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5961B1 - 크루(조합) 기반 건설장비 랭킹 배차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크루(조합) 기반 건설장비 랭킹 배차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5961B1
KR102435961B1 KR1020210178934A KR20210178934A KR102435961B1 KR 102435961 B1 KR102435961 B1 KR 102435961B1 KR 1020210178934 A KR1020210178934 A KR 1020210178934A KR 20210178934 A KR20210178934 A KR 20210178934A KR 102435961 B1 KR102435961 B1 KR 102435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der
information
crew
user
us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8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규호
Original Assignee
한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규호 filed Critical 한규호
Priority to KR1020210178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59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5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크루(조합) 기반 건설장비 랭킹 배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크루(조합) 기반 건설장비 랭킹 배차 장치는, 복수의 사용자가 발주한 발주 정보를 복수의 수발주 정보로서 등록하고 관리하되, 상기 복수의 수발주 정보를 복수의 크루별로 구분하여 관리하는 관리부; 사용자들의 랭킹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수발주 정보에 대한 건설장비의 배차를 수행하는 랭킹 배차부; 및 상기 배차의 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의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화면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크루 각각에는, 수발주 활동 포인트를 포함한 크루 룰의 설정이 서로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크루(조합) 기반 건설장비 랭킹 배차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ATCHING CONSTRUCTION VEHICLES IN RANKING ORDER BASED ON CREW(ASSOCIATION)}
본원은 크루(조합) 기반 건설장비 랭킹 배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설현장에는 건설장비로서 스카이차, 굴착기, 덤프트럭, 불도저, 레미콘 등의 중장비 차량이 사용된다. 이러한 건설장비를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해서는 각 건설장비 차량의 업무량 및 일정을 관리해야 한다.
도 1은 종래 건설장비 중 하나인 레미콘 차량을 관리하기 위한 운행일지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에는 현장에서 운영되는 건설장비 차량의 관리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운전자 또는 관리자가 차량의 위치 및 상태를 직접 수기로 작성하여 체크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 방법은 정확한 업무량이나 일정을 관리하기 어려울뿐만 아니라, 이러한 일지의 관리를 위해 추가적인 인력의 투입이 필요하고 비용이 소모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건설장비 차량을 가진 사람(기사, 차주)들은 일예로 특정 건설회사에 소속되어 있는 경우 해당 건설회사에서의 일정에 따라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건설회사에서 일정이 없거나 혹은 건설회사에 소속되어 있지 않은 개인 사람들의 경우에는 일거리를 찾기 위해 직접 주변에 수소문을 해야 했으며, 이에 따라 일거리를 찾는 데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건설회사의 경우에도, 현장에서 일을 진행할 때 자신의 회사에 있는 건설장비만으로 부족할 경우 외부 인력(즉, 현장에 필요한 특정 건설장비 차량을 소유하고 있는 외부 사람)을 추가로 구해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때, 일반적으로는 주변 지인에게 수소문하여 외부 인력을 구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만약 수소문을 통해 외부 인력을 구하지 못한 경우에는 현장 일정에 차질이 생기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42950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설현장에 사용되는 건설장비(차량)를 효율적으로 관리/운영하고, 건설장비의 관리를 위해 소요되는 별도의 인력을 줄이며, 건설장비 내지 건설장비 사용자의 업무량 및 일정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크루(조합) 기반 건설장비 랭킹 배차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설회사에서 일정이 없거나 혹은 건설회사에 소속되어 있지 않은 개인 사람들이 일거리를 찾기 위해 직접 주변에 수소문을 해야 함에 따라 일거리를 찾는 데에 시간이 오래 걸렸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크루(조합) 기반 건설장비 랭킹 배차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설회사에서 외부 인력을 구해야하는 상황에서 주변 수소문을 통해 외부 인력을 구하지 못했을 때 현장 일정에 차질이 생기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크루(조합) 기반 건설장비 랭킹 배차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루(조합) 기반 건설장비 랭킹 배차 장치는, 복수의 사용자가 발주한 발주 정보를 복수의 수발주 정보로서 등록하고 관리하되, 상기 복수의 수발주 정보를 복수의 크루별로 구분하여 관리하는 관리부; 사용자들의 랭킹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수발주 정보에 대한 건설장비의 배차를 수행하는 랭킹 배차부; 및 상기 배차의 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의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화면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크루 각각에는, 수발주 활동 포인트를 포함한 크루 룰의 설정이 서로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크루 중 제1 크루에 속해있는 제1 사용자가 발주한 발주 정보인 수발주 정보를 상기 제1 크루에 속한 제1 크루 사용자들에게 노출되도록 제어하고, 제어에 의해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해 업로드된 수발주 정보에 대응하는 일감 정보가 상기 제1 크루 사용자들에게 공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발주 활동 포인트는, 발주 정보의 업로드시 부여되는 발주 포인트 및 타 사용자가 업로드한 발주 정보에 지원하여 수주자로의 선정시 부여되는 수주 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랭킹 정보는, 사용자의 수발주 활동 포인트의 누적 포인트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 제어부는, 제1 크루에 속해있는 제1 사용자가 수주 메뉴를 클릭한 경우,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제1 크루에 속한 제1 크루 사용자들에 의해 등록된 제1 크루 내 복수의 수발주 정보의 리스트를 제1 사용자의 제1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랭킹 배차부는, 상기 제1 크루 사용자들 중 제1 사용자를 포함한 일부 사용자가 제1 수발주 정보에 대해 지원하고, 상기 일부 사용자의 랭킹 정보를 기반으로 수주자를 선정한 결과 상기 제1 사용자가 수주자로 선정된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의 건설장비가 상기 제1 수발주 정보에 배차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주 정보는, 현장 작업과 관련하여 필요한 장비정보, 날짜, 도착시간, 작업시간, 결제선택 및 작업주소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크루(조합) 기반 건설장비 랭킹 배차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각 크루(조합, 배차 조합)마다 다른 규칙이 자유롭게 설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크루(조합)의 운영이 가능한 배차 조합 지원 시스템/환경/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원은 사용자(건설장비 종사자)가 보다 꾸준한 일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크루(조합) 기반 건설장비 랭킹 배차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건설현장에 사용되는 건설장비(차량)를 효율적으로 관리/운영하고, 건설장비의 관리를 위해 소요되는 별도의 인력을 줄이며, 건설장비 내지 건설장비 사용자의 업무량 및 일정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크루(조합) 기반 건설장비 랭킹 배차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건설회사에서 일정이 없거나 혹은 건설회사에 소속되어 있지 않은 개인 사람들이 일거리를 찾기 위해 직접 주변에 수소문을 해야 함에 따라 일거리를 찾는 데에 시간이 오래 걸렸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크루(조합) 기반 건설장비 랭킹 배차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건설회사에서 외부 인력을 구해야하는 상황에서 주변 수소문을 통해 외부 인력을 구하지 못했을 때 현장 일정에 차질이 생기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건설장비 중 하나인 레미콘 차량을 관리하기 위한 운행일지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루 기반 건설장비 랭킹 배차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2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루 기반 건설장비 랭킹 배차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제1 단말의 화면 표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루 기반 건설장비 랭킹 배차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루 기반 건설장비 랭킹 배차 시스템(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루(조합) 기반 건설장비 랭킹 배차 시스템(100)을 설명의 편의상 본 시스템(100)이라 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시스템(100)은 크루(조합) 기반 건설장비 랭킹 배차 장치(10) 및 복수의 사용자(20)의 단말(21', …)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복수의 사용자(20)는 사용자들이라 지칭될 수 있다. 크루(조합) 기반 건설장비 랭킹 배차 장치(10)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루(조합) 기반 건설장비 랭킹 배차 장치(10)로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장치(10)라 하기로 한다.
본 장치(10)는 복수의 사용자(20)의 단말 각각과 네트워크(7)를 통해 연동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7)는 일예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다양한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20)의 단말(21', …)에는 제1 사용자(21)가 소지한 단말인 제1 단말(21'), 제2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인 제2 단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단말은 사용자 단말, 휴대 단말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장치(10)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사용자(21)를 기준으로 설명하며, 이는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서 제1 사용자(21)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복수의 사용자(20) 각각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단말(21')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복수의 사용자(20)의 단말(21', …) 각각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20)(21, …) 각각은 자신이 소지한 단말을 통해 본 장치(10)에 접속하여 회원가입을 통해 자신의 개인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본 장치(10)를 이용하는 사용자(회원가입한 사용자)는 회원, 수발주회원, 건설장비 종사자, 기사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20) 각각은 본 장치(10)를 통해 일예로 필요 인력(혹은 필요 건설장비)을 섭외하기 위해 일자리를 제공하는 수주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즉, 발주 정보의 업로드를 통해 수주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복수의 사용자(20) 각각은 타인이 업로드한 발주 정보인 수발주 정보에 대하여 지원(발주 활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지원을 통해 수주자로 선정된 경우 해당 수발주 정보에 대한 일자리를 제공받게 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사용자(20) 각각은 본 장치(10)를 통해 건설장비와 관련하여 수발주 활동(수주 활동 및 발주 활동)을 수행할 수 있고, 이러한 수발주 활동을 통해 일자리를 제공하거나 혹은 일자리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달리 말해, 복수의 사용자(20) 각각은 수주자가 될 수도 있고, 발주자가 될 수도 있다. 복수의 사용자(20)는 일예로 회원가입시 발주 회원으로 회원가입할 것인지, 혹은 수발주 회원으로 회원가입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장치(10)는, 본 장치(10)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건설장비의 배차와 관련하여 수발주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본 장치(10)를 통해 제공되는 복수의 수발주 정보의 리스트로 하여금, 건설장비 관련 다양한 일자리의 현황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본 장치(10)를 통해 수발주 정보에 지원하고 수주자로 선정됨으로써 일자리를 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본 장치(10)를 통해 발주 정보를 업로드(이는 본 장치(10)에 수발주 정보로서 등록되어 관리될 수 있음)함으로써, 자신이 필요로하는 인력(즉, 발주 정보에 포함된 조건의 수행이 가능한 사용자)을 구할 수 있다.
