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2173B1 - 복합 한약재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로회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복합 한약재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로회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2173B1
KR102442173B1 KR1020220010132A KR20220010132A KR102442173B1 KR 102442173 B1 KR102442173 B1 KR 102442173B1 KR 1020220010132 A KR1020220010132 A KR 1020220010132A KR 20220010132 A KR20220010132 A KR 20220010132A KR 102442173 B1 KR102442173 B1 KR 102442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fermented
functional food
health
food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0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민
권오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오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오사이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오사이언스
Priority to KR1020220010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1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1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omfort perception and well-be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복합 한약재료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면역증진, 정신건강증진, 육체 피로회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침향, 당귀, 산수유, 구기자, 용안육 및 산사를 포함하는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침향의 함량은 11.90∼16.10 wt% 이고, 상기 당귀의 함량은 19.55∼26.45 wt%이고, 상기 산수유의 함량은 6.80∼9.20 wt%이고, 상기 구기자의 함량은 13.60∼18.40 wt%이고, 상기 용안육의 함량은 19.55∼26.45 wt%이고, 상기 산사의 함량은 13.60∼18.40 wt%일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 한약재료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면역력 증진, 육체 및 정신피로 회복, 뇌기능 등 정신건강 개선, 혈액순환 개선, 심혈관 질환 등 성인병 예방, 항산화 및 항노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Composite herbal ingredient extract and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enhancing immunity, enhancing mental health, physical fatigue recovery, improving mental health such as brain function, improving blood circulation, preventing adult diseases such as cardiovascular disease, anti-oxidant and anti-aging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체의 건강 증진을 위한 추출물 및 이를 적용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합 한약재료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면역증진, 정신건강증진, 육체 피로회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 질병의 양상은 크게 변화되어, 심혈관계 질환, 암, 뇌졸중 등이 주요 사망 원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급격한 인구 고령화에 따라 심혈관계 질환과 암이 증가하였음은 물론이고 뇌졸중과 함께 치매의 발생도 현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부위의 만성적인 노인성, 퇴행성 질환들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식생활 변화에 따른 패스트 푸드, 인스턴트 푸드 위주의 식습관으로 인해 심혈관계 질환을 위시한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동맥 경화 등의 성인병들은 이미 일반적인 질환이 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청년, 장년, 노년층을 불문하고 전 연령층에서 스트레스로 인한 수면장애, 우울증 등으로 정신 건강 측면에서도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과학의 발전을 통하여 수명은 연장되었고 의식주의 물질적인 삶은 풍요로워졌지만, 인류는 여전히 기존의 육체피로, 면역저하의 문제를 겪고 있을 뿐 아니라 심혈관 질환이나 성인병적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대부분의 연령층이 스트레스로 인한 정신 건강의 문제를 어느 정도는 보유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소위 정신적 피로는 정신건강을 해치는 주원인일 뿐 아니라 육체피로, 면역저하는 물론 암, 성인병과도 긴밀한 관계가 있으며 뇌졸중, 치매, 파킨슨병 등의 뇌질환과도 연결되어 있다.
대부분의 현대인들은 건강관리를 위해 비타민제나 미네랄 보충을 위한 영양제 또는 홍삼 제품 등을 복용하고 있다. 한방 제품으로는 대표적인 보약 제품으로 공진단, 경옥고 등과 같은 의약적 제품(또는 건강기능식품)이 알려져 있는데, 이들은 주로 기ㆍ혈을 보강하고 인체의 균형을 맞춰주는 약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보약 제품은 현대인들에게 있어서, 피로회복, 기력보강, 면역력증강, 혈액순환 등의 효능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밖에 건강증진을 위해 기존에 제조 및 판매되고 있는 건강기능식품들의 주요 효능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한방 제품들은 그 기능성에 있어서 앞서 언급한 현대사회 질병 양상의 변화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는 한계와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육체피로는 물론, 정신피로, 뇌 피로 회복에 도움을 주고 정신 건강 증진을 도모하며 아울러 심혈관계 기능에도 효능을 발휘할 수 있는 의약적 식품(제품)으로서, 현대인의 질병 양상 변화에 대응하여 건강 관리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육체피로 회복은 물론 정신피로 회복, 뇌 기능 강화에 도움을 주고 정신 건강 증진을 도모하며 아울러 심혈관계 기능에 효능을 발휘할 수 있고 혈액순환 기능 개선, 면역력 강화,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갖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서, 현대인의 질병 양상 변화에 대응하여 건강 관리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복합 한약재료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로회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침향, 당귀, 산수유, 구기자, 용안육 및 산사를 포함하는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침향의 함량은 약 11.90∼16.10 wt% 이고, 상기 당귀의 함량은 약 19.55∼26.45 wt% 이고, 상기 산수유의 함량은 약 6.80∼9.20 wt% 이고, 상기 구기자의 함량은 약 13.60∼18.40 wt% 이고, 상기 용안육의 함량은 약 19.55∼26.45 wt% 이고, 상기 산사의 함량은 약 13.60∼18.40 wt% 인, 피로회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침향의 함량은 약 12.88∼15.12 wt% 일 수 있고, 상기 당귀의 함량은 21.16∼24.84 wt% 일 수 있고, 상기 산수유의 함량은 약 7.36∼8.64 wt% 일 수 있고, 상기 구기자의 함량은 약 14.72∼17.28 wt% 일 수 있고, 상기 용안육의 함량은 약 21.16∼24.84 wt% 일 수 있고, 상기 산사의 함량은 약 14.72∼17.28 wt% 일 수 있다.
