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6746B1 - 전동공구용 배터리 접속단자모듈 - Google Patents

전동공구용 배터리 접속단자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6746B1
KR102436746B1 KR1020210120812A KR20210120812A KR102436746B1 KR 102436746 B1 KR102436746 B1 KR 102436746B1 KR 1020210120812 A KR1020210120812 A KR 1020210120812A KR 20210120812 A KR20210120812 A KR 20210120812A KR 102436746 B1 KR102436746 B1 KR 102436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battery
support member
power tool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0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0706A (ko
Inventor
박성수
Original Assignee
계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양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계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0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6746B1/ko
Publication of KR20220010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0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6Vibration d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ortable power-driven percussive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2Construction of casings, bodies or hand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공구의 본체에 장착되는 배터리 접속단자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터리팩이 장착되는 부위에 장착되어 전동공구의 작동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 및 배터리팩을 통해 전달되는 외부 진동 등으로부터 배터리팩과의 안정적인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여러 방향의 진동을 차단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공구용 배터리 접속단자모듈은 모터가 장착된 전동공구 본체와, 본체에 장착되어 전동공구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팩과, 본체의 배터리 장착부에 장착되어 배터리팩의 단자와 접속되는 터미널 핀들이 고정된 지지부재와, 지지부재에 고정되어 본체 내면과 접하며 에어포켓이 형성된 댐퍼와, 지지부재의 양단부에 형성되며 본체 내면과 접하는 탄성편들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동공구용 배터리 접속단자모듈{Battery connection terminal module for power tools}
본 발명은 전동공구의 본체에 장착되는 배터리 접속단자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터리팩이 장착되는 부위에 장착되어 전동공구의 작동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 및 배터리팩을 통해 전달되는 외부 진동 등으로부터 배터리팩과의 안정적인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여러 방향의 진동을 차단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충전식 전동공구는 모터, 손잡이 및 ON/OFF 스위치 등이 장착된 본체와, 본체에 탈착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장착된 상태에서 전동공구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충전 가능한 배터리팩으로 구분된다.
배터리팩이 장착된 전동공구는 배터리팩에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작동되며, 배터리팩의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서는 본체에 배터리 접속단자모듈이 장착되고, 배터리팩의 단자모듈과 배터리 접속단자모듈이 상호 접속되어 통전되어야 전원 공급이 가능하다.
본체에는 배터리 접속단자모듈을 통해 공급된 전원이 최종적으로 모터까지 송전 가능하도록 전선 등이 납땜 방식으로 견고하게 결속되고, 배터리팩 또한 단자모듈에서 전지까지 견고하게 결속된다.
하지만, 본체의 배터리 접속단자모듈의 단자와 배터리팩의 단자모듈의 단자는 배터리의 장착 또는 탈착에 따라 접속되거나 탈락된다.
한편, 배터리팩이 본체에 장착 또는 탈락되기 위해서는 부품 간에 공차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배터리팩이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전동공구가 작동하여 진동이 발생하면, 공차에 의해 진동이 더 증폭될 수 있으며 상호 접속된 단자들 또한 진동에 의해 단락되어 불안정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며, 자칫 스파크 발생에 의해 부품의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7623호에 공개된 진동방지 및 조립성이 향상되는 전동공구는 아래와 같다.
도면에서,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동공구의 단자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자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공구의 단자 조립체(10)는 배터리팩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통해 전동공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판(11)과, 제어기판(11)에 접속된 상태로 하부로 연장된 복수의 터미널 핀(13)과, 제어기판(11)과 터미널 핀(13)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5)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지지부재(15)는 제어기판(11)이 안착 고정되는 수평부(15H)와, 수평부(15H)의 일측에서 하향으로 연장된 수직부(15V)를 포함하며, 수평부(15H)를 관통한 터미널 핀(13)은 수평부(15H)와 수직부(15V)의 안쪽 공간에 상호 평행하게 위치한다.
그리고 단자 조립체(10)는 전동공구의 본체에 장착된 상태로 배터리팩이 단자 조립체(10)가 장착된 부위로 진입해 들어오면,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터미널 핀(13)이 배터리팩에 장착된 단자 조립체(10)에 삽입되어 접속된다.
