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6281B1 - 공회전 저온 독립안치 장소를 갖는 특장 장의버스 - Google Patents

공회전 저온 독립안치 장소를 갖는 특장 장의버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6281B1
KR102436281B1 KR1020200108685A KR20200108685A KR102436281B1 KR 102436281 B1 KR102436281 B1 KR 102436281B1 KR 1020200108685 A KR1020200108685 A KR 1020200108685A KR 20200108685 A KR20200108685 A KR 20200108685A KR 102436281 B1 KR102436281 B1 KR 102436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side
tube
bus
plate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8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0866A (ko
Inventor
김안태
Original Assignee
김안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안태 filed Critical 김안태
Publication of KR20210030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1/00Funeral aspects of hearses or like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9/00Hoisting or lowering devices for coff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20/00Adaptations of particular transporting means
    • A61G2220/16Bu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회전 저온 독립안치 장소를 갖는 특장 장의버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측의 슬라이드 이동대가 수평방향으로 버스에서 돌출된 후 유압모터에 의해 회전판이 90°회전되는 3단 공회전을 통하여 관의 운구자가 양쪽에서 운구해 안치대에 안치가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판이 양쪽으로 슬라이드 개폐되면서 투명관에 냉매를 공급해 저온안치 하는 공회전 저온 독립안치 장소를 갖는 장의버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장의 버스 안치공간에 레일에 설치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드 이동대의 상측으로 높이조절 실린더로 목관이 상측에 설치되는 안치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엑스바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라이드 이동대의 안쪽에 유압 실린더를 설치하여 슬라이드 이동대가 안치공간에서 수평 이동되어 노출되도록 설치하는 슬라이드 이동장치와, 상기 슬라이드 이동대의 상측에 설치되며 엑스바가 설치되는 회전판의 중앙 하측으로 유압 회전축이 연결되는 유압모터가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회전장치와, 상기 안치대의 상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목관을 안치하는 아크릴 투명관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장치는 회전판의 중앙 하측으로 설치한 유압 회전축이 유압모터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유압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어링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판의 하측과 슬라이드 이동대의 상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롤라 또는 구름볼이 다수개 설치되어 회전판이 90°회전한 후 정지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공회전 저온 독립안치 장소를 갖는 특장 장의버스{Special funeral bus with idle low temperature independent seating area}
본 발명은 공회전 저온 독립안치 장소를 갖는 특장 장의버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측의 슬라이드 이동대가 수평방향으로 버스에서 돌출된 후 유압모터에 의해 회전판이 90°회전되는 3단 공회전을 통하여 관의 운구자가 양쪽에서 운구해 안치대에 안치가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판이 양쪽으로 슬라이드 개폐되면서 투명관에 냉매를 공급해 저온안치 하는 공회전 저온 독립안치 장소를 갖는 장의버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장의차는 소형승용 또는 승합차를 개조한 장의차와 중대형 버스를 개조한 장의차가 있는데, 상기 소형승용 또는 승합차를 개조한 장의차는 중앙부에 종방향으로 롤러가 고정 설치되어 장의차에 관을 옮겨 실을 때 운구함의 후부도어를 열고 운구함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된 롤러방향으로 차량내, 외부로 잡아 당겨 인출하고, 유해가 안치된 관을 선단부까지 밀착시킨 후, 로프나 스트랩 등을 이용하여 관을 단단히 고정 시킨다.
관을 운구함에 안치하기 위해 상기 운구함의 안쪽 선단까지 완전히 밀어주어야 하는데 여러 사람이 무리하게 밀어 관의 선단부가 차량의 내부와 부딪히면서 충격이 관의 내부까지 영향을 주어 유해의 위치가 변동되는 문제가 있었다.
중대형 버스로 개조된 장의차의 운구함은 차량의 측면에 아무런 장치가 없는 공간에 안치 후 벤딩과 같은 고정수단으로 관을 고정하였는데, 상기와 같은 방법은 관을 다수의 인원이 차량의 일측에 구성된 운구함 가까이 운구해와서 운구함 내부에 안치시 일반화물을 적재하듯 관의 한쪽 끝 부분을 운구함 내부에 올려놓고 다른 한쪽을 옆으로 돌려 안치하였다.
