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4446B1 - 신선식품용 쇼케이스 - Google Patents

신선식품용 쇼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4446B1
KR102434446B1 KR1020210124560A KR20210124560A KR102434446B1 KR 102434446 B1 KR102434446 B1 KR 102434446B1 KR 1020210124560 A KR1020210124560 A KR 1020210124560A KR 20210124560 A KR20210124560 A KR 20210124560A KR 102434446 B1 KR102434446 B1 KR 102434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information
fresh food
display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4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주방뱅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주방뱅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주방뱅크
Priority to KR1020210124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44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6Show cases or show cabinets with movable or removable shelves or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djustable, foldable or easily dismoun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82Details common to both closed and open types
    • A47F3/0486Details common to both closed and open types for charging, display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 A47F3/0491Cooled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043Show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081Show stands or display racks with movable parts
    • A47F5/0087Show stands or display racks with movable parts movable around an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2Show cases or show cabinets with dispensing arrangements
    • A47F2003/021Show cases or show cabinets with dispensing arrangements for dispensing bread, buns, confectionary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열선반의 층간 높이를 작업자가 원하는 높이로 조절가능하게 안내하고, 원하는 높이로 조절된 진열선반의 고정성능을 극대화시켜주며, 각 진열선반을 한 쌍으로 분리가능하게 고정하여주는 구조를 통해, 높이가 상이한 다양한 신선식품을 진열가능하게 안내하고, 진열선반에 진열되는 각 신선식품의 종류 또는 해당 신선식품을 이루는 세부식품의 진열유통기한을 자동으로 표시하여 주며, 비슷한 중량을 갖는 다양한 종류의 신선식품 식별 또는 신선식품을 이루는 세부식품의 종류를 식별하여 고객이 인지할 수 있게 출력 안내하여 주는 신선식품용 쇼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신선식품을 진열하기 위한 진열공간(101)이 형성된 쇼케이스 본체(100)와; 상기 쇼케이스 본체(100)의 내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측부 지지프레임(200)과; 상기 한 쌍의 측부 지지프레임(200) 사이에 설치되는 중앙 지지프레임(300)과; 상기 한 쌍의 측부 지지프레임(200) 및 상기 중앙 지지프레임(300)이 관통되도록, 일측부 관통구멍(401), 타측부 관통구멍(401) 및 중앙 관통구멍(402)이 각각 관통형성된 복수의 진열선반(400)과; 상기 진열선반(400) 각각을 상기 한 쌍의 측부 지지프레임(200)에 각각 고정시켜주되, 상하이동 가능하게 고정시켜주는 한 쌍의 층별 간격 조절용 고정부재(5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신선식품용 쇼케이스{Showcase for fresh food}
본 발명은 진열선반의 층간 높이를 작업자가 원하는 높이로 조절가능하게 안내하고, 원하는 높이로 조절된 진열선반의 고정성능을 극대화시켜주며, 각 진열선반을 한 쌍으로 분리가능하게 고정하여주는 구조를 통해, 높이가 상이한 다양한 신선식품을 진열가능하게 안내하고, 진열선반에 진열되는 각 신선식품의 종류 또는 해당 신선식품을 이루는 세부식품의 진열유통기한을 자동으로 표시하여 주며, 비슷한 중량을 갖는 다양한 종류의 신선식품 식별 또는 신선식품을 이루는 세부식품의 종류를 식별하여 고객이 인지할 수 있게 출력 안내하여 주는 신선식품용 쇼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쇼케이스라 함은 주로 제과점 등에서 샌드위치, 케이크, 샐러드와 같은 신선상품을 고객이 열람을 통해 구매가능하도록 진열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의 쇼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쇼케이스(10)는 신선식품이 진입 가능하도록 쇼케이스(10)의 배면에 미닫이식 도어가 설치되고, 쇼케이스(10)의 내부에 진열선반(11)이 복층으로 구성된 진열공간(12)에 다양한 종류의 신선식품을 진열하며, 냉기를 생성하는 냉장 장비를 포함하는 기계실(13)이 쇼케이스(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쇼케이스는 진열선반(11)이 고정으로 설치되기 때무에, 부피가 큰 케이크나 부피가 작은 샌드위치 및 샐러드의 경우 동일한 높이의 진열선반(11)에 진열될 수 밖에 없어 진열공간(12)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케이크의 경우 크리스마스나 생일과 같은 기념일을 기념하기 위해, 케이크 상에 트리조형물 또는 사람 조형물과 같은 장식물이 들쭉날쭉한 높이로 배치되기 때문에, 진열선반(11)의 층간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여 진열선반(11)의 층간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가능한 수단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또한, 종래의 쇼케이스는 진열선반이 일체로 제공되기 때문에, 진열선반 상에 2개의 신선식품을 진열하되, 그 진열되는 2개의 신선식품의 높이가 다를 경우 2개 모두 진열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종래의 쇼케이스는 진열되는 신선식품마다 각기 다른 유통기한을 표시하여 주지 못하기 때문에, 해당 신선식품 용기의 외면 상에 유통기한이 표시된 스티커 형태의 라벨을 부착제공하기 때문에, 고객이 유통기한을 확인하고자 신선식품 용기를 만지고 드는 것과 같은 신체적인 접촉이 필수적으로 발생함으로써, 청결성에 흠이 갈 뿐만 아니라 바이러스와 같은 오염의 위험성도 내포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종래의 쇼케이스는 진열선반에 진열되는 신선식품에 조명을 조사하지 않아 제품 진열 효과가 반감되는 문제점도 있다.
KR 10-1299479 B1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진열선반의 층간 높이를 작업자가 원하는 높이로 조절가능하게 안내하는 신선식품용 쇼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진열선반을 한 쌍으로 분리가능하게 고정하여주는 구조를 통해, 높이가 상이한 다양한 신선식품을 진열가능하게 안내하는 신선식품용 쇼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진열선반에 진열되는 각 신선식품의 종류 또는 해당 신선식품을 이루는 세부식품의 진열유통기한을 자동으로 표시하여 줌으로써, 고객이 유통기한을 확인하고자 신선식품 용기를 만지고 드는 것과 같은 신체적인 접촉을 사전에 차단하여 청결성을 유지시켜 줌과 더불어 바이러스와 같은 오염의 위험성도 제거하여 주는 신선식품용 쇼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진열된 신선식품에 조명을 조사하되, 당일 날씨에 대응하여 조명색상이 자동적으로 변경되게 구현함으로써, 고객의 구매욕구가 향상되게 유도하여 주는 신선식품용 쇼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신선식품용 쇼케이스는, 내부에 신선식품을 진열하기 위한 진열공간이 형성된 쇼케이스 본체와; 상기 쇼케이스 본체의 내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측부 지지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측부 지지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중앙 지지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측부 지지프레임 및 상기 중앙 지지프레임이 관통되도록, 일측부 관통구멍, 타측부 관통구멍 및 중앙 관통구멍이 각각 관통형성된 복수의 진열선반과; 상기 진열선반 각각을 상기 한 쌍의 측부 지지프레임에 각각 고정시켜주되, 상하이동 가능하게 고정시켜주는 한 쌍의 층별 간격 조절용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측부 지지프레임은 사각형상의 관체이고, 상기 한 쌍의 층별 간격 조절용 고정부재는, 사각형상 관체의 내면이 상기 측부 지지프레임인 사각형상의 관체의 외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되어, 상기 측부 지지프레임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형 몸체와; 상기 이동형 몸체의 양측에 각각 관통되어 나선체결되는 나선봉 및 상기 나선봉의 일단에 고정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나선봉을 나선조임방향 또는 나선풀림방향으로 회전되게 안내하여, 상기 나선봉의 타단이 상기 측부 지지프레임의 외측면에 가압접촉 또는 가압해제시키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한 쌍의 고정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측부 지지프레임은, 전면 중앙부가 절개되어 양측에 끼임용 절개면이 각각 형성되되, 마주보는 끼임용 절개면의 폭은 전방부분이 넓고 후방부분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전광후협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층별 간격 조절용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지지되는 상기 진열선반을 보강하여 지지시켜 주도록, 일측부가 진열선반에 연결되고, 타측부가 상기 측부 지지프레임의 끼임용 절개면에 억지끼움되는 보강용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용 고정부재는, 일측부가 상기 측부 지지프레임에 힌지연결되고, 타측부가 힌지 회전하여 상기 측부 지지프레임의 끼임용 절개면에 끼움되되, 그 끼움되는 타측부의 접촉 측면은 상기 끼임용 절개면의 경사면 형상에 대응되는 접촉 경사면이 형성되어, 억지끼움되는 보강지지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신선식품용 쇼케이스에는, 보강지지대용 이탈방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지지대용 이탈방지부재는, 사각형상 관체의 