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2070B1 - 공작기계의 가공원점 측정기 - Google Patents

공작기계의 가공원점 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2070B1
KR102442070B1 KR1020200062684A KR20200062684A KR102442070B1 KR 102442070 B1 KR102442070 B1 KR 102442070B1 KR 1020200062684 A KR1020200062684 A KR 1020200062684A KR 20200062684 A KR20200062684 A KR 20200062684A KR 102442070 B1 KR102442070 B1 KR 102442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easuring rod
ball
contact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2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5605A (ko
Inventor
방규영
김영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연
방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연, 방규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연
Priority to KR1020200062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070B1/ko
Publication of KR20210145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5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22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existing or desired position of tool or work
    • B23Q17/2233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existing or desired position of tool or work for adjusting the tool relative to the workpiece
    • B23Q17/2275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existing or desired position of tool or work for adjusting the tool relative to the workpiece of a tool-axis relative to a workpiece-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5/00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 B23Q15/20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before or after the tool acts upon the workpiece
    • B23Q15/22Control or regulation of position of tool or workpie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1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control arrangements for measuring, e.g. calibration and initialisation, measuring workpiece for machining purposes
    • G05B19/4015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control arrangements for measuring, e.g. calibration and initialisation, measuring workpiece for machining purposes going to a reference at the beginning of machine cycle, e.g. for calib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정기를 공작기계의 척에 물려 소재 표면의 가공원점을 측정하되 고정된 배터리의 (+)단자가 연결스프링과 볼을 거쳐 가동단자에 A접점 타입으로 접촉되고 상기 볼은 연결스프링으로 가압되게 함으로써, 과도한 접촉시 상기 연결스프링 압축으로 측정기 부품이 보호되고, 또한 플랙시블한 커버 사용으로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어 전기 접촉성이 향상되는 공작기계의 가공원점 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척에 물리는 원통형의 도전성 몸체 상부에 배터리가 내장되고, 하부에는 단자연결구, 연결스프링, 볼 및 절연성 볼시트가 순차적으로 내장되며; 상기 몸체의 개방된 밑면에 중공상의 로드하우징이 체결되고, 상기 로드하우징의 내부에서 승강되는 중공상의 측정로드는 상기 배터리의 (-)전류가 흐르며; 상기 측정로드 내부에 절연슬리브를 통하여 고정되는 가동단자는 (+)전류가 흐르고, 상기 측정로드는 평상시 상기 로드하우징 내부의 스프링을 통하여 하강되며, 상기 측정로드 내부에는 LED가 구비되어서 상기 가동단자가 상기 볼과 접촉되면 점등되고 빛이 측정로드 외부로 발산되도록 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공작기계의 가공원점 측정기{Machine tool origin point measuring machine}
본 발명은 공작기계의 가공원점 측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측정기를 공작기계의 척에 물려 소재 표면의 가공원점을 측정하되 배터리의 (+)단자가 연결스프링과 볼을 거쳐 가동단자에 A접점 타입으로 접촉되고 상기 볼은 연결스프링으로 가압되게 함으로써, 과도한 접촉시 상기 연결스프링 압축으로 측정기 부품이 보호되며, 또한 플랙시블한 커버 사용으로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어 전기 접촉성이 향상되는 공작기계의 가공원점 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치제어(Numerical Control: NC) 기반의 공작기계는 공구를 새롭게 교체하거나 작업을 하기 위하여 전원을 켜게 되면, 최초의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반드시 X, Y, Z축에 대한 영점을 설정하여야 한다. 즉 기계적인 원점의 위치와 제어기 내의 좌표계산 기준점을 일치시키는 작업이 수행된다. X축 및 Y축은 축의 길이가 항상 일정하므로 영점설정의 수행과정이 공작기계 내부에서 자동으로 이루어지는데 반하여 Z축은 길이가 일정하지 않은 여러 공구가 척에 부착되므로 Z축의 영점을 설정하기 위하여 작업자는 조그 모드로 공구를 0.001mm까지 미세하게 수동조작하면서 육안으로 공구의 끝단과 대면하는 소재의 접촉점을 Z축의 가공원점으로 설정하거나, 혹은 접촉식 센서로 인식하게 하여 설정한다.
