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7123B1 - 배관 세척기 - Google Patents

배관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7123B1
KR101937123B1 KR1020180030767A KR20180030767A KR101937123B1 KR 101937123 B1 KR101937123 B1 KR 101937123B1 KR 1020180030767 A KR1020180030767 A KR 1020180030767A KR 20180030767 A KR20180030767 A KR 20180030767A KR 101937123 B1 KR101937123 B1 KR 101937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procket
rotating body
driving force
wa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윤태
Original Assignee
양윤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윤태 filed Critical 양윤태
Priority to KR1020180030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1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3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 B08B9/045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the cleaning devices being rotated while moved, e.g. flexible rotating shaft or "sna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3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 B08B9/0436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provided with mechanical cleaning tools, e.g. scrapers, with or without additional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3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 B08B9/04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the cleaning devices having internal motors, e.g. turbines for powering clean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배관 세척기가 개시된다. 배관 세척기는, 내부에 설치 공간이 형성된 바디부와, 바디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구동축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와, 바디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동력 전달부로부터 구동력에 따라 회전 작동되는 회전체와, 회전체의 둘레에 감긴 상태로 설치되며 바디부의 외부로 돌출되는 플렉서블 파이프부재와, 플렉서블 파이프부재의 단부에 설치되며 배관의 내부에 삽입되어 배관의 내벽면에 접촉되는 헤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관 세척기{APPARATUS FOR CLEANING OF PIPE}
본 발명은 길이 조절 가능한 파이프부재를 이용하여 배관 내부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청소하는 배관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아파트 빌딩 및 공장 등에 난방배관 및 수도배관이 설치된다. 이처럼 설치되는 배관의 경우 한번 설치하면 장기간 사용하게 되는 특성상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배관 내부 표면에 미생물막이나 녹, 스케일 등이 쌓이게 된다.
따라서, 배관을 오랜기간 사용하면 배관 내부에 철박테리아 등 미생물 막이 형성되며, 여기에 국부전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형성된 국부전지에 의해 내부에서 철이 용해되면서 덩어리 부분에서 철이온이 산화철로 침착되어 덩어리가 점차 커지는데, 이러한 덩어리 안에는 철박테리아가 살게 되며 이로 인해 배관 내부에서 지속적으로 부식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네덜란드 수도연구소에 의해 이루어진 급수배관 내의 미생물학적 연구에 따르면 금속의 부식과 관계없이 수돗물 중에 미생물의 영양분이 포함되어 있으면 배관 내에 세균이 증가하게 된다.
즉, 수돗물 중에 미생물의 영양분이 포함되어 있으면 배관 내에 세균이 증가하여 배관 내에 미생물막이 형성되고, 이를 먹이로 하는 대형 무척추동물이 살게 되므로 주의할 것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현재 배관의 스케일 제거는 물론 비부식성 재질에 필연적으로 형성되는 미생물 막의 제거와 세균을 비롯한 각종 미생물을 살균할 수 있는 살균세정공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배관의 길이가 길고 배관 직경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배관 내부의 스케일 등의 이물질 제거 작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10-17650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배관의 내부에 길이 조절 가능하며 배관 청소를 위한 헤드부가 설치된 파이프부재를 이용하여 배관의 길이 또는 직경의 가변에도 배관 내부 이물질 제거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배관 세척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설치 공간이 형성된 바디부와, 바디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구동축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와, 바디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동력 전달부로부터 구동력에 따라 회전 작동되는 회전체와, 회전체의 둘레에 감긴 상태로 설치되며 바디부의 외부로 돌출되는 플렉서블 파이프부재와, 플렉서블 파이프부재의 단부에 설치되며 배관의 내부에 삽입되어 배관의 내벽면에 접촉되는 헤드부를 포함한다.
