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2407B1 - 통과게이지를 이용한 슬리브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통과게이지를 이용한 슬리브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2407B1
KR102432407B1 KR1020220036983A KR20220036983A KR102432407B1 KR 102432407 B1 KR102432407 B1 KR 102432407B1 KR 1020220036983 A KR1020220036983 A KR 1020220036983A KR 20220036983 A KR20220036983 A KR 20220036983A KR 102432407 B1 KR102432407 B1 KR 102432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unit
inspection
inner diameter
insp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6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만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아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아정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아정공
Priority to KR1020220036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24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1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di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16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distance of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18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dep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2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e.g. determining profi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통과게이지를 이용한 슬리브 검사장치는,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며 슬리브의 일부분을 검사하도록 지지하는 다수 스테이지와, 상기 다수 스테이지 사이를 왕복 운동하여 슬리브를 이송하는 이재유닛과, 외부에서 공급받은 슬리브를 회전시키면서 요철을 감지하여 모델별 품번을 구분하는 품번확인유닛과, 상기 품번확인유닛에서 품번이 확인된 슬리브 외면에 형성된 불규칙 가공부를 검사하는 키홈검사유닛과, 상기 키홈검사유닛에서 불규칙 가공부를 검사한 슬리브의 외경치수를 검사하는 외경검사유닛과, 상기 외경검사유닛에서 외경치수를 검사한 슬리브에 통과게이지를 삽입하여 내경을 검사하는 내경검사유닛과, 상기 내경검사유닛에서 내경검사를 완료한 슬리브를 취출하는 취출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통과게이지를 이용한 슬리브 검사장치{Sleeve inspection device using go-gauge}
본 발명은 통과게이지를 이용한 슬리브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모델별로 상이한 치수를 감별하여 이에 따른 치수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한 통과게이지를 이용한 슬리브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슬리브의 상이한 부위를 검사하는 검사스테이지를 다수 구비하고 다수 검사스테이지 사이에 슬리브를 이송하기 위한 이재유닛을 구비하여 검사속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한 통과게이지를 이용한 슬리브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다양한 내경을 가져 단차진 슬리브에 대하여 반전유닛을 적용하여 양측의 내경 검사가 가능하도록 한 통과게이지를 이용한 슬리브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파괴 검사는 기계나 장치와 같은 피검체의 일부를 철거하거나 손상을 주지 않고 행하는 검사로서, 방사선, 초음파, 와전류 등이 사용된다.
특히 속이 비어있고 가늘고 긴 관 형태의 피검체는 외부에서의 검사가 불가능하여 내외부를 통합하여 검사할 수 있는 검사장치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15628호에는 도 1과 같이 피검체(S) 내부로 진입하여 피검체(S)에 초음파를 방사하고 결함부위에서 반사되는 반사파를 수신하여 피검체(S)의 결함을 검사할 수 있도록 한 초음파를 이용한 피검체 결함 검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38872호에는 도 2와 같이 기계적 장치를 이용하여 대형의 파이프의 외경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대구경 파이프 외경 측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기술은 내부와 외부가 복잡한 형상을 가지는 도 3과 같은 구조의 슬리브에는 적용이 불가하다.
