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5281A - 다기능 그라인더 - Google Patents

다기능 그라인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5281A
KR20220095281A KR1020200185560A KR20200185560A KR20220095281A KR 20220095281 A KR20220095281 A KR 20220095281A KR 1020200185560 A KR1020200185560 A KR 1020200185560A KR 20200185560 A KR20200185560 A KR 20200185560A KR 20220095281 A KR20220095281 A KR 20220095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grinder
head
gea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5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철
Original Assignee
계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양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계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5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5281A/ko
Publication of KR20220095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52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05Auxiliary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with rotating grinding tool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023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grinding machines with a plurality of working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마공구를 회전시켜 피연마체를 연마 가공하는 그라인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공 작업의 형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마공구를 교체하여 필요한 연마 작업으로 연마가공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그라인더는 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1축과, 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2축과, 제1축에 장착되는 연삭날과, 제2축에 장착되는 연마공구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그라인더{multifunction grinder}
본 발명은 연마공구를 회전시켜 피연마체를 연마 가공하는 그라인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공 작업의 형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마공구를 교체하여 필요한 연마 작업으로 연마가공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연마공구를 회전시켜 피연마체를 연마 가공하는 그라인더는 크게 앵글 그라인더와 핸드 그라인더로 구분된다.
앵글 그라인더는 고속 회전하는 연삭날을 사용하여 가공 대상물을 가공하는 전동 공구로서, 앵글 그라인더에 결합되는 연삭날에 따라 가공 대상물의 표면을 가공하거나, 석재나 목재, 벽돌, 콘크리트, 아스팔트 등에 대한 절삭 가공 등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서,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앵글 그라인더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앵글 그라인더의 헤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핸드 그라인더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글 그라인더(10)는 전원 공급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 모터를 내장한 손잡이(11)과, 손잡이(11)의 선단에 직각 방향으로 설치되어 가공 대상물을 연삭하는 연삭날(17)이 장착되는 헤드(15)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 모터와 헤드(15)의 연삭날(17)은 스핀들(회전축)과 베벨기어(13)로 연결되어 구동 모터의 구동력이 스핀들과 베벨기어(13)를 통해 헤드의 연삭날(17) 측으로 전달되어 가동 대상물을 가공한다.
이와 같은 앵글 그라인더(10)는 연마범위가 넓은 작업 시에 이용되며 연마량이 크다는 특징이 있다. 앵글 그라인더는 넓은 연삭 작업 범위에 사용됨에 따라 그 구조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아래 보기 형태의 연마작업에 이용되는 구조로 설계된다.
즉, 앵글 그라인더(10)의 손잡이(11) 아래에 연삭날(17)이 위치함에 따라 손잡이(11)를 파지한 작업자가 피연마체의 상부에서 아래에 위치한 연삭날(17)을 보면서 연삭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연삭날(17)이 연마하는 작업부위를 볼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앵글 그라인더는 연마량이 크고 작업부위를 볼 수 없다는 단점 때문에, 정밀 작업에는 앵글 그라인더 사용이 적절치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 그라인더(20)는 연마공구(21)가 모터의 회전축 스핀들에 부착되어 스핀들과 함께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공작물의 가공면을 연마하는 전동공구로서, 앵글 그라인더(10)에 비해 연마량이 작고 정밀한 연마작업에 이용된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핸드 그라인더(20)의 연마공구(21)는 원기둥 구조 또는 원추형 구조의 숫돌로서 정밀한 연마작업 시에 이용된다.
