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6501B1 - 승강기 도어용 온/오프 버튼 클릭장치 - Google Patents

승강기 도어용 온/오프 버튼 클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6501B1
KR102446501B1 KR1020220029853A KR20220029853A KR102446501B1 KR 102446501 B1 KR102446501 B1 KR 102446501B1 KR 1020220029853 A KR1020220029853 A KR 1020220029853A KR 20220029853 A KR20220029853 A KR 20220029853A KR 102446501 B1 KR102446501 B1 KR 102446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button
door
click device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9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준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어트랙티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어트랙티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어트랙티브
Priority to KR1020220029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65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50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with operating or control mechanisms mounted in the car or cage or in the lift well or hoist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1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 B66B1/462Mechanical or piezoelectric inpu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1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 B66B1/46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facilitating maintenance, installation, removal, replacement or rep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50/00Energy efficient technologies in elevators,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e.g. energy saving or recuperation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등의 승강기 도어를 열린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버튼 클릭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의 온/오프 버튼에 근접하게 부착하여 오프버튼을 클릭시켜 도어의 열림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승강기 도어용 온/오프 버튼 클릭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사람이나 화물을 이동시키는 승강기의 조작판(10)으로 탈부착 가능한 흡착부재(110)와,
상기 흡착부재(110)의 일단과 연동설치되어 상기 흡착부재를 락/해지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타 측은 승강기의 조작판(10)에 구비된 열림버튼(11)을 클릭하여 승강기의 도어 오픈상태를 유지시키는 클릭부재(120)로 구비되는 클릭장치(100);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승강기 도어용 온/오프 버튼 클릭장치{ON/OFF button click device for Elevator do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등의 승강기 도어를 열린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버튼 클릭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의 온/오프 버튼에 근접하게 부착하여 오프버튼을 클릭시켜 도어의 열림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승강기 도어용 온/오프 버튼 클릭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강기는 빌딩 등에 설치되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승강로를 따라 승하강하면서 빌딩 내부의 각 층들 사이를 이동하며, 사람이나 화물 또는 차량 등을 적정 중량만큼 운반할 수 있는 객차(car)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도착지점에 승강기의 객차가 위치하였을 경우, 객차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과 안전한 이동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객차와 외부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어를 포함하며, 주로 운반하는 대상이 무엇 인가에 따라서 인용 승강기, 화물용 승강기, 차량용 승강기 등으로 구분된다.
상기 도어의 닫힘 방식에 있어서, 종래의 승강기는 타이머에 의하여 도어가 개폐되면서 열림이 유지되는 시간이 고정되어 있고, 도어가 닫히는 타이밍에 도어의 틈새에 물체가 인지되면 다시 도어가 열리는 방식으로 도어의 열림이 유지되는데, 예를 들어, 한국 등록특허 제 10-1995-0054424호 '엘리베이터의 도어개방제어장치'(1999..3.9.등록)는 도어안전슈 바(Door safety shoe bar)내에 다수의 발광소자와 수광소자에 의한 다중 빔 센서와, 복수의 포토아이 센서(Photo eye sensor)의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병설해서 도어가 폐문되는 도중에 승객 또는 물체의출입이 검출되면 자동으로 도어를 재개방시켜 안전한 승객 또는 물체가 안전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한국 등록특허 제 10-1193018호 '산업용 승강기의 출입 안전장치'(2012.10.15.