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0451B1 - 자동세관기능을 구비한 3단 여과 폐수열회수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세관기능을 구비한 3단 여과 폐수열회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0451B1
KR102110451B1 KR1020190160049A KR20190160049A KR102110451B1 KR 102110451 B1 KR102110451 B1 KR 102110451B1 KR 1020190160049 A KR1020190160049 A KR 1020190160049A KR 20190160049 A KR20190160049 A KR 20190160049A KR 102110451 B1 KR102110451 B1 KR 102110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customs
valve
filter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0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순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트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트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트라
Priority to KR1020190160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04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1/0001Recuperative heat exchangers
    • F28D21/0012Recuperative heat exchangers the heat being recuperated from waste water or from condens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76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 B01D29/7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for wa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6/00Filter circuits or combinations of filters with other separating devices
    • B01D36/04Combinations of filters with settling tanks
    • B01D36/045Combination of filters with centrifugal separation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centrifugal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고온의 폐수가 저장된 폐수집수조와, 상기 폐수집수조에서 배출되는 폐수의 이물질을 제거시키는 여과부와, 저온의 청수가 저장된 청수탱크와, 폐수유로를 관통하는 고온의 폐수와 청수유로를 관통하는 저온의 청구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폐수열회수설비는 상기 여과부는 폐수의 유속으로 원심력을 발생시켜 물보다 고비중의 이물질을 하부로 포집시키는 제1 여과기와, 폐수의 유속으로 구심력을 발생시켜 물보다 저비중의 이물질을 상부로 포집시키는 제2 여과기와, 입자여과재가 저장되고, 폐수의 이동방향이 변경 가능하도록 연결된 2조로 형성된 제3 여과기로 형성되고, 상기 폐수유로와 상기 청수유로에 각각 연통되는 세관유로와, 상기 세관유로 상에 설치되는 세관탱크로 형성되어 상기 폐수유로를 세관하는 세관부; 상기 폐수유로, 상기 청수유로 및 상기 세관유로 상에 설치되어 각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부; 및 상기 밸브부의 개도를 제어하는 자동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시스템의 수명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자동세관기능을 구비한 3단 여과 폐수열회수시스템{Wastewater heat recovery system with automatic cleaning}
본 발명은 폐수의열을 활용할 수 있는 폐수열회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온의 폐수와 저온의 청수 사이의 열교환을 통해 열을 회수할 수 있는 폐수열회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폐수열회수시스템은 생활용수 및 공업용수가 사용된 후 그대로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저온의 청수와의 열교환을 통해 폐열을 다시 회수하는 시스템으로, 폐수와 청수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를 필수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이때 열교환기로 생활폐수 및 공업폐수가 그대로 유입되는 경우 이물질에 의해 열교환 효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이물질에 의해 폐수가 흐르는 유로가 폐쇄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폐수열회수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열교환 및 외부 배출을 위해 이물질을 제거하는 여과기를 구비한다.
다만 여과기를 구비한 폐수열회수시스템이라 하더라도, 설치 후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열교환기 및 여과기 내부에 이물질과 물때가 축척되어 열교환 효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폐수배출환경에 따라 열교환기의 폐수유로에 축척된 화학적 이물질을 제거하는 별도의 수단이 존재하지 않아 시스템의 수명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화학적 이물질 제거를 위해 인력 투입이 불가피하여 열회수시스템 전체를 중단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이와 같은 다양한 환경에 맞춰 이물질을 자동으로 관리하는 자동화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양한 자동세정모드를 구비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자동세관기능을 구비한 폐수열회수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고온의 폐수가 저장된 폐수집수조와, 상기 폐수집수조에서 배출되는 폐수의 이물질을 제거시키는 여과부와, 저온의 청수가 저장된 청수탱크와, 폐수유로를 관통하는 고온의 폐수와 청수유로를 관통하는 저온의 청구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폐수열회수설비는 상기 여과부는 폐수의 유속으로 원심력을 발생시켜 물보다 고비중의 이물질을 하부로 포집시키는 제1 여과기와, 폐수의 유속으로 구심력을 발생시켜 물보다 저비중의 이물질을 상부로 포집시키는 제2 여과기와, 입자여과재가 저장되고, 폐수의 이동방향이 변경 가능하도록 연결된 2조로 형성된 제3 여과기로 형성되고, 상기 폐수유로와 상기 청수유로에 각각 연통되는 세관유로와, 상기 세관유로 상에 설치되는 세관탱크로 형성되어 상기 폐수유로를 세관하는 세관부; 상기 폐수유로, 상기 청수유로 및 상기 세관유로 상에 설치되어 각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부; 및 상기 밸브부의 개도를 제어하는 자동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관유로는 상기 열교환기로 폐수가 유입되는 제1 폐수유입로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폐수가 배출되는 제1 폐수배출로에 각각 연통되어, 세관액을 상기 제1 폐수배출로에서 상기 제1 폐수유입로를 통해 순환시켜 상기 열교환기의 내부 폐수유로를 세관하는 제1 세관유로; 및 상기 폐수집수조에서 폐수가 배출되는 제2 폐수유입로와 상기 제1 세관유로에 각각 연통되어, 세관액을 상기 제1 세관유로에서 상기 제2 폐수유입로를 통해 순환시켜 상기 여과부를 세관하는 제2 세관유로;를 포함하여, 상기 열교환기 및 상기 여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세관할 수 있다.
상기 세관탱크는 일 측에 세관 시 세정 약품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약품공급탱크와, 세관 완료 후 세관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세관유로는 상기 세관탱크에서 배출되는 세관액이 유입되는 제1 세관액유입로와, 상기 제1 폐수유입로에 연통되어 상기 세관탱크로 세관액을 회수하는 세관액회수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세관유로는 상기 제1 세관액유입로와 상기 제2 폐수유입로에 각각 연결되어 세관액을 상기 여과부로 공급하되, 상기 폐수유로를 통해 상기 세관액회수로로 세관액을 회수시킬 수 있다.
