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9542B1 - 누수방지가 가능한 신축이음장치 - Google Patents

누수방지가 가능한 신축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9542B1
KR102449542B1 KR1020220083429A KR20220083429A KR102449542B1 KR 102449542 B1 KR102449542 B1 KR 102449542B1 KR 1020220083429 A KR1020220083429 A KR 1020220083429A KR 20220083429 A KR20220083429 A KR 20220083429A KR 102449542 B1 KR102449542 B1 KR 102449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sion joint
drainage material
joint body
weight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3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희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우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우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우산업
Priority to KR1020220083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95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8L33/06
    • C08L33/066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8L33/06 containing -OH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rub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3Waterproofing of bridge decks; Other insulations for bridges, e.g. thermal ; Bridge deck surfac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재질이 달라 용접이 불가능한 신축이음본체와 배수재 사이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누수방지가 가능한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구조물(1)의 하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두 개의 신축이음본체(10), 양단이 각각 두 개의 상기 신축이음본체(10)에 결합되는 배수재(20), 상기 신축이음본체(10)와 상기 배수재(20)를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장치(30) 및 상기 신축이음본체(10)와 상기 배수재(20)의 접촉부에 도포되는 액상고분자 고무(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누수방지가 가능한 신축이음장치{Expansion joint device that can prevent leakage}
본 발명은 누수방지가 가능한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축이음장치는 교량에 있어서 상부구조물의 변위와 변형을 원활하게 수용하여 2차 응력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차량이 교면을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하며, 교면수나 각종 오물이 하부로 유입되어 교좌장치의 부식이나 콘크리트의 부식을 방지하는 등의 역할을 하는 장치이다.
신축이음장치는 교량의 표면에 노출되는 장치로서 교통량 및 중차량의 증가에 따른 내구성이 중요시되고 있으며, 교량의 적정수명 중 유지보수가 불가피한 교량요소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신축이음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이음장치는 상부구조물(1)의 하부에 설치되며, 신축이음본체(10), 배수재(20) 및 결합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신축이음본체(10)는 강체로,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신축이음본체(10)는 두 개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두 개의 신축이음본체(10) 사이에는 탄성재질,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무로 형성된 배수재(20)가 U자 형태로 위치하고, 결합장치(30)는 신축이음본체(10)와 배수재(20)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부구조물(1)은 배수재(20)의 위치를 기준으로 좌우로 나뉘고, 상부구조물(1)을 통한 교면수 및 각종 오물은 배수재(20)를 통해 하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종래의 신축이음장치는, 신축이음본체(10)와 배수재(20)의 재질상의 차이로 인해, 용접과 같은 방식을 사용하지 못하고, 결합장치(30)를 이용해 신축이음본체(10)와 배수재(20)를 서로 결합시켰다. 이러한 방식은 신축이음본체(10)와 배수재(20) 사이의 완벽한 밀착이 어려워 조립 또는 시공시 두 개의 부재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간극은 누수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공개공보 제10-2020-0081951호(“설치 시공성이 향상된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공개일 2020.07.08.)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재질이 달라 용접이 불가능한 신축이음본체와 배수재 사이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누수방지가 가능한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누수방지가 가능한 신축이음장치는 상부구조물(1)의 하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두 개의 신축이음본체(10), 양단이 각각 두 개의 상기 신축이음본체(10)에 결합되는 배수재(20), 상기 신축이음본체(10)와 상기 배수재(20)를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장치(30) 및 상기 신축이음본체(10)와 상기 배수재(20)의 접촉부에 도포되는 액상고분자 고무(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액상고분자 고무(40)는 상기 신축이음본체(10)와 상기 배수재(20)의 접촉면 사이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액상고분자 고무(40)는 상기 신축이음본체(10)의 표면 중, 상기 배수재(20)의 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축이음본체(10)와 상기 배수재(20)의 접촉부를 덮어, 상기 액상고분자 고무(40)를 덮는 커버(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재(20)의 양단의 단부 또는 상기 신축이음본체(10)측 일면에는 그루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누수방지가 가능한 신축이음장치에 의하면, 신축이음본체와 배수재 사이의 접촉부에 액상고분자 고무를 도포함으로서, 재질상의 차이로 서로 용접이 불가능하여 신축이음본체와 배수재 사이의 공간으로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신축이음장치의 정면 개략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누수방지가 가능한 신축이음장치의 정면 개략도이며,
