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9117B1 - 세정기능을 수행하는 폐열회수장치 - Google Patents

세정기능을 수행하는 폐열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9117B1
KR102439117B1 KR1020210145185A KR20210145185A KR102439117B1 KR 102439117 B1 KR102439117 B1 KR 102439117B1 KR 1020210145185 A KR1020210145185 A KR 1020210145185A KR 20210145185 A KR20210145185 A KR 20210145185A KR 102439117 B1 KR102439117 B1 KR 102439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unit
cleaning liquid
cleaning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5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세이브에코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세이브에코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세이브에코이엔지
Priority to KR1020210145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91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1/0001Recuperative heat exchangers
    • F28D21/0012Recuperative heat exchangers the heat being recuperated from waste water or from condens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16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in parallel spaced re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9/00Cleaning by flushing or washing, e.g. with chemical solv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65/00Safety or protection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preventing malfunction
    • F28F2265/18Safety or protection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preventing malfunction for removing contaminants, e.g. for degas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열회수회장치는 폐수를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폐수공급부와, 상기 폐수공급부로부터 상기 폐수를 공급받아 상기 폐수의 이물질을 침전여과시키는 침전여과부와, 상기 침전여과부와 연결되어 상기 침전여과부를 통과한 폐수를 미세여과하는 미세여과부와, 냉청수가 저장된 냉청수공급부와, 상기 냉청수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냉청수를 공급받고, 상기 미세여과부와 연결되어 상기 미세여과부로부터 폐수를 공급받아 상기 냉청수와 폐수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부와, 상기 침전여과부, 상기 미세여과부 및 상기 열교환부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폐수가 이동되는 폐수유로부와, 상기 폐수유로부와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폐수유로부를 세정하는 세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정기능을 수행하는 폐열회수장치{Waste heat recovery device performing cleaning function}
본 발명은 세정기능을 수행하는 폐열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폐수가 공급되는 폐수공급유로를 폐쇄하고, 세정액이 공급되는 세정액공급유로를 개방하여, 세정액을 폐수유로부로 순환시키는 세정기능을 수행하는 폐열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폐수열을 회수하여 재사용하는 폐수열회수설비는 고온의 폐수가 저장된 폐수수집조와 냉청수가 저장된 냉청수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온의 폐수로부터 열을 회수하여 상기 냉청수를 온청수로 변화시켜 온청수탱크로 수집시킨다.
즉, 고온의 폐수를 열교환부로 펌핑하여 압송하고, 상기 냉청수를 열교환부로 펌핑하여 압송하며, 상기 고온의 폐수와 상기 냉청수가 상기 열교환부 내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흐르면서 고온의 폐수의 열이 냉청수로 이동하 여 냉청수가 온청수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폐열회수장치는 배관을 따라 화학 약품(예를 들어, 염료 등)이 유동되고, 상기 화학 약품의 성질에 따라 배관 내에 화학적 이물질이 자주 발생할 수 있었다.
이처럼, 폐열회수장치의 배관 내에 화학적 이물질이 발생하면, 배관 내부의 유속 및 유량이 감소되어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열회수 효율이 점점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양한 폐수배출환경에 따라 폐열회수장치의 내부 장치에 축적된 화학적 이물질을 제거하는 별도의 수단이 존재하지 않아 시스템의 수명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화학적 이물질 제거를 위해 인력 투입하여 직접 폐열회수장치 내부를 세척할 수 밖에 없고, 이 경우 폐수열회수시스템 전체를 중단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기적으로 폐열회수장치에 세정액을 투입하여 세정할 수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폐열회수장치 전체 가동을 중단하는 등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이 과도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 폐열회수장치에 세정기능을 수행하는 세정장치를 구비하여 폐열회수장치 전체 가동을 중단하지 않고도 세정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폐열회수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폐수가 이동되는 폐수유로부를 세정하는 세정부를 포함하는 세정기능을 수행하는 폐열회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내부 구성을 분해하거나 조립할 필요 없이 세정액을 투입 및 순환시키는 세정기능을 수행하는 폐열회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폐수가 공급되는 폐수공급유로를 폐쇄하고, 세정액이 공급되는 세정액공급유로를 개방하여, 폐수가 공급되는 작업시간을 제외하고 세정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세정기능을 수행하는 폐열회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열회수장치는 폐수공급부, 침전여과부, 미세여과부, 냉청수공급부, 열교환부, 폐수유로부, 세정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폐수공급부는 폐수를 공급하도록 구비되고, 침전여과부는 상기 폐수공급부로부터 상기 폐수를 공급받아 상기 폐수의 이물질을 침전여과시키며, 미세여과부는 상기 침전여과부와 연결되어 상기 침전여과부를 통과한 폐수를 미세여과한다.
또한, 냉청수공급부는 냉청수가 저장되고, 열교환부는 상기 냉청수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냉청수를 공급받고, 상기 미세여과부와 연결되어 상기 미세여과부로부터 폐수를 공급받아 상기 냉청수와 폐수를 열교환시킨다.
그리고, 폐수유로부는 상기 침전여과부, 상기 미세여과부 및 상기 열교환부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폐수가 이동되고, 세정부는 상기 폐수유로부와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폐수유로부를 세정한다.
또한, 상기 세정부는 세정액저장부, 세정액공급유로, 세정액배출유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세정액저장부는 상기 폐수유로부를 세정하는 세정액이 저장될 수 있고, 상기 세정액공급유로는 상기 세정액저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폐수유로부로 상기 세정액을 공급할 수 있으며, 상기 세정액배출유로는 상기 세정액저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폐수유로부를 세정한 세정액을 상기 세정액저장부로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열회수장치는 상기 폐수공급부와 상기 침전여과부를 연결하는 폐수공급유로와, 상기 폐수공급유로에 구비되어 상기 폐수공급유로의 개폐하는 폐수공급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세정부는 상기 세정액공급유로에 구비되어 상기 세정액공급유로의 개폐하는 세정액공급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폐수공급밸브 또는 상기 세정액공급밸브 중 어느 하나가 개방되면 다른 하나가 폐쇄되도록 상기 폐수공급밸브 및 세정액공급밸브는 서로 택일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정기능을 수행하는 폐열회수장치는 상기 폐수공급밸브 및 세정액공급밸브의 개폐를 조절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통신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에 상기 폐수공급밸브 및 세정액공급밸브의 개폐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정부는 상기 세정액저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세정액배출유로를 통해 전달된 세정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유로 및 상기 드레인유로의 개폐를 조절하는 드레인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밸브 또는 상기 세정액공급밸브 중 어느 하나가 개방되면 다른 하나가 폐쇄되도록 상기 드레인밸브 및 세정액공급밸브는 서로 택일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미세여과부를 통과한 폐수를 공급받도록 폐수투입구가 구비된 폐수공급공간과, 상기 폐수공급공간과 파이프를 통해 연통되고, 상기 폐수공급공간으로 공급된 폐수를 배출하는 폐수투출구가 구비된 폐수배출공간과, 상기 냉청수공급부와 연통되어 상기 파이프의 표면으로 상기 냉청수를 안내하는 냉청수투입구와, 상기 폐수의 열을 전달받은 온청수를 배출하도록 구비되는 온청수배출구를 구비하는 열교환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폐수투입구로 투입되어 상기 폐수투출구로 투출되는 폐수를 역방향으로 안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폐수역행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폐수유로부는 상기 폐수역행모듈과 상기 폐수투입구를 연결시키는 폐수투입유로 및 상기 폐수역행모듈과 상기 폐수투출구를 연결시키는 폐수투출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정액공급유로는 상기 폐수투입유로와 연통되어 상기 폐수투입유로로 상기 