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8308B1 - 선택적 밸런싱 리프터가 구비된 살포기 차량 적재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택적 밸런싱 리프터가 구비된 살포기 차량 적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8308B1
KR102448308B1 KR1020220059928A KR20220059928A KR102448308B1 KR 102448308 B1 KR102448308 B1 KR 102448308B1 KR 1020220059928 A KR1020220059928 A KR 1020220059928A KR 20220059928 A KR20220059928 A KR 20220059928A KR 102448308 B1 KR102448308 B1 KR 102448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eader
lifting
loading box
vehic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9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훈
김일환
이상곤
김효나
Original Assignee
리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리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59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83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8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8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parallel up-and-down movement of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rollers in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0Improving gripping of ice-bound or other slippery traffic surfaces, e.g. us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 Roadside storage of gritting or solid thawing materials; Permanently 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wintry roads by applying liquid, semi-liquid or granular materials
    • E01H10/007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or applying liquid or semi-liquid thawing material or spreading granular material on wintry r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택적 밸런싱 리프터가 구비된 살포기 차량 적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적재함으로부터 살포기를 상차 시키기 위하여, 살포기의 전방의 하부에 배치되어 회전 운동을 하여 살포기의 전방이 적재함의 내부로 선택적으로 진입 되도록 하는 한 쌍의 휠 유닛; 살포기의 전방을 선택적으로 떠받치며, 적재함 상면 대비 살포기의 전방의 하부면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한 쌍의 서포팅 유닛; 및 살포기에 후방의 하부면에 배치되어, 살포기의 후방을 선택적으로 들어올리는 한 쌍의 리프팅 유닛을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선택적 밸런싱 리프터가 구비된 살포기 차량 적재 시스템{Loading system of spreader with function of selectively balancing lifter}
본 발명은 선택적 밸런싱 리프터가 구비된 살포기 차량 적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차량의 적재함에 살포기를 상하차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이 후진하여 살포기가 적재함에 일부 진입 되면 유압 실린더를 이용하여 살포기를 선택적으로 리프팅 시킨 후 아우트리거를 용이하게 제거하여 살포기가 적재함에 안착되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겨울철엔 짧은 시간 많은 양의 눈이 오는 대설로 인해 각종 피해가 발생한다. 예컨대, 대설에 의한 피해에는 눈이 많이 쌓여서 발생하는 적설 피해, 눈 압력에 의해서 발생하는 설압 피해, 쌓인 눈이 가파른 경사면에서 미끄러져 발생하는 눈사태 피해, 젖은 눈이 송전선이나 기타 가설물에 부착되어서 발생하는 착설 피해, 도로 빙판화에 따른 교통사고 피해, 대설발생 후 관리 소홀에 의한 피해 등이 존재한다.
이와 같이 눈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제설 작업을 진행하게 되며, 제설 장치 또는 제설 도구를 차량에 부착하여 도로 상에 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제설 장비는 도로면에 쌓인 눈을 제거하는 장비로서 제설 차량과 제설 장비로 구분될 수 있다. 제설 차량은 제설 작업을 위해 투입되는 차량을 의미하며, 제설 장비는 차량에 부착되거나 인력에 의존하여 사용되는 장비 또는 도구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제설 차량은 트럭, SUV, 덤프트럭과 같이 평상 시에는 도로 유지 및 관리 등 각 차량의 원래 목적대로 운행되다가 제설 작업이 필요한 경우 선택적으로 제설용 장비를 탈부착하여 제설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관련된 선행 특허문헌의 예로서 “유압을 이용한 제설장치의 상하차 시스템 (등록번호 제10-2005756호, 이하 특허문헌1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1에 따른 발명의 경우, 유압을 이용한 제설장치의 상하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설장치를 지지하는 전방 지지대가 제설장치에 힌지타입으로 결합되고 제설장치에 설치된 유압 실린더의 피스톤로드 작동과 연동되는 래크 및 피니언의 동작에 의해 전방 지지대가 자동으로 접고 펴질 수 있으며 이 전방 지지대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때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유압을 이용한 제설장치의 상하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특허문헌의 예로서 “스프링력을 이용한 제설장치의 상하차 시스템 (등록번호 제10-2005755호, 이하 특허문헌2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2에 따른 발명의 경우, 스프링력을 이용한 제설장치의 상하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설장치를 지지하는 전방지지대가 기립되는 방향으로 스프링력이 작용함과 아울러 제설장치에 힌지타입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차량에 제설장치를 상하차시 자동으로 접고 펴질 수 있으며 이 전방지지대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때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스프링력을 이용한 제설장치의 상하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선행문헌들은 차량의 적재함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제설장치의 상하차가 진행되는데, 이 경우 제설장치가 적재되는 과정에서 제설장치의 하중에 의하여 제설장치가 적재함이 기울어진 방향으로 치우치게 되고, 제설장치가 미끄러지면서 적재함에서 이탈되거나, 낙하되는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등록번호 제10-2005756호 등록번호 제10-2005755호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밸런싱 리프터가 구비된 살포기 차량 적재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살포기 전방에 배치된 전방 아우트리거의 높이 하향 조절로 경량화 및 1인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한다.
