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2699B1 - 미생물 배관 케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미생물 배관 케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2699B1
KR102432699B1 KR1020220040805A KR20220040805A KR102432699B1 KR 102432699 B1 KR102432699 B1 KR 102432699B1 KR 1020220040805 A KR1020220040805 A KR 1020220040805A KR 20220040805 A KR20220040805 A KR 20220040805A KR 102432699 B1 KR102432699 B1 KR 102432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lower
microbial
cylindrical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0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년아이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년아이앤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년아이앤에스
Priority to KR1020220040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26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8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the liquid having chemical or dissolving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4Removing waste, e.g. labels, from cleaning liquid; Regenerating clean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4Inspecting the inner surface of hollow bodies, e.g. b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9/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hollow articles
    • B08B2209/0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 B08B2209/027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 내벽에 퇴적된 스케일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배관 내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구현한 미생물 배관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배관 내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내시경 장치; 및 배관 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스케일링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미생물 배관 케어 시스템{Pipeline care system using microorganisms}
본 발명은 미생물 배관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 내벽에 퇴적된 스케일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배관 내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구현한 미생물 배관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각종 이물질을 포함한 상,하수는 배관을 따라 흐르면서 배관 내벽에 스케일 및 슬라임(slime) 등과 같은 각종 이물질을 퇴적시킨다.
이러한 이물질은 배관의 내부공간을 점유하여 배수율을 저하시키고, 이물질 내에 서식 및 번식하는 각종 세균 및 바이러스에 의해 상,하수가 오염되는 문제로 인해 주기적인 청소가 요구된다.
그런데, 종래 세척기는 배관으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흐름이 일방향으로만 이루어지므로, 세척볼은 배관의 일단으로 삽입되어 타단으로만 투출된다.
즉, 종래 세척기를 통한 배관세척은 일방으로만 이동하는 세척볼에 의해 이물질이 긁히므로,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세척볼에 의해 길이 든 이물질은 세척볼을 반복해서 이동시키더라도 쉽게 벗겨지지 않아 세척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61316호 한국등록특허 제10-0831394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배관 내벽에 퇴적된 스케일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배관 내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구현한 미생물 배관 케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배관 케어 시스템은, 배관 내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내시경 장치; 및 배관 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스케일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배관 케어 시스템은, 상기 내시경 장치를 이용하여 배관 내의 상태를 확인하는 상태 확인 단계; 상기 스케일링 장치를 이용하여 배관 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 단계; 배관 내를 살균 및 소독하는 살균 소독 단계; 배관의 관리를 위해 미생물 배관 약품을 배관으로 투입하는 배관 관리 단계; 및 배관으로부터 제거된 이물질을 수거하는 이물질 수거 단계;를 포함하는 미생물 배관 케어 방법에 의해 배관 세척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배관 케어 시스템은, 배관의 입구에 설치되며, 배관 내로 공기를 투입시켜 상기 내시경 장치를 이용하여 배관 내의 상태 확인 도중에 배관으로부터 냄새가 역류하여 배관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배관 내에 부유 중인 악취를 배관으로부터 배출시켜 주는 냄새 역류 방지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냄새 역류 방지 장치는, 배관의 입구에 안착될 수 있도록 배관의 입구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안착 하우징; 상기 안착 하우징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함에 따라 배관 내로 공기를 투입시켜 주거나 배관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주는 원통형 블로워; 상기 안착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원통형 블로워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주는 블로워 구동 기어; 상기 블로워 구동 기어를 회전 구동시켜 주는 구동 모터; 상기 안착 하우징의 상측 개구부에 설치되되, 상기 내시경 장치가 상기 원통형 블로워의 중심축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원형의 링 형태의 제1 링형 프레임이 중단에 설치되는 상부 덮개; 및 상기 안착 하우징의 하측 개구부에 설치되되, 상기 내시경 장치가 상기 원통형 블로워의 중심축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원형의 링 형태의 제2 링형 프레임이 중단에 설치되는 하부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원통형 블로워는, 상하 방향으로 연통 형성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 하우징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전 원통;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 원통의 상단을 따라 설치되는 링형 단턱; 상기 블로워 구동 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링형 단턱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내주 기어산; 및 상기 회전 원통의 내주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회전 원통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 원통의 내부 공간을 따라 공기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원통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경사지면서 연장 형성되는 다수 개의 나선형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착 하우징은, 배관의 입구에 안착될 수 있도록 배관의 입구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의 공기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통 형성되는 하우징 바디; 및 상기 회전 원통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원통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상기 하우징 바디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원통 안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원통형 블로워는, 상기 원통 안착홈의 하측면에 안착되어 상기 원통 안착홈에서 상기 회전 원통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원통 안착홈의 하측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원통의 하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는 다수 개의 회전용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미생물 사용 후에 소독 진행하면 미생물들이 죽을 수 있는 바 미생물 사용 전 배관을 살균 소독함으로써, 배관 세척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배관 케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배관 케어 시스템의 사용하기 위한 미생물 배관 케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내시경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스케일링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배관 관리 단계의 미생물 배관 약품 투입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배관 케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의 냄새 역류 방지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도 7의 원통형 블로워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배관 케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배관 케어 시스템(10)은, 내시경 장치(100), 및 스케일링 장치(200)를 포함한다.
