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772Y1 - 냉각수 여과 살균 유닛 - Google Patents

냉각수 여과 살균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772Y1
KR200428772Y1 KR2020060019513U KR20060019513U KR200428772Y1 KR 200428772 Y1 KR200428772 Y1 KR 200428772Y1 KR 2020060019513 U KR2020060019513 U KR 2020060019513U KR 20060019513 U KR20060019513 U KR 20060019513U KR 200428772 Y1 KR200428772 Y1 KR 2004287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unit
cooling water
bypass path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95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환
이상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창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창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창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600195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7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7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7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7Bypass or safety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6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pressure meas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03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냉각수 여과 살균 유닛은, 필터부를 구비하고, 필터부는,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본체의 입구를 통해 유입된 냉각수가 경유하는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내부공간을 경유하여 출구로 향하는 냉각수를 여과시키는 통형상의 필터와, 본체의 입구와 출구의 압력차이가 일정 크기 이상인 경우 구동되어 필터에 고착된 오물을 제거하는 오물제거부를 포함한다.
냉각시스템, 냉각수, 살균, 자동여과, 필터청소, 압력, 레지오넬라균, 부식, 스케일

Description

냉각수 여과 살균 유닛 { Filtering and sterilizing unit of coolant}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따른 냉각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를 도시해 보인 도면,
도 3은 도 2의 III-III 단면선을 따라 필터부의 사용례를 도시해 보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따른 살균부를 도시해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냉각시스템 130 : 여과 살균 유닛
140 : 필터부 141 : 본체
141a : 입구 141b : 출구
142a : 내부공간 142b : 바이패스 경로
142c : 제 1 격벽 143 : 필터
143a : 제 1 필터 143b : 제 2 필터
144 : 오물제거부 145 : 오물흡입부
145a : 역세 노즐 회전축 145c : 흡입노즐
145e : 수력모터부 145f : 역세수 토출 노즐
149 : 역세밸브 149a : 드레인 유로
150 : 제어부 160 : 살균부
165 : 은동이온 합금봉 S1,S2 : 압력센서
본 고안은 냉각시스템에 관련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냉각시스템의 냉각수를 살균 및 정화시키는 여과 살균 유닛에 관련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각종 공조설비 및 생산설비의 냉각시스템은 냉각수를 냉각탑과 냉방유닛을 순환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러한 냉각시스템의 냉각수는 냉각탑에서 외기에 노출됨과 아울러 냉각수 유로의 부식과 스케일 등에 의해 오염되며, 이는 냉각시스템의 냉각효율 저하 및 레지오넬라균과 같은 각종 세균의 서식처가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냉각시스템은, 샌드필터(sand filter) 방식의 여과장치를 사용하여 냉각수를 여과시키거나, 약품처리 등을 통해 냉각수를 살균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냉각수 여과 살균 시스템은, 여과장치 내부의 여재에 쌓인 각종 이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한 역세시간이 매우 길었고, 상기 이물질들의 제거가 완료되더라도 필터내부에 잔존하는 부유물이 다시 샌드 필터로 침하되어 여과효과가 반감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살균시에는, 약품에 의한 재오염의 가능성이 있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는바, 이러한 종래의 살균법 및 여과법을 대체하는 새로운 냉각수 수처리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냉각수의 여과 및 살균이 보다 용이하고 장비 가동의 자동화로 운용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된 냉각수 여과살균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냉각수 