도 4는 도 2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누수방지가 가능한 신축이음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누수방지가 가능한 신축이음장치의 신축이음본체의 다른 형태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누수방지가 가능한 신축이음장치의 다른 형태의 정면 개략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누수방지가 가능한 신축이음장치의 정면 개략도이고,
도 9는 도 8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누수방지가 가능한 신축이음장치의 정면 부분 확대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누수방지가 가능한 신축이음장치의 정면 개략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누수방지가 가능한 신축이음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누수방지가 가능한 신축이음장치의 정면 개략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누수방지가 가능한 신축이음장치는, 신축이음본체(10), 배수재(20), 결합장치(30) 및 액상고분자 고무(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축이음본체(10)는 상부구조물(1)의 하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신축이음본체(10)는 두 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역자로 꺾인 두 개의 부재의 일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축이음본체(10)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재(20)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 예를 들어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 형태로 휘어져 양단의 외측면이 신축이음본체(10)와 면접할 수 있다.
배수재(20)는 상부구조물(1)로부터 유입되는 교면수를 배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신축이음본체(10)와 배수재(20)는 재질상의 차이로 용접이 불가능해, 신축이음본체(10)와 배수재(20)의 접촉부로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접촉부란, 신축이음본체(10)와 배수재(20) 사이의 접촉면과, 배수재(20)의 단부와 신축이음본체(10)의 일면이 만나는 부분을 모두 합한 개념이라고 정의한다.
상기 결합장치(30)는 신축이음본체(10)와 배수재(20)를 서로 결합시키는 부재이다. 도 2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 결합장치(30)는 일종의 볼트 및 너트일 수 있으며, 결합장치(30)는 신축이음본체(10)와 배수재(20)를 함께 관통 및 볼팅되어 신축이음본체(10)와 배수재(20)를 서로 결합시킨다.
이때, 배수재(20)측 일면에는 볼팅에 의한 압력으로 배수재(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압력을 분산시키는 일종의 와셔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정면도이므로 명확하게 도시되진 않았지만 신축이음본체(10)와 배수재(20) 각각은 일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지며, 결합장치(30)는 신축이음본체(10)와 배수재(20)의 연장 형성된 방향으로 다수개가 일정 간격 이격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 결합장치(30)는 볼트 및 너트이지만, 본 발명은 결합장치(30)의 형상을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결합장치(30)의 다른 형태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4는 도 2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고분자 고무(40)는 신축이음본체(10)와 배수재(20)의 접촉부(신축이음본체(10)의 일면과 배수재(20)의 단부가 만나는 부분)에 도포된다.
액상고분자 고무(40)는 도포된 후 소정 시간 이후에 경화되는 형태로, 서로 이종의 재질인 신축이음본체(10)와 배수재(20)의 접촉부에 도포되어, 신축이음본체(10)와 배수재(20) 사이로 누수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은 액상고분자 고무(40)를 소정 시간 이후에 경화되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경화되지 않는 액상고분자 고무(40)를 사용하는 예가 있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누수방지가 가능한 신축이음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고분자 고무(40)는 신축이음본체(10)와 배수재(20)가 연장된 방향으로, 접촉부를 따라 도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액상고분자 고무(40)는 열가소성 고무 및 노화방지제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고무 조성물은 열가소성 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노화방지제 1~1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고무는 탄성, 신축성, 내후성 및 밀착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R),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EPDM), 천연고무(NR), 부타디엔 고무(BR),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고무(SBS), 폴리클로로프렌 고무(CR),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NBR) 및 이소프렌 고무(IR)로부터 하나 이상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노화방지제는 내피로성 및 내오존성 향상을 위해 사용하며, 아연-2-에틸헥사노에이트(Zinc-2-ethylhexanoate), 4-(1-메틸-1-페닐에틸)-N-[4-(1-메틸-1-페닐에틸)페닐]아닐린, 아연 메틸 메르캅토벤즈이미다졸, N-(1,3-디메틸부틸)-N'-페닐-p-페닐렌디아민, 파라민 왁스, 폴리(2,2,4-트리메틸-1,2-디하이드로퀴놀린), 아연 디아크릴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노화방지제는 열가소성 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 사용되며,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내구성이 저하되고,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내열성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고무 조성물은 신축성 및 밀착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폴리우레탄 수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 수지는 열가소성 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5~20중량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5중량부 미만인 경우 신축성이 저하되고, 2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내구성 및 내열성이 저하된다.
