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3853B1 - 분사되는 분말의 유량조절이 용이한 의료용 분말 분사장치 및 상기 분말 분사장치의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분사되는 분말의 유량조절이 용이한 의료용 분말 분사장치 및 상기 분말 분사장치의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3853B1
KR102443853B1 KR1020200117158A KR20200117158A KR102443853B1 KR 102443853 B1 KR102443853 B1 KR 102443853B1 KR 1020200117158 A KR1020200117158 A KR 1020200117158A KR 20200117158 A KR20200117158 A KR 20200117158A KR 102443853 B1 KR102443853 B1 KR 102443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transfer pipe
opening
flow rat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7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4589A (ko
Inventor
김은진
최용석
김병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라시온 바이오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라시온 바이오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라시온 바이오메디칼
Priority to KR1020200117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3853B1/ko
Priority to US18/025,262 priority patent/US20240024645A1/en
Priority to PCT/KR2021/000953 priority patent/WO2022055050A1/ko
Publication of KR20220034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4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61M35/003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491Surgical glue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ir or other gas pressure applied to the liquid or other product to be sprayed or atomi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3/00Insufflators for therapeutic or disinfectant purposes, i.e. devices for blowing a gas, powder or vapour into th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1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designed for spraying particulate materials
    • B05B7/1404Arrangements for supplying particulat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1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designed for spraying particulate materials
    • B05B7/1404Arrangements for supplying particulate material
    • B05B7/1413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a container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1422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a container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the means for supplying particulate material comprising moving mechanical means, e.g. to impart vib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1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designed for spraying particulate materials
    • B05B7/1481Spray pistol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particulate material
    • B05B7/1486Spray pistol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particulate material for spraying particulate material in dry s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367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 A61B2017/00398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using powered actuators, e.g. stepper motors, solen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491Surgical glue applicators
    • A61B2017/00522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3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pneumatically or hydraulically operated
    • A61B2017/0054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pneumatically or hydraulically operated pneumatic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681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00734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attery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6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pplying mechanical pressure to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07Syringe-type or piston-type sprayers or atomi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6Solids
    • A61M2202/064Pow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61M2205/3334Measuring or controlling the flow 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05Nozzles or other outlets specially adapted for discharging one or more ga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ozzl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분사되는 분말의 유량조절이 용이한 의료용 분말 분사장치 및 상기 분말 분사장치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말 분사장치는 유량 조절수단을 포함함으로써 분사되는 분말의 유량을 보다 손쉽게 조절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사되는 분말의 유량조절이 용이한 의료용 분말 분사장치 및 상기 분말 분사장치의 작동방법{MEDICAL POWDER SPRAYING DEVICE FOR EASY CONTROL OF THE FLOW RATE OF SPRAYED POWDER AND OPERATION METHOD OF THE POWDER SPRAYING DEVICE}
본 발명은 분사되는 분말의 유량조절이 용이한 의료용 분말 분사장치 및 상기 분말 분사장치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말 분사장치는 유량 조절수단을 포함함으로써 분사되는 분말의 유량을 보다 손쉽게 조절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외과 수술이란 의료 기구를 이용하여 사람의 피부나 점막 등을 절개하여 그 내부를 치료하는 의료 행위를 일컫는다. 이러한 외과 수술은 그 경중에 따라 환자의 생명이 위태로울 정도로 위험한 경우도 존재하며, 출혈, 유착 등 다양한 불측의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혈제, 유착방지제, 창상피복제 등 다양한 약제가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고 또한, 그 이용과 관리의 용이성을 위해 분말로 제조되는 경우가 많다.
예컨대, 출혈이란 혈액이 혈관 밖으로 나오는 것을 의미하여 온 몸을 구성하는 혈관들이 심장의 압력에 의해 혈관 안의 혈액을 몸 전체로 순환을 시키는데, 일부 혈관에서 상처가 생기게 되면 압력이 빠져나갈 공간이 생기게 되어 혈액이 상처 밖으로 새는 것을 의미한다.