내시경 장치(100)는, 카메라모듈 및 발광모듈이 설치되는 촬영 라인(110)을 배관(P)로 삽입시켜 가면서 배관(P) 내의 상태를 확인한다.
스케일링 장치(200)는, 회전하면서 배관(P)과의 사에 발생되는 마찰을 이용하여 배관(P)을 청소하는 스케일링 와이어(210)를 배관(P)으로 삽입하면서 배관(P) 내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배관 케어 시스템(10)은, 후술하는 미생물 배관 케어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배관 케어 방법은, 우선,
내시경 장치(100)를 이용하여 배관(P) 내의 상태를 확인한다(S110).
스케일링 장치(200)를 이용하여 배관(P) 내의 이물질을 제거한다(S120).
미생물 사용 후에 소독 진행하면 미생물들이 죽을 수 있는 바 미생물 사용 전에 배관(P)으로 뜨거운 증기 등을 투입시킴으로써 배관(P) 내를 살균 및 소독한다(S130).
배관(P)의 관리를 위해 미생물 배관 약품(300)을 배관(P)으로 투입한다(S140).
여기서, 미생물 배관 약품(300)은,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제, 미생물을 이용한 유지방 분해제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미생물을 이용한 제품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배관(P)으로부터 제거된 이물질을 수거한다(S150).
상술한 바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배관 케어 시스템(10)은, 미생물 사용 후에 소독 진행하면 미생물들이 죽을 수 있는 바 미생물 사용 전 배관을 살균 소독함으로써, 배관 세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배관 케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배관 케어 시스템(20)은, 내시경 장치(100), 및 스케일링 장치(200) 및 냄새 역류 방지 장치(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내시경 장치(100), 및 스케일링 장치(2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냄새 역류 방지 장치(400)는, 배관(P)의 입구에 설치되며, 배관(P) 내로 공기를 투입시켜 내시경 장치(100), 즉 촬영 라인(110)을 이용하여 배관(P) 내의 상태 확인 도중에 배관(P)으로부터 냄새가 역류하여 배관(P)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배관(P) 내에 부유 중인 악취를 배관(P)으로부터 배출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배관 케어 시스템(20)은, 배관의 진단 또는 세척 과정에서 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악취로 인해 실내 공기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배관 내에 부유 중인 악취를 신속하게 배출시켜 배관 세척의 효율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도 6의 냄새 역류 방지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냄새 역류 방지 장치(400)는, 안착 하우징(410), 원통형 블로워(420), 블로워 구동 기어(430), 구동 모터(440), 상부 덮개(450) 및 하부 덮개(460)를 포함한다.
안착 하우징(410)은, 배관(P)의 입구에 안착될 수 있도록 배관(P)의 입구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원통형 블로워(420), 블로워 구동 기어(430), 구동 모터(440), 상부 덮개(450) 및 하부 덮개(460)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안착 하우징(410)은, 하우징 바디(411) 및 원통 안착홈(412)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바디(411)는, 배관(P)의 입구에 안착될 수 있도록 배관(P)의 입구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의 공기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통 형성된다.
