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9063A - 특히 수압 장치들 또는 시스템들을 위한 수압 제어 및 처리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특히 수압 장치들 또는 시스템들을 위한 수압 제어 및 처리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9063A
KR20180049063A KR1020187009856A KR20187009856A KR20180049063A KR 20180049063 A KR20180049063 A KR 20180049063A KR 1020187009856 A KR1020187009856 A KR 1020187009856A KR 20187009856 A KR20187009856 A KR 20187009856A KR 20180049063 A KR20180049063 A KR 20180049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ntrol
safety device
antimicrobial
ins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9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나토 가즈
루시아노 비앙키
피오렌조 피베타
코스탄조 가디니
Original Assignee
엘텍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텍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엘텍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180049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90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02F1/4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permanent magn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C02F1/50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by oligodynamic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07Arrangements of water soften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F16K21/16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closing after a predetermined quantity of fluid has been deliver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6Cartrid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0Liquid flow 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2Fluid flow conditions
    • C02F2301/022Lamina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4Maintenance of water treatment install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0Prevention of biofou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2Eliminating or preventing deposits, scale removal, scale preven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6Mounted on or being part of a faucet, shower handle or showerhea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2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household appliances such as dishwashers, laundry washing machines or vacuum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Hydraulic Turbines (AREA)

Abstract

수압 장치들 또는 시스템들을 위한 제어 및/또는 안전 디바이스(1)로서, 입구 피팅부(12)와 출구 피팅부(7) 사이에서 연장되는 물 경로가 내부에 있는 케이싱(2), 상기 입구 피팅부(12)와 상기 출구 피팅부(7) 사이에 배치되고, 수압 장치의 고장의 경우에, 또는 사전설정된 양의 물이 공급된 경우에 물 유동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물 제어 및/또는 차단 수단(30-61)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상기 제어 및/또는 안전 디바이스(1)는 상기 물 경로를 따라 제공된 수처리 수단(10-21, 24, 25)을 추가로 포함한다.

Description

특히 수압 장치들 또는 시스템들을 위한 수압 제어 및 처리 디바이스
일반적인 관점에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유체의 용적 및/또는 양을 차단 및/또는 제한하도록 구성된 유형의 수압 제어 및/또는 안전 디바이스, 특히 유틸리티 장치(utility apparatus), 바람직하지만 전적이지는 않은 세탁기들, 식기 세척기들 등과 같은 가전 기기(household appliance), 또는 열-위생 또는 가열 시스템들 및/또는 수처리 시스템들 및/또는 관개 시스템들(irrigation systems)과 같은 유틸리티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상기 디바이스는 유체 처리 수단과 결합되거나, 그것을 포함한다.
알려진 바와 같이, 수도 본관(water mains)으로부터의 물 유동을 정지시킬 수 없게 되는 세탁기의 오작동 또는 고장의 경우에 실내 범람(room flooding)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서, 수도 본관을 기기에 연결하는 파이프 상에는, 본질적으로 워터 블록들(water blocks)이라고도 알려진 릴리프 밸브들(relief valves)인 안전 디바이스들이 적용된다.
실제로, 알려진 디바이스들은 수도 본관으로부터 기기로 연속적으로 유동하는 물 유동을 측정할 수 있게 하고, 사전설정된 한계보다 높은 물의 양에 도달하는 경우, 파이프를 밸브로 폐쇄함으로써 유동을 차단하며; 이러한 목적을 위해, 특정의 안전 디바이스들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준에 따라 그 작동을 설정할 수 있게 하는 조정 수단이 제공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안전 디바이스가 폐쇄 한계에 대해 50 리터로 교정된 경우, 유동의 차단 없이 이러한 양에 도달했을 때, 이는 기기가 적절하게 작동하지 않고, 따라서 수도 본관으로부터의 물이 여전히 공급되면 범람의 위험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안전 디바이스는 기기 공급 파이프에서의 물의 통과를 차단한다.
반대로, 기기가 적절하게 작동하고 있는 경우, 연속적인 간격들로, 예를 들어 부하 세정 사이클 또는 헹굼 사이클 동안에, 물이 공급되어, 안전 한계 이하의 개별 레벨들에 도달하고, 이는 여전히 전체적으로는 안전 한계를 초과할 수 있다.
예로서, 30 리터와 같은 물 부하를 필요로 하는 세정 사이클을 고려해보자: 이러한 양은 본관으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되지만, 일단 도달하면, 세탁기는 기기에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보다 많은 물의 유입을 중지시키고; 이러한 상황에서, 안전 디바이스는 물의 통과의 정지를 검출하고 공급된 리터의 카운팅을 재설정한다.
따라서, 나중에 본관으로부터 30 리터와 같은 물의 새로운 유입이 있는 경우에도, 안전 디바이스는 기기의 상이한 부하 단계들에서 누적된 총량이 디바이스의 교정 한계를 초과하더라도 어떠한 중지도 실행하지 않는다.
상기에 따라 작동하는 안전 디바이스들의 예들이, 이탈리아 특허 제 1119041 호, 또는 영국 특허 출원 제 2,055,454 호 및 프랑스 특허 출원 제 2,193,164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몇 십년 동안 알려져 있으며, 이들 문헌은 방금 설명된 것에 대한 더 상세내용에 대해 참조되어야 한다.
본원에서 언급되는 것은, 그것을 통과하는 액체의 양을 카운팅하기 위한, 통상적으로 기계적 유형의 수단, 및/또는 유동을 차단하기 위한 기계적 밸브 수단을 실질적으로 포함하는, 이전에 논의되었던 알려진 안전 디바이스들이 솔레노이드 밸브들 및 유량계들 또는 전기 카운터들 등과 같은 다른 해결책들에 비하여 저렴하기 때문에 또한 매우 인기가 있지만; 알려진 안전 디바이스들, 심지어 기계적 유형이고 따라서 전기 제어식보다 더 신뢰성있는 안전 디바이스들도 설계되는 범람-방지 기능을 저해할 수 있는 신뢰성의 위험들을 없애지는 못한다는 것이다.
사실상, 본 출원인은, 모든 수압 장치들에서와 같이, 안전 디바이스들에서, 물 또는 이 물 내에 현탁 상태로 분산된 입자들과 접촉하는 표면들 상에 시간 경과에 따라 퇴적물들이 형성되어 그들의 정상 작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특히, 석회석 및/또는 미생물 또는 박테리아 입자들 또는 퇴적물들, 예를 들어 석화되거나 응고될 수도 있는, 중합체 물질들과 같은 접착제 매트릭스의 분비물들(secretions)을 종종 포함하여, 바이오필름들(biofilms) 또는 바이오파울링(biofouling)이라고도 알려진 미생물들의 퇴적물들 또는 응집체들이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예를 들면, 석회석 퇴적물들 또는 입자들, 혹은 미생물 물질들의 존재로 인해 기어들은 간섭 문제들을 가질 수 있고, 유체를 차단하도록 설계된 다른 부재들(스프링들, 샤프트들, 래칫들(ratchets), 게이트들 등)이 잠금되거나 불규칙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것과 같이 기어들이 재밍될(jammed)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물 유동이 정지되어야 하는 그러한 상황들에서, 디바이스는 작동하지 않거나, 임의의 경우에 적절하게 작동하지 않아서(예를 들면, 늦게 또는 부분적으로 작동함), 의도된 범람-방지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현상은 보관 시간이 비교적 긴 상태에서 가끔 사용되는 안전 유동 및/또는 범람-방지 제어 디바이스들에서 두드러져서, 예를 들어 며칠 또는 몇 달 동안의 후속 정지시간에 대해 몇 초 또는 몇 분의 단시간 동안 유체의 이동(transit)을 요구할 수 있는, 상기 유틸리티 장치들 및/또는 시스템들에 수압적으로 연결된 디바이스들과 같은 디바이스에서 물의 정체(stagnation)를 초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세탁기 또는 급수 디바이스, 또는 보일러 내의 물의 주기적 보충을 위한 밸브의 하나의 사이클과 다음의 사이클 사이의 가능한 긴 정지시간을 고려해보자.
안전 디바이스가 예를 들어 그것의 전기 에너지 가열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가전 기기 또는 임의의 수압 시스템의 온수 라인에 적용되거나, 임의의 경우에 있어서 예를 들어 가열 시스템들에의 사용 또는 강한 태양광에의 노출과 같이 디바이스 및/또는 유체가 가열되는 환경 조건들에 적용되는 경우, 이러한 상황은 더 크게 느껴질 수 있다.
실제로, 석회석 및 보다 일반적으로는 석회 퇴적물들의 형성 및/또는 바이오필름 또는 바이오파울링과 같은 미생물 군체들(colonies) 및/또는 물질들의 형성이 온도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조건들에서, 수압 안전 디바이스들의 고장 위험이 더 크다.
이러한 맥락에서, 종래 기술의 일반적인 교시가 기기에 직접 적용되는 전기식 수중 스케일 제거(water descaling) 장치들 및/또는 소독 디바이스들을 사용하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이러한 알려진 스케일 제거 기술의 일 예는 스페인 특허 출원 제 2282016 호에 나타나 있고, 이 스페인 출원은 본관 꼭지(mains tap)로부터 나오는 파이프와 상류에서 연결된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수도 본관에 직접 연결되는 세탁기 및 식기 세척기와 같은 가전 기기들을 설명하고 있으며; 솔레노이드 밸브의 하류에는, 스페인 출원의 경우에 기기의 내측 파이프 상에 적용된 전기 권선(electric winding)으로 이루어진 전기식 수중 스케일 제거 시스템이 있다.