지혈이란, 출혈을 멈추게 하는 과정으로 손상된 혈관 내의 혈액을 유지시키는 것을 말한다. 지혈 시, 지혈제, 붕대, 드레싱 등으로 상처 부위를 봉합하거나 압박하여 출혈 부위를 빠르게 지혈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최근에는 인체 친화적인 생체적합성이 우수하면서 지혈능이 뛰어난 지혈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무독성의 생체친화성 고분자를 주재료로 하면서 보다 향상된 지혈 효과와 시장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한 지혈제들이 개발 중에 있다.
유착이란 외과수술이나 기타 사유로 인한 출혈, 창상, 마찰 등으로 조직이 손상된 후 그 치유 과정에서 혈액이 응고하는데, 그 응고과정에서 주변 조직과 비정상적인 접합이 일어나는 현상을 일컫는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유착방지제가 이용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또한, 창상이란 외부의 압력이나 다른 요인에 의해 인체 조직의 연속성이 파괴되는 것을 일컫는다. 창상을 치료하는 도중 외부 환경에 노출로 인해 감염이나 염증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창상피복제와 같은 약제가 제조되어 이용되고 있다.
다만, 이러한 목적에 부합되는 지혈제, 유착방지제, 창상피복제가 개발된다고 하더라도 이를 적절한 위치에 정량으로 도포 내지 투약하는 것 또한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예컨대, 외과적 수술, 시술 및 복강경 등 다양한 목적에 따라 약제를 도포하는 노즐 내지 관의 재질이 상이할 수 있고, 길이가 달리 요구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약제를 도포하는 노즐 부위는 필요에 따라 용도에 맞도록 수시로 교체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교체가 신속하고 단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하던 중, 노즐부를 의료용 분말이 분사되는 인체 부위나 용도에 따라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적절한 양의 의료용 분말이 적절한 위치에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다용도 의료용 분말 분사장치를 개발하여 이를 특허출원 한 바 있다(출원번호 제10-2020-0027493호).
한편, 최근에는 위나 대장의 용종절제술이나, 조기 위암과 대장암의 치료를 위한 점막절제술과 치료 내시경 시술이 많이 행해지고 있는 바, 이러한 시술 도중 또는 시술 후에 출혈이 되어 응급 수술을 해야 하거나, 심지어는 사망에 이르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수술 도중의 출혈과 위장관 출혈, 그리고 조직검사를 위한 체내 조직의 채취 시 발생하는 출혈 등을 치료하기 위하여 내시경을 이용한 지혈이 점차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내시경을 이용한 지혈법은, 지혈이 필요한 점막 손상부위로, 체내 삽입된 내시경 도관(카테터)을 접근시킨 다음, 도관을 통하여 분말 상의 지혈제를 투여 및 분사시킴으로써 지혈시키는 방법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의료용 분말 분사기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의료용 분말 분사기 중 하나는, 도장용 스프레이와 마찬가지 원리로, 지혈제를 분사기에 마련된 튜브에 투입한 후 압축공기를 튜브에 공급하여 지혈제를 환부에 분사 및 도포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그러나, 이러한 분말 분사기는 분사되는 분말의 유량을 조절할 수 없어 동일 유량으로만 분말을 분사하여야 하기 때문에, 환부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분사되는 분말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또 다시 연구하던 중, 별도의 유량 조절수단을 구비한 분말 분사장치를 이용할 경우, 분사되는 분말의 유량을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63141호는 진단용, 치료용 또는 약제 운반용의 의료용 분말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유량 조절수단을 구비한 의료용 분말 분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의료용 분말 분사장치의 작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분말을 수용하기 위한 분말 수용부(100); 상기 분말 수용부(100)와 일측이 연결되어 분말 수용부(100)에 수용된 분말을 이송시키는 제1 이송관(120); 상기 제1 이송관(120)의 타측과 연결되어 상기 제1 이송관(120)을 통해 이송된 분말 및 공기를 이송시키는 제2 이송관(140); 및 상기 제2 이송관(140)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제2 이송관(140)에 공기를 공급시키기 위한 공기 공급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송관(120)은 내부에서 이송되는 분말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 조절수단(13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분말 분사장치(1)를 제공한다.
