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6010B1 - 회전 구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출력 샤프트를 구비한 휴대용 전동 공구, 특히 앵글 그라인더용 퀵 클램핑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 구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출력 샤프트를 구비한 휴대용 전동 공구, 특히 앵글 그라인더용 퀵 클램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6010B1
KR102446010B1 KR1020197011038A KR20197011038A KR102446010B1 KR 102446010 B1 KR102446010 B1 KR 102446010B1 KR 1020197011038 A KR1020197011038 A KR 1020197011038A KR 20197011038 A KR20197011038 A KR 20197011038A KR 102446010 B1 KR102446010 B1 KR 102446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ing
unit
fitting
pressure
qu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1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1711A (ko
Inventor
안드레아스 쭈어브뤼크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071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1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5/00Means for securing grinding wheels on rotary arbors
    • B24B45/006Quick mount and release means for disc-like wheels, e.g. on power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with rotating grinding tool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with rotating grinding tools;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8Angle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5/00Means for securing grinding wheels on rotary arb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2Construction of casings, bodies or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5/00Sawing machines work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 blades; Components or equipment therefor
    • B27B5/29Details; Component parts; Accessories
    • B27B5/30Details; Component parts; Accessories for mounting or securing saw blades or saw spindles
    • B27B5/32Devices for securing circular saw blades to the saw spi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onstituent Portions Of Griding Lathes, Driving, Sensing And Control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Portable Power Tools In General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 Gripping On Spindles (AREA)
  • Saw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구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출력 샤프트(12a; 12b)를 구비한 휴대용 전동 공구, 특히 앵글 그라인더용 퀵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퀵 클램핑 장치는 인서트 공구 유닛(18a)을 출력 샤프트(12a; 12b) 상에 공구 없이 고정하기 위해 클램핑 요소(20a, 22a; 20b, 22b)의 클램핑 위치에서 인서트 공구 유닛(18a)에 클램핑력을 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클램핑 요소(20a, 22a; 20b, 22b)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유닛(16a; 16b); 및 클램핑 요소(20a, 22a; 20b, 22b)의 클램핑 위치 및/또는 해제 위치로 클램핑 요소(20a, 22a; 20b, 22b)를 이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작 유닛(24a; 24b)으로서, 상기 해제 위치에서 인서트 공구 유닛(18a)이 클램핑 유닛(16a; 16b) 및/또는 출력 샤프트(12a; 12b)로부터 탈착 가능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작 유닛(24a; 24b)을 포함한다. 퀵 클램핑 장치는, 적어도 조작 유닛(24a; 24b)으로부터 분리되어 클램핑 요소(20a, 22a; 20b, 22b)의 해제 위치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클램핑 요소(20a, 22a; 20b, 22b)에 작용할 때 클램핑 요소(20a, 22a; 20b, 22b)의 클램핑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의 클램핑 요소(20a, 22a; 20b, 22b)의 이동을 저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유닛(26a, 26b), 특히 셀프 록킹 유닛 및/또는 래치 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제안된다.

Description

회전 구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출력 샤프트를 구비한 휴대용 전동 공구, 특히 앵글 그라인더용 퀵 클램핑 장치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회전 구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출력 샤프트를 구비한 휴대용 전동 공구, 특히 앵글 그라인더용 퀵 클램핑 장치 및 상기 퀵 클램핑 장치를 포함한 휴대용 전동 공구, 특히 앵글 그라인더에 관한 것이다.
DE 100 17 458 A1에는 회전 구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출력 샤프트를 구비한 휴대용 전동 공구, 특히 앵글 그라인더용 퀵 클램핑 장치로서, 출력 샤프트 상에 인서트 공구 유닛을 공구 없이 고정하기 위해, 클램핑 요소의 클램핑 위치에서 인서트 공구 유닛으로 클램핑력을 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클램핑 요소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유닛, 및 클래핑 요소를 클램핑 요소의 클램핑 위치 및/또는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작 유닛으로서, 상기 해제 위치에서 인서트 공구 유닛이 클램핑 유닛 및/또는 출력 샤프트로부터 탈착 가능한 상기 조작 유닛을 포함하는, 퀵 클램핑 장치가 이미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조작자의 안전성이 향상되고 클램핑 요소가 작동 중 의도하지 않게 해제 위치로 이동되고 인서트 공구 유닛이 클램핑 유닛 및/또는 출력 샤프트로부터 탈착되는 것이 방지된, 회전 구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출력 샤프트를 구비한 휴대용 전동 공구, 특히 앵글 그라인더용 퀵 클램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본 발명에 따른 퀵 클램핑 장치를 포함한 휴대용 전동 공구, 특히 앵글 그라인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회전 구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출력 샤프트를 구비한 휴대용 전동 공구, 특히 앵글 그라인더용 퀵 클램핑 장치로서, 출력 샤프트 상에 인서트 공구 유닛을 공구 없이 고정하기 위해, 클램핑 요소의 클램핑 위치에서 클램핑력을 인서트 공구 유닛으로 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클램핑 요소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유닛, 및 클램핑 요소의 클램핑 위치 및/또는 해제 위치로 클래핑 요소를 이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작 유닛으로서, 상기 해제 위치에서 인서트 공구 유닛이 클램핑 유닛 및/또는 출력 샤프트로부터 탈착 가능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작 유닛을 포함하는 퀵 클램핑 장치로부터 출발한다.
퀵 클램핑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유닛, 특히 셀프 록킹 유닛 및/또는 래치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유닛은 적어도 조작 유닛으로부터 분리되어 클램핑 요소의 해제 위치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클램핑 요소에 작용하는 경우, 특히 공차 및/또는 유격에 기인한 클램핑 요소의 이동을 제외한, 클램핑 요소의 클램핑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의 클램핑 요소의 이동을 저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제공되는"은 특히 특별히 프로그램되고, 설계되고 및/또는 구비되는 것을 의미한다. 요소 및/또는 유닛이 특정 기능을 위해 제공되는 것은 장치 및/또는 유닛이 적어도 하나의 적용 및/또는 작동 상태에서 상기 특정 기능을 완수하거나 및/또는 실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은 특히 요소 및/또는 유닛의 장착을 의미하고, 요소 및/또는 유닛이 특히 요소 및/또는 유닛의 탄성 변형으로부터 분리된, 5㎜ 보다 큰, 바람직하게는 10mm 보다 큰,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보다 큰 이동 축을 따르는 및/또는 1°보다 큰, 바람직하게는 5°보다 큰, 특히 바람직하게는 15°보다 큰 각 범위를 따르는 이동 축을 중심으로 하는 이동 가능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고정 유닛, 특히 셀프 록킹 유닛 및/또는 래치 유닛은 적어도 조작 유닛으로부터 분리되어 클램핑 요소의 해제 위치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클램핑 요소에 작용하는 경우, 클램핑 요소를 클램핑 위치로부터 클램핑 요소의 해제 위치로의 이동에 대해 최대한으로 고정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동에 대해 최대한으로 고정하는"이라는 표현은 하나의 요소를 특히 요소의 위치에서 이동에 대해 고정하는 것을 의미하고, 요소의 고정된 위치에서 공차 및/또는 유격에 기인한 요소의 이동은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요소의 고정된 위치에서 클램핑 요소와 인서트 공구 유닛 간의 형상 끼워맞춤 방식의 결합이 고정되므로, 특히 클램핑 유닛으로부터 인서트 공구 유닛의 의도하지 않은 해제가 방지된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요소는 클램핑 위치에서 고정 유닛에 의해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방식의 결합을 이용해서 클램핑 요소의 해제 위치로의 이동에 대해 클램핑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요소는 조작 요소에 의해, 조작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조작 요소와 클램핑 요소 간의 기계적 결합에 의해 클램핑 위치 및/또는 해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작 요소가 조작 레버, 특히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조작 레버로서 형성된다. 그러나 조작 유닛의 조작 요소에 의해 전기 신호가 생성 가능하고, 상기 전기 신호에 의해 클램핑 요소를 클램핑 위치 및/또는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공된 액추에이터가 제어될 수 있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조작 유닛은 조작자의 조작 명령 및/또는 조작자의 조작자 힘에 의해 클램핑 요소를 클램핑 위치 및/또는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기계, 전기 및/또는 전자 조작 유닛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요소가 출력 샤프트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출력 샤프트는 클램핑 요소를 출력 샤프트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연장되는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특히 완전히 둘러싼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요소가 출력 샤프트와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클램핑 요소가 클램핑 요소의 선회 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요소의 선회 축은 출력 샤프트의 회전 축에 대해 횡 방향으로, 특히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요소의 선회 축은 클램핑 유닛의 클램핑 축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클램핑 축"은 특히 클램핑 유닛의 축을 의미하고, 상기 클램핑 축을 따라 클램핑 유닛의 축 방향 고정력이 인서트 공구 유닛을 출력 샤프트 상에 고정하기 위해 인서트 공구 유닛에 가해질 수 있고 및/또는 상기 클램핑 축을 따라 클램핑 요소를 이동시키기 위한 클램핑 유닛의 전달 요소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는 특히 기준 방향에 대한 방향의 정렬을 정의하고, 특히 하나의 평면에서 볼 때 상기 방향과 기준 방향은 90°의 각도를 형성하고, 각은 특히 8°미만, 바람직하게는 5°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2°미만의 최대 편차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요소는 클램핑 조(jaw)로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요소는 인서트 공구 유닛을 출력 샤프트 상에 축 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요소는 적어도 클램핑 위치에서 인서트 공구 유닛, 특히 인서트 공구 유닛의 고정 리세스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물린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요소는 적어도 인서트 공구 유닛이 클램핑 유닛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인서트 공구 유닛의 클램핑 연장부의 뒤에 맞물린다. 바람직하게는, 고정 유닛은 클램핑 요소의 선회 운동을 클램핑 요소의 클램핑 위치로부터, 특히 공차 및/또는 유격으로 인한 선회 운동을 제외한, 해제 위치로의 클램핑 요소의 선회 운동에 대해 적어도 최대한으로 저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고정 유닛은 자기 고정 유닛, 기계 고정 유닛, 전자 고정 유닛 등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유닛이 자기 고정 유닛으로서 형성되는 경우, 고정 유닛은 클램핑 위치에서 클램핑 요소를 자기력의 작용에 의해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기 요소를 포함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고정 유닛이 기계 고정 유닛으로서 형성되는 경우, 고정 유닛은 클램핑 위치에서 클램핑 요소를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방식의 결합에 의해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고정 요소를 포함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고정 유닛이 전자 고정 유닛으로서 형성되는 경우, 고정 유닛은 클램핑 위치에서 클램핑 요소를 고정하고 및/또는 클램핑 요소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고 클램핑 위치에 도달시 클램핑 위치에서 클램핑 요소를 고정시키는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요소를 포함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당업자에게 의미 있는 것으로 보이는 고정 유닛의 다른 형태들도 고려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유닛이 적어도 2 개의 이동 가능하게, 특히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클램핑 요소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클램핑 유닛이 2 개 이외의 다른 수의 클램핑 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 개의 클램핑 요소들이 적어도 실질적으로 유사한 형태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유닛의 적어도 2 개의 클램핑 요소들은 서로 이동 가능하게, 특히 서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다. 특히, 적어도 2 개의 클램핑 요소들은 조작 유닛에 의해 클램핑 요소들의 클램핑 위치 및/또는 클램핑 요소들의 해제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 개의 클램핑 요소들이 작동 유닛에 의해 함께 이동 가능하고, 특히 함께 클램핑 위치 및/또는 해제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그러나 적어도 2 개의 클램핑 요소들이 조작 유닛에 의해 서로 독립적으로 클램핑 위치 및/또는 해제 위치로 이동 가능한 것도 고려될 수 있다.