세정액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세정액배출유로는 상기 폐수투출유로와 연통되어 상기 폐수투출유로에서 배출된 세정액을 상기 세정액저장부로 안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폐수유로부는 상기 침전여과부와 상기 미세여과부를 연결시키는 제1폐수연결유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세정액공급유로는 상기 제1폐수연결유로와 연통되어 상기 제1폐수연결유로로 상기 세정액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세정액배출유로는 상기 폐수투입유로 또는 상기 폐수배출유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세정이 완료된 세정액을 상기 세정액저장부로 안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정부는 상기 세정액저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세정액저장부에 세정용매를 전달하는 세정용매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정기능을 수행하는 폐열회수장치는 상기 온청수배출구와 연통되어 상기 열교환부에서 배출된 온청수가 집수되는 온청수집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세정용매유로는 상기 냉청수공급부 또는 상기 온청수집수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상기 세정액저장부로 세정용매를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정기능을 수행하는 폐열회수장치는 상기 미세여과부와 연통되어 상기 미세여과부를 통과한 폐수가 집수되는 폐수집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세정용매유로는 상기 폐수공급부 또는 상기 폐수집수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상기 세정액저장부로 세정용매를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의 각각의 특징들은 다른 실시예들과 모순되거나 배타적이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폐수가 이동되는 폐수유로부를 세정하는 세정부를 포함하는 세정기능을 수행하는 폐열회수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내부 구성을 분해하거나 조립할 필요 없이 세정액을 투입 및 순환시키는 세정기능을 수행하는 폐열회수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폐수가 공급되는 폐수공급유로를 폐쇄하고, 세정액이 공급되는 세정액공급유로를 개방하여, 폐수가 공급되는 작업시간을 제외하고 세정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세정기능을 수행하는 폐열회수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열회수장치의 제1가동상태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열회수장치의 제2가동상태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열회수장치의 제3가동상태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열회수장치의 침전여과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열회수장치의 열교환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열회수장치의 필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시한 도면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열회수장치의 세정부의 일실시예의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열회수장치의 폐수역행모듈에 설치된 밸브가 모두 폐쇄된 상태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열회수장치의 세정부의 다른 실시예의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열회수장치의 세정용매유로를 포함하는 세정부의 일실시예의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열회수장치의 세정용매유로를 포함하는 세정부의 다른 실시예의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전기적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a),(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열회수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침전여과부(100), 열교환부(200), 미세여과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침전여과부(100)는 폐수를 공급받아 침전처리함에 따라 상기 폐수에 내포된 침전물을 침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열교환부(200)는 폐수가 상기 침전여과부(100)를 통과하여 침전물이 제거된 후 상기 미세여과부(300)을 통 과하여 미세이물질이 제거된 폐수를 공급받음과 동시에 냉청수를 공급받아 상기 폐수와 상기 냉청수 간의 열교 환을 이루어 상기 냉청수가 온청수로 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미세여과부(300)는 상기 침전여과부(100)와 상기 열교환부(200)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침전여과부(100)를 통과한 폐수에 내포된 미세 이물질을 미세여과하고, 상기 열교환부(200)를 통과한 폐수를 이용하여 미세여과부를 역쇄하는 역할을 한다.
먼저, 상기 침전여과부(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침전여과부(100)는 폐수를 공급받아 침전처리함에 따라 상기 폐수에 내포된 침전물을 침전시키는 부분으로서, 폐수침전조(110), 폐수공급구(120), 폐수배출구(130), 침전물모집조(140), 침전물배출구(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폐수침전조(110)는 상부보다 하부의 단면적이 작은 콘의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으로서, 내부에 폐수를 수용 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폐수침전조(110)의 상부는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고, 하부는 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폐수공급구(120)는 상기 폐수침전조(110)의 상부 일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폐수가 공급되는 부분으로서, 폐수공급부(12)에서 상기 폐수공급구(120)를 통해 상기 폐수침전조(110)로 공급된 폐수는 상기 폐수침전조(110)의 내부에서 와류를 형성하여 회전하게 되고, 이때, 상기 폐수에 포함된 침전물이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모여지게 된다.
상기 폐수배출구(130)는 상기 폐수침전조(110)의 상면과 연통되어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침전물이 제거된 폐수가 배출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폐수침전조(110)의 내부에서 와류를 형성하여 회전함에 따라 침전물이 제거 된 폐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침전물모집조(140)는 상기 폐수침전조(110)의 하단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침전물이 침전되어 모여지는 부분으로서, 상기 폐수에 포함된 침전물이 하방으로 모여짐에 따라 상기 침전물이 침전물모집조(140)로 모집된 다. 이때, 상기 침전물모집조(140)는 상기 폐수침전조(110)의 하단부 단면보다 넓은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폐수가 와류를 형성함에 따른 침전물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침전물배출구(150)는 상기 침전물모집조(140)의 하면과 연통되어 하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침전물모집조(140)에 수집된 침전물을 주기적으로 배출하기 위해 침전물배출밸브(152)가 구비된 부분으로서, 상기 침전물 모집조(140)에 수집된 침전물이 일정량 이상이 되었을 경우에 상기 침전물배출밸브(152)를 열어 상기 침전물모집조(140)에 수집된 침전물을 폐수집수부(14)로 배출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침전여과부(100)에 따르면, 상기 폐수공급구(120)를 통해 상기 폐수침전조(110)의 내부로 폐수를 공급받고, 공급된 폐수에 포함된 침전물을 침전시켜 상기 침전물모집조(140)로 모집하여 상기 침전물배출구(150)를 통해 배출시키며, 상기 침전물이 제거된 폐수를 상기 폐수배출구(130)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열교환부(2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교환부(200)은 양측으로 원주 롤링 조인트부(201)를 구성하여 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열교환부(200)은 양측에 구성된 롤링 조인트부(201)에 의해 오픈 형태의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조립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200)는 상기 침전여과부(100)를 통과하여 침전물이 제거된 폐수를 공급받음과 동시에 냉청수를 공급받아 상기 폐수와 상기 냉청수 간의 열교환을 이루어 상기 냉청수가 온청수로 되게 하는 부분으로서 폐수공급공간(210), 폐수배출공간(220), 열교환공간(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폐수공급공간(210)은 상기 침전여과부(100)를 통과한 폐수를 공급받도록 폐수투입구(212)가 구비된 부분으로서, 상세하게는, 상기 침전여과부(100)에서 침전물이 제거된 폐수가 상기 미세여과부(300)을 통과하여 미세이 물질이 제거된 폐수투입구(212)로 공급되어 상기 폐수공급공간(210)으로 모여지게 된다.
상기 폐수배출공간(220)은 상기 폐수공급공간(210)과 다수개의 파이프를 통해 연통되고, 상기 폐수공급공간(210)으로 공급된 폐수를 배출하는 폐수투출구(222)가 구비된 부분으로서, 상세하게는, 상기 폐수공급공간(210)에 수집된 폐수가 상기 다수개의 파이프를 통해 상기 폐수배출공간(220)으로 공급되어 수집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공간(230)은 상기 다수개의 파이프의 표면으로 상기 냉청수를 흘려보내어, 상기 냉청수가 상기 폐수 의 열을 전달받아 온청수로 되도록 냉청수투입구(232)와 온청수배출구(234)가 구비된 부분으로서, 상세하게는, 상기 다수개의 파이프를 동시에 감싸서 폐쇄하는 공간으로 형성되어, 상기 폐쇄공간의 일측에 상기 냉청수투입구(232)가 구비되고, 상기 폐쇄공간의 타측에 상기 온청수배출구(234)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열교환부(200)에 따르면, 상기 폐수가 상기 폐수투입구(212)를 통해 상기 폐수공급공 간(210)으로 수집된 후 상기 다수개의 파이프를 통해 상기 폐수배출공간(220)으로 수집되어 상기 폐수투출구(222)로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냉청수가 상기 냉청수투입구(232)를 통해 상기 다수개의 파이프의 표면으로 흘려 보내져 상기 온청수배출구(234)로 배출하게 되며, 이때, 상기 다수개의 파이프를 통해 흐르는 폐수의 열이 상기 다수개의 파이프의 표면으로 흐르는 냉청수에 전달되어 상기 냉청수의 온도가 상승하여 온청수가 된다.