그러나 육안의 확인에 의한 수동 조작은 공구의 끝단이 소재의 상면에 접촉하는 순간을 포착하여 설정하기 때문에 작업자마다 가공원점의 정확도가 서로 달라서 신뢰성이 떨어진다.
종래 특허 제1072001호는 공작기계의 자동 가공원점 인식 시스템을 제안한 바 있다. 이는 공작기계의 척에 구비되어, 상기 공작기계에 안착된 소재의 이미지를 캡쳐하는 이미지 장치와, 상기 공작 기계에 내장되고 상기 이미지 장치에 연결되어 이미지 처리를 통해 자동 포커싱 및 이에 따른 가공원점 설정을 수행하는 임베디드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 것으로서, 공작기계의 가공중 발생되는 가공원점 설정을 실시간 이미지처리를 통해 설정함으로써, 수동세팅으로 인한 시간 지연을 감소시켜 단위 시간 생산량을 증대시킬수 있고, 수동 세팅의 오차를 제거하여 정밀한 가공물을 생산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특허는 이미지 장치와 이미지처리를 위한 임베디드 장치가 척에 구비되어야 하므로 척의 구성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으며, 이미지 장치가 구비된 척에는 공구를 장착할 수 없으므로 가공을 위해선 스핀들에 새로운 척을 교체해야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자는 측정기를 척에 물려 공구처럼 사용하는 가공원점 측정기를 특허 제2060398호로 등록한 바 있다. 이는 B접점 타입으로써 전기접촉방식과 가압방식을 병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전기접촉과 가압방식을 구분하기 위하여 LED를 두가지 사용해야 되므로 회로구성이 복잡해지고 또한 단자부들이 승강되는 접촉면에 이물질이 유입되면 전기접촉성이 떨어지므로 이를 보완할 필요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측정기를 공작기계의 척에 물려 소재 표면의 가공원점을 측정하되 배터리의 (+)단자가 연결스프링과 볼을 거쳐 가동단자에 A접점 타입으로 접촉되고 상기 볼은 연결스프링으로 가압되게 함으로써, 과도한 접촉시 상기 연결스프링 압축으로 측정기 부품이 보호되고, 또한 플랙시블한 커버 사용으로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어 전기 접촉성이 향상되는 공작기계의 가공원점 측정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척에 물리는 원통형의 도전성 몸체 상부에 배터리가 내장되고, 하부에는 단자연결구, 연결스프링, 볼 및 절연성 볼시트가 순차적으로 내장되며; 상기 몸체의 개방된 밑면에 중공상의 로드하우징이 체결되고, 상기 로드하우징의 내부에서 승강되는 중공상의 측정로드는 상기 배터리의 (-)전류가 흐르며; 상기 측정로드 내부에 절연슬리브를 통하여 고정되는 가동단자는 (+)전류가 흐르고, 상기 측정로드는 평상시 상기 로드하우징 내부의 스프링을 통하여 하강되며 상기 측정로드 내부에는 LED가 구비되어서 상기 가동단자가 상기 볼과 접촉되면 점등되고 빛이 측정로드 외부로 발산되도록 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측정기 내부에 배터리가 고정되고 배터리의 (+)단자는 연결스프링과 볼을 통하여 가동단자 쪽으로 연장된다. 상기 가동단자는 스프링을 통하여 상기 볼과 떨어진 상태에서 측정기가 하강되면 상기 볼이 A접점 타입으로 가동단자와 접촉되는 방식이다. 이때 상기 볼은 연결스프링을 통하여 탄성적으로 가압되고 있으므로 고정방식에 비하여 접촉시 발생되는 충격이 완화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접촉과정에서 LED가 점등되면 측정기의 하강을 정지시켜야 되는데, 상기 측정기를 0.001mm 까지 미세조정으로 하강시키는 과정에서 불필요하게 추가적으로 하강될 경우 상기 연장스프링이 압축된다. 