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9290B1 - 케이블 탈피기 - Google Patents

케이블 탈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9290B1
KR102449290B1 KR1020190037148A KR20190037148A KR102449290B1 KR 102449290 B1 KR102449290 B1 KR 102449290B1 KR 1020190037148 A KR1020190037148 A KR 1020190037148A KR 20190037148 A KR20190037148 A KR 20190037148A KR 102449290 B1 KR102449290 B1 KR 102449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main body
insertion passage
skin
cutter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7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4815A (ko
Inventor
이민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7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9290B1/ko
Publication of KR20200114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4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04Hand-held tools
    • H02G1/1221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1/00Combinations of several similar cutt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08Making a superficial cut in the surface of the work without removal of material, e.g. scoring, inci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28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1/00Combinations of several similar cutting apparatus
    • B26D2011/005Combinations of several similar cutting apparatus in combination with different kind of cutters, e.g. two serial slitters in combination with a transversal cutt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ves (AREA)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가 관통된 통체 형태로, 내측에 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통로가 형성되고, 측면부에 삽입통로와 연통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본체부, 커터날이 삽입통로 내로 돌출되도록 본체부 내 배출구의 일측에 구비되어, 삽입통로로 삽입되는 케이블의 외피를 탈피시켜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시키는 외피 절개부 및 본체부에 구비되고, 삽입통로를 통해 삽입되는 케이블의 끝단을 지지하여 케이블의 탈피 길이를 조절하는 탈피 길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탈피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케이블 탈피기{A CABLE STRIPPER}
본 발명은 케이블 탈피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은 내부에 전기가 통하는 심선이 절연성 피복에 감싸진 구조를 가지며, 목적하는 지점에 커넥터 등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도록 접속되어 통신선이나 전력선을 구성한다.
이와 같은 케이블은 커넥터 등과 연결되기 위하여 절연부를 형성하는 외피를 탈피시키는 탈피 작업이 수행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탈피 작업은 통상 인력을 통한 수작업으로 진행된다.
이때, 기존의 수작업을 통한 케이블 탈피 작업은 숙련된 작업자가 칼, 가위, 펜치, 니퍼 등과 같은 탈피 공구를 이용하여 케이블의 외피를 절개한 후, 절개된 외피를 개별적으로 탈피하는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케이블의 외피 절개를 용이하게 위한 갈고리 형태의 칼날을 갖는 전용 탈피 공구가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탈피 공구를 이용한 케이블 탈피 작업은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탈피된 케이블의 품질이 달라질 수 있고, 작업 시간이 지연되어 작업 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부상이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작업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탈피 작업 중에 케이블 내부의 심선이 꼬이거나 심선에 손상이 생기는 등의 불량이 발생될 수 있고, 케이블의 탈피 길이가 불균일하여 양질의 케이블을 얻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케이블 탈피기, 구체적으로는 작업자의 숙련도와 관계 없이 일정한 품질로 케이블의 외피를 탈피시킬 수 있고, 케이블 끝단부의 탈피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케이블 탈피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 능률을 증대시킬 수 있는 케이블 탈피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가 관통된 통체 형태로, 내측에 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통로가 형성되고, 측면부에 삽입통로와 연통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본체부, 커터날이 삽입통로 내로 돌출되도록 본체부 내 배출구의 일측에 구비되어, 삽입통로로 삽입되는 케이블의 외피를 탈피시켜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시키는 외피 절개부 및 본체부에 구비되고, 삽입통로를 통해 삽입되는 케이블의 끝단을 지지하여 케이블의 탈피 길이를 조절하는 탈피 길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탈피기를 제공한다.
또한, 외피 절개부의 커터날은, 케이블의 외피를 가로방향으로 절개하는 제1 커터날 및 제1 커터날의 일측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케이블의 외피를 세로방향으로 절개하며 탈피되는 외피를 배출구 쪽으로 가이드하는 제2 커터날을 포함하는 케이블 탈피기를 제공한다.