본원에서 단말(즉, 복수의 사용자(20)의 단말 각각)은 일예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 노트북, 웨어러블 디바이스, 데스크탑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예로, 본 장치(10)는 단말(즉, 복수의 사용자(20)의 단말 각각)에 포함된 장치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장치(10)는 단말에 설치되는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어플, 앱)의 형태로 구현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달리 말해, 본 장치(10)를 통해 제공되는 크루 기반 건설장비 랭킹 배차 방법은 일예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현되어 단말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일예로 본 장치(10)는 단말과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서버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서버의 형태로 마련된 본 장치(10)는, 본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한 사용자들의 단말의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한 설명에서는 본 장치(10)가 일예로 서버의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이러한 경우 본 장치(10)는 서버, 크루 기반 건설장비 랭킹 배차 서버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본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어플, 앱)은 이하 설명의 편의상 본 앱이라 하기로 한다. 이에 따르면, 본 장치(10)는 본 앱을 설치한 사용자들의 단말의 동작(일예로 화면 표시 동작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앱은 크루 기반 건설장비 랭킹 배차 앱(어플)이라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는 본 앱의 제공을 통해 크루 기반 건설장비 랭킹 배차 플랫폼(본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장치(1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2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루(조합) 기반 건설장비 랭킹 배차 장치(10)에 의해 제어되는 제1 단말(21')의 화면 표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28을 참조하면, 본 장치(10)는 크루(조합) 기반 건설장비 랭킹 배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크루(crew)라 함은 공통된 목적을 이루거나 도모하기 위해 모인 사람들의 집단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는 본원에서 조합, 그룹, 팀 등의 용어로 달리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건설장비는 사용자가 소유한 장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건설장비는 본원에서 장비, 차량 등의 용어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통상 건설장비 종사자(사용자, 기사)의 최대 과제는 '꾸준한 일감'이라 할 수 있다. 만약, 오늘 내가 가진 일이 3개라 하더라도 자신이 보유한 장비가 1대라면(즉, 자신이 소유한 건설장비의 개수가 1개라면), 해당 사용자는 3개의 일을 하루에 모두 처리할 수 없기 때문에, 자신이 가진 3개의 일 중 나머지 2개의 일은 다른 사람에게 나눠 줘야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 이때, 내가 다른 사람에게 일을 나눠 주면, 반대로 그 사람도(즉, 내 일을 나눠받은 다른 사람도) 내가 일이 없을 때 자신의 일을 나에게 나눠주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 이처럼, 건설장비 종사자에게 있어서, 일감은 사용자가 소유한 장비의 개수에 영향을 받아 하루에 최대로 처리 가능한 일감 개수가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본 장치(10)는 사용자가 자신이 가진 일감들 중 처리 불가능한 일감을 타 사용자에게 나눠줄 수 있도록 하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반대로 타 사용자가 제공하는 일감을 자신이 받아 일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자신이 가진 단말을 통해 본 장치(10)에 발주 정보(수발주 정보)를 업로드할 수 있으며, 업로드한 발주 정보를 통해 자신이 가진 일감(특히, 처리 불가능한 일감)을 타 사용자에게 나누어 줄 수 있다(즉,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타 사용자가 업로드한 발주 정보(수발주 정보)에 지원할 수 있으며, 이때 지원에 응답하여 수주자로 선정된 경우, 해당 사용자는 타 사용자가 업로드한 발주 정보(수발주 정보)에 대응하는 일감을 획득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본 장치(10)를 통해 발주 정보(수발주 정보)를 업로드하거나 혹은 타 사용자가 올린 발주 정보에 대한 지원을 통해 수주자로 선정됨으로써, 꾸준한 일감(일거리)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발주 정보를 업로드하는 행위의 활동 및 타 사용자가 업로드한 발주 정보에 지원하는 행위의 활동(특히, 지원한 후 수주자로서 선정되어 실제 현장 작업을 수행하는 행위의 활동)은 본원에서 수발주 활동이라 지칭될 수 있다.
특히나, 본 장치(10)는 각 사용자들이 크루(조합)별로 수발주 활동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즉, 본 장치(10)에서는 복수의 크루(조합)가 생성되고 관리될 수 있다. 각 사용자들은 적어도 하나의 크루에 속할 수 있다. 이때, 각 사용자들은 기 생성된 복수의 크루 중 어느 한 크루에 가입함으로써 크루에 속할 수도 있고, 혹은 신규한 크루를 생성함으로써 크루에 속할 수 있다.
본 장치(10)는 사용자들의 수발주 활동을 크루별로 관리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해, 본 장치(10)는 복수의 사용자들이 등록한 발주 정보(수발주 정보)를 크루별로 관리할 수 있다. 각 크루에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가 포함될 수 있다.
본 장치(10)는 사용자들이 서로 일감을 공유함에 있어서, 자신이 속한 크루를 기반으로 일감을 공유하도록 할 수 있고, 특히 각 크루마다 각기 다르게 설정되어 있는 크루 룰을 기반으로 수발주 활동을 수행함으로써 일감을 공유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장치(10)는 공통된 목적을 가진 사용자들끼리 일감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고자, 크루(조합, 배차 조합) 개념을 도입하고, 이를 토대로 사용자들을 크루 별로 묶어 관리할 수 있다. 이때, 크루 내 사람이 많아짐에 따라(즉, 사용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보다 용이한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크루에는 룰(규칙)이 설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크루 룰은 각 크루 내 어느 한 명의 리더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이때, 크루 룰의 설정 정보에는 사용자의 수발주 활동에 따라 부여되는 수발주 활동 포인트의 설정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수발주 활동 포인트에는 발주 포인트 및 수주 포인트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크루 룰의 설정 정보는 각 크루 내 리더에 의해 각기 다르게 설정되어 적용될 수 있고, 본 장치(10)는 크루별 각기 다르게 설정된 크루 룰을 기반으로 복수의 수발주 정보에 대한 등록과 관리, 수발주 정보에 대한 사용자들의 수발주 활동에 대한 관리, 및 사용자들의 랭킹 정보의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장치(10)는 일예로 일감 1개당 점수를 매겨 랭킹을 정할 수 있으며, 이게 조합마다 점수가 달라서 전부 배차실장을 두고 관리를 시킬 수 있다. 즉, 본 장치(10)는 일감 1개당 점수를 포함한 여러가지 룰(규칙, 크루 룰)을 사용자(특히 리더)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배차 조합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일감 1개라 함은 하나의 수발주 정보를 의미하고, 일감 1개당 점수는 수발주 정보에 대하여 정해진 수발주 활동 포인트(즉, 발주 포인트, 수주 포인트)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일감 1개당 점수의 정보(즉, 수발주 정보에 대한 수발주 활동 포인트의 정보)를 포함한 크루 룰은 각 크루마다 각기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즉, 본 장치(10)는 이러한 수발주 정보에 정해진 수발주 활동 포인트의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수행한 수발주 활동에 대하여 수발주 활동 포인트를 지급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획득한 수발주 활동 포인트의 누적 포인트를 기반으로 사용자들의 랭킹 정보를 결정(산출)할 수 있다.
즉, 본원(즉, 본 시스템(100) 및 본 장치(10))은 복수의 크루(조합)을 관리하고 운영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크루(조합)는 배차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각 크루마다 서로 다른 규칙(크루 룰)이 설정/적용될 수 있다. 본원은 각 크루의 크루 룰은 각 크루 내 리더(크루 리더)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즉, 본 장치(10)는 각 크루(조합, 배차 조합)마다 다른 규칙이 자유롭게 설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크루(조합)의 운영이 가능한 배차 조합 지원 시스템/환경/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에서는 크루(조합)의 룰 설정이 가능하여 크루마다 각기 다른 계산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를 서버(즉, 본 장치(10))에서 자동 계산하여 랭킹을 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본 장치(10)에서는 크루(조합)마다 룰 설정(크루 룰의 설정)이 가능하며, 이때 각 크루 내 리더에 의해 크루 각각마다 서로 다른 크루 룰이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크루 룰의 설정 정보에는 수발주 활동 포인트의 설정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수발주 활동 포인트에는 발주 포인트 및 수주 포인트가 포함될 수 있다. 본 장치(10)는 각 크루마다 설정된 각기 다른 크루 룰을 기반으로 사용자들의 수발주 활동에 따른 수발주 활동 포인트를 사용자들에게 지급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지급된 수발주 활동 포인트의 누적 포인트를 기반으로 사용자들의 랭킹 정보를 결정(산출)할 수 있다. 이후, 본 장치(10)는 이러한 사용자들의 랭킹 정보를 고려하여 수발주 정보에 대하여 건설장비를 배차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본 장치(10)는 관리부(11), 랭킹 배차부(12), 화면 제어부(13) 및 회원 DB(14)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부(11)는 복수의 사용자(20)가 발주한 발주 정보를 복수의 수발주 정보로서 등록하고 관리하되, 복수의 수발주 정보를 복수의 크루별로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발주 정보는 현장 작업과 관련하여 필요한 장비정보, 날짜, 도착시간, 작업시간, 결제선택 및 작업주소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크루 각각에는, 각 크루의 리더에 의하여 수발주 활동 포인트(수발주 활동 포인트 설정 정보)를 포함한 크루 룰의 설정이 서로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즉, 크루별 크루 룰은 각 크루 내 리더에 의해 각기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크루 룰은 본원에서 수발주 활동 관련 룰이라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관리부(11)는 복수의 크루별로 각기 다르게 설정된 크루 룰을 기반으로 복수의 사용자(20)가 발주한(업로드한) 발주 정보인 복수의 수발주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수발주 활동 포인트는, 발주 정보의 업로드시 부여되는 발주 포인트 및 타 사용자가 업로드한 발주 정보에 지원하여 수주자로의 선정시 부여되는 수주 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크루 룰(수발주 활동 관련 룰)에는 수발주 활동 포인트(즉, 발주 포인트와 수주 포인트)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크루 룰(수발주 활동 관련 룰)에는 수발주 활동 포인트 뿐만 아니라, 가입조건, 가입비, 월회비, 룰공개 설정, 데이터 누적 기간, 수발주 수수료, 수주 시간 제한, 수주자 없을 시 시간 연장(수주자 없을 시 연장 시간 제한), 시간연장시 수주 조건, 하루 최대 수주량 제한(하루 최대 수주량), 점호 알림 시간 및 크루 활동 계좌번호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랭킹 배차부(12)는 사용자들의 랭킹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수발주 정보에 대한 건설장비의 배차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랭킹 정보는, 사용자의 수발주 활동 포인트의 누적 포인트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정보일 수 있다.
화면 제어부(13)는 랭킹 배차부(12)에서의 배차의 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의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화면 제어부(13)는 복수의 크루 중 제1 크루에 속해있는 제1 사용자(21)가 발주한 발주 정보인 수발주 정보를 제1 크루에 속한 제1 크루 사용자들에게 노출되도록 제어하고, 제어에 의해 제1 사용자(21)에 의해 업로드된 수발주 정보에 대응하는 일감 정보가 제1 크루 사용자들에게 공유될 수 있다. 즉, 화면 제어부(13)는 제1 크루 내 제1 사용자(21)가 발주한(업로드한) 수발주 정보의 경우, 제1 크루에 속한 사용자들(제1 크루 사용자들)에게만 보여지도록(노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복수의 크루 중 적어도 하나의 크루에 속해 있지 않은 사용자(크루 미소속 사용자)의 단말에는 복수의 사용자(20) 중 크루 미소속 사용자들이 발주한 수발주 정보만이 노출될 수 있다.