상기 침향, 당귀, 산수유, 구기자, 용안육 및 산사 각각은 해당 약재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복합 추출물은 침향, 당귀, 산수유, 구기자, 용안육 및 산사를 구비하는 약재 혼합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피로회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녹용 발효물 및 홍삼 발효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로회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복합 추출물 함량은 상기 복합 추출물, 상기 녹용 발효물 및 상기 홍삼 발효물의 총량 대비 약 42.5∼57.5 wt% 정도일 수 있다.
상기 피로회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녹용 발효물의 함량은 상기 복합 추출물, 상기 녹용 발효물 및 상기 홍삼 발효물의 총량 대비 약 9.35∼12.65 wt% 일 수 있고, 상기 홍삼 발효물의 함량은 약 33.15∼44.85 wt% 일 수 있다.
상기 피로회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복합 추출물, 상기 녹용 발효물 및 상기 홍삼 발효물의 총량 대비 상기 침향의 함량은 약 5.95∼8.05 wt% 일 수 있고, 상기 당귀의 함량은 약 9.78∼13.23 wt% 일 수 있고, 상기 산수유의 함량은 약 3.40∼4.60 wt% 일 수 있고, 상기 구기자의 함량은 약 6.80∼9.20 wt% 일 수 있고, 상기 용안육의 함량은 약 9.78∼13.23 wt% 일 수 있고, 상기 산사의 함량은 약 6.80∼9.20 wt% 일 수 있다.
상기 피로회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복합 추출물, 상기 녹용 발효물 및 상기 홍삼 발효물의 총량 대비 상기 침향의 함량은 약 6.44∼7.56 wt% 일 수 있고, 상기 당귀의 함량은 약 10.58∼12.42 wt% 일 수 있고, 상기 산수유의 함량은 약 3.68∼4.32 wt% 일 수 있고, 상기 구기자의 함량은 약 7.36∼8.64 wt% 일 수 있고, 상기 용안육의 함량은 약 10.58∼12.42 wt% 일 수 있고, 상기 산사의 함량은 약 7.36∼8.64 wt% 일 수 있고, 상기 녹용 발효물의 함량은 약 10.12∼11.88 wt% 일 수 있고, 상기 홍삼 발효물의 함량은 약 35.88∼42.12 wt%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육체피로 회복은 물론 정신피로 회복, 뇌 기능 강화에 도움을 주고 정신 건강 증진을 도모하며 아울러 심혈관계 기능에 효능을 발휘할 수 있고 혈액순환 기능 개선, 면역력 강화,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갖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서, 현대인의 질병 양상 변화에 대응하여 건강 관리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복합 한약재료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로회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육체피로 회복에는 녹용 발효물, 홍삼 발효물, 산수유, 구기자, 당귀, 용안육이 효능을 줄 수 있고, 정신피로 회복 및 뇌 기능 강화에는 녹용 발효물, 홍삼 발효물, 침향, 용안육, 구기자, 산사가 효능을 줄 수 있고, 면역력 강화에는 녹용 발효물, 홍삼 발효물, 산수유, 구기자, 당귀, 용안육이 효능을 줄 수 있고, 항노화 및 항산화에는 녹용 발효물, 홍삼 발효물, 산사, 구기자, 당귀가 효능을 줄 수 있으며, 심혈관계 기능 개선, 혈액순환 개선 및 고지혈증 개선에는 녹용 발효물, 홍삼 발효물, 당귀, 산사가 효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현대인의 질병 양상에 따른 가장 적절한 약재들을 선택하고 적절히 배합함으로써 목적하는 다양한 효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한의학적으로도 기(氣), 혈(血), 음(陰), 양(陽)을 균형 있게 보강함으로써, 현대인의 건강 증진 및 건강 관리에 상당한 도움이 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표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의 용어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언급한 형상, 단계,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단계,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약", "실질적으로" 등의 정도의 용어는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 오차를 감안하여, 그 수치나 정도의 범주 또는 이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아래의 표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추출물을 구성하는 원료 및 각 원료의 함량(배합비율)을 정리한 것이다.
Figure 112022008852731-pat00001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추출물은 침향, 당귀, 산수유, 구기자, 용안육 및 산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합 추출물에서 상기 침향의 함량은 약 11.90∼16.10 wt% 정도일 수 있다. 상기 당귀의 함량은 약 19.55∼26.45 wt% 정도일 수 있다. 상기 산수유의 함량은 약 6.80∼9.20 wt% 정도일 수 있다. 상기 구기자의 함량은 약 13.60∼18.40 wt% 정도일 수 있다. 상기 용안육의 함량은 약 19.55∼26.45 wt% 정도일 수 있다. 상기 산사의 함량은 약 13.60∼18.40 wt% 정도일 수 있다. 여기서, 각 원료의 '함량'은 상기 침향, 당귀, 산수유, 구기자, 용안육 및 산사의 총량 대비 각 원료의 함량(wt%)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침향, 당귀, 산수유, 구기자, 용안육 및 산사 각각은 해당 약재로부터 추출된 추출물 형태로 상기 복합 추출물에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복합 추출물은 침향 추출물, 당귀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 용안육 추출물 및 산사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 추출물은 침향, 당귀, 산수유, 구기자, 용안육 및 산사를 구비하는 약재 혼합물(예컨대, 생약재 혼합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합 추출물은 '복합 약재 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 약재 추출물은 '농축액'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합 추출물은 '복합 약재 추출물 농축액'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복합 추출물은 액상이 아닌 분말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침향, 당귀, 산수유, 구기자, 용안육 및 산사 각각의 약재를 잘게 썰어 건조한 후 혼합하여 중탕기에서 중탕 방식으로 액상(즉, 추출물)을 추출할 수 있고, 소정의 농축기에서 상기 추출된 액상을 농축함으로써, 추출물 농축액(즉, 상기 복합 약재 추출물 농축액)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추출물 농축액을 열풍 건조 방식으로 건조한 후 분말화할 수도 있다. 그러나, 여기서 설명한 액상 추출 및 농축 방식 등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침향, 당귀, 산수유, 구기자, 용안육 및 산사 중 적어도 하나는 추출물 형태가 아닌 약재(생약재)를 가루화한 형태로 상기 복합 추출물에 포함될 수도 있다.
