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360Y1 - 부착력 강화를 위한 직선운동 슬라이더를 구비한 흡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기기용 마운트 - Google Patents

부착력 강화를 위한 직선운동 슬라이더를 구비한 흡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기기용 마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360Y1
KR200474360Y1 KR2020140002184U KR20140002184U KR200474360Y1 KR 200474360 Y1 KR200474360 Y1 KR 200474360Y1 KR 2020140002184 U KR2020140002184 U KR 2020140002184U KR 20140002184 U KR20140002184 U KR 20140002184U KR 200474360 Y1 KR200474360 Y1 KR 2004743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lift
disk
clamp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21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엽
Original Assignee
(주)신형아이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형아이엔티 filed Critical (주)신형아이엔티
Priority to KR20201400021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3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3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3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흡반의 부착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테이블이나 차량의 대쉬보드와 같은 부착대상체와 접촉한 디스크의 밀폐공간을 확대하여 부착력을 강화함에 있어 전후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는 슬라이더에 구비된 상향 경사레일을 따라 디스크와 연결된 리프트가 상하 방향으로 상승이 이루어지는 구조여서 원터치 구조로 단순하게 부착력이 강화되어 스마트폰이나 네비게이션 등의 모바일기기용 마운트는 물론 욕실용 행거(hanger) 등 다양한 분야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 부착력 강화를 위한 직선운동 슬라이더를 구비한 흡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기기용 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흡반 어셈블리는 노출부를 구비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배열되고 부착대상체와 외곽이 접촉하여 외부와 차단된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디스크; 상기 디스크 상부에 연결되어 베이스의 노출부에 배열되고 걸림부를 갖는 리프트; 및 상기 리프트의 걸림부가 결합되는 상향 경사레일을 구비하여 결합시 리프트를 상승시켜 디스크의 밀폐공간을 확장시키는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부착력 강화를 위한 직선운동 슬라이더를 구비한 흡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기기용 마운트{SUCKING DISK ASSEMBLY AND MOBILE MOUNT EQUIPPED WITH THE SAME}
본 고안은 흡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기기용 마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흡반의 부착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테이블이나 차량의 대쉬보드와 같은 부착대상체와 접촉한 디스크의 밀폐공간을 확대하여 부착력을 강화함에 있어 전후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는 슬라이더에 구비된 상향 경사레일을 따라 디스크와 연결된 리프트가 상하 방향으로 상승이 이루어지는 구조여서
원터치 구조로 단순하게 부착력이 강화되어 스마트폰이나 네비게이션 등의 모바일기기용 마운트는 물론 욕실용 행거(hanger) 등 다양한 분야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 부착력 강화를 위한 직선운동 슬라이더를 구비한 흡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기기용 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우레탄 고무나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진 연질 합성수지 소재의 흡반은 욕실 용품 걸이를 위한 행거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으며
테이블, 거울, 유리창이나 차량의 대쉬보드와 같은 부착대상체와 외곽이 접촉하여 외부와 차단된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연질 디스크를 도입하고, 디스크를 상승시켜 밀폐공간이 확대되도록 하여 부착력을 강화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 제20-0271400호(등록일자 2002년03월28일) [진공 흡착구]가 있는데,
이 등록고안은 연질 합성수지 또는 고무판으로 된 흡착판의 주연부에 형성된 요입부에는 지지판의 주연부에 형성된 돌출부가 끼움되고, 지지판의 통공에 끼움된 지지간의 하단부는 흡착판의 중심부에 형성된 걸림부에 매입되어 일체로 고정되게 하고, 지지간의 상부에는 체결물체를 개재한 손잡이가 나사 끼움되어 손잡이를 나사 조임하면 지지간의 하단부에 체결된 흡착판의 신축부는 상향 이동하면서 진공실을 형성함과 동시 진공 흡착력을 높이고, 이때 지지판의 주연부는 흡착판의 주연 흡착부를 더욱 압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등록고안은 손잡이를 매번 회전시켜 조이고 풀어야 하여 번거롭고, 손에 비누칠을 한 상태나 물기가 묻은 상태에서는 미끄러워 조이고 풀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반복된 회전에 따라 주로 부식 방지를 위하여 합성수지로 구성된 지지간의 수나사나 손잡이의 암나사가 뭉게 질 수 있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 실용신안등록 제20-0313521호(등록일자 2003년05월02일) [흡착 걸이대]가 있는데,
상기 등록고안은 저부 일측에 버튼부가 절개되어 탄발토록 연결되는 걸이부와, 상기 걸이부에 장착되어 벽에 압착 고정되는 압착부 및, 상기 걸이부의 버튼부 동작에 의해 착탈토록 결합되고, 내측으로 칫솔이나 치약과 같은 세면용품, 세제통이나 수세미와 같은 주방용품을 수납하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버튼부의 푸쉬 동작으로 걸이부에 수납부가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되고, 압착부를 통하여 벽이나 유리에 강하게 고정됨과 아울러, 분리 후에도 깨끗한 미관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흡착 걸이대를 제시하고 있다.
이처럼 캠 타입 레버의 하강으로 압착부(즉, 흡반)가 상승되어 부착력이 강화되는 형태는 그 만큼 부품 수가 증가되고 이에 따라 조립이 어렵고 생산성에 문제가 있으며,
욕실용 비누걸이 등이 아니라 차량 대쉬보드 장착형으로 모바일기기를 지지하는 용도로 활용될 경우 충분한 부착력을 제공하도록 개선하는 경우에는 부품수가 더 늘어나 문제점 또한 그만큼 더 커지게 된다.