둘째, 살포기를 적재함에 수평하게 리프팅되도록 하여 구조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적재함의 덤핑 작동으로 인한 흔들림을 방지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밸런싱 리프터가 구비된 살포기 차량 적재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밸런싱 리프터가 구비된 살포기 차량 적재 시스템은 차량에 구비된 적재함에 살포기를 상차 시키기 위한 적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살포기의 전방의 하부에 배치되어 회전 운동을 하여 상기 살포기의 전방이 상기 적재함의 내부로 선택적으로 진입 되도록 하는 한 쌍의 휠 유닛(wheel unit); 상기 살포기의 전방의 하부면에 배치되어 상기 살포기의 전방을 선택적으로 떠받치며, 상기 적재함의 상면 대비 상기 살포기의 전방의 하부면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한 쌍의 서포팅 유닛(supporting unit); 및 상기 살포기에 후방의 하부면에 배치되어, 상기 살포기의 후방을 선택적으로 들어올리는 한 쌍의 리프팅 유닛(lifting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밸런싱 리프터가 구비된 살포기 차량 적재 시스템의 상기 휠 유닛은, 상기 살포기의 전방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휠 유닛의 몸체를 형성하는 휠 프레임부; 및 상기 휠 프레임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살포기의 전방이 상기 적재함 내부로 이동되도록 회전하는 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밸런싱 리프터가 구비된 살포기 차량 적재 시스템의 상기 서포팅 유닛은, 상기 살포기의 하부면에 고정되어, 신축이 발생하여 높이가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몸체를 형성하는 서포팅 로드부; 및 상기 서포팅 로드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서포팅 로드부의 신축에 따라 상기 살포기의 전방의 하중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서포팅 바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밸런싱 리프터가 구비된 살포기 차량 적재 시스템의 상기 리프팅 유닛은, 상기 살포기의 하부에 고정되는 몸체를 형성하며 길이의 신축이 발생되는 리프팅 바디부; 상기 리프팅 바디부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리프팅 바디부와 힌지 연결되어 상기 리프팅 바디부의 길이의 신축에 따라 축의 회전이 발생되는 리프팅 아암부; 및 상기 리프팅 아암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리프팅 아암부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적재함의 상면으로부터 회전 운동하는 리프팅 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밸런싱 리프터가 구비된 살포기 차량 적재 시스템의 상기 서포팅 유닛은, 상기 차량이 후진함에 따라 상기 살포기의 전방이 상기 적재함의 내부로 일부 진입하면, 상기 서포팅 로드부가 하향 신축되어 상기 서포팅 바디부의 하부면이 상기 적재함의 상면에 맞닿아 상기 서포팅 바디부가 상기 살포기의 전방을 떠받치게 되면서 상기 살포기의 전방이 상향 이동되어, 상기 적재함의 상면과 상기 살포기의 전방의 하부면 사이에 간극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밸런싱 리프터가 구비된 살포기 차량 적재 시스템의 서포팅 유닛은, 상기 살포기의 전방의 양 사이드에 배치된 전방 아우트리거(front outrigger)가 제거되면, 상기 서포팅 유닛이 상향 이동됨에 따라 상기 살포기의 전방은 하향 이동되며, 상기 차량은 미리 설정된 위치로 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밸런싱 리프터가 구비된 살포기 차량 적재 시스템의 상기 롤러부는, 상기 서포팅 유닛이 상향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적재함의 상면에 접촉되며, 상기 차량이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적재함의 상면으로부터 롤링되어 상기 살포기가 상기 적재함의 내부로 진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밸런싱 리프터가 구비된 살포기 차량 적재 시스템의 상기 리프팅 유닛은, 상기 차량이 미리 설정된 위치까지 이동되면, 상기 리프팅 아암부가 하향 틸팅되면서 상기 리프팅 휠부는 상기 적재함의 상면에 맞닿아 회전 운동이 선택적으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밸런싱 리프터가 구비된 살포기 차량 적재 시스템의 상기 리프팅 휠부는, 상기 적재함의 상면으로부터 회전하면서 상기 살포기의 후방을 상향 리프팅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밸런싱 리프터가 구비된 살포기 차량 적재 시스템의 상기 리프팅 유닛은, 상기 살포기의 후방의 양 사이드에 배치된 후방 아우트리거(back outrigger)가 제거되면, 상기 리프팅 아암부는 상향 틸팅되어 상기 살포기의 후방은 하향 이동되면서 상기 적재함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밸런싱 리프터가 구비된 살포기 차량 적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전방 아우트리거의 탈부착을 위하여 서포팅 유닛을 통해 살포기의 전방 하부면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게 된다.