상기 청수유로는 분기되어 상기 열교환기로 청수가 유입되는 제1 청수유입로와, 상기 제1 폐수배출로와 연통되는 제2 청수유입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폐수유로는 상기 제1 폐수유입로, 상기 제1 여과기로 폐수를 공급하는 상기 제2 폐수유입로, 상기 제1 여과기에서 상기 제2 여과기로 폐수를 공급하는 제3 폐수유입로, 상기 제2 여과기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3 여과기 중 어느 하나로 폐수를 공급하는 제4-1 폐수유입로와, 상기 제3 여과기 중 다른 하나로 폐수를 공급하는 제4-2 폐수유입로로 형성되는 폐수공급로와, 상기 제1 폐수배출로, 상기 제1 여과기에서 폐수가 배출되는 제2 폐수배출로, 상기 제2 여과기에서 폐수가 배출되는 제3 폐수배출로, 상기 제4-1 폐수유입로와 연결되는 제4 폐수배출로와, 상기 제4-2 폐수유입로와 연결되는 제5 폐수배출로, 상기 제1 폐수유입로에서 폐수가 배출되는 제6 폐수배출로로 형성되는 폐수배출로로 형성될 수 있고, 2조의 상기 제3 여과기는 각 상기 제3 여과기에 형성된 유입구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각 상기 제3 여과기에 형성된 배출구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세정액이 2조의 상기 제3 여과기에서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밸브부는 상기 제2 청수유입로에 설치되는 제1 밸브와, 상기 제1 세관액유입로에 설치되는 제2 밸브와, 상기 제1 폐수배출로에 설치되는 제3 밸브와, 상기 제1 폐수유입로에 설치되는 제4 밸브와, 상기 세관액회수로에 설치되는 제5 밸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자동제어부는 상기 열교환기의 열효율을 연산하여, 미리 설정된 설정효율보다 측정된 측정효율이 작은 경우, 상기 제1 밸브, 상기 제2 밸브 및 상기 제5 밸브를 열고, 상기 제3 밸브, 상기 제4 밸브를 닫아, 상기 청수탱크에서 공급되는 청수를 상기 세관탱크와 상기 열교환기를 순환하는 열교환기세정모드로 상기 폐수열회수시스템를 운행할 수 있다.
상기 밸브부는 상기 제2 세관유로에 설치되는 제7 밸브와, 상기 제2 폐수배출로에 설치되는 제8 밸브와, 상기 제3 폐수배출로에 설치되는 제9 밸브와, 상기 제4-1 폐수유입로에 설치되는 제10 밸브와, 상기 제4-2 폐수유입로에 설치되는 제11 밸브와, 상기 제4 폐수배출로에 설치되는 제12 밸브와, 상기 제5 폐수배출로에 설치되는 제13 밸브와, 상기 제6 폐수배출로에 설치되는 제14 밸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자동제어부는 상기 제3 여과기의 측정압력이 미리 설정된 설정압력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1 밸브, 상기 제7 밸브, 상기 제10, 11 밸브 중 어느 하나, 상기 제12, 13 밸브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제14 밸브를 열고, 상기 제2 밸브, 상기 제4 밸브, 상기 제8 밸브, 상기 제9 밸브, 상기 제10, 11 밸브 중 다른 하나 및 상기 제12, 13 밸브 중 다른 하나를 닫아, 상기 청수탱크에서 공급되는 청구를 상기 세관탱크와 상기 여과부를 순환하는 여과부세정모드로 상기 폐수열회수시스템를 운행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10 밸브가 열리는 경우에는 상기 제13 밸브가 열리고, 상기 제11 밸브가 열리는 경우에는 상기 제12 밸브가 열리는 것으로 한다.
상기 자동제어부는 사용자가 설정한 주기가 경과되거나, 상기 측정효율이 상기 설정효율보다 낮은 동시에 상기 측정압력이 상기 설정압력보다 높은 경우, 상기 여과부세정모드에서 세정액이 상기 제1 세관액유입로로 공급될 때, 상기 제1 밸브 및 상기 제7 밸브를 격번하며 열고 닫으며, 상기 열교환기 및 상기 여과부를 동시에 세관하는 동시세관모드로 상기 폐수열회수시스템를 운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같이 본 발명이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자동세관기능을 구비한 폐수열회수시스템은 폐수를 통한 역세정 뿐만 아니라, 청수와 약품을 통해 열교환부 및 여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세관할 수 있는 다양한 모드로 운행되어 다양한 환경에서 적용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제공한다.
또한 약품을 통해 부유물과 같은 이물질 뿐만 아니라, 각 구성의 내부에 흡착되는 화학적 이물질까지 제거 가능하여 열회수시스템의 수명을 현저히 향상시키며, 폐수열회수시스템의 설치 범위를 확대하여 범용성 또한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이때 자동제어부는 열교환기의 효율 및 여과부의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값에 따라 자동으로 세관모드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 향상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동시에 열회수시스템의 에너지 효율 향상 효과를 갖는다.
또한 여과부는 3단계 여과장치를 통과하며 3중 여과하여 폐수에 포함된 이물질의 여과율을 극대화하여 열교환기 내부에 이 여과장치를 거친 양질의 여과폐수가 유입되어 폐수유로의 직경을 감소시킬 수 있어, 열교환기의 소형화를 실현하여 설치 공간 축소 및 설치 비용을 절감시키는 동시에 동일 면적 대비 열교환율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자동세관기능을 구비한 폐수열회수시스템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제1 여과기의 상세도.
도 3은 도 1의 제2 여과기의 상세도.
도 4는 도 1의 제3 여과기의 상세도.
도 5는 도 1에 여과모드 시의 폐수 및 청수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6(a)는 도 1에 역세정모드 시의 폐수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6(b)는 제3 여과기의 상세도에 역세정모드 시의 폐수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1에 열교환부세정모드 시의 청수 및 세정랙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1에 여과부세정모드 시의 청수 및 세정액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9 (a), (b)는 도 1에 동시세관모드 시의 청수 및 세정액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상세한 설명에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자동세관기능을 구비한 폐수열회수시스템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1 여과기의 상세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제2 여과기의 상세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제3 여과기의 상세도이다.