상기 유량 조절수단(130)은, 상기 제1 이송관(120)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135); 상기 개폐수단(135)의 일측에 연결되어 개폐수단(135)의 전후 왕복 운동을 수행시키는 피스톤(132); 및 상기 개폐수단(135)의 타측에 연결되어 개폐수단(135)의 전후 왕복 운동을 지지하는 탄성 지지체(139);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개폐수단(135)은 내부 일측에 개방공(136)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유량 조절수단(130)은 상기 제1 이송관(120), 개폐수단(135), 피스톤(132) 및 탄성 지지체(139)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131);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분말 수용부(100)는 상기 제1 이송관(120) 방향으로 직경이 감소하는 깔대기 형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분말 분사장치(1)는, 상기 공기 공급부(300)를 구동시키기 위한 에어펌프용 스위치(370)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이송관(120) 또는 제2 이송관(140)의 외측면에는 진동수단(200)이 부착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분말 분사장치(1)는, 상기 제2 이송관(140)의 타측과 연결되어 이송된 분말 및 공기를 외부로 분사시키기 위한 분사수단(400);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분말 분사장치(1)는, 상기 유량 조절수단(130)을 구동시키기 위한 트리거(500)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분말 분사장치(1)는, 상기 공기 공급부(300) 및 유량 조절수단(130)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 공급부(600)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상기 분말 분사장치(1)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공기 공급부(300)를 작동시켜 제2 이송관(140)에 공기를 공급시키는 단계; 상기 유량 조절수단(130)을 작동시켜 분말 수용부(100)에 수용된 분말을 제1 이송관(120) 및 제2 이송관(130)에 공급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이송관(130)에 공급된 분말을 공기와 함께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말 분사장치(1)의 작동방법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분말 분사장치는 깔대기 형상의 분말 수용부 및 진동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분사되는 분말이 막힘없이 용이하게 분사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공급되는 분말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수술 진행 중 요구되는 분말의 분사 함량을 용이하게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분말 분사장치를 나타낸 전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이한 형태의 분말 수용부를 가진 분말 분사장치를 나타낸 전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분말 분사장치를 나타낸 전체도이다.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유량 조절수단의 작동원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의해 정의될 뿐이다.
덧붙여,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의 제 1 측면은,
분말을 수용하기 위한 분말 수용부(100); 상기 분말 수용부(100)와 일측이 연결되어 분말 수용부(100)에 수용된 분말을 이송시키는 제1 이송관(120); 상기 제1 이송관(120)의 타측과 연결되어 상기 제1 이송관(120)을 통해 이송된 분말 및 공기를 이송시키는 제2 이송관(140); 및 상기 제2 이송관(140)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제2 이송관(140)에 공기를 공급시키기 위한 공기 공급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송관(120)은 내부에서 이송되는 분말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 조절수단(13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분말 분사장치(1)를 제공한다.