표 1에서 상기 복합 추출물을 구성하는 원료들의 보다 바람직한 함량(배합비율)은 아래의 표 2와 같을 수 있다.
Figure 112022008852731-pat00002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합 추출물에서 상기 침향의 함량은 약 12.88∼15.12 wt% 정도일 수 있고, 상기 당귀의 함량은 약 21.16∼24.84 wt% 정도일 수 있고, 상기 산수유의 함량은 약 7.36∼8.64 wt% 정도일 수 있고, 상기 구기자의 함량은 약 14.72∼17.28 wt% 정도일 수 있고, 상기 용안육의 함량은 약 21.16∼24.84 wt% 정도일 수 있으며, 상기 산사의 함량은 약 14.72∼17.28 wt% 정도일 수 있다.
표 2에서 상기 복합 추출물을 구성하는 원료들의 함량(배합비율)을 보다 구체적인 예로 한정하면, 아래의 표 3과 같을 수 있다.
Figure 112022008852731-pat00003
표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합 추출물에서 상기 침향의 함량은 약 14 ± 0.3 wt% 정도일 수 있고, 상기 당귀의 함량은 약 23 ± 0.3 wt% 정도일 수 있고, 상기 산수유의 함량은 약 8 ± 0.3 wt% 정도일 수 있고, 상기 구기자의 함량은 약 16 ± 0.3 wt% 정도일 수 있고, 상기 용안육의 함량은 약 23 ± 0.3 wt% 정도일 수 있으며, 상기 산사의 함량은 약 16 ± 0.3 wt% 정도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복합 추출물에서 상기 침향의 함량은 약 14 wt% 정도일 수 있고, 상기 당귀의 함량은 약 23 wt% 정도일 수 있고, 상기 산수유의 함량은 약 8 wt% 정도일 수 있고, 상기 구기자의 함량은 약 16 wt% 정도일 수 있고, 상기 용안육의 함량은 약 23 wt% 정도일 수 있으며, 상기 산사의 함량은 약 16 wt% 정도일 수 있다.
아래의 표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구성하는 원료 및 각 원료의 함량(배합비율)을 정리한 것이다.
Figure 112022008852731-pat00004
표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앞서 표 1 내지 표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복합 추출물과 녹용 발효물 및 홍삼 발효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합 추출물에서 침향, 당귀, 산수유, 구기자, 용안육 및 산사의 함량비는 표 1 내지 표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복합 추출물과 상기 녹용 발효물 및 상기 홍삼 발효물의 총량 대비 상기 복합 추출물의 함량은 약 42.5∼57.5 wt% 정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복합 추출물과 상기 녹용 발효물 및 상기 홍삼 발효물의 총량 대비 상기 녹용 발효물의 함량은 약 9.35∼12.65 wt% 정도일 수 있고, 상기 홍삼 발효물의 함량은 약 33.15∼44.85 wt% 정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복합 추출물과 상기 녹용 발효물 및 상기 홍삼 발효물의 총량 대비 상기 침향의 함량은 약 5.95∼8.05 wt% 정도일 수 있고, 상기 당귀의 함량은 약 9.78∼13.23 wt% 정도일 수 있고, 상기 산수유의 함량은 약 3.40∼4.60 wt% 정도일 수 있고, 상기 구기자의 함량은 약 6.80∼9.20 wt% 정도일 수 있고, 상기 용안육의 함량은 약 9.78∼13.23 wt% 정도일 수 있으며, 상기 산사의 함량은 약 6.80∼9.20 wt% 정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침향, 당귀, 산수유, 구기자, 용안육 및 산사 각각의 함량 범위는, 상기 복합 추출물을 100 중량부로 보았을 때를 기준으로, 표 1의 함량 범위와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녹용 발효물 및 상기 홍삼 발효물은 분말이나 액상 형태 또는 추출물 형태로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합 추출물(ex, 복합 약재 추출물)을 마련한 후, 상기 녹용 발효물(또는 그 추출물) 및 상기 홍삼 발효물(또는 그 추출물)을 상기 복합 추출물에 첨가 및 혼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녹용 발효물 및 상기 홍삼 발효물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침향, 당귀, 산수유, 구기자, 용안육 및 산사와 함께 중탕되어 액상으로 추출되고 농축기에서 농축될 수 있고, 이후, 열풍 건조에 의해 분말화될 수도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열풍 건조 방식으로 분말화된 분말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이러한 분말을 연질캡슐화함으로써 캡슐 형태의 의약적 제품(식품)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캡슐 형태 뿐 아니라, 환이나 액상 등의 의약적 제품(식품)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이에 포함된 상기 복합 추출물은 건강기능식품이나 의약적 제품(즉, 의약품)으로 분류될 수 있다.
표 4에서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구성하는 원료들의 보다 바람직한 함량(배합비율)은 아래의 표 5와 같을 수 있다.