그러나 이때 상기와 같은 안치하는 과정에서 관의 이동 중간 중간에 관이 유동되어 입관된 시신이 유동하여 유족이나 조문객에게 불쾌감을 주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특허공개공고 제0142120호에 제시된 바와 같이 장의차의 측면에 횡 방향으로 출입 가능하게 운구함과 도어를 설치하고, 상기 운구함의 플레이트 좌,우양측에 횡 방향으로 가설되는 레일과, 상기 플레이트를 출입 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엑튜에이터로 구성하여, 장소가 비좁은 곳에서도 장의차의 운구함에 관을 손쉽게 탑재할 수 있도록 장의차의 측면에 횡 방향으로 안치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고, 운구함을 횡 방향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하여 관과 레일의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며, 유해가 들어있는 관을 레일에 안치시켜 유해의 위치가 변동되지 않도록 실린더의 작동으로 일정한 힘과 속도로 운구함을 출입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였으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장의차를 제작하여야 하고, 관이 안치되는 플레이트가 장의 버스 측면에서 출몰만 되어, 관을 안치할 경우 플레이트 일편에서만 안치작업이 이루어져 종전과 다를 바가 없었다.
[문헌 1] 특허등록번호 제0695754호(2007. 03. 09. 등록) [문헌 2] 특허등록번호 제1918050호(2016. 04. 28. 등록) [문헌 3] 특허등록번호 제1123037호(2012. 02. 27. 등록) [문헌 4]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236929호(2001. 06. 25.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레일에 설치된 슬라이드 이동대를 안쪽에서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슬라이드 이동되어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안치대를 힘들이지 않고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슬라이드 이동대의 상측에 회전판을 설치해 유압모터를 통하여 90°범위에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관의 안치가 안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관을 아크릴 투명관으로 제공하며 바닥에 롤라가 설치되어 구름 및 운반과 방향전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상판을 양쪽으로 분리 및 결합하며 개방 및 차단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투명관의 한 부분에 냉풍구멍을 형성해 냉매 에어컨으로부터 냉풍을 공급해 투명관을 저온 관리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장의 버스 안치공간에 레일에 설치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드 이동대의 상측으로 높이조절 실린더로 목관이 상측에 설치되는 안치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엑스바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라이드 이동대의 안쪽에 유압 실린더를 설치하여 슬라이드 이동대가 안치공간에서 수평 이동되어 노출되도록 설치하는 슬라이드 이동장치와, 상기 슬라이드 이동대의 상측에 설치되며 엑스바가 설치되는 회전판의 중앙 하측으로 유압 회전축이 연결되는 유압모터가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회전장치와, 상기 안치대의 상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목관을 안치하는 아크릴 투명관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장치는 회전판의 중앙 하측으로 설치한 유압 회전축이 유압모터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유압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어링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판의 하측과 슬라이드 이동대의 상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롤라 또는 구름볼이 다수개 설치되어 회전판이 90°회전한 후 정지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레일에 설치된 슬라이드 이동대를 안쪽에서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슬라이드 이동되어 돌출되거나 버스 내부의 안치공간으로 진입되도록 함으로써 안치대를 힘들이지 않고 자동으로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슬라이드 이동대의 상측에 회전판을 설치해 유압모터를 통하여 90°범위에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관의 안치시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안치대의 양쪽에서 안전하게 운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관을 아크릴 투명관으로 제공하며 바닥에 롤라가 설치되어 투명관의 위치 변경시 구름 및 운반과 방향전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상판을 양쪽으로 분리 및 결합하며 개방 및 차단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투명관의 한 부분에 냉풍구멍을 형성해 냉매 에어컨으로부터 냉풍을 공급해 투명관을 저온 관리함으로써 투명관에 보관되는 목관의 관리로 시신의 변색 및 부패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안치대를 상승시킨 상태의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슬라이드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슬라이드 작동 후 회전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슬라이드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슬라이드 작동 후 회전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출원인이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기재한 것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고안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안치대를 상승시킨 상태의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슬라이드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슬라이드 작동 후 회전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슬라이드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슬라이드 작동 후 회전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통상적인 장의 버스(50)의 하부 안치공간(60)이 형성되는 장소의 내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레일(13)이 설치되어 사각형의 슬라이드 이동대(11)가 수평방향으로 안치공간(60)에서 필요에 따라 노출 및 진입되도록 설치하는 슬라이드 이동장치(10)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치공간(60)의 안쪽에서 슬라이드 이동대(11)와 안치공간(60)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압실린더(12)를 설치하여 외측에서 자동으로 제어함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대(11)를 안치공간(60)에서 노출 및 진입되도록 구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슬라이드 이동장치(10)의 상측에는 회전판(21)을 설치해 회전장치(20)를 통하여 90°의 범위에서 회전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회전장치(20)는 슬라이드 이동대(11)의 중앙에 유압모터(22)를 설치해 베어링(24)으로 지지하는 유압 회전축(23)이 회전판(21)을 지지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유압모터(22)를 안치공간(60)의 외부에서 자동으로 회전을 제어할 수 있게 설치한다.
