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6648B1 - 프레스 금형장치 - Google Patents

프레스 금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6648B1
KR102436648B1 KR1020200179756A KR20200179756A KR102436648B1 KR 102436648 B1 KR102436648 B1 KR 102436648B1 KR 1020200179756 A KR1020200179756 A KR 1020200179756A KR 20200179756 A KR20200179756 A KR 20200179756A KR 102436648 B1 KR102436648 B1 KR 102436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uge
moving
plate material
block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9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9780A (ko
Inventor
권용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원
Priority to KR1020200179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6648B1/ko
Publication of KR20220089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9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3Positio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프레스 금형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프레스 금형장치는: 판재가 놓여지고, 외측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게이지이동부가 이격되게 형성되는 금형부와, 게이지이동부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판재의 크기에 따라 게이지이동부 상에서 위치조정되어 금형부의 설정위치에 상기 판재를 위치고정시키는 게이지부와, 게이지부의 위치조정으로 판재의 하측에 형성된 게이지이동부 상의 잔여공간에 장착되고, 판재를 지지하여 판재의 성형변형을 방지하는 판재변형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레스 금형장치{PRESS MOLD APPARATUS}
본 발명은 프레스 금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판재의 성형시 판재가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는 프레스 금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레스 금형장치는 금형에 판재를 올려놓고 프레스를 작동시켜 원하는 형태의 제품을 생산하는 금형장치이다. 이때, 금형은 평면의 상태가 아니므로, 게이지(Gage)를 이용하여 금형 상에서 판재를 정해진 위치에 위치시킨다.
그러나, 게이지는 금형 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게이지이동부에 각각 장착되어 판재의 크기에 따라 위치가 조정됨에 따라, 게이지이동부 상에서 게이지의 위치가 조정되고 남겨진 부분에 판재가 유입되어 판재의 성형시 판재가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72931호(발명의 명칭: 프레스 금형 장치의 게이지, 등록일: 2008.12.02.)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판재의 성형시 판재가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는 프레스 금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프레스 금형장치는: 판재가 놓여지고, 외측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게이지이동부가 이격되게 형성되는 금형부; 상기 게이지이동부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판재의 크기에 따라 상기 게이지이동부 상에서 위치조정되어 상기 금형부의 설정위치에 상기 판재를 위치고정시키는 게이지부; 및 상기 게이지부의 위치조정으로 상기 판재의 하측에 형성된 상기 게이지이동부 상의 잔여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판재를 지지하여 상기 판재의 성형변형을 방지하는 판재변형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재변형방지부는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재변형방지부는, 상기 게이지이동부의 제1이동홈부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블럭; 및 상기 이동블럭과 연결되고, 상기 제1이동홈부와 연결된 상기 게이지이동부의 제2이동홈부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판재를 지지하는 지지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블럭은 상기 제2이동홈부의 이동제한면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블럭은 상기 이동제한면과 접촉되는 접촉면이 상기 이동제한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게이지부는, 상기 제1이동홈부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이동블럭에 접촉되는 게이지이동블럭; 및 상기 게이지이동블럭에서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판재에 접하고, 상기 제2이동홈부 상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블럭에 접촉되는 위치고정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재변형방지부는 상기 게이지이동부의 너비가 증가될수록 폭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재변형방지부는 상기 잔여공간의 길이가 증가될수록 길이가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금형장치는 판재변형방지부를 통해 게이지부의 위치조정으로 판재의 하측에 형성된 게이지이동부 상의 잔여공간을 메워 판재를 지지함에 따라, 판재의 성형시 판재가 잔여공간에 유입되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금형장치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금형장치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금형장치의 판재변형방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금형장치의 판재변형방지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금형장치의 판재변형방지부 및 게이지부가 금형부의 게이지이동부에 장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금형장치의 판재변형방지부의 폭이 게이지이동부의 너비변화에 대응되게 변화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금형장치의 판재변형방지부의 길이가 게이지이동부에 형성된 잔여공간의 길이변화에 대응되게 변화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금형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금형장치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금형장치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금형장치의 판재변형방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금형장치의 판재변형방지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금형장치의 판재변형방지부 및 게이지부가 금형부의 게이지이동부에 장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금형장치의 판재변형방지부의 폭이 게이지이동부의 너비변화에 대응되게 변화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금형장치의 판재변형방지부의 길이가 게이지이동부에 형성된 잔여공간의 길이변화에 대응되게 변화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금형장치(1)는 금형부(100), 게이지부(200) 및 판재변형방지부(300)를 포함한다. 금형부(100)는 판재(10)가 놓여지고, 외측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게이지이동부(110)가 이격되게 형성된다. 금형부(100)에는 판재(10)를 원하는 형태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설정된 금형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게이지부(200)는 게이지이동부(110)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판재(10)의 크기에 따라 게이지이동부(110) 상에서 위치조정되어 금형부(100)의 설정위치에 판재(10)를 위치고정시킨다. 게이지부(200)는 복수개로 게이지이동부(110) 각각에 장착되어 게이지이동부(11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게이지부(200)는 판재(10)의 크기에 따라 게이지이동부(110) 상에서 좌우측으로(도 2 기준)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판재(10)의 크기가 증가될 수 있도록 게이지이동부(110) 상에서 좌측으로(도 2 기준) 외부 측으로 이동된다. 게이지부(200)는 판재(10)의 외측둘레가 각각 접촉되어 금형부(100)의 설정위치에 판재(10)가 위치될 수 있도록 고정한다.