Figure 112022008852731-pat00005
표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복합 추출물과 상기 녹용 발효물 및 상기 홍삼 발효물의 총량 대비 상기 침향의 함량은 약 6.44∼7.56 wt% 일 수 있고, 상기 당귀의 함량은 약 10.58∼12.42 wt% 일 수 있고, 상기 산수유의 함량은 약 3.68∼4.32 wt% 일 수 있고, 상기 구기자의 함량은 약 7.36∼8.64 wt% 일 수 있고, 상기 용안육의 함량은 약 10.58∼12.42 wt% 일 수 있고, 상기 산사의 함량은 약 7.36∼8.64 wt% 일 수 있고, 상기 녹용 발효물의 함량은 약 10.12∼11.88 wt% 일 수 있으며, 상기 홍삼 발효물의 함량은 35.88∼42.12 wt% 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침향, 당귀, 산수유, 구기자, 용안육 및 산사 각각의 함량 범위는, 상기 복합 추출물을 100 중량부로 보았을 때를 기준으로, 표 2의 함량 범위와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복합 추출물과 상기 녹용 발효물 및 상기 홍삼 발효물의 총량 대비 상기 복합 추출물의 함량은 약 46∼54 wt% 정도일 수 있다.
표 5에서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구성하는 원료들의 함량(배합비율)을 보다 구체적인 예로 한정하면, 아래의 표 6과 같을 수 있다.
Figure 112022008852731-pat00006
표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복합 추출물과 상기 녹용 발효물 및 상기 홍삼 발효물의 총량 대비 상기 침향의 함량은 약 7.0 ± 0.3 wt% 일 수 있고, 상기 당귀의 함량은 약 11.5 ± 0.3 wt% 일 수 있고, 상기 산수유의 함량은 약 4.0 ± 0.3 wt% 일 수 있고, 상기 구기자의 함량은 약 8.0 ± 0.3 wt% 일 수 있고, 상기 용안육의 함량은 약 11.5 ± 0.3 wt% 일 수 있고, 상기 산사의 함량은 약 8.0 ± 0.3 wt% 일 수 있고, 상기 녹용 발효물의 함량은 약 11.0 ± 0.3 wt% 일 수 있으며, 상기 홍삼 발효물의 함량은 약 39.0 ± 0.3 wt% 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침향, 당귀, 산수유, 구기자, 용안육 및 산사 각각의 함량 범위는, 상기 복합 추출물을 100 중량부로 보았을 때를 기준으로, 표 3의 함량 범위와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복합 추출물과 상기 녹용 발효물 및 상기 홍삼 발효물의 총량 대비 상기 복합 추출물의 함량은 약 50 ± 1.8 wt% 정도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복합 추출물과 상기 녹용 발효물 및 상기 홍삼 발효물의 총량 대비 상기 침향의 함량은 약 7.0 wt% 일 수 있고, 상기 당귀의 함량은 약 11.5 wt% 일 수 있고, 상기 산수유의 함량은 약 4.0 wt% 일 수 있고, 상기 구기자의 함량은 약 8.0 wt% 일 수 있고, 상기 용안육의 함량은 약 11.5 wt% 일 수 있고, 상기 산사의 함량은 약 8.0 wt% 일 수 있고, 상기 녹용 발효물의 함량은 약 11.0 wt% 일 수 있으며, 상기 홍삼 발효물의 함량은 약 39.0 wt% 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복합 추출물과 상기 녹용 발효물 및 상기 홍삼 발효물의 총량 대비 상기 복합 추출물의 함량은 약 50 wt% 정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추출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구성하는 원료들 및 그 효능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 침향 >
침향은 이기약류(理氣藥類)의 대표적인 약물로서, 강기조중(降氣調中), 온신조양(溫腎助陽), 온중난신(溫中暖腎)의 효능을 갖는다. 즉, 침향은 신장을 따뜻하게 하고, 양기를 보완해 손발이 차갑거나 폐기능이 떨어진 사람에게 주로 처방되는 약재일 수 있다.
아울러, 최근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침향은 뇌세포의 염증 반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침향은 현대인들에 만연한 스트레스성, 퇴행성 뇌질환에 효능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침향은 방향성(芳香性) 약재의 특성을 유념하여 타 약재 보다 비교적 적은 약 7 wt% 정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상기 표 6 참조).
< 당귀 >
당귀는 보익약류(補益藥類) 중에 보혈약류(補血藥類)의 대표적인 약물로서, 보혈조경(補血調經), 활혈지통(活血止痛), 윤조통편(潤燥通便)의 효능이 있다.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생약 연구과의 자료에 의하면, 당귀는 신경계, 심혈관계에 작용하며 골다공증 예방 효과의 약리 작용이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 당귀는 보혈(補血) 작용이 우수하며, 당귀에는 비타민 B12 및 엽산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당귀는 보혈 작용, 신경계 및 심혈관계 개선 작용, 골다공증 예방 효과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당귀는 임상적으로 우수한 효능이 검증된 것으로, 비교적 많은 약 11.5 wt% 정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상기 표 6 참조).
< 산수유 >
산수유는 보익약류(補益藥類) 중에 보음약류(補陰藥類)의 대표적인 약물로서, 보익간신(補益肝腎), 삽정(澁精), 염한(斂汗)의 효능이 있다.
산수유는 숙지황, 당귀, 구기자 등과 배합되어 응용될 수 있고, 노약자의 면역기능 강화, 성기능 강화, 노화 억제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생약 연구과의 자료에 의하면, 산수유는 항염증, 항당뇨의 약리 작용이 있으며 자양강장 목적으로 응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산수유는 보음(補陰) 작용, 면역기능 개선, 성기능 강화 등의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산수유와 구기자는 효능 면에서 비슷한 부분이 비교적 많을 수 있지만 기력을 보강하는 자양강장의 효과에 있어서는 산수유가 구기자 보다 다소 약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 등으로, 산수유는 약 4 wt% 정도의 적은 양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상기 표 6 참조).
