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0410A - 흡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흡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0410A
KR20130040410A KR1020110105149A KR20110105149A KR20130040410A KR 20130040410 A KR20130040410 A KR 20130040410A KR 1020110105149 A KR1020110105149 A KR 1020110105149A KR 20110105149 A KR20110105149 A KR 20110105149A KR 20130040410 A KR20130040410 A KR 20130040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sorption
sucker
layer
hardness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5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9207B1 (ko
Inventor
김창율
Original Assignee
김창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율 filed Critical 김창율
Priority to KR1020110105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9207B1/ko
Publication of KR20130040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0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71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with an inse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5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extrusion moulding around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 흡착면의 평탄(平坦) 정도나 형태, 계절의 온도 변화에 관계없이 항상 안정되고 높은 진공 흡착력을 제공하기 위한 흡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흡반(20)을 제조함에 있어서, 피 흡착면(W)에 대한 진공 흡착시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원반(圓盤)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 상면으로 돌출봉(21)이 일체로 입설되도록 폴리프로필렌(PP) 소재를 이용하여 흡착 조작용 판재(22)를 압출 성형하는 단계(S100)와, 상기 폴리프로필렌(PP) 소재로 사출 성형되는 흡착 조작용 판재(22)의 돌출봉(21) 상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면(22a)을 포함하여 가장자리 둘레 측면(22b)을 경도가 높은 엘라스토머를 이용하여 소정의 형상 및 두께로 피복하는 피복층(24)을 1차로 사출 성형하는 단계(S200); 및 상기 피복층(24)이 형성된 흡착 조작용 판재(22)의 하면(22c) 전체를 포함하여 피복층의 가장자리 둘레 측면과 일부가 중첩되도록 하여 피 흡착면의 평탄 정도에 관계없이 안정된 밀착성을 제공하도록 경도가 낮은 엘라스토머를 이용하여 흡착층(26)을 소정 두께로 2차 사출 성형하는 단계(S300); 를 포함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흡반 및 그 제조방법{SUCTION CUP AND THE MAKING METHOD}
본 발명은 피 흡착면의 평탄(平坦) 정도나 형태, 계절의 온도 변화에 관계없이 항상 안정되고 높은 진공 흡착력을 제공하기 위한 흡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흡반(吸盤)은 흡반의 진공 흡착력을 이용하여 매끄러운 면을 갖는 벽이나 거울 또는 평면 타일에 흡착 고정되는 것으로서, 각종 생활용품을 비롯하여 산업상 여러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흡반은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지 않으면서도 누구나가 간편하게 피 흡착면에 대해 탈부착시킬 수 있고, 또 피 흡착면의 손상을 최대한으로 피할 수 있다는 장점과 사용 편리성에 의해 그 이용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상기한 장점과 편리성에도 불구하고, 종래 제시되고 있는 흡반은 흡반 자체가 주로 중경질의 폴리염화비닐(PVC) 또는 실리콘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사용되었기 때문에 피 흡착면에 대한 평탄 정도나 형태, 예컨대 피 흡착면이 매끄러운 유리면이나 벽면인 경우에는 어느 정도 양호한 흡착력이 발휘되지만, 피 흡착면이 잔주름 형태이거나 요철 형태, 까칠 까칠한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피 흡착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고 이러 인해 진공 흡착력이 크게 떨어져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거나, 제한적으로 사용될 수밖에 없고, 부착되더라도 흡착력이 약화되어 쉽게 떨어지는 문제를 비롯하여 계절에 따른 온도 변화에 상당히 민감하게 반응하게 되는 등의 여러 가지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흡반의 사용이 제한적이거나 또는 이용 효율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를 피하기 어려웠던 것이다.
한편, 종래 흡반이 단일 소재로만 이루어짐에 따른 흡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경질 고무 혹은 연질합성수지재의 경질소재로 이루어지는 흡반 본체의 내주면에 연질고무 또는 연질합성수지의 연질재료를 중합 배치하여 피 흡착면에 대한 흡착력이 다소 개선되도록 한 흡반이 제시된바 있으며(일본 실용신안공개 소59-166015호 공보), 또 오목형상으로 이루어진 흡착면에 겔층이 형성된 흡반이 제시되고 있으나, 이는 겔은 탄성을 가지고 있지 아니하고, 겔 단일체로는 형상을 유지하기가 곤란하다는 구조적인 단점에 의해 피 흡착면에 대한 안정된 흡착력을 제공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한국 특허공개 제10-2007-0104258호 공보), 또한, 흡반과 피 흡착물과의 사이에 엘라스토머재의 흡반용 흡착 보조판을 별도로 분리 개재하여 흡반이 피 흡착물에 흡착되도록 한 흡반이 소개되고는 있으나, 이는 흡반과 엘라스토머제의 흡착 보조판이 별도로 분리된 구조를 이루고 있어 흡반의 구조상 분리 상태에 있는 흡반과 흡착 보조판과의 사이의 진공 흡착력 발생에 의문이 드는 것을 비롯하여 제품의 취급 및 설치에 따른 불편함이 초래되는 문제를 피하기 어렵다(한국 특허공개 제10-2008-0103891호 공보).
