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1529B1 - 역세정 폐수열 회수 설비 - Google Patents

역세정 폐수열 회수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1529B1
KR101561529B1 KR1020140038771A KR20140038771A KR101561529B1 KR 101561529 B1 KR101561529 B1 KR 101561529B1 KR 1020140038771 A KR1020140038771 A KR 1020140038771A KR 20140038771 A KR20140038771 A KR 20140038771A KR 101561529 B1 KR101561529 B1 KR 101561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waste water
outlet
inlet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8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4294A (ko
Inventor
김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엔에스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엔에스에너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엔에스에너지
Priority to KR1020140038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1529B1/ko
Publication of KR20150114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4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1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1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5/00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5/00Details
    • F28G15/04Feeding and driving arrangements, e.g. power operation
    • F28G15/06Automatic revers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온의 폐수가 저장되며 폐수출구가 구비된 폐수집수조; 저온의 청수가 저장된 청수탱크; 상기 청수탱크와 연결되는 청수입구와, 상기 폐수집수조와 연결되는 폐수입구와, 상기 청수입구로 유입된 청수가 배출되는 청수출구와, 상기 폐수입구로 유입된 폐수가 배출되는 폐수출구를 포함하여, 고온의 폐수와 저온의 청수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 상기 폐수출구와 연결된 폐수 배출구; 상기 청수출구와 연결되는 온수탱크; 상기 폐수출구와 연결되며 제3밸브가 설치된 폐수입구와, 상기 폐수입구를 통한 폐수가 배출되어 상기 열교환기의 폐수입구와 연결되며 제4밸브가 설치된 폐수출구와, 상기 폐수입구와 폐수출구 사이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폐수입구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폐수출구와 연결되며 제5밸브가 설치된 제1역세관이 구비되어 역세가 가능하도록 하는 제1입자 여과기; 및 상기 폐수출구와 연결된 폐수입구와, 상기 폐수입구를 통한 폐수가 배출되도록 상기 폐수출구와 연결되는 폐수출구와, 상기 폐수입구와 폐수출구 사이에 설치된 제2입자 여과기를 포함하는 역세정 폐수열 회수 설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역세정 폐수열 회수 설비{REVERSE CLEANSING HEAT RECOVERY EQUIPMENT OF WASTE WATER}
본 발명은 폐수열 회수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역세정 폐수열 회수 설비에서 역세정을 하더라도 온도 저하를 방지하여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역세정 폐수열 회수 설비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폐수열 회수설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폐수열을 회수하여 재사용하는 종래의 폐수열 회수설비는, 고온의 폐수가 저장된 폐수집수조(1), 저온의 청수(냉수)가 저장된 청수탱크(2), 고온의 폐수와 저온의 청수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3), 폐수집수조(1)에 저장된 고온의 폐수를 열교환기(3)의 폐수입구(3a)로 이송시키는 폐수이송펌프 (4), 폐수이송펌프(4)와 열교환기(3)의 폐수입구(3a) 사이에 설치되는 그물형여과기(5), 열교환기(3)의 폐수출구(3b)에 연결되는 폐수배출구(6), 저온의 청수를 열교환기(3)의 청수입구(3c)로 이송시키는 청수이송펌프(7), 열교환기(3)의 청수출구(3d)에 연결되는 온수탱크(8)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그물형여과기(5)의 폐수입구(5a)는 폐수이송펌프(4)에 배관으로 연결되고, 그물형여과기(5)의 폐수출구(5b)는 열교환기(3)의 폐수입구(3a)에 배관으로 연결되며, 그물형여과기(5)에는 그물형여과망(5c)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폐수열 회수설비는 고온의 폐수가 저장된 폐수집수조(1)와 저온의 청수가 저장된 청수탱크(2)와 고온의 폐수로부터 회수된 열에 의하여 청수가 변화하여 된 온수가 저장된 온수탱크(8)를 배관하여 연결하되 배관에는 열교환기(3)와 폐수, 청수이송펌프(4)(7)를 설치하여, 저온의 청수는 청수탱크(2)의 청수를 청수이송펌프(7)에 의해 열교환기(3)의 청수입구(3c)와 열교환기청수통로를 거쳐 열교환기(3)의 청수출구(3d)로 이송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폐수집수조(1)의 폐수는 폐수이송펌프(4)에 의해 열교환기(3)의 폐수입구(3a)와 열교환 기폐수통로를 거쳐 열교환기(3)의 청수출구(3d)로 이송되면서 열교환기(3)내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흐르면서 폐수의 열을 회수하도록 하는 것이다.