알려진 항균 기술의 일 예는 일본 특허 출원 제 2011250847 호에 나타나 있고, 이 일본 출원은 세탁기에 의해 제어되는 전극들이 물 입구 밸브의 하류에 연결되는 상태에서, 통합된 전기 항균 디바이스를 갖는 세탁기를 설명하고 있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유형의 해결책은 수압 안전 디바이스들에 효과적이지 않는데, 이는, 알려진 바와 같이, 이들 디바이스들이 기기의 상류, 즉 기기의 솔레노이드 밸브와 수도 본관에의 연결부(예를 들면, 꼭지 등) 사이에 장착되기 때문이다.
대신에, 본 출원인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오작동의 특정 위험들이 유리하게 제거되거나 감소될 수 있는 것, 및/또는 상기에 언급된 안전 디바이스들의 성능이 향상되거나 확장될 수 있는 것을 독창적으로 생각해냈다.
그러나, 사실상, 안전과 관련한 기기들에 대한 성능 레벨들이 이제 최고 수준들에 도달했더라도, 또한 정교한 기술들의 사용 및 연결된 복잡한 운영 프로그램들을 관리하기 위한 전자기기들(프로세서들, 센서들 등)의 대규모 사용 때문에, 전원 공급 장치의 고장들 또는 이상들의 경우에 이러한 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이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표면들 상에의 석회 퇴적물들의 존재 또는 미생물 물질들의 존재와 관련된 손상은 통상적으로 기기의 내부 또는 하류에서, 즉 정상 작동 사이클 동안 또는 부하 세정과는 상이한 특정 처리 단계들에서 처리된다.
이와 관련하여, 세탁기들 및 식기 세척기들에 사용되는 펠릿들(pellets), 젤들, 과립들, 제어식 방출 디스펜서들 등의 형태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수많은 제품들을 예시적으로 생각해보자; 일부 경우들에서, 기기가 부하 세정 및/또는 헹굼 사이클(식기들, 의류들 등)을 수행할 때 이러한 제품들이 전달되거나 방출되는 한편, 다른 경우들에서, 항석회(anti-limestone) 또는 소독제 제품들은 기기의 특정 작동 사이클에서 투여된다. 이러한 상이한 적용 방법들은 기기의 유형(항석회 또는 소독제 물질 디스펜서가 제공되거나 제공되지 않을 수 있음), 또는 항석회 또는 소독제 제품(분말, 액체, 패드들 등)의 형상과 같은 다양한 요인들에 따라 달라진다.
이러한 제품들의 유효성을 논의하지 않고, 그 성질상 이 제품들은, 기기 내에 존재하는 물에 작용하며, 이는 따라서 퇴적물들 및/또는 피각물들(incrustations)이 형성되는 경향이 있는 표면들(탱크, 바스켓(basket), 전기 히터들, 식기들 등)과 이미 접촉하고 있다는 것은 명확하다.
따라서, 물에 존재하는 염들 또는 미생물들은 세탁기 또는 식기 세척기의 구성요소들(특히, 전기 저항기들 및 필터들) 및/또는 부하의 표면들 상에 이미 퇴적되어 있고, 그에 따라 처리의 유효성이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근본적인 기술적 문제는 종래 기술을 참조하여 상기에서 개설된 단점들을 극복하는 것이다.
다른 기술적 문제는 연관될 수 있는 기기 장치와 독립적으로 안전 디바이스의 작동을 독자적으로 신뢰성있게 하는 것이다.
다른 기술적 문제는 유틸리티 장치 또는 시스템에 공급되는 유체 또는 물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수압 제어 및/또는 안전 및/또는 유동 제한 디바이스들, 특히 기계적 유형이거나 가동 기계 부품들을 갖는 디바이스들 및/또는 밸브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기기들, 관개 시스템들, 열-건강 또는 가열 시스템들 및/또는 수처리 플랜트들 및/또는 다른 응용들과 결합되거나 결합될 수 있는 디바이스들의 안전 및/또는 신뢰성 및/또는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사실상, 상기한 바와 같이, 이들 디바이스들의 작동은 미생물들 또는 바이오필름들, 특히 디바이스 내에 형성되는 석회석의 파울링 및/또는 퇴적물들 및/또는 입자들 및/또는 응집체들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다른 보다 특정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에서 고려된 유형의 수압 안전 디바이스 및/또는 유동 제한기에, 유틸리티 장치 또는 기기에 다른 유리한 작동들을 또한 실행하도록 구성되게 하는 이러한 구조적 및/또는 기능적 특징부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에서 언급된 기술적 문제에 대한 해결책의 개념은 수압 안전 디바이스 내의 물 경로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그들을 통과하는 유동에 대해 활성일 수 있는 처리 수단을 갖는 것이며; 유리하게는, 이러한 처리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유동 카운팅 및/또는 제어 및/또는 차단 수단의 상류 및/또는 그 근처에 위치된다.
기술적 문제의 해결책의 특정 개념에 따르면, 유체 처리 수단은 제어 및/또는 안전 및/또는 차단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들과 함께 시너지적인 방식으로 작동하고; 바람직하게는, 유동에 대한 활성 및/또는 처리 수단은 항석회 및/또는 항미생물 기능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 처리 수단은 기어들 및/또는 회전 샤프트들 및/또는 임펠러들 및/또는 디퓨저들(diffusers) 및/또는 좁은 통로들과 같은 기계 부품들의 근처 또는 상류에 위치된 영구 자석들 또는 자기장들 및/또는 항미생물 요소들을 포함하며, 그에 따라 물 유동들에 가해지는 그러한 자기장들이 석회석의 침전 및/또는 퇴적, 및/또는 그러한 기계 부품들 상에의 미생물 응집체들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설명의 편의상, "항석회(anti-limestone)" 및/또는 "항미생물(antimicrobial)"이라는 용어는 단독으로 본 명세서에 사용될 수도 있지만, 이러한 용어는 미생물들(micro-organisms) 및/또는 세균들(germs) 및/또는 박테리아 및/또는 미생물들(microbes) 및/또는 바이러스들 및/또는 균류들의 응집체들 또는 퇴적물들을 포함하는 유기, 무기 및/또는 생물학적 유형의 임의의 가능한 퇴적물 또는 형성물을 제거하거나 방해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또한, 항미생물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 및 하기의 청구범위에서 박테리아, 바이러스들, 세균들 등과 같은 물에서 발견될 수 있는 미생물들의 존재를 제거하거나 적어도 감소시키는 특성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며; 따라서, "항미생물", "항균(antibacterial)" 등의 용어들의 사용은 광범위한 의미에서 동의어들로서 이해되어야 하는 바와 같이, 병원성 수중 미생물들에 대한 일반적인 작용을 커버하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이것은, 방해석의 침전을 방지하기 위해, 및/또는 형성될 수 있는 임의의 아라고나이트(aragonite)가 현탁 상태로 유지되어 물의 유동에 의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이러한 방식으로, 특히 방해석의 형성을 방지하고 및/또는 물에 존재할 수 있는 임의의 탄산칼슘의 아라고나이트로의 변형을 유도하도록 이러한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영구 자석들을 제공함으로써, 또는 항미생물 열가소성 재료 및/또는 미생물 물질들을 함유하는 중합체로 제조된 성형 부품들과 같이, 항미생물 재료의 디바이스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항미생물 인서트들 또는 부품들을 제공함으로써 얻어진다.