또한, 흡반의 흡착판을 폴리프로필렌(PP)소재로 제작하고, 그 외주면 전체를 폴리염화비닐(PVC)로 감싸지도록 피복한 흡반이 제시되고 있으나, 상기한 흡착판과 피복 물질의 물성이 서로 달라 사출 성형성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흡착판에 대한 피복 물질이 서로 분리되는 상태로 사출되는 문제가 있을 뿐 아니라 피복 소재의 쇼하 경도가 45~55 정도이어서 비교적 딱딱한 흡착면을 제공하게 됨에 따라 피 흡착면에 대한 진공 흡착력이 현저하게 떨어질 수밖에 없고, 또한 요철이 심한 피 흡착면의 경우에는 흡착판의 경도가 높아 요철면에 파고들어가지 못하기 때문에 견고한 흡착력의 유지가 곤란하게 되어 매끈한 면에만 제한적으로 사용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으며, 또한 피복소재인 폴리염화비닐(PVC)은 계절의 온도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온도 변화가 심한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종래 제시되고 있는 흡반은 단일 또는 다양한 소재와 형태를 갖추고는 있으나, 피 흡착면에 대한 평탄 정도를 고려한 흡착력이 다소 개선되는 정도에 불과하고, 계절의 온도 변화에 따른 대응 능력은 많이 상실되어 여전히 강력하고도 지속적인 흡착력을 제공하는 데는 한계가 있고, 또 피 흡착면에 대한 설치가 다소 불편하게 되는 등의 여러 가지 복합적인 문제를 피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특허문헌 1] 일본 실용신안공개 소 59-166015호 공보 [특허문헌 2]한국 특허공개 제10-2007-0104258호 공보 [특허문헌 3] 한국 특허공개 제10-2008-0103891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흡반에서 제기되고 있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 흡착면의 평탄 정도나 계절에 따른 온도 변화에도 전혀 문제없이 항상 안정되고 강한 흡착력의 유지가 가능하도록 한 흡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흡반의 제조방법은, 피 흡착면에 대한 진공 흡착시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원반(圓盤)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 상면으로 돌출봉이 일체로 입설되도록 폴리프로필렌(PP) 소재를 이용하여 흡착 조작용 판재를 압출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폴리프로필렌(PP) 소재로 사출 성형되는 흡착 조작용 판재의 돌출봉 상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면을 포함하여 가장자리 측면 둘레를 경도가 높은 엘라스토머를 이용하여 소정의 형상 및 두께로 피복하는 피복층을 1차 사출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피복층이 형성된 흡착 조작용 판재의 하면 전체를 포함하여 피복층의 가장자리 둘레 측면과 일부가 중첩되도록 하여 피 흡착면의 평탄 정도에 관계없이 안정된 밀착성을 제공하도록 경도가 낮은 엘라스토머를 이용하여 흡착층을 소정 두께로 2차 사출 성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흡반을 구성하는 피복층은 경도가 60~70이고, 흡착층은 경도가 10~15 가 되도록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 흡착층은 1.5~2㎜ 두께를 가지도록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흡착층으로는 피 흡착면으로부터 흡반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편이 동일한 소재로 일체로 제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흡반은, 상기한 제조방법들에 의해 제조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 흡착면에 흡착되는 흡반의 흡착층을 피복층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경도가 낮은 엘라스토머를 이용하여 흡착 조작용 판재의 피복층과 일체로 사출 융착되게 흡반을 제조함으로써 피 흡착면의 평탄 정도나 계절의 온도 변화에 따른 영향을 전혀 받지 않으면서도 항상 견고한 밀착 및 흡착성을 