상기 회전판(21)의 하측과 슬라이드 이동대(11)의 상측에는 일정한 간격에서 롤라(25)을 다수개 설치해 슬라이드 이동대(11)가 회전하는 것을 도울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회전판(21)의 상측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안치대(40)를 설치하며, 상기 회전판(21)과 안치대(40)의 사이에는 높이조절 실린더(31)를 통하여 엑스바(30)가 엑스자 형태로 설치되어 회전판(21)의 상측에서 안치대(4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안치대(40)의 상측에는 목관(70)을 안치할 수 있도록 아크릴 투명관(85)을 설치하며, 상기 아크릴 투명관(85)의 내부에 목관(70)을 고정하는 로프나 스트랩을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안치대(40)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롤라(25)를 설치해 목관(70)이 공급될 때 중량물이므로 구름이 용이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장의 버스(50)의 안치공간(60) 한쪽으로 전동 스위치(80)를 설치해 유압 실린더(12)와 유압 모터(22) 및 높이조절 실린더(3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서치하는 것이다.
상기 아크릴 투명관(85)은 내부가 보이게 되고 목관(70)의 폭과 높이보다 크게 설치해 목관(70)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며, 폭이 좁은 한쪽부분에서 냉풍구멍(87)이 설치되지 않은 방향에 관 도어(88)로 설치되어 목관(70)의 입, 출이 가능하도록 하고, 폭이 좁은 한쪽부분에는 냉풍구멍(87)이 설치되어 장의 버스(50)에 있는 에어컨장치와 냉동관(86)이 연결되어 냉매를 아크릴 투명관(85) 내부에 공급해 저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아크릴 투명관(85)의 상부에는 상판 구동장치(90)를 설치해 아크릴 투명관(85)이 하강하면서 닫히고, 상승하면서 열릴 수 있도록 설치하되;
상기 상판 구동장치(90)는 아크릴 투명관(85)의 폭이 긴 방향으로 양분되는 상판(94)이 설치되고, 상판(94)에는 암나사(95)가 설치되어 길게 폭 방향으로 나사축(93)이 설치된 후 전동모터(91)에 연결되는 체인(92)을 통하여 회전하도록 설치해 상판(94)이 동시에 열리거나 닫히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전동 스위치(80)를 통하여 유압 실린더(12)를 구동시켜 슬라이드 이동대(11)가 안치공간(60) 내부에 있는 것을 외부로 밀어내도록 하면, 슬라이드 이동대(11)가 레일(13)에 설치된 상태에서 유압 실린더(12)의 전진 구동으로 안치공간(60)의 외부로 서서히 전진되어 노출되도록 하며, 레일(13)의 구동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대(11)가 안치공간(60)의 외부로 모두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 유압 실린더(12)는 안치공간(60)의 내부에서 레일(13)을 통하여 설치된 슬라이드 이동대(11)가 수평으로 이동되어 노출되도록 안치공간(60)의 안쪽에 설치되는 것이다.
슬라이드 이동대(11)가 슬라이드 이동장치(10)를 통하여 안치공간(60)의 외부로 슬라이드 이동한 후 전동 스위치(80)의 구동으로 유압모터(22)를 구동시키면 유압 회전축(23)이 베어링(24)에 안내되어 회전하게 되면서 회전판(21)을 90°의 범위에서 회전시킨 후 정지되도록 한다.
