따라서 본 개시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 다음을 포함하는, 폴리스타이렌 폐기물 재생 공정이 제공된다:
폴리스타이렌/p-사이멘 혼합물을 획득하기 위한 조건하에, 폴리스타이렌 폐기물을 p-사이멘에 용해시키는 단계;
침전된 폴리스타이렌 및 탄화수소 폐액의 제1 부분을 획득하기 위한 조건하에, 폴리스타이렌/p-사이멘 혼합물을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의 제1 부분에 첨가하는 단계;
탄화수소 폐액의 제1 부분으로부터 침전된 폴리스타이렌을 분리하는 단계;
선택적으로 상기 용해, 첨가 및 분리를 반복하는 단계;
세척된 폴리스타이렌 및 탄화수소 폐액의 제2 부분을 획득하기 위한 조건하에,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의 제2 부분을 사용하여 침전된 폴리스타이렌을 세척하는 단계;
탄화수소 폐액의 제2 부분으로부터 세척된 폴리스타이렌을 분리하는 단계;
2회-세척된 폴리스타이렌 및 탄화수소 폐액의 제3 부분을 획득하기 위한 조건하에,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의 제3 부분을 사용하여 세척된 폴리스타이렌을 세척하는 단계;
탄화수소 폐액의 제3 부분으로부터 2회-세척된 폴리스타이렌을 분리하는 단계;
링잉(wringing) 및/또는 압축에 의해 2회-세척된 폴리스타이렌을 잉여 탄화수소 폐액을 제거하는 단계; 및
건조된 폴리스타이렌을 획득하기 위한 조건하에, 2회-세척된 폴리스타이렌을 건조하는 단계;
본 개시는 또한 본 개시의 폴리스타이렌 폐기물 재생 공정에 따라 제조된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을 포함한다.
폴리스타이렌 폐기물, 예컨대 팽창 폴리스타이렌 폐기물은 일반적으로 부피가 크지만(bulky), 가벼운 반면, 폴리스타이렌/p-사이멘 혼합물은 일반적으로 높은 밀도를 가져 수송하는데 비용이 적게 들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공정은, 예를 들어, 폴리스타이렌/p-사이멘 혼합물이 제1 위치에서 획득되고, 공정이 폴리스타이렌/p-사이멘 혼합물을 공정 내의 후속 단계가 수행되는 제2 위치로 수송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경우, 수송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폴리스타이렌 폐기물 재생 공정은, 예를 들어 대부분의 첨가제 (예를 들어, 일부 물리적, 생물학적 및/또는 화학적 성질을 변경하기 위해 중합체에 첨가되는 화학 물질)를 제거하도록 하며, 새로운 폴리스타이렌의 성질에 매우 근접한 성질을 가지는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을 생산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공정으로부터 제조된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예를 들어 새로운 폴리스타이렌과 동일한 용도, 예컨대 새로운 폴리스타이렌 물품의 제조를 위한 용도에 적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공정으로부터 제조된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예를 들어, 이러한 용도를 위해 유용한 범위 내의 MFI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재생된 폴리스타이렌 및 이를 획득하기 위한 공정은 상당히 유용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사실상, 상기 재생된 중합체 및 공정이 매우 낮은 함량의 첨가제 (충전제 및/또는 윤활제)를 가지는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을 제공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이는 또한 매우 낮은 함량의 회분을 가지는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으로 이어진다. 예를 들어, 이러한 공정을 백색 팽창 또는 압출 폴리스타이렌에 적용하는 경우, 최종 생성물은 매우 투명하며 광투과성을 가진다. 본 개시의 중합체 및 공정의 이러한 특징은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의 수명 주기를 현저히 증가시키도록 하기 때문에 매우 흥미롭다. 사실상,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의 사용은 그 안에 포함된 다양한 첨가제의 관점에서 제한적임에 따라, 폴리스타이렌으로 제조될 수 있는 특정 용도 또는 적용에 대한 요건을 충족시키지 않는다. 일부 제조업체는 또한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이 매우 높은 함량의 첨가제를 가질 수 있어, 폴리스타이렌 또는 이러한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으로 제조된 제품의 성질에 영향을 미치거나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을 사용하는 것을 꺼리게 된다. 이는 분명하게, 본 개시에 언급된 중합체 및 공정의 경우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반대로, 이러한 제품의 사용자가 이를 재활용하고, 낮은 MFI 값을 획득하는 것이 필수적이지 않기 때문에, 본 개시의 중합체에서 발견되는 이러한 매우 낮은 양의 첨가제 및/또는 충전제는 다수의 상이한 적용에 이러한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을 사용할 수 있게 하며, 또한 많은 양의 첨가제 및/또는 충전제에 결코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이를 수 회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중합체 및 공정은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의 수명 주기를 증가시키며 (요구되는 규격 및 성질을 유지하면서, 수 회 재생 가능하다) 또한 다량의 첨가제 및/또는 충전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매우 낮은 MFI를 가진다.
다음의 도면에서, 단지 예시로서 본 개시의 다양한 구체예가 나타난다:
도 1은 본 개시의 구체예에 따른 공정의 개략도이다.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하기 설명 및 다른 부분에 기재된 정의 및 구체예는,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적절하게 기재된 본 개시의 모든 구체예 및 양태에 적용되도록 의도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 형태 "하나의" 및 "그"("a", "an", 및 "the")는, 문맥이 명확하게 달리 제시하지 않는 한, 복수 형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를 포함하는 구체예는 하나의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 또는 둘 이상의 추가적인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의 특정 양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추가의" 또는 "제2" 구성 요소, 예컨대 추가의 또는 제2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를 포함하는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 시 제2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제1 구성 요소와 상이하다. "제3" 구성 요소는 다른, 제1, 및 제2 구성 요소와 상이하며, 추가적으로 열거되거나 "추가의" 구성 요소도 유사하게 상이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 시 용어 "첨가제"는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생물학적 및/또는 화학적 성질을 변경하기 위해 중합체에 첨가되는 화학 물질을 지칭한다. 첨가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다음이 있다: 착색제, 충전제, 난연제, 윤활제 및 가소제.
본 개시의 범위를 이해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 시, 용어 "포함하는(comprising)" 및 이의 파생어는 언급된 특징, 원소, 구성 요소, 그룹, 정수, 및/또는 단계의 존재를 명시하지만, 다른 미언급된 특징, 원소, 구성 요소, 그룹, 정수 및/또는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 개방형 용어로 의도된다. 전술한 내용은 또한 용어, "포함하는(including)", "가지는(having)" 및 이의 파생어와 같이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단어에도 적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 시, 용어 "구성하는(consisting)" 및 이의 파생어는 언급된 특징, 원소, 구성 요소, 그룹, 정수, 및/또는 단계의 존재를 명시하지만, 다른 미언급된 특징, 원소, 구성 요소, 그룹, 정수 및/또는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 개방형 용어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 시, 용어 "본질적으로 구성하는(consisting essentially of)"은, 언급된 특징, 원소, 구성 요소, 그룹, 정수, 및/또는 단계의 존재, 뿐만 아니라 특징, 원소, 구성 요소, 그룹, 정수, 및/또는 단계의 기본 및 신규의 특성(들)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들을 명시하도록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 시, 정도의 용어 예컨대 "약(about)" 및 "대략(approximately)"은 최종 결과가 현저히 변화되지 않는 정도로 수식된 용어의 합리적인 양의 편차를 의미한다. 상기 정도의 용어는, 적어도 ±5% 또는 적어도 ±10%의 편차가 이를 수식하는 용어의 의미를 무효로 하지 않는 경우, 수식된 용어의 이러한 편차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 시, 용어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는 예를 들어, 폴리스타이렌이 실질적으로 불용성인 탄화수소계 화합물 또는 이의 혼합물을 지칭한다. 본 개시의 공정에 적절한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는 당업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당업자에게, 폴리스타이렌 폐기물 (예컨대. 헥사브로모사이클로도데케인 및 실리콘 오일) 및 p-사이멘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대부분의 무극성 첨가제는, 침전된 폴리스타이렌을 획득하기 위한 본 개시의 공정, 뿐만 아니라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를 사용하는 세척을 포함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조건하에,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에서 실질적으로 가용성이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예를 들어, 재생되는 폴리스타이렌 폐기물의 유리 전이 온도 (Tg) 부근이거나 이보다 미세하게 높은 끓는점을 가지는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를 선택하는 것이 유용할 수도 있는 것이 당업자에게 이해될 것이다.