둘째, 후방 아우트리거의 탈부착을 위하여 리프팅 유닛을 통해 살포기의 후방을 선택적으로 리프팅 되도록 한다.
셋째, 살포기의 적재하는데 있어서 전후방의 밸런싱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안정적으로 적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밸런싱 리프터가 구비된 살포기 차량 적재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밸런싱 리프터가 구비된 살포기 차량 적재 시스템의 휠 유닛과 서포팅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밸런싱 리프터가 구비된 살포기 차량 적재 시스템의 휠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밸런싱 리프터가 구비된 살포기 차량 적재 시스템의 서포팅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밸런싱 리프터가 구비된 살포기 차량 적재 시스템의 리프팅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밸런싱 리프터가 구비된 살포기 차량 적재 시스템의 리프팅 유닛의 길이의 신축에 따른 작동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밸런싱 리프터가 구비된 살포기 차량 적재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8a 내지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밸런싱 리프터가 구비된 살포기 차량 적재 시스템의 개선전과 개선후를 비교하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밸런싱 리프터가 구비된 살포기 차량 적재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밸런싱 리프터가 구비된 살포기 차량 적재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밸런싱 리프터가 구비된 살포기 차량 적재 시스템의 휠 유닛과 서포팅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밸런싱 리프터가 구비된 살포기 차량 적재 시스템의 휠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밸런싱 리프터가 구비된 살포기 차량 적재 시스템의 서포팅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밸런싱 리프터가 구비된 살포기 차량 적재 시스템의 리프팅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밸런싱 리프터가 구비된 살포기 차량 적재 시스템의 리프팅 유닛의 길이의 신축에 따른 작동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밸런싱 리프터가 구비된 살포기 차량 적재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8a 내지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밸런싱 리프터가 구비된 살포기 차량 적재 시스템의 개선전과 개선후를 비교하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밸런싱 리프터가 구비된 살포기 차량 적재 시스템은 차량의 적재함(2)에 살포기(1)를 상하차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포기(1)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전방 아우트리거(front outrigger, 10), 후방 아우트리거(back outrigger, 20)가 배치되어 살포기(1)를 지지하며, 살포기(1)의 전방을 향해 차량이 후진하여 살포기(1)가 적재되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때, 유압 실린더의 기작을 통해 적재함(2)으로부터 간격을 발생시켜 살포기(1)를 선택적으로 리프팅 시킨 후 아우트리거를 용이하게 제거 및 장착하여 살포기(1)를 상하차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밸런싱 리프터가 구비된 살포기 차량 적재 시스템은 경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 유닛(wheel unit, 100), 서포팅 유닛(supporting unit, 200), 리프팅 유닛(lifting unit, 300)을 포함하게 된다.
먼저, 휠 유닛(100)의 경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포기(1)의 전방의 하부에 배치되어 회전 운동을 하여 살포기(1)의 전방이 적재함(2)의 내부로 선택적으로 진입되도록 하는 한 쌍의 구성이다.
휠 유닛(100)은 살포기(1)의 전방의 하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어, 살포기(1)의 전방의 하부와 적재함(2)의 상면의 높이차를 발생시키게 된다.
휠 유닛(100)은 서포팅 유닛(200)에 따라 적재함(2)의 상면에 선택적으로 안착되어 적재함(2)의 상면으로부터 회전하며 살포기(1)가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밸런싱 리프터가 구비된 살포기 차량 적재 시스템의 휠 유닛(100)의 경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 프레임부(110) 및 롤러부(120)를 포함하게 된다.
휠 프레임부(110)의 경우,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포기(1)의 전방 하부에 고정되어 휠 유닛(100)의 몸체를 형성하는 구성이다.