내측면이 상기 측부 지지프레임인 사각형상의 관체의 외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되어, 상기 측부 지지프레임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 이동하며, 사각형상 관체의 내측면 중 전방 쪽의 내측면에는 상기 끼임용 절개면에 억지끼움되는 상기 보강지지대의 타측부의 노출 측면에 접촉되는 사선접촉면이 절개형성되는 이탈방지 몸체와; 상기 이탈방지 몸체의 양측에 각각 관통되어 나선체결되는 하측나선봉 및 상기 하측나선봉의 일단에 고정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하측나선봉을 나선조임방향 또는 나선풀림방향으로 회전되게 안내하여, 상기 하측나선봉의 타단이 상기 측부 지지프레임의 외측면에 가압접촉 또는 가압해제시키는 하측손잡이를 포함하는 하측고정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진열선반은, 중앙을 중심으로 일측 진열선반 및 타측 진열선반으로 분리되고, 분리된 상기 일측 진열선반 및 상기 타측 진열선반을 상기 중앙 지지프레임에 개별적으로 고정시켜주는 한 쌍의 분리 층별 보조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분리 층별 보조고정부재는, 관체의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중앙 지지프레임의 측면을 감싸며 진입하는 절개몸체와; 상기 절개몸체의 전후측에 각각 관통되어 나선체결되는 보조나선봉 및 상기 보조나선봉의 일단에 고정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보조나선봉을 나선조임방향 또는 나선풀림방향으로 회전되게 안내하여, 상기 보조나선봉의 타단이 상기 중앙 지지프레임의 측면에 가압접촉 또는 가압해제시키는 보조손잡이를 포함하는 한 쌍의 보조고정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신선식품용 쇼케이스에는, 상기 진열선반 마다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진열선반에 놓여지는 신선식품의 중량을 감지하여 신선식품 중량감지신호를 생성하고, 설치식별자신호를 상기 신선식품 중량감지신호에 취합하여 출력하는 중량감지센서와; 상기 진열선반 마다 설치되는 정보출력부와; 상기 중량감지센서로부터 신선식품 중량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정보출력부를 통해, 신선식품의 유통기한을 안내하는 정보를 해당 중량감지센서가 설치된 진열선반의 정보출력부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신선식품은, 샌드위치, 야채샐러드, 케이크의 종류별로 구분되고, 상기 신선식품를 이루는 샌드위치의 최고 중량 및 최저 중량이 속하는 샌드위치 중량구간, 야채샐러드의 최고 중량 및 최저 중량이 속하는 야채샐러드 중량구간 및 케이크의 최고 중량 및 최저 중량이 속하는 케이크 중량구간을 나타내는 종류별 중량구간정보와, 상기 신선식품를 이루는 샌드위치의 세부식품명을 나타낸 샌드위치 식품명 및 해당 샌드위치 식품명에 따른 중량을 포함하는 샌드위치 식품별 중량, 야채샐러드의 세부식품명을 나타낸 야채샐러드 식품명 및 해당 야채샐러드 식품명에 따른 중량을 포함하는 야채샐러드 식품별 중량 및 케이크의 세부식품명을 나타낸 케이크 식품명 및 해당 케이크 식품명에 따른 중량을 포함하는 케이크 식품별 중량을 나타내는 종류별 세부 모델명 정보와, 상기 신선식품를 이루는 샌드위치의 세부식품명에 따른 진열기한일자를 나타내는 샌드위치 유통기한일자, 야채샐러드의 세부식품명에 따른 진열기한일자를 나타내는 야채샐러드 유통기한일자 및 케이크의 세부식품명에 따른 진열기한일자를 나타내는 케이크 유통기한일자를 포함하는 종류별 세부 모델 유통기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량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선식품 중량감지신호를 상기 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종류별 중량구간정보와 매칭하여 해당 신선식품의 종류를 확인하고, 상기 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종류별 세부 모델명 정보에서 확인된 해당 신선식품의 각 식품명 중 상기 신선식품 중량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중량을 갖는 확인 종류별 식품명을 추출하며, 상기 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종류별 세부 모델 유통기한 정보에서 확인 종류별 식품명의 유통기한일자인 확인 종류별 식품 유통기한일자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확인 종류별 식품명 및 확인 종류별 식품 유통기한일자를 포함하는 종류별 식품 유통기한 안내정보로 가공하여 상기 정보출력부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종류별 식품 유통기한 안내정보는, 상기 정보출력부에 해당 신선식품의 진열이 시작된 일자를 나타내는 진열개시일자 표시영역, 해당 신선식품의 진열이 종료될 일자를 나타내는 진열종료일자 표시영역 및 해당 신선식품을 식별하는 정보인 신선식품명을 나타내는 식품명 표시영역으로 구분되어 표시되어진다.
본 발명의 신선식품용 쇼케이스에는, 정보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출력부는, 상기 종류별 식품 유통기한 안내정보가 출력되는 것으로, 고객이 열람가능하게 안내하는 고객전용 디스플레이부 및 직원이 열람가능하게 안내하는 직원전용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종류별 세부 모델명 정보에서 확인된 해당 신선식품의 각 식품명 중 상기 신선식품 중량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중량을 갖는 종류별 식품명이 복수개인 경우 모두 추출하고, 그 추출된 복수개의 종류별 식품명을 포함하는 선택 요청용 식품명 정보를 직원전용 디스플레이부로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직원전용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된 복수개의 종류별 식품명 중 상기 정보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식품명인 선택 식품명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선택 식품명 정보를 확인 종류별 식품명으로 특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진열선반의 하면에는 빨강(Red),파랑(Blue), 녹색(Green), 황색(Yellow) LED 중 하나 이상이 선택되어 색변환되는 RGB LED모듈;이 설치되어 진다.
본 발명의 신선식품용 쇼케이스에는, 기설정된 주기단위로, 추위와 더위를 판단하는 온도 및 맑음, 구름 많음, 흐리고 비와 같은 대기상태를 포함하는 주기별 날씨상태정보를 전송하는 기상안내서버와; 온도를 기준으로 날씨가 선선할 때에 대응하는 색상, 온도를 기준으로 날씨가 추울 때에 대응하는 색상 및 온도를 기준으로 날씨가 더울 때에 대응하는 색상을 나타내는 온도별 색상정보 및 날씨가 맑음일 때에 대응하는 색상, 날씨가 구름 많을 때에 대응하는 색상 및 날씨가 흐리고 비일 때에 대응하는 색상을 나타내는 대기상태별 색상정보가 저장되는 정보저장부와; 상기 기상안내서버로부터 주기별 날씨상태정보가 수신되는 유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상안내서버를 통해 기설정된 주기마다 전송되는 주기별 날씨상태정보를 상기 유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그 수신된 주기별 날씨상태정보를 상기 정보저장부와 매칭하여 주기별 날씨상태정보의 온도에 해당하는 온도별 색상정보 및 주기별 날씨상태정보의 대기상태에 해당하는 대기상태별 색상정보를 추출하며, 그 추출된 온도별 색상정보의 색상과 대기상태별 색상정보의 색상을 혼합한 색상인 외부인자별 신선식품 색상변환정보로 가공한 후 이를 상기 RGB LED모듈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진열선반의 층간 높이를 작업자가 원하는 높이로 조절가능하게 안내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하는 높이로 조절된 진열선반의 고정성능을 극대화시켜주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진열선반을 한 쌍으로 분리가능하게 고정하여주는 구조를 통해, 높이가 상이한 다양한 신선식품을 진열가능하게 안내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진열선반에 진열되는 각 신선식품의 종류 또는 해당 신선식품을 이루는 세부식품의 진열유통기한을 자동으로 표시하여 줌으로써, 고객이 유통기한을 확인하고자 신선식품 용기를 만지고 드는 것과 같은 신체적인 접촉을 사전에 차단하여 청결성을 유지시켜 줌과 더불어 바이러스와 같은 오염의 위험성도 제거하여 주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슷한 중량을 갖는 다양한 종류의 신선식품 식별 또는 신선식품을 이루는 세부식품의 종류를 식별하여 고객이 인지할 수 있게 출력 안내하여 주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진열된 신선식품에 조명을 조사하되, 당일 날씨에 대응하여 조명색상이 자동적으로 변경되게 구현함으로써, 고객의 구매욕구가 향상되게 유도하여 주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쇼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신선식품용 쇼케이스를 나타낸 전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신선식품용 쇼케이스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신선식품용 쇼케이스를 이루는 구성 중 내부의 진열선반 부분을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신선식품용 쇼케이스를 이루는 구성 중 내부의 진열선반의 상면 부분을 나타낸 요부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신선식품용 쇼케이스를 이루는 구성 중 측부 지지프레임 부분을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7 본 발명의 신선식품용 쇼케이스를 이루는 구성 중 측부 지지프레임 부분을 나타낸 요부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신선식품용 쇼케이스를 이루는 구성 중 측부 지지프레임에 분리된 한 쌍의 진열선반이 각각 고정되는 것을 나타낸 요부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신선식품용 쇼케이스를 이루는 구성 중 내부의 진열선반의 하면 부분을 나타낸 저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신선식품용 쇼케이스를 이루는 주요 구성 및 그 주요 구성을 구동제어하는 부분을 블록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신선식품용 쇼케이스를 이루는 구성 중 진열선반에 설치되는 정보출력부 부분을 나타낸 요부도면.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신선식품용 쇼케이스를 원격지에서도 열람 가능하게 안내하는 시스템 구성도.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언급된 것일 뿐이지,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표현하거나, 또는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가급적 동일한 도면부호를 명기하기로 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하기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선식품용 쇼케이스는 크게, 쇼케이스 본체(100), 한 쌍의 측부 지지프레임(200), 중앙 지지프레임(300), 복수의 진열선반(400) 및 한 쌍의 층별 간격 조절용 고정부재(500)로 이루어진다.
