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3908A - 압착홀더 - Google Patents

압착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3908A
KR20130093908A KR1020120015151A KR20120015151A KR20130093908A KR 20130093908 A KR20130093908 A KR 20130093908A KR 1020120015151 A KR1020120015151 A KR 1020120015151A KR 20120015151 A KR20120015151 A KR 20120015151A KR 20130093908 A KR20130093908 A KR 20130093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leaf spring
holder
lev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5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7657B1 (ko
Inventor
김종철
여인재
Original Assignee
김종철
여인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921791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3009390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철, 여인재 filed Critical 김종철
Priority to KR1020120015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7657B1/ko
Publication of KR20130093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3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7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7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F16B47/006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the suction cups being activated by the rotation of a cranked lever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68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suction c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결합된 제1 베어링과;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결합된 제2 베어링과; 상기 제1 베어링의 중심부와 상기 제2 베어링의 중심부에 결합되어 상부로 돌출된 회전봉과; 상기 회전봉에 결합된 회전 테이블과; 상기 몸체부에 결합된 감속모터와; 상기 감속모터의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유닛과; 상기 감속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제1 톱니기어와; 상기 회전봉에 결합된 제2 톱니기어와; 상기 제1 톱니기어와 상기 제2 톱니기어를 연결하는 체인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압착홀더 {holder }
본 발명은 압착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원터치로 유리판 등에 부착할 수 있으며, 레버를 이용하여 탈착할 수 있는 압착홀더에 관한 것이다.
유리판이나 타일 등과 같이 표면이 평탄한 곳에는 압착홀더를 이용하여 물건을 부착할 수 있다. 압척홀더는 특히 차량의 앞유리에 부착되어 스마트폰 등을 거치하는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압착홀더는 내부가 비어있으며, 하부가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부착된 합성수지 재질의 흡착판과, 흡착판의 중심에 부착되어 흡착판을 당기거나 풀어주는 레버 등으로 구성된다.
종래의 압착홀더는 유리판에 부착하기 위해서, 흡착판을 유리판에 붙인 이후 레버를 당겨 흡착판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었다. 아울러, 유리판에서 압착홀더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레버를 풀어 진공상태를 해제하여야 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의 압착홀더를 붙이거나 뗄 때, 한 손은 케이스를 잡고, 다른 한 손은 레버를 잡고 사용하여야 했다.
따라서, 보다쉽게 붙이고 뗄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압착홀더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한 손으로 유리판과 같은 평탄면에 붙일 수 있는 압착홀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 공간이 확보된 케이스(11)와;
상기 케이스(11)의 하부를 커버하여 위치하는 흡착판(12)과;
상기 케이스(11)의 내부에 굴곡된 형태로 결합하는 판스프링(13)과;
상기 판스프링(13)과 상기 흡착판(12)을 연결하는 연결부재(14)를 포함하는 압착홀더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13)에는 외부에서 힘을 가하여 상기 판스프링을 하부로 굴곡되도록 할 수 있는 레버(15)를 더 포함하는 압착홀더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레버(15)의 일단은 상기 케이스(11)의 내부와 힌지결합하고, 상기 레(15)버의 타단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홀더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레버(15)에는 스프링(16)이 결합되어, 상기 레버(15)가 소정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홀더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한 손으로 유리판과 같은 평탄면에 붙일 수 있는 압착홀더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홀더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의 단면도(압착되지 않은 상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홀더가 평판에 압착되었을 경우의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홀더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단면도).