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2742B1 - 인장 강도가 우수한 난연 튜브용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난연 튜브 - Google Patents

인장 강도가 우수한 난연 튜브용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난연 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2742B1
KR102432742B1 KR1020210074397A KR20210074397A KR102432742B1 KR 102432742 B1 KR102432742 B1 KR 102432742B1 KR 1020210074397 A KR1020210074397 A KR 1020210074397A KR 20210074397 A KR20210074397 A KR 20210074397A KR 102432742 B1 KR102432742 B1 KR 102432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lame
composition
retardant tube
tensile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4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하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하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하테크
Priority to KR1020210074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27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28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by reaction with halogens or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 C08L23/286Chlorinated polyethyl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8Bor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08K5/053Polyhydroxyl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16Solid spheres
    • C08K7/18Solid spheres inorganic
    • C08K7/20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인장강도가 우수한 난연 튜브용 조성물은, 고분자 수지, 염소화 폴리에틸렌(CPE, Chlorinated Polyethylene), 팽창 흑연(Expandable graphite), 폴리인산암모늄(APP, Ammonium polyphosphte), 글라스비드(Glass bead), 붕사(borax) 및 펜타에리트리톨 (Pentaerythritol)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장 강도가 우수한 난연 튜브용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난연 튜브 {Composition for flame-retardant tube with excellent tensile strength,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flame-retardant tube}
본 발명은 인장 강도가 우수한 난연 튜브용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난연 튜브에 관한 것이다.
난연 튜브는 고온 상태가 발생할 수 있는 전자기기의 내부 배선과 각종 와이어의 절연 보호용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난연 튜브는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을 주된 재료로 하여 제조한다. 폴리에틸렌은 저온에서 높은 충격 강도를 가지며, 내마모성, 내화학성, 내부식성, 및 우수한 전기 절연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염소화 폴리에틸렌(CPE, Chlorinated Polyethylene)은 폴리에틸렌이 염소(Chlorine)와 반응하여 생성되며, 염소 함유량 및 반응조건에 따라 경질 플라스틱에서 고무상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특성을 나타낸다. 염소화 폴리에틸렌은 폴리 에틸렌에 비하여 물리적 및 기계적 특성이 개선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 PVC)를 가공할 때 충격보강제로 사용된다. 염소화 폴리에틸렌은, 난연성이 강하고, 가혹한 외부 환경에서 견디는 성질이 강하여, 전선 피복 재료, 성형 재료 등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들은, 고분자 수지와 염소화 폴리에틸렌의 결합에 의하여 인장강도, 파단연신율 등을 포함하는 기계적, 물리적 특성이 우수한 난연 튜브용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난연 튜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인장강도가 우수한 난연 튜브용 조성물은, 고분자 수지, 염소화 폴리에틸렌(CPE, Chlorinated Polyethylene), 팽창 흑연(Expandable graphite), 폴리인산암모늄(APP, Ammonium polyphosphte), 글라스비드(Glass bead), 붕사(borax) 및 펜타에리트리톨 (Pentaerythritol)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고분자 수지 25~40 중량%, 염소화 폴리에틸렌(CPE, Chlorinated Polyethylene) 10~30 중량%, 팽창 흑연(Expandable graphite) 15~30 중량%, 폴리인산암모늄(APP, Ammonium polyphosphte) 5~20 중량%, 글라스비드(Glass bead) 3~9 중량%, 붕사(borax) 5~10 중량%, 및 펜타에리트리톨 (Pentaerythritol) 1~9 중량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고분자 수지는 아크릴레이트 에멀전(Acrylate emulsion) 20~30 중량% 및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Ethylene-vinyl acetate) 1~4 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소제, 동결방지제, 소포제, 및 분산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인장강도가 우수한 난연 튜브용 조성물 제조 방법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아크릴레이트(Acrylate) 에멀전 20~30 중량%,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Ethylene-vinyl acetate) 1~4 중량%, 염소화 폴리에틸렌(CPE, Chlorinated Polyethylene) 10~30 중량%, 팽창 흑연(Expandable graphite) 15~30 중량%, 폴리인산암모늄(APP, Ammonium polyphosphte) 5~20 중량%, 글라스비드(Glass bead) 3~9 중량%, 붕사 (borax) 5~10 중량%, 및 펜타에리트리톨 (Pentaerythritol) 1~9 중량%을 포함하여, 교반 및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인장강도가 우수한 난연 튜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난연 튜브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난연 튜브용 조성물은, 고분자 수지와 염소화 폴리에틸렌의 결합에 의하여 인장강도, 파단연신율 등을 포함하는 기계적, 물리적 특성이 우수한 난연 튜브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구현예들은, 압출시 가공성이 우수하고, 화재 시에도 성상을 장시간 유지하는 특성을 가진, 난연 튜브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인장 시험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교예 1,2의 인장 시험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단락 시험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교예 1의 단락 시험 사진이다.