또한, 외피 절개부는 본체부에 형성되어 외피 절개부를 지지하는 지지턱에 축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외피 절개부의 외측면 둘레에는 소정 간격으로 복수의 고정홈이 형성되며, 지지턱에는 외피 절개부의 회전에 따라 복수의 고정홈에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되어 외피 절개부에 구비된 커터날의 삽입통로 내 돌출 각도를 조절하는 고정핀이 구비되는 케이블 탈피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체부의 측면부에는 장공 형태의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탈피 길이 조절부는 본체부의 삽입통로 내측에 구비되어, 삽입통로를 통해 삽입되는 케이블의 끝단을 지지하는 스토퍼 및 스토퍼와 연결되고 본체부의 가이드공을 따라 이동 또는 고정 가능하게 구비되어 스토퍼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조정레버를 포함하는 케이블 탈피기를 제공한다.
또한, 파이프 형태로, 본체부의 삽입통로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케이블의 직경별로 대응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서트부재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 탈피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체부의 삽입통로는 본체부의 일측 또는 타측을 통해 케이블이 삽입되도록 양방향으로 형성되되, 상호 다른 사이즈의 케이블이 삽입되도록 일측 및 타측의 삽입통로 직경이 다르게 형성되고, 외피 절개부는 본체부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탈피 길이 조절부는 본체부의 중앙부에 구비되어, 본체부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삽입되는 케이블의 탈피 길이를 조절하는 케이블 탈피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탈피기는, 탈피기의 입구를 통해 케이블을 삽입하고 탈피기를 회전시키게 되면, 케이블의 외피가 탈피되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됨으로써, 케이블 탈피 작업이 간편하고, 케이블의 코어(심선)를 손상시키는 일 없이 일정 두께로 케이블의 외피를 탈피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케이블 끝단부의 탈피 길이를 조절하여 탈피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케이블의 외피 두께에 따라 커터날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규격의 외피 두께를 갖는 케이블들을 용이하게 탈피시킬 수 있다.
또한, 각각 다른 내경을 갖는 파이프 형태의 다수개의 인서트부재를 구비하고, 케이블의 직경 사이즈에 따라 탈피기의 입구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직경 사이즈를 갖는 케이블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탈피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탈피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탈피기의 내부 구조를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탈피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외피 절개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탈피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탈피기(1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탈피기(100)의 내부 구조를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설명에 앞서,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블 탈피기(100)에서 케이블(C)이 삽입되는 입구(111)가 위치한 쪽을 전단부, 그 반대편을 후단부로 지칭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탈피기(100)는, 본체부(110), 외피 절개부(120) 및 탈피 길이 조절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0)는 케이블 탈피기(100)의 외관을 구성하며, 내측으로 케이블(C)이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가 관통된 통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10)는 일측에 케이블(C)이 삽입되는 입구(111)가 형성되고, 내측에 입구(111)와 연통하는 삽입통로(11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입구(111) 반대편의 몸체 후단부는 폐쇄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10)에서 케이블(C)이 삽입되는 입구(111)와 인접한 쪽의 측면부에는 삽입통로(112)와 연통하는 배출구(11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체부(110)의 측면부에 형성되는 배출구(113)는 케이블(C)에서 탈피되는 외피가 배출되기 위한 개구된 홀(hole)로서, 케이블(C)이 삽입되는 삽입통로(112)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10)에서 배출구(113)의 일측에는 후술되는 외피 절개부(120)를 지지하는 지지턱(114)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부(110)에서 입구(111)가 위치한 배출구(113) 앞쪽의 몸체 외주면 직경을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하여 배출구(113) 앞쪽에 지지턱(114)을 형성한 것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지지턱(114)은 본체부(110)의 둘레를 따라 일방향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외피 절개부(120)를 입구(111)쪽 방향으로 경사진 각도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10)의 후단부쪽 측면에는 후술되는 탈피 길이 조절부(130)의 연결바(133)가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되는 장공 형태의 가이드공(115)에 형성될 수 있다.