따라서 가동단자나 배터리 등에 무리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비숙련자들도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가동단자가 승강되는 과정에서 단자부들의 접촉면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면 접촉저항이 발생되어 전류흐름이 원활해지지 않는데, 본 발명 한 실시예는 플랙시블한 커버를 사용하여 가동단자의 승강시 함께 플랙시블하게 움직이면서 이물질 유입을 차단시키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등의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측정기 사용상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측정기 반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측정기 전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측정기 단자부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측정기 일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측정기의 탐침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측정기에 보조수단이 결합되는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측정기 탐침 확대 단면도
도 1 내지 도 6에서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측정기는 척(3)에 물리는 원통형의 몸체(10)가 구비된다. 몸체(10)는 전기가 통하는 중공상의 파이프 형태로써, 상측에 윗면이 개방된 배터리실(11)이 구비되고 하측에 밑면이 개방된 단자실(12)이 구비되며 몸체(10) 내부 중간의 직경이 작은 통로(13)에서 이들이 배터리실(11)과 단자실(12)이 연결된다. 상기 배터리실(11)은 배터리(14)가 끼워지고 배터리마개(15)를 통하여 고정되며, (+)단자(14a)는 상기 통로(13)를 관통하여 상기 단자실(12)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마개(15)는 배터리(14)의 (-)단자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10)의 배터리실(11) 내주면에 나사체결되므로 상기 몸체(10)에 (-)전류가 흐른다.
상기 단자실(12)에는 절연튜브(12a)가 내장되고 절연튜브(12a) 내측으로 상기 상기 (+)단자(14a)와 접촉되는 단자연결구(35)가 절연링(12b)을 통하여 몸체(10)와 떠어지게 구비되고, 상기 단자연결구(35)는 연결스프링(34)을 통하여 볼(33)과 접촉된다. 상기 단자연결구(35), 연결스프링(34) 및 볼(33)은 절연튜브(12a) 내측에 구비되므로 (+)단자(14a)의 (+)전류가 몸체(10)로 흐르지 않는다. 또한 상기 볼(33)은 절연체인 볼시트(32)에 놓인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의 개방된 하단 즉 단자실(12) 밑면에 체결되는 중공상의 로드하우징(20)이 구비되는데, 상기 로드하우징(20)은 상단 외주면에 볼트부(20a)가 형성되어서 상기 단자실(12) 내주면의 너트부(10a)에 체결된다. 상기 로드하우징(20)이 몸체(10)의 하단에 체겨되면 상기 볼시트(32)가 상기 로드하우징(20)의 윗면과 단자실(12) 밑면 사이에서 고정된다. 따라서 볼(33)과 연결스프링(34) 및 단자연결구(35)는 상기 (+)단자(14a)와 동일 중심선상에 놓인다.
상기 로드하우징(20)은 상하로 관통된 중공상으로 구성되고, 내부에는 측정로드(21)가 승강가능하게 밀착된 상태로 구비된다. 상기 측정로드(21)는 상단 외주면에 걸림링(24)이 구비되어서 상기 로드하우징(20) 내측에 걸리고 상기 측정로드(21)가 상기 로드하우징(20)에 매달린 상태가 되는데, (-)전류가 흐르는 상기 몸체(10)와 로드하우징(20)이 나사체결되고, 상기 측정로드(21)는 로드하우징(20)과 밀착되기 때문에 상기 측정로드(21)에 (-) 전류가 흐른다.