이하에서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른 인장강도가 우수한 난연 튜브용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난연 튜브에 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창의적 사상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구현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구현예들을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 필요한 경우 특정 구현예들을 도면에 예시한다. 본 명세서의 창의적 사상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구현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의 창의적 사상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구현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구현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구현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구현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일 구현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 필요한 경우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구현예에 따른 인장강도가 우수한 난연 튜브용 조성물은 고분자 수지, 염소화 폴리에틸렌(CPE, Chlorinated Polyethylene), 팽창 흑연(Expandable graphite), 폴리인산암모늄(APP, Ammonium polyphosphte), 글라스비드(Glass bead), 붕사(borax) 및 펜타에리트리톨 (Pentaerythritol)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인장강도가 우수한 난연 튜브용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고분자 수지 25~40 중량%, 염소화 폴리에틸렌(CPE, Chlorinated Polyethylene) 10~30 중량%, 팽창 흑연(Expandable graphite) 15~30 중량%, 폴리인산암모늄(APP, Ammonium polyphosphte) 5~20 중량%, 글라스비드(Glass bead) 3~9 중량%, 붕사(borax) 5~10 중량%, 및 펜타에리트리톨 (Pentaerythritol) 1~9 중량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 중, 고분자 수지는 아크릴레이트 에멀전(Acrylate emulsion) 및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Ethylene-vinyl acetate)를 포함할 수 있다.
고분자 수지는 상온에서 조성물을 포함하는 난연 튜브의 형체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아크릴레이트(Acrylate)는 중합이 가능한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고 있어, 열이나 빛에 의해서 쉽게 중합이 되며, 투명성, 내수성 등의 특성을 나타낸다.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Ethylene-vinyl acetate)는 공중합 비율에 따라 플라스틱(Plastic)에서 탄성을 가지는 엘라스토머(Elastomer) 영역까지의 성질을 가진 유연성, 충격강도가 우수한 소재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고분자 수지는 아크릴레이트 에멀전(Acrylate emulsion) 20~30 중량% 및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Ethylene-vinyl acetate) 1~4 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아크릴레이트 에멀전(Acrylate emulsion)은 아크릴레이트(Acrylate)와 물을 포함하며, 후술할 첨가제인 소포제 (anti-foamer, de-foamer) 및/또는 분산제(dispersing agen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 중 염소화 폴리에틸렌(CPE, Chlorinated Polyethylene)은, 폴리에틸렌과 염소(Chlorine)를 반응시켜 제조되는 것으로 폴리에틸렌의 수소 일부가 염소로 치환된 것이다. 폴리에틸렌의 수소가 염소로 치환되면, 수소와 염소의 원자 체적이 달라서 폴리에틸렌의 특성이 변화한다. 이에 따라 인장강도 및 압출 생산성이 우수한 난연 튜브용 조성물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팽창 흑연(Expandable graphite)은 다공성 구조를 가지고 있어, 다양한 재료와 복합재료를 구성할 수 있다. 팽창 흑연에 화합물 결합 후 열을 가하면 입자가 팽창하여 층 분리 현상이 발생하므로 물리적인 난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팽창 흑연은 독성이 없고 가볍고, 유독가스를 발생하지 않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팽창 흑연은 화재시에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180℃ 정도에서 부풀어 오르기 시작하며, 공기 중에 팽창 흑연이 흩어지기 시작한다. 이때 글라스비드와 붕사가 조성물 내의 팽창 흑연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폴리인산암모늄(APP, Ammonium polyphosphte)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 중 기본이 되는 난연제이다. 폴리인산암모늄은 난연성이 우수하여 난연성 발열 단열재, 내화 도료, 중합체 수지 제조 첨가물 등에 사용되고 있다.
