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0891B1 - Device for cultivation of crops and method for cultivating crops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evice for cultivation of crops and method for cultivating crops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0891B1
KR102440891B1 KR1020200021094A KR20200021094A KR102440891B1 KR 102440891 B1 KR102440891 B1 KR 102440891B1 KR 1020200021094 A KR1020200021094 A KR 1020200021094A KR 20200021094 A KR20200021094 A KR 20200021094A KR 102440891 B1 KR102440891 B1 KR 102440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ivation
crop
cultivation box
asparagus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10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06206A (en
Inventor
이상표
이철재
권진택
김현돈
Original Assignee
강원도 삼척시(농업기술센터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도 삼척시(농업기술센터장) filed Critical 강원도 삼척시(농업기술센터장)
Priority to KR1020200021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0891B1/en
Publication of KR20210106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2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8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00Hand-cutting implements for harves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2009/003Receptacles consisting of separable sections, e.g. for allowing easy removal of the pl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Hydroponic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재배 장치는 작물을 수용 가능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 재배지의 상측에 설치되도록 제공되는 재배 상자; 및 상기 하부 재배지에 대한 상기 재배 상자의 상대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제공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A crop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ltivation box provided to be installed on an upper side of a lower cultivation area, the interior space being formed to accommodate crops; and a driving unit provided to adjust the relative height of the cultivation box with respect to the lower cultivation area.

Description

작물 재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작물 재배 방법{DEVICE FOR CULTIVATION OF CROPS AND METHOD FOR CULTIVATING CROPS USING THE SAME}Crop cultivation apparatus and crop cultiva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작물 재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작물 재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op cultivation apparatus and a crop cultivation method using the same.

아스파라거스는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서, 봄에 맹아가 되어 올라오는 약경(어린 줄기)이 식용으로 이용된다. 아스파라거스는 항산화 물질, 폴리페놀(polyphenol), 아스파라긴산(asparaginic acid), 루틴(rutin), 프로토다이오신(protodioscin) 등 인체에 유익한 영양소를 많이 함유하고 있는 바, 식품적 가치가 높아, 매년 아스파라거스의 소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Asparagus is a perennial plant belonging to the family Liliaceae, and the medicinal stalks (young stems) that sprout in spring are used for food. Asparagus contains a lot of nutrients beneficial to the human body, such as antioxidants, polyphenols, asparaginic acid, rutin, and protodioscin. is a steadily increasing trend.

아스파라거스는, 재배 방법에 따라 그린 아스파라거스와 화이트 아스파라거스로 구분된다. 그린 아스파라거스는 자연상태에서 그대로 재배하여 엽록소가 생성되어 녹색을 띠고, 화이트 아스파라거스는 어린 줄기가 올라오는 시기에 햇빛을 차단함으로써 엽록소가 형성되지 못하므로 하얀색을 띤다.Asparagus is divided into green asparagus and white asparagus according to the cultivation method. Green asparagus is grown in its natural state and chlorophyll is produced, giving it a green color, while white asparagus is white because chlorophyll is not formed by blocking sunlight when young stems are rising.

이러한 아스파라거스를 재배하기 위한 작형으로 노지재배, 반촉성재배, 촉성재배, 억제재배 등이 있다.As a crop type for cultivating such asparagus, there are open field cultivation, semi-stimulatory cultivation, stimulation cultivation, suppression cultivation, and the like.

노지재배는 땅에 작물을 파종해 재배하는 기본적인 작형으로서, 자연생육 사이클을 이용하므로 사람이 인위적으로 수확시기를 조절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노지재배의 경우, 아스파라거스는 봄에 어린순이 자라고, 여름 내지 가을에 광합성을 통해 양분을 저장하고, 늦가을 지상부가 마른 다음, 겨울철에 휴면에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노지재배의 경우, 봄철에 수확을 하고, 여름부터 휴면 전까지는 수확이 거의 없다는 단점이 있다.Open-field cultivation is a basic crop that is cultivated by sowing crops in the ground, and since it uses a natural growth cycle, i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for humans to artificially control the harvest time. In addition, in the case of open-field cultivation, young shoots of asparagus grow in spring, store nutrients through photosynthesis in summer or autumn, dry above ground in late autumn, and then enter dormancy in winter. Therefore, in the case of open-field cultiva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harvest is harvested in spring and there is almost no harvest from summer to dormancy.

반촉성재배는 봄에 하우스나 터널 피복으로 지온과 기온을 높여 움이 트는 것을 촉진하는 작형으로서, 노지재배의 경우보다 약 2개월 내지 3개월 일찍 아스파라거스를 수확할 수 있다.Asparagus cultivation is a type of crop that promotes growth by raising the ground and temperature by covering houses or tunnels in spring, and asparagus can be harvested about 2 to 3 months earlier than in open field cultivation.

촉성재배는 밭에서 2년 내지 3년간 키운 포기를 가을에 캐 하우스에 밀식해 가온재배로 정식한 뒤 35일 내지 40일 후부터 아스파라거스를 수확할 수 있는 작형이다.In the prompt cultivation, asparagus can be harvested from 35 to 40 days after planting asparagus grown in the field for 2 to 3 years in the fall and planted in a warm cultivation.

억제재배는 노지재배나 반촉성재배의 봄 수확이 끝난 다음 줄기를 키워 8~10월에 나오는 순을 수확하는 작형이다.Suppression cultivation is a type of crop that harvests shoots from August to October by growing stems after the spring harvest of open-field or semi-stimulatory cultivation is over.

농가에서 아스파라거스 재배로 소득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은 다양한 작형들이 순차적으로 실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재배 작형들을 모두 실시하기 위해서는 넓은 재배 공간이 필요하며, 시설비, 노력비 등 경영비가 많이 소요되므로, 일반적인 농가에서는 대부분 한 가지 형태의 작형을 수행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제한된 재배 공간과 노동력으로 다양한 재배 작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복합작형이 가능한 작물 재배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In order to generate income from asparagus cultivation in a farmhouse, the above various cropping types should be sequentially executed. However, in order to implement all of these types of cultivation, a large cultivation space is required, and management costs such as facility cost and labor cost are high. Therefore, most general farms have no choice but to perform one type of cultivation.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crop cultivation system capable of complex cropping in which various cultivation types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with limited cultivation space and labor.

특허문헌: 한국등록특허 제10-1252893호 (2013.04.03. 등록)Patent Literatur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52893 (Registered on Mar. 201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제한된 재배 공간에서 다양한 재배 작형을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작물 재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rop cultivation apparatus capable of complexly performing various cultivation types in a limited cultivation space.

