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2843B1 -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2843B1
KR102442843B1 KR1020207036294A KR20207036294A KR102442843B1 KR 102442843 B1 KR102442843 B1 KR 102442843B1 KR 1020207036294 A KR1020207036294 A KR 1020207036294A KR 20207036294 A KR20207036294 A KR 20207036294A KR 102442843 B1 KR102442843 B1 KR 102442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resin composition
fluorine
copolymer
containing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6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0558A (ko
Inventor
요시히로 사이구사
히로후미 무카에
가나코 아라이
유이미 이시하라
하루나 마츠모토
히데키 고노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10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0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8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1/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polysulf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1/02Polythioethers; Polythioether-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69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08L23/0884Epoxide containing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L27/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r tetrafluoro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Abstract

내충격성, 인장 특성, 굽힘 특성 등의 기계 물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폴리아릴렌 술파이드 (a), 불소 함유 공중합체 (b), 및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 (c)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이며, 상기 폴리아릴렌 술파이드 (a)와 상기 불소 함유 공중합체 (b)와의 질량비 (a):(b)가 99:1 내지 40:60이며, 상기 화합물 (c)를, 폴리아릴렌 술파이드 (a) 및 불소 함유 공중합체 (b)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서, 0.1 내지 35질량부로 포함하고, ASTM D 638에 준거한 방법으로 측정한 인장 파단 신도가 1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이다.

Description

수지 조성물
본 개시는,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폴리아릴렌 술파이드 (Ⅰ) 및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인 불소 수지 (Ⅱ)를 포함하는 조성물이며,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의 불소 수지 (Ⅱ)의 평균 분산 입자경이 0.1㎛ 이상 2.5㎛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폴리머 알로이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이며, 상기 폴리머 알로이는 해도(海島) 구조를 갖고, 상기 해도 구조의 바다 성분이 폴리페닐렌 술피드(수지 A)이며, 상기 해도 구조의 섬 성분이 10㎛ 이하인 등가원 평균 직경을 갖는 불소 수지(수지 B)이며, 상기 수지 A와 상기 수지 B의 혼합비가 질량부비로 「60/40≤(수지 A)/(수지 B)≤80/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a) 성분과 (b) 성분의 합계를 100체적%로 하여, (a) 폴리페닐렌 술피드 수지 99 내지 51체적%, (b) 반응성 관능기를 함유하는 불소 수지 1 내지 49체적%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이며, 전자 현미경에 의해 관찰되는 모폴로지에 있어서, (a) 성분이 연속상(해상)을, (b) 성분이 분산상(도상)을 형성함과 함께, (b)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분산상의 수 평균 분산 입자경 r1과, 320℃에서 30분간 용융 체류시킨 후의 (b)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분산상의 수 평균 분산 입자경r2의 비 r2/r1이, 1.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닐렌 술피드 수지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4에는, 폴리페닐렌 술피드 (A)와, 용융 성형이 가능하며, 카르보닐기 함유기, 히드록시기, 에폭시기 및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불소 함유 공중합체 (B)를 함유하고, 상기 반응성 관능기가, 상기 불소 함유 공중합체 (B)의 주쇄의 제조에 사용된 모노머, 연쇄 이동제, 중합 개시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에서 유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닐렌 술피드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5에는, 하기 (a)와 하기 (b)를, (a)와 (b)의 합량 중에 (a) 50 내지 99.5중량%, (b) 0.5 내지 50중량%의 비율로 함유하고, 또한 하기 (c)를 합량으로, (a)와 (b)의 합량 100중량부에 대해서 0중량부 초과 250 중량부 이하의 비율로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a) 폴리페닐렌 술피드
(b) 330℃ 질소 분위기하에서 용융 후 10℃/분의 냉각 속도로 냉각한 경우의 응고 온도(Tmc)가 237℃ 이상이고, 또한 330℃, 하중 5㎏, 오리피스가 직경 2.095㎜, 길이 8㎜의 측정 조건에 있어서 나타내는 멜트 인덱스가 0.1 이상인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알킬기의 탄소수가 1 내지 6인 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이며, 후자에 기초하는 중합 단위가 1 내지 5몰%인 공중합체 또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이며, 후자에 기초하는 중합 단위가 1 내지 20몰%인 공중합체인 불소 수지
(c) 유기 강화재, 무기 강화재 및 충전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특허문헌 6에는, 황 폴리머와 열가소성적으로 가공 가능한 플루오로 중합체의 폴리머 혼합물이며, 당해 폴리머 혼합물에 있어서의 상기 황 폴리머 성분의 양이, 중량으로 0.1% 내지 20%인 폴리머 혼합물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7에는, (A) 불소 함유 중합체, 및 (B) 연료 투과성이 5g·㎜/㎡·day 이하인 비불소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8에는, 용융 변성에 의해 제조된, 폴리페닐렌 술피드 폴리머 매트릭스(PPS 폴리머 매트릭스)와, 해당 매트릭스 중에 (다)분산성으로 분산한, 변성된 (퍼)플루오로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폴리페닐렌 술피드(퍼)플루오로 중합체 재료이며, (퍼)플루오로 중합체의 변성은 관능기에 의해 행해지고 있으며, 또한 변성된 (퍼)플루오로 중합체 입자는 화학적 커플링에 의해 PPS 폴리머 매트릭스와 결합하여 존재하고 있으며, 해당 화학적 커플링은, 용융 변성의 사이에 (퍼)플루오로 중합체가 이미 존재하는 관능성의 반응성기와, 및/또는 용융 변성의 사이에 발생하는, (퍼)플루오로 중합체의 지속성의(수명이 긴) 퍼플루오로 카본(퍼옥시)라디칼로 이루어지는 관능성의 기의, 및/또는 용융 변성의 사이에 발생하는 (퍼)플루오로 중합체의 관능성의 반응성기 혹은 활성의 기의 반응에 의해 행해지고 있는, 폴리페닐렌 술피드(퍼)플루오로 중합체 재료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9에는, (a) 폴리페닐렌 술피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서, (b)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공중합체 80 내지 250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페닐렌 술피드 수지 조성물이며,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성형품의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되는 수지상 분리 구조가, (a) 폴리페닐렌 술피드 수지가 연속상, (b)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공중합체가 1차 분산상을 형성하며, 또한, 수지 조성물 중의 1차 분산상 내에, 1차 분산상의 성분과는 다른 성분이 형성하는 2차 분산상을 포함하고 있는, 폴리페닐렌 술피드 수지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0에는, 용융 가공 가능한 초고분자량 불소화 에틸렌-프로필렌과,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불화비닐리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 폴리술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이미드,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페닐렌옥시드 혹은 폴리페닐렌 술피드 등의 1개 혹은 그 이상의 다른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플루오로 중합체 알로이가 기재되어 있다.
