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5534B1 - 보행 보조기 - Google Patents
보행 보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35534B1 KR102435534B1 KR1020200104347A KR20200104347A KR102435534B1 KR 102435534 B1 KR102435534 B1 KR 102435534B1 KR 1020200104347 A KR1020200104347 A KR 1020200104347A KR 20200104347 A KR20200104347 A KR 20200104347A KR 102435534 B1 KR102435534 B1 KR 1024355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stopper
- reduction
- fixed
- magne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122 cycl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27 research and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1—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on steps or stairway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3—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a drive mechanis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6—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brak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73—Means for preventing injuries
- A61H2201/0176—By stopping oper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4—Special force transmission means, i.e. between the driving means and the interface with the user
- A61H2201/1463—Special speed variation means, i.e. speed reduc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35—Hand or arm, e.g. handl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06—Standing on the 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고정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과 연결되며 미리 정해진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고정 프레임으로부터 회전되는 회동 프레임을 가지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결합된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앞바퀴; 상기 제2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뒷바퀴;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며, 회전된 상기 회동 프레임을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 복원부를 포함하는 것인 보행 보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행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애물 턱을 안전하게 넘을 수 있고, 스토퍼에 의해 바퀴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이루어진 보행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행 보조기는 직립보행시 자세 균형 제어에 어려움을 겪는 보행 장애인이나 환자 및 노인 등의 보행을 보조하도록 이루어진 장치이다.
이러한 보행 보조기는 대개 평지에서의 보행 보조를 위한 목적으로 제조된 것으로, 예를 들어 보행 보조기를 이용하는 이용자가 장애물 턱을 넘어야 하는 경우, 이동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그리고 보행 보조기를 이용하는 이용자가 예를 들어 경사면을 오르는 과정에서 잠시 쉬어갈 경우, 이용자는 스토퍼 등을 이용하여 보행 보조기를 바닥면에 지지 고정시킨 상태에서 잠시 쉬어갈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보행 보조기는 스토퍼가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못하여 보행 보조기가 경사면을 따라 후방으로 미끄러짐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용자는 매우 위험한 상황에 처할 수 있다.
따라서, 보행 보조기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편의 및 안전을 개선한 보행 보조기에 대한 다양한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장애물 턱을 안전하게 넘을 수 있고, 스토퍼에 의해 바퀴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이루어진 보행 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고정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과 연결되며 미리 정해진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고정 프레임으로부터 회전되는 회동 프레임을 가지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결합된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앞바퀴; 상기 제2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뒷바퀴;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며, 회전된 상기 회동 프레임을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 복원부를 포함하는 것인 보행 보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뒷바퀴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1 스토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토퍼는, 상기 제2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2 프레임으로부터 회전되는 스토퍼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스토퍼 지지 프레임에 지지 고정되며, 상기 제2 프레임의 회전시 바닥면에 밀착 고정되는 바닥 밀착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뒷바퀴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2 스토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스토퍼는, 상기 스토퍼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뒷바퀴의 역회전시, 상기 뒷바퀴의 외측면에 구비된 역회전 방지 래치와의 걸림을 통해 상기 뒷바퀴가 역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회전 방지핀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토퍼의 사용 여부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2 스토퍼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스토퍼 제어부는, 상기 스토퍼 지지 프레임의 외측에 미리 정해진 거리로 이격 배치된 자석 고정 프레임; 일단부는 상기 스토퍼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자석 고정 프레임에 결합된 지지축; 및 상기 자석 고정 프레임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서로 다른 극성의 제1 자석과 제2 자석을 가지는 자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역회전 방지핀은 상기 스토퍼 지지 프레임에 형성된 관통홀에 지지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역회전 방지핀의 단부에는 제3 자석이 구비되어, 상기 지지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상기 자석 고정 프레임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역회전 방지핀의 위치가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복원부는, 상기 회동 프레임의 상단부 내측에 설치된 제1 고정축; 및 상기 제1 고정축에 지지되며, 일단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탄성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회동 프레임에 탄성 지지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복원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된 제2 고정축; 상기 회동 프레임의 하부 내측에 