스파이럴형(Spiral type) 열교환기와 같이 폐수통로가 매우 넓어 열교환기폐수통로 막힘 시간은 연장되나 열교환 효율이 매우 낮은 열교환기를 사용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폐수열회수설비는 열교환기폐수통로가 폐수에 포함된 여러 이물질로 인해 폐수통로가 폐색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단시간내에 열교환기의 열교환효율이 저하되거나 열교환기 사용자체가 불가능하여 폐수열회수설비의 폐수이송펌프(4)와 열교환기(3)를 연결하는 배관에 그물형(Net type)여과기(5)를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기존 폐수열회수설비에 대부분 설치되어 사용하고 있는 그물형여과기(5)나 타공형여과기는 여과기구조가 미세이물질 또는 섬유성이물질의 여과가 완전치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일부 여과되지 않은 이물질이 열교환기로 인입되어 열교환기 폐수통로 막힘현상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섬유성이물질(머리카락, 실부스러기 등)의 경우 여과형태가 그물형여과망(5c)의 구멍과 구멍사이에 휘감긴 상태로 여과되어 그물형여과망(5c)에 휘감긴 섬유성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그물형여과망을 쇠솔(steel brush)로 문지르거나 여과물을 태워서 제거하여야 하는 등 청소방법이 매우 불편하여 그물형여과기(5)를 사용하는 폐수열회수설비는 대부분 사용중지되거나 매우 저효율로 가동되고 있는 상태이다.
종래의 폐수열회수설비중 일부 폐수열회수설비는 그물형여과기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여과성능이 우수한 샌드여과기를 2대 설치하여 교대 사용하고 있으나, 일정 이상의 이물질이 포함된 경우에는 샌드여과기가 이물질에 의해 단시간내에 막히므로서 2~3분간격으로 여과된 이물질배출을 위해 이물질여과로 폐색된 샌드여과기를 역세하여 이물질을 방출하게 된다.
여과이물질방출을 위한 역세에 사용되는 역세용수가 열교환기를 통과해 청수(냉수)와 열교환되고 배출되는 냉폐수를 역세용수로 사용하므로서 역세된 샌드여과기내부와 연결배관내부에 냉폐수가 만수(滿水)되어 있다.
따라서, 여과교대 초기에 냉폐수가 열교환기로 공급되어 폐수열회수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아 일정이상의 폐수열회수 손실전제하에 설비가 가동되고 있으며, 2대의 샌드여과기 교대시간이 매우 빨라 샌드여과기 운전교대에 사용되는 고가의 자동밸브 가동회수가 급등하여 자동밸브를 단시간내에 교체해야 하는 경제적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폐수열 회수 설비를 이용하여 폐수열을 회수시에 여과기에 이물질이 끼일 경우에 역세정을 통하여 여과기를 용이하게 세척함과 동시에 역세정을 하더라도 여과기의 온도 저하를 방지함으로써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역세정 폐수열 회수 설비를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고온의 폐수가 저장되며 폐수출구가 구비된 폐수집수조; 저온의 청수가 저장된 청수탱크; 상기 청수탱크와 연결되는 청수입구와, 상기 폐수집수조와 연결되는 폐수입구와, 상기 청수입구로 유입된 청수가 배출되는 청수출구와, 상기 폐수입구로 유입된 폐수가 배출되는 폐수출구를 포함하여, 고온의 폐수와 저온의 청수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 상기 폐수출구와 연결된 폐수 배출구; 상기 청수출구와 연결되는 온수탱크; 상기 폐수입구와 연결되며 밸브가 설치된 폐수입구와, 상기 폐수입구를 통과한 폐수가 배출되어 상기 열교환기의 폐수입구와 연결되며 밸브가 설치된 폐수출구와, 상기 폐수입구와 폐수출구 사이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폐수입구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폐수출구와 연결되며 밸브가 설치된 제1역세관이 구비되어 역세가 가능하도록 하는 제1입자 여과기; 및 상기 폐수출구와 연결된 폐수입구와, 상기 폐수입구를 통과한 폐수가 배출되도록 상기 폐수출구와 연결되는 폐수출구와, 상기 폐수입구와 폐수출구 사이에 설치된 제2입자 여과기를 포함하는 역세정 폐수열 회수 설비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2입자 여과기의 역세가 가능하도록 상기 폐수입구에는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제2입자 여과기에는 일단이 상기 폐수입구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폐수출구와 연결되며 밸브가 설치된 제2역세관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폐수집수조에서 폐수가 유입되는 폐수입구와, 상기 폐수입구를 통해서 유입된 폐수를 원심력을 이용해 물보다 비중이 높은 여과물을 배출하도록 상기 폐수배출구와 연결된 여과물 배출구와, 여과물이 여과된 폐수를 배출하는 폐수출구를 포함하는 원심력 여과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물 배출구에는 선택적으로 상기 원심력 여과기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원심력 여과기의 상기 폐수출구와 연결된 폐수입구와, 상기 폐수입구를 통해서 유입된 폐수를 구심력을 이용해 물보다 비중이 낮은 여과물을 배출하도록 상기 폐수배출구와 연결된 여과물 