국제 공개 제2015/008583호 일본 특허 공개 제2014-10525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5-11073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6-27147호 공보 일본 특허 제422308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2233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6-328195호 공보 국제 공개 제2009/021922호 일본 특허 제573347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소61-281146호 공보
본 개시는, 내충격성, 인장 특성, 굽힘 특성 등의 기계 물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개시는, 폴리아릴렌 술파이드 (a), 불소 함유 공중합체 (b), 및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 (c)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이며, 상기 폴리아릴렌 술파이드 (a)와 상기 불소 함유 공중합체 (b)의 질량비 (a):(b)가 99:1 내지 40:60이며, 상기 화합물 (c)를, 폴리아릴렌 술파이드 (a) 및 불소 함유 공중합체 (b)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서, 0.1 내지 35질량부로 포함하고, ASTM D 638에 준거한 방법으로 측정한 인장 파단 신도가 1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수지 조성물은, ASTM D 6110에 준거한 방법으로 측정한 샤르피 충격 강도가 5.5kJ/㎡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수지 조성물은, JIS B 0601-1994에 준거한 방법으로 측정한 표면 조도 Ra가 0.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소 함유 공중합체 (b)는, 전체 중합 단위에 대해서, 75질량% 이상의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 기초하는 중합 단위와, 1질량% 이상의,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및 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에 기초하는 중합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이며, 카르보닐기를 탄소수 1×106개에 대해서 5 내지 500개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소 함유 공중합체 (b)는, 전체 중합 단위에 대해서, 98 내지 80질량%의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 기초하는 중합 단위와, 2 내지 20질량%의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에 기초하는 중합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b1), 전체 중합 단위에 대해서, 98 내지 85질량%의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 기초하는 중합 단위와, 2 내지 15질량%의 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에 기초하는 중합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b2), 및 전체 중합 단위에 대해서, 95 내지 77질량%의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 기초하는 중합 단위와, 5 내지 18질량%의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에 기초하는 중합 단위와, 0질량% 초과 5질량% 이하의 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에 기초하는 중합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b3)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합물 (c)는,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함유량이 1 내지 20질량%인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소 함유 공중합체 (b)는, 300℃에 있어서의 용융 유량이 0.1 내지 10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불소 함유 공중합체 (b)는, 372℃에 있어서의 용융 유량이 0.1 내지 100g/10분인 것도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수지 조성물은, 상기 폴리아릴렌 술파이드 (a)가 연속상을 형성하고, 상기 불소 함유 공중합체 (b)가 분산상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소 함유 공중합체 (b)는, 평균 분산 입자경이 0.01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수지 조성물은, 300℃에 있어서의 용융 유량이 1 내지 20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개시의 수지 조성물은, 372℃에 있어서의 용융 유량이 1 내지 200g/10분인 것도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수지 조성물은, 상기 구성을 갖는 점에서, 내충격성, 인장 특성, 굽힘 특성 등의 기계 물성이 우수하다.
본 개시의 수지 조성물은, 폴리아릴렌 술파이드 (a)(이하 「PAS (a)」라고도 함), 불소 함유 공중합체 (b), 및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 (c)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이며, 상기 폴리아릴렌 술파이드 (a)와 상기 불소 함유 공중합체 (b)의 질량비 (a):(b)가 99:1 내지 40:60이며, 상기 화합물 (c)를, 폴리아릴렌 술파이드 (a) 및 불소 함유 공중합체 (b)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서, 0.1 내지 35질량부로 포함하고, ASTM D 638에 준거한 방법으로 측정한 인장 파단 신도가 15% 이상이다.
종래, 폴리아릴렌 술파이드 (a) 중에 불소 함유 공중합체를 분산시키는 것은 서로의 상용성이 낮기 때문에 곤란하였다. 그 때문에, 종래에는 내충격성, 인장 특성, 굽힘 특성 등의 기계 물성이 불충분한 수지 조성물밖에 얻을 수 없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서는, 평균 분산 입자경은 양호한 것이 기재되어 있지만, 상용화제를 첨가하지 않아, 폴리페닐렌 술피드와 불소 함유 중합체의 상용성이 나쁘기 때문에, 내충격성이나 인장 특성 등의 기계 물성이 충분히 향상되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특허문헌 2에서는, 상용화제로서 무수 말레산 변성의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것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지만,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에틸렌에서는, 내충격성 및 인장 파단 신도의 향상이 충분하지 않다. 특허문헌 3이나 9에서는, 실란 커플링제를 상용화제로서 사용하고 있지만, 기계 물성과 표면 조도가 양호한 성형품은 얻지 못했다. 특허문헌 4에서는, 양호한 기계 물성을 얻을 수 있지만, 반응성 관능기 함유량이 많은 불소 함유 공중합체 (b)를 사용할 필요가 있었다. 특허문헌 5에서는, 유기 강화재, 무기 강화재 또는 충전재를 필수 성분으로 하고 있으며, 이들 충전제에서는 인장 파단 신도는 향상되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특허문헌 6에서는, 황 폴리머의 함유량이 적기 때문에, 황 폴리머가 본래 갖는 기계 강도를 유지할 수 없다. 특허문헌 7에서는, 비불소 열가소성 수지의 예시로서, 폴리페닐렌 술피드가 예시되어 있지만, 상용화제를 포함하지 않는 특허문헌 7의 수지 조성물은, 폴리페닐렌 술피드와 불소 함유 중합체의 상용성이 나쁘기 때문에, 양호한 기계 물성을 얻지 못한다고 생각된다. 특허문헌 8에서는, PTFE 이외의 (퍼)플루오로 중합체와 폴리페닐렌 술피드 폴리머가 화학적으로 커플링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고, 반응성 관능기가 적은 (퍼)플루오로 중합체와 폴리페닐렌 술피드 폴리머의 상용성이 나쁘기 때문에, 화학적인 방법에 의한 변성이 필요하며, 비용면에서 불리해진다. 특허문헌 10에서는, 초고분자량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가 구체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본 개시에 있어서의 불소 함유 공중합체와는 멜트 플로 지수가 크게 다르고, 연속상이 되는 수지와의 용융 점도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분산 상태가 나빠진다고 추정된다. 본 발명자들은, 폴리아릴렌 술파이드 (a) 중에 불소 함유 공중합체를 분산시키는 것에 대하여 예의 검토한바,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 (c)를 사용함으로써, 반응성 관능기가 적은 불소 함유 공중합체를 사용한 경우에서도 폴리아릴렌 술파이드 (a) 중에 불소 함유 공중합체를 미세하게 분산시켜, 알로이화한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본 개시의 수지 조성물은, 폴리아릴렌 술파이드 (a), 불소 함유 공중합체 (b), 및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 (c)를 특정한 비율로 함유함으로써, 내충격성, 인장 특성, 굽힘 특성 등의 기계 물성이 우수한 성형품을 형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수지 조성물은, ASTM D 638에 준거한 방법으로 측정한 인장 파단 신도가 15% 이상이다. 인장 파단 신도는, 16%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7%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수지 조성물은, ASTM D 6110에 준거한 방법으로 측정한 샤르피 충격 강도가, 5.5kJ/㎡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6.0kJ/㎡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6.5kJ/㎡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한 상한은, 50kJ/㎡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30kJ/㎡ 이하이며, 10kJ/㎡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수지 조성물은, JIS B 0601-1994에 준거한 방법으로 측정한 표면 조도 Ra(산술 평균 조도)가, 0.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8㎛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 조도 Ra는, 예를 들어 표면 조도 측정기(Mitutoyo사제 SURFTEST SV-600)를 사용하고, JIS B 0601-1994에 준거하여, 측정 점수 5점의 측정을 3회 반복하고, 얻어진 측정값을 평균하여 산출하는 값이다.
본 개시의 수지 조성물은, 300℃, 2.16㎏ 하중인 조건하에서 측정한 용융 유량(MFR)이 1 내지 20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100g/10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MFR이 상기 범위임으로써, 본 개시의 수지 조성물은, 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가공 특성이 향상된다. MFR의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10g/10분이며, 특히 바람직한 하한은 15g/10분이다. 가공 특성이 보다 향상된다는 점에서, MFR의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70g/10분이며,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50g/10분이다. 상기 수지 조성물의 MFR은, ASTM D 1238에 준거하여, 멜트인덱서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본 개시의 수지 조성물은, 372℃, 5.0㎏ 하중인 조건하에서 측정한 용융 유량(MFR)이 1 내지 20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100g/10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MFR이 상기 범위임으로써, 본 개시의 수지 조성물은, 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가공 특성이 향상된다. MFR의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10g/10분이며, 특히 바람직한 하한은 15g/10분이다. 가공 특성이 보다 향상된다는 점에서, MFR의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70g/10분이며,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50g/10분이다. 상기 수지 조성물의 MFR은, ASTM D 1238에 준거하여, 멜트인덱서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상기 불소 함유 공중합체 (b)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FE)과,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HFP) 및 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PAVE)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PAVE로서는, 퍼플루오로(메틸 비닐에테르), 퍼플루오로(에틸비닐에테르), 퍼플루오로(프로필비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불소 함유 공중합체 (b)를 사용함으로써, 불소 함유 공중합체 (b)가 PAS (a)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분산하고, 기계 물성이 보다 우수한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불소 함유 공중합체 (b)는, 주쇄 말단 또는 측쇄에 카르보닐기(-C(=O)-)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수지 조성물은, 주쇄 말단 또는 측쇄에 카르보닐기를 가짐으로써, PAS (a) 중에 불소 함유 공중합체 (b)를 미세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카르보닐기는, -C(=O)-를 갖는 관능기의 일부이면 된다.