이하, 본원의 제 1 측면에 따른 분말 분사장치(1)를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도 1은 상기 분말 분사장치(1)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전체도이며, 도 2는 상이한 형태의 분말 수용부(100)를 가진 분말 분사장치(1)를 나타낸 전체도이고, 도 3은 다른 구현예에 따른 분말 분사장치(1)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전체도이며, 도 4 및 5는 유량 조절수단(130)의 작동원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분말 분사장치(1)는 수술 도중의 출혈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내시경을 이용한 지혈에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즉, 복강경과 같은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지혈을 위한 분말을 압축공기와 함께 지혈이 필요한 점막 손상부위로 분사 및 도포하여 작동되는 것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분말이 막힘없이 용이하게 분사되는 것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분말 분사장치(1)는 하기 후술할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분말 분사장치(1)는 분말을 수용하기 위한 분말 수용부(10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분말 수용부(100)는 분말 분사장치(1)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으며, 도 2 및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이송관(120) 방향으로 직경이 감소하는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즉, 분말 수용부(100)가 상기와 같은 형태를 가짐으로써 중력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분말이 상기 제1 이송관(120)으로 보다 용이하게 이송되는 것일 수 있으며, 잔류하는 분말의 양이 적더라도 제1 이송관(120)으로 원활히 이송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경제적인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분말 수용부(100)의 크기는 크게 제한이 없으나, 너무 작을 경우 수용되는 분말의 양이 너무 적어 자주 분말을 채워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수 있으며, 너무 클 경우 이를 포함하는 분말 분자장치(1) 자체의 부피가 커져 지혈을 위한 분사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크기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분말 수용부(100)는 분말 분사장치(1)와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분말 수용부(100)의 하부 말단은 제1 이송관(120)의 내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일정한 직경을 가지는 관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분말 수용부(100) 내에 수용된 분말이 모두 사용되었을 경우, 상기 분말 수용부(100)를 분말 분사장치(1)로부터 탈착시켜 내부에 분말을 채워주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분말 수용부(100)는 상부면에 개폐가 가능한 뚜껑을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뚜껑을 개방시켜 내부에 분말을 채워주는 것일 수도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분말 수용부(100)는 바람직하게 연질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분말 수용부(100)는 연질의 재료로 형성됨으로써 내부에 수용되는 분말의 함량에 따라 일정부분 부피의 증가가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부피 대비 연질의 재료로 형성된 상기 분말 수용부(100)는 분말을 보다 많이 수용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분말의 재공급 시점을 늘려주어 보다 경제적인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분말 분사장치(1)는 상기 분말 수용부(100)와 일측이 연결되어 분말 수용부(100)에 수용된 분말을 이송시키는 제1 이송관(120) 및 상기 제1 이송관(120)의 타측과 연결되어 상기 제1 이송관(120)을 통해 이송된 분말 및 공기를 이송시키는 제2 이송관(140)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관(120)의 타측은 도 1 내지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이송관(140)의 중간 상부면과 연결되어 있는 것일 수 있으며, 중력에 의해 제1 이송관(120)으로 이송된 분말이 제2 이송관(140)으로 자연스럽게 이송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관(120)의 외측면에는 진동수단(200)이 부착되어 있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진동수단(200)은 복수 개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진동수단(200)의 부착위치는 제1 이송관(120) 및 제2 이송관(140)이 맞닿는 위치로부터 제1 이송관(120)이 형성된 방향으로 제1 이송관(120)의 양 측면에 부착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이때 양 측면이란 도 3 및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이송관(120) 및 제2 이송관(140)이 이루는 각을 중심으로 앞, 뒷면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진동수단(200)이 상기와 같은 위치에 부착됨으로써 공간적으로 제1 이송관(120) 및 제2 이송관(140)과 겹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관(120)에 진동수단(200)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전달시킴으로써 내부에 축적된 분말이 보다 용이하게 외부로 분사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진동수단(200)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상기 제1 이송관(120)의 내부 뿐 아니라, 분말 수용부(100) 및 제2 이송관(140)에도 전달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상기 진동수단(200)은 보다 강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진동모터가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진동수단(200)을 통해 발생된 진동이 분말 수용부(100), 제1 이송관(120) 및 제2 이송관(140)에 전달됨으로써 내부에 축적된 또는 막혀있는 분말이 원활히 이송되어 외부로 분사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진동수단(200) 중 일부는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이송관(140)의 