한편, 상기 열교환부(200)는, 상기 폐수투입구(212)로 투입되어 상기 폐수투출구(222)로 투출되는 폐수를 역방 향으로 흘려보내기 위해 상기 폐수투입구(212) 및 상기 폐수투출구(222) 상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폐수역행모듈(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폐수역행모듈(240)은 상기 열교환부(200)의 내부에 잔존하는 섬유형태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부분으로 서, 상기 폐수공급공간(210)과 상기 폐수배출공간(220)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파이프에 동시에 걸쳐져 있는 섬유 형태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폐수를 역방향으로 흘려보낼 수 있도록 한다.
즉, 폐수투입구(212)로 공급된 폐수가 상기 폐수공급공간(210)에서 상기 폐수배출공간(220)으로 흐르는 순방향 흐름 시 상기 다수개의 파이프의 일단(폐수공급공간(210) 측)에는 섬유형태의 이물질이 "U" 자 형태로 걸쳐져 잔존하게 되므로, 상기 폐수가 상기 폐수배출공간(220)에서 상기 폐수공급공간(210)으로 흐르는 역방향흐름으로 전환하여 "U" 자 형태로 걸쳐진 섬유형태의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폐수역행모듈(240)은 상기 폐수투입구(212) 및 상기 폐수투출구(222) 상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다수 개의 자동제어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폐수투입구(212) 및 상기 폐수투출구(222)의 경로 상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9밸브(V9), 제10밸브(V10), 제11밸브(V11), 제12밸브(V12)를 구성하여 상기 열교환부(200)를 흐르는 폐수가 순방향흐름 또는 역방향흐름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순방향흐름 시 상기 제9밸브(V9)는 열린 상태, 제10밸브(V10)는 닫힌 상태, 제11밸브(V11)는 닫힌 상태, 제12밸브(V12)는 열린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여, 공급되는 폐수가 상기 제12밸브(V12)를 통해 상기 폐수투 입구(212)를 통해 상기 폐수투출구(222)로 배출되어 상기 제9밸브(V9)를 통해 배출하게 되고, 역방향흐름 시 제 9밸브(V9)는 닫힌 상태, 제10밸브(V10)는 열린 상태, 제11밸브(V11)는 열린 상태, 제12밸브(V12)는 닫힌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여, 공급되는 폐수가 상기 제10밸브(V10)를 통해 상기 폐수투출구(222)를 통해 상기 폐수투입구(212)로 배출되어 상기 제11밸브(V11)를 통해 배출하게 된다.
한편, 상기 폐수가 역방향흐름 시 상기 폐수투출구(222)로 흘러나오는 폐수를 배출하기 위한 폐수배출밸브(V14)가 구비되고, 상기 폐수역행모듈(240)에 의해 상기 폐수가 역방향으로 흐르는 경우에, 상기 미세여과부(300) 는 필터링을 정지함과 동시에 상기 폐수배출밸브(V14)가 개방될 수 있다.
즉, 상기 폐수투출구(222) 로 흘러나오는 폐수에는 섬유형태의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상기 미세여과부(300)로 보내지지 않도록 상 기 미세여과부(300)의 필터링을 정지하고, 상기 폐수배출밸브(V14)를 개방하여 상기 섬유형태의 이물질이 포함 된 폐수가 폐수집수부(14)로 바로 공급되어 처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미세여과부(3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세여과부(300)는 상기 침전여과부(100)와 상기 열교환부(200)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침전여과부(10 0)를 통과한 폐수에 내포된 미세 이물질을 여과하고, 상기 열교환부(200)를 통과한 폐수를 이용하여 미세여과부를 역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으로서, 제1미세여과기(310) 및 제2미세여과기(320), 제1경로전환모듈(330), 제2경로전환모듈(3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미세여과기(310) 및 제2미세여과기(320)는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부와 하부를 통해 상기 폐수가 공급 또는 배출되며, 제1미세여과기(310) 및 제2미세여과기(320)의 중앙 내부에는 다 수개의 사각홀(312h)이 형성된 필터패널(312)이 구비되고, 상기 필터패널(312)의 상측 공간에 다량의 강구(314)가 충진될 수 있다.
상기 제1미세여과기(310)와 제2미세여과기(320)는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므로, 도 6에 도시된 제1미세여과기 (310)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미세여과기(310)의 상부를 통해 폐수가 공급되면, 상기 다수의 강구(314)를 지나는 동안 폐수에 포함된 미세 이물질이 필터링되어 상기 필터패널(312)의 사각홀(312h)을 통해 필터의 하측으로 흐르게 되고, 상기 제1미세여과기(310)의 하부를 통해 폐수가 공급되면, 상기 폐수가 상기 필터패널(312)의 사각홀(312h)을 통해 상기 강구(314) 사이를 흐름에 따라 상기 강구(314)의 사이에 잔류하는 미세 이물질을 부상시켜 폐수와 함께 상기 필터의 상부로 흐르게 된다.
상기 제1미세여과기(310) 및 제2미세여과기(320)의 내부에서 폐수가 상에서 하로 흐르는 것과 폐수가 하에서 상으로 흐르는 것의 방향전환은 상기 제1경로전환모듈(330) 및 상기 제2경로전환모듈(34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경로전환모듈(330)은 상기 침전여과부(100)를 통과한 폐수를 상기 제1미세여과기(310) 또는 상기 제2미세여과기(320) 중 어느 하나에 택일적으로 경로전환하여 보내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2경로전환모듈(340)은 상 기 열교환부(200)를 통과한 폐수를 상기 제1미세여과기(310) 또는 상기 제2미세여과기(320) 중 어느 하나에 택일적으로 경로전환하여 보내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제1경로전환모듈(330)이 상기 침전여과부(100)를 통과한 폐수를 상기 제1미세여과기(310)로 보내는 경우에, 상기 제2경로전환모듈(340)은 상기 열교환부(200)를 통과한 폐수를 상기 제2미세여과기(320)로 보내도록 하고, 상기 제1경로전환모듈(330)이 상기 침전여과부(100)를 통과한 폐수를 상기 제2미세여과기(320)로 보내 는 경우에, 상기 제2경로전환모듈(340)은 상기 열교환부(200)를 통과한 폐수를 상기 제1미세여과기(310)로 보내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경로전환모듈(330) 및 제2경로전환모듈(340)의 경로전환 동작은 일정한 주기로 이루어질 수도 있 고, 상기 침전여과부(100)에 공급되는 폐수의 공급압력을 감지하는 폐수압력센서(PS1)의 감지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1경로전환모듈(330)이 상기 침전여과부(100)를 통과한 폐수를 상기 제1미세여과기(310)로 보내 고, 상기 제2경로전환모듈(340)은 상기 열교환부(200)를 통과한 폐수를 상기 제2미세여과기(320)로 보내는 경우 에, 상기 폐수압력센서(PS1)에서 감지된 압력값이 기준범위보다 높을 경우에 상기 제1경로전환모듈(330)이 상기 침전여과부(100)를 통과한 폐수를 상기 제2미세여과기(320)로 보내도록 전환시키고, 상기 제2경로전환모듈(34 0)은 상기 열교환부(200)를 통과한 폐수를 상기 제1미세여과기(310)로 보내도록 전환시키게 한다.