카르보닐기를 갖는 관능기로서는, 예를 들어,
카르보네이트기[-O-C(=O)-OR3(식 중, R3은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알킬기 또는 에테르 결합성 산소 원자를 포함하는 탄소 원자수 2 내지 20의 알킬기임)],
할로포르밀기[-C(=O)X1, X1은 할로겐 원자],
포르밀기[-C(=O)H],
식: -R4-C(=O)-R5(식 중, R4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2가의 유기기이며, R5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1가의 유기기임)로 표시되는 기,
식: -O-C(=O)-R6(식 중, R6은,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알킬기 또는 에테르 결합성 산소 원자를 포함하는 탄소 원자수 2 내지 20의 알킬기임)으로 표시되는 기,
카르복시기[-C(=O)OH],
알콕시카르보닐기[-C(=O)OR7(식 중, R7은,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1가의 유기기임)],
카르바모일기[-C(=O)NR8R9(식 중, R8 및 R9는, 동일해도 달라도 되며,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1가의 유기기임)],
산 무수물 결합[-C(=O)-O-C(=O)-],
이소시아네이트기[-N=C=O]
등을 바람직한 관능기로서 들 수 있다.
상기 R3의 구체예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R4의 구체예로서는, 메틸렌기, -CF2-기, -C6H4-기 등을 들 수 있으며, R5의 구체예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R7의 구체예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R8 및 R9의 구체예로서는,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페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카르보닐기는, 그 중에서도, 불소 함유 공중합체 (b)에 대한 도입의 용이함 및 PAS (a)와의 반응성의 관점에서, 카르보네이트기, 할로포르밀기, 포르밀기, 하기 식:
-R4-C(=O)-R5
(식 중, R4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2가의 유기기이며, R5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1가의 유기기임)로 표시되는 기, 하기 식:
-O-C(=O)-R6
(식 중, R6은,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알킬기 또는 에테르 결합성 산소 원자를 포함하는 탄소 원자수 2 내지 20의 알킬기임)으로 표시되는 기, 카르복시기, 알콕시카르보닐기, 카르바모일기, 산 무수물 결합 및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유기기의 일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소 함유 공중합체 (b)는, 카르보닐기를 탄소수 1×106개에 대해서 5 내지 500개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0개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개 이상이다. 카르보닐기의 수는, 적외 분광기(IR 분광기)에 의한 카르보닐기의 흡광도로부터 구한 관능기량(카르보닐기를 함유하는 관능기의 수)으로부터 산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불소 함유 공중합체 (b)의 백색 분말 또는 불소 함유 공중합체 (b)의 용융 압출 펠릿의 절단편을 실온에서 압축 성형하여, 두께 50 내지 200㎛의 필름을 작성하고, 이 필름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 분석에 의해, 카르보닐기를 함유하는 관능기 유래의 피크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하기 식에 의해 불소 함유 공중합체 (b)를 이루는 중합체의 주쇄 탄소수 106개당 카르보닐기를 함유하는 관능기의 개수 N을 산출한다.
N=500AW/εdf
A: 카르보닐기를 함유하는 관능기 유래의 피크의 흡광도
ε: 카르보닐기를 함유하는 관능기 유래의 피크의 몰 흡광도 계수
W: 불소 함유 공중합체 (b)의 조성으로부터 계산되는 단량체의 평균 분자량
d: 필름의 밀도(g/㎤)
f: 필름의 두께(㎜)
상기 불소 함유 공중합체 (b)는, 전체 중합 단위에 대해서, 75질량% 이상의 TFE에 기초하는 중합 단위와, 1질량% 이상의, HFP 및 PAVE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에 기초하는 중합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TFE에 기초하는 중합 단위는, 전체 중합 단위에 대해서, 77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9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98.5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HFP 및 PAVE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에 기초하는 중합 단위는, 전체 중합 단위에 대해서, 1.5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23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불소 함유 공중합체 (b)는, 전체 중합 단위에 대해서, 75질량% 이상의 TFE에 기초하는 중합 단위와, 1질량% 이상의, HFP 및 PAVE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에 기초하는 중합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이며, 카르보닐기를 탄소수 1×106개에 대해서 5 내지 500개 갖고 있어도 된다. TFE에 기초하는 중합 단위는, 전체 중합 단위에 대해서, 77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9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98.5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HFP 및 PAVE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에 기초하는 중합 단위는, 전체 중합 단위에 대하여, 1.5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23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카르보닐기의 수는, 30개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불소 함유 공중합체 (b)는,
전체 중합 단위에 대해서, 98 내지 80질량%의 TFE에 기초하는 중합 단위와, 2 내지 20질량%의 HFP에 기초하는 중합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b1),
전체 중합 단위에 대해서, 98 내지 85질량%의 TFE에 기초하는 중합 단위와, 2 내지 15질량%의 PAVE에 기초하는 중합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b2), 및
전체 중합 단위에 대해서, 95 내지 77질량%의 TFE에 기초하는 중합 단위와, 5 내지 18질량%의 HFP에 기초하는 중합 단위와, 0질량% 초과 5질량% 이하의 PAVE에 기초하는 중합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b3)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바람직하다.
공중합체 (b1)에 있어서, TFE에 기초하는 중합 단위는, 전체 중합 단위에 대해서, 84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5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HFP에 기초하는 중합 단위는, 전체 중합 단위에 대해서, 5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16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공중합체 (b2)에 있어서, TFE에 기초하는 중합 단위는, 전체 중합 단위에 대해서, 90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7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PAVE에 기초하는 중합 단위는, 전체 중합 단위에 대해서, 3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공중합체 (b3)에 있어서, TFE에 기초하는 중합 단위는, 전체 중합 단위에 대해서, 79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4.5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HFP에 기초하는 중합 단위는, 전체 중합 단위에 대해서, 16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PAVE에 기초하는 중합 단위는, 전체 중합 단위에 대해서, 0.5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질량비는, TFE 단위, HFP 단위 및 PAVE 단위의 함유율을, 각각 NMR 분석 장치 또는 적외 흡수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함으로써 얻은 것이다.
상기 불소 함유 공중합체 (b)는, 300℃, 2.16㎏ 하중의 조건하에서 측정한 용융 유량(MFR)이 0.1 내지 10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내지 40g/10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MFR이 상기 범위임으로써, 본 개시의 수지 조성물은, 가공 특성이 향상된다.
MFR의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1g/10분이며, 특히 바람직한 하한은 2g/10분이다. 가공 특성이 보다 향상된다는 점에서, MFR의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30g/10분이며,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20g/10분이다.
상기 불소 함유 공중합체 (b)의 MFR은, ASTM D 1238에 준거하고, 멜트인덱서를 사용하여, 300℃에서, 예열 시간 5분 후에, 2.16㎏ 하중하에서 내경 2.09㎜, 길이 8㎜의 노즐로부터 10분간당 유출되는 폴리머의 질량(g/10min)을 구하였다.