도 5는 도 1에 여과모드 시의 폐수 및 청수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에 역세정모드 시의 폐수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b)는 제3 여과기의 상세도에 역세정모드 시의 폐수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1에 열교환부세정모드 시의 청수 및 세정랙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도 1에 여과부세정모드 시의 청수 및 세정액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 (a), (b)는 도 1에 동시세관모드 시의 청수 및 세정액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고온의 폐수가 저장된 폐수집수조(100)와, 상기 폐수집수조(100)에서 배출되는 폐수의 이물질을 제거시키는 여과부(200)와, 저온의 청수가 저장된 청수탱크(300)와, 폐수유로(600)를 관통하는 고온의 폐수와 청수유로(700)를 관통하는 저온의 청구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400)를 포함하는 폐수열회수설비는 상기 여과부(200)는 폐수의 유속으로 원심력을 발생시켜 물보다 고비중의 이물질을 하부로 포집시키는 제1 여과기(210)와, 폐수의 유속으로 구심력을 발생시켜 물보다 저비중의 이물질을 상부로 포집시키는 제2 여과기(220)와, 입자여과재가 저장되고, 폐수의 이동방향이 변경 가능하도록 연결된 2조로 형성된 제3 여과기(230)로 형성되고, 상기 폐수유로(600)와 상기 청수유로(700)에 각각 연통되는 세관유로(800)와, 상기 세관유로(800) 상에 설치되는 세관탱크(510)로 형성되어 상기 폐수유로(600)를 세관하는 세관부(500), 상기 폐수유로(600), 상기 청수유로(700) 및 상기 세관유로(800) 상에 설치되어 각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부 및 상기 밸브부의 개도를 제어하는 자동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세관탱크(510)의 일 측에는 세관 시 세정 약품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약품공급탱크(520)와, 세관 완료 후 세관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유로(53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폐수열회수시스템(10)은 폐수집수조(100)에 집수되는 고온의 폐수를 여과부(200)를 통해 이물질을 제거하고, 열교환기(400)로 공급하여 저온의 청수와 열교환 되어 에너지를 회수하는 시스템으로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보다 친화경적인 에너지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과부(200)는 원심력을 발생시켜 물보다 고비중의 이물질을 하부로 포집하는 제1 여과기(210)와, 구심력을 발생시켜 물보다 저비중의 이물질을 상부로 포집하는 제2 여과기(220)와, 내부에 형성되는 세정볼(233)에 의해 미세이물질을 제거하는 제3 여과기(230)로 형성된다.
또한 여과부(200)는 폐수집수조(100)에서 배출되는 폐수를 연속하여 3중 여과하여 폐수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열교환기(400) 내부의 3차 여과폐수가 흐르는 유로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폐수유로(600)의 막힘 현상을 최소화한다.
제1 여과기(210)는 원심력여과기로 형성되어, 내부에 매우 빠른 속도의 폐수의 흐름이 발생되고, 이때 발생되는 물질관성을 이용하여 물보다 비중이 큰 고비중이물질을 원심력으로 내부벽면으로 분산 집합시켜 하부로 포집한다.
이때 제1 여과기(210)의 하측에는 제2 폐수배출로(612)가 연결되고, 제2 폐부배출로에는 자동제어부에 의해 개폐되는 제8 밸브(v8)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설정된 주기 또는 제1 여과기(210)의 측정된 내부압력 값에 따라 내부수압으로 포집된 고비중이물즐을 자동 방출한다.
제2 여과기(220)는 구심력여과기로 형성되어, 내부에 매우 빠른 속도의 1차 여과폐수의 흐름이 발생되고, 이때 발생되는 물질관성을 이용하여 물보다 비중이 작은 저비중이물질을 구심력으로 제2 여과기(220)의 중심으로 집합시켜 상부로 포집한다.
이때 제2 여과기(220)의 상측에는 제3 폐수배출로(613)가 연결되고, 제3 폐수배출로(613)에는 자동제어부에 의해 개폐되는 제9 밸브(v9)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설정된 주기 또는 제2 여과기(220)의 측정된 내부압력 값에 따라 내부수압으로 포집된 저비중이물즐을 자동 방출한다.
제 3 여과기는 입자여과기로 형성되어, 내부에 세정볼(233)이 집적되고, 세정볼(233)이 배출될 수 없도록 배출구(232)의 상측에 타공판(234)이 형성된다. 세정볼(233)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녹 발생 방지 및 미세이물질의 균일한 여과를 위해 스테인레스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타공판(234)은 3차 여과폐수가 원활히 이동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타공되되, 세정볼(23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지름이 세정볼(233)의 지름보다 작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3 여과기(230)는 2조로 연통되어 배치되고, 각 제3 여과기(230)의 유입구(231)가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각 제3 여과기(230)의 배출구(232)가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2차 여과폐수를 통해 제3 여과기(230)의 역세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3 여과기(230)는 제2 여과기(220)에서 배출되는 2차 여과폐수가 2조의 제3 여과기(230)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분기되어 제4-1 폐수유입로(624)와 제4-2 폐수유입로(625)로 형성되고, 제4-1 폐수유입로(624)에는 제10 밸브(v10)가 설치되며, 제4-2 폐수유입로(625)에는 제11 밸브(v11)가 설치되어 자동제어부에 의해 2차 여과폐수의 흐름이 제어된다.
또한 역세정 시에 제3 여과기(230)의 세정을 마친 폐수가 바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제4-1 폐수유입로(624)에는 제4 폐수배출로(614)가 연결되고, 제4 폐수배출로(614)에는 제12 밸브(v12)가 설치되며, 제4-2 폐수유입로(625)에는 제5 폐수배출로(615)가 연결되고, 제5 폐수배출로(615)에는 제13 밸브(v13)가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자동세관기능을 구비한 폐수열회수시스템(10)은 제3 여과기(230)를 2조 배치하여 3차 여과폐수를 통해 제3 여과기(230)에 쌓이는 미세이물질을 방출함으로써 시스템의 수명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다양한 세정모드를 제공하여 에너지 절감 및 사용자 편의 향상을 도모한다.
청수탱크(300)는 저온의 청수가 저장되어 열교환기(400)에서 3차 여과폐수와 열교환되어 회수되거나, 세관 시에는 열교환기(400) 및 여과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순화하며 유로를 세관할 수 있도록 한다.
열교환기(400)는 3차 여과폐수가 유입되는 폐수공급구(411)가 형성되고, 열교환을 마친 3차 여과폐수가 배출되는 폐수배출구(412)가 형성되며, 청수탱크(300)에서 공급되는 청구가 공급되는 청수공급구(413)와 열교환을 마친 청수가 회수되는 청수회수구가 형성된다.
이때 열교환의 효율을 위해 3차 여과폐수와 청수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폐수공급구(411)와 청구배출구(414)가 같은 방향으로 배치되고, 폐수배출구(412)와 청수회수구가 같은 방향으로 배치된다.
세관부(500)는 세관유로(800)상에 형성되고, 청수탱크(300)에서 배출되는 청수가 세관을 위해 집수되는 세관탱크(510)와, 세관탱크(510)로 약품을 공급하는 약품공급탱크(520)와, 세관을 마친 청수가 배출되는 드레인유로(530)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세관탱크(510)는 제1 세관유로(810)상에 배치되어 약품이 혼합된 청수 즉 세관액을 제1 새관액유입로 또는 제2 세관유로(820)를 통해 열교환기(400) 또는 여과부(200)로 공급하며, 세관액회수로(812)를 통해 세관액을 회수한다.