즉,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통과게이지를 이용한 슬리브 검사장치에 대한 피검체인 슬리브의 실물사진으로서, 슬리브는 회전축 등을 둘러싸도록 축 외주에 끼워서 사용되는 부품을 말하며, 현재는 자동차 산업 등을 비롯한 여러 기계산업 분야에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슬리브는 용도에 따라 각각 형상이 다르기는 하지만 대게는 중공 구조의 원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조된 슬리브의 불량요부를 검사하기 위해서는 슬리브의 외경과 내경의 칫후가 정확한지 여부를 필수적으로 확인하여야 하며, 슬리브에 홀 또는 홈이 가공된 경우에는 이들 형상에 대한 검사도 아울러 수행하여야 한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기술을 이용하게 되면 도 3과 같이 복잡한 형상의 슬리브(10)에 대한 정확한 검사가 불가하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32773호에는 도 4와 같이 자동차의 허브 베어링에 사용되는 슬리브를 자동으로 검사 및 적재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허브 베어링용 슬리브의 검사 및 적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6022호에는 도 5와 같이 슬리브 검사를 위해 수행되는 전 공정을 자동화하여 슬리브의 검사에 필요한 공정의 작업에 사람이 투입될 필요가 없도록 한 슬리브 검사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 4 및 도 5에 개시된 기술은 동일한 슬리브에 대하여 다양한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다양한 형태의 슬리브에 적용하지 못하고 특정 모델에 대해서만 검사가 가능한 전용기로 사용되어 활용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슬리브 마다 장치를 제조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투자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모델별로 상이한 치수를 감별하여 이에 따른 치수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한 통과게이지를 이용한 슬리브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리브의 상이한 부위를 검사하는 검사스테이지를 다수 구비하고 다수 검사스테이지 사이에 슬리브를 이송하기 위한 이재유닛을 구비하여 검사속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한 통과게이지를 이용한 슬리브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부에 다양한 내경을 가져 단차진 슬리브에 대하여 반전유닛을 적용하여 양측의 내경 검사가 가능하도록 한 통과게이지를 이용한 슬리브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통과게이지를 이용한 슬리브 검사장치는,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며 슬리브의 일부분을 검사하도록 지지하는 다수 스테이지와, 상기 다수 스테이지 사이를 왕복 운동하여 슬리브를 이송하는 이재유닛과, 외부에서 공급받은 슬리브를 회전시키면서 요철을 감지하여 모델별 품번을 구분하는 품번확인유닛과, 상기 품번확인유닛에서 품번이 확인된 슬리브 외면에 형성된 불규칙 가공부를 검사하는 키홈검사유닛과, 상기 키홈검사유닛에서 불규칙 가공부를 검사한 슬리브의 외경치수를 검사하는 외경검사유닛과, 상기 외경검사유닛에서 외경치수를 검사한 슬리브에 통과게이지를 삽입하여 내경을 검사하는 내경검사유닛과, 상기 내경검사유닛에서 내경검사를 완료한 슬리브를 취출하는 취출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품번확인유닛은, 회전하는 슬리브의 외면에 적외선을 조사하여 모델별 치수를 감별하는 감지센서와, 슬리브에 형성된 홀에 핀을 삽입하여 삽입 여부로 모델별 품번을 구분하는 핀삽입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경검사유닛과 내경검사유닛에는, 스테이지에 안착된 슬리브를 직선 방향으로 이송하여 검사영역으로 안내하는 전후이송유닛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후이송유닛 일측에는, 상기 내경검사유닛과 연동하여 슬리브의 내부 양측을 검사할 수 있도록 회전시키는 반전유닛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취출유닛은, 상기 키홈검사유닛과 외경검사유닛 및 내경검사유닛에서 검출된 불량 여부에 따라 양품보관부 또는 불량보관부로 슬리브를 구분하여 적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델별로 상이한 치수를 감별하는 품번확인유닛이 구비된다.
따라서 1대의 장치로 다양한 모델에 대하여 검사가 가능하므로 사용편의성 및 작업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슬리브의 상이한 부위를 검사하는 검사스테이지를 다수 구비하고 다수 검사스테이지 사이에 슬리브를 이송하기 위한 이재유닛을 구비하여 완전 자동화가 가능하므로 검사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내부에 다양한 내경을 가져 단차진 슬리브에 대하여 반전유닛을 적용하여 양측의 내경 검사가 가능하며, 모델별로 상이한 내경이 적용되어 있더라도 내경검사유닛으로 모두 검사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 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15628호에 개시된 초음파를 이용한 피검체 결함 검사장치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 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38872호에 개시된 대구경 파이프 외경 측정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통과게이지를 이용한 슬리브 검사장치에 대한 피검체인 슬리브의 실물 사진.