퀵 클램핑 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형태에 의해, 높은 조작자 안전이 바람직하게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의 클램핑 요소의 의도하지 않은 전환이 적어도 최대한으로 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유닛으로부터 인서트 공구 유닛의 의도하지 않은 해제가 저지될 수 있다. 휴대용 전동 공구의 클램핑 유닛 및/또는 출력 샤프트 상에 인서트 공구 유닛의 신뢰성 있고 확실한 고정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고정 유닛이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를 포함하는 것이 제안되고, 상기 요소는 적어도 클램핑 요소의 클램핑 위치에서 클램핑 요소의 해제 위치로의 이동에 대해 클램핑 요소를 고정하기 위해 클램핑 요소 내로 및/또는 클램핑 요소와 협동하는 클램핑 유닛의 전달 요소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물린다.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는 적어도 클램핑 위치에서 클램핑 요소 및/또는 전달 요소 내로 맞물리는 특히 스프링 부하된 래치 요소로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는 특히 클램핑 요소 상에 배치된 클램핑 유닛의 이동 홈 링크 내로 맞물리는 링크 맞물림 요소, 특히 클램핑 볼트로서 형성될 수 있다. 당업자에게 의미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의 다른 형태들도 고려될 수 있다. 전달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포크로서 형성된다. 전달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이동 가능하게, 특히 병진 운동 가능하게 출력 샤프트 내에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유닛은 전달 요소에 조작 유닛의 방향으로, 특히 클램핑 요소의 클램핑 위치의 방향으로 스프링력을 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를 포함한다. 스프링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출력 샤프트 내에 배치된다. 전달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출력 샤프트와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퀵 클램핑 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형태에 의해, 높은 조작자 안전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의 클램핑 요소의 의도하지 않은 전환이 적어도 최대한으로 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유닛으로부터 인서트 공구 유닛의 의도하지 않은 해제가 저지될 수 있다. 휴대용 전동 공구의 클램핑 유닛 및/또는 출력 샤프트 상에 인서트 공구 유닛의 신뢰성 있고 확실한 고정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해제 위치로의 의도하지 않은 이동에 대한 클램핑 요소의 신뢰성 있는 고정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고정 유닛이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를 포함하는 것이 제안되고, 상기 요소는 적어도 클램핑 요소의 클램핑 위치에서 클램핑 요소에 인접하므로, 특히 적어도 조작 유닛으로부터 분리되어 클램핑 요소의 해제 위치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 해제 위치로의 클램핑 요소의 이동을 저지하는 메인 고정력이 클램핑 유닛의 클램핑 축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방향을 따라 클램핑 요소에 가해질 수 있다. 메인 고정력은 바람직하게는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와 클램핑 요소 및/또는 전달 요소 간의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방식의 결합에 의해 클램핑 요소에 가해질 수 있다.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가 링크 맞물림 요소로서 형성된 경우, 바람직하게는 메인 고정력의 메인 작용 방향이 클램핑 축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정렬된다.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가 래치 요소로서 형성된 경우, 바람직하게는 메인 고정력의 메인 작용 방향이 클램핑 축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클램핑 위치의 방향으로 정렬된다. "메인 고정력"은 특히 반력의 2 가지 힘 성분들 중 최대량을 갖는 반력의 힘 성분 및/또는 단일 방향을 따라 작용하는 힘을 의미한다. 메인 고정력은 바람직하게는 힘 성분이 클램핑 축을 따라 전달 요소에 작용하지 않거나 또는 적은 힘 성분만이 작용하도록 작용한다. 바람직하게는 링크 맞물림 요소가 홈 링크 요소, 특히 홈 링크 안내 트랙의 해제 윤곽 내로 이동될 수 없게 된다. 퀵 클램핑 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형태에 의해, 높은 조작자 안전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의 클램핑 요소의 의도하지 않은 전환이 적어도 최대한으로 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유닛으로부터 인서트 공구 유닛의 의도하지 않은 해제가 저지될 수 있다. 휴대용 전동 공구의 클램핑 유닛 및/또는 출력 샤프트 상에 인서트 공구 유닛의 신뢰성 있고 확실한 고정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해제 위치로의 의도하지 않은 이동에 대한 클램핑 요소의 신뢰성 있는 고정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고정 유닛이 클램핑 유닛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제안되고, 고정 유닛은 클램핑 요소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셀프 록킹 윤곽을 포함한다. "하나의 유닛이 다른 유닛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은 상기 유닛 및 다른 유닛이 적어도 하나의 공통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셀프 록킹 윤곽은 클램핑 요소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일체형"은 예를 들어 용접 공정, 접착 공정, 사출 성형 공정 및/또는 당업자에게 의미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다른 공정에 의해 특히 적어도 재료 결합으로 연결된 것을 의미하고 및/또는 주조로부터의 제조 및/또는 일성분 또는 다성분 사출 성형 방법에서의 제조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단일 블랭크로부터의 제조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부분으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셀프 록킹 윤곽이 클램핑 요소로부터 분리되어 형성되고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방식의 결합에 의해 클램핑 요소 상에 고정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셀프 록킹 윤곽은 클램핑 요소 상에 배치된 클램핑 유닛의 홈 링크 요소, 특히 홈 링크 안내 트랙의 부분이다. 홈 링크 요소, 특히 홈 링크 안내 트랙은 특히, 홈 링크 요소, 특히 홈 링크 안내 트랙 내로 맞물리는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의 협동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위치 및/또는 해제 위치로의 클램핑 요소의 이동을 위해 제공된다. 퀵 클램핑 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형태에 의해, 높은 조작자 안전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의 클램핑 요소의 의도하지 않은 전환이 적어도 최대한으로 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클램핑 유닛으로부터 인서트 공구 유닛의 의도하지 않은 해제가 저지될 수 있다. 휴대용 전동 공구의 클램핑 유닛 및/또는 출력 샤프트 상에 인서트 공구 유닛의 신뢰성 있고 확실한 고정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해제 위치로의 의도하지 않은 이동에 대한 클램핑 요소의 신뢰성 있는 고정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클램핑 유닛 및/또는 고정 유닛의 특히 컴팩트한 형태가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클램핑 요소의 클램핑 위치에서 셀프 록킹 윤곽은, 조작 유닛으로부터 분리되어 클램핑 요소의 해제 위치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클램핑 요소에 작용하는 경우, 적어도 셀프 록킹 윤곽에 의해, 클램핑 유닛의 클램핑 축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메인 고정력이 클램핑 요소에 가해질 수 있도록 정렬되는 것이 제안된다. 셀프 록킹 윤곽은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요소와 함께 이동 가능하게, 특히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요소의 클램핑 위치에서, 조작 유닛으로부터 분리되어 클램핑 요소의 해제 위치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클램핑 요소에 작용하는 경우, 셀프 록킹 윤곽과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의 협동에 의해, 클램핑 유닛의 클램핑 축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메인 고정력이 클램핑 요소에 가해질 수 있다. 퀵 클램핑 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형태에 의해, 높은 조작자 안전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의 클램핑 요소의 의도하지 않은 전환이 적어도 최대한으로 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클램핑 유닛으로부터 인서트 공구 유닛의 의도하지 않은 해제가 저지될 수 있다. 휴대용 전동 공구의 클램핑 유닛 및/또는 출력 샤프트 상에 인서트 공구 유닛의 신뢰성 있고 확실한 고정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해제 위치로의 의도하지 않은 이동에 대한 클램핑 요소의 신뢰성 있는 고정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클램핑 요소의 클램핑 위치로부터 해제 의치로의 클램핑 요소의 의도하지 않은 이동을 적어도 최대한으로 저지하는 고정력이 바람직하게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클램핑 요소의 클램핑 위치에서,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와 접촉하기 위한 셀프 록킹 윤곽, 특히 셀프 록킹 윤곽의 접촉 면이 특히 클램핑 축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클램핑 요소의 선회 축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평면에서 볼 때, 클램핑 유닛의 클램핑 축과 40°미만의 각을 형성하는 것이 제안된다.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게"는 특히 하나의 평면에서 볼 때, 특히 기준 방향에 대한 하나의 방향의 정렬을 의미하고, 상기 방향은 기준 방향에 대해 8°미만, 바람직하게는 5°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2°미만의 최대 편차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클램핑 요소의 클램핑 위치에서 셀프 록킹 윤곽은 클램핑 유닛의 클램핑 축과 30°미만, 바람직하게는 20°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10°미만의 각을 형성한다. 퀵 클램핑 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형태에 의해, 높은 조작자 안전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의 클램핑 요소의 의도하지 않은 전환이 적어도 최대한으로 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클램핑 유닛으로부터 인서트 공구 유닛의 의도하지 않은 해제가 저지될 수 있다. 휴대용 전동 공구의 클램핑 유닛 및/또는 출력 샤프트 상에 인서트 공구 유닛의 신뢰성 있고 확실한 고정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해제 위치로의 의도하지 않은 이동에 대한 클램핑 요소의 신뢰성 있는 고정이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다.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적어도 클램핑 위치에서 그리고 조작 유닛으로부터 분리되어 클램핑 요소의 해제 위치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클램핑 요소에 작용하는 경우, 특히 셀프 록킹 윤곽과 상기 셀프 록킹 윤곽에 인접하는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의 협동에 의해, 클램핑 유닛의 클램핑 축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고정력이 클램핑 요소에 가해질 수 있다.