판재변형방지부(300)는 게이지부(200)의 위치조정으로 판재(10)의 하측에 형성된 게이지이동부(110) 상의 잔여공간(113)에 장착되고, 판재(10)를 지지하여 판재(10)의 성형변형을 방지한다. 이때, 잔여공간(113)은 게이지부(200)가 판재(10)의 크기에 따라 게이지이동부(110) 상에서 이동됨에 따라, 게이지이동부(110)의 후술된 이동제한면(112a)과 게이지부(2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판재변형방지부(300)는 게이지이동부(110)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다(도 3 참조).
판재변형방지부(300)는 잔여공간(113)에 장착되어 판재(10)의 하측을 지지함에 따라, 프레스(미도시)가 금형부(100) 상에 배치된 판재(10)를 성형할 때 판재(10)가 잔여공간(113)로 유입되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판재변형방지부(300)는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판재변형방지부(300)를 게이지이동부(110)에 쉽게 장착하여 게이지이동부(110)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판재변형방지부(300)는 이동블럭(310)과 지지블럭(320)을 포함한다. 이동블럭(310)은 게이지이동부(110)의 제1이동홈부(111)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이동블럭(310)은 제1이동홈부(111)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너비가 제1이동홈부(111)의 너비와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지지블럭(320)은 이동블럭(310)과 연결되고, 제1이동홈부(111)와 연결된 게이지이동부(110)의 제2이동홈부(112)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판재(10)를 지지한다. 이때, 지지블럭(320)은 제2이동홈부(112)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너비가 제2이동홈부(112)의 너비와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지지블럭(320)은 제2이동홈부(112)의 이동제한면(112a)에 의해 이동이 제한된다. 지지블럭(320)은 이동제한면(112a)과 접촉되는 접촉면(321)이 이동제한면(112a)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일 예로, 제2이동홈부(112)의 이동제한면(112a)은 라운드진 오목한 형상을 가지며, 지지블럭(320)의 접촉면(321)은 이동제한면(112a)에 대응되도록 라운드진 볼록한 형상을 가진다.
게이지부(200)는 게이지이동블럭(210)과 위치고정블럭(220)을 포함한다. 게이지이동블럭(210)은 제1이동홈부(111)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이동블럭(310)에 접촉된다. 게이지이동블럭(210)은 너비가 제1이동홈부(111)의 너비와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게이지이동블럭(210)은 이동블럭(310)의 외측에(도 6 기준)에 배치되며, 판재(10)의 크기에 따라 제1이동홈부(111)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된다.
위치고정블럭(220)은 게이지이동블럭(210)에서 일측으로 돌출되어 판재(10)에 접하고, 제2이동홈부(112) 상에 배치되며, 지지블럭(320)에 접촉된다. 위치고정블럭(220)은 게이지이동블럭(210)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연장형성되며, 너비가 제2이동홈부(112)의 너비와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위치고정블럭(220)은 지지블럭(320)의 외측에(도 6 기준)에 게이지이동블럭(210)과 함께 판재(10)의 크기에 따라 제2이동홈부(112)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된다.
판재변형방지부(300)는 게이지이동부(110)의 너비가 증가될수록 폭이 증가될 수 있다. 일 예로, 게이지이동부(110)의 제1이동홈부(111) 너비가 W1에서 W2로 증가되면, 그에 대응되도록 판재변형방지부(300)의 이동블럭(310) 폭이 C1에서 C2로 증가될 수 있다. 또한, 게이지이동부(110)의 제2이동홈부(112) 너비가 w1에서 w2로 증가되면, 그에 대응되도록 판재변형방지부(300)의 이동블럭(310) 폭이 a1에서 a2로 증가될 수 있다. 이때, 잔여공간(113)의 길이는 L1으로, 이동블럭(310) 길이인 b1과 동일하다. 또한, 잔여공간(113)의 길이 L1은 제2이동홈부(112)의 이동제한면(112a)과 게이지부(200) 사이에 길이이다.
