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6379B1 - 아스팔트포장면 도막 물성 향상을 위한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 제조 및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아스팔트포장면 도막 물성 향상을 위한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 제조 및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6379B1
KR102446379B1 KR1020210028585A KR20210028585A KR102446379B1 KR 102446379 B1 KR102446379 B1 KR 102446379B1 KR 1020210028585 A KR1020210028585 A KR 1020210028585A KR 20210028585 A KR20210028585 A KR 20210028585A KR 102446379 B1 KR102446379 B1 KR 102446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m temperature
reinforcement material
acrylate
meth
temperature hard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8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5844A (ko
Inventor
김용현
마영길
김대원
나용복
이기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석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석케미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석케미칼
Priority to KR1020210028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6379B1/ko
Publication of KR20220125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5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organic materials
    • C04B41/48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41/483Polyacry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42Magnesium silicates, e.g. talc, sepiol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26Carbonates
    • C04B14/28Carbonates of calc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6Silica fum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076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grain distribution
    • C04B20/008Micro- or nanosized fillers, e.g. micronised fillers with particle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hydraulic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10Coating or impregnating
    • C04B20/1055Coating or impregnating with inorgan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52Nitrogen containing polymers, e.g. polyacrylamides, polyacrylo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0/00Processes, in general, for influencing 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mpositions, e.g. their setting or hardening ability
    • C04B40/06Inhibiting the setting, e.g. mortars of the deferred action type containing water in breakable containers ; Inhibiting the action of active ingredients
    • C04B40/0675Mortars activated by rain, percolating or sucked-up water; Self-healing mortars or concre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572Partial coating or impregnation of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organic materials
    • C04B41/48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41/483Polyacrylates
    • C04B41/4834Polyacryl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0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5007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with salts or salty compositions, e.g. for salt glazing
    • C04B41/501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with salts or salty compositions, e.g. for salt glazing containing carbon in the anion, e.g. 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54Pigments;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75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for road constru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평균 분자량이 35,000 내지 45,000인 아크릴 수지, 아크릴 단량체, 표면개질된 체질안료, 흄드 실리카 및 자가치유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스팔트포장면 도막 물성 향상을 위한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 제조 및 시공방법{Room temperature curing maintenance reinforcing composition for asphal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시공이 편리한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에 관한 것이다.
차량 통행을 위한 도로 등에 시공된 아스팔트 포장은 여름과 겨울의 온도차 또는 밤낮의 온도차에 의해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거나, 약산성을 띠는 비에 노출되며, 통행하는 차량의 하중에 의해 지속적으로 노화가 진행된다.
상술한 요인으로 인하여 아스팔트 포장이 노화되는 경우, 아스팔트 표면에 크랙 및 포트홀 등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나아가 원활한 차량 통행을 방해하고, 이를 방치할 경우 교통사고 등을 유발하여 재산 또는 인명 피해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들로 인하여 이미 시공된 아스팔트를 전면적으로 재포장하는 경우 높인 비용이 요구되며, 도로 전체에 대해 시공을 수행해야 하므로 교통 방해가 심각한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아스팔트 포장 표면 상에 크랙 또는 포트홀 등의 문제가 발생한 부분에만 보수재를 시공하여 이미 시공된 아스팔트의 사용기한을 연장시키는 방법을 이용한다.