등록)는 승강기의 전면에 설치되는 승강도어와 관련하여 신축 건물의 각 층별에 대응 설치된 미닫이도어를 통한 인부의 탑승시 혹은 부자재를 승강기 내에 싣는 과정에서 닫히는 미닫이도어에 부딪히는 사고를 방지함은 물론, 승강도어 및 미닫이도어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승강 안전운행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승강기의 승강도어 상부 전면부에 마련되는 가이드레일로부터 승강도어의 개방과 동시에 수평으로 슬라이딩 동작하여 미닫이도어를 개폐하는 슬라이더부재측 연결 프레임측 자석은 미닫이도어의 상부에 적용된 도어록킹부재에 설치된 회동체에 부착되어 자력으로서 미닫이 도어를 이동시켜 개폐시키고, 자석의 자력보다 큰 힘이 미닫이도어에 작용하는 경우, 자석으로부터 도어록킹 부재측 회동체가 이격되어 닫히는 미닫이도어를 정지시켜 미닫이도어가 닫히는 충격에 의해 탑승자를 보호할 수있고, 부자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특히 가설되어 사용되는 산업용 승강기에서 안전사고를 방지하고자 하였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자동 타이머 개폐 방식이 적용된 승강기의 이용에 있어서, 특히 화물용 승강기의 경우 많은수의 화물을 화물적재차량에서 승강기의 객차로 운반하는 등 사용자가 객차에 비교적 장시간 동안 화물을 적재 하거나 하적해야 하는 일이 빈번히 있음에도 도어가 일정 시간 이후 자동으로 닫힘으로써 화물의 적재와 하적이 불리하고, 사용자가 객차에 탑승하지 못하였음에도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고 적재된 화물이 실린 객차가 다른 층으로 이동해버리는 경우가 발생하고, 상기 적재와 하적의 과정에서 자동으로 닫히고 있는 도어에 사용자가 부딪혀 부상을 입거나 화물이 부딪혀 물건의 파손이 일어나는 등 승강기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과 한계점이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00159호(1999. 03. 09)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93018호(2012. 10. 15)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은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승강기의 도어가 닫히것을 클릭장치를 이용하여 오픈 상태로 유지되게 함으로써, 화물의 적재와 하적에 있어서 생기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도어에 부딪힘에 따른 인명 사고나 물품의 파손 등이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승강기 도어용 온/오프 버튼 클릭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탈부착이 가능하며 소형의 구조로 이루어져 휴대가 간편함과 아울러 사용성이 우수한 승강기 도어용 온/오프 버튼 클릭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람이나 화물을 이동시키는 승강기의 조작판으로 탈부착 가능한 흡착부재와, 상기 흡착부재의 일단과 연동설치되어 상기 흡착부재를 락/해지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타 측은 승강기의 조작판에 구비된 열림버튼을 클릭하여 승강기의 도어 오픈상태를 유지시키는 클릭부재를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흡착부재는 흡착구를 체결하는 체결판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판의 상단으로 돌출되어 회동바와 연동설치되는 당김바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판과 당김바를 수용하는 흡착판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흡착판본체와 내측에 구비되는 체결판의 사이에는 흡착구의 흡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텐션부재가 구비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흡착판본체와 체결판의 사이에는 텐션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텐션부재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흡착판본체와 체결판의 사이에는 텐션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텐션부재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클릭부재는 흡착판본체로 돌출된 당김바로 힌지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되, 흡착구를 해지시키는 해지면이 구비되고, 직각면으로 흡착구를 흡착 유지하기 위한 락돌부가 일체로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로 연장되며, 끝단에 절곡된 누름편 및 누름편의 전면으로 조작판의 열림버튼을 클릭하는 접지편이 구비되는 회동바가 포함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누름편에는 터치식 접지봉이 더 구비된 것에 특징이 있다.
서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버튼 클릭장치는 화물을 적재하거나 하적하는 동안 도어의 열림을 유지시켜 도어의 자동 닫힘에 신경쓰지 않고 많은 수의 화물을 적재하거나 하적할 수 있는 편리한 효과가 있으며,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고 사용자 또는 화물이 닫히고 있는 도어에 부딪힘에 따른 인명 사고나 물품의 파손 등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도어용 온/오프 버튼 클릭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도어용 온/오프 버튼 클릭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도어용 온/오프 버튼 클릭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도어용 온/오프 버튼 클릭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도어용 온/오프 버튼 클릭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도어용 온/오프 버튼 클릭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제1실시예)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도어용 온/오프 버튼 클릭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도어용 온/오프 버튼 클릭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릭장치(100)는, 사람이나 화물을 이동시키는 승강기의 조작판(10)으로 탈부착 가능한 흡착부재(110)와,
상기 흡착부재(110)의 일단과 연동설치되어 상기 흡착부재를 락/해지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타 측은 승강기의 조작판(10)에 구비된 열림버튼(11)을 클릭하여 승강기의 도어 오픈상태를 유지시키는 클릭부재(120)로 구비된다.
상기 흡착부재(110)는, 흡착구(113)를 체결하는 체결판(112-1)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판의 상단으로 돌출되어 회동바와 연동설치되는 당김바(112)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판과 당김바(112)를 수용하는 흡착판본체(111)로 이루어진다.