동력 전달부는,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되는 제1 스프라켓과, 제1 스프라켓에 체인으로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 제2 스프라켓과, 제2 스프라켓에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3 스프라켓과, 제3 스프라켓에 체인으로 연결되는 제4 스프라켓과, 제4 스프라켓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제5 스프라켓과, 회전체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고 제5 스프라켓에 체인으로 연결되는 제6 스프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축의 돌출된 단부에 설치되며 바디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돌출되어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회전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파이프부재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파이프관과, 파이프관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관의 내부에는 물 공급부로부터 세척수가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모터의 구동 작동에 따라 플렉서블 파이프부재가 배관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헤드부가 배관의 내벽면에 접촉되어, 배관의 내부에 부착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세척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관 세척기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절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파이프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세척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세척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관 세척기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절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파이프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세척기(100)는, 내부에 설치 공간이 형성된 바디부(10)와, 바디부(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0)와, 구동모터(20)의 구동축(22)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30)와, 바디부(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동력 전달부(30)로부터 구동력에 따라 회전 작동되는 회전체(40)와, 회전체(40)의 둘레에 감긴 상태로 설치되며 바디부(10)의 외부로 돌출되는 플렉서블 파이프부재(50)와, 플렉서블 파이프부재(50)의 단부에 설치되며 배관의 내부에 삽입되어 배관의 내벽면에 접촉되는 헤드부(60)를 포함한다.
바디부(10)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것으로, 안정적인 바닥면 지지를 위해 금속 재질의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10)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바디부(10)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외표면의 일부 또는 전체가 라운드 형상으로 적절하게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바디부(10)의 저면에는 이동을 위한 회전휠(12)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바디부(10)의 내부에는 구동모터(20)가 설치될 수 있다.
구동모터(20)는 바디부(10)의 내부 저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 제어에 따라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모터(20)의 구동축(22)에는 동력 전달부(30)가 구동력을 전달받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동력 전달부(30)는, 구동축(22)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제1 스프라켓(31)과, 제1 스프라켓(31)에 체인(32)으로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 제2 스프라켓(33)과, 제2 스프라켓(33)에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3 스프라켓(35)과, 제3 스프라켓(35)에 체인(32)으로 연결되는 제4 스프라켓(37)과, 제4 스프라켓(37)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제5 스프라켓(38)과, 회전체(40)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고 제5 스프라켓(38)에 체인으로 연결되는 제6 스프라켓(39)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4 스프라켓(37)과 제5 스프라켓(38)의 사이에는 베벨기어(34)로 동력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스프라켓(31)은 구동모터(2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체인(32)으로 연결된 제2 스프라켓(33)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제2 스프라켓(33)은 제1 스프라켓(31)에 이격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 스프라켓(31)의 회전 작동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스프라켓(33)에는 회전축에 의해 제3 스프라켓(35)이 연결될 수 있다.
제3 스프라켓(35)은 제2 스프라켓(33)의 근접 위치에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회전체(4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4 스프라켓(37)에 체인(32)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스프라켓(35)과 제2 스프라켓(33)의 사이에는 회전 바디(41)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바디(41)는 구동 모터(2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될 수 있다.
회전 바디(41)의 내부에는 제3 스프라켓(35) 내지 제6 스프라켓(39)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체(40)가 설치되는 바, 회전체(40)는 회전 바디(41)의 회전과 함께 회전 작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체(40)가 회전 바디(41)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는 것은, 플렉서블 파이프부재(50)가 배관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되도록 하는 바, 배관 내벽면이 플렉서블 파이프부재(50)의 유동에 의해 용이하게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회전 바디(41)의 회전 작동을 위해 제3 스프라켓(35)과 제2 스프라켓(33)의 사이에 연결된 회전축은 회전 바디(41)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제4 스프라켓(37)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스프라켓(35)에 회전축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구동모터(20)의 구동 작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일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4 스프라켓(37)에는 제5 스프라켓(38)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5 스프라켓(38)은 제4 스프라켓(37)으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회전 바디(41)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제5 스프라켓(38)은 바디부(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구동모터(20)의 회전 구동에 따라 회전되는 바, 체인(32)으로 연결된 제6 스프라켓(39)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제6 스프라켓(39)은 바디부(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체(40)의 측면에 고정되어 회전체(40)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동력 전달부(30)는 제1 스프라켓(31) 내지 제6 스프라켓(39)이 체인(32)으로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스프라켓과 체인의 개수를 적절하게 변경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회전체(40)는 바디부(10)의 내부에서 동력 전달부(3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일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체(40)에는 플렉서블 파이프부재(50)가 감긴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플렉서블 파이프부재(50)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파이프관(51)과, 파이프관(51)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스프링부재(53)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관(51)은 회전체(40)의 둘레에 감긴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파이프관(51)은 일측은 바디부(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회전체(40)의 둘레에 감길 수 있다.