여과 살균 유닛은, 필터부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부는,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입구를 통해 유입된 상기 냉각수가 경유하는 내부공간;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공간을 경유하여 상기 출구로 향하는 상기 냉각수를 여과시키는 통형상의 필터; 및 상기 본체의 입구와 출구의 압력차이가 일정 크기 이상인 경우 구동되어 상기 필터에 고착된 오물을 제거하는 오물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물제거부는, 상기 입구 및 출구 각각에 설치되어 냉각수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 상기 입구 및 출구와는 별도로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바이패스 경로; 상기 바이패스 경로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역세밸브;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근거로 상기 입구와 출구의 압력차이를 판단하며, 상기 압력차이가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인 경우 상기 바이패스 경로가 개방되도록 상기 역세밸브를 구동시키는 제어부;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바이패스 경로와 상기 내부공간을 연결시키며, 상기 바이패스 경로의 개방시, 상기 바이패스 경로를 향해 역류하는 냉각수와 함께 상기 필터의 내주면에 고착된 오물을 흡입하여 상기 바이패스 경로로 안내하는 오물흡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입구와 출구는 상기 필터의 내부를 경유하여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오물흡입부는, 상기 필터의 내주면을 향해 형성된 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필터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필터의 내부를 가로지르는 역세 노즐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한 흡입노즐; 및 상기 역세 노즐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흡입노즐과 함께 회전이 가능하게 상기 바이패스 경로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그 각각은 상기 흡입노즐과 상기 바이패스 경로를 상기 냉각수의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역세수 토출 노즐이 관통형성된 수력모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역세수 토출 노즐들 각각은, 상기 바이패스 경로의 개방시, 상기 역세수 토출 노즐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냉각수에 의해 상기 역세 노즐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수력모터부 및 상기 흡입노즐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소정 방향을 향해 형성되고, 상기 바이패스 경로는 상기 흡입노즐 및 상기 수력모터부를 경유하여서만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여과 살균 유닛은, 상기 필터부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수의 이동경로 상에 설치되어 은이온 및 동이온 방출하는 살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의 냉각시스템은 냉각수 순환을 위한 펌프(120)와, 냉각탑(110)과, 여과 살균 유닛(130)을 포함한다. 여기서 펌프(120)와 냉각탑(110)은 공지된 기술과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과 살균 유닛(130)은 냉각시스템(100)을 순환하는 냉각수를 여과 및 살균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필터부(140)와, 살균부(160)와,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의 살균부(160)는 후술될 필터부(140)에서 여과된 냉각수를 살균시키기 위한 것이다. 입구(161)와 출구(162)를 연결하는 냉각수의 유동경로상에 설치되는 은동이온 합금봉(165)을 구비한다. 이러한 은동이온 합금봉(165)은 살균능력이 탁월한 은이온 및 동이온을 방출함으로써 냉각수를 살균시킨다. 이에 따르면, 종래의 약품처리 방식의 살균법에 비해 간단하고 환경친화적으로 냉각수의 살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의 필터부(140)는 본체(141)와, 필터(143)와, 오물제거부(144)를 포함한다.
본체(141)는 냉각시스템(100)과 연결되는 입구(141a) 및 출구(141b)를 구비하며, 그 내부에는 내부공간(142a)과 바이패스 경로(142b)가 상호 구분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공간(142a)은, 입구(141a)와 출구(141b)를 연결하는 냉각수의 유로 일부를 담당하며, 내부에는 후술될 필터(143)가 설치된다. 참고로, 내부공간(142a)의 제 1 격벽(142c)은 내부공간(142a)을 입구(141a)와 연결되는 공간과 출구(141b)와 연결되는 공간으로 구분하기 위한 것이며, 이러한 공간들은 후술될 필터(143)를 경유하여야만 상호 연결된다. 한편 바이패스 경로(142b)는 제 2 격 벽(142d)에 의해 내부공간(142a)과 구분되게 본체(141)의 내부에 형성되며, 본체(141)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입구(141a)와 출구(141b)와는 별개로 형성된 외부 드레인 유로(149a)와 연결된다.