설치된 제3 고정축; 상기 고정 프레임과 인접한 상기 회동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된 가이드축; 일단부는 상기 제2 고정축에 결합되는 인장 스프링; 및 일단부는 상기 인장 스프링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3 고정축에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 프레임이 상기 고정 프레임으로부터 회전될 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가이드축에 지지된 상태에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앞바퀴의 회전 속도를 저감시키는 감속 모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감속 모듈부는, 상기 회동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수용 공간부가 형성된 감속 케이스; 상기 앞바퀴의 외측면에 구비된 외측 기어부와 치합되는 감속 기어부; 상기 감속 기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수용 공간부에 구비되는 원뿔대 감속부; 상기 원뿔대 감속부에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감속 벨트; 상기 감속 케이스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원뿔대 감속부의 일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감속 벨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벨트 안내부; 및 상기 감속 케이스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원뿔대 감속부의 타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감속 벨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벨트 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원뿔대 감속부의 일측부의 지름은 상기 감속 기어부의 지름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보행 보조기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행 보조기의 회동 프레임은 고정 프레임으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기에, 장애물 턱을 간편하게 넘어갈 수 있다. 이러한 제1 프레임의 내부에는 탄성 복원부가 구비됨에 따라 장애물 턱을 넘은 후, 회동 프레임은 원위치로 자동적으로 복원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행 보조기에는 제1 스토퍼와 제2 스토퍼가 함께 구비됨에 따라 보행 보조기는 안정적인 정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행 보조기에는 감속 모듈부가 구비됨에 따라 내리막 구간을 이동하는 경우, 이용자는 안정적으로 보행 보조기를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기의 회동 프레임이 고정 프레임으로부터 회전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탄성 복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토퍼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탄성 복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앞바퀴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감속 모듈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감속 모듈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토퍼 제어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토퍼 제어부의 작동을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기의 회동 프레임이 고정 프레임으로부터 회전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탄성 복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토퍼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탄성 복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앞바퀴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감속 모듈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감속 모듈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토퍼 제어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토퍼 제어부의 작동을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부와 하부는 대상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반드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기의 회동 프레임이 고정 프레임으로부터 회전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탄성 복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토퍼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행 보조기(1000)는 제1 프레임(100), 제2 프레임(200), 앞바퀴(300), 뒷바퀴(400) 및 탄성 복원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은 보행 보조기(1000)의 뼈대를 이룬다.
이와 같은 보행 보조기(1000)는 이용자의 뒤쪽에 보행 보조기(1000)가 배치되어, 이용자의 상체 하중을 받쳐주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용자는 보행 보조기(1000)를 이용함에 있어, 안전한 보행과 함께 피로감이 줄어들 수 있다. 이에, 이용자는 힘들이지 않고 멀리까지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보행 보조기(1000)의 뼈대를 이루는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은 도면에서 보여지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의 다양한 형태로도 보행 보조기(1000)가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보행 보조기(1000)에는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을 연결하는 절첩 프레임(13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절첩 프레임(130)은 이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접힘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용자는 절첩 프레임(130)의 접힘을 통해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을 접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버스나 지하철 등의 대중 교통을 이용하거나 보행 보조기(1000)를 보관할 시, 이용자는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을 접은 상태로 보행 보조기(1000)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보행 보조기(1000)에는 상체 지지부(140)가 구비되어 보행시, 이용자는 상체 뒷부분을 상체 지지부(140)에 지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체 지지부(140)에는 이용자가 잠시 앉아서 쉴 수 있도록 의자 형태의 안착부(150)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은 X자 형태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 프레임(100)은 이용자의 몸을 좌, 우에서 감쌀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U자 형상을 이루어 이용자가 좌, 우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제2 프레임(200)의 상단부에는 전방 손잡이부(201)가 구비되어, 이용자는 전방 손잡이부(201)를 움켜 잡은 상태에서 보행 보조기(10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프레임(100)의 상단부에도 후방 손잡이부(101)가 구비되어, 보행 보조기(1000)를 이용자의 앞쪽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보행 보조기(1000)를 이동시킬 경우, 이용자는 후방 손잡이부(101)를 잡은 상태에서 보행 보조기(1000)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한 쌍을 이루는 앞바퀴(300)는 제1 프레임(100)의 하부에 각각 결합되고, 한 쌍을 이루는 뒷바퀴(400)는 제2 프레임(200)의 하부에 각각 결합된다.
이와 같은 제1 프레임(100)은 고정 프레임(110)과 회동 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프레임(110)과 회동 프레임(120)은 연결 형성된다.