휠 프레임부(110)는 양 사이드에 이격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플레이트부(111)와 스크린부(112)를 구비한다.
한 쌍의 플레이트부(111)의 상부에는 복수 개의 체결홀(113)이 존재하여 체결홀(113)을 통해 살포기(1)의 전방 하부와 체결되어 고정부착된다.
한 쌍의 플레이트부(111) 하부에는 롤러 샤프트(121)가 관통되어, 롤러부(120)가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스크린부(112)는 한 쌍의 플레이트부(111)의 사이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구성이다.
스크린부(112)의 하부에 롤러부(120)가 배치됨에 따라 스크린부(112)는 롤러부(120)가 회전 중에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롤러부(120)의 경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 프레임부(1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살포기(1)의 전방이 적재함(2) 내부로 이동되도록 회전하는 구성이다.
롤러부(120)는 롤러 샤프트(121)와 롤러 휠(122)을 구비하여, 롤러 샤프트(121)는 휠 프레임부(110)의 하부의 양 사이드에 연동되며, 롤러 휠(122)은 휠 프레임부(110)의 하부 공간에 선택적으로 수용되어 회전하게 된다.
한 쌍의 롤러부(120)는 살포기(1) 전방의 하부의 양 사이드에 각각 배치되어 살포기(1)의 밸런스가 유지되면서 살포기(1)가 적재함(2)의 내부로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하는 가이드 역할 수행하게 된다.
서포팅 유닛(200)의 경우, 도2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포기(1)의 전방의 하부면에 배치되어 살포기(1)의 전방을 선택적으로 떠받치며 적재함(2)의 상면 대비 살포기(1)의 전방의 하부면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한 쌍의 구성이다.
한 쌍의 서포팅 유닛(200)은 휠 유닛(100)의 후방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살포기(1)의 하부면의 양 사이드에 각각 배치된다.
한 쌍의 서포팅 유닛(200)이 양 사이드에 대칭되도록 배치되어 살포기(1)를 떠받칠 때 살포기(1)의 밸런스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밸런싱 리프터가 구비된 살포기 차량 적재 시스템의 서포팅 유닛(200)의 경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팅 로드부(210) 및 서포팅 바디부(220)를 포함하게 된다.
서포팅 로드부(210)의 경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포기(1)의 하부면에 고정되어 신축이 발생하여 높이가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서포팅 로드부(210)는 상하 방향으로 신축이 발생되어, 적재함(2)의 상면으로부터 살포기(1)의 하부면까지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서포팅 로드부(210)는 유압 실린더와 같은 구동을 통해서 신축이 발생되는 것으로 이미 상용화된 유압 실린더를 이용한 것으로 자세한 기작은 생략한다.
서포팅 바디부(220)의 경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팅 로드부(2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서포팅 로드부(210)의 신축에 따라서 살포기(1)의 전방의 하중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구성이다.
서포팅 바디부(220)는 평평한 하부면을 갖게 되며 서포팅 로드부(210)의 신축에 의하여 적재함(2)의 상면에 맞닿아 배치되어 살포기(1)의 전방을 떠받치도록 한다.
서포팅 바디부(220)는 살포기(1)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고강도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팅 유닛(200)의 서포팅 로드부(210)에 신축이 발생하면, 서포팅 바디부(220)가 하향 이동되면서 적재함(2)의 상면으로부터 대향하는 힘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살포기(1)의 전방부는 상향 이동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밸런싱 리프터가 구비된 살포기 차량 적재 시스템은 도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과 차량 위에 구비된 적재함(2), 그리고 전후방 아우트리거(10, 20)를 통해 배치된 살포기(1)가 존재한다.
먼저, 차량이 살포기(1)를 향해 후진함에 따라서 살포기(1)의 전방부가 적재함(2)의 내부로 일부 진입하게 된다.
살포기(1)가 적재함(2) 내부로 일부 진입하면 서포팅 로드부(210)는 하향 신축되어 서포팅 바디부(220)의 하부면이 적재함(2)의 상면에 맞닿아 서포팅 바디부(220)가 살포기(1)의 전방을 떠받치게 되면서 살포기(1)의 전방이 상향이동 되어 적재함(2)의 상면과 살포기(1)의 전방의 하부면 사이에 간극이 발생될 수 있다.
서포팅 바디부(220)가 살포기(1)의 전방을 떠받친 상태에서 살포기(1)의 전방의 양 사이드에 배치된 전방 아우트리거(10)가 현장의 작업자에 의해 제거되면, 서포팅 유닛(200)은 원래 위치로 상향 이동하고, 서포팅 유닛(200)의 상향 이동에 따라서 살포기(1)의 전방은 하향 이동된다.