한편 전동공구 본체에 배터리팩이 장착됨에 있어 작동에 따른 진동을 감소 또는 차단하기 위해서 단자 조립체(10)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5)의 수평부(15H)와 수직부(15V)의 안쪽면에 합성수지 재질의 완충부(17)가 부착된다.
수평부(15H)와 수직부(15V)의 안쪽면에 접하는 완충부(17) 또한 절곡된 구조로서 수직부(15V)와 대응하는 수직면의 안쪽에는 횡방향으로 보강돌기(19)가 형성된다.
보강돌기(19)는 배터리팩이 장착되었을 때에 배터리팩의 단자 조립체(10)과 접하는 부위로서, 진동이 발생할 경우 배터리팩과 완충부(17)의 보강돌기(19)가 접하여 진동을 흡수한다.
한편, 이와 같이 종래에는 배터리팩과 접하는 부위에 완충부(17)를 고정하여 진동을 흡수하는 구조로서, 진동의 흡수범위 및 흡수량이 작다는 단점이 있다.
그 이유는 배터리팩과 본체의 결합관계에 있어서, 배터리팩과 본체의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부의 두께를 두껍게 구성하기에 제한이 따른다는 구조적 문제점과 더불어 완충부에 의해 흡수되는 진동 전달방향은 터미널 핀의 길이방향의 진동만으로 한정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7623호(공고일; 2015.07.01.) 일본 실용신안등록번호 제3018959호(발행일; 1995.12.05.)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전동공구의 본체에 배터리팩이 장착된 상태에서 전동공구의 작동에 따른 진동을 터미널 핀의 길이방향뿐만 아니라 좌우방향에서 흡수하여 접속의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구성한 전동공구용 배터리 접속단자모듈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공구용 배터리 접속단자모듈은 모터가 장착된 전동공구 본체와, 본체에 장착되어 전동공구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팩과, 지지부재와 본체 내면에 접하며 에어포켓이 형성된 댐퍼와, 지지부재에 고정되어 본체 내면과 접하며 에어포켓이 형성된 댐퍼와, 지지부재의 양단부에 형성되며 본체 내면과 접하는 탄성편들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재는 배터리팩의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수평면과, 수평면의 단부에 수직하게 연장된 수직면을 포함하며, 수직면에는 복수의 터미널 핀들이 간격을 두고 수직면에 고정되고, 터미널 핀의 선단은 수평면과 수직면의 안쪽 공간에 위치하며, 터미널 핀의 후단은 수직면 바깥쪽에 위치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댐퍼는 수직면에 접하며 수직면의 바깥쪽에 위치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댐퍼는 만곡부와, 본체의 내면에 접하는 직선부를 포함하며, 만곡부의 양단에 직선부가 연결된 상태로 만곡부와 직선부의 안쪽에 에어포켓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댐퍼는 중공의 에어포켓이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평면의 양단에는 수평면의 폭방향으로 장홈이 형성됨으로써, 수평면의 양단에 탄성편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터미널 핀과 배터리팩의 단자가 결합할 시에 발생하는 힘이 지지부재를 통해 댐퍼에 전달되며 단자간 결합되는 길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수직면의 안쪽에는 배터리팩의 랜드면과 대응하는 지점에 눌림가이드가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직면의 하단에는 절곡부가 바깥방향으로 형성되고, 돌기가 절곡부와 간격을 두고 수직면의 바깥면에 형성되며, 절곡부와 돌기의 사이로 배터리 장착부의 바닥면에 끼워져 지지부재가 배터리 장착부에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의 내부에는 수평면의 상면과 접하는 지지바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평면에는 요부가 형성되며, 지지부는 요부의 안쪽에 위치하여 지지부재의 이동 범위를 제한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공구용 배터리 접속단자모듈은 전동공구 본체에서 발생한 진동의 전달을 종방향 그리고 횡방향으로 차단하여 터미널 핀과 배터리팩의 단자의 접속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배터리팩을 통해 외부에서 전달되는 진동이 전동공구의 본체로 전달되는 것을 눌림가이드를 통해 차단하여 안정적인 접속 상태를 유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전공공구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동공구의 단자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자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공구의 본체와 배터리팩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동공구의 