상기 불소 함유 공중합체 (b)는, 372℃, 5.0㎏ 하중의 조건하에서 측정한 용융 유량(MFR)이 0.1 내지 10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1 내지 60g/10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MFR이 상기 범위임으로써, 본 개시의 수지 조성물은, 가공 특성이 향상된다.
MFR의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5g/10분이며, 특히 바람직한 하한은 10g/10분이다. 가공 특성이 보다 향상된다는 점에서, MFR의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50g/10분이며,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40g/10분이다.
상기 불소 함유 공중합체 (b)의 MFR은, ASTM D 1238에 준거하고, 멜트인덱서를 사용하여, 372℃에서, 예열 시간 5분 후에, 5.0㎏ 하중하에서 내경 2.09㎜, 길이 8㎜의 노즐로부터 10분간당 유출되는 폴리머의 질량(g/10min)을 구하였다.
상기 불소 함유 공중합체 (b)의 융점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성형할 때 사용하는 PAS (a)가 용융되는 온도에서 이미 불소 함유 공중합체 (b)가 용융되어 있는 것이 성형에 있어서 바람직하기 때문에, 상기 PAS (a)의 융점 이하의 온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불소 함유 공중합체 (b)의 융점은, 230 내지 350℃인 것이 바람직하고, 내열성, 내마모성, 성형 가공성이 보다 우수하다는 점에서, 240 내지 340℃가 더욱 바람직하고, 250 내지 320℃가 더욱 바람직하다. 불소 함유 공중합체 (b)의 융점은, 시차 주사 열량 측정(DSC) 장치를 사용하여, 10℃/분의 속도로 승온했을 때의 융해열 곡선에 있어서의 극댓값에 대응하는 온도로서 구한 것이다.
본 개시의 수지 조성물은, PAS (a)를 포함한다. 상기 PAS (a)를 포함함으로써, 얻어지는 성형품의 연속 사용 온도가 높고 내열성이 우수하다. 또한, 내마모성 및 성형 가공성이 우수하다.
PAS (a)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식:
-(Ar-S)-
(식 중, Ar은 아릴렌기, S는 황을 나타냄)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것을 들 수 있으며, 수지 중의 상기 반복 단위의 함유 비율은 70몰% 이상이 바람직하다.
아릴렌기로서는, p-페닐렌, m-페닐렌, o-페닐렌, 알킬 치환 페닐렌, 페닐 치환 페닐렌, 할로겐 치환 페닐렌, 아미노 치환 페닐렌, 아미드 치환 페닐렌, p,p'-디페닐렌 술폰, p,p'-비페닐렌, p,p'-비페닐렌 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아릴렌 술파이드 (a)는, 가교나 분지 구조를 갖는 수지(가교형), 가교나 분지 구조가 실질적으로 갖지 않는 수지(리니어형)로 대별할 수 있지만, 본 개시에서는 가교형, 리니어형 중 어느 것이어도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PAS (a)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페닐렌 술피드가 바람직하게 예시된다.
PAS (a)는, 유리 전이 온도가 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85℃ 이상이다. 상기 범위의 유리 전이 온도임으로써, 수지 조성물의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PAS (a)의 유리 전이 온도는, 3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5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 전이 온도는, 시차 주사 열량 측정(DSC) 장치에 의해 측정된다.
PAS (a)는, 융점이 1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90℃ 이상이다. 상기 범위의 융점임으로써, 수지 조성물의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PAS (a)의 융점은, 3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5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융점은, 시차 주사 열량 측정(DSC) 장치에 의해 측정된다.
본 개시의 수지 조성물은, PAS (a)와 불소 함유 공중합체 (b)의 질량비 (a):(b)가 99:1 내지 40:6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수지 조성물이 우수한 인장 파단 신도를 갖고, 높은 충격 강도를 나타낸다. 또한, PAS (a)가 연속상을 형성하고, 불소 함유 공중합체 (b)가 분산상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에서, 불소 함유 수지 공중합체 (b)의 질량비는 PAS (a)에 대하여 적은 쪽이 바람직하고, 질량비 (a):(b)의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98:2 내지 50:50이며, 더욱 바람직한 범위는 95:5 내지 70:30이며, 특히 바람직한 범위는 90:10 내지 75:25이다. 또한, PAS (a)와 불소 함유 공중합체 (b)의 질량비 (a):(b)가 99:1 내지 40:60인 경우에는, 수지 조성물의 매트릭스가 PAS (a)로 되는 경향이 있고, 불소 함유 공중합체 (b)의 함유량이 PAS (a)에 대하여 더욱 많은 경우에는, 수지 조성물의 매트릭스는 불소 함유 공중합체 (b)로 되는 경향이 있다.
본 개시의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PAS (a)가 연속상을 형성하고, 불소 함유 공중합체 (b)가 분산상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소 함유 공중합체 (b)의 평균 분산 입자경은 0.01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분산 입자경이 상기 범위임으로써, 본 개시의 수지 조성물은, PAS (a)와 불소 함유 공중합체 (b)의 친화성이 향상되고, 내충격성, 인장 특성, 굽힘 특성 등의 기계 물성이 우수한 성형품을 형성할 수 있는 수지 조성물로 된다. 상기 평균 분산 입자경은 4.8㎛ 이하가 바람직하고, 4.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평균 분산 입자경의 하한은, 예를 들어 1.0㎛여도 된다.
상기 평균 분산 입자경은 본 개시의 수지 조성물 스트랜드로부터 잘라낸 절편의 단면을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으로 현미경 관찰을 행하고, 얻어진 화상을 화상 해석 소프트웨어(Image J)를 사용하여 해석하였다. 분산상을 선택하고, 원 상당 직경을 구하였다. 분산상 20개분의 원 상당 직경을 산출하고, 이것을 평균하여 평균 분산 입자경(MFR 전) 및 평균 분산 입자경(MFR 후)로 하였다.
본 개시의 수지 조성물은,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 (c)를 포함한다. 상기 화합물 (c)를 포함함으로써, PAS (a)와 불소 함유 공중합체 (b)의 친화성이 향상되고, 내충격성, 인장 특성, 굽힘 특성 등의 기계 물성이 우수한 성형품을 형성할 수 있는 수지 조성물로 된다.
상기 반응성 관능기로서는, 에폭시기, 아미노기, 히드록시기, 카르복실기, 티올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등을 들 수 있으며, 에폭시기가 바람직하다. 상기 화합물 (c)는,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와, 상기 반응성 관능기를 함유하는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단량 단위를 함유하는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공중합체는, 반응성 관능기를 포함하지 않는 α-올레핀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나, 반응성 관능기를 포함하지 않는 비닐계 단량체 단위를 더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불소 함유 공중합체 (b)와의 상용성의 관점에서, 반응성 관능기로서는, 산 무수물기가 아닌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성 관능기를 함유하는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등의 α,β-불포화 글리시딜에스테르, 알릴글리시딜에테르, 2-메틸알릴글리시딜에테르 등의 α,β-불포화 글리시딜에테르를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이다.
반응성 관능기를 포함하지 않는 비닐계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메타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부틸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아세트산 비닐, 프로피온산 비닐 등의 불포화 비닐에스테르;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공액 디엔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합물 (c)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산 메틸 공중합체,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체,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합물 (c)는, 폴리에틸렌,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수소 첨가 또는 비수소 첨가의 스티렌/공액 디엔계 공중합체 등에, 상기 반응성 관능기를 함유하는 단량체를 그래프트 중합시켜 얻어진 그래프트 중합체여도 된다. 상기 화합물 (c)는,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산 메틸 공중합체 및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합물 (c)에 있어서, 반응성 관능기를 함유하는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0질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5질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질량%이다. 단, 반응성 관능기를 함유하는 에틸렌계 중합체 중의 전체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을 100질량%로 한다. 또한, 반응성 관능기를 함유하는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은, 적외법에 의해 측정된다.