배출구와, 여과물이 여과된 폐수를 배출하는 폐수출구를 포함하는 구심력 여과기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여과물 배출구에는 선택적으로 상기 구심력 여과기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2입자 여과기의 내부에는 입자여과재이탈방지판이 고정되고, 상기 입자여과재이탈방지판의 상부에는 상기 입자여과재가 충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폐수열 회수 설비를 이용하여 폐수열을 회수시에 여과기에 이물질이 끼일 경우에 역세정을 통하여 여과기를 용이하게 세척함과 동시에 역세정을 하더라도 여과기의 온도 저하를 방지함으로써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역세정 폐수열 회수 설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세정 폐수열 회수 설비가 정상운전시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역세정 폐수열 회수 설비의 원심력 여과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역세정 폐수열 회수 설비의 구심력 여과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의 역세정 폐수열 회수 설비의 제1, 2 입자 여과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세정 폐수열 회수 설비의 원심력 여과기가 작동시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세정 폐수열 회수 설비의 구심력 여과기가 작동시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세정 폐수열 회수 설비의 제1입자형 여과기를 역세하는 동작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세정 폐수열 회수 설비의 제2입자형 여과기를 역세하는 동작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세정 폐수열 회수 설비가 정상운전시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역세정 폐수열 회수 설비의 원심력 여과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역세정 폐수열 회수 설비의 구심력 여과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의 역세정 폐수열 회수 설비의 제1, 2 입자 여과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세정 폐수열 회수 설비의 원심력 여과기가 작동시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세정 폐수열 회수 설비의 구심력 여과기가 작동시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세정 폐수열 회수 설비의 제1입자형 여과기를 역세하는 동작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세정 폐수열 회수 설비의 제2입자형 여과기를 역세하는 동작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역세정 폐수열 회수 설비는, 고온의 폐수가 저장되며 폐수출구(11)가 구비된 폐수집수조(10); 저온의 청수가 저장된 청수탱크(20); 상기 청수탱크와 연결되는 청수입구(33)와, 상기 폐수집수조(10)와 연결되는 폐수입구(31)와, 상기 청수입구(33)로 유입된 청수가 배출되는 청수출구(34)와, 상기 폐수입구로 유입된 폐수가 배출되는 폐수출구(32)를 포함하여, 고온의 폐수와 저온의 청수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30); 상기 폐수출구(32)와 연결된 폐수 배출구(80); 상기 청수출구(34)와 연결되는 온수탱크(100); 상기 폐수출구(11)와 연결되며 제3밸브(V3)가 설치된 폐수입구(71)와, 상기 폐수입구(71)를 통과한 폐수가 배출되어 상기 열교환기의 폐수입구(31)와 연결되며 제4밸브(V4)가 설치된 폐수출구(72)와, 상기 폐수입구(71)와 폐수출구(72) 사이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폐수입구(71)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폐수출구(32)와 연결되며 제5밸브(V5)가 설치된 제1역세관(73)이 구비되어 역세가 가능하도록 하는 제1입자 여과기(70); 및 상기 폐수입구(71)와 연결된 폐수입구(91)와, 상기 폐수입구(91)를 통과한 폐수가 배출되도록 상기 폐수출구(72)와 연결되는 폐수출구(92)와, 상기 폐수입구(91)와 폐수출구(92) 사이에 설치된 제2입자 여과기(9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폐수집수조(10)에서 유출된 폐수를 원심력 여과기(50) 측으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폐수집수조(10)와 원심력 여과기(50) 사이에는 폐수입구(51)가 설치되고, 원심력 여과기(50)와 구심력 여과기(60) 사에는 이들을 연결하는 폐수출구(52)와 폐수입구(6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원심력 여과기(50)의 일측과 폐수출구(32) 사이에는 원심력 여과기(60)에서 여과된 여과물을 폐수출구(32) 측으로 유출시킬 수 있도록 이들을 연결하는 여과물 배출구(53)가 설치되며 여과물 배출구(53)의 라인 상에는 제1밸브(V1)가 설치되어 있다.