또한, 상기 제1경로전환모듈(330)이 상기 침전여과부(100)를 통과한 폐수를 상기 제2미세여과기(320)로 보내고, 상기 제2경로전환모듈(340)은 상기 열교환부(200)를 통과한 폐수를 상기 제1미세여과기(310)로 보내는 경우에, 상기 폐수압력센서(PS1)에서 감지된 압력값이 기준범위보다 높을 경우에 상기 제1경로전환모듈(330)이 상기 침전여과부(100)를 통과한 폐수를 상기 제1미세여과기(310)로 보내도록 전환시키고, 상기 제2경로전환모듈(340)은 상기 열교환부(200)를 통과한 폐수를 상기 제2미세여과기(320)로 보내도록 전환시키게 한다.
이때, 상기 폐수압력센서(PS1)에서 감지되는 압력값은 상기 미세여과부(300)의 제1미세여과기(310) 및 제2미세 여과기(320)에 필터링된 미세 이물질에 의해 높아질 수 있으며, 예컨대, 미세여과부(300)에 미세 이물질이 일정 량 이상 누적되면 폐수압력센서(PS1)에서 감지되는 압력값은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폐수압력센서(PS1)에서 감지된 압력값이 기준범위보다 낮을 경우에는 폐수누출. 펌프이상과 같은 비상 상황이므로 알람을 발생하여 작업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침전여과부(100), 열교환부(200), 미세여과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 폐열회수장치에는 상기 열교환부(200)로 공급되는 냉청수의 온도와 유량을 감지하는 냉청수 유량계(202) 및 온도센서(TS1), 상기 열교환부(200)에서 열교환된 온청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청수온도센서(TS2), 상기 열교환부(200)로 공급되는 폐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폐수온도센서(TS3) 및 상기 열교환부(200)에서 열교환된 폐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 2폐수온도센서(TS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냉청수온도센서(TS1)와 상기 온청수온도센서(TS2)의 온도 차이값과 유량을 곱하여 냉청수가 온청수로 변하면서 얻게 된 열량을 계산하여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폐열회수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침전처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수공급부(12)로부터 공급되는 폐수가 침전여과부(100)의 폐수투입구(212)로 투 입되고, 침전여과부(100)에 투입된 폐수는 와류를 형성하는 동안에 내포된 침전물이 침전되어 침전물모집조(140)에 수집될 수 있다.
이때, 침전물모집조(140)에 수집된 침전물은 주기적으로 침전물배출밸브(152)를 열어 침전물배출구(150)로 배출 시키도록 한다.
<미세여과>
침전여과부(100)에서 침전물이 제거된 폐수는 제1경로전환모듈(330) 및 제2경로전환모듈(340)에 의해 제1미세여 과기(310) 또는 제2미세여과기(320)를 통해 열교환부(200)로 공급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수가 침전여과부(100) →제1미세여과기(310) →열교환부(200) →제2미세여과기(320)의 순서로 순환되는 경우에는 제1밸브(V1)는 닫힌 상태, 제2밸브(V2)는 열린 상태, 제3밸브(V3)는 열린 상 태, 제4밸브(V4)는 닫힌 상태, 제5밸브(V5)는 닫힌 상태, 제6밸브(V6)는 열린 상태, 제7밸브(V7)는 열린 상태, 제8밸브(V8)는 닫힌 상태, 제9밸브(V9)는 열린 상태, 제10밸브(V10)는 닫힌 상태, 제11밸브(V11)는 닫힌 상태, 제12밸브(V12)는 열린 상태 가 되며, 폐수는 제1경로전환모듈(330)의 제3밸브(V3)를 통해 제1미세여과기(310) 의 상부에서 하부로 흐름에 따라 폐수에 내포된 미세 이물질이 필터링되고, 미세 이물질이 여과된 폐수는 제2경로전환모듈(340)의 제7밸브(V7)를 통해 상기 폐수역행모듈(240)로 공급되고, 폐수역행모듈(240)로 공급된 폐수 는 폐수역행모듈(240)의 제12밸브(V12)를 통해 열교환부(200)의 폐수투입구(212)로 공급된다.
또한, 폐수가 침전여과부(100)→ 제1미세여과기(310) →열교환부(200) →제2미세여과기(320)의 순서로 순환될 시 폐수가 제1미세여과기(310)에서 필터링이 이루어지는 동안 제2미세여과기(320)에서는 미세 이물질이 폐수와 함께 부상되어 폐수집수부(14)로 보내지게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수가 침전여과부(100) →제2미세여과기(320)→열교환부(200) →제1미세여과기 (310)의 순서로 순환되는 경우에는 제1밸브(V1)는 열린 상태, 제2밸브(V2)는 닫힌 상태, 제3밸브(V3)는 닫힌 상 태, 제4밸브(V4)는 열린 상태, 제5밸브(V5)는 열린 상태, 제6밸브(V6)는 닫힌 상태, 제7밸브(V7)는 닫힌 상태, 제8밸브(V8)는 열린 상태, 제9밸브(V9)는 열린 상태, 제10밸브(V10)는 닫힌 상태, 제11밸브(V11)는 닫힌 상태, 제12밸브(V12)는 열린 상태가 되며, 폐수는 제1경로전환모듈(330)의 제4밸브(V4)를 통해 제2미세여과기(320)의 상부에서 하부로 흐름에 따라 폐수에 내포된 미세 이물질이 필터링되고, 미세 이물질이 필터리된 폐수는 제2경 로전환모듈(340)의 제8밸브(V8)를 통해 상기 폐수역행모듈(240)로 공급되고, 폐수역행모듈(240)로 공급된 폐수 는 폐수역행모듈(240)의 제12밸브(V12)를 통해 열교환부(200)의 폐수투입구(212)로 공급된다.
또한, 폐수가 침전여과부(100) →제2미세여과기(320) →열교환부(200) →제1미세여과기(310)의 순서로 순환될 시 폐수가 제2미세여과기(320)에서 필터링이 이루어지는 동안 제1미세여과기(310)에서는 미세 이물질이 폐수와 함께 부상되어 폐수집수부(14)로 보내질 수 있다.
<열교환>
폐수가 침전여과부(100) →제1미세여과기(310) →열교환부(200) →제2미세여과기(320)의 순서로 순환될 시 폐수가 제1미세여과기(310)에서 필터링이 이루어진 폐수는 열교환부(200)의 폐수투입구(212)로 투입되고, 냉청수공급부(22)로부터 공급되는 냉청수가 열교환부(200)의 냉청수투입구(232)로 투입되며, 이에 따라 상기 폐수의 열이 상기 냉청수로 전달되어 냉청수가 온청수로 될 수 있다.
또한, 폐수가 침전여과부(100)→제2미세여과기(320)→열교환부(200) →제1미세여과기(310)의 순서로 순환되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제2미세여과기(320)에서 필터링이 이루어진 폐수는 열교환부(200)의 폐수투입구(212)로 투입되고, 냉청수공급부(22)로부터 공급되는 냉청수가 열교환부(200)의 냉청수투입구(232)로 투입되며, 이에 따라 상기 폐수의 열이 상기 냉청수로 전달되어 냉청수가 온청수로 된다. 상기 온청수는 온청수집수부(24)로 수집될 수 있다.