또한, 작물의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작물 재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rop cultivation apparatus capable of increasing the production of crops.

또한, 시설비, 노동력 및 인건비 절감이 가능한 작물 재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crop cultivation device capable of reducing facility costs, labor and labor costs.

또한, 다양한 종류의 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작물 재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crop cultivation apparatus capable of cultivating various types of crops.

또한, 화이트 아스파라거스의 재배를 위한 별도의 차광 시설이 요구되지 않는 작물 재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rop cultivation apparatus tha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light-shielding facility for cultivation of white asparagus.

또한, 수확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작물 재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rop cultivation apparatus in which a harvesting oper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작물을 수용 가능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 재배지의 상측에 설치되도록 제공되는 재배 상자; 및 상기 하부 재배지에 대한 상기 재배 상자의 상대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제공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작물 재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space is formed to accommodate the crop, the cultivation box provided to b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cultivation area; and a driving unit provided to adjust the relative height of the cultivation box with respect to the lower cultivation area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재배 상자는, 상기 내부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복수 개의 측면 프레임; 및 상기 측면 프레임의 하측을 개폐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측면 프레임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는 하부 받침대를 포함하는 작물 재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ltivation box, a plurality of side frames provided to form the inner space; And in order to enable opening and closing of the lower side of the side frame, there may be provided a crop cultivation device comprising a lower support that is detachably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side frame.

또한, 상기 하부 받침대는, 상기 하부 받침대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과 동일 평면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부분의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 받침대의 나머지 일부를 형성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상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힌지를 포함하는 작물 재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pedestal may include: a first part forming a part of the lower pedestal; a second portion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first portion to maintain the same plane as the first portion and forming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lower pedestal; and a hinge connecting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to be able to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측면 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 받침대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받침대는 상기 측면 프레임의 하측이 개방되는 경우,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슬릿에 삽입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힌지를 통해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회동되어 상기 제1 부분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측면 프레임의 외측에 고정되는 작물 재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 slit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ide frame so that the lower support is slidably movable, and the lower support is disposed in a state inserted into the slit when the lower side of the side frame is opened, The second part is rotated from the first part through the hinge and is dispos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part and fixed to the outside of the side frame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된 작물을 수확 가능한 수확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확기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로부터 연장되어 작물을 수확 가능한 칼날을 포함하는 작물 재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further comprising a harvester capable of harvesting the crop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the harvester, the user gripping handle; And extending from the handle may be provided with a crop cultivation device comprising a blade capable of harvesting crops.

또한, 상기 측면 프레임은 상기 수확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부 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수확기 입구를 포함하는 작물 재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de frame may be provided with a crop cultivation device including a harvester inlet provided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harvester can enter the inner space.

또한, 상기 재배 상자는 상기 재배 상자가 상기 하부 재배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재배 상자의 하부에 하방으로 연장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작물 재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ltivation box may be provided with a crop cultivation device including a fixing pin extending downwardly under the cultivation box so that the cultivation box can be fixed to the lower cultivation area.

또한, 상기 고정핀은 침상으로 제공되는 작물 재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pin may be provided with a crop cultivation device provided as a bed.

또한, 상기 재배 상자는 상기 내부 공간을 복수 개의 구역으로 나누는 격벽을 포함하는 작물 재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ltivation box may be provided with a crop cultivation apparatus including a partition wall dividing the inner space into a plurality of zones.

또한, 상기 격벽에는 하나 이상의 구멍이 형성되는 작물 재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tition wall may be provided with a crop cultivation device in which one or more holes are formed.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재배 상자가 하부 재배지에 지지되도록 제공되는 지지대; 및 상기 재배 상자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작물 재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unit, a support provided so that the cultivation box is supported in the lower cultivation area; and a motor providing power for moving the cultivation box in one direction may be provided.

한편, 상술한 작물 재배 장치를 이용한 작물 재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부 재배지에 아스파라거스가 식재되어 있는 상태로 상기 재배 상자에서 아스파라거스 순을 재배하고 수확하는 단계; 상기 하부 재배지에서 아스파라거스 순을 재배하고 수확하는 단계; 및 상기 재배 상자를 상기 하부 재배지로부터 이격시켜 상기 재배 상자에서 작물을 재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작물 재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rop cultivation method using the above-described crop cultivation apparatus, the step of cultivating and harvesting asparagus shoots in the cultivation box in a state in which asparagus is planted in the lower cultivation area; Cultivating and harvesting asparagus shoots in the lower cultivation area; and spaced apart the cultivation box from the lower cultivation area to grow crops in the cultivation box.

또한, 상기 하부 재배지에서 아스파라거스 순을 재배하고 수확하는 단계는 상기 재배 상자가 상기 하부 재배지에 밀착되어 고정된 상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하부 재배지에서 화이트 아스파라거스가 재배되는 작물 재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cultivating and harvesting asparagus shoots in the lower plantation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growing box is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lantation, so that a method for growing a crop in which white asparagus is grown in the lower plantation can be provided.

또한, 상기 하부 재배지에서 아스파라거스 순을 재배하고 수확하는 단계는 상기 재배 상자가 상기 하부 재배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하부 재배지에서 그린 아스파라거스가 재배되는 작물 재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cultivating and harvesting asparagus shoots in the lower plantation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cultivation box i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wer plantation, so that the crop cultivation method in which green asparagus is grown in the lower plantation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재배 장치는, 제한된 재배 공간에서 다양한 재배 작형을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crop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various cultivation types can be complexly performed in a limited cultivation space.

또한, 작물의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yield of crops.

또한, 시설비, 노동력 및 인건비 절감의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facility costs, labor and labor costs.

또한, 다양한 종류의 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바, 복합영농이 가능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various types of crops can be grow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complex farming is possible.

또한, 별도의 차광 시설 없이, 화이트 아스파라거스를 재배할 수 있다.In addition, white asparagus can be grown without a separate light-shielding facility.