한편 특허공개 제10-2008-0097663호(공개일자 2008년11월06일) [흡착판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거치대]가 있는데,
상기 공개특허는 운전자가 차량 내부에서 사용하는 각종 차량용기기를 거치하기 위한 흡착판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흡착판은 일측으로 관통되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된 보스가 일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보스의 내부에 삽입되는 중심축이 구비되며, 상기 중심축에는 일측으로 관통되는 중심공이 형성되는 흡착부와; 상기 중심축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착판과 하우징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소정의 각도범위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과 흡착부의 상대이동을 조절하는 구동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공개특허 또한 부품수가 많고 조립이 어려우며 다양한 진동이나 충력 등의 원인에 의하여 구동레버가 풀려 흡착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그 외 특허등록 제10-0967516호(등록일자 2010년06월24일) [진공흡착기]가 있는데,
상기 등록특허는 유리판 내지 금속판의 표면에 미세한 이물질이 부착되어 면이 고르지 못하더라도 이와 무관하게 면과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고, 진공흡착이 어려운 금속판의 경우에도 자력에 의하여 부착될 수 있는 진공흡착기에 관한 것으로,
이 특허의 진공흡착기는 저면 외주면 둘레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요홈이 일정 폭을 가진 띠 형상으로 형성되는 흡착판과, 상기 흡착판의 상부와 고정되어 상하 승강되는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을 회전에 의해 회전시키는 회전 몸체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특허 또한 첫 번째 등록고안의 문제점을 그대로 안고 있다.
이에 본 고안은 흡반의 부착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거울, 유리창, 테이블이나 차량의 대쉬보드와 같은 부착대상체와 접촉한 디스크의 밀폐공간을 확대하여 부착력을 강화함에 있어 전후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는 슬라이더에 구비된 상향 경사레일을 따라 디스크와 연결된 리프트가 상하 방향으로 상승이 이루어지는 구조여서 원터치 구조로 단순하게 부착력이 강화되어 스마트폰이나 네비게이션 등의 모바일기기용 마운트는 물론 욕실용 행거(hanger) 등 다양한 분야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 부착력 강화를 위한 직선운동 슬라이더를 구비한 흡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기기용 마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은 베이스와 디스크 사이에는 이 둘 사이의 간격을 벌리는 탄성수단을 더 도입하여 슬라이더와 리프트의 결합 완료 상태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흡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기기용 마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고안은 슬라이더의 상향 경사레일의 종점에는 리프트의 걸림부가 안착되는 이탈방지 제1리세스를 더 도입하여 슬라이더가 다양한 원인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또 슬라이더의 상향 경사레일의 시점에는 리프트의 걸림부가 안착되는 이탈방지 제2리세스를 도입하여 초기 슬라이더의 결합시 초보자도 쉽게 결합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조립성을 크게 개선한 흡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기기용 마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부착력 강화를 위한 직선운동 슬라이더를 구비한 흡반 어셈블리는
노출부를 구비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배열되고 부착대상체와 외곽이 접촉하여 외부와 차단된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디스크;
상기 디스크 상부에 연결되어 베이스의 노출부에 배열되고 걸림부를 갖는 리프트; 및
상기 리프트의 걸림부가 결합되는 상향 경사레일을 구비하여 결합시 리프트를 상승시켜 디스크의 밀폐공간을 확장시키는 슬라이더;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마운트는
노출부를 구비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배열되고 부착대상체와 외곽이 접촉하여 외부와 차단된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디스크,
상기 디스크 상부에 연결되어 베이스의 노출부에 배열되고 걸림부를 갖는 리프트, 그리고
상기 리프트의 걸림부가 결합되는 상향 경사레일을 구비하여 결합시 리프트를 상승시켜 디스크의 밀폐공간을 확장시키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흡반 어셈블리;
상기 슬라이더 또는 상기 베이스에 결합된 연결체; 및
상기 연결체에 결합된 클램프;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나아가 본 고안은 부착력 강화를 위한 직선운동 슬라이더를 구비한 흡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기기용 마운트에 있어,
상기 흡반 어셈블리가
상기 베이스와 상기 디스크 사이에는 이 둘 사이의 간격을 벌리는 탄성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더의 상향 경사레일의 종점에는 리프트의 걸림부가 안착되는 이탈방지 제1리세스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더의 상향 경사레일의 시점에는 리프트의 걸림부가 안착되는 이탈방지 제2리세스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부착력 강화를 위한 직선운동 슬라이더를 구비한 흡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기기용 마운트는 흡반의 부착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거울, 유리창, 테이블이나 차량의 대쉬보드와 같은 부착대상체와 접촉한 디스크의 밀폐공간을 확대하여 부착력을 강화함에 있어 전후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는 슬라이더에 구비된 상향 경사레일을 따라 디스크와 연결된 리프트가 상하 방향으로 상승이 이루어지는 구조여서 원터치 구조로 단순하게 부착력이 강화되어 스마트폰이나 네비게이션 등의 모바일기기용 