하기 제시된 예시는 비제한적이며 본 개시의 공정을 보다 잘 예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개시의 공정에 대한 예시적인 공정 흐름도가 도 1에 나타난다. 예시된 공정(10)은 폴리스타이렌 폐기물 재생 공정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예시된 공정(10)에서, 폴리스타이렌 폐기물은 폴리스타이렌/p-사이멘 혼합물을 획득하기 위한 조건하에 p-사이멘에 용해(12)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스타이렌/p-사이멘 혼합물이 불용성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폴리스타이렌/p-사이멘 혼합물은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조건하에 선택적으로 여과(14)될 수 있다. 폴리스타이렌/p-사이멘 혼합물은 이후 침전된 폴리스타이렌 및 탄화수소 폐액의 제1 부분을 획득하기 위한 조건하에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의 제1 부분에 첨가(16)될 수 있다. 침전된 폴리스타이렌은 탄화수소 폐액의 제1 부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용해, 첨가 및 분리 단계가 선택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이후, 침전된 폴리스타이렌은 세척된 폴리스타이렌 및 탄화수소 폐액의 제2 부분을 획득하기 위한 조건하에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의 제2 부분을 사용하여 세척(18)될 수 있다. 세척된 폴리스타이렌은 탄화수소 폐액의 제2 부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세척된 폴리스타이렌은 2회-세척된 폴리스타이렌 및 탄화수소 폐액의 제3 부분을 획득하기 위한 조건하에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의 제3 부분을 사용하여 세척(20)될 수 있다. 2회-세척된 폴리스타이렌은 탄화수소 폐액의 제3 부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잉여 탄화수소 폐액은 2회-세척된 폴리스타이렌의 링잉(wringing) 및/또는 압축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2회-세척된 폴리스타이렌은 건조된 폴리스타이렌을 획득하기 위한 조건하에 선택적으로 건조(22)될 수 있다. 건조된 폴리스타이렌은 선택적으로 패키징(24)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공정은 폴리스타이렌 펠렛을 획득하기 위한 조건하에 건조된 폴리스타이렌을 가공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폴리스타이렌 펠렛은 패키징(24)될 수 있다. p-사이멘 및/또는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는, 예를 들어 p-사이멘 및/또는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를 획득하기 위한 조건하에, 탄화수소 폐액의 제1 부분, 탄화수소 폐액의 제2 부분 및/또는 탄화수소 폐액의 제3 부분을 증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수(26)될 수 있다. p-사이멘은 용해(12) 단계에서 사용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재생될 수 있다.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는 첨가(16) 단계, 제1 세척(18) 단계 및/또는 제2 세척(20)에서 사용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재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스타이렌/p-사이멘 혼합물은 폴리스타이렌/p-사이멘 혼합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33 중량% 이하의 양으로 폴리스타이렌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스타이렌/p-사이멘 혼합물은 폴리스타이렌/p-사이멘 혼합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10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양으로 폴리스타이렌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스타이렌/p-사이멘 혼합물은 폴리스타이렌/p-사이멘 혼합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14 중량% 내지 약 28 중량%의 양으로 폴리스타이렌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스타이렌/p-사이멘 혼합물은 폴리스타이렌/p-사이멘 혼합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15 중량% 내지 약 27 중량%의 양으로 폴리스타이렌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스타이렌/p-사이멘 혼합물은 폴리스타이렌/p-사이멘 혼합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16 중량% 내지 약 25 중량%의 양으로 폴리스타이렌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스타이렌 폐기물은 p-사이멘을 포함하는 챔버 및 폴리스타이렌 폐기물을 p-사이멘에 첨가하기 위해 챔버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가지는 용기 내의 p-사이멘에 용해될 수 있으며, 상기 공정은 폴리스타이렌 폐기물을 챔버에 포함된 p-사이멘에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는 통기구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는 폴리스타이렌 폐기물을 p-사이멘으로 주입시키는 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스타이렌 폐기물을 p-사이멘으로 주입시키기 위한 수단은 용기 내부에 금속 격자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는 챔버의 용량에 도달했을 때를 나타내는 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의 용량에 도달했을 때를 나타내는 수단은 표시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등은 챔버의 플로트 스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스타이렌/p-사이멘 혼합물은 불용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공정은 폴리스타이렌/p-사이멘 혼합물을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의 제1 부분에 첨가하는 단계 이전에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는 조건하에 폴리스타이렌/p-사이멘 혼합물을 여과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불용성 물질은 폴리스타이렌/뷰타다이엔 혼합물, 스타이렌 분진의 공중합체, 스티커, 금속, 목재, 플라스틱, 오염물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과 단계는 조대물(coarse)부터 미세물(fine)까지 다단계 여과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뷰타다이엔은 고도로 가교 결합되지 않은 한, p-사이멘에 가용성일 것이다.
예를 들어, 침전된 폴리스타이렌 및 탄화수소 폐액의 제1 부분을 획득하기 위한 조건은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의 ?쓴쩝×【? 폴리스타이렌/p-사이멘 혼합물을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의 제1 부분에 첨가하는 것 및 폴리스타이렌/p-사이멘 혼합물로부터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로 p-사이멘의 확산이 충분한 정도로 진행되기 위한 시간 동안 교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간은 약 5 분 내지 약 10 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교반은 기계적 교반기를 사용하는 교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스타이렌/p-사이멘 혼합물 중 약 90 중량% 초과의 p-사이멘은 폴리스타이렌/p-사이멘 혼합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 내로 확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의 제1 부분 대 폴리스타이렌/p-사이멘 혼합물의 부피 비율은 약 2:1 내지 약 4:1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의 제1 부분 대 폴리스타이렌/p-사이멘 혼합물의 부피 비율은 약 3:1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침전된 폴리스타이렌은, 침전된 폴리스타이렌으로부터 탄화수소 폐액의 제1 부분을 경사 분리(decanting) 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탄화수소 폐액의 제1 부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척된 폴리스타이렌 및 탄화수소 폐액의 제2 부분을 획득하기 위한 조건은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의 끓는점에서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의 제2 부분을 침전된 폴리스타이렌에 첨가하는 것 및 침전된 폴리스타이렌으로부터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로 p-사이멘의 확산이 충분한 정도로 진행되기 위한 시간 동안 교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간은 약 1 분 내지 약 15 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간은 약 10 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간은 약 2 분 내지 약 5 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교반은 기계적 교반기를 사용하는 교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척된 폴리스타이렌은 약 0.3 중량% 미만의 p-사이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척된 폴리스타이렌은 약 0.1 중량% 미만의 p-사이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의 제2 부분 대 침전된 폴리스타이렌의 부피 비율은 약 1:2 내지 약 2:1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의 제2 부분 대 침전된 폴리스타이렌의 부피 비율은 약 1:1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척된 폴리스타이렌은, 세척된 폴리스타이렌으로부터 탄화수소 폐액의 제2 부분을 경사 분리 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탄화수소 폐액의 제2 부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회-세척된 폴리스타이렌 및 탄화수소 폐액의 제3 부분을 획득하기 위한 조건은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의 끓는점에서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의 제3 부분을 세척된 폴리스타이렌에 첨가하는 것 및 세척된 폴리스타이렌으로부터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로 p-사이멘의 확산이 충분한 정도로 진행되기 위한 시간 동안 교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간은 약 1 분 내지 약 10 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간은 약 5 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교반은 기계적 교반기를 사용하는 교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회-세척된 폴리스타이렌은 약 0.1 중량% 미만의 p-사이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회-세척된 폴리스타이렌은 약 0.05 중량% 미만의 p-사이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의 제3 부분 대 세척된 폴리스타이렌의 부피 비율은 약 1:2 내지 약 2:1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의 제3 부분 대 세척된 폴리스타이렌의 부피 비율은 약 1:1일 수 있다.