제공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흡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흡반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조 과정에 따른 흡반의 제조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흡반이 매끄러운 면이나 요철면 형태의 피 흡착면에 가압 흡착된 예를 각각 보인 조립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흡반이 진공 흡착구에 적용된 예를 보인 배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흡반이 진공 흡착구에 채용된 상태에서 피 흡착면에 가압 전 후의 조립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흡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흡반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제조 과정에 따른 흡반의 제조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흡반(20)은, 흡착 조작용 판재에 대하여 경도가 다른 엘라스토머를 순차적으로 사출 성형하여 피 흡착면(W)에 대한 평탄 정도나 계절의 변화에 따른 온도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고 항상 안정된 진공 흡착 및 밀착력을 제공하도록 제조됨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흡반(20)은 돌출봉의 형태를 다양하게 변형함으로써 그 자체로도 피 흡착면에 흡착시켜 각종 물건을 걸어 지지하는데 사용하거나 또는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진공 흡착구(1)에 채용하여 사용되어 질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흡반(20)의 제조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흡반(20)은,
피 흡착면(W)에 대한 진공 흡착시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원반(圓盤)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 상면으로 돌출봉(21)이 일체로 입설되도록 폴리프로필렌(PP) 소재를 이용하여 는 흡착 조작용 판재(22)를 압출 성형하는 단계(S100)와,
상기 폴리프로필렌(PP) 소재로 사출 성형되는 흡착 조작용 판재(22)의 돌출봉(21) 상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면(22a)을 포함하여 가장자리 둘레 측면(22b)을 경도가 높은 엘라스토머를 이용하여 소정의 형상 및 두께로 피복층(24)을 1차로 사출 성형하는 단계(S200); 및
상기 피복층(24)이 형성된 흡착 조작용 판재(22)의 하면(22c) 전체를 포함하여 피복층의 가장자리 둘레 측면과 일부가 중첩되도록 하여 피 흡착면의 평탄 정도에 관계없이 안정된 밀착성을 제공하도록 경도가 낮은 엘라스토머를 이용하여 흡착층(26)을 소정 두께로 2차 사출 성형하는 단계(S300); 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폴리프로필렌소재로 사출 성형되는 흡반 조작용 판재(22)와 경도가 상이한 엘라스토머로 각각 사출 성형되는 피복층(24) 및 흡착층(26)은 서로 동일한 물리적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흡반 조작용 판재를 중심으로 이들 상 하부에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피복층 및 흡착층은 서로 분리됨 없이 일체로 사출 융착되어 질 수 있는 것이며, 특히 흡착층(26)의 하면은 상기 흡착 조작용 판재(22)의 하면과 동일한 원반 형상이 유지되도록 제조된다.
따라서, 흡반(20)의 진공 흡착시 상기한 흡착층(26)은 원반 형상을 갖는 흡착 조작용 판재(22)의 탄성 작용을 통해 원활한 진공 흡착 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흡착 조작용 판재가 도면상 중앙을 중심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중심부를 강제로 부르는 경우 항상 원상으로 복귀하려는 힘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흡반(20)을 구성하는 흡착 조작용 판재(22)로는 피복층(24) 및 흡착층(26)의 형성시 엘라스토머의 사출 성형성을 높이기 위한 작은 구멍(23a)이나 미세한 돌기들(23b)이 형성되어 질 수도 있다.
