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6762B1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6762B1
KR102436762B1 KR1020190156269A KR20190156269A KR102436762B1 KR 102436762 B1 KR102436762 B1 KR 102436762B1 KR 1020190156269 A KR1020190156269 A KR 1020190156269A KR 20190156269 A KR20190156269 A KR 20190156269A KR 102436762 B1 KR102436762 B1 KR 102436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plastic resin
resin composition
weight
parts
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6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7041A (ko
Inventor
이선애
김연경
박지권
정현문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6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6762B1/ko
Priority to PCT/KR2020/016286 priority patent/WO2021107489A1/ko
Priority to US17/771,572 priority patent/US20220411616A1/en
Priority to EP20891925.8A priority patent/EP4067430A4/en
Publication of KR20210067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7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7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46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6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05Salts of P-acids with N-b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6EPM, i.e. ethylene-propylene copolymers; EPDM, i.e. ethylene-propylene-diene copolymers; EPT, i.e. ethylene-propylene ter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 인질소계 난연제 10 내지 60 중량부; 말레산 무수물 변성 올레핀계 중합체 0.05 내지 10 중량부; 및 칼슘 함량이 0.1 중량% 이하인 탈크 5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난연성, 내충격성, 강성, 성형 가공성 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PRODUCED THEREFROM}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난연성, 내충격성, 강성, 성형 가공성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내약품성, 내후성, 가공성 등이 우수하여, 사출 성형품, 필름, 블로우 성형품의 형태로의 제조가 용이하고, 자동차, 건축재료, 전기부품 등의 분야에 폭넓게 사용되는 재료이다.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화학적 구조상 인화성 물질이므로, 난연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각종 유기계 또는 무기계 난연제의 병용 첨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다만,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면서, 기존 할로겐계 난연제에 대한 규제가 점차 강화되고 있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친환경 소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할로겐계 난연제의 저감 또는 배제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비할로겐계 난연제만을 적용할 경우, 할로겐계 난연제 적용 시에 비해 난연성이 크게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올레핀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 기계적 물성 등의 향상을 위하여, 비할로겐계 난연제와 탈크 등의 무기 충진제를 혼합 적용 시, 발포가 발생하여 성형 가공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난연성, 내충격성, 강성, 성형 가공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63421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난연성, 내충격성, 강성, 성형 가공성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1.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 인질소계 난연제 10 내지 60 중량부; 말레산 무수물 변성 올레핀계 중합체 0.05 내지 10 중량부; 및 칼슘 함량이 0.1 중량% 이하인 탈크 5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상기 1 구체예에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에틸렌 20 내지 60 중량% 및 프로필렌 40 내지 8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3. 상기 1 또는 2 구체예에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60 내지 95 중량% 및 고무성분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5 내지 4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4. 상기 1 내지 3 구체예에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ASTM D1238에 의거하여, 230℃, 2.16 kg 하중 조건에서 측정한 용융흐름지수(Melt-flow Index: MI)가 5 내지 100 g/10분일 수 있다.
5. 상기 1 내지 4 구체예에서, 상기 인질소계 난연제는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멜람 피로포스페이트, 멜렘 피로포스페이트, 멜론 피로포스페이트, 멜라민 피로포스페이트, 디멜라민 피로포스페이트, 멜람 폴리포스페이트, 멜론 폴리포스페이트, 멜렘 폴리포스페이트, 암모늄 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암모늄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6. 상기 1 내지 5 구체예에서, 상기 말레산 무수물 변성 올레핀계 공중합체는 알킬렌 단독중합체 또는 알킬렌-α-올레핀 공중합체에 말레산 무수물을 그라프트 중합한 것일 수 있다.
7. 상기 1 내지 6 구체예에서, 상기 탈크는 칼슘 함량이 0.01 내지 0.07 중량%일 수 있다.
8. 상기 1 내지 7 구체예에서, 상기 인질소계 난연제 및 상기 말레산 무수물 변성 올레핀계 중합체의 중량비는 1 : 1 내지 40 : 1일 수 있다.
9. 상기 1 내지 8 구체예에서, 상기 인질소계 난연제 및 상기 탈크의 중량비는 0.3 : 1 내지 8 : 1일 수 있다.