따라서 세관부(500)는 여과부에 의해 여과되기 어려운 화학적 이물질을 제거하여, 각 여과기 또는 열교환기(400)에 화학적 이물질이 흡착 및 축적되어 발생되는 열교환효율 감소 및 여과부(200)의 여과효율 감소를 방지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자동세관기능을 구비한 폐수열회수시스템(10)은 각 구성의 내부에 흡착되는 화학적 이물질을 제거하여 일정 이상의 열효율을 유지하여 에너지 절감 효과를 갖는 동시에 폐수열회수시스템(10)의 수명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또한 물리적으로 제거되는 이물질 뿐만 아니라 화학적 이물질까지 관리 가능하여 다양한 작업 환경에 설치될 수 잇도록 하여 폐수열회수시스템(10)의 범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폐수유로(600)는 폐수가 폐수열회수시스템(10)의 내부를 순환하거나, 유입 및 배출되도록 각 구성을 연결하여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폐수배출로(611)는 열교환기(400)의 폐수배출구(412)에 연결되어 여과를 마친 폐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제2 청수유입로(712)와 연결되어 세관 시 청수를 열교환기(400)로 공급한다. 따라서 제1 폐수배출로(611)에는 제3 밸부(v3)가 설치되어 폐수열회수시스템(10)의 운행 모드에 따라 자동제어부에 의해 개폐된다.
제2 폐수배출로(612)는 제1 여과기(210)의 하부에 연결되어 고비중이물질을 외부로 방출시키며, 이를 위해 제2 폐수배출로(612)에는 제8 밸브(v8)가 설치된다. 제3 폐수배출로(613)는 제2 여과기(220)의 상부에 연결되어 저비중이물질을 외부로 방출시키며, 이를 위해 제3 폐수배출로(613)에는 제9 밸브(v9)가 설치된다.
또한 제4 폐수배출로(614)는 제4-1 폐수유입로(624)에 연결되고, 제5 폐수배출로(615)는 제4-2 폐수유입로(625)에 연결되어 역세정모드에서 제3 여과기(230) 중 어느 하나에 집적되는 미세이물질을 외부를 방출시킨다. 이를 위해 제4 폐수배출로(614)에는 제12 밸브(v12)가 설치되고, 제5 폐수배출로(615)에는 제13 밸브(v13)가 설치되어 자동제어부에 의해 개폐된다.
제6 폐수배출유로는 제1 폐수유입로(621)에 연결되어 세관 시 세정액이 세정탱크로 회수되도록 하여 세정액이 열교환기(400) 및 여과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순환하여 내부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 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제6 폐수배출유로에는 자동제어부에 의해 개폐되는 제14 밸브(v14)가 설치되어 3차 여과폐수가 열교환기(400)로 공급되거나 세정액이 세정탱크로 회수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폐수유입로(621)는 제3 여과부(200)에서 배출되는 3차 여과폐수가 열교환기(400)로 공급될 수 있도록 열교환기(400)의 폐수유입구(231)와 연결되며, 역세정모드, 여과부(200)세정모드 및 동시세정모드에서 세관액이 폐수유입구(231)로 유입되지 않도록 자동제어부에 의해 개폐되는 제4 밸브(v4)가 설치된다.
제2 폐수유입로(622)는 폐수집수조(100)와 제1 여과기(210)에 각각 연결되어 폐수 또는 세정액을 제1 여과기(210)로 공급하고, 제3 폐수유입로(623)를 제1 여과기(210)와 제2 여과기(220)에 각각 연결되어 제2 여과기(220)로 1차 여과폐수 또는 세정액을 제2 여과기(220)로 공급한다.
또한 제2 여과기(220)에서 분기되어 형성되는 제4-1 폐수유입로(624)와 제4-2 폐수유립로는 2조로 형성되는 제3 여과기(230)에 각각 연결되어, 제3 여과기(230) 중 어느하나로 2차 여과폐수 또는 세정액을 공급한다.
이때 제2 여과기(220)에서 배출되는 2차 여과폐수 또는 세정액이 2조의 제3 여과기(23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제4-1 폐수유입로(624)에는 제10 밸브(v10)가 설치되고, 제4-2 폐수유입로(625)에는 제11 밸브(v11)가 설치되어 자동제어부에 의해 개폐된다.
청수유로(700)는 청수탱크(300) 및 열교환기(400)에 각각 연결되어 저온의 청수를 열교환기(400)에 공급하여 3차 여과폐수와 열교환시킨 후 다시 청수탱크(300)로 회수하도록 한다. 따라서 청수유로(700)는 청수를 공급하는 청수유입로(710)와 청수회수구에 연결되는 청수회수로(720)로 형성되며, 청수유입로(710)는 3차 여과폐수와의 열교환을 위해 청수공급구(413)에 연결되는 제1 청수유입로(711)와 세관 시 청수를 열교환기(400)의 폐수배출구(412) 또는 여과부(200)로 공급하는 제2 청수유입로(712)로 형성된다.
세관유로(800)는 폐수유로(600) 및 청수유로(700)에 연결되어 세관액을 열교환기(400) 및 여과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순환하도록 형성하여, 각 유로의 내부를 세정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세관유로(800)는 세관 시 청수탱크(300)에서 청수가 공급되도록 제2 청수유입로(712)와 제1 폐수배출로(611)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세관액유입로(811)와, 제6 폐수배출로(616)와 연결되어 열교환기(400)의 세관을 마친 세정액을 세관탱크(510)로 회수하는 세관액회수로(812)로 형성되는 제1 세관유로(810) 및 제1 세관액유입로(811)에서 분기되어 제2 폐수유입로(622)와 연결되는 제2 세관유로(820)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 제1 세관액유입로(811)는 열교환기(400)세정모드 및 동시세정모드에서 열교환기(400)로 세정액을 공급하고, 제2 세관유로(820)는 여과부(200)세정모드 및 동시세정모드에서 여과부(200)로 세정액을 공급하며, 세관을 마친 세정액은 세관액회수로(812)를 통해 세관탱크(510)로 회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자동세관기능을 구비한 폐수열회수시스템(10)은 폐수의 여과를 위한 폐수유로(600) 및 열교환을 위한 청수유로(700)에 세관유로(800)를 형성하여 다양한 세관모드로 운행되도록 형성되고, 폐수에 포함된 화학성분의 이물질까지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폐수열회수시스템(10)의 수명을 현저히 연장시키는 동시에 다양한 작업 환경에 설치 가능하도록 하여 폐수열회수시스템(10)의 범용성을 확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추가 연결되는 세관유로(800)를 최소화하여 초기 비용을 절감시키며, 폐수열회수시스템(10)의 유지 및 보수를 용이하게 하여 사용자 편의 향상 효과를 극대화한다.