파이프관(51)은 회전체(40)의 일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 작동에 따라 바디부(10)의 외측으로 돌출된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이러한 파이프관(51)의 외측에는 스프링부재(53)가 설치될 수 있다.
스프링부재(53)는 바디부(10)의 외측에서 파이프관(51)의 외측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는 바, 파이프관(51)에 일정 탄성력을 부여하여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파이프관(51)이 배관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삽입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파이프관(51)의 단부에는 배관의 내부에 삽입되는 헤드부(60)가 설치될 수 있다.
헤드부(60)는 파이프관(51)의 단부에 설치되며 배관의 내벽면에 접촉되어 배관의 내부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헤드부(60)는 표면에 배출홀(61)이 형성되는 바, 후술하는 세척수 공급부(70)에 의해 공급된 세척수가 배출될 수 있다.
헤드부(60)는 삽입되는 배관이 철 등의 금속 배관일 경우, 철 등의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배관이 PVC 등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배관 내벽면의 손상을 지하도록 PVC 브러쉬 재질로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PVC 브러쉬 재질로 변경되는 경우, 방사상으로 돌출된 브러쉬 형상으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세척수 공급부(70)는 파이프관(51)의 단부에 연결되어 파이프관(51)의 내부에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세척수 공급부(70)는 세척수 탱크(71)와, 세척수 탱크(71)에 저장된 세척수를 펌핑하는 펌프(7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수는 세척수 공급부(70)에 의해 파이프관(51)의 내부에 공급되는 바, 헤드부(60)의 배관 세척 작용과정에서 세척수가 배관의 내부에 공급되도록 하여 효과적인 배관 내부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구동모터(20)의 구동축(22)에는 회전바(80)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회전바(80)는 구동축(22)의 돌출된 단부에 설치되며 바디부(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돌출되는 것으로 구동축(22)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구동모터(20)의 미작동시 사용자가 수작업에 의해 회전체(40)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배관 세척기는 구동모터의 구동 작동에 따라 플렉서블 파이프부재가 배관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헤드부가 배관의 내벽면에 접촉되어, 배관의 내부에 부착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세척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도, 도 1 내지 도 4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세척기(200)의 헤드부(110)는 플렉서블 파이프부재(150)의 단부에 내시경 카메라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헤드부와 내시경 카메라는 동일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따라서, 내시경 카메라(110)를 플렉서블 파이프부재(150)와 함께 배관 내부에 삽입하여, 배관의 내부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플렉서블 파이프부재(150)는 와이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바디부 20...구동모터
30...동력 전달부 31...제1 스프라켓
32...체인 33...제2 스프라켓
35...제3 스프라켓 37...제4 스프라켓
38...제5 스프라켓 39...제6 스프라켓
40...회전체 60...헤드부
61..배출홀 70...세척수 공급부
71...세척수 탱크 73...펌프
80...회전바

Claims (5)

  1. 바닥면에 지지되고, 내부에 설치 공간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이동을 위한 회전휠(12)이 구비된 바디부(10);
    상기 바디부(10)의 내부 저면에 설치되며, 일측에 구동축(22)이 구비된 구동모터(20);
    상기 구동모터(20)의 구동축(22)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30);
    상기 바디부(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동력 전달부(30)로부터 구동력에 따라 회전 작동되는 회전체(40);
    상기 회전체(40)의 둘레에 감긴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바디부(10)의 외부로 돌출되는 플렉서블 파이프부재(50); 및
    상기 플렉서블 파이프부재(50)의 단부에 설치되며, 표면에 배출홀(61)이 형성되어 배관의 내부에 삽입되어 배관의 내벽면에 접촉되어 배관 내부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헤드부(60);를 포함하되,
    상기 동력 전달부(30)는,
    상기 구동모터(20)의 구동축(22)에 설치되어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제1 스프라켓(31);
    상기 제1 스프라켓(31)에 체인(32)으로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 제2 스프라켓(33);
    상기 제2 스프라켓(33)에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3 스프라켓(35);
    상기 제3 스프라켓(35)에 체인으로 연결되는 제4 스프라켓(37);
    상기 제4 스프라켓(37)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제5 스프라켓(38); 및
    상기 회전체(40)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고 상기 제5 스프라켓(38)에 체인으로 연결되는 제6 스프라켓(39);
    상기 제4 스프라켓(37)과 제5 스프라켓(38)의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하는 베벨기어(34);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10) 내부 제3 스프라켓(35)과 제2 스프라켓(33)의 사이에 설치되고, 내부에 제3 스프라켓(35) 내지 제6 스프라켓(39)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체(40)가 설치되며, 구동모터(20)에 의해 회전되어 회전체(40)를 회전시키는 회전 바디(41)를 포함하는 배관 세척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20)의 구동축(22) 돌출된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바디부(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돌출되어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회전바(80)를 더 포함하는 배관 세척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파이프부재(50)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고, 회전체(40)의 둘레에 감긴 상태로 설치되며, 일측은 바디부(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파이프관(51); 및
    상기 파이프관(51)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파이프관(51)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지지하는 스프링부재(53);
    를 포함하는 배관 세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파이프부재(50)의 파이프관(51) 단부에 연결되어 파이프관(51)의 내부에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세척수 공급부(70)를 포함하되,
    상기 세척수 공급부(70)는
    상기 바디부(10) 외부에 설치되는 세척수 탱크(71)와;
    상기 세척수 탱크(71)에 저장된 세척수를 펌핑하여 파이프관(51) 내부로 공급하는 펌프(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세척기.