또한, 수확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harvesting oper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재배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재배 상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재배 상자의 하부 받침대가 개폐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작물 재배 장치의 사용 예를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작물 재배 장치의 다른 사용 예를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 crop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ultivation box of FIG. 1 .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pedestal of the cultivation box of FIG. 1 is opened and closed.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ing the crop cultivation apparatus of FIG. 1 step by step.
5 is a view showing step by step another example of use of the crop cultivation apparatus of FIG. 1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재배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재배 상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재배 상자의 하부 받침대가 개폐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1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 crop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ultivation box of FIG. 1, and FIG. 3 is a lower support of the cultivation box of FIG. It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재배 장치(1)는 아스파라거스를 재배하기 위한 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작물 재배 장치(1)는 본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아스파라거스 이외의 다른 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장치로서 제공될 수 있다.The crop cultiva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derstood as an apparatus for cultivating asparagus. 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rop cultivation apparatus 1 may be provided as an apparatus for cultivating other crops other than asparagus within the range in which the present idea is maintained.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재배 장치(1)는, 작물을 수용하는 재배 상자(10)와, 재배 상자(10)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20)와, 재배 상자(10) 내의 작물을 수확할 수 있는 수확기(3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3 , the crop cultiva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ltivation box 10 for accommodating a crop, and a driving unit 20 for moving the cultivation box 10 in one direction. ) and may include a harvester 30 capable of harvesting crops in the cultivation box 10 .

재배 상자(10)는 작물을 수용 가능하도록 내부 공간(11)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하부 재배지(P)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재배 상자(10)는 구동부(20)에 의해 일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일 방향이란 하부 재배지(P)의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일 수 있다. 즉, 재배 상자(1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재배 상자(10)는 하부 재배지(P)의 지면과의 상대 높낮이가 조절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겠다.The cultivation box 10 has an internal space 11 to accommodate crops, and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cultivation area P. The cultivation box 10 may be moved in one direction by the driving unit 20 . Here, the one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of the lower cultivation area (P). That is, the cultivation box 10 may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by, the cultivation box 1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relative height of the lower cultivation area P with the ground can be adjusted. A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given later.

재배 상자(10)는 측면 프레임(12)과, 측면 프레임(12)의 하측에 제공되는 하부 받침대(13)와, 고정핀(14)과, 내부 공간(11)을 복수 개의 구역으로 나누는 격벽(15)을 포함할 수 있다.The cultivation box 10 includes a side frame 12, a lower support 13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side frame 12, a fixing pin 14, and a partition wall dividing the inner space 11 into a plurality of zones ( 15) may be included.

측면 프레임(12)은 내부 공간(11)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면 프레임(12)이 4개로 제공됨으로써, 사각형 형태의 내부 공간(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측면 프레임(12)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11)은 내부에서 충분한 양의 아스파라거스가 성장될 수 있는 크기일 수 있다.The side frame 12 is for forming the inner space 11, and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Specifically, by providing four side frames 12, the inner space 11 of a rectangular shape can be formed. At this time, the inner space 11 formed by the side frame 12 may have a size in which a sufficient amount of asparagus can be grown.

하부 받침대(13)는 측면 프레임(12)의 하측에 제공되어 내부 공간(11)에 수용되는 작물 및 흙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받침대 역할을 할 수 있다. 하부 받침대(13)는, 하부 받침대(13)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 부분(131)과, 하부 받침대(13)의 나머지 일부를 형성하는 제2 부분(133)과, 제1 부분(131)과 제2 부분(133)을 연결하는 힌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분(133)이 제1 부분(131)의 측면에 배치되는 바, 제1 부분(131)과 제2 부분(133)은 동일 평면을 유지할 수 있다. 힌지(135)는 제1 부분(131)과 제2 부분(133)을 상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이때, 힌지(135)는 하부 받침대(13)의 전체 길이의 약 1/5 지점에 구비될 수 있다.The lower support 13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side frame 12 to serve as a support that can support the load of crops and soil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11 . The lower pedestal 13 includes a first part 131 forming a part of the lower pedestal 13 , a second part 133 forming the remaining part of the lower pedestal 13 , and a first part 131 . and a hinge 135 connecting the second part 133 to the hinge 135 . Since the second part 133 is dispos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part 131 , the first part 131 and the second part 133 may maintain the same plane. The hinge 135 may connect the first part 131 and the second part 133 to be rotatable relative to each other. In this case, the hinge 135 may be provided at about 1/5 of the entire length of the lower support 13 .

도 3을 참조하면, 하부 받침대(13)는 측면 프레임(12)의 하측을 개폐할 수 있다. 도 3a는 하부 받침대(13)에 의해 측면 프레임(12)의 하측이 폐쇄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b는 하부 받침대(13)에 의해 측면 프레임(12)의 하측이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Referring to FIG. 3 , the lower support 13 may open and close the lower side of the side frame 12 . 3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side of the side frame 12 is closed by the lower support 13 , and FIG. 3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side of the side frame 12 is opened by the lower support 13 . to be.

하부 받침대(13)는 측면 프레임(12)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하부 받침대(13)는 측면 프레임(12)의 일측에 형성된 슬릿(121)을 통해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하부 받침대(13)를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하부 받침대(13)가 측면 프레임(12)의 하부에서 착탈될 수 있다.The lower pedestal 13 may be detachably provided under the side frame 12 . The lower support 13 may slide through the slit 121 formed on one side of the side frame 12 . By sliding the lower pedestal 13 , the lower pedestal 13 can be detach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side frame 12 .

구체적으로, 측면 프레임(12)의 하측이 폐쇄된 상태에서 측면 프레임(12)의 하측을 개방하고자 할 경우, 하부 받침대(13)를 슬릿(121)을 통해 측면 프레임(12)의 외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상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부분(133)이 측면 프레임(12)의 외측으로 이동되어 측면 프레임(12)의 하측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측면 프레임(12)의 하측이 개방되는 경우, 제1 부분(131)은 슬릿(121)에 삽입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고, 제2 부분(133)은 슬릿(121)을 통해 내부 공간(11)에서 빠져나온 상태일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lower side of the side frame 12 is to be opened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side of the side frame 12 is closed, the lower pedestal 13 is set in an outer direction of the side frame 12 through the slit 121 . You can slide it over a distance. In this case, the second part 133 may be moved to the outside of the side frame 12 to open the lower side of the side frame 12 . When the lower side of the side frame 12 is opene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part 131 may be disposed in a state inserted into the slit 121 , and the second part 133 may be disposed inside the slit 121 through the slit 121 . It may be in a state out of the space 11 .

제2 부분(133)이 측면 프레임(12)의 외측으로 이동된 후, 힌지(135)에 의해 제2 부분(133)이 제1 부분(131)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제2 부분(133)은 회전에 의해 제1 부분(13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부분(131)과 제2 부분(133)이 이루는 각도는 80° 내지 100°일 수 있으나, 제1 부분(131)과 제2 부분(133)이 이루는 각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fter the second part 133 is moved to the outside of the side frame 12 , the second part 133 may b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part 131 by the hinge 135 . The second part 133 may be dispos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part 131 by rotation. In this case, the angle between the first part 131 and the second part 133 may be 80° to 100°, but the angle between the first part 131 and the second part 133 is not limited thereto.