여기서 회동 프레임(120)은 제1 프레임(100)의 하부에 구비되며, 고정 프레임(110)으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회동 프레임(120)에 미리 정해진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질 경우, 회동 프레임(120)은 고정 프레임(110)으로부터 회전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회동 프레임(120)에 가해지는 일정 이상의 힘이 제거되는 경우, 회동 프레임(120)은 탄성 복원부(500)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제1 프레임(100)의 내부에는 탄성 복원부(500)가 구비되며, 탄성 복원부(500)는 회동 프레임(120)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는 경우, 회동 프레임(120)을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게 된다.
이러한 탄성 복원부(500)는 제1 고정축(510)과 토션 스프링(5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고정축(510)은 회동 프레임(120)의 상단부 내측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제1 고정축(510)에는 토션 스프링(520)이 관통 삽입되며, 토션 스프링(520)은 회동 프레임(120)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토션 스프링(520)의 일단부는 고정 프레임(110)의 내측면에 탄성 지지되고, 토션 스프링(520)의 타단부는 회동 프레임(120)의 내측면에 탄성 지지되어, 토션 스프링(520)은 회동 프레임(120)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는 경우, 회동 프레임(120)을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이용자가 장애물 턱을 넘어갈 경우, 회동 프레임(120)은 고정 프레임(110)으로부터 꺽이며 이용자는 장애물 턱을 간편하게 넘어갈 수 있다. 이 후, 회동 프레임(120)은 탄성 복원부(500)에 의해 위치 복원이 이루어져 이용자는 가고자하는 방향으로 보행 보조기(1000)를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고정 프레임(110)으로부터 회전되는 회동 프레임(120)의 꺽임 각도는 미리 정해진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이용자가 장애물 턱을 넘어가는 과정에서 앞바퀴(300)에 결합된 회동 프레임(120)의 꺽임 각도에 제한이 없다면 이용자가 앞으로 전복되는 사고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회동 프레임(120)은 안전 각도 범위 내에서 고정 프레임(110)으로부터 회전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고정 프레임(110)으로부터 회전되는 회동 프레임(120)의 안전 각도 범위는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의 결합 구조 및 형상에 따라 제작자가 다양한 각도 범위로 회동 프레임(120)의 회전 각도 범위를 제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보행 보조기(1000)는 제1 스토퍼(610)와 제2 스토퍼(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스토퍼(610)는 스토퍼 지지 프레임(611)과 바닥 밀착 고정부(6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 지지 프레임(611)의 일단부는 제2 프레임(200)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바닥 밀착 고정부(612)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바닥 밀착 고정부(612)는 스토퍼 지지 프레임(611)의 선택적인 회전을 통해 바닥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닥 밀착 고정부(612)가 바닥면에 밀착 고정된 상태에서는 보행 보조기(1000)의 이동은 정지된다. 이러한 바닥 밀착 고정부(612)는 고무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보행 보조기(1000)는 대개 하중이 작기에, 바닥 밀착 고정부(612)와 바닥면의 마찰 계수가 작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제1 스토퍼(610)가 보행 보조기(1000)를 정지시킨 상태에서도 보행 보조기(1000)의 밀림이 발생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1 스토퍼(610)와 함께 제2 스토퍼(620)를 더 구비함으로써, 보행 보조기(1000)를 더욱 안정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2 스토퍼(620)는 뒷바퀴(400)의 외측면에 구비된 역회전 방지 래치(410)와의 걸림을 통해 뒷바퀴의 역회전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2 스토퍼(620)는 스토퍼 지지 프레임(611)에 설치된 역회전 방지핀(621)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뒷바퀴(400)가 정회전하는 경우, 여기서 바퀴의 정회전은 보행 보조기(1000)가 전진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의 바퀴의 회전 방향을 말한다.