10. 상기 1 내지 9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UL-94 vertical test 방법으로 측정한 2.5 mm 두께 사출 시편의 난연도가 V-0일 수 있고, UL94 5V vertical burning test 방법으로 측정한 1.5 mm 두께 사출 시편의 난연도가 5VA일 수 있다.
11. 상기 1 내지 10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한 1/8" 두께 시편의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3 내지 20 kgf·cm/cm일 수 있다.
12. 상기 1 내지 11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790에 의거하여, 3.2 mm 두께 시편을 사용하여 2.8 mm/min의 속도로 측정한 굴곡강도가 18,000 내지 35,000 kgf/cm2일 수 있다.
13.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성형품은 상기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난연성, 내충격성, 강성, 성형 가공성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폴리올레핀 수지; (B) 인질소계 난연제; (C) 말레산 무수물 변성 올레핀계 중합체; 및 (D) 탈크;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수치범위를 나타내는 "a 내지 b"는 "≥a 이고 ≤b"으로 정의한다.
(A) 폴리올레핀 수지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수지는 (A1)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A2)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중 1종 이상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A1) 폴리프로필렌 수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로는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프로필렌 단독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로 측정한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0 내지 400,000 g/mol, 예를 들면, 15,000 내지 350,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강도, 성형 가공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ASTM D1238에 의거하여, 230℃, 2.16 kg 하중 조건에서 측정한 유동흐름지수(Melt-flow index)가 5 내지 100 g/10분, 예를 들면 5 내지 70 g/10분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강도, 성형 가공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 중, 20 내지 100 중량%, 예를 들면 40 내지 10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내충격성, 강성, 난연성, 성형 가공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A2)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강성, 성형 가공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블록 폴리프로필렌)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프로필렌 단독중합 부분과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부분이 반응기 내에서 단계적으로 중합된 수지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에틸렌 20 내지 60 중량%, 예를 들면 30 내지 50 중량% 및 프로필렌 40 내지 80 중량%, 예를 들면 50 내지 7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성형성, 내충격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연속상(매트릭스)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60 내지 95 중량%, 예를 들면 70 내지 90 중량% 및 분산상인 고무성분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5 내지 40 중량%, 예를 들면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강성, 내충격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ASTM D1238에 의거하여, 230℃, 2.16 kg 하중 조건에서 측정한 용융흐름지수(Melt-flow Index: MI)가 1 내지 130 g/10분, 예를 들면 5 내지 100 g/10분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 중, 80 중량% 이하, 예를 들면 60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내충격성, 강성, 난연성, 성형 가공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B) 인질소계 난연제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인질소계 난연제는 말레산 무수물 변성 올레핀계 중합체 및 특정 탈크 등과 함께 적용되어, 적은 함량으로도 올레핀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 강성, 성형 가공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인질소계 난연제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인질소계 난연제로는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멜람 피로포스페이트, 멜렘 피로포스페이트, 멜론 피로포스페이트, 멜라민 피로포스페이트, 디멜라민 피로포스페이트, 멜람 폴리포스페이트, 멜론 폴리포스페이트, 멜렘 폴리포스페이트, 암모늄 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암모늄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 이들의 조합, 이들의 다중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인질소계 난연제로는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인질소계 난연제는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60 중량부, 예를 들면 20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인질소계 난연제의 함량이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6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성형 가공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C) 말레산 무수물 변성 올레핀계 중합체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말레산 무수물 변성 올레핀계 중합체는 폴리올레핀 수지, 인질소계 난연제 및 특정 탈크 등과 함께 적용되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상용성, 난연성, 내충격성, 강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알킬렌 단독중합체 또는 알킬렌-α-올레핀 공중합체에 말레산 무수물을 그라프트 중합한 말레산 무수물 변성 올레핀계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알킬렌 단량체로는 탄소수 2 내지 10의 알킬렌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에틸렌, 프로필렌, 이소프로필렌, 부틸렌, 이소부틸렌, 옥텐, 이들의 조합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말레산 무수물 변성 올레핀계 중합체는 말레산 무수물 변성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말레산 무수물 변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말레산 무수물 변성 프로필렌-1- 옥텐 공중합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말레산 무수물 변성 올레핀계 공중합체는 ASTM D1238에 의거하여, 230℃, 2.16 kg 하중 조건에서 측정한 유동흐름지수(Melt-flow index)가 50 내지 300 g/10분, 예를 들면 80 내지 120 g/10분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말레산 무수물 변성 올레핀계 중합체는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10 중량부, 예를 들면 0.08 내지 9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말레산 무수물 변성 올레핀계 중합체의 함량이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중량부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강성 , 내충격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성형 가공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인질소계 난연제(B) 및 상기 말레산 무수물 변성 올레핀계 중합체(C)의 중량비(B:C)는 1 : 1 내지 40 : 1, 예를 들면 3 : 1 내지 30 : 1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 상용성 등이 더 우수할 수 있다.