먼저, 쇼케이스 본체(100)는 내부에 신선식품을 진열하기 위한 진열공간(101)이 형성된 하우징부재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쇼케이스 본체(100)의 세부구성은 하부에 냉기를 생성하는 냉장 장비를 포함하여 신선식품을 진열하는데 필요한 각종 구성부품이 수납되는 수납함체(110)가 구비되고, 그 수납함체(110)의 상면 네측 모서리 부분에서 모서리 프레임(120)이 연결되고, 그 연결되는 각 모서리 프레임(120)의 상단 간을 이음연결하는 각 연결프레임(121)을 통해, 사각형체의 틀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각 모서리 프레임(120)의 전면 및 양측면을 각각 밀폐시키는 투명케이스(140)투명케이스(140) 프레임(120)에 고정되어지고, 각 연결프레임(121)의 상단에는 불투명재질의 지붕(130)이 고정되어지며, 각 모서리 프레임(120)의 후면에는 미닫이식 도어(150)가 설치되어진다.
상기 한 쌍의 측부 지지프레임(200)은 쇼케이스 본체(100)의 내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부재로서, 후술되는 진열선반(400)들이 고정가능하게 연결축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측부 지지프레임(200)은 사각형상의 관체로 제공되어질 수 있다.
상기 상기 중앙 지지프레임(300)은 한 쌍의 측부 지지프레임(200) 사이에 설치되어, 후술되는 진열선반(400)들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연결축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이다.
상기 복수의 진열선반(400)은 한 쌍의 측부 지지프레임(200) 및 중앙 지지프레임(300)이 관통되도록,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측부 관통구멍(401) 및 중앙 관통구멍(402)이 각각 관통형성된 부재로서, 다양한 종류의 신선식품이 진열가능하게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한 쌍의 층별 간격 조절용 고정부재(500)는 진열선반(400) 각각을 한 쌍의 측부 지지프레임(200)에 각각 고정시켜주되, 상하이동 가능하게 고정시켜주는 부재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한 쌍의 층별 간격 조절용 고정부재(500)의 세부구성은 사각형상 관체의 내면이 측부 지지프레임(200)인 사각형상의 관체의 외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되어, 측부 지지프레임(200)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형 몸체(510)와, 이동형 몸체(510)의 양측에 각각 관통되어 나선체결되는 나선봉(521) 및 나선봉(521)의 일단에 고정연결되는 것으로, 나선봉(521)을 나선조임방향 또는 나선풀림방향으로 회전되게 안내하여, 나선봉(521)의 타단이 측부 지지프레임(200)의 외측면에 가압접촉 또는 가압해제시키는 손잡이(522)를 포함하는 한 쌍의 고정부(520)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각 진열선반(400)은 mm단위로 미세하게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여, 높이가 상이한 다양한 신선식품에 맞게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가능한 이점을 제공한다.
한편, 층별 간격 조절용 고정부재(500)에 의해 고정지지되는 진열선반(400)은 그 자체로 어느 정도 중량이 나갈 뿐만 아니라 케이크와 같은 고중량의 신선식품이 진열될 경우 그 하중이 층별 간격 조절용 고정부재(500)에 집중되어 층별 간격 조절용 고정부재(500)의 고정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층별 간격 조절용 고정부재(500)에 의해 고정지지되는 진열선반(400)을 보강하여 지지시켜 주도록, 일측부가 진열선반(400)에 연결되고, 타측부가 측부 지지프레임(200)의 끼임용 절개면(201)에 억지끼움되는 보강용 고정부재(600)가 추가로 구비되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측부 지지프레임(200)은 억지끼움성능이 극대화되도록, 전면 중앙부가 절개되어 양측에 끼임용 절개면(201)이 각각 형성되되, 마주보는 끼임용 절개면(201)의 폭은 전방(P)부분이 넓고 후방(R)부분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전광후협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보강용 고정부재(600)의 세부구성은 일측부가 측부 지지프레임(200)에 힌지(610)연결되고, 타측부가 힌지(610) 회전하여 측부 지지프레임(200)의 끼임용 절개면(201)에 끼움되되, 그 끼움되는 타측부의 접촉 측면은 끼임용 절개면(201)의 경사면 형상에 대응되는 접촉 경사면(621)이 형성되어, 억지끼움되는 보강지지대(6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측부 지지프레임(200)에 구비되는 힌지(610)는 도면에서 처럼, 내부에 위치되거나, 작업편의성을 위해, 힌지(610)가 측부 지지프레임(200)의 하면에 돌출되어 위치될 수도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신선식품용 쇼케이스에는 측부 지지프레임(200)의 끼임용 절개면(201)에 억지끼움된 보강용 고정부재(600)가 이탈되지 않도록, 보강지지대용 이탈방지부재(630);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보강지지대용 이탈방지부재(630)의 세부구성은 사각형상 관체의 내측면이 측부 지지프레임(200)인 사각형상의 관체의 외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되어, 측부 지지프레임(200)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 이동하며, 사각형상 관체의 내측면 중 전방 쪽의 내측면에는 끼임용 절개면(201)에 억지끼움되는 보강지지대(620)의 타측부의 노출 측면에 접촉되는 사선접촉면(631a)이 절개형성되는 이탈방지 몸체(631) 및 이탈방지 몸체(631)의 양측에 각각 관통되어 나선체결되는 하측나선봉(632a) 및 하측나선봉(632a)의 일단에 고정연결되는 것으로, 하측나선봉(632a)을 나선조임방향 또는 나선풀림방향으로 회전되게 안내하여, 하측나선봉(632a)의 타단이 측부 지지프레임(200)의 외측면에 가압접촉 또는 가압해제시키는 하측손잡이(632b)를 포함하는 하측고정부(632)로 이루어진다.
한편, 각 진열선반(400)은 높이가 상이한 다양한 신선식품을 진열가능하도록, 중앙을 중심으로 분리되어 한 쌍의 진열선반(400a,400b) 즉, 일측 진열선반(400a) 및 타측 진열선반(400b)으로 분리되어 제공될 수 있다.
그릭고 분리된 일측 진열선반(400a) 및 타측 진열선반(400b)을 중앙 지지프레임(300)에 개별적으로 고정시켜주는 한 쌍의 분리 층별 보조고정부재(530)가 구비되어진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한 쌍의 분리 층별 보조고정부재(530)는 관체의 일부가 절개되어 중앙 지지프레임(300)의 측면을 감싸며 진입하는 절개몸체(531)와, 절개몸체(531)의 전후측에 각각 관통되어 나선체결되는 보조나선봉(532a) 및 보조나선봉(532a)의 일단에 고정연결되는 것으로, 보조나선봉(532a)을 나선조임방향 또는 나선풀림방향으로 회전되게 안내하여, 보조나선봉(532a)의 타단이 중앙 지지프레임(300)의 측면에 가압접촉 또는 가압해제시키는 보조손잡이(532b)를 포함하는 한 쌍의 보조고정부(532)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신선식품용 쇼케이스에서는 진열선반에 진열되는 각 신선식품의 종류 또는 해당 신선식품을 이루는 세부식품의 진열 유통기한을 자동으로 표시하여 주는 기능을 통해, 고객이 유통기한을 확인하고자 신선식품 용기를 만지고 드는 것과 같은 신체적인 접촉을 사전에 차단하여 청결성을 유지시켜 줌과 더불어 바이러스와 같은 오염의 위험성도 제거하여 주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신선식품용 쇼케이스에는 중량감지센서(420), 정보출력부(430) 및 제어부(161)가 기본적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먼저, 중량감지센서(420)는 진열선반(400) 마다 설치되는 것으로, 진열선반(400)에 놓여지는 신선식품의 중량을 감지하여 신선식품 중량감지신호를 생성하고, 설치식별자신호를 신선식품 중량감지신호에 취합하여 출력하는 부재이다. 여기서, 설치식별자신호를 통해, 어느 층의 진열선반(400)에서 생성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중량감지센서(420)는 로드셀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정보출력부(430)는 각 신선식품의 종류 또는 해당 신선식품을 이루는 세부식품의 진열 유통기한을 고객이 인지할 수 있게 정보로서 출력하여 주는 부재이다.
여기서, 정보출력부(430)는 진열선반(400)이 일측 진열선반(400a) 및 타측 진열선반(400b)으로 분리되어 제공될 경우 그 분리된 일측 진열선반(400a) 및 타측 진열선반(400b)에 각각 일측 고객전용 디스플레이부(430a) 및 타측 고객전용 디스플레이부(430b)로 제공되어지고, 직원이 전용으로 열람가능하게 안내하는 직원 전용디스플레이부(430c)로 구분하여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음성으로도 고객 또는 직원이 인지가능하도록 스피커(430d)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부의 경우에는 세그먼트,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 다양한 출력부재가 선택 적용되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1)는 중량감지센서(420)로부터 신선식품 중량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정보출력부(430)를 통해, 신선식품의 유통기한을 안내하는 정보를 해당 중량감지센서(420)가 설치된 진열선반(400)의 정보출력부(430)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부재이다.