이와 같이, 뒷바퀴(400)가 정회전하는 과정에서 역회전 방지 래치(410)의 외측면은 역회전 방지핀(621)을 타고 넘어가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역회전 방지 래치(410)의 내부에는 탄성 부재가 구비되어, 역회전 방지핀(621)에 의해 가압되는 역회전 방지 래치(410)는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달리, 뒷바퀴(400)가 정회전이 아닌 역회전이 이루어지는 경우, 역회전 방지핀(621)은 역회전 방지 래치(410)의 내측면에 걸림이 발생되어 보행 보조기(1000)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보행 보조기(1000)는 제1 스토퍼(610)와 제2 스토퍼(620)의 2개의 스토퍼에 의해 안정적인 정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보행 보조기(1000)에는 제1 스토퍼(610)와 제2 스토퍼(620)가 함께 구비됨에 따라 예를 들어 이용자가 경사면을 오르는 과정에서 잠시 쉬더라도 보행 보조기(1000)는 경사면에 안정적으로 정지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탄성 복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에 의해 지칭되는 구성들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그들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탄성 복원부(50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탄성 복원부(500)와는 구성적인 차이가 있다.
이러한 탄성 복원부(500')는 제2 고정축(530), 제3 고정축(540), 가이드축(550), 인장 스프링(560) 및 연결부재(5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고정축(530)은 고정 프레임(110)의 내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3 고정축(540)은 회동 프레임(120)의 하부 내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가이드축(550)은 고정 프레임(110)과 인접한 회동 프레임(120)의 상부 내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인장 스프링(560)은 고정 프레임(110)으로부터 회동 프레임(120)이 회전된 후, 회동 프레임(120)이 복원될 시 회동 프레임(120)의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인장 스프링(560)의 일단부는 제2 고정축(530)에 결합된다. 그리고 인장 스프링(560)의 타단부는 연결부재(570)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연결부재(570)는 예를 들어 벨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570)의 일단부는 인장 스프링(560)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제3 고정축(540)에 결합된다.
여기서 회동 프레임(120)이 고정 프레임(110)으로부터 회전되는 경우, 제3 고정축(540)에 고정된 연결부재(570)는 인장 스프링(560)을 당기게 된다.
그리고 회동 프레임(120)에 가해지는 일정 이상의 힘이 제거되는 과정에서 인장된 인장 스프링(560)은 복원력에 의해 연결부재(570)를 당기게 된다. 이에, 회동 프레임(120)은 고정 프레임(110)의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고정축(530)과 제3 고정축(540) 사이에는 가이드축(550)이 구비되어, 연결부재(570)는 가이드축(550)에 지지된 상태에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부재(570)가 가이드축(550)에 지지된 상태에서 이동이 이루어질 경우, 인장 스프링(560)의 인장력이나 복원력은 연결부재(570)로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앞바퀴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감속 모듈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감속 모듈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예시도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에 의해 지칭되는 구성들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그들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행 보조기(1000)는 감속 모듈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감속 모듈부(700)는 앞바퀴(300)의 회전 속도가 미리 정해진 속도 이상일 경우, 앞바퀴(300)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보행 보조기(1000)를 이용하는 이용자가 평지에서 내리막 구간을 이동하는 경우, 보행 보조기(1000)의 이동 속도가 급격하게 빨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보행 보조기(1000)에 구비된 감속 모듈부(700)는 이러한 상황에서 보행 보조기(1000)의 이동 속도를 감속시키기에, 이용자는 내리막 구간을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감속 모듈부(700)는 감속 케이스(710), 감속 기어부(720), 원뿔대 감속부(730), 감속 벨트(740), 제1 벨트 안내부(750) 및 제2 벨트 안내부(7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감속 케이스(710)는 회동 프레임(120)의 하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감속 케이스(710)의 내부에는 수용 공간부(711)가 형성되어 감속 모듈부(700)의 다양한 부품은 수용 공간부(711)에 수용될 수 있다. 이에, 수용 공간부(711)의 내부에 구비되는 다양한 부품은 외부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