살포기(1)의 전방이 본래의 위치로 하향 이동하면 차량은 미리 설정된 위치로 후진하게 된다.
여기서 말하는 미리 설정된 위치는 적재함(2)에 살포기(1)가 최대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위치로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서포팅 유닛(200)이 상향 이동하면서 살포기(1)의 전방은 하향 이동됨에 따라 롤러부(120)는 적재함(2)의 상면에 접촉하게 된다.
롤러부(120)는 적재함(2)의 상면에 접촉되며, 차량이 후진함에 따라 적재함(2)의 상면으로부터 피동 롤링되어 살포기(1)가 적재함(2)의 내부로 원활하게 진입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롤러부(120)는 살포기(1) 대신 적재함(2)의 상면에 접촉되므로, 살포기(1)와 적재함(2)의 상면과의 접촉 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리프팅 유닛(300)의 경우 도1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포기(1)의 후방의 하부면에 배치되어 살포기(1)의 후방을 선택적으로 들어올리는 한 쌍의 구성이다.
한 쌍의 리프팅 유닛(300)은 살포기(1)의 후방 하부면의 양 사이드에 대칭되도록 배치되어 양 사이드의 밸런스를 유지하면서 리프팅 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밸런싱 리프터가 구비된 살포기 차량 적재 시스템의 리프팅 유닛(300)의 경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 바디부(310), 리프팅 아암부(320), 및 리프팅 휠부(330)를 포함하게 된다.
리프팅 바디부(310)의 경우,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포기(1)의 하부에 고정되는 몸체를 형성하며 길이의 신축이 발생되는 구성이다.
리프팅 바디부(310) 역시, 유압 실린더와 같은 구동을 통해서 길이 신축이 발생되는 것으로 이미 상용화된 유압 실린더를 이용한 것으로 자세한 기작은 생략한다.
리프팅 바디부(310)는 리프팅 로드부(311)와 리프팅 픽싱부(312)를 포함하게 된다.
리프팅 로드부(311)의 경우, 리프팅 바디부(310)의 내부에 구비되어 길이의 신축이 발생하는 몸체를 형성하게 된다.
리프팅 픽싱부(312)의 경우, 리프팅 바디부(310)의 타측에 구비되어, 리프팅 바디부(310)를 살포기(1)에 고정시키는 구성이다.
즉 리프팅 바디부(310)의 일측은 리프팅 로드부(311)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리프팅 픽싱부(312)가 구비되어, 리프팅 픽싱부(312)로부터 살포기(1)의 전방 방향으로 길이의 신축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리프팅 로드부(311)의 일측은 리프팅 아암부(320)와 상호 연결되어 리프팅 아암부(320)에 회전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리프팅 아암부(320)의 경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 바디부(310)의 일측에 제공되어 리프팅 바디부(310)와 힌지 연결되어 리프팅 바디부(310)의 신축에 따라 축의 회전이 발생되는 구성이다.
리프팅 아암부(320)의 경우, 제1샤프트부(321), 제2샤프트부(322), 및 제3샤프트부(323)를 포함하게 된다.
제1샤프트부(321)의 경우, 리프팅 아암부(320)의 타측에 구비되어 리프팅 로드부(311)와 상호 연동되는 축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제2샤프트부(322)의 경우, 살포기(1') 어느 일면에 고정 및 상호 연동되어 회전축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제3샤프트부(323)의 경우, 리프팅 아암부(320)의 일측에 구비되어, 리프팅 휠부(330)와 상호 연동되는 축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 아암부(320)는 제2샤프트부(322)를 통해 살포기(1')에 일부 고정되는 축을 형성하고 제2샤프트부(322)를 기준으로 리프팅 로드부(311)의 길이의 신축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하여 틸팅 된다. 리프팅 아암부(320)가 회전함에 따라서 리프팅 아암부(320)의 일측에 연동된 리프팅 휠부(330)에 회전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리프팅 아암부(320)의 제1샤프트부(321)와 제2샤프트부(322) 사이의 거리, 제2샤프트부(322)와 제3샤프트부(323) 사이의 거리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리프팅 아암부(320)에 가해지는 힘을 선택적으로 조절하고, 리프팅 휠부(330)의 배치를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리프팅 휠부(330)의 경우,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 아암부(320)의 일측에 구비되어 리프팅 아암부(320)의 회전에 따라서 적재함(2)의 상면으로부터 회전 운동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이 후진하여 미리 설정된 위치까지 이동되면 리프팅 아암부(320)가 하향 틸팅되면서 리프팅 휠부(330)는 적재함(2)의 상면에 맞닿아 회전 운동이 선택적으로 발생된다.