특히, 제어부(161)가 진열되는 다양한 종류의 신선식품 및 그 신선식품을 이루는 세부식품들을 인지하여 진열 유통기한을 자동으로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신선식품은, 샌드위치, 야채샐러드, 케이크의 종류별로 구분되어진다.
그리고 신선식품를 이루는 샌드위치의 최고 중량 및 최저 중량이 속하는 샌드위치 중량구간, 야채샐러드의 최고 중량 및 최저 중량이 속하는 야채샐러드 중량구간 및 케이크의 최고 중량 및 최저 중량이 속하는 케이크 중량구간을 나타내는 종류별 중량구간정보와, 신선식품를 이루는 샌드위치의 세부식품명을 나타낸 샌드위치 식품명 및 해당 샌드위치 식품명에 따른 중량을 포함하는 샌드위치 식품별 중량, 야채샐러드의 세부식품명을 나타낸 야채샐러드 식품명 및 해당 야채샐러드 식품명에 따른 중량을 포함하는 야채샐러드 식품별 중량 및 케이크의 세부식품명을 나타낸 케이크 식품명 및 해당 케이크 식품명에 따른 중량을 포함하는 케이크 식품별 중량을 나타내는 종류별 세부 모델명 정보와, 신선식품를 이루는 샌드위치의 세부식품명에 따른 진열기한일자를 나타내는 샌드위치 유통기한일자, 야채샐러드의 세부식품명에 따른 진열기한일자를 나타내는 야채샐러드 유통기한일자 및 케이크의 세부식품명에 따른 진열기한일자를 나타내는 케이크 유통기한일자를 포함하는 종류별 세부 모델 유통기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저장부(163)를 더 포함한다.
이를 통해, 제어부(161)는 중량감지센서(420)로부터 입력되는 신선식품 중량감지신호를 정보저장부(163)에 저장된 종류별 중량구간정보와 매칭하여 해당 신선식품의 종류를 확인하고, 정보저장부(163)에 저장된 종류별 세부 모델명 정보에서 확인된 해당 신선식품의 각 식품명 중 신선식품 중량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중량을 갖는 확인 종류별 식품명을 추출하며, 정보저장부(163)에 저장된 종류별 세부 모델 유통기한 정보에서 확인 종류별 식품명의 유통기한일자인 확인 종류별 식품 유통기한일자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확인 종류별 식품명 및 확인 종류별 식품 유통기한일자를 포함하는 종류별 식품 유통기한 안내정보로 가공하여 정보출력부(430)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정보출력부(430)에는 종류별 식품 유통기한 안내정보가 해당 신선식품의 진열이 시작된 일자를 나타내는 진열개시일자 표시영역(431), 해당 신선식품의 진열이 종료될 일자를 나타내는 진열종료일자 표시영역(432) 및 해당 신선식품을 식별하는 정보인 신선식품명을 나타내는 식품명 표시영역(433)으로 구분되어 표시되어진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정보저장부(163)는 앞에서 언급한 정보와 같이, 진열선반에 진열되는 각 신선식품의 종류 또는 해당 신선식품을 이루는 세부식품의 진열유통기한을 자동으로 표시하여 주기 위한 각종 데이터와 더불어 각종 응용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부재로서,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선식품용 쇼케이스에서는 비슷한 중량을 갖는 다양한 종류의 신선식품 식별 또는 신선식품을 이루는 세부식품의 종류를 식별하여 고객이 인지할 수 있게 출력 안내하여 주는 기능도 제공한다.
먼저, 신선식품을 이루는 세부식품들이 비슷한 중량을 가질 경우 이를 식별하여 고객이 인지할 수 있게 필요한 정보가 입력되는 정보입력부(165);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정보출력부(430)는 종류별 식품 유통기한 안내정보가 출력되는 것으로, 고객이 열람가능하게 안내하는 고객전용 디스플레이부(430a,430b) 및 직원이 열람가능하게 안내하는 직원전용 디스플레이부(430c)직원전용 디스플레이부(430c)통해, 제어부(161)는 정보저장부(163)에 저장된 종류별 세부 모델명 정보에서 확인된 해당 신선식품의 각 식품명 중 신선식품 중량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중량을 갖는 종류별 식품명인 세부식품들이 복수개인 경우 모두 추출하고, 그 추출된 복수개의 종류별 식품명을 포함하는 선택 요청용 식품명 정보를 직원전용 디스플레이부(430c)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후, 프랜차이즈 지점 직원은 직원전용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된 출력된 복수개의 종류별 식품명 중 정보입력부(165)를 통해 해당 세부식품을 선택조작하면, 제어부(161)는 선택된 세부식품인 선택 식품명 정보를 확인 종류별 식품명으로 특정함으로써, 비슷한 중량을 가지는 복수의 세부식품 중에서 정확하게 세부식품을 식별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그리고 비슷한 중량을 갖는 다양한 종류의 신선식품 중 정확한 신석식품을 식별하는 기능의 수행도 다음과 같다.
즉, 제어부(161)는 정보저장부(163)에 저장된 종류별 중량구간정보에서 확인된 신선식품의 종류 중 신선식품 중량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중량을 갖는 신선식품의 종류가 복수인 경우, 그 중복되는 복수의 신선식품 종류를 직원전용 디스플레이부(430c)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후, 프랜차이즈 지점 직원은 직원전용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된 복수의 신선식품 종류 중 정보입력부(165)를 통해 해당 신선식품을 선택조작하면, 제어부(161)는 선택된 신선식품인 선택 신선식품 정보와 신선식품 중량감지신호를 정보저장부(163)에서 선택 신선식품에 해당하는 종류별 세부 모델명 정보와 매칭하여 신선식품 중량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중량을 갖는 확인 종류별 식품명을 추출하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비슷한 중량의 신선식품 중 정확하게 신선식품을 식별할 수 있게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신선식품용 쇼케이스에서는 진열된 신선식품에 조명을 조사하되, 당일 날씨에 대응하여 조명색상이 자동적으로 변경되게 구현함으로써, 고객의 구매욕구가 향상되게 유도하여 주는 이점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신선식품용 쇼케이스에는 진열선반(400)의 하면에 빨강(Red),파랑(Blue), 녹색(Green), 황색(Yellow) LED 중 하나 이상이 선택되어 색변환되는 RGB LED모듈(440);이 설치되어진다.
그리고 기설정된 주기단위로, 추위와 더위를 판단하는 온도 및 맑음, 구름 많음, 흐리고 비와 같은 대기상태를 포함하는 주기별 날씨상태정보를 전송하는 기상안내서버(800)를 포함하고, 쇼케이스 본체(100)에는 기상안내서버(800)로부터 주기별 날씨상태정보가 수신되는 유무선통신부(167)를 더 포함한다.
이와 더불어, 정보저장부(163)에는 온도를 기준으로 날씨가 선선할 때에 대응하는 색상, 온도를 기준으로 날씨가 추울 때에 대응하는 색상 및 온도를 기준으로 날씨가 더울 때에 대응하는 색상을 나타내는 온도별 색상정보 및 날씨가 맑음일 때에 대응하는 색상, 날씨가 구름 많을 때에 대응하는 색상 및 날씨가 흐리고 비일 때에 대응하는 색상을 나타내는 대기상태별 색상정보가 저장관리되어진다.
이를 통해, 제어부(161)는, 기상안내서버(800)를 통해 기설정된 주기마다 전송되는 주기별 날씨상태정보를 유무선통신부(167)를 통해 수신하고, 그 수신된 주기별 날씨상태정보를 정보저장부(163)와 매칭하여 주기별 날씨상태정보의 온도에 해당하는 온도별 색상정보 및 주기별 날씨상태정보의 대기상태에 해당하는 대기상태별 색상정보를 추출하며, 그 추출된 온도별 색상정보의 색상과 대기상태별 색상정보의 색상을 혼합한 색상인 외부인자별 신선식품 색상변환정보로 가공한 후 이를 RGB LED모듈(440)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신선식품용 쇼케이스에서는 원격지에서도 고객이 자신이 방문하고자 하는 프랜차이즈 지점에서 판매되는 다양한 신선식품별 종류에 따른 세부식품들을 진열 유통기한별로 인지하여 열람가능하게 안내하여 주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진열선반(400) 마다 설치되는 것으로, 진열선반(400)의 하면에는 카메라(450)가 설치되어진다.
이때, 설치되는 카메라(450)는 해상도가 3메가픽셀(Mega Pixels) 정도의 고해상도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프랜차이즈 지점별로 구분되어 저장되는 정보로서, 해당 지점에서 진열되는 신선식품이 샌드위치, 야채샐러드, 케이크의 종류별로 구분되고, 그 구분되는 신선식품의 종류별 세부식품마다 케이스 진열내역이 정지영상 및 텍스트로 저장관리되는 지점별 신선식품 진열내역정보 DB(711) 및 운영엔진(720)을 포함하는 프랜차이즈 운영서버(700)가 구비되어진다.