마운트는 물론 욕실용 행거(hanger) 등 다양한 분야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고, 또 베이스와 디스크 사이에는 이 둘 사이의 간격을 벌리는 탄성수단을 더 도입하여 슬라이더와 리프트의 결합 완료 상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슬라이더의 상향 경사레일의 종점에는 리프트의 걸림부가 안착되는 이탈방지 제1리세스를 더 도입하여 슬라이더가 다양한 원인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또 슬라이더의 상향 경사레일의 시점에는 리프트의 걸림부가 안착되는 이탈방지 제2리세스를 도입하여 초기 슬라이더의 결합시 초보자도 쉽게 결합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조립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부착력 강화를 위한 직선운동 슬라이더를 구비한 흡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기기용 마운트에 대한 다양한 도면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흡반 어셈블 리가 적용되는 모바일기기용 마운트 중 클램프에 대한 상세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흡반 어셈블 리가 적용되는 모바일기기용 마운트의 변형예에 대한 결합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변형 모바일기기용 마운트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변형 모바일기기용 마운트의 결합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부착력 강화를 위한 직선운동 슬라이더를 구비한 흡반 어셈블리(A) 및 모바일기기용 마운트(M)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도시한 그대로의 상태에서 상하, 좌우, 전후를 나누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도 1의 결합사시도, 도 2의 1차 분해 사시도, 도 3의 상부 관찰 2차 분해 사시도, 도 4의 하부 관찰 2차 분해 사시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부착력 강화를 위한 직선운동 슬라이더(20D)를 구비한 흡반 어셈블리(A)는 크게 베이스(20A), 폴리우레탄이나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엘라스토머 내지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디스크(20B), 그리고 이 디스크와 하부가 결합된 리프트(23A), 그리고 상향 경사레일(25A)을 구비하여 결합시 리프트를 상승시켜 디스크의 밀폐공간을 확장시키는 슬라이더(20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마운트(M)는 흡반 어셈블리(A) 외에 상기 슬라이더(20D) 또는 상기 베이스(20A)에 결합된 연결체(130), 그리고 이 연결체에 결합된 클램프(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20A)는 대략적인 외관 형상이 사발을 엎어 놓은 것 같은 형상으로 디스크(20B)를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며, 슬라이더(20D)의 결합 완료 후에는 하부 테두리가 디스크의 외곽 상부를 눌러 외기의 유입 차단 효과를 보강하는 역할도 겸할 수 있다.
또 상기 베이스(20A)는 디스크(20B)와 결합된 리프트(23A)의 상부, 특히 걸림부(23a)의 노출(슬라이더의 상향 경사레일(25A)과의 결합)을 위한 노출부, 특히 구멍 형태의 노출부(21A)를 갖고, 이 노출부와 연통된 홈 타입의 안착부, 특히 상협하광(上狹下廣) 형상으로 슬라이더의 상부 이탈 방지를 위한 안착부(21a)를 갖는다.
상기 디스크(20B)는 통상의 흡반용 디스크와 같이 폴리우레탄이나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엘라스토머 내지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대략적인 외관 형상이 접시를 엎어 놓은 것과 유사한 형상이며, 일측에 디스크를 떼어내기 쉽도록 손잡이 역할을 하는 분리돌기(23B)를 갖고, 인서트사출 방식 등을 통하여 리프트(23A)의 하부 원반 타입 인서트체(23b)가 결합되는 중아 결합두텁살(23c)를 갖는다. 상기 인서트체(23b)는 결합두텁살(23c)을 구성하는 수지가 사출 과정에서 침입하여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인서트체(23b)와 결합두텁살(23c)이 분리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결합두텁살(23c)을 찢어 파손하기 전에는 인서트체(23b)가 분리되지는 않는다.
상기 디스크(20B)는 베이스(20A)의 하부에 배열되어 베이스에 감싸진 형태이고, 거울, 유리창, 테이블, 차량의 대쉬 보드 등의 부착대상체와 외곽이 접촉하여 외부와 차단된 밀폐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리프트(23A)는 대략적인 형상이 봉상(棒狀)이고, 상기 디스크(20B) 상부, 특히 중앙 두텁살(23c)에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결합되도록 원반형 인서트체(23b)를 하부에 갖고,
베이스(20A)의 노출부(21A)에 배열되는 걸림부, 특히 양측으로 튀어나온 돌출형 걸림부(23a)를 상부에 갖는다.
상기 베이스(20A)와 상기 디스크(20B) 사이에는 이 둘 사이의 간격을 벌리는 탄성수단, 상세하게는 코일스프링 타입 탄성수단, 보다 상세하게는 콘 타입 코일스프링 형태의 탄성수단(20C)이 특히 리프트(23A)에 외삽되어 있어 슬라이더(20D) 결합상태의 안정성을 높이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흡반 어셈블리(A)의 핵심 중 하나인 슬라이더(20D)는
상기 리프트(23A)의 걸림부(23a)가 결합되는 상향 경사레일(25A)을 구비하여 결합시 리프트를 상승시켜 디스크(20B)가 형성하는, 외부와 차단된 밀폐공간을 확장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좌우(또는 전후)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는 슬라이더를 원터치(퀵) 방식으로 단순하게 조작하기만 하면 흡반, 즉 디스크(20B)의 부착력이 강화되어 스마트폰이나 네비게이션 등의 모바일기기용 마운트는 물론 욕실용 행거(hanger) 등의 분야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어
큰 하중의 물체나 충격으로부터 흡반 어셈블리와 결합된 거치부(또는 마운트나 걸이(hanger))부 또는 클램프(110))에 배열된 다양한 물품(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기기, 비눗갑, 액자 등)의 이탈이나 추락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물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어서
설치 편리성의 향상과 부착력의 강화는 물론, 부품수를 최소화하여 조립 편리성과 생산성 향상에 크게 도움이 된다.