필터(143)는 내부공간(142a)으로 유입된 냉각수를 여과시키기 위한 것이다.본 실시예에서의 필터(143)는 외주면에 미세한 관통공(143c)이 복수로 형성된 금속재질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입구(141a)에 연결된 공간에 배치되는 제 1 필터(143a)와, 출구(141b)에 연결된 공간에 배치되는 제 2 필터(143b)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필터(143a)(143b)는 제 1 격벽(142c)의 중앙을 관통하여 상호 연결된다. 이에 의하면, 본체(141)의 입구(141a)로 유입된 냉각수는 제 1 필터(143a)의 내부, 제 2 필터(143b)의 내부, 출구(141b)를 순차적으로 경유함으로써 여과된 후 필터부(140)의 외부로 배출된다.
오물제거부(144)는 상술한 냉각수의 여과시 제 2 필터(143b)의 내주면에 잔존하는 오물을 자동으로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압력센서(S1)(S2)와, 역세밸브(149)와, 제어부(150)와, 오물흡입부(145)를 포함한다. 압력센서(S1)(S2)들은 입구(141a)와 출구(141b) 각각에 설치되어 냉각수의 압력을 측정한다. 역세밸브(149)는 바이패스 경로(142b)를 선택적인 개폐가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어부(150)는, 입구(141a)와 출구(141b)에서의 냉각수의 압력차이가 제 2 필터(143b)의 내주면에 적재된 오물에 의해 기 설정된 크기보다 커진 경우, 제 2 필터(143b)의 청소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역세밸브(149)를 구동시켜 바이패스 경로(142b)를 개방시킨다. 오물흡입부(145)는 상술한 바와 같은 압력차이에 의해 바이패스 경로(142b)가 개방되었을 때, 출구(141b)로부터 제 2 필터(143b)의 내부로 역류한 후 바이패스 경로(142b)로 향하는 냉각수를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냉각수의 역류시(도 2의 화살표 B방향) 제 2 필터(143b)의 내주면에 고착된 오물들이 오물흡입부(145)를 통해 흡입된 후 바이패스 경로(142b)를 통해 냉각시스템(100)의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필터(143)의 청소가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오물흡입부(145)는, 역세 노즐 회전축(145a)과, 흡입노즐(145c)과, 수력모터부(145e)를 구비한다. 역세 노즐 회전축(145a)은 필터(143)의 중앙부에 설치된 힌지(145b)에 의해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냉각수의 유로가 형성된 중공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수력모터부(145e)는 바이패스 경로(142b)에 위치한 역세 노즐 회전축(145a)의 일측단에 설치되며, 역세 노즐 회전축(145a)의 내부와 연결된 중공형 파이프 또는 덕트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수력모터부(145e)는 상기 역세 노즐 회전축(145a)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역세수 토출 노즐(145f)을 구비한다. 이에 따르면, 압력차이에 의한 바이패스 경로(142b)의 개방시 역세 노즐 회전축(145a)을 경유한 냉각수가 역세 토출 노즐(145f)을 통해 바이패스 경로(142b)로 배출된다. 이러한 냉각수의 배출은 역세 노즐 회전축(145a)을 기준으로 하는 회전모멘트가 형성되도록 하는 외력(C)를 형성시키며, 이에 따라 역세 노즐 회전축(145a)이 도 2의 화살표 A방향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수력모터부(145e)는 역세 노즐 회전축(145a)의 반경방향으로 복수로 설치되고, 수력모터부(145e) 각각의 역세수 토출 노즐(145f)은 모두 동일한 방향을 향해 수력모터부(145e)에 관통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흡입노즐(145c)은 상술한 역세 노즐 회전축(145a)의 회전시 제 2 필터(143b) 내부의 냉각수 및 오물을 보다 용이하게 흡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흡입노즐(145c)은 역세 노즐 회전축(145a)의 반경방향을 따라 제 2 필터(143b)의 내주면을 향해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 2 필터(143b)의 내주면과 마주하는 끝단이 개방된다. 