상기 화합물 (c)로서는,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함유량이 1 내지 20질량%인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함유량은, 3 내지 15 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5 내지 13 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화합물 (c)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스미토모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의 BF-E, BF-7M, BF-7B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합물 (c)의 함유량은, PAS (a) 및 불소 함유 공중합체 (b)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서, 0.1 내지 35질량부이다. 화합물 (c)의 함유량이 0.1질량부 미만이면 내충격성, 인장 특성, 굽힘 특성 등의 기계 물성이 떨어지고, 35질량부를 초과하면, 용융 점도가 상승하여 가공성이 저하된다. 화합물 (c)의 함유량은, PAS (a) 및 불소 함유 공중합체 (b)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서, 0.5 내지 20질량부가 바람직하고, 1 내지 15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1 내지 10질량부가 더욱 바람직하고, 3 내지 10질량부가 더욱 보다 바람직하며, 3 내지 7질량부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화합물 (c)의 유리 전이 온도는 인장 파단 신도를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0℃ 이하가 바람직하고, -1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하한에 대해서는, -50℃ 이상이 바람직하며, -40℃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수지 조성물은, PAS (a), 불소 함유 공중합체 (b), 및 화합물 (c)를, 수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합계 90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5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99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개시의 수지 조성물은, 실질적으로 PAS (a), 불소 함유 공중합체 (b), 및 화합물 (c)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것도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수지 조성물은, PAS (a), 불소 함유 공중합체 (b), 및 화합물 (c)를 포함하는 것이지만, 필요에 따라서 다른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다른 성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유리 섬유, 탄소 섬유, 카본 밀드 파이버, 카본 나노튜브, 카본 나노혼, 메탈 파이버, 아스베스토, 암면, 세라믹 파이버, 슬래그 파이버, 티타늄산 칼륨 위스커, 보론 위스커, 붕산 알루미늄 위스커, 탄산칼슘 위스커, 산화티타늄 위스커, 월라스토나이트, 팔리고스카이트, 세피올라이트, 아라미드 섬유, 알루미나 섬유, 탄화 규소 섬유, 세라믹 섬유, 아스베스토 섬유, 석고 섬유, 금속 섬유, 폴리이미드 섬유 및 폴리벤즈티아졸 섬유, 등의 섬유상 충전제, 혹은 풀러렌, 탈크, 월라스토나이트, 제올라이트, 마이카, 클레이, 파이로필라이트, 실리카, 벤토나이트, 아스베스토, 알루미나 실리케이트 등의 규산염, 산화 규소, 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알루미나, 산화지르코늄, 산화티타늄, 산화철 등의 금속 화합물,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돌로마이트 등의 탄산염, 황산칼슘, 황산바륨 등의 황산염, 수산화칼슘, 수산화알루미늄 등의 수산화물, 글래스 비즈, 유리 플레이크, 유리분, 질화붕소, 탄화 규소, 카본 블랙, 흑연 등의 비섬유상의 충전제, 필러, 밀착 부여제, 산화 방지제, 윤활제, 가공 보조제, 착색제, 열 안정제, 인계 안정제, 대전 방지제, 활제, 이형제, 미끄럼 이동재, 자외선 흡수제, 염안료, 보강재, 드립 방지제, 충전재, 난연제 등이 예시된다.
본 개시의 수지 조성물 제조는, 예를 들어 성형용 수지 조성물 등의 수지 조성물을 혼합하기 위해서 통상 사용되는 배합 밀, 밴버리 믹서, 가압 니더, 압출기 등의 혼합기를 사용하여, 통상의 조건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불소 함유 공중합체 (b)의 평균 분산 입자경을 작게 할 수 있는 점에서, 혼합기로서는 2축 압출기가 바람직하고, 2축 압출기의 스크루 구성은 L/D=35 이상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L/D=40 이상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L/D=45 이상이다. 또한, L/D는, 스크루의 유효 길이(L)/스크루 직경(D)이다. 상기의 관점에서, 본 개시의 수지 조성물은, 폴리아릴렌 술파이드 (a) 및 불소 함유 공중합체 (b)를, L/D가 35 이상인 스크루 구성의 2축 압출기로 혼합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이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PAS (a), 불소 함유 공중합체 (b), 및 화합물 (c)를, 용융 상태에서 혼합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PAS (a)와 불소 함유 공중합체 (b)와 화합물 (c)를 충분히 혼련함으로써, 원하는 분산 상태를 갖는 본 개시의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산 상태는 성형품의 부분 방전 개시 전압, 그리고, 성형성(피복재의 형성, 박막 필름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성형품에 있어서 원하는 분산 상태가 얻어지도록, 혼련 방법의 선택은 적절히 행해져야 한다.
본 개시의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PAS (a), 불소 함유 공중합체 (b), 및 화합물 (c)를 적절한 비율로 혼합기에 투입하고, 소망에 따라 상기 다른 성분을 첨가하고, PAS (a) 및 불소 함유 공중합체 (b)의 융점 이상에서 용융 혼련함으로써 제조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용융 혼련 시의 온도로서는, 사용하는 PAS (a), 불소 함유 공중합체 (b)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하면 되지만, 예를 들어 280 내지 360℃인 것이 바람직하다. 혼련 시간으로서는, 통상, 1분 내지 1시간이다. 상기 다른 성분은, PAS (a), 불소 함유 공중합체 (b), 및 화합물 (c)에 미리 첨가해서 혼합해 두어도 되고, PAS (a), 불소 함유 공중합체 (b), 및 화합물 (c)를 배합할 때에 첨가해도 된다.
본 개시의 수지 조성물은, PAS (a), 불소 함유 공중합체 (b), 및 화합물 (c)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또한, 알칼리 금속 원소 및/혹은 알칼리 토류 금속 원소로 이루어지는 금속 잔류물을 함유하고 있거나 또는 함유하지 않은 것이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알칼리 금속 원소 또는 알칼리 토류 금속 원소의 존재하에 용융 혼련을 행한 경우나, 중합 과정에서 과황산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 원소를 갖는 중합 개시제를 사용한 경우 등에 있어서는, 미량의 금속 잔류물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 있지만, 불안정 말단기를 안정화할 목적으로 상기 알칼리 금속 원소 및/또는 알칼리 토류 금속 원소를 적극적으로 첨가할 필요는 없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금속 잔류물」이란, 알칼리 금속 원소 및/혹은 알칼리 토류 금속 원소, 또는 이들의 금속 원소를 갖는 금속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개시의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금속 원소 및/또는 알칼리 토류 금속 원소는, 질량이 상기 수지 조성물에 대해서 0.3% 이하인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칼리 금속 원소 및/또는 알칼리 토류 금속 원소의 농도 바람직한 상한은 0.25%,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0.20%,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0.15%,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0.13%이다. 상기 알칼리 금속 원소 및/또는 알칼리 토류 금속 원소의 질량은, 알칼리 금속 원소와 알칼리 토류 금속 원소의 양쪽을 사용하는 경우, 양자의 합계 질량이다.
상기 알칼리 금속 원소 및/또는 알칼리 토류 금속 원소의 함유량은, ICP 발광 분광 분석법에 의해 측정하여 얻어진 값이다.
본 개시의 수지 조성물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시트상; 필름상; 로드상; 파이프상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수지 조성물은, 인장 강도가 우수하다는 점에서, 시트상, 필름상의 성형체에 특히 적합하다. 시트상, 필름상의 성형체는, 예를 들어 전선, 도선 커버, 화장실 용품, 배수품 등의 용도에 적합하다.