본체에서 분리된 배터리 접속단자모듈을 나타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전동공구의 본체 내부에 배터리 접속단자모듈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4에 도시된 배터리 접속단자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배터리팩을 나타낸 상세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공구용 배터리 접속단자모듈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공구의 본체와 배터리팩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동공구의 본체에서 분리된 배터리 접속단자모듈을 나타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전동공구의 본체 내부에 배터리 접속단자모듈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6a 및 도 6b는 도 4에 도시된 배터리 접속단자모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배터리팩을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공구는 본체(101)와 배터리팩(200)으로 크게 분류되며, 본체(101)는 전동공구의 종류에 따라 그 형태가 다양하지만, 본체(101)의 손잡이(104) 하단에 배터리 장착부(105)가 형성되고, 배터리 장착부(105)에 배터리팩(200)이 장착되어 전동공구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팩(20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서는 배터리 장착부(105)에 배터리 접속단자모듈(100)이 장착되고, 장착된 배터리팩(200)의 단자와 배터리 접속단자모듈(100)이 접속된 상태에서 배터리팩(200)의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반면에 배터리팩(200)을 배터리 장착부(105)에서 탈락시키면 배터리팩(200)의 단자와 배터리 접속단자모듈(100)의 접속 또한 탈락되어 전원공급이 차단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접속단자모듈(100)은 배터리 장착부(105)의 하단에 장착되어 배터리 장착부(105)에 장착되는 배터리팩(200)의 단자와 접속된다.
배터리팩(200)의 단자는 배터리팩(200)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슬롯(210) 안쪽에 클립 구조로 구성되며, 배터리팩(200)을 배터리 장착부(105)에 장착하면 배터리 접속단자모듈(100)의 터미널 핀(141)이 배터리팩(200)의 슬롯(210)으로 인입되면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배터리팩(200)에 있는 클립구조의 단자에 삽입되어 접속된다.
본 발명에서는 터미널 핀(141)이 배터리팩(200)의 단자에 삽입되어 접속된 상태에서 전동공구 본체(101)에서 발생하는 진동에도 터미널 핀(141)과 배터리팩(200)의 단자가 접속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도 4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접속단자모듈(100)에는 에어포켓(111)이 형성된 댐퍼(110), 배터리 접속단자모듈(100)의 좌측과 우측 각각에 형성된 탄성편(120) 및 결합구조의 치수 차이에 따른 오차를 보상하며 배터리팩(200)으로부터 본체(101) 쪽으로 전달되는 힘 또는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눌림가이드(130)를 포함하고 있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배터리 접속단자모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접속단자모듈(100)은 배터리팩(200)의 단자에 삽입되는 복수의 터미널 핀(141)들과, 터미널 핀(141)들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40)와, 지지부재(140)에 전달되는 종방향의 진동을 완충하는 댐퍼(110)를 포함하며, 지지부재(140)의 좌우측 양단에는 탄성편(120)이 형성되어 횡방향의 진동을 완충하며, 지지부재(140)의 수직면(140V) 안쪽면에는 눌림가이드(130)가 형성되어 배터리팩(200)의 랜드면(도 7의 220)과 접하며 배터리팩(200)이 장착되었을 때에 랜드면(220)에 의해 가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부재(140)는 배터리팩(200)의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수평면(140H)과, 수평면(140H)의 단부에 수직하게 연장된 수직면(140V)을 포함하며, 수직면(140V)에는 복수의 터미널 핀(141)들이 간격을 두고 수직면(140V)에 박혀 고정된다. 터미널 핀(141)의 선단은 수평면(140H)의 아래쪽 즉 수평면(140H)과 수직면(140V)의 안쪽 공간에 위치하며, 터미널 핀(141)의 후단은 수직면(140V) 바깥쪽에 위치한다. 따라서 본체(101)에 장착된 제어기판에서 연장된 전선이 본체 하우징(103)의 안쪽에 위치하는 터미널 핀(141)의 후단에 접속된다.