외측면에도 부착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1 이송관(120) 및 제2 이송관(140)이 접해있는 부분보다 후방에 설치되는 것일 수 있고, 제2 이송관(140)의 하부 외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후방이란 하기 후술할 분사수단(400)의 반대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진동수단(200)이 상기와 같은 위치에 설치됨으로써 공간적으로 제1 이송관(120)과 겹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분말 분사장치(1)는 상기 제2 이송관(140)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제2 이송관(140)에 공기를 공급시키기 위한 공기 공급부(30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부(300)는 제2 이송관(140)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2 이송관(140)으로 이송된 분말을 하기 후술할 분사수단(400)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공기 공급부(300)에서 공급되는 공기는 일정한 압력을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피스톤 또는 다이아프램 형태의 공기 펌프가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부(300)는 제2 이송관(140)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수분을 건조하기 위한 가열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이송관(140)으로 이송된 분말이 습기에 의해 뭉치는 현상 등이 방지 가능한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반도체 또는 열선이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 공급부(300)의 타측면에는 마개(35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공기 공급부(300) 및 기타 연결관들이 분말 분사장치(1)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마개(350)에는 에어펌프용 스위치(37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에어펌프용 스위치(370)를 눌러줌으로써 상기 공기 공급부(300)가 구동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분말 분사장치(1)는 상기 제2 이송관(140)의 타측과 연결되어 이송된 분말 및 공기를 외부로 분사시키기 위한 분사수단(400)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분사수단(400)은 연결수단(420)을 통해 상기 분말 분사장치(1)와 연결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분사수단(400)은 분말 및 공기를 외부로 분사시키기 위하여 관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으며, 제2 이송관(140)의 타측과 연결되는 부분에 연결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분말 분사장치(1)는 제2 이송관(140)의 타측과 연결되는 연결수단(420)과 연결구에 의해 분사수단(400)이 연결되어 있는 형태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420) 및 연결구는 서로 나사결합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나사결합되는 형태를 가짐으로써 다른 결합 방식에 비해 더욱 용이하고 신속하게 결합이 가능한 것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 중 분사수단(400)이 오염되거나 파손될 경우, 신속히 다른 분사수단(400)으로 교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분사수단(400)의 관은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지혈이 필요한 위치에 분말을 분사하는 도중, 체내 조직에 분사수단(400)이 맞닿더라도 관이 휘어질 수 있어 혹여나 발생할 수 있는 체내 조직의 파열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관(120)은 내부에서 이송되는 분말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 조절수단(13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유량 조절수단(130)은 상기 제1 이송관(120)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135); 상기 개폐수단(135)의 일측에 연결되어 개폐수단(135)의 전후 왕복 운동을 수행시키는 피스톤(132); 및 상기 개폐수단(135)의 타측에 연결되어 개폐수단(135)의 전후 왕복 운동을 지지하는 탄성 지지체(139);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들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131)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예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135)은 내부 일측에 개방공(136)이 형성되어 있으며, 나머지 부분은 폐쇄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폐쇄된 부분은 폐쇄수단(137)이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개방공(136)의 직경은 상기 제1 이송관(120)의 내부 직경과 동일한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개폐수단(135)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 상기 제1 이송관(120)은 개폐수단(135)이 위치하는 자리가 절단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즉, 도 4 및 5를 참조하여 보면 제1 이송관(120)의 절단된 부분에 상기 개폐수단(135)이 삽입되어 있는 것일 수 있으며, 개방공(136)이 제1 이송관(120)과 맞닿을 경우 분말의 공급이 이루어지고, 폐쇄수단(137)이 제1 이송관(120)과 맞닿을 경우 분말의 공급이 중단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폐쇄수단(137)의 전후 왕복 운동을 통해 분말의 공급 및 중단이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135)의 전후 왕복 운동을 수행시키기 위하여 개폐수단(135)의 일측에는 피스톤(13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전후 왕복 운동을 지지하기 위하여 타측에는 탄성 지지체(139)가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피스톤(132)이 작동하여 개폐수단(135)을 밀어낼 경우 제1 이송관(120)에 개방공(136)이 위치됨으로써 분말의 이송이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며, 피스톤(132)의 작동을 중지시켜 개폐수단(135)이 원위치로 돌아올 경우 제1 이송관(120)에 폐쇄수단(137)이 위치됨으로써 분말의 이송이 중단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개폐수단(135)의 