리프팅 휠부(330)는 적재함(2)의 상면으로부터 회전하면서 살포기(1)의 후방을 상향 리프팅시키게 된다.
리프팅 휠부(330)는 리프팅 아암부(320)가 회전함에 따라서 적재함(2)의 상면에 접촉하게 되며, 적재함(2)의 상면으로부터 회전하면서 살포기(1)의 후방을 선택적으로 들어올리게 되며 적재함(2)의 상면과 리프팅 휠부(330)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하고, 마찰력에 의해 살포기(1)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리프팅 휠부(330)에 의하여 살포기(1)의 후방이 선택적으로 리프팅되면 살포기(1)의 후방의 양 사이드에 배치된 후방 아우트리거(20)가 제거되도록 한다.
또한, 리프팅 휠부(330)는 휠로 구성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나, 휠 이외에도 적재함(2)의 상면에 접촉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대체할 수 도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방 아우트리거(20)가 제거되면 리프팅 아암부(320)는 상향 틸팅되어 살포기(1)의 후방은 다시 하향 이동되면서 적재함(2)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밸런싱 리프터가 구비된 살포기 차량 적재 시스템의 도8a 내지 도8c는 살포기(1)를 차량에 상차하는데 있어서 개선 전과 개선 후를 비교한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개선 전의 기존의 선행문헌에 따른 차량 적재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개선 후는 본원 발명에 따른 차량 적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8a은 차량 적재함(2)에 살포기(1)를 싣기 위해 전후방 아우트리거(20) 위에 살포기(1)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개선 전의 경우, 전방 아우트리거(10)와 후방 아우트리거(20)의 높이차가 발생하여 살포기(1)의 전방이 상향 틸팅되어 있다.
반면 개선 후의 경우 전후방 아우트리거(20)는 동일한 높이에 제공되어 살포기(1)의 전방과 후방이 동일선상에 배치된다.
도8b는 차량이 후진하여 차량의 적재함(2)에 살포기(1)가 안착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개선 전의 경우, 차량 적재함(2)이 살포기(1)가 상향 틸팅된 만큼 기울어진 상태에서 살포기(1)를 싣게 된다.
이때, 개선 전의 경우 전방 아우트리거(10)가 높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방 아우트리거(10)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다수의 작업자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적재함(2)과 살포기(1)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후방 아우트리거(20)만이 살포기(1)의 후방을 떠받치고 있으므로, 안정성이 저하되며 살포기(1)가 적재함(2)으로부터 이탈될 가능성이 크고 이에 따라서 낙하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반면, 개선 후의 경우에는 살포기(1)가 수평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차량의 적재함(2) 역시 수평한 상태에서 후진하여 살포기(1)를 일부 진입시키게 된다.
또한, 개선 후의 경우,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이 살포기(1)를 향해 후진함에 따라서 살포기(1)의 전방부가 적재함(2)의 내부로 일부 진입하게 되고, 서포팅 바디부(220)가 살포기(1)의 전방을 떠받치게 되면서 살포기(1)의 전방이 상향이동 되어 적재함(2)의 상면과 살포기(1)의 전방의 하부면 사이에 간극이 발생될 수 있다.
살포기(1) 전방의 하부면에 간극이 발생되면 전방 아우트리거(10)를 제거할 수 있게 되며, 개선 후의 경우, 전방 아우트리거(10)의 높이가 수정되었기 때문에 작업자 혼자서도 용이하게 전방 아우트리거(10)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전방 아우트리거(10)가 현장의 작업자에 의해 제거되면, 서포팅 유닛(200)은 원래 위치로 상향 이동하고, 서포팅 유닛(200)의 상향 이동에 따라서 살포기(1)의 전방은 하향 이동된다.
그 후 롤러부(120)는 적재함(2)의 상면에 접촉되며, 차량이 후진함에 따라 적재함(2)의 상면으로부터 롤링되어 살포기(1)가 적재함(2)의 내부로 원활하게 진입되는 것이다.
아울러, 도8c 의 경우, 살포기(1)가 적재함(2)에 안착되면 후방 아우트리거(20)를 제거하여 적재를 완료하는 것이다.