독자적인 발명 양태에 따르면, 수압 제어 및/또는 안전 디바이스는, 소독제 또는 살균제(antiseptic) 또는 항미생물 재료의 부품들 또는 인서트들, 혹은 그렇지 않으면, 바람직하게는 디바이스의 가동 부품들의 블로킹(blocking) 및/또는 사용자들의 건강에 대한 피해들을 회피하기 위해, 특히 디바이스에서 및/또는 디바이스의 상류에 위치된 유틸리티 장치에서, 미생물들 또는 세균들 또는 박테리아 또는 바이러스 또는 균류들의 성장, 및/또는 그들에 의해 생성된 물질들의 형성 또는 퇴적, 예를 들어 미생물 군체들 및/또는 물질들 및/또는 "바이오필름들" 또는 "바이오파울링"의 형성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거나 제한할 수 있는 재료 또는 물질의 부품들 또는 인서트들을 포함하거나 구비한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유틸리티 장치 또는 기기에 공급된 액체는 디바이스 내로 흐르고, 그에 따라, 또한 이러한 장치 및/또는 그것의 가동 부품들에 대한 가능한 이익과 함께, 필요에 따라 처리 또는 스케일 제거 또는 소독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는 순환하는 모든 액체를 처리하고, 그래서 본 기술의 현 상태에서 발생하는 바와 같은,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식으로 완전하게 처리하기 어려운 액체가 장치 또는 기기에 분산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단지 설명적이고 비제한적인 예로서 제공되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관련된 첨부 도면들로부터 쉽게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들 및/또는 목적들 및/또는 이점들은 예시이고 비제한적인 예시적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들로부터 보다 쉽게 명백해질 것이다.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압 안전 디바이스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 도 2는 도 1의 디바이스의, 일부가 제거된 부등각도이고;
- 도 3은 도 1의 디바이스의 종단면도이고;
- 도 4는 이전 도면들의 디바이스의 분해도이고;
- 도 5, 도 6 및 도 7은 도 4의 각각의 확대 상세들을 도시하고;
- 도 8a 및 도 8b는 각각 이전 도면들의 디바이스의 제 1 상세의 단면도 및 부등각도이고;
- 도 9a 및 도 9b는 각각 이전 도면들의 디바이스의 제 2 상세의 단면도 및 부등각도이고;
- 도 10은 이전 도면들의 디바이스의 파선 종단면도이고;
- 도 10a는 도 10의 상세의 확대이고;
- 도 11a 및 도 11b는 각각 이전 도면들의 디바이스의 추가적인 상세의 정면도 및 부등각도이고;
- 도 12는 이전 도면들의 디바이스의 변형예의 파선 종단면도이다.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기 전에, 비제한적인 예에 대하여 하기에서 설명되는 특정 구성들 및/또는 구조들 및/또는 특성들이 개별적으로 고려되거나, 심지어 예시된 실시예들과는 상이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실시예들에서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으며; 또한, 이하에서 사용된 참조 번호들은 단지 편의를 위한 것이고, 실시예들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는 것을 명시할 필요가 있다. "상측", "하측", "위", "아래", "상부", "하부"와 같은 정의들은 예시적인 도면들에 대해 지칭된 것이고, 제한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도면들 내의 도면 번호 1은 유체를 처리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수압 안전 또는 제어 디바이스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를 전체적으로 나타내고, 이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는 나사 결합부(threaded coupling)(5)에 의해 서로 연결된 2 개의 부분들, 즉 하측 부분(3) 및 상측 부분(4)으로 이루어진 외측 몸체 또는 케이싱(2)을 포함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사 결합부는 상이한 종류, 예를 들어 베이요넷(bayonet), 가압-끼워맞춤부(press-fit) 등일 수 있지만, 하측 반몸체(3) 및 상측 반몸체(4)가 견고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용접 또는 접착에 의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몸체(2)는 유리 섬유 등으로 보강된 폴리아미드와 같은 중합체 또는 플라스틱 또는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목적들에 적합한 다른 재료들, 특히 강철, 구리, 황동, 알루미늄, 은 등과 같은 금속 재료들을 개별적으로 또는 합금하여 사용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하기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가능한 변형예에 따르면, 상측 부분(4)은 금속 재료의 부분을 포함하거나, 금속 재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측 부분(4) 상에는, 펜치(pincer) 및 스패너(spanner) 등과 같은 조임 공구와 맞물리는 역할을 하는 다각면 부분(polygonal faceted portion)(6)이 외부적으로 얻어진다.
디바이스의 몸체(2)는 바람직하게는 수압 연결부 또는 수도 본관의 꼭지의 하류 및/또는 도면들에 도시되지 않은 기기 또는 유틸리티 디바이스 또는 장치의 상류에 적용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디바이스(1)는 상단부 및 하단부에 물의 입구 피팅부(inlet fitting)(12) 및 출구 피팅부(outlet fitting)(7)를 각각 구비하고, 이 입구 피팅부 및 출구 피팅부에 의해, 디바이스는 각각, 그와 연결되는 상기 수압 네트워크 또는 부재, 예를 들어 꼭지 및/또는 파이프 및/또는 접합부(junction)의 상류에 연결되고, 기기 또는 유틸리티 시스템(도면들에 도시되지 않음)의 공급 파이프의 하류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입구 피팅부(12) 및 출구 피팅부(7)는 나사부들로 이루어지지만, 다른 해결책들, 예를 들어 베이요넷 피팅부들, 링 너트들 또는 또 다른 것들이 그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선호하는 예에 따르면, 몸체의 상측 부분(4)은 바람직하게는 처리 수단(21)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인서트(10)를 포함하거나 그와 결합되고, 이것은 이후에 보다 충분하게 설명될 것인 반면, 여기서는 하측 반몸체(3)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및/또는 상측 몸체(4)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수압 안전 또는 제어에 관한 디바이스(1)의 수단에 집중하는 것이 최선이다.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부로부터 시작해서, 안전 및/또는 제어 수단은 디바이스의 몸체(2) 내에 아이들(idle) 상태로 지지된 샤프트(31)의 상단부에 장착된 제 1 셔터(30)를 포함하며, 이 샤프트의 하단부는 나선형 스프링(32)과 맞물린다.
회전할 수 있는 것에 부가하여, 샤프트(31)는 도 2에서 화살표로 지시된 바와 같이, 위로부터 유동하는 물에 의해 가해진 압력의 결과로서 축방향으로 병진운동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유 때문에, 제 1 셔터(30)의 상측 부분에는, 물의 유동을 이탈시키기(deviate) 위한 전환기(diverter)(33)가 제공되고, 이 전환기는 도 3에 도시된 디바이스의 휴지 상태(resting condition)에서(즉, 물의 유동에 의해 주어진 추력의 부재 시에) 제 1 셔터(30)의 밀봉 링(38)에 접하는, 물의 통과를 위한 시트(seat)(35)에 비해 더 높은 레벨에 위치되는 선버스트(sunburst) 배열의 일련의 블레이드들로 이루어진다.
그 아래에 그리고 디바이스(1)의 스템(stem)(31)에 대해 동축 위치에는, 상측 반몸체(4)에 횡방향으로 장착된 디퓨저(40)가 있으며; 이 디퓨저(40)에는 나선형 또는 경사 리브들 또는 블레이드들(41)이 제공되며, 이들의 목적은 샤프트(31) 상에 아이들 상태로 장착된 임펠러(43)의 블레이드들(44)에 대해 물의 유동을 지향시키는 것이며, 이 샤프트 상에는 웜 스크류(worm screw)(45)가 키이(key) 결합되어 있다. 디퓨저(40)의 상기 블레이드들(41)은 바람직하게는 임펠러(43)의 블레이드들(44)과 비교하여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웜 스크류(45)는, 경사진 축들을 가지며 다이어프램(diaphragm)(47) 상에서 회전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싱들의 단부에서 얻어지는 대응하는 치형부들 및 웜 스크류들로 이루어지는 기어들(46a-46b, 46c-46d)(도 6, 도 10, 도 11 및 도 12)의 각각의 쌍들을 포함하는, 본 예에서는 2 개의 단들을 갖는 유형인 감속 기구(46)와 결합된다.
그러나, 감속 기구(46)는 상이한 수의 감속 단들, 즉 2 개보다 많거나 적은 감속 단을 가질 수 있고, 상이한 수와 상이한 유형들의 기어들; 예를 들면, 평행하고 및/또는 동일 평면상에 있을 수 있는 축들을 갖는 기어들, 단순 및/또는 차동(예컨대, 유성(planetary)) 기어들, 베벨형 및/또는 원통형 기어들, 직선형 및/또는 나선형 치형부들을 갖는 기어들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 강조되어야 하며; 이것은 본질적으로 임펠러(43)의 토크 및 회전 속도, 디바이스의 치수들, 그것을 가로지르는 물의 유동 속도 등과 같은 외부 요인들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감속 기구(46)의 구성에 관계없이, 안전 디바이스의 몸체(2)는 하측 반몸체(3)와 상측 반몸체(4) 사이의 결합 나사부(5)에 적용된 다이어프램(47)에 의해 횡방향으로 분할되고, 이 다이어프램 상에는 구멍들(48)의 크라운(crown)이 주변부에 위치되고; 반몸체들(4 및 3) 사이의 시일은 링 개스킷(ring gasket)(42)("O 링" 유형)에 의해 보증된다.
다이어프램(47) 상에는, 또한, 상호 맞물림을 허용하는 감속기 기어(46)의 요소들(46a-46d)을 위한 지지부들(49)이 제공되는 한편, 다이어프램의 구멍들(48)을 통과하는 물이 하측 반몸체(3)의 하부에 모이게 되며, 이러한 목적을 위해, 하측 반몸체(3)는 하측 나사형 단부(7)에 위치된 출구 밸브(50)를 향한 물의 유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플레어 형상(flared shape)을 갖는다.
밸브(50)는 샤프트(31)의 하단부에 적용되고 밸브(50) 내에서 축방향으로 안내되는 헤드(52)를 구비하는 셔터(shutter)(51)를 포함하고; 셔터(51) 내에는, 샤프트(31)의 하단부를 가압하는 콘트라스팅 스프링(contrasting spring)(32)이 위치된다.
샤프트 상에는 셔터(51)를 제어하기 위한 기구가 장착되고, 이 기구는, 샤프트(31)의 하강 상태에서, 즉 물이 위로부터 유동하여 샤프트를 하향으로 가압할 때, 셔터(51)의 상측 부분(58) 내에 수용된 비틀림 스프링(57)을 파지하게 되는 피니언(pinion)(55)을 포함하고, 셔터의 상측 부분의 외부에는 디바이스의 정상 작동 상태들에서 셔터(51)의 상부 부분(58)의 상측 플랜지(58a)와 밸브(50)와 결합된 와셔(washer)(60) 사이에 압축되는 나선형 스프링(59)이 적용된다.