< 구기자 >
구기자는 보익약류(補益藥類) 중에 보음약류(補陰藥類)의 대표적인 약물로서, 보신익정(補腎益精), 양간명목(養肝明目)의 효능이 있다.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생약 연구과의 자료에 의하면, 구기자는 간보호 작용, 면역기능 증강 효과와 함께 심혈관계에도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구기자는 건뇌안신(健腦安神) 효과가 있어 신경쇠약에도 사용되며 동맥경화, 고혈압, 고콜레스테롤, 심장 질환자에게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기자는 보음(補陰) 작용, 면역기능 개선, 간장 보호, 심혈관계 개선 등의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임상적으로는 구기자를 용안육과 함께 쓰면 보혈명목(補血明目) 작용이 증강될 수 있으며, 항노화에는 당귀와, 조루나 유정 증상에는 산수유와 함께 사용하면 효능이 좋을 수 있다.
구기자는 산수유와 비슷한 효능을 고려하여 약 8 wt% 정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상기 표 6 참조). 구기자는 산수유와 함께 약 12 wt%의 함유량을 차지할 수 있다(상기 표 6 참조).
< 용안육 >
용안육은 보익약류(補益藥類) 중에 보혈약류(補血藥類)의 대표적인 약물로서, 보심안신(補心安神), 양혈익비(養血益脾)의 효능이 있다.
임상적으로 용안육은 보익(補益) 작용이 우수한 숙지황이 소화불량을 일으키는 경우에 대체할 수 있는 약물로서 보혈작용(補血作用)이 우수할 뿐 아니라 마음을 편안하게 하므로 신경쇠약, 불안, 불면 등에 효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용안육은 보혈(補血) 작용, 신경쇠약 개선, 불안/불면/건망증 개선, 면역증강 작용 등의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임상 응용에 있어서, 용안육은 자양 작용으로 심을 보하고 편안하게 해주는 역할을 하여 신경 쇠약으로 인한 불면, 가슴 두근거림, 건망을 다스리고 개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양혈익비(養血益脾)하면서 기혈을 크게 보해주므로, 기혈 부족으로 인한 증상들을 치료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안육은 구기자와 함께 膏(고)의 형태로 만들어 복용할 수 있다.
용안육은 임상적으로 우수한 효능이 검증된 것으로, 비교적 많은 약 11.5 wt% 정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상기 표 6 참조).
< 산사 >
산사는 소도약류(消導藥類) 보기약류(補氣藥類)의 대표적인 약물로서, 소식(消食), 산어(散瘀), 행기(行氣), 화적(化積)의 효능이 있다.
기력 저하와 스트레스를 호소하는 사람들은 소화 기능 역시 저하되는 경우가 많아서, 건강기능식품 개발시 복용 대상자의 소화 기능을 배려하는 것은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제품에서는 이와 관련한 약재를 배합하는 경우가 없었다. 소화 기능을 돕는 약재의 선별은 매우 신중해야 하며, 제품이 추구하는 주요 기능들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효과를 배가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산사는 매우 적절한 약재일 수 있다. 임상적으로 산사는 뛰어난 소화 촉진 기능을 발휘할 뿐 아니라 어혈 제거 효능, 즉, 심혈관계에 관여하여 콜레스테롤이나 고지혈증 개선에 도움을 주는 효능을 갖기 때문이다.
산사의 효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서양에서의 명칭은 "Hawthorn berry"인 산사는 강심 작용을 비롯해서 고지혈증, 고혈압을 치료하고 예방하는 효능을 갖는다.
(2) 천연 항산화제로 유럽에서는 이미 심부전 치료에 이용되고 있다.
(3) 항우울 효능을 갖는다. (한국식품연구원 연구논문)
(4) 비타민 B, C가 풍부하고 건강유지, 피로회복, 변비 등에 효능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산사는 소화 기능 촉진, 혈액순환, 강심 작용, 항우울 효능, 항산화 효과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산사는 다른 보익 약물을 통한 제품의 주 효능 발현을 감안하여 약 8 wt% 정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상기 표 6 참조).
< 녹용 발효물 >
녹용은 보익약류(補益藥類) 중에 보양약류(補陽藥類)의 대표적인 약물로서, 장원양(壯元陽), 생정수(生精髓), 강근골(强筋骨)의 효능이 있다.
녹용은 원기 회복의 대명사로 여겨질 만큼 보양에 탁월한 한약재이며 근골격계와 비뇨ㆍ생식기 건강을 증진하는 데도 활용될 수 있다. 녹용은 체력강화, 간기능 개선, 면역강화, 조혈기능 개선, 심혈관 기능 개선, 노화방지, 기억력 개선, 성기능 강화 등의 효능이 매우 탁월하여 임상에 다용되며 효능을 규명하는 연구 논문도 매우 다양하다. 하지만, 일반 녹용(동물성 약재)의 비릿한 향과 맛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그리고 효능과 흡수의 극대화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녹용 발효물을 사용할 수 있다.
녹용 발효의 효과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녹용은 그 자체만으로 좋은 한약재지만 발효하면 가치가 더욱 극대화될 수 있다. '발효 한약'은 한약재를 적당한 조건에서 발효시켜 원래의 성질과 효능이 효소 등 미생물에 의해 변화해 증강되거나 새로운 효능이 생기는 것을 목적으로 만든 한약을 말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녹용 발효물은 기존에 알려진 방법을 이용해서 녹용을 발효한 것일 수 있다.
녹용을 발효할 경우 다섯 가지 측면에서 업그레이드될 수 있다.
첫째, 풍미가 개선된다. 이는 발효 과정에서 체내 흡수율이 떨어지는 약재 내 전분이 효소에 의해 분해되고 당이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그만큼 쓴맛은 줄고 풍미가 좋아질 수 있다.
둘째, 흡수율이 높아진다. 녹용을 발효하면 세포 간 결합이 끊어지면서 세포 속 유효 성분까지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추출률을 약 90% 이상으로 높일 수 있다. 입자가 더 잘게 쪼개지기 때문에 체내 흡수가 잘 될 수 있다.