원심력여과기(50)내부에서 매우 빠른 속도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에 폐수회전으로 발생되는 물질관성을 이용해 물보다 무거운 고비중이물질을 원심력으로 원심력여과기(50)의 내부벽면으로 분산집합시켜 도 4에서와 같이 여과하여 원심력여과기(50)하부로 포집하고, 고비중이물질이 여과된 1차 여과폐수는 원심력여과기(50)의 폐수출구(52)를 통해 배출하며 원심력여과기(50)하부에 포집된 고비중여과물은 원심력여과기(50)의 여과물배출구(53)로 방출되는데, 고비중여과물의 방출은 여과물배출구(53)의 라인 상에 설치된 제1밸브(V1)의 개방에 의해 원심력여과기(50) 내부수압으로 폐수방출구(80) 측으로 고비중 여과물을 자동방출한다.
구심력 여과기(60)를 통과한 폐수가 제1입자 여과기(70) 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심력 여과기(60)와 제1입자 여과기(70) 사이에는 폐수출구(62)와 폐수입구(71)가 설치되고, 제1입자 여과기(70)를 통과한 폐수가 열교환기(30) 측으로 유입되어 열교환이 일어날 수 있도록 제1입자 여과기(70)와 열교환기(30) 사이에는 폐수출구(72)와 폐수입구(3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구심력 여과기(60)의 일측과 폐수출구(32) 사이에는 구심력 여과기(60)에서 여과된 여과물을 폐수출구(32) 측으로 유출시킬 수 있도록 이들을 연결하는 여과물 배출구(63)가 설치되고, 여과물 배출구(63)의 라인 상에는 제2밸브(V2)가 설치되어 있다.
구심력여과기(60) 내부로 인입된 1차 여과폐수는 매우 빠른 속도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에 폐수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물질관성을 이용해 물보다 가벼운 저비중이물질이 구심력여과기(60)의 중심으로 집합되는 구심력으로 저비중이물질을 여과하여 구심력여과기(60)상부에 포집하고, 저비중이물질이 여과된 2차 여과폐수는 구심력여과기(60)의 폐수출구(62)를 통해 배출하며 구심력여과기(60)상부에 포집된 저비중이물질은 구심력여과기(60)의 여과물배출구(63)로 방출되는데, 저비중여과물의 방출은 여과물배출구(63)의 라인 상에 설치된 제2밸브(V2)의 개방에 의하여 폐수방출구(80) 측으로 저비중여과물을 자동방출한다.
또한, 구심력 여과기(60)와 제1입자 여과기(70)를 연결하는 폐수출구(62)와 폐수입구(71)의 라인 상에는 이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3밸브(V3)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1입자 여과기(70)와 열교환기(30) 사이에는 열교환기(30) 측으로 폐수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폐수출구(72)와 폐수입구(31)가 구비되며, 이러한 폐수출구(72)와 폐수입구(31)의 라인 상에는 제4밸브(V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입자 여과기(70)를 역세시에 역세에 의하여 발생된 이물질을 폐수출구(32) 측으로 유출시킬 수 있도록 제3밸브(V3)과 제1입자 여과기(70) 사이의 폐수입구(71)와 폐수출구(32) 사이에는 제1역세관(73)이 구비되며, 제1역세관(73)에는 제5밸브(V5)가 설치되어 있다.