또한, 셔터(51)는, 이 셔터(51)가 물의 통과를 차단할 때 밸브 시트(62)에 맞닿도록 의도된 밀봉 링(61)을 포함한다.
본질적으로, 셔터(51)의 제어 기구는 샤프트(31)와 일체형인 기어(55)의 회전이 샤프트(31)의 사전설정된 회전들의 수에 대응하는 힘 한계로 교정된 비틀림 스프링(57)에 응력을 가하도록 하는 이러한 방식으로 작동하고, 이 사전설정된 회전들의 수를 지나면 나선형 스프링(59)이 스냅 결합되게 되고, 셔터(51)를 하향으로 밀어서 밸브 시트(62)를 폐쇄시킨다.
샤프트(31)의 회전은, 웜 스크류(45)와 결합된 감속기 기어들(46a-46d)의 열을 통해, 물에 의해 구동되는 수력 터빈(hydraulic turbine)으로서 실제로 작동하는 임펠러(43)에 의해 작동된다.
일반적인 관점에서, 디바이스(1)에 의해 수행되는 안전 기능, 즉 연관되는 기기의 이상들 또는 오작동들의 경우에 물의 유동을 차단하는 기능은 전술한 기계적 수단으로 얻어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는 또한 그 성능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다른 중요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원에서 고려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예에 따르면, 상측 반몸체(4)에는 수처리 수단(10)이 수용되며, 이 수처리 수단은 본 경우에는 항석회 및/또는 항미생물 유형이지만, 하기에서 보다 쉽게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항석회 및/또는 항미생물 기능과 상이하고, 이러한 기능에 대한 대안으로 또는 그에 부가하여, 다른 기능들을 가질 수 있다.
유리하게는, 항석회 기능은 바람직하게는 자기 효과(magnetic effect)를 이용하여 얻어지는데, 이는 이것이 안전 디바이스(1)의 처리와 단순성에 있어서의 유효성을 조합시킬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자기장들은 석회석, 즉 탄산칼슘과 같은 퇴적물들 또는 스케일을 유발하는, 물에 용해된 칼슘, 칼륨 등의 미네랄 염들과 상호작용하고; 이러한 목적을 위해, 자기장들은 석회석 퇴적물들 및/또는 스케일에 대한 원인이 되는 방해석 등과 같은 화합물들의 형성을 방지하여, 가능하게는 접촉하는 표면들 상에 퇴적되지 않는 아라고나이트와 같은 다른 화합물들의 형성을 촉진하고, 그래서 그들은 유동과 함께 배출될 수 있다.
이것은 우리가 우리 가정들의 꼭지들, 싱크대들 및 파이프들에서 통상적으로 보곤 하는 스케일의 형성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디바이스(1)에서, 수처리 수단(10)은 디바이스(1)의 작동 및/또는 안전 기능을 결정하도록 의도된 전술한 내부 구성요소들의 표면들 상에 형성되는 퇴적물들 및/또는 스케일을 제거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감소시키는 목적에 도움이 된다.
디바이스들을 가로지르는 물의 유동이 디퓨저(40), 임펠러(43), 감속기 기구(46) 및 그것의 기어들(46a-46d), 샤프트(31), 셔터(51)를 갖는 밸브(50), 구멍들(48)을 갖는 다이어프램(47), 반몸체들(3 및 4)의 내측 벽들 등과 어떻게 접촉하는지는 이해하기 쉽고; 시간 경과에 따라, 석회석 및/또는 바이오필름 또는 미생물 기원의 퇴적물들이 이들 구성요소들의 표면 상에 퇴적되는 것이 거의 불가피해져서, 이러한 구성요소들의 적절한 작동 및 그에 따른 안전 디바이스(1)의 신뢰성을 저해할 위험이 있다.
본 예에서 항석회 및/또는 항미생물 기능을 수행하는 수처리 수단은, 디바이스(1)에 대한 이러한 위험 상황들을 방지하는 과제를 적어도 가져서, 상기 구성요소들 상에 또는 구성요소들 사이에 형성물 및/또는 퇴적물들을 회피시키고; 특히 기어 또는 회전 샤프트들의 블로킹 및/또는 개스킷들 또는 시일 시트들 상에의 퇴적물들로 인한 시일 손실들 및/또는 감소된 섹션을 갖는 구멍들 또는 도관들에서의 통로의 폐색 또는 감소 및/또는 탄성 요소들 또는 스프링들의 블로킹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회피시킨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처리 수단은 디바이스의 상측 반몸체(4)의 나사부(8)에 밀봉 방식으로, 바람직하게는 링 개스킷(9)과 함께, 적용되는 인서트(10)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유리하며; 이것은 처리 수단의 유지보수 또는 교체를 용이하게 하고, 처리 수단은 이 처리 수단을 청소하거나 교체하기 위해 상측 반몸체(4)로부터 인서트(10)를 간단히 풀어냄(unscrewing)으로써 디바이스로부터 빼낼 수 있다.
그러면, 인서트(10)는 수압 안전 디바이스(1)의 카트리지 또는 다른 교체 요소로서 고려될 수 있고, 그 대신에 임의의 경우에는 반드시 항석회 및/또는 항미생물의 자성 요소는 아닌 다른 교체 요소들이 적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소독제들, 염료들 또는 다른 물질들을 시간 경과에 따라 방출하는 활성탄 필터들 또는 정제들(tablets)을 고려하자.
인서트(10)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또는 튜브형 형상을 갖고, 중공형 케이싱(11)을 포함하며, 케이싱의 내부에는, 물 분배 본관(water distribution mains)(도면들에 도시되지 않음)에의 파이프, 꼭지 또는 다른 접합 요소의 피팅부, 또는 꼭지와 상류에서 연결될 수 있는 제 1 나사부(12)가 제공되는 한편, 케이싱의 외부에는, 상측 반몸체(4)의 나사부(8)와 나사 결합되도록 의도된 제 2 나사부(14)가 있다.
추가적으로, 인서트(10)의 외부 상에는, 스패너들, 파이프 렌치들(pipe wrenches) 등과 같은 조임 공구들과의 맞물림을 위한, 바람직하게는 다각형 프로파일, 예를 들어 육각형, 팔각형 등의 프로파일을 갖는 각면 부분(13)이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디바이스의 상측 반몸체(4)의 각면 부분(6)에 작용되는 비틀림 또는 조임 작용은 인서트(10)의 케이싱(11)에 전달되고 이후 그것의 나사부(12)에 전달되어, 물 분배 수압 본관의 파이프 또는 다른 접합부의 피팅부에의 상기 상류 연결을 가능하게 하고; 유사하게, 이와 같은 것은 인서트(10)의 각면 부분(13)에 작용할 때도 일어난다.
따라서, 나사부들(5, 12 및 14)은, 상측 반몸체(4)의 조임의 결과로서, 인서트(10)를 수압 본관의 외부 접합부 또는 파이프에 나사 결합시키는 전술한 효과를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상호 조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서트(10)의 케이싱(11)은 실질적으로 관형 또는 원통형 시트와 같은 시트 또는 중공형 부분(15)을 포함하고, 이 시트 또는 중공형 부분은, 도면들에 도시된 안전 디바이스(1)의 작동 상태에서, 위로부터 상측 반몸체(4) 내로 그로부터 반경방향 거리의 사전설정된 관계로 삽입되고, 이에 의해 디바이스(1)에 공급된 물의 통과를 위한 실질적으로 사이공간(interspace)(16)을 한정하며; 바람직하게는, 사이공간(16)은 시트 또는 중공형 부분(15)에 근접하게 또는 그 주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된다. 그에 따라 구성된 사이공간은 디바이스가 제거 가능한 인서트를 포함하는 점과는 무관하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형 부분(15)은 원통형 부싱과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지만; 인서트(10)의 이러한 부분에 대한 다른 형태들도 가능하며: 예를 들면, 이것은 다각형, 로브형(lobed)이거나 그렇지 않으면 원형의 기하 형상을 갖지 않는 섹션, 또는 원형으로 배치되는 리브들과 같은 분리된 섹터들(sectors)로 구성될 수 있다.
중공형 부분(15)은 바람직하게는 항석회 및/또는 항미생물 유형의, 디바이스(1)를 가로지르는 액체의 처리 수단(21)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목적에 도움이 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인서트(10)의 케이싱(11)은 적어도 하나의 항미생물 요소 또는 재료를 포함하거나 장착하고; 특히, 인서트(10)의 케이싱(11)의 적어도 일부는 항미생물 재료로 구성 또는 성형되거나, 중공형 부분(15)은 적어도 하나의 활성 처리 코어 또는 요소(21)를 수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항미생물 재료는 항미생물 재료의 물질 또는 충전물(charge), 바람직하게는 Ag+ 이온들을 방출할 수 있는 충전물 또는 은 분말을 포함하거나, 또는 단백질들 또는 나노재료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구리를 갖는 합금들을 포함하는 중합체 또는 열가소성 재료이다.