상기 고무 조성물은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에폭시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화합물은 비스페놀 A(Bisphenol A; BPA),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글리시딜 에테르(Trimethylolpropane triglycidyl ether; TMPTGE),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 에테르(1,6-hexanediol diglycidyl ether; HDGE) 및 부틸글리시딜 에테르(Butylglycidyl ether; BGE)의 반응에 의해 제조되며, 비스페놀 A,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글리시딜 에테르,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 에테르 및 부틸글리시딜 에테르가 반응하여 말단에 에폭시기를 갖는 에폭시 화합물이 제조된다.
이때 비스페놀 A 100중량부에 대하여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글리시딜 에테르 5~30중량부,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 에테르 5~20중량부 및 부틸글리시딜 에테르 5~20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에폭시 화합물의 함량은 열가소성 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조성물의 접착성이 저하되고,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내구성 및 내후성이 저하된다.
상기 고무 조성물은 탄성 및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란 커플링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는 유기 화합물과 결합할 수 있는 유기 관능기 및 무기물과 반응할 수 있는 가수분해기를 가지며,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들 사이의 계면 접착력을 향상시켜 제조된 고무제품의 탄성, 내후성 및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로는 알킬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아미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에폭시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메르캅토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불소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비닐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등이 사용된다.
실란 커플링제의 함량은 열가소성 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접착력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고,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과다한 실란 커플링제의 사용으로 오히려 계면 접착 특성 및 내구성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고무 조성물은 조성물 내의 성분들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고, 내열성 및 내수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및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의 공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로는 3-메타크릴록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록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메타크릴록시메틸트리에톡시실란, 메타크릴록시메틸트리메톡시실란 등이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및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의 중량비는 60~80:20~40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치 범위에서 조성물의 내수성, 내후성, 내열성 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는 열가소성 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 사용되며,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내구성이 저하되고,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내열성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고무 조성물은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아크릴산계 모노머 및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의 공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조성물의 접착력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산계 모노머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부틸 아크릴산, 2-에틸 헥실 아크릴산, 데실아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에틸 메타크릴산, 부틸 메타크릴산, 2-에틸 헥실 메타크릴산, 데실메타크릴산 등이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아크릴산계 모노머 및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의 중량비는 100:20~50:2~10 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치 범위에서 조성물의 방염성, 내열성 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는 열가소성 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1~5중량부 사용되며,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첨가의 효과가 미미하고, 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내구성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고무 조성물은 충전제, 가소제, 활성화제, 열안정제, 황, 가황촉진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액상고분자 고무(40)를 신축이음본체(10) 및 배수재(20)의 조립 전, 조립 시 또는 조립 후 접촉부에 도포하여, 완벽한 밀착이 어려운 두 개의 부재 사이의 간극을 메워 누수를 방지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신축이음장치는 높은 신장율(450%)을 가져 구조물의 거동 시 신축이음본체(10) 및 배수재(20)의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공극발생을 방지하고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배수재(20)의 양단의 단부 또는 상기 신축이음본체(10)측 일면에는 그루브가 형성되어, 액상고분자 고무(40)와 배수재(20) 사이 및 액상고분자 고무(40)와 신축이음본체(10)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누수방지가 가능한 신축이음장치의 신축이음본체의 다른 형태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누수방지가 가능한 신축이음장치의 다른 형태의 정면 개략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이음본체(10)는 기역자 형태로 꺾인 형상이 아닌, 일측에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결합장치(30)가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의 신축이음본체(10)에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배수재(20)의 일단이 휘어지면서 결합장치(30) 사이의 결합공간(12)에 삽입될 수 있다. 