타측에는 탄성 지지체(139)가 형성되어 있어 탄성에 의해 상기 피스톤(132)의 작동을 보다 용이하게 지지하여 주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132)의 작동을 조절함으로써 제1 이송관(120)과 맞닿는 개방공(136) 및 폐쇄수단(137)의 면적이 조절가능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분사되는 분말의 함량이 조절가능하기 때문에 수술 시 필요로 하는 함량만큼 분말의 분사가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피스톤(132)의 작동은 하기 후술하는 트리거(500)와 연동되어 작동하기 때문에, 별도의 개폐 조절 버튼(미도시)을 통해 미리 피스톤(132)의 작동 정도를 설정하여 분사를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유량 조절수단(130)은 바람직하게 솔레노이드 밸브로 형성되어 구동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분말 분사장치(1)는 상기 유량 조절수단(130) 및 진동수단(200)을 구동시키기 위한 트리거(50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유량 조절수단(130), 진동수단(200) 및 공기 공급부(3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60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분말 분사장치(1)는 도 1 내지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gun) 형태를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손잡이 부분에 트리거(500) 및 전원 공급부(60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트리거(500)를 눌러주게 되면, 상기 유량 조절수단(130) 및 진동수단(200)이 구동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이를 떼어주면 상기 유량 조절수단(130) 및 진동수단(200)의 구동이 중단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유량 조절수단(130)의 구동 여부에 따라 분말의 분사가 조절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분말 분사장치(1)를 구동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에어펌프용 스위치(370)를 눌러줌으로써 상기 공기 공급부(300)가 구동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에어펌프용 스위치(370)를 이용하여 공기 공급부(300)만을 구동시키는 경우, 공기를 외부로 분사시켜 분말 분사장치(1) 내부에 존재하는 수분을 건조시켜 주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이후 분말의 분사가 수행될 때 분말이 습기에 의해 뭉치는 현상이 방지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량 조절수단(130), 진동수단(200) 및 공기 공급부(300)을 구동시키기 위하여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600)가 필요한 바, 이는 공간 효율적 측면에서 손잡이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분말 분사장치(1)는 유량 조절수단(130) 및 에어펌프용 스위치(370)를 별도로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트리거(500)는 상기 공기 공급부(300) 및 진동수단(200)과 연결되어 있는 것일 수 있으며, 이를 눌러주게 되면, 상기 공기 공급부(300) 및 진동수단(200)이 구동되는 것일 수 있고, 이를 떼어주면 상기 공기 공급부(300) 및 진동수단(200)의 구동이 중단되는 것일 수 있다. 즉, 공기 공급부(300)의 구동 여부에 따라 분말의 분사가 조절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분말 분사장치(1)를 구동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제 2 측면은,
상기 본원의 제 1 측면에 따른 분말 분사장치(1)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공기 공급부(300)를 작동시켜 제2 이송관(140)에 공기를 공급시키는 단계; 상기 유량 조절수단(130)을 작동시켜 분말 수용부(100)에 수용된 분말을 제1 이송관(120) 및 제2 이송관(130)에 공급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이송관(130)에 공급된 분말을 공기와 함께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말 분사장치(1)의 작동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의 제 1 측면과 중복되는 부분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으나, 본원의 제 1 측면에 대해 설명한 내용은 제 2 측면에서 그 설명이 생략되었더라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원의 제 2 측면에 따른 상기 분말 분사장치(1)의 작동방법을 단계 별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본원의 일 구현예예 있어서, 상기 분말 분사장치(1)의 작동방법은 공기 공급부(300)를 작동시켜 제2 이송관(140)에 공기를 공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부(300)의 작동은 상기 에어펌프용 스위치(370)를 눌러줌으로써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이는 분말 분사장치(1) 내부에 존재하는 수분을 건조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공기만을 분말 분사장치(1)의 분사수단(400)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 줌으로써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분말 분사장치(1)의 작동방법은 유량 조절수단(130)을 작동시켜 분말 수용부(100)에 수용된 분말을 제1 이송관(120) 및 제2 이송관(130)에 공급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이송관(130)에 공급된 분말을 공기와 함께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예 있어서, 상기 유량 조절수단(130)의 작동은 트리거(500)를 눌러줌으로써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진동수단(200)의 진동이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량 조절수단(130)의 작동은 개방공(136)을 제1 이송관(120)에 위치시켜 줌으로써 분말의 공급이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이미 공기의 흐름이 형성된 제2 이송관(140)에 분말을 공급하여 줌으로써 분사수단(400)을 통해 분말 및 공기의 배출이 수행되어, 지혈이 필요한 점막 손상부위로 분말의 분사 및 도포가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분말 분사장치(1)를 통한 지혈이 완료된 경우, 눌러주었던 트리거(500)의 작동을 중단시킴으로써 진동수단(200)의 진동이 중단됨과 동시에, 유량 조절수단(130)에 설치된 피스톤(132)이 다시 원위치되어, 폐쇄수단(137)을 제1 이송관(120)에 위치시켜 줌으로써 분말의 공급이 중단되는 것일 수 있다.