핸드 그라인더(20)는 피연마체를 정확하게 식별하고 연마하여야 하는 정밀 연마작업에 이용됨에 따라, 통상적으로 수평 보기 작업형태로 작업이 진행된다. 따라서, 핸드 그라인더(20)는 손잡이에서 연마공구(21)까지 수평을 이루며, 작업 시에도 작업자가 피연마체의 연마부위를 보면서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종래의 그라인더는 앵글 그라인더와 핸드 그라인더로 구분되어 작업형태에 따라 두 종류의 그라인더를 구분하여 사용하며 작업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71711호(공개일 2019.06.24.)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9887호(공고일 2002.03.27.)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093521호(공고일 1996.01.15.)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앵글 그라인더의 구조와 핸드 그라인더 구조를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한 다기능 그라인더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그라인더는 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1축과, 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2축과, 제1축에 장착되는 연삭날과, 제2축에 장착되는 연마공구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축과 제2축은 하나의 모터에서 발생하는 동력에 의해 회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에 연결된 구동축에 장착된 구동기어와, 제2축의 단부에 장착된 피동기어와, 구동기어와 피동기어에 맞물려 구동기어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구동기어의 동력을 피동기어에 전달하고 그 중심에 제1축이 고정된 동력전달기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축과 제2축은 일직선 상에 위치하고, 구동축과 제1축은 직각을 이룬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축에는 척이 장착되고, 척에 연마공구가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축은, 동력전달기어의 중심에 고정된 상부 축과, 헤드의 저면에 탈장착되는 패킹 글랜드를 관통한 하부 축을 포함하며, 패킹 글랜드가 헤드의 저면에 장착되면 상부 축의 하단에 하부 축의 상단이 정합하고, 하부 축의 하단에 연삭날이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축의 하단면에는 홈이 형성되고 홈의 내주면에 키홈이 형성되며, 하부 축의 상단면에 형성된 돌기가 홈에 정합하면 돌기의 측부로 형성된 키가 키홈에 정합하여 키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패킹 글랜드는 헤더의 저면에 탈장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패킹 글랜드는 헤드의 저면에 나사 체결되어 장착되되, 연삭날의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나사 체결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그라인더는 아래 보기 연마작업 형태 또는 수평 보기 작업형태에 따라 앵글 그라인더의 구조 또는 핸드 그라인더의 구조로 변형이 가능하여 어느 작업형태에도 무난하게 사용 가능하고, 넓은 작업 범위 또는 정밀 작업 시에 적합하게 구조를 변형하여 사용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앵글 그라인더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앵글 그라인더의 헤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핸드 그라인더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그라인더의 헤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그라인더를 앵글 그라인더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그라인더를 핸드 그라인더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수직 스핀들의 정합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그라인더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그라인더의 헤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그라인더를 앵글 그라인더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그라인더를 핸드 그라인더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수직 스핀들의 정합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라인더(100)의 헤드(103)에는 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110)과, 구동축(110)에 장착된 구동기어(110G)와 맞물려 회전하는 동력전달기어(120G)와, 동력전달기어(120G)의 중심에 고정된 수직축(120)과, 동력전달기어(120G)와 맞물려 회전하는 피동기어(130G)에 장착되는 수평축(130)과, 수평축(130)의 단부에 장착된 척(131)을 포함하며, 수직축(120)에 연삭날(17)이 장착되고, 수평축(130)에 장착된 척(131)에 연마공구(21)가 장착된다.
여기에서 구동축(110)과 수평축(130)은 일직선 상에 위치하며 수직축(120)은 구동축(110)과 수직을 이룬다.
따라서 수직축(120)에 연삭날(17)을 장착하여 연삭날(17)로 아래보기 형태로 연마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수평축(130)의 척(131)에 연마공구(21)를 장착하여 수평 보기 형태로 연마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그라인더(100)는 아래보기 형태인 앵글 그라인더 및 수평 보기 형태인 핸드 그라인더의 구조를 모두 갖출 수 있어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는 종류 및 형태에 따라 원하는 그라인더의 구조를 갖춰 작업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다기능 그라인더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라인더(100)의 손잡이(101) 내부에는 모터가 장착되며, 손잡이(101)의 선단에는 헤드(103)가 장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103)에는 모터와 연결되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110)이 연장된다.
그리고 구동축(110)의 선단에는 구동기어(110G)가 장착된다. 구동기어(110G)는 베벨기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헤드(103)의 내부에는 동력전달기어(120G)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동력전달기어(120G)는 구동기어(110G)와 맞물려 구동기어(110G)의 회전에 의해 연동 회전한다.
헤드(103)의 내부에 장착된 동력전달기어(120G) 또한 구동기어(110G)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는 베벨기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동력전달기어(120G)의 중심에는 수직축(120)이 고정된다. 따라서 구동축(110)이 회전하면 구동기어(110G)와 동력전달기어(120G)의 연동에 의해 수직축(120)이 회전하게 된다.
헤드(103)의 내부에는 니들 베어링(125)이 장착되며, 니들 베어링(125)에 수직축(120)의 상단이 삽입되어 장착된다. 따라서 수직축(120)은 니들 베어링(125)에 지지된 상태로 동력전달기어(120G)의 회전에 따라 회전 가능하다.
수직축(120)은 니들 베어링(125)과 동력전달기어(120G)에 고정된 상부 수직축(120)과, 상부 수직축(120)의 하단에 탈장착 가능하며 패킹 글랜드(packing gland : 14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하부 수직축(120)을 포함한다.