그러나 종래 알려진 고무계 등의 아스팔트 보수재는 쉽게 삭아 내구성이 낮으며, 아스팔트와의 부착성이 낮은 문제가 있고, 시공에 오랜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내구성 및 아스팔트와의 부착성이 우수하고 단시간 내에 시공 가능한 아스팔트 보수재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1726호
본 발명의 목적은 내구도가 현저히 향상된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노면과의 부착성이 우수한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공시간을 단축하여 교통 통제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아스팔트 상에 도포되어 아스팔트 시공 시 다짐불량 등으로 발생하는 골재 탈락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아스팔트 상에 도포 시 골재 사이로 침투하여 보강 효과가 우수한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35,000 내지 45,000인 아크릴 수지, 아크릴 단량체, 표면개질된 체질안료, 흄드 실리카 및 자가치유 수지 입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에서 상기 아크릴 수지는 25 ℃ 기준 점도가 200 내지 400 cps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에서 상기 아크릴 단량체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에서 상기 체질안료는 탄산칼슘, 황산바륨, 수산화마그네슘 및 탈크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에서 상기 표면개질된 체질안료는 체질안료를 티타늄계 표면개질제로 개질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에서 상기 자가치유수지 입자는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아크릴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에서 상기 체질안료는 평균입경이 5 내지 20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에서 상기 자가치유수지 입자는 평균입경이 5 내지 30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35,000 내지 45,000인 아크릴 수지, 아크릴 단량체, 표면개질된 체질안료, 흄드 실리카 및 자가치유 수지 입자를 포함하여 내구도가 현저히 높으며 노면과의 부착성이 우수하고 시공시간을 단축하여 교통통제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의 시공방법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35,000 내지 45,000인 아크릴 수지, 아크릴 단량체, 표면개질된 체질안료, 흄드 실리카 및 자가치유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는 종래 노면 보수용 도료의 단점을 극복하여 교통 통제시간을 최소화하여 신속한 시공이 가능하며 내구성이 우수하고 노면과의 부착력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에서 상기 아크릴 수지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35,000 내지 45,000, 좋게는 37,000 내지 43,000일 수 있다. 이때 아크릴 수지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2-에티렉실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산을 중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의 분자량이 작은 경우 경화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아크릴 수지의 분자량이 큰 경우 높은 점도로 인하여 아스팔트의 크랙에 침투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에서 상기 아크릴 수지는 25℃ 기준 점도가 200 내지 400 cps 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의 점도가 낮은 경우 경화 후 내구성이 낮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아크릴 수지의 점도가 높은 경우 시공성 저하로 아스팔트의 미세한 크랙 보수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는 아크릴 단량체를 포함하며, 아크릴 단량체의 경화과정에서 단량체의 중합으로 경화막의 형성이 가능하다. 이때 아크릴 단량체는 아크릴기 외에 하이드록시기 등의 별도의 작용기를 포함하지 않는 알킬 아크릴 단량체일 수 있으며, 상기 아크릴 단량체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아크릴 단량체를 포함함으로써 경화속도를 확보하고 다른 조성과의 상용성을 확보하며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 노면과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는 상기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 대비 10 내지 35 중량부, 좋게는 15 내지 25 중량부의 아크릴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아크릴 단량체를 소량포함하는 경우 경화가 어려울 수 있고, 아크릴 단량체를 다량 포함하는 경우 시공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는 표면개질된 체질안료를 포함한다. 탄산칼슘, 황산바륨, 수산화마그네슘 및 탈크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좋게는 탄산칼슘을 이용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체질안료는 평균입경이 5 내지 20 ㎛일 수 있으며, 체질안료의 평균입경이 작은 경우 체질안료 간 응집이 발생할 위험이 있으며, 체질안료의 평균입경이 큰 경우 체질안료가 쉽게 도막으로부터 분리되며 균일한 물성의 도막 형성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 표면개질된 체질안료는 좋게는 티타늄계 표면개질제로 표면개질된 것일 수 있다. 