그리고 감속 기어부(720)는 앞바퀴(300)의 외측면에 구비된 외측 기어부(310)와 치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감속 기어부(720)는 앞바퀴(300)와 함께 회전되는 외측 기어부(310)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원뿔대 감속부(730)는 수용 공간부(711)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원뿔대 감속부(730)는 원뿔대 형상을 이루며, 감속 기어부(720)와 일체로 연결되어 감속 기어부(720)와 함께 회전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감속 벨트(740)는 원뿔대 감속부(730)에 나선형으로 권취되며, 원뿔대 감속부(730)의 회전에 따라 이동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감속 벨트(740)는 원뿔대 감속부(730)의 일측부에 배치되는 제1 벨트 안내부(750)와, 원뿔대 감속부(730)의 타측부에 배치되는 제2 벨트 안내부(760)에 의해 순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벨트 안내부(750)와 제2 벨트 안내부(760)는 감속 케이스(710)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제1 벨트 안내부(750)와 제2 벨트 안내부(760)는 감속 벨트(740)의 이동을 안내하는 롤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보행 보조기를 이용하는 이용자가 평지에서 내리막 구간을 이동하는 경우, 앞바퀴(300)의 회전 속도는 급속하게 증가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보행 보조기(1000)에는 감속 모듈부(700)가 구비됨에 따라 앞바퀴(300)의 회전 속도가 급격히 증가될 시, 원뿔대 감속부(730)에 감겨지는 감속 벨트(740)에 장력이 증가하게 되어 앞바퀴(300)의 회전 속도가 감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감속 모듈부(700)는 감속 벨트(740)의 장력에 의해 앞바퀴(300)를 감속시키도록 이루어진다. 특히, 앞바퀴(300)의 전진시 원뿔대 감속부(730)에 감겨지는 제1 벨트 안내부(750)와 원뿔대 감속부(730)의 일측부 사이에 위치되는 감속 벨트(740)의 장력에 의해 앞바퀴(300)의 감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감속 모듈부(700)는 평지에서 보행 보조기(1000)를 이동할 시, 앞바퀴(300)와 감속 모듈부(700)의 감속비가 1:1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감속 모듈부(700)의 효과적인 감속을 위해 원뿔대 감속부(730)의 일측부의 지름은 감속 기어부(720)의 지름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원뿔대 감속부(730)의 타측부의 지름은 감속 기어부(720)의 지름과 동일하게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원뿔대 감속부(730)의 감속 비율은 원뿔대의 경사면의 기울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앞바퀴(300)의 회전 속도를 감속하도록 이루어진 감속 모듈부(700)는 상기와 같은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리막 구간에서 앞바퀴(300)의 회전 속도를 효과적으로 감속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술된 감속 모듈부(700)는 보행 보조기(1000)에 적용된 형태를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감속 모듈부(700)는 이동 보조 장치인 유모차, 휠체어 등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토퍼 제어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토퍼 제어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에 의해 지칭되는 구성들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그들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 내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행 보조기(1000)에는 제2 스토퍼(620)의 선택적 사용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스토퍼 제어부(8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스토퍼 제어부(800)는 역회전 방지핀(621)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제2 스토퍼 제어부(800)는 자석 고정 프레임(810), 지지축(820) 및 자석부(8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자석 고정 프레임(810)은 스토퍼 지지 프레임(611)의 외측에 미리 정해진 거리로 이격 배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자석 고정 프레임(810)은 스토퍼 지지 프레임(611)에 결합된 지지축(820)에 지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자석 고정 프레임(810)은 지지축(82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자석 고정 프레임(810)에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제1 자석(831)과 제2 자석(832)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자석(831)이 N극이라면 제2 자석(832)은 S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자석(831)와 제2 자석(832)은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역회전 방지핀(621)의 일단부에는 N극 또는 S극 중 어느 하나의 극성을 갖는 제3 자석(622)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는 지지축(820)을 중심으로 자석 고정 프레임(810)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역회전 방지핀(621)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자석(622)의 극성이 N극이라고 가정한 상태에서 N극인 제1 자석(831)과 제3 자석(622)이 얼라인되도록 자석 고정 프레임(810)을 회전시키는 경우, 제1 자석(831)은 제3 자석(622)을 밀어내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경우, 역회전 방지핀(621)은 스토퍼 지지 프레임(611)에 형성된 관통홀(613)에 지지된 상태에서 뒷바퀴(400)의 역회전시 역회전 방지 래치(410)와 걸림이 발생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S극인 제2 자석(832)과 제3 자석(622)을 얼라인되도록 자석 고정 프레임(810)을 회전시키는 경우, 제2 자석(832)은 제3 자석(622)을 당기며 역회전 방지핀(621)은 제2 자석(832)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역회전 방지핀(621)은 관통홀(613)을 통해 제2 