이를 통해, 제어부(161)는, 중량감지센서(420)로부터 입력되는 신선식품 중량감지신호가 신선식품을 놓았을 때 중량이 증가되는 신호인 경우 카메라(450)를 구동제어하여, 진열시작 촬영이미지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진열시작 촬영이미지, 그 생성된 진열시작 촬영이미지를 촬영한 카메라(450)가 설치된 해당 진열선반을 식별하는 진열선반 식별자, 그 생성된 진열시작 촬영이미지에 해당하는 종류별 식품명, 그 생성된 진열시작 촬영이미지에 해당하는 종류별 식품명의 진열이 시작된 일자를 나타내는 진열개시일자, 그 생성된 진열시작 촬영이미지에 해당하는 종류별 식품명의 진열이 종료될 일자를 나타내는 진열종료일자 및 쇼케이스 본체(100)가 설치된 프랜차이즈 지점을 식별하는 프랜차이즈 지점 식별자를 포함하는 케이스 진열내역정보를 정보저장부(163)에 저장함과 동시에 유무선통신부(167)를 통해, 프랜차이즈 운영서버(700)로 전송한다.
프랜차이즈 운영서버(700)의 운영엔진(720)은 전송되는 케이스 진열내역정보를 지점별 신선식품 진열내역정보 DB(711)에 지점별로 구분하여 저장관리한다.
이후, 제어부(161)는 중량감지센서(420)로부터 입력되는 신선식품 중량감지신호가 신선식품을 빼냈을 때 중량이 감소되는 신호인 경우 카메라(450)를 구동제어하여, 진열해제 촬영이미지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진열해제 촬영이미지를 촬영한 카메라(450)가 설치된 해당 진열선반을 식별하는 진열선반 식별자를 생성하며, 그 생성된 진열선반 식별자를 정보저장부(163)와 매칭하여, 해당 진열선반(400)에서 직전에 저장된 진열해제 촬영이미지에 대응하는 진열시작 촬영이미지의 진열개시일자를 추출하고, 진열해제 촬영이미지, 진열선반 식별자, 진열해제 촬영이미지에 대응하는 진열시작 촬영이미지의 진열개시일자, 진열해제 촬영이미지가 촬영된 시간일자를 나타내는 진열해제일자 및 쇼케이스 본체(100)가 설치된 프랜차이즈 지점을 식별하는 프랜차이즈 지점 식별자를 포함하는 케이스 진열해제정보를 정보저장부(163)에 저장함과 동시에 유무선통신부(167)를 통해, 프랜차이즈 운영서버(700)로 전송한다.
프랜차이즈 운영서버(700)의 운영엔진(720)은 전송되는 케이스 진열해제정보를 지점별 신선식품 진열내역정보 DB(711)에 지점별로 구분하여 누적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신선식품용 쇼케이스에는 방문하고자 하는 프랜차이즈 지점을 식별하는 프랜차이즈 지점 식별정보 및 해당 프랜차이즈 지점에 진열되어 있는 신선식품의 종류에 따른 유통기한 안내를 요청하는 종류별 선택신선식품 열람요청정보를 포함하는 지점별 유통기한 열람요청신호를 전송하는 신선식품 열람용 앱이 탑재된 고객단말(900)을 포함한다.
여기서, 고객단말(900)은 팜탑(palmtops), 피디에이(Personal Digital Assistants;PDAs),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스마트폰과 같은 통신 단말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PMP), 또는 UMPC(Ultra-mobile PC) 및 MID(Mobile Internet Device) 등 다양한 단말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랜차이즈 운영서버(700)의 운영엔진(720)은 고객단말(900)로부터 전송되는 지점별 유통기한 열람요청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프랜차이즈 지점 식별정보를 지점별 신선식품 진열내역정보 DB(711)와 매칭하여, 매칭되는 해당 프랜차이즈 지점에서 진열되고 있는 전체 신선식품의 종류별 세부식품들을 특정하고, 지점별 유통기한 열람요청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종류별 선택신선식품 열람요청정보를 그 특정된 종류별 세부식품들과 매칭하여, 추출되는 해당 신선식품의 종류별 세부식품들을 나타내는 진열시작 촬영이미지, 해당 진열시작 촬영이미지의 세부식품명, 진열시작 촬영이미지의 진열선반 식별자, 진열시작 촬영이미지의 진열개시일자, 진열시작 촬영이미지의 진열종료일자를 포함하는 특정 지점 선택 신선식품 종류별 케이스 진열내역정보를 고객단말(900)로 전송한다.
고객단말(900)의 신선식품 열람용 앱은 프랜차이즈 운영서버(700)로부터 전송되는 특정 지점 선택 신선식품 종류별 케이스 진열내역정보를 토대로, 진열시작 촬영이미지, 진열시작 촬영이미지에 해당하는 세부식품명, 진열시작 촬영이미지에 해당하는 신선식품의 진열이 시작된 일자를 나타내는 진열개시일자, 진열시작 촬영이미지에 해당하는 신선식품의 진열이 종료될 일자를 나타내는 진열종료일자로 구분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신선식품용 쇼케이스에서는 고객이 원격지에서 열람한 해당 프랜차이즈 지점에서 판매되는 신선식품의 구매를 희망하는 경우 그 구매를 희망하는 신선식품의 층별 위치를 안내하여 보다 신속하게 구매 가능하게 안내하는 이점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지점별 유통기한 열람요청신호에는, 선택된 신선식품의 구매를 요청하는 선택 신선식품 구매요청정보가 포함되어진다.
이를 토대로, 프랜차이즈 운영서버(700)의 운영엔진(720)은 고객단말(900)로부터 전송되는 지점별 유통기한 열람요청신호에 선택 신선식품 구매요청정보가 포함된 경우 진열시작 촬영이미지에 해당하는 신선식품의 종류별 세부식품들의 진열선반 식별자를 정보저장부(163)에서 추출하고, 이를 특정 지점 선택 신선식품 종류별 케이스 진열내역정보에 취합하여 전송한다.
고객단말(900)의 신선식품 열람용 앱은 진열선반 식별자를 토대로, 진열시작 촬영이미지에 해당하는 신선식품들이 진열된 진열선반(400)의 위치를 나타내는 신선식품별 진열선반 위치정보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신선식품용 쇼케이스에는 고객이 원격지에서 열람한 해당 프랜차이즈 지점에서 판매되는 신선식품 중 관심을 표한 특정 신선식품의 그간의 판매누적내역에 대해서도 안내 가능하게 구현함으로써, 고객에게 신선식품 트렌드를 확인가능하게 안내하여 구매욕구를 가일층 향상시켜주는 이점도 제공한다.
이를 위해, 고객단말(900)의 신선식품 열람용 앱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된 신선식품의 종류별 세부식품들 중 고객이 선택한 신선식품의 종류별 세부식품의 고객 구매회수를 문의하는 선택신선식품 구매회수 문의신호를 프랜차이즈 운영서버(700)로 전송한다.
프랜차이즈 운영서버(700)의 운영엔진(720)은 고객단말(900)로부터 전송되는 선택신선식품 구매회수 문의신호를 토대로, 지점별 신선식품 진열내역정보 DB(711)에서 고객이 요청한 신선식품의 종류별 세부식품의 기설정 주기(일별, 주별 또는 월별) 동안 누적된 진열개시일자, 진열종료일자 및 진열해제일자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정보 중 진열종료일자와 진열해제일자를 대비하여, 진열종료일자보다 빠른 일자에 해당하는 진열해제일자 만을 특정하며, 그 특정된 진열해제일자를 포함하는 고객이 요청한 신선식품의 종류별 세부식품의 개수를 나타내는 특정 신선식품 판매개수정보 및 그 특정된 진열해제일자 및 진열개시일자를 포함하는 고객이 요청한 신선식품의 종류별 세부식품의 판매를 위해 진열되었던 평균 시간을 나타내는 평균 판매진열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신선식품 기호도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고객단말(900)로 전송한다.
고객단말(900)의 신선식품 열람용 앱은 프랜차이즈 운영서버(700)로부터 전송되는 신선식품 기호도신호에 포함된 특정 신선식품 판매개수정보 및 평균 판매진열시간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신선식품용 쇼케이스에는 지인을 포함하는 고객의 행사기념일을 인지하여 해당 고객의 행사기념일이 도래할때마다 그에 대응하는 신선식품을 추천하여 줌으로써, 매출향상에 기여하는 이점도 제공한다.
이를 위해, 프랜차이즈 운영서버(700)의 DB부(710)에는 고객의 성별, 성명, 나이, 연락처, 거주 주소지를 포함하는 고객신상정보 및 해당 고객이 방문한 프랜차이즈 지점을 나타내는 방문 프랜차이즈 지점명정보를 포함하는 고객정보 DB(713) 및 고객 및 고객의 부모님과 같은 고객 지인의 생일을 기념하는 생일 기념일, 이성 또는 동성과의 만남을 기념하는 만남기념일, 결혼을 기념하는 결혼기념일을 포함하는 기념행사일이 저장관리되는 고객 기념행사일 관리정보 DB(714)가 구비되어진다.