화면 제어부(13)는, 제1 크루에 속해있는 제1 사용자(21)가 제1 단말(21')을 통해 수주 메뉴를 클릭한 경우, 복수의 사용자 중 제1 크루에 속한 제1 크루 사용자들에 의해 등록된 제1 크루 내 복수의 수발주 정보의 리스트를 제1 사용자(21)의 제1 단말(21')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랭킹 배차부(12)는, 제1 크루 사용자들 중 제1 사용자(21)를 포함한 일부 사용자가 제1 수발주 정보에 대해 지원하고, 일부 사용자의 랭킹 정보를 기반으로 수주자를 선정한 결과 제1 사용자(21)가 수주자로 선정된 경우, 제1 사용자(21)의 건설장비가 제1 수발주 정보에 배차되도록 할 수 있다.
랭킹 배차부(12)는, 제1 수발주 정보에 대해 지원한 일부 사용자 중 제1 수발주 정보 내 장비정보와 매칭되는 장비정보를 가진 사용자들을 장비 매칭 사용자로서 1차 선별할 수 있다. 이후, 랭킹 배차부(12)는 1차 선별된 장비 매칭 사용자의 랭킹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제1 수발주 정보에서 요구하는 기 설정된 수주자 수에 해당하는 상위 랭킹 장비 매칭 사용자를 수주자로 선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화면 제어부(13)는 제1 사용자(21)가 제1 단말(21')을 통해 본 앱에 접속한 경우, 제1 단말(21')의 화면에 일예로 도 3에 도시된 화면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앱의 접속 화면 예를 나타낸다.
제1 사용자(21)는 본 앱에 기 등록된 회원인 경우 로그인을 수행하고, 비밀번호를 잊어버렸을 때 비밀번호 찾기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사용자(21)는 본 앱에 기 등록된 회원이 아닌 경우 회원가입을 수행할 수 있다.
회원가입을 위해, 화면 제어부(13)는 제1 단말(21') 상에 도 4 및 도 5와 같은 화면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회원가입 화면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 사용자(21)는 회원가입시 약관동의, 개인정보처리방침팝업 확인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사용자(21)는 회원가입시 개인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사용자(21)의 개인정보에는 이름(성명), 휴대전화번호(아이디), 장비정보, 사업자 정보 및 은행 계좌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개인정보에는 추천인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장비정보는 제1 사용자(21)가 소유한 건설장비(차량)에 관한 정보로서, 건설장비 정보, 차량 정보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장비정보에는 제1 사용자(21)가 소유한 장비(건설장비, 차량)와 관련하여, 장비 기종(톤수), 장비 길이, 연식, 차량번호, 차고지 주소, 옵션 및 전고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옵션 정보에는 일예로 굴절, 인증, 단축, 인버터, 원찌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서 장비(건설장비, 차량)는 일예로 스카이차, 굴착기, 덤프트럭, 불도저, 레미콘 등의 중장비 차량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건설과 관련된 다양한 유형의 차량이 고려될 수 있다. 여기서, 스카이차는 작업자가 탈 수 있는 작업대를 승강시켜 건물의 간판이나 높은 위치에 있는 광고물의 작업 등 높은 곳에서 작업하기 위한 장비를 갖춘 특장차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는 고소작업차, 바가지차, 활선차 등의 용어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굴착기는 굴삭기, 포클레인 등의 용어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관리부(11)는 회원가입이 완료된 복수의 사용자(20)의 개인정보를 회원 DB(14)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즉, 회원 DB(14)는 복수의 사용자(20)의 개인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회원 DB(14)는, 사용자(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개인정보로서 사용자의 이름, 휴대전화번호, 장비정보, 사업자 정보 및 은행 계좌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서로 연계시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장비정보는, 사용자가 소유한 건설장비와 관련하여 장비 기종(톤수), 장비 길이, 연식, 차량번호, 차고지 주소, 옵션 및 전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리부(11)는 복수의 사용자(20)가 발주한 발주 정보를 복수의 수발주 정보로서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장치(10)는 수발주 정보DB(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관리부(11)는 복수의 사용자(20)가 발주한 발주 정보를 복수의 수발주 정보로서 수발주 정보DB(미도시)에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제1 사용자(21)가 제1 단말(21')의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메뉴 중 일예로 [수주 메뉴]를 클릭하였을 때 표시되는 화면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화면 제어부(13)는 제1 사용자(21)가 제1 단말(21')을 통해 [수주 메뉴]를 클릭한 경우, 복수의 사용자(20)가 발주한 발주 정보인 복수의 수발주 정보(d1, d2, d3, …)의 리스트를 제1 단말(21')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제1 사용자(21)로부터 [수주 메뉴]에 대한 클릭(선택)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화면 제어부(13)는 수발주 정보 DB(미도시)에 등록된 복수의 수발주 정보(d1, d2, d3, …)의 리스트를 제1 단말(21')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수발주 정보(d1, d2, d3, …)는 일자리(일거리, 일감)를 제공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도 6에는 일예로 제1 사용자(21)가 적어도 하나의 크루에 속해있지 않은 사용자(크루 미소속 사용자)일 때, 복수의 사용자(20)가 발주한 발주 정보인 복수의 수발주 정보(d1, d2, d3, …)의 리스트가 제1 사용자(21)의 제1 단말(21')의 화면에 표시되는 경우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반면, 도 16에는 다른 일예로 제1 사용자(21)가 복수의 크루 중 어느 한 크루(일예로, '슈퍼스카이'라는 크루명을 가진 크루)에 속해있는 사용자(특정 크루 소속 사용자)일 때, 복수의 사용자(20)가 발주한 발주 정보인 복수의 수발주 정보(d1, d2, d3, …)의 리스트가 아닌, 복수의 사용자 중 특히나 제1 크루에 속한 제1 크루 사용자들에 의해 발주된(등록된, 업로드된) 복수의 수발주 정보(즉, 제1 크루 내 복수의 수발주 정보)의 리스트가 제1 사용자(21)의 제1 단말(21')의 화면에 표시되는 경우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도 16과 도 6 간에는 수발주 정보가 크루별로 관리되고 있는지 혹은 크루별 관리가 아닌 전체 수발주 정보에 대해 관리되고 있는지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수발주 정보(d1)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복수의 수발주 정보(d1, d2, d3, …) 각각 내지 제1 크루 내 복수의 수발주 정보 각각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달리 말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내용(즉, 제1 사용자가 크루 미소속 사용자인 경우일 때 설명되는 내용)은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내용(즉, 제1 사용자가 어느 한 크루에 속해있는 사용자인 경우일 때 설명되는 내용)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화면 제어부(13)는 제1 단말(21')에 리스트의 표시시, 리스트 내 복수의 수발주 정보(d1, d2, d3, …) 각각의 상태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태 정보는 일예로 '지원하기 상태', '배차완료 상태', '배차중 상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수발주 정보가 '지원하기 상태'라 함은 복수의 사용자(20) 누구나 지원이 가능한 상태이되, 제1 사용자(21)는 현재 지원을 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수발주 정보가 '배차완료 상태'라 함은 해당 수발주 정보에 대하여 수주자가 결정되어 배차의 지정(결정)이 완료됨에 따라 지원이 불가능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수발주 정보가 '배차중 상태'라 함은 복수의 사용자(20) 누구나 지원이 가능한 상태이되, 제1 사용자(21)는 현재 지원을 한 상태이고, 아직 배차 지정(결정)은 완료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관리부(11)는 복수의 수발주 정보에 대한 사용자들의 지원 현황(상태)에 따라, 복수의 수발주 정보(d1, d2, d3, …) 각각의 상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복수의 수발주 정보(d1, d2, d3, …)의 리스트 내 어느 하나의 수발주 정보를 제1 사용자(21)가 클릭한 경우, 화면 제어부(13)는 제1 사용자(21)가 클릭한 어느 하나의 수발주 정보에 대한 상세 정보를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예로 팝업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제1 사용자(21)는 [수주 메뉴] 내 [금일배차현황 메뉴]를 클릭한 경우, 금일 배차현황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금일 배차현황 정보에는 장비 기종(톤수)별 배차량, 배차총액, 평균등수, 최고/최저 등수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등수는 랭킹 등수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사용자(21)는 '지원하기 상태'에 있는 수발주 정보에 지원함으로써, 자신이 소유한 장비(건설장비, 차량)의 배차를 신청(즉, 일거리 할당을 신청)할 수 있다.
제1 사용자(21)가 [수주 메뉴] 내 [나의배차 메뉴]를 클릭한 경우, 화면 제어부(13)는 제1 사용자(21)가 관여한 수발주 정보의 리스트를 제1 단말(21')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사용자(21)가 관여한 수발주 정보에는 일예로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사용자(21)가 현재 지원중 상태에 있는 수발주 정보, 자신이 지원한 이후 수주자로 선정됨에 따라 배차가 완료된 상태에 있는 수발주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일예로 제1 사용자(21)가 복수의 수발주 정보(d1, d2, d3, …) 중 제1 수발주 정보(d1)에 지원했다고 하자. 이후, 지원 결과 제1 수발주 정보(d1)에 대하여 제1 사용자(21)가 수주자로 선정되었다고 하자. 이러한 경우, 관리부(11)는 제1 수발주 정보(d1)의 상태 정보를 배차완료 상태로 변경해 관리하고, 이에 따라 화면 제어부(13)는 제1 수발주 정보(d1)의 상태 정보가 배차완료 상태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배차완료가 결정되면, 제1 사용자(21)는 제1 수발주 정보(d1)에서 요구하는 조건(일예로, 날짜, 도착시간, 작업시간 등)에 맞추어 해당 날짜에 자신이 소유한 장비(건설장비, 차량)를 가지고 현장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후 현장 작업의 수행에 대한 대가(요금, 일당)을 지불받을 수 있다. 여기서, 대가(요금, 일당)는 제1 사용자(21)가 벌어들인 금액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는 일예로 도 13에 도시된 제1 사용자(21)의 랭킹 정보 내에서 '수주금액'의 용어로서 달리 표현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제1 사용자(21)가 제1 단말(21')을 통해 발주 정보를 업로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제1 사용자(21)는 발주 정보를 입력하고 발주를 할 수 있다.