자석(832)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역회전 방지핀(621)은 뒷바퀴(400)에 구비되는 역회전 방지 래치(410)와의 접촉 자체가 발생되지 않도록 이동되어 보행 보조기(1000)의 좌, 우 회전 및 전, 후 이동은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관통홀(613)을 통해 이동이 이루어지는 역회전 방지핀(621)의 타단부에는 역회전 방지핀(62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부(623)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행 보조기(1000)에 구비되는 다양한 구성은 상기에서 언급한 구성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행 보조기(1000)에는 다양한 구성이 추가적으로 더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 범위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제1 프레임
101: 후방 손잡이부
110: 고정 프레임
120: 회동 프레임
130: 절첩 프레임
140: 상체 지지부
150: 안착부
200: 제2 프레임
201: 전방 손잡이부
300: 앞바퀴
310: 외측 기어부
400: 뒷바퀴
410: 역회전 방지 래치
500': 탄성 복원부
500: 탄성 복원부
510: 제1 고정축
520: 토션 스프링
530: 제2 고정축
540: 제3 고정축
550: 가이드축
560: 인장 스프링
570: 연결부재
610: 제1 스토퍼
611: 스토퍼 지지 프레임
612: 바닥 밀착 고정부
613: 관통홀
620: 제2 스토퍼
621: 역회전 방지핀
622: 제3 자석
623: 이탈 방지부
700: 감속 모듈부
710: 감속 케이스
711: 수용 공간부
720: 감속 기어부
730: 원뿔대 감속부
740: 감속 벨트
750: 제1 벨트 안내부
760: 제2 벨트 안내부
800: 제2 스토퍼 제어부
810: 자석 고정 프레임
820: 지지축
830: 자석부
831: 제1 자석
832: 제2 자석
1000: 보행 보조기
101: 후방 손잡이부
110: 고정 프레임
120: 회동 프레임
130: 절첩 프레임
140: 상체 지지부
150: 안착부
200: 제2 프레임
201: 전방 손잡이부
300: 앞바퀴
310: 외측 기어부
400: 뒷바퀴
410: 역회전 방지 래치
500': 탄성 복원부
500: 탄성 복원부
510: 제1 고정축
520: 토션 스프링
530: 제2 고정축
540: 제3 고정축
550: 가이드축
560: 인장 스프링
570: 연결부재
610: 제1 스토퍼
611: 스토퍼 지지 프레임
612: 바닥 밀착 고정부
613: 관통홀
620: 제2 스토퍼
621: 역회전 방지핀
622: 제3 자석
623: 이탈 방지부
700: 감속 모듈부
710: 감속 케이스
711: 수용 공간부
720: 감속 기어부
730: 원뿔대 감속부
740: 감속 벨트
750: 제1 벨트 안내부
760: 제2 벨트 안내부
800: 제2 스토퍼 제어부
810: 자석 고정 프레임
820: 지지축
830: 자석부
831: 제1 자석
832: 제2 자석
1000: 보행 보조기
Claims (7)
- 고정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과 연결되며 미리 정해진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고정 프레임으로부터 회전되는 회동 프레임을 가지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결합된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앞바퀴;
상기 앞바퀴의 회전 속도를 저감시키는 감속 모듈부;
상기 제2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뒷바퀴;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며, 회전된 상기 회동 프레임을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 복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속 모듈부는, 상기 회동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수용 공간부가 형성된 감속 케이스; 상기 앞바퀴의 외측면에 구비된 외측 기어부와 치합되는 감속 기어부; 상기 감속 기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수용 공간부에 구비되는 원뿔대 감속부; 상기 원뿔대 감속부에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감속 벨트; 상기 감속 케이스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원뿔대 감속부의 일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감속 벨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벨트 안내부; 및 상기 감속 케이스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원뿔대 감속부의 타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감속 벨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벨트 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원뿔대 감속부의 일측부의 지름은 상기 감속 기어부의 지름보다 더 크게 형성된 것인 보행 보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뒷바퀴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1 스토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토퍼는,
상기 제2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2 프레임으로부터 회전되는 스토퍼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스토퍼 지지 프레임에 지지 고정되며, 상기 제2 프레임의 회전시 바닥면에 밀착 고정되는 바닥 밀착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뒷바퀴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2 스토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스토퍼는,
상기 스토퍼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뒷바퀴의 역회전시, 상기 뒷바퀴의 외측면에 구비된 역회전 방지 래치와의 걸림을 통해 상기 뒷바퀴가 역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회전 방지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토퍼의 사용 여부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2 스토퍼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스토퍼 제어부는,