셋째, 발효 과정에서 생기는 많은 효소의 부가적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특히, 항산화 효소가 많이 생겨 피부 개선, 노화 예방, 혈액 및 체내 노폐물 정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넷째, 기존에 녹용이 가진 효능이 극대화될 수 있다. 발효는 약 80℃ 이하에서 진공 감압으로 농축하는 과정일 수 있다. 약성분(약효)이 휘발되는 것이 억제돼 수십 배 고농축된 녹용을 얻을 수 있다.
다섯째, 농약과 중금속에 대한 안전성이 제고될 수 있다. 발효 시에 거치는 미생물 발효와 두 차례에 걸친 정밀 여과 과정은 농약 성분과 중금속 등의 독성을 낮추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발효로 인한 녹용의 업그레이드 효과는 수치로 확인될 수 있다. 관련 연구에 따르면, 녹용의 대표적인 유효 성분인 강글리오사이드 함량은 일반 녹용보다 녹용 발효물에서 증가하였다. 발효 전 녹용에 약 7.9 ㎍/mL 들어 있던 강글리오사이드의 함량은 발효 후 약 14.9 ㎍/mL로 88.6%나 증가하였다. 녹용의 대표적인 유효 성분인 강글리오사이드 함량이 녹용 발효물의 경우 일반 녹용보다 훨씬 높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녹용 발효물은 보양(補陽) 작용, 탁월한 면역증강, 기력보강, 항노화, 건뇌 작용 등의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녹용 발효물은 일반 녹용에 비하여 증가된 효능을 갖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약 11 wt% 정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상기 표 6 참조).
< 홍삼 발효물 >
홍삼 내지 인삼은 보익약류(補益藥類) 중에 보기약류(補氣藥類)의 대표적인 약물로서, 대보원기(大補元氣), 보비익기(補脾益氣), 생진(生津), 영신익지(寧神益智)의 효능이 있다.
인삼은 기력보강의 대표약이라 할 수 있다. 인삼과 관련된 수많은 연구 논문이 발표되어 있으며, 주요 효능으로는 면역력 증진, 신체내 활력 증진, 피로회복, 혈액순환, 기억력 향상 등이 있다. 인삼은 매우 탁월한 약재이지만 임상적으로는 그 강한 효능으로 인해 때론 부작용이 나는 경우가 있으며 이를 보완하여 누구나 부담 없이 복용하는 제법이 홍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인삼 대신 홍삼을 선택하였으며 또한 효능의 극대화 및 체내 흡수율 증가 그리고 발효에 따른 효능을 취하기 위하여, 홍삼 발효물을 원료로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홍삼 발효물은 기존에 알려진 방법을 이용해서 홍삼을 발효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홍삼 발효물은 보기(補氣) 작용, 탁월한 면역증강, 기력보강, 항노화, 건뇌 작용 등의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홍삼 발효물은 일반 인삼에 비하여 증가된 효능을 갖지만 기능성 증진을 위해 약 39 wt% 정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상기 표 6 참조).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녹용 및 홍삼을 모두 발효해서 사용함으로써, 발효에 따른 새로운 성분(컴파운드K)을 추가하고, 약재 자체의 흡수력을 개선하며, 사람에 따른 흡수력 차이를 줄여줄 수 있고, 약재의 효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육체피로 회복은 물론 정신피로 회복, 뇌 기능 강화에 도움을 주고 정신 건강 증진을 도모하며 아울러 심혈관계 기능에 효능을 발휘할 수 있고 혈액순환 기능 개선, 면역력 강화,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갖는 의약적 제품(또는 건강기능성 식품)으로서, 현대인의 질병 양상 변화에 대응하여 건강 관리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복합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육체피로 회복에는 녹용 발효물, 홍삼 발효물, 산수유, 구기자, 당귀, 용안육이 효능을 줄 수 있고, 정신피로 회복 및 뇌 기능 강화에는 녹용 발효물, 홍삼 발효물, 침향, 용안육, 구기자, 산사가 효능을 줄 수 있고, 면역력 강화에는 녹용 발효물, 홍삼 발효물, 산수유, 구기자, 당귀, 용안육이 효능을 줄 수 있고, 항노화 및 항산화에는 녹용 발효물, 홍삼 발효물, 산사, 구기자, 당귀가 효능을 줄 수 있으며, 심혈관계 기능 개선, 혈액순환 개선 및 고지혈증 개선에는 녹용 발효물, 홍삼 발효물, 당귀, 산사가 효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현대인의 질병 양상에 따른 가장 적절한 약재들을 선택하고 적절히 배합함으로써 목적하는 다양한 효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한의학적으로도 기(氣), 혈(血), 음(陰), 양(陽)을 균형 있게 보강함으로써, 현대인의 건강 증진 및 건강 관리에 상당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의 보약 제품인 공진단, 경옥고 등은 주로 기ㆍ혈을 보강하고 인체의 균형을 맞춰주는 기능을 갖고 피로회복, 기력보강, 면역력증강, 혈액순환 등의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현대사회 질병 양상의 변화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는 한계와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약 조성물의 경우, 기존의 공진단과 비교하여 사향 대신에 침향을 사용하고, 산수유의 비중을 축소하였으며, 구기자, 용안육, 산사, 홍삼 발효물 등을 추가하였고, 일반 녹용이 아닌 녹용 발효물을 사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기존의 경옥고와 비교하여 인삼 대신에 홍삼 발효물을 사용하고, 당귀, 산수유, 구기자, 침향, 녹용 발효물, 용안육, 산사 등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그 원료 구성 및 배합비 등의 특징으로 인해 현대인의 질병 양상 변화에 대응하여 건강 증진 및 건강 관리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하,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복합 추출물의 제조
1. 복합 추출물(침향혼합 농축분말) 원재료의 배합비율
복합 추출물 원재료의 배합비율은 다음의 표 7과 같다.