또한, 배터리 접속단자모듈(100)을 하우징(103)에 장착하였을 시, 수평면(140H)의 상면은 하우징(103) 내부에 형성된 지지바(107)와 접하여 지지된다. 따라서 배터리 접속단자모듈(100)을 장착할 때에 수평면(140H)이 지지바(107)에 접하게 되어 상부로 움직이거나 하우징(103)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수평면(140H)에는 요부(140S)가 형성되고, 요부(140S)에 지지바(107)가 위치함에 따라 댐퍼(110)의 신축에 따른 지지부재(140)의 이동 범위를 요부(140S)의 폭만큼으로 제한한다.
그리고 지지부재(140)의 수직면(140V) 바깥쪽에는 댐퍼(110)가 위치하며, 댐퍼(110)는 지지부재(140)의 수직면(140V)에 접한 상태로 고정된다.
고무재질의 댐퍼(110)는 에어포켓(111)이 형성된 구조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이 'D'와 같은 구조이거나 타원형일 수 있다. 아래에서는 D자형 댐퍼(110)를 예로서 설명한다.
D자형 댐퍼(110)의 만곡부(110R)는 수직면(140V)의 중앙에 고정된 상태로 접하고, D자형 댐퍼(110)의 직선부(110L)는 배터리 접속단자모듈(100)의 후방을 향해 위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배터리 접속단자모듈(100)을 배터리 장착부(105)에 장착하였을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110)의 직선부(110L)는 배터리 장착부(105) 내면과 접하여 가압된 상태로 위치한다(도 5에서는 한 쪽의 본체 하우징(103)만 도시되어 있어 댐퍼(110)의 직선부(110L)의 노출된 부위가 가압되지 않은 상태로 복원된 상태임).
따라서 터미널 핀(141)의 길이방향으로 전달되는 진동은 댐퍼(110)를 통해 완충되는데, 댐퍼(110)의 직선부(110L)가 배터리 장착부(105)의 내면과 길게 접하게 됨에 따라 진동을 완충하는 범위가 댐퍼(110)의 직선부(110L)의 길이만큼 넓어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댐퍼(110)에는 에어포켓(111)이 형성됨에 따라 고무재질의 댐퍼(110) 재질 특성에 따른 진동 완충 효과와 더불어 댐퍼(110)의 구조적인 측면에서의 진동 완충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어 진동 감소율이 크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지지부재(140)의 수직면(140V)의 하단에는 바깥방향으로 절곡부(143)가 형성되고, 절곡부(143)의 상부에는 수직면(140V)의 바깥방향으로 돌기(145)가 형성된다.
절곡부(143)와 돌기(145)의 사이 간격은 배터리 장착부(105)의 바닥면(105F)이 삽입되는 공간으로서, 배터리 접속단자모듈(100)을 배터리 장착부(105)에 장착할 때에 배터리 장착부(105)의 바닥면(105F)이 절곡부(143)와 돌기(145) 사이에 삽입시킨 상태로 양측 본체 하우징(103)을 상호 체결 고정함으로써, 배터리 접속단자모듈(100)이 본체 하우징(103) 사이에 그리고 배터리 장착부(105)의 바닥면(105F)에 고정된다.
한편, 지지부재(140)의 수평면(140H)의 좌측단과 우측단에는 탄성편(120)이 형성된다.
수평면(140H)의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의 각 전방과 후방에서 수평면(140H)의 폭 중심방향으로 장홈(121)이 형성됨으로써 탄성편(120)이 형성된다.
배터리 접속단자모듈(100)이 양측 본체 하우징(103)의 사이에 장착됨에 있어서, 탄성편(120)은 배터리 장착부(105)의 내면과 접하게 되는데, 탄성편(120)이 배터리 장착부(105)의 내면과 접함에 따라 하우징(103)을 통해 배터리 접속단자모듈(100)로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하게 된다.
즉 배터리 접속단자모듈(100)의 탄성편(120)은 터미널 핀(141)의 좌측과 우측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수직면(140V)의 안쪽면에는 눌림가이드(130)가 고정된다. 눌림가이드(1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터미널 핀(141)과 배터리팩(200)의 단자가 결합할 시에 발생하는 힘이 지지부재(140)를 통해 댐퍼(110)에 전달되며 단자간 결합되는 길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수직면(140V)의 안쪽에는 배터리팩(200)의 랜드면(220)과 대응하는 지점에 형성된다.