상기 클릭부재(120)는,
흡착판본체(111)로 돌출된 당김바(112)로 힌지(H1)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되, 흡착구(113)를 해지시키는 해지면(122a)이 구비되고, 직각면으로 흡착구(113)를 흡착 유지하기 위한 락돌부(122b)가 일체로 구비되는 몸체(122)와,
상기 몸체(122)로 연장되며, 끝단에 절곡된 누름편(124) 및 누름편의 전면으로 조작판(10)의 열림버튼(11)을 클릭하는 접지편(124a)이 구비되는 회동바(121)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클릭장치(100)는 첨부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부재(110)를 조작판(10)에 부착한 상태에서 도 4와 같이 클릭부재(120)를 힌지(H1)를 중심으로 일방향 회전시켜 열림버튼(11)을 클릭하되, 접지편(124a)이 열림버튼(11)의 위치로 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열림버튼 해지시에는 상기와 반대로 클릭부재(120)의 회동바(121)를 힌지(H1)를 중심으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해지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제2, 3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도어용 온/오프 버튼 클릭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도어용 온/오프 버튼 클릭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2 내지 3실시예에 다른 클릭장치(100)는, 사람이나 화물을 이동시키는 승강기의 조작판(10)으로 탈부착 가능한 흡착부재(110)와, 상기 흡착부재(110)의 일단과 연동설치되어 상기 흡착부재를 락/해지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타 측은 승강기의 조작판(10)에 구비된 열림버튼(11)을 클릭하여 승강기의 도어 오픈상태를 유지시키는 클릭부재(120)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흡착부재(110)는, 흡착구(113)를 체결하는 체결판(112-1)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판의 상단으로 돌출되어 회동바와 연동설치되는 당김바(112)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판과 당김바(112)를 수용하는 흡착판본체(111)로 이루어지되,
상기 흡착판본체(111)와 내측에 구비되는 체결판(112-1)의 사이에는 흡착구(113)의 흡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텐션부재(114)가 구비된다.
이때, 흡착판본체(111)와 체결판(112-1)의 사이 구비되는 텐션부재(114)는 코일스프링(114a)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판스프링(114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4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도어용 온/오프 버튼 클릭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4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클릭장치(100)는, 사람이나 화물을 이동시키는 승강기의 조작판(10)으로 탈부착 가능한 흡착부재(110)와, 상기 흡착부재(110)의 일단과 연동설치되어 상기 흡착부재를 락/해지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타 측은 승강기의 조작판(10)에 구비된 열림버튼(11)을 클릭하여 승강기의 도어 오픈상태를 유지시키는 클릭부재(120)로 구비된다.
상기 흡착부재(110)는, 흡착구(113)를 체결하는 체결판(112-1)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판의 상단으로 돌출되어 회동바와 연동설치되는 당김바(112)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판과 당김바(112)를 수용하는 흡착판본체(111)로 이루어진다.
상기 클릭부재(120)는, 흡착판본체(111)로 돌출된 당김바(112)로 힌지(H1)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되, 흡착구(113)를 해지시키는 해지면(122a)이 구비되고, 직각면으로 흡착구(113)를 흡착 유지하기 위한 락돌부(122b)가 일체로 구비되는 몸체(122)와, 상기 몸체(122)로 연장되며, 끝단에 절곡된 누름편(124) 및 누름편의 전면으로 조작판(10)의 열림버튼(11)을 클릭하는 접지편(124a)이 구비되는 회동바(121)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누름편(124)의 내측에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로 탄성스프링(S1)이 내장되며, 선단으로 탄성스프링을 압축하거나 탄성스프링의 인장력에 의해 접지편(124a)을 밀착되는 접지봉(124b)이 구비된다.
즉, 상기 일반 버튼은 접지편(124a)을 통해 클릭이 가능하고, 터치식 버튼은 상기 접지봉(124b)을 통해 접지가 이루어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도어용 온/오프 버튼 클릭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클릭장치(100)는 흡착부재(110)를 통해 승강기 조작판(10)에 탈부착할 수 있으며, 특히 조작판의 열림버튼(11)에 근접하게 부착하여, 클릭부재(120)를 회동시켜 열림버튼(11)을 클릭해줌으로서, 승강기의 도어 열림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작판을 별도 제어 없이도 본 발명의 클릭장치를 통해 도어 열림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화물 적재와 화적시 안전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전술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클릭장치 110: 흡착부재
111: 흡착판본체 112: 당김바
113: 흡착구 114: 텐션부재
120: 클릭부재 121: 회동바
122: 해지면 123: 락돌부
124: 누름편 124a: 접지편
124b: 접지봉

Claims (6)

  1. 사람이나 화물을 이동시키는 승강기의 조작판(10)으로 탈부착 가능한 흡착부재(110)와,
    상기 흡착부재(110)의 일단과 연동설치되어 상기 흡착부재를 락/해지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타 측은 승강기의 조작판(10)에 구비된 열림버튼(11)을 클릭하여 승강기의 도어 오픈상태를 유지시키는 클릭부재(120)를 포함하는 클릭장치(100);