KR1020180030767A 2018-03-16 2018-03-16 배관 세척기 KR101937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767A KR101937123B1 (ko) 2018-03-16 2018-03-16 배관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767A KR101937123B1 (ko) 2018-03-16 2018-03-16 배관 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7123B1 true KR101937123B1 (ko) 2019-01-10

Family

ID=65020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767A KR101937123B1 (ko) 2018-03-16 2018-03-16 배관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71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2699B1 (ko) * 2022-03-31 2022-08-17 주식회사 청년아이앤에스 미생물 배관 케어 시스템
CN116603821A (zh) * 2023-07-11 2023-08-18 苏州市一全机电设备工程有限公司 一种空调管道清洗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845B1 (ko) * 2016-04-27 2017-02-10 박승열 배관용 스케일 제거장치
KR101765010B1 (ko) 2016-05-03 2017-08-14 송보랑 휴대용 배관청소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845B1 (ko) * 2016-04-27 2017-02-10 박승열 배관용 스케일 제거장치
KR101765010B1 (ko) 2016-05-03 2017-08-14 송보랑 휴대용 배관청소 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2699B1 (ko) * 2022-03-31 2022-08-17 주식회사 청년아이앤에스 미생물 배관 케어 시스템
CN116603821A (zh) * 2023-07-11 2023-08-18 苏州市一全机电设备工程有限公司 一种空调管道清洗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6369B1 (ko) 배관 청소기
KR101937123B1 (ko) 배관 세척기
US8806697B1 (en) Machine for cleaning the interior of a water storage tank
US6199237B1 (en) Underwater vacuum
JP4937133B2 (ja) 管状部材掃除用スクレーパ
JP6402146B2 (ja) 配管洗浄用器具および配管洗浄方法
JP6162307B1 (ja) 配管洗浄用器具および配管洗浄方法
US20060108011A1 (en) Rotary fluid flow valve
KR100799838B1 (ko) 관 세척 및 살균용 폴리 피그
KR20180049063A (ko) 특히 수압 장치들 또는 시스템들을 위한 수압 제어 및 처리 디바이스
CN111501924B (zh) 一种建筑房屋用排水管道自动清洗设备
JP7412736B2 (ja) 管路洗浄システム及び管路洗浄方法
KR102129460B1 (ko) 관로 세척기
US5406666A (en) Water driven turbine/brush pipe cleaner
KR100547407B1 (ko) 평판 디스플레이용 세정장치
US7017593B2 (en) Pipe washing method and pipe washing apparatus
JP2007181828A (ja) 紫外線ランプ保護管清掃装置及び紫外線殺菌装置
US20050198752A1 (en) [Underwater vacuum and sterilization system]
CN218305611U (zh) 一种奶牛养殖场用便于移动的消毒装置
KR20190087782A (ko) 고압 세척용 고압펌프를 구비한 관로 세척기
KR20230054148A (ko) 나선형 세척구조를 갖는 관로 세척장치
US20180255750A1 (en) Device and method for cleaning aquariums
WO2015075762A1 (ja) 管内洗浄装置
KR100742283B1 (ko) 세정장치가 구비되는 물탱크
CN211100571U (zh) 一种用于建筑给排水的管道清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