이와 같은 슬라이더(20D)는 커버(C20)와 바디(B20)로 구성되며,
이 바디(B20)에 상향 경사레일(25A), 진입경사부(25B), 제1 및 제2 리세스(25a)(25b)가 구비되며,
이들(25A)(25B)(25a)(25b)은 전후 돌출된 리프트(23A)의 두 돌출형 걸림부(23a)가 삽입되도록 하는 슬롯(25C)(도 4 참조) 양측에 대칭된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제1리세스(25a)는 슬라이더(20D)의 상향 경사레일(25A)의 종점에 형성되어 리프트(23A)의 걸림부(23a)가 안착되도록 하여 설치 완료된 상태에서 슬라이더가 리프트와 분리·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 기능을 한다.
또 제2리세스(25b)는 슬라이더(20D)의 상향 경사레일(25A)의 시점에 구비되며 리프트(23A)의 걸림부(23a)가 초기 삽입·안착되어
탄성수단(20C)의 탄성에 의하여 상호 멀어지려고 하는 리프트(23A)(즉 디스크(20B))와 슬라이더(20D)(또한 베이스(20A))의 작용에도 불구하고
슬라이더의 좌우(또는 전후) 직진 삽입에 따라 초보자도 쉽게 실패 없이 설치·결합 초기에 슬라이더의 경사레일(25A)에 리프트의 걸림부(23a)가 안내되어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초입에 구비된 진입경사부(25B)는 단부에 턱이 없도록 하는 형태로 최초 리프트(23A)의 걸림부(23a)를 슬라이더(20D)의 상향 경사레일(25A)에 삽입하는 경우 쉽게 걸림부(23a)가 제2리세스(25b)에 안착되도록 한다.
한편, 슬라이더(20D)의 커버(C20)와 바디(B20)는 각각의 체결부, 특히 커버 수용공간 내벽의 수(雄)체결부(20j)(도 4 참조) 및 바디 전후 측벽의 암(雌)체결부(27)가 상호 결합되어 분리가 방지되는 구조이며,
커버 및 바디의 꼭맞음 결합은 커버(C20)의 내벽 중간 정도에 구비된 돌출형 스토퍼(20s)에 의하여 바디(B20)의 삽입 정도를 제한하도록 되어 있는 구조에 의하여 구현된다.
나아가 상기 커버(C20)의 전후 측면에는 네 살빼기홀(20h)이 구비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이 살빼기홀에 접착제를 투입하여 커버와 바디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또 살빼기홀은 커버의 측벽에 탄성을 부여하여 보다 쉽게 바디가 커버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 바디(B20)의 슬롯(25C)과 상응한 위치의 커버(C20)에는 역시 리프트(23A)의 걸림부(23a)가 쉽게 삽입되도록 측벽이 제거된 트임부(미지시됨)가 구비되어 있어
상호 대응되는 상협하광(上狹下廣)을 가져 이탈이 방지되는 슬라이더(20D)를 베이스(20A)의 안착부(21a)에 원터치(퀵) 방식으로 직진 삽입함에 따라
리프트(23A)의 걸림부(23a)가 슬라이더(20D) 바디(B20)의 진입경사부(25B), 제2리세스(25b), 상향 경사레일(25A)를 통과하면서 결합되고
최종적으로는 상승된 디스크(20B)와 리프트(23A)는 걸림부(23a)가 탄성수단(20C)의 벌림작용으로 제1리세스(25a)에 안착되면서 결합이 완료되고 설치 상태에서 리프트 및 슬라이더의 상호 분리가 방지되어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마운트(M)는 스마트폰이나 네비게이션의 거치를 위한 클램프(110)를 갖는데, 이 클램프는 본 흡반 어셈블리(A) 필요 물품용 걸이대 또는 마운트 등을 위한 후크 등의 다양한 거치부재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110)는 연결체(130)를 통하여 흡반 어셈블리(A)와 결합되는데,
도면에서 이 연결체(130)는 슬라이더(20D), 특히 커버(C20)에 결합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연결체는 베이스(20A)에 결합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어서 도 5 및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흡반 어셈블리(A)가 채용된 모바일기기용 마운트, 특히 유니버설 마운트(M)를 설명하도록 한다.
연결체(130)를 통하여 흡반 어셈블리(A), 특히 슬라이더(20D)의 커버(C20)와 연결(필요에 따라 베이스(20A)와 연결 가능)된 클램프(110)는 측면 형상이 알파벳 'C'자 유사 형상을 갖는다.
클램프(110)의 클램핑 파워는 역시 탄성수단(E)으로부터 얻어지는데, 클램프(110)의 각 탄성수단 역시 클램프 소재 자체의 탄성에 기인한 탄성수단(E1m)일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클램프에 판스프링타입 탄성수단(E1M)과 같이 별도의 추가 탄성수단이 도입될 수 있다.
클램프(110)는 내피(110B) 양단부에 형성된 거치부(111)에 탄성완충체(111A)가 도입되어 있고, 이는 폴리우레탄 등의 소프트한 사출 합성수지 자체의 소재 특성에 기인한다.
도 6의 변형 마운트(Mm) 클램프(10)의 탄성완충부(11A)와 마찬가지로 도 5의 마운트(M)의 탄성완충부(111A) 역시 거치 대상체 또는 마운트를 충격이나 진동으로부터 보호함은 물론 소재 특유의 마찰력으로 거치 대상체 또는 마운트의 임의 분리를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 클램프(110)를 잇는 연결체(130)는 각도조절수단(130A), 특히 회전 및 전방향 각도조절이 가능한 유니버설 조인트를 구성하는 볼(131B) 및 이를 수용하는 안치부(131A)로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클램프(110)의 각도 조절 상태에 대한 고정 기능을 위하여 볼(131B)과 안치부(131A)의 접면에는 다양한 마찰 증가 부재가 도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흡반 어셈블리(A)를 채용할 수 있는, 도 1 내지 도 5의 마운트(M)에서는 클램프(110)에 클램핑 파워를 부여하는 탄성수단(E)이 도 6의 변형 마운트(Mm)의 클램프(10)와 달리 주로 별도의 강판 소재 판스프링, 특히 클램프(110)의 형상에 맞게 측면형상이 알파벳 'C'자 유사 형상인 판스프링(E1M)에 의하여 구현되는 형태로 되어 있다.