미설명 도면부호 P1은 온폐수를 펌핑하기 위한 펌프이고, 미설명 도면부호 P2는 냉청수를 펌핑하기 위한 펌프이며, 미설명 도면부호 V13은 냉청수공급부(22)에서 열교환부(200)로 공급되는 냉청수의 공급을 ON-OFF하기 위 한 자동밸브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열회수장치의 세정부의 일실시예의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열회수장치(1)는 폐수공급부(12), 침전여과부(100), 미세여과부(300), 냉청수공급부(22), 열교환부(200), 폐수유로부(400), 세정부(500)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폐수공급부(12)는 폐수를 공급하도록 구비되고, 냉청수공급부(22)는 냉청수가 저장된다.
또한, 침전여과부(100)는 상기 폐수공급부(12)로부터 상기 폐수를 공급받아 상기 폐수의 이물질을 침전여과시키고, 미세여과부(300)는 상기 침전여과부(100)와 연결되어 상기 침전여과부(100)를 통과한 폐수를 미세여과한다.
그리고, 열교환부(200)는 상기 냉청수공급부(22)와 연결되어 상기 냉청수를 공급받고, 상기 미세여과부(300)와 연결되어 상기 미세여과부(300)로부터 폐수를 공급받아 상기 냉청수와 폐수를 열교환시킨다.
또한, 폐수유로부(400)는 폐수가 이동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침전여과부(100), 상기 미세여과부(300) 및 상기 열교환부(200)를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세정부(500)는 상기 폐수유로부(400)와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폐수유로부(400)를 세정한다. 구체적으로, 세정부(500)의 세부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세정부(500)는 세정액저장부(510), 세정액공급유로(520), 세정액배출유로(5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정액저장부(510)는 상기 폐수유로부(400)를 세정하는 세정액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세정액은 물과 혼합된 희석된 아세트산으로서, 순도 108% 이상의 아세트산과 물의 수용액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위와 같은, 순도 108% 이상의 아세트산은 빙초산(glacial acetic acid)이라고 명칭되며, 아세틸렌과 물의 반응 또는 알코올의 공기산화에 의하여 아세트알데히드를 얻고 이것을 다시 산화시켜 얻는 무색의 액체로서, 물과 같은 대부분의 유기 용매에 용해되고 수용액은 산성을 나타낸다.
폐열회수장치(1)를 작동시키면서 폐수에 포함된 유기물질, 무기물질 등이 열교환부(200), 침전여과부(100), 미세여과부(300), 폐수유로부(400) 내에서 화학반응을 일으켜 화학적 이물질이 축적될 수 있다. 상기 화학적 이물질은 폐수가 통과하는 유로의 단면적을 줄이게 되고, 이는 상기 펌프, 밸브 등 폐수가 이동되기 위한 압력을 발생시키는 세부 구성의 수명을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 세정액은 산성을 나타내며 상기 화학적 이물질 등과 반응하여 열교환부(200), 침전여과부(100), 미세여과부(300), 폐수유로부(400) 내 생성된 화학적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정액저장부(510)는 상부에는 빙초산이 투입되는 개폐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를 통하여 사용자는 빙초산을 세정액저장부(510)에 투입시킬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세정액저장부(510)에 빙초산과 다른 세정약품을 투입시킬 수 있다.
상기 세정액은 세정용질(예를 들어, 빙초산 등)과 세정용매(예를 들어, 물)을 혼합한 수용액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세정용질과 세정용매의 혼합비는 5:95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상기 세정액에 있어서 세정용질의 용해도가 증가될수록 세정공정이 진행되는 시간 및 비용이 감소되기 때문에, 상기 세정용매의 온도는 상온(예를 들어, 25℃)보다 높을수록 유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정용매에 세정용질이 용해되어 형성되는 세정액의 온도도 상온(예를 들어, 25℃)보다 높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세정액의 온도는 35 ℃ 이상 50 ℃ 이하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세정액의 온도가 냉청수공급부의 냉청수의 온도보다 크게 형성이 된다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로써, 상기 세정용매의 온도가 상온(예를 들어, 25℃)보다 높으므로 세정공정으로 제거되는 화학적 이물질과 세정액 간의 반응속도가 증가될 수 있어 세정공정이 진행되는 시간 및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한편, 세정액저장부(510)는 일측에서 세정액공급유로(52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세정액공급유로(520)는 상기 세정액저장부(510)와 연결되어 상기 폐수유로부(400)로 상기 세정액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정부(500)는 상기 세정액공급유로(520)에 구비되어 상기 세정액공급유로(520)의 개폐하는 세정액공급밸브(5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정액공급밸브(530)는 상기 세정액공급유로(520)의 개폐를 조절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정부(500)는 상기 세정액공급유로(520)에 구비되는 세정액공급펌프(P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정액공급펌프(P3)는 상기 세정액공급유로(520) 내부의 폐수가 이동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세정액공급펌프(P3)의 개폐시기와 상기 세정액공급밸브(530)의 작동시기는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세정액공급밸브(530)가 개방되면 상기 세정액공급펌프(P3)는 작동될 수 있고, 상기 세정액공급밸브(530)가 폐쇄되면 상기 세정액공급펌프(P3)는 작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정액저장부(510)는 타측에서 세정액배출유로(5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정액배출유로(540)는 상기 세정액저장부(510)와 연결되어 상기 폐수유로부(400)를 세정한 세정액을 상기 세정액저장부(510)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정부(500)는 상기 세정액배출유로(540)에 구비되어 상기 세정액배출유로(540)의 개폐하는 세정액배출밸브(5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정액배출밸브(550)는 상기 세정액배출유로(540)의 개폐를 조절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정부(500)는 드레인유로(560), 드레인밸브(57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드레인유로(560)는 상기 세정액저장부(510)와 연결되어 상기 세정액배출유로(540)를 통해 전달된 세정액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레인밸브(570)는 상기 드레인유로(560)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드레인밸브(570)는 세정액공급밸브(530)는 서로 택일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드레인밸브(570) 또는 상기 세정액공급밸브(530) 중 어느 하나가 개방되면 다른 하나가 폐쇄될 수 있다.
즉, 상기 세정액공급밸브(530)가 개방되면 세정공정이 진행중이므로 상기 드레인밸브(570)는 폐쇄되어 세정액의 유량을 유지할 수 있고, 상기 폐수유로부(400) 내부를 세정하는 세정공정이 종료되면 세정액을 외부탱크(OT)로 배출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열회수장치(1)는 상기 폐수공급부(12)와 상기 침전여과부(100)를 연결하는 폐수공급유로(410)와, 상기 폐수공급유로(410)에 구비되어 상기 폐수공급유로(410)의 개폐하는 폐수공급밸브(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폐수공급밸브(420)는 세정액공급밸브는 서로 택일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폐수공급밸브(420) 또는 상기 세정액공급밸브(530) 중 어느 하나가 개방되면 다른 하나가 폐쇄될 수 있다.