티타늄계 표면개질제는 종래 사용되뎐 실란계 표면개질제 대비 표면개질 효과가 우수하며,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에 포함된 다른 조성과의 상용성 향상효과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티타늄계 표면개질제는 Titanium IV 2,2(bis 2-propenolatomethyl)butanolato, tris neodecanoato-O; Titanium IV 2,2(bis 2-propenolatomethyl)butanolato, iris(dodecyl)benzenesulfonato-O; Titanium IV 2,2(bis 2-propenolatomethyl)butanolato, tris(dioctyl)phosphato-O; Titanium IV 2,2(bis 2-propenolatomethyl)butanolato, tris(dioctyl)pyrophosphato-O; 및 Titanium IV 2,2(bis 2-propenolatomethyl)butanolato, tris(2-ethylenediamino)ethylato; 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상술한 티타늄계 개질제를 이용함으로써 체질안료의 개질효율을 높이고 추후 생성되는 도막의 물성저하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는 상기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 대비 8 내지 20 중량부, 좋게는 10 내지 20 중량부의 표면개질된 체질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표면개질된 체질안료를 소량 포함하는 경우 경화 후 도막의 경도 확보가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표면개질된 체질안료를 다량 포함하는 경우 시공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는 자가치유수지 입자를 포함하며, 상기 자가치유수지 입자는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아크릴산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아크릴산은 내부에 수소결합 네트워크에 의한 지퍼 효과로 자가치유특성을 갖는 특징이 있으며, 본 발명에 의한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는 자가치유수지 입자를 포함함으로써 자가치유능을 갖고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에서 상기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아크릴산은 아크릴 아마이드 : 아크릴산을 6:4 내지 4:6의 몰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범위에서 다른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 조성과의 높은 상용성을 나타내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아크릴산은 상술한 비율로 아크릴아미드와 아크릴산을 중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좋게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150,000 내지 300,000, 더욱 좋게는 180,000 내지 250,000일 수 있으며, 분자량 분포(PDI=중량평균 분자량/수평균 분자량)는 1.2 내지 2.0을 만족할 수 있다. 이러한 물성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자가치유효과를 나타내면서도 지나치게 높은 분자량에 의한 시공성 저하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에서 상기 자가치유수지 입자는 평균입경이 5 내지 30 ㎛일 수 있다. 자가치유수지 입자의 평균입경이 작은 경우 균일한 분산이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자가치유수지 입자의 평균입경이 큰 경우 자가치유수지가 도막 내에 균일하게 분포하지 못하여 자가치유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좋게는 상기 자가치유수지 입자는 상술한 체질안료와 같이 표면개질된 것일 수 있으며, 티타늄계 표면개질제로 표면개질된 자가치유수지 입자를 포함함으로써 균일한 도막 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는 상기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 대비 3 내지 10 중량부의 자가치유수지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자가치유 수지 입자를 소량 포함하는 경우 자가치유효과를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자가치유 수지 입자를 다량 포함하는 경우 내후성 및 내구성이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는 흄드 실리카를 포함하며 제조된 도막의 기계적 물성을 확보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흄드 실리카는 순도가 높은 염화 규소를 불꽃에서 수소 및 산소와 반응시켜 제조된 것이며, 수~수십 나노미터의 미세한 입자크기를 갖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에서 상기 흄드 실리카는 평균입경이 3 내지 15 nm일 수 있다. 흄드 실리카의 평균입경이 낮은 경우 지나치게 작은 입자 크기에 의해 입자거동이 달라질 수 있으며, 흄드실리카의 평균입경이 큰 경우 흄드실리카에 의한 기계강도 강화효과를 도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는 상기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 대비 0.1 내지 3 중량부, 좋게는 0.5 내지 2 중량부의 흄드 실리카를 포함할 수 있다. 흄드 실리카를 소량 포함하는 경우 흄드 실리카에 의한 기계강도 강화효과를 도모하기 어려우며, 흄드 실리카를 다량 포함하는 경우 전체 분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는 경화촉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경화촉매는 아크릴 단량체의 경화 가능한 경화촉매인 경우 제한없이 이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좋게는, 상기 경화촉매는 아민계 경화촉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아민계 경화촉매를 이용하여 균일한 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는 상기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 대비 0.8 내지 1.5 중량부의 경화촉매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경화촉매를 소량 포함하는 경우 충분한 경화가 어려우며 경화촉매를 다량 포함하는 경우 단가 상승의 요인이 될 수 있다.