상기 측정로드(21)는 상하로 관통된 중공상으로 구성되며, 개방된 상단으로 일부가 돌출되는 상기 가동단자(30)가 상기 측정로드(21) 내부에 절연슬리브(30a)를 통하여 억지끼움식으로 구비되어서 상기 측정로드(21)와 가동단자(30)가 상기 로드하우징(20) 내부에서 함께 승강된다. 이때 상기 측정로드(21)와 가동단자(30)는 절연슬리브(30a)로 결합되기 때문에 가동단자(30)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상기 가동단자(30)의 상단은 상기 볼시트(32) 중앙의 관통구멍(32a)으로 끼워져서 상기 볼(33) 밑면에 근접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로드하우징(20)의 개방된 하단과 측정로드(21)의 외주면은 플랙시블한 연질커버(22)가 구비되어서 이물질(기름, 먼지)이 로드하우징(20)과 측정로드(21)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연질커버(22)는 상부가 개방되어 단면이 "U"자형 튜브형태로 구성되는데, 외측테두리 상단의 돌기(22a)는 상기 로드하우징(20) 하단 외주면의 홈(22b)에 결합되고, 내측테두리 상단의 돌기(22a)는 측정로드(21) 외주면의 홈(22b)에 결합된다. 그리고 내측테두리는 고정링(22c)을 통하여 돌기(22a)와 홈(22b)이 밀착되며, 상기 연질커버(22)는 상기 로드하우징(20) 하단에 끼워지는 금속재 보호캡(23)으로 감싸져 보호된다.
상기 보호캡(23)은 상기 측정로드(21) 끼워지는 관통구멍(23a)이 천공되는데, 상기 관통구멍(23a)의 내주면이 상기 측정로드(21)와 긴밀하게 밀착되어서 기름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측정로드(21)를 타고 로드하우징(2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밀착으로 인하여 측정로드(21)의 승강 동작이 방해되지 않도록 상기 보호캡(23)과 측정로드(21)는 표면에 고경도 윤활코팅이 되어서 승강에 따른 마찰저항을 감소시키고 이물질의 고착을 방지시킨다. 그리고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며, 부식을 방지시킨다.
또한 상기 측정로드(21)의 개방된 하단은 빛투과성 탐침부(21a)가 구비되고, 상기 측정로드(21) 내부에는 상기 탐침부(21a)를 투과하여 빛을 발산하는 LED(40)가 내장된다. 또한 상기 볼시트(32) 밑면과 상기 측정로드(21) 상단 사이에 스프링(31)이 구비되어서 상기 가동단자(30)와 볼(33) 사이를 0.001mm 정도 미세하게 떨어뜨린다. 그리고 상기 연결스프링(34)은 상기 스프링(31)보다 탄성력이 크게 구성되어서 상기 가동단자(30)가 볼(33)과 접촉되어 LED(40)가 점등된 뒤 상기 연결스프링(34)이 압축된다.
또한 상기 LED(40)는 한쪽 단자가 저항(41)을 통하여 상기 가동단자(30)와 회로적으로 연결되고, 반대쪽 단자는 측정로드(21)의 내측면에 회로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저항(41)은 상기 LED(40)의 밝기를 조절하고 안정된 전원이 공급되어 LED(40)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탐침부 확대 단면도로써, 탐침부(21a)는 빛투과성 물질로 구성된다. 예컨데 빛투과성 세라믹, 합성수지, 유리, 석영, 루비 및 사파이어 등으로 구성되며 중공상의 측정로드(21) 하부 내주면은 상기 탐침부(21a)의 원호면과 접하는 밀착부(21b)로 구성되고, 하단은 탐침부(21a) 원호면에서 떨어지는 원통형 압착부(21c)로 구성된다.
조립과정에서 상기 탐침부(21a)를 압착부(21c)로 끼워서 밀착부(21b)와 접하도록 한 뒤 상기 압착부(21c)를 프레스로 눌러주면 압착부(21c) 직경이 줄어들면서 원호형으로 상기 탐침부(21a)의 외주면에 밀착되므로 상기 탐침부(21a)는 측정로드(21) 하단에 고정된다. 압착과정에서 상기 밀착부(21b)에 접착제를 바르고 압착할 수 도 있다.