또한, 셀프 록킹 윤곽이 클램핑 요소의 클램핑 위치에서 클램핑 유닛의 클램핑 축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면을 포함하는 것이 제안된다. 바람직하게는 셀프 록킹 윤곽의 접촉 면은 적어도 클램핑 요소의 클램핑 위치에서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에 인접한다. 퀵 클램핑 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형태에 의해, 높은 조작자 안전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의 클램핑 요소의 의도하지 않은 전환이 적어도 최대한으로 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클램핑 유닛으로부터 인서트 공구 유닛의 의도하지 않은 해제가 저지될 수 있다. 휴대용 전동 공구의 클램핑 유닛 및/또는 출력 샤프트 상에 인서트 공구 유닛의 신뢰성 있고 확실한 고정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해제 위치로의 의도하지 않은 이동에 대한 클램핑 요소의 신뢰성 있는 고정이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다.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적어도 클램핑 위치에서 그리고 조작 유닛으로부터 분리되어 클램핑 요소의 해제 위치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클램핑 요소에 작용하는 경우, 특히 셀프 록킹 윤곽과 상기 셀프 록킹 윤곽에 인접하는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의 협동에 의해, 클램핑 유닛의 클램핑 축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고정력이 클램핑 요소에 가해질 수 있다.
또한, 셀프 록킹 윤곽이 클램핑 유닛의 홈 링크 요소의 클램핑 윤곽과 해제 윤곽 간의 전이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제안된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윤곽, 해제 윤곽 및 셀프 록킹 윤곽이 홈 링크 요소, 특히 홈 링크 안내 트랙과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윤곽, 해제 윤곽 및 셀프 록킹 윤곽이 특히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 특히 클램핑 볼트로서 형성된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와의 협동에 의해, 클램핑 위치 및/또는 해제 위치로의 클램핑 요소의 이동을 위해 제공되는 홈 링크 요소의 안내 트랙을 형성한다. 퀵 클램핑 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형태에 의해, 높은 조작자 안전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의 클램핑 요소의 의도하지 않은 전환이 적어도 최대한으로 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클램핑 유닛으로부터 인서트 공구 유닛의 의도하지 않은 해제가 저지될 수 있다. 휴대용 전동 공구의 클램핑 유닛 및/또는 출력 샤프트 상에 인서트 공구 유닛의 신뢰성 있고 확실한 고정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해제 위치로의 의도하지 않은 이동에 대한 클램핑 요소의 신뢰성 있는 고정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고정 유닛의 컴팩트한 형태가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클램핑 유닛 내로 고정 유닛의 통합이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고정 유닛이 고정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에 클램핑 요소의 방향으로 클램핑력을 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를 포함하는 것이 제안된다. 바람직하게는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는 적어도 클램핑 위치에서 클램핑 요소 및/또는 전달 요소 내로 맞물리기 위해 제공되는 래치 요소로서 형성된다. 스프링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압축 스프링, 특히 헬리컬 압축 스프링으로서 형성된다. 그러나 스프링 요소가 인장 스프링, 비틀림 스프링 또는 당업자에게 의미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다른 스프링 요소로서 형성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요소의 하나의 단부는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 상에 지지되고, 스프링 요소의 다른 단부는 출력 샤프트, 특히 출력 샤프트의 내부 측 상에 또는 클램핑 요소와 출력 샤프트 사이에 배치된 중간 요소 상에 지지된다. 퀵 클램핑 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형태에 의해, 높은 조작자 안전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의 클램핑 요소의 의도하지 않은 전환이 적어도 최대한으로 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클램핑 유닛으로부터 인서트 공구 유닛의 의도하지 않은 해제가 저지될 수 있다. 휴대용 전동 공구의 클램핑 유닛 및/또는 출력 샤프트 상에 인서트 공구 유닛의 신뢰성 있고 확실한 고정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해제 위치로의 의도하지 않은 이동에 대한 클램핑 요소의 신뢰성 있는 고정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고정 위치로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의 자발적 이동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가 조작 유닛에 의해 스프링 요소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이동 가능한 것이 제안된다. 바람직하게는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가 특히 래치 요소로서 형성된 경우, 클램핑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의 클램핑 요소의 전환시, 스프링 요소의 스프링력에 대항해서, 특히 클램핑 요소의 이동 가능성을 릴리즈하기 위해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 특히 래치 요소가 특히 클램핑 축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이동 축을 따라 병진 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러나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 특히 래치 요소가 클램핑 유닛의 대안적 형태에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퀵 클램핑 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형태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높은 조작자 안전이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의 클램핑 요소의 의도하지 않은 전환이 적어도 최대한으로 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클램핑 유닛으로부터 인서트 공구 유닛의 의도하지 않은 해제가 저지될 수 있다. 휴대용 전동 공구의 클램핑 유닛 및/또는 출력 샤프트 상에 인서트 공구 유닛의 신뢰성 있고 확실한 고정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해제 위치로의 의도하지 않은 이동에 대한 클램핑 요소의 신뢰성 있는 고정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클램핑 요소는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 특히 래치 요소가 클램핑 요소의 클램핑 위치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리세스를 포함하는 것이 제안된다. 바람직하게는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 특히 래치 요소가 클램핑 위치에서 스프링 요소의 스프링력에 의해 클램핑 요소의 고정 리세스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고정 유닛이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 특히 래치 요소를 클램핑 요소의 클램핑 위치에서 클램핑 요소의 고정 리세스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전기, 자기 또는 유압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당업자에게 의미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고정 리세스 내로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 특히 래치 요소의 이동을 위한 다른 기술적 가능성도 고려될 수 있다. 퀵 클램핑 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형태에 의해, 높은 조작자 안전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의 클램핑 요소의 의도하지 않은 전환이 적어도 최대한으로 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클램핑 유닛으로부터 인서트 공구 유닛의 의도하지 않은 해제가 저지될 수 있다. 휴대용 전동 공구의 클램핑 유닛 및/또는 출력 샤프트 상에 인서트 공구 유닛의 신뢰성 있고 확실한 고정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해제 위치로의 의도하지 않은 이동에 대한 클램핑 요소의 신뢰성 있는 고정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특히 고정 유닛의 대안적 형태에서, 고정 유닛은 원심력에 의해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의 고정 위치 내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를 포함하는 것이 제안되고, 상기 고정 위치에서 클램핑 요소가 클램핑 위치로부터 클램핑 요소의 해제 위치로의 이동에 대해 최대한으로 고정된다. 퀵 클램핑 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형태에 의해, 높은 조작자 안전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의 클램핑 요소의 의도하지 않은 전환이 적어도 최대한으로 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클램핑 유닛으로부터 인서트 공구 유닛의 의도하지 않은 해제가 저지될 수 있다. 휴대용 전동 공구의 클램핑 유닛 및/또는 출력 샤프트 상에 인서트 공구 유닛의 신뢰성 있고 확실한 고정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해제 위치로의 의도하지 않은 이동에 대한 클램핑 요소의 신뢰성 있는 고정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특히 휴대용 전동 공구의 작동 동안 클램핑 유닛 및/또는 출력 샤프트로부터 인서트 공구 유닛의 의도하지 않은 해제가 방지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게 보장된다.