그리고, 흡착 조작용 판재(22)는 폴리프로필렌(PP) 소재로 압출 성형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와 동일한 물성을 가지면서도 열에 강한 성질을 갖는 복합PP의 대체 사용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흡착 조작용 판재(22)의 상 하면으로 경도를 달리하여 일체로 융착되는 엘라스토머의 피복층(24)은 경도가 60~70(shore A)이고, 흡착층(26)은 경도가 10~15(shore A) 가 되도록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피복층(24) 및 흡착층(26)의 경도를 각각 달리하여 제조하는 이유는, 피복층의 경도가 상기한 수치 이하로 낮아지게 되는 경우에는 흡착 조작용 판재(22)에 대한 일정한 텐션력의 제공 및 유지가 곤란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고, 또 흡착층(26)의 경도가 상기한 범위 이상으로 높아지게 되는 경우에는 피 흡착면(W)에 대한 양호한 밀착성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흡반(1)의 흡착 테스트 결과 피복층(24) 및 흡착층(26)의 경도는 상기한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좀더 상술하면, 상기 흡착층(26)의 경도가 10~15 보다 높아지는 경우에는 피 흡착면(W)에 대한 점착성이 떨어져, 예컨대 흡착층이 딱딱한 성질을 가지게 되어 부드럽고 소프트한 밀착성을 제공하는 것이 곤란하고, 이와는 반대로 경도가 10~15 보다 낮아지는 경우에는 부드럽고 소프트한 정도는 강화되지만 오히려 점성이 너무 낮아져 피 흡착면(W)에 대한 흡반(20)의 진공 흡착시 유동성이 심화되어 흡반(20)의 흡착 위치가 미세하게 가변되는 문제를 야기하게 되어 안정된 흡착력을 제공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 흡착층(26)은 도 3에 표시된 바와 같이 1.5~2㎜ 두께(t) 범위 내에서 일체로 융착되도록 제조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흡착 테스트결과, 상기한 두께 보다 얇아지는 경우에는 요철이 심한 피 흡착면(W)에 대한 밀착성, 즉, 요철면에 파고 들어가는 정도가 약하기 때문에 견고한 밀착력의 제공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물론 상기한 두께보다 두꺼워지도록 융착되는 경우에는 특별히 제한될 필요는 없으나 엘라스토머 소재가 고가이어서 제조 단가의 상승 문제를 비롯하여 필요 이상으로 흡반의 전체 하중이나 부피가 커지게 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권장할 만한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흡착 조작용 판재(22)에 대하여 1,2차 사출 성형되는 조건은 작업 환경에 따라 달리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경우 피복층(24) 및 흡착층(26)의 사출 압력은 50~60㎏/㎠로 하고, 사출 시간은 30~40초, 사출 온도는 190~200℃ 정도의 조건에서 진행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흡착 조작용 판재(22)로 구비되는 돌출봉(21)으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21a)을 형성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흡착구(1)에 채용하여 사용하는 누름 캡과의 연결 사용이 가능하도록 설계되거나, 또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구멍을 형성하여 고정 고리 등이 끼워질 수 있도록 설계하여 독립적으로 사용되어 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흡반(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이나 복합 폴리프로필렌으로 사출 제작되는 흡착 조작용 판재(22)의 상 하면으로는 경도가 다른 엘라스토머를 이용하여 피복층(24) 및 흡착층(26)이 순차적으로 사출 융착되어 짐으로써, 물성이 동일한 소재를 이용하여 흡반을 구성하는 부재들을 사출 성형함에 따른 사출 성형성이 양호하여 소재간의 분리 현상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흡반이 매끄러운 면이나 요철면 형태의 피 흡착면에 가압 흡착된 예를 각각 보인 조립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흡반(20)의 흡착층(26)의 경도가 10~15 정도인 엘라스토머를 이용하여 1.5~2㎜ 두께로 성형됨에 따라 피 흡착면(W)의 평탄 정도, 예컨대 도 4와 같이 매끄러운 면을 갖는 벽이나, 유리 또는 타일 등을 비롯하여 도 5와 같이 차량의 데시보드 등 요철(凹凸) 면으로 이루어진 피 흡착면(W)의 평탄 정도에 관계없이 포괄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뿐 아니라 특히 요철면에 대한 진공 흡착시 흡착층(30)의 엘라스토머가 피 흡착면의 요철에 깊이 파고 들어가는 상태로 진공 흡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견고한 밀착성을 제공하게 되어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떨어지는 문제를 야기하지 않게 된다.
실험 결과,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작된 흡반(20)을 이용하여 피 흡착면(W)의 평탄 정도에 따라 흡착 유지기간을 테스트한 결과, 피 흡착면(W)이 유리면과 같이 매끄러운 면인 경우에는 최소 120일 이상 견고하게 유지되었고, 또 요철 상태의 피 흡착면인 경우에도 최소 90일 이상 견고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종래 폴리염화비닐(PVC),이나 실리콘 소재 등으로 이루어진 흡반의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흡반과 동일한 조건하에서 실험한 결과 매끄러운 면의 경우 최대 60일을 넘지 못하였고, 요철면의 경우에는 최대 30일을 넘기지 못하고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종래 흡반의 경우 온도 변화에 민감한 점을 감안하면, 아마도 상기한 측정일 보다 현저하게 낮은 유지 기간이 나올 수밖에 없음은 분명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흡반(20)은 종래 제시되고 있는 흡반의 경우와 비교하면 흡착층(26)을 경도가 낮은 엘라스토머를 이용하여 사출성형함에 따른 흡착성 및 밀착성의 향상이 현저하게 상승 됨을 쉽게 알 수 있다고 하겠다.