즉, 상기 폐수가 상기 폐수공급부(12)로부터 상기 폐수공급유로(410)를 통해 상기 침전여과부(100)로 공급되는 열회수공정은 세정액이 폐수유로부(400)로 공급되는 세정공정과 택일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이로써, 추가적인 폐수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 세정액이 폐수유로부(400)로 공급될 수 있고, 폐수유로부(400)에 존재하는 폐수의 유량에 따라 일정 세정액을 투입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세정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폐수를 공급하는 펌프(PS1)를 가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폐수공급펌프(P3)만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비용 및 세정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폐수유로부(400)는 상기 폐수역행모듈(240)과 상기 폐수투입구(212)를 연결시키는 폐수투입유로(430)와, 상기 폐수역행모듈(240)과 상기 폐수투출구(222)를 연결시키는 폐수투출유로(4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정액공급유로(520)는 상기 폐수투입유로(430)와 연통되어 상기 폐수투입유로(430)로 상기 세정액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세정액배출유로(540)는 상기 폐수투출유로(440)와 연통되어 상기 폐수투출유로(440)에서 배출된 세정액을 상기 세정액저장부(510)로 안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열교환부(200)는 상기 폐수와 냉청수 간의 열교환이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는 공간으로서, 상기 열교환부(200) 내 폐수와 상기 열교환부(200) 내 화학적 이물질이 많이 생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정액공급유로(520)가 상기 폐수투입유로(430)를 통하여 상기 열교환부(200)와 연통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폐수유로부(400) 중 상기 폐수투입유로(430)에 상기 세정액의 농도가 가장 높을 수 있고, 상기 폐수투입유로(430)와 연통되는 열교환부(200) 내 화학적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폐수역행모듈(240)은 폐수 역행을 위한 밸브가 다수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 경우, 상기 폐수역행모듈의 밸브의 개폐에 따라 폐쇄된 밸브 내에는 잔여 폐수가 남아있게 되어 화학적 이물질이 밸브에 생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정액공급유로(520)는 상기 폐수투입유로(430)를 통하여 상기 폐수역행모듈(240)과 연통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폐수투입유로(430)와 연통되는 폐수역행모듈(240) 내 화학적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열회수장치(1)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세정액저장부(510)에 저장된 세정액은 상기 세정액공급유로(520)를 통하여 상기 폐수투입유로(430)를 통하여 상기 폐수역행모듈(240) 및 상기 열교환부 내부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폐수역행모듈(240)을 통과한 세정액은 상기 미세여과부(300)를 거쳐 상기 상기 폐수역행모듈(240)을 통과하여 상기 폐수투출유로(440)을 거쳐 상기 세정액배출유로(540)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열교환부(200)로 이동된 세정액은 상기 폐수투출유로(440)를 거쳐 상기 세정액배출유로(540)로 이동된다.
이 경우, 상기 폐수공급밸브(420)와, 폐수배출밸브(v15), 드레인밸브(570)는 폐쇄된 상태이고, 상기 세정액공급밸브(530), 세정액배출밸브(550)는 개방된 상태이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열회수장치의 폐수역행모듈에 설치된 밸브가 모두 폐쇄된 상태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열회수장치(1)는 상기 열교환부(200)와 상기 미세여과부(300)를 연결하고 상기 열교환부(200)를 흐르는 폐수의 흐름방향을 제어하는 폐수역행모듈(2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폐수역행모듈(240)은 상기 폐수투입구(212) 및 상기 폐수투출구(222)와 연통되는 유로에 설치되는 복수의 자동제어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제어밸브는 상기 폐수투입유로와 상기 폐수투출유로를 연통시키는 유로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제어밸브는 상기 폐수투입구(212) 및 상기 폐수투출구(222)의 경로 상에 구비되는 제9밸브(V9), 제10밸브(V10), 제11밸브(V11), 제12밸브(V12)를 구성하여 상기 열교환부(200)를 흐르는 폐수가 순방향흐름 또는 역방향흐름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열회수장치에서 상기 세정액공급밸브(530)가 개방되면 상기 자동제어밸브(V9, V10, V11, V12)는 모두 폐쇄될 수 있다.
또한, 미세여과부(300)에 설치되는 제1밸브(V1), 제2밸브(V2), 제3밸브(V3), 제4밸브(V4)는 모두 폐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세정액공급유로(520)를 통하여 이동된 세정액은 상기 폐수투입유로(430)로 공급되어 상기 폐수역행모듈(240)을 향해 공급되지 아니하고, 상기 폐수투입구(212)를 통하여 상기 열교환부(200)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부(200)로 공급된 세정액은 상기 폐수투출구(222)를 통하여 유출되어 상기 폐수역행모듈(240)로 이동되지 아니하고 상기 세정액배출유로(540)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200)는 폐수의 열교환이 일어나는 부분으로써 상기 폐열회수장치(1)에서 가장 많은 이물질이 생성되는 공간일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폐수역행모듈(240)의 자동제어밸브(V9, V10, V11, V12)가 모두 폐쇄되면, 상기 세정부(500)에서 공급된 세정액은 상기 미세여과부(300)로 이동되지 아니하므로 상기 열교환부(200)를 효율적으로 세정할 수 있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후술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상기 폐열회수장치(1)에 있어서, 폐수역행모듈(240)의 자동제어밸브(V9, V10, V11, V12) 중 일부는 개방되어 상기 세정액이 폐수유로부 전체에 공급되어 세정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열회수장치의 세정부의 다른 실시예의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이하, 도 7, 도 8의 세정부의 연결구조와 다른 구조를 중심으로 서술한다.
상기 폐수유로부(400)는 상기 침전여과부와 상기 미세여과부를 연결시키는 제1폐수연결유로(4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세여과부(300)는 상기 폐열회수장치(1) 내에서 가장 많은 미세 이물질을 여과하는 구성이므로, 상기 미세여과부(300)에는 화학적 이물질이 많이 생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세정기능을 수행하는 폐열회수장치의 세정액공급유로(520)는 상기 제1폐수연결유로(450)와 연통되어 상기 제1폐수연결유로(450)로 상기 세정액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폐수유로부(400) 중 상기 제1폐수연결유로(450)에 상기 세정액의 농도가 가장 높을 수 있고, 상기 폐수투입유로(430)와 연통되는 미세여과부(300) 내 화학적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더불어, 미세여과부(300)에 쌓이는 미세이물질을 세정액을 통하여 제거할 수 있으므로 미세여과부(300)의 성능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미세여과부(300)를 별도 교체하지 않더라도 미세여과부(300)를 세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 향상 및 교체 비용 감소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폐수유로부(400)는 상기 폐수역행모듈(240)과 제2경로전환모듈(340)을 연결하는 제2폐수연결유로(460) 및 제3폐수연결유로(47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열회수장치(1)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세정액저장부(510)에 저장된 세정액은 상기 세정액공급유로(520)를 통하여 상기 제1폐수연결유로(450)로 이동되고, 제1경로전환모듈(330)을 거쳐 제1미세여과기(310)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1미세여과기(310)로 이동된 세정액은 제1미세여과기(310)를 통과하여 폐수역행모듈(240)로 이동되고 폐수투출유로(440)을 거쳐 열교환부(200) 내부로 이동된다. 상기 세정액은 열교환부(200)에서 폐수투입유로(430)로 이동되고 다시 제2경로전환모듈(340)을 거쳐 제2미세여과기(320)로 이동된다.