자동제어부는 여과부(200)의 각 여과기에 설치되는 압력센서, 열교환기(400)에서 유입 배출되는 청수 및 폐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청수탱크(300)에서 배출되는 청구의 유량을 측정하는 센서 및 밸브부 등에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온라인을 통해 원격으로 폐수열회수시스템(10)의 현재 운형 모드 및 각 구성의 상태를 열람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원격으로 조작하여 원격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자동제어부는 각 종 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저장하고 이에 따라 폐수열회수시스템(10)을 자동으로 최적의 운행모드로 운행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자동제어부는 각 유로상에 설치된 밸브들의 개폐를 제어하여, 폐수 및 청수의 유로를 변경하여 운행모드를 변경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제1 여과기(210) 및 제2 여과기(220)에 포집되는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폐수열회수시스템(10)은 사용자가 설정된 주기에 맞춰 세관을 자동으로 실행하거나, 각 구성의 측정된 값에 따라 각 운행 모드를 자동으로 선택하거 실행하거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운행 모드를 실행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에 의해 운행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제공하고, 폐수열회수시스템(10)의 수명을 현저히 향상시키며, 지속적으로 폐수열회수시스템(10)을 최적의 상태로 운행시켜 에너지 회수율 또한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폐수열회수시스템(10)의 운행 모드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자동세관기능을 구비한 폐수열회수시스템(10)은 고온의 폐수를 3중 여과하고 청수와 열교환시켜 배출하는 여과모드와, 폐수로 제3 여과기(230)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세정하는 역세정모드와, 세정액으로 열교환기(400) 및 여과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흡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열교환기(400)세정모드와, 여과부(200)세정모드와, 동시세정모드로 운행된다.
여과모드는 제2 폐수유입로(622)를 통해 폐수집수조(100)에 저장된 폐수를 제1 여과기(210)로 공급하여 제3 폐수유입로(623), 제4-1 폐수유입로(624)를 거치거나, 제2 폐수유입로(622)를 통해 폐수집수조(100)에 저장된 폐수를 제1 여과기(210)로 공급하여 제3 폐수유입로(623), 제4-2 폐수유입로(625)를 거쳐 폐수를 3중으로 여과한 후 제1 폐수유입로(621)를 통해 열교환기(400)로 공급하여 청수와 열교환하여 제1 폐수배출로(611)를 통해 외부를 배출한다.
이때 청수는 청수탱크(300)에서 제1 청수유입로(711)를 통해 열교환기(400)로 유입되고, 청수회수로(720)를 통해 청수탱크(300)로 회수되며, 고온의 폐수에서 열을 회수하여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여과모드에서 제1 여과기(210) 및 제2 여과기(220)에 포집되는 이물질의 양이 일정 이상을 초과하여 제1 여과기(210) 또는 제2 여과기(220)의 내부 압력이 상승 하는 등의 일정 조건에 만족되면, 자동제어부는 제8 밸브(v8) 또는 제9 밸브(v9)를 개방하여 이를 외부로 방출한다.
이때 제1 여과기(210) 및 제2 여과기(220)의 내부에는 빠른 속도의 폐수의 흐름이 발생되므로 별도의 외력없이 제8 밸브(v8) 또는 제9 밸브(v9)를 개방하여 폐수의 유속에 따라 제2 폐수배출로(612) 또는 제3 폐수배출로(613)을 통해 포집된 이물질을 외부로 방출 할 수 있다.
역세정모드는 폐수집수조(100)에 저장된 폐수가 제2 폐수유입로(622)와 제3 폐수유입로(623)를 통해 2중 여과된 후, 2조의 제3 역과기 모두를 통과하도록 하여 제3 여과기(230)의 내부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세정하여 여과부(200)의 여과율을 일정 이상으로 유지시킨다.
구체적으로 제4-1 폐수유입로(624)를 통해 2차 여과폐수가 유입되는 경우 제4-1 폐수유입로(624), 제4 폐수배출로(614) 및 제1 폐수유입로(621)는 폐쇄되어, 2조 중 어느 하나의 제3 여과기(230)에서 배출되는 3차 여과폐수는 배출구(232)를 통해 다른 하나의 제3 여과기(230)로 유입되어 제5 폐수배출로(61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3차 여과폐수가 유입된 제3 여과기(230)에는 폐수가 역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세정볼(233) 사이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유입구(231)를 통해 배출시킨다.
다만 상기에 설명은 편의를 위하여 제4-2 폐수유입로(625)와 연결된 제3 여과기(230)의 역세정모드를 설명한 것으로 제4-1 폐수유입로(624)와 연결된 제3 여과기(230)가 역세정되는 경우에는 제4-2 폐수유입로(625), 제5 폐수배출로(615) 및 제1 폐수유입로(621)는 폐쇄되고, 폐수는 제4 폐수배출로(614)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역세정모드는 환경에 따라 제3 여과기(230) 세정 후 그대로 배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6 폐수배출로(616)를 통해 열교환기(400)로 다시 유입되어 청수와의 열교환 후 제1 폐수배출로(611)를 통해 배출될 수도 있다.
이는 역세정하는 동안에도 청수가 차단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열교환기(400)를 순환하는 환경에서 사용하여 에너지 효율 향상 효과를 극대화 하며, 역세정하는 동안 청수가 차단 가능한 환경에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운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자동세관기능을 구비한 폐수열회수시스템(10)은 여과뿐만 아니라 폐수를 통해 내부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내구성 향상 효과를 가지며, 다양한 환경에 맞춰 운행할 수 있도록 하여 범용성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열교환기(400)세정모드는 청수탱크(300)에 저정된 청수를 제2 청수유입로(712), 제1 폐수배출로(611)를 통해 열교환기(400)의 폐수배출구(412)로 공급하고, 제1 폐수유입로(621), 세관액회수로(812)를 통해 세관탱크(510)로 회수하여 열교환기(400)의 폐수가 흐르는 유로를 세관한다.