원료 침향혼합 농축액 함량(wt%) 복합 추출물 함량(wt%)
침향혼합
농축액
침향 1.46 71.61
당귀 2.64
산수유 0.88
구기자 1.76
용안육 2.64
산사 1.76
정제수 88.86
침향혼합 농축액 합계 100
덱스트린   27.55
아라비아검   0.84
복합 추출물 합계 100
2. 복합 추출물(침향혼합 농축분말) 제조방법
복합 추출물, 즉, 침향혼합 농축분말을 다음의 표 8에 기재된 순서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하였고, 이러한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복합 추출물은 갈색을 나타내었다.
공정 순서 내용
1. 입고검사 입고된 원료의 입고검사를 실시한다.
2. 원료선별 원료의 부패 및 이물질을 선별한다.
3. 추출 원료를 배합비율대로 투입하여 추출기를 이용하여 추출한다.
4. 여과 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한다.
5. 농축 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한다. 이를 "침향혼합 농축액"이라 한다.
6. 배합 침향혼합 농축액, 덱스트린 및 아라비아검을 배합비율대로 배합한다.
7. 분무건조 스프레이드라이어를 이용하여 분무건조한다.
8. 여과 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한다.
9. 포장 식품 위생 용기에 규격대로 소분 포장한다.
<실시예 2>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1. 건강기능식품의 원재료의 배합비율
(1) 건강기능식품의 캡슐 안 내용물 원재료의 배합비율은 다음의 표 9와 같다.
원료 캡슐 안 내용물 함량(wt%) 기타 설명
홍삼 발효물 분말 15.528 진세노사이드 Rg1, Rb1 및 Rg3의 합 13.8mg/g
옥타코사놀(고시형) 2.2 옥타코사놀 50wt%, 미강유래지구력 증진에 도움
콩기름 47.326 대두유
복합 추출물(침향혼합 농축분말) 27.996 실시예 1의 복합 추출물
녹용 발효물 분말 4.35 녹용사용부위: 골질화되지 않았거나, 약간 골질화된 어린뿔
레시틴 1.6 대두레시틴
밀납 1
캡슐 안 내용물 합계 100 갈색 점도가 있는 내용물
(2) 건강기능식품의 캡슐 기제 원재료의 배합비율은 다음의 표 10과 같다.
원료 캡슐 기제 함량(wt%)
젤라틴 68.641
글리세린 27.137
D-소비톨액 3.192
카카오 색소(카카오 색소 67 중량%+덱스트린 33 중량%) 1.03
캡슐 기제 합계 100
2. 건강기능식품(캡슐형) 제조방법
다음에 기재된 순서로 캡슐형의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였다.
(1) 원료: 건강기능식품공전, 식품공전 및 식품첨가물공전의 기준 및 규격에 적합한 원료를 구입한다.
(2) 원료의 검체 채취 및 검사: 검체채취 및 보관에 관한 규정에 따라 시험검체를 채취하여 품질검사실에서 당해 시험항목(외관 및 물리적, 미생물학적, 화학적 시험)에 대한 품질검사를 실시한다.
(3) 칭량: 품질검사에 적합한 원료를 전자저울(1mg~100g, 0.1kg~150kg)을 사용하여 정밀하게 각각 칭량한다.
(4) 내용물 제조: 칭량한 원료를 내용물 제조기에 투입하여 60분간 혼합교반 및 분쇄한 후 기포를 제거한다.
(5) 내용물의 공정검사: 제조된 내용물의 성상, 수분, 비중을 검사한다.
(6) 캡슐기제 제조: 캡슐기제 제조에 사용되는 용해탱크에는 피막원료를 용해시킬 수 있는 양(전체량의 40% 분량)의 정제수를 넣어 70~90℃로 유지시킨 후 원료를 투입하여 600mmHg 이상의 진공상태에서 40분 이상, 20~40rpm으로 교반 용해시킨 다음 기포를 제거한 후 50~60℃로 온도가 유지되는 숙성탱크에 옮겨 8~24시간 숙성시킨다.
(7) 캡슐기제의 공정검사: 성상, 점도, 이물을 검사한다.
(8) 충전 및 성형: 제조된 캡슐기제를 이용하여 냉각드럼온도 15~25℃, 신전박스온도 80~90℃, 세그먼트웨찌온도 35~50℃로 조정된 로타리식 연질캡슐제조기로 내용물을 1캡슐당 중량을 맞추어 충전 및 성형한다.
(9) 성형 공정검사: 성형된 캡슐에 대해 성상, 내용량을 검사한다.
(10) 건조: 드럼식 건조기를 이용하여 온도 25℃ 이하, 습도 30% 이하의 조건에서 14~24시간 건조한다.
(11) 건조 공정검사: 건조된 캡슐에 대해 외피물의 수분을 검사한다.
(12) 선별 및 포장: 외관 및 불량선별은 자동선별기를 통과시키고 육안검사를 실시하여 선별하여 포장한다.
(13) 품질검사 및 출하: 제품의 기준 및 규격에 따라 품질검사를 실시하여 적합한 제품만을 출하한다.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고유의 향미가 있고, 이미, 이취가 없는 갈색 점도가 있는 내용물을 함유한 흑갈색 타원형 연질캡슐을 제조하였다.
참고로, 상기 실시예에서는 캡슐의 제조방법만을 기재하였으나, 캡슐 이외에도 환이나, 분말, 액상 등 다양한 제형의 건강기능식품의 제조가 가능하다.