폐수입구(71)를 통해 제1입자 여과기(70) 내부로 인입되어 제1입자 여과기(70) 내부벽에 고정된 입자여과재이탈방지판(74) 상부에 충진되어 있는 입자여과재(75)를 통과하면서 미세이물질이 여과되는데, 제1입자 여과기(70) 내부벽에 고정된 입자여과재이탈방지판(74)은 입자여과재(74)의 구경(球莖)보다 적은 다수의 구멍이 뚫린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물은 통과하되 입자여과재(75)는 통과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고, 입자여과재(75)는 여과된 이물질배출을 위한 역세시 역세유속에 의해 입자여과재(75)가 여과이물질과 함께 입자여과기(70)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과이물질보다 고비중인 재료(철,비철금속 등)로 구성되며, 여과하고자 하는 이물질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입자여과재(75)의 형태와 구경(球莖), 비중을 최적화하여 정밀여과된 3차 여과폐수는 폐수출구(72)로 배출된다.
배출된 여과폐수는 폐수입구(31)를 통하여 열교환기(30)로 유입됨으로써 열교환기(30)와 연결된 청수입구(33)를 통하여 유입된 청수와 열교환이 이루어짐으로써 청수를 가열시키게 되고, 열교환이 완료된 폐수는 폐수출구(32)를 통하여 배출되고 가열이 완료된 청수는 청수출구(34)를 통하여 배출된다.
제1입자 여과기(70)의 일측에는 제2입자 여과기(90)가 구비되는데, 제2입자 여과기(90)는 폐수를 여과시키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제1입자 여과기(70)를 역세할 경우에 폐수를 경유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2입자 여과기(90)의 일측은 폐수입구(91)에 의하여 구심력 여과기(60)에 설치된 폐수출구(62)의 일측과 연결되고, 폐수입구(91)의 라인 상에는 제6밸브(V6)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2입자 여과기(90)의 타측은 폐수출구(92)를 통하여 제1입자 여과기(70)와 연결된 폐수출구(72)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2입자 여과기(90)를 역세시에 역세에 의하여 발생된 이물질을 폐수출구(32) 측으로 유출시킬 수 있도록 제6밸브(V6)과 제2입자 여과기(90) 사이의 폐수입구(91)와 폐수출구(32) 사이에는 제2역세관(93)이 구비되며, 제2역세관(93)에는 제7밸브(V8)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2입자 여과기(90)는 제1입자 여과기(70)와 마찬가지로, 폐수입구(91)를 통해 제2입자 여과기(90) 내부로 인입되어 제2입자 여과기(90) 내부벽에 고정된 입자여과재이탈방지판(94) 상부에 충진되어 있는 입자여과재(95)를 통과하면서 미세이물질이 여과되는데, 제2입자 여과기(90) 내부벽에 고정된 입자여과재이탈방지판(94)은 입자여과재(94)의 구경(球莖)보다 적은 다수의 구멍이 뚫린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물은 통과하되 입자여과재(95)는 통과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고, 입자여과재(95)는 여과된 이물질배출을 위한 역세시 역세유속에 의해 입자여과재(95)가 여과이물질과 함께 입자여과기(90)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과이물질보다 고비중인 재료(철,비철금속 등)로 구성되며, 여과하고자 하는 이물질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입자여과재(95)의 형태와 구경(球莖), 비중을 최적화하여 정밀여과된 3차 여과폐수는 폐수출구(92)로 배출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세정 폐수열 회수 설비가 정상작동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역세정 폐수열 회수 설비가 정상작동을 하기 위해서는 제3밸브(V3), 제4밸브(V4) 자동밸브는 개방되고, 제1밸브(V1), 제2발브(V2), 제5밸브(V5), 제6밸브(V6), 제7밸브(V8)는 폐쇄된 상태가 되어야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수집수조(10)에 집수된 폐수는 폐수입구(51)를 통하여 원심력 여과기(50)를 경우한 후에 구심력 여과기(60)를 통과하고 제1입자 여과기(70) 측으로 유입되어 여과가 이루어진다.