탐침부(21a)가 볼 형태일 경우 압착방식이나 접착방식이 유리하고, 원기둥 형태나 원추형태일 경우 나사체결 방식이 유리하다. 탐침부(21a)가 원기둥일 경우 압착부(21c)에 암나사를 형성하고 탐침부(21a)에 숫나사를 형성하여 나사체결 방식으로 체결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몸체(10)의 상측에 체결되어서 척(3)에 물리는 보조몸체(50)는 몸체(10)의 길이를 연장하는 기능을 가지며, 또한 측정로드(21) 하단에 체결되는 보조탐침(51)은 측정로드(21)의 길이를 연장하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측정 대상물이 좁고 깊은 경우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한 실시예는 상기 스프링(31)으로 인하여 가동단자(30)가 볼(33)에서 0.001mm 이상 미세하게 떨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몸체(10)를 공작기계의 척(3)에 물리고 측정 대상물에 근접시킨뒤 0.001mm 단위로 미세하게 하강시키는 과정에서 탐침부(21a)가 대상물 표면에 닿고 스프링(31)이 압축되는 과정에서 상기 볼(33)이 가동단자(30)와 접촉되면 LED(40)에 전원이 공급되어 점등되는 A접점 타입으로 구성된다.
상기 측정기 몸체(10)를 척(3)에 물리고 척을 미세하게 하강시키면 탐침부(21a)가 대상물 표면에 근접된다. 탐침부(21a)가 소재 표면에 닿은 상태에서 서로 체결된 몸체(10) 및 로드하우징(20)이 함께 하강되면 볼시트(32)가 스프링(31)을 누르게 되는데, 이때 측정로드(21) 및 가동단자(30)는 소재 표면에 닿아 정지상태이므로 결국 볼(33)이 가동단자(30)의 상단과 접촉된다.
따라서 배터리(14)의 (+)단자(14a) 전류가 단자연결구(35), 연결스프링(34) 및 볼(33)을 거처 가동단자(30)로 흐르면 저항(41)을 통하여 LED(40)로 공급된다. 이때 LED(40)는 한쪽 단자가 측정로드(21)와 로드하우징(20)을 거쳐 몸체(10)와 연결되고, 몸체(10)는 배터리마개(15)를 거쳐 배터리(14)의 (-)단자(14b)와 연결되므로 회로적으로 통전되어 LED(40)가 점등되고, 이 빛은 빛투과성 또는 투명 탐침부(21a)를 통하여 소재 표면에 퍼지므로 작업자는 가공원점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볼(33)은 연결스프링(34)을 통하여 탄성적으로 가동단자(30)와 접촉되고 있으므로 척이 필요이상으로 하강될 경우 상기 연결스프링(34)이 압축되므로 가동단자(30) 및 배티리(14)의 파손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정로드(21)는 로드하우징(20)과 외주면이 밀접 접촉된 상태에서 승강되며 전기적으로 통하게 되는데, 이들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면 접촉불량으로 전류흐름이 원활해지지 않고 또한 측정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연질커버(22)는 상기 로드하우징(20)의 하단 외주면과 측정로드(21)의 하단 외주면에 양단이 연결되어 플랙시블하게 움직이므로 이들 틈새로 이물질 유입을 차단한다. 또한 연질커버(22)는 보호캡(23)으로 감싸져 날카로운 물건으로부터 보호되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측정기는 공구와 같은 형상 및 높이를 갖는 것으로서, 공작기계는 자동 공구 교환장치(Automatic Tool Changer: ATC) 및 툴 매거진(Tool Magazine: TM)이 구비되어서 여러 공구를 척(3)에 자동으로 물리고 가공할 수 있다. 따라서 가공 초기에 테이블(1)에 놓인 소재(2)의 특정 지점을 터치하여서 Z축 방향의 가공원점을 설정해야만 공구들이 바뀌더라도 동일한 치수가공을 계속 이어갈 수 있다.
이러한 측정기의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척(3)에 측정기의 몸체(10)를 물리고 테이블(1)에 놓인 소재(2)의 표면으로 측정기를 이동시킨 뒤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다. 이때 공작기계의 조그 모드를 사용하면 척(3)을 0.001mm 단위로 하여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미세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데, 상기 터치과정에서 측정기가 Z축 방향으로만 하강되므로 X좌표값 및 Y좌표값은 결정되는데, Z좌표값은 계속 변하게 된다.
상기에서 측정로드(21) 끝단 탐침부(21a)가 소재(2)의 표면에 닿도록 상기 로드하우징(20)을 Z축 방향으로 하강시키는 순간 볼(33)이 가동단자(30)에 닿으면서 LED(40)가 점등된다. 이때 작업자는 Z축좌표값을 0으로 하여 가공원점이 되도록 공작기계에 수동으로 입력한다.