이때, 개선 후의 경우, 리프팅 유닛(300)에 의하여 살포기(1)의 후방부가 리프팅되므로 작업자로 하여금 후방 아우트리거(20)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도8a 내지 도8c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밸런싱 리프터가 구비된 살포기 차량 적재 시스템은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기존 방식보다 더 쉽고 빠르게 살포기(1)를 상하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살포기 2: 적재함
10: 전방 아우트리거 20: 후방 아우트리거
100: 휠 유닛 110: 휠 프레임부
120: 롤러부 200: 서포팅 유닛
210: 서포팅 로드부 220: 서포팅 바디부
300: 리프팅 유닛 310: 리프팅 바디부
311: 리프팅 로드부 312: 리프팅 픽싱부
320: 리프팅 아암부 321: 제1샤프트부
322: 제2샤프트부 323: 제3샤프트부
330: 리프팅 휠부

Claims (10)

  1. 차량에 구비된 적재함에 살포기를 상차 시키기 위한 적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살포기의 전방의 하부에 배치되어 회전 운동을 하여 상기 살포기의 전방이 상기 적재함의 내부로 선택적으로 진입 되도록 하는 한 쌍의 휠 유닛(wheel unit);
    상기 살포기의 전방의 하부면에 배치되어 상기 살포기의 전방을 선택적으로 떠받치며, 상기 적재함의 상면 대비 상기 살포기의 전방의 하부면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한 쌍의 서포팅 유닛(supporting unit); 및
    상기 살포기의 후방의 하부면에 배치되어, 상기 살포기의 후방을 선택적으로 들어올리는 한 쌍의 리프팅 유닛(lifting unit)을 포함하되,
    상기 휠 유닛은,
    상기 살포기의 전방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휠 유닛의 몸체를 형성하는 휠 프레임부; 및
    상기 휠 프레임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살포기의 전방이 상기 적재함 내부로 이동되도록 회전하는 롤러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포팅 유닛은,
    상기 살포기의 하부면에 고정되어, 신축이 발생하여 높이가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몸체를 형성하는 서포팅 로드부; 및
    상기 서포팅 로드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서포팅 로드부의 신축에 따라 상기 살포기의 전방의 하중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서포팅 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포팅 유닛은,
    상기 차량이 후진함에 따라 상기 살포기의 전방이 상기 적재함의 내부로 일부 진입하면,
    상기 서포팅 로드부가 하향 신축되어 상기 서포팅 바디부의 하부면이 상기 적재함의 상면에 맞닿아 상기 서포팅 바디부가 상기 살포기의 전방을 떠받치게 되면서 상기 살포기의 전방이 상향 이동되어,
    상기 적재함의 상면과 상기 살포기의 전방의 하부면 사이에 간극을 발생시키며,
    상기 살포기의 전방의 양 사이드에 배치된 전방 아우트리거(front outrigger)가 제거되면, 상기 서포팅 유닛이 상향 이동됨에 따라 상기 살포기의 전방은 하향 이동되며, 상기 차량은 미리 설정된 위치로 후진하며,
    상기 롤러부는,
    상기 서포팅 유닛이 상향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적재함의 상면에 접촉되며,
    상기 차량이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적재함의 상면으로부터 롤링되어 상기 살포기가 상기 적재함의 내부로 진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밸런싱 리프터가 구비된 살포기 차량 적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유닛은,
    상기 살포기의 하부에 고정되는 몸체를 형성하며 길이의 신축이 발생되는 리프팅 바디부;
    상기 리프팅 바디부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리프팅 바디부와 힌지 연결되어 상기 리프팅 바디부의 길이의 신축에 따라 축의 회전이 발생되는 리프팅 아암부; 및
    상기 리프팅 아암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리프팅 아암부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적재함의 상면으로부터 회전 운동하는 리프팅 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밸런싱 리프터가 구비된 살포기 차량 적재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유닛은,
    상기 차량이 미리 설정된 위치까지 이동되면, 상기 리프팅 아암부가 하향 틸팅되면서 상기 리프팅 휠부는 상기 적재함의 상면에 맞닿아 회전 운동이 선택적으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밸런싱 리프터가 구비된 살포기 차량 적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휠부는,
    상기 적재함의 상면으로부터 회전하면서 상기 살포기의 후방을 상향 리프팅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밸런싱 리프터가 구비된 살포기 차량 적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유닛은,
    상기 살포기의 후방의 양 사이드에 배치된 후방 아우트리거(back outrigger)가 제거되면, 상기 리프팅 아암부는 상향 틸팅되어 상기 살포기의 후방은 하향 이동되면서 상기 적재함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밸런싱 리프터가 구비된 살포기 차량 적재 시스템.