그리고 고객단말(800)의 정보저장부(163)에는 고객 및 고객의 부모님과 같은 고객 지인의 생일을 기념하는 생일 기념일, 이성 또는 동성과의 만남을 기념하는 만남기념일, 결혼을 기념하는 결혼기념일을 포함하는 기념행사일을 일자별로 입력할 수 있게 안내하는 기념행사일 입력화면(미도시)이 저장되어진다.
이를 통해, 고객단말(800)의 신선식품 열람용 앱은 기념행사일 입력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고객의 기념행사일을 나타내는 고객별 기념행사일 정보를 프랜차이즈 운영서버(700)로 전송한다.
프랜차이즈 운영서버(700)의 운영엔진(720)은 전송되는 고객별 기념행사일 정보를 고객 기념행사일 관리정보 DB(714)에 누적 저장하고, 고객 기념행사일 관리정보 DB(414)에 저장관리되는 고객의 기념행사일을 기설정된 주기마다 검색하여 고객의 기념행사일이 도래한 경우 도래한 해당 고객의 기념행사일에 대응되는 신선식품을 고객이 열람가능하도록, 고객정보 DB(713)에서 해당 고객의 방문 프랜차이즈 지점명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지점별 신선식품 진열내역정보 DB(711)와 매칭하여, 매칭되는 해당 프랜차이즈 지점에서 진열되고 있는 전체 신선식품의 종류별 세부식품들을 특정하며, 해당 고객의 기념행사일에 대응되는 신선식품을 그 특정된 종류별 세부식품들과 매칭하여, 추출되는 해당 신선식품의 종류별 세부식품들을 나타내는 진열시작 촬영이미지, 해당 진열시작 촬영이미지의 세부식품명, 진열시작 촬영이미지의 진열선반 식별자, 진열시작 촬영이미지의 진열개시일자, 진열시작 촬영이미지의 진열종료일자를 포함하는 고객 기념일 추천신선식품 케이스 진열내역정보를 고객단말(900)로 전송한다.
고객단말(900)의 신선식품 열람용 앱은 프랜차이즈 운영서버(700)로부터 전송되는 고객 기념일 추천신선식품 케이스 진열내역정보를 토대로, 진열시작 촬영이미지, 진열시작 촬영이미지에 해당하는 세부식품명, 진열시작 촬영이미지에 해당하는 신선식품의 진열이 시작된 일자를 나타내는 진열개시일자, 진열시작 촬영이미지에 해당하는 신선식품의 진열이 종료될 일자를 나타내는 진열종료일자로 구분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신선식품용 쇼케이스에는 고객의 다이어트 일정을 인지하여 해당 고객의 다이어트 일정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신선식품을 추천하여 줌으로써, 다양한 고객 맞춤전략에 따라 매출 향상에 가일층 기여하는 이점도 제공한다.
이를 위해, 프랜차이즈 운영서버(700)의 DB부(710)에는 고객의 다이어트 일정이 저장관리되는 고객 다이어트 일정정보 DB(715)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고객단말(800)의 정보저장부(163)에는 고객의 다이어트 일정을 일자별로 입력할 수 있게 안내하는 다이어트 일정 입력화면(미도시)이 저장되어진다.
이를 통해, 고객단말(800)의 신선식품 열람용 앱은 다이어트 일정 입력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고객의 다이어트 일정을 나타내는 고객 다이어트 일정정보를 프랜차이즈 운영서버(700)로 전송한다.
프랜차이즈 운영서버(700)의 운영엔진(720)은 전송되는 고객 다이어트 일정정보를 고객 다이어트 일정정보 DB(715)에 누적 저장하고, 고객 다이어트 일정정보 DB(715)에 저장관리되는 고객의 다이어트 일정을 기설정된 주기마다 검색하여 고객의 다이어트 일자가 도래한 경우 도래한 해당 고객의 다이어트에 대응되는 신선식품을 고객이 열람가능하도록, 고객정보 DB(713)에서 해당 고객의 방문 프랜차이즈 지점명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지점별 신선식품 진열내역정보 DB(711)와 매칭하여, 매칭되는 해당 프랜차이즈 지점에서 진열되고 있는 전체 신선식품의 종류별 세부식품들을 특정하며, 해당 고객의 다이어트에 대응되는 신선식품을 그 특정된 종류별 세부식품들과 매칭하여, 추출되는 해당 신선식품의 종류별 세부식품들을 나타내는 진열시작 촬영이미지, 해당 진열시작 촬영이미지의 세부식품명, 진열시작 촬영이미지의 진열선반 식별자, 진열시작 촬영이미지의 진열개시일자, 진열시작 촬영이미지의 진열종료일자를 포함하는 고객 다이어트 추천신선식품 케이스 진열내역정보를 고객단말(900)로 전송한다.
고객단말(900)의 신선식품 열람용 앱은 프랜차이즈 운영서버(700)로부터 전송되는 고객 다이어트 추천신선식품 케이스 진열내역정보를 토대로, 진열시작 촬영이미지, 진열시작 촬영이미지에 해당하는 세부식품명, 진열시작 촬영이미지에 해당하는 신선식품의 진열이 시작된 일자를 나타내는 진열개시일자, 진열시작 촬영이미지에 해당하는 신선식품의 진열이 종료될 일자를 나타내는 진열종료일자로 구분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신선식품용 쇼케이스에는 고객의 다이어트 일정에 따라 맞춤으로 제공되는 신선식품을 구성하는 음식구성물도 인지가능하게 안내하여 줌으로써, 고객의 다이어트 전략에 맞춰 고객 취향의 음식구성물이 보다 많이 반영된 다이어트용 신선식품을 선택 가능하게 안내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프랜차이즈 운영서버(700)의 DB부(710)에는 프랜차이즈 지점별로 구분되어 저장되는 정보로서, 해당 지점에서 진열되는 신선식품이 샌드위치, 야채샐러드, 케이크의 종류별로 구분되고, 그 구분되는 신선식품의 종류별 세부식품마다 음식물을 구성하는 각 음식구성물의 명칭인 음식구성물명 및 해당 음식구성물마다 최초중량을 나타내는 음식구성물 중량을 포함하는 신선식품 음식구성물 정보가 저장관리되는 지점별 신선식품 음식구성물 정보 DB(712)를 더 포함한다.
이를 통해, 고객단말(900)의 신선식품 열람용 앱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된 신선식품의 종류별 세부식품들 중 고객이 선택한 신선식품의 음식구성물에 대해 문의하는 선택신선식품 음식구성물 문의신호를 프랜차이즈 운영서버(700)로 전송한다.
프랜차이즈 운영서버(700)의 운영엔진(720)은 고객단말(900)로부터 전송되는 선택신선식품 음식구성물 문의신호를 토대로, 지점별 신선식품 음식구성물 정보 DB(712)에서 고객이 요청한 신선식품의 신선식품 음식구성물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고객단말(900)로 전송한다.