상기에서 가공원점을 설정한 뒤 척(3)에 물린 측정기를 공작기계의 기계원점 버튼(4)으로 이동시키고, 척(3)을 하강시켜서 측정로드(21) 하단의 탐침부(21a)가 기계원점버튼(4)을 터치하면 기계원점이 공작기계에 자동으로 입력된다. 이후 가공하고자 하는 공구를 척(3)에 물린 뒤 기계원점의 버튼(4)을 터치하면 상기 측정기와의 높이편차가 결정된다. 따라서 높이편차 값만큼 가공원점에서 가감하면 공구를 소재(2)의 가공원점으로 정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로써, 측정로드(21)의 개방된 하단에 중공상의 슬리브(50)가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고 슬리브(50)하단에는 빛투과성 탐침부(21a)가 구비된다. 상기 슬리브(50)는 중공상으로 관통구멍(51)이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탐침부(21a)가 결합되는 자리는 탐침부(21a)의 외주면을 감싸는 밀착부(52)로 형성되어서 프레스 압착식, 나사체결방식 또는 접착제를 통한 접착식으로 부착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측정로드(21)에 내장된 LED(40) 빛이 상기 관통구멍(51)을 따라 탐침부(21a)에 집중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다른 실시예는 슬리브(50)에 고정되는 탐침부(21a)가 볼, 원기둥형 또는 원추형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슬리브(50)는 상기 측정로드(21)에 탈착가능하게 끼워지기 때문에 공작물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탐침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탐침부(21a)가 파손되거나 또는 투과성능이 떨어지면 슬리브(50)만 교체하면 되므로 부품교체비용을 줄일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10 : 몸체 11 : 배터리실
12 : 단자실 13 : 통로
14 : 배터리 20 : 로드하우징
21 : 측정로드 22 : 연질커버
23 : 보호캡 30 : 가동단자
31 : 스프링 32 : 볼시트
33 : 볼 34 : 연결스프링
35 : 단자연결구 40 : LED
41 : 저항 50 : 슬리브
51 : 관통구멍 52 : 밀착부

Claims (5)

  1. 척에 물리는 원통형의 도전성 몸체 내부에 배터리가 내장되고; 상기 몸체의 개방된 하단에 체결되는 로드하우징에는 스프링 탄성으로 승강되면서 소재의 표면을 터치하는 중공상의 측정로드가 구비되고, 상기 측정로드 내부에 LED가 내장된 공작기계의 가공원점 측정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부의 배터리실과 하부의 단자실로 구획되고, 상기 배터리실과 단자실 사이에는 상기 배터리실에 내장되는 배터리의 (+)단자가 상기 단자실로 노출되게 하는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단자실은 상기 몸체의 밑면으로 개방된 상태에서 단자연결구, 연결스프링, 볼 및 절연성 볼시트가 순차적으로 내장되고, 상기 단자연결구는 상기 배터리의 (+)단자와 상기 통로에서 접촉되며;
    상기 몸체의 개방된 밑면에 중공상의 상기 로드하우징이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볼시트의 눌림으로 인하여 상기 볼, 연결스프링 및 단자연결구가 회로적으로 밀착되어 상기 볼에 배터리의 (+)전류가 흐르고;
    상기 로드하우징 내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스프링을 통하여 승강되는 중공상의 측정로드는 상기 배터리의 (-)단자와 접촉되는 상기 몸체 및 로드하우징을 통하여 회로적으로 연결되어서 (-)전류가 흐르며;
    상기 측정로드 내부에 절연슬리브를 통하여 고정되고 상기 측정로드와 일체로 승강되는 가동단자는 상단이 상기 볼시트의 관통구멍으로 끼워지고, 승강과정에서 상기 볼과 접촉되면 (+)전류가 흐르고;
    상기 LED는 한쪽 단자가 상기 가동단자와 연결되고 다른 단자는 상기 측정로드의 내면과 연결되어서, 상기 가동단자가 상기 볼과 접촉되면 점등되고 빛이 측정로드 외부로 발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가공원점 측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하우징의 개방된 하단과 측정로드의 외주면은 플랙시블한 연질커버가 구비되는데, 상기 연질커버는 상부가 개방되어 단면이 "U"자형 튜브형태로 구성되고, 외측테두리 상단의 돌기는 상기 로드하우징 하단 외주면의 홈에 결합되고, 내측테두리 상단의 돌기는 측정로드 외주면의 홈에 결합되며;