예를 들어, 2회-세척된 폴리스타이렌은, 2회-세척된 폴리스타이렌으로부터 탄화수소 폐액의 제3 부분을 경사 분리 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탄화수소 폐액의 제3 부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화수소 폐액의 제3 부분으로부터 2회-세척된 폴리스타이렌을 분리하는 단계 이후, 및 건조 단계 이전에, 상기 공정은 2회-세척된 폴리스타이렌을 링잉(wringing) 및/또는 압축에 의해 잉여 탄화수소 폐액을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의 제1 부분,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의 제2 부분 및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의 제3 부분 중 적어도 하나는 1기압의 압력에서 약 98 ℃ 내지 약 110 ℃ 또는 약 105 ℃ 내지 약 110 ℃의 끓는점을 가지는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를 포함하거나, 이로 본질적으로 구성되거나, 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의 제1 부분,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의 제2 부분 및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의 제3 부분은 C6-C8 알케인 또는 석유 증류물을 포함하거나, 이로 본질적으로 구성되거나, 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의 제1 부분,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의 제2 부분 및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의 제3 부분은 C6-C8 알케인을 포함하거나, 이로 본질적으로 구성되거나, 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의 제1 부분,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의 제2 부분 및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의 제3 부분은 석유 증류물을 포함하거나, 이로 본질적으로 구성되거나, 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의 제1 부분,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의 제2 부분 및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의 제3 부분은 n-헵테인을 포함하거나, 이로 본질적으로 구성되거나, 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의 제1 부분,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의 제2 부분 및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의 제3 부분은 모두 동일한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의 제1 부분,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의 제2 부분 및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의 제3 부분은 모두 상이한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의 제2 부분 및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의 제3 부분은 동일한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일 수 있고,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의 제1 부분은 상이한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의 제2 부분 및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의 제3 부분은 n-헵테인을 포함하거나, 이로 본질적으로 구성되거나, 이로 구성될 수 있고,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의 제1 부분은 n-헥세인을 포함하거나, 이로 본질적으로 구성되거나, 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된 폴리스타이렌을 획득하기 위한 조건은 잔여의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를 제거가 충분한 정도로 진행되기 위한 온도 및 시간 동안 2회-세척된 폴리스타이렌을 건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회-세척된 폴리스타이렌은 약 115 ℃ 내지 약 125 ℃의 온도에서 건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회-세척된 폴리스타이렌은 약 120 ℃의 온도에서 건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된 폴리스타이렌을 획득하기 위한 조건은 잔여의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의 제거가 충분한 정도로 진행되기 위한 시간 동안 적외선 건조기를 사용하여 2회-세척된 폴리스타이렌을 건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스타이렌 폐기물은 극성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공정은 극성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조건하에 극성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폴리스타이렌 폐기물을 세척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극성 유기 용매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을 포함하거나, 이로 본질적으로 구성되거나, 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극성 유기 용매는 메탄올을 포함하거나, 이로 본질적으로 구성되거나, 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극성 유기 용매는 에탄올을 포함하거나, 이로 본질적으로 구성되거나, 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정은 p-사이멘 및/또는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를 획득하기 위한 조건하에 탄화수소 폐액의 제1 부분, 탄화수소 폐액의 제2 부분 및/또는 탄화수소 폐액의 제3 부분을 증류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정은 용해 단계에서 사용하기 위해 p-사이멘을 재생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정은 첨가 단계, 제1 세척 단계 및/또는 제2 세척 단계에서 사용하기 위해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를 재생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
예를 들어, 상기 공정은 폴리스타이렌 펠렛을 획득하기 위한 조건하에 건조된 폴리스타이렌을 가공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스타이렌 펠렛을 획득하기 위한 조건은 건조된 폴리스타이렌을 약 140 ℃ 내지 약 160 ℃의 온도에서 압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정은 폴리스타이렌 펠렛을 패키징 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폴리스타이렌 펠렛을 패키징하는 적절한 수단은 당업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정은 용해 단계, 첨가 단계, 제1 세척 단계 및/또는 제2 세척 단계 동안 산화 방지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정은 용해 단계 동안 산화 방지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화 방지제는 옥타데실-3-(3,5-다이-tert-뷰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를 포함하거나, 이로 본질적으로 구성되거나, 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화 방지제는 폴리스타이렌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중량% 내지 약 2 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화 방지제는 폴리스타이렌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1 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화 방지제는 폴리스타이렌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0.5 중량% 내지 약 2 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화 방지제는 폴리스타이렌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1 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정은 용융 흐름 지수를 감소 또는 증가시키기 위해 첨가제를 폴리스타이렌/p-사이멘 혼합물에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융 흐름 지수 감소를 위한 첨가제는 석회, 탈크, 실리콘 옥사이드, 실리콘 하이드록사이드, 알루미늄 옥사이드,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또는 이의 조합을 포함하거나, 이로 본질적으로 구성되거나, 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융 흐름 지수를 감소를 위한 첨가제는 석회을 포함하거나, 이로 본질적으로 구성되거나, 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융 흐름 지수 감소를 위한 첨가제는 탈크를 포함하거나, 이로 본질적으로 구성되거나, 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융 흐름 지수 증가를 위한 첨가제는 약 0.0001 중량% 내지 약 1 중량%의 실리콘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 오일은 약 0.01 중량% to 0.1 중량%으로 첨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융 흐름 지수 감소를 위한 첨가제는 폴리스타이렌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0.5 중량% 내지 약 25 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융 흐름 지수 감소를 위한 첨가제는 폴리스타이렌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0.5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융 흐름 지수 감소를 위한 첨가제는 폴리스타이렌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1 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스타이렌 폐기물은 산업적 사용-후 폐기물, 소비자 사용-후 폐기물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스타이렌 폐기물은 산업적 사용-후 폐기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스타이렌 폐기물은 소비자 사용-후 폐기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스타이렌 폐기물은 산업적 사용-후 폐기물 및 소비자 사용-후 폐기물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스타이렌 폐기물은 팽창 폴리스타이렌을 포함하거나, 이로 본질적으로 구성되거나, 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스타이렌 폐기물은 백색, 팽창 폴리스타이렌을 포함하거나, 이로 본질적으로 구성되거나, 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스타이렌 폐기물은 압축 폴리스타이렌을 포함하거나, 이로 본질적으로 구성되거나, 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정은 용해 단계 이전에 폴리스타이렌 폐기물을 분쇄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스타이렌/p-사이멘 혼합물은 제1 위치에서 획득될 수 있고, 상기 공정은 폴리스타이렌/p-사이멘 혼합물을 공정 내의 후속 단계가 수행될 수 있는 제2 위치로 수송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또한 본 개시의 폴리스타이렌 폐기물 재생 공정에 따라 제조된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폐기물 폴리스타이렌은 다른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뷰타다이엔, (HIPS), 스타이렌 및 아크릴로나이트릴 (SAN) 또는 아크릴로나이트릴, 뷰타다이엔 및 스타이렌 (ABS)의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폐기물 폴리스타이렌은 폴리스타이렌-co-뷰타다이엔 공중합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에 관한 구체예는 본 개시의 폴리스타이렌 폐기물 재생 공정의 관점에서 본 명세서에 논의되는 바와 같이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약 40 g/10 분 미만의 용융 흐름 지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약 3 내지 약 30 g/10 분의 용융 흐름 지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약 3 내지 약 25 g/10 분의 용융 흐름 지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약 25 g/10 분 미만의 용융 흐름 지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약 10 내지 약 20 g/10 분의 용융 흐름 지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약 40 g/10 분 미만의 용융 흐름 지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약 5 내지 약 30 g/10 분의 용융 흐름 지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약 5 내지 약 25 g/10 분의 용융 흐름 지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약 25 g/10 분 미만의 용융 흐름 지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약 10 내지 약 20 g/10 분의 용융 흐름 지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약 30 g/10 분 미만의 용융 흐름 지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약 3 내지 약 25 g/10 분의 용융 흐름 지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약 1 내지 약 15 g/10 분의 용융 흐름 지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약 10 내지 약 15 g/10 분의 용융 흐름 지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약 5 내지 약 12 g/10 분의 용융 흐름 지수를 가질 수 있다.예를 들어,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약 2 내지 약 12 g/10 분의 용융 흐름 지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약 15 g/10 분 미만의 용융 흐름 지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약 12 g/10 분 미만의 용융 흐름 지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약 5 중량% 미만의 첨가제(들)의 함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약 3 중량% 미만의 첨가제(들)의 함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약 2 중량% 미만의 첨가제(들)의 함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약 1 중량% 미만의 첨가제(들)의 함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약 0.5 중량% 미만의 첨가제(들)의 함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약 0.1 중량% 미만의 첨가제(들)의 함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약 0.05 중량% 미만의 첨가제(들)의 함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약 0.05 중량% 내지 약 1 중량%의 첨가제(들)의 함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약 0.1 중량% 내지 약 1 중량%의 첨가제(들)의 함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약 5 중량% 미만의 충전제 함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약 3 중량% 미만의 충전제 함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약 2 중량% 미만의 충전제 함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약 1 중량% 미만의 충전제 함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약 0.5 중량% 미만의 충전제 함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약 0.1 중량% 미만의 충전제 함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약 0.05 중량% 미만의 충전제 함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약 0.05 중량% 내지 약 1 중량%의 충전제 함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약 0.1 중량% 내지 약 1 중량%의 충전제 함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제는 무기 충전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된 중합체는 용매 및 비용매를 사용하는 처리를 포함함으로써 폴리스타이렌 폐기물을 재생함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된 중합체는 p-사이멘인 용매 및 C6-C8 알케인 또는 이의 혼합물인 탄화수소 폴리스타이렌 비용매를 사용하는 처리를 포함함으로써 폴리스타이렌 폐기물을 재생함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스타이렌 폐기물은 약 200,000 내지 약 350,000 g/mol의 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폴리스타이렌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스타이렌 폐기물은 약 230,000 내지 약 260,000 g/mol의 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폴리스타이렌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스타이렌 폐기물은 약 260,000 내지 약 300,000 g/mol의 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폴리스타이렌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투과성(transparent)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투명(clear)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실질적으로 투과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투과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본 개시에 기재된 임의의 공정 및/또는 방법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상기 재생된 폴리스타이렌 및 신규의 폴리스타이렌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의 용도가 제공된다.