그 후, 열교환기(30) 측으로 유입되어 열교환기(30)로 유입된 청수와 열교환이 이루어짐으로써 청수를 가열하게 되고 청수와의 열교환이 완료되면 폐수배출구(80)와 연결된 폐수출구(32)를 통하여 폐수배출구(80)로 배출이 완료됨으로써 정상 작동 과정이 완료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역세정 폐수 열회수 설비를 작동시에 원심력 여과기(50)의 구동이 필요할 경우에 원심력 여과기(50)를 구동시키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원심력 여과기(50)의 구동을 위해서는 제1밸브(V1), 제3밸브(V3), 제4밸브(V4)는 개방되고, 제2밸브(V2), 제5밸브(V5), 제6밸브(V6), 제7밸브(V8)는 폐쇄된 상태가 되어야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수집수조(10)에 집수된 폐수는 폐수입구(51)를 통하여 원심력 여과기(50) 측으로 유입되어 원심력 여과기(50)에 의하여 1차 여과가 이루어지며, 여과된 이물질은 여과물 배출구(53)를 통하여 폐수배출구(80)로 배출된다.
그리고, 원심력 여과기(50)에서 1차 여과가 완료된 폐수는 구심력 여과기(60)를 경유한 후에 제1입자 여과기(70)로 유입됨으로써 제1입자 여과기(70)에서 2차 여과가 이루어진다.
그 후, 폐수는 열교환기(30) 측으로 유입되어, 열교환기(30)로 유입된 청수와 열교환이 이루어짐으로써 청수를 가열하게 되고, 청수와의 열교환이 완료되면 폐수는 폐수출구(32)를 통하여 폐수배출구(80)로 배출되고, 청수는 청수출구(34)를 통하여 온수탱크(100)로 유입됨으로써 동작이 완료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역세정 폐수 열회수 설비를 작동시에 구심력 여과기(60)의 구동이 필요한 경우에 구심력 여과기(70)를 구동시키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구심력 여과기(70)의 구동을 위해서는 제2밸브(V2), 제3밸브(V3), 제4밸브(V4)는 개방되고, 제1밸브(V1), 제5밸브(V5), 제6밸브(V6), 제7밸브(V8)는 폐쇄된 상태가 되어야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수집수조(10)에 집수된 폐수는 폐수입구(51)를 통하여 원심력 여과기(50)를 경유한 후에 구심력 여과기(70)로 유입되어 1차 여과가 이루어지며, 여과된 이물질은 여과물 배출구(63)를 통하여 폐수배출구(80)로 배출된다.
그리고, 구심력 여과기(70)에서 1차 여과가 완료된 폐수는 제1입자 여과기(70)로 유입됨으로써 제1입자 여과기(70)에서 2차 여과가 이루어진다.
그 후, 폐수는 열교환기(30) 측으로 유입되어, 열교환기(30)로 유입된 청수와 열교환이 이루어짐으로써 청수를 가열하게 되고, 청수와의 열교환이 완료되면 폐수는 폐수출구(32)를 통하여 폐수배출구(80)로 배출되고, 청수는 청수출구(34)를 통하여 온수탱크(100)로 유입됨으로써 동작이 완료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역세정 폐수 열회수 설비의 제1입자 여과기를 역세시키는 동작은 다음과 같다.
우선, 제1입자 여과기(70)의 역세를 위해서는 제5밸브(V5), 제6밸브(V6)는 개방되고, 제1밸브(V1),제2밸브(V2), 제3밸브(V3), 제4밸브(V4), 제7밸브(V8) 자동밸브는 폐쇄된 상태가 되어야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수집수조(10)에 집수된 폐수는 폐수입구(51)를 통하여 원심력 여과기(50)와 구심력 여과기(60)를 경유한 후에 폐수입구(91)를 통하여 제2입자 여과기(90)로 유입된 후에 폐수출구(92, 72)를 통하여 제1입자 여과기(70)로 유입되면서 제1입자 여과기(70)의 역세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원심력 여과기(50)와 구심력 여과기(60)는 제1입자 여과기(70)의 효과적인 역세를 위하여 폐수의 압력을 저하시키기 않도록 구동되지 않고 폐수가 단순히 경유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역세 후에 제1입자 여과기(70)를 통과한 폐수는 제1역세관(73)을 통하여 유동하여 폐수출구(32)를 통하여 폐수배출구(80)로 배출됨으로써 제1입자 여과기(70)를 역세하는 동작이 완료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역세정 폐수 열회수 설비의 제2입자 여과기를 역세시키는 동작은 다음과 같다.