고객단말(900)의 신선식품 열람용 앱은, 프랜차이즈 운영서버(700)로부터 전송되는 신선식품 음식구성물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쇼케이스 본체 101 : 진열공간 110 : 수납함체 120 : 모서리 프레임 130 : 지붕 140 : 투명케이스 150 : 미닫이문 161 : 제어부 163 : 정보저장부 165 : 정보입력부 167 : 유무선통신부
200 : 측부 지지프레임 201 : 끼임용 절개면 210 : 보강대
300 : 중앙 지지프레임
400 : 진열선반 400a : 일측 진열선반 400b : 타측 진열선반 401 : 측부 관통구멍 402 : 중앙 관통구멍 410 : 보강대 420 : 중량감지센서 430 : 정보출력부 430a,430b : 고객 전용 디스플레이부 430c : 직원 전용 디스플레이부 430d : 스피커 431 : 진열개시일자 표시영역 432 : 진열종료일자 표시영역 433 : 식품명 표시영역 440 :RGB LED모듈 450 : 카메라
500 : 층별 간격 조절용 고정부재 510 : 이동형 몸체 520 : 고정부 521 : 나선봉 522 : 고정손잡이 530 : 분리 층별 보조고정부재 531 : 절개몸체 532 : 보조고정부 532a : 보조나선봉 532b : 보조손잡이 600 : 보강용 고정부재 610 : 힌지 620 : 보강지지대 621 : 접촉경삼변 630 : 보강지지대용 이탈방지부재 631 : 이탈방지몸체 631a : 사선접촉면 632 : 하측고정부 632a : 하측나선봉 632b : 하측손잡이
700 : 프랜차이즈 운영서버 710 : DB부 711 : 지점별 신선식품 진열내역정보 DB 712 : 지점별 신선식품 음식구성물 정보 DB 713 : 고객정보 DB 714 : 고객 기념행사일 관리정보 DB 715 : 고객 다이어트 일정정보 DB
800 : 기상안내서버
900 : 고객단말

Claims (12)

  1. 내부에 신선식품을 진열하기 위한 진열공간(101)이 형성된 쇼케이스 본체(100)와;
    상기 쇼케이스 본체(100)의 내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측부 지지프레임(200)과;
    상기 한 쌍의 측부 지지프레임(200) 사이에 설치되는 중앙 지지프레임(300)과;
    상기 한 쌍의 측부 지지프레임(200) 및 상기 중앙 지지프레임(300)이 관통되도록, 일측부 관통구멍(401), 타측부 관통구멍(401) 및 중앙 관통구멍(402)이 각각 관통형성된 복수의 진열선반(400)과;
    상기 진열선반(400) 각각을 상기 한 쌍의 측부 지지프레임(200)에 각각 고정시켜주되, 상하이동 가능하게 고정시켜주는 한 쌍의 층별 간격 조절용 고정부재(500);를 포함하며,
    상기 측부 지지프레임(200)은 사각형상의 관체이고,
    상기 한 쌍의 층별 간격 조절용 고정부재(500)는, 사각형상 관체의 내면이 상기 측부 지지프레임(200)인 사각형상의 관체의 외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되어, 상기 측부 지지프레임(200)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형 몸체(510)와;
    상기 이동형 몸체(510)의 양측에 각각 관통되어 나선체결되는 나선봉(521) 및 상기 나선봉(521)의 일단에 고정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나선봉(521)을 나선조임방향 또는 나선풀림방향으로 회전되게 안내하여, 상기 나선봉(521)의 타단이 상기 측부 지지프레임(200)의 외측면에 가압접촉 또는 가압해제시키는 손잡이(522)를 포함하는 한 쌍의 고정부(5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식품용 쇼케이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지지프레임(200)은, 전면 중앙부가 절개되어 양측에 끼임용 절개면(201)이 각각 형성되되, 마주보는 끼임용 절개면(201)의 폭은 전방(P)부분이 넓고 후방(R)부분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전광후협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층별 간격 조절용 고정부재(500)에 의해 고정지지되는 상기 진열선반(400)을 보강하여 지지시켜 주도록, 일측부가 진열선반(400)에 연결되고, 타측부가 상기 측부 지지프레임(200)의 끼임용 절개면(201)에 억지끼움되는 보강용 고정부재(6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용 고정부재(600)는, 일측부가 상기 측부 지지프레임(200)에 힌지(610)연결되고, 타측부가 힌지(610) 회전하여 상기 측부 지지프레임(200)의 끼임용 절개면(201)에 끼움되되, 그 끼움되는 타측부의 접촉 측면은 상기 끼임용 절개면(201)의 경사면 형상에 대응되는 접촉 경사면(621)이 형성되어, 억지끼움되는 보강지지대(6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식품용 쇼케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보강지지대용 이탈방지부재(6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지지대용 이탈방지부재(630)는, 사각형상 관체의 내측면이 상기 측부 지지프레임(200)인 사각형상의 관체의 외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되어, 상기 측부 지지프레임(200)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 이동하며, 사각형상 관체의 내측면 중 전방 쪽의 내측면에는 상기 끼임용 절개면(201)에 억지끼움되는 상기 보강지지대(620)의 타측부의 노출 측면에 접촉되는 사선접촉면(631a)이 절개형성되는 이탈방지 몸체(631)와;
    상기 이탈방지 몸체(631)의 양측에 각각 관통되어 나선체결되는 하측나선봉(632a) 및 상기 하측나선봉(632a)의 일단에 고정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하측나선봉(632a)을 나선조임방향 또는 나선풀림방향으로 회전되게 안내하여, 상기 하측나선봉(632a)의 타단이 상기 측부 지지프레임(200)의 외측면에 가압접촉 또는 가압해제시키는 하측손잡이(632b)를 포함하는 하측고정부(63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식품용 쇼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열선반(400)은, 중앙을 중심으로 일측 진열선반(400a) 및 타측 진열선반(400b)으로 분리되고,
    분리된 상기 일측 진열선반(400a) 및 상기 타측 진열선반(400b)을 상기 중앙 지지프레임(300)에 개별적으로 고정시켜주는 한 쌍의 분리 층별 보조고정부재(5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분리 층별 보조고정부재(530)는, 관체의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중앙 지지프레임(300)의 측면을 감싸며 진입하는 절개몸체(531)와;
    상기 절개몸체(531)의 전후측에 각각 관통되어 나선체결되는 보조나선봉(532a) 및 상기 보조나선봉(532a)의 일단에 고정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보조나선봉(532a)을 나선조임방향 또는 나선풀림방향으로 회전되게 안내하여, 상기 보조나선봉(532a)의 타단이 상기 중앙 지지프레임(300)의 측면에 가압접촉 또는 가압해제시키는 보조손잡이(532b)를 포함하는 한 쌍의 보조고정부(53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식품용 쇼케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열선반(400) 마다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진열선반(400)에 놓여지는 신선식품의 중량을 감지하여 신선식품 중량감지신호를 생성하고, 설치식별자신호를 상기 신선식품 중량감지신호에 취합하여 출력하는 중량감지센서(420)와;
    상기 진열선반(400) 마다 설치되는 정보출력부(430)와;
    상기 중량감지센서(420)로부터 신선식품 중량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정보출력부(430)를 통해, 신선식품의 유통기한을 안내하는 정보를 해당 중량감지센서(420)가 설치된 진열선반(400)의 정보출력부(430)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6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식품용 쇼케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신선식품은, 샌드위치, 야채샐러드, 케이크의 종류별로 구분되고,
    상기 신선식품를 이루는 샌드위치의 최고 중량 및 최저 중량이 속하는 샌드위치 중량구간, 야채샐러드의 최고 중량 및 최저 중량이 속하는 야채샐러드 중량구간 및 케이크의 최고 중량 및 최저 중량이 속하는 케이크 중량구간을 나타내는 종류별 중량구간정보와, 상기 신선식품를 이루는 샌드위치의 세부식품명을 나타낸 샌드위치 식품명 및 해당 샌드위치 식품명에 따른 중량을 포함하는 샌드위치 식품별 중량, 야채샐러드의 세부식품명을 나타낸 야채샐러드 식품명 및 해당 야채샐러드 식품명에 따른 중량을 포함하는 야채샐러드 식품별 중량 및 케이크의 세부식품명을 나타낸 케이크 식품명 및 해당 케이크 식품명에 따른 중량을 포함하는 케이크 식품별 중량을 나타내는 종류별 세부 모델명 정보와, 상기 신선식품를 이루는 샌드위치의 세부식품명에 따른 진열기한일자를 나타내는 샌드위치 유통기한일자, 야채샐러드의 세부식품명에 따른 진열기한일자를 나타내는 야채샐러드 유통기한일자 및 케이크의 세부식품명에 따른 진열기한일자를 나타내는 케이크 유통기한일자를 포함하는 종류별 세부 모델 유통기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저장부(163);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61)는, 상기 중량감지센서(420)로부터 입력되는 신선식품 중량감지신호를 상기 정보저장부(163)에 저장된 종류별 중량구간정보와 매칭하여 해당 신선식품의 종류를 확인하고, 상기 정보저장부(163)에 저장된 종류별 세부 모델명 정보에서 확인된 해당 신선식품의 각 식품명 중 상기 신선식품 중량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중량을 갖는 확인 종류별 식품명을 추출하며, 상기 정보저장부(163)에 저장된 종류별 세부 모델 유통기한 정보에서 확인 종류별 식품명의 유통기한일자인 확인 종류별 식품 유통기한일자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확인 종류별 식품명 및 확인 종류별 식품 유통기한일자를 포함하는 종류별 식품 유통기한 안내정보로 가공하여 상기 정보출력부(430)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식품용 쇼케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종류별 식품 유통기한 안내정보는, 상기 정보출력부(430)에 해당 신선식품의 진열이 시작된 일자를 나타내는 진열개시일자 표시영역(431), 해당 신선식품의 진열이 종료될 일자를 나타내는 진열종료일자 표시영역(432) 및 해당 신선식품을 식별하는 정보인 신선식품명을 나타내는 식품명 표시영역(433)으로 구분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식품용 쇼케이스.
  9. 제7항에 있어서,
    정보입력부(16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출력부(430)는, 상기 종류별 식품 유통기한 안내정보가 출력되는 것으로, 고객이 열람가능하게 안내하는 고객전용 디스플레이부(430a,430b) 및 직원이 열람가능하게 안내하는 직원전용 디스플레이부(430c)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61)는, 상기 정보저장부(163)에 저장된 종류별 세부 모델명 정보에서 확인된 해당 신선식품의 각 식품명 중 상기 신선식품 중량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중량을 갖는 종류별 식품명이 복수개인 경우 모두 추출하고, 그 추출된 복수개의 종류별 식품명을 포함하는 선택 요청용 식품명 정보를 직원전용 디스플레이부(430c)로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직원전용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된 복수개의 종류별 식품명 중 상기 정보입력부(165)를 통해 선택된 식품명인 선택 식품명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선택 식품명 정보를 확인 종류별 식품명으로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식품용 쇼케이스.
