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5315B1 - 차량용 공조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5315B1
KR102435315B1 KR1020150139602A KR20150139602A KR102435315B1 KR 102435315 B1 KR102435315 B1 KR 102435315B1 KR 1020150139602 A KR1020150139602 A KR 1020150139602A KR 20150139602 A KR20150139602 A KR 20150139602A KR 102435315 B1 KR102435315 B1 KR 102435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ing
conditioning case
foreign material
inflow prevention
prevention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9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0831A (ko
Inventor
김성현
김주훈
이동원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9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5315B1/ko
Publication of KR20170040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0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5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2001/00714Details of seals of damper do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용 공조 장치의 공조 케이스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구동을 위한 구동 기구를 보호하기 위한 특정 형상의 리브가 추가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용 공조 장치의 공조 케이스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보스와 케이블 고정부 등을 가지며 이물질 유입 방지를 위한 이물질 방지 리브가 형성된 공조 케이스 구조로서, 상기 이물질 방지 리브는 특정 곡률을 가지며 복수 개의 곡률의 센터 포인트가 서로 반대 위치가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 장치{Car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를 구비한 차량용 공조 장치의 공조 케이스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구동을 위한 구동부와 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하여 특정 형상의 리브를 추가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를 구비한 차량용 공조 장치의 공조 케이스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공조 장치는 하절기나 동절기에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우천시나 동절기에 윈드실드에 끼게 되는 성에 등을 제거하여 운전자의 전후방 시야가 확보될 수 있게 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자동차의 하나의 내장품으로, 이러한 차량용 공조장치는 통상 난방 장치와 냉방 장치를 동시에 갖추고 있어서 외기나 내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한 후, 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 차량의 실내에 송풍함으로써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환기하게 된다.
이러한 차량용 공조 장치는, 블로어 유니트,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의 독립적인 구조에 따라, 상기 3개의 유니트들이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쓰리 피스 타입 공조 장치와,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가 공조 케이스에 내장되고 블로어 유니트가 별도의 유니트로 구비되는 세미 센터 타입 공조 장치와, 그리고 상기 3개의 유니트가 모두 공조 케이스에 내장되는 센터마운팅 타입 공조 장치로 대별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탑승자의 필요에 따라 차량 실내의 운전석과 조수석에 각기 다른 온도의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여 개별적인 냉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른바 좌,우 독립 공조 장치가 적용되고 있다.
기존의 차량용 공조 장치의 공조 케이스의 경우에 있어서, 이물질의 유입 방지 구조가 없는 공조 케이스가 있고, 이물질의 유입을 막기 위하여 일자형(직선형)의 이물질 유입 방지 구조를 가지는 공조 케이스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공조 장치의 공조 케이스(1)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이물질 방지 리브가 없는 차량용 공조 케이스(1)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일자형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2)를 갖는 차량용 공조 케이스(1)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보면, 도 1의 (a)는 차량용 공조 장치의 공조 케이스(1)에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가 없는 차량용 공조 장치의 공조 케이스(1)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가 없을 경우, 세차나 사용자의 접촉, 외기 유입, 외력 등으로 인해 돌, 먼지, 흙 등의 이물질이 도어 구동부에 유입되어 모드 작동 불량, 템프 작동 불량, 불능, 소음 유발, 케이블의 경우에는 조작감의 과다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막기 위하여, 도 1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량용 공조 장치의 공조 케이스(1)의 측면부에 일자형(직선형)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2)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일자형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2)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되는 일부의 효과는 볼 수 있으나,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2)에 부딪힌 이물질이 어느 일부분에 쌓여 적층되게 되며, 이렇게 쌓여 있던 이물질에 세차수나 압축 공기를 분사하게 되면 일시에 분산되어 날리게 되므로 사용자의 쾌적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이렇게 날리는 이물질이 공조 케이스(1) 내의 구동 기구, 캠 메카니즘이나 케이블 등에 유입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구동을 위한 구동부나 캠 메카니즘과 케이블 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특정 곡률을 가지며 이물질 유입 방지를 위한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의 궤적을 특정 개수의 곡률 센터 포인트가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용 공조 장치의 공조 케이스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조 케이스와, 상기 공조 케이스 내의 도어를 구동하기 위해 공조 케이스에 설치된 구동 기구와, 상기 공조 