우선, 제2입자 여과기(90)의 역세를 위해서는 제3밸브(V3), 제7밸브(V8)는 개방되고, 제1밸브(V1), 제2밸브(V2), 제4밸브(V4), 제5밸브(V5), 제6밸브(V6)는 폐쇄된 상태가 되어야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수집수조(10)에 집수된 폐수는 폐수입구(51)를 통하여 원심력 여과기(50)와 구심력 여과기(60)를 경유한 후에 폐수입구(71)를 통하여 제1입자 여과기(70)로 유입된 후에 폐수출구(72, 92)를 통하여 제2입자 여과기(90)로 유입되면서 제1입자 여과기(90)의 역세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원심력 여과기(50)와 구심력 여과기(60)는 제2입자 여과기(90)의 효과적인 역세를 위하여 폐수의 압력을 저하시키기 않도록 구동되지 않고 폐수가 단순히 경유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역세 후에 제2입자 여과기(90)를 통과한 폐수는 제2역세관(93)을 통하여 유동하여 폐수출구(32)를 통하여 폐수배출구(80)로 배출됨으로써 제2입자 여과기(90)에 대한 역세 동작이 완료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폐수집수조 20 : 청수탱크
30 : 열교환기 50 : 원심력 여과기
60 : 구심력 여과기 70 : 제1입자 여과기
80 : 폐수배출구 90 : 제2입자 여과기
100 : 온수탱크

Claims (7)

  1. 고온의 폐수가 저장되며 폐수출구(11)가 구비된 폐수집수조(10);
    저온의 청수가 저장된 청수탱크(20);
    상기 청수탱크(20)와 연결되는 청수입구(33)와, 상기 폐수집수조(10)와 연결되는 폐수입구(31)와, 상기 청수입구(33)로 유입된 청수가 배출되는 청수출구(34)와, 상기 폐수입구(31)로 유입된 폐수가 배출되는 폐수출구(32)를 포함하여, 고온의 폐수와 저온의 청수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30);
    상기 폐수출구(32)와 연결된 폐수 배출구(80);
    상기 청수출구(34)와 연결되는 온수탱크(100);
    상기 폐수출구(11)와 연결되며 제3밸브(V3)가 설치된 폐수입구(71)와, 상기 폐수입구(71)를 통과한 폐수가 배출되고 상기 열교환기(30)의 폐수입구(31)와 연결되며 제4밸브(V4)가 설치된 폐수출구(72)와, 상기 폐수입구(71)와 폐수출구(72) 사이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폐수입구(71)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폐수출구(32)와 연결되며 제5밸브(V5)가 설치된 제1역세관(73)이 구비되어 역세가 가능하도록 하는 제1입자 여과기(70); 및
    상기 폐수입구(71)와 연결된 폐수입구(91)와, 상기 폐수입구(91)를 통과한 폐수가 배출되도록 상기 폐수출구(72)와 연결되는 폐수출구(92)와, 상기 폐수입구(91)와 폐수출구(92) 사이에 설치된 제2입자 여과기(90);를 포함하고,
    상기 제2입자 여과기(90)의 역세가 가능하도록 상기 폐수입구에는 제6밸브(V6)가 설치되고, 상기 제2입자 여과기(90)에는 일단이 상기 폐수입구(91)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폐수출구(32)와 연결되며 제7밸브(V8)가 설치된 제2역세관(93)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정 폐수열 회수 설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수집수조(10)에서 폐수가 유입되는 폐수입구(51)와, 상기 폐수입구(51)를 통해서 유입된 폐수를 원심력을 이용해 물보다 비중이 높은 여과물을 배출하도록 상기 폐수배출구(80)와 연결된 여과물 배출구(53)와, 여과물이 여과된 폐수를 배출하는 폐수출구(52)를 포함하는 원심력 여과기(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정 폐수열 회수 설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물 배출구(53)에는 선택적으로 상기 원심력 여과기(50)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1밸브(V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정 폐수열 회수 설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력 여과기의 상기 폐수출구(52)와 연결된 폐수입구(61)와, 상기 폐수입구(61)를 통해서 유입된 폐수를 구심력을 이용해 물보다 비중이 낮은 여과물을 배출하도록 상기 폐수배출구(80)와 연결된 여과물 배출구(63)와, 여과물이 여과된 폐수를 배출하는 폐수출구(62)를 포함하는 구심력 여과기(6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정 폐수열 회수 설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물 배출구(63)에는 선택적으로 상기 구심력 여과기(60)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2밸브(V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정 폐수열 회수 설비.