그리고, 본 발명의 경우, 흡착 조작용 판재(22)를 제외한 피복층(24) 및 흡착층(26)이 적어도 90℃~-40℃ 범위 내에서는 온도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 엘라스토머 소재를 이용하여 일체로 사출 성형하였기 때문에 계절에 따른 온도 변화에도 전혀 지장을 받지 않으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이 부분은 종래 피복소재가 경도가 높고 온도에 민감한 폴리염화비닐(PVC) 소재로 피복된 흡반과 비교할 때 피 흡착면의 평탄 정도 및 온도 변화에 따라 사용이 제한되는 것과 현저하게 비교되는 특징적인 부분이라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흡착층(26)으로는 피 흡착면에 대한 흡반(2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분리편(26a)이 동일 소재로 일체 형성되어 짐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분리편(26a)을 형성함으로써 피 흡착면에 강한 진공 흡착력으로 부착된 흡반을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즉, 흡반의 분리시 상기 분리편을 잡고 상측으로 들어 올려주는 것에 의해 흡착층(26)과 피 흡착면(W) 사이로 공기가 유입됨에 따라 상기한 흡착층과 피 흡착면은 진공이 해제되고 동시에 흡착층은 진공 흡착력을 상실하게 된다. 그러므로 흡반의 제거나 이동 흡착이 간편 용이하게 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흡반(20)이 진공 흡착구(1)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배면 조립 사시도, 조립 측 단면도, 피 흡착면에 흡착된 상태를 각각 보인 도면들이다.
먼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흡반(20)이 사용되는 진공 흡착구(1)는, 흡반(20)의 돌출봉(21) 방향으로 관통공(12)이 구비된 합성수지재의 지지 캡(10) 및 클립(30)이 순차적으로 끼워지는 구성이며, 상기 지지 캡의 관통공으로 노출된 돌출봉(21)의 걸림턱(21a)으로는 누름 캡(40)이 상호 탄성 걸림되어 지고, 또 상기 클립의 중심부와 누름판의 저면 사이로는 스프링(50)이 개재되도록 조립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흡반(20)이 채용된 진공 흡착구(1)를 이용하여 피 흡착면(W)에 진공 흡착시키는 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흡반의 흡착층(26)이 피 흡착면에 놓이도록 위치시킨 다음 누름 캡(40)을 가압하여 준다. 그러면, 상기 누름 캡의 가압 동작에 의해 상기 흡반(20)의 흡착층(26)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 조작용 판재(22)에 의해 피 흡착면(W)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변형되어 지고, 흡반(20)의 상기한 변형을 통해 피 흡착면(W)과의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의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어 지고, 이러한 공기의 배출을 통해 흡착층(26)과 피 흡착면(W)과의 사이는 거의 진공 상태로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누름 캡(56)에 대한 가압력을 해제하면 스프링(50)의 반력에 의해 누름 캡(40)은 신속하게 복귀되고 동시에 이에 돌출봉(21)이 결합된 흡착 조작용 판재(22) 또한 원상 복귀되면서 흡착층(26)이 피 흡착면(W)에 진공 흡착되어 지고, 이에 의해 진공 흡착구(1)는 피 흡착면(W)에 부착되어 진다. 아울러 피 흡착면에 부착된 흡반(20)은 그 상면, 더욱 구체적으로 피복층(24)이 누름 캡(40)과 클립(30)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50)의 압력에 의해 상기 피복층(24)의 상면을 피 흡착면(W) 방향으로 상시 밀고 있기 때문에 피 흡착면에 대한 흡착층(26)의 진공 흡착 및 밀착성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피 흡착면(W)에 설치된 진공 흡착구(1)는 엘라스토머로 구성된 흡반(20)의 흡착층(26)에 의해 더욱 견고한 밀착성의 유지가 가능하게 되고, 그 외 본 발명의 흡반(20)을 사용함에 따른 피 흡착면의 편탄 정도나 온도 변화 등에 따른 제반적인 효과는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흡반(20)은 경도가 낮은 엘라스토머를 이용한 흡착층(26)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가정이나, 사무실, 학교, 산업현장 등 어디서나 누구나가 쉽게 사용할 수 있고, 또 피 흡착면(W)의 평탄 정도나 계절의 온도 변화에 전혀 관계없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W: 피 흡착면 1: 진공 흡착구
20: 흡반 21: 돌출봉
22: 흡착 조작용 판재 22a: 상면
22b: 둘체 측면 22c: 하면
24: 피복층 26: 흡착층
26a: 분리편

Claims (5)

  1. 흡반(20)을 제조함에 있어서,
    피 흡착면(W)에 대한 진공 흡착시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원반(圓盤)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 상면으로 돌출봉(21)이 일체로 입설되도록 폴리프로필렌(PP) 소재를 이용하여 흡착 조작용 판재(22)를 압출 성형하는 단계(S100)와,
    상기 폴리프로필렌(PP) 소재로 사출 성형되는 흡착 조작용 판재(22)의 돌출봉(21) 상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흡착 조작용 판재(22)의 상면(22a)을 포함하여 가장자리 둘레 측면(22b)을 경도가 높은 엘라스토머를 이용하여 소정의 형상 및 두께로 피복하는 피복층(24)을 1차로 사출 성형하는 단계(S200); 및