좋게는 시공방법적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에서 상기 경화촉매는 아스팔트 보강의 시공 직전 혼합될 수 있으며, 2액형 상태로 생산 및 유통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는 아크릴 단량체의 휘발을 방지하기 위한 휘발방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휘발방지제를 더 포함함으로써 저장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휘발방지제는 아크릴 도료에 이용되는 휘발방지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시판되는 제품을 이용할 수 있다. 좋게는 상기 휘발방지제는 수소화 처리된 파라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소화처리된 파라핀을 포함하는 휘발방지제를 이용함으로써 저장안정성을 도모하고 물성저하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는 상기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 대비 1 내지 3 중량부의 휘발방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휘발방지제를 소량 포함하는 경우 저장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고, 휘발방지제를 다량 포함하는 경우 내구성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는 중합금지제를 포함하며, 이때 중합금지제는 하이드로퀴논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중합금지제를 포함함으로써 저장 중 경화가 발생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는 상기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 대비 0.01 내지 0.05 중량부 포함될 수 있으며, 중합금지제를 소량 포함할 경우 저장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고, 중합금지제를 다량 포함할 경우 추후 경화 촉매와의 혼합에서도 균일한 경화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는 안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안료는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가 시공되는 노면의 종류에 따라 달리 선택될 수 있음이 자명하다. 구체적으로, 아스팔트 노면을 보강하고자 하는 경우 흑색 안료를 이용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피그먼트 블랙계의 안료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는 상기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 대비 3 내지 15 중량부, 좋게는 4 내지 10 중량부의 색상안료를 소량 포함할 수 있으며, 색상안료를 소량 포함하는 경우 노면과의 색상차이가 발생할 수 있고 색상안료를 다량 포함하는 경우 부착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는 침전방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침전 방지제를 더 포함하여 저장 중 상술한 흄드 실리카, 표면개질된 체질안료 및 자가치유 수지 입자의 침전 및 분리를 예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침전방지제는 유기 벤토나이트계, 아마이드 왁스계 및 계면활성제계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이용할 수 있으며, 좋게는 아마이드 왁스계 침전방지제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는 상기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 대비 0.1 내지 1 중량부의 침전방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침전방지제를 소량 포함하는 경우 저장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침전방지제를 다량 포함하는 경우 경화 후 표면경도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아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1.표면개질된 체질안료의 제조
평균입경이 12 ㎛인 탄산칼슘 입자를 준비한 뒤, 이를 아세톤과 에탄올이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용매에 균일하게 분산시킨다. 이때 용매는 탄산칼슘 입자 100 g 당 200 ㎖를 이용하였다. 탄산칼슘이 분산된 용액에 탄산칼슘 100 g당 5 g의 티타늄계 개질제(titanium IV 2,2(bis 2-propenolatomethyl)butanolato, tris(dioctyl)phosphato-O)를 혼합한 뒤 2시간 동안 교반하고 고형분을 분리한 뒤 40 ℃에서 48시간 동안 건조하여 표면개질된 체질안료를 제조하였다.
2. 표면개질된 자가치유 수지입자의 제조
중량평균 분자량이 약 21만이며, 아크릴아마이드 : 아크릴산의 몰비가 40 : 60이고, 분자량 분포 값이 1.4이고, 평균입경이 25 ㎛인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아크릴산입자로 자가치유 수지 입자를 준비한다. 준비된 자가치유 수지 입자 100 g 당 200 ㎖의 혼합용매를 이용하였으며, 이때 혼합용매는 체질안료 개질시 이용한 것과 동일한 것을 이용하였다. 자가치유수지 입자 100 g 당 5 g의 티타늄계 개질제(titanium IV 2,2(bis 2-propenolatomethyl)butanolato, tris(dioctyl)phosphato-O)를 칭량하고 티타늄계 개질제를 자가치유수지 입자가 분산된 용액에 투입하고 3시간 동안 교반한 뒤, 고형분을 분리하고 40 ℃에서 48시간 동안 건조하여 표면개질된 자가치유 수지입자를 제조하였다.
3.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 및 이를 경화하여 형성된 도막의 제조
중량평균 분자량이 39,000±3,000이며, 25 ℃ 기준 점도가 200 cps인 아크릴 수지 100 g, 메틸메타크릴레이트 2.28 g,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16.5 g, 평균입경이 7 nm인 흄드 실리카 1.2 g, 표면개질된 자가치유수지입자 5.3 g, 표면개질된 체질안료 12.8 g, 중합금지제로 하이드로퀴논 0.018 g, 흑색 색상안료(피그먼트 블랙 11) 5.7 g 및 수소화된 파라핀계 휘발방지제 1.85 g을 균일하게 혼합한 뒤, 경화촉매 1 g을 시공 직전 혼합하여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내지 10]
하기 표 1에 표시된 함량으로 제조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를 제조하였다. 표 1에 표시된 함량은 g 단위로 표시되었으며, 침전방지제, 휘발방지제 등의 첨가제는 중복기재를 방지하기 위하여 생략하였고, 첨가제는 모두 제조예 1과 동일한 함량으로 첨가되었다.