도 4 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32773호에 개시된 자동차 허브 베어링용 슬리브의 검사 및 적재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5 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6022호에 개시된 슬리브 검사 시스템을 나타낸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통과게이지를 이용한 슬리브 검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통과게이지를 이용한 슬리브 검사장치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통과게이지를 이용한 슬리브 검사장치의 구성을 보인 정면사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통과게이지를 이용한 슬리브 검사장치에서 일 구성인 품번확인유닛의 구성을 보인 실물 사진.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통과게이지를 이용한 슬리브 검사장치에서 일 구성인 품번확인유닛 및 제1검사유닛의 구성을 보인 전면 실물 사진.
도 11 은 본 발명에 의한 통과게이지를 이용한 슬리브 검사장치에서 일 구성인 품번확인유닛 및 제1검사유닛의 구성을 보인 후면 실물 사진.
도 12 는 본 발명에 의한 통과게이지를 이용한 슬리브 검사장치에서 일 구성인 외경검사유닛의 구성을 보인 후면 실물 사진.
도 13 은 본 발명에 의한 통과게이지를 이용한 슬리브 검사장치에서 일 구성인 내경검사유닛의 구성을 보인 후면 실물 사진.
이하 첨부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통과게이지를 이용한 슬리브 검사장치(이하 '슬리브 검사장치(100)'라 칭함)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통과게이지를 이용한 슬리브 검사장치(100)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통과게이지를 이용한 슬리브 검사장치(100)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우선 도 6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슬리브 검사장치(100)는 프레임(102)에 의해 세로로 긴 직육면체 형태를 가지며, 투시 가능한 판재로 전면에 막혀있어 외부의 이물 유입이 차단된 상태로 슬리브(S)의 검사가 가능하다.
상기 슬리브 검사장치(100)의 좌측에는 검사가 필요한 다수의 슬리브(S)를 적재하여 보관하는 보관유닛(110)이 구비되며, 상기 슬리브 검사장치(100) 내부에는 이재유닛(12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재유닛(120)은 다수의 파지부(122)를 구비하여 좌/우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함으로써 상기 보관유닛(110)에 보관되어 있는 슬리브(S)를 슬리브 검사장치(100) 내부로 이송하게 되며, 슬리브 검사장치(100)에는 등간격으로 스테이지(104)가 이격 배치되어 있어, 슬리브(S)를 순차적으로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다양한 검사를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슬리브 검사장치(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 8에는 본 발명에 의한 통과게이지를 이용한 슬리브 검사장치(100)의 구성을 보인 정면사진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상기 슬리브 검사장치(100)는,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며 슬리브(S)의 일부분을 검사하도록 지지하는 다수 스테이지(104)와, 상기 다수 스테이지(104) 사이를 왕복 운동하여 슬리브(S)를 이송하는 이재유닛(120)과, 외부에서 공급받은 슬리브(S)를 회전시키면서 요철을 감지하여 모델별 품번을 구분하는 품번확인유닛(130)과, 상기 품번확인유닛(130)에서 품번이 확인된 슬리브(S) 외면에 형성된 불규칙 가공부를 검사하는 키홈검사유닛(140)과, 상기 키홈검사유닛(140)에서 불규칙 가공부를 검사한 슬리브(S)의 외경치수를 검사하는 외경검사유닛(150)과, 상기 외경검사유닛(150)에서 외경치수를 검사한 슬리브(S)에 통과게이지를 삽입하여 내경을 검사하는 내경검사유닛(160)과, 상기 내경검사유닛(160)에서 내경검사를 완료한 슬리브(S)를 취출하는 취출유닛(1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재유닛(120)은 5개의 파지부(122)를 구비하며, 상기 파지부(122)는 하나의 홀더(124)에 상부가 결합되어 일체로 좌/우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파지부(122)는 실린더의 작용으로 상/하 방향으로 승강도 가능하며 도 8과 같이 슬리브(S)를 파지하여 옮기고 스테이지(104)에 안착시킬 수 있다.