디바이스(1)를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 물의 유동에 우선 초점을 맞추는 것이 최선이므로, 수처리 수단(21)이 하기에서 보다 잘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케이싱(11)에는 피팅부(12)를 통해 디바이스(1)에 공급되는 액체의 분배를 위한 도관 또는 챔버 또는 공동(cavity)(18)이 축방향으로 존재하며;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피팅부는 본 예에서 인서트(10)의 상단부에서 얻어진 나사부(12)로 이루어지지만, 임의의 적절한 형상으로 상이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물 분배 본관에 연결되면 물이 안전 디바이스(1) 내로 들어갈 수 있게 하는 것만이 필요하다.
분배 챔버(18)에는 유체 입구측에 필터(19)가 제공되는 한편, 반대측에서, 분배 챔버는 인서트(10)의 케이싱(11)의 중공형 부분(15)으로부터 분배 챔버를 분리시키는 횡단 벽 또는 배리어(23)에 의해 경계지어지고; 상기 필터(19)는 또한 항미생물 재료를 포함하거나, 항미생물 재료로 제조 또는 성형될 수 있다.
상기 횡단 벽 또는 배리어(23)의 근처에서, 분배 챔버에는 인서트(10)의 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 또는 경사 방향으로 배치되는, 물의 통과를 위한 일련의 구멍들 또는 개구들(20)이 제공된다.
상기 개구들(20)은, 처리 요소의 벽들 및/또는 사이공간(16)의 둘레부 또는 주위부를 따라 가능한 가장 균일한 방식으로 물의 유동을 분배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 개, 훨씬더 바람직하게는 3 개 또는 4 개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출원인은 놀랍게도, 사이공간(16)에서의 액체의 분배가 바람직하게는 인서트(11)의 중공형 부분(15)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된 수처리 수단(21)과의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몸체(4)와 부분(15) 사이에 위치된 안전 또는 제어 디바이스(1)의 상기 사이공간(16)은, 예를 들어 처리 요소 또는 자석에 대한 유체의 매우 근접부가 보다 큰 유입 또는 보다 강한 자기장 및/또는 보다 양호한 이온 교환을 결정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특히 모든 유체의 처리를 향상시키기 위해, 처리 수단 또는 자석(21)에서 실질적으로 층류 또는 보다 얇은 유동을 결정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층류 또는 보다 얇은 유동은 바람직하게는 항미생물 재료로 제조되거나 항미생물 재료로 제조된 부분들을 포함하는 케이싱(11)의 표면들의 적어도 일부분 상에서 결정되고, 이에 의해 대부분의 유체 또는 물의 처리를 결정하는, 항미생물 재료의 이온들과 대부분의 유체 사이의 양호한 상호작용 및/또는 교환을 결정하며; 예를 들면, 몸체(4)와 항미생물 재료로 제조된 부분(15) 사이의 상기 사이공간(16)에서 유동이 결정되고, 및/또는 항미생물 재료의 일련의 구멍들 또는 개구들(20)에서 이동이 결정되고, 및/또는 항미생물 재료로 제조된 도관 또는 챔버 또는 공동(18)의 내측 벽들을 따라 이동이 결정된다.
유리하게는, 물의 항석회 처리를 위한 수단은 자성 유형이고; 이러한 목적을 위해, 디바이스(1) 내에는, 인서트(10)의 케이싱의 중공형 부분(15) 내에 수용된 영구 자석들(21a, 21b, 21c)의 활성 코어(active core)(21)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이 존재하며; 중공형 부분(15) 내에 수용된 요소들(21a-21c)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사실상 스토퍼(stopper) 역할을 하는 폐쇄 바닥부(closing bottom)(22)를 중공형 부분의 단부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처리 수단(21)은, 전술한 영구 자석들에 의해 구성된 항석회 수단과 조합하여, 또는 그에 대안적으로, 물을 소독하거나 심지어 살균하기 위해서도 항균 및/또는 항미생물 수단을 포함한다.
항균 또는 항미생물 수단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구성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항미생물 활성을 갖는, 인서트(10)의 케이싱(11)의 중공형 부분(15) 내에 수용된 복수의 요소들(21a, 21b, 21c)을 갖는 활성 코어를 포함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도면들 및 본 명세서에서의 간략화를 위해, 자성 항석회 요소들 및 항균/항미생물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들(즉, 21a, 21b, 21c)로 지시될 것이며, 이들에 대해 기술되는 것은 다른 것들에 대해, 필요한 부분만 변경을 가하여, 확장될 수 있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항균 요소들은 활성 원소들, 물질들 또는 화합물들, 예를 들어 염소 및/또는 요오드 및/또는 칼륨에 기초한 것들을 방출하는 카트리지들 또는 정제들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중공형 부분(15) 내의 활성의 자성 및/또는 항미생물 코어(21)의 치수들은 디바이스에 대해 예상되는 물의 유량, 석회석의 경도 또는 농도, 안전 디바이스(1)의 치수들, 코어(21)의 자기장의 세기와 같은 다양한 파라미터들에 따라 가변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코어는 원하는 항석회 및/또는 항미생물 효과에 따라 사전설정된 높이에 도달하도록 하는 이러한 방식으로 함께 적층된 영구 자석들, 카트리지들 또는 정제들(21a, 21b, 21c)과 같은 일련의 요소들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이유 때문에, 영구 자석들(21a-21c)은 코어(21)의 적층체를 형성하도록 상하로 서로 용이하게 중첩될 수 있는 정제들 또는 디스크들로서 구성된다.
이 상황에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성 코어(21) 및 이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구성이 방금 설명된 것과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이 지적되어야 하며: 이것은 상이한 응용들에 용이하게 적합화될 수 있도록 조립될 수 있는 복수의 요소들(21a-21c)을 포함하는 활성 코어를 갖는, 도면들에 도시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의해 달성되는 유리한 양태로부터 도출된다.
수질이 위치마다, 예를 들어 지역마다 또는 도시마다 뿐만 아니라, 해마다 등등 상당히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상태들에서 석회석의 농도(물의 "경도")는 때때로 변하고, 따라서 최적의 항석회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수처리 수단을 상이한 물들에 적합화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압 디바이스(1)에서, 이것은 코어(21)를 형성하는 요소들(21a-21c)의 수 및/또는 유형을 변경함으로써 용이하게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든 요소들(21a-21c)이 영구 자석들일 필요는 없으며; 사실상, 그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가 강자성(ferromagnetic), 반자성(diamagnetic), 상자성(paramagnetic) 또는 심지어 비자성 특성들을 갖는 경우들이 있을 수 있다.
상이한 특성들 및/또는 자극들의 수 및/또는 방향을 갖는 요소들(21a-21c)의 조합은 결과적인 자기장을 디바이스(1)를 가로지르는 물의 유동 및 형상에 적합화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자성 코어(21)의 요소들(21a-21c)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제조하기 위해, 물과 접촉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성된 영구 자석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들 영구 자석들은 강자성 재료들, 예를 들어 페라이트, 희토류들, 네오디뮴-철-붕소 등으로 제조될 수 있고, 가능하게는 적절한 중합체 또는 수지 또는 열가소성 재료와 같은 보호 또는 방수 재료들로, 가능하게는 상기 몸체(11)와 같은 디바이스(1)의 몸체 부분을 오버몰딩(over-moulding)함으로써 코팅된다.
그 구성에 사용된 재료들과 관계없이, 자성 코어(21)는, 물에 대한 처리 또는 항석회 작용을 수행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분배 헤드(18) 및/또는 사이공간(16)에서 물과 상호작용하는 자기 유동을 제공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코어(21)의 길이, 그 폭과 같은 치수들, 그것을 포함하는 요소들(21a-21c)의 수 및 배열은 원하는 결과를 얻도록 작용할 수 있는 중요한 파라미터들이다.
그들은 자기장의 자속선들(flux lines)에 영향을 미쳐서, 물의 경로의 사전지정된 지점들에서 자기장을 최대화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자성 코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N-S 극성으로 배향되고, 따라서 자속은 이러한 방향을 따라 가장 커서, 코어의 N-S 극들에 있는 물, 즉 분배 헤드(18)와 코어(21) 사이 및 코어(21)와 셔터(30)의 헤드 사이에 있는 물을, 바람직하게는 사이공간(16)을 따라 이동하는 유동을 통과하는 N-S 극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자속선들과 관계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자성 코어(21)에 위치된 디바이스(1)의 몸체 부분들은, 특히 자기장을 차폐하거나 감쇠시키지 않게 하기 위해, 중합체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지만, 자성 부품들 또는 인서트들 또는 요크들이 제공되어, 유체가 이동하는 사전지정된 지점들에 자기장을 전달하여, 예를 들어 보다 효과적인 처리를 위해 이들 지점들에 자기장을 집중시킬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발명의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측 반몸체(4) 또는 그것의 단지 일부는 사이공간(16)에 근접하게 자속을 집중시켜서 이러한 영역에서 물에 대한 항석회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금속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을 또한 지적할 필요가 있다.
대안적으로, 상측 반몸체(4)는 유체를 처리할 수 있는 영구 자석들 및/또는 요소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영구 자석들은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또는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재료를 적어도 하나의 자성 또는 강자성 요소 상에 사출하는 상측 몸체(4)의 재료와 같은 디바이스(1)의 몸체의 재료로 오버몰딩된다.