(D) 탈크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탈크는 폴리올레핀 수지 및 인질소계 난연제 등과 함께 적용되어, 올레핀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수축률을 낮추고, 성형 가공성, 강성, 난연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칼슘 함량이 전체 탈크 100 중량% 중, 0.1 중량% 이하, 예를 들면 0.01 내지 0.07 중량%인 탈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탈크의 칼슘 함량이 0.1 중량%를 초과할 경우, 발포 현상 등으로 인하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성형 가공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탈크는 입도분석기로 측정한 평균 입자 크기(D50, 분포율이 50%가 되는 지점의 입경)가 1 내지 100 ㎛, 예를 들면 5 내지 25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 성형 가공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탈크는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40 중량부, 예를 들면 6 내지 39 중량부, 구체적으로 15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탈크의 함량이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수축률이 상승할 우려가 있고, 강성, 난연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4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 성형 가공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인질소계 난연제(B) 및 상기 탈크(D)의 중량비(B:D)는 0.3 : 1 내지 8 : 1, 예를 들면 0.5 : 1 내지 6 : 1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 등이 더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말레산 무수물 변성 올레핀계 중합체(C) 및 상기 탈크(D)의 중량비(C:D)는 1 : 1 내지 1 : 30, 예를 들면 1 : 2 내지 1 : 20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상용성, 기계적 물성 등이 더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산화 방지제, 적하 방지제, 활제, 이형제, 핵제, 대전방지제, 안정제, 안료, 염료, 이들의 혼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첨가제 사용 시, 그 함량은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40 중량부, 예를 들면 0.1 내지 5 중량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구성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120 내지 280℃, 예를 들면 180 내지 220℃에서 용융 압출한 펠렛 형태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UL-94 vertical test 방법으로 측정한 2.5 mm 두께 사출 시편의 난연도가 V-0일 수 있고, UL94 5V vertical burning test 방법(불꽃 길이 125 mm)으로 측정한 1.5 mm 두께 사출 시편의 난연도가 5VA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한 1/8" 두께 시편의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3 내지 20 kgf·cm/cm, 예를 들면 4 내지 18 kgf·cm/cm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790에 의거하여, 3.2 mm 두께 시편을 사용하여 2.8 mm/min의 속도로 측정한 굴곡강도가 18,000 내지 35,000 kgf/cm2, 예를 들면 20,000 내지 30,000 kgf/cm2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품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다. 상기 항균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펠렛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제조된 펠렛은 사출성형, 압출성형, 진공성형, 캐스팅성형 등의 다양한 성형방법을 통해 다양한 성형품(제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성형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잘 알려져 있다. 상기 성형품은 난연성, 내충격성, 강성, 성형 가공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하므로, 전기전자제품 내/외장재, 가전제품 내장재 등으로 유용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각 성분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폴리올레핀 수지
(A1)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제조사: 롯데케미칼, 제품명: H1500, 용융흐름지수(Melt-flow Index: MI): 12 g/10분)를 사용하였다.
(A2)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제조사: 롯데케미칼, 제품명: JH370A, 용융흐름지수(Melt-flow Index: MI): 28 g/10분)를 사용하였다.
(B) 난연제
(B1) 인질소계 난연제인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계 난연제(제조사: Sunris, 제품명: SR202)를 사용하였다.
(B2) 인계 난연제인 비스페놀 A 디포스페이트(bisphenol A diphosphate, 제조사: DAIHACHI, 제품명: CR-741)를 사용하였다.