원통 안착홈(412)은, 회전 원통(421)이 안착될 수 있도록 회전 원통(421)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하우징 바디(411)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원통형 블로워(420)는, 안착 하우징(41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블로워 구동 기어(430)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함에 따라 배관(P) 내로 공기를 투입시켜 주거나 배관(P)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준다.
블로워 구동 기어(430)는, 안착 하우징(410)의 내측에 설치되며, 구동 모터(440)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원통형 블로워(42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준다.
구동 모터(440)는, 블로워 구동 기어(430)를 회전 구동시켜 준다.
상부 덮개(450)는, 안착 하우징(410)의 상측 개구부에 설치되되, 내시경 장치(100)가 원통형 블로워(420)의 중심축을 따라 이동하여 다수 개의 나선형 블레이드(424)의 회전에 방해가 되지 아니하도록 다수 개의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원형의 링 형태의 제1 링형 프레임(451)이 중단에 설치된다.
하부 덮개(460)는, 안착 하우징(410)의 하측 개구부에 설치되되, 내시경 장치(100)가 원통형 블로워(420)의 중심축을 따라 이동하여 다수 개의 나선형 블레이드(424)의 회전에 방해가 되지 아니하도록 다수 개의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원형의 링 형태의 제2 링형 프레임(461)이 중단에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냄새 역류 방지 장치(400)는, 내시경 장치(100)를 사용하는 도중에도 배관을 통한 악취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배관에 단독으로 설치된 후 환기 장치로서도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도 7의 원통형 블로워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원통형 블로워(420)는, 회전 원통(421), 링형 단턱(422), 내주 기어산(423) 및 다수 개의 나선형 블레이드(424)를 포함한다.
회전 원통(421)은, 상하 방향으로 연통 형성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안착 하우징(41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링형 단턱(422), 내주 기어산(423) 및 다수 개의 나선형 블레이드(424)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링형 단턱(422)은,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회전 원통(421)의 상단을 따라 설치되며, 내주면을 따라 내주 기어산(423)이 설치된다.
내주 기어산(423)은, 블로워 구동 기어(430)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링형 단턱(422)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다수 개의 나선형 블레이드(424)는, 회전 원통(421)의 내주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회전 원통(421)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회전 원통(421)의 내부 공간을 따라 공기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회전 원통(421)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경사지면서 연장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원통형 블로워(420)는, 다수 개의 회전용 롤러(4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수 개의 회전용 롤러(425)는, 원통 안착홈의 하측면에 안착되어 원통 안착홈에서 회전 원통(421)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면서 원통 안착홈의 하측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회전 원통(421)의 하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미생물 배관 케어 시스템
100: 내시경 장치
200: 스케일링 장치
400: 냄새 역류 방지 장치

Claims (3)

  1. 배관 내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내시경 장치;
    배관 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스케일링 장치;및
    배관의 입구에 설치되며, 배관 내로 공기를 투입시켜 상기 내시경 장치를 이용하여 배관 내의 상태 확인 도중에 배관으로부터 냄새가 역류하여 배관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배관 내에 부유 중인 악취를 배관으로부터 배출시켜 주는 냄새 역류 방지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냄새 역류 방지 장치는,
    배관의 입구에 안착될 수 있도록 배관의 입구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안착 하우징;
    상기 안착 하우징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함에 따라 배관 내로 공기를 투입시켜 주거나 배관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주는 원통형 블로워;
    상기 안착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원통형 블로워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주는 블로워 구동 기어;
    상기 블로워 구동 기어를 회전 구동시켜 주는 구동 모터;
    상기 안착 하우징의 상측 개구부에 설치되되, 상기 내시경 장치가 상기 원통형 블로워의 중심축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원형의 링 형태의 제1 링형 프레임이 중단에 설치되는 상부 덮개; 및
    상기 안착 하우징의 하측 개구부에 설치되되, 상기 내시경 장치가 상기 원통형 블로워의 중심축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원형의 링 형태의 제2 링형 프레임이 중단에 설치되는 하부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원통형 블로워는,
    상하 방향으로 연통 형성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 하우징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전 원통;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 원통의 상단을 따라 설치되는 링형 단턱;
    상기 블로워 구동 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링형 단턱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내주 기어산; 및
    상기 회전 원통의 내주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회전 원통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 원통의 내부 공간을 따라 공기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원통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경사지면서 연장 형성되는 다수 개의 나선형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미생물 배관 케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 장치를 이용하여 배관 내의 상태를 확인하는 상태 확인 단계; 상기 스케일링 장치를 이용하여 배관 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 단계; 배관 내를 살균 및 소독하는 살균 소독 단계; 배관의 관리를 위해 미생물 배관 약품을 배관으로 투입하는 배관 관리 단계; 및 배관으로부터 제거된 이물질을 수거하는 이물질 수거 단계;를 포함하는 미생물 배관 케어 방법에 의해 배관 세척이 수행되는, 미생물 배관 케어 시스템.