또한, 고정 유닛이 조작자에게 고정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 상태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 요소를 포함하는 것이 제안된다. 출력 요소는 기계 요소, 전자 요소 또는 전기 요소로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출력 요소가 조작자에게 촉각, 음향 및/또는 시각적으로 고정 유닛의 기능 상태를 출력하기 위해 제공된다. 고정 유닛의 기능 상태는 바람직하게는 고정 유닛의 상태, 예를 들어 클램핑 요소의 고정, 클램핑 요소가 고정되지 않은 해제 상태, 고정 요소의 결함 또는 당업자에게 의미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고정 유닛의 다른 상태들을 나타낸다. 출력 요소는 디스플레이, 예를 들어 LED와 같은 단일 광원, 기계적으로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요소, 스피커 등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퀵 클램핑 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형태에 의해, 높은 조작자 안전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의 클램핑 요소의 의도하지 않은 전환이 적어도 최대한으로 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클램핑 유닛으로부터 인서트 공구 유닛의 의도하지 않은 해제가 저지될 수 있다. 휴대용 전동 공구의 클램핑 유닛 및/또는 출력 샤프트 상에 인서트 공구 유닛의 신뢰성 있고 확실한 고정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해제 위치로의 의도하지 않은 이동에 대한 클램핑 요소의 신뢰성 있는 고정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요소가 고정 유닛에 의해 신뢰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지의 여부 또는 고정 유닛의 결함이 있는지의 여부가 조작자에게 신호화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전동 공구, 특히 앵글 그라인더가 본 발명에 따른 퀵 클램핑 장치를 포함하도록 제안된다. "휴대용 전동 공구"는 특히 조작자에 의해 운반 기계 없이 운반될 수 있는 공작물을 가공하기 위한 전동 공구를 의미한다. 휴대용 전동 공구는 특히 40kg 미만, 바람직하게는 10kg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5kg 미만의 질량을 갖는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휴대용 전동 공구가 앵글 그라인더로서 형성된다. 그러나 휴대용 전동 공구가 당업자에게 의미 있는 것으로 보이는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원형 톱, 연삭 기계 등과 같은 형태를 가지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휴대용 전동 공구는 바람직하게는 회전 구동 가능한 출력 샤프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퀵 클램핑 장치는 출력 샤프트 상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퀵 클램핑 장치가 출력 샤프트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출력 샤프트가 중공 샤프트로서 형성된다. 특히 휴대용 전동 공구는 퀵 클램핑 장치에 의해 출력 샤프트 상에 고정될 수 있는 인서트 공구 유닛과 함께 전동 공구 시스템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형태에 의해, 높은 조작자 안전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해제 위치로의 퀵 클램핑 장치, 특히 퀵 클램핑 장치의 클램핑 유닛의 클램핑 요소의 의도하지 않은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보장된다. 바람직하게는, 퀵 클램핑 장치로부터 인서트 공구 유닛의 의도하지 않은 해제가 방지될 수 있다. 안전한 휴대용 전동 공구가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퀵 클램핑 장치 및/또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동 공구는 상기에 기술된 적용 및 실시예로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퀵 클램핑 장치 및/또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동 공구는 여기에 기술된 기능을 완수하기 위해 개별 요소들, 부재들 및 유닛들 그리고 방법 단계들의 여기 언급된 개수 이외의 개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제시된 값 범위에 있어서, 명시된 한계치 내에 있는 값들도 개시된 것으로 그리고 임의로 사용 가능한 것으로 간주된다.
다른 장점들은 아래 실시예 설명에 제시된다. 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 상세한 설명, 청구항들은 다수의 특징들을 조합하여 포함한다. 당업자는 특징들을 바람직하게 개별적으로 고려하고 의미 있는 다른 조합들로 결합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퀵 클램핑 장치를 포함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동 공구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동 공구 및 본 발명에 따른 퀵 클램핑 장치의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퀵 클램핑 장치의 고정 유닛의 상세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안적 휴대용 전동 공구, 및 대안적 고정 유닛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대안적 퀵 클램핑 장치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에는 퀵 클램핑 장치(10a)를 구비한, 앵글 그라인더로서 형성된 휴대용 전동 공구(14a)가 도시된다. 그러나 휴대용 전동 공구(14a)가 예를 들어 원형 톱, 연삭 기계 등과 같은 당업자에게 의미 있는 것으로 보이는 다른 형태를 가지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휴대용 전동 공구(14a)는 휴대용 전동 공구(14a)의 기어 유닛(64a)을 수용 및/또는 장착하기 위한 기어 하우징(62a)을 포함한다. 기어 하우징(62a)은 바람직하게는 금속 재료로 형성된다. 그러나, 기어 하우징(62a)이 예를 들어 플라스틱과 같은 당업자에게 의미 있는 것으로 보이는 다른 재료로 형성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기어 유닛(64a)은 바람직하게는 앵글 기어로서 형성된다. 기어 유닛(64a)은 특히 회전 구동 가능한 출력 샤프트(12a)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샤프트 상에 인서트 공구 유닛(18a)이 특히 퀵 클램핑 장치(10a)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출력 샤프트(12a)는 바람직하게는 퀵 클램핑 장치(10a)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중공 스핀들로서 설계된다(도 2). 기어 하우징(62a) 상에는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보호 후드 유닛이 당업자에게 이미 알려진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기어 하우징(62a) 상에는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 핸들이 당업자에게 이미 알려진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휴대용 전동 공구(14a)는 휴대용 전동 공구(14a)의 구동 유닛(68a)을 수용 및/또는 장착하기 위한 모터 하우징(66a)을 포함한다. 구동 유닛(68a)은 바람직하게는 기어 유닛(64a)과의 협동에 의해 출력 샤프트(12a)를 출력 샤프트(12a)의 회전 축(70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동하기 위해 당업자에게 이미 알려진 방식으로 제공된다. 출력 샤프트(12a)의 회전 축(70a)은 구동 유닛(68a)의 구동 축(96a)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구동 유닛(68a)은 바람직하게는 전기 모터 유닛으로서 형성된다. 그러나, 구동 유닛(68a)이 당업자에게 의미 있는 것으로 보이는 다른 형태, 예를 들면 연소 구동 유닛, 하이브리드 구동 유닛, 공압 구동 유닛 등과 같은 형태를 가지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도 2에는 특히 기어 하우징(62a)의 영역에서의 휴대용 전동 공구(14a) 및 퀵 클램핑 장치(10a)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적어도 회전 구동 가능한 출력 샤프트(12a)를 구비한 휴대용 전동 공구(14a)용 퀵 클램프 장치(10a)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유닛(16a)을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 유닛(16a)은 인서트 공구 유닛(18a)을 출력 샤프트(12a) 상에 공구 없이 고정하기 위해, 클램핑 요소(20a, 22a)의 클램핑 위치에서 인서트 공구 유닛(18a)에 클램핑력 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클램핑 요소(20a, 22a)를 포함한다. 또한, 퀵 클램핑 장치(10a)는 클램핑 요소(20a, 22a)를 클램핑 요소(20a, 22a)의 클램핑 위치 및/또는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작 유닛(24a)을 포함하고, 상기 해제 위치에서 인서트 공구 유닛(18a)이 클래핑 유닛(16a) 및/또는 출력 샤프트(12a)로부터 탈착 가능하다. 클램핑 유닛(16a)은 적어도 2 개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클램핑 요소들(20a, 22a)을 포함한다. 그러나, 클램핑 유닛(16a)이 2 개 이외의 다른 수의 클램핑 요소(20a, 22a)를 포함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적어도 2 개의 클램핑 요소들(20a, 22a)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유사한 형태를 가지므로, 클램핑 요소들(20a, 22a) 중 하나에 대해 개시된 특징들은 다른 클램핑 요소(20a, 22a)에 대해서도 개시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적어도 2 개의 클램핑 요소들(20a, 22a)은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다. 적어도 2 개의 클램핑 요소들(20a, 22a)의 선회 축(72a)은 출력 샤프트(12a)의 회전 축(70a)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적어도 2 개의 클램핑 요소들(20a, 22a)은 클램핑 유닛(16a) 및/또는 출력 샤프트(12a) 상에 배치된 상태, 특히 적어도 2 개의 클램핑 요소들(20a, 22a)의 클램핑 위치에서, 인서트 공구 유닛(18a)을 출력 샤프트(12a) 상에 축 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해 제공된다. 적어도 2 개의 클램핑 요소들(20a, 22a)은 출력 샤프트(12a)와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적어도 2 개의 클램핑 요소들(20a, 22a)은 출력 샤프트(12a)와 함께 회전 축(70a)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클램핑 유닛(16a)은 인서트 공구 유닛(18a)으로 토크를 전달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회전 종동 요소(74a)를 포함한다. 인서트 공구 유닛(18a)이 클램핑 유닛(16a) 및/또는 출력 샤프트(12a)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 종동 요소(74a)는 인서트 공구 유닛(18a)의 수용 리세스(도시되지 않음) 내로 맞물리고 토크 전달을 위해 수용 리세스를 한정하는 인서트 공구 유닛(18a)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에 인접한다. 클램핑 유닛(16a) 및/또는 출력 샤프트(12a) 상에 배치된 인서트 공구 유닛(18a)과 출력 샤프트(12a) 간의 토크 전달은 바람직하게는 회전 종동 요소(74a)와 인서트 공구 유닛(18a) 간의 형상 끼워맞춤 방식의 결합에 의해 당업자에게 이미 알려진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회전 종동 요소(74a)는 출력 샤프트(12a) 상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배치된다. 회전 종동 요소(74a)는 출력 샤프트(12a)와 함께 회전 축(70a)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조작 유닛(24a)은 클램핑 요소(20a, 22a), 특히 적어도 2 개의 클램핑 요소들(20a, 22a)을 인서트 공구 유닛(18a)이 클램핑 유닛(16a) 및/또는 출력 샤프트(12a)로부터 탈착될 수 있는 해제 위치로 적어도 이동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조작 유닛(24a)은 클램핑 요소(20a, 22a), 특히 적어도 2 개의 클램핑 요소들(20a, 22a)을 인서트 공구 유닛(18a)이 클램핑 유닛(16a)에 의해 출력 샤프트(12a) 상에 고정될 수 있는 클램핑 위치로 적어도 이동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조작 유닛(24a)은 조작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조작 요소(76a)를 포함한다. 조작 요소(76a)는 조작 레버로서 설계된다. 조작 요소(76a)는 출력 샤프트(12a)의 회전 축(70a)에 대해 횡 방향으로, 특히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운동 축(78a),특히 선회 축을 포함한다. 조작 요소(76a)는 바람직하게는 운동 축(78a), 특히 선회 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다. 조작 요소(76a)는 출력 샤프트(12a)의 회전 운동으로부터 분리된다. 조작 요소(76a)는 조작 유닛(24a)의 작동 요소(82a)를 작동시키기 위한 편심부(80a)를 포함한다. 작동 요소(82a)는 회전 축(70a)을 따라 병진 운동 가능하게, 특히 출력 샤프트(12a) 및/또는 기어 하우징(62a) 내에 장착된다. 작동 요소(82a)는 축 방향 이동을 허용하고 회전 운동을 저지하는 특히 작동 요소(82a)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평탄화에 의해 기어 하우징(62a) 내에서 기어 하우징(62a)에 대한 비틀림에 대해 고정된다. 작동 요소(82a)의 영역에 예를 들어 고무 시일 등과 같은 밀봉 요소(84a)가 배치되어, 특히 기어 하우징(62a) 및/또는 클램핑 유닛(16a) 내로 오염물의 침투를 적어도 최대한으로 방지한다.