(C) 말레산 무수물 변성 올레핀계 공중합체
말레산 무수물 변성 프로필렌 단독중합체(MAH-g-PP, 제조사: Chmko, 제품명: MP600PP, 용융흐름지수(Melt-flow Index: MI): 110 g/10분)를 사용하였다.
(D) 탈크
(D1) 칼슘(Ca) 함량이 0.02 중량%인 탈크는 상용되는 탈크의 표면처리를 통하여 제조하였다. 탈크(제조사: Imerys, 제품명: ST30)의 50 g을 황산 2.3% 수용액 307 g에서 1시간 교반 후, 물로 중화시켜 80℃ 오븐에서 15시간 건조 하였다. 표면처리 후 ICP 무기물 분석을 통해 칼슘 함량이 0.02 중량%인 것을 확인 하였다.
(D2) 칼슘(Ca) 함량이 0.13 중량%인 탈크(제조사:Imerys, 제품명: ST30)를 사용하였다.
(E) 규회석(제조사: NYCO, 제품명: NYGLOS)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내지 9 및 비교예 1 내지 9
상기 각 구성 성분을 하기 표 2, 3, 4 및 5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함량으로 첨가한 후, 200℃에서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압출은 L/D=36, 직경 45 mm인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였으며, 제조된 펠렛은 80℃에서 4시간 이상 건조 후, 6 Oz 사출기(성형 온도 260℃, 금형 온도: 60℃)에서 사출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 3, 4 및 5에 나타내었다.
물성 측정 방법
(1) 난연도: UL-94 vertical test 방법으로 2.5 mm 두께 사출 시편의 난연도를 측정하였고, UL94 5V vertical burning test 방법으로 1.5 mm 두께 사출 시편의 5VA 난연도를 측정하였다.
(2)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단위: kgf·cm/cm): ASTM D256에 의거하여, 1/8" 두께 시편의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를 측정하였다.
(3) 굴곡강도(단위: kgf/cm2): ASTM D790에 의거하여, 3.2 mm 두께 시편을 사용하여 2.8 mm/min의 속도로 굴곡강도를 측정하였다.
(4) 성형 가공성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펠렛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성형 가공성(발포 수준)을 평가 하였다. 평가 기준은 하기 표 1과 같다.
성형 가공성 평가 기준
×
(압출불가)
Figure 112019123275947-pat00001
Figure 112019123275947-pat00002
-
정상 압/사출 가능하지만 약간 발포됨 압출 시 심하게 발포되어 스트렌드 생성이 불가한 정도
실시예
1 2 3 4 5
(A1)(중량%) 100 80 40 80 80
(A2)(중량%) - 20 60 20 20
(B1) (중량부) 35 35 35 20 50
(B2) (중량부) - - - - -
(C) (중량부) 2 2 2 2 2
(D1) (중량부) 25 25 25 25 25
(D2) (중량부) - - - - -
(E) (중량부) - - - - -
난연도 (2.5 mm) V-0 V-0 V-0 V-0 V-0
난연도 5VA (1.5mm) PASS PASS PASS PASS PASS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 (kgf·cm/cm) 4 10 16 10 4
굴곡강도 27,000 27,000 20,000 25,000 27,000
성형 가공성
* 중량부: (A) 폴리올레핀 수지(A1+A2) 100 중량부에 대한 중량부
실시예
6 7 8 9
(A1)(중량%) 80 80 80 80
(A2)(중량%) 20 20 20 20
(B1) (중량부) 35 35 35 35
(B2) (중량부) - - - -
(C) (중량부) 0.08 9 2 2
(D1) (중량부) 25 25 6 39
(D2) (중량부) - - - -
(E) (중량부) - - - -
난연도 (2.5 mm) V-0 V-0 V-0 V-0
난연도 5VA (1.5mm) PASS PASS PASS PASS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 (kgf·cm/cm) 4 12 10 10
굴곡강도 20,000 29,000 20,000 29,000
성형 가공성
* 중량부: (A) 폴리올레핀 수지(A1+A2) 100 중량부에 대한 중량부
비교예
1 2 3 4 5
(A1)(중량%) 80 80 80 80 80
(A2)(중량%) 20 20 20 20 20
(B1) (중량부) 9 65 - 35 35
(B2) (중량부) - - 35 - -
(C) (중량부) 2 2 2 0.04 12
(D1) (중량부) 25 25 25 25 25
(D2) (중량부) - - - - -
(E) (중량부) - - - - -
난연도 (2.5 mm) Fail V-0 Fail V-0 V-0
난연도 5VA (1.5mm) Fail PASS Fail PASS Fail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 (kgf·cm/cm) 10 1 10 1 13
굴곡강도 20,000 27,000 20,000 15,000 30,000
성형 가공성
* 중량부: (A) 폴리올레핀 수지(A1+A2) 100 중량부에 대한 중량부
비교예
6 7 8 9
(A1)(중량%) 80 80 80 80
(A2)(중량%) 20 20 20 20
(B1) (중량부) 35 35 35 35
(B2) (중량부) - - - -
(C) (중량부) 2 2 2 2
(D1) (중량부) 4 41 - -
(D2) (중량부) - - 25 -
(E) (중량부) - - - 25
난연도 (2.5 mm) V-0 Fail - -
난연도 5VA (1.5mm) Fail PASS - -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 (kgf·cm/cm) 3 7 - -
굴곡강도 14,000 27,000 - -
성형 가공성 × ×
* 중량부: (A) 폴리올레핀 수지(A1+A2) 100 중량부에 대한 중량부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난연성, 내충격성, 강성, 성형 가공성 등이 모두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반면, 인질소계 난연제를 본 발명의 함량 범위 미만으로 적용할 경우(비교예 1),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고, 인질소계 난연제를 본 발명의 함량 범위 보다 초과하여 적용할 경우(비교예 2),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성형 가공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인질소계 난연제(B1) 대신에 인계 난연제 (B2)를 적용할 경우(비교예 3),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 성형 가공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말레산 무수물 