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9014B1 - 흡착기구 - Google Patents

흡착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9014B1
KR100689014B1 KR1020050112455A KR20050112455A KR100689014B1 KR 100689014 B1 KR100689014 B1 KR 100689014B1 KR 1020050112455 A KR1020050112455 A KR 1020050112455A KR 20050112455 A KR20050112455 A KR 20050112455A KR 100689014 B1 KR100689014 B1 KR 100689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urface
adsorption
plate
adhesion
pres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2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광
Original Assignee
김영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광 filed Critical 김영광
Priority to KR1020050112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90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9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9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7Devices for fastening household utensils, or the like, to tables, wal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Holders for articles of personal use in general, e.g.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B2260/118Suction pads or vacuum cups, e.g. for attachment of guides to workpieces

Landscapes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착기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흡착기구는, 벽면과 밀착하는 흡착면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벽면과 흡착면 사이를 진공상태로 만드는 흡착판; 상기 흡착판의 중앙부위를 상기 벽면을 향해 누르기 위해 마련되는 누름부재; 및 상기 흡착판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누름부재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지지장치;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탄성의 힘으로 벽면과 흡착면 사이의 진공도를 높여줌으로써, 흡착면과 벽면의 결합력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다.
흡착판, 용수철, 고무링

Description

흡착기구{APPARATUS FOR ADHESION}
도1은 종래의 걸림고리가 형성된 흡착판을 나타낸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착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착기구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착기구를 옷걸이로 사용한 예를 나타낸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착기구의 탄성체로써 판스프링이 사용된 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흡착기구
210:흡착판 211:흡착면
290:벽면 220:누름부재
221:걸림부 222:결합부
230,230':탄성지지장치 231,231':탄성체
232,232':하우징 232a,232a',232b,232b':개방부
232c,232c':걸림턱 232d':옷걸이부
본 발명은 흡착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면과 흡착면 사이의 진공도를 더욱 높여 벽면과의 결합력을 높여주는 흡착기구에 관한 것이다.
도1은 걸림고리(120)가 형성된 종래의 흡착판(11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흡착판(110)은 합성고무나 연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일측의 흡착면(111)을 벽면(190)에 대고 흡착판(110)을 눌러서 흡착면(111)과 벽면(190) 사이의 공기를 빼내면, 벽면(190)과 흡착면(111) 사이가 진공상태가 되어 벽면(190)으로부터 흡착판(110)이 잘 떨어지지 않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이러한 흡착판(110)은 걸림고리(120)를 연결하여 욕실이나 주방 등의 벽면(190)에 부착한 뒤, 비교적 경량의 수건이나 주방기구 또는 빗 등을 걸어 놓거나, 자동차의 유리에 부착하여 방향제 등을 걸어 놓는 용도로 쓰인다.
그러나 종래의 흡착판(110)은 흡착판(110)의 흡착면(111)이 벽면(190)과 대향하여 힘을 받지 못하여, 벽면(190)과 흡착면(111) 사이의 진공도가 낮아지게 되어 부착력이 떨어진다. 더 나아가서 흡착판(110)이 벽면(190)으로부터 떨어지게 되면 흡착판(110)과 흡착판(110)에 걸려 있던 물건이 분실 또는 파손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흡착판에 벽면과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해 흡착면과 벽면 사이의 진공도를 높여줌으로써, 흡착판과 벽면의 결합력을 높여주는 흡착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흡착기구는, 벽면과 밀착하는 흡착면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벽면과 흡착면 사이를 진공상태로 만드는 흡착판; 상기 흡착판의 중앙부위를 상기 벽면을 향해 누르기 위해 마련되는 누름부재; 및 상기 흡착판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누름부재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지지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지지장치는, 상기 흡착판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누름부재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누름부재가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탄성체는 용수철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착기구(20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착기구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흡착기구(200)는, 흡착판(210), 누름부재(220) 및 탄성지지장치(230)를 포함한다.