상기 회전판(21)이 수평방향에서 회전하면서 그 상측의 엑스바(30)와 안치대(40)가 함께 90°회전한 후 정지하게 되므로 회전장치(20)는 회전판(21)의 회전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판(21)의 베어링(24)에 설치된 유압 회전축(23)을 통하여 회전이 제어되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 회전판(21)이 회전하게 될 때 회전판(21)과 슬라이드 이동대(11)의 사이에 다수개의 볼 또는 롤라를 설치해 상측에서 전해지는 무게가 전체면에 고르게 전달되므로 회전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안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도면상 장의 버스(50)의 방향과 같고 슬라이드 이동대(11)와 같은 방향에서 길게 형성된 회전판(21)이 안치공간(60)에 설치된 상태에서 길게 설치된 부분이 그대로 외부로 노출되며, 노출된 회전판(21)이 회전장치(20)를 통하여 90°정도 회전되면 장의 버스(50)와 직각방향으로 돌출되는 동시에 슬라이드 이동대(11)와 열십자 형태로 구동되어 안치대(40)의 폭이 좁은 방향의 관 도어(88)를 상측 또는 일측으로 개방시켜 목관(70)을 밀어 넣게 되고, 공급되는 목관(70)은 하측에 설치된 다수개의 롤라(25)를 통하여 힘들이지 않고 간편하게 공급해 아크릴 투명관(85)의 내부에 보관할 수 있는 상태를 제공하게 된다.
회전판(21)이 회전장치(20)를 통하여 회전된 후 정지되거나 회전을 수행하는 동안에 엑스바(30)에 설치된 높이조절 실린더(31)를 구동시켜 안치대(40)의 높이를 낮추도록 해 관(70)의 안치가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높이조절 실린더(31)의 구동을 통하여 엑스바(30)가 안치대(40)의 높이를 낮게 하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목관(70)을 운구해 안치대(40)의 설치된 방향을 따라 운구자들이 운구를 신속하게 수행한 후 안치대(40)의 상측에 있는 아크릴 투명관(85)의 내부에 안전하게 안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안치대(40)의 상측에 목관(70)을 운구해 아크릴 투명관(85)의 내부에 안치가 완료되면 로프나 스트랩 등을 이용해 안치대(40)에 목관(70)을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목관(70)의 운구에 따른 안치가 종료되면 전동 스위치(80)를 구동시켜 유압모터(22)의 구동으로 베어링(2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유압 회전축(23)이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회전판(21)의 길이가 긴 방향이 장의 버스(50)와 같은 방향 즉, 슬라이드 이동대(11)와 같은 방향이 되도록 회전시켜 정지시킨다.
그러면 회전판(21)은 유압 회전축(23)을 따라 회전하면서 중량물의 하측에 롤라 또는 구름볼이 다수개 설치되어 있어서 회전에 따른 무게가 전체면에 고르게 분할되어 회전에 무리가 없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회전판(21)이 90°회전되어 슬라이드 이동대(11)와 같은 방향이 되도록 이동한 후 높이조절 실린더(31)를 구동시켜 엑스바(30)가 상승되며 안치대(40)를 일정한 높이로 상승시킨 후 정지시키는 것이다.