조작 유닛(24a)은 적어도 하나의 디커플링 요소(86a)를 포함하고, 상기 디커플링 요소는 작동 요소(82a)와 압력 끼워맞춤 결합에 의해 접촉되거나 또는 작동 요소(82a)와 접촉된다. 디커플링 요소(86a)는 바람직하게는 회전 축(70a)을 따라 병진 운동 가능하게, 특히 출력 샤프트(12a) 또는 클램핑 유닛(16a)의 전달 요소(36a) 내에 장착된다. 디커플링 요소(86a)는 작동 요소(82a)의 리세스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물리는 특히 원추형 연결 영역을 포함한다. 작동 요소(82a)와 디커플링 요소(86a) 사이의 마찰 작용은 특히 원추형 연결 영역의 형태 및 조작 유닛(24a)의 디커플링 스프링 요소(90a)의 스프링력에 의존한다. 디커플링 스프링 요소(90a)는 디커플링 요소(86a)에 스프링력을 작동 요소(82a)의 방향으로 가하기 위해 제공된다. 디커플링 스프링 요소(90a)는 클램핑 유닛(16a)의 전달 요소(36a) 내에 배치된다. 전달 요소(36a)는 클램핑 포크로서 설계된다. 전달 요소(36a)는 출력 샤프트(12a)와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전달 요소(36a)는 클램핑 유닛(16a)의 클램핑 축(40a)을 따라 병진 운동 가능하다. 전달 요소(36a)는 출력 샤프트(12a) 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전달 요소(36a)에는 적어도 클램핑 유닛(16a)의 클램핑 스프링 요소(88a)에 의해 클램핑 축(40a)을 따라, 특히 조작 유닛(24a)의 방향으로 스프링력이 가해질 수 있다.
조작 유닛(24a)은 특히 적어도 출력 샤프트(12a)의 저속 또는 출력 샤프트(12a)의 정지 상태에서 디커플링 요소(86a)와 전달 요소(36a)를 운동 기술적으로 서로 연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92a)를 포함한다. 연결 요소(92a)는 볼트로서 형성된다. 연결 요소(92a)는 디커플링 요소(86a) 상에 고정된다. 연결 요소(92a)는 디커플링 요소(86a)와 함께 이동 가능하다. 연결 요소(92a)는 전달 요소(36a)의 안내 홈 링크(자세히 도시되지 않음) 내로 연장된다. 출력 샤프트(12a)의 회전 운동시, 디커플링 요소(86a) 및 연결 요소(92a)는 작동 요소(82a)의 작동에 의한 제동으로 인해 전달 요소(36a)에 대해 회전 가능하며, 연결 요소(92a)는 디커플링 요소(86a)가 디커플링 스프링 요소(90a)의 스프링력에 대항해서 전달 요소(36a)의 안내 리세스(94a) 내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 홈 링크 내에서 이동 가능하다. 출력 샤프트(12a)의 회전 운동 동안 조작 요소(76a)의 작동은 전달 요소(36a)에 대한 작동 요소(82a) 및 디커플링 요소(86a)의 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출력 샤프트(12a)의 회전 운동 동안 클램핑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의 클램핑 요소(20a, 22a), 특히 클램핑 요소들(20a, 22a)의 전환을 위한 조작 유닛(24a)을 이용한 조작자 힘의 작용으로 인한 전달 요소(36a)의 운동이 최대한으로 억제될 수 있다. 출력 샤프트(12a)의 저속 또는 출력 샤프트(12a) 정지 상태에서, 작동 요소(82a)로부터 디커플링 요소(86a)로 작용하는 축 방향 힘은 연결 요소(92a)와 안내 홈 링크의 협동에 의해 전달 요소(36a)로 전달될 수 있다. 전달 요소(36a)는 조작 유닛(24a)에 의해 클램핑 스프링 요소(88a)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이동 가능하다. 전달 요소(36a)는 클램핑 요소(20a, 22a), 특히 클램핑 요소들(20a, 22a)을 클램핑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클램핑 요소(20a, 22a), 특히 클램핑 요소들(20a, 22a)은 출력 샤프트(12a) 상에, 특히 출력 샤프트(12a) 내에 운동 가능하게, 특히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다. 클램핑 요소(20a, 22a), 특히 클램핑 요소들(20a, 22a)의 선회 축(72a)은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유닛(16a)의 클램핑 축(40a)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클램핑 요소(20a, 22a), 특히 클램핑 요소들(20a, 22a)은 링크 맞물림 요소와 협동하도록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홈 링크 요소(50a)를 포함한다. 링크 맞물림 요소는 전달 요소(36a) 상에 고정된다. 링크 맞물림 요소와 홈 링크 요소(50a)의 협동으로 인해 클램핑 요소(20a, 22a), 특히 클램핑 요소들(20a, 22a)이 클램핑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 가능하거나 또는 해제 위치로부터 클램핑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클램핑 요소(20a, 22a), 특히 클램핑 요소들(20a, 22a)은 특히 전달 요소(36a)에 대한 클램핑 스프링 요소(88a)의 스프링력의 작용에 의해 해제 위치로부터 클램핑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클램핑 요소(20a, 22a), 특히 클램핑 요소들(20a, 22a)은 클램핑 스프링 요소(88a)의 스프링력의 작용에 의해, 특히 조작 유닛(24a)에 의한 조작자 힘의 작용의 제거 후에 자동으로 클램핑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퀵 클램핑 장치(10a)는, 적어도 조작 유닛(24a)으로부터 분리되어 특히 클램핑 요소(20a, 22a), 특히 클램핑 요소들(20a, 22a)의 해제 위치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클램핑 요소(20a, 22a), 특히 클램핑 요소들(20a, 22a)에 작용하는 경우, 클램핑 요소(20a, 22a), 특히 클램핑 요소들(20a, 22a)의 클램핑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의 클램핑 요소(20a, 22a), 특히 클램핑 요소들(20a, 22a)의 이동을 저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유닛(26a), 특히 셀프 록킹 유닛 및/또는 래치 유닛을 포함한다. 고정 유닛(26a)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결합 요소(28a, 30a, 32a, 34a)를 포함하고, 상기 요소는 적어도 클램핑 클램핑 요소(20a, 22a), 특히 클램핑 요소들(20a, 22a)의 클램핑 위치에서 요소(20a, 22a), 특히 클램핑 요소들(20a, 22a)의 해제 위치로의 이동에 대해 클램핑 요소(20a, 22a), 특히 클램핑 요소들(20a, 22a)을 고정하기 위해, 클램핑 요소(20a, 22a), 특히 클램핑 요소들(20a, 22a) 내로, 및/또는 클램핑 요소(20a, 22a), 특히 클램핑 요소들(20a, 22a)과 협동하는 클램핑 유닛(16a)의 전달 요소(36) 내로 맞물린다.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28a)는 링크 맞물림 요소로서 형성된다(도 2 및 도 3 참조).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28a)는 전달 요소(36a) 상에, 특히 전달 요소(36a)의 2 개의 포크 단부들 사이에 고정되는 볼트로서 형성된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고정 유닛(26a)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30a, 32a)를 포함하고, 상기 요소는 래치 요소로서 형성되고 특히 클램핑 요소(20a, 22a)의 클램핑 위치에서 클램핑 요소(20a, 22a) 내로 맞물리기 위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 유닛(26a)이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래치 요소로서 형성된 적어도 2 개의 다른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들(30a, 32a)을 포함하며, 각각 하나가 특히 클램핑 요소들(20a, 22a)의 클램핑 위치에서 클램핑 요소들(20a, 22a) 중 하나의 클램핑 요소 내로 맞물린다. 다른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들(30a, 32a)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래치 요소로서 형성된다. 다른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들(30a, 32a)은 회전 축(70a) 및/또는 클램핑 축(40a)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특히 병진 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회전 축(70a)과 클램핑 축(40a)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특히 동축으로 연장된다. 고정 유닛(26a)은 바람직하게는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추가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34a)를 포함하고, 상기 요소는 특히 클램핑 요소들(20a, 22a)의 클램핑 위치에서 및/또는 클램핑 스프링 요소(88a)의 스프링력에 의해 이동된 전달 요소(36a)의 끝 위치에서 전달 요소(36a) 내로 맞물리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 추가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34a)는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래치 요소로서 형성된다. 추가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34a)는 회전 축(70a) 및/또는 클램핑 축(40a)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특히 병진 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고정 유닛(26a)은 적어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28a, 30a, 32a), 특히 링크 맞물림 요소로서 형성된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28a) 및/또는 래치 요소들로서 형성된 다른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들(28a)을 포함하고, 상기 요소(들)은 적어도 클램핑 요소(20a, 22a), 특히 클램핑 요소들(20a, 22a)의 클램핑 위치에서 상기 클램핑 요소(20a, 22a), 특히 클램핑 요소들(20a, 22a)에 인접하므로, 해제 위치로의 클램핑 요소(20a, 22a), 특히 클램핑 요소들(20a, 22a)의 이동을 저지하는 메인 고정력(38a)(도 3 참고)이 클램핑 유닛(16a)의 클램핑 축(40a)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거나 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클램핑 요소(20a, 22a), 특히 클램핑 요소들(20a, 22a)에 가해질 수 있다. 메인 고정력(38a)은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축(40a)을 따라 힘 성분이 전달 요소(36a)에 작용하지 않거나 또는 적은 힘 성분 만이 작용하도록 작용한다. 