제1 부분(131)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된 제2 부분(133)은 측면 프레임(12)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2 부분(133)과 측면 프레임(12)의 고정은 공지의 다양한 결합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 프레임(12)의 일측에 홈이 형성되고 제1 부분(131)의 일측에 돌기가 형성되어 홈과 돌기의 끼움 결합에 의해 제2 부분(133)이 측면 프레임(12)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자석에 의한 자력을 통해 제2 부분(133)이 측면 프레임(12)에 고정될 수 있다.The second part 133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part 131 may be fixed to one side of the side frame 12 . In this case, the second part 133 and the side frame 12 may be fixed by various known coupling methods. For example, a groov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ide frame 12 and a projec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part 131 , so that the second part 133 is attached to the side frame 12 by fitting the groove and the projection. can be fixed. As another example, the second part 133 may be fixed to the side frame 12 through a magnetic force by a magnet.

측면 프레임(12)의 하측이 개방된 상태에서 측면 프레임(12)의 하측을 폐쇄하고자 할 경우, 하부 받침대(13)를 슬릿(121)을 통해 측면 프레임(12)의 내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상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측면 프레임(12)에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127)이 형성되는 바, 측면 프레임(12)의 하측이 폐쇄된 상태에서 하부 받침대(13)의 일측이 걸림턱(127)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If you want to close the lower side of the side frame 12 in a state where the lower side of the side frame 12 is open, slide the lower support 13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side frame 12 through the slit 121 over a predetermined distance. can be moved At this time, the side frame 12 is provided with a locking jaw 127 protruding inwardly, and one side of the lower support 13 is supported by the locking jaw 127 in a state where the lower side of the side frame 12 is closed. can be

격벽(15)은 내부 공간(11)을 복수 개의 구역으로 나누는 것으로서, 내부 공간(11)의 내측 폭과 동일한 길이의 플레이트로 제공될 수 있다. 격벽(15)은 측면 프레임(12)에 탈부착될 수 있으며, 측면 프레임(12)의 내측에 형성된 홈(미도시)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다만, 격벽(15)의 고정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 격벽(15)은 측면 프레임(1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partition wall 15 divides the inner space 11 into a plurality of zones, and may be provided as a plate having the same length as the inner width of the inner space 11 . The partition wall 15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side frame 12 , and may be fixedly inserted into a groove (not shown) formed inside the side frame 12 . However, the fixing method of the partition wall 15 is not limited thereto. As another example, the partition wall 15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ide frame 12 .

하부 받침대(13) 및 격벽(15)에는 수분 및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구멍(16)이 형성될 수 있다.One or more holes 16 that can facilitate the flow of moisture and air may be formed in the lower pedestal 13 and the partition wall 15 .

측면 프레임(12)에는 수확기 입구(123)가 형성되는 바, 수확기(30)의 일부가 수확기 입구(123)를 통해 내부 공간(11)으로 진입할 수 있다.A harvester inlet 123 is formed in the side frame 12 , and a portion of the harvester 30 may enter the inner space 11 through the harvester inlet 123 .

구체적으로, 수확기(30)는 일측에 구비되는 칼날(32) 및 타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31)를 포함할 수 있다. 칼날(32)이 형성된 수확기(30)의 일측을 수확기 입구(123)를 통해 내부 공간(11)으로 진입시킴으로써, 작물을 수확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손잡이(31)를 파지하여 칼날(32)이 형성된 수확기(30)의 일측을 수확기 입구(123)를 통해 내부 공간(11)으로 진입시킬 수 있다. 이때, 수확기 입구(123)가 내부 공간(11)에 수용되는 아스파라거스의 뿌리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됨으로써, 수확 시 아스파라거스의 뿌리가 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harvester 30 may include a blade 32 provided on one side and a handle 31 provided on the other side for the user to grip. By entering the inner space 11 through one side of the harvester 30 on which the blade 32 is formed through the harvester inlet 123, crops can be harvested. That is, the user may enter the inner space 11 through the harvester inlet 123 at one side of the harvester 30 on which the blade 32 is formed by gripping the handle 31 . At this time, since the harvester inlet 123 is position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root of the asparagu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11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oot of the asparagus from being damaged during harvest.

또한, 측면 프레임(12)의 상측에는 재배 상자(10)의 상부에 비닐을 씌우기 위한 활대가 꽂힐 수 있는 복수 개의 홈(125)이 형성될 수 있다. 홈(125)은 재배 상자(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대칭으로 형성되는 양쪽 홈(125)에 활대를

Figure 112020018295191-pat00001
형태로 꽂고, 활대의 상측에 비닐 등을 씌울 수 있다. 이에 의해 재배 상자(10)를 이용하여 반촉성 재배를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grooves 125 can be formed in the upper side of the side frame 12 , into which a stick for covering the vinyl can be inser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ultivation box 10 . The groove 125 may b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ltivation box 10 . A bow is placed in the grooves 125 on both sides that are symmetrically formed.
Figure 112020018295191-pat00001
You can put it in the shape of a bow and cover the top of the bow with vinyl. Thereby, semi-stimulatory cultivation can be performed using the cultivation box 10 .

고정핀(14)은 재배 상자(10)를 하부 재배지(P)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측면 프레임(12)의 하측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핀(14)은 측면 프레임(12)의 하단부 모서리 4곳에 제공될 수 있다. 이때, 고정핀(14)은 측면 프레임(12)에 접착되거나, 측면 프레임(1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핀(14)이 하부 재배지(P)에 삽입되어 매설됨으로써, 재배 상자(10)가 하부 재배지(P)에 고정될 수 있다.The fixing pin 14 is for fixing the cultivation box 10 to the lower cultivation area P, and may be provided in a form protru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side frame 12 . For example, the fixing pin 14 may be provided at four lower end corners of the side frame 12 . At this time, the fixing pin 14 may be adhered to the side frame 12 or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ide frame 12 . By the fixing pin 14 is inserted and buried in the lower cultivation area (P), the cultivation box 10 can be fixed to the lower cultivation area (P).