게이지이동부(110)의 제1이동홈부(111)의 너비가 W1에서 W2로 증가되면, 그에 대응되도록 게이지부(200)의 게이지이동블럭(210)의 폭이 C1에서 C2로 증가될 수 있다. 또한, 게이지이동부(110)의 제2이동홈부(112) 너비가 w1에서 w2로 증가되면, 그에 대응되도록 게이지부(200)의 위치고정블럭(220) 폭이 A1에서 A2로 증가될 수 있다. 다만, 게이지부(200)의 게이지이동블럭(210) 및 위치고정블럭(220)은 길이는 B1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도 7 (a), (b) 참조).
판재변형방지부(300)는 잔여공간(113)의 길이가 증가될수록 길이가 증가될 수 있다. 일 예로, 게이지부(200)의 게이지이동블럭(210) 및 위치고정블럭(220)은 길이는 B1으로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전제로, 게이지이동부(110)의 제1이동홈부(111) 및 제2이동홈부(112) 길이가 증가되면서 잔여공간(113)의 길이가 L1에서 L2로 증가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판재변형방지부(300)의 이동블럭(310) 및 지지블럭(320)은 길이는 b1에서 b2로 증가될 수 있다(도 8 (a), (b) 참조).
아래의 표 1은 판재변형방지부(300)의 너비 및 길이가 게이지이동부(110)의 너비변화와, 게이지이동부(110)에 형성된 잔여공간(113)의 길이변화에 대응되도록 제작된 판재변형방지부(300)의 다양한 예를 나타낸 표이다.
길이(mm)
20mm 30mm 40mm 50mm


(mm)
20mm
25mm
30mm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판재변형방지부(300)가 금형부(100)에 형성된 게이지이동부(110)의 다양한 크기에 대응되도록 설계되어 제작될 수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금형장치(1)는 판재변형방지부(300)를 통해 게이지부(200)의 위치조정으로 판재(10)의 하측에 형성된 게이지이동부(110) 상의 잔여공간(113)을 메워 판재(10)를 지지함에 따라, 판재(10)의 성형시 판재(10)가 잔여공간(113)에 유입되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프레스 금형장치 10 : 판재
100 : 금형부 110 : 게이지이동부
111 : 제1이동홈부 112 : 제2이동홈부
112a: 이동제한면 113 : 잔여공간
200 : 게이지부 210 : 게이지이동블럭
220 : 위치고정블럭 300 : 판재변형방지부
310 : 이동블럭 320 : 지지블럭
321 : 접촉면

Claims (8)

  1. 판재가 놓여지고, 외측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게이지이동부가 이격되게 형성되는 금형부;
    상기 게이지이동부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판재의 크기에 따라 상기 게이지이동부 상에서 위치조정되어 상기 금형부의 설정위치에 상기 판재를 위치고정시키는 게이지부; 및
    상기 게이지부의 위치조정으로 상기 판재의 하측에 형성된 상기 게이지이동부 상의 잔여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판재를 지지하여 상기 판재의 성형변형을 방지하는 판재변형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재변형방지부는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판재변형방지부는 상기 잔여공간의 길이가 증가될수록 길이가 증가되고,
    상기 판재변형방지부는,
    상기 게이지이동부의 제1이동홈부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블럭; 및
    상기 이동블럭과 연결되고, 상기 제1이동홈부와 연결된 상기 게이지이동부의 제2이동홈부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판재를 지지하는 지지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블럭은 상기 제1이동홈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너비가 상기 제1이동홈부의 너비와 동일하거나 작고,
    상기 지지블럭은 상기 제2이동홈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너비가 상기 제2이동홈부의 너비와 동일하거나 작고,
    상기 지지블럭은 상기 제2이동홈부의 이동제한면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지지블럭은 상기 이동제한면과 접촉되는 접촉면이 상기 이동제한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제한면은 라운진 오목 형상으로 상기 접촉면은 라운드진 볼록형상을 가지고,
    상기 게이지부는,
    상기 제1이동홈부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이동블럭에 접촉되는 게이지이동블럭; 및
    상기 게이지이동블럭에서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판재에 접하고, 상기 제2이동홈부 상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블럭에 접촉되는 위치고정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게이지이동블럭은 너비가 상기 제1이동홈부의 너비와 동일하거나 작고,
    상기 위치고정블럭은 상기 게이지이동블럭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연장형성되며, 너비가 상기 제2이동홈부의 너비와 동일하거나 작고,
    상기 판재변형방지부는 상기 게이지이동부의 너비가 증가될수록 폭이 증가되고,