흡착판(210)은 벽면(290)과 밀착하는 흡착면(211)이 일측에 형성되어 벽면(290)과 흡착면(211) 사이를 진공상태로 만든다. 흡착판(210)은 합성고무 또는 연질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누름부재(220)는 흡착판(210)의 중앙부위를 벽면(290)을 향해 누르기 위해 마련된다. 즉, 누름부재(220)는 흡착판(210)의 타측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흡착판(210)의 흡착면(211)과 벽면(290) 사이의 공기를 빼내기 위해 누르는 부분으로, 흡착판(210)과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다. 한편 누름부재(220)는 이후 서술할 탄성체(231)로부터 탄성에 의한 힘을 전달받는 걸림부(221)와 흡착판(210)의 타측에 결합되는 결합부(2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탄성지지장치(230)는 흡착판(210)의 반대방향으로 누름부재(220)에 탄성력을 가한다. 이에 따른 탄성지지장치(230)는 탄성체(231) 및 하우징(232)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체(231)는 이후 서술할 하우징(232) 내에서 흡착판(210)의 반대방향으로 누름부재(220)에 탄성력을 가한다. 탄성체(231)는 용수철 또는 고무링 등의 원래 상태로 돌아가려고 하는 성질이 있는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체(231)로써 용수철이 사용된 흡착기구(200)를 도시한 것이다.
하우징(232)은 탄성체(231)를 수용한다. 또한 하우징(232)은 흡착판(210) 및 누름부재(220)가 노출되는 개방부(232a,232b)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232)에는 누름부재(220)가 노출되는 개방부(232b)가 형성되되, 누름부재(220)가 탄성체(231)의 탄성력에 의해 하우징(232)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232c)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착기구(200)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착기구(200)의 흡착면(211)이 벽면(290)을 향하도록 하여 누름부재(220)를 누르면, 탄성체(231)는 누름부재(220)의 걸림부(221)에 밀려 압축이 되며, 벽면(290)과 흡착면(211) 사이의 공기는 빠져나가게 된다. 이때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재(220)에 힘을 가하던 것을 중지하면, 탄성체(231)는 원래 상태로 돌아가려고 하는 성질 때문에 누름부재(220)의 걸림부(221)를 밀어 올리게 되고, 따라서 흡착판(210) 또한 벽면(29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이때, 흡착판(210)은 합성고무 또는 연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벽면(290)에 밀착되었을 시, 흡착판(210)의 가장자리를 통한 공기의 통로를 거의 완벽하게 차단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흡착판(210)에 벽면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흡착면(211)과 벽면 사이는 진공상태가 된다. 따라서 흡착판(210) 외부의 기압이 더 높기 때문에 흡착판(210)은 외부의 기압에 의해 눌리는 힘으로 벽면(290)에 붙어 있게 된다. 한편, 도1에 도시된 종래의 흡착판(110) 또한 원래 상태로 돌아가려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흡착판(110)의 흡착면(111)을 벽면(190)에 대고 눌러주면 흡착면(111)의 가장자리는 벽면(190)과 밀 착한 상태에서 미세하게 흡착면(111)의 중앙부가 벽면(190)과 떨어지면서, 벽면(190)과 흡착면(111) 사이가 진공상태를 이룬다. 따라서 일시적으로는 흡착판(110)이 벽면으로부터 떨어지지는 않지만, 진공도가 약하여 외부 공기가 흡착판(110)을 눌러주는 힘이 미세하기 때문에 조금씩 흡착판(110)의 가장자리를 통해 공기가 새어 들어가 흡착판(110)이 벽면(190)으로부터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탄성체(231)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항시 흡착면(211)과 벽면(290) 사이의 진공도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흡착판(210)이 벽면(290)으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착기구(200)가 부착되는 벽면(290)은 타일, 유리, 거울 등의 매끄러운 표면을 가진 벽면이면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한편,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착기구를 옷걸이로 사용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흡착기구의 하우징(232') 외측 둘레에 옷걸이부(232d')를 형성시켜, 벽면(290)에 흡착기구를 부착한 것으로, 옷걸이부(232d')에 옷 또는 수건 등을 걸어 놓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흡착기구는 도면에 설명한 옷걸이로써의 용도뿐만 아니라, 흡착판을 이용한 어떠한 용도로도 쓸 수 있다.
한편 도5에 도시된 흡착기구에서는, 옷걸이부(232d')가 형성된 하우징(232')을 제외한 다른 모든 구성요소들은 도3 및 도4에 도시된 흡착기구와 동일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였으며, 하우징(232')의 개방부(232a',232b') 및 걸림턱(232c') 또한 도3 및 도4에 도시된 흡착기구의 하우징(232)의 개방부(232a,232b) 및 걸림턱(232c)과 그 용도 및 효과가 동일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피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흡착기구의 탄성체(231')로써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판스프링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흡착판의 흡착면과 벽면 사이의 공간을 항상 일정 수준 이상의 진공도로 유지시켜, 흡착판과 벽면사이의 부착력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삭제
  2. 벽면(290)과 밀착하는 흡착면(211)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벽면(290)과 흡착면(211) 사이를 진공상태로 만드는 흡착판(210);과
    상기 흡착판(210)의 중앙부위를 상기 벽면(290)을 향해 누르기 위해 마련되는 누름부재(220); 및
    상기 흡착판(210)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누름부재(220)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체(231,231')와; 상기 탄성체(231,231')를 수용하는 하우징(232,232')을; 구비하는 탄성지지장치(230,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32,232')은,
    상기 누름부재(220)가 상기 탄성체(231,23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232,232')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232c232c')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기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231,231')는 용수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기구.
KR1020050112455A 2005-11-23 2005-11-23 흡착기구 KR100689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455A KR100689014B1 (ko) 2005-11-23 2005-11-23 흡착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455A KR100689014B1 (ko) 2005-11-23 2005-11-23 흡착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9014B1 true KR100689014B1 (ko) 2007-03-02