또한, 재생된 폴리스타이렌과 신규의 폴리스타이렌의 혼합 단계를 포함하는 본 개시의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의 사용 방법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혼합물은 적어도 약 10 중량%, 적어도 약 15 중량%, 적어도 약 20 중량%, 약 1 중량% 내지 약 50 중량%, 약 5 중량% 내지 약 50 중량%, 또는 약 5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다른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뷰타다이엔 (HIPS)를 포함할 수 있, 스타이렌 및 아크릴로나이트릴 (SAN) 또는 아크릴로나이트릴, 뷰타다이엔 및 스타이렌 (ABS)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폴리스타이렌-co-뷰타다이엔 공중합체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 다음을 포함하는, 폴리스타이렌의 재생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폴리스타이렌 폐기물을 저장하기 위해 고객에게 적어도 하나의 용기를 제공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용매를 사용하여 폴리스타이렌 폐기물을 적어도 하나의 용기 내에 용해시키는 방법에 대해 지침을 고객에게 제공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용매 내 폴리스타이렌 폐기물의 농도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용기에 포함되는 액체 및/또는 고체의 부피를 선택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용기에 포함된 액체 함량의 적어도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로서, 적어도 하나의 용매로 용해된 폴리스타이렌 폐기물을 포함함;
선택적으로 일정량의 적어도 하나의 용매를 적어도 하나의 용기에 첨가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용기에 포함된 액체 함량의 적어도 부분을 설비로 수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설비에서 폴리스타이렌 폐기물을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폴리스타이렌 폐기물이 재생 또는 처리됨.
본 개시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 폴리스타이렌 폐기물의 저장 방법 및 폴리스타이렌의 재생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매를 사용하여 폴리스타이렌 폐기물을 적어도 하나의 용기 내에 용해시키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용매 내 폴리스타이렌 폐기물의 농도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용기에 포함되는 액체 및/또는 고체의 부피를 선택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용기에 포함된 액체 함량의 적어도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로서, 적어도 하나의 용매로 용해된 폴리스타이렌 폐기물을 포함함;
선택적으로 일정량의 적어도 하나의 용매를 적어도 하나의 용기에 첨가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용기에 포함된 액체 함량의 적어도 부분을 설비로 수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설비에서 폴리스타이렌 폐기물을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폴리스타이렌 폐기물이 재생 또는 처리됨.
예를 들어,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으로의 폴리스타이렌의 재생 또는 폴리스타이렌 폐기물의 전환은 본 개시에 정의된 방법에 의해 수행된다.
예를 들어, 수송은 탱크 트럭 운송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송은 탱크 열차 운송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송은 파이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송은 파이프라인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폴리스타이렌 폐기물의 재생
본 연구에서, 폴리스타이렌 폐기물은 5 개의 주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에서 재생되며, 다음의 순서를 따른다:
1. p-사이멘에 폴리스타이렌의 가용화
2. 미용해된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PS/p-사이멘 혼합물의 여과
3. PS에 대해 비용매인 무극성 용매를 사용하는 세척
4. 건조
5. PS 플라스틱 비드 성형 및 패키징
제1 단계 (가용화)단계에서, 산업적 소비-후 팽창 폴리스타이렌과 같은 폴리스타이렌 폐기물을 p-사이멘에 용해시킨다 (1-메틸-4-(1-메틸에틸)벤젠; 사이멘의 3 가지 가능한 이성질체 중 하나, 또한 천연으로 유일하게 존재). p-사이멘에서 폴리스타이렌의 용해도 한계는 실온에서 33% (w/w) 또는 28.5% (v/v)이며, 폴리스타이렌/p-사이멘 혼합물의 밀도는 1.06 kg/L의 값에 도달하며, 이는 순수한 p-사이멘의 밀도인, 0.86 kg/L를 초과한다. 용해도 한계에 도달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용해 속도는 3 배 감소한다.
가용화 단계에서, 폴리스타이렌은 이의 구조적 성질을 손실하며, 폴리스타이렌이 차지하는 부피의 감소가 발생한다. 헥사브로모사이클로도데케인 (HBCD)을 포함하는 다양한 무극성 첨가제 및 제조에 사용되는 실리콘 오일이 p-사이멘 용매에 용해된다. 상기 단계는 용해 모듈로 불리는 폐쇄된, 통기 탱크에서 수행하였다. 상기 모듈의 목적은 주어진 기간 내에 가용화될 수 있는 폴리스타이렌의 양을 최대화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용해 모듈 내의 금속 격자판은 팽창 폴리스타이렌 물질을 p-사이멘으로 밀어넣어, 예를 들어, 용해 시간을 수 시간에서 수 분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제3 단계 (세척)는 다음이 포함된 목적을 가졌다: (1) 폴리스타이렌의 침전; (2) 단계 1에서 재사용하기 위한 p-사이멘의 회수; 및 (3)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의 기계적 성질을 변화시킬 수도 있는 상이한 첨가제의 제거.
이러한 단계는 헥세인, 헵테인 또는 적절한 끓는점을 가지는 임의의 다른 탄화수소를 사용하여 가용화된 폴리스타이렌을 먼저 침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였다. 세척 단계에서 헵테인이 최상의 결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관찰되었지만, 다른 탄화수소도 또한 유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헥세인 및 옥테인을 시험하였다. 약 100 ℃ 내지 약 120 ℃의 끓는점을 가지는 석유 증류물도 또한 유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감소된 공정 및/또는 조업 비용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매는 폴리스타이렌 폐기물의 Tg 부근 또는 이보다 약간 높은 끓는점을 가질 수 있다. 폴리스타이렌의 Tg는, 예를 들어 분자량의 함수로서 가변적일 수 있으나, 폴리스타이렌 폐기물의 Tg는 일반적으로 약 98 ℃이다. 산업용 폴리스타이렌 물질의 제조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폴리스타이렌에 있어 일반적으로 분자량 또는 다분산도에 따라 Tg의 작은 변동이 있음은 당업자에게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용매는 1 atm 압력에서 최대 약 110 ℃의 끓는점, 예를 들어 약 105 ℃ 내지 약 110 ℃의 끓는점을 가질 수 있다. 적절한 탄화수소 용매는, 예를 들어 90% 초과의 p-사이멘을 용매로 이동시킬 수 있고, 폴리스타이렌에 대하여 비용매이다.
제1 세척 단계 (즉, 폴리스타이렌 침전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탄화수소의 끓는 온도에서 이를 포함하는 이중벽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 p-사이멘에 가용화된 폴리스타이렌의 혼합물을 천천히 부었다. 예시적인 실험에서, 상기 단계에 대하여 헥세인은 이의 끓는 온도 (69 ℃)에서 사용하였다. 다른 예시적인 실험에서, 상기 단계에 대하여 헵테인은 이의 끓는 온도 (98 ℃)에서 사용하였다. 전체 혼합물을 기계적 교반기의 사용을 통해 완만하게 교반하였다. 탄화수소에 첨가되는 폴리스타이렌/p-사이멘 용액의 부피는 폴리스타이렌/p-사이멘 용액 대 탄화수소 부피 비율로 1:3 이었다. 이러한 조건하에, 폴리스타이렌은 점성이 있는 백색 페이스트 형태로 침전되었다. 교반 시간 (약 5 분 내지 약 10 분)은 유용한 양의 p-사이멘을 탄화수소로 확산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그 후, 간단한 경사 분리에 의해 용매 혼합물 상등액을 제거한 다음, 침전된 폴리스타이렌의 제2 세척을 수행할 수 있었다.