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써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홀더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의 단면도(압착되지 않은 상태)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홀더가 평판에 압착되었을 경우의 단면도,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홀더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압착홀더(10)는, 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 공간이 확보된 케이스(11)와; 케이스(11)의 하부를 커버하여 위치하는 흡착판(12)과; 케이스(11)의 내부에 굴곡된 형태로 결합하는 판스프링(13)과; 판스프링(13)과 흡착판(12)을 연결하는 연결부재(1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압착홀더(10)에 암과 거치대가 결합하여, 다양한 물품을 자동차 앞유리나 거울 등에 부착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압착홀더(10)는 거치대의 하나의 구성품이 될 수 있다. 최근에 많이 사용하는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에 본 실시예의 유사한 종류의 압착홀더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압착홀더(10)는 판스프링(10)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보다 쉽게 유리 등에 부착할 수 있는 것이 기술적 특징이다.
케이스(11)는 플라스틱 재질로 일반적으로 만들어지며, 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 공간이 확보되어 있다. 케이스(11)의 하부 테두리는 흡착판(12)의 가장자리를 누를 수 있도록 원형이며, 평탄한 것이 좋다.
흡착판(12)은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서, 가장자리부터 유리와 같은 평판에 압착되면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어 부착력이 생기는 부품이다. 흡착판(12)의 작은 형태는 일명 "큐방", "흡착고무"로 불리며, 생활용품을 욕실에 걸기 위해, 유리에 부착되는 투명한 제품이다.
판스프링(13)은 케이스(11)의 내부에 굴곡된 형태로 결합한다. 굴곡된 형태로 결합한다는 의미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로 설명한다. 케이스(11)의 내부에는 한 쌍의 결합부(111,112)가 형성되어 있고, 판스프링(13)의 양단은 한 쌍의 결합부(111,112)에 고정된다. 이때, 한 쌍의 결합부(111,112)의 거리(L2)보다, 판스프링(13)의 길이(L1)가 더 길다. 따라서, 판스프링(13)을 한 쌍의 결합부(111,112)에 결합시키면, 도 6의 (A)나, (B)와 같은 굴곡된 형태를 유지한다. 도 6의 (A)형태에서, (B)형태로 변형되기 위해서 위에서부터 힘을 가하여 눌러주어야 하는데, 이때, 어느 임계위치를 지나면 자동으로 탄성력에 의해 (B)의 형태로 변형된다.
이상의 판스프링(13)의 특성을 이용하여, 원터치로 결합할 수 있는 압착홀더(10)가 완성될 수 있다.
판스프링(13)과 흡착판(12)은 연결부재(14)로 연결된다. 연결부재(14)는 흡착판(12)의 중심부에 결합하며, 흡착판(12)과 일체로 제조(사출)될 수 있다. 즉, 연결부재(14)는 흡착판(12)의 일부구성일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14)는 별도의 분리된 부재로, 연결부재(14)의 중심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연결부재(14)에 별도의 부재를 더 결합하여, 판스프링(13)과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재(14)에 의해서, 판스프링(13)과 흡착판(12)의 중심부가 연결됨으로써, 판스프링(13)의 굴곡된 형태의 변형에 따라 흡착판(12)도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도 3은 흡착판(12)이 평판에 밀착되지 않은 풀림(UN-LOCK)상태의 단면도이다. 흡착판(12)과 케이스(11)의 하부 가장자리는 이격거리(d)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판스프링(13)이 하부로 굴곡된 형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흡착판(12)이 아래로 쳐져 있기 대문이다.
이후, 사용자가 케이스(11)를 잡고 누르면, 흡착판(12)이 평판에 밀착되면서 눌려진다. 이때, 흡착판(12)의 중심에 있는 연결부재(14)도 상부로 이동하면서 판스프링(13)을 밀어올린다. 판스프링(13)을 임계위치 정도까지만 밀어올리면, 탄성력에 의해서 "툭"하면서 도 4와 같이, 판스프링(13)이 상부로 볼록한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서, 흡착판(12)과 케이스(11)의 가장자리는 밀착되고, 흡착판(12)의 중심부는 위로 들려지게 된다. 평판과 흡착판(12)의 내부공간은 닫혀진 공간이 되면서 진공상태가 된다. 결과적으로, 이 진공상태에 의해서 흡착판(12)은 평판에 밀착고정된다.
도 4와 같이, 상부로 볼록한 형태의 판스프링(13)을 다시 도 3과 같이, 하부로 볼록한 형태의 판스프링(13)으로 변형하기 위해서는, 레버(15)가 필요하다. 레버(15)는 판스프링(13)에 결합된다. 외부로 노출된 레버(15)를 이용하여 판스프링(13)을 아래로 볼록한 형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레버(15)의 일단은 상기 케이스(11)의 내부와 힌지결합하고, 레(15)버의 타단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한편, 레버(15)에는 스프링(16)이 결합되어, 레버(15)가 소정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로써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를 바탕으로 균등한 범위까지 당업자가 변형 및 추가하는 범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케이스(11) 흡착판(12)
판스프링(13) 연결부재(14)
레버(15) 스프링(16)