상기 스토퍼 지지 프레임의 외측에 미리 정해진 거리로 이격 배치된 자석 고정 프레임;
일단부는 상기 스토퍼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자석 고정 프레임에 결합된 지지축; 및
상기 자석 고정 프레임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서로 다른 극성의 제1 자석과 제2 자석을 가지는 자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역회전 방지핀은 상기 스토퍼 지지 프레임에 형성된 관통홀에 지지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역회전 방지핀의 단부에는 제3 자석이 구비되어, 상기 지지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상기 자석 고정 프레임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역회전 방지핀의 위치가 제어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복원부는,
상기 회동 프레임의 상단부 내측에 설치된 제1 고정축; 및
상기 제1 고정축에 지지되며, 일단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탄성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회동 프레임에 탄성 지지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복원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된 제2 고정축;
상기 회동 프레임의 하부 내측에 설치된 제3 고정축;
상기 고정 프레임과 인접한 상기 회동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된 가이드축;
일단부는 상기 제2 고정축에 결합되는 인장 스프링; 및
일단부는 상기 인장 스프링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3 고정축에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 프레임이 상기 고정 프레임으로부터 회전될 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가이드축에 지지된 상태에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4347A KR102435534B1 (ko) | 2020-08-20 | 2020-08-20 | 보행 보조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4347A KR102435534B1 (ko) | 2020-08-20 | 2020-08-20 | 보행 보조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22989A KR20220022989A (ko) | 2022-03-02 |
KR102435534B1 true KR102435534B1 (ko) | 2022-08-23 |
Family
ID=80815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04347A KR102435534B1 (ko) | 2020-08-20 | 2020-08-20 | 보행 보조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35534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0048547A1 (en) * | 1999-02-18 | 2000-08-24 | Samhall Gripen Ab | Wheeled walking frame |
KR200475891Y1 (ko) * | 2013-08-30 | 2015-01-13 | 김봄 | 휠체어용 미끄럼 방지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07917A (ja) * | 1994-10-11 | 1996-04-30 | Minagi Giken:Kk | 歩行補助器 |
KR102102076B1 (ko) | 2019-05-07 | 2020-05-12 | 주식회사 다지트 | 노약자용 안전보행기 |
-
2020
- 2020-08-20 KR KR1020200104347A patent/KR10243553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0048547A1 (en) * | 1999-02-18 | 2000-08-24 | Samhall Gripen Ab | Wheeled walking frame |
KR200475891Y1 (ko) * | 2013-08-30 | 2015-01-13 | 김봄 | 휠체어용 미끄럼 방지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22989A (ko) | 2022-03-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826290B2 (en) | Folding human mobility device | |
CN107614354B (zh) | 一种可折叠滚轮助行器 | |
US20180057035A1 (en) | Infant wagon having improved convenience of use | |
US9365229B2 (en) | Tow type running stroller | |
JP2007521175A (ja) | サスペンションを備えた子供運搬車、サスペンション付き車輪及びサスペンションを有するスイベル車輪 | |
KR102045427B1 (ko) | 접이식 보행 보조기구 | |
KR20150115767A (ko) | 다중-탑승자 세발자전거 | |
FR2742641A1 (fr) | Dispositif de siege inclinable stationnaire ou roulant, notamment pour malade ou handicape | |
KR101788579B1 (ko) | 분리 및 접이 가능한 전동휠체어 | |
KR102435534B1 (ko) | 보행 보조기 | |
JP4098823B2 (ja) | 歩行器 | |
KR20080080541A (ko) | 휠체어 | |
US6260867B1 (en) | Child walker | |
KR20110005175U (ko) | 핸드브레이크장치를 갖춘 보행보조기 | |
JP6298614B2 (ja) | 歩行車 | |
KR100663951B1 (ko) | 전복 방지 휠체어 | |
US20220274664A1 (en) | Physiotherapeutic Conveyance | |
DE202017004591U1 (de) | Elektrisch betriebene fahrbare Gehhilfe | |
KR102032529B1 (ko) | 장애인용 휠패러 장치 | |
JP3709522B2 (ja) | 介助機能付車椅子 | |
JP3188074U (ja) | 歩行車の制動機構 | |
JP5964154B2 (ja) | 車椅子 | |
KR20160125002A (ko) | 보행 훈련 기구 | |
JP3028282U (ja) | 車椅子用補助輪 | |
JP6282453B2 (ja) | 車椅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