이러한 흡입노즐(145c)은, 제 2 필터(143b)의 내주면 전체에 대한 오물흡입과, 역세 노즐 회전축(145a)의 원활한 회전을 위한 냉각수의 회피경로 형성을 위해, 역세 노즐 회전축(145a)의 축방향을 따라 복수로 나뉘어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오물흡입부(145)에 의하면, 제 2 필터(143b) 내부의 오물에 의해 입구(141a)와 출구(141b)에서의 압력차이가 기 설정된 크기 이상으로 커질 경우, 냉각수의 역류만을 이용하여 필터(143)의 청소가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이렇게 제거된 오물은 별도의 공정이 없이, 흡입노즐(145c)과, 역세 노즐 회전축(145a)과, 수력모터부(145e) 및 바이패스 경로(142b)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냉각시스템(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에 따르면, 냉각수의 여과가 냉각수의 압력차이를 이용하여 별도의 동력원 추가없이 자동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전체 시스템의 중지없이 오염물을 청소할 수 있으므로 별도 관리인원 및 관리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냉각수 중의 스케일, 부식과 각종 부유이물질들을 제거함으로써 열교환기 효율증대와 더불어 각종 설비의 배관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아울러, 은동이온을 사용하여 냉각수를 살균함으로써 종래의 약품을 사용하는 기술보다 간단하게 수질관리가 가능하고 환경친화적인 냉각수의 살균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냉각수의 여과를 위한 필터부가 구비된 냉각수의 여과 살균 유닛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입구를 통해 유입된 상기 냉각수가 경유하는 내부공간;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공간을 경유하여 상기 출구로 향하는 상기 냉각수를 여과시키는 통형상의 필터; 및
    상기 본체의 입구와 출구의 압력차이가 일정 크기 이상인 경우 구동되어 상기 필터에 고착된 오물을 제거하는 오물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살균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제거부는,
    상기 입구 및 출구 각각에 설치되어 냉각수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
    상기 입구 및 출구와는 별도로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바이패스 경로;
    상기 바이패스 경로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역세밸브;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근거로 상기 입구와 출구의 압력차이를 판단하며, 상기 압력차이가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인 경우 상기 바이패스 경로가 개방되도록 상기 역세밸브를 구동시키는 제어부;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바이패스 경로와 상기 내부공간을 연 결시키며, 상기 바이패스 경로의 개방시, 상기 바이패스 경로를 향해 역류하는 냉각수와 함께 상기 필터의 내주면에 고착된 오물을 흡입하여 상기 바이패스 경로로 안내하는 오물흡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입구와 출구는 상기 필터의 내부를 경유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살균 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흡입부는,
    상기 필터의 내주면을 향해 형성된 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필터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필터의 내부를 가로지르는 역세 노즐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한 흡입노즐; 및
    상기 역세 노즐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흡입노즐과 함께 회전이 가능하게 상기 바이패스 경로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그 각각은 상기 흡입노즐과 상기 바이패스 경로를 상기 냉각수의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역세수 토출 노즐이 관통형성된 수력모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역세수 토출 노즐들 각각은, 상기 바이패스 경로의 개방시, 상기 역세수 토출 노즐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냉각수에 의해 상기 역세 노즐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수력모터부 및 상기 흡입노즐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소정 방향을 향해 형성되고,
    상기 바이패스 경로는 상기 흡입노즐 및 상기 수력모터부를 경유하여서만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살균 유닛.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수의 이동경로 상에 설치되어 은이온 및 동이온를 방출하는 살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살균 유닛.