글라스비드(Glass bead)는 투명한 유리 구슬체로서, 에폭시(Epoxy),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나일론(Nylon) 등의 기초소재 정밀 성형용, 각종 플라스틱 충진재로 사용된다. 글라스비드는 인장강도와 경도 및 내마모성 향상의 효과가 있다.
붕사(Sodium Borate, Borax)는 붕소화합물로 무색의 결정 또는 백색의 결정성 물질이다. 세척 용도로 사용되는 가루 비누, 치아 미백제, 완충용액, 난연제, 연수제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펜타에리트리톨(Pentaerythritol)은 화재 발생시 연소를 보다 빠르게 하는 기폭제 역할을 하여, 팽창 흑연이 빨리 팽창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펜타에리트리톨은 난연제 역할을 한다.
상기 조성물은 다음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는 가소제, 동결방지제, 소포제, 및 분산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이 선택될 수 있다.
가소제 (plasticizer, plasticiser)는 고분자의 가공성, 유연성, 내한성 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첨가하는 물질이다.
동결방지제는 온도가 10도 이하로 내려갈 때 조성물에 첨가하여, 연질이 되도록 하는 물질이다.
소포제는 조성물 제조공정 중에 발생하는 거품을 제거하는 물질이다.
분산제는 입자를 액체 내에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가소제 2~4 중량%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동결방지제 0.3~0.7 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구현예로서 아크릴레이트 에멀전 100 중량 % 기준으로 하여, 아크릴레이트 에멀전은 소포제 0.5 ~ 1.5 중량 % 및/또는 분산제 0.2 ~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예를 들어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아크릴레이트 에멀전(Acrylate emulsion) 20~30 중량%,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Ethylene-vinyl acetate) 1~4 중량%, 염소화 폴리에틸렌(CPE, Chlorinated Polyethylene) 10~30 중량%, 팽창 흑연(Expandable graphite) 15~30 중량%, 폴리인산암모늄(APP, Ammonium polyphosphte) 5~20 중량%, 글라스비드(Glass bead) 3~9 중량% , 붕사 5~10 중량%, 및 펜타에스트리톨(Pentaerythritol) 1~9 중량 %을 포함하여, 교반 및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아크릴레이트(Acrylate) 에멀전 20~30 중량%,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Ethylene-vinyl acetate) 1~4 중량%을 혼합하여 제1교반물을 제조하는 단계, 염소화 폴리에틸렌(CPE, Chlorinated Polyethylene) 10~30 중량%, 팽창 흑연(Expandable graphite) 15~30 중량%, 폴리인산암모늄(APP, Ammonium polyphosphte) 5~20 중량%, 글라스비드(Glass bead) 3~9 중량% , 붕사 5~10 중량%, 및 펜타에리트리톨 (Pentaerythritol) 1~9 중량 %을 혼합하여 제2교반물을 제조하는 단계, 제1교반물에 제2교반물을 투입하여 제2교반물에 제1교반물을 흡착시켜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혼합물을 건조하는 단계, 건조된 혼합물을 분쇄하는 단계, 분쇄된 혼합물을 체로 걸러 입자 크기를 고르게 형성하는 단계, 입자 크기가 고르게 형성된 혼합물을 압출기에 투입하여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교반물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가소제 2~4 중량%, 및/또는 동결방지제 0.3~0.7 중량%가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아크릴레이트 에멀전 100 중량 % 기준으로 하여, 아크릴레이트 에멀전은 소포제 0.5 ~ 1.5 중량 % 및/또는 분산제 0.2 ~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기술함으로써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일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실시예
다음의 조성 및 비율에 따른 난연 튜브 조성물을 포함하는 난연 튜브를 제조하였다.