    상기 클릭부재(120)는, 흡착판본체(111)로 돌출된 당김바(112)로 힌지(H1)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되,
    흡착구(113)를 해지시키는 해지면(122a)이 구비되고, 직각면으로 흡착구(113)를 흡착 유지하기 위한 락돌부(122b)가 일체로 구비되는 몸체(122)와,
    상기 몸체(122)로 연장되며, 끝단에 절곡된 누름편(124) 및 누름편의 전면으로 조작판(10)의 열림버튼(11)을 클릭하는 접지편(124a)이 구비되는 회동바(121)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편(124)에는 터치식 접지봉(124b)이 내장되되, 탄성스프링(S1)에 의해 접지편(124a)을 통과하여 열림버튼(11)으로 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도어용 온/오프 버튼 클릭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재(110)는,
    흡착구(113)를 체결하는 체결판(112-1)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판의 상단으로 돌출되어 회동바와 연동설치되는 당김바(112)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판과 당김바(112)를 수용하는 흡착판본체(111)로 이루어지되,
    상기 흡착판본체(111)와 내측에 구비되는 체결판(112-1)의 사이에는 흡착구(113)의 흡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텐션부재(11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도어용 온/오프 버튼 클릭장치.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흡착판본체(111)와 체결판(112-1)의 사이에는 텐션부재(114)가 구비되되,
    상기 텐션부재는 판스프링(114b)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도어용 온/오프 버튼 클릭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220029853A 2022-03-10 2022-03-10 승강기 도어용 온/오프 버튼 클릭장치 KR102446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853A KR102446501B1 (ko) 2022-03-10 2022-03-10 승강기 도어용 온/오프 버튼 클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853A KR102446501B1 (ko) 2022-03-10 2022-03-10 승강기 도어용 온/오프 버튼 클릭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6501B1 true KR102446501B1 (ko) 2022-09-23

Family

ID=83446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9853A KR102446501B1 (ko) 2022-03-10 2022-03-10 승강기 도어용 온/오프 버튼 클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650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0159B1 (ko) 1995-12-22 1999-06-15 백영문 엘리베이터의 도어개방제어장치
KR200344671Y1 (ko) * 2003-12-17 2004-03-12 허인호 조리용기 뚜껑의 탈착 손잡이
KR20090009123U (ko) * 2008-03-07 2009-09-10 나기형 흡착기를 이용한 버튼 홀더
KR20100016794A (ko) * 2008-08-05 2010-02-16 송순영 흡착 기구
KR101193018B1 (ko) 2010-08-10 2012-10-22 방효무 산업용 승강기의 출입 안전장치
KR20130093908A (ko) * 2012-02-15 2013-08-23 김종철 압착홀더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0159B1 (ko) 1995-12-22 1999-06-15 백영문 엘리베이터의 도어개방제어장치
KR200344671Y1 (ko) * 2003-12-17 2004-03-12 허인호 조리용기 뚜껑의 탈착 손잡이
KR20090009123U (ko) * 2008-03-07 2009-09-10 나기형 흡착기를 이용한 버튼 홀더
KR20100016794A (ko) * 2008-08-05 2010-02-16 송순영 흡착 기구
KR101193018B1 (ko) 2010-08-10 2012-10-22 방효무 산업용 승강기의 출입 안전장치
KR20130093908A (ko) * 2012-02-15 2013-08-23 김종철 압착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65588C (en) Door drive device with latching mechanism for lifts
US20100155184A1 (en) Elevator having a shallow pit and/or a low overhead
US6484850B1 (en) Elevator control panel device
JPH0725304B2 (ja) 常用と緊急用に兼用可能な出入口装置
JP6657065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6704068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0945598B1 (ko) 엘리베이터 출입문 개폐장치
EP3450379A1 (en) Mechanical hoistway access control device
KR102446501B1 (ko) 승강기 도어용 온/오프 버튼 클릭장치
JP2000229773A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CN109071179B (zh) 电梯装置
KR101875035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닫힘 방지장치
CN109906196B (zh) 电梯轿厢及电梯
JP5579159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ロック機構
KR102456320B1 (ko) 승강기 도어용 온/오프 버튼 클릭장치
JP2016210584A (ja) 小荷物専用昇降機
KR101220502B1 (ko) 승장 도어 잠금 장치
KR100535008B1 (ko) 이동구속장치를 갖춘 승합 차량의 슬라이딩도어
JPH0687588A (ja) ホームエレベーター用ドアロック装置
KR102302696B1 (ko) 상승도어식 엘리베이터의 인터록 해제장치
CN109850731B (zh) 电梯
KR102094885B1 (ko) 방폭형 스위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잠금장치
WO2023199507A1 (ja) エレベーター
JP2001089055A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JP7455225B2 (ja) 乗りかご及びエレベータ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