구체적으로 열교환기(400)세정모드는 세관탱크(510)에 청수가 약 30% 정도 채워질 때까지 청수가 공급되고, 청수가 유입되어 순환하는 동안 약품공급유로(521)를 통해 세관탱크(510)로 약품이 공급되어 세정액을 형성하며, 세정액은 대략 3시간 정도 열교환기(400)를 순환하며 세관한다.
따라서 열교환기(400)의 내부에 흡착된 이물질은 세정액에 포함된 약품에 의해 제거되고, 이때 제6 밸브(v6)는 폐쇄되어 드레인유로(530)를 통해 세정액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며 세정을 마친 후 자동제어부에 의해 개방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다시 말해 열교환기(400)세정모드에서 제1 밸브(v1)는 초기 개방되나 청수의 공급이 중단되면 폐쇄되고, 제2 밸브(v2)는 개방되며, 제3 밸브(v3), 제4 밸브(v4), 제14 밸브(v14)는 폐쇄된다. 이때 세정액의 원활한 순화을 위해 제1 세관액유입로(811)에는 제1 펌프가 설치되고, 약품공급유로(521)에는 제2 펌프가 설치되며, 각 밸브의 개폐 및 펌프의 작동은 자동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설정된다.
여과부(200)세정모드는 청수탱크(300)에 저장된 청수를 제2 청수유입로(712)와, 제2 청수유입로(712)와, 제1 폐수유입로(621)와, 제2 폐수유입로(622)와, 제3 폐수유입로(623)와, 제4-1 폐수유입로(624) 및 제4-2 폐수유입로(625) 중 어느 하나와, 제1 폐수유입로(621), 세정액회수로를 통해 순환시켜 여과부(200)를 세관한다.
구체적으로 여과부(200)세정모드는 세관탱크(510)에 청수가 약 30% 정도 채워질 때까지 청수가 공급되고, 청수가 유입되어 순환하는 동안 약품공급유로(521)를 통해 세관탱크(510)로 약품이 공급되어 세정액을 형성하며, 세정액은 여과부(200)를 순환하며 세관한다. 이때 2조의 제3 여과기(230)는 선택되어 세정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자동제어부가 제10 밸브(v10) 또는 제11 밸브(v11)를 번갈아가며 개폐하여 동시에 세정할 수 있다.
따라서 여과부(200) 및 폐수유로(600)의 내부에 흡착된 이물질은 세정액에 포함된 약품에 의해 제거되고, 이때 제6 밸브(v6)는 폐쇄되어 드레인유로(530)를 통해 세정액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며 세정을 마친 후 자동제어부에 의해 개방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다시 말해 여과부(200)세정모드에서 제1 밸브(v1)는 초기 개방되나 청수의 공급이 중단되면 폐쇄되고, 제7 밸브(v7), 제4 밸브(v4), 제5 밸브(v5)는 개방되며, 제2 밸브(v2), 제3 밸브(v3), 제12 밸브(v12), 제13 밸브(v13), 제14 밸브(v14)는 폐쇄된다. 이때 세정액의 원활한 순화을 위해 제1 세관액유입로(811)에는 제1 펌프(P1)가 설치되고, 약품공급유로(521)에는 제2 펌프(P2)가 설치되며, 제2 세정유로에는 제3 펌프(P3)가 설치되고, 각 밸브의 개폐 및 펌프의 작동은 자동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설정된다.
동시세정모드 청수탱크(300)에 저장된 청수를 제2 청수유입로(712), 제1 폐수배출로(611)를 통해 열교환기(400)의 폐수배출구(412)로 공급하고, 제1 폐수유입로(621), 세관액회수로(812)를 통해 세관탱크(510)로 회수하며, 세관탱크(510)에서 배출되는 세정액을 다시 제2 세관유로(820)와, 제2 폐수유입로(622)와, 제3 폐수유입로(623)와, 제4-1 폐수유입로(624) 및 제4-2 폐수유입로(625) 중 어느 하나와, 제1 폐수유입로(621), 세정액회수로를 통해 순환시켜 열교환기(400) 및 여과부(200)를 세관한다.
구체적으로 여과부(200)세정모드는 세관탱크(510)에 청수가 약 30% 이상 채워질 때까지 청수가 공급되고, 청수가 유입되어 순환하는 동안 약품공급유로(521)를 통해 세관탱크(510)로 약품이 공급되어 세정액을 형성하며, 세정액은 열교환기(400) 및 여과부(200)를 순환하며 세관한다. 이때 2조의 제3 여과기(230)는 선택되어 세정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자동제어부가 제10 밸브(v10) 또는 제11 밸브(v11)를 번갈아가며 개폐하여 동시에 세정할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기(400), 여과부(200) 및 폐수유로(600)의 내부에 흡착된 이물질은 세정액에 포함된 약품에 의해 제거되고, 이때 제6 밸브(v6)는 폐쇄되어 드레인유로(530)를 통해 세정액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며 세정을 마친 후 자동제어부에 의해 제6 밸브(v6)를 개방하여 외부로 세정액을 배출한다.
다시 말해 동시세정모드에서 제1 밸브(v1)는 초기 개방되나 청수의 공급이 중단되면 폐쇄되고, 제2 밸브(v2)는 개방되며, 제3 밸브(v3), 제4 밸브(v4), 제7 밸브(v7), 제14 밸브(v14)는 폐쇄되어 세정액을 열교환기(400)와 세관탱크(510)를 순환하도록 하고, 다시 제7 밸브(v7), 제4 밸브(v4), 제5 밸브(v5)를 개방하고, 제2 밸브(v2), 제3 밸브(v3), 제12 밸브(v12), 제13 밸브(v13), 제14 밸브(v14)는 폐쇄하여 여과부(200)와 센관탱크를 순환하도록 한다.
따라서 세정액은 열교환기(400)와 여과부(200)를 격번하여 순환하도록 하여 전체 폐수열회수시스템(10)을 세정하도록 하며, 이때 세정액의 원활한 순화을 위해 제1 세관액유입로(811)에는 제1 펌프가 설치되고, 약품공급유로(521)에는 제2 펌프가 설치되며, 제2 세정유로에는 제3 펌프(P3)가 설치되고, 각 밸브의 개폐 및 펌프의 작동은 자동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세관기능을 구비한 폐수열회수시스템(10)은 세관유로(800)를 더 형성하고, 각 유로를 개폐하는 자동제어부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정해놓은 주기 또는 선택에 따라 자동으로 내부를 세관하여 폐수열회수시스템(10)의 수명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또한 사용자의 필요에 맞춰 다양한 운행 모드로 폐수열회수시스템(10)을 운행하여 다양한 환경에 적용 가능하며, 유지 보수을 낮추고, 향상된 편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해당한다.