  3. 삭제
KR1020220040805A 2022-03-31 2022-03-31 미생물 배관 케어 시스템 KR102432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805A KR102432699B1 (ko) 2022-03-31 2022-03-31 미생물 배관 케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805A KR102432699B1 (ko) 2022-03-31 2022-03-31 미생물 배관 케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2699B1 true KR102432699B1 (ko) 2022-08-17

Family

ID=83111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0805A KR102432699B1 (ko) 2022-03-31 2022-03-31 미생물 배관 케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269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394B1 (ko) 2007-05-14 2008-05-27 서동관 배관세척장비
KR101261316B1 (ko) 2012-11-06 2013-05-10 이주형 미세버블을 이용한 배관세척장치 및 배관세척방법
KR101937123B1 (ko) * 2018-03-16 2019-01-10 양윤태 배관 세척기
KR102246330B1 (ko) * 2021-01-21 2021-04-28 김재성 고압 배관 세척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394B1 (ko) 2007-05-14 2008-05-27 서동관 배관세척장비
KR101261316B1 (ko) 2012-11-06 2013-05-10 이주형 미세버블을 이용한 배관세척장치 및 배관세척방법
KR101937123B1 (ko) * 2018-03-16 2019-01-10 양윤태 배관 세척기
KR102246330B1 (ko) * 2021-01-21 2021-04-28 김재성 고압 배관 세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5201B1 (ko) 자외선살균장치
US6570167B1 (en) Apparatus for treating a liquid
KR101253322B1 (ko) 자외선 살균장치
CN108534244B (zh) 一种免清洗的净化能力强的智能型紫外线空气消毒器
KR200428772Y1 (ko) 냉각수 여과 살균 유닛
KR102432699B1 (ko) 미생물 배관 케어 시스템
US6852227B1 (en) Flow-through media
KR100954278B1 (ko) 세정장치가 구비된 약수터 유수 살균 장치
RU2580501C2 (ru) Бытовой прибор с накопительным резервуаром и генератором окисляющего средства и способ эксплуатации такого прибора
KR20140106136A (ko) 자외선램프 외측부 석영관 무동력 세척 장치
EP1051355A1 (en) An apparatus for treating a liquid
JP2004050169A (ja) 渦流加速紫外線殺菌滅藻液体処理器
JP2002233861A (ja) 排水滅菌処理装置
JP2708086B2 (ja) 浄水装置
EP1631394B1 (fr) Procede et installation pour le nettoyage de pieces souillees par de la matiere organique
JPH03249994A (ja) 液体浄化装置
KR20090006557A (ko) 세탁기용 살균 세탁볼
JP2007089936A (ja) コイン洗浄装置
KR100655186B1 (ko) 회전식 드럼장치를 이용한 악취 탈취장치
KR200389855Y1 (ko) 옥내관의 오수관과 하수관의 세정 및 정수장치
KR101465519B1 (ko)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JPH1121970A (ja) 排水かご殺菌装置
KR20040005486A (ko) 슬러지 제거장치
KR200365875Y1 (ko) 살균 필터기의 살균수 처리 구조
KR100489616B1 (ko) 수도배관의 세정 및 정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