신축이음본체(10)와 배수재(20)가 이러한 형태로 서로 결합되더라도, 두 부재의 재질상의 차이 때문에 용접이 불가능하여 누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신축이음본체(10)와 배수재(20)의 접촉부에 액상고분자 고무(40)를 도포하여,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누수방지가 가능한 신축이음장치의 정면 개략도이고, 도 9는 도 8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고분자 고무(40)는 신축이음본체(10)와 배수재(20)의 접촉부 중, 서로 면접하는 신축이음본체(10)의 일면과 배수재(20)의 일면 사이에 도포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결합장치(30)를 이용해 신축이음본체(10)와 배수재(20)를 서로 결합시키기 이전에, 액상고분자 고무(40)를 신축이음본체(10)의 일면 또는 배수재(20)의 일면에 도포한 후 결합장치(30)를 이용해 신축이음본체(10)와 배수재(20)를 서로 결합시켜야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누수방지가 가능한 신축이음장치의 정면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누수방지가 가능한 신축이음장치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누수방지가 가능한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신축이음본체(10)의 단부에 배수재(20)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단차부(11)가 형성된다.
상기 단차부(11)는 신축이음본체(10)의 일면에 도포된 액상고분자 고무(40)가 도포된 후 흘러내리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하며, 본 실시예는 이를 통해 시공 후 액상고분자 고무(40)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신축이음본체(10) 및 배수재(20)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누수방지가 가능한 신축이음장치의 정면 개략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누수방지가 가능한 신축이음장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누수방지가 가능한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커버(50)를 더 포함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50)는 신축이음본체(10)와 배수재(20)의 접촉부(신축이음본체(10)의 일면과 배수재(20)의 단부가 서로 만나는 부분)를 덮어, 액상고분자 고무(40)를 덮어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커버(50)는 배수재(20)의 두께만큼의 단차를 갖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버(5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액상고분자 고무(40)를 덮은 후 신축이음본체(10)와 배수재(20) 중 적어도 한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커버(50)는 시공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 상부구조물
10 : 신축이음본체
11 : 단차부
12 : 결합공간
20 : 배수재
30 : 결합장치
40 : 액상고분자 고무
50 : 커버

Claims (5)

  1. 상부구조물(1)의 하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두 개의 신축이음본체(10);
    양단이 각각 두 개의 상기 신축이음본체(10)에 결합되는 배수재(20);
    상기 신축이음본체(10)와 상기 배수재(20)를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장치(30); 및
    상기 신축이음본체(10)와 상기 배수재(20)의 접촉부에 도포되는 액상고분자 고무(40);를 포함하는 누수방지가 가능한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상고분자 고무(40)는 열가소성 고무; 노화방지제; 폴리우레탄 수지; 실란 커플링제;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및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의 공중합체; 및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아크릴산계 모노머 및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로부터 제조되고,
    상기 고무 조성물은 열가소성 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노화방지제 1~10중량부, 폴리우레탄 수지 5~20중량부, 실란 커플링제 1~10중량부,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및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의 공중합체 1~10중량부 및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아크릴산계 모노머 및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의 공중합체 1~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방지가 가능한 신축이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재(20)의 양단의 단부에는 그루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방지가 가능한 신축이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고분자 고무(40)는 상기 신축이음본체(10)와 상기 배수재(20)의 접촉면 사이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방지가 가능한 신축이음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고분자 고무(40)는 상기 신축이음본체(10)의 표면 중, 상기 배수재(20)의 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방지가 가능한 신축이음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이음본체(10)와 상기 배수재(20)의 접촉부를 덮어, 상기 액상고분자 고무(40)를 덮는 커버(5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방지가 가능한 신축이음장치.