상기 슬리브 검사장치(100)의 좌측부에는 품번확인유닛(130)이 배치된다. 상기 품번확인유닛(130)은 각 부의 치수에 차이가 있는 다수 모델별 치수를 감별하여 어떤 모델인지를 확정함으로써 키홈검사유닛(140)과 외경검사유닛(150) 및 내경검사유닛(160)이 각 부를 검사시에 모델별로 대응하는 치수를 검사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품번확인유닛(130) 우측에는 키홈검사유닛(140)이 구비된다. 상기 키홈검사유닛(140)은 슬리브(S)의 외면에 함몰 형성된 키홈의 폭과 깊이를 검사하는 구성이다.
상기 키홈검사유닛(140) 우측에는 외경검사유닛(150)이 구비된다. 상기 외경검사유닛(150)은 파지부(122)에 의해 옮겨진 슬리브(S)를 하측 방향으로 놓았을 때 스테이지(104)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는지 여부로 불량 판정을 실시하게 된다.
상기 외경검사유닛(150) 우측에는 내경검사유닛(160)이 구비된다. 상기 내경검사유닛(160)은 슬리브(S)의 내부에 형성된 홀의 내경과 깊이 등을 검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슬리브(S)의 내부에는 개구된 상/하 방향으로 상이한 내경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경검사유닛(160) 일측에는 슬리브(S)를 반전시켜 양측의 내경을 모두 검사할 수 있도록 한 반전유닛(180)이 구비되며, 상기 반전유닛(180)은 아래에서 설명하게 될 전후이송유닛(도 12의 도면부호 190 참조)에 설치된다.
상기 슬리브 검사장치(100)의 전반부에는 양품보관부(106)와 불량보관부(108)가 구비된다.
상기 불량보관부(108)는 상기 스테이지(104)를 거치면서 불량으로 판별된 슬리브(S)를 보관하는 공간이고, 상기 양품보관부(106)는 불량이 없는 양품의 슬리브(S)를 보관하는 공간이다.
상기 불량보관부(108)와 양품보관부(106)는 취출유닛(170)에 의해 선택적으로 슬리브(S)가 적재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취출유닛(170)은 내경검사유닛(160)에서 내경검사가 완료된 슬리브(S)를 파지하여 양품보관부(106) 또는 불량보관부(108)로 옮겨지게 된다.
이하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품번확인유닛(130) 및 키홈검사유닛(14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도 9에는 본 발명에 의한 통과게이지를 이용한 슬리브 검사장치(100)에서 일 구성인 품번확인유닛(130)의 구성을 보인 실물 사진이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본 발명에 의한 통과게이지를 이용한 슬리브 검사장치(100)에서 일 구성인 품번확인유닛(130) 및 제1검사유닛의 구성을 보인 전면 실물 사진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1에는 본 발명에 의한 통과게이지를 이용한 슬리브 검사장치(100)에서 일 구성인 품번확인유닛(130) 및 제1검사유닛의 구성을 보인 후면 실물 사진이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9와 같이 상기 품번확인유닛(130)은 다수의 감지센서(132)와 핀삽입구(1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감지센서(132)는 회전하는 슬리브(S)의 외면에 적외선을 조사하여 모델별 치수를 감별하는 구성으로,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슬리브(S)의 상측 및 측면에 각각 적외선을 조사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슬리브(S)는 제자리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슬리브(S)가 회전하는 상태에서 상기 감지센서(132)는 적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슬리브(S)의 단부 형상 및 외형 특징을 통해 품번을 감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핀삽입구(134)는 슬리브(S)가 정지한 상태에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슬리브(S) 외면에 천공된 홀에 삽입됨으로써 모델 종류를 구분하도록 작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 키홈검사유닛(140)은 실린더 외면 상부에 형성된 키홈의 폭과 깊이 등을 측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키홈검사유닛(140)의 도 11과 같이 슬리브(S) 방향으로 전진하여 키홈의 치수를 측정하는 키홈측정구(142)가 배치된다.