더욱 쉽게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이러한 해결책은 유리하게는 후술되는 디바이스(1)의 변형 실시예에 적용된다.
유리하게는, 자성 또는 강자성 요소들은, 예를 들어 목적에 적합한, 바람직하게는 성형 후에 자화되는 충전물들 또는 금속 분말들 또는 다른 물질들이 첨가된 열가소성 재료 또는 중합체 또는 플라스토-페라이트(plasto-ferrite)로 제조되는, 바람직하게는 디바이스(1)의 일체 부분 또는 추가 부분으로서 성형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작동에 따른 수압 디바이스(1)의 작동이 이해될 수 있다.
범람에 대한 안전성, 즉 디바이스가 결합된 장치 또는 기기의 오작동의 경우에 물을 차단하는 것과 관련하여, 통상 작동 상태와 고장 상태 사이에 구별이 되어야 한다.
통상 작동 상태에서, 세탁기의 경우에는 세탁물 또는 식기 세척기의 경우에는 식기들 및 도구들인 부하를 세정하거나 헹구는 경우에서와 같이, 기기에 의해 물에 대한 통상 요청이 있는 경우에, 사전결정된 양의 물이 디바이스(1) 내로 유동하며; 상기 양은 디바이스 자체에 설정된 안전 한계(예를 들면, 20, 30, 40 리터 또는 다른 양)보다 적을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물은 위로부터 몸체(2)로 들어가고, 인서트(10)를 통과하고, 여기서 물이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한 수단 또는 요소들(21) 및/또는 다른 요소의 처리 또는 항석회 및/또는 항미생물 작용을 받고, 물은 계속해서 하측 반몸체(3)쪽으로 진행하고, 여기서 그 압력이 제 1 셔터(30)의 헤드를 가압하여, 샤프트(31)와 일체로 하강시키고 스프링(32)의 콘트라스트의 탄성력을 극복하게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샤프트(31) 상에 키이 결합된 기어(55)는 비틀림 스프링(57)과 맞물리고, 이 비틀림 스프링은 임펠러(43)에 의해 회전하게 설정된 샤프트, 및 비틀림 스프링을 웜 스크류(45)에 연결하는 감속 기어들의 열에 의해 실행되는 턴들(turns)의 수에 따라 부하를 받는다.
일단 기기 내에 물을 공급하는 단계가 완료되면, 기기는 본관으로부터의 물의 요청을 중지하고, 그에 따라 물의 유동이 정지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스프링(32)은 샤프트(31)를 상향으로 밀어서, 기어(55)가 비틀림 스프링(57)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되고 제 1 셔터(30)의 밀봉 링(38)이 하측 반몸체(3)쪽으로의 물의 통과를 위한 시트(35)를 폐쇄하게 한다.
이러한 사이클은 기기의 정기 작동의 경우에 반복되고; 대신에 기기가 고장난 경우, 또는 임의의 다른 이유 때문에, 디바이스(1)를 가로지르는 물의 유동이 사전설정된 안전 한계에 도달한 경우에, 기어(55)의 회전은 비틀림 스프링(57)의 저항을 극복하도록 하는 이러한 다수의 턴들을 완료하고, 이에 의해 밸브(50)의 셔터(51)를 작동시키는 나션형 스프링(59)을 기동(tripping)시킨다.
밸브(50)는 안전 디바이스(1)의 출구를 폐쇄하여, 그에 따라 통상 작동 상태가 회복될 때까지 물의 유출을 방지하며; 이러한 목적을 위해, 디바이스(1)는 스크류드라이버 등과 같은 공구의 팁으로 밸브(50)를 잠금 해제한 준비 상태가 된다.
방금 고려된 물 차단 기능에 부가하여, 디바이스(1)는 특히 상측 반몸체(4)에 장착된 인서트(10)를 통해 처리 기능을 또한 수행한다.
이러한 이중 기능은, 상기에서 고려된 경우에서와 같이, 처리 동작이 제어 및/또는 유동 제한기 수단, 즉 디바이스(1)의 하류에서의 기기의 오작동의 경우에 물의 유동을 차단하기 위한 수단의 상류 및/또는 그 근처에서 실행될 때, 시너지 효과를 발생시킨다.
상기에서 보다 충분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자기장들은 이온들, 염들 또는 다른 화합물들의 형태로 물에 존재하는 탄산칼슘 입자들과 상호작용하여, 기기로부터의 이후의 제거 또는 배출을 촉진하는 분리를 일으켜서, 스케일이나 퇴적물들을 형성할 수 있는 다른 요소들과의 결합 및/또는 침전을 회피하며; 또한, 처리 요소들에 의해 방출되는 항미생물 이온들은 미생물들의 군체들 또는 응집체들의 형성 및 생물학적 물질들 또는 "바이오필름들"의 퇴적을 방지할 수 있다.
유동을 차단 및/또는 제한하도록 제공된 수압 안전 디바이스(1)의 모든 기계적 구성요소들의 상류 또는 그 근처에 위치되는 상기 자성 코어 및/또는 항미생물 요소들과 같은 수처리 수단(21)은, 디퓨저들(40), 임펠러(43), 스크류들(45) 및 감속 기어들(46a-46d), 셔터들(30 및 51), 스프링들(32, 57 및 59), 구멍들(48)을 갖는 다이어프램(47), 및 물과 접촉하는 모든 다른 부품들의 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 상에의 석회석 또는 생물학적 물질들의 퇴적을 제거 및/또는 감소시키거나, 다른 방식으로 콘트라스트시킨다.
이것은 안전 디바이스(1)의 정기 작동을 저해할 수 있는 상기 표면들 상에의 스케일 및 퇴적물들의 형성을 방지하며: 그에 따라, 안전 디바이스는 심지어 장기간 동안에도 작동이 매우 효과적이고 신뢰성있게 된다.
안전 디바이스(1)는, 대신에 기기들에 제공된 일부 시스템들에서 일어나는 것과 같은 화학 물질들 또는 전력의 어떠한 추가도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간단한 방식으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스페인 출원 제 2 282 016 호의 설명 참조).
또한, 자성 코어(21)가 위치되는 용이하게 제거 가능한 인서트(10)를 갖는 디바이스의 선호하는 실시예는 디바이스(1)의 유지보수 및/또는 교체를 용이하게 하여, 그에 따라 디바이스를 신뢰성있고 규칙적인 성능을 갖게 한다.
장기적으로는 필터(19) 및/또는 사이공간(16) 및/또는 분배 챔버(18)가 막혀서 그에 따라 청소 또는 교체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되어야 하며; 이러한 목적을 위해, 디바이스의 몸체(2)로부터 인서트(10)를 풀어내고 새것으로 교체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안전 또는 범람-방지 기능을 수행하는 디바이스(1)의 부분과 관련하여, 본원에 구성된 구성은, 바람직하게는 디바이스에서의 물의 유동의 진행 방향을 따라 다른 부분의 상류 또는 그 근처에 위치되는, 처리 또는 항석회 또는 항미생물 기능과 관련된 부분과 시너지적으로 협동하기 때문에 유리하다.
다시 말해서, 유동을 제한하는 과제를 맡은 기계적 구성요소들의 상류 또는 그 근처에서 처리 또는 항석회 또는 항미생물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정기 작동을 저해할 수 있는 퇴적물들의 그러한 구성요소들 상에의 형성이 방지 및/또는 본질적으로 제한된다.
바람직하게는 항석회 및/또는 항미생물성이지만, 하기에서 보다 잘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다른 성질을 가질 수도 있는 수압 안전 디바이스의 수처리 수단은 그러면 장치 또는 기기에 공급되는 물의 전체 유동에 대해 작동하고: 사실상, 모든 물이 반드시 디바이스를 가로지르고, 그에 따라 처리된다는 것이 또한 강조되어야 한다.
대조적으로, 종래 기술에서, 정제들 또는 분말들 또는 다른 유사한 항석회 제품들은 기기 내부에 직접 분배되고, 따라서 물의 유동은 탱크 내에서 분산되고, 그에 따라 모든 물이 처리되지 않거나 균일하게 처리되지 않는 일이 일어날 수 있다.
다음에, 안전 디바이스(1)는 콤팩트하고 적은 부피를 갖는데, 이는 사실상 단순한 제어 또는 안전 또는 범람-방지 디바이스보다 약간 더 큰 동일한 디바이스(1) 및/또는 케이싱(2)에 처리 및 제어 또는 안전 기능들이 합체되기 때문이다.
산업 생산 비용들도 낮아지는데, 이는 이미 시중에서 입수 가능한 제어 및/또는 안전 디바이스들에 본 발명에 따른 부품들 중 일부만을 추가 및/또는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당연히, 지금까지 제공된 설명에 대한 본 발명의 변형예들이 가능하다.