KR1020220083429A 2022-02-18 2022-07-06 누수방지가 가능한 신축이음장치 KR102449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3429A KR102449542B1 (ko) 2022-02-18 2022-07-06 누수방지가 가능한 신축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659A KR102419801B1 (ko) 2022-02-18 2022-02-18 누수방지가 가능한 신축이음장치
KR1020220083429A KR102449542B1 (ko) 2022-02-18 2022-07-06 누수방지가 가능한 신축이음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1659A Division KR102419801B1 (ko) 2022-02-18 2022-02-18 누수방지가 가능한 신축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9542B1 true KR102449542B1 (ko) 2022-09-30

Family

ID=8242006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1659A KR102419801B1 (ko) 2022-02-18 2022-02-18 누수방지가 가능한 신축이음장치
KR1020220083429A KR102449542B1 (ko) 2022-02-18 2022-07-06 누수방지가 가능한 신축이음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1659A KR102419801B1 (ko) 2022-02-18 2022-02-18 누수방지가 가능한 신축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1980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8776A (ja) * 1995-09-14 1997-03-25 Ereganto:Kk 防水被覆の構造及び防水被覆の形成方法
KR101810453B1 (ko) * 2017-02-16 2017-12-20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도포방수제를 이용한 신축이음장치 방수 시공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신축이음장치
KR20200081951A (ko) 2018-12-28 2020-07-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설치 시공성이 향상된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779B1 (ko) * 2019-10-02 2020-05-15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배수시트가 없는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8776A (ja) * 1995-09-14 1997-03-25 Ereganto:Kk 防水被覆の構造及び防水被覆の形成方法
KR101810453B1 (ko) * 2017-02-16 2017-12-20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도포방수제를 이용한 신축이음장치 방수 시공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신축이음장치
KR20200081951A (ko) 2018-12-28 2020-07-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설치 시공성이 향상된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9801B1 (ko) 202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92176A1 (en) Outdoor tank waterproofing sheet and outdoor tank waterproofing method
KR102449542B1 (ko) 누수방지가 가능한 신축이음장치
KR102185990B1 (ko) 철근간섭방지 및 누수방지를 갖는 레일형 신축이음장치와 시공방법
CN107255036A (zh) 自复位承压减震止水件及隧道柔性接头
JP2018071057A (ja) 止水部材、止水構造および止水部材の施工方法
JPH0754132B2 (ja) 免震装置
JP2005171604A (ja) Pc構造物の外ケーブルの防食構造
JP4157198B2 (ja) 既設管路のフランジ部接合構造
KR100469473B1 (ko)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부 구조와 신축이음방법 및신축이음부 보수방법
JP2000104351A (ja) 液漏れ防止構造とそれに用いる可とう継手
KR102401961B1 (ko) 교량 연석부의 신축이음장치 연결방법
JP2018003276A (ja) 導水構造および導水構造の施工方法
JP2004169327A (ja) 止水材
KR102391856B1 (ko) 교량용 포트 베어링
CN210950260U (zh) 一种耐磨胶管
JP4076673B2 (ja) シール材およびその施工方法
CN112376708B (zh) 一种预防止水带拉裂的变形缝节点防水构造
JP5849429B2 (ja) 積層ゴム支承の防錆処理方法
CN106049251A (zh) 一种具有双定位器的多层防腐鞍座端部密封装置
JP5561712B2 (ja) 防食補修方法
JP2010031609A (ja) 防振具
CN106087743B (zh) 一种水滴型鞍座端部密封装置
KR101532542B1 (ko) 신축이음장치의 이음부 누수방지장치
RU278111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дефлектора на капот автомобиля,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дефлектора на капот автомобиля
JP3751685B2 (ja) 斜張橋用ダンパ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