상부 수직축(12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니들 베어링(125)과 동력전달기어(120G)에 고정됨에 따라 위치에 변동이 없으나, 하부 수직축(120)은 패킹 글랜드(140)에 장착된 상태로 헤드(103)에 패킹 글랜드(140)가 장착되면 하부 수직축(120)은 상부 수직축(120)의 하단에 정합되어 상부 수직축(120)과 함께 회전하지만, 패킹 글랜드(140)가 헤드(103)에서 탈락되면 하부 수직축(120)은 상부 수직축(120)에서 분리되어 헤드(103)에서 이탈하게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달기어(120G)의 저면으로 연장된 상부 수직축(120)의 단면에는 하부 수직축(120)의 돌기(122)가 삽입될 수 있는 돌기(122)가 형성되며, 홈(121)의 내주면에는 키홈(123H)이 형성된다. 따라서 하부 수직축(120)의 돌기(122)가 상부 수직축(120)의 하단면에 형성된 홈(121)에 정합하기 위해서는 하부 수직축(120)의 돌기(122) 측부로 형성된 키(123K)가 상부 수직축(120)의 홈(121)에 형성된 키홈(123H)과 정합하여야 돌기(122)가 홈(121)에 삽입되어 정합되며, 키결합에 따라 상부 수직축(120)의 회전이 하부 수직축(120)으로 전달된다.
하부 수직축(120)은 패킹 글랜드(140)를 관통하며, 패킹 글랜드(140)에 내장된 베어링(141)에 하부 수직축(120)이 삽입되어 상부 수직축(120)의 회전과 함께 연동 회전 가능하다.
패킹 글랜드(140)는 헤드(103)의 저면을 폐쇄하는 부재로서, 패킹 글랜드(140)가 헤드(103)의 저면에 폐쇄하기 위해서는 하부 수직축(120)이 상부 수직축(120)과 정합하여야 한다.
패킹 글랜드(140)가 헤드(103)에 정합하는 구조는 차후에 설명하고, 아래에서는 동력전달기어(120G)에 맞물려 회전하는 피동기어(130G)에 대해 설명한다.
동력전달기어(120G)에 맞물려 위치하는 피동기어(130G)는 수직축(120)을 중심으로 구동기어(110G)와 반대편에 위치한다. 즉 피동기어(130G)는 헤드(103)의 선단을 향해 위치하며, 피동기어(130G)에 장착된 수평축(130)은 헤드(103)의 내부에서 선단 쪽으로 연장되며, 피동기어(130G)에 결합됨에 따라 구동기어(110G)의 회전과 함께 피동기어(130G)가 회전함에 따라 수평축(130) 또한 연동 회전하게 된다.
수평축(130)의 선단에는 척(131)이 장착된다. 그리고 척(131)에는 연마공구(21)가 탈장착 가능하며, 척(131)은 헤드(103)의 선단에 위치한다.
따라서 연마공구(21)의 축이 척(131)에 끼워져 장착되면 연마공구(21)는 피동기어(130G)의 회전, 즉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된다.
한편, 패킹 글랜드(140)는 헤드(103)의 저면에 탈장착 가능하다. 이를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패킹 글랜드(140)를 헤드(103)의 저면에 탈장착할 수 있겠으나, 하부 수직축(120L)의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나사 체결하는 방식으로 패킹 글랜드(140)를 헤드(103)의 저면에 나사 체결하여 장착하거나 체결 해제하여 탈착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하부 수직축(120L)의 돌기(122)와 키(123K)가 상부 수직축(120H)의 홈(121)과 키홈(123H)에 일부 삽입된 상태에서 패킹 글랜드(140)를 회전시켜 체결하면, 하부 수직축(120L)이 상향으로 이동하면서 돌기(122)와 홈(121) 그리고 키(123K)와 키홈(123H)이 정합된다.
이 외에도 패킹 글랜드(140)를 헤더의 저면 정위치에 위치하고 클램프 등으로 패킹 글랜드를 잠금하여 장착하고 클램프의 잠금을 해제하여 탈착하는 방식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100 : 그라인더
101 : 손잡이
103 : 헤드
110 : 구동축
110G : 구동기어
120, 120H, 120L : 수직축
120G : 동력전달기어
123H : 키홈
123K : 키
125 : 니들 베어링
130 : 수평축
130G : 피동기어
131 : 척
140 : 패킹 글랜드
141 : 베어링

Claims (9)

  1. 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1축과,
    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2축과,
    제1축에 장착되는 연삭날(17)과,
    제2축에 장착되는 연마공구(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더.