한편, 도 9의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경로전환모듈(330) 및 제2경로전환모듈(340)의 밸브가 다르게 개폐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세정액공급유로(520)를 통하여 제1폐수연결유로(450)로 이동된 세정액은 상기 제2미세여과기를 거쳐 제1미세여과기(310)로 이동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미세여과기(310) 및 제2미세여과기는 제1경로전환모듈(330) 및 제2경로전환모듈(340)의 밸브 개폐에 따라 고농도의 세정액을 택일적으로 먼저 공급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폐수공급밸브(420)와, 폐수배출밸브(v15), 드레인밸브(570)는 폐쇄된 상태이고, 상기 세정액공급밸브(530), 세정액배출밸브(550)는 개방된 상태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열회수장치의 세정용매유로를 포함하는 세정부의 일실시예의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이하, 상술한 구조와 다른 구조를 중심으로 서술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열회수장치는 상기 온청수배출구(234)와 연통되어 상기 열교환부에서 배출된 온청수가 집수되는 온청수집수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열회수장치에 있어서 세정액은 빙초산을 물에 용해시킨 수용액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세정액은 상기 세정액은 세정용질(예를 들어, 빙초산 등)과 세정용매(예를 들어, 물)을 혼합한 수용액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세정액저장부(510)에 세정용질과 세정용매의 혼합물을 투입하여, 세정액을 직접 세정액저장부(510)에 투입시킬 수 있다. 이와 다른 실시예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세정용질을 세정액저장부(510)로 투입하고, 폐열회수장치의 다른 구성으로부터 별도의 세정용매를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세정부(500)는 상기 세정액저장부(510)와 연결되어 상기 세정액저장부(510)에 세정용매를 전달하는 세정용매유로(58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정부(500)는 상기 세정용매유로(580)에 구비되어 상기 세정용매유로(580)의 개폐를 조절하는 세정용매밸브(59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정부(500)는 상기 세정용매유로(580)에 구비되어 상기 세정용매를 이동시키는 세정용매펌프(P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정용매유로(580)는 상기 냉청수공급부(22)와 연결되어 상기 세정액저장부(510)로 세정용매를 전달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별도의 세정용매를 투입시킬 필요없이, 상기 세정용매펌프(P4) 및 세정용매밸브(590)의 작동을 조절하여 상기 세정액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정용매유로(580)는 상기 온청수집수부(24)와 연결되어 상기 세정액저장부(510)로 세정용매를 전달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별도의 세정용매를 투입시킬 필요없이, 상기 세정용매펌프(P4) 및 세정용매밸브(590)의 작동을 조절하여 상기 세정액을 제조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온(약 25 ℃)보다 높은 세정용매를 공급받음으로써 세정용질의 용해도가 증가되어 효율적으로 세정액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온청수집수부(24) 내부의 수량이 지나치게 증가되는 경우, 상기 세정용매밸브(590)를 개방하여 상기 온청수집수부(24) 내부의 수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열회수장치의 세정용매유로를 포함하는 세정부의 다른 실시예의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이하, 도 7 내지 도 10에서 서술한 실시예와 다른 구조를 중심으로 서술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열회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정용매유로(580)는 상기 폐수공급부(12)와 연결되어 상기 세정액저장부(510)로 세정용매를 전달할 수 있다.
세정용매로 이용될 수 있는 물은 상기 폐수공급부(12)에서 공급되는 폐수 내에 대부분의 부피비를 차지하므로, 상기 폐수는 세정용매로 이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폐수는 내부에 버려지는 열을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정공정에 있어서 세정용매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폐수공급부(12) 내 폐수의 온도는 상기 온청수집수부(24) 내 온청수의 온도보다 매우 높으므로, 상기 세정용질의 용해도는 더욱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정공정이 종료된 후, 상기 열회수공정이 진행되는 경우 상기 폐수유로부(400) 내에는 세정액이 잔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세정액의 온도가 높을수록 상기 열교환부에서의 열교환효율이 증가되므로, 상기 열회수공정의 효율은 증가될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세정용매유로(580)는 상기 폐수집수부(14)와 연결되어 상기 세정액저장부(510)로 세정용매를 전달할 수 있다.
이로써, 폐수집수부(14)에 수집되는 폐수를 다시 한번 세정용매로 재사용할 수 있어 비용 측면에서 효율적이다. 또한, 상기 폐수집수부(14)에 수집되는 폐수는 이미 침전여과부(100), 미세여과부(300)에서 이물질이 여과된 폐수로써 세정용매로 사용할 경우 세정용질의 용해도가 더욱 증가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들과 같이 상기 폐열회수장치에 세정용매유로(580)가 구비될 경우, 도 7 및 도 9과 달리 상기 폐수집수밸브(v15)는 개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전기적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폐열회수장치에 있어 열회수공정과 세정공정은 택일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즉, 열회수공정이 진행되면 상기 폐수공급밸브(420)가 개방되며 세정액공급밸브(530)는 폐쇄될 수 있고, 세정공정이 진행되면 폐수공급밸브(420)는 폐쇄되고 세정액공급밸브(530)는 개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열회수장치(1)는 상기 폐수공급밸브(420) 및 세정액공급밸브(530)의 개폐를 조절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600)는 폐수공급밸브(420) 및 세정액공급밸브(530)뿐만 아니라, 드레인밸브(570), 세정액배출밸브(550), 세정용매밸브(590)의 개폐정도를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어부(600)는 메모리저장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송수신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메모리저장부에 저장된 일정 주기에 따라 폐수공급밸브(420), 세정액공급밸브(530), 드레인밸브(570), 세정액배출밸브(550), 세정용매밸브(590)의 개폐정도를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열회수공정과 달리, 세정공정은 사용자가 폐열회수장치(1)에서 벗어나 원격으로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열회수장치(1)는 상기 제어부(600)와 통신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600)에 상기 폐수공급밸브(420) 및 세정액공급밸브(530)의 개폐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모듈(610)를 포함할 있다.