10 폐수열회수시스템
100 폐수집수조
200 여과부 210 제1 여과부 220 제2 여과부
230 제3 여과부 231 유입구 232 배출구
233 세정볼 234 타공판 300 청수탱크
400 열교환기 411 폐수공급구 412 폐수배출구
413 청수공급구 414 청수회수구
500 세관부 510 세관탱크 520 약품공급탱크
521 약품공급유로 530 드레인유로
600 폐수유로 611 제1 폐수배출로 612 제2 폐수배출로
613 제3 폐수배출로 614 제4 폐수배출로 615 제5 폐수배출로
616 제6 폐수배출로 621 제1 폐수유입로 622 제2 폐수유입로
623 제3 폐수유입로 624 제4-1 폐수유입로 625 제4-2 폐수유입로
700 청수유로 710 청수유입로 711 제1 청수유입로
712 제2 청수유입로 720 청수회수로
800 세관유로 810 제1 세관유로 811 제1 세관액유입로
812 세관액회수로 820 제2 세관유로
v1 제1 밸브 v2 제2 밸브 v3 제3 밸브
v4 제4 밸브 v5 제5 밸브 v6 제6 밸브
v7 제7 밸브 v8 제8 밸브 v9 제9 밸브
v10 제10 밸브 v11 제11 밸브 v12 제12 밸브
v13 제13 밸브 v14 제14 밸브
P1 제1 순환펌프 P2 제2 순환펌프 P3 제3 순환펌프

Claims (11)

  1. 고온의 폐수가 저장된 폐수집수조와, 상기 폐수집수조에서 배출되는 폐수의 이물질을 제거시키는 여과부와, 저온의 청수가 저장된 청수탱크와, 폐수유로를 관통하는 고온의 폐수와 청수유로를 관통하는 저온의 청구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폐수열회수설비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폐수의 유속으로 원심력을 발생시켜 물보다 고비중의 이물질을 하부로 포집시키는 제1 여과기와, 폐수의 유속으로 구심력을 발생시켜 물보다 저비중의 이물질을 상부로 포집시키는 제2 여과기와, 입자여과재가 저장되고, 폐수의 이동방향이 변경 가능하도록 연결된 2조로 형성된 제3 여과기로 형성되고,
    상기 폐수유로와 상기 청수유로에 각각 연통되는 세관유로와, 상기 세관유로 상에 설치되는 세관탱크로 형성되어 상기 폐수유로를 세관하는 세관부;
    상기 폐수유로, 상기 청수유로 및 상기 세관유로 상에 설치되어 각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부; 및
    상기 밸브부의 개도를 제어하는 자동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관유로는
    상기 세관탱크에서 배출되는 세관액이 유입되는 제1 세관액유입로와, 상기 열교환기로 폐수가 유입되는 제1 폐수유입로에 연통되어 상기 세관탱크로 세관액을 회수하는 세관액회수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폐수유입로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폐수가 배출되는 제1 폐수배출로에 각각 연통되어, 세관액을 상기 제1 폐수배출로에서 상기 제1 폐수유입로를 통해 순환시켜 상기 열교환기의 내부 폐수유로를 세관하는 제1 세관유로; 및
    상기 제1 세관액유입로와 상기 폐수집수조에서 폐수가 배출되는 제2 폐수유입로에 각각 연결되어 세관액을 상기 여과부로 공급하되, 상기 폐수유로를 통해 상기 세관액회수로로 세관액을 회수하는 순환과정을 통해 상기 여과부를 세관하는 제2 세관유로;를 포함하여, 상기 열교환기 및 상기 여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세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관기능을 구비한 폐수열회수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관탱크는
    일 측에 세관 시 세정 약품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약품공급탱크와, 세관 완료 후 세관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관기능을 구비한 폐수열회수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수유로는
    분기되어 상기 열교환기로 청수가 유입되는 제1 청수유입로와, 상기 제1 폐수배출로와 연통되는 제2 청수유입로로 형성되고,
    상기 폐수유로는
    상기 제1 폐수유입로, 상기 제1 여과기로 폐수를 공급하는 상기 제2 폐수유입로, 상기 제1 여과기에서 상기 제2 여과기로 폐수를 공급하는 제3 폐수유입로, 상기 제2 여과기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3 여과기 중 어느 하나로 폐수를 공급하는 제4-1 폐수유입로와, 상기 제3 여과기 중 다른 하나로 폐수를 공급하는 제4-2 폐수유입로로 형성되는 폐수공급로와,
    상기 제1 폐수배출로, 상기 제1 여과기에서 폐수가 배출되는 제2 폐수배출로, 상기 제2 여과기에서 폐수가 배출되는 제3 폐수배출로, 상기 제4-1 폐수유입로와 연결되는 제4 폐수배출로와, 상기 제4-2 폐수유입로와 연결되는 제5 폐수배출로, 상기 제1 폐수유입로에서 폐수가 배출되는 제6 폐수배출로로 형성되는 폐수배출로로 형성되며,
    2조의 상기 제3 여과기는
    각 상기 제3 여과기에 형성된 유입구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각 상기 제3 여과기에 형성된 배출구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세정액이 2조의 상기 제3 여과기에서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관기능을 구비한 폐수열회수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는
    상기 제2 청수유입로에 설치되는 제1 밸브와, 상기 제1 세관액유입로에 설치되는 제2 밸브와, 상기 제1 폐수배출로에 설치되는 제3 밸브와, 상기 제1 폐수유입로에 설치되는 제4 밸브와, 상기 세관액회수로에 설치되는 제5 밸브로 형성되고,
    상기 자동제어부는
    상기 열교환기의 열효율을 연산하여, 미리 설정된 설정효율보다 측정된 측정효율이 작은 경우, 상기 제1 밸브, 상기 제2 밸브 및 상기 제5 밸브를 열고, 상기 제3 밸브, 상기 제4 밸브를 닫아, 상기 청수탱크에서 공급되는 청수를 상기 세관탱크와 상기 열교환기를 순환하는 열교환기세정모드로 상기 폐수열회수시스템를 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관기능을 구비한 폐수열회수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는
    상기 제2 세관유로에 설치되는 제7 밸브와, 상기 제2 폐수배출로에 설치되는 제8 밸브와, 상기 제3 폐수배출로에 설치되는 제9 밸브와, 상기 제4-1 폐수유입로에 설치되는 제10 밸브와, 상기 제4-2 폐수유입로에 설치되는 제11 밸브와, 상기 제4 폐수배출로에 설치되는 제12 밸브와, 상기 제5 폐수배출로에 설치되는 제13 밸브와, 상기 제6 폐수배출로에 설치되는 제14 밸브로 형성되고,
    상기 자동제어부는