케이스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 기구 측으로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 장치의 공조 케이스 구조로서,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는 특정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는 복수 개의 변곡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는 중심이 서로 상이한 복수 개의 곡률을 가지는 곡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는 공조 케이스와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는 공조 케이스와 탈착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는 공조 케이스와 함께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의 단면은 다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의 단면은 곡선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의 다각형 형상의 단면으로써 삼각형, 사각형, 사다리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의 곡선형 형상의 단면으로써는 원형, 반원형, 타원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는 각종 도어 등의 구동부를 고정하기 위한 보스를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는 상기 공조 케이스의 배면측에 형성되어 있는 케이블 고정 구조물을 통과하거나 인접하게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특정 곡률을 가지는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는 구동 기구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는 보스와 보스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차량용 공조 장치의 공조 케이스에 특정한 곡률의 곡선 형상을 가진 이물질 유입 방지용 리브를 설치함에 의해 공조 케이스 내의 구동 기구, 캠 메카니즘과 조작 케이블 등에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용 공조 장치의 공조 케이스에 상기와 같이 설치된 이물질 유입 방지용 리브에 쌓여 있던 이물질이 골고루 퍼지게 하여 나중에 압축 공기 등에 의해 축적되어 있던 이물질이 분산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쾌적성 및 미관상 유리한 효과가 있고, 강한 바람이나 외력이 작용할 때, 모여진 이물질이 구동 기구, 캠 메카니즘이나 조작 케이블 내로 침투할 확률이 종래보다 대폭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용 공조 장치의 공조 케이스에 이물질 유입 방지용 리브를 캠 메카니즘을 구동하기 위한 액추에이터나 케이블 고정부와 인접 또는 중첩되게 구성함으로써 종래에 비하여 공조 케이스의 강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보스(12)와 보스(12') 사이를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11)로 연결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공조 케이스의 강성이 확보되며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 장치의 공조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으로써, (a)는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가 없는 차량용 공조 장치의 공조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일자형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를 가지는 차량용 공조 장치의 공조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가 부착된 차량용 공조 장치의 공조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 부분과 그 주변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의 여러 가지 단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가 보스와 보스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11)가 부착된 차량용 공조 장치의 공조 케이스(10)와,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 부분과 그 주변부를 확대 도시하며,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의 여러 가지 단면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증발기, 히터 코어 및 각종 도어가 장착된 차량용 공조 장치는 그 외부를 공조 케이스(10)가 둘러싸고 있다. 또한, 이러한 공조 케이스(10)에는 각종 도어 등의 구동부를 고정하기 위한 보스(12)와 케이블 고정부(13)(공조 케이스의 배면에 형성) 등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공조 케이스(10)에는 구동 기구를 지지하기 위한 보스(12)를 사이에 두고 곡선형의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11)를 보스(12)를 사이에 두고 형성함으로써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11)와 보스(12)가 함께 형성되어 공조 케이스(11)의 강성이 향상되고 되고 공조 케이스의 내구성이 향상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스(12) 이외에 공조 케이스의 배면측에 형성된 케이블 고정부(13)를 통과하여 곡선형의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11)가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또는,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11)는 보스(12)를 사이에 두고 있으면서 동시에 케이블 고정부에 인접하게 형성된 경우도 있다. 바꾸어 말하면, 이물질 유입 리브(11)는 공조 케이스(10)의 외측에 보스(12)를 사이에 두고형성되고, 상기와 같이 형성된 이물질 유입 리브(11)는 공조 케이스(10)의 배면측에 형성된 케이블 고정부(13)를 통과하거나 케이블 고정부(13)와 인접하게 통과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이물질 유입 리브(11)가 보스(12)를 사이에 두고 형성되고 케이블 고정부(13)를 통과하거나 케이블 고정부(13)와 인접하게 통과하게 함으로써 공조 케이스의 강성이 향상되게 된다.
상기 곡선형의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11)는 물결 모양으로 형성하되 센터 포인트가 상하로 교대로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의 곡선(11a)은 센터 포인트 14를 가지며, 곡선(11b)은 센터 포인트 14'를 가지고, 곡선(11c)는 센터 포인트 14"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체 곡선의 센터 포인트는 상하 교대로 위치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센터 포인트(14, 14', 14")를 가진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3개 이상의 센터 포인트를 가지고 형성해도 된다. 곡선(11a, 11b, 11c)에서 센터 포인트(14, 14', 14")까지의 거리, 즉 반경은 적용되는 모델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도 3의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11)가 그리는 곡선은 3개의 변곡점을 가지고 있다.