Claims (4)

  1. 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 공간이 확보된 케이스(11)와;
    상기 케이스(11)의 하부를 커버하여 위치하는 흡착판(12)과;
    상기 케이스(11)의 내부에 굴곡된 형태로 결합하는 판스프링(13)과;
    상기 판스프링(13)과 상기 흡착판(12)을 연결하는 연결부재(14)를 포함하는 압착홀더.
  2. 상기 판스프링(13)에는 외부에서 힘을 가하여 상기 판스프링을 하부로 굴곡되도록 할 수 있는 레버(15)를 더 포함하는 압착홀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15)의 일단은 상기 케이스(11)의 내부와 힌지결합하고, 상기 레(15)버의 타단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홀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15)에는 스프링(16)이 결합되어, 상기 레버(15)가 소정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홀더.

KR1020120015151A 2012-02-15 2012-02-15 압착홀더 KR101307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151A KR101307657B1 (ko) 2012-02-15 2012-02-15 압착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151A KR101307657B1 (ko) 2012-02-15 2012-02-15 압착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3908A true KR20130093908A (ko) 2013-08-23
KR101307657B1 KR101307657B1 (ko) 2013-09-12

Family

ID=49217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5151A KR101307657B1 (ko) 2012-02-15 2012-02-15 압착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76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23550A (zh) * 2018-01-30 2018-06-29 吉林大学 一种自动补偿真空度的吸盘
KR102446501B1 (ko) * 2022-03-10 2022-09-23 주식회사 어트랙티브 승강기 도어용 온/오프 버튼 클릭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0619Y1 (ko) * 1990-11-22 1993-02-11 강길박 곡유리 흡착기
EP1964723A3 (en) 2007-02-28 2012-10-10 LG Electronics Inc. Suction plate and cradle for an automobi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23550A (zh) * 2018-01-30 2018-06-29 吉林大学 一种自动补偿真空度的吸盘
CN108223550B (zh) * 2018-01-30 2024-03-22 吉林大学 一种自动补偿真空度的吸盘
KR102446501B1 (ko) * 2022-03-10 2022-09-23 주식회사 어트랙티브 승강기 도어용 온/오프 버튼 클릭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7657B1 (ko) 201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3899B2 (en) Structure for a suction device
US10092091B1 (en) Plastic Table board
CN103457099A (zh) 芯片卡固持结构
KR101307657B1 (ko) 압착홀더
TWI498259B (zh) 套角及其板材
CN203145635U (zh) 汽车前门限位器总成
KR101416692B1 (ko)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
KR20130108716A (ko) 압착홀더
CN103025095B (zh) 一种电子设备外壳
WO2012094801A1 (zh) 杯盖
CN205468855U (zh) 手机支架
KR20090075436A (ko) 거치대의 고정구조
CN210162003U (zh) 按压式电子设备支架
JP3224599U (ja) パルプ成形紙容器
CN203714387U (zh) 按压式开启圆形金属盒
CN209711775U (zh) 智能手环
JP3621557B2 (ja) 合成樹脂製容器
CN109288212A (zh) 智能手环
KR100758543B1 (ko) 끈 결속장치
KR200449918Y1 (ko) 냅킨 케이스
JPS6130311Y2 (ko)
CN210165148U (zh) 侧部操作式电子设备支架
KR100689014B1 (ko) 흡착기구
KR200474360Y1 (ko) 부착력 강화를 위한 직선운동 슬라이더를 구비한 흡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기기용 마운트
CN209284931U (zh) 一种烹饪器具操作显示组件以及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31022

Effective date: 20131226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1122

Effective date: 201401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