도 5 [A]의 결합사시도 및 도 5 [B]의 부분 분해 사시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양산성을 위하여 클램프(110)는 외피(110A)와 내피(110B), 그리고 이 둘 사이의 판스프링(E1M)으로 구성되며,
클램프(110)에 클램핑 파워는 주로 판스프링(E1M)에 기인하며, 보조적으로 외피(110A) 또는 내피(110B), 또는 이 둘 모두의 소재 자체의 탄성에 의한 탄성수단(E1m)이 구현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클램핑 파워과 관련된 주종 관계는 각 구성요소(110A,110B,E1M)가 균등 부담하거나 다양하게 차등 부담하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실 양산에서는 선사출 성형된 클램프(110)의 외피(110A)에 판스프링(E1M)을 볼트(B)를 이용하여 체결하고, 이 [외피(110A)+판스프링(E1M) 조립체]를 금형에 배열한 후 인서트 사출을 통하여 내피(110B)를 사출 성형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상기 내피는 발포 합성수지(예: 발포 폴리우레탄), 합성고무, 실리콘 등의 다양한 엘라스토머 소재로 구성될 수 있고, 외피와 내피는 별도의 접착제 도입 없이 상호 결합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외피(110A)+판스프링(E1M) 조립체]의 확고한 결합 보장을 위하여 외피(110A)의 개구부(115) 측 단부 내면에는 각각 걸림턱(B110)이 형성되어 있어 판스프링 단부가 이 걸림턱에 걸려 [외피(110A)+판스프링(E1M) 조립체]인 반제품이나 내피 성형 후의 완제품에서도 분리 또는 파손이 방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볼트(B), 특히 두 볼트를 판스프링(E1M) 중앙의 구멍(H)에 끼운 상태에서 외피(110A) 중앙에 체결하는 것 외에도,
도 5 [B]의 하부의 두 일점 쇄선 원 내에 연속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피(110A)는 중앙 상하에 두 이탈방지돌기(b110)가 형성되어 있고, 판스프링은 이 돌기(b110)가 결합되는 구멍(h)을 가져
조립성 및 결합상태 확고성이 보다 향상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흡반 어셈블리(A)를 채용할 수 있는, 주로 각도조절수단이 도 5와 다른 변형 마운트(Mm)를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6 [A]의 사시도, 도 6 [B]의 측면도, 도 7의 분해사시도, 그리고 도 8의 결합 사시 단면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변형 모바일기기용 마운트(Mm)는 클램프(10)와, 흡반 어셈블리(A), 그리고 둘을 잇는 연결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클램프(10)에 마운팅(mounting)되는 클램핑 타입 거치 대상체에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기타 네비게이션 등의 다양한 모바일기기를 클램핑 거치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변형 모바일기기용 마운트(Mm)에서
클램프(10)는 측면형상이 알파벳 'C'자 유사 형상이고, 클램프(10)의 개구부(15)를 형성하는 단부(15A)를 갖는다.
상기 개구부(15)의 특성과 함께 클램프(10)의 단부(15A)는 경사부로 인하여 개구부는 초입이 더 넓은 형태여서
예를 들어 차량 장착시 운전자가 한 손으로도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기기를 거치부(11)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여 편리성은 물론 안전성까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즉 거치 대상체를 한 손으로 잡고 거치 대상체의 폭이 좁은 일측(일측 클램핑 부위로 거치부(11)의 일측과 접촉하게 된다)이 개구부(15)로 침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하좌우 어느 편리한 방향으로 각 클램프(10)의 어느 한 단부(15A)를 밀어 벌리면 개구부(15)가 더 크게 벌어지게 되고
대상체의 타측 클램핑 부위를 거치부(11)의 타측에 접촉하도록 밀어 넣어 대상체가 완전히 거치부(11) 사이에 수용되도록 하는 순서로 클램핑 마운팅이 쉽게 완료될 수 있다.
한편, 클램프(10)는 내주면, 특히 거치부(11)(모바일기기 또는 설치체가 접촉 마운팅되는 부위)에는 역시 탄성완충부(11A)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탄성완충부는 발포 합성수지(예: 발포 폴리우레탄), 합성고무, 실리콘 등의 다양한 엘라스토머와 같은 소재 특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클램프(10) 전체가 탄성 특성을 갖거나 내측만 코팅이나 이중 사출 또는 인서트사출 등을 통하여 탄성 라이너를 도입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모바일기기용 마운트(Mm)의 구현예에서는 클램프(10)가 연결체(30)를 금형에 배열한 상태로 인서트 사출 성형하는 방식으로 제조되어 클램프 자체가 한 몸체로 성형되고 자체의 합성수지 소재로 인하여 탄성완충부가 각 클램프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형태이다.
또 상기 제1거치부(11)는 모바일기기의 측면을 수용하는 리세스(recess)를 갖는 구조이며, 이러한 리세스 타입 거치부는 필요에 따라 제2거치부에도 도입될 수 있다.