상기 통신모듈(610)은 사용자의 UI/UX 클라이언트(미도시)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받아, 폐수공급밸브(420), 세정액공급밸브(530), 드레인밸브(570), 세정액배출밸브(550), 세정용매밸브(590)의 개폐를 조절하는 명령을 상기 제어부(600)에 송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UI(User Interface)/UX(User eXperience) 클라이언트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통신모듈(610)에 연결되는 컴퓨팅 장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데스크톱, 노트북,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UI/UX 클라이언트는 상기 통신모듈(610)과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입출력을 위한 사용자입력/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UI/UX 클라이언트는 모바일 단말에 해당할 수 있고, 상기 통신모듈(610)과 셀룰러 통신 또는 와이파이 통신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UI/UX 클라이언트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통신모듈(610)에 명령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세정공정의 시작 및 종료 시기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작업시간 외 퇴근하더라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UX/UI 클라이언트를 통하여 상기 제어부에 명령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세정공정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폐열회수장치 100: 침전여과부 110: 폐수침전조
120: 폐수공급구 130: 폐수배출구 140: 침전물모집조
150: 침전물배출구 12: 폐수공급부 14: 폐수집수부
22: 냉청수공급부 24: 온청수집수부 200: 열교환부
300: 미세여과부 400: 폐수유로부 410: 폐수공급유로
450: 제1폐수연결유로 460: 제2폐수연결유로 470: 제3폐수연결유로
500: 세정부 510: 세정액저장부 520: 세정액공급유로
530: 세정액공급밸브 540: 세정액배출유로 550: 세정액배출밸브
560: 드레인유로 570: 드레인밸브 580: 세정용매유로
590: 세정용매밸브 600: 제어부 610: 통신모듈

Claims (14)

  1. 폐수를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폐수공급부;
    상기 폐수공급부로부터 상기 폐수를 공급받아 상기 폐수의 이물질을 침전여과시키는 침전여과부;
    상기 침전여과부와 연결되어 상기 침전여과부를 통과한 폐수를 미세여과하는 미세여과부;
    냉청수가 저장된 냉청수공급부;
    상기 냉청수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냉청수를 공급받고, 상기 미세여과부와 연결되어 상기 미세여과부로부터 폐수를 공급받아 상기 냉청수와 폐수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부;
    상기 침전여과부, 상기 미세여과부 및 상기 열교환부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폐수가 이동되는 폐수유로부;
    상기 폐수공급부와 상기 침전여과부를 연결하는 폐수공급유로;
    상기 폐수공급유로에 구비되어 상기 폐수공급유로의 개폐하는 폐수공급밸브; 및
    상기 폐수유로부와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폐수유로부를 세정하는 세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세정부는
    상기 폐수유로부를 세정하는 세정액이 저장되는 세정액저장부; 및
    상기 세정액저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폐수유로부로 상기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공급유로;
    상기 세정액저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폐수유로부를 세정한 세정액을 상기 세정액저장부로 안내하는 세정액배출유로; 및
    상기 세정액공급유로에 구비되어 상기 세정액공급유로의 개폐하는 세정액공급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세정액의 온도는 35 ℃ 이상 50 ℃ 이하로 유지되며,
    상기 폐수공급밸브 또는 상기 세정액공급밸브 중 어느 하나가 개방되면 다른 하나가 폐쇄되도록 상기 폐수공급밸브 및 세정액공급밸브는 서로 택일적으로 개폐되고,
    폐열회수장치는,
    상기 폐수공급밸브 및 세정액공급밸브의 개폐를 조절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원격 통신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에 상기 폐수공급밸브 및 세정액공급밸브의 개폐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모듈;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능을 수행하는 폐열회수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부는
    상기 세정액저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세정액배출유로를 통해 전달된 세정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유로; 및
    상기 드레인유로의 개폐를 조절하는 드레인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밸브 또는 상기 세정액공급밸브 중 어느 하나가 개방되면 다른 하나가 폐쇄되도록 상기 드레인밸브 및 세정액공급밸브는 서로 택일적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기능을 수행하는 폐열회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미세여과부를 통과한 폐수를 공급받도록 폐수투입구가 구비된 폐수공급공간;
    상기 폐수공급공간과 파이프를 통해 연통되고, 상기 폐수공급공간으로 공급된 폐수를 배출하는 폐수투출구가 구비된 폐수배출공간; 및
    상기 냉청수공급부와 연통되어 상기 파이프의 표면으로 상기 냉청수를 안내하는 냉청수투입구와, 상기 폐수의 열을 전달받은 온청수를 배출하도록 구비되는 온청수배출구를 구비하는 열교환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능을 수행하는 폐열회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폐수투입구로 투입되어 상기 폐수투출구로 투출되는 폐수를 역방향으로 안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폐수역행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폐수유로부는
    상기 폐수역행모듈과 상기 폐수투입구를 연결시키는 폐수투입유로; 및
    상기 폐수역행모듈과 상기 폐수투출구를 연결시키는 폐수투출유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능을 수행하는 폐열회수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공급유로는 상기 폐수투입유로와 연통되어 상기 폐수투입유로로 상기 세정액을 공급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세정액배출유로는 상기 폐수투출유로와 연통되어 상기 폐수투출유로에서 배출된 세정액을 상기 세정액저장부로 안내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능을 수행하는 폐열회수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폐수역행모듈은 상기 폐수투입유로와 상기 폐수투출유로를 연통시키는 유로 상에 설치되는 자동제어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세정액이 상기 열교환부를 순환하도록, 상기 자동제어밸브는 상기 세정액공급밸브가 개방되면 폐쇄되어 상기 폐수투입유로로 공급된 세정액이 상기 미세여과부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능을 수행하는 폐열회수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폐수유로부는 상기 침전여과부와 상기 미세여과부를 연결시키는 제1폐수연결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세정액공급유로는 상기 제1폐수연결유로와 연통되어 상기 제1폐수연결유로로 상기 세정액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세정액배출유로는 상기 폐수투입유로 또는 상기 폐수투출유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세정이 완료된 세정액을 상기 세정액저장부로 안내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능을 수행하는 폐열회수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부는 상기 세정액저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세정액저장부에 세정용매를 전달하는 세정용매유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능을 수행하는 폐열회수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온청수배출구와 연통되어 상기 열교환부에서 배출된 온청수가 집수되는 온청수집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정용매유로는 상기 냉청수공급부 또는 상기 온청수집수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상기 세정액저장부로 세정용매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능을 수행하는 폐열회수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여과부와 연통되어 상기 미세여과부를 통과한 폐수가 집수되는 폐수집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정용매유로는 상기 폐수공급부 또는 상기 폐수집수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상기 세정액저장부로 세정용매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능을 수행하는 폐열회수장치.
KR1020210145185A 2021-10-28 2021-10-28 세정기능을 수행하는 폐열회수장치 KR102439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185A KR102439117B1 (ko) 2021-10-28 2021-10-28 세정기능을 수행하는 폐열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185A KR102439117B1 (ko) 2021-10-28 2021-10-28 세정기능을 수행하는 폐열회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9117B1 true KR102439117B1 (ko) 2022-09-01

Family

ID=83282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5185A KR102439117B1 (ko) 2021-10-28 2021-10-28 세정기능을 수행하는 폐열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911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8237A (ko) * 2009-05-27 2010-12-07 문성균 폐수의 열회수장치 및 방법
KR101005996B1 (ko) * 2010-01-28 2011-01-05 유창운 역세를 이용한 폐수열 회수장치의 세척시스템
KR102110451B1 (ko) * 2019-12-04 2020-05-13 주식회사 에코트라 자동세관기능을 구비한 3단 여과 폐수열회수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8237A (ko) * 2009-05-27 2010-12-07 문성균 폐수의 열회수장치 및 방법
KR101005996B1 (ko) * 2010-01-28 2011-01-05 유창운 역세를 이용한 폐수열 회수장치의 세척시스템
KR102110451B1 (ko) * 2019-12-04 2020-05-13 주식회사 에코트라 자동세관기능을 구비한 3단 여과 폐수열회수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5698A (en) Method for cleaning a filtration installation of the type with immersed membranes
KR101837620B1 (ko) 수처리장치
KR101199434B1 (ko) 폐수의 열회수장치
CN102049197A (zh) 中空纤维膜过滤装置
KR102146912B1 (ko) 수질 모니터링을 이용한 상수도 수질 정화 장치
CN202876653U (zh) 一种陶瓷膜过滤设备
JP2008132430A (ja) ろ過装置
KR102439117B1 (ko) 세정기능을 수행하는 폐열회수장치
CN107746129A (zh) 一体化中水回用及纯水设备
CN106565026B (zh) 具有排浓水回收装置的双泵净水机切换制水方法
CN110776120A (zh) 滤芯清洗系统、滤芯清洗方法和净水机
JP2014008439A (ja) 膜分離式水処理装置および水処理分離膜の洗浄方法
CN213475480U (zh) 一种煤矿井下陶瓷膜水处理系统
CN101293155B (zh) 循环水在线自动反冲洗过滤装置
JP2018061921A (ja) 水浄化システム
CN216946335U (zh) 多功能膜装置及其系统
WO2019106752A1 (ja) 水浄化システム
CN113526589A (zh) 一种自动净水壶
KR200191691Y1 (ko) 공기방울 자동 역세척 정수 시스템
CN101519886B (zh) 污水回收装置
CN201101915Y (zh) 循环水在线自动反冲洗过滤装置
CN218989044U (zh) 一种高盐水预处理一体化设备
CN104944529B (zh) 反渗透纯水机
KR101576699B1 (ko) 센서를 구비한 회수율 자동제어 막여과 수처리장치
CN216550848U (zh) 凝固槽和水洗槽异常检修排液储存回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