이로써, 바람직하게는 링크 맞물림 요소가 홈 링크 요소(50a), 특히 홈 링크 안내 트랙의 해제 윤곽(48a) 내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고정 유닛(26a)은 고정 유닛(26a)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다른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들(30a, 30b) 중 적어도 하나에 클램핑 요소(20a, 22a), 특히 클램핑 요소들(20a, 22a)의 방향으로 스프링력을 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52a, 54a)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 유닛(26a)의 2 개의 스프링 요소들(52a, 54a) 중 하나가 다른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들(30a, 30b) 중 하나에 각각 할당 배치된다. 고정 유닛(26a)이 고정 유닛(26a)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추가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34a)에 전달 요소(36a)의 방향으로 스프링력을 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스프링 요소(자세히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클램핑 요소(20a, 22a), 특히 클램핑 요소들(20a, 22a)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 리세스(56a, 58a)를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 내로 다른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30a, 32a)가 클램핑 요소(20a, 22a), 특히 클램핑 요소들(20a, 22a)의 클램핑 위치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물린다.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30a, 32a, 34a), 특히 다른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들(30a, 32a) 및 추가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34a)는 조작 유닛(24a)에 의해 스프링 요소(52a, 54a)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이동될 수 있다. 조작 유닛(24a)은 클램핑 유닛(16a)의 방향으로 조작 요소(76a) 및/또는 작동 요소(82a)의 이동에 따라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30a, 32a, 34a), 특히 다른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들(30a, 32a) 및 추가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34a)를 맞물림 위치로부터 이동시키는 힘 전환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24a)은 대안으로서 조작 요소(76a) 및/또는 작동 요소(82a)의 이동을 모니터링하는 전자 모니터링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조작 요소(76a) 및/또는 작동 요소(82a)의 이동의 검출시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30a, 32a, 34a), 특히 다른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들(30a, 32a) 및 추가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34a)가 전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맞물림 위치로부터 이동될 수 있다. 당업자에게 의미 있는 것으로 보이는,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30a, 32a, 34a), 특히 다른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들(30a, 32a) 및 추가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34a)를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 유닛(24a)의 다른 형태들도 고려될 수 있다.
고정 유닛(26a)은 클램핑 유닛(16a)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고정 유닛(26a)은 클램핑 요소(20a, 22a)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셀프 록킹 윤곽(42a)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 유닛(26a)이 적어도 2 개의 셀프 록킹 윤곽들(42a)을 포함하고, 클램핑 요소들(20a, 22a) 각각 하나 상에 적어도 2 개의 셀프 록킹 윤곽들(42a) 중 하나가 배치된다(도 3에는 2 개의 셀프 록킹 윤곽들(42a) 중 하나만 도시됨). 셀프 록킹 윤곽(42a)은 홈 링크 요소(50a)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특히, 셀프 록킹 윤곽(42a)은 홈 링크 요소(50a)를 한정하는 홈 링크 요소(50a)의 에지를 형성한다. 홈 링크 요소(50a)는 바람직하게는 홈 링크 안내 트랙으로서 형성되고, 이는 링크 맞물림 요소로서 형성된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28a)와의 협동에 의해 클램핑 요소(20a, 22a), 특히 클램핑 요소들(20a, 22a)을 클램핑 위치 및/또는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셀프 록킹 윤곽(42a)은 클램핑 유닛(16a)의 홈 링크 요소(50a)의 클램핑 윤곽(46a)과 해제 윤곽(48a) 사이의 전이 영역에 배치된다. 클램핑 윤곽(46a)은 링크 맞물림 요소로서 형성된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28a)와의 협동에 의해 클램핑 요소(20a, 22a), 특히 클램핑 요소들(20a, 22a)을 클램핑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해제 윤곽(48a)은 링크 맞물림 요소로서 형성된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28a)와의 협동에 의해 클램핑 요소(20a, 22a), 특히 클램핑 요소들(20a, 22a)을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클램핑 요소(20a, 22a), 특히 클램핑 요소들(20a, 22a)의 클램핑 위치에서, 셀프 록킹 윤곽(42a)은 조작 유닛(24a)으로부터 분리되어 클램핑 요소(20a, 22a), 특히 클램핑 요소들(20a, 22a)의 해제 위치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클램핑 요소(20a, 22a), 특히 클램핑 요소들(20a, 22a)에 작용하는 경우, 적어도 셀프 록킹 윤곽(42a)에 의해 클램핑 유닛(16a)의 클램핑 축(40a)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메인 고정력(38a)이 클램핑 요소(20a, 22a), 특히 클램핑 요소들(20a, 22a)에 가해질 수 있도록 정렬된다. 메인 고정력(38a)은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축(40a)을 따라 힘 성분이 전달 요소(36a)에 작용하지 않거나 또는 적은 힘 성분만이 작용하는 방식으로 작용한다. 이로써, 바람직하게는 링크 맞물림 요소가 홈 링크 요소(50a), 특히 홈 링크 안내 트랙의 해제 윤곽(48a) 내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조작 유닛(24a)으로부터 분리되어 클램핑 요소(20a, 22a), 특히 클램핑 요소들(20a, 22a)의 해제 위치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클램핑 요소(20a, 22a), 특히 클램핑 요소들(20a, 22a)에 작용하는 경우, 링크 맞물림 요소로서 형성된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28a)와 셀프 록킹 윤곽(42a)의 협동에 의해, 메인 고정력이 클램핑 요소(20a, 22a), 특히 클램핑 요소들(20a, 22a)에 가해질 수 있다. 셀프 록킹 윤곽(42a)과 링크 맞물림 요소로서 형성된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28a)의 협동에 의해, 조작 유닛(24a)으로부터 분리되어 클램핑 요소(20a, 22a), 특히 클램핑 요소들(20a, 22a)의 해제 위치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클램핑 요소(20a, 22a), 특히 클램핑 요소들(20a, 22a)에 작용하는 경우, 해제 위치로의 클램핑 요소(20a, 22a), 특히 클램핑 요소들(20a, 22a)의 이동 가능성이 최대한으로 블록킹될 수 있다. 셀프 록킹 윤곽(42a)은 적어도 클램핑 요소(20a, 22a), 특히 클램핑 요소들(20a, 22a)의 클램핑 위치에서 클램핑 유닛(16a)의 클램핑 축(40a)과 40°미만의 각을 형성한다. 클램핑 요소(20a, 22a), 특히 클램핑 요소들(20a, 22a)의 클램핑 위치에서 셀프 록킹 윤곽(42a), 특히 셀프 록킹 윤곽(42a)의 접촉 면(44a)은 조작 유닛(24a)의 방향 또는 클램핑 요소(20a, 22a), 특히 클램핑 요소들(20a, 22a)의 방향으로, 특히 클램핑 유닛(16a)의 클램핑 축(40a)과 40°미만의 각을 형성하도록 정렬된다. 셀프 록킹 윤곽(42a)은 클램핑 요소(20a, 22a), 특히 클램핑 요소들(20a, 22a)의 클램핑 위치에서 클램핑 유닛(16a)의 클램핑 축(40a)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접촉 면(44a)을 적어도 포함한다. 셀프 록킹 윤곽(42a)의 접촉 면(44a)과 링크 맞물림 요소로서 형성된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28a)의 협동에 의해, 조작 유닛(24a)으로부터 분리되어 클램핑 요소(20a, 22a), 특히 클램핑 요소들(20a, 22a)의 해제 위치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클램핑 요소(20a, 22a), 특히 클램핑 요소들(20a, 22a)에 작용하는 경우, 메인 고정력이 클램핑 요소(20a, 22a), 특히 클램핑 요소들(20a, 22a)에 가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유닛(16a) 및/또는 고정 유닛(26a)의 셀프 록킹 기능은 조작 유닛(24a)으로부터 분리되어 클램핑 요소(20a, 22a), 특히 클램핑 요소들(20a, 22a)의 해제 위치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클램핑 요소(20a, 22a), 특히 클램핑 요소들(20a, 22a)에 작용하는 경우, 클램핑 요소(20a, 22a), 특히 클램핑 요소들(20a, 22a)을 클램핑 요소(20a, 22a), 특히 클램핑 요소들(20a, 22a)의 클램핑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의 클램핑 요소(20a, 22a), 특히 클램핑 요소들(20a, 22a)의 이동에 대해 고정하도록 구현된다.