본 교시 내에서 당업자가 몇 가지의 동등한 해결책들을 고안할 수 있다는 것은 쉽게 명백해지고; 예시로서, 샤프트(31) 및 감속기 기구를 갖는 셔터(30)뿐만 아니라 차단 밸브(50) 및 스프링들(57, 59)을 갖는 스냅 작동 시스템이 다른 구성 요소들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은 기계적 관점과는 별도로, 본 발명의 디바이스의 다른 변형예들은 그것의 항석회 및/또는 항미생물 기능들과 관련하여 가능하며; 이들 중 하나가 도 12에 도시되어 있고, 여기서 이전에 이미 나타낸 것과 구조적으로 또는 기능적으로 동등한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들로 지시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경우에 수처리 수단은, 인서트(10)에 수용된 항석회 및/또는 항미생물 수단(21)에 부가하여, 디바이스(1)에서 유동을 제한 및 제어하도록 의도된 기구들에 위치되는 다른 처리 또는 항석회 및/또는 항미생물 요소들(24, 25)을 또한 포함하며; 도 12의 비제한적인 예에서, 처리 요소들(24 및 25) 모두는 자성 항석회 요소들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처리 요소들(24, 25) 중 적어도 하나는 항미생물 유형일 수 있거나, 항석회 요소(24) 및 항미생물 요소(25)가 제공될 수 있거나, 상기 항석회 및/또는 항미생물 기능들을 갖는 추가적인 처리 요소들(도시되지 않음)이 몸체(2)에 제공될 수 있다.
도 1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처리 요소들은 감속기 기어(46)에서 상측 반몸체(4)의 내부에 적용되는 요소(25)의 경우에서와 같이 디바이스(1)의 몸체(2) 내에 수용될 수 있거나, 밸브(5) 및 셔터(51)의 높이에서 하측 반몸체(3) 상에 적용되는 요소(24)의 경우에서와 같이 디바이스(1)의 몸체(2)의 외부에 수용될 수 있다.
자성 항석회 요소들(24, 25)은 원환형 형상(toroidal shape), 즉 자성 재료(예를 들면, 페라이트, 마그네타이트(magnetite))로 제조된 단일 링으로 이루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거나, 반몸체들(3 및 4)의 둘레부를 따라 서로 근접하게 위치된 복수의 개별 자석들로 제조될 수 있다.
실시예와 관계없이, 처리 요소들(24, 25)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디바이스의 몸체(2) 또는 반몸체들(3, 4)에 적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수지들 또는 다른 적절한 방수 접착제들로의 접착뿐만 아니라, 성형 및 오버몰딩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자석들(24 및 25)의 극성들은 구성요소들(감속기(46), 밸브(50), 셔터(51) 등)을 향한 자속선들의 진행을 촉진하여 이들 상에의 석회석 퇴적물들의 형성을 방지하도록 하는 이러한 방식으로 선택된다(도 12에서, 자속선들이 보임).
본 발명의 이러한 변형예는 유리하게는 인서트(10)에의 항미생물 요소들(21a, 21b, 21c)의 사용과 조합되는데 도움이 되며; 반몸체들(3 및 4)에 자성 항석회 요소들(24, 25)을 적용함으로써, 인서트(10)의 케이싱(11) 내의 공간이 항미생물, 여과, 살균 기능 등과 같은 다른 기능들에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면, 이것은 시너지 효과를 일으킬 수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디바이스가 유동 및/또는 물의 양의 제어기 및/또는 제한기로서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그 내부의 기계적 구성요소들 상에의 퇴적물 또는 석회석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기, 가열, 관개 또는 다른 시스템인 경우에, 결합되는 사용자 장치로 보내지는 물을 살균하거나, 정화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수질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디바이스(1)의 다른 독자적인 발명 양태에 따르면, 이 디바이스는, 유동 제어 및/또는 범람-방지 안전 기능에 부가하여, 적어도 기기에 대한 또 다른 유용한 기능, 예를 들어 시간 경과에 따라 활성 물질들(예를 들면, 소독제들)을 방출하는 활성탄 필터들 또는 정제들과 같은 수단으로 물을 소독 또는 탈염하는(demineralising) 기능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자성 코어(21) 대신에 및/또는 이와 조합하여, 염소, 요오드 및 이들의 화합물들과 같이 미생물들로부터 물을 소독할 수 있는 물질들을 방출하는 정제들, 분말들 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항석회 및/또는 항미생물 기능을 또한 수행할 수 있는 활성탄으로 물을 여과하는 것에 대해서도 유사한 고려들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자성 코어(21) 대신에, 또는 그와 조합하여, 활성탄들의 정제들, 과립들 또는 입자들이 제공될 수 있고: 그러면, 물은 사이공간(16) 내로 흘러나오게 되는 것이 아니라, 그러면 분배 챔버(18)와 연통하는 부싱(15) 내로 흘러나오게 될 것이다.
이들 모든 응용들에 있어서, 인서트(10)의 존재가 유리한데, 이는 거기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자성 요소들(21a-21c) 대신에 및/또는 이들의 하나 또는 그 초과와 조합하여, 처리 정제(분명하게는, 적절한 치수들을 가짐) 또는 활성탄을 갖는 여과 카트리지와 같은 상이한 처리 요소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라는 것은 이해하기 쉽다.
본 발명의 변형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르면, 중공형 부분(15)은 도면들에 도시된 것에 대하여 변형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그 내부에 존재하는 정제들 및/또는 카트리지들이 사이공간(16)을 통과하는 물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중공형 부분(15)의 벽은 전술한 바와 같이 분리된 섹터들 또는 리브들로 구성될 수 있거나, 중공형 부분에 수용된 정제들 또는 카트리지들과 물이 접촉하게 할 수 있는 구멍들 또는 개구들(분명하게는, 적절한 치수들 및/또는 수를 가짐)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과 관계없이, 바람직하게는 중공형 부분(15)이 제공된 케이싱(11)을 갖는 인서트(10)가 자성, 정제들 또는 여과 카트리지들 또는 항미생물 요소들인 수처리 요소들을 수용하여, 특히 물, 및 물 내에 분산된 물질들 또는 입자들로 인한 침식 및/또는 부식에 대해 그들을 보호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독자적인 발명 양태에 따르면, 제어 또는 안전 디바이스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자성 또는 항미생물 재료로 제조되거나 성형된 요소들 또는 부품들을 포함하고; 특히, 제 1 셔터(30), 스프링(32, 57, 59), 샤프트(31), 유동 전환기(33), 디퓨저(40), 임펠러(43), 웜 스크류(45), 기어들(46, 55), 다이어프램(47), 출구 밸브(50) 및/또는 셔터(51), 피니언(55), 와셔(60) 중 적어도 하나는 항석회 또는 항미생물 처리 요소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원에 설명된 이러한 모든 변형예들 및/또는 특징들은 하기의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Claims (15)

  1. 수압 장치들 또는 시스템들을 위한, 제어 또는 안전 디바이스로서,
    입구 또는 입구 피팅부(12)와 출구 또는 출구 피팅부(7) 사이에서 연장되는 물 경로가 내부에 있는 몸체 또는 케이싱(2), 상기 입구(12)와 상기 출구(7) 사이에 배치되고, 특히 장치의 고장의 경우에, 또는 사전설정된 양의 물이 공급된 경우에 물 유동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물 제어 및/또는 차단 수단(30-61)을 포함하고,
    상기 물 경로를 따라 활성인 수처리 수단(10-21; 24, 25)을 포함하는
    제어 또는 안전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 수단(10-21; 24, 25)은 항석회 및/또는 항미생물 유형이고, 바람직하게는 자성 유형의 항석회 처리 수단(21; 24, 25), 및/또는 이온들 및/또는 이온 물질들이 상기 물 유동 내로 방출되는 유형의 항미생물 처리 수단(21a, 21b, 21c)인,
    제어 또는 안전 디바이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 수단(10-21)의 적어도 일부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2)와 결합 가능하고 및/또는 상기 몸체(2)로부터 제거 가능하거나, 상기 물 입구(12)에서 상기 몸체(2)에 적용되는 인서트(10) 내에 수용되는,
    제어 또는 안전 디바이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 수단(10-21; 24, 25)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몸체(2), 및/또는 상기 물 제어 및/또는 차단 수단(30-61)의 일부와 결합 및/또는 통합되는,
    제어 또는 안전 디바이스.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10-21; 24, 25)의 적어도 일부는 성형되고, 특히 강자성 충전물 및/또는 항미생물 충전물과 같은 충전물로 충전된 중합체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제어 또는 안전 디바이스.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 수단(10-21; 24, 25)은 상기 물 제어 및/또는 차단 수단(30-61)의 상류에 및/또는 그와 연결되어 배치되는,
    제어 또는 안전 디바이스.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21, 21a, 21b, 21c)을 수용하기 위한 시트 또는 중공형 부분(15)을 한정하도록 구성된 인서트(10), 및 물이 유동하는 상기 중공형 부분(15)에 근접하게, 또는 그 주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특히 상기 물 제어 및/또는 차단 수단(30-61)을 향한 통과 시트(35)와 유체 연통하여 배치되는 사이공간(1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또는 안전 디바이스.