또한 배터리팩(200)을 장착 및 탈착할 수 있도록 배터리 장착부(105)를 설계할 경우 설계 시에 공차가 발생하게 되고, 만약 배터리팩(200)의 랜드면(220)이 지지부재(140)의 수직면(140V)과 접하지 않을 경우에 배터리팩(200)에서 전달되는 진동이 댐퍼(110) 및 탄성편(120)을 전달되지 않아 진동을 흡수할 수 없어 터미널 핀과 배터리팩의 단자의 접속에 직접적으로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배터리팩(200)에서 전달되는 진동이 댐퍼(110) 및 탄성편(120)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배터리팩(200)의 랜드면(220)과 지지부재(140)의 수직면(140V)이 공차를 보상하여 접촉되어 진동이 전달될 수 있도록 눌림가이드(130)가 수직면(140V) 안쪽면에 고정된다.
배터리팩(20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란, 배터리팩(200)을 장착한 상태에서 전동공구를 진동체에 올려둘 경우 진동체와 배터리팩(200)이 접하게 되고 진동체의 진동이 배터리팩을 통해 배터리 접속단자 모듈로 전달되는 진동을 말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접속단자모듈(100)은 전동공구의 작동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의 종방향 전달을 댐퍼(110)에서, 그리고 횡방향의 전달을 탄성편(120)에서 차단하며, 또한 배터리팩(200)과 전동공구 본체(101) 사이에 상호 전달되는 진동을 눌림가이드(130)에 의해 차단할 수 있게 구성하고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댐퍼(110)의 경우 수평하게 위치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댐퍼(110)를 수직하게 위치한 상태로 댐퍼(110)의 일단이 본체 하우징(103)의 내면과 접하도록 구성하더라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100 : 배터리 접속단자모듈
101 : 본체
103 : 하우징
104 : 손잡이
105 : 배터리 장착부
105F : 바닥면
110 : 댐퍼
111 : 에어포켓
110R : 만곡부
110L : 직선부
120 : 탄성편
121 : 장홈
130 : 눌림가이드
140 : 지지부재
140H : 수평면
140V : 수직면
141 : 터미널 핀
143 : 절곡부
145 : 돌기
200 : 배터리팩
210 : 슬롯
220 : 랜드면

Claims (7)

  1. 모터가 장착된 전동공구 본체(101)와,
    본체(101)에 장착되어 전동공구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팩(200)과,
    본체(101)의 배터리 장착부(105)에 장착되어 배터리팩(200)의 단자와 접속되는 터미널 핀(141)들이 고정된 지지부재(140)와,
    지지부재(140)의 양단부에 형성되며 본체 내면과 접하는 탄성편(120)들을 포함하며,
    지지부재(140)는 배터리팩(200)의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수평면(140H)과, 수평면(140H)의 단부에 수직하게 연장된 수직면(140V)을 포함하고,
    수직면(140V)에는 복수의 터미널 핀(141)들이 간격을 두고 수직면(140V)에 고정되고, 터미널 핀(141)의 선단은 수평면(140H)과 수직면(140V)의 안쪽 공간에 위치하며, 터미널 핀(141)의 후단은 수직면(140V) 바깥쪽에 위치하고,
    수평면(140H)의 양단에는 수평면(140H)의 폭방향으로 장홈(121)이 형성됨으로써, 수평면(140H)의 양단에 탄성편(120)이 형성되며,
    터미널 핀(141)과 배터리팩(200)의 단자가 결합할 시에 발생하는 힘이 단자간 결합되는 길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수직면(140V)의 안쪽에는 배터리팩(200)의 랜드면(220)과 대응하는 지점에 눌림가이드(130)가 고정되고,
    수직면(140V)의 하단에는 절곡부(143)가 바깥방향으로 형성되고, 돌기(145)가 절곡부(143)와 간격을 두고 수직면(140V)의 바깥면에 형성되며, 절곡부(143)와 돌기(145)의 사이로 배터리 장착부(105)의 바닥면(105F)에 끼워져 지지부재(140)가 배터리 장착부(105)에 고정되고,
    본체(101)의 내부에는 수평면(140H)의 상면과 접하는 지지바(107)가 형성되며,
    수평면(140H)에는 요부(140S)가 형성되며, 지지바(107)는 요부(140S)의 안쪽에 위치하여 지지부재(14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용 배터리 접속단자모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10120812A 2020-07-16 2021-09-10 전동공구용 배터리 접속단자모듈 KR102436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812A KR102436746B1 (ko) 2020-07-16 2021-09-10 전동공구용 배터리 접속단자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011A KR102402233B1 (ko) 2020-07-16 2020-07-16 전동공구용 배터리 접속단자모듈