외피 절개부(120)는 본체부(110)에서 배출구(113) 일측의 지지턱(114)에 고정되어, 본체부(110)의 입구(111)를 통해 삽입통로(112)로 삽입되는 케이블(C)의 외피를 절개하여 탈피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외피 절개부(120)는 일측에 커터날(12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본체부(110)에 볼트 체결되는 체결공(12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커터날(121)은 본체부(110)의 입구(111)를 통해 삽입되는 케이블(C)의 외피를 절개할 수 있도록 본체부(110)의 배출구(113)를 통하여 삽입통로(112) 내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커터날(121)은 "L"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케이블(C)의 외피를 가로방향으로 절개하는 제1 커터날(121a)과, 제1 커터날(121a)의 일측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케이블(C)의 외피를 세로방향으로 절개하며 탈피되는 외피를 배출구(113) 쪽으로 가이드하는 제2 커터날(12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외피 절개부(120)는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지지턱(114)에 지지되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커터날(121) 역시 경사진 각도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부(110)의 입구(111) 및 삽입통로(112)를 통해 삽입되는 케이블(C)의 외피를 커터날(121)을 통해 용이하게 절개하여 탈피시킬 수 있다.
즉, 케이블(C)의 외피를 탈피시키는 과정에 있어서는, 본체부(110)의 입구(111)에 케이블(C)을 삽입하고 본체부(110)를 회전시키게 되면, 본체부(110)에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고정된 외피 절개부(120)의 커터날(121)이 삽입통로(112)로 진입되는 케이블(C)의 외주면 둘레를 선회하면서 외피를 절개하여 탈피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탈피되는 외피는 제2 커터날(121b)에 의해 배출구(113) 쪽으로 가이드되어 배출구(113)를 통해 외부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10)에서 배출구(113) 일측의 지지턱(114)에는 볼트 체결을 위한 체결공(116)이 형성되어 있어, 지지턱(114)의 체결공(116)과 외피 절개부(120)의 체결공(122)을 일치시킨 후 볼트로 체결함으로써, 외피 절개부(120)를 본체부(110)의 지지턱(114)에 공고히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외피 절개부(120)는 교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어, 커터날(121)이 무뎌지거나 외피 규격이 다른 케이블(C)을 탈피시키는 경우 교체할 수 있다.
탈피 길이 조절부(130)는 본체부(110)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삽입통로(112)를 통해 삽입되어 진입되는 케이블(C)의 끝단을 지지하여 커터날(121)에 의해 탈피되는 케이블(C)의 탈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탈피 길이 조절부(130)는 본체부(110)의 후단부쪽 삽입통로(112) 내측에 구비되어 삽입통로(112)를 통해 진입되는 케이블(C)의 끝단을 지지하는 스토퍼(131)와, 스토퍼(131)와 연결되고 본체부(110)의 가이드공(115)을 따라 이동 또는 고정 가능하게 구비되어 스토퍼(131)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조정레버(13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토퍼(131)는 외피가 탈피된 케이블(C)의 끝단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는 컵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삽입통로(112) 내에서 통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조정레버(132)는 일측이 스토퍼(131)와 연결되고 타측이 본체부(110)의 가이드공(115)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연결바(133)와, 연결바(133)의 끝단에 결합되어 연결바(133) 및 스토퍼(131)를 본체부(110)에 고정하는 고정부재(13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134)는 연결바(133)의 끝단에 조임 및 풀림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고, 더불어 연결바(133)에 결합되는 부분이 가이드공(115) 주변의 본체부(110) 외주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돌출되어 있어, 작업자가 고정부재(134)를 회전시켜 조이는 경우, 고정부재(134)의 돌출부분이 가이드공(115) 주변의 본체부(110) 