이하 첨부된 도 12를 참조하여 외경검사유닛(15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도 12에는 본 발명에 의한 통과게이지를 이용한 슬리브 검사장치(100)에서 일 구성인 외경검사유닛(150)의 구성을 보인 후면 실물 사진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상기 외경검사유닛(150)은 슬리브(S)가 안착되는 스테이지(104) 중앙부에 삽입홀(192)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스테이지(104) 하측에는 지지구(194)가 구비된다.
상기 삽입홀(192)은 슬리브(S)의 외경 치수 공차를 반영한 내경이 천공되며, 상기 지지구(194)는 상/하 방향으로 신축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구(194)의 상단부 외경은 삽입홀(192)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구(194)가 신장하게 되면, 지지구(194)의 상단부는 삽입홀(192)을 관통하여 스테이지(104) 상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슬리브(S)의 내부에 삽입되어 슬리브(S)가 쓰러지지 않고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이후 상기 지지구(194)의 길이가 축소되면 상기 슬리브(S)의 외경 치수가 양품인 경우 하측 방향으로 낙하하며, 외경 치수에 불량인 경우 삽입홀(192)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여 불량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 13을 참조하여 내경검사유닛(16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도 13에는 본 발명에 의한 통과게이지를 이용한 슬리브 검사장치(100)에서 일 구성인 내경검사유닛(160)의 구성을 보인 후면 실물 사진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상기 내경검사유닛(160)의 스테이지(104)에는 한 쌍의 안착대(162)가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안착대(162) 중앙부에는 슬리브(S)의 양단부 형상 및 외경과 대응하는 홈이 함몰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대(162) 좌측에는 반전유닛(180)이 배치된다.
상기 반전유닛(180)은 스테이지(104) 전/후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는 전후운동부(182)와, 상기 전후운동부(182) 상부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운동하는 승강부(184)와, 상기 승강부(184)의 우측부에 결합하여 회전하고, 반전파지부(185)를 구비한 반전운동부(18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슬리브(S)는 반전유닛(180)에 의해 전방에 위치한 안착대(162)와 후방에 안착대(162)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반전되어 직립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테이지(104) 하측에는 통과게이지(188)가 구비된다. 상기 통과게이지(188)는 상/하 방향으로 승강하며, 외경은 슬리브(S)의 내경 치수가 불량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외경 치수를 갖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통과게이지(188)는 슬리브(S) 양단부 내측의 내경 치수가 상이할 수 있으므로, 다수로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슬리브 검사장치 102. 프레임
104. 스테이지 106. 양품보관부
108. 불량보관부 110. 보관유닛
120. 이재유닛 122. 파지부
130. 품번확인유닛 132. 감지센서
134. 핀삽입구 140. 키홈검사유닛
142. 키홈측정구 150. 외경검사유닛
160. 내경검사유닛 162. 안착대
170. 취출유닛 180. 반전유닛
182. 전후운동부 184. 승강부
185. 반전파지부 186. 반전운동부
188. 통과게이지 190. 전후이송유닛
192. 삽입홀 194. 지지구
S . 슬리브

Claims (5)

  1. 삭제
  2.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며 슬리브의 일부분을 검사하도록 지지하는 다수 스테이지와,
    상기 다수 스테이지 사이를 왕복 운동하여 슬리브를 이송하는 이재유닛과,
    외부에서 공급받은 슬리브를 회전시키면서 요철을 감지하여 모델별 품번을 구분하는 품번확인유닛과,
    상기 품번확인유닛에서 품번이 확인된 슬리브 외면에 형성된 불규칙 가공부를 검사하는 키홈검사유닛과,
    상기 키홈검사유닛에서 불규칙 가공부를 검사한 슬리브의 외경치수를 검사하는 외경검사유닛과,
    상기 외경검사유닛에서 외경치수를 검사한 슬리브에 통과게이지를 삽입하여 내경을 검사하는 내경검사유닛과,
    상기 내경검사유닛에서 내경검사를 완료한 슬리브를 취출하는 취출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품번확인유닛은,
    회전하는 슬리브의 외면에 적외선을 조사하여 모델별 치수를 감별하는 감지센서와,
    슬리브에 형성된 홀에 핀을 삽입하여 삽입 여부로 모델별 품번을 구분하는 핀삽입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과게이지를 이용한 슬리브 검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경검사유닛과 내경검사유닛에는,
    스테이지에 안착된 슬리브를 직선 방향으로 이송하여 검사영역으로 안내하는 전후이송유닛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과게이지를 이용한 슬리브 검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이송유닛 일측에는,
    상기 내경검사유닛과 연동하여 슬리브의 내부 양측을 검사할 수 있도록 회전시키는 반전유닛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과게이지를 이용한 슬리브 검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유닛은,
    상기 키홈검사유닛과 외경검사유닛 및 내경검사유닛에서 검출된 불량 여부에 따라 양품보관부 또는 불량보관부로 슬리브를 구분하여 적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과게이지를 이용한 슬리브 검사장치.