  7. 제1항,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입자 여과기(70, 90)의 내부에는 입자여과재이탈방지판(74, 94)이 고정되고, 상기 입자여과재이탈방지판(74, 94)의 상부에는 입자여과재(75, 95)가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정 폐수열 회수 설비.
KR1020140038771A 2014-04-01 2014-04-01 역세정 폐수열 회수 설비 KR101561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771A KR101561529B1 (ko) 2014-04-01 2014-04-01 역세정 폐수열 회수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771A KR101561529B1 (ko) 2014-04-01 2014-04-01 역세정 폐수열 회수 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294A KR20150114294A (ko) 2015-10-12
KR101561529B1 true KR101561529B1 (ko) 2015-10-20

Family

ID=54347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8771A KR101561529B1 (ko) 2014-04-01 2014-04-01 역세정 폐수열 회수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15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451B1 (ko) * 2019-12-04 2020-05-13 주식회사 에코트라 자동세관기능을 구비한 3단 여과 폐수열회수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65231B (zh) * 2023-04-27 2024-01-02 宜兴市宇翔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工业烟气净化余热回收系统及其回收工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5532B1 (ko) * 2004-09-17 2006-10-18 김기석 폐수의 부유물질 자동여과장치
KR101019120B1 (ko) * 2009-09-11 2011-03-07 김찬호 3단여과시스템이 구현된 폐수열회수설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5532B1 (ko) * 2004-09-17 2006-10-18 김기석 폐수의 부유물질 자동여과장치
KR101019120B1 (ko) * 2009-09-11 2011-03-07 김찬호 3단여과시스템이 구현된 폐수열회수설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451B1 (ko) * 2019-12-04 2020-05-13 주식회사 에코트라 자동세관기능을 구비한 3단 여과 폐수열회수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294A (ko) 2015-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182325U (zh) 传动式锥形转鼓微滤装置
JP4990393B2 (ja) 逆洗可能なストレーナ装置
CN104324535B (zh) 具有旋流反洗功能的过滤设备及其过滤方法、反洗方法
KR101561529B1 (ko) 역세정 폐수열 회수 설비
KR101348952B1 (ko) 폐수열 회수장치의 여과 및 자동역세 시스템
CN211462392U (zh) 一种新型管道除污器
CN203620388U (zh) 旋转导流套分流除污装置
CN107519682A (zh) 一种过滤器及其过滤和清洗方法
CN207237393U (zh) 一种带反冲洗功能的水处理系统
CN207755840U (zh) 一种直通式快速反冲洗除污器
KR101019120B1 (ko) 3단여과시스템이 구현된 폐수열회수설비
CN206045506U (zh) 自动冲洗过滤装置
CN103157317A (zh) 一种水过滤器装置及其冲洗方法
WO2018103534A1 (zh) 水平流连续砂滤设备及其水处理工艺
KR20160074290A (ko) 역세정 필터시스템
CN201899916U (zh) 视窗式过滤器
JP2003190713A (ja) 夾雑物分離用除塵装置および夾雑物分離除塵システム
CN207221446U (zh) 一种注水定压连续过滤装置
JPS6321115B2 (ko)
CN206008143U (zh) 一种水净化处理自动反冲洗系统
WO2014190454A1 (zh) 低压自清洗连续过滤器
CN206089091U (zh) 一种水气杂质分离器
JP4037547B2 (ja) 逆洗式ストレーナ
KR100635532B1 (ko) 폐수의 부유물질 자동여과장치
CN109550296A (zh) 一种热处理油离心过滤前置过滤网冲洗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