본 개시의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지는 성형체는, 내충격성, 인장 특성, 굽힘 특성 등의 기계 물성 및 발수성이 우수함과 함께, 내열성, 내약품성, 내용제성, 강도, 강성, 약품 저투과성, 치수 안정성, 난연성, 전기 특성 및 내구성에도 우수하다. 그 때문에, 상기 특성이 요구되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기 전자·반도체 분야에 있어서는, CMP 리테이너 링, 에칭 링, 실리콘 웨이퍼 캐리어, IC 칩 트레이 등의 반도체·액정 제조 장치 부품, 절연 필름, 소형 단추형 전지, 케이블 커넥터,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 본체 케이스; 자동차 분야에 있어서는, 스러스트 와셔, 오일 필터, 오토 에어 컨트롤 유닛의 기어, 스로틀 보디의 기어, ABS 부품, AT 시일 링, MT 시프트 포크 퍼트, 베어링, 시일, 클러치 링; 산업 분야에 있어서는, 컴프레서 부품, 대량 수송 시스템의 케이블, 컨베이어 벨트 체인, 유전 개발 기계용 커넥터, 수압 구동 시스템의 펌프 부품(베어링, 포트 플레이트, 피스톤의 볼 조인트); 항공 우주 분야에 있어서는, 항공기의 캐빈 내장 부품, 연료 파이프 보호재; 및 식품·음료 제조 설비 부품이나 의료 기구 부품(멸균 기구, 가스·액체 크로마토그래프)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체는, 강도가 우수하다는 점에서, 태양 전지용 백시트로서도 적합하다. 또한, 발수성의 필름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개시의 수지 조성물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개시의 수지 조성물은 이러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카르보닐기를 갖는 관능기의 수>
불소 함유 공중합체 (b)의 백색 분말 또는 불소 함유 공중합체 (b)의 용융 압출 펠릿의 절단편을 실온에서 압축 성형하고, 두께 50 내지 200㎛의 필름을 작성하고, 이 필름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 분석에 의해, 카르보닐기를 함유하는 관능기 유래의 피크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하기 식에 의해 불소 함유 공중합체 (b)를 이루는 중합체의 주쇄 탄소수 106개당 카르보닐기를 함유하는 관능기의 개수 N을 산출한다.
N=500AW/εdf
A: 카르보닐기를 함유하는 관능기 유래의 피크의 흡광도
ε: 카르보닐기를 함유하는 관능기 유래의 피크의 몰 흡광도 계수
W: 불소 함유 공중합체 (b)의 조성으로부터 계산되는 단량체의 평균 분자량
d: 필름의 밀도(g/㎤)
f: 필름의 두께(㎜)
또한, 적외 흡수 스펙트럼 분석에는, Perkin-Elmer FTIR 스펙트로미터(퍼킨엘머사제)를 사용하였다. 필름의 두께는 마이크로미터로 측정하였다.
<용융 유량(MFR)>
ASTM D 1238에 준거하여, 표 1에 기재된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얻어진 펠릿을, 멜트인덱서를 사용하여, 300℃에서, 예열 시간 5분 후에, 2.16㎏ 하중하에서 내경 2.09㎜, 길이 8㎜의 노즐로부터 10분간당 유출되는 폴리머의 질량(g/10min)을 구하였다.
<평균 분산 입자경의 산출>
용융 혼련하여 얻어진 수지 조성물의 스트랜드를 마이크로톰(Leica제)의 시료 홀더에 고정하고, 절편을 잘라내었다. 얻어진 절편의 단면을 레이저 현미경(키엔스사제)을 사용하여 관찰을 행하였다. 얻어진 화상을 화상 해석 소프트웨어(Image J)를 사용하여 분산상을 선택하고, 평균 분산 입자경을 구하였다. 또한, MFR 측정 후의 수지 조성물의 스트랜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분산상의 평균 분산 입자경을 구하였다. 분산상 20개분의 분산 입자경을 산출하고, 이것을 평균하여 평균 분산 입자경(MFR 전) 및 평균 분산 입자경(MFR 후)으로 하였다.
<샤르피 충격 강도>
사출 성형기를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320℃, 금형 온도 130℃의 조건에서 제작한 시험편(127㎜×12.7㎜×3.2㎜)에 2.5㎜의 노치 가공을 실시하고, ASTM D 6110에 준거한 방법으로, 충격 시험기에 의해 샤르피 충격 강도를 측정하였다. 각 수준으로 각각 5회 측정하고, 얻어진 수치를 평균함으로써 샤르피 충격 강도의 값으로 하였다.
<굽힘 탄성률 및 굽힘 강도>
사출 성형기를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320℃, 금형 온도 130℃의 조건에서 제작한 시험편(127㎜×12.7㎜×3.2㎜)을 사용하여, ASTM D 790에 준거하고, 만능 재료 시험기에 의해 측정하였다. 측정 조건은, 시험 속도 2㎜/min에서 행하였다. 각 수준으로 각각 5회 측정하고, 얻어진 수치를 평균함으로써 굽힘 탄성률 및 굽힘 강도의 값으로 하였다.
<인장 파단 강도 및 인장 파단 신도>
사출 성형기를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320℃, 금형 온도 130℃의 조건에서 제작한 덤벨편(ASTM 타입 V형)을 사용하여, ASTM D 638에 준거한 방법으로, 시험 속도 10㎜/min, 초기의 척간 거리를 25.4㎜로 하고, 인장 파단 강도 및 인장 파단 신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인장 파단 신도는, (초기의 척간 거리로부터의 이동 거리)/25.4(초기의 척간 거리)로 산출하였다. 각 수준으로 각각 5회 측정하고, 얻어진 수치를 평균함으로써 인장 파단 강도 및 인장 파단 신도의 값으로 하였다.
<표면 조도 Ra>
사출 성형기를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320℃, 금형 온도 130℃의 조건에서 제작한 시험편(127㎜×12.7㎜×3.2㎜)을 사용하여, 표면 조도 측정기(Mitutoyo사제SURFTEST SV-600)를 사용하고, JIS B 0601-1994에 준거하여, 측정 점수 5점의 측정을 3회 반복하고, 얻어진 측정값을 평균하여 표면 조도 Ra를 산출하였다. 또한, 측정부는 시험편의 반 게이트측이며, 127㎜×12.7㎜를 형성하는 면으로 하고, 게이트부에서의 거리를 100㎜로 하여, 그 중앙부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하기의 재료를 사용하였다.