난연 튜브 조성물을 포함하는 난연 튜브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고분자 수지 35.55 중량%, 염소화 폴리에틸렌(CPE, Chlorinated Polyethylene) 20.32 중량%, 팽창 흑연(Expandable graphite) 15.68 중량%, 폴리인산암모늄(APP, Ammonium polyphosphte) 10.00 중량%, 글라스비드(Glass bead) 5.00 중량%, 붕사(borax) 5.10 중량%, 펜타에리트리톨 (Pentaerythritol) 4.85 중량 %을 포함하여 제조하였다.
여기서, 고분자 수지는 아크릴레이트 에멀전(Acrylate emulsion) 30.00 중량%,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Ethylene-vinyl acetate) 3.45 중량%을 포함하고, 첨가제로서 가소제 3.00 중량% 및 동결방지제 0.50 중량%을 포함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및 2
비교예 1은 시판되는 A사 난연 튜브 제품, 비교예 2는 시판되는 B사 난연 튜브 제품이다.
실험예 1 : 인장 시험에 따른 물성 측정
실시예와 비교예 1, 2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인장 시험(tensile test)을 실시하였다.
인장 시험(tensile test)은, 재료의 시험편을 인장 시험기에 장착하고 재료가 끊어질 때까지 당겨서 물성을 파악하는 시험이다. 시험편이 늘어나는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서 신율계(extensometer)를 추가로 장착한다.
각각의 실시예, 비교예 1 및 2에 대한 각각의 시험편을 제작한 후, 각각의 시험편의 단면적을 0.1cm2, 표점 거리(Gauge Length) 20.0mm로 하여, 인장 시험을 수행하였다. 표점 거리는 인장 시험의 시험편의 2개의 기준점을 표점으로 시험편에 각인할 때, 이 두 표점 사이의 거리이다.
시험편의 인장강도 및 파단연신율 측정은 인장시험기를 이용하여 ASTM D412에 따라 진행하였다. 시험 조건은 상온에서 인장속도를 500mm/min로 하여, 측정하였다. 인장 시험 표준 규격 ASTM D412는 고무 및 열가소성 수지의 인장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써, 고무화합물, 타이어, 축구공, 고무 밴드와 같은 탄성이 강한 제품의 인장 시험시 이용된다.
각각의 시험편에 대하여, 인장강도, 파단연신율 등의 물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도 1 및 2와 같이 인장 시험시의 응력(Stress)의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응력(stress)은 인장 시험시 가해지는 힘을 시험편의 초기 단면적으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인장강도
인장강도는 재료의 강도를 나타내는 기준의 하나로서, 시험편이 파단될 때까지의 최대 인장 하중을 시험 전 시험편의 단면적으로 나눈 것이다. 단위는 kgf/cm2이다. 인장강도가 클수록 경도가 높고, 물체가 소성변형을 보이지 않는다.
실시예가 탄성이 강한 고무와 견줄 수 있는 인장강도를 가지고 있으므로, 표준 규격 ASTM D412를 사용하여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파단연신율 (Elongation at break)
연신율(Elongation)은 어떤 순간에 초기 표점 거리의 증가분을 나타낸 값이며, 단위는 백분율(%, Percentage elongation)로 주로 표현된다. 파단연신율(Elongation at break)은 시험편이 파단되는 시점에서의 연신율을 의미한다. 파단연신율이 클수록 잘 끊어지지 않으며, 순간적인 충격에도 강하게 버틸 수 있다.
Figure 112021066247710-pat00001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가 비교예 1 및 2와 비교할 때 인장강도 및 파단연신율의 물성 비교에서 더 큰 값을 가지고 있어, 인장강도 및 파단연신율에 있어서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인장 시험 그래프 비교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인장 시험 그래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교예 1, 2의 인장 시험 그래프이다.
도 1 및 도 2의 그래프의 가로축은 연신율(Elongation)을 나타내고 있으며, 세로축은 응력(Stress)을 나타내고 있다. 인장 시험 그래프를 통하여, 인장 시험을 수행하는 동안의 응력의 변화를 알 수 있으며, 시험편의 물리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의한 시험편은 연신율이 232.5% 지점에서 파단되며, 이 지점을 파단연신율이라고 한다.