제2 세척은 헵테인을 사용하여 동일한 탱크에서 수행하였다. 폴리스타이렌 : 헵테인의 1:1 부피 비율에 따라, 98 ℃의 끓는 온도를 가지는 정의된 부피의 헵테인을 탱크에 도입하였다. 대기압에서 약 2 분 내지 약 5 분에 걸쳐 완만한 기계적 교반하에 전체 혼합물을 끓였다. 제1 세척과 상이한 탄화수소를 제2 세척에서 사용하는 것은 폴리스타이렌의 전성을 증가시켜, 예를 들어, 잔여의 p-사이멘 용매 침전된 폴리스타이렌으로부터 탄화수소 내로 확산을 증가시켰다. 그 후, 간단한 경사 분리에 의해 상등액 용매 혼합물을 제거하였다. 세척 효율의 계산에 따르면, 상기 단계에서 침전된 폴리스타이렌 내에 0.1 % 미만의 p-사이멘이 잔류하였다.
폴리스타이렌 내에 p-사이멘의 존재를 더욱 감소시키기 위해 끓는 헵테인을 사용하는 제3 세척을 사용하였다. 잔류 용매의 존재는, 예를 들어 용융 흐름 지수 (MFI)라고도 불리는 용융 지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세척 효율의 정도는 MFI에 반비례한다. 사용된 세척 조건은 제2 세척 단계에서와 동일하였다.
회수된 용매 혼합물은 헥세인, 헵테인, p-사이멘 및/또는 사용된 임의의 다른 탄화수소 용매, 뿐만 아니라 PS로부터 추출된 무극성 첨가제를 포함하였다. p-사이멘 및 첨가제의 비율은 제2 및 제3 용매 혼합물에서보다 제1 용매 혼합물에서 더 높았다. 분별 증류를 사용하여 상이한 생산물을 분리하였다. p-사이멘을 가용화 단계에서 재사용한 반면, 헥세인 및 헵테인은 세척 단계에서 재사용하였다. 회수된 첨가제는 폐기용 폐기물로 간주하였다.
제4 단계 (건조)는 120 ℃ 온도의 건조기에서 약 5-37% 헵테인을 포함하는 폴리스타이렌 페이스트를 건조하는 것을 포함하였다. 중합체의 품질을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실질적으로 잔여 용매 전체를 제거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제5 단계 (패키징)는 건조된 폴리스타이렌을, 소비자에게 제품을 유통시키기에 적절한 소형 펠렛으로 절단하는 것을 포함하였다.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펠리타이저(pelletizer)를 사용하여 최종 생성물의 크기 및 형태를 조절하였다.
건조 및 압출 단계 동안 주로 관찰되는 산화로 인한 PS 열화를 제한하기 위해, 폴리스타이렌의 중량을 기준으로, 상용의 산화 방지제, 예컨대 IrganoxTM 1076 (옥타데실-3-(3,5-다이-tert.뷰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가 약 1%의 비율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은 식품 용도로 사용 가능하며, 50 ℃의 녹는점을 가지며 공정 중 다양한 시점에, 즉, 세척 단계에서 p-사이멘과 함께 및/또는 최종 압출 단계에 첨가될 수 있다.
표 1은 상기 기재된 공정의 단계를 사용하여 다양한 유형의 폐기물 폴리스타이렌을 재생한 결과를 나타낸다.
표 1 [1]
Figure 112021117094931-pat00001
Figure 112021117094931-pat00002
Irganox 1076은 산화를 방지하는 성질을 가진다. 많은 결과가 생성물 색상에 도움이 되는 효과를 나타냈다. 스타이렌에 뷰타다이엔을 첨가하면 순수한 폴리스타이렌보다 훨씬 우수한 내충격성을 나타내는 폴리스타이렌-co-뷰타다이엔 공중합체를 형성한다. 폴리스타이렌-co-뷰타다이엔 내 뷰타다이엔 유닛은 중합체 사슬과 함께 3차원 매트릭스를 생성하도록 사용될 수 있었다. 중합체 사슬 내에 가교를 형성함으로써, 분자량을 증가시켜 용융 흐름 지수를 감소시켜야 한다. 폴리(스타이렌-co-뷰타다이엔) 중합체는 4%의 뷰타다이엔을 포함한다. 소량의 뷰타다이엔은 용융 흐름 지수에 대한 차이점을 발견하기에 충분해야 하지만, 결과는 불충분했다.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험은 폴리스타이렌-사이멘 혼합물이 낮은 농도를 가지는 경우 더 우수한 결과를 나타낸다. 비용매로 혼합물의 희석은 확산 및 이에 따른 용매의 추출을 증가시킨다. 중합체 혼합물에 고체 입자를 첨가하는 것은 비용을 감소시키거나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폴리스타이렌 산업 내의 일반적인 관행이다.
표 2는 공정 내의 상이한 단계 에서 산화 방지제 Irganox 1076를 포함하는 결과를 나타낸다.
표 2
Figure 112021117094931-pat00003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든 샘플에 대한 생성물의 색상은 백색이었다. MFI는 Irganox 1076이 폴리스타이렌/p-사이멘 혼합물에 첨가된 공정으로부터 제조된 생성물에서 가장 낮았다.
표 3은 기계적 컨디셔닝 및 건조 단계의 진전의 효과를 나타낸다. 세척 폴리스타이렌과 건조 폴리스타이렌 사이 약 37.5% 차이가 존재한다. 이 시점에서, 모든 헵테인은 증발되었다. 또한, 링잉 및 조립화 단계만으로, 세척된 폴리스타이렌으로부터 14 %의 헵테인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헵테인은 세척 처리를 반복하기 위해 공정에서 회수된다. 이러한 연구에서 폴리스타이렌의 공급원은 건조 단계에 어떠한 유의한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
표 3 [1]
Figure 112021117094931-pat00004
실시예 2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을 제조하기 위해 추가적인 시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시험은 앞서 실시예 1에 기재된 공정과 유사한 공정을 사용하지만, 어떠한 Irganox의 첨가 없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시험은 패키징에 사용되는 실제 백색 팽창 폴리스타이렌에 대하여 실험실 규모로 이루어졌다.
상기 시험의 결과는 아래와 같이 제공된다.
DSC (ASTM D3418) : Tg = 108.1 ℃
IZOD 충격 시험 (ASTM D4812) : 4 번의 시험에서, 평균 충격 3,78 KJ/m2 및 175,72 J/m 및 에너지 = 0,55 J으로 완전 파열.
표 4: MFI 시험
MFI (200 ℃의 Dynisco D4002 상에서 ASTM D1238) :
Figure 112021117094931-pat00005
회분 중량 (ASTM D5630) : 0.10
표 5: VICAT 시험
VICAT 연화 온도 (ASTM D1525):
Figure 112021117094931-pat00006
표 6: VICAT 시험
인장 시험 (ASTM D638):
Figure 112021117094931-pat00007
실시예 3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을 제조하기 위해 추가적인 시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시험은 앞서 실시예 1에 기재된 공정과 유사한 공정을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상기 공정을 연속으로 수행하고, 실험실 수준에서 산업 수준으로 스케일 업 하였다. 예를 들어, 상기 공정은 시간 당 약 10 kg의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을 제조하도록 하였다. 공정의 생산성과 관련된 상기 경우의 제한 요소는 공정 그 자체가 아니라,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특정 유형의 기기에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더 큰 부피 또는 더 많은 양을 수용할 수 있는 일부 기기를 취득함으로써, 전체 공정은 시간 당 약 500 내지 약 1000 kg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에 도달할 수 있다.
상기 시험의 결과는 아래와 같이 제공된다.
ASTM D1238-13 표준에 따라, MFI = 22 g/10 분.
특정 구체예를 참조하여 설명이 이루어졌지만, 당업자는 다양한 변형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명세서 및 첨부하는 도면은 제한적인 의미가 아닌, 특정한 예시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46)

  1. ASTM D1238-13 표준에 따라 측정된 25 g/10 분 미만의 용융 흐름 지수 및 1 중량% 미만의 첨가제(들)의 함량을 가지는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이되,
    여기서 상기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0.05 중량% 내지 0.3 중량% p-사이멘을 포함하고;
    상기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C6-C8 알케인을 포함하고;
    옥타데실-3-(3,5-다이-tert-뷰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첨가제는 착색제, 충전제, 난연제, 윤활제 및 가소제로부터 선택되는 재생된 폴리스타이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0.05 중량% 내지 0.1 중량% p-사이멘을 포함하는, 재생된 폴리스타이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0.1 중량% 내지 0.3 중량% p-사이멘을 포함하는, 재생된 폴리스타이렌.
  4. 제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0.5 중량% 미만의 첨가제(들)의 함량을 가지는, 재생된 폴리스타이렌.