그 다음, 마지막으로 에어펌프용 스위치(370)를 다시 눌러줌으로써 공기 공급부(300)의 작동을 중단시켜 지혈 작업을 완료하는 것일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도면과 실시예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 또는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권리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고, 이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의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분말 분사장치
100: 분말 수용부
120: 제1 이송관
130: 유량 조절수단
131: 프레임
132: 피스톤
135: 개폐수단
136: 개방공
137: 폐쇄수단
139: 탄성 지지체
140: 제2 이송관
200: 진동수단
300: 공기 공급부
350: 마개
370: 에어펌프용 스위치
400: 분사수단
420: 연결수단
500: 트리거
600: 전원 공급부

Claims (12)

  1. 분말을 수용하기 위한 분말 수용부(100);
    상기 분말 수용부(100)와 일측이 연결되어 분말 수용부(100)에 수용된 분말을 이송시키며 내부에서 이송되는 분말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 조절수단(130)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이송관(120);
    상기 제1 이송관(120)의 타측과 연결되어 상기 제1 이송관(120)을 통해 이송된 분말 및 공기를 이송시키는 제2 이송관(140);
    상기 제2 이송관(140)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제2 이송관(140)에 공기를 공급시키기 위한 공기 공급부(300);
    상기 제2 이송관(140)의 타측과 연결되어 이송된 분말과 공기를 외부로 분사시키기 위한 분사수단(400);
    상기 제1 이송관과 상기 제2 이송관이 맞닿는 위치에 결합되는 진동수단(200);
    상기 유량 조절수단(130)과 상기 진동수단(200)을 구동하기 위한 트리거(500); 및
    상기 공기 공급부(300)를 구동시키기 위한 에어펌프용 스위치(370);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공급부(300)는 상기 제2 이송관(140)으로 이송된 분말을 상기 분사수단(400)으로 밀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분사장치(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조절수단(130)은,
    상기 제1 이송관(120)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135);
    상기 개폐수단(135)의 일측에 연결되어 개폐수단(135)의 전후 왕복 운동을 수행시키는 피스톤(132); 및
    상기 개폐수단(135)의 타측에 연결되어 개폐수단(135)의 전후 왕복 운동을 지지하는 탄성 지지체(139);
    를 포함하는 것인 분말 분사장치(1).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135)은 내부 일측에 개방공(136)이 형성된 것인 분말 분사장치(1).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조절수단(130)은 상기 제1 이송관(120), 개폐수단(135), 피스톤(132) 및 탄성 지지체(139)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131);을 더 포함하는 것인 분말 분사장치(1).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 수용부(100)는 상기 제1 이송관(120) 방향으로 직경이 감소하는 깔대기 형상인 것인 분말 분사장치(1).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 분사장치(1)는,
    상기 공기 공급부(300) 및 유량 조절수단(130)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 공급부(600)를 더 포함하는 것인 분말 분사장치(1).