발주 정보는 현장 작업과 관련하여 필요한(요구되는) 정보로서, 장비정보, 날짜, 도착시간, 작업시간, 결제선택 및 작업주소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21)는 이러한 발주 정보를 발주 정보 입력 화면 내 각 메뉴(즉, 차량 선택 메뉴, 날짜 메뉴, 도착 시간 메뉴, 작업 시간 메뉴, 결제 선택 메뉴, 작업주소/내용 메뉴)를 클릭함으로써 해당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장비정보는 [차량 선택 메뉴]를 클릭함으로써 입력될 수 있고, 장비정보에는 장비 기종(톤수), 장비 길이, 옵션 및 전고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날짜 정보는 현장 작업이 이루어지는 날짜를 의미할 수 있다. 도착시간 정보는 현장 작업에 도착해야 하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작업시간 정보는 현장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시간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는 일예로 날짜(day), 시간 단위로 선택할 수 있다. 결제선택 정보는 수주자에게 지급되는 대가(요금, 일당)에 대한 결제 지불 정보로서, 결제선택 정보에는 발주금액, 오더비 지급일 정보, 싸인 종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작업주소 관련 정보는 [작업주소/내용 메뉴]를 클릭함으로써 입력될 수 있고, 작업주소 관련 정보에는 작업주소 정보(즉, 현장 작업이 이루어지는 장소의 주소 정보), 전달사항 정보, 거래처 정보, 현장 담당자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거래처 정보에는 거래처명, 거래처 전화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사용자(21)는 자신이 입력한 발주 정보를 확인한 후, 이상이 없으면 발주를 완료할 수 있다. 제1 사용자(21)가 발주한 발주 정보는 본 장치(10)에 업로드될 수 있으며, 관리부(11)는 제1 사용자(21)가 제1 단말(21')을 통해 업로드한 발주 정보를 수발주 정보로서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제1 사용자(21)가 업로드한 발주 정보인 수발주 정보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주 메뉴]를 통해 리스트 형태로 노출될 수 있으며, 이는 제1 사용자(21)를 포함하여 본 앱에 접속한 모든 사용자들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화면 제어부(13)는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출퇴근 관리 화면을 제1 단말(21')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사용자(21)는 본 앱을 통해 출/퇴근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일예로, 관리부(11)는 제1 사용자(21)의 출/퇴근을 관리할 수 있다. 관리부(11)는 일예로 제1 사용자(21)가 본 앱에 접속한 경우 제1 사용자(21)가 출근한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21)가 퇴근팝업 화면을 통해 퇴근 정보로서 퇴근시간과 퇴근장소를 선택하고 저장한 경우, 관리부(11)는 제1 사용자(21)가 퇴근한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일예로 본 장치(10) 내에 특정 건설회사(일예로 제1 건설회사)에 해당하는 크루인 제1 크루가 생성되어 있고, 제1 크루에 속해있는 사용자가 20명이라고 하자. 이때, 제1 크루에 속해있는 사용자들(20명의 사용자들)은 일예로 제1 건설회사와 관련된 사용자를 의미할 수 있다. 일예로, 제1 크루에 속해있는 20명의 사용자들 중 1명은 제1 크루의 리더로서 제1 건설회사를 관리하는 관리자일 수 있다. 리더를 제외한 제1 크루에 속해있는 19명의 사용자들은 제1 크루의 크루원으로서 제1 건설회사에서 귀속되어 일하는 사용자(건설장비를 소유한 사용자)를 의미할 수 있다. 일예로 크루원들 각각은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출퇴근을 입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크루의 리더는 자신의 단말을 통해 제1 건설회사에 귀속된 사용자들(크루원들)의 출퇴근을 손쉽게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장치(10)는 랭킹 관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랭킹 관리부(미도시)는 복수의 사용자(20) 각각의 랭킹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랭킹 정보는 각 사용자들의 수발주 활동에 대하여 부여되는 포인트(즉, 수발주 활동 포인트의 누적 포인트) 를 기반으로 기반으로 결정(산정)되는 것일 수 있다. 랭킹 관리부(미도시)는 각 사용자들에게 포인트(수발주 활동 포인트)를 부여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랭킹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랭킹 정보에 대한 예는 도 13을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3은 제1 사용자(21)의 랭킹 정보의 화면 표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사용자(21)의 랭킹 정보에는 랭킹 순위 정보, 회원번호, 누적포인트, 총수주금액, 발주건/수주건, 차종/차고지, 변동예정포인트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랭킹 순위 정보는 본 장치(10)를 이용하는 전체 사용자 수(일예로 1300명) 대비 본인의 랭킹 순위 정보(일예로 74위)를 의미할 수 있다. 회원번호는 본 장치(10)에 가입한 사용자(회원)에게 할당되는 고유 번호를 의미할 수 있다. 누적포인트는 제1 사용자(21)가 수발주 활동을 수행함에 따라 획득한 포인트(수발주 활동 포인트)의 누적 값인 누적 포인트를 의미할 수 있다. 총수주금액은 일예로 제1 사용자(21)가 수발주 활동을 통해 실제 벌어들인 대가(요금, 일당)의 총 금액을 의미할 수 있다. 차종 정보는 제1 사용자(21)가 소유한 장비(건설장비, 차량)정보를 의미하고, 차고지 정보는 제1 사용자(21)가 소유한 장비의 차고지 정보로서, 일예로 서울 등의 지역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발주 건의 개수는 제1 사용자(21)가 업로드한(등록한, 발주한) 발주 정보(수발주 정보)의 개수를 의미하고, 수주 건의 개수는 제1 사용자(21)가 타인이 업로드한 수발주 정보에 지원한 후 수주자로서 선정된 횟수(개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본원에서 일예로 사용자가 발주 활동을 했다라 함은 발주 정보를 업로드하는 행위의 활동을 했음을 의미하고, 수주 활동을 했다라 함은 타인이 업로드한 발주 정보에 지원하는 행위의 활동(특히, 지원한 후 수주자로서 선정되어 실제 현장 작업을 수행한 활동)을 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발주 활동과 수주 활동은 수발주 활동이라는 용어로 통칭되어 표현될 수 있다. 변동예정포인트 정보는 제1 사용자(21)가 수발주 활동을 수행함에 따라 획득되거나 차감되는 포인트(수발주 활동 포인트)의 변동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랭킹 배차부(12)에 대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랭킹 배차부(12)는 사용자들의 랭킹 정보를 기반으로 배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장치(10)는 랭킹 배차부(12)를 통해 랭킹이 높은 사용자(우수 기사)의 장비가 우선으로 배차되도록 하는 랭킹 기반 배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랭킹 배차부(12)는 복수의 사용자(20) 중 제1 사용자(21)를 포함한 일부 사용자가 제1 수발주 정보(d1)에 대해 지원하고, 일부 사용자의 랭킹 정보를 기반으로 수주자를 선정한 결과 제1 사용자(21)가 수주자로 선정된 경우, 수주자로 선정된 제1 사용자(21)의 건설장비가 제1 수발주 정보(d1)에 배차되도록 할 수 있다.
랭킹 배차부(12)는, 제1 수발주 정보(d1)에 대해 지원한 일부 사용자 중 제1 수발주 정보 내 장비정보와 매칭되는 장비정보를 가진 사용자들을 장비 매칭 사용자로서 1차 선별할 수 있다. 이후, 랭킹 배차부(12)는 1차 선별된 장비 매칭 사용자의 랭킹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제1 수발주 정보(d1)에서 요구하는 기 설정된 수주자 수에 해당하는 상위 랭킹 장비 매칭 사용자를 수주자로 선정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제1 사용자(21)가 일거리를 구하기 위해 복수의 수발주 정보(d1, d2, d3, …) 중 제1 수발주 정보(d1)에 지원했다고 하자. 그리고, 제1 수발주 정보(d1)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제1 수발주 정보(d1)에 지원한 사용자(지원자)가 제1 사용자(21)를 포함하여 총 60명이고, 제1 수발주 정보(d1) 내 기 설정된 수주자 수가 1명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하자.
여기서, 기 설정된 수주자 수는 구하고자 하는 수주자의 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는 수발주 정보(즉, 발주 정보)를 업로드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고, 1명, 2명 등 다양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수발주 정보(d1)에 대하여 지원이 이루어지는 시간인 미리 설정된 시간은, 수발주 정보를 업로드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고, 이는 본원에서 '수주 시간 제한' 정보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일예로, 제1 수발주 정보(d1)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수주 시간 제한)이 5분으로 설정된 경우, 복수의 사용자(20)는 제1 수발주 정보(d1)가 업로드된 이후 5분 내에 제1 수발주 정보(d1)에 대해 지원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제1 수발주 정보(d1)에 지원한 사용자(지원자)가 제1 사용자(21)를 포함하여 총 60명이라 하자. 이때, 랭킹 배차부(12)는 제1 수발주 정보(d1)에 건설장비를 배차시키기 위해, 복수의 사용자(20) 중 제1 수발주 정보(d1)에 지원한 일부 사용자인 60명의 사용자들 중 제1 수발주 정보(d1) 내 장비정보와 매칭되는 장비정보를 가진 사용자들을 장비 매칭 사용자로서 1차 선별할 수 있다. 이때, 1차 선별된 장비 매칭 사용자가 55명이라고 하자.
이후, 랭킹 배차부(12)는 55명의 사용자들의 랭킹 정보를 확인하고, 55명의 사용자들을 랭킹이 높은 순으로 정렬시킬 수 있다. 그리고, 랭킹 배차부(12)는 제1 수발주 정보(d1) 내 기 설정된 수주자 수가 1명으로 설정되어 있음에 따라, 55명의 사용자들 중 랭킹이 가장 높은 사용자(상위 랭킹 장비 매칭 사용자)를 수주자로서 선정할 수 있다. 이때, 선정된 수주자가 제1 사용자(21)라고 하자. 이후, 랭킹 배차부(12)는 제1 사용자(21)의 장비(건설장비)가 제1 수발주 정보(d1)에 배차되도록 할 수 있다.
화면 제어부(13)는 랭킹 배차부(12)에 의한 배차의 결과를 기반으로, 제1 사용자(21)가 소지한 제1 단말(21')의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수발주 정보(d1)에 대한 배차가 완료되면, 관리부(11)는 제1 수발주 정보(d1)의 상태 정보를 배차완료 상태로 변경해 관리하고, 이에 따라 화면 제어부(13)는 제1 수발주 정보(d1)의 상태 정보가 배차완료 상태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제1 사용자(21)는 제1 수발주 정보(d1)에서 요구하는 조건(일예로, 날짜, 도착시간, 작업시간 등)에 맞추어 해당 날짜에 자신이 소유한 장비(건설장비, 차량)를 가지고 현장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크루(crew) 관련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크루는 공통된 목적을 이루거나 도모하기 위해 모인 사람들의 집단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원에서 크루는 조합, 그룹, 팀 등의 용어로 달리 표현될 수 있다. 본원에서 복수의 크루 중 어느 한 크루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복수의 크루 각각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그 반대로도 적용될 수 있다.