<실험예> 피로회복 증진 효과 평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제조된 건강기능식품의 피로회복 증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평소에 육체 피로를 호소하는 10 ~ 40대 남녀 40명(각 연령대별 10명)에 대하여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캡슐을 1일 2회, 1회 2캡슐(1g)을 충분한 물과 함께 4주(28일) 동안 섭취하도록 하였다. 개선정도는 실시예 2에서 제조된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하기 전의 육체 피로 증상을 5점 기준으로 하여 평가하였으며, 그 평균값을 하기 표 11에 나타내었다.
연령대 섭취 전 섭취 14일째 섭취 28일째
10 대 5 4.2 3.1
20 대 5 4.1 2.9
30 대 5 3.9 2.8
40 대 5 3.8 2.6
5점: 변화없음, 4점: 약간 개선, 3점: 다소 개선, 2점: 상당히 개선, 1점: 완전 개선
상기 표 11에서 10 ~ 40대 대상자 모두에게서 실시예 2에서 제조된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하고 육체 피로증상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에서 제조된 건강기능식품 캡슐을 섭취한지 28일 째 육체 피로증상의 개선정도가 40 대는 2.6, 30 대는 2.8, 20 대는 2.9, 10 대는 3.1로 나타났으며, 40 대에게서 육체 피로회복의 효과가 가장 컸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실시예 2에서 제조된 건강기능식품 캡슐은 육체 피로증상의 개선에 상당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예들 들어,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표 1 내지 표 11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때문에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Claims (9)

  1. 침향, 당귀, 산수유, 구기자, 용안육 및 산사를 포함하는 복합 추출물, 녹용 발효물 및 홍삼 발효물을 포함하고,
    상기 복합 추출물, 상기 녹용 발효물 및 상기 홍삼 발효물 총량 대비,
    상기 침향의 함량은 6.44∼7.56 wt%,
    상기 당귀의 함량은 10.58∼12.42 wt%,
    상기 산수유의 함량은 3.68∼4.32 wt%,
    상기 구기자의 함량은 7.36∼8.64 wt%,
    상기 용안육의 함량은 10.58∼12.42 wt%,
    상기 산사의 함량은 7.36∼8.64 wt%,
    상기 녹용 발효물의 함량은 10.12~11.88 wt%,
    상기 홍삼 발효물의 함량은 35.88~42.12 wt%인,
    피로회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향, 당귀, 산수유, 구기자, 용안육 및 산사 각각은 해당 약재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인 피로회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추출물은 침향, 당귀, 산수유, 구기자, 용안육 및 산사를 구비하는 약재 혼합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로회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20010132A 2022-01-24 2022-01-24 복합 한약재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로회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442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132A KR102442173B1 (ko) 2022-01-24 2022-01-24 복합 한약재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로회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132A KR102442173B1 (ko) 2022-01-24 2022-01-24 복합 한약재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로회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2173B1 true KR102442173B1 (ko) 2022-09-08

Family

ID=83279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0132A KR102442173B1 (ko) 2022-01-24 2022-01-24 복합 한약재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로회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217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2499A (ko) * 2010-05-04 2011-11-10 김영신 홍삼분말을 이용한 건강 기능성 식품의 제조 방법
KR20180013397A (ko) * 2016-07-29 2018-02-07 천지인초 주식회사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 피로회복 및 면역력 증강용 식품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2499A (ko) * 2010-05-04 2011-11-10 김영신 홍삼분말을 이용한 건강 기능성 식품의 제조 방법
KR20180013397A (ko) * 2016-07-29 2018-02-07 천지인초 주식회사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 피로회복 및 면역력 증강용 식품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산수유, 당귀, 홍삼, 침향, 러시아녹용분골 효능과 섭취방법 (정력 증강, 여성 갱년기, 치매예방, 만성피로에 좋은 황제단 분말가루 판매처). 네이버 블로그. [online], 2021.03.12., [2022.04.13. 검색] *
어버이날 선물 추천! 좋은게 느껴지는 진한 자생바이오 자생녹, 피곤이 덜하다. 네이버 블로그. [online], 2021.05.05., [2022.04.14. 검색], 인터넷: <URL: https://blog.naver.com/theseulog/222338177153> 1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A014234B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лечения больных гепатитом с или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ая добавка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или смягчения симптомов гепатита с
CN100411655C (zh) 含有人参和亚马逊香无患子提取物的组合物
CN110447902A (zh) 一种具有减肥功效的组合物
CN105770420A (zh) 一种具有抗癌作用的中草药剂及其制备方法
CN103155985B (zh) 一种黄精营养粉及其制备方法
CN101780242B (zh) 一种保健或药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4013733B (zh) 一种防治化学性肝损伤的壳聚糖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00067575A (ko) 해조류 매생이를 함유하는 공진환의 제조
CN103734767B (zh) 一种保健食品
CN103719855B (zh) 一种营养食品及生产方法
KR102442173B1 (ko) 복합 한약재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로회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WO2002011744A1 (fr) Capsule renfermant des antioxydants de type opc (oligomeres procyanidoliques ) a base d&#39;extrait de pepins de raisin et son procede de preparation
CN107136245A (zh) 一种纯草本减肥袋泡茶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CN106581166A (zh) 一种具有抗疲劳功效的食品、保健品或药物组合物
CN101176495A (zh) 中药果汁滋补颗粒与糖片及其制备工艺
CN106417817A (zh) 一种袋泡助眠安神茶及其制备方法
CN108450962A (zh) 一种用于女士保健的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CN104770489A (zh) 一种具有抗氧化功能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040045146A (ko) 숙취 제거 및 피로회복을 위한 생약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건강보조식품
CN109316565B (zh) 一种降血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3559208A (zh) 一种保护心脑血管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15159C (zh) 一种含紫丹参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5876008A (zh) 保健液体茶饮料
CN110959721A (zh) 一种食凉茶固体饮料
CN111480846A (zh) 一种辅助降血脂、提高免疫力的保健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