다만 제조예 4의 경우, 표면개질되지 않은 자가치유 수지 입자를 이용하였으며, 제조예 9는 표면개질되지 않은 체질안료를 이용하였고, 제조예 10의 경우 실란계 표면개질제(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 실란)을 티타늄계 표면개질제 대신 첨가하여 체질안료를 표면개질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아크릴 수지 MMA 2-EHA 흄드 실리카 자가치유수지 입자 체질안료
1 100 2.28 16.5 1.2 5.3 12.8
2 100 3.82 16.5 1.4 5.3 12.8
3 100 2.28 15.8 1.2 6.1 12.8
4 100 2.28 16.5 1.2 5.3 12.8
5 100 0.50 8.1 1.2 5.3 12.8
6 100 5.56 20.7 1.2 5.3 12.8
7 100 2.28 16.5 0.1 5.3 12.8
8 100 2.28 16.5 1.2 9.0 12.8
9 100 2.28 16.5 1.2 5.3 12.8
10 100 2.28 16.5 1.2 5.3 12.8
제조된 아스팔트 보강재의 물성 확인
제조예에서 제조된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를 경화하여 경화마막을 제조한뒤 아래 측정방법을 이용하여 각각의 물성을 측정하였다.
접착강도(kgf/㎠) : JIS A 6916에 의하였으며, 아스팔트 시편상에 도포하고 접착강도를 측정하였다.
인장강도(MPa) : KS M ISO 527-1에 의거하여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흐름성(mil) : KS M ISO16862에 의하여 흐름성을 측정하였다.
신율(%) : KS M ISO 527-1에 의해 신율을 측정하였다.
제조예 접착강도 인장강도 흐름성 신율
1 38 14 4 10
2 37 14 4.3 10
3 36 13 4.5 11
4 30 11 5 8
5 24 10 5.2 9
6 30 9 5.7 8
7 12 8 6 11
8 28 9 6.3 8
9 21 9 6.5 7
10 26 8 8 8
표 2를 참고하면, 한정된 범위로 아크릴 수지, 아크릴 단량체, 자가치유 수지 입자 및 체질안료를 포함하는 제조예 1 내지 3의 경우 접착강도, 인장강도, 흐름성 및 신율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접착강도가 35 kgf/㎠이상을 만족하며, 인장강도가 11 MPa 이상을 만족하여 기계강도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8)

  1. 중량평균 분자량이 35,000 내지 45,000인 아크릴 수지, 아크릴 단량체, 표면개질된 체질안료, 흄드 실리카 및 자가치유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수지는 25 ℃ 기준 점도가 200 내지 400 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단량체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질안료는 탄산칼슘, 황산바륨, 수산화마그네슘 및 탈크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개질된 체질안료는 체질안료를 티타늄계 표면개질제로 개질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치유수지 입자는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아크릴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질안료는 평균입경이 5 내지 2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치유수지 입자는 평균입경이 5 내지 3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
KR1020210028585A 2021-03-04 2021-03-04 아스팔트포장면 도막 물성 향상을 위한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 제조 및 시공방법 KR102446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585A KR102446379B1 (ko) 2021-03-04 2021-03-04 아스팔트포장면 도막 물성 향상을 위한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 제조 및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585A KR102446379B1 (ko) 2021-03-04 2021-03-04 아스팔트포장면 도막 물성 향상을 위한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 제조 및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5844A KR20220125844A (ko) 2022-09-15
KR102446379B1 true KR102446379B1 (ko) 2022-09-26

Family

ID=83281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8585A KR102446379B1 (ko) 2021-03-04 2021-03-04 아스팔트포장면 도막 물성 향상을 위한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 제조 및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637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98527A (ja) 2013-11-19 2015-05-28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てん充材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スラブ軌道のセメントアスファルトモルタル層の補修方法
KR101832164B1 (ko) 2017-09-06 2018-02-27 리플래시기술 주식회사 구조물 보수·보강용 자기 치유성 친환경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수·보강 방법
KR101875461B1 (ko) 2018-01-02 2018-08-02 주식회사 윤창이엔씨 내구성이 개선된 초속경성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유지 보수 공법