이때, 고정핀(14)은 끝이 뾰족한 침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고정핀(14)이 침상으로 제공됨으로써, 고정핀(14)이 하부 재배지(P)에 심어진 아스파라거스의 뿌리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핀(14)은 견고한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고정핀(14)은 금속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핀(14)이 하부 재배지(P)에 매설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에서는 고정핀(14)이 측면 프레임(12)의 하단부 각 모서리에 4개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고정핀(14)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fixing pin 14 may be provided as a needle with a pointed end. By providing the fixing pin 14 as a need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xing pin 14 from damaging the roots of the asparagus planted in the lower cultivation area (P). In addition, the fixing pin 14 may be provided with a solid material. Exemplarily, the fixing pin 14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Accordingly, the fixing pin 14 can be easily made to be buried in the lower cultivation area (P). In this embodiment, it is described that four fixing pins 14 are provided at each corner of the lower end of the side frame 12, but the number of fixing pins 14 is not limited thereto.

구동부(20)는 재배 상자(10)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지지대(21)와 모터(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 방향이란 하부 재배지(P)에 대해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서, 상하 방향일 수 있다. 이에 의해, 하부 재배지(P)에 대한 재배 상자(10)의 상대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다.The driving unit 20 is for moving the cultivation box 10 in one direction, and may include a support 21 and a motor 23 . In this case, the one direction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wer cultivation area P, and may be an up-down direction. Thereby, the relative height of the cultivation box 10 with respect to the lower cultivation area P can be adjusted.

지지대(21)는 재배 상자(10)를 하부 재배지(P)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 개의 기둥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지지대(21)의 하측 일부는 하부 재배지(P)에 삽입되어 매설될 수 있다.The support 21 is for supporting the cultivation box 10 from the lower cultivation area P, an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pillars.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21 may be inserted and buried in the lower cultivation area (P).

모터(23)는 지지대(21)의 일측에 제공되어 재배 상자(10)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모터(23)는 피니언 기어(미도시)와 연결되고, 지지대(21)는 랙 기어(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피니언 기어와 랙 기어가 맞물림 결합되는 바, 모터(23)와 지지대(21)가 기어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터(23)의 구동력에 의해 피니언 기어가 회전될 수 있으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림 결합된 랙 기어에 의해 회전운동이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재배 상자(10)가 일 방향으로 직선 이동될 수 있다. 다만, 재배 상자(10)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랙 기어와 피니언 기어를 이용한 방법 이외의 공지의 다양한 기구적 이동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The motor 23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21 to provide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cultivation box 10 . At this time, the motor 23 may be connected to a pinion gear (not shown), and the support 21 may be connected to a rack gear (not shown). Since the pinion gear and the rack gear are meshed together, the motor 23 and the support 21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gear. Specifically, the pinion gear can be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23, and the rotational motion is converted into a linear motion by the rack gear meshed with the pinion gear, so that the cultivation box 10 is linearly moved in one direction. can However, the method of moving the cultivation box 10 in one direc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known mechanical movement methods other than a method using a rack gear and a pinion gear may be applied.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23)를 통해 재배 상자(10)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재배 상자(10)의 이동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재배 상자(10)에 직접 가하는 힘에 의해 재배 상자(10)가 이동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moving the cultivation box 10 in one direction through the motor 23 , the method of moving the cultivation box 10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cultivation box 10 may be moved by a force applied directly to the cultivation box 10 by the us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재배 장치(1)를 활용한 화이트 아스파라거스 재배 방법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cultivating white asparagus using the crop cultiva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

도 4는 도 1의 작물 재배 장치의 사용 예를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ing the crop cultivation apparatus of FIG. 1 step by step.

도 4a를 참조하면, 약 12월경, 하부 재배지(P)에 아스파라거스가 식재되어 있는 상태로, 재배 상자(10)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하부 재배지(P)에 밀착될 수 있다. 이때, 하부 재배지(P)에 식재되어 있는 아스파라거스는 휴면기간이므로 땅속에 매설되어 지면 위로 나오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4A , around December, in a state in which asparagus is planted in the lower cultivation area P, the cultivation box 10 may be moved downwar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cultivation area P. At this time, the asparagus planted in the lower cultivation area (P) may be in a state of being buried in the ground and not coming out above the ground because it is a dormant period.

재배 상자(10)에는 하부 받침대(13)가 폐쇄된 상태로 내부 공간(11)에 토양과 아스파라거스 뿌리가 밀식되어 하부 재배지(P)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고정핀(14)이 하부 재배지(P)에 삽입되어 고정핀(14)의 일부가 매설됨으로써, 재배 상자(10)가 하부 재배지(P)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In the cultivation box 10 , soil and asparagus roots are densely sown in the inner space 11 with the lower support 13 closed, and may be fixed to the lower cultivation area P. At this time, the fixing pin 14 is inserted into the lower cultivation area (P) so that a part of the fixing pin 14 is buried, so that the cultivation box 10 can be firmly fixed to the lower cultivation area (P).

측면 프레임(12)의 양쪽 홈(125)에 활대를

Figure 112020018295191-pat00002
형태로 꽂고 비닐 등을 씌울 수 있다. 또한, 기상에 따라 별도로 관수 및 열선 등이 설치될 수 있다.Insert the bow into the grooves 125 on both sides of the side frame 12.
Figure 112020018295191-pat00002
You can plug it into a shape and cover it with vinyl, etc.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weather, irrigation and heating wire may be separately installed.

재배 상자(10)에서 아스파라거스 순이 자라면, 작업자는 구동부(20)를 통해 재배 상자(10)의 높이를 조절하고 수확기(30)를 이용하여 아스파라거스 순을 수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확기(30)의 칼날(32)을 수확기 입구(123)를 통해 내부 공간(11)으로 진입시킴으로써, 아스파라거스 순이 절단될 수 있다.When asparagus sprouts grow in the cultivation box 10 , the operator may adjust the height of the cultivation box 10 through the driving unit 20 and harvest the asparagus sprouts using the harvester 30 . Specifically, by entering the blade 32 of the harvester 30 into the inner space 11 through the harvester inlet 123, asparagus sprouts can be cut.

상기와 같이, 하부 재배지(P)에 대한 재배 상자(10)의 상대 높낮이가 조절 가능하게 제공됨으로써, 작업자가 재배관리 또는 수확 시 허리를 굽히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자의 신체적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수확기(30)를 이용하여 작물의 수확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노동력 및 인건비 절감의 효과를 이룰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elative height of the cultivation box 10 with respect to the lower cultivation area P is adjustable, the worker does not have to bend his/her back during cultivation management or harvesting, thereby reducing the physical burden of the worker. In addition, by facilitating the harvest of crops using the harvester 30 ,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effect of reducing labor and labor costs.