도 1의 그래프는, 파단연신율이 나타나는 지점(232.5%)까지 연신율과 응력이 대략적으로 비례하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시험편이 파단될 때까지, 힘을 가함에 따라서 시험편이 직선적으로 늘어났다가 힘을 제거하면 원 상태로 돌아오는 탄성 변형을 함을 의미한다. 이는 파단되기 전까지 시험편에 힘을 가하는 동안에는 시험편이 탄성력이 있으며, 소성 변형을 나타내지 않음을 의미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비교예 1에 의한 시험편의 파단연신율은 114.0% 이다. 여기서, 시험편에 힘을 가할 때 연신율과 응력이 비례하는 구간은 연신율이 25% 지점까지의 구간이고, 연신율이 이보다 더 높아지면, 더 이상 탄성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다. 연신율 50~55%의 지점을 지나면, 응력이 급격히 감소하며, 연신율 114.0% 지점에서 시험편이 파단된다. 따라서, 연신율이 대략 25% 지점이 지나면 시험편이 탄성을 잃고, 소성 변형이 되어 형태가 영구적으로 변형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비교예 2에 의한 시험편이 파단되는 파단 연신율은 0.5% 지점에서 나타나는데, 이는 시험 시작이 된 후 곧바로 파단이 된 것을 의미하며, 표준 규격 ASTM D412를 이용하여 측정값을 제대로 측정하기 어려운 상태의 물리적, 기계적 특성을 가짐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의한 시험편이 비교예 1과 2를 비교할 때 파단되기 전까지 소성 변형이 일어나지 않고 탄성을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누전 차단기 단락 시험
누전 차단기에 실시예 및 비교예 1의 난연 튜브를 적용하여 누전 차단기 단락 시험을 실시하였다.
220V 교류를 사용하였으며, 전선의 말단에 부하를 주지 않고, 전선의 양극선을 접촉시켜 과전류를 유도하여 단락 시험을 실시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단락 시험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교예 1의 단락 시험 사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경우 단락 시험에 의한 파손이 거의 일어나지 않았으며, 비교예 1의 경우 단락 시험에 의한 파손이 일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의 경우, 누전 차단기 화재시에 폴리인산암모늄, 펜타에스트리톨 등의 난연제 성분과 무기물 성분이 결합하여 팽창이 되고, 누전 차단기 내부의 산소 결핍을 유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실시예의 경우 난연 튜브 자체의 성상을 유지하게 되어 장시간 동안 화재의 전이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구현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삭제

Claims (6)

  1.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아크릴레이트 에멀전(Acrylate emulsion) 20~30 중량% 및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Ethylene-vinyl acetate) 1~4 중량%, 염소화 폴리에틸렌(CPE, Chlorinated Polyethylene) 10~30 중량%, 팽창 흑연(Expandable graphite) 15~30 중량%, 폴리인산암모늄(APP, Ammonium polyphosphte) 5~20 중량%, 글라스비드(Glass bead) 3~9 중량%, 붕사(borax) 5~10 중량%, 및 펜타에리트리톨 (Pentaerythritol) 1~9 중량 %을 포함하고,
    상기 아크릴레이트 에멀전 100 중량% 기준으로, 상기 아크릴레이트 에멀전은 소포제 0.5~1.5 중량% 및/또는 분산제 0.2~1.0 중량%를 포함하는, 인장강도가 우수한 난연 튜브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아크릴레이트(Acrylate) 에멀전 20~30중량%,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Ethylene-vinyl acetate) 1~4 중량%, 염소화 폴리에틸렌(CPE, Chlorinated Polyethylene) 10~30 중량%, 팽창 흑연(Expandable graphite) 15~30 중량%, 폴리인산암모늄(APP, Ammonium polyphosphte) 5~20 중량%, 글라스비드 (Glass bead) 3~9중량% , 붕사 (Borax) 5~10중량%, 및 펜타에리트리톨 (Pentaerythritol) 1~9 중량%을 포함하고, 상기 아크릴레이트 에멀전 100 중량% 기준으로, 상기 아크릴레이트 에멀전은 소포제 0.5~1.5 중량% 및/또는 분산제 0.2~1.0 중량%를 포함하여, 교반 및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장강도가 우수한 난연 튜브용 조성물 제조 방법.
  6. 제1항의 인장강도가 우수한 난연 튜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난연 튜브.