    상기 게이지부는 상기 판재의 외측둘레에 각각 접촉되어 상기 금형부의 설정위치에 상기 판재가 위치되도록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금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00179756A 2020-12-21 2020-12-21 프레스 금형장치 KR102436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756A KR102436648B1 (ko) 2020-12-21 2020-12-21 프레스 금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756A KR102436648B1 (ko) 2020-12-21 2020-12-21 프레스 금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780A KR20220089780A (ko) 2022-06-29
KR102436648B1 true KR102436648B1 (ko) 2022-08-30

Family

ID=82270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9756A KR102436648B1 (ko) 2020-12-21 2020-12-21 프레스 금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664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6538Y1 (ko) 1998-12-31 2001-05-02 정몽규 드로잉 성형을 위한 프레스 금형의 게이지 구조
JP2005059073A (ja) 2003-08-18 2005-03-10 Sankyo Oilless Industry Inc 複合ゲージ
KR101898068B1 (ko) 2017-04-24 2018-09-13 (주)호원테크 프레스 성형장치 및 방법
JP2019089089A (ja) 2017-11-14 2019-06-13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熱間プレス用の金型装置、及び、熱間プレス成形品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7194Y1 (ko) * 1986-06-13 1989-10-20 주식회사 금성사 가공물의 게이지 구멍 보호장치
KR100391431B1 (ko) * 2000-12-19 2003-07-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레스 금형내 패널 안착 오류 감지장치
KR100494925B1 (ko) * 2003-05-14 2005-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레스 금형의 제품 위치 고정 제어장치
KR20090050580A (ko) * 2007-11-16 2009-05-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드로우 금형의 근접센서 게이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6538Y1 (ko) 1998-12-31 2001-05-02 정몽규 드로잉 성형을 위한 프레스 금형의 게이지 구조
JP2005059073A (ja) 2003-08-18 2005-03-10 Sankyo Oilless Industry Inc 複合ゲージ
KR101898068B1 (ko) 2017-04-24 2018-09-13 (주)호원테크 프레스 성형장치 및 방법
JP2019089089A (ja) 2017-11-14 2019-06-13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熱間プレス用の金型装置、及び、熱間プレス成形品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780A (ko) 2022-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0619B1 (ko) 프레스 장치
CN107921679B (zh) 树脂成形装置及树脂成形品制造方法
KR20160118746A (ko) 진공 성형시 흡착성형자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유리성형용 금형장치
US11981059B2 (en) Conveying apparatus and resin molding apparatus
KR102251131B1 (ko) 글라스 성형 기구 및 글라스 성형 방법
WO2015064978A1 (ko) 유리기판 성형장치
KR102436648B1 (ko) 프레스 금형장치
KR101652812B1 (ko) 유리 성형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유리 성형방법
KR101638579B1 (ko) 유리기판 성형 장치
JP2021014017A (ja) 樹脂成形装置、及び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JP2007290313A (ja) 成形平板歪矯正装置及びその歪矯正方法
JP2021028080A (ja) プレス成形装置及びプレス成形方法
WO2022163873A1 (ja) 絞り加工品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KR101761601B1 (ko) 영점설정이 용이한 DLP(Digital Light Processing)방식 3D 프린터의 트레이 고정판
KR102574656B1 (ko) 적층 장치
JP2013215753A (ja) インクリメンタル成形加工時の金属板の押さえ治具及びインクリメンタル成形加工時の金属板の押さえ方法
KR20180098134A (ko) 수지 성형 장치, 수지 성형 방법, 및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
KR20170031673A (ko) 다이 커팅 프레스 머신 및 그에 의한 필름의 커팅 방법
KR20150082169A (ko) 다이 커팅 프레스 머신 및 그에 의한 필름의 커팅 방법
KR101551200B1 (ko) 휴대폰용 케이스 정밀 평탄도 보정 지그장치
JP3802609B2 (ja) モールド金型の位置決め方法
KR101562760B1 (ko) 고무성형기
JP2020131213A (ja) 金型装置
JPH11309516A (ja) 板材のローレット加工装置
JP3489318B2 (ja) 絞りプレス成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