고정 유닛(26a)은 고정 유닛(26a)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 상태를 조작자에게 출력하기 위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 요소(60a)를 포함한다. 출력 요소 (60a)는 기계 요소, 전자 요소 또는 전기 요소로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출력 요소(60a)는 고정 유닛(26a)의 기능 상태를 조작자에게 촉각적, 음향적 및/또는 시각적으로 출력하기 위해 제공된다. 고정 유닛(26a)의 기능 상태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클램핑 요소(20a, 22a)의 고정, 클램핑 요소(20a, 22a)가 고정되지 않은 고정 유닛(26a)의 해제 상태, 고정 유닛(26a)의 결함 또는 당업자에게 의미 있는 것으로 보이는 고정 유닛(26a)의 다른 상태와 같은 고정 유닛(26a)의 상태를 나타낸다. 출력 요소(60a)는 디스플레이, 예를 들어 LED와 같은 단일 광원, 기계적으로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요소, 스피커 등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아래의 설명들 및 도면들은 실질적으로 실시예들 간의 차이점으로 한정되고, 도시된 부재들, 특히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진 부재들에 대해 기본적으로 다른 실시예들, 특히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들의 도면들 및/또는 설명들이 참조될 수 있다. 실시예들의 구분을 위해 알파펫 a는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의 도면 부호들에 뒤따른다. 도 4의 실시예들에는 알파벳 a가 알파벳 b로 대체된다.
도 4에는 대안적 휴대용 전동 공구(14b) 및 대안적 퀵 클램핑 장치(10b)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도 4에 도시된 휴대용 전동 공구(14b)는 도 1 내지 도 3의 설명에서 기술된 휴대용 전동 공구(14a)와 적어도 실질적으로 유사한 형태를 갖는다. 회전 구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출력 샤프트(12b)를 구비한 휴대용 전동 공구(14b)용 퀵 클램핑 장치(10b)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유닛(16b)을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 유닛은 인서트 공구 유닛(도시되지 않음)을 출력 샤프트(12b) 상에 공구 없이 고정하기 위해, 클램핑 요소(20b, 22b)의 클램핑 위치에서 인서트 공구 유닛에 클램핑력을 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클램핑 요소(20b, 22b), 특히 적어도 2 개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클램핑 요소들(20b, 22b)을 포함한다.
또한, 퀵 클램핑 장치(10b)는 클램핑 요소(20b, 22b)를 클램핑 요소(20b, 22b)의 클램핑 위치 및/또는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작 유닛(24b)을 포함하고, 상기 해제 위치에서 인서트 공구 유닛이 클래핑 유닛(16b) 및/또는 출력 샤프트(12b)로부터 탈착 가능하다. 조작 유닛(24b)은 클램핑 요소(20b, 22b)를 클램핑 위치 및/또는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조작 유닛(24b)의 작동 요소(82b)에 작용하도록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조작 요소(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작동 요소(82b)는 출력 샤프트(12b)와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고 출력 샤프트(12b) 내에 병진 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러나 작동 요소(82b) 및/또는 조작 유닛(24b)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작동 요소(82a) 및/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조작 유닛(24a)과 유사하게 형성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또한, 퀵 클램핑 장치(10b)는, 적어도 조작 유닛(24b)으로부터 분리되어 클램핑 요소(20b, 22b)의 해제 위치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클램핑 유닛(20b, 22b)에 작용하는 경우, 클램핑 요소(20b, 22b)의 클램핑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의 클램핑 요소(20b, 22b)의 이동을 저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유닛(26b), 특히 셀프 록킹 유닛 및/또는 래치 유닛을 포함한다. 고정 유닛(26b)은 특히 셀프 록킹 윤곽(도시되지 않음)에 추가해서, 적어도 하나의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28b, 30b)를 포함하고, 상기 요소는 원심력에 의해, 특히 출력 샤프트(12b)의 회전 축(70b)을 중심으로 하는 고정 유닛(26b) 및/또는 출력 샤프트(12b)의 회전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원심력에 의해,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28b, 30b)의 고정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고정 위치에서 클램핑 요소(20b, 22b)가 클램핑 위치로부터 클램핑 요소(20b, 22b)의 해제 위치로의 이동에 대해 최대한으로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 유닛(26b)이 원심력에 의해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들(28b, 30b)의 고정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적어도 2 개의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들(28b, 30b)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위치에서 클램핑 요소(20b, 22b)가 클램핑 위치로부터 클램핑 요소(20b, 22b)의 해제 위치로의 이동에 대해 최대한으로 고정된다.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들(28b, 30b)은 출력 샤프트(12b)의 회전 축(70b)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특히 병진 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고정 유닛(26b)은 고정 유닛(26b)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들(30b, 32b) 중 적어도 하나에 클램핑 요소(20b, 22b)의 방향으로 스프링력을 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52b)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 유닛(26b)이 적어도 2 개의 스프링 요소들(52b, 54b)을 포함하며, 적어도 2 개의 스프링 요소들(52b, 54b) 각각은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들(30b, 32b)들 각각에 스프링력을 가한다.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들(30b, 32b)은 원심력에 의해 스프링 요소들(52b, 54b)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고정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퀵 클램핑 장치(10b)의 다른 특징들과 관련해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퀵 클램핑 장치(10a)의 설명이 참조될 수 있다.
12a; 12b: 출력 샤프트
16a; 16b: 클램핑 유닛
18a: 인서트 공구 유닛
20a, 22a; 20b, 22b: 클램핑 요소
24a; 24b: 조작 유닛
26a; 26b: 고정 유닛
28a, 28b, 30a, 30b, 32a, 34a: 형상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
36a; 36b: 전달 요소
38a; 38b: 메인 고정력
40a; 40b: 클램핑 축
42a: 셀프 록킹 윤곽
44a: 접촉 면
46a: 클램핑 윤곽
48a: 해제 윤곽
50a: 홈 링크 요소
52a, 52b, 54a, 54b: 스프링 요소
56a, 58a: 고정 리세스
60a; 60b: 출력 요소

Claims (14)

  1. 회전 구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출력 샤프트(12a; 12b)를 구비한 휴대용 전동 공구용 퀵 클램핑 장치로서, 인서트 공구 유닛(18a)을 상기 출력 샤프트(12a; 12b) 상에 공구 없이 고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클램핑 요소(20a, 22a; 20b, 22b)의 클램핑 위치에서 상기 인서트 공구 유닛(18a)에 클램핑력을 가하기 위한 상기 클램핑 요소(20a, 22a; 20b, 22b)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유닛(16a; 16b); 및 상기 클램핑 요소(20a, 22a; 20b, 22b)를 상기 클램핑 요소(20a, 22a; 20b, 22b)의 클램핑 위치 또는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작 유닛(24a; 24b)으로서, 상기 해제 위치에서 상기 인서트 공구 유닛(18a)이 상기 클램핑 유닛(16a; 16b), 또는 상기 출력 샤프트(12a; 12b), 또는 상기 클램핑 유닛(16a; 16b) 및 상기 출력 샤프트(12a; 12b) 모두로부터 탈착 가능한, 상기 조작 유닛을 포함하는 상기 퀵 클램핑 장치에 있어서,
    상기 퀵 클램핑 장치는, 적어도 상기 조작 유닛(24a; 24b)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클램핑 요소(20a, 22a; 20b, 22b)의 해제 위치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상기 클램핑 요소(20a, 22a; 20b, 22b)에 작용하는 경우, 상기 클램핑 요소(20a, 22a; 20b, 22b)의 클램핑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의 상기 클램핑 요소(20a, 22a; 20b, 22b)의 이동을 저지하기 위해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유닛(26a; 26b)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유닛(26a)은 상기 클램핑 유닛(16a)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 유닛(26a)은 상기 클램핑 요소(20a, 22a)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셀프 록킹 윤곽(42a)을 포함하고,
    상기 셀프 록킹 윤곽(42a)은 상기 클램핑 요소(20a, 22a)의 클램핑 위치에서, 상기 조작 유닛(24a)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클램핑 요소(20a, 22a)의 해제 위치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상기 클램핑 요소(20a, 22a)에 작용하는 경우, 상기 클램핑 유닛(16a)의 클램핑 축(40a)에 대해 적어도 수직으로 연장하는 메인 고정력(38a)이 적어도 상기 셀프 록킹 윤곽(42a)에 의해 상기 클램핑 요소(20a, 22a)에 가해질 수 있도록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클램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유닛(26a; 26b)은, 적어도 상기 클램핑 요소(20a, 22a; 20b, 22b)의 클램핑 위치에서 상기 클램핑 요소(20a, 22a; 20b, 22b)의 해제 위치로의 이동에 대해 상기 클램핑 요소(20a, 22a; 20b, 22b)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클램핑 요소(20a, 22a; 20b, 22b) 내로, 또는 상기 클램핑 요소(20a, 22a; 20b, 22b)와 협동하는 상기 클램핑 유닛(16a; 16b)의 전달 요소(36a; 36b) 내로, 또는 상기 클램핑 요소 및 상기 클램핑 유닛의 전달 요소 모두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형상 끼워맞춤 요소, 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 또는 형상 및 압력 끼워맞춤 요소(28a, 30a, 32a, 34a; 28b, 3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클램핑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유닛(26a; 26b)은, 적어도 상기 클램핑 요소(20a, 22a; 20b, 22b)의 클램핑 위치에서 상기 클램핑 요소(20a, 22a; 20b, 22b)에 인접함으로써 상기 해제 위치로의 상기 클램핑 요소(20a, 22a; 20b, 