KR1020210074397A 2021-06-08 2021-06-08 인장 강도가 우수한 난연 튜브용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난연 튜브 KR102432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397A KR102432742B1 (ko) 2021-06-08 2021-06-08 인장 강도가 우수한 난연 튜브용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난연 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397A KR102432742B1 (ko) 2021-06-08 2021-06-08 인장 강도가 우수한 난연 튜브용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난연 튜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2742B1 true KR102432742B1 (ko) 2022-08-18

Family

ID=83112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4397A KR102432742B1 (ko) 2021-06-08 2021-06-08 인장 강도가 우수한 난연 튜브용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난연 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274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8732A (ja) * 1991-11-19 1993-06-08 Fujikura Ltd 難燃性ポリオレフイン系チユーブおよび熱収縮チユーブ
JPH0625476A (ja) * 1992-03-19 1994-02-01 Tosoh Corp 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JPH06128428A (ja) * 1992-10-16 1994-05-10 Sumitomo Electric Ind Ltd ノンハロゲン難燃性組成物及びチューブ
JP2006278047A (ja) * 2005-03-28 2006-10-12 Fuji Xerox Co Ltd 被覆材料及び電線・ケーブル
JP2020176206A (ja) * 2019-04-18 2020-10-29 イイダ産業株式会社 樹脂系耐火性組成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8732A (ja) * 1991-11-19 1993-06-08 Fujikura Ltd 難燃性ポリオレフイン系チユーブおよび熱収縮チユーブ
JPH0625476A (ja) * 1992-03-19 1994-02-01 Tosoh Corp 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JPH06128428A (ja) * 1992-10-16 1994-05-10 Sumitomo Electric Ind Ltd ノンハロゲン難燃性組成物及びチューブ
JP2006278047A (ja) * 2005-03-28 2006-10-12 Fuji Xerox Co Ltd 被覆材料及び電線・ケーブル
JP2020176206A (ja) * 2019-04-18 2020-10-29 イイダ産業株式会社 樹脂系耐火性組成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24729B (zh) 阻燃电缆材料
KR101825239B1 (ko) 재생가능한 원천으로부터 유래된 가소제로 제조된 유연성 pⅴc 조성물
CN104072914B (zh) 耐寒阻燃pvc电缆料
KR101583106B1 (ko) 케이블 절연체의 제조에 유용한 다중상 중합체 조성물
JPH02191651A (ja) 防燃性および防煙性ケーブル絶縁および外被組成物
JP2007100069A (ja) 曲げ変形時の白化現象が抑制された難燃性樹脂組成物
US10894878B2 (en) Halogen free and fire-resistant rubber composition and hose
CN104804332A (zh) 一种耐热聚氯乙烯材料及其制备方法和电线
KR101778945B1 (ko) 내구성 및 탄성이 우수한 고무 발포 단열재
JP5154561B2 (ja) 酸化マグネシウムを含むポリマーコンパウンドのin−situ水和により作製される水酸化マグネシウム系難燃剤組成物
KR102432742B1 (ko) 인장 강도가 우수한 난연 튜브용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난연 튜브
CN105801990B (zh) 一种无卤无红磷高阻燃热缩套管及其制备方法
WO2006080606A1 (en) Composition for production flame retardant insulating material of halogen free type using nano-technology
WO2015123042A1 (en) Flame-retarded polyolefin polymer composition with reduced antimony trioxide content
EP2970625A1 (en) Synergistic blends of calcium carbonate and calcined clay
KR20130094063A (ko) 내한성 및 내머드성이 우수한 비할로겐계 전선용 수지 조성물
KR100896105B1 (ko) 이산화규소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난연성 수지 조성물
Lenża et al. Methods for limiting the flammability of high-density polyethylene with magnesium hydroxide
JP2531747B2 (ja) ゴム組成物
KR100782231B1 (ko) 난연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선
JP2531746B2 (ja) ゴム組成物
JP2000001578A (ja) 難燃架橋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及び難燃架橋オレフィン系樹脂の製造方法
JP4730755B2 (ja) ノンハロゲン難燃性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難燃電源コード
JP2003176386A (ja) 難燃性樹脂組成物
KR100624253B1 (ko) 비할로겐계 고난연성 절연재 제조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