제1 사용자(21)는 기 생성된 복수의 크루 중 어느 한 크루에 대한 가입 및/또는 신규 크루의 생성이 가능할 수 있다. 관리부(11)는 복수의 사용자(20)에 의해 업로드되는 복수의 수발주 정보를 크루별로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즉, 수발주 정보 DB(미도시)에 등록된 복수의 수발주 정보(d1, d2, d3, …)에 대한 등록 및 관리는 해당 발주자 정보를 업로드한 사용자가 속한 크루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사용자(21)는 복수의 크루 중 적어도 하나의 크루에 가입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속한 크루 내에서 수발주 활동의 수행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각 크루 내 리더는 자신이 속한 크루에서의 수발주 활동에 대한 수발주 활동 관련 룰(즉, 크루 룰)을 설정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본 장치(10)에서 고려되는 복수의 크루에는 각 크루마다 서로 다른 수발주 활동 관련 룰(크루 룰)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수발주 활동 관련 룰(크루 룰)의 설정 정보에는, 가입조건, 가입비, 월회비, 데이터 누적 기간, 수발주 수수료, 수발주 활동 포인트(즉, 발주 포인트와 수주 포인트), 수주 시간 제한, 수주자 없을 시 시간 연장, 시간연장시 수주 조건, 하루 최대 수주량 제한 및 점호 알림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예로, 제1 사용자(21)가 복수의 크루 중 제2 크루에 가입하여 소속되어 있다고 하자. 이때, 제1 사용자(21)는 자신이 속한 크루(제2 크루) 내에서 수발주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1 사용자(21)가 일예로 발주 정보를 업로드하면, 제1 사용자(21)가 업로드한 발주 정보는 수발주 정보로서 제2 크루에 속한 사용자들에게만 공유되고 노출될 수 있다.
장비(건설장비, 차량)를 가진 사용자들(차주들)은 본 장치(10)를 통하여 자신이 속한 크루 내 사용자들에게 일거리(일감, 일자리)를 공유할 수 있다. 본 장치(10)는 건설장비를 가진 사용자들이 일거리를 공유하는 조합 개념의 크루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장치(10)에서 고려되는 크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화면 제어부(13)는 제1 사용자(21)가 제1 단말(21')을 통해 [크루 메뉴]를 클릭한 경우, 일예로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크루의 리스트를 제1 단말(21')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1 사용자(21)는 [크루 메뉴] 내 [크루만들기 메뉴]를 클릭함으로써 신규한 크루를 생성할 수 있다. 크루 생성시, 화면 제어부(13)는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은 크루 생성화면을 제1 단말(21')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사용자(21)는 신규 크루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21)는 [크루 메뉴] 내 검색란에 크루명을 입력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크루명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21)는 화면에 표시된 리스트 내 복수의 크루 중 어느 한 크루에 대하여 가입신청을 할 수 있고, 어느 한 크루의 크루 룰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본원에서 크루 룰은 수발주 활동 관련 룰 이라는 용어와 혼용되어 표현될 수 있다.
일예로, 복수의 크루 중 제2 크루가 '원탑 스카이 룰'이라는 크루명을 가졌다고 하자. 그리고, 제1 사용자(21)가 제2 크루에 대하여 룰보기 항목을 클릭한 경우, 화면 제어부(13)는 제1 단말(21')의 화면에 제2 크루의 크루 룰을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2 크루의 크루 룰은 제2 크루를 생성한 사용자이자 제2 크루를 대표하는 사용자인 제2 크루 리더에 의해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일예로, 제1 사용자(21)가 '슈퍼스카이'라는 크루명을 가진 제3 크루에 가입을 완료한 경우, 화면 제어부(13)는 제1 단말(21')에 도 16에 도시된 '가입 크루_상세 화면'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사용자(21)가 제3 크루에 가입한 경우, 제1 사용자(21)는 제3 크루 내 [수주 메뉴]를 통하여 자신이 속한 제3 크루에서 발생된 수발주 정보의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21)의 제1 단말(21')에는 자신이 속한 크루(일예로 제3 크루)에서 발생된 공지 정보가 일예로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공지 정보에는 일예로 제3 크루 내에서의 금일 배차 현황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22는 크루 리더인 사용자의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화면 제어부(13)는 일예로 제1 사용자(21)가 제3 크루의 리더인 경우(즉, 크루 리더인 경우), 도 17 내지 도 22에 도시된 화면이 제1 사용자(21)의 제1 단말(21')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참조하면, 제1 사용자(21)가 크루 리더인 경우, 화면 제어부(13)는 제1 단말(21')에 복수의 관리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관리 메뉴에는 내정보, 공지하기, 정산내역&캐시입출금, 알림설정, 발주알림, 알림지역설정, 룰설정, 크루원관리, 앱 추천하고 포인트받기, 크루탈퇴, 크루해체, 크루사용료 안내 등의 관리 메뉴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사용자(21)는 '발주알림' 관리 메뉴를 통해,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자신이 속한 크루(일예로 제3 크루)에서 발생되는 모든 발주 알림을 수신할 것인지, 자신이 소유한 장비와 동일한 장비와 관련해 발생되는 발주 알림만 수신할 것인지(즉, 내 차종만 받기를 할 것인지), 혹은 발주 알림을 받지 않을 것인지를 설정할 수 있다.
제1 사용자(21)는 '룰설정' 관리 메뉴를 통해, 도 15 및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자신이 속한 크루(일예로 제3 크루)에 대한 크루 룰(수발주 활동 관련 룰)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크루 룰(수발주 활동 관련 룰)의 설정 정보에는 가입조건, 가입비, 월회비, 룰공개 설정, 데이터 누적 기간, 수발주 수수료, 수발주 활동 포인트(즉, 발주 포인트와 수주 포인트), 수주 시간 제한, 수주자 없을 시 시간 연장(수주자 없을 시 연장 시간 제한), 시간연장시 수주 조건, 하루 최대 수주량 제한(하루 최대 수주량), 점호 알림 시간, 크루 활동 계좌번호 등의 설정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크루별로 크루 룰이 각기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크루 룰은 각 크루 내 리더(크루 리더)가 설정할 수 있다.
크루 룰 설정 정보 중 수발주 활동 포인트의 설정 정보에는, 발주 정보의 업로드시 부여되는 발주 포인트의 설정 정보 및 타 사용자가 업로드한 발주 정보에 지원하여 수주자로의 선정시 부여되는 수주 포인트의 설정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발주 포인트 및 수주 포인트는 시간, 반일, 하루를 기준으로 포인트의 수준(정도)이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일예로, 제3 크루의 리더인 제1 사용자(21)가 제3 크루의 크루 룰 중 발주 포인트의 설정을 '1시간:1포인트, 반일: 2포인트, 하루: 3포인트'라고 설정하였다고 하자. 이러한 경우, 일예로 제3 크루에 속한 크루원 중 한 사람이 '작업시간:1시간'이라는 정보를 갖는 발주 정보를 발주한 경우, 해당 발주 정보를 발주한 사용자에게는 수발주 활동 포인트로서 1포인트가 지급될 수 있다. 다른 일예로, 제3 크루에 속한 크루원 중 한 사람이 '작업시간: 1일'이라는 정보를 갖는 발주 정보를 발주한 경우, 해당 발주 정보를 발주한 사용자에게는 수발주 활동 포인트로서 3포인트가 지급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일예에서는, 수주 포인트의 경우 '1시간:0포인트, 반일: -1포인트, 하루: -2포인트'와 같이 설정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는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수주 포인트 및 발주 포인트의 기준별(즉, 시간, 반일, 하루 별) 설정 포인트의 수준은 크루 리더에 의해 다양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각 크루의 리더는 가입비, 월회비, 데이터 누적 기간, 수발주 수수료, 수주 시간 제한, 수주자 없을 시 시간 연장(수주자 없을 시 연장 시간 제한), 시간연장시 수주 조건, 하루 최대 수주량 제한(하루 최대 수주량), 점호 알림 시간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수주 시간 제한은 발주 정보의 업로드 이후 업로드된 발주 정보에 대하여 지원이 가능한 시간의 기한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일에로 5분 등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점호 알림 시간의 경우, 제1 사용자(21)가 지정한 점호시간에 크루원에게 일정 수정요청에 대한 푸시알림이 발송될 수 있으며, 일정 수정 정보가 회신되면 기존 일정은 삭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점호 알림 시간마다 크루원들의 일정 정보가 업데이트될 수 있다.
크루 룰(수발주 활동 관련 룰) 내 각 항목의 상세 설명 예는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사항을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는바,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제1 사용자(21)는 '크루원 관리' 메뉴를 통해, 도 2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자신의 크루(제3 크루)에 속한 크루원들의 상태를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21)는 자신이 속한 크루를 탈퇴하고자 하는 경우, '크루탈퇴' 관리 메뉴를 통해 탈퇴를 진행할 수 있으며, 이때 도 2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크루 탈퇴시 차기 리더를 지정할 수 있다.
도 23은 크루원인 사용자의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화면 제어부(13)는 일예로 제1 사용자(21)가 제3 크루 내 크루원인 경우 도 23에 도시된 화면이 제1 사용자(21)의 제1 단말(21')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참조하면, 제1 사용자(21)가 크루원인 경우, 화면 제어부(13)는 제1 단말(21')에 복수의 관리 메뉴로서, 내정보, 정산내역&캐시입출금, 알림설정, 발주알림, 알림지역설정, 앱 추천하고 포인트받기 등의 관리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사용자(21)가 제3 크루의 탈퇴시, 일예로 제3 크루에서 활동했던 모든 수발주 활동 내역의 데이터는 삭제될 수 있다.
도 24 내지 도 28은 본 장치(10)를 이용하는 모든 사용자의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화면 제어부(13)는 본 장치(10)를 이용하는 제1 사용자(21)의 제1 단말(21')의 화면에 본 앱의 설정 화면으로서 도 24 내지 도 28에 도시된 것과 같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1 사용자(21)는 내정보 관리, 자신이 등록한 장비(건설장비, 차량)의 관리, 정산내역&캐시입출금 관리, 알림설정, 발주알림 설정, 알림지역설정, 크루별 알림 관리, 배차거부 회원등록 관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사용자(21)는 정산내역&캐시입출금 관리 메뉴를 통해, 본 앱을 통해 수발주 활동을 수행함으로써 획득한 대가(요금, 일당)를 정산하여 정산내역을 볼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21)는 해당 대가를 출금하거나 혹은 캐시를 충전해 둘 수 있다. 이때, 정산내역 및 캐시입출금 내역의 경우, 본 앱에 관련된 데이터만 보거나, 특정 크루에 속한 데이터만 보거나, 입출금 내역만 보거나 하는 등 필터를 적용하여 원하는 것만 확인해 볼 수 있다. 제1 사용자(21)는 충전해둔 캐시로 크루 가입비, 월회비 등을 납부할 수 있으며, 혹은 충전된 캐시를 현금으로 출금할 수 있다.