22b)의 이동을 저지하는 메인 고정력(38a; 38b)이 상기 클램핑 유닛(16a; 16b)의 클램핑 축(40a; 40b)에 대해 적어도 평행하거나 또는 적어도 수직으로 연장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클램핑 요소(20a, 22a; 20b, 22b)에 가해질 수 있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형상 끼워맞춤 요소, 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 또는 형상 및 압력 끼워맞춤 요소(28a, 30a, 32a; 28b, 3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클램핑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 록킹 윤곽(42a)은 적어도 상기 클램핑 요소(20a, 22a)의 클램핑 위치에서 상기 클램핑 유닛(16a)의 클램핑 축(40a)과 40°미만의 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클램핑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 록킹 윤곽(42a)은 상기 클램핑 요소(20a, 22a)의 상기 클램핑 위치에서 상기 클램핑 유닛(16a)의 클램핑 축(40a)에 대해 적어도 평행하게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면(44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클램핑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 록킹 윤곽(42a)은 상기 클램핑 유닛(16a)의 홈 링크 요소(50a)의 클램핑 윤곽(46a)과 해제 윤곽(48a) 간의 전이 영역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클램핑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유닛(26a; 26b)은 상기 고정 유닛(26a; 26b)의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형상 끼워맞춤 요소, 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 또는 형상 및 압력 끼워맞춤 요소(30a, 32a, 34a; 30b, 32b)에 상기 클램핑 요소(20a, 22a; 20b, 22b)의 방향으로의 스프링력을 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52a, 54a; 52b, 52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클램핑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끼워맞춤 요소, 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 또는 형상 및 압력 끼워맞춤 요소(30a, 32a, 34a)는 상기 조작 유닛(24a)에 의해 상기 스프링 요소(52a, 54a)의 스프링력에 대항해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클램핑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요소(20a, 22a)는 상기 형상 끼워맞춤 요소, 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 또는 형상 및 압력 끼워맞춤 요소(30a, 32a)가 상기 클램핑 요소(20a, 22a)의 클램핑 위치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리세스(56a, 58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클램핑 장치.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유닛(26b)은 적어도 하나의 형상 끼워맞춤 요소, 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 또는 형상 및 압력 끼워맞춤 요소(30b, 32b)를 포함하고, 상기 형상 끼워맞춤 요소, 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 또는 형상 및 압력 끼워맞춤 요소(30b, 32b)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클램핑 요소(20b, 22b)가 클램핑 위치로부터 상기 클램핑 요소(20b, 22b)의 해제 위치로의 이동에 대해 최대한으로 고정되는, 상기 형상 끼워맞춤 요소, 또는 압력 끼워맞춤 요소, 또는 형상 및 압력 끼워맞춤 요소(30b, 32b)의 고정 위치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클램핑 장치.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유닛(26a; 26b)은 조작자에게 상기 고정 유닛(26a; 26b)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 상태를 출력하기 위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 요소(60a; 6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클램핑 장치.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퀵 클램핑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동 공구.
KR1020197011038A 2016-10-18 2017-10-04 회전 구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출력 샤프트를 구비한 휴대용 전동 공구, 특히 앵글 그라인더용 퀵 클램핑 장치 KR1024460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220367.3A DE102016220367A1 (de) 2016-10-18 2016-10-18 Schnellspannvorrichtung für eine zumindest eine rotierend antreibbare Abtriebswelle aufweisende tragbare Werkzeugmaschine, insbesondere Winkelschleifmaschine
DE102016220367.3 2016-10-18
PCT/EP2017/075114 WO2018072997A1 (de) 2016-10-18 2017-10-04 Schnellspannvorrichtung für eine zumindest eine rotierend antreibbare abtriebswelle aufweisende tragbare werkzeugmaschine, insbesondere winkelschleifmas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711A KR20190071711A (ko) 2019-06-24
KR102446010B1 true KR102446010B1 (ko) 2022-09-22

Family

ID=60009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1038A KR102446010B1 (ko) 2016-10-18 2017-10-04 회전 구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출력 샤프트를 구비한 휴대용 전동 공구, 특히 앵글 그라인더용 퀵 클램핑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10276146A1 (ko)
EP (1) EP3529003B1 (ko)
JP (1) JP6802919B2 (ko)
KR (1) KR102446010B1 (ko)
CN (1) CN109862998B (ko)
BR (1) BR112019007106B1 (ko)
DE (1) DE102016220367A1 (ko)
RU (1) RU2752491C2 (ko)
WO (1) WO20180729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14118A1 (de) * 2017-08-11 2019-02-14 Robert Bosch Gmbh Schnellspannvorrichtung für eine, insbesondere zumindest eine rotierend antreibbare Abtriebswelle aufweisende, tragbare Werkzeugmaschine, insbesondere Winkelschleifmaschine
KR20220095281A (ko) 2020-12-29 2022-07-07 계양전기 주식회사 다기능 그라인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83191A (en) 1993-10-29 1995-05-03 Bosch Gmbh Robert Reducing clamp pressure and unintentional detachment of motor-driven hand machine disc-shaped tool on braking
JP2008131588A (ja) 2006-11-24 2008-06-05 Ntt Docomo Inc 送信機
JP2013158879A (ja) * 2012-02-03 2013-08-19 Makita Corp 作業工具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00751A (en) * 1956-04-04 1957-07-30 Black & Decker Mfg Co Feather edger
JPS60143626U (ja) * 1984-03-02 1985-09-24 遠州製作株式会社 ツ−ルクランプ装置
DE3824048A1 (de) * 1988-07-15 1990-05-03 Fraunhofer Ges Forschun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arbeiten von werkstuecken mit laserstrahlung
DE10017458A1 (de) 2000-04-07 2001-10-18 Bosch Gmbh Robert Schleifmaschinenwerkzeugaufnahme
ATE389510T1 (de) * 2005-11-28 2008-04-15 Metabowerke Gmbh Werkzeuggerät mit schnellspanneinrichtung
DE102011003098A1 (de) * 2011-01-25 2012-07-26 Robert Bosch Gmbh Werkzeugspannvorrichtung
DE102012004458A1 (de) * 2012-03-08 2013-09-12 Robert Bosch Gmbh Werkzeugaufnahme
NO2884309T3 (ko) * 2013-08-01 2018-09-08
JP6287205B2 (ja) * 2013-12-27 2018-03-07 日立工機株式会社 動力作業機
CN105817979A (zh) * 2016-05-27 2016-08-03 浙江海王电器有限公司 一种直驱式角向磨光机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83191A (en) 1993-10-29 1995-05-03 Bosch Gmbh Robert Reducing clamp pressure and unintentional detachment of motor-driven hand machine disc-shaped tool on braking
JP2008131588A (ja) 2006-11-24 2008-06-05 Ntt Docomo Inc 送信機
JP2013158879A (ja) * 2012-02-03 2013-08-19 Makita Corp 作業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9007106B1 (pt) 2023-11-28
CN109862998A (zh) 2019-06-07
JP6802919B2 (ja) 2020-12-23
RU2019114065A3 (ko) 2020-12-04
RU2019114065A (ru) 2020-11-20
BR112019007106A2 (pt) 2019-06-25
RU2752491C2 (ru) 2021-07-28
EP3529003B1 (de) 2023-07-26
CN109862998B (zh) 2022-01-11
KR20190071711A (ko) 2019-06-24
JP2019533581A (ja) 2019-11-21
EP3529003A1 (de) 2019-08-28
WO2018072997A1 (de) 2018-04-26
DE102016220367A1 (de) 2018-04-19
US20210276146A1 (en) 2021-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1897B1 (ko) 적어도 하나의 회전 구동 가능한 출력 샤프트를 구비한 휴대용 전동 공구, 특히 앵글 그라인더용 퀵 클램핑 장치
KR102446479B1 (ko) 적어도 하나의 회전 구동 가능한 출력 샤프트를 구비한 휴대용 전동 공구, 특히 앵글 그라인더용 퀵 클램핑 장치
EP2752278B1 (en) Power tool having improved tool accessory securing mechanism
KR102446010B1 (ko) 회전 구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출력 샤프트를 구비한 휴대용 전동 공구, 특히 앵글 그라인더용 퀵 클램핑 장치
KR102436086B1 (ko) 휴대용 공작 기계용, 특히 앵글 그라인딩 머신용 신속 인장 장치
US9346183B2 (en) Tool clamping device
US9387570B2 (en) Power tool braking device
US11717935B2 (en) Quick-clamping device for a portable machine tool
CN108367409B (zh) 具有至少一个位于机器侧的接触元件的手持式工具机
US11192271B2 (en) Chainsaw system
US20200038978A1 (en) Power Tool System
US20150087211A1 (en) Machine Tool Braking Device
US9707677B2 (en) Closure device
US10661364B2 (en) Tool clamp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