KR1020220059928A 2022-05-17 2022-05-17 선택적 밸런싱 리프터가 구비된 살포기 차량 적재 시스템 KR102448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928A KR102448308B1 (ko) 2022-05-17 2022-05-17 선택적 밸런싱 리프터가 구비된 살포기 차량 적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928A KR102448308B1 (ko) 2022-05-17 2022-05-17 선택적 밸런싱 리프터가 구비된 살포기 차량 적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8308B1 true KR102448308B1 (ko) 2022-09-28

Family

ID=83461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9928A KR102448308B1 (ko) 2022-05-17 2022-05-17 선택적 밸런싱 리프터가 구비된 살포기 차량 적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830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8592A (ko) * 2011-08-13 2013-02-25 호발츠벨케 도이췌 벨프트 게엠베하 이송 컨테이너
KR101521629B1 (ko) * 2014-11-27 2015-05-21 알엔씨클린 주식회사 청소장치의 탑재구조가 향상된 도로 청소장비
KR101944091B1 (ko) * 2018-04-19 2019-01-30 주식회사 티엔티원 트럭 탑재형 살포기의 회동-매립형 랜딩장치
KR102005755B1 (ko) 2017-10-25 2019-08-01 주식회사 자동기 스프링력을 이용한 제설장치의 상하차 시스템
KR102005756B1 (ko) 2017-10-25 2019-08-01 주식회사 자동기 유압을 이용한 제설장치의 상하차 시스템
JP2020083503A (ja) * 2018-11-19 2020-06-04 新生自動車工業株式会社 昇降機構及び貨物容器昇降基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8592A (ko) * 2011-08-13 2013-02-25 호발츠벨케 도이췌 벨프트 게엠베하 이송 컨테이너
KR101521629B1 (ko) * 2014-11-27 2015-05-21 알엔씨클린 주식회사 청소장치의 탑재구조가 향상된 도로 청소장비
KR102005755B1 (ko) 2017-10-25 2019-08-01 주식회사 자동기 스프링력을 이용한 제설장치의 상하차 시스템
KR102005756B1 (ko) 2017-10-25 2019-08-01 주식회사 자동기 유압을 이용한 제설장치의 상하차 시스템
KR101944091B1 (ko) * 2018-04-19 2019-01-30 주식회사 티엔티원 트럭 탑재형 살포기의 회동-매립형 랜딩장치
JP2020083503A (ja) * 2018-11-19 2020-06-04 新生自動車工業株式会社 昇降機構及び貨物容器昇降基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32310B (zh) 车轮支撑悬置组件
CN103832410A (zh) 防滑支脚装置以及行走机械
KR102448308B1 (ko) 선택적 밸런싱 리프터가 구비된 살포기 차량 적재 시스템
US3836014A (en) Vehicle lifting device
KR20190031213A (ko) 틸팅 가능한 작업대를 갖는 고소작업차
JP3193459U (ja) テールゲートリフタ装置
US11753282B2 (en) Jib system for a vehicle crane comprising a brac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igging and de-rigging a bracing apparatus of a vehicle crane
US3623621A (en) Storage support for equipment used on a dump truck
EP1061034B1 (fr) Chariot automoteur à bras télescopique et rehausse
JPS5812198B2 (ja) 車輌クレ−ンの平衡錘の着脱整備装置
US7513731B2 (en) Truck bed elevator
JP3792151B2 (ja) 床下格納式昇降装置
KR102174081B1 (ko) 산업용 차량의 아웃트리거 구동장치
JP5856251B2 (ja) テールゲートリフタ装置
CN113979385A (zh) 举升车
RU2816380C1 (ru) Система для подъема запасного колеса на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KR100556620B1 (ko) 굴절붐식 고소작업차
SU1724011A3 (ru) Под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7278554B1 (ja) 水平力分担構造体設置用架台、水平力分担構造体設置装置および水平力分担構造体設置方法
KR102586221B1 (ko) 셀프로더
KR102144592B1 (ko) 오토바이 적재장치
JP7331504B2 (ja) 荷吊りユニット及び、荷吊りユニットを搭載した移動体
RU2009992C1 (ru) Подъемник для автомобилей
JP7036631B2 (ja) 高所作業車の乗降装置
KR100556623B1 (ko) 고소작업차용 접철식 탑승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