제1 사용자(21)는 본 앱을 이용함에 있어서, 발주 알림에 대한 설정(즉, 수발주 정보가 업로드 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설정)을 전지역으로 설정할 수도 있고, 혹은 일부 지역으로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일부 지역은 경상북도, 경기도, 강원도, 서울, 인천, 부산 등과 같이 시, 도, 군, 읍 등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는 본원이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예로, 제1 사용자(21)가 발주 알림을 일부 지역으로서 서울을 설정했다고 하자. 이러한 경우, 제1 사용자(21)는 본 앱에서 발생되는 복수의 수발주 정보 중 서울 지역에 해당하는 수발주 정보만(즉, 서울에서의 일감이 있는 수발주 정보만) 제공받을 수 있다.
다른 일예로, 발주 알림에 대한 지역 설정은 제1 사용자(21)의 직접 영역 설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화면 제어부(13)는 일예로 제1 단말(21’)로 지도를 제공하고, 제1 사용자(21)는 지도 상에서 자신이 발주 알림을 받기를 희망하는 영역의 범위를 직접 드래그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처럼 제1 사용자(21)가 발주 알림에 대한 지역 설정을 직접 영역 지정으로 설정할 수 있음에 따라, 제1 사용자(21)는 일반적으로 경기도, 강원도, 인천, 서울 등과 같이 광범위하게 영역을 설정하는 것과 대비하여, 자신이 실제 원하고 이동 가능한 영역의 지역만을 세밀하게 설정 가능하여 보다 만족스러운 일거리를 수행(현장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발주 알림 지역을 제1 사용자(21)가 직접 영역을 지정해 설정할 수 있음에 따라, 제1 사용자(21)는 자신이 실제 원하고 이동 가능한 영역의 지역으로 일거리를 구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21)는 [차량관리] 메뉴를 통해 자신이 소유한 장비(건설장비, 차량)를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장비를 복수개 소유한 경우 복수개의 장비를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21)는 [배차거부 회원등록] 관리 메뉴를 통해 배차 요청을 받고싶지 않은 회원(즉, 배차를 거부하고자 하는 회원)을 등록/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1 사용자(21)는, 제1 사용자(21)가 배차거부 회원으로 등록해둔 사용자가 업로드한 발주 정보인 수발주 정보에 대한 알림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이밖에, 화면 제어부(13)는 공지사항, FAQ 화면을 제1 단말(21')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제2 사용자가 업로드한 발주 정보인 제1 수발주 정보(d1)가 "차종: 3T 26~32 M, 주소: 서울 광진구 구의동 24-1, 일시: 4월 30일 수요일 14:30~16:30"와 같다고 하자. 이러한 경우, 제2 사용자가 발주자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수발주 정보(d1)에 대하여 수주자가 제1 사용자(21)로 선정되어 제1 사용자(21)의 건설장비가 제1 수발주 정보(d1)에 배차되었다고 하자.
이러한 경우, 제1 사용자(21)는 4월 30일 수요일에 '서울 광진구 구의동 24-1'에 해당하는 위치로 14:30까지 자신이 소유한 건설장비(차종: 3T 26~32 M)를 가지고 간 다음 16:30분까지 현장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런데, 만약 제1 사용자(21)가 4월 30일 수요일에 정해진 시간(즉, 14:30)에 맞추어 작업 현장의 위치로 이동하는 중에 제1 사용자(21)의 건설장비가 고장이나거나 교통사고로 인한 교통 정체 등의 이유로 정해진 시간에 도착이 불가능할 것 같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1 사용자(21)는 제1 수발주 정보(d1)에 대하여 배차 취소를 할 수 있다.
이때, 배차 취소를 한 제1 사용자(21)에게는 패널티 포인트가 부여될 수 있으며, 이러한 패널티 포인트는 랭킹 정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즉, 랭킹 관리부(미도시)는 제1 사용자(21)가 배차 완료된 제1 수발주 정보(d1)에 대하여 배차 취소를 한 경우, 제1 사용자(21)에게 패널티 포인트를 부여할 수 있다. 랭킹 관리부(미도시)는 제1 수발주 정보(d1)의 작업 시작 시간(도착 시간인 14:30) 대비 배차 취소가 이루어진 시간 간의 시간 차이를 기반으로 패널티 포인트를 차등 지급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랭킹 관리부(미도시)는 작업 시작 시간(14:30)을 기준으로 패널티 포인트를 다음과 같이 지급할 수 있다. 일예로, 작업 시작 시간으로부터 이틀 전에 배차 취소가 이루어진 경우 패널티 포인트는 -1점, 이틀전부터 하루 전 사이에 배차 취소가 이루어진 경우 -2점, 하루전부터 12시간 이전 사이에 배차 취소가 이루어진 경우 -3점, 12시간 전부터 6시간 전 사이에 배차 취소가 이루어진 경우 -4점, 6시간 전부터 1시간 전 사이에 배차 취소가 이루어진 경우 -5점, 1시간 전부터 그 사이에 배차 취소가 이루어진 경우 -6점, 만약 작업 시작 시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제1 사용자(21)가 말없이 나타나지 않고 배차 취소도 하지 않은 경우 -10점을 패널티 포인트로서 지급할 수 있다.
일예로, 작업 시작 시간(14:30)으로부터 2시간 전에 제1 사용자(21)가 배차 취소를 했다고 하자. 이러한 경우, 랭킹 배차부(12)는 수주자를 재선정할 수 있다.
이때, 수주자의 재선정시, 랭킹 배차부(12)는 작업 시작 시간으로부터 6시간 이전에 해당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그보다 이전에 배차 취소가 이루어진 경우에 대해서는 기본 방식으로 수주자의 재선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기본 방식이라 함은 제1 수발주 정보(d1)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수주 시간 제한으로 설정된 시간) 동안 지원한 사용자들 중 랭킹 순위가 높은 사용자의 장비를 우선으로 하여 배차시키는 방식(즉, 랭킹 정보를 기반으로 배차시키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만약, 작업 시작 시간으로부터 6시간 이전에 해당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그보다 이후에 배차 취소가 이루어진 경우(예시적으로, 작업 시작 시간으로부터 2시간 전에 배차 취소가 이루어진 경우), 긴급한 상황임을 고려하여 랭킹 배차부(12)는 복수의 사용자(20) 중 제1 수발주 정보(d1)에서 요구하는 장비를 소유하고 있고, 현재 일을 하고 있지 않으며(즉, 차고지에 자신의 장비가 머물러 있어, 장비를 운전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며),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이 전원 on 상태이고, 나아가 작업 현장까지의 이동 거리가 가장 가까운 사용자를 우선으로 하여 수주자로 재선정하여 제1 수발주 정보(d1)에 대하여 재배차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현재 일을 하고 있지 않은지 여부는 복수의 수발주 정보에 대한 배차완료 상태를 기반으로 확인될 수 있다. 즉, 제3 사용자가 제2 수발주 정보(d2)에 대하여 수발주로 선정되어 제2 수발주 정보(d2)가 배차완료 상태이면, 제3 사용자는 제2 수발주 정보(d2)에 기재된 작업 시간 동안에는 일을 하고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고, 그 이외의 시간에는 일을 하고 있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작업 현장까지의 이동 거리는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의 위치와 사용자가 소유한 장비(건설장비, 차량)의 차고지 위치 간의 거리인 제1 거리, 및 차고지 위치와 작업 현장의 위치 간의 거리인 제2 거리를 합한 거리 값(즉, 제1 거리+제2 거리=작업 현장까지의 이동거리)으로 산출된 것일 수 있다.
각 사용자마다 자신의 장비(건설장비, 차량)를 세워둔 차고지의 위치는 사용자의 거주지로부터 가까이 있을 수도 있고, 혹은 멀리 있을 수도 있다. 이때, 동일 사용자가 특정 작업 장소의 위치까지 이동함에 있어서, 일예로 거주지로부터 가까운 위치의 차고지에 세워져 있는 장비를 끌고 작업 장소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거주지로부터 먼 위치의 차고지에 세워져 있는 장비를 끌고 작업 장소로 이동하는 경우와 대비하여 작업 장소까지의 이동 시간이 더 짧게 걸릴 것이다(즉, 해당 사용자가 작업 현장에 더 빨리 도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랭킹 배차부(12)는 수주자의 재선정 수행시, 긴급 상황임을 고려하여 보다 빨리 작업 현장에 도착할 수 있는 사용자를 우선으로 선정하기 위해, 단순히 사용자의 단말의 위치와 작업 현장의 위치 간의 거리가 가장 짧은 사용자를 수주자로 재선정 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부터 차고지 위치를 경유하여 작업 현장의 위치까지의 거리가 가장 짧은 사용자(작업 현장까지의 이동 거리가 가장 짧은 사용자)를 수주자로 재선정할 수 있다.
또한, 수주자의 재선정시 전원 on 상태의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를 우선으로 고려하는 것은 수주자의 선정의 확정이 보다 빨리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사용자(21)가 제1 수발주 정보(d1)에 대해 배차 취소를 한 이후, 랭킹 배차부(12)가 수주자 재선정을 위해 복수의 사용자(20)의 상태를 파악한 결과, 제3 사용자가 '3T 26~32 M' 장비를 소유하고 있고 단말이 전원 on 상태에 있으며, 작업 현장까지의 이동거리가 10km로 파악되었다고 하자. 그리고, 제4 사용자의 경우 '3T 26~32 M' 장비를 소유하고 있고 단말이 전원 on 상태에 있으며, 작업 현장까지의 이동거리가 25km로 파악되었다고 하자.
이러한 경우, 랭킹 배차부(12)는 배차 취소가 이루어진 제1 수발주 정보(d1)에 대한 수주자로서 제3 사용자를 임시로 재선정할 수 있다. 이때, 랭킹 배차부(12)는 임시로 재선정된 제3 사용자가 '배차 수락 응답'을 한 경우, 제3 사용자를 재선정된 수주자로 확정할 수 있다. 반면, 랭킹 배차부(12)는 임시로 재선정된 제3 사용자가 일정 시간 내에 수락 응답이 없거나 수락 거절을 한 경우, 제4 사용자를 수주자로서 임시로 재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랭킹 배차부(12)는 제1 수발주 정보(d1)에 대하여 수주자의 재선정이 보다 빠르게 확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 3 사용자에게 배차 알림 메시지를 제공한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일예로 20 분) 내에서 미리 설정된 응답 기한(일예로 3 분)의 경과시마다 제 3 사용자의 단말로 재촉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랭킹 배차부(12)는 미리 설정된 응답 기한(3 분)의 경과시마다 재촉 알림의 제공시, 제공되는 재촉 알림의 알림 유형을 달리할 수 있으며, 재촉 알림의 반복 제공시 보다 강도가 높은 알림 유형으로 바꾸어 제공할 수 있다.