변성 올레핀계 중합체를 본 발명의 함량 범위 미만으로 적용할 경우(비교예 4),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강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고, 말레산 무수물 변성 올레핀계 중합체를 본 발명의 함량 범위 보다 초과하여 적용할 경우(비교예 5),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 성형 가공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또한, 탈크를 본 발명의 함량 범위 미만으로 적용할 경우(비교예 6),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 강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고, 탈크를 본 발명의 함량 범위 보다 초과하여 적용할 경우(비교예 7),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 성형 가공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탈크(D1) 대신에, 탈크 (D2) 또는 규회석 (E)를 적용할 경우(비교예 8 및 9),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압출 시 심하게 발포되어 사출 가공 및 물성 평가가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3)

  1.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
    인질소계 난연제 10 내지 60 중량부;
    말레산 무수물 변성 올레핀계 중합체 0.05 내지 10 중량부; 및
    칼슘 함량이 0.1 중량% 이하인 탈크 5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에틸렌 20 내지 60 중량% 및 프로필렌 40 내지 8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60 내지 95 중량% 및 고무성분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5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ASTM D1238에 의거하여, 230℃, 2.16 kg 하중 조건에서 측정한 용융흐름지수(Melt-flow Index: MI)가 5 내지 100 g/1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질소계 난연제는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멜람 피로포스페이트, 멜렘 피로포스페이트, 멜론 피로포스페이트, 멜라민 피로포스페이트, 디멜라민 피로포스페이트, 멜람 폴리포스페이트, 멜론 폴리포스페이트, 멜렘 폴리포스페이트, 암모늄 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암모늄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말레산 무수물 변성 올레핀계 공중합체는 알킬렌 단독중합체 또는 알킬렌-α-올레핀 공중합체에 말레산 무수물을 그라프트 중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크는 칼슘 함량이 0.01 내지 0.07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질소계 난연제 및 상기 말레산 무수물 변성 올레핀계 중합체의 중량비는 1 : 1 내지 40 :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질소계 난연제 및 상기 탈크의 중량비는 0.3 : 1 내지 8 :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UL-94 vertical test 방법으로 측정한 2.5 mm 두께 사출 시편의 난연도가 V-0이고, UL94 5V vertical burning test 방법으로 측정한 1.5 mm 두께 사출 시편의 난연도가 5V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한 1/8" 두께 시편의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3 내지 20 kgf·cm/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790에 의거하여, 3.2 mm 두께 시편을 사용하여 2.8 mm/min의 속도로 측정한 굴곡강도가 18,000 내지 35,000 kgf/c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KR1020190156269A 2019-11-29 2019-11-29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436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269A KR102436762B1 (ko) 2019-11-29 2019-11-29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PCT/KR2020/016286 WO2021107489A1 (ko) 2019-11-29 2020-11-18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US17/771,572 US20220411616A1 (en) 2019-11-29 2020-11-18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Manufactured Therefrom
EP20891925.8A EP4067430A4 (en) 2019-11-29 2020-11-18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MADE THEREFRO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269A KR102436762B1 (ko) 2019-11-29 2019-11-29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041A KR20210067041A (ko) 2021-06-08
KR102436762B1 true KR102436762B1 (ko) 2022-08-25

Family

ID=76130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6269A KR102436762B1 (ko) 2019-11-29 2019-11-29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411616A1 (ko)
EP (1) EP4067430A4 (ko)
KR (1) KR102436762B1 (ko)