    상기 피복층(24)이 형성된 흡착 조작용 판재(22)의 하면(22c) 전체를 포함하여 피복층의 가장자리 둘레 측면과 일부가 중첩되도록 하여 피 흡착면의 평탄 정도에 관계없이 안정된 밀착성을 제공하도록 경도가 낮은 엘라스토머를 이용하여 흡착층(26)을 소정 두께로 2차 사출 성형하는 단계(S300); 를 포함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반을 구성하는 피복층은 경도가 60~70이고, 흡착층은 경도가 10~15 가 되도록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반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층은 1.5~2㎜ 두께(t)를 가지도록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층으로는 피 흡착면으로부터 흡반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편이 동일한 소재로 일체로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흡반 제조방법.
  5. 흡반은,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반.
KR1020110105149A 2011-10-14 2011-10-14 흡반 및 그 제조방법 KR101279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149A KR101279207B1 (ko) 2011-10-14 2011-10-14 흡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149A KR101279207B1 (ko) 2011-10-14 2011-10-14 흡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0410A true KR20130040410A (ko) 2013-04-24
KR101279207B1 KR101279207B1 (ko) 2013-06-26

Family

ID=48440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5149A KR101279207B1 (ko) 2011-10-14 2011-10-14 흡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92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8392A (ko) * 2019-10-23 2021-05-0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능동형 3차원 점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소프트 그리퍼 이의 제조 방법
CN113874966A (zh) * 2019-05-31 2021-12-31 株式会社自动网络技术研究所 配线构件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4168A (ja) 2004-08-30 2006-03-09 Golden Peak Plastic Works Ltd 吸盤の装着構造
JP4862289B2 (ja) * 2005-06-20 2012-01-25 ソニー株式会社 吸盤及び車載機器
JP4941032B2 (ja) 2007-03-19 2012-05-30 ソニー株式会社 吸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03866U (ko) * 2008-10-02 2010-04-12 (주)굿센스 진공 흡착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74966A (zh) * 2019-05-31 2021-12-31 株式会社自动网络技术研究所 配线构件
KR20210048392A (ko) * 2019-10-23 2021-05-0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능동형 3차원 점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소프트 그리퍼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9207B1 (ko) 201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6428B1 (ko) 진공 흡착구
JP2010276182A (ja) 吸盤装置
KR20160108112A (ko) 흡착판
JP2005516169A5 (ko)
KR101279207B1 (ko) 흡반 및 그 제조방법
US20120085879A1 (en) Dual-layer sucking disc
KR20100003866U (ko) 진공 흡착구
KR20080000699U (ko) 진공흡착구
JP4966152B2 (ja) 吸着具
JP3141625U (ja) 吸着盤装置
CN107250574B (zh) 真空吸盘
KR200392839Y1 (ko) 진공흡착판
TWM568305U (zh) Multi-stage adsorption vacuum chuck
KR20080002917U (ko) 진공흡착기구의 진공흡착판
WO2011011936A1 (zh) 真空密闭吸盘
JP3134886U (ja) エラストマ−製吸盤用吸着補助板
JP3143592U (ja) ドームプレートホルダー
KR100919232B1 (ko) 부착패드
JP3166717U (ja) 押圧式弾力二層吸盤
KR200474360Y1 (ko) 부착력 강화를 위한 직선운동 슬라이더를 구비한 흡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기기용 마운트
JP2015134076A (ja) 什器用脚キャップ
CN204976649U (zh) 一种机械手吸附装置
TWM576211U (zh) Suction cup and its suction cup auxiliary suction cup
JP3194280U (ja) 平坦でない表面に用いるフック用防水軟質シール
KR102113273B1 (ko) 진공 흡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