재촉 알림의 알림 유형에는 일예로 메시지 유형인 제 1 알림 유형, 메시지와 진동이 결합된 제 2 알림 유형, 메시지와 벨소리가 결합된 제 3 알림 유형 및 전화 연결 유형인 제 4 알림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수발주 정보(d1)의 작업 시작 시간이 14:30 이고, 제1 사용자(21)가 그보다 2시간 전인 12:30에 배차 취소를 했다고 하자. 이러한 경우, 랭킹 배차부(12)는 임시 수주자로 선정된 제3 사용자에게 배차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일예로, 랭킹 배차부(12)가 12시 35분에 제 3 사용자의 단말로 배차 알림 메시지를 전송했다고 하자. 이때, 미리 설정된 응답 기한(일예로 3 분)인 12시 38분 내에 제 3사용자로부터 확인 응답(확인 응답에는 수락 응답 또는 거절 응답이 포함될 수 있음)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12 시 38 분에 제 3 사용자의 단말로 배차 알림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재촉하는 재촉 알림을 제 1 알림 유형(메시지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재촉 알림을 제 1 알림 유형으로 제공한 이후 미리 설정된 응답 기한(일예로 3 분)이 경과한 12 시 41 분 내에, 역시나 제 3 사용자로부터 확인 응답(즉, 수락 응답 또는 거절 응답)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랭킹 배차부(12)는 12 시 41 분에 재차 배차 알림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재촉하는 재촉 알림을 제 2 알림 유형(메시지 제공과 더불어 제 3사용자의 단말에 진동이 발생되도록 하는 유형)으로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제 2 알림 유형으로 재촉 알림을 제공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제 3 사용자가 확인 응답을 하지 않으면, 랭킹 배차부(12)는 또 다시 재촉 알림을 제 3 알림 유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랭킹 배차부(12)는 배차 알림 메시지의 전송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일예로 20분) 내에 한하여, 제 3 사용자의 확인 응답(수락 응답 또는 거절 응답)이 이루어질 때까지 미리 설정된 응답 기한(일예로 3 분) 마다 재촉 알림을 반복적으로 제공하되, 반복적으로 재촉 알림의 제공시 알림 유형을 달리하며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랭킹 배차부(12)가 재촉 알림을 반복 제공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일예로 20 분) 내에 제 3 사용자의 응답(수락 응답 또는 거절 응답)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제 3 사용자가 미응답인 것으로 인지하여 제4 사용자를 수주자로서 임시로 재선정한 후, 제4 사용자에 대해서도 배차 알림 메시지의 제공 및 재촉 알림의 제공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제3 사용자에게 배차 알림 메시지가 전송된 이후, 제3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시간(일예로 20분) 내에 확인 응답을 '수락 응답'으로 응답한 경우, 랭킹 배차부(12)는 제3 사용자를 제1 수발주 정보(d1)의 수주자로서 재선정하는 것을 확정할 수 있다. 이후, 제3 사용자는 작업 시작 시간(14:30)에 맞추어 작업 현장의 위치로 이동한 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랭킹 배차부(12)가 수주자의 재선정시, 임시로 재선정된 사용자(일예로 제3 사용자)의 단말로 알림 유형을 변경시켜가며 재촉 알림을 반복 제공함에따라, 본 장치(10)는 배차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제 3 사용자가 배차 알림 메시지에 대하여 보다 빠르게 응답(수락 응답 또는 거절 응답)하도록 유도할 수 있고, 배차 알림 메시지를 수신했음에 대한 인지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본 장치(10)는 제1 수발주 정보(d1)를 업로드한 제2 사용자(즉, 발주자)에게 있어서, 제3 사용자를 통해 일정 차질 없이 현장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제2 사용자는 랭킹 배차부(12)에 의한 배차를 통해, 자신이 필요로하는 작업자(사용자)를 보다 빠르고 쉽게 구할 수 있다.
즉, 랭킹 배차부(12)는 특정 수주자가 당일날 배차 취소를 한 경우, 긴급 상황임을 고려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부터 차고지 위치를 경유하여 작업 현장의 위치까지의 거리가 가장 짧은 사용자를 수주자로 재선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장치(10)는 현장에 보다 빠르게 도착할 수 있는 사용자를 우선으로 하여 수주자를 재선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일정 차질 없이 현장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장치(10)는 사용자들의 랭킹 정보를 기반으로 랭킹이 높은 우수 사용자(우수 기사, 전문가)의 장비(건설장비, 차량)가 우선으로 배차되도록 할 수 있으며, 각 사용자들은 본인이 속한 크루 내에서 일거리를 서로 공유할 수 있다. 본 장치(10)는 크루 서비스 제공을 통해 사용자들이 일감을 서로 공유 가능하도록 하고, 사용자들의 순위(랭킹)를 매기고 자금의 융통을 관리할 수 있다. 본 장치(10)는 크루(조합)마다 서로 다른 룰(크루 룰)의 적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장치(10)는 사용자들에게 크루(조합) 참여를 통한 랭킹 배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화면 제어부(13)는 제1 사용자(21)가 제1 단말(21')을 통해 [수주 메뉴]를 클릭한 경우, 복수의 수발주 정보(d1, d2, d3, …)의 리스트를 제1 단말(21')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1 사용자(21)로부터 지도 표시 제공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화면 제어부(13)는 복수의 수발주 정보(d1, d2, d3, …)의 위치를 2차원(혹은 3차원) 지도 상에 마크로 표시한 지도를 제1 단말(21')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수발주 정보의 위치라 함은 작업주소 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화면 제어부(13)는 복수의 수발주 정보(d1, d2, d3, …) 중 '지원하기 상태'의 수발주 정보(즉, 지원이 가능한 상태의 수발주 정보)에 대응하는 마크가 배차완료 상태의 수발주 정보에 대응하는 마크 보다 인식 또는 식별이 용이한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마크를 인식 또는 식별이 용이한 형태로 표시한다는 것은, 시각적으로 강조된 형태, 크기가 확장된 형태, 청각적인 효과를 수반하는 형태 및 동적인 애니메이션 형태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수발주 정보(d1)는 지원하기 상태(즉, 지원 가능한 상태)이고, 제2 수발주 정보(d2)가 배차완료 상태라고 하자. 이러한 경우, 화면 제어부(13)는 지도 상에 복수의 수발주 정보(d1, d2, d3, …)의 위치를 마크로 표시할 때, 제1 수발주 정보(d1)에 대응하는 마크가 제2 수발주 정보(d2)에 대응하는 마크보다 인식 또는 식별이 용이한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화면 제어부(13)는 지도상에 제1 수발주 정보(d1)에 대응하는 마크를 제2 수발주 정보(d1)에 대응하는 마크보다 시각적으로 강조된 형태(일예로 볼딕으로 강조 등), 크기가 확장된 형태, 청각적인 효과를 수반하는 형태 및 동적인 애니메이션 형태(일예로, 1초 단위로 깜빡이게 점멸) 등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장치(10)는 복수의 수발주 정보(d1, d2, d3, …)를 그 상태에 따라(즉, 배차완료 상태인지 지원하기 상태인지 등에 따라) 마크 식별 표시를 달리하여 지도 상에 표시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지도로 하여금, 본 장치(10)는 제1 사용자(21)가 복수의 수발주 정보(d1, d2, d3, …)로부터 일자리를 구하고자 함에 있어서, 자신의 현 위치(일예로, 제1 사용자가 소지한 제1 단말의 gps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가까이 위치해 있으면서도 현재 바로 지원 가능한 일거리(즉, 지원하기 상태에 있는 수발주 정보에 대응하는 일거리)에 대한 정보를 보다 직관적으로 확인하고, 빠르게 지원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수발주 정보(d1, d2, d3, …)의 제공이 일예로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단순히 리스트(목록) 형태로만 제공되는 경우, 제1 사용자(21)는 각각의 수발주 정보의 작업주소 위치를 직관적으로 파악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사용자(21)가 특정 수발주 정보의 실제 작업주소의 위치를 지도 상에서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에는, 수발주 정보에 포함된 주소를 복사하여 지도 앱에 붙여넣기 하여 검색함으로써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일자리를 구하는 제1 사용자(21)에게 있어서 각 수발주 정보마다 위치를 검색해야 하므로, 시간이 오래걸리고 비효율적인 측면이 있다.
이에, 본 장치(10)는 복수의 수발주 정보(d1, d2, d3, …)의 위치를 마크로 표시한 지도를 제1 사용자(21)에게 제공하되, 특히나, '지원하기 상태'의 수발주 정보에 대응하는 마크가 배차완료 상태의 수발주 정보에 대응하는 마크 보다 인식 또는 식별이 용이한 형태로 표시한 지도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21)는 현재 지원 가능한 자신의 주변에 위치한 일거리의 위치를 직관적으로 확인하고 지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원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루 기반 건설장비 랭킹 배차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29에 도시된 크루 기반 건설장비 랭킹 배차 방법은 앞서 설명된 본 장치(1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본 장치(1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크루 기반 건설장비 랭킹 배차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단계S11에서 관리부는, 복수의 사용자가 발주한 발주 정보를 복수의 수발주 정보로서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단계S11에서 관리부는 복수의 수발주 정보를 복수의 크루별로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크루 각각에는, 수발주 활동 포인트를 포함한 크루 룰의 설정이 서로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수발주 활동 포인트는, 발주 정보의 업로드시 부여되는 발주 포인트 및 타 사용자가 업로드한 발주 정보에 지원하여 수주자로의 선정시 부여되는 수주 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주 정보는 현장 작업과 관련하여 필요한 장비정보, 날짜, 도착시간, 작업시간, 결제선택 및 작업주소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계S11에서 관리부는, 회원 DB에 복수의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회원 DB는 사용자의 개인정보로서 이름, 휴대전화번호, 장비정보, 사업자 정보 및 은행 계좌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12에서 랭킹 배차부는, 사용자들의 랭킹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수발주 정보에 대한 건설장비의 배차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랭킹 정보는 사용자의 수발주 활동 포인트의 누적 포인트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정보일 수 있다. 즉, 랭킹 정보는 사용자의 수발주 활동에 대하여 부여되는 포인트(특히, 누적 포인트)를 기반으로 산정될 수 있다.