Family

ID=38102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2455A KR100689014B1 (ko) 2005-11-23 2005-11-23 흡착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90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23354A1 (en) * 2006-04-24 2007-11-01 Cheol-Seok Woo Multi-purpose vacuum suction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23354A1 (en) * 2006-04-24 2007-11-01 Cheol-Seok Woo Multi-purpose vacuum suction apparatus
US7708245B2 (en) 2006-04-24 2010-05-04 Cheol-Seok Woo Multi-purpose vacuum suction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2316B1 (ko) 다용도 흡착판
KR100801761B1 (ko) 진공 흡착구
KR20110020955A (ko) 탄성 진공흡착구
DE502004000059D1 (de) Vakuumsauger
KR20160108112A (ko) 흡착판
KR100786816B1 (ko) 진공 흡착기
JP2006064168A (ja) 吸盤の装着構造
JP2007068828A (ja) 物品支持具
KR100689014B1 (ko) 흡착기구
KR20100108176A (ko) 원터치진공흡착구
CN102222579B (zh) 电源按键结构
KR20080111667A (ko) 진공 흡착구
KR100753431B1 (ko) 회전 개폐구를 갖는 흡착구
JP4624761B2 (ja) シャワー保持器具及び浴室備品保持器具
JP2016048082A (ja) 吸盤
KR101307657B1 (ko) 압착홀더
KR200318414Y1 (ko) 진공 흡착구
TWI549514B (zh) 具有吊掛功能的顯示裝置
JPS6130311Y2 (ko)
KR101884241B1 (ko) 음식물 쓰레기봉투 걸이장치
RU2729122C1 (ru) Крепе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анитарных дополнительных компонентов, а также способ крепления санитарных дополнительных компонентов
KR101466653B1 (ko) 안경용 걸이구
KR200254098Y1 (ko) 장착용 빨판
KR20200098215A (ko) 식탁보 고정장치
CN210165148U (zh) 侧部操作式电子设备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