KR102013079B1 (ko) 2018-12-18 2019-08-21 주식회사 태산마스타 우수한 상용성과 부착성을 갖는 상온 경화형 차선도료의 제조방법
KR102037809B1 (ko) 2019-05-13 2019-10-29 김은정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 균열 보수 방법
KR102038266B1 (ko) 2019-03-11 2019-10-31 신영건설(주) 구조물 보수 보강용 친환경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보수 보강 공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39849A1 (de) * 2006-08-25 2008-02-28 Evonik Röhm Gmbh Methacrylatharze zur Herstellung von Fahrbahnmarkierungen
KR101376065B1 (ko) 2011-09-21 2014-03-20 황익현 폐아스콘 골재를 이용한 도로 보수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805992B1 (ko) * 2015-12-15 2017-12-07 주식회사 케이씨씨 메틸 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를 이용한 속건형 크랙 보수재 도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98527A (ja) 2013-11-19 2015-05-28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てん充材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スラブ軌道のセメントアスファルトモルタル層の補修方法
KR101832164B1 (ko) 2017-09-06 2018-02-27 리플래시기술 주식회사 구조물 보수·보강용 자기 치유성 친환경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수·보강 방법
KR101875461B1 (ko) 2018-01-02 2018-08-02 주식회사 윤창이엔씨 내구성이 개선된 초속경성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유지 보수 공법
KR102013079B1 (ko) 2018-12-18 2019-08-21 주식회사 태산마스타 우수한 상용성과 부착성을 갖는 상온 경화형 차선도료의 제조방법
KR102038266B1 (ko) 2019-03-11 2019-10-31 신영건설(주) 구조물 보수 보강용 친환경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보수 보강 공법
KR102037809B1 (ko) 2019-05-13 2019-10-29 김은정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 균열 보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5844A (ko) 2022-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54453B1 (de) Methacrylatharze zur herstellung von fahrbahnmarkierungen
KR102046627B1 (ko) 장기 차열성능 및 내구성이 우수한 이액형 상온경화형 도로 표지용 도료 조성물
KR102159619B1 (ko) 젖은 노면에서 재귀반사성이 우수한 노면 표지용 도료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노면 표지
CN103649194B (zh) 低气味(甲基)丙烯酸类反应性树脂
EP2668232B1 (de) Impact-modifiziertes reaktionsharz
KR102396355B1 (ko) 유연성 및 미끄럼 저항성이 우수한 미끄럼방지 포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미끄럼방지 포장재
CN108610699B (zh) 一种甲基丙烯酸树脂类标线涂料及其制备方法
CN102471613A (zh) 用于制备能快速适合交通通行的道路标记的粘结剂
KR102262716B1 (ko) 내구성 및 도로 시인성이 향상된 자체발광형 노면표지용 도료 조성물
CN107082591B (zh) 一种市政施工、建筑工程用铺路材料及其设计方法
CN111268956A (zh) 一种高强度改性合成纤维增强的透水混凝土及其制备方法
EP2861661B1 (de) Härtung von reaktionsharzen unter verwendung von asymmetrischen aminen als beschleuniger
KR20180126269A (ko) 콘크리트 도로 균열 주입 보수재 제조 방법, 콘크리트 도로 균열 주입 보수재 및 그 시공 방법
KR102351674B1 (ko) 차열 특성이 우수한 미끄럼방지 포장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02412B1 (ko) 자기 가교형 아스팔트용 개질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상온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
KR102446379B1 (ko) 아스팔트포장면 도막 물성 향상을 위한 상온경화형 아스팔트 보수보강재 제조 및 시공방법
KR102062016B1 (ko) 노면 표지용 융착식 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82273B1 (ko) 미끄럼 저항 성능이 우수한 노면 표지용 융착식 테이프
KR102431542B1 (ko) 내구성 및 미끄럼방지 효과가 우수한 포장재 조성물
KR102465240B1 (ko) 내마모성이 우수한 이액형 상온경화형 노면표지용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186971B1 (ko) 노후도로 보수용 초속건성 아스팔트 우레탄 바인더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10515A (ko) 미끄럼 방지를 위한 포장재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포장재
KR102134593B1 (ko) 장기간 내구성이 우수하고 노면 표지용 도료와 부착성이 향상된 아스콘 균열 보수재
KR20190084613A (ko) 반응형 바닥코팅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43892B1 (ko) 속건성, 시공성 및 재귀반사비드와의 결합력이 우수한 도로노면 표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