또한, 단계S12에서 랭킹 배차부는, 복수의 사용자 중 제1 사용자를 포함한 일부 사용자가 제1 수발주 정보에 대해 지원하고, 일부 사용자의 랭킹 정보를 기반으로 수주자를 선정한 결과 제1 사용자가 수주자로 선정된 경우, 수주자로 선정된 제1 사용자의 건설장비가 제1 수발주 정보에 배차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단계S12에서 랭킹 배차부는, 제1 수발주 정보에 대해 지원한 일부 사용자 중 제1 수발주 정보 내 장비정보와 매칭되는 장비정보를 가진 사용자들을 장비 매칭 사용자로서 1차 선별할 수 있다. 이후, 랭킹 배차부는, 1차 선별된 장비 매칭 사용자의 랭킹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제1 수발주 정보에서 요구하는 기 설정된 수주자 수에 해당하는 상위 랭킹 장비 매칭 사용자를 수주자로 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13에서 화면 제어부는, 단계S12에서의 배차의 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의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단계S13에서 화면 제어부는, 복수의 크루 중 제1 크루에 속해있는 제1 사용자가 발주한 발주 정보인 수발주 정보를 제1 크루에 속한 제1 크루 사용자들에게 노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에 의해 제1 사용자에 의해 업로드된 수발주 정보에 대응하는 일감 정보가 제1 크루 사용자들에게 공유될 수 있다.
또한, 단계S13에서 화면 제어부는, 제1 크루에 속해있는 제1 사용자가 수주 메뉴를 클릭한 경우, 복수의 사용자 중 제1 크루에 속한 제1 크루 사용자들에 의해 등록된 제1 크루 내 복수의 수발주 정보의 리스트를 제1 사용자의 제1 단말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랭킹 배차부는, 제1 크루 사용자들 중 제1 사용자를 포함한 일부 사용자가 제1 수발주 정보에 대해 지원하고, 일부 사용자의 랭킹 정보를 기반으로 수주자를 선정한 결과 제1 사용자가 수주자로 선정된 경우, 제1 사용자의 건설장비가 제1 수발주 정보에 배차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사용자는 기 생성된 복수의 크루 중 어느 한 크루에 대한 가입 및/또는 신규 크루의 생성이 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속한 크루 내에서 수발주 활동의 수행이 가능하며, 각 크루 내 리더는 자신이 속한 크루에서의 수발주 활동에 대한 수발주 활동 관련 룰(크루 룰)을 설정 가능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 내지 S13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크루 기반 건설장비 랭킹 배차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술한 크루 기반 건설장비 랭킹 배차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크루 기반 건설장비 랭킹 배차 시스템
10: 크루 기반 건설장비 랭킹 배차 장치
11: 관리부
12: 랭킹 배차부
13: 화면 제어부
14: 회원 DB

Claims (5)

  1. 크루 기반 건설장비 랭킹 배차 장치로서,
    복수의 사용자가 발주한 발주 정보를 복수의 수발주 정보로서 등록하고 관리하되, 상기 복수의 수발주 정보를 복수의 크루별로 구분하여 관리하는 관리부;
    사용자들의 랭킹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수발주 정보에 대한 건설장비의 배차를 수행하되, 랭킹이 높은 사용자의 건설장비가 우선으로 배차되도록 하는 랭킹 배차부; 및
    상기 배차의 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의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화면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크루 각각에는, 수발주 활동 포인트를 포함한 크루 룰의 설정이 서로 다르게 적용되되, 각 크루 내 리더가 자신이 속한 크루에서의 수발주 활동에 대한 수발주 활동 관련 룰인 크루 룰을 설정함으로써 각 크루 마다 서로 다른 크루 룰이 적용되는 것이며,
    상기 크루 룰의 설정 정보에는, 수발주 활동 포인트, 가입조건, 가입비, 월회비, 룰공개 설정, 데이터 누적 기간, 수발주 수수료, 수주 시간 제한, 수주자 없을 시 시간 연장, 시간연장시 수주 조건, 하루 최대 수주량 제한, 점호 알림 시간 및 크루 활동 계좌번호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고,
    상기 수발주 활동 포인트는, 일감 1개에 대응하는 하나의 수발주 정보에 대하여 정해지는 일감 1개당 점수이되, 사용자가 소유한 장비의 개수와 하루에 최대로 처리 가능한 일감 개수를 고려하여 사용자 자신이 가진 일감들 중 처리 불가능한 일감을 타 사용자에게 나눠주고자 발주 정보를 업로드함으로써 부여되는 발주 포인트 및 타 사용자가 업로드한 발주 정보에 대응하는 일감을 사용자가 획득하고자 상기 타 사용자가 업로드한 발주정보에 지원하고 지원에 응답하여 수주자로 선정됨으로써 부여되는 수주 포인트를 포함하며,
    상기 랭킹 정보는, 사용자가 수발주 활동을 수행함에 따라 획득한 수발주 활동 포인트의 누적 값인 누적 포인트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정보이고,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크루 중 제1 크루에 속해있는 제1 사용자가 수주 메뉴를 클릭한 경우,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제1 크루에 속한 제1 크루 사용자들에 의해 등록된 제1 크루 내 복수의 수발주 정보의 리스트를 제1 사용자의 제1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랭킹 배차부는,
    상기 제1 크루 사용자들 중 제1 사용자를 포함한 일부 사용자가 리스트 내 제1 수발주 정보에 대해 지원하고, 상기 일부 사용자의 랭킹 정보를 기반으로 수주자를 선정한 결과 상기 제1 사용자가 수주자로 선정된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의 건설장비가 상기 제1 수발주 정보에 배차되도록 하되,
    상기 제1 크루 사용자들 중 제1 사용자를 포함한 일부 사용자가 제1 수발주 정보에 대해 지원하면, 상기 제1 수발주 정보에 지원한 일부 사용자들 중 제1 수발주 정보 내 장비정보와 매칭되는 장비정보를 가진 사용자들을 장비 매칭 사용자로서 1차 선별하고, 이후 1차 선별된 장비 매칭 사용자들에 대하여 수발주 활동 포인트의 누적 포인트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랭킹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선별된 장비 매칭 사용자들을 랭킹이 높은 순으로 정렬시키고, 1차 선별된 장비 매칭 사용자의 랭킹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제1 수발주 정보에서 요구하는 기 설정된 수주자 수에 해당하는 상위 랭킹 장비 매칭 사용자를 수주자로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수주자의 건설장비가 상기 제1 수발주 정보에 배차되도록 하고,
    상기 랭킹 배차부에 의해 제1 수발주 정보에 대한 배차가 완료되면, 상기 선정된 수주자에 의해 상기 제1 수발주 정보에서 요구하는 조건에 대한 현장 작업이 수행되는 것이며, 이후 상기 선정된 수주자의 경우 현장 작업의 수행에 대한 일당 요금인 대가를 지불받게 되는 것인, 크루 기반 건설장비 랭킹 배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크루 중 제1 크루에 속해있는 제1 사용자가 발주한 발주 정보인 수발주 정보를 상기 제1 크루에 속한 제1 크루 사용자들에게 노출되도록 제어하고,
    제어에 의해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해 업로드된 수발주 정보에 대응하는 일감 정보가 상기 제1 크루 사용자들에게 공유되는 것인, 크루 기반 건설장비 랭킹 배차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주 정보는, 현장 작업과 관련하여 필요한 장비정보, 날짜, 도착시간, 작업시간, 결제선택 및 작업주소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크루 기반 건설장비 랭킹 배차 장치.
KR1020210178934A 2021-12-14 2021-12-14 크루(조합) 기반 건설장비 랭킹 배차 장치 및 방법 KR102435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934A KR102435961B1 (ko) 2021-12-14 2021-12-14 크루(조합) 기반 건설장비 랭킹 배차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934A KR102435961B1 (ko) 2021-12-14 2021-12-14 크루(조합) 기반 건설장비 랭킹 배차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5961B1 true KR102435961B1 (ko) 2022-08-25

Family

ID=83111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8934A KR102435961B1 (ko) 2021-12-14 2021-12-14 크루(조합) 기반 건설장비 랭킹 배차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596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987U (ko) * 2015-09-08 2017-03-16 정상용 사다리 차량 호출 시스템
JP2018088197A (ja) * 2016-11-29 2018-06-07 株式会社電脳交通 タクシー配車システム、タクシー配車装置、タクシー配車端末、タクシーの配車方法、タクシー配車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で記録可能な媒体並びに記憶した機器
KR102101708B1 (ko) * 2019-10-29 2020-04-20 김민규 O2o 기반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을 이용한 화물 배차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987U (ko) * 2015-09-08 2017-03-16 정상용 사다리 차량 호출 시스템
JP2018088197A (ja) * 2016-11-29 2018-06-07 株式会社電脳交通 タクシー配車システム、タクシー配車装置、タクシー配車端末、タクシーの配車方法、タクシー配車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で記録可能な媒体並びに記憶した機器
KR102101708B1 (ko) * 2019-10-29 2020-04-20 김민규 O2o 기반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을 이용한 화물 배차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8635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 vehicle sharing facility
JP6062641B2 (ja) タクシー運用システムおよびサーバ装置
US1139286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 vehicle sharing facility
US10108910B2 (en) Mobile parking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real-time parking guidance
US1113262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 resource management
JP5476553B2 (ja) 配車管理装置、配車システム、配車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935165B2 (ja) 乗物の手配支援サーバ、乗物の手配支援方法
WO20120728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and managing resource availability date
JP2018077658A (ja) 共用車両管理装置、共用車両管理システムおよび共用車両管理方法
US11508026B2 (en) System for navigating transportation service providers to fulfill transportation requests authorized by an organization
JP2020119441A (ja) 配車プログラム及び配車システム
KR102435961B1 (ko) 크루(조합) 기반 건설장비 랭킹 배차 장치 및 방법
TWI820567B (zh) 為自動駕駛汽車的團體使用者提供移動服務的方法及系統
KR102315188B1 (ko) 자율주행자동차 기반 이동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US20170039504A1 (en) Systems and methods to administer a dispatch platform affiliate program
KR102236464B1 (ko) 택시 승차 공유 방법
KR20230055618A (ko)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한 대리운전 플랫폼 시스템
JP7295720B2 (ja) 配車管理装置及び配車管理方法
JP7044631B2 (ja) 移動目的判定方法、移動目的判定装置、移動目的判定システム
JP6409159B1 (ja) バス手配運行方法、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9204202A5 (ko)
JP736369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3171461A1 (ja) 運行管理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620206B1 (ko) 기사 커뮤니티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365787B1 (ko) 협동조합형 이동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