  10. 제7항에 있어서,
    정보입력부(16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출력부(430)는, 상기 종류별 식품 유통기한 안내정보가 출력되는 것으로, 고객이 열람가능하게 안내하는 고객전용 디스플레이부(430a,430b) 및 직원이 열람가능하게 안내하는 직원전용 디스플레이부(430c)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61)는, 상기 정보저장부(163)에 저장된 종류별 중량구간정보에서 확인된 신선식품의 종류 중 상기 신선식품 중량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중량을 갖는 신선식품의 종류가 복수인 경우, 그 중복되는 복수의 신선식품 종류를 직원전용 디스플레이부(430c)로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직원전용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된 복수의 신선식품 종류 중 상기 정보입력부(165)를 통해 선택된 신선식품인 선택 신선식품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신선식품 중량감지신호를 상기 정보저장부(163)에서 선택 신선식품에 해당하는 종류별 세부 모델명 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신선식품 중량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중량을 갖는 확인 종류별 식품명을 추출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식품용 쇼케이스.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진열선반(400)의 하면에는 빨강(Red),파랑(Blue), 녹색(Green), 황색(Yellow) LED 중 하나 이상이 선택되어 색변환되는 RGB LED모듈(44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식품용 쇼케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주기단위로, 추위와 더위를 판단하는 온도 및 맑음, 구름 많음, 흐리고 비와 같은 대기상태를 포함하는 주기별 날씨상태정보를 전송하는 기상안내서버(800)와;
    온도를 기준으로 날씨가 선선할 때에 대응하는 색상, 온도를 기준으로 날씨가 추울 때에 대응하는 색상 및 온도를 기준으로 날씨가 더울 때에 대응하는 색상을 나타내는 온도별 색상정보 및 날씨가 맑음일 때에 대응하는 색상, 날씨가 구름 많을 때에 대응하는 색상 및 날씨가 흐리고 비일 때에 대응하는 색상을 나타내는 대기상태별 색상정보가 저장되는 정보저장부(163)와;
    상기 기상안내서버(800)로부터 주기별 날씨상태정보가 수신되는 유무선통신부(167);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61)는, 상기 기상안내서버(800)를 통해 기설정된 주기마다 전송되는 주기별 날씨상태정보를 상기 유무선통신부(167)를 통해 수신하고, 그 수신된 주기별 날씨상태정보를 상기 정보저장부(163)와 매칭하여 주기별 날씨상태정보의 온도에 해당하는 온도별 색상정보 및 주기별 날씨상태정보의 대기상태에 해당하는 대기상태별 색상정보를 추출하며, 그 추출된 온도별 색상정보의 색상과 대기상태별 색상정보의 색상을 혼합한 색상인 외부인자별 신선식품 색상변환정보로 가공한 후 이를 상기 RGB LED모듈(440)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식품용 쇼케이스.
KR1020210124560A 2021-09-17 2021-09-17 신선식품용 쇼케이스 KR102434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560A KR102434446B1 (ko) 2021-09-17 2021-09-17 신선식품용 쇼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560A KR102434446B1 (ko) 2021-09-17 2021-09-17 신선식품용 쇼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4446B1 true KR102434446B1 (ko) 2022-08-19

Family

ID=83113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4560A KR102434446B1 (ko) 2021-09-17 2021-09-17 신선식품용 쇼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4446B1 (ko)

Citation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075Y1 (ko) * 2001-04-18 2001-10-11 박영수 행거 높낮이 조절장치
KR200253119Y1 (ko) * 2001-07-24 2001-11-23 오창헌 냉장 쇼케이스의 표시장치
KR20060116366A (ko) * 2005-05-09 2006-11-15 주식회사 롯데기공 쇼케이스용 선반
KR200440676Y1 (ko) * 2007-04-11 2008-06-25 (주)센스메탈 씨스템 조립식 선반
KR101299479B1 (ko) 2013-05-03 2013-08-29 권상우 쇼케이스용 착탈식 자동 회전 도어
JP3199688U (ja) * 2015-06-25 2015-09-03 大和冷機工業株式会社 ショーケース
KR101559969B1 (ko) * 2014-05-15 2015-10-14 이상훈 선반 연결 구조체
KR101595538B1 (ko) * 2014-05-26 2016-02-22 산들꾸러미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정보통신기술 융합형 신선 농산물 유통 관리시스템
KR20160134036A (ko) * 2015-05-14 2016-11-23 인베니아 주식회사 쇼케이스 및 이의 영상 제어방법
KR20190128807A (ko) * 2018-05-09 2019-11-19 김건영 시스템 가구 구조
KR102090174B1 (ko) * 2019-08-27 2020-05-29 이창수 전자가격표기 시스템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 개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121428B1 (ko) * 2019-08-20 2020-06-10 김승연 스마트 진열대와 연동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상품구매시스템 및 방법
KR20200085063A (ko) * 2019-01-04 2020-07-14 김은주 접이식 선반 받침대
WO2020143923A1 (en) * 2019-01-12 2020-07-16 Ses-Imagotag Gmbh Electronic shelf label and shelf illumination devices
KR102147195B1 (ko) * 2018-07-12 2020-08-24 육동학 조립식 가구의 선반받침조립체
JP2021115464A (ja) * 2020-01-22 2021-08-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ショーケースおよびショーケース管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075Y1 (ko) * 2001-04-18 2001-10-11 박영수 행거 높낮이 조절장치
KR200253119Y1 (ko) * 2001-07-24 2001-11-23 오창헌 냉장 쇼케이스의 표시장치
KR20060116366A (ko) * 2005-05-09 2006-11-15 주식회사 롯데기공 쇼케이스용 선반
KR200440676Y1 (ko) * 2007-04-11 2008-06-25 (주)센스메탈 씨스템 조립식 선반
KR101299479B1 (ko) 2013-05-03 2013-08-29 권상우 쇼케이스용 착탈식 자동 회전 도어
KR101559969B1 (ko) * 2014-05-15 2015-10-14 이상훈 선반 연결 구조체
KR101595538B1 (ko) * 2014-05-26 2016-02-22 산들꾸러미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정보통신기술 융합형 신선 농산물 유통 관리시스템
KR20160134036A (ko) * 2015-05-14 2016-11-23 인베니아 주식회사 쇼케이스 및 이의 영상 제어방법
JP3199688U (ja) * 2015-06-25 2015-09-03 大和冷機工業株式会社 ショーケース
KR20190128807A (ko) * 2018-05-09 2019-11-19 김건영 시스템 가구 구조
KR102147195B1 (ko) * 2018-07-12 2020-08-24 육동학 조립식 가구의 선반받침조립체
KR20200085063A (ko) * 2019-01-04 2020-07-14 김은주 접이식 선반 받침대
WO2020143923A1 (en) * 2019-01-12 2020-07-16 Ses-Imagotag Gmbh Electronic shelf label and shelf illumination devices
KR102121428B1 (ko) * 2019-08-20 2020-06-10 김승연 스마트 진열대와 연동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상품구매시스템 및 방법
KR102090174B1 (ko) * 2019-08-27 2020-05-29 이창수 전자가격표기 시스템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 개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21115464A (ja) * 2020-01-22 2021-08-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ショーケースおよびショーケース管理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2990B1 (ko) 신선식품용 쇼케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운영시스템
US11556889B2 (en) Object recognition system for an appliance and method for managing household inventory of consumables
US20210405598A1 (en) Foodstuff sensing appliance
US20220270430A1 (en) Interactive vending machine
US7196625B1 (en) Advanced food and/or drink organization and/or handling system
KR102134643B1 (ko) 추천 레시피에 따른 조리 지원이 가능한 주방 가전 시스템 및 그 지원 방법
US20110106653A1 (en) Merchandise display system, apparatus and method
US20060201176A1 (en) Refrigerated merchandiser
US20180103778A1 (en) Monitoring and Controlling System for a Food Bar Arrangement and a Food Bar Arrangement with Such a System
US9089227B2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product lighting control, product display lighting method and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product lighting, and -method for setting product display location lighting
EP3527918A2 (en) Foodstuff sensing appliance
EP3675022A1 (en) Augmented reality feedback of inventory for an appliance
KR102434446B1 (ko) 신선식품용 쇼케이스
JP3819655B2 (ja) 携帯用装置
JP7261607B2 (ja) ショーケース
JP6913857B2 (ja) 加熱調理器および店舗システム、ならびに、加熱調理器を用いた課金方法
JPH0716642Y2 (ja) 商品搬送車構造
KR102417176B1 (ko) 셀프 테이크아웃을 위한 테이크아웃 시스템
AU2012100698B4 (en) Lighting System for Transparent Media Display
JP7237638B2 (ja) ショーケース
EP0509912A1 (fr) Dispositif pour la saisie, l'enregistrement, l'affichage et l'impression automatiques de données qualitatives et quantitatives d'un lot de denrées ou produits
JPH0257510A (ja) 商品処理方法及び装置
JP2020130488A (ja) ショーケース
CN110956746A (zh) 一种售货柜先进先出的智能系统
WO2018025077A1 (en) Method for managing a store and corresponding managemen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