차량용 공조 장치의 공조 케이스(10)에 형성되는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11)는 공조 케이스(10)를 주조할 때, 공조 케이스(10)와 일체로 사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11)는 탈착 가능하게 형성하여 본드와 같은 접착 수단이나 나사와 같은 결합 수단에 의해 부착해도 좋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량용 공조 장치의 공조 케이스(10)에 형성되는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11)는 그 단면 형상이 삼각형(도 4의 (a) 참조), 사각형(도 4의 (b) 참조), 사다리꼴(도 4의 (c) 참조)을 포함하는 다각형과, 원형(도 4의 (d) 참조), 반원형(도 4의 (e) 참조), 타원형(도 4의 (f) 참조) 등을 포함하는 곡선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들의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곡선 14는 삼각형으로, 곡선 14'는 사각형으로, 곡선 14"는 반원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11)는 또한 보스(12)와 보스(12‘)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공조 케이스의 강성이 더욱 증대되게 된다. 또한, 보스(12, 12')와 케이블 고정부(13)의 배면을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11)가 통과하게 하여 강성을 더욱 증대되게 할 수 있다.
10 : 공조 케이스 11 :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
12, 12' : 보스 13 : 케이블 고정부
14, 14', 14" : 센터 포인트

Claims (12)

  1. 공조 케이스(10)와, 상기 공조 케이스(10) 내의 도어를 구동하기 위해 공조 케이스에 설치된 구동 기구와, 상기 공조 케이스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 기구 측으로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11)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 장치의 공조 케이스 구조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11)는, 특정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고, 공조 케이스(10)와 일체형이며, 공조 케이스(10)와 함께 사출 성형되고,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11)는 각종 도어 등의 구동부를 고정하기 위한 보스(12)에 연결 형성되며,
    상기 특정 곡률을 가진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11)가 구동 기구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11)가 보스(12)에 연결 형성되어 공조 케이스(10)의 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가 형성된 공조 케이스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11)는 복수 개의 변곡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가 형성된 공조 케이스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11)는 중심이 서로 상이한 복수 개의 곡률을 가지는 곡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가 형성된 공조 케이스 구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11)의 단면은 다각형 형상의 단면 또는 곡선형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가 형성된 공조 케이스 구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11)의 다각형 형상의 단면으로써 삼각형, 사각형, 사다리꼴을 포함하고, 곡선형 형상의 단면으로써 원형, 반원형, 타원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가 형성된 공조 케이스 구조.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11)는 상기 공조 케이스의 배면측에 형성되어 있는 케이블 고정 구조물을 통과하거나 인접하게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가 형성된 공조 케이스 구조.
  11. 삭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11)는 보스(12)와 보스(12‘)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유입 방지 리브가 형성된 공조 케이스 구조.
KR1020150139602A 2015-10-05 2015-10-05 차량용 공조 장치 KR102435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602A KR102435315B1 (ko) 2015-10-05 2015-10-05 차량용 공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602A KR102435315B1 (ko) 2015-10-05 2015-10-05 차량용 공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0831A KR20170040831A (ko) 2017-04-14
KR102435315B1 true KR102435315B1 (ko) 2022-08-24

Family

ID=58579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9602A KR102435315B1 (ko) 2015-10-05 2015-10-05 차량용 공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531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2033A (ja) * 2002-03-01 2003-09-09 Japan Climate Systems Corp 車両用空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43336B1 (fr) * 2002-08-06 2006-01-20 Valeo Climatisation Appareil de climatisation et/ou de chauffage pour habitacle de vehicule automobile muni d'au moins un actionneur pour volet articu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2033A (ja) * 2002-03-01 2003-09-09 Japan Climate Systems Corp 車両用空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0831A (ko) 2017-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0690B2 (en) Motor vehicle having a front end comprising an air-guiding device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CN105307927B (zh) 具有从车轮罩出发的空气通道的机动车
JP6138488B2 (ja) 熱交換器のファンユニット
US20190061829A1 (en) Caravan Window with Ventilation
JP5441981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1521591B1 (ko) 디프로스터 및 크래시패드 조립체
US9073420B2 (en) Frame arrangement of a motor vehicle body
KR102435315B1 (ko) 차량용 공조 장치
US7156444B1 (en) Windshield covering system
US20190054797A1 (en) Mounting Structure And Linkage In ATV Air Heat Exchanger
JP2014069607A (ja) 車両のピラー部構造
CN105711654A (zh) 用于车轮罩排风装置的导气装置
JP2010158921A (ja) 車両の前部構造
KR101440156B1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및 그의 그릴
JP7061842B2 (ja) 車両空調用送風装置
CN110017457A (zh) 用于机动车灯的通风系统
CN113365858A (zh) 用于机动车辆的空调机组的装配有导流器的空气进气口
KR20120134316A (ko) 차량용 공조장치
CN207902564U (zh) 一种通风饰板结构及汽车
KR102078982B1 (ko) 차량용 디프로스터
KR101465513B1 (ko) 차량용 통풍 블로어
KR100577813B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디프로스터 덕트 구조
JP5819272B2 (ja) 車両のフロントピラー部構造
JP2002219943A (ja) カウルルーバの水切り構造
JP5911738B2 (ja) カウルルー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