외주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고정부재(134)를 통해 스토퍼(131)를 삽입통로(112) 내의 일정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131)의 위치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작업자가 고정부재(134)를 역회전시켜 조임 해제하고, 고정부재(134)와 연결바(133)를 가이드공(115)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연결바(133)에 연결되는 스토퍼(131)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며, 이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고정부재(134)를 조여 스토퍼(131)를 삽입통로(112) 내의 일정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10)에 형성되는 가이드공(115)은 본체부(110)의 후단부쪽 측면에서 본체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공(115) 전단부에 가이드공(115)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조정레버(132)를 걸어 고정할 수 있는 보조 가이드공(115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조정레버(132)를 보조 가이드공(115a)에 걸어 고정하는 경우, 조정레버(132)와 연결된 스토퍼(131)가 삽입통로(112) 내에서 소정 간격 전진하여 배치되고, 조정레버(132)를 가이드공(115) 후단부로 이동시키는 경우, 조정레버(132)와 연결된 스토퍼(131)가 삽입통로(112) 내에서 소정 간격 후진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공(115)의 전단부에만 보조 가이드공(115a)을 형성한 것을 보여주고 있으나, 본 실시예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이드공(115)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보조 가이드공(115a)을 형성하여, 조정레버(132)를 선택적으로 걸어 고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스토퍼(131)의 조정 범위를 더욱 넓힐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탈피 길이 조절부(130)를 통해 케이블(C)의 탈피 길이를 조절함에 있어서는, 삽입통로(112)를 통해 진입되는 케이블(C)이 기 설정된 길이 만큼만 삽입되도록 조정레버(132)를 조작하여 삽입통로(112) 내에 배치된 스토퍼(131)의 위치를 조정하고, 본체부(110)의 입구(111) 및 삽입통로(112)를 통해 케이블(C)을 삽입하여, 케이블(C)의 끝단이 스토퍼(131)에 지지될때까지 케이블(C)의 외피를 탈피시킴으로써, 기 설정된 길이 만큼만 케이블(C)의 끝단부가 탈피될 수 있다.
한편, 본체부(110)에는 케이블 탈피 작업시 본체부(11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후단부에 공구결합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본체부(110)의 입구(111)에 케이블(C)을 삽입하고, 본체부(110)를 파지한 상태로 직접 회전시켜 케이블 탈피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나, 본체부(110)의 공구결합부(140)에 전동 드릴 등의 공구를 결합하여 본체부(110)를 손쉽게 회전시켜 케이블 탈피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공구결합부(140)에는 전동 드릴 등의 공구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홈(14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써, 본체부(110)에는 본체부(110)를 용이하게 파지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미도시)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손잡이(미도시)는 "I"자 형태로 형성되어 본체부(110)의 측면부에 결합되어 구비되거나, 또는 "T"자 형태로 형성되어 본체부(110)의 후단부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데, 전동 드릴 등을 사용할 수 없는 협소한 공간에서는 손잡이(미도시)를 결합하여 본체부(110)를 회전시킴으로써 케이블 탈피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에에 따른 케이블 탈피기(100)의 사용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작업자는 케이블 탈피기(100)의 본체부(110)에 구비된 조정레버(132)를 통해 본체부(110)의 삽입통로(112) 내에 구비된 스토퍼(131)의 위치를 조정하여 케이블(C)의 탈피 길이를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본체부(110)의 입구(111)를 통해 삽입통로(112)로 케이블(C)을 삽입하고, 본체부(110)를 회전시킴으로써, 본체부(110)에 구비된 외피 절개부(120)를 통해 케이블(C)의 외피를 절개하여 탈피시킬 수 있다.