또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마운트(Mm)에서 클램프(10)의 클램핑 파워는 탄성수단로 인한 것인데, 클램프(10)의 성수단(E1)은 클램프 소재 자체의 탄성으로 인한 것이며,
필요에 따라 강판 등(도 5의 변형예의 판스프링(E1M) 참조) 별도의 탄성수단을 도입하는 것도 가능하며,
하나의 클램프를 두 종류의 합성수지로 구성(도 5의 외피(110A) 및 내피(110B) 구조 참조)하여 필요한 클램핑 파워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체(30)에는 변형 각도조절수단(30A)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하다.
이러한 각도조절수단은 예를 들어 두 클램프(10)(20)를 연결하는 다양한 길이의 주름관(자바라(蛇腹,じゃばら)), 다관절체(도 5의 유니버설 조인트(130A) 등이 복수 개 연결 구성됨) 등 다양한 변형 구조가 도입될 수 있다.
특히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마운트(Mm)에서 각도조절수단(30A)은 클램프(10) 각각에 결합된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31A)(31B)로 구성되어 있다.
또 도 8 및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두 크라운기어(31A)(31B)에 클램프(10)를 함께 인서트 사출 성형하여 대량 생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31A)(31B)는 제1 및 제2 체결부재(33A)(33B)에 의하여 상호 결속되어 있다.
제1체결부재(33A)는 볼트이고, 이 볼트(33A)는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31A)(31B)의 각 중앙 통공(33H)(33h)을 관통하여 제2체결부재(33B)의 중앙 삽입돌기(33p)의 체결홈(33n)에 결합되어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31A)(31B)와 제1 및 제2 체결부재(33A)(33B)의 조립체]를 구성한다.
제1크라운기어(31A)는 테두리가 클램프(10)의 제1결합부(13)에 수용되어 이탈이 방지되며, 인서트사출의 특성상 클램프(10)의 살 속에 볼트인 제1체결부재(33A)의 헤드까지 파묻혀 외부에서는 확인이 안 되는 구조를 갖는다.
필요에 따라 클램프(10)의 테두리는 외곽이 육각 구조 등 다각 구조나 'D-cut' 구조 등 다양한 공회전 방지구조를 가져 두 크라운기어의 이빨이 맞물리고 엇물리면서 단계적이고 억제된 회전 각도조절의 완벽성이 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크라운기어(31B)는 제2체결부재(33B)의 디스크 타입 테두리가 연결체(30)를 구성하는 수지에 수용되어 이탈이 방지되는 구조를 갖는다.
제2체결부재(33B)는 중앙 제1삽입돌기(33p) 둘레에 제2크라운기어(31B)의 육각 수용환홈(33R)의 구조에 상응하는 육각 제2삽입돌기(33P)를 가져 각도 조절시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31A)(31B)의 공회전이 방지되며,
제2크라운기어(31B)의 육각 제1수용환홈(33R)의 둘레 플렌지(33f)의 수용을 위하여 제2체결부재(33B)는 육각 제2삽입돌기(33P) 둘레에 제2수용환홈(33r)이 형성되어 있고,
또 제2체결부재(33B)는 제2클램프(20)와의 접면에 육각홈(33g)을 가져 이 육각홈에 제2클램프의 살이 침범하여 제2클램프와 제2체결부재의 공회전이 방지된다.
제2클램프와 제2체결부재의 공회전 방지는 별도로 제2체결부재(33B)의 디스크 타입 테두리를 육각 구조 등 다각 구조나 'D-cut' 구조 등 다양한 공회전 방지구조를 도입하는 방식으로 대체될 수 있다.
연결체(30), 구체적으로 각도조절수단(30A),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31A)(31B)의 길이는 클램프(10)의 거리 조절을 위하여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이에 맞게 제1 및 제2 체결부재(33A)(33B)의 크기 등의 사양 및 구조 등이 다양하게 변형 선택될 수 있다.
한편, 도 8 및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마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체, 특히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31A)(31B)로 구성된 각도조절수단(30A)을 포함하는 연결체(30)를 사이에 두고 스마트폰이나 네비게이션 등의 모바일기기를 포함하는 마운팅 대상체, 특히 이종 대상체 거치를 위한 클램프를 갖는 마운트(Mm)에서는
두 크라운기어 중 어느 하나, 특히 제1크라운기어(31A)가 클램프(10)의 제1결합부(13)에 수용되어 있어 제2크라운기어(31b)가 돌출된 것에 비하여 제1크라운기어(31A)는 비돌출 구조를 유지하고 있어
{필요에 따라 대안적으로 제1크라운기어가 돌출되고 제2크라운기어가 비돌출된 구조 채용 가능)}
각도 조절을 위하여 예들 들어 클램프(10)의 거치부(11)에 장착된 모바일기기를 잡고 회전할 경우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31A)(31B)의 이빨이 상호 맞물리고 엇물리면서 골의 깊이만큼(또는 산의 높이만큼) 승하강이 진행되는 경우
각도 변위 지점이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의 접면이고, 이 제1크라운기어가 결합부(13)에 수용된 위치에 배열된 구조여서, 결국 각도 변위 지점이 결합부(13) 내에 위치한 구조여서 안정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처럼 제1크라운기어가 결합부(13)에 수용되어 각도 변위 지점이 결합부 내에 위치한 구조의 장점은
또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31A)(31B)의 이빨이 상호 맞물리고 엇물리면서 골의 깊이만큼(또는 산의 높이만큼)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탄성체, 특히 클램프(10) 소재(발포 합성수지(예: 발포 폴리우레탄), 합성고무, 실리콘 등의 다양한 엘라스토머 등) 자체에 의하여 구현되는 탄성체(E1)에 의하여 탄지 되면서
각도 조절 원활성과 각도 조절 완료 상태에서의 안정성에도 크게 기여함에 적합한 구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를 설명하면, 만약 두 크라운기어의 치합 및 비치합에 의한 회전 보장을 위하여 유격을 두는 경우에는 각도 조절 완료 상태에서 충격, 진동, 거치 대상체의 하중에 의하여 임의로 각도가 변하면서 각도 조정 상태 안정성이 보장이 안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 별도로 코일 스프링 등을 도입하는 경우에는 코일 스프링의 탄성 변위 보장을 위하여 조립 구조가 복잡해지거나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31A)(31B)와 제1 및 제2 체결부재(33A)(33B)의 조립체]와 클램프(10)의 인서트 사출시 코일 스프링의 탄성 변위가 보장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비하여 제1크라운기어가 결합부(13)에 수용되어 각도 변위 지점이 결합부 내에 위치한 구조의 장점 덕분에 본 고안에서는 클램프(10)가 소재 자체의 특성으로 인하여 탄성을 가져 갖고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31A)(31B), 특히 제1크라운기어(31A)와 제2체결부재(33B) 둘레의 부위가 제1 및 제2 탄성체(E1) 역할을 수행하며,