상기와 같은 수확 방법은 비닐 등을 이용한 반촉성재배로서, 하부 재배지(P)의 지면 위로 아스파라거스 순이 올라오기 시작하는 2월 말 내지 3월 초까지 반복될 수 있다.The harvest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is a semi-stimulatory cultivation using vinyl or the like, and may be repeated from the end of February to the beginning of March when the asparagus sprouts start to rise above the ground of the lower cultivation area (P).

도 4b를 참조하면, 2월 말 또는 3월 초에 하부 재배지(P)의 지면 위로 아스파라거스 순이 올라오기 시작하면, 재배 상자(10)에 남은 아스파라거스 뿌리를 골라낸 후, 내부 공간(11)에 상토 또는 톱밥 등을 다시 보충할 수 있다. 내부 공간(11)에 상토 또는 톱밥 등이 보충된 상태로 재배 상자(10)를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하부 재배지(P)와 밀착시킨 후 하부 받침대(13)를 제거할 수 있다. 하부 받침대(13)가 제거됨으로써, 내부 공간(11)에 수용된 상토 또는 톱밥 등이 하부 재배지(P) 상에 쌓여, 하부 재배지(P)에서 재배되는 아스파라거스에 노출되는 햇빛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재배 상자(10) 내의 상토 또는 톱밥이 차광 역할을 하는 바, 별도의 차광 시설 없이 화이트 아스파라거스가 재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광을 위한 종래의 흙쌓기 작업 또는 차광시설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노동력, 인건비 및 시설비 절감의 효과를 이룰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4b, when the asparagus sprouts start to rise above the ground of the lower cultivation area (P) at the end of February or early March, the asparagus roots remaining in the cultivation box (10) are picked out, and then the top soil in the inner space (11) Alternatively, sawdust and the like can be replenished. After the cultivation box 10 is moved in the downward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opsoil or sawdust is replenished in the inner space 11 ,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cultivation area P, and then the lower support 13 can be removed. By removing the lower pedestal 13, top soil or sawdust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11 is piled up on the lower plantation P, and it is possible to block sunlight exposed to asparagus grown in the lower plantation P. That is, the top soil or sawdust in the cultivation box 10 serves as a light-shielding bar, and white asparagus can be grown without a separate light-shielding facility. Thereby, since the conventional piling work for shading or shading facilities are not required,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effect of reducing labor, labor, and facility costs.

상기와 같은 수확 방법은 아스파라거스의 자연 생육 사이클을 이용한 노지재배로서, 6월말 내지 7월 초까지 반복될 수 있다. 이때, 재배 상자(10) 및 내부 공간(11)에 수용된 상토 또는 톱밥 등이 차광 역할을 하는 바, 하부 재배지(P)에서 화이트 아스파라거스를 재배 및 수확할 수 있다.The harvest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is an open field cultivation using the natural growth cycle of asparagus, and may be repeated from the end of June to the beginning of July. At this time, since top soil or sawdust accommodated in the cultivation box 10 and the inner space 11 acts as a light shield, white asparagus can be cultivated and harvested in the lower cultivation area P.

도 4c를 참조하면, 하부 재배지(P)의 아스파라거스 수확이 완료되면, 12월경까지 다음 년도의 아스파라거스 재배를 하기 위해 아스파라거스가 하부 재배지(P)의 지면 위로 성장하도록 재배할 수 있다. 이때, 재배 상자(10)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하부 재배지(P)의 충분한 생육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아스파라거스의 경우, 지주의 설치가 필수적인데, 지지대(21)가 지주로 활용되는 바, 별도의 지주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측 방향으로 이동된 재배 상자(10)에는 채소류 및 딸기와 같은 과일류 등을 재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하나의 작물 재배 장치(1)로 다양한 종류의 작물을 재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Referring to FIG. 4C , when the asparagus harvest of the lower plantation area P is completed, the asparagus may be grown to grow above the ground surface of the lower plantation area P for asparagus cultivation of the next year until about December.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secure sufficient growth space of the lower cultivation area (P) by moving the cultivation box (10) in the upward direction. In the case of asparagus, installation of a pole is essential, and since the support 21 is used as a pole, the cost for installing a separate pole can be reduced. In the cultivation box 10 moved in the upward direction, vegetables and fruits such as strawberries can be grown. Thereby, there is an advantage that various kinds of crops can be grown with one crop cultivation apparatus 1 .

또한, 재배 상자(10)와 하부 재배지(P)에 서로 다른 작형을 적용하여 아스파라거스를 재배할 수 있는 바, 제한된 재배 공간에서 다양한 재배 작형이 복합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토지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asparagus can be grown by applying different cropping types to the cultivation box 10 and the lower cultivation area P, various cultivation types can be complexly performed in a limited cultivation space. Thereb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tilization of land can be increased.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작물 재배 장치(1)를 통해 아스파라거스의 재배가 다단으로 이루어지는 바, 작물의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ultivation of asparagus is performed in multiple stages through the crop cultivation apparatus 1,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roduction of crop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재배 장치(1)를 활용한 그린 아스파라거스 재배 방법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의 아스파라거스 재배 방법은 도 4의 아스파라거스 재배 방법과 비교하여 하부 재배지(P)에서 그린 아스파라거스를 재배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도 4의 아스파라거스 재배 과정의 설명을 원용한다.Hereinafter, a green asparagus cultivation method using the crop cultiva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Since the asparagus cultivation method of FIG. 5 is different from the asparagus cultivation method of FIG. 4 in that green asparagus is grown in the lower cultivation area (P), the difference will be mainly described. use an explanation

도 5는 도 1의 작물 재배 장치의 다른 사용 예를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step by step another example of use of the crop cultivation apparatus of FIG. 1 .

도 5a를 참조하면, 약 12월경, 하부 재배지(P)에 아스파라거스가 식재되어 있는 상태로, 재배 상자(10)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하부 재배지(P)에 밀착될 수 있다. 이때, 하부 재배지(P)에 식재되어 있는 아스파라거스는 휴면기간이므로 땅속에 매설되어 지면 위로 나오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5A , around December, in a state in which asparagus is planted in the lower cultivation area P, the cultivation box 10 may be moved downwar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cultivation area P. At this time, the asparagus planted in the lower cultivation area (P) may be in a state of being buried in the ground and not coming out above the ground because it is a dormant period.