  8. 제 3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10)는 상기 사이공간(16) 내로 및/또는 상기 물 차단 수단(30-61)을 향해 실질적으로 균일한 방식으로 상기 물 유동을 분배하기 위한 분배 챔버 또는 공동(18) 및/또는 구멍들 또는 개구들(20)을 포함하는,
    제어 또는 안전 디바이스.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공간(16)은 상기 처리 수단(21, 21a, 21b, 21c)에서 실질적으로 층류 또는 보다 얇은 유동을 결정하는,
    제어 또는 안전 디바이스.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10-21)은 바람직하게는 자성 또는 항석회 처리 요소들 및 항미생물 처리 요소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처리 요소들(21a, 21b, 21c)을 포함하는 활성 코어(21)를 포함하는,
    제어 또는 안전 디바이스.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또는 몸체(2), 또는 그것의 일부는, 바람직하게는 인서트(10) 내에 또는 덕트(18) 내측에 제공된 자성 처리 코어 또는 수단(21)과 협동하여, 특히 사전지정된 물 통과 영역들에 자속을 집중시키는 자성 또는 강자성 재료를 포함하거나 그와 결합되는,
    제어 또는 안전 디바이스.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 수단은 소독제, 여과 등의 물질들을 포함하는 정제들 및/또는 카트리지들을 포함하는,
    제어 또는 안전 디바이스.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처리 수단(10-21)을 수용하기 위한 인서트(10)를 포함하며, 상기 인서트에는 꼭지 및/또는 파이프 및/또는 수도 본관에 연결하기 위한 피팅 수단(12)이 제공되고, 상기 인서트(10)는 상기 몸체(2)에 결합되고, 상기 인서트(10) 및 상기 몸체(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파이프 및/또는 꼭지 및/또는 수도 본관에 상기 디바이스(1)를 결합할 목적으로, 체결 공구를 위한 맞물림 수단(6, 13)이 제공되는,
    제어 또는 안전 디바이스.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 수단(21, 21a, 21b, 21c)은, 물의 사전설정된 양이 도달된 경우에 및/또는 고장 상태들에서 상기 물 유동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상기 제어 또는 차단 수단(30-61)의 근처에, 및/또는 물 유동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어 또는 차단 수단(30-61)의 상류에 배치되는,
    제어 또는 안전 디바이스.
  15. 입구(8)와 출구(7) 사이에서 연장되는 물 경로가 내부에 있는 몸체(2)를 포함하는, 수압 장치들 또는 시스템들을 위한 제어 및/또는 처리 디바이스(1)로서,
    - 상기 입구(8)와 상기 출구(7) 사이에 배치된 물 제어 또는 차단 수단(30-61),
    - 항석회 처리 수단(10-21),
    - 항미생물 처리 수단(21a, 21b, 21c),
    - 특히 처리 물질들로 충전된 중합체 또는 열가소성 재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조된 처리 수단(10-21),
    - 성형된 처리 수단(10-21),
    - 몸체(2) 또는 인서트(10)와 결합되거나 그에 통합되는 처리 수단,
    - 영구 자석들, 강자성 재료들, 페라이트, 희토류들, 네오디뮴-철-붕소, 플라스토페라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항석회 처리 수단,
    - Ag+ 이온들을 방출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은계 물질 또는 충전물을 포함하거나, 또는 단백질들 또는 나노재료들 또는 구리 합금들을 포함하는 항미생물 처리 수단,
    - 자성 유형의 항석회 수처리 수단(21; 24, 25), 이온들 및/또는 이온 물질들을 물 유동 내로 방출하는 유형의 항미생물 수처리 수단(21a, 21b, 21c),
    - 물의 적어도 일부가 실질적으로 층류 방식으로 유동하는 사이공간(16),
    - 본원에 설명되고 및/또는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특징부들 중 적어도 하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성체를 포함하는,
    제어 및/또는 처리 디바이스(1).
KR1020187009856A 2015-09-10 2016-08-25 특히 수압 장치들 또는 시스템들을 위한 수압 제어 및 처리 디바이스 KR201800490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UB2015A003522A ITUB20153522A1 (it) 2015-09-10 2015-09-10 Dispositivo idraulico di controllo e trattamento, particolarmente per apparati o impianti idraulici
IT102015000050505 2015-09-10
PCT/IB2016/055074 WO2017042656A1 (en) 2015-09-10 2016-08-25 Hydraulic control and treatment device, particularly for hydraulic apparatuses or system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9063A true KR20180049063A (ko) 2018-05-10

Family

ID=54843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9856A KR20180049063A (ko) 2015-09-10 2016-08-25 특히 수압 장치들 또는 시스템들을 위한 수압 제어 및 처리 디바이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981804B2 (ko)
EP (1) EP3347520A1 (ko)
KR (1) KR20180049063A (ko)
CN (1) CN108138427B (ko)
BR (1) BR112018004571B1 (ko)
IT (1) ITUB20153522A1 (ko)
MX (1) MX2018002768A (ko)
WO (1) WO201704265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0012A (ko) * 2019-09-09 2021-03-17 최병철 음용수용 전극살균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700112681A1 (it) * 2017-10-06 2019-04-06 Eltek Spa Dispositivo di controllo idraulico per apparecchi e sistemi a conduzione di liquido
KR102033307B1 (ko) * 2019-07-03 2019-10-17 김원용 농약 분무 노즐용 손상 방지구조
WO2022238920A1 (en) * 2021-05-12 2022-11-17 Pavanello S.R.L. Improved safety valve assembly for water inlet hoses of washing machines and dishwashers
IT202100012146A1 (it) * 2021-05-12 2022-11-12 Pavanello Srl Gruppo valvola di sicurezza perfezionato, per il tubo di carico dell’acqua di lavatrici e lavastoviglie
USD1020986S1 (en) * 2022-05-18 2024-04-02 Paul DEL PIERO Filter element for high-pressure sprayer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09685A (en) * 1955-05-12 1959-03-04 Gen Electric Improvements relating to water demineralizing units particularly for domestic supplysystems
IT1057643B (it) * 1976-02-27 1982-03-30 Libero Elettrotecnica Dispositivo di sicurezza per il controllo del circuito idrico di macchine lavatrici in genere
US5178757A (en) * 1990-06-29 1993-01-12 Mag-Well, Inc. Magnetic, fluid-conditioning tools
DE19857730A1 (de) * 1997-12-11 1999-07-29 Manfred Fulsche Wasser-Konditionierungs-Gerät zur Modifizierung der Kalk-Ausfällung
ATE273243T1 (de) * 2000-03-15 2004-08-15 Markus Egger Verfahren zur behandlung eines kalkhaltigen fluids und fluidbehandlungsvorrichtung
DE10100163A1 (de) * 2001-01-04 2002-07-18 Profectis Gmbh Tech Kundendien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ntkalken von Haushaltsgeräten
KR100720365B1 (ko) * 2002-08-08 2007-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ITTO20040235A1 (it) * 2004-04-15 2004-07-15 Elbi Int Spa Dispositivo elettrovalvolare di sicurezza, particolarmente per una macchina lavatrice
JP4591286B2 (ja) * 2005-09-06 2010-12-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US7874467B2 (en) * 2005-11-03 2011-01-25 Reseal International Limited Partnership Metered drop push button dispenser system
JP2010042386A (ja) * 2007-09-11 2010-02-25 Sanyo Electric Co Ltd 電解処理装置
CN202401521U (zh) * 2011-12-30 2012-08-29 孙海玲 带有持压功能的流量控制器
JP6076614B2 (ja) * 2012-04-27 2017-02-08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洗浄機器用の濾過装置
CN104150583B (zh) * 2014-08-20 2016-04-27 智慧城市系统服务(中国)有限公司 污水预处理装置和使用该装置的污水净化系统
US10618828B2 (en) * 2014-10-25 2020-04-14 Akwamag, Pbc Magnetic scale reducing and inhibiting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0012A (ko) * 2019-09-09 2021-03-17 최병철 음용수용 전극살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8004571A2 (pt) 2018-09-25
CN108138427A (zh) 2018-06-08
US10981804B2 (en) 2021-04-20
CN108138427B (zh) 2021-09-10
WO2017042656A1 (en) 2017-03-16
ITUB20153522A1 (it) 2017-03-10
BR112018004571B1 (pt) 2022-06-21
US20180273399A1 (en) 2018-09-27
MX2018002768A (es) 2018-04-13
EP3347520A1 (en) 2018-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49063A (ko) 특히 수압 장치들 또는 시스템들을 위한 수압 제어 및 처리 디바이스
US6872303B2 (en) Water treatment cartridge
US9090493B2 (en) Electrochemical ion exchange treatment of fluids
US20170120311A1 (en) Portable apparatus for cleaning potable water devices
KR102639274B1 (ko) 자가 관리형 정수기
US20170036928A1 (en) Methods of Inhibiting Fouling in Liquid Systems
US9776899B2 (en) Full contact UV water purification system
AU2019211004B2 (en) Device for purifying drinking water
EP2742002B1 (en) Plant for desalinating water of a water supply system and method for desalinating water of a water supply system by means of said plant
WO201914004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leaning water filtration systems
CN109965707B (zh) 一种具有消毒功能的储水式饮水机及其消毒方法
CN209740841U (zh) 一种农村安全饮水单户净水机
JP2009045609A (ja) 発電殺菌装置
JP2021088372A (ja) 高衛生要件用飲料ディスペンサ
CN107840549A (zh) 一种鸭舍水净化系统
ITPR20060058A1 (it) Contenitore per la filtrazione e sterilizzazione di acqua potabile.
WO2019068217A1 (zh) 一种家用物理活化抑菌易洁制水器
CA2665355A1 (en) Water purification system
ITMI20101812A1 (it) Dispositivo per il trattamento dell'acqua, particolarmente per uso domestc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