KR1020220036983A 2022-03-25 2022-03-25 통과게이지를 이용한 슬리브 검사장치 KR102432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6983A KR102432407B1 (ko) 2022-03-25 2022-03-25 통과게이지를 이용한 슬리브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6983A KR102432407B1 (ko) 2022-03-25 2022-03-25 통과게이지를 이용한 슬리브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2407B1 true KR102432407B1 (ko) 2022-08-12

Family

ID=82803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6983A KR102432407B1 (ko) 2022-03-25 2022-03-25 통과게이지를 이용한 슬리브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240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022B1 (ko) * 2014-04-04 2014-08-01 (주)정진정공 슬리브 검사 시스템
KR101679661B1 (ko) * 2016-10-10 2016-11-25 서한산업(주) 필로볼조인트 방향 판별장치, 필로볼조인트 종류 판별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 필로볼조인트 자동 조립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022B1 (ko) * 2014-04-04 2014-08-01 (주)정진정공 슬리브 검사 시스템
KR101679661B1 (ko) * 2016-10-10 2016-11-25 서한산업(주) 필로볼조인트 방향 판별장치, 필로볼조인트 종류 판별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 필로볼조인트 자동 조립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23344B (zh) 用于滚动轴承的超声波探伤器以及用于检测裂纹的方法
KR101287182B1 (ko) 자동 초음파 탐상검사장치
US353900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pecting annular articles
KR102355865B1 (ko) 너트 자동검사장치
KR102024577B1 (ko) 허브 베어링의 탭 자동검사장치
CN107101556B (zh) 涡轮自动检测机
KR102432407B1 (ko) 통과게이지를 이용한 슬리브 검사장치
KR100792679B1 (ko) 안티록브레이크시스템 센서 내장 베어링의 검사 장치
KR20190005570A (ko) 연속 가공 방법 및 그 시스템
CN113607748A (zh) 透明或半透明物品的光学相干断层扫描检测系统和方法
JP2008286791A (ja) 表面欠陥検査方法及び装置
KR102064495B1 (ko) 볼 베어링 불량선별을 위한 회전식 검사장치
JP5350412B2 (ja) ボトルのリーク検出装置及びボトルのリーク検出方法
JP4629122B2 (ja) 製品検査方法及び装置
KR102461512B1 (ko) 비젼 및 내시경을 이용한 슬리브 검사장치
KR102547784B1 (ko)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검사제품의 비전검사장치
JP7260293B2 (ja) 加工品の自動検査システム
KR20230146393A (ko) 일측으로 길게 형성된 검사제품의 비전검사장치
KR101607928B1 (ko) 전동 파워스티어링용 삽입축 결함 자동검사장치
RU2256248C2 (ru) Линия контроля и разбраковки тепловыделяющих элементов
JP4118148B2 (ja) 管体の形状測定方法、管体の検査方法
CN108917542A (zh) 连杆类零件加工误差检测的销部件
CN108645369A (zh) 相对基准要素轴线的平行度基准方向判断方法
CN216420225U (zh) 一种用于检测出油阀体的全自动检测机
CN217112101U (zh) 一种新型零部件视觉检测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