재배 상자(10)에는 하부 받침대(13)가 폐쇄된 상태로 내부 공간(11)에 토양과 아스파라거스 뿌리가 밀식되어 하부 재배지(P)에 고정될 수 있다.In the cultivation box 10 , soil and asparagus roots are densely sown in the inner space 11 with the lower support 13 closed, and may be fixed to the lower cultivation area P.

재배 상자(10)에서 아스파라거스 순이 자라면, 작업자는 구동부(20)를 통해 재배 상자(10)의 높이를 조절하고 수확기(30)를 이용하여 아스파라거스 순을 수확할 수 있다. 이러한 수확 과정은 하부 재배지(P)의 지면 위로 아스파라거스 순이 올라오기 시작하는 2월 말 내지 3월 초까지 반복될 수 있다.When asparagus sprouts grow in the cultivation box 10 , the operator may adjust the height of the cultivation box 10 through the driving unit 20 and harvest the asparagus sprouts using the harvester 30 . This harvesting process may be repeated from the end of February to the beginning of March when the asparagus sprouts start to rise above the ground of the lower plantation (P).

도 5b를 참조하면, 재배 상자(10)의 아스파라거스 순을 수확한 후, 재배 상자(10)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하부 재배지(P)의 아스파라거스가 성장할 수 있다. 이 경우, 별도의 차광 장치가 구비되지 않는 바, 하부 재배지(P)에서 그린 아스파라거스가 재배될 수 있다. 이때, 상측 방향으로 이동된 재배 상자(10)에 아스파라거스 이외의 다른 작물을 재배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B , after harvesting the asparagus shoots in the cultivation box 10 , asparagus in the lower cultivation area P may grow in a state in which the cultivation box 10 is moved upward. In this case, since a separate light blocking device is not provided, green asparagus may be grown in the lower cultivation area P.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grow crops other than asparagus in the cultivation box 10 moved in the upward direction.

도 5c를 참조하면, 하부 재배지(P)의 아스파라거스 수확이 완료되면, 다음 년도의 아스파라거스 재배를 하기 위해 아스파라거스가 하부 재배지(P)의 지면 위로 성장하도록 재배할 수 있다. 이때, 재배 상자(10)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하부 재배지(P)의 충분한 생육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C , when the harvest of asparagus in the lower cultivation area P is completed, asparagus may be grown so that the asparagus grows above the ground of the lower cultivation area P in order to cultivate asparagus of the next year.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secure sufficient growth space of the lower cultivation area (P) by moving the cultivation box (10) in the upward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재배 장치(1)는 상기와 같이 재배 상자(1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바, 하부 재배지(P)에서 그린 아스파라거스와 화이트 아스파라거스를 선택적으로 재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the crop cultiva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ltivation box 10 is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so that green asparagus and white asparagus can be selectively grown in the lower cultivation area P. There are advantages to being able to

또한, 제한된 재배 공간에서 복수 개의 재배 작형이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어 연속적인 작물 수확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바, 아스파라거스의 생산량이 증가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cultivation types may be sequentially performed in a limited cultivation space, continuous crop harvesting may be achieved, and thus the production of asparagus may be increased.

또한, 시기에 따라 재배 상자(10)에 아스파라거스 이외의 작물을 재배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작물 재배 장치(1)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작물을 재배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crops other than asparagus can be grown in the cultivation box 10 according to time, various types of crops can be grown using one crop cultivation device 1 .

또한, 하부 재배지(P)와 재배 상자(10)에 다단으로 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바, 제한된 재배지 면적으로 더 많은 양의 작물을 재배하여 작물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토지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crops can be grown in multiple stages in the lower cultivation area P and the cultivation box 10 , a larger amount of crops can be grown in a limited cultivation area to increase crop production. This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utilization of land.

또한, 재배 상자(10)의 높이가 조절 가능하게 제공되는 바, 작물관리 및 수확 작업 시 작업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자의 신체적 부담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eight of the cultivation box 10 is provided so as to be adjustable, the worker does not have to bend his/her back during crop management and harvesting, thereby reducing the worker's physical burden.

또한, 수확기(30)를 이용하여 작물 수확이 가능하므로, 노동력 및 인건비 절감의 효과를 이룰 수 있다.In addition, since crops can be harvested using the harvester 30 ,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effect of reducing labor and labor costs.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물 재배 장치(1) 및 이를 이용한 작물 재배 방법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Above, the crop cultivation apparatus 1 and the crop cultiva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specific embodiments,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basic idea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the widest scope to follow.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implement a pattern of a shape not specified by combining or substituting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this also does not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hange or modify the disclosed embodiments based o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it is clear that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작물 재배 장치 10: 재배 상자
11: 내부 공간 12: 측면 프레임
121: 슬릿 123: 수확기 입구
125: 홈 127: 걸림턱
13: 하부 받침대 131: 제1 부분
133: 제2 부분 135: 힌지
14: 고정핀 15: 격벽
16: 구멍 20: 구동부
21: 지지대 23: 모터
30: 수확기 31: 손잡이
32: 칼날 P: 하부 재배지
1: Crop growing device 10: Growing box
11: Interior space 12: Side frame
121: slit 123: harvester entrance
125: groove 127: jamming jaw
13: lower pedestal 131: first part
133: second part 135: hinge
14: fixing pin 15: bulkhead
16: hole 20: drive unit
21: support 23: motor
30: harvester 31: handle
32: blade P: lower plantation

Claims (14)