    내측테두리는 고정링을 통하여 돌기가 홈에 끼워지게 측정로드 외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연질커버를 감싸는 경질 보호캡은 상기 연질커버의 외측테두리를 감싼 상태로 상기 로드하우징 하단에 밀착되어서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가공원점 측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과 측정로드는 표면에 고경도 윤활코팅이 되어서 승강에 따른 마찰저항을 감소시키고 이물질의 고착을 방지시키며,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고, 부식이 방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가공원점 측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ED에 저항이 연결되어서 상기 LED의 밝기 및 전류량이 제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가공원점 측정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로드 하단에 탈착식으로 끼워지는 중공상의 슬리브가 구비되고;
    상기 슬리브 하단에 탐침부가 고정되어서 상기 LED 빛이 상기 슬리브를 통하여 탐침부로 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가공원점 측정기.
KR1020200062684A 2020-05-25 2020-05-25 공작기계의 가공원점 측정기 KR102442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684A KR102442070B1 (ko) 2020-05-25 2020-05-25 공작기계의 가공원점 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684A KR102442070B1 (ko) 2020-05-25 2020-05-25 공작기계의 가공원점 측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5605A KR20210145605A (ko) 2021-12-02
KR102442070B1 true KR102442070B1 (ko) 2022-09-08

Family

ID=78867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684A KR102442070B1 (ko) 2020-05-25 2020-05-25 공작기계의 가공원점 측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20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86250B (zh) * 2022-05-23 2024-05-03 西门子(中国)有限公司 电池极片切割设备的步进控制方法以及步进控制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5282A (ja) 1999-10-12 2001-04-17 Toa Kk 位置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9463A (en) * 1981-10-21 1984-02-07 Angell Bruce R Machinist electro-mechanical dynamic datum point locator tool
KR102060398B1 (ko) * 2018-01-03 2019-12-30 주식회사 대연 공작기계의 가공원점 측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5282A (ja) 1999-10-12 2001-04-17 Toa Kk 位置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5605A (ko) 2021-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2070B1 (ko) 공작기계의 가공원점 측정기
US4447958A (en) Touch sensor
US5214858A (en) Teach and repeat probe for a robot arm
CN108007310B (zh) 一种发动机缸套自动测量设备
CN86102123A (zh) 指示装置
KR102060398B1 (ko) 공작기계의 가공원점 측정기
CN108393896B (zh) 用于焊接机器人焊枪工具点及工件坐标系标定装置及方法
CN110253628A (zh) 一种机器人末端工具快换装置
US5001464A (en) Contact detecting system in a machine tool
AU2012100665A4 (en) Length detecting device for motor output shaft in worm gear-worm case
US8499469B2 (en) Edge finder
CN201108998Y (zh) 一种与快走丝线切割机床配套使用的校调器
US464289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rking workpieces
CN213889540U (zh) 一种珩磨工具的气动控制连接装置及珩磨工具
CN113263355A (zh) 对刀测量装置
US20160238366A1 (en) Tool length measurement apparatus
CN210147583U (zh) 一种车外锥面工装
JPS5866801A (ja) 接触式センサ
CN207255832U (zh) 一种盘类工件装夹方向自动检测装置
CN212806972U (zh) 一种焊点高度检测装置
AU2015101504A4 (en) A Length detecting device for motor output shaft in worm gear-worm case
CN215281147U (zh) 对刀测量装置
JP2003039280A (ja) 工作機械の締結力測定装置及び制御方法
US5148608A (en) Edge sensor with multi-size outer engagement surfaces
KR102341306B1 (ko) 측정기용 탐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