폴리아릴렌 술파이드 (1): 폴리페닐렌 술피드(DIC 가부시키가이샤제 「MA-520」, MFR: 66g/10분(300℃, 2.16㎏))
불소 함유 공중합체 (1):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조성 질량비: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87.5/12.5, MFR: 3.7g/10분(300℃, 2.16㎏), MFR: 23g/10분(372℃, 5.0㎏), 카르보닐기를 갖는 관능기의 수:카르복시기가 탄소수 1×106개에 대해서 34개, 할로포르밀기 28개)
불소 함유 공중합체 (2):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퍼플루오로(프로필비닐에테르) 공중합체(조성 질량비: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퍼플루오로(프로필비닐에테르)=87.3/11.5/1.2, MFR: 5.6g/10분(300℃, 2.16㎏), MFR: 37g/10분(372℃, 5.0㎏), 카르보닐기를 갖는 관능기의 수: 카르복시기가 탄소수 1×106개에 대해서 398개, 할로포르밀기 0개)
불소 함유 공중합체 (3):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프로필비닐에테르) 공중합체(조성 질량비: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프로필비닐에테르)=95.5/4.5, MFR: 15g/10분(372℃, 5.0㎏), 카르보닐기를 갖는 관능기의 수: 카르복시기가 탄소수 1×106개에 대해서 10개, 할로포르밀기 19개, 알콕시카르보닐기 58개)
상용화제 (A-1):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스미토모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BF-E」,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함유량 12질량%), 유리 전이 온도 -26℃
상용화제 (A-2):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산 메틸 공중합체(스미토모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BF-7M」,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함유량 6질량%, 아크릴산 메틸 함유량 27질량%), 유리 전이 온도 -33℃
상용화제 (A-3):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스미토모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BF-7B」,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함유량 12질량%, 아세트산 비닐 함유량 5질량%), 유리 전이 온도 -28℃
상용화제 (B-1): 이소시아네이트 실란(신에츠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KBE-9007」)
상용화제 (B-2): 에폭시 실란(신에츠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KBM-403」)
상용화제 (B-3): 아미노 실란(신에츠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KBE-903」)
상용화제 (C): 타프머(미츠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MH-7020」)
<실시예 1>
폴리아릴렌 술파이드 (1), 불소 함유 공중합체 (2) 및 상용화제 (A-1)을 표 1에 나타내는 비율(질량부)로 예비 혼합을 행하고, 2축 압출기(φ15㎜, L/D=60)를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300℃, 스크루 회전수 300rpm의 조건하에서 용융 혼련하고, 수지 조성물의 펠릿(및 스트랜드)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수지 조성물의 펠릿(및 스트랜드)에 대하여, 상기 방법으로, MFR, 수지 조성물 중의 분산상의 평균 분산 입자경, 샤르피 충격 강도, 굽힘 탄성률, 굽힘 강도, 인장 파단 강도, 인장 파단 신도, 표면 조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내지 3>
상용화제 (A-1) 대신에 상용화제 (A-2) 또는 (A-3)을 사용하고, 폴리아릴렌 술파이드 (1), 불소 함유 공중합체 (2) 및 상용화제 (A-2) 또는 (A-3)의 비율(질량부)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지 조성물의 펠릿(및 스트랜드)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수지 조성물의 펠릿(및 스트랜드)에 대하여, 상기 방법으로, MFR, 수지 조성물 중의 분산상의 평균 분산 입자경, 샤르피 충격 강도, 굽힘 탄성률, 굽힘 강도, 인장 파단 강도, 인장 파단 신도, 표면 조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및 6>
불소 함유 공중합체 (2) 대신에 불소 함유 공중합체 (1)을 사용하고, 폴리아릴렌 술파이드 (1), 불소 함유 공중합체 (1) 및 상용화제 (A-1)과의 비율(질량부)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지 조성물의 펠릿(및 스트랜드)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수지 조성물의 펠릿(및 스트랜드)에 대하여, 상기 방법으로, MFR, 수지 조성물 중의 분산상의 평균 분산 입자경, 샤르피 충격 강도, 굽힘 탄성률, 굽힘 강도, 인장 파단 강도, 인장 파단 신도, 표면 조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5>
불소 함유 공중합체 (2) 대신에 불소 함유 공중합체 (3)을 사용하고, 폴리아릴렌 술파이드 (1), 불소 함유 공중합체 (3) 및 상용화제 (A-1)과의 비율(질량부)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지 조성물의 펠릿(및 스트랜드)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수지 조성물의 펠릿(및 스트랜드)에 대하여, 상기 방법으로, MFR, 수지 조성물 중의 분산상의 평균 분산 입자경, 샤르피 충격 강도, 굽힘 탄성률, 굽힘 강도, 인장 파단 강도, 인장 파단 신도, 표면 조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폴리아릴렌 술파이드 (1)에 대하여, 상기 방법으로, MFR, 샤르피 충격 강도, 굽힘 탄성률, 굽힘 강도, 인장 파단 강도, 인장 파단 신도, 표면 조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상용화제를 사용하지 않고, 불소 함유 공중합체 (2) 대신에 불소 함유 공중합체 (1)을 사용하고, 폴리아릴렌 술파이드 (1) 및 불소 함유 공중합체 (1)과의 비율(질량부)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지 조성물의 펠릿(및 스트랜드)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수지 조성물의 펠릿(및 스트랜드)에 대하여, 상기 방법으로, MFR, 수지 조성물 중의 분산상의 평균 분산 입자경, 샤르피 충격 강도, 굽힘 탄성률, 굽힘 강도, 인장 파단 강도, 인장 파단 신도, 표면 조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3>
상용화제를 사용하지 않고, 폴리아릴렌 술파이드 (1) 및 불소 함유 공중합체 (2)과의 비율(질량부)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지 조성물의 펠릿(및 스트랜드)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수지 조성물의 펠릿(및 스트랜드)에 대하여, 상기 방법으로, MFR, 수지 조성물 중의 분산상의 평균 분산 입자경, 샤르피 충격 강도, 굽힘 탄성률, 굽힘 강도, 인장 파단 강도, 인장 파단 신도, 표면 조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4 내지 7>
불소 함유 공중합체 (2) 대신에 불소 함유 공중합체 (1)을 사용하고, 상용화제 (A-1) 대신에 상용화제 (B-1), (B-2), (B-3) 또는 (C)를 사용하고, 폴리아릴렌 술파이드 (1), 불소 함유 공중합체 (1) 및 각 상용화제와의 비율(질량부)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지 조성물의 펠릿(및 스트랜드)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수지 조성물의 펠릿(및 스트랜드)에 대하여, 상기 방법으로, MFR, 수지 조성물 중의 분산상의 평균 분산 입자경, 샤르피 충격 강도, 굽힘 탄성률, 굽힘 강도, 인장 파단 강도, 인장 파단 신도, 표면 조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20136709776-pct00001

Claims (12)

  1. 폴리아릴렌 술파이드 (a), 불소 함유 공중합체 (b), 및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 (c)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이며,
    상기 폴리아릴렌 술파이드 (a)와 상기 불소 함유 공중합체 (b)의 질량비 (a):(b)가 99:1 내지 40:60이며,
    상기 화합물 (c)를, 폴리아릴렌 술파이드 (a) 및 불소 함유 공중합체 (b)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서, 0.1 내지 35질량부로 포함하고,
    ASTM D 638에 준거한 방법으로 측정한 인장 파단 신도가 15% 이상이며,
    상기 화합물 (c)는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산 메틸 공중합체,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체, 및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ASTM D 6110에 준거한 방법으로 측정한 샤르피 충격 강도가 5.5kJ/㎡ 이상인, 수지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JIS B 0601-1994에 준거한 방법으로 측정한 표면 조도 Ra가 0.10㎛ 이하인, 수지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 함유 공중합체 (b)는, 전체 중합 단위에 대해서, 75질량% 이상의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 기초하는 중합 단위와, 1질량% 이상의,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및 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에 기초하는 중합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이며,
    카르보닐기를 탄소수 1×106개에 대해서 5 내지 500개 갖는, 수지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 함유 공중합체 (b)는,
    전체 중합 단위에 대해서, 98 내지 80질량%의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 기초하는 중합 단위와, 2 내지 20질량%의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에 기초하는 중합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b1),
    전체 중합 단위에 대해서, 98 내지 85질량%의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 기초하는 중합 단위와, 2 내지 15질량%의 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에 기초하는 중합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b2), 및
    전체 중합 단위에 대해서, 95 내지 77질량%의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 기초하는 중합 단위와, 5 내지 18질량%의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에 기초하는 중합 단위와, 0질량% 초과 5질량% 이하의 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에 기초하는 중합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b3)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수지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 (c)는,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함유량이 1 내지 20질량%인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인, 수지 조성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 함유 공중합체 (b)는, 300℃에 있어서의 용융 유량이 0.1 내지 100g/10분인, 수지 조성물.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 함유 공중합체 (b)는, 372℃에 있어서의 용융 유량이 0.1 내지 100g/10분인, 수지 조성물.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릴렌 술파이드 (a)가 연속상을 형성하고, 상기 불소 함유 공중합체 (b)가 분산상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 함유 공중합체 (b)는, 평균 분산 입자경이 0.01 내지 5㎛인, 수지 조성물.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300℃에 있어서의 용융 유량이 1 내지 200g/10분인, 수지 조성물.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372℃에 있어서의 용융 유량이 1 내지 200g/10분인, 수지 조성물.