  5. 제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0.1 중량% 미만의 첨가제(들)의 함량을 가지는, 재생된 폴리스타이렌.
  6. 제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0.05 중량% 미만의 첨가제(들)의 함량을 가지는, 재생된 폴리스타이렌.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3 내지 25 g/10 분의 용융 흐름 지수를 가지는, 재생된 폴리스타이렌.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10 내지 20 g/10 분의 용융 흐름 지수를 가지는, 재생된 폴리스타이렌.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1 내지 15 g/10 분의 용융 흐름 지수를 가지는, 재생된 폴리스타이렌.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10 내지 15 g/10 분의 용융 흐름 지수를 가지는, 재생된 폴리스타이렌.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5 내지 12 g/10 분의 용융 흐름 지수를 가지는, 재생된 폴리스타이렌.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2 내지 12 g/10 분의 용융 흐름 지수를 가지는, 재생된 폴리스타이렌.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15 g/10 분 미만의 용융 흐름 지수를 가지는, 재생된 폴리스타이렌.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12 g/10 분 미만의 용융 흐름 지수를 가지는, 재생된 폴리스타이렌.
  1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1 중량% 미만의 무기 충전제를 포함하는, 재생된 폴리스타이렌.
  1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0.1 중량% 미만의 무기 충전제를 포함하는, 재생된 폴리스타이렌.
  1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ASTM D5630-13 표준에 따라 측정된 3 중량% 미만의 회분 중량을 가지는, 재생된 폴리스타이렌.
  1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ASTM D5630-13 표준에 따라 측정된 1 중량% 미만의 회분 중량을 가지는, 재생된 폴리스타이렌.
  1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된 폴리스타이렌은 ASTM D5630-13 표준에 따라 측정된 0.1 중량% 미만의 회분 중량을 가지는, 재생된 폴리스타이렌.
  20. ASTM D1238-13 표준에 따라 측정된 25 g/10 분 미만의 용융 흐름 지수를 가지는 재생된 폴리스타이렌 조성물이되, 상기 조성물은
    0.05 중량% 내지 0.3 중량% p-사이멘;
    C6-C8 알케인;
    0.1 중량% 내지 2 중량% 산화 방지제;
    1 중량% 미만의 첨가제,여기서 첨가제는 착색제, 충전제, 난연제, 윤활제 및 가소제로부터 선택됨; 및
    적어도 92.7 중량% 재생된 폴리스타이렌;
    를 포함하는, 재생된 폴리스타이렌 조성물.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0.05 중량% 내지 0.1 중량% p-사이멘을 포함하는, 재생된 폴리스타이렌 조성물.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0.1 중량% 내지 0.3 중량% p-사이멘을 포함하는, 재생된 폴리스타이렌 조성물.
  23. 제20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0.5 중량% 미만의 첨가제(들)의 함량을 가지는, 재생된 폴리스타이렌 조성물.
  24. 제20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0.1 중량% 미만의 첨가제(들)의 함량을 가지는, 재생된 폴리스타이렌 조성물.
  25. 제20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0.05 중량% 미만의 첨가제(들)의 함량을 가지는, 재생된 폴리스타이렌 조성물.
  26. 제20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3 내지 25 g/10 분의 용융 흐름 지수를 가지는, 재생된 폴리스타이렌 조성물.
  27. 제20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0 내지 20 g/10 분의 용융 흐름 지수를 가지는, 재생된 폴리스타이렌 조성물.
  28. 제20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 내지 15 g/10 분의 용융 흐름 지수를 가지는, 재생된 폴리스타이렌 조성물.
  29. 제20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0 내지 15 g/10 분의 용융 흐름 지수를 가지는, 재생된 폴리스타이렌 조성물.
  30. 제20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5 내지 12 g/10 분의 용융 흐름 지수를 가지는, 재생된 폴리스타이렌 조성물.
  31. 제20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2 내지 12 g/10 분의 용융 흐름 지수를 가지는, 재생된 폴리스타이렌 조성물.
  32. 제20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5 g/10 분 미만의 용융 흐름 지수를 가지는, 재생된 폴리스타이렌 조성물.
  33. 제20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2 g/10 분 미만의 용융 흐름 지수를 가지는, 재생된 폴리스타이렌 조성물.
  34. 제20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 중량% 미만의 무기 충전제를 포함하는, 재생된 폴리스타이렌 조성물.
  35. 제20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0.1 중량% 미만의 무기 충전제를 포함하는, 재생된 폴리스타이렌 조성물.
  36. 제20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ASTM D5630-13 표준에 따라 측정된 3 중량% 미만의 회분 함량을 가지는, 재생된 폴리스타이렌 조성물.
  37. 제20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ASTM D5630-13 표준에 따라 측정된 1 중량% 미만의 회분 함량을 가지는, 재생된 폴리스타이렌 조성물.
  38. 제20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ASTM D5630-13 표준에 따라 측정된 0.1 중량% 미만의 회분 함량을 가지는, 재생된 폴리스타이렌 조성물.
  39. 제20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6-C8 알케인은 헵테인인, 재생된 폴리스타이렌 조성물.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59. 삭제
  60. 삭제
  61. 삭제
  62. 삭제
  63. 삭제
  64. 삭제
  65. 삭제
  66. 삭제
  67. 삭제
  68. 삭제
  69. 삭제
  70. 삭제
  71. 삭제
  72. 삭제
  73. 삭제
  74. 삭제
  75. 삭제
  76. 삭제
  77. 삭제
  78. 삭제
  79. 삭제
  80. 삭제
  81. 삭제
  82. 삭제
  83. 삭제
  84. 삭제
  85. 삭제
  86. 삭제
  87. 삭제
  88. 삭제
  89. 삭제
  90. 삭제
  91. 삭제
  92. 삭제
  93. 삭제
  94. 삭제
  95. 삭제
  96. 삭제
  97. 삭제
  98. 삭제
  99. 삭제
  100. 삭제
  101. 삭제
  102. 삭제
  103. 삭제
  104. 삭제
  105. 삭제
  106. 삭제
  107. 삭제
  108. 삭제
  109. 삭제
  110. 삭제
  111. 삭제
  112. 삭제
  113. 삭제
  114. 삭제
  115. 삭제
  116. 삭제
  117. 삭제
  118. 삭제
  119. 삭제
  120. 삭제
  121. 삭제
  122. 삭제
  123. 삭제
  124. 삭제
  125. 삭제
  126. 삭제
  127. 삭제
  128. 삭제
  129. 삭제
  130. 삭제
  131. 삭제
  132. 삭제
  133. 삭제
  134. 삭제
  135. 삭제
  136. 삭제
  137. 삭제
  138. 삭제
  139. 삭제
  140. 삭제
  141. 삭제
  142. 삭제
  143. 삭제
  144. 삭제
  145. 삭제
  146. 삭제
KR1020217032966A 2014-10-03 2015-10-05 폴리스타이렌 폐기물 재생 공정 KR102450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33689A KR102628841B1 (ko) 2014-10-03 2015-10-05 폴리스타이렌 폐기물 재생 공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59611P 2014-10-03 2014-10-03
US62/059,611 2014-10-03
PCT/CA2015/051006 WO2016049782A1 (en) 2014-10-03 2015-10-05 Processes for recycling polystyrene waste
KR1020177012204A KR102314967B1 (ko) 2014-10-03 2015-10-05 폴리스타이렌 폐기물 재생 공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2204A Division KR102314967B1 (ko) 2014-10-03 2015-10-05 폴리스타이렌 폐기물 재생 공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3689A Division KR102628841B1 (ko) 2014-10-03 2015-10-05 폴리스타이렌 폐기물 재생 공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029A KR20210128029A (ko) 2021-10-25
KR102450016B1 true KR102450016B1 (ko) 2022-09-30

Family

ID=55629222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3689A KR102628841B1 (ko) 2014-10-03 2015-10-05 폴리스타이렌 폐기물 재생 공정
KR1020247002250A KR20240013289A (ko) 2014-10-03 2015-10-05 폴리스타이렌 폐기물 재생 공정
KR1020217032966A KR102450016B1 (ko) 2014-10-03 2015-10-05 폴리스타이렌 폐기물 재생 공정
KR1020177012204A KR102314967B1 (ko) 2014-10-03 2015-10-05 폴리스타이렌 폐기물 재생 공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3689A KR102628841B1 (ko) 2014-10-03 2015-10-05 폴리스타이렌 폐기물 재생 공정
KR1020247002250A KR20240013289A (ko) 2014-10-03 2015-10-05 폴리스타이렌 폐기물 재생 공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2204A KR102314967B1 (ko) 2014-10-03 2015-10-05 폴리스타이렌 폐기물 재생 공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4) US20170298207A1 (ko)
EP (2) EP3201246B1 (ko)
JP (1) JP6639508B2 (ko)
KR (4) KR102628841B1 (ko)
CN (3) CN107001520B (ko)
CA (3) CA2959082C (ko)
DE (3) DE202015009891U1 (ko)
ES (1) ES2758521T3 (ko)
PL (1) PL3201246T3 (ko)
WO (1) WO20160497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39508B2 (ja) 2014-10-03 2020-02-05 ポリスティヴァー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ポリスチレン廃棄物を再生するためのプロセス
EP3713996A4 (en) * 2017-11-20 2021-10-13 Polystyvert Inc. POLYSTYRENE WASTE RECYCLING PROCESSES
CA3219300A1 (en) * 2018-10-26 2020-04-30 Polystyvert Inc. Processes for recycling polystyrene waste and/or polystyrene copolymer waste
US11408098B2 (en) 2019-03-22 2022-08-09 Global Materials Development, LLC Methods for producing polymer fibers and polymer fiber products from multicomponent fibers