KR1020210120812A KR102436746B1 (ko) 2020-07-16 2021-09-10 전동공구용 배터리 접속단자모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8011A Division KR102402233B1 (ko) 2020-07-16 2020-07-16 전동공구용 배터리 접속단자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0706A KR20220010706A (ko) 2022-01-26
KR102436746B1 true KR102436746B1 (ko) 2022-08-30

Family

ID=8005112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8011A KR102402233B1 (ko) 2020-07-16 2020-07-16 전동공구용 배터리 접속단자모듈
KR1020210120812A KR102436746B1 (ko) 2020-07-16 2021-09-10 전동공구용 배터리 접속단자모듈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8011A KR102402233B1 (ko) 2020-07-16 2020-07-16 전동공구용 배터리 접속단자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0223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8959B2 (ja) * 1995-09-11 2000-03-13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ワイパ作動制御装置
KR200477623Y1 (ko) * 2014-09-25 2015-07-01 계양전기 주식회사 진동방지 및 조립성이 향상되는 전동공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3675A (en) 1994-06-10 1996-09-1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Orthopedic surgical device
JP4977533B2 (ja) * 2007-06-07 2012-07-18 株式会社マキタ 可搬型電動工具
JP5491925B2 (ja) * 2010-03-26 2014-05-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動工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8959B2 (ja) * 1995-09-11 2000-03-13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ワイパ作動制御装置
KR200477623Y1 (ko) * 2014-09-25 2015-07-01 계양전기 주식회사 진동방지 및 조립성이 향상되는 전동공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0626A (ko) 2022-01-26
KR102402233B1 (ko) 2022-05-30
KR20220010706A (ko) 2022-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08115B2 (en) Chassis platform module for electric vehicle
US20030132016A1 (en) Hand tool machine comprising a vibration-dampened handle
US20060244318A1 (en) Electric device, in particular electric handheld power tool
JP5977307B2 (ja) 自動車のフロントモジュール
KR101402021B1 (ko) 차량용 범퍼유닛
KR101471758B1 (ko) 프로펠러샤프트용 장착장치
KR102436746B1 (ko) 전동공구용 배터리 접속단자모듈
KR20160126194A (ko) 복판구조를 갖는 차량용 범퍼 백빔 조립체
JP5836781B2 (ja) 防振装置
JP5961544B2 (ja) 携帯型作業機
KR102256872B1 (ko) 자동차의 범퍼 마운팅구조
CN211230607U (zh) 散热组件及机动车
CN111923712B (zh) 一种汽车电机的减震底座
CN211119702U (zh) 用于空调器的减震组件和空调器
CN103921752A (zh) 一种设有安全气囊模块定位装置的方向盘
CN110552777A (zh) 散热组件及机动车
CN219769688U (zh) 一种汽车座椅位置调节结构及其壳体组件
CN216831004U (zh) 往复式电动剃毛刀
JP2014130710A (ja) コネクタ
CN216447374U (zh) 减震装置
CN217705720U (zh) 一种新型卡丁车防撞梁
CN112208319B (zh) 一种新能源汽车的减震组件
CN214308792U (zh) 导航仪外框连接件及车载导航仪
CN215474252U (zh) 一种具有减震功能的机器人轮座
CN217114236U (zh) 推动杆组件和继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