  2. 제1항에 있어서,
    제1축과 제2축은 하나의 모터에서 발생하는 동력에 의해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더.
  3. 제2항에 있어서,
    모터에 연결된 구동축(110)에 장착된 구동기어(110G)와,
    제2축의 단부에 장착된 피동기어(130G)와,
    구동기어(110G)와 피동기어(130G)에 맞물려 구동기어(110G)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구동기어(110G)의 동력을 피동기어(130G)에 전달하고 그 중심에 제1축이 고정된 동력전달기어(120G)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더.
  4. 제3항에 있어서,
    구동축(110)과 제2축은 일직선 상에 위치하고, 구동축(110)과 제1축은 직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더.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축에는 척(131)이 장착되고, 척(131)에 연마공구(21)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더.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축은,
    동력전달기어(120G)의 중심에 고정된 상부 축과,
    헤드(103)의 저면에 탈장착되는 패킹 글랜드(140)를 관통한 하부 축을 포함하며,
    패킹 글랜드(140)가 헤드(103)의 저면에 장착되면 상부 축의 하단에 하부 축의 상단이 정합하고, 하부 축의 하단에 연삭날(17)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더.
  7. 제6항에 있어서,
    상부 축의 하단면에는 홈(121)이 형성되고 홈(121)의 내주면에 키홈(123H)이 형성되며, 하부 축의 상단면에 형성된 돌기(122)가 홈(121)에 정합하면 돌기(122)의 측부로 형성된 키(123K)가 키홈(123H)에 정합하여 키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더.
  8. 제6항에 있어서,
    패킹 글랜드(140)는 헤더의 저면에 탈장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더.
  9. 제8항에 있어서,
    패킹 글랜드(140)는 헤드의 저면에 나사 체결되어 장착되되, 연삭날의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나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더.
KR1020200185560A 2020-12-29 2020-12-29 다기능 그라인더 KR202200952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560A KR20220095281A (ko) 2020-12-29 2020-12-29 다기능 그라인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560A KR20220095281A (ko) 2020-12-29 2020-12-29 다기능 그라인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5281A true KR20220095281A (ko) 2022-07-07

Family

ID=82398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5560A KR20220095281A (ko) 2020-12-29 2020-12-29 다기능 그라인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528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887Y1 (ko) 2001-04-25 2002-03-27 안판환 에어 앵글 그라인더의 배기공기를 이용한 수명연장시스템
KR20190071711A (ko) 2016-10-18 2019-06-24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회전 구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출력 샤프트를 구비한 휴대용 전동 공구, 특히 앵글 그라인더용 퀵 클램핑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887Y1 (ko) 2001-04-25 2002-03-27 안판환 에어 앵글 그라인더의 배기공기를 이용한 수명연장시스템
KR20190071711A (ko) 2016-10-18 2019-06-24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회전 구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출력 샤프트를 구비한 휴대용 전동 공구, 특히 앵글 그라인더용 퀵 클램핑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26114C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hread mill drilling
CA2048873A1 (en) Multiple purpose sharpening tool
CN2863348Y (zh) 球头铣刀回转式磨削夹具
KR20220095281A (ko) 다기능 그라인더
JP6163967B2 (ja) 動力工具および先端工具の固定構造
US7121923B1 (en) Dual position sharpening device
KR102560353B1 (ko) 탈부착이 가능한 지그용 연마장치
KR101842214B1 (ko) 도로 난간대와 콘크리트벽 사이 틈새 공간부 면삭용 콘크리트벽 면삭기
US998508A (en) Grinding-machine.
CN201067850Y (zh) 研磨机的钻头夹座调整机构
CN112829077B (zh) 一种可调角度的偏心安装锯片
CN104708500A (zh) 圆弧孔加工装置
US2182231A (en) Attachment for cutter grinders
US20220355402A1 (en) Ring Saw with Water Flushing System
KR100820978B1 (ko) 연마 겸용 면취장치
KR100820186B1 (ko) 연삭기용 탈착형 면취기
KR100358200B1 (ko) 밸브시트 가공 및 연마공구
KR200436195Y1 (ko) 각도기가 구비된 그라인더용 지그
KR100256447B1 (ko) 드릴 날의 연마기
CN2093717U (zh) 轻便式工具磨
CN219633400U (zh) 一种曲面砂光机
RU150726U1 (ru) Угловая машина для чистки плоских поверхностей от краски и шпатлевки
CN205761362U (zh) 一种皮带驱动式增碳剂研磨装置
CN209648314U (zh) 一种电动钻头研磨机
KR100892939B1 (ko) 고속 곡면 가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