이때에는, 본체부(110)에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고정된 외피 절개부(120)의 커터날(121)이 삽입통로(112)로 진입되는 케이블(C)의 외주면 둘레를 선회하면서 외피를 절개하여 탈피시킬 수 있고, 이 과정에서, 탈피되는 외피는 커터날(121)에 의해 본체부(110)의 배출구(113) 쪽으로 가이드되어 배출구(113)를 통해 외부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외피가 탈피되면서 본체부(110)의 삽입통로(112)를 통해 진입되는 케이블(C)은 그 끝단이 스토퍼(131)에 의해 지지되어 더 이상 진입되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케이블(C)의 끝단이 스토퍼(131)에 지지될때까지 케이블(C)의 외피가 탈피됨으로써, 기 설정된 탈피 길이 만큼만 케이블(C)의 끝단부가 탈피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탈피기(100)는, 본체부(110)의 입구(111)를 통해 케이블(C)을 삽입하고 본체부(110)를 회전시키게 되면, 외피 절개부(120)가 케이블(C)의 외주면 둘레를 선회하면서 외피를 절개하여 탈피시킴으로써, 케이블 탈피 작업이 간편하고, 케이블(C)의 코어(심선)를 손상시키는 일 없이 일정 두께로 케이블(C)의 외피를 탈피시킬 수 있으며, 탈피 길이 조절부(130)를 통해 케이블(C) 끝단부의 탈피 길이를 조절하여 탈피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탈피기(2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외피 절개부(22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탈피기(200)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의 케이블 탈피기(100)와 비교하여, 외피 절개부(220)가 소정 각도씩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본체부(210)의 입구(211)쪽 삽입통로(212)에 파이프 형태의 인서트부재(25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탈피기(200)는 외피 절개부(220)가 소정 각도씩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삽입통로(212)로 돌출되는 커터날(221)의 돌출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케이블(C)의 외피 두께에 따라 선택적으로 커터날(221)의 돌출 각도를 조절하여 케이블(C)의 외피를 탈피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피 절개부(220)는 본체부(210)의 지지턱(214)에서 회전축(222)에 의해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몸체 외측면 둘레에는 소정 간격으로 복수의 고정홈(22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210)의 지지턱(214)에는 외피 절개부(220)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홈(223)에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되는 고정핀(217)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지지턱(214)에는 고정핀(217)이 결합되는 핀홈(218)이 형성될 수 있고, 핀홈(218) 내부에는 고정핀(217)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으며, 고정핀(217)이 핀홈(218)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핀(217)에 핀 스토퍼(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삽입통로(212)로 돌출되는 커터날(221)의 돌출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 핀 스토퍼(미도시)를 눌러 고정핀(217)을 핀홈(218)에 삽입시키는 동시에, 탈피하려는 케이블(C)의 외피 두께에 해당하는 세팅에 맞추어 외피 절개부(220)를 회전시킨 후, 고정핀(217)을 고정홈(223)에 걸림 고정시킴으로써, 탈피하려는 케이블(C)의 외피 두께에 맞추어 삽입통로(212) 내 커터날(221)의 돌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탈피기(200)는 본체부(210)의 삽입통로(212)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케이블(C)도 용이하게 탈피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케이블(C)의 사이즈별로 대응할 수 있는 인서트부재(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서트부재(250)는 본체부(210)의 삽입통로(212)와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내측에 케이블(C)이 삽입되는 인입통로(251)가 형성되며, 본체부(210)의 입구(211)쪽 삽입통로(212)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인서트부재(250)의 전단 가장자리에는 플랜지부(252)가 형성될 수 있고, 플랜지부(252)에는 볼트 체결되는 체결공(253)이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본체부(210)의 전단부쪽 입구 가장자리에는 인서트부재(250)를 삽입통로(212)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219)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인서트부재(250)의 체결공(253)을 고정홀(219)에 일치시킨 후, 고정볼트(미도시)를 체결하여, 삽입통로(212)에 삽입된 인서트부재(250)를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서트부재(250)는 케이블(C)의 직경 사이즈에 따라 대응할 수 있도록 다수개로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인서트부재(250)는 내측 인입통로(251)의 직경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 탈피기(200)를 이용한 케이블 탈피 작업시, 본체부(210)의 삽입통로(212)에 비해 작은 직경의 케이블(C)의 외피를 탈피하는 경우, 본체부(210)의 입구(211)쪽 삽입통로(212)에 해당 케이블(C)의 직경 사이즈와 대응하는 인서트부재(250)를 결합하고, 인서트부재(250)의 인입통로(251)에 해당 케이블(C)을 삽입하여, 인서트부재(250)를 통해 외피 절개부(220) 쪽으로 진입되는 케이블(C)을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케이블 탈피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탈피하려는 케이블(C)의 외피 두께에 따라 외피 