더 나아가 제1크라운기어(31A)가 클램프(10)의 제합부(13)에 완전히 수용되어
각도 조절의 경우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31A)(31B)의 비치합 및 치합의 반복시
보다 민감하게 제1크라운기어(31A) 둘레와 접촉하는 부위에 해당하는 탄성체(e1)가 압축 및 팽창을 반복할 수 있어
각도 조절 원활성과 각도 조절 완료 상태에서의 안정성(탄성체(e1)의 팽창 복원에 의하여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31A)(31B)의 치합 상태의 압박 및 고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임)이 확보될 수 있게 된다.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31A)(31B)의 상호 각도 조절은 또 탄성체(E1), 특히 탄성체(e1)와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31A)(31B)와 제1 및 제2 체결부재(33A)(33B)의 조립체]의 체결에 역할을 하는 제1체결부재(33A)인 볼트의 헤드 주변 부위와의 접면에서 이루어지는
탄성체(e1)의 압축 및 팽창·복원에 의하여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31A)(31B)의 비치합 및 치합에 따른 각도 조절 원활성과 각도 조절 완료 상태에서의 안정성이 보장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볼트(33A)의 수나사부는 제2체결부재(33B)의 중앙 삽입돌기(33p)의 체결홈(33n)의 암나사부에만 결합되고,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31A)(31B)의 각 중앙 통공(33H)(33h)은 볼트(33A)의 수나사부에 나사결합 되지 않고 헐거운 것이 바람직하며,
클램프 수지와의 결합 안정성 보장을 위하여 필요에 따라 볼트(33A)의 헤드에는 와셔가 별도로 도입되거나 와셔 일체형 볼트를 채용할 수 있고,
도 8의 상부 일점 쇄선 원 내 확대 부분 단면도와 같이, 인서트 사출시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31A)(31B)는 완전히 치합된 상태이고, 볼트(33A)의 헤드(bh)는 제1크라운기어(31A) 우측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틈새(bg)를 형성하고
이 틈새(bg)에 클램프의 합성수지 살이 침입하여 탄성체(e1)를 구성하며,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31A)(31B)의 비치합 및 치합에 따라 이 탄성체(e1) 부분이 수축 및 팽창·복원되면서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31A)(31B)는 각 중앙 통공(33H)(33h) 부위에서 볼트(33A)를 축으로 진퇴하면서
각도 조절 및 각도 조절 완료 상태의 확고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만약 각 클램프와 각 크라운기어가 인서트 사출 조립 형태가 아니라 별도 조립 형태일 경우에는
클램프 소재 자체의 탄성체(e1) 대신에 별도로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수단이 도입되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탄성완충부, 탄성수단, 각도조절수단, 클램프, 모바일기기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은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마운트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M,Mm:마운트 10,110: 클램프
A: 흡반 어셈블리프 30,130: 연결체
30A,130A: 각도조절수단
20A: 베이스
21A: 노출부 21a: 안착부
20B: 디스크
23A: 리프트 23B: 분리돌기
23a: 걸림부 23b: 인서트체
20C: 탄성수단
20D: 슬라이더
C20: 커버 B20: 바디
25A: 상향 경사레일 25a,25b: 리세스
25B: 진입경사부 25C: 슬롯

Claims (4)

  1. 노출부를 구비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배열되고 부착대상체와 외곽이 접촉하여 외부와 차단된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디스크,
    상기 디스크 상부에 연결되어 베이스의 노출부에 배열되고 걸림부를 갖는 리프트, 그리고
    상기 리프트의 걸림부가 결합되는 상향 경사레일을 구비하여 결합시 리프트를 상승시켜 디스크의 밀폐공간을 확장시키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흡반 어셈블리;
    상기 슬라이더 또는 상기 베이스에 결합된 연결체; 및
    상기 연결체에 결합된 클램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흡반 어셈블리에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디스크 사이에는 이 둘 사이의 간격을 벌리는 탄성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더의 상향 경사레일의 종점에는 리프트의 걸림부가 안착되는 이탈방지 제1리세스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클램프는 측면 형상이 알파벳 'C'자 유사 형상을 갖고, 외피와 내피, 그리고 이 둘 사이에 배열된 판스프링으로 구성되고,
    내피 양단부에 형성된 거치부에 탄성완충체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연결체에는 변형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각도조절수단은 클램프 각각에 결합된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로 구성되고,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는 제1 및 제2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호 결속되어 있고,
    제1체결부재는 볼트이고, 이 볼트는 제1 및 제2 크라운기어의 각 중앙 통공을 관통하여 제2체결부재의 체결홈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마운트.