아크릴 투명관(85)의 내부에 목관(70)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승시킨 후 전동 스위치(80)의 구동으로 유압 실린더(12)가 구동되어 안치공간(60)의 외측으로 노출된 슬라이드 이동대(11)를 잡아당겨 레일(13)에서 슬라이드 이동대(11)가 수평 이동되어 안치공간(60)의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드 이동대(11)가 안치공간(60)의 내부로 완전하게 진입하게 되면 안치공간(60)의 외부를 도사하지 않은 도어로 차단해 안치작업을 완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슬라이드 이동장치(10)를 통하여 슬라이드 이동대(11)를 유압 실린더(12)와 레일(13)을 통하여 수평으로 이동시켜 안치공간(60)의 외부로 노출되거나 진입을 자동으로 힘들이지 않고 부드럽게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회전장치(20)를 통하여 회전판(21)이 유압모터(22)를 통하여 슬라이드 이동대(11)와 같은 방향에서 직교방향이 되도록 회전되는 것이 하측의 롤라 또는 구름볼을 통하여 중량이 분산되어 부드럽게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안치대(50)의 상측에서 아크릴 투명관(85)의 내부에 목관(70)을 안전하게 이동시켜 안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아크릴 투명관(85)은 내부에 목관(70)을 삽입하는 경우 한 방향의 관 도어(88)를 개방시켜 신속하고 편리하게 삽입 및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아크릴 투명관(85)이 상승하면 상판 구동장치(90)의 전동모터(91)가 구동되어 체인(92)을 통해 나사축(93)을 회전시켜 암나사(95)가 연결된 상판(94)을 양쪽에서 동시에 구동시켜 외측으로 이동되며 열리게 되고,
엑스바(30)를 통해 아크릴 투명관(85)을 하강시키게 되면 상판 구동장치(90)의 전동모터(91)가 역방향으로 구동되어 체인(92)을 통해 나사축(93)을 회전시켜 암나사(95)가 연결된 상판(94)을 양쪽에서 동시에 구동시켜 중심 방향으로 이동되며 닫히게 되므로 아크릴 투명관(85) 또는 목관(70)을 닫아 봉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상판 구동장치(90)는 아크릴 투명판(85)이 내려가면 절벽이 형성되므로 위험에 처할 수 잇으므로 양족의 상판(94)이 봉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아크릴 투명관(85)의 내부에 목관(70)이 공급되어 장의 버스(50)의 안치공간(60)에 보관하는 경우에는 장의 버스(50)의 에어컨을 가동함에 따라 에어컨의 냉매가 냉풍관(86)을 통하여 냉풍구멍(87)에서 아크릴 투명관(85)의 내부로 공급해 온도를 낮추게 되므로 아크릴 투명관(85)에 안치된 목관(70)의 온도를 낮추어 시신이 손상되거나 부패 등의 온도로 인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아크릴 투명관(85)은 서로 연결되는 부분을 따라 핀으로 고정되거나, 실리콘으로 마감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슬라이드 이동대를 유압실린더와 레일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며, 회전장치를 통해 회전판이 롤라에 안내되며 부드럽고 안전하게 회전되도록 하고, 관의 운구를 통한 안치를 안전하게 수행하며 아크릴 투명관의 내부에 목관을 안치하며 상승 및 하강에 따라 상판이 닫히거나 열리도록 하는 동시에 목관의 안치시 냉매를 공급해 저온으로 유지시켜 문제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10 : 슬라이드 이동장치 11 : 슬라이드 이동대
12 : 유압 실린더 13 : 레일
20 : 회전장치 21 : 회전판
22 : 유압모터 23 : 유압 회전축
24 : 베어링 25 : 롤라
30 : 엑스바 31 : 높이조절 실린더
40 : 안치대 50 : 장의 버스
60 : 안치공간 70 : 관
80 : 전동 스위치 85 : 아크릴 투명관
86 : 냉풍관 87 : 냉풍구멍
88 : 관도어 90 : 상판 구동장치
91 : 전동모터 92 : 체인
93 : 나사축 94 : 상판
95 : 암나사

Claims (6)

  1. 장의 버스(50) 안치공간(60)에 레일(13)에 설치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드 이동대(11)의 상측으로 높이조절 실린더(31)로 목관(70)이 상측에 설치되는 안치대(40)의 높이를 조절하는 엑스바(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라이드 이동대(11)의 안쪽에 유압 실린더(12)를 설치하여 슬라이드 이동대(11)가 안치공간(60)에서 수평 이동되어 노출되도록 설치하는 슬라이드 이동장치(10)와, 상기 슬라이드 이동대(11)의 상측에 설치되며 엑스바(30)가 설치되는 회전판(21)의 중앙 하측으로 유압 회전축(23)이 연결되는 유압모터(22)가 회전판(21)을 회전시키는 회전장치(20)와, 상기 안치대(40)의 상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목관(70)을 안치하는 아크릴 투명관(85)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장치(20)는 회전판(21)의 중앙 하측으로 설치한 유압 회전축(23)이 유압모터(2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유압 회전축(2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어링(24)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판(21)의 하측과 슬라이드 이동대(11)의 상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롤라 또는 구름볼이 다수개 설치되어 회전판(21)이 90°회전한 후 정지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회전 저온 독립안치 장소를 갖는 특장 장의버스.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투명관(85)은 내부에 목관(70)이 안치되고, 한 방향에 냉풍구멍(87)이 형성되어 에어콘과 연결되는 냉풍관(86)을 설치해 저온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회전 저온 독립안치 장소를 갖는 특장 장의버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투명관(85)은 상측에 상판 구동장치(90)를 더 설치하되;
    상기 상판 구동장치(90)는 아크릴 투명관(85)의 상측에 양분되는 상판(94)에 암나사(95)가 설치되고, 상기 암나사(95)에 연결되는 나사축(93)이 체인(92)을 통하여 전동모터(91)에 연결되어 아크릴 투명관(85)의 상측을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회전 저온 독립안치 장소를 갖는 특장 장의버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치대(40)는 상측으로 아크릴 투명관(85)이 설치되고, 상기 투명관(85)의 사면 중 폭이 좁은 방향의 한쪽으로 관도어(88)를 설치해 목관(70)을 입출하며, 바닥에 다수개의 롤라(25)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회전 저온 독립안치 장소를 갖는 특장 장의버스.