    상기 제3 여과기의 측정압력이 미리 설정된 설정압력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1 밸브, 상기 제7 밸브, 상기 제10, 11 밸브 중 어느 하나, 상기 제12, 13 밸브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제14 밸브를 열고, 상기 제2 밸브, 상기 제4 밸브, 상기 제8 밸브, 상기 제9 밸브, 상기 제10, 11 밸브 중 다른 하나 및 상기 제12, 13 밸브 중 다른 하나를 닫아, 상기 청수탱크에서 공급되는 청구를 상기 세관탱크와 상기 여과부를 순환하는 여과부세정모드로 상기 폐수열회수시스템를 운행하며, 이때 상기 제10 밸브가 열리는 경우에는 상기 제13 밸브가 열리고, 상기 제11 밸브가 열리는 경우에는 상기 제12 밸브가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관기능을 구비한 폐수열회수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제어부는
    사용자가 설정한 주기가 경과되거나, 상기 측정효율이 상기 설정효율보다 낮은 동시에 상기 측정압력이 상기 설정압력보다 높은 경우, 상기 여과부세정모드에서 세정액이 상기 제1 세관액유입로로 공급될 때, 상기 제1 밸브 및 상기 제7 밸브를 격번하며 열고 닫으며, 상기 열교환기 및 상기 여과부를 동시에 세관하는 동시세관모드로 상기 폐수열회수시스템를 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관기능을 구비한 폐수열회수시스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여과기는
    상기 제1,2 여과기를 통과한 폐수의 잔여 미세이물질을 상기 입자여과재에 의해 포집하고,
    상기 폐수배출로는
    상기 제2 폐수배출로와, 상기 제3 폐수배출로와, 상기 제4 폐수배출로와, 상기 제5 폐수배출로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여과기, 상기 제2 여과기 및 상기 제3 여과기 각각에 포집된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관기능을 구비한 폐수열회수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제어부는
    청수 및 폐수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열교환기의 열효율을 연산하고, 상기 여과부의 압력을 측정하여 상기 열효율 및 상기 압력에 따라, 상기 밸브부를 선택적으로 개도하여 운행모드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관기능을 구비한 폐수열회수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제어부는
    상기 압력을 지속적으로 저장하여 상기 운행모드를 최적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관기능을 구비한 폐수열회수시스템.
KR1020190160049A 2019-12-04 2019-12-04 자동세관기능을 구비한 3단 여과 폐수열회수시스템 KR102110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049A KR102110451B1 (ko) 2019-12-04 2019-12-04 자동세관기능을 구비한 3단 여과 폐수열회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049A KR102110451B1 (ko) 2019-12-04 2019-12-04 자동세관기능을 구비한 3단 여과 폐수열회수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0451B1 true KR102110451B1 (ko) 2020-05-13

Family

ID=70729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0049A KR102110451B1 (ko) 2019-12-04 2019-12-04 자동세관기능을 구비한 3단 여과 폐수열회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04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117B1 (ko) * 2021-10-28 2022-09-01 주식회사세이브에코이엔지 세정기능을 수행하는 폐열회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1897A (ja) * 1986-09-01 1988-03-18 Mitsubishi Heavy Ind Ltd 排ガスエコノマイザ洗浄方法
KR200374157Y1 (ko) * 2004-11-11 2005-01-24 임선식 폐수열 회수 장치의 역세척 시스템
KR101348952B1 (ko) * 2013-02-28 2014-01-16 이종수 폐수열 회수장치의 여과 및 자동역세 시스템
KR101561529B1 (ko) * 2014-04-01 2015-10-20 주식회사 에스엔에스에너지 역세정 폐수열 회수 설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1897A (ja) * 1986-09-01 1988-03-18 Mitsubishi Heavy Ind Ltd 排ガスエコノマイザ洗浄方法
KR200374157Y1 (ko) * 2004-11-11 2005-01-24 임선식 폐수열 회수 장치의 역세척 시스템
KR101348952B1 (ko) * 2013-02-28 2014-01-16 이종수 폐수열 회수장치의 여과 및 자동역세 시스템
KR101561529B1 (ko) * 2014-04-01 2015-10-20 주식회사 에스엔에스에너지 역세정 폐수열 회수 설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117B1 (ko) * 2021-10-28 2022-09-01 주식회사세이브에코이엔지 세정기능을 수행하는 폐열회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14360B (zh) 家用干衣机及过滤方法
KR100985300B1 (ko) 가로봉 지지식 공극제어형 섬유여재 필터 및 가로봉 지지식 섬유여과장치
KR101199434B1 (ko) 폐수의 열회수장치
KR101954997B1 (ko) 세미 연속순환방식 열교환기 자동 세정장치
KR102110451B1 (ko) 자동세관기능을 구비한 3단 여과 폐수열회수시스템
KR20100133628A (ko) 소형 열교환기 자동 세정장치
CN103736321A (zh) 智能沉降自洁过滤器
KR101348952B1 (ko) 폐수열 회수장치의 여과 및 자동역세 시스템
CN110118437A (zh) 一种用于海洋馆的废热回收利用系统及其工作方法
KR20100138389A (ko) 자동 세척 시스템
KR20170127655A (ko) 자동 세정 시스템
KR20130003190U (ko) 고압의 공기를 이용한 필터형 시료 전처리 시스템
CN102788528B (zh) 胶球清洗系统
JP4118267B2 (ja) 洗浄装置
KR101019120B1 (ko) 3단여과시스템이 구현된 폐수열회수설비
JP4807193B2 (ja) 軟水装置
CN207237393U (zh) 一种带反冲洗功能的水处理系统
JP3394490B2 (ja) 濾過装置
CN106415182A (zh) 用于从工业设备中流出的液体中回收热量的装置
KR101561529B1 (ko) 역세정 폐수열 회수 설비
KR100745121B1 (ko) 여과장치
KR20140092736A (ko) 액체 저류 장치의 여과장치
CN203494246U (zh) 净水装置
CN208471721U (zh) 可降低废水排量的净水机
CN106422493A (zh) 一种智能排污系统及排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