작물을 수용 가능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 재배지의 상측에 설치되도록 제공되는 재배 상자; 및
상기 하부 재배지에 대한 상기 재배 상자의 상대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제공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재배 상자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측면 프레임; 및
상기 측면 프레임의 하측에 개폐 가능하게 제공되는 하부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받침대는,
상기 하부 받침대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 부분;
상기 하부 받침대의 나머지 일부를 형성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이 상대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연결하는 힌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받침대의 일부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측면 프레임에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받침대의 일부가 상기 슬릿을 통해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의 상대 회동에 의해 상기 재배 상자의 하측이 개방되는 작물 재배 장치.
The inner space is formed to accommodate crops, and the cultivation box is provided to b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cultivation area; and
Comprising a driving unit provided to adjust the relative height of the cultivation box with respect to the lower cultivation area,
The cultivation box,
side frames defining an interior space; and
and a lower pedestal provided to be opened and closed at the lower side of the side frame,
The lower pedestal is
a first portion forming part of the lower pedestal;
a second portion forming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lower pedestal; and
and a hinge connecting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so that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can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A slit is formed in the side frame so that a part of the lower support is slidably movable,
A part of the lower support is slid through the slit so that the lower side of the cultivation box is opened by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 상자의 하측이 개방되는 경우,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슬릿에 삽입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힌지를 통해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회동되어 상기 제1 부분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측면 프레임의 외측에 고정되는 작물 재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lower side of the cultivation box is opened, the first part is disposed in a state inserted into the slit, and the second part is rotated from the first part through the hinge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part A crop cultivation device disposed and fixed to the outside of the side fram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된 작물을 수확 가능한 수확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확기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로부터 연장되어 작물을 수확 가능한 칼날을 포함하는 작물 재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arvester capable of harvesting the crop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the harvester,
a handle for gripping by the user; and
A crop cultivation apparatus including a blade extending from the handle to harvest crops.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프레임은 상기 수확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부 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수확기 입구를 포함하는 작물 재배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ide frame includes a harvester inlet provided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harvester can enter the interior spa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 상자는 상기 재배 상자가 상기 하부 재배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재배 상자의 하부에 하방으로 연장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작물 재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ultivation box includes a fixing pin extending downwardly under the cultivation box so that the cultivation box can be fixed to the lower cultivation area.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침상으로 제공되는 작물 재배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ixing pin is a crop cultivation device provided as a b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 상자는 상기 내부 공간을 복수 개의 구역으로 나누는 격벽을 포함하는 작물 재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ultivation box includes a partition wall dividing the inner space into a plurality of zones.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는 하나 이상의 구멍이 형성되는 작물 재배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artition wall has one or more holes formed in the crop cultivation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재배 상자가 하부 재배지에 지지되도록 제공되는 지지대; 및
상기 재배 상자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작물 재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riving unit,
a support provided so that the cultivation box is supported in the lower cultivation area; and
Crop cultivation apparatus including a motor for providing power for moving the cultivation box in one direction.
제1 항, 제4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작물 재배 장치를 이용한 작물 재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부 재배지에 아스파라거스가 식재되어 있는 상태로 상기 하부 받침대를 통해 상기 재배 상자의 하측을 폐쇄시켜 상기 재배 상자에서 아스파라거스 순을 재배하고 수확하는 단계;
상기 하부 받침대의 일부를 상기 슬릿을 통해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상기 힌지를 통해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상대 회동시켜, 상기 재배 상자의 하측을 개방시키는 단계;
상기 하부 재배지에서 아스파라거스 순을 재배하고 수확하는 단계; 및
상기 재배 상자를 상기 하부 재배지로부터 이격시켜 상기 재배 상자에서 작물을 재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작물 재배 방법.
In the crop cultivation method using the crop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Cultivating and harvesting asparagus sprouts in the cultivation box by closing the lower side of the cultivation box through the lower support in a state in which asparagus is planted in the lower cultivation area;
sliding a portion of the lower pedestal through the slit and relatively rotating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through the hinge to open the lower side of the cultivation box;
Cultivating and harvesting asparagus shoots in the lower cultivation area; and
A crop cultiva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cultivating a crop in the cultivation box by separating the cultivation box from the lower cultivation area.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재배지에서 아스파라거스 순을 재배하고 수확하는 단계는 상기 재배 상자가 상기 하부 재배지에 밀착되어 고정된 상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하부 재배지에서 화이트 아스파라거스가 재배되는 작물 재배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step of cultivating and harvesting asparagus shoots in the lower plantation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growing box is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lantation, whereby white asparagus is grown in the lower plantation.
삭제delete
KR1020200021094A 2020-02-20 2020-02-20 Device for cultivation of crops and method for cultivating crops using the same KR1024408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094A KR102440891B1 (en) 2020-02-20 2020-02-20 Device for cultivation of crops and method for cultivating crop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094A KR102440891B1 (en) 2020-02-20 2020-02-20 Device for cultivation of crops and method for cultivating crops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206A KR20210106206A (en) 2021-08-30
KR102440891B1 true KR102440891B1 (en) 2022-09-06

Family

ID=77502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094A KR102440891B1 (en) 2020-02-20 2020-02-20 Device for cultivation of crops and method for cultivating crops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0891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284B1 (en) * 2008-04-26 2010-12-07 정성용 Medical herb cultivation box and method of cultivation
KR101442344B1 (en) * 2012-10-26 2014-09-23 이영숙 Crop cultivation device of folding typ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507A (en) * 1998-09-02 2000-04-06 윤정순 Box for cultivating sprouted beans
KR101252893B1 (en) 2009-02-11 2013-04-09 이진우 The Device for Cultivating Mushroom
KR20110041849A (en) * 2009-10-16 2011-04-22 조정분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ultivating bean-sprout
KR20160065236A (en) * 2014-11-28 2016-06-09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Indoor LED growing apparatus and tra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284B1 (en) * 2008-04-26 2010-12-07 정성용 Medical herb cultivation box and method of cultivation
KR101442344B1 (en) * 2012-10-26 2014-09-23 이영숙 Crop cultivation device of folding ty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206A (en) 202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022016A (en) Method for cultivating sedum grass
CN102715135B (en) Breeding method and device for young tussah
CN1245065C (en) Potted loquat and its cultivation method
CN209861758U (en) Nursery culture device
CN106613151A (en) Greenhouse grape and vernalized broad bean interplanting method
KR102440891B1 (en) Device for cultivation of crops and method for cultivating crops using the same
CN103329771A (en) Peach tree cultivation method and special frame for cultivation method
CN108142279B (en) Method for improving yield of hybrid seed production of greenhouse cabbages
KR102137579B1 (en) Strawberry Transplanter for Cultivation under Structure
CN108260488B (en) Technical method for high-yield under-forest ginseng tending
KR101434276B1 (en) Cultivation method of perennial plants using precooling treatment
CN220044334U (en) Cultivation box for seedling
JP2000342086A (en) Stretchable lantern type plant protection
KR102064401B1 (en) Shading device for softening cultivation of crops
CN113207667B (en) Method for annually producing fruit type Mare pickled melons
CN213463158U (en) Maize is planted and is used seedling raising box
CN210928866U (en) Ginger germination accelerating seedbed
JP2000023558A (en) Blanched welsh onion culture device in hydroponics, and method of culture using the same
CN210868976U (en) Open-air arc of pumpkin puts up structure
KR100509169B1 (en) A method of ginseng cultivation at least having twice harvest for onetime seeding
JP3009940U (en) Auxiliary fence for plant growth
CN105850656B (en) A kind of grape planting process of high yield
RU2203533C2 (en) Plant growing method
SU1095900A1 (en) Method of growing grape
KR200438250Y1 (en) Song-i mushroom cultivating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