절개부(22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탈피기(3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탈피기(300)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의 케이블 탈피기(100)가 양방향으로 형성된 형태로서, 본체부(310)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각각 다른 직경 사이즈의 케이블(C)이 삽입될 수 있는 입구(311) 및 삽입통로(3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부(310)의 양쪽에 케이블(C)의 외피를 절개하여 탈피시킬 수 있는 외피 절개부(320)가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탈피 길이 조절부(330)는 본체부(310)의 중앙부에 구비될 수 있는데, 이때 조정레버(332)를 통해 스토퍼(미도시)의 위치를 조정하여 본체부(310)의 전단부쪽 입구(311) 또는 후단부쪽 입구(311)를 통해 삽입되는 케이블(C)의 탈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탈피기(300)는 케이블 탈피 작업시, 본체부(310)의 전단부쪽 입구(311) 또는 후단부쪽 입구(311) 중에, 탈피하고자 하는 케이블(C)의 직경에 대응하는 입구(311)에 해당 케이블(C)을 삽입하여 탈피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탈피기(100,200,300)는, 탈피기의 입구(111)를 통해 케이블(C)을 삽입하고 탈피기를 회전시키게 되면, 케이블(C)의 외피가 탈피되어 배출구(113)를 통해 배출됨으로써, 케이블 탈피 작업이 간편하고, 케이블(C)의 코어(심선)를 손상시키는 일 없이 일정 두께로 케이블(C)의 외피를 탈피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케이블(C) 끝단부의 탈피 길이를 조절하여 탈피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케이블(C)의 외피 두께에 따라 커터날(221)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규격의 외피 두께를 갖는 케이블(C)들을 용이하게 탈피시킬 수 있다.
또한, 각각 다른 내경을 갖는 파이프 형태의 다수개의 인서트부재(250)를 구비하고, 케이블(C)의 직경 사이즈에 따라 탈피기(200)의 입구(211)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직경 사이즈를 갖는 케이블(C)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탈피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200,300 : 케이블 탈피기 110,210,310 : 본체부
120,220,320 : 외피 절개부 130,230,330 : 탈피 길이 조절부
140 : 공구결합부 250 : 인서트부재

Claims (6)

  1. 내부가 관통된 통체 형태로, 내측에 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통로가 형성되고, 측면부에 상기 삽입통로와 연통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본체부;
    커터날이 상기 삽입통로 내로 돌출되도록 상기 본체부 내 상기 배출구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삽입통로로 삽입되는 상기 케이블의 외피를 탈피시켜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시키는 외피 절개부; 및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고, 상기 삽입통로를 통해 삽입되는 상기 케이블의 끝단을 지지하여 상기 케이블의 탈피 길이를 조절하는 탈피 길이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외피 절개부는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외피 절개부를 지지하는 지지턱에 축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외측면 둘레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의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턱에는 상기 외피 절개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복수의 고정홈에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되어, 상기 외피 절개부에 구비된 커터날의 삽입통로 내 돌출 각도를 조절하는 고정핀이 구비되어,
    상기 케이블의 외피를 원하는 두께만큼 제거하도록 상기 삽입통로 내 커터날의 돌출 정도가 조절되는 케이블 탈피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 절개부의 커터날은,
    상기 케이블의 외피를 가로방향으로 절개하는 제1 커터날; 및
    상기 제1 커터날의 일측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의 외피를 세로방향으로 절개하며 탈피되는 외피를 상기 배출구 쪽으로 가이드하는 제2 커터날을 포함하는 케이블 탈피기.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측면부에는 장공 형태의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탈피 길이 조절부는,
    상기 본체부의 삽입통로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삽입통로를 통해 삽입되는 상기 케이블의 끝단을 지지하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와 연결되고, 상기 본체부의 가이드공을 따라 이동 또는 고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스토퍼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조정레버를 포함하는 케이블 탈피기.
  5. 제 1항에 있어서,
    파이프 형태로, 상기 본체부의 삽입통로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케이블의 직경별로 대응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서트부재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 탈피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삽입통로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 또는 타측을 통해 케이블이 삽입되도록 양방향으로 형성되되, 상호 다른 사이즈의 케이블이 삽입되도록 상기 일측 및 타측의 삽입통로 직경이 다르게 형성되고,
    상기 외피 절개부는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탈피 길이 조절부는 상기 본체부의 중앙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삽입되는 케이블의 탈피 길이를 조절하는 케이블 탈피기.