KR1020200108685A 2019-09-10 2020-08-27 공회전 저온 독립안치 장소를 갖는 특장 장의버스 KR1024362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217 2019-09-10
KR20190112217 2019-09-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866A KR20210030866A (ko) 2021-03-18
KR102436281B1 true KR102436281B1 (ko) 2022-08-26

Family

ID=75232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685A KR102436281B1 (ko) 2019-09-10 2020-08-27 공회전 저온 독립안치 장소를 갖는 특장 장의버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628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977B1 (ko) * 2015-03-09 2015-07-20 주식회사 오에스이 이동식 무대장치
KR101618050B1 (ko) * 2015-08-21 2016-05-09 김안태 독립 안치장소를 갖는 슬라이드형 장의용 버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2120B1 (ko) * 1995-03-30 1998-06-15 조래승 장의차의 운구함
KR19990045958A (ko) * 1999-03-02 1999-06-25 조성만 시신냉동장치를구비한영구차
KR100695754B1 (ko) 2006-06-21 2007-03-16 김용선 장의버스용 운구장치
KR101123037B1 (ko) 2008-03-20 2012-06-14 문주연 시신안치대 및 이를 구비한 종이 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977B1 (ko) * 2015-03-09 2015-07-20 주식회사 오에스이 이동식 무대장치
KR101618050B1 (ko) * 2015-08-21 2016-05-09 김안태 독립 안치장소를 갖는 슬라이드형 장의용 버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866A (ko) 2021-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6245A (en) Vertical lift gate assembly
US20110132692A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vehicles onto conveyor
US4360307A (en) Device for vertical and/or horizontal transport of loads into and out of a vehicle or the like
CN206886597U (zh) 一种用于提升导弹的举升机构
KR102436281B1 (ko) 공회전 저온 독립안치 장소를 갖는 특장 장의버스
JP2007056469A (ja) 自動車の入出庫システム及び入出庫方法
CN104210922A (zh) 垂直升降跨路电梯
CN219279363U (zh) 电池箱安装辅助设备
KR101481312B1 (ko) 버스의 수화물 하차장치
JP2008031635A (ja) 立体駐車装置
CN109760570A (zh) 一种可供轮椅上下车的福祉车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103744B1 (ko) 마차용 트랙 장치
KR101618050B1 (ko) 독립 안치장소를 갖는 슬라이드형 장의용 버스
KR100695754B1 (ko) 장의버스용 운구장치
CN208216724U (zh) 升降式载物台
CN105712162A (zh) 一种轿厢节能设备
KR101285850B1 (ko) 무인차량 입출고 장치
CN111568690A (zh) 骨灰盒卸载装置及卸载方法
CN214731470U (zh) 一种自带升降功能的培养基灌装机暂存装置
CN217876657U (zh) 一种能够自动进出货物的冷库
JP2010255991A (ja) 換気装置
CN215709698U (zh) 图书馆还书系统
CN211144512U (zh) 一种组合式钢模台车
CN219174163U (zh) 一种电梯维修用安全维修架
CN208122066U (zh) 一种高度可调式立体仓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