  11. 삭제
  12. 삭제
KR1020200117158A 2020-09-11 2020-09-11 분사되는 분말의 유량조절이 용이한 의료용 분말 분사장치 및 상기 분말 분사장치의 작동방법 KR102443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158A KR102443853B1 (ko) 2020-09-11 2020-09-11 분사되는 분말의 유량조절이 용이한 의료용 분말 분사장치 및 상기 분말 분사장치의 작동방법
US18/025,262 US20240024645A1 (en) 2020-09-11 2021-01-25 Medical powder spraying device with easy control of flow volume of powder being sprayed, and operating method for powder spraying device
PCT/KR2021/000953 WO2022055050A1 (ko) 2020-09-11 2021-01-25 분사되는 분말의 유량조절이 용이한 의료용 분말 분사장치 및 상기 분말 분사장치의 작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158A KR102443853B1 (ko) 2020-09-11 2020-09-11 분사되는 분말의 유량조절이 용이한 의료용 분말 분사장치 및 상기 분말 분사장치의 작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4589A KR20220034589A (ko) 2022-03-18
KR102443853B1 true KR102443853B1 (ko) 2022-09-16

Family

ID=80630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7158A KR102443853B1 (ko) 2020-09-11 2020-09-11 분사되는 분말의 유량조절이 용이한 의료용 분말 분사장치 및 상기 분말 분사장치의 작동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024645A1 (ko)
KR (1) KR102443853B1 (ko)
WO (1) WO20220550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92549B (zh) * 2023-05-24 2023-11-21 重庆联佰博超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精细化粉末喷射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821B1 (ko) * 2011-06-03 2013-12-17 (주)디앤케이 의료용 분말 분사장치
KR101722760B1 (ko) * 2014-09-22 2017-04-05 재단법인 유타 인하 디디에스 및 신의료기술개발 공동연구소 분말 분사용 디스펜서 및 이를 포함하는 분말 분사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1119A (ja) * 2003-06-09 2005-01-06 Insutetsuku Kk 枚葉印刷機排紙部のスプレーパウダーの供給状況監視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5230794A (ja) * 2004-01-23 2005-09-02 Anest Iwata Corp 粉体塗装用少量粉体供給装置
KR20060044212A (ko) * 2004-11-11 2006-05-16 주식회사 멤스웨어 오염물을 제거하는 세정방법 및 장치
IN2014CN05009A (ko) * 2011-12-23 2015-09-18 Koninkl Philips Nv
KR102054587B1 (ko) * 2018-07-16 2019-12-10 송우진 가압에어만으로 가동되는 비전기식 샌드 브라스트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821B1 (ko) * 2011-06-03 2013-12-17 (주)디앤케이 의료용 분말 분사장치
KR101722760B1 (ko) * 2014-09-22 2017-04-05 재단법인 유타 인하 디디에스 및 신의료기술개발 공동연구소 분말 분사용 디스펜서 및 이를 포함하는 분말 분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24645A1 (en) 2024-01-25
WO2022055050A1 (ko) 2022-03-17
KR20220034589A (ko) 2022-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7980B2 (en) Internal dry powder delivery system and method thereof
US8721582B2 (en) Internal dry powder delivery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437197B1 (ko) 생물막 제거 내시경을 포함하는 생물막 제거용 시스템 및 방법
EP1259168B1 (en) Patch and glue delivery system for closing tissue openings during surgery
EP1210149A2 (en) Delivery of ultrasound to percutaneous and intrabody devices
JP2012513284A (ja) 治療薬を収容及び送達するための器械及び方法
CA2879933A1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application of a curable fluid composition to a bodily organ
CN110602998B (zh) 减少或去除生物膜的方法
CN102727301A (zh) 基于射频的手术植入物固定装置
US9895150B2 (en) Sealant delivery device for anastomotic stapler
KR102443853B1 (ko) 분사되는 분말의 유량조절이 용이한 의료용 분말 분사장치 및 상기 분말 분사장치의 작동방법
CN115154870B (zh) 给药方法及其装置
JP2010115488A (ja) 超弾性ループ管腔外物質送達器具
CN108938015B (zh) 输送药剂的装置
CN110652648B (zh) 输送药剂的器件及其装置和组件
KR102391900B1 (ko) 다용도 의료용 분말 분사장치
US20220072237A1 (en) Agent delivery devices and related methods
CN117531039A (zh) 用于治疗身体病变的粘结粉末
CN117771523A (zh) 医疗止血设备
CN109529177A (zh) 一种将治疗药剂传递至特定治疗位点的装置
WO2010105188A2 (en) Methods and systems for hemostasis using cryotherap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