KR2020060019513U 2006-07-20 2006-07-20 냉각수 여과 살균 유닛 KR2004287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513U KR200428772Y1 (ko) 2006-07-20 2006-07-20 냉각수 여과 살균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513U KR200428772Y1 (ko) 2006-07-20 2006-07-20 냉각수 여과 살균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772Y1 true KR200428772Y1 (ko) 2006-10-16

Family

ID=41777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9513U KR200428772Y1 (ko) 2006-07-20 2006-07-20 냉각수 여과 살균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772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03770B2 (en) 2001-06-06 2011-03-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anceling pilot interfere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099123B2 (en) 2004-12-23 2012-01-17 Qualcomm Incorporated Adaptation of transmit subchannel gains in a system with interference cancellation
US8385388B2 (en) 2005-12-06 2013-02-2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signal reconstruction from spatially and temporally correlated received samples
US8406695B2 (en) 2004-12-23 2013-03-26 Qualcomm Incorporated Joint interference cancellation of pilot, overhead and traffic channels
US8422955B2 (en) 2004-12-23 2013-04-16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estimation for interference cancellation
US8442441B2 (en) 2004-12-23 2013-05-14 Qualcomm Incorporated Traffic interference cancellation
US8472877B2 (en) 2005-10-24 2013-06-25 Qualcomm Incorporated Iterat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system and method
US8611311B2 (en) 2001-06-06 2013-12-1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anceling pilot interfere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456464B1 (ko) * 2014-06-02 2014-10-31 주식회사 경동냉열산업 플라즈마를 이용한 냉각수 정화처리 방식의 응축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03770B2 (en) 2001-06-06 2011-03-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anceling pilot interfere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611311B2 (en) 2001-06-06 2013-12-1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anceling pilot interfere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644264B2 (en) 2001-06-06 2014-02-0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anceling pilot interfere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099123B2 (en) 2004-12-23 2012-01-17 Qualcomm Incorporated Adaptation of transmit subchannel gains in a system with interference cancellation
US8406695B2 (en) 2004-12-23 2013-03-26 Qualcomm Incorporated Joint interference cancellation of pilot, overhead and traffic channels
US8422955B2 (en) 2004-12-23 2013-04-16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estimation for interference cancellation
US8442441B2 (en) 2004-12-23 2013-05-14 Qualcomm Incorporated Traffic interference cancellation
US8472877B2 (en) 2005-10-24 2013-06-25 Qualcomm Incorporated Iterat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system and method
US8385388B2 (en) 2005-12-06 2013-02-2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signal reconstruction from spatially and temporally correlated received samples
KR101456464B1 (ko) * 2014-06-02 2014-10-31 주식회사 경동냉열산업 플라즈마를 이용한 냉각수 정화처리 방식의 응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8772Y1 (ko) 냉각수 여과 살균 유닛
KR100538306B1 (ko) 자동세정 필터시스템
JP6079898B2 (ja) バラスト水処理装置
KR101110854B1 (ko) 여과장치
PL181555B1 (pl) Filtr i uklad filtrujacy do oczyszczania plynów zawierajacych stale zanieczyszczenia PL PL PL PL PL PL
JP4215131B2 (ja) フィルタの洗浄および浄化システム
JP2011251284A (ja) 船舶用バラスト水の処理装置および船舶用バラスト水の処理方法
US11186499B2 (en) Methods of inhibiting fouling in liquid systems
EP2771292A1 (en) Water filter
KR101531599B1 (ko) 역세척 타입 여과 필터
KR100630372B1 (ko) 여과장치
CN106492528B (zh) 一种反冲洗过滤器
KR101820959B1 (ko) 실시간 세척기능을 가진 필터시스템
KR20180048797A (ko) 선상 해수 여과 방법
KR100866039B1 (ko) 하폐수 여과 장치
KR100257861B1 (ko) 자동여과장치
KR100939559B1 (ko) 수족관용 정수 순환시스템
CN105999809A (zh) 过滤器及其吸污装置
JP2007289890A (ja) ストレーナ
KR101820885B1 (ko) 역세척 필터 장치
US1196423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ward and reverse flushable filter system
KR200370318Y1 (ko) 자동세정 필터시스템
JPH05146610A (ja) 水中夾雑物の除去装置
KR101204383B1 (ko) 흡입 회전식 슬러지 분리장치
KR20170127850A (ko) 유체 필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