  2. 제 1항에 있어서,
    각도조절수단(30A)의 제2체결부재(33B)는
    중앙 제1삽입돌기(33p) 둘레에 제2크라운기어(31B)의 육각 수용환홈(33R)의 구조에 상응하는 육각 제2삽입돌기(33P), 상기 육각 제2삽입돌기(33P) 둘레에 형성된 제2수용환홈(33r), 제2클램프(20)와의 접면에 형성된 육각홈(33g)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20D)는 커버(C20)와 바디(B20)로 구성되고,
    상기 바디(B20)는 전후 돌출된 리프트(23A)의 두 돌출형 걸림부(23a)가 삽입되도록 하는 슬롯(25C) 양측에 대칭된 형태로 배열된,
    상향 경사레일(25A), 진입경사부(25B), 상향 경사레일(25A)의 종점에 형성된 제1리세스(25a) 및 상향 경사레일(25A)의 시점에 구비되며 리프트(23A)의 걸림부(23a)가 초기 삽입·안착된 제2 리세스(25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마운트.
  3. 제 2항에 있어서,
    슬라이더(20D)의 커버(C20) 수용공간 내벽의 수(雄)체결부(20j)와 바디(B20)전후 측벽의 암(雌)체결부(27)가 상호 결합되어 분리가 방지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마운트.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C20)는
    커버(C20)의 내벽 중간 정도에 구비된 돌출형 스토퍼(20s) 및 상기 커버(C20)의 전후 측면에 구비된 네 살빼기홀(20h)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마운트.
KR2020140002184U 2014-03-19 2014-03-19 부착력 강화를 위한 직선운동 슬라이더를 구비한 흡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기기용 마운트 KR2004743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184U KR200474360Y1 (ko) 2014-03-19 2014-03-19 부착력 강화를 위한 직선운동 슬라이더를 구비한 흡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기기용 마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184U KR200474360Y1 (ko) 2014-03-19 2014-03-19 부착력 강화를 위한 직선운동 슬라이더를 구비한 흡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기기용 마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4360Y1 true KR200474360Y1 (ko) 2014-09-15

Family

ID=52000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2184U KR200474360Y1 (ko) 2014-03-19 2014-03-19 부착력 강화를 위한 직선운동 슬라이더를 구비한 흡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기기용 마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36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7126B1 (ko) * 2017-03-16 2018-10-11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형 행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613Y1 (ko) 2004-12-20 2005-03-14 이호상 차량용 핸드폰케이스 거치대
KR200438824Y1 (ko) 2006-11-06 2008-03-06 전연배 고정수단을 구비한 휴대기기 거치대
KR20080097663A (ko) * 2007-05-02 2008-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흡착판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거치대
KR20120124742A (ko) * 2011-05-04 2012-11-14 주식회사 토마토플래쉬 흡착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613Y1 (ko) 2004-12-20 2005-03-14 이호상 차량용 핸드폰케이스 거치대
KR200438824Y1 (ko) 2006-11-06 2008-03-06 전연배 고정수단을 구비한 휴대기기 거치대
KR20080097663A (ko) * 2007-05-02 2008-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흡착판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거치대
KR20120124742A (ko) * 2011-05-04 2012-11-14 주식회사 토마토플래쉬 흡착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7126B1 (ko) * 2017-03-16 2018-10-11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형 행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4210B1 (ko) 석션타입 홀딩장치
US7370915B2 (en) Sheath for receiving head rest branch
CA2943183C (en) Vacuum absorber
CN101316531A (zh) 多用途吸盘
CN103921723A (zh) 缓冲夹
JP4966152B2 (ja) 吸着具
KR200474360Y1 (ko) 부착력 강화를 위한 직선운동 슬라이더를 구비한 흡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기기용 마운트
KR200473760Y1 (ko) 이종 대상체 거치를 위한 두 클램프를 구비한 모바일기기용 마운트
KR20150144948A (ko) 흡착판, 흡착판의 제조방법 및 이 흡착판을 이용한 진공흡착구
JP5897665B1 (ja) 吸盤
KR20080111667A (ko) 진공 흡착구
CN218967663U (zh) 一种密封容器盖的紧固结构、密封容器盖及容器
US20180355905A1 (en) Suction cup and vacuum suction cup having same
JP2006089033A (ja) 鏡支持プレートの取付け技術
KR100521532B1 (ko) 체결 및 탈거가 용이한 손잡이 노브와 변속 레버의 체결구조
CN109562665A (zh) 包括相对于车身的固定件的上悬置、包括这种悬置的组件和用于将这种悬置接合至车身的方法
KR101307657B1 (ko) 압착홀더
CN108452932B (zh) 食物垃圾处理器的研磨壳体组件和食物垃圾处理器
KR101853708B1 (ko) 직립 상태 고정체
KR20160001771U (ko) 휴대기기용 거치대
CN204984861U (zh) 增压泵和增压泵的泵壳组件
KR20130040410A (ko) 흡반 및 그 제조방법
KR101637855B1 (ko) 흡착패드
CN109442167A (zh) 一种真空吸盘
CN219545557U (zh) 一种按压容器盖及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