FR3102768B1 (fr) 2019-10-30 2022-12-16 Arkema France Procédé de valorisation de retardateurs de flamme bromés
KR20230004588A (ko) 2020-04-15 2023-01-06 레고 에이/에스 재활용된 abs 재료로 만들어진 완구 조립 브릭
CN116457109A (zh) * 2020-08-07 2023-07-18 Apk股份公司 用于塑料预处理和基于溶剂的塑料回收的方法
EP4019576A1 (en) * 2020-12-28 2022-06-29 Trinseo Europe GmbH Recycling method for elastomer toughened thermoplastic polymers
CA3237599A1 (en) * 2021-11-11 2023-05-19 Roland Cote Methods of recycling polystyrene material comprising brominated contaminants
WO2023211390A1 (en) * 2022-04-26 2023-11-02 Sabanci Universitesi A method of recovery of polyolefins from waste materials, and polyolefin product so recovered
WO2024038130A1 (de) 2022-08-17 2024-02-22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erfahren zum recycling mindestens eines zielpolymers aus mindestens einen kontaminanten aufweisenden kunststoff-abfällen
WO2024061704A1 (en) 2022-09-19 2024-03-28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Methods of making polyvinyl cyclohexane via hydrogenation of waste polystyrene sourc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3703A (ja) 2004-12-15 2006-07-27 Masao Umemoto 発泡スチロールリサイクル方法
WO2007052366A1 (ja) 2005-11-04 2007-05-10 Masao Umemoto 発泡スチロールの減容回収方法及び装置
WO2011123597A1 (en) 2010-03-31 2011-10-06 Fina Technology, Inc. Polystyrene blends
JP2014030821A (ja) 2012-07-10 2014-02-20 Japan Organo Co Ltd 白金族金属担持接触水素化還元触媒及び接触水素化還元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558674A (ko) 1956-07-02
US3836486A (en) 1971-01-13 1974-09-17 Hafner Industries Vinyl chloride polymer recovery process
DE2419969A1 (de) * 1974-04-25 1975-11-13 Basf Ag Feinteilige expandierbare styrolpolymerisate
FR2280492A1 (fr) 1974-07-31 1976-02-27 Emery Guy Procede et installation permettant de recuperer des matieres plastiques melangees, de toutes provenances
US4003881A (en) 1975-02-24 1977-01-18 Monsanto Company Polyester polymer recovery from dyed polyester fabrics
JPS5229879A (en) 1975-09-02 1977-03-07 Mitsubishi Heavy Ind Ltd Process for processing disposed polymer mixture
US4071479A (en) 1976-03-25 1978-01-31 Western Electric Company, Inc. Reclamation processing of vinyl chloride polymer containing materials and products produced thereby
US4360486A (en) * 1981-11-10 1982-11-23 Mobil Oil Corporation Process for introducing an additive material to polymeric foams
KR930004370B1 (ko) * 1989-08-28 1993-05-26 주식회사 선경인더스트리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중합체의 회수방법
US5198471A (en) 1989-09-11 1993-03-30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Polymer recycling by selective dissolution
GB8926568D0 (en) 1989-11-24 1990-01-17 Cabot Plastics Belgium Improvements relating to polymeric material
US5269948A (en) 1990-10-22 1993-12-14 Mobil Oil Corporation Decontamination of polystyrene
US5232954A (en) 1992-05-12 1993-08-03 Peters Donald F Process for recovering thermoplastic resins using esters
EP0603434A1 (de) 1992-12-18 1994-06-29 Karl Fischer Industrieanlagen Gmbh Polyamid-Rückgewinnung
AU6544294A (en) * 1993-04-20 1994-11-08 Sekitei America Corporation Polystyrene-dissolving agent
US5302625A (en) 1993-05-27 1994-04-12 Darlene May Paris Method for reducing the melt flow rate of flame retardant expanded polystyrene
WO1995000582A1 (fr) 1993-06-24 1995-01-05 Guanghua Plastics Company Procedes de recyclage des dechets de mousse de polystyrene
JPH07214028A (ja) * 1994-02-10 1995-08-15 Sekisui Plastics Co Ltd 難燃剤入り発泡ポリスチレン成形品からのポリスチレンの回収方法
WO1995023640A1 (en) 1994-03-04 1995-09-08 Memtec America Corporation Large pore synthetic polymer membranes
DE4438376A1 (de) 1994-10-27 1996-05-02 Basf Ag Recyclat enthaltende, expandierbare Styrolpolymerisate
US5824709A (en) 1994-11-16 1998-10-20 Suka; Motoshi Method for recycling waste plastic material containing styrene polymer
US5629352A (en) 1995-04-24 1997-05-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olvent for polystyrene, method for reducing volume of polystyrene foam and method for recycling polystyrene foam
JP3026415B2 (ja) 1995-05-15 2000-03-27 生研化学株式会社 発泡スチロールの処理方法
CN1143653A (zh) 1995-08-23 1997-02-26 沈鸿雁 回收废旧聚苯乙烯塑料的方法
KR19990044207A (ko) 1995-09-01 1999-06-25 그레이스 스티븐 에스 소비후 재생된 폴리스티렌을 포함하는 폴리스티렌 박막
US5594035A (en) * 1995-11-13 1997-01-14 Basf Corporation Reclamation of polymers, that contain styrene in the polymeric backbone, using a water soluble solvent based reclamation process
US5994417A (en) 1996-06-04 1999-11-30 Auburn University Process for recovering polymers from commingled materials
JP3738403B2 (ja) 1996-09-12 2006-01-25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ポリオレフィン架橋材またはポリオレフィン発泡材の再生処理方法
JPH10195232A (ja) 1997-01-09 1998-07-28 Makoto Miyazaki 発泡スチロールのリサイクルを沈澱法により連続的に行う製造方法
JPH10338768A (ja) 1997-06-09 1998-12-22 Makoto Miyazaki 発泡スチロールのリサイクルを溶解と沈澱を単品の溶剤で行う製造方法
US5891403A (en) 1997-07-17 1999-04-06 Badger; Berkley 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osal of expanded polystyrene waste
FR2766832B1 (fr) 1997-08-04 1999-10-29 Financ Lea Sarl Transformation de polymeres expanses
DE19735827B4 (de) 1997-08-18 2006-08-17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styrol
JP3530995B2 (ja) 1997-09-11 2004-05-24 日立造船株式会社 発泡ポリスチレンのリサイクル方法
US6034142A (en) 1997-12-12 2000-03-07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recycling aromatic polycarbonates
CA2274397A1 (en) 1998-06-18 1999-12-18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ycling styrene resin
DE19838141A1 (de) 1998-08-21 2000-02-24 Mueller Pete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ortenreinen Rückgewinnung von PVC-haltigen Kunststoffabfällen
JP2000248109A (ja) 1999-03-02 2000-09-12 Hitachi Zosen Corp スチレン系合成樹脂のリサイクル方法
JP4092815B2 (ja) 1999-05-31 2008-05-28 ソニー株式会社 スチロール樹脂廃材のリサイクル方法
JP2001172423A (ja) * 1999-12-21 2001-06-26 Junichi Iwamura ポリスチレンの回収・精製方法および装置
US20040229965A1 (en) 2000-08-11 2004-11-18 Andreas Maurer Method for separating and recovering target polymers and their additives from a material containing polymers
US6720467B2 (en) 2000-10-11 2004-04-13 Resource Recovery Technologies, Inc. Polystyrene reclamation process
WO2002048246A1 (en) 2000-12-16 2002-06-20 Victech Co., Ltd. Volume reducing agents for expanded polystyrene,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expanded polystyrene using the same
AU2002363094A1 (en) * 2001-10-24 2003-05-06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e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Recycling of waste expanded polystyrene foams to give products which may be re-expanded
AU2002361074A1 (en) * 2001-12-04 2003-06-17 Shigenobu Hamano Solvent for treating polystyrene resin and method of treating polystyrene resin with the same
JP2004051620A (ja) 2002-05-30 2004-02-19 Victor Co Of Japan Ltd 廃プラスチックからの有用物回収方法
TWI312291B (en) 2003-04-11 2009-07-21 Shigenobu Haman Filtration equipment for volume reduced gel type polystyrene resin
CA2527890A1 (en) 2003-07-03 2005-02-10 U.S. Hu Bang Co., Ltd. Method of recycling solid waste polystyrene packing materials
ITMI20031704A1 (it) 2003-09-04 2005-03-05 Polimeri Europa Spa Uso di dialchil carbonati come solventi per il polistirene espanso.