KR1020207036294A 2018-05-25 2019-05-23 수지 조성물 KR1024428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00751 2018-05-25
JP2018100751 2018-05-25
PCT/JP2019/020432 WO2019225694A1 (ja) 2018-05-25 2019-05-23 樹脂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558A KR20210010558A (ko) 2021-01-27
KR102442843B1 true KR102442843B1 (ko) 2022-09-14

Family

ID=68617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6294A KR102442843B1 (ko) 2018-05-25 2019-05-23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206970A1 (ko)
EP (1) EP3789458A4 (ko)
JP (1) JP7082303B2 (ko)
KR (1) KR102442843B1 (ko)
CN (1) CN112189034B (ko)
TW (1) TW202003699A (ko)
WO (1) WO20192256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08723A4 (en) * 2020-03-10 2024-03-20 Daikin Ind Ltd RESIN COMPOSITION, MOLDED BODY AND METHOD FOR PRODUCING A MOLDED BODY
JP2021160148A (ja) * 2020-03-31 2021-10-11 日鉄ケミカル&マテリアル株式会社 樹脂フィルム、金属張積層板及び回路基板
CN116367999A (zh) * 2020-10-29 2023-06-30 Dic株式会社 聚亚芳基硫醚树脂组合物、以及使用其的双轴拉伸膜和层叠体
CN116669954A (zh) * 2021-01-07 2023-08-29 Dic株式会社 聚芳硫醚树脂组合物、以及使用其的双轴拉伸膜和层叠体
CN116848151A (zh) * 2021-02-26 2023-10-03 大金工业株式会社 含氟共聚物
WO2022181849A1 (ja) * 2021-02-26 2022-09-0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含フッ素共重合体
US20230018202A1 (en) * 2021-07-16 2023-01-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olyphenylene sulfide or polyphenylene sulfide alloy impact-resistant fuel quick connector
CN114479462A (zh) * 2021-12-30 2022-05-13 昆山科运新型工程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玻纤/聚酰亚胺纤维复合增强高分子合金的制备方法及其产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38191A (ja) * 2013-07-19 2015-02-2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組成物及び絶縁電線
JP2015110732A (ja) * 2013-10-31 2015-06-18 東レ株式会社 ポリフェニレンスルフィド樹脂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51757A (en) 1978-05-19 1979-11-29 Hitachi Ltd Sealing device for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CN85100490B (zh) 1985-04-01 1985-10-10 中国科学院上海有机化学研究所 氟塑料合金、制造及应用
US5710205A (en) * 1992-09-10 1998-01-20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 Composition of fluoropolymers
JP3596100B2 (ja) * 1995-04-12 2004-12-02 Jsr株式会社 熱可塑性耐熱樹脂組成物
JP3887024B2 (ja) * 1996-11-14 2007-02-28 旭硝子株式会社 エチレン―テトラフルオロエチレン系共重合体のポリマーアロイ
JP3829885B2 (ja) * 1997-06-18 2006-10-04 旭硝子株式会社 有機オニウム化合物含有樹脂組成物
JPH11201304A (ja) * 1998-01-12 1999-07-30 Ntn Corp 切換弁および樹脂製部品
JP4223089B2 (ja) 1998-03-19 2009-02-12 Agcマテックス株式会社 樹脂組成物
DE10108347A1 (de) 2001-02-21 2002-08-29 Nexans France S A Polymermischung
DE602004019250D1 (de) * 2003-11-21 2009-03-12 Cheil Ind Inc Thermoplastische polyphenylensulfidharzzusammensetzung
KR100566507B1 (ko) * 2003-11-21 2006-03-31 제일모직주식회사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2006328195A (ja) 2005-05-25 2006-12-07 Daikin Ind Ltd 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燃料容器
JP5279294B2 (ja) * 2007-02-21 2013-09-04 旭化成イー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高耐久性を有する高分子電解質組成物
DE102007038929B4 (de) 2007-08-13 2010-01-14 Leibniz-Institut Für Polymerforschung Dresden E.V. Polyphenylensulfid-(Per-)Fluorpolymer-Materialien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Verwendung
CN103370527B (zh) * 2010-12-22 2017-07-14 提克纳有限责任公司 具有复杂三维构造的高温导管
US9765219B2 (en) * 2012-04-13 2017-09-19 Ticona Llc Polyarylene sulfide components for heavy duty trucks
JP2014105258A (ja) 2012-11-27 2014-06-09 Hitachi Ltd 押出成形用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該樹脂組成物を用いた絶縁電線
JP5733470B2 (ja) * 2013-01-23 2015-06-10 東レ株式会社 ポリフェニレンスルフィド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成形品
CN106103919B (zh) * 2014-03-25 2019-04-30 Ntn株式会社 密封圈
JP6364858B2 (ja) * 2014-03-26 2018-08-01 東ソー株式会社 ポリアリーレンスルフィド組成物
JP6586792B2 (ja) 2014-07-07 2019-10-09 Agc株式会社 ポリフェニレンスルフィド組成物および成形品
CN104927355A (zh) * 2015-05-19 2015-09-23 赵国平 一种聚苯硫醚、聚四氟乙烯和玻璃纤维布膜状三元复合材料的制备方法
US10889714B2 (en) * 2016-01-26 2021-01-12 Toray Industries, Inc. Polyphenylene sulfide resin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CN107892813A (zh) * 2017-12-26 2018-04-10 广西金邦泰科技有限公司 一种除尘布袋的制备材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38191A (ja) * 2013-07-19 2015-02-2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組成物及び絶縁電線
JP2015110732A (ja) * 2013-10-31 2015-06-18 東レ株式会社 ポリフェニレンスルフィド樹脂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89458A1 (en) 2021-03-10
JP7082303B2 (ja) 2022-06-08
CN112189034B (zh) 2023-08-25
WO2019225694A1 (ja) 2019-11-28
EP3789458A4 (en) 2022-03-09
KR20210010558A (ko) 2021-01-27
JPWO2019225694A1 (ja) 2021-05-27
TW202003699A (zh) 2020-01-16
CN112189034A (zh) 2021-01-05
US20210206970A1 (en)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2843B1 (ko) 수지 조성물
US10611909B2 (en)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KR100244882B1 (ko)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그의 제조방법 및 용도
EP2778199B1 (en)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EP3115176A1 (en) Method for melt molding of vinylidene fluoride resin, and melt molded product of vinylidene fluoride resin
US6121353A (en) Polymer alloy of an ethylene-tetrafluoroethylene copolymer
JP4742525B2 (ja) ポリフェニレンスルフィド樹脂組成物
JP5103763B2 (ja) 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JP5131014B2 (ja) 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JP7312657B2 (ja) 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CN1882658B (zh) 聚苯硫醚热塑性树脂组合物
JP2011057719A (ja) 高性能ポリフェニレンスルフィド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0890616A1 (en) Resin composition
WO2005049732A1 (en) Polyphenylene sulfid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JP5103762B2 (ja) 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JP2685976B2 (ja) ポリアリーレンサルファイド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法
TW202402926A (zh) 乙烯系聚合體組成物及其用途
JP2016044204A (ja) ポリプロピレンカーボネートを含む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3066346A (ja) ポリフェニレンスルフィド樹脂組成物、成形品および成形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