KR1020190037148A 2019-03-29 2019-03-29 케이블 탈피기 KR102449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148A KR102449290B1 (ko) 2019-03-29 2019-03-29 케이블 탈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148A KR102449290B1 (ko) 2019-03-29 2019-03-29 케이블 탈피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815A KR20200114815A (ko) 2020-10-07
KR102449290B1 true KR102449290B1 (ko) 2022-09-29

Family

ID=72883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7148A KR102449290B1 (ko) 2019-03-29 2019-03-29 케이블 탈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92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0078B1 (ko) * 2022-11-25 2023-02-16 제윤수 케이블 단말 피복 스트리핑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1876B2 (ja) * 1991-10-21 2001-04-03 凸版印刷株式会社 真空蒸着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3151876U (ja) * 2009-04-27 2009-07-09 株式会社きんでん 絶縁被覆剥取工具
JP2014014249A (ja) 2012-07-05 2014-01-23 Purosu:Kk ケーブル被覆剥取工具
KR101652663B1 (ko) * 2016-01-27 2016-09-01 대원전기 주식회사 지중케이블용 수동 피박기 및 그 피박기를 이용한 지중케이블 피박공법
JP2019004605A (ja) * 2017-06-14 2019-01-10 株式会社Tjmデザイン 被覆剥離工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1713A (ko) * 2014-12-31 2016-07-08 장희성 충전식 드릴을 이용한 지중절연 원통형 피박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1876B2 (ja) * 1991-10-21 2001-04-03 凸版印刷株式会社 真空蒸着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3151876U (ja) * 2009-04-27 2009-07-09 株式会社きんでん 絶縁被覆剥取工具
JP2014014249A (ja) 2012-07-05 2014-01-23 Purosu:Kk ケーブル被覆剥取工具
KR101652663B1 (ko) * 2016-01-27 2016-09-01 대원전기 주식회사 지중케이블용 수동 피박기 및 그 피박기를 이용한 지중케이블 피박공법
JP2019004605A (ja) * 2017-06-14 2019-01-10 株式会社Tjmデザイン 被覆剥離工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0078B1 (ko) * 2022-11-25 2023-02-16 제윤수 케이블 단말 피복 스트리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815A (ko)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48545B2 (e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stripping device for indirect live wire having wire stripping and taping functions, and methods for stripping and taping indirect live wire using same
US7694420B2 (en) Coaxial cable preparation tool and method of use thereof
US4345375A (en) Cable tool
JP5343281B2 (ja) ケーブルを剥離するためのペンチ
KR101652663B1 (ko) 지중케이블용 수동 피박기 및 그 피박기를 이용한 지중케이블 피박공법
US6619158B2 (en) Plier tool and method
CN105281258A (zh) 电缆剥皮器
KR102449290B1 (ko) 케이블 탈피기
CN212543220U (zh) 一种电缆外皮剥线装置
US5105542A (en) Tool for removing coverings of a coaxial cable
US9472927B2 (en) Wire stripping and cutting tool
EP3288129B1 (en) Cutting and stripping tool for radio frequency (rf) radiating coaxial cable
CN106451251B (zh) 一种辐射型漏泄同轴电缆剥线工具
CN112260150B (zh) 一种线缆剥皮机
US6079105A (en) Cable sheath stripping tool
US6378212B1 (en) Pipe entry device
KR100700710B1 (ko) 케이블 필러
US2380725A (en) Cable tool
KR20180075972A (ko) 케이블 피복 커팅 장치
CN209088421U (zh) 电缆接地挂环专用剥皮钳
CN113824054A (zh) 便携式电缆剥皮钳
JP3065265B2 (ja) 被覆剥取器
GB2124436A (en) Tool for cutting and stripping cables
CN218965142U (zh) 尖嘴钳以及组合工具
CN218427772U (zh) 多功能电工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