FR2864544B1 (fr) 2003-12-31 2006-05-19 Eska Procede de solubilisation du polystyrene expanse
DE102004018287B4 (de) 2004-04-15 2006-04-27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erfahren zum Recycling von Polyestern oder Polyestergemischen aus polyesterhaltigen Abfällen
DE102005026451A1 (de) 2005-06-08 2006-12-14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erfahren zum Recycling von Kunststoffen und dessen Verwendung
FI20050708A (fi) 2005-07-01 2007-01-02 Valtion Teknillinen Menetelmä polystyreenin kierrättämiseksi
ITMI20051409A1 (it) 2005-07-22 2007-01-23 Polimeri Europa Spa Procedimento migliorato per il riciclo del polistirene espanso
FR2889849B1 (fr) 2005-08-19 2007-10-05 Solvay Procede de recuperation d'un polymere a partir d'un milieu liquide
JP2009120682A (ja) * 2007-11-13 2009-06-04 Kitami Institute Of Technology 発泡ポリスチレン減容天然溶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発泡ポリスチレン減容処理方法
EP2119741A1 (en) 2008-05-09 2009-11-18 SOLVAY (Société Anonyme) Process for recycling articles based on a fibre reinforced polymer
CN101307150B (zh) 2008-07-10 2011-11-09 昆明理工大学 一种废旧聚苯乙烯回收利用的新方法
CN101367956B (zh) 2008-10-13 2011-02-02 吉林大学 一种用植物油脂甲酯化产物作减容剂回收聚苯乙烯泡沫塑料的方法
US20100222532A1 (en) * 2009-02-27 2010-09-02 Fina Technology, Inc. Polystyrene Having High Melt Flow and High Vicat
US8518319B2 (en) * 2009-03-19 2013-08-27 Nanostatics Corporation Process of making fibers by electric-field-driven spinning using low-conductivity fluid formulations
ES2879933T3 (es) 2009-12-17 2021-11-23 Fraunhofer Gesellschaft Zur Foerderung Der Angewandten Wss E V Procedimiento para el tratamiento de residuos con contenido en materiales sintéticos
AR082900A1 (es) 2010-09-10 2013-01-16 Green Source Energy Llc Composiciones y metodos para reciclar plasticos que comprenden polimeros mediante el tratamiento de solvente
DE102010042959A1 (de) 2010-10-26 2012-04-26 Krone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inigung von thermoplastischen Polymeren
US8969638B2 (en) 2010-11-02 2015-03-03 Fina Technology, Inc. Depolymerizatin of plastic materials
US8383751B2 (en) 2011-06-29 2013-02-26 Fina Technology, Inc. High melt strength polystyrene and methods of making same
GB201122017D0 (en) 2011-12-20 2012-02-01 Styron Europe Gmbh Process for preparing polystyrene having a high melt flow rate
WO2013106505A1 (en) 2012-01-10 2013-07-18 Rhodia Operations Systems and methods for polystyrene foam recycling using branched dibasis esters
CN102719030A (zh) * 2012-07-04 2012-10-10 冠捷显示科技(厦门)有限公司 废旧家电聚苯乙烯外壳料的回收再利用方法
US8609778B1 (en) * 2012-08-09 2013-12-17 Americas Styrenics, LLC Styrenic resin incorporating recycled polystyrene
JP2014126524A (ja) * 2012-12-27 2014-07-07 Tosoh Corp 抗体固定化ジルコニア粒子
GB201317191D0 (en) 2013-09-27 2013-11-13 Osborn Francis Polystyrene recovery method
WO2015159221A1 (en) 2014-04-15 2015-10-22 Eni S.P.A. Process for the impregnation of polymer substrates
PL231669B1 (pl) 2014-06-25 2019-03-29 Laboratorium Czystych Tech Acren Spolka Z Ograniczona Odpowiedzialnoscia Sposób recyklingu odpadowych materiałów termoizolacyjnych
US9664175B2 (en) 2014-08-30 2017-05-30 X Development Llc Carbon fiber motor rotor integrating propeller mount
JP6639508B2 (ja) 2014-10-03 2020-02-05 ポリスティヴァー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ポリスチレン廃棄物を再生するためのプロセス
EP3317335B1 (en) 2015-06-30 2024-01-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purifying contaminated polymers
JP6504985B2 (ja) * 2015-09-29 2019-04-24 Kddi株式会社 商品販売システム及び発注方法
DK3362507T3 (da) 2015-10-16 2020-03-09 Suez Groupe Fremgangsmåde til affarvning af plastpolyolefinmateriale
CN109071702A (zh) 2016-04-29 2018-12-21 Sabic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用于生产共聚物的方法
US20180022888A1 (en) 2016-07-22 2018-01-25 Nano And Advanced Materials Institute Limited Recycling process for expanded polystyrene wastes
CN107641216B (zh) 2016-07-22 2020-08-07 纳米及先进材料研发院有限公司 发泡聚苯乙烯废料的回收方法
EP3713996A4 (en) 2017-11-20 2021-10-13 Polystyvert Inc. POLYSTYRENE WASTE RECYCLING PROCESSES
GB2570019B (en) 2018-09-17 2021-04-21 Impact Laboratories Ltd Plastic recycling process
CA3219300A1 (en) 2018-10-26 2020-04-30 Polystyvert Inc. Processes for recycling polystyrene waste and/or polystyrene copolymer wast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3703A (ja) 2004-12-15 2006-07-27 Masao Umemoto 発泡スチロールリサイクル方法
WO2007052366A1 (ja) 2005-11-04 2007-05-10 Masao Umemoto 発泡スチロールの減容回収方法及び装置
WO2011123597A1 (en) 2010-03-31 2011-10-06 Fina Technology, Inc. Polystyrene blends
JP2014030821A (ja) 2012-07-10 2014-02-20 Japan Organo Co Ltd 白金族金属担持接触水素化還元触媒及び接触水素化還元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73696A1 (en) 2022-03-10
US20170298207A1 (en) 2017-10-19
JP6639508B2 (ja) 2020-02-05
CN110256727A (zh) 2019-09-20
EP3201246B1 (en) 2019-09-04
EP3201246A4 (en) 2017-10-11
US11407878B2 (en) 2022-08-09
EP3575353A1 (en) 2019-12-04
EP3201246A1 (en) 2017-08-09
CA3147655A1 (en) 2016-04-07
CA3042919C (en) 2022-03-08
CN107001520B (zh) 2019-07-19
KR20220138014A (ko) 2022-10-12
CA2959082C (en) 2019-09-24
WO2016049782A1 (en) 2016-04-07
KR102314967B1 (ko) 2021-10-20
JP2017536469A (ja) 2017-12-07
DE19183601T1 (de) 2021-03-11
CN107001520A (zh) 2017-08-01
US20200165407A1 (en) 2020-05-28
CN114773665A (zh) 2022-07-22
CA2959082A1 (en) 2016-04-07
KR102628841B1 (ko) 2024-01-24
DE202015009891U1 (de) 2021-02-03
CA3042919A1 (en) 2016-04-07
DE202015009899U1 (de) 2021-03-09
KR20240013289A (ko) 2024-01-30
PL3201246T3 (pl) 2020-03-31
US20230002583A1 (en) 2023-01-05
KR20210128029A (ko) 2021-10-25
KR20170068516A (ko) 2017-06-19
ES2758521T3 (es) 2020-05-05
CN110256727B (zh) 202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0016B1 (ko) 폴리스타이렌 폐기물 재생 공정
JP7343723B2 (ja) ポリスチレン廃棄物を再生するためのプロセ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