WO (1) WO20211074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41682A1 (ja) * 2020-05-28 2021-12-02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KR20230060209A (ko) * 2021-10-27 2023-05-04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N117986736A (zh) * 2022-10-31 2024-05-07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阻燃绝缘薄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29303A (ja) * 2011-04-25 2012-11-22 Sumitomo Chemical Co Ltd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射出成形体
CN108676257A (zh) * 2018-06-22 2018-10-19 苏州上车新材料科技有限公司 高分散高填充滑石粉改性聚丙烯母粒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0614A (ja) * 2004-01-19 2005-07-28 Okura Ind Co Ltd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射出成形体
KR20100027316A (ko) * 2008-09-02 2010-03-11 삼성토탈 주식회사 강성이 우수한 비할로겐계 난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130048426A (ko) * 2011-11-02 2013-05-10 에스디코리아(주) 난연성, 내열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비할로겐계 난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WO2013094764A1 (ja) * 2011-12-22 2013-06-27 トヨタ紡織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CN104817764A (zh) * 2014-05-17 2015-08-05 刘泽华 一种高抗冲阻燃的塑料管材
KR101727018B1 (ko) * 2015-05-18 2017-04-27 덕양산업 주식회사 폴리올레핀과 폴리락트산의 혼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성형품
KR101863421B1 (ko) 2015-12-30 2018-05-31 한화토탈 주식회사 비할로겐 난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6622100B2 (ja) * 2016-02-03 2019-12-18 帝人株式会社 難燃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6832455B2 (ja) * 2017-05-24 2021-02-24 サビック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ビー.ブイ. 鉄道内装に準拠する熱可塑性の複合材
KR102252549B1 (ko) * 2017-12-29 2021-05-17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29303A (ja) * 2011-04-25 2012-11-22 Sumitomo Chemical Co Ltd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射出成形体
CN108676257A (zh) * 2018-06-22 2018-10-19 苏州上车新材料科技有限公司 高分散高填充滑石粉改性聚丙烯母粒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411616A1 (en) 2022-12-29
EP4067430A4 (en) 2023-12-06
WO2021107489A1 (ko) 2021-06-03
KR20210067041A (ko) 2021-06-08
EP4067430A1 (en) 202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676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862917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것으로 제조된 성형품
KR102107912B1 (ko) 투명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N109563410B (zh) 阻燃剂组合物及阻燃性合成树脂组合物
CN114044966B (zh) 一种抗雾化聚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20220112324A1 (en) Propylene Resin Composition With Excellent Melt Flowability And Impact Resistance
KR102473869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20091731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613768B1 (ko) 폴리(아릴렌 에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피복재
KR102592487B1 (ko) 용융 흐름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0537923B1 (ko) 용융 흐름성이 우수하고 내열성 및 저온충격강도가 우수한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190082072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2268848B1 (ko) 다양한 열원에 대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0371233B1 (ko) 열안정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0691464B1 (ko) 데코시트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240077229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120077465A (ko)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얼로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240061166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060123884A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0656829B1 (ko) 용융 흐름성, 강성 및 저온충격강도가 우수